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컨벤션산업 공유가치창출(CSV)에 따른 기대성과 및 지속적 행동의도 연구

        유소리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Porter & Kramer(2011)가 공유가치창출에 대한 개념을 제시하면서 최근 공유가치창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 분위기에 따라 컨벤션산업에서도 공유가치창출의 필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하였고, 컨벤션센터 등에서는 공유가치창출을 위한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컨벤션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컨벤션산업 공유가치창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컨벤션산업 공유가치창출의 기대성과 및 지속적 행동의도와의 관계에 대하여 탐색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컨벤션산업 공유가치창출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컨벤션산업 공유가치창출의 가치개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컨벤션산업 공유가치창출에 따른 기대성과 및 지속적 행동의도와의 영향관계에 대하여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컨벤션산업 공유가치창출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향후 활동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총 188부의 유효 표본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컨벤션산업 공유가치창출의 가치개념을 사회적 가치, 경제적 가치, 브랜드 가치, 지역 환경개선 가치, 협력 및 네트워크 가치로 도출하였고, 컨벤션산업 공유가치창출의 기대성과는 산업적 기대성과, 지역적 기대성과, 조직적 기대성과로 도출하였다. 다중회귀분석결과 컨벤션산업 공유가치창출은 사회적 가치를 제외하고 부분적으로 기대성과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컨벤션산업 공유가치창출의 기대성과 또한 지속적 행동의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컨벤션 분야에서 기존에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던 공유가치창출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통하여 향후 연구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배경과 컨벤션산업 공유가치창출 활동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컨벤션산업(Convention Industry), 공유가치창출(Creating Shared Value), 기대성과(Expectation), 지속적 행동의도(Behavioral Intention) Recently, Creating Shared Value(CSV) that is presented by Porter & Kramer(2011) is expanding all over the world. As this trend, CSV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eory in convention industry and organizations such as convention centers and convention bureaus try to establish activities and strategies for CSV. Although convention experts recognize that the CSV theory is necessary to industrial development, academic researches in the area are spar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CSV in convention industry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ctation and behavior intention by the CSV in convention industry as an exploratory study. Also, This study tried to draw CSV factors in convention industry.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convention experts who are currently working more than a year for convention-related organization such as Government, CVBs, DMOs, Convention centers, PCOs‧PEOs, Hotels, travel agencies via on-line and direct survey for 3 weeks in Seoul and Gyeonggi-do. Total 188 useable data was analyzed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CSV in convention industry was divided into 5 factors such as social value, economic value, brand value, regional environmental development value, cooperative networking value. Expectation was classified into 3 factors such as industrial, regional, and business organization expectation. Second, 5 factors of CSV except social value had affected industrial, regional, and business organization expectation partly. Third, these 3 factors of expectation also had influence behavior intention partly. Therefore, this study showed that CSV factors influences expectations and expectations affects behavior intention partly. Consequently, although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researched and suggest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CSV in convention industry, it needs to develop for measuring and establishing CSV.

      • 한국 컨벤션산업의 지역별 경쟁력 분석과 발전방안

        박기연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romotional policy measures for the Korean convention industry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in the Korean convention industry. Recently the Korean exhibition and convention industry, a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has begun to gain a greater importance as a high-value-added new industry.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s in Busan (BEXCO), Daegu (EXCO) and Jeju (ICC) are newly built and started operation in the early 1990s.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s in other cities such as Ulsan and Changwon are being planned. In accordance with such increase of hardwares for convention industry, softwares for convention industry are in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convention industry in Korea. Regional Convention Bureaus(CVB) to help attract conventions are necessary to be set up. Government policy measures should be considered to encourage training programs for professional convention organizers (PCO). These market activities and policy measures at government level and local level should be well coordinated for a successful development fo the convention industry in Korea.

      • 서울 地域의 컨벤션 마케팅 戰略에 關한 硏究

        夫淑眞 慶熙大學校 行政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컨벤션 산업에 대한 개념적 고찰 및 육성방안에 관해 많은 논문이 발표되었고 현재도 지속적으로 연구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컨벤션 산업전반에 걸친 정책적, 행정적 대안만을 제시하는 것으로 그 한계성이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아울러 컨벤션 도시별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는 더욱 미비하다는 점이다. 서울은 현재 우리 나라에서 가장 많은 컨벤션센터(호텔 비호텔 포함)를 가지고 있으며, 접근의 용이성 및 숙박여건 면에서도 어느 지방 도시보다 우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에 인식하여 우리 나라의 컨벤션 도시인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한 컨벤션 마케팅의 시사점을 제시하고 자 했다. 현재 우리 나라는 대형 국제행사를 치루는 데 있어 아직도 회의시설 및 숙박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서울 뿐 만 아니라 지방의 주요도시(부산, 제주, 대구 등)가 안게 될 보다 큰 문제는 현재 부족한 컨벤션 센터의 수 가 아니라 모든 컨벤션 진행과정을 책임지고 통제할 컨벤션 기획전문가의 부족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소프트웨어적인 면을 강조하였으며, 컨벤션 전담인력의 양적, 질적인 확충과 함께 국제기구에서의 인력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한편, 실증분석에서는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활용하였고, 서울지역 컨벤션에 참가한 내외국인 참가자와 컨벤션 및 관광관련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서베이 결과를 토대로 한 마케팅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서울은 지역이 가지고 있는 이점을 최대한 살려 내국인을 주요 타겟으로 하는 전시기획의 모색이라든지, 내외국인 대상의 대형 컨벤션을 기획하고 유치하여 참가자들의 특성을 최대한 반영하는 회의 프로그램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A lot of attempts have been made to develop conceptual approaches to the study of convention industry. Research on the various issues of impacts of convention industry has been completed by a lot of researchers. Study of competitive convention city market strategies, however, has been neglected by the people who have insisted we extend convention centers to local cities such as Dae-jeon, Kwang-ju for regional balance. About ten convention centers are being built or will be built sooner or later in Korea. But it is necessary to think over again that government decided the expansion of convention centers in small cities without concerning size, cost of construction, operating expenses and delegate spending, say, feasible study. This study agrees that Seoul is the most feasible city that can embrace and attract large numbers of out-of-Korea visitors and induce export income for Seoul. Because Seoul is the largest , easiest to access, and has much more convention centers and hotels than any other city in Korea. On the ground of the fact, this thesis tries to assess the strategic market method of convention center development of Seoul. So marketing 4Ps are presented to imply that method. This research also tries to find Seoul attributes important advantages to convention attendees and residents as well, how Seoul can be recognized according to these attributes, convention center opera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economic activity generated. Factor and cluster analyses are utilized to develop a typology of attendees participating in convention, conference, meeting, exhibition, symposium, workshop, etc. in Seoul. The conclusion focuses on the marketing implications of convention industry development of Seoul. There are not enough convention centers in Korea at present. In near future, however, more serious problem will appear - that is lack of professional meeting planners. So this study asserts we should try to develop and train enough experts handling all the convention process. Convention centers can provide a fiscal benefit while providing exposition facilities for at least partial use by local residents. Further, convention centers play a key symbolic role for civic identity. These facts can provide important insights for developing convention marketing strategies of Seoul.

      •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한 컨벤션산업의 경제효과 분석

        박자연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컨벤션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오늘날 컨벤션산업은 고부가가치산업의 신성장 동력으로써 육성되고 있으며, 각 지역별로도 컨벤션을 유치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과 경쟁을 하고 있다. 이러한 컨벤션산업이 각 지역 내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은 지역정책 결정에서 매우 중요할 것이다. 지역산업연관분석의 경우는 지역간 그리고 산업간 상호의존관계를 분석해 주는 유용한 도구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한 지역간 산업연관분석을 기초로 산업연관표 체계 내에서 컨벤션산업의 분류 및 지역별 컨벤션산업의 경제효과를 분석하였다. 컨벤션산업의 생산, 소득, 취업, 부가가치, 수입, 세수유발승수효과를 도출하여, 지역별로 비교하였으며, 제조업과의 비교, 기존 연구의 승수와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컨벤션산업의 생산유발승수가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이며, 서울지역내에 파급효과가 가장 높은 산업은 홍보통신업이었다. 타지역으로 파급효과가 높은 지역은 대전으로 분석되었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컨벤션산업의 지역 내 취업유발효과는 전산업의 평균보다 크게 나타나 컨벤션산업에서의 취업은 상대적으로 자기 지역 내에서 효과가 높음을 의미한다. 자기지역 내의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높은 지역은 서울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컨벤션산업이 전산업보다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서 자기지역내로 기여도가 높은 산업으로 볼 수 있다. 제조업과 컨벤션산업간 승수를 비교한 결과 컨벤션산업은 제조업보다 생산유발승수는 낮지만, 일자리 창출에 있어서는 제조업보다 높은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컨벤션산업의 외화획득 공헌도를 나타내는 외화가득률은 85.4%로 제조업보다도 매우 높게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한국관광공사에서 연구했던 기존의 컨벤션 산업의 승수효과와 본 연구 결과와 비교하였다. 두 연구의 분석에 사용된 산업연관표와 부문도 서로 상이 했으며, 컨벤션산업의 산업연관표상의 부문 정의도 차이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컨벤션산업의 평균 생산과 소득유발승수효과는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산업연관분석의 기본적인 한계점 외에도 컨벤션산업의 산업연관표상의 분류, 403부문에서 168부문으로 컨벤션산업의 분류 및 통합, 컨벤션산업의 지역별 지출액의 구성자료의 부재로 지역별 투입․산출과정을 시도하지 못한 한계점들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컨벤션산업의 우리나라 16개시도의 각종승수를 도출해낸 의미 있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각 지역별로 컨벤션산업과 관련된 정책을 수립하거나, 관련 산업의 사업 추진을 위한 정책의사결정의 참고자료로 사용되어 지길 기대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firstly analyze the economic impact of convention industry on a regional basis, based on an inter-regional input-output approach; and secondly to provide the basic quantitative data for decision-making in the field of convention policy. This study begins with a classification of convention industry, in conjunction with inter-regional input-output tables provided by the bank of Korea. The 16 regions in Korea are selected for the impacts analysis of convention industries contribution to each regional economy, focusing on multiplier effects of output, employment, income, value added between the convention sectors and other sectors. Comparing with output multiplier effects among 16 regions at the basis of average multiplier, Seoul region shows the highest output multiplier effects in the convention sector. Especially the public relations services in Seoul region is the highest rank in terms of the output multiplier effect. Also seoul region shows the highest value added effects. Regarding the employment multiplier effects in the convention sector, Jeonnam region is the highest rank. On the other hand, analyzing the rate of foreign exchange earning, convention sector's shows 85.4% which is higher than the manufacturing industries.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has contribution to present convention related multiplier effect, on a regional basis, by using reliable input-output data. A further study should be carried out how input-output tables can be connected with convention demand and supply sides in each region.

      • 국제 컨벤션 국내유치를 위한 전략적 강화방안

        박지수 단국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재 지구는 세계화 시대를 맞아 각 국가 간의 교류와 협력이 강화되고 이러한 교류와 협력은 정보의 교환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각 국가는 정보의 획득과 교류의 방편으로서 국제회의, 컨벤션산업을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 세계적으로 국제컨벤션이 성행하고 있다. 각국은 국제컨벤션 개최에 따른 국가홍보효과, 사회· 경제적 효과, 관광효과 등 각종 효과를 얻기 위해 국제회의를 자국으로 유치하기 위한 집중적 노력과 방안을 경주하고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의 컨벤션 산업은 컨벤션 선진국인 미국, 일본, 서유럽 제국, 싱가포르에 비해 컨벤션 관련 노하우, 시설 및 인프라, 그리고 인력면에서 크게 뒤지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 컨벤션 산업이 안고 있는 일반적 문제점으로는 국제컨벤션에 대한 인식의 부족, 국제컨벤션 시설 및 인프라의 취약, 전문 용역업체(PCO)의 영세성, 유자격 전문인력의 부족, 정부지원정책의 취약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국제회의 유치전락 강화방안으로 국제컨벤션에 대한 인식의 제고, 컨벤션 산업을 국가전략 산업으로 육성시키기 위한 방안과 컨벤션 기획가 및 운영자의 양성, 국제회의 전문 용역업체(PCO)의 육성, 해외시장 조사와 해외 홍보활동의 강화, 컨벤션시설 및 관련 인프라의 확충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온 국민의 노력과 관심이 함께 수반될 때 한국 컨벤션 산업의 미래는 밝을 것이다. As the globe is presently facing the age of globalization, the inter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each country is being strengthened. Such interchange and cooperation is made as the premise of information exchange. Accordingly, each government is utilizing a great many international conferences or conventions as the means of acquisition and exchange of information. Thus, international conferences and conventions are held actively in the world. The convention industry of Korea is far inferior as comparing with that of convention advanced countries such as America, Japan, Western European countries and Singapore in the dimensions of convention related know-how,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 and personnel. Each country is doing one's best for the acquisition of such various effects as the national publicity eftect, social · economic etfect, tourism effect, etc. General problems of the Korean convention industry are as follows: shortage of recognition with respect to convention, insufficient convention faci1ities and its infrastructure, small-scaled PCO business, lacking of qualified personnel, weakness of government support, etc. However, the strengthening plans for inviting international conventions into Korea are enumerated as follows: enhancement of recognition for international convention, promotion of convention industry as the national strategic industry, training of qualified personnel such as convention planners, operators, etc., establishment of PCO business, strengthening of overseas marketing research and its promotional activities, enlargement of convention related facilities and its infrastructure. If the people engaged in the convention industry as well as the government will make genuine eftorts for furthering of its industry, it is certain that the convention industry in Korea will have a bright prospect in the future.

      • 컨벤션산업에서 디자인의 역할에 관한 연구 : 디자인의 매니지먼트 관점에서

        조재교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21세기를 맞아 지식기반산업의 결합체인 컨벤션 산업에 대한 관심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컨벧션의 고부가가치에 일찍 눈뜬 선진 각국에서는 다투어 컨벤션센터를 건립 하고 컨벤션 유치에 팔을 걷고 나서는 한편, 소프트웨어 개발에 전력투구하고 있다, 일례로 가까운 나라 일본의 항구도시 요코하마가 컨벤션 복합단지 건설을 통하여 컨벤션 테마도시가 되었으며 몇 년 전 대지진으로 폐허가 되었던 고베 역시 컨벤션 도시로 놀랍게 재창조되었다. 우리나라도 다소 늦은감은 있으나, 곳곳에서 컨벤션센터의 건립을 추진하고 있으며 여러 컨벤션센터가 완공되는 2002년부터는 하드웨어적 기반 위에 소프트웨어의 필요성이 한층 대두될 것으로 보인다. 즉, 킨벤션센터 건립과 호텔, 도로 등의 사회기반시설의 확충을 컨벤션 개최를 위한 하드웨어적 측면으로 본다면 소프트웨어는 컨벤션을 성공으로 이끌기위한 질적 서비스의 문제라 하겠다. 각 국은 이미 보다 많은 컨벤션을 유치하고 참가자로부터 더 높은 만족감을 이끌어 냄으로써 컨벤션이 가진 부가가치를 한층 높이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여념이 없다. 뒤늦게 눈뜬 우리나라에서 보다 많은 컨벤션을 유치하여 성공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국내 컨벤션 산업의 현황 파악을 통해 드러난 문제점을 바탕으로 컨벤션의 질적 향상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에 만전을 기해야할 것이다. 정보화 시대의 커뮤니케이션과 디자인이라는 문제는 학계와 사회에서 이미 수도 없이 논의되고 연구되어졌고, 이제 우리는 21세기 핵심적 지식기반산업 하나인 컨벤션 산업 에서 커뮤니케이션과 디자인, 그리고 컨벤션 경영이라는 문제를 짚어볼 때이다. 현대는 단순 서비스를 파는 시대를 넘어서 이미지와 체험을 판매하는 시대로 가고 있다, 점차 국제화·지구촌화 되어가는 시대에 발맞추어 우리나라에서 개최되는 각종 컨벤션 참가자에게 자국의 이미지 고양 및 만족스런 체험과 감동을 줄 수 있는 방안을 체계적으로 만들어야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컨벤션 산업의 질적 향상을 위한 소프트웨어 발전에 있어 디자인이 갖는 의미와 역할을 알아보고, 국내 컨벤션 산업의 예를 디자인경영의 관점에서 비교 분석해 보고자한다. 컨벤션 산업과 디자인 경영의 연계를 통해 컨벤션 산업이 종합서비스산업으로서 안고 있는 여러 가지 난해한 문제 해결은 물론 디자인의 위상 제고와 더불어 앞으로의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It is been more concerned about convention industries which is a combination of the industry based on the knowledge in the 21century. The advanced countries are early noticed the worth of convention, they built up convention centers, trying to bring it in and also concern about developing softwares. For instance It is been became a convention theme city through convention housing development at the port city, Yokohama in Japan. It seems to be a little late but in my country, it goes to built up the convention centers in many places. And the necessity of softwares based on hardwares are going to be emphasized when it comes complicated in 2002.That is if you see in the side of hardwares for the expansion of convention centers, hotels, roads and so on it is a matter of services quality for the success of convention. In a lot of countries, they trying to develop the softwares to raise the values of the conventions through they hold more conventions and let the participants to get satisfied. For my country, we have to concern about developing softwares for succeed of convention. Communications and designs are discussed and investigated in the academic circles and societies, now we have to go through communications and designs and convention management in the convention industries which is one of the industry based on knowledge in 21 centuries. Presently we sell the images and experiences behind selling simple services. We are suppose to scheme that how to impress the convention participants about exaltations of my country and content experiences in global world. Therefore in this investigation, Searching for the meaning of the designs and roles in software to upgrade quality of convention industries, and then also analyze the examples of convention industries in viewpoint of the design management. The problem solving belongs to convention industries as the total services industries through convention industries and design industries are connected, and helps to develop the designs.

      • 컨벤션산업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김정아 경기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8703

        다양한 질병의 원인 중 하나인 스트레스는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역기능적 결과를 초래한다. 2005년 실행된 인터넷 조사에 의하면 직장인 2,083명중 81.7%가 직장에서 받은 스트레스로 인해 질병을 앎아본 적이 있다고 하였을 만큼 스트레스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와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특히 직무스트레스는 일의 성과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현대인의 "웰빙"(well-being)에 걸림돌이 된다. 인적자원이 핵심이 되는 컨벤션산업과 같은 서비스업에서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는 서비스 질에 직접적 영향을 주어 고객과의 만남에서 서비스의 질을 떨어뜨리게 되며, 기업의 경영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잦은 이직의 초래는 컨벤션산업 서비스 질을 낮추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직한 종사자의 자리를 새로운 종사자로 대체하기 위하여 새로운 종사자를 찾아 교육을 통해 업무숙련을 시키기까지 소요되는 비용 또한 간과할 수 없다. 따라서 컨벤션산업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컨벤션산업종사자에 관한 연구 및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일반특성과 조직적특성 요인의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를 통하여 컨벤션산업 관계자들이 컨벤션산업종사자를 위한 적절한 인적관리를 개발하고 효율성 있는 업무환경 조성에 도움을 주어 직무스트레스 및 이로 인한 이직의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컨벤션산업종사자에게 영향을 주는 직무특성, 역할요인, 내부특성을 포함한 조직특성에는 어떠한 요인들이 있는지,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개인차이를 포함하고 있는 일반특성에는 어떠한 요인들이 조직특성에 차이를 주어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게 되는지,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이직의도의 인과관계를 고찰하였으며, 문헌연구를 통한 설문지를 구성하여 실증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74부가 실증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사회과학 통계패키지 SPSS 1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차이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조직특성(직무특성, 역할요인, 내부특성),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개인차이는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조직특성은 직무특성을 제외한 역할요인과 내부특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컨벤션산업종사자에 관한 초기 연구의 하나로 컨벤션산업종사자에 대한 선행연구의 부족으로 컨벤션산업종사자만이 갖고 있는 독특한 특성으로서의 접근에 한계가 있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컨벤션산업종사자의 특성에 대해 좀 더 다양한 시각과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이론적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컨벤션산업의 주축이 되는 컨벤션산업종사자에 대한 좀 더 깊이 있는 인적자원 관리 차원에서의 시도라는 점에서, 향후에는 컨벤션산업종사자의 직업경로(career path)를 통하여 미래에 대한 비전(vision)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factors of the employees in convention industry with a specific focus on those who operate and plan conventions ("convention planners"). Despite the critical importance of convention planners to the success of the entire convention industry, there have not been enough studies on them. Most studies conducted to this date were on facilities, marketing, and attendees of conventions. One can never emphasize the fact too much that convention planners are at the core of the convention industry.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ensure that they have supportive work environment to avoid incurring unnecessary turn-over cost or potential degrading of service quality in the convention industry. An extensive survey of the convention planners was conducted for this study, which included 242 items represent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difference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job characteristics, role factors, and internal characteristics), "Job Stress", and "Intention to leave the Job". Participants from various types of relevant organizations were represented in this survey ;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Both inferential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such as cross tabulation,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The results indicated that job characteristics do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stress nor on intention to leave the job. On the other h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tress and intention of leaving the job were found based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differences of convention planners. Additionally,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except job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s on job stress and intention of leaving the job. In conclusion, the study is particularly meaningful since it is one of the first exploratory studies on the nature of convention planners. Although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the job stressors of convention planners are distinct from those of other sub-groups in tourism industry or other service industries, the study anticipates the effort to identify the underlying disposition of convention planners will lead to the eventual success of the convention industry as a whole.

      • 컨벤션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법 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김건수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703

        컨벤션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Legal ·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for Revitalization of Convention Industry 국제법무학과 김 건 수 지 도 교 수 이 학 춘 최 도 석 컨벤션(Convention)산업은 ‘관광 산업의 꽃’이라 불릴만큼 국민소득 증대와 개최지 경제의 활성화, 고용창출뿐만 아니라 개최지의 이미지, 최신정보 습득, 관련산업의 파급효과 등 타 산업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리나라 컨벤션산업은 산업의 국제화 추세에 맞추어 관광산업의 선진화와 함께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면서 국제회의 개최건수가 증가하고 있다. 컨벤션산업의 중요성이 세계적으로 부각되면서 세계 각국들의 육성 및 유치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특히 선진국에서는 일찍이 컨벤션 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미국, 호주, 유럽을 비롯하여 일본등에서는 관련법과 제도를 정비하고 금융 및 세제지원, 컨벤션 도시지정 등 국가적인 차원에서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컨벤션 산업은 짧은 기간 동안에 비약적인 성장을 이룩하였지만 이러한 성과는 정부의 지원과 공공부문에서의 국제행사의 증가에 기인한 것이다. 내용면에서도 대부분 국내참가자가 다수인 경우가 없지 않으며, 순수한 의미의 국제회의로의 질적 성장을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우리나라 컨벤션 산업의 경쟁력은 아직까지 구미 선진국은 물론 동남아 국가들에 비해서도 열악한 상황도 없지 않다. 우리나라도 컨벤션산업의 국제경쟁력을 강화하고, 컨벤션 산업을 활성화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하드웨어(hardware)적인 측면이나 소프트웨어(software)적인 측면에서 미비점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컨벤션 산업을 활성화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적절한 법적 근거도 부족한 실정이어서 법제도적인 대응책을 마련하는 등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컨벤션산업의 현황과 지원정책의 성과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컨벤션산업의 활성화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특히 우리나라 컨벤션 산업의 현황분석을 통하여 그동안의 변화를 추적하고, 현행 컨벤션산업의 유치·개최 지원정책과 법제도적인 문제점을 진단하여 이를 토대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1)관련법제도의 이원화와 비효율적인 지원체계의 문제, 2) 컨벤션산업의 질적·양적 발전의 도모, 3) 컨벤션산업 성장잠재력 제고, 생산성제고, 부가가치 향상, 외화획득 가득능력의 향상, 산업간 시너지효과의 제고의 문제, 4)지역별로 편중된 국내 컨벤션 산업의 균형적 성장의 문제, 5) 컨벤션 산업의 차별화 내지 특성화전략의 문제, 6) 내국인 위주 소규모행사와 전시·회의와의 연계성 제고문제, 7) 높은 규제 및 낮은 지원의 문제, 8) 컨벤션 산업발전을 위한 법제도적 개선문제, 9) 컨벤션 산업에 대한 홍보방식과 마케팅 개선의 문제 10)컨벤션산업 마케팅을 위한 컨벤션 전담기구를 설립 운영과 이를 위한 법제도적 개선, 정책적 지원방안과 단계별 추진 방안의 문제 등을 담아낼 수 수 있는 법제도적 지원정책 방안을 마련하고자 했다. 우리나라는 2009년 MICE산업이 신성장동력산업으로 선정되면서 컨벤션산업과 전시산업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물론, 컨벤션산업의 정책대상 및 범위가 확대되었다. 이에 따른 컨벤션을 포함한 MICE산업의 육성을 위한 정책기반이 강화됨에 따라 이를 통합적으로 다룰 수 있는 ‘MICE산업 기본법’의 제정을 통해 이러한 산업변화를 수용하고 새롭게 추진되는 정책을 뒷받침할 필요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성장동력산업 육성방침에 따라 ‘MICE 통합지원체계 구축’, ‘MICE 복합단지 조성․지정추진’, ‘글로벌 MICE 캠페인 추진’, ‘세계적 수준의 MICE 유치 및 육성’ 등 MICE산업 육성을 위한 신규 정책이 관련법규의 개정을 통한 정책추진의 법적근거 마련․지원이 필요하다. 현행 MICE산업 관련법규는 컨벤션산업 관련 법률인 ‘국제회의산업육성에관한법률’, 전시산업 관련 법률인 ‘전시산업발전법’이 있는데, 법의 목적 및 세부 조항이 컨벤션산업과 전시산업을 각각 독립적으로 다루고 있어 현행 법 규정으로는 두 산업간 연계가 어려운 상황이다. MICE산업의 지원 사례를 볼 때 경쟁상대국인 호주, 홍콩(MEHK), 싱가폴의 경우 전시컨벤션산업과 관광산업의 연계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나타나고 있다. 민관협력하에 양 산업의 연계발전을 통한 경쟁력 제고가 주된 목적이다. MICE산업 기본법 제정을 통해 법의 목적을 유치 촉진 및 개최 지원 위주에서 산업전반의 발전기반 조성 및 경쟁력 강화로 개정하여 법의 제정목적을 보다 폭넓게 정의하고 두 산업간 연계를 강화할 수 있는 형태로 규정하여야 한다. 주요어 : 컨벤션산업, 국제회의산업육성에관한법률, 전시산업발전법, MICE산업 기본법, 회의산업육성에 관한 법률, 관광진흥법, 컨벤션산업의 활성화, 컨벤션산업 지원정책, 컨벤션산업의 현황과 과제, 컨벤션산업 관련법제도 개선방안

      • 서울형 전시컨벤션산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임학목 서울시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전시컨벤션산업은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으로서 고용을 창출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며, 외화획득과 세수증대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개최지역의 국제적 인지도 향상과, 이미지를 개선시켜 해당 지역의 발전에 순기능 역할을 한다. 수출 진흥 및 연계산업으로의 파급효과가 큰 전시컨벤션산업은 독일을 비롯한 전시컨벤션 선진국뿐만 아니라 가까운 싱가포르와 중국 등에서도 국가 전략산업으로 인식하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중앙정부에서 전시컨벤션산업을 ‘국가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지정하여 전시컨벤션산업 활성화를 위한 지속적인 지원책을 시행 중에 있으며, 서울특별시를 비롯한 지방정부 역시 지역의 시설인프라 확충 등의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의 전시컨벤션산업은 단순히 국제회의 개최를 넘어서 각종 전시회, 스포츠행사, 문화예술행사, 인센티브 관광과 함께 다양한 형태로 개최되고 있는 추세이기에 그 부가가치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은 물론 일본, 싱가포르, 홍콩 등 아시아 국가에서도 관련법을 정비하고 경비보조, 세금감면 등의 각종 지원책을 수립하여 성공적인 전시컨벤션 유치 및 개최 전략을 세우고 있으며, 전시컨벤션을 유치하기 위한 세계 각국 개최지들의 경쟁은 날로 심화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환경속에서의 전시컨벤션산업의 실질 통계 및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서울 전시컨벤션산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국내외 전시컨벤션산업의 특성과 경쟁구조 변화에 맞는 육성전략의 추진 방향을 모색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서울의 전시컨벤션산업이 보다 원활히 전시컨벤션 행사를 유치․개최할 수 있도록 전시컨벤션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서울형 전시컨벤션산업 활성화 방안을 수립하였다. Exhibition and convention industry boosts the local economy development with creating jobs, activating local economies, earning foreign currency and increasing tax revenues, and helps move on to the higher value­added business. Exhibition and convention industry is considered as national strategy industry in Germany including developed countries as well as near the Singapore and Chinese, because of great ripple effect to promoting exports and increasing related industries. The Government of Korea designated exhibition and convention industry as a national neo growth powered industry, and decided to offer government support.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make effort to expand exhibition and convention facilities. Recently, Exhibition and convention industry is becoming a more higher value­added business and has expanded influence to exhibitions, sports event, culture­art event, incentive tour and etc. America and Europe including developed Asian countries, Japanese, Singapore and Hongkong, modify various laws and ease regulations to help expense and tax cut. They have various support systems and held strategies for hosting successful exhibition & convention, but competition between countries and cities is getting fierce. This study indicated that analysis of status and problem of Seoul exhibition & convention industry based on the real statistics and theoretical approach, and have strategies and guidelines to intensively foster industrial strategic to adapt to change of characteristic and competition structure of domestic and foreign exhibition & convention industry. Thus, this well­established plan of activities for Seoul exhibition & convention industry will enable to achieve competitiveness to host and held exhibition and convention smoothly in Seoul.

      • 하이난성과 한국 간의 관광과 전시컨벤션산업에서의 협력증대방안

        장몽금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하이난은 관광자원이 풍부하고 전시컨벤션산업의 잠재력이 큰 지역이다. 한국은 관광산업과 전시컨벤션산업 분야에서 전문인력과 운영경험측면에서 하이난 성에 비하여 앞서 있다. 따라서 두 국가 간에 두 산업에서의 협력을 도모하면 시너지 효과(synergy effect)를 확보할 수 있다고 예상된다. 본 논문은 전시컨벤션산업과 관광산업이 산업집적(industrial cluster)을 형성할 수 있다는 특성을 고려하여 하이난성과 한국의 관광산업과 전시컨벤션산업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에 SWOT분석, 마케팅믹스 전략, 국제협력전략을 사용하여 협력증대방안을 도출하였다. SWOT측면에서 하이난성과 한국은 관광산업과 전시컨벤션산업에서 틈새시장을 확보할 가능성을 발견하였고, 이 같은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업전략과 공공정책을 이 분야의 인적자원개발과 관리와 산업인프라구축분야에 집중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마케팅믹스전략차원에서는 제품개발과 판매촉진분야에 집중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 분야에서 하이난성과 한국은 보다 체계적인 시장조사와 제품포트폴리오를 발전시킬 필요가 있음을 지적한다. 국제협력자원에서는 이미 출범한 하이나-제주-오끼나와현과의 협력은 실질적으로 동북아와 동남아를 연결시키는 교량역할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고, 2013년에 와서 합의점을 찾기는 쉽지는 않지만 한중일간의 자유무역협정의 모색은 하이난성과 한국과의 관광산업과 전시컨벤션산업에서 보다 안정적인 총공급망과 핵심고객에 대한 고객관리기법을 효과적으로 동시에 구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리라고 예상된다. Hainan is famous for its abundant tourism resources and such an endowment may be fully utilized for developing exhibition convention industry. Korea is far ahead to Hainan in both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infra-structure. This dissertation has demonstrated the possible synergistic effect for launching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se two regions in the realms of tourism and exhibition convention industry by adopting the SWOT, marketing mix strategy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model. The SWOT analysis demonstrates that it is required for both regions to concentrate on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scheme and the build-up of infrastructure as effective means of capturing potential niche markets for the tourism and exhibition convention industries. An analysis on the marketing mix strategy emphasizes the imperative need to develop a systematic marketing survey for facilitating product development and promotion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