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시설의 친환경설계요소에 관한 거주 후 평가(POE)연구 : 김해시 소재 학교건축을 중심으로

        박재홍 인제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최근 환경문제의 인식과 관심은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 같은 환경문제에 대한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사회 전반적인 분야에서 친환경개념을 적용시키려 노력하고 있다. 건축분야에서도 이런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고 그 필요성과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 구체적인 행동의 중심에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가 있다. 2002년부터 실행되고 있는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는 공동주택, 업무용건축물, 학교시설 등 인증대상에 따라 그 기준을 달리 한다. 그리고 본 연구는 학교시설에 대한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를 중심으로 조사∙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기본목표는 2005년 이후부터 실행된 학교시설부문의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에 대해서 실제로 학교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실제 사용자인 학생으로부터 학교시설에 대한 만족도와 인식조사를 하기 위한 것으로 향후 친환경인증지표의 개선과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크게 두 가지방법으로 진행되었는데, 첫 번째는 현장조사이고 두 번째는 설문지조사이다. 우선 비교대상이 될 수 있는 친환경건축물인증을 받은 학교와 비인증 학교를 선정한다. 그 후에 친환경건축물인증을 받은 학교와 비인증 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친환경인증지표를 기준으로 학교시설이 어떠한지 현장조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친환경건축물인증을 받은 학교와 비인증 학교의 학생에게로부터 그 시설에 대한 만족도를 설문조사하여 그 결과를 비교∙분석한다. 그리고 얻은 결과위에서 친환경건축물인증지표의 적절성을 검토하고 인증제도에 대한 제언을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간단히 요약한다면, 현장조사에서는 친환경인증을 받은 학교의 시설이 비인증 학교의 시설보다 월등히 우수하고 많은 부분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왔다. 하지만 친환경인증지표에 속하는 시설들이 유지와 관리 면에서 아쉬움을 남겼다. 그리고 설문지조사에서는 친환경건축물인증을 받은 학교의 학생들이 비인증 학교의 학생보다 시설에 대한 만족도와 인식의 거의 모든 문항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지만, 절대적인 수치상으로는 “보통” 이라는 답변이 많았다. 이런 점에서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가 보완∙개선해야 할 점이 아직도 존재하고 있고 실사용자인 학생들의 만족도와 인식을 보다 높여야할 과제가 남아있다.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가 2005년 3월부터 학교건축물까지 확대 시행되었고 현재도 개정과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본 연구가 이런 인증제도의 개정과 발전과정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의 확대로 인하여 친환경건축물이 많이 보급되어 지금보다 많은 사람들이 보다 쾌적하고 친환경적인 환경에서 생활하기를 바란다.

      • 교육시설의 친환경 건축물 인증평가 적정성에 관한 기초적 연구 : K고등학교의 거주 후 평가를 통하여

        許禛寧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eco-friendly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which emerged as a solution for the double-sided problem between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environment is playing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educational facilities that have a large share of student growth. Therefore, a number of evaluation researches on the eco-friendly educational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are under progress and in particular, user oriented more practical review is required for eco-friendly educational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evaluation because it is more focused on the evaluation for research efficiency improvement. We think we must continue our effort to review the certification system suitability to guarantee the objectiveness of the certification judgment standard and improve the certification judgment standard to keep up with the new eco-friendly technology development speed, and further we shall operate the eco-friendly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more clearly and objectively to make the certification result more reliable and make the certification system perfect in the end.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environment of Gangwon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one of new eco-friendly schools in Gangweon Province as our research target first and,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 we conducted practical and specific evaluation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the eco-friendly certification index and the user's actual satisfaction and investigate the eco-friendly status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main issues concerned in order to carry out suitability analysis of eco-friendly educational facilities certification evaluation items and propose how to improve them. Generally speaking, the suitability research on eco-friendly educational building certification evaluation item requires generalization steps via multi case studies but we proceeded with eco-friendly building certification evaluation item suitability research on a single educational building to make a more in-depth and practical result. This kind of research puts more importance on study efficiency oriented evaluation than quantitative evaluation, for example, for energy saving, so we considered certification evaluation item evaluation criteria adjustment and additive items for the additional parts like plan and education prior to evaluation item creation or deletion when we proposed improvement idea according to the certification evaluation standard suitability research result. Our improvement proposals based on the eco-friendly educational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suitability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o evaluate all schools applying for the eco-friendly certification fairly, we must establish a new evaluation standard and excavate discriminable certification evaluation items specific to the feature of each educational facility. The evaluation items of the old system shall be adjusted in which a school can be scored by its given regional environment without regard to its will or effort of eco-friendly building construction in such a manner that the system is based on the certification judgment standard to measure not only some quantitative elements but also eco-friendly elements and also suitable for the school building characteristic for better discrimination. Second, both the facility expense based certification judgment standard calculation method and the compulsory GPA shall be amended. Some items are in need of their calculation standard adjustment because they are not applicable due to too much construction cost, not to mention of the future maintenance cost. In addition, some compulsory items are very advantageous to get scores, so their GPA also needs amending while keeping the essential execution items intact. Third, the relative law shall be revised to develop the evaluation item alteration system and exclude doubleness of similar items. The detailed evaluation standard shall be also revised so that all the items can be linked with each other under the standard regulated by the law. Meanwhile, inter-item doubleness shall be also removed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debate. Fourth, the detailed evaluation standard of eco-friendly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shall be practically supplemented and modified. When we compared the certification evaluation contents with the survey result, we found some items with which users were less satisfied than the eco-friendly building certification index based score that was caused by missing of the practical condition of the evaluation target facilities in the detailed evaluation standard, indicating the necessity of practical supplementation and modification. Fifth, both progressive certification evaluation standard and planned intention analysis based additive item foundation are needed for operation and maintenance. The gap between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related certification evaluation result and the post-residence evaluation analysis result supports the necessity of progressive evaluation based additive/deductive evaluation score alteration. Besides, it is requested to seek for the planned intention and effect diagnosis method and induce the nature friendly plan of the foundation subject by including such a method in an additive item for certification evaluation. Sixth, some exclusive items specific to the environment of individual evaluation target facility should be newly established and more items should be added to the environmental education review items. According to the t-test analysis result, we were able to figure out the inter-grade satisfaction gap, which was caused by missing of the evaluation items specific to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 of individual facility, so we must add some items specific to each evaluation target facility to the original evaluation items that consider its environmental feature most practically from the planning stage. Moreover, since a eco-friendly certified school has an intention of providing its students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the school shall keep reviewing its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ess and establish new items concern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As the educational facilities certification evaluation item analysis and the post-residence evaluation under this research were made only on the single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target area, Gangweon-do, it is recommended to diversify eco-friendly educational facilities to raise the research objectiveness accompanied by repeated and continuous user consciousness survey research to guarantee concreteness as the future research subject. This research was focused on the students who were using educational facilities but it is desirable to evaluate not only students but also administrators after they really live in such facilities and then compare both results in the follow-up researches to strive for accuracy. 환경의 보존과 개발이라는 양면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는 학생들의 성장과정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교육시설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시설의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에 대한 많은 평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교육시설의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에 대한 평가는 학습제고를 위한 평가가 더욱 중요시되기 때문에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 보다 실질적인 검토가 요구된다. 인증심사기준의 객관성 확보 및 새로운 친환경 기술 등의 진보속도에 맞추어 인증심사기준을 개선해 나갈 수 있도록 인증제도의 적정성에 관한 꾸준한 검토가 동반되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를 투명하고 객관적으로 운용하여 인증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높여 인증제도의 완성도를 추구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내 친환경 신축학교 중 연구의 대상지로 선정한 강원외국어고등학교의 환경 분석을 선행으로, 현실적이고 특정한 관점에서의 평가행위를 통하여 친환경 인증 지표와 실제적 이용자 만족도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교육시설의 친환경 유지관리 실태와 주요 쟁점사항을 파악하여 친환경 교육시설의 인증평가 항목에 대한 적정성 분석 및 개선사항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시설의 친환경 건축물 인증평가 항목에 대한 적정성 연구의 경우 다수의 실 사례 조사를 통한 일반화의 과정이 요구되나, 보다 심층적이고 현실적 적용이 가능한 성과물 추출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하나의 교육시설을 대상으로 친환경 건축물 인증평가 항목에 대한 적정성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방식의 연구는 에너지 절약 등과 관련한 정량적인 평가 보다는 학습제고를 위한 평가가 더욱 중요하기 때문에 인증평가기준의 적정성 연구에 의한 개선사항의 제안 시, 평가항목의 생성 및 삭제 보다는 인증평가내용의 항목별 평가 잣대 조정 및 계획·교육 등의 추가적 부분에서의 가산항목 등이 주요하게 고려되었다. 교육시설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의 적정성 분석에 따른 개선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 인증을 신청하는 모든 학교가 공평하게 평가될 수 있는 기준 및 교육시설의 특성에 적합한 변별력 있는 인증평가항목으로의 개정이 필요하다. 학교설립 주체의 친환경건축을 위한 의지나 노력과 상관없이 주어진 지역적 환경에 의하여 득점할 수 있는 평가항목에 대한 공평성 조정이 요구되며, 일부 항목의 정량적 요소만의 측정이 아닌 친환경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학교건축물 특성에 적합한 인증심사 기준으로 개정하여 변별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시설비 소요에 의한 인증심사 기준의 산출방식과 의무적으로 획득하여야 하는 평점의 조정이 필요하다. 실제 학교 건축물 내에서 시설하기에는 시설비가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설치 시 유지관리에 대한 부담으로 적용이 어려운 항목들은 산출 기준 조정이 필요하다. 또한 일정부분 의무규정이 있는 항목들은 점수 획득이 용이하기 때문에 필수 이행 항목을 유지하면서 평점의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법령 개정에 의한 평가항목 변경 시스템 개발 및 유사항목간의 조정을 통한 중복성의 배제가 필요하다. 각 항목들은 법령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연계될 수 있도록 평가 세부 기준을 변경해야한다. 또한 항목간 중복성 배제를 통하여 논란의 소지를 최소화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해당시설의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세부평가기준에 대한 실질적 보완 및 수정이 요구된다. 인증평가내용과 설문조사내용의 비교분석 결과 친환경 건축물 인증지표에 의한 점수 획득 내용에 비하여 불만족스러운 이용자 평가를 보이는 항목들이 도출되었는데 이는 세부평가기준에 평가 대상 시설의 실질적 조건을 반영하지 못한 결과로서, 실질적 보완 및 수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다섯째, 유지·관리 측면의 진행형 인증평가기준 및 계획의도 분석을 통한 가산항목 구축이 필요하다. 유지·관리 측면과 관련한 인증 평가 내용과 거주 후 평가 분석 결과의 차이는 진행형 평가를 통한 가·감산적인 평가점수의 변동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계획부분의 의도와 효과를 진단할 수 있는 평가기법을 모색하고 인증 평가 시 가산항목이 될 수 있도록 조정하여 설립주체의 자연친화적 계획을 유도하여야 할 것이다. 여섯째, 평가시설의 환경적 특성을 반영한 전용항목과 환경 교육 검토에 대한 추가항목의 신설이 요구된다. t-test 분석 결과 각 학년별 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었는데, 이는 해당시설의 환경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평가항목의 미흡함에서 나온 한계로 계획 단계에서 부터 평가 시설의 환경적인 특성이 반영된 전용 항목의 추가가 요구된다. 또한 친환경인증 학교는 학생들에게 환경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학교 측에서의 지속적인 환경 교육 검토 및 이에 대한 항목 신설로서 환경교육의 중요성을 부각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친환경 건축물 인증을 획득한 교육시설의 인증평가 항목 분석 및 거주 후 평가는 도내 한 곳의 교육 시설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다양한 친환경 교육 시설에 대한 사례를 늘려 보다 객관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이용자 의식조사 연구를 병행함으로써 구체성을 확보하는 것이 향후 연구과제로 남는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시설을 이용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만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향후 계획에서는 친환경 교육시설을 이용하는 학생들과 관리자에 대한 거주 후 평가를 실시하고 상호 비교 분석을 통한 자세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생애주기가 고려된 평가지표를 이용한 건축물 친환경성능 인증제도의 사례분석

        정민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27

        지구 온난화에 대응하기 위한 에너지 소비의 절약적 행태와 환경친화적 행동으로의 변화가 요구되면서 이는 건축분야에서도 최근 들어 가장 중요한 이슈로 자리 잡았다. 이에 선진 각국은 ‘생태건축’, ‘지속가능한 건축’, ‘환경친화 건축’ 등 다양한 친환경 건축에 대한 논의를 확대하여 쾌적하고 에너지 절약적이며 자연보전적인 건축물을 생산하기 위한 연구와 개발을 활발히 해왔다.$$a$$a건축은 근본적으로 환경에 부하를 가하는 행위로서, 건축행위가 최소화 될 때 친환경적이라는 사고와, 건축행위는 인정하되 환경에 대한 부하를 최소화함으로써 지속가능한 개발과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노력이 상존하고 있다. 후자의 경우 환경에 대한 부담의 감소와 쾌적한 거주환경 구성을 목표로 환경에 부담을 줄이는 이론과 방법에 대한 접근이 다양하게 시도되었으며, 그중 하나가 건축물의 친환경성을 객관적 지표를 통해 평가하고 공식적인 인증을 부여하도록 한 제도의 시행이다. 세계 각국의 추세에 부응해 우리나라에서도 독자적인 평가지표 및 인증시스템을 개발하여 실제 적용단계에 이르렀고, 2002년부터 공동주택과 주거복합건축물 및 업무용건축물을 대상으로 친환경건축물 인증심사를 시행하여 여러 개의 사례 건축물들을 배출하였다.$$a$$a그러나 이러한 제도의 시행에도 불구하고 근본적 차원에서의 차별성 있는 친환경 건축물 계획이 뚜렷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대체적으로 친환경성을 표방할 수 있는 가시적인 효과가 크고 적용하기 수월한 세부항목을 선택적으로 반영해 점수를 획득하는 경향이 크며, 또한 경제적인 자금의 문제와 현실적인 제약 때문에 장기적인 친환경성능이 보장됨에도 불구하고 포기하는 세부항목도 존재하여 전체적으로 불균형한 친환경 계획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a$$a본 연구에서는 환경친화형 건축물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환경친화형 업무용 건축물을 표방한 사례들의 계획특성 분석을 통하여 평가지표 구성과 한계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업무용 건축물의 친환경성능 계획방안을 모색하고 평가지표와 인증체계의 차후 방향을 제안한 것이 본 연구의 성과 및 의의라 하겠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a$$a(1) 친환경건축물 인증지표의 특성 정리$$a$$a국내 친환경 인증지표는 친환경 개념의 균형에 있어 쾌적성에 치우친 양상을 보이며 환경공생적 개념에 있어서도 인간과 건물 활동에 의한 ‘결과 발생’ 측면이 아닌 ‘입력 혹은 사용’ 측면에 더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건축물의 생애주기단계에 있어서도 설계단계에 계획요소가 치우친 형태를 보이므로 각 단계의 성격에 따른 균형있는 계획이 필요하다고 하겠다.$$a$$a(2) 인증사례의 계획요소 특성 정리$$a$$a국내 인증제도에 의한 사례 건축물의 분석 결과, 대체적으로 ‘교통’, ‘에너지’, ‘수자원’, ‘실내환경’ 분야에서 득점률이 높게 나타났고, 반면 ‘재료 및 자원’, ‘생태환경’ 분야에서는 낮은 득점률을 보였다.$$a$$a(3) 인증사례의 친환경성능 분석$$a$$a친환경 개념의 양면적 특성, 즉 자연과 환경의 보전적인 측면과 인간생활의 쾌적성을 중시하는 측면에서 둘의 균형을 이루는 것에 대한 한계를 나타냈다.$$a$$a환경성능의 개념 적용에 있어서도 건축물 계획의 초기 현황이나 설계단계에서 비교적 적용하기 수월한 계획요소를 적극적으로 반영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적용에 있어 제약적인 면이 큰 요소에는 소극적으로 대처한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이는 친환경성능의 불균형을 초래하는 원인으로 파악하고 인증 부여 방식에 문제점을 제기할 수 있는 부분으로 지적하였다.$$a$$a건축물 생애주기 측면에서도 마찬가지로 각 단계에 속하는 계획항목과 배점의 분포가 균형있게 이루어지지 않고 특정단계에 치우친 형태를 보였다. 장기적으로 환경성능을 평가할 수 있도록 시공 및 운영과정에 대한 계획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a$$a(4) 평가지표의 설정 방향$$a$$a계획요소의 가중치와 효과를 고려한 배점 방식으로 조정될 필요가 있으며, 각 계획요소의 성격 및 영역이 균형과 조화를 이루고 건물 생애주기에 따른 단계별 평가지표를 구성하는 방안도 제시할 수 있다.$$a$$a(5) 인증체계의 운영 방향$$a$$a인증등급의 부여가 총점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은 계획 요소의 조화와 균형 확보가 어려워지는 원인이 된다. 이에 각 부분별 세부적인 기준과 등급 책정 방법에 대한 세부적인 정립이 필요하다. 또한 전문가의 심의과정 또는 의견수립과정을 첨가하여 정량적 평가와 정성적 평가방법이 조화되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a$$a향후 평가지표의 구성 및 운영에 있어, 국내 기술수준 및 계획여건과 환경에 부합하는 친환경 건축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구체적인 실현을 위해 친환경건축물 계획 및 이를 발전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관심과 노력 필요하다고 하겠다.$$a$$a An increasing need for conservation of energy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ctivities to cope with global warming has greatly influenced architecture. Many developed countries have expanded their discussion topics to ''Ecological architecture'', ''Sustainable architecture'' and ''Environmentally-friendly architecture'' and tried to research and actively develop energy efficient as well as aesthetically pleasing buildings.$$a$$aThere are two different assertions: The first is that architecture in itself is an act of burdening the environment so being environmentally-friendly is realized only when construction is minimized, and the other is that sustainable development should be pursued by reducing the burden loaded onto the environment. For the latter, various approaches to the theories and methods have been introduced to lessen the burden on the environment and to construct a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One of these approaches is to enforce legislation in granting official certification by evaluating the environmental friendliness of the architecture. Korea is keeping up with this worldwide trend with its independent evaluation indicators and certification system by which apartment houses, complex buildings and office buildings have been evaluated and certified since 2002.$$a$$aDespite the law enforcement, no specific plan for environmentally-friendly architecture has been proposed. Usually scores are given as a result of selectively evaluating the criteria that are easy to apply and have a big visible effect for environmental friendliness. Some of the criteria are ignored only due to economic and realistic constraints, even though they guarantee long-term environmentally friendly performance, leading to an unbalanced realization of the environmental plan.$$a$$a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rchitecture, this research the plan characteristics of some case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office buildings and derives the structure and limitations of the assessment indicators. It can be said that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rying to find plan schemes for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office buildings and in proposing a direction for the assessment indicators and certification system.$$a$$a(1) Summary of Characteristics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indicators$$a$$aKorea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indicators seem to be biased toward comfort in terms of the conceptual balance of environmental friendliness. In terms of environmental symbiosis concept, ''input or usage'' is more stressed than ''results'' by human and architectural activities. The life cycle of the architecture is connected to the planning elements. Therefore, balanced planning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ge is required.$$a$$a(2) Summary of Characteristics of Planning Elements in Certified Cases$$a$$aThe analysis of certified by the Korean certification system shows that elements of ''Transportation,'' ''Energy,'' ''Water resources,'' and ''Indoor environment'' score highly while ''Materials and Resources,'' and ''Ecological environment'' score poorly.$$a$$a(3) Analysis of Environmental Friendliness of Certified Cases$$a$$aBalancing between the environmental friendliness by preserving the environment and pursuit of human comfort showed limitations.$$a$$aIt was revealed that, in the initial or planning stage, easily applicable planning elements were considered when applying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performance. Those that were more difficult to apply were likely to be ignored. This may cause an imbalance of environmental performance, resulting in a potential problem with the process of certification granting.$$a$$aAdditionally, scores of planning elements in each stage are not evenly distributed in the life cycle of the architecture. It is desirable to have a plan for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al process to evaluate the long-term environmental performance.$$a$$a(4) Direction for Establishing Assesment Indicators$$a$$aIt is necessary to adopt a scoring method considering the weight and effect of planning elements. It is possible to propose a method to establish assessment indicators of each stage in the life cycle of the architecture, while keeping balance and harmony among the various planning elements.$$a$$a(5) Direction for Operating the Certification System$$a$$aCertification grades based on the total score makes it difficult to secure harmony and balance among planning elemen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pecific criteria for each stage and specific methods to grant certification grades. It is possible to propose a method to harmonize quantitative evaluation with qualitative by collecting the opinions of and through consultation with experts.$$a$$aEstablishment of assessment indicators and their operation in the future requires a direction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truction, which is in accordance with our technology and planning environment. Its realization takes more attention and effort to develop plans and technologies for Green Building.$$a$$a

      • 공동주택 친환경건축물 생태환경부문 인증기준 개선방안 연구

        김영종 서울시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거주자들의 높은 만족도와 중요도를 나타내고 있으나, 낮은 점수 배점과 득점을 하고 있는 공동주택 친환경건축물 생태환경부문 인증기준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관련 연구를 고찰하고 연구대상지를 선정하였고, 보완설정한 평가기준으로 평가하여 결과를 고찰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관련 연구는 대부분 본·예비인증단지를 대상으로 하여 전체 인증항목에 대한 연구 위주로 진행되어 왔으므로, 비인증단지 사례연구 및 평가부문별로 세분화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대상지로 비인증단지 4개소와 인증단지 4개소로 대상지를 선정하여 생태환경부문 인증기준에 대한 세분화된 연구를 수행하였다. 비인증단지는 환경생태계획 반영단지(1개소)·일반단지(1개소)·우수주거 수상단지(2개소)로 선정하였고, 인증단지는 우수등급 단지(2개소)·최우수등급 단지(2개소)으로 선정하였다. 생태환경부문 평가항목은 세부기준 미흡이나 주관적 평가에 의한 객관성이 부족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대상지 평가를 위한 평가항목 고찰 및 평가기준을 보완설정하였다. 연계된 녹지축 항목은 녹지축 최소길이를 40m로 보완하였고, 연계된 외부녹지 최소폭을 4m로 적용하고 방음벽·옹벽·돌쌓기로 단절된 녹지는 외부와 연계된 녹지축에서 제외하였다. 녹지공간율 항목은 녹지공간율에 대한 정의를 한 후, 조경면적·식재의무면적·택지개발사업 지구단위지침 등 관련기준 고찰을 통하여 대상지별 법상 평가기준 녹지율을 산정하였다. 생태환경을 고려한 인공환경 녹화기법 적용여부 항목 중 담장녹화·옹벽녹화 항목은 면적기준에 의한 평가가 아닌 길이기준에 의한 평가로 변경하였으며, 벽면녹화 적용대상 기준을 개구부가 없는 최고높이 10m벽면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세부항목(사면의 자연복원형 처리, 옥상녹화/지붕녹화, 입면녹화) 전체 적용대상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생물서식공간 조성 및 표토재활용율 항목은 기존 평가기준과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보완설정한 평가기준으로 대상지를 평가한 후, 조성현황을 현장 확인한여 최종적으로 대상지별 해당항목 평가점수를 부여하였고, 평가결과 대상지별 100만점 환산점수는 평균 45점이 되었다. 대상지별 평가결과 비인증단지는 43점, 인증단지는 47점으로 인증단지가 약간 높으나 유사하였고, 환경생태계획 반영단지(71점)〉최우수등급 단지(55점)〉우수등급 단지(40점)〉일반단지(38점)〉우수주거 수상단지(32점) 순이 되었다. 항목별 평가결과는 연계된 녹지축 조성(63점)〉수생비오톱 조성(58점)〉녹지공간율(55점)〉생태환경을 고려한 인공환경 녹화기법 적용여부(46점)〉육생비오톱 조성(18점)〉표토재활용율(0점) 순이었다. 항목별 적용율과 득점에서 발생하고 있는 차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높은 적용율·득점 항목은 평가기준을 상향하였고, 낮은 적용율·득점 항목은 적용확대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단지 내부의 연계된 녹지축 조성 항목은 면적 조성율 가중치로 변경하였고, 단지외부 녹지와의 연계성 항목은 길이 조성율 가중치에 의한 점수를 부여하였다. 녹지공간율 항목은 녹지공간율과 자연지반율로 구분하였고, 녹지공간율 평가기준은 40%, 자연지반율은 평가기준 20%로 제시하여 가중치에 의해 3점과 2점을 배점하였다. 생태환경을 고려한 인공환경 녹화기법 적용여부 항목은 생태면적율 공간유형과 동일항목(옥상·벽면·옹벽·담장녹화)은 생태면적율에 의해 평가하도록 하였고, 기준 생태면적율을 30%로 설정하여 가중치에 의해 3점을 부여하였다. 수생·육생 비오톱 항목은 최소 조성면적을 대지면적 1%로 상향하였고, 기존 면적가중치 기준을 2배로 하여 부지면적 2% 이상을 조성하면 만점을 받도록 하였다. 조성기법에는 생태적 연계성 항목과 유지관리 항목을 평가항목에 추가하였다. 표토재활용율 항목은 적용을 확대·유도하고자 2점으로 배점을 상향하였고, 타지역이나 타단지 표토 순환활용도 인정하여 평가기준을 제시하였다. 생태환경부문 인증기준 항목은 단지 내·외부 생태적 특성을 반영한 조성이 미흡하여, 단절되거나 고립된 녹지 및 생물서식 공간이 조성되고 있다. 인공환경 녹화기법은 단편화되고 연계되지 못한 채 조성되고 있으며, 중요한 생태자원인 표토는 훼손되어 유실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단지 내·외부 생태환경을 정밀하게 조사·분석하여 대상지가 지닌 자연환경 요소를 최대한 반영하여 보존 및 향상시킬 수 있는 상위계획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환경생태계획 적용을 제안하였다. 주요어: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녹지공간율, 자연지반율, 표토재활용율, 환경생태계획

      • 학교시설의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평가지표 분석에 대한 연구 : 서울시 우수등급 사례를 중심으로

        문선기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는 21세기 ‘지속가능한 개발’이라는 주제로 환경보호를 위한 계획 및 환경기준 등이 발표되고 있는 지금, 정부가 지속적으로 친환경적인 개발을 모색하고 있는 상황에서 건축물의 생애주기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환경 부담을 줄이고, 쾌적한 환경의 조성을 유도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또한 다른 건축물에 비해 공공건축물에 있어서 비중이 큰 건축물인 학교시설의 친환경을 촉진시킴으로써 국가 전체의 에너지 및 자원의 절약과 온실 가스 저감효과 및 여타 건축물의 친환경성도 제고시키는 파급효과 등도 기대할 수 있다. 연구에서는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의 항목별 평가지표의 개선을 위해 문헌연구인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의 신구 지표 대조와 지표 내용의 분석을 그리고 현장답사인 사후평가와 관계자와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제도적인 측면, 운영관리적인 측면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한다. 그리고 실질적 적용이 가능하고 적용가능성이 높은 지표로 개선할 수 있는 지표개선 방안을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

      • 국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전상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re has been presented many problems sinc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launched in KOERA. This study began to suggest counterproposal to them through contrastive analysis of assessment system of domestic and foreign systems from the view point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background and goal of the program development, main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the assessment program, and the category and criteria of the programs.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operation organizations of CASBEe, SBTool, LEED, BREEAM and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of KOREA were Japanese Government which actively promoting establishment of JSBC, iiSBE(International Initiative for a Sustainable Built Environment), Industry in the U.S.A, BRE, Trust Company, which has long history. All of systems were reflecting cultures, social and econ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where the system was used but iiSBE was an exceptional because it was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This was pointed out that copying developed assessment system wouldn't work but studies on sicial, cultural and economical present states of KOREA should be preceded to decide direction of system development. Second, all of systems could b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as a group which had each program for every building types, and the other was a group which the program of the system constructed by life cycle of the building.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ere defined by the character of the program whether it was being used in small or comprehensive area. It was considered that this kind of structure of the program reflected regional characteristics. Therefore, after scrutinizing domestic conditions, detailed counter-proposal to solve problems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Third, assessment methods are influenced by social and technological states of their regions. Especially, BREEAM of BRE, which studied green-technologies for long time, and SBTool of iiSBE, which had great network of academy had shown very distinctive methods of assessment. This is pointed out that to have great technology and to have high civil understanding for environment didn't mean to realize great systems. The great system comes with all of factors, high civil understanding for environment, and high technological and economical states, are harmonized. Therefore, to have efficient system for specific region, it should be based on radical understanding for region's states on all fields. It, however, is considered that the great parts of our nature and environment have been damaged due to the capitalism and selfishness of human-beings. So, further studies should be needed to find efficient assessment program in that the assessment program be the way of protecting quality of life and the nature. 우리는 지금까지 안락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환경파괴라는 대가를 지불하며 많은 것들을 만들어냈다. 하지만, 환경오염으로 인한 자연의 파괴현상이 인간의 존속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한계에 가까워지면서 환경오염에 대한 심각성과 그에 따른 대책의 마련은 이시대의 가장 큰 패러다임이 되었다. 그 중에서도 건축분야는 우리가 실질적인 생활을 하게 되는 인공 환경을 구축하는 분야로써 환경오염 저감대책에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다. 미국의 월드워치 연구소(Worldwatch Institute)에 따르면 전 세계 전체 GNP의 10%가 주택과 오피스의 건설 및 운용에 투입되고 있으며, 건축물로 인해 소비되는 원자재의 양은 전 세계 원자재소비의 40%를 차지한다고 한다. 또한 매년 30억 톤의 원자재가 기둥과 벽체, 마감재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전 세계 에너지 소비량의 30%는 건물 내에서 사용되는 조명, 콘센트, 냉난방 및 급탕에 의해 소비된다고 하니, 건축분야에서 환경오염 저감대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의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Green Building Certification)는 건축분야에서의 환경오염을 저감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2002년 정부의 주도적 역할아래 출범되었다. 하지만, 인증제도가 시행 된지 4년이 지난 지금 개발업계는 저조한 참여율을 보여주고 있으며, 평가항목상의 문제 및 현실적 적용의 한계점 등 다양한 문제점들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시점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의 선진 사례의 구성 체계 및 운영방식 상에 나타나는 특성들을 비교분석하여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할 국외 인증제도는 모범적인 사례로써 인정받고 있는 것들로, 환경공생주택에 이어 최근 일본의 국토 교통성의 주도하에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CASBEE, 미국의 LEED, 대표적 선진 인증제도로 인정받고 있는 대영제국(UK - United Kingdom)의 BREEAM, iiSBE에 의해 GBTool의 후속 모델로 개발된 SBTool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선정된 각 인증제도들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첫째, 평가의 장려를 위한 시행기관의 특성, 프로그램의 개발배경 및 목적, 프로그램의 주요특성 및 구성 그리고 평가대상 및 평가의 범주와 항목 이 네 가지 측면을 중점적으로 조사 분석하였으며, 각 요소들에 대한 평가 장려 저해 및 증감요소, 평가의 구체성 증·감 요소 그리고 평가의 정확성 증·감 요소를 파악하였다. 둘째, 국내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가 가지고 있는 특성과 비교 분석하여 국내·외 인증제도와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파악한 후 셋째, 분석결과를 토대로 국내 인증제도의 운영상 문제가 되고 있는 요소들에 대한 대안을 찾아보았으며 이를 통하여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 제도를 효율적으로 시행하기 위한 앞으로의 연구 방향과 인증제도 적용 방법상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중점적으로 조사 분석을 시도했던 네 가지 측면은 인증제도의 형성 및 효율적인 시행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향후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 제도를 개선하는데 있어 다음과 같은 점들을 참조할 수 있었다. 첫째, 각 인증제도들의 시행기관들은 인증제도의 시행 국가에 따라 초기부터 주도적 역할을 했던 일본의 경우는 정부, 자본주의의 대표적 국가라고 할 수 있는 미국의 경우는 개발업계 그리고 가장 오랜 시간동안 환경문제에 대한 연구와 시행착오를 거쳐 온 영국의 경우 비영리기관 또는 자선회사가 인증을 시행하고 있어 각 국가의 사회 전반적인 특성을 반영하고 있었으며, 캐나다에서 시행되고 있던 프로그램에 대한 권한을 넘겨받은 국제기구 iiSBE만이 국가나 지역의 특성에서 벗어난 국제기구로서의 친환경 평가 제도를 시행 및 개발하고 있었다. 이는, 국내의 인증 제도를 개발 및 시행함에 있어 선진사례에 대한 무조건적인 모방 보다는 국내의 사회, 문화 및 경제적인 상황들에 대한 보다 정확한 현황파악이 선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주고 있으며, 이러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현제 시행되고 있는 인증제도의 개선 방향을 설정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각 인증제도들의 평가체계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될 수 있었다. 한 가지는 인증 프로그램을 건축물의 용도별로 구분하는 것이고 다른 한 가지는 건축물의 생애주기에 따라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프로그램 구성상의 차이는 인증제도의 근본적인 목적이 포괄적이지 않은 지역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를 목적으로 하는지 또는 건축물의 용도 및 규모나 그 지역에 크게 구애받지 않는 포괄적인 평가를 목적으로 하는가에 따라 구분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프로그램의 구성과 관계없이 각 프로그램은 그 목적과 관계없이 용도 및 생애주기 두 가지를 모두 고려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으며, 다만 그 목적에 따라 구성 체계만이 다른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 체계는 평가의 시기에 대한 결정과 지역성을 반영하는데 있어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국내의 전반적인 상황에 대한 현황파악이 선행 된 후 그에 따라 현행 인증제도의 개선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방향을 설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각 인증제도의 평가방법은 인증제도의 시행 국가의 사회적 배경과 기술력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친환경 분야에 가장 오랜 시간동안 연구를 해온 국가 중 하나인 영국의 BREEAM이나 국제기구에 의해서 만들어진 SBTool의 경우 타 인증제도에 비해 상당히 차별화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는, 단순하게 기술력이 진보하였다고 하여 높은 기준의 인증제도가 시행될 수 있다거나 사회 전반적인 기반이 잘 다져져 있고 의식수준이 높다고 하여 높은 기술을 요하는 인증기준을 가진 제도를 시행할 수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향후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 제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각 부문들에 대한 동시적이고 연계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학교시설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의 필수 반영항목 선정에 관한 연구

        김용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환경오염 및 자원고갈과 더불어 유기화합물에 의한 신종 질환 발생 등 사회・환경적 문제 해결을 위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해외 선진국들은 자국의 실정에 적합한 환경 친화적 건축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2년 1월 주거용 건축물에 대한 ‘친환경건축물(그린빌딩) 인증제도’를 시행한 후 그 적용범위를 확대하여 2005년 3월부터 학교시설에 대한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를 시행하였다. 최근 전국적인 주택보 급사업 등의 영향으로 인한 신축학교의 증가 및 BTL 사업자 선정 시 각 시도교육청이 친환경건축물 인증 획득을 의무화한 영향으로 제도 시행 후 3년 6개월만인 2008년 12월 현재 346개 학교가 우수등급 인증을 수여받는 등 학교시설에 대한 인증제도는 빠른 보급 및 정착을 보여주고 있다. 학교시설의 환경 친화적 계획은 미래 사회의 원동력이 될 학생들을 위한 실제적인 보건환경 개선뿐 아니라, 환경 및 에너지 절약의 중요성을 학생들에게 자연스럽게 노출시킴으로써 교육적 효과를 유발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학교시설은 학생들의 실질적 체험을 통해 친환경 개념의 중요성을 전달하는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단순히 인증 획득을 목적으로 하는 최소조건의 친환경 계획은 이를 접하는 학생들에게 오히려 ‘친환경 건축’에 대한 그릇된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 제도 시행 후 인증을 수여받은 346개의 학교 중 최우수 등급이 단 한 건도 없었다는 사실은 현재의 인증제도 및 운영상의 문제점을 그대로 노출하는 것으로 제도의 의무화를 통한 인증실적의 양적 팽창이 질적 수준 향상과는 비례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학교시설에 대한 국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을 비교하고 각 평가항목에 대한 인증기준별 요구 수준 및 실제 인증현황을 분석하여 국내에 적용할 필수 반영항목 선정의 기준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제도상의 보완점 및 평가방법에 있어서의 개선사항을 점검하여 필수 반영항목에 적용하려는 것이며, 이를 통해 보다 적극적인 친환경 건축을 유도할 수 있도록 평가지표를 개선하는데 그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시설과 관련된 국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 간의 평가항목 비교와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에 포함된 인증지표별 특성 분석을 통해 평가지표를 재분류한 시트를 작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 학교시설의 인증평가결과를 분석하였으며, 항목별 적용 기술 분야 및 평가방법상의 특성과 실제 평가 결과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필수 반영항목의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인증평가 자료는 2007년 2월부터 2008년 12월 사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인증한 74건의 학교시설에 대한 평가결과를 분석한 것이며, 예비・본인증을 모두 획득한 경우는 자료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본인증의 평가결과만 산입하였다. This study aims to make a basis to define prerequisite items i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for schools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foreign certification criteria(LEED for schools, BREEAM Education) with GBCC and analysis of 74 assessed cases from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by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GBCC has not contained essential rating factors unlike LEED and BREEAM, thus it has been increased that scoring through the items of easy to acquirement, and it could be lower credibility of certification criteria. Finally, it purposes to improve the assessment indicators of GBCC to incite an active construction and wide spread of environmentally friendly buildings in Korea.

      • 친환경건축물인증 공동주택부문의 생태관련지표 개선방향에 관한연구

        이병찬 아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친환경건축물 인증을 취득한 지구에 대하여 지표의 개정이후인 2006년 6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현황과 각 지표별 경향에 대하여 2008년 발표된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의 실적과 경향분석’에 따르면 공동주택에서 생태환경부문이 저조한 득점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공동주택부문의 친환경건축물인증에서 생태환경 지표의 득점이 저조한 원인을 분석해보기 위해서 인증에 필요한 생태관련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의 개선, 배점기준의 조정 등에 대하여 공동주택을 완성하기까지 계획·설계·시공 등 각 단계별로 건설에 직접 참여하고 있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설문에서 제시된 의견과 분석을 바탕으로 정리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모색할 수 있었다. 1) 생태환경요소들 간의 연계성을 고려한 지표필요 : 생태환경요소들 간의 양적인 부분에 대한 평가는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생태환경요소들 간에 연계성을 충족할 수 있는 지표수립이 필요하다. 2) 기존 대지의 생태학적 가치 기준과 배점 상향필요 : 기존의 지형, 수목, 표토 등은 새로이 조성되는 생태환경보다 아주 풍부한 생태기반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기존 대지의 생태학적 가치를 존중할 필요가 있다. 3) 현실적·적용성이 낮은 지표 : 택지개발 등으로 표토나 기존대지의 생태학적 가치 등은 주택단지에서 득점이 불가능하므로 택지공급 방식에 따라 적용받을 수 있는 다양한 지표가 필요하다. 4) 지표의 평가기준 내용 보완 : 각 지표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계량적 기준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위치에 대한 배려 등 정성적인 평가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5) 조성비용 등을 감안한 지표의 배점 조정 : 공동주택에서 생태환경을 설치하는 비용 등이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시공의 난이도 또는 조성비용을 감안한 생태관련 지표에 대한 배점기준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6) 녹지면적 총량 외에 녹지의 개소 수 고려필요 : 녹지의 규모가 클수록 생태계의 종 다양성 등 건강한 생태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같은 공간 내에서 녹지의 개소 수가 적을수록 생태환경 개선의 효과가 있다. 7) 생태요소의 유지관리 용이성 평가필요 : 생태요소에 대하여 과도한 관리의 배제 등 인간간섭의 최소화 또는 생태적 유지관리 등을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공동주택의 건설과 관련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생태환경부문의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생태관련 평가체계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과 문제점을 바탕으로 평가전반의 개선방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개발이전의 기존 부지의 사용현황에 따른 친환경건축물 인증등급을 의무화할 필요가 있다. 개발이전의 상태에 따라 개발로 인한 환경부하 저감과 환경개선을 위한 조건부 개발방식으로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생태요소들 간에 체계적 연계계획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건강한 생태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녹지간의 연결성이 중요하므로 각 생태요소들의 연결성에 대한 평가를 함으로써 생태환경의 질적 평가가 가능하다. 셋째, 새로운 생태관련 지표의 도입과 배점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기후변화에 대비한 지표로 식물의 CO2 흡착, 바람길 등의 새지표 도입과 인공지반조성 등 비용이 많이 투입되는 시설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기준점수를 높게 책정함으로써 시설도입을 적극 유도할 수 있다. 넷째, 생태관련 지표를 다양화하여 생태환경 조성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대상 부지마다 자연적인 여건은 다양하므로 총 배점의 범위 내에서 문제은행식으로 생태관련 지표들을 다양하게 마련하고 선택적으로 생태환경이 구성되도록 장려할 필요가 있다.

      • 공동주택의 친환경건축물인증을 위한 건축기술정보시스템 설계

        정호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6

        건설 분야의 친환경건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친환경건축 인증체계와 환경정책이 구체적으로 마련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건설업의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국내건설업계는 정부의 에너지효율건물 확대 정책, 친환경건축물인증기준의 체계 확립과 환경규제 강화 등 관련 사안들에 빠르게 대처하기 위한 대책이 절실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건축기술정보를 친환경건축물인증기준 체계에 따라 분류하고 인증기준의 평가항목에 따라 사전채점을 할 수 있는 건축기술정보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시스템의 범위는 친환경건축물인증을 가장 널리 도입하고 있는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공동주택에 적용되는 친환경건축물인증기준, 건물에너지효율등급제도, 주택성능등급인증제도에 한하였다. 시스템의 요구사항은 건설업 인증 관련 전문가의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통해 추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프로세스모델링과 데이터모델링으로 논리적설계를 실시한 후 웹을 기반으로 한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건설기업은 이 시스템으로 친환경건축기술문헌을 빠르게 검색함으로써 친환경건축물인증을 위해 자사의 기술을 개발하는 데 드는 시간과 경비,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법률자문이나 컨설팅업체를 통하지 않고 친환경건축에 대한 법규 및 제도에 대하여 빠르고 손쉽게 확인함으로써 건축기술 개발과 건축 계획의 일차적인 사전평가로 이용할 수 있다. With growing prospect of green buildings in construction industry, it is needed for construction businesses to cope with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and environmental policies. Domestic construction businesses are required to meet the fast moving trend such as policies of building energy efficiency, establishment of green building certificate and strengthening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This study suggests Green Buinding Technology Information SYstem which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by classifying each green building certificate and self-test program for valuation basis of building. The scope of the system is limited to apartment buildings because of certificates are widely introduced which are Green Building certificate, Energy-efficiency Building Ratings, and Housing Performance Ratings. System requirements are drawn by interview and questionnaire of experts of building certificate. The result of drawn requirements is reflected in logical design of system. The prototype of system is developed by web based solution. Construction companies will be able to reduce time, cost, and effort in that they can save research time for green building technology information with this system. Also this system enables construction businesses to grasp the recent policies and utilize as pre-feasibility tool for technology development or construction pl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