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의 통증양상과 수면과의 관계

        태일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487

        Interaction between pain and sleep has long been proved through many researches, and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identify its mechanism. However, these studies have targeted on patients with systemic disease, such as rheumatic disease and fibromyalgia. There are few researches on patients with orofacial pain including temporomandibular disorder(TMD).In this study, we studied interaction between pain aspect and sleep quality in 229 patients with TMD, who visited the TMJ and Orofacial pain clinic.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Epworth sleepiness scale(ESS) questionnaire were surveyed and sleep-screening device was operated.PSQI showed that sleep quality in TMD patients with pain was poorer than that in TMD patients without pain. The ratio of poor sleeper was higher in TMD patients with pain. Especially, TMD patients with chronic pain showed obviously poorer sleep quality than TMD patients with acute pain.The result of ESS showed that patients with painful TMD showed more daytime sleepiness than painless TMD patients. The ratio of TMD patients with chronic pain who had daytime sleepiness was higher than TMD patients with acute pain, and the amount of daytime sleepiness was higher in the group of chronic pain. In TMD patients with chronic pain, only the poor sleeper(PSQI>5) presented mean ESS>10(diagnostic criteria of daytime sleepiness).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pain intensity and sleep quality or daytime sleepiness.The result of ApnealinkTM for screening of sleep related breathing disorder showed that only 1 patient presented AHI>5 among 19 participants.TMD patients with chronic pain presented poor sleep quality and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similar to other chronic pain patients. Evaluation of sleep state by questionnaire might be useful for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MD, because sleep disturbance decreases pain threshold and pain disturbs sleep. In addition, sleep-screening device would be useful for screening sleep related breathing disorder in dental clinic. 수면과 통증과의 상호 작용은 여러 연구들에 의해 밝혀져 왔고 그 기전에 대해서는 현재도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앞선 연구들은 대부분 류마티스질환이나 섬유근통과 같은 전신적 질환을 갖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측두하악질환을 포함한 안면통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다.본 연구에서는 구강내과, 턱관절 및 안면통증 클리닉에 내원한 229명의 측두하악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수면설문 및 간이수면검사를 시행하여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의 통증양상과 수면과의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1. PSQI설문에 의한 수면의 질 평가에서는 통증이 있는 측두하악장애 환자군이 통증이 없는 군에 비하여 수면의 질이 저하된 환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수면의 질이 저하된 정도도 더 크게 나타났다. 특히 통증이 6개월이상 지속된 만성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는 뚜렷하게 수면의 질 저하가 나타났다.2. ESS설문에 의한 주간졸리움증의 평가에서도 통증이 있는 측두하악장애 환자군이 통증이 없는 군에 비하여 주간졸리움증을 호소하는 환자의 비율이 더 높았으며 6개월이상 통증이 존재하는 만성 측두하악장애 환자군에서 더욱 높았으며 주간졸리움증의 정도 또한 더 심하였다. 특히 통증이 있는 만성 측두하악장애 환자군 중에서 global PSQI가 5이상인 수면이 저하되어 있는 환자에서만 평균 ESS 수치가 10이상을 기록하여 주간졸리움증의 판단 기준에 해당하였다.3. 통증의 강도에 따른 수면의 질과의 관련성이나 주간졸리움증과의 관련성의 결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4. 수면관련 호흡장애를 검사하기 위한 간이수면검사기기인 ApnealinkTM를 사용하여 수면시 호흡상태를 측정한 결과 검사를 시행한 총 19명의 환자중 1명만이 수면무호흡저호흡지수(AHI)>5인 수면무호흡증을 나타내었다.다른 만성통증질환과 마찬가지로 만성통증을 나타내는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도 수면의 질이 저하되었으며 주간졸리움증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장애가 있는 경우 통증에 대한 역치를 낮추고 통증과 수면장애가 순환적인 상호작용을 일으켜 치료를 어렵게 하므로 측두하악질환을 진단하고 관리하는 데 있어 수면설문지를 이용한 수면 상태의 평가는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치료가 장기화 되고 치료에 대한 반응이 적은 환자에게 있어서 수면장애에 대한 평가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간이수면검사기기 또한 치과에서 진단하기 어려운 호흡관련 수면장애의 초기 검진시 유용한 도구가 되리라 생각되는 바이다.

      • 측두하악장애의 유병률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일부 일반사무직과 서비스직 및 교직원을 대상으로

        서의경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471

        측두하악장애의 유병률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일부 일반사무직과 서비스직 및 교직원을 대상으로 - 목적 : 측두하악장애의 원인으로 교합상태, 거대외상, 정서적 스트레스 및 이상기능활동 등을 들 수 있는데, 업무형태에 따라 업무 시 노출되는 직무스트레스나 구강내 악습관이 측두하악장애와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 측두하악장애의 유병률을 조사하여 보건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하여 서울과 경기 일부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일반사무직, 서비스직, 교직원으로부터 편의 추출된 452명을 대상으로 2010년 1월부터 2010년 4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거된 353명을 자료로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측두하악장애의 증상, 하악 사용에 관한 구강내 악습관, 직무스트레스,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구성되었다. 측두하악장애의 유병률과 측두하악장애 심도와 여러 요인들 간의 연관성 및 관련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 및 다항로지스틱회기분석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 측두하악장애의 유병률은 75.4%이었고, 측두하악장애에 대한 주관적 증상으로는 관절잡음이 56.4%로 가장 주된 증상 중 하나였으며, 두통이나 목의 통증이 36.5%로 나타났다. 측두하악장애 심도에 따른 인구사회학적인 특성에서는 여성이 중등도 및 심도가 56.8%인 것에 반하여 남성은 37.6%이었고, 증상이 없는 경우는 여성이 19.1%, 남성이 36.6%로 여성이 더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연령별로는 40세 이상의 군보다 20 - 30대군이 측두하악장애의 심도가 높았고, 교육수준과 하악의 사용양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악 사용과 관련된 습관의 개수는 많을수록 측두하악장애의 심도가 높았고, 습관이 한 가지씩 늘어날수록 측두하악장애 무증상에서 중등도가 될 위험이 1.45배, 심도가 될 위험이 1.59배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수준도 가장 하위단계에서 한 단계 높아지면 측두하악장애 무증상에서 측두하악장애 심도가 될 위험이 2.53배, 두 단계 높아지면 3.19배 높아졌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측두하악장애는 구강내 악습관과 같은 이상기능활동이 많을수록 그리고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심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신체적인 문제뿐 아니라 행동적, 심리 사회적 문제로 예측인자를 폭넓게 인식함으로서 다각적인 방향으로 치료를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고, 측두하악장애 증상이 있는 경우 임상적 치료뿐 아니라 스스로가 치료자로서 하악 사용과 관련된 구강내 악습관 및 스트레스를 줄이도록 하여 기여요인을 조절한다면 측두하악장애를 예방하거나 증상이 더 악화되지 않도록 하는데 효과적이라 할 수 있겠다. Prevalence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its risk factors among office workers, service workers and teachers Objectives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TMD), which is caused by an occlusal condition, trauma, emotional stress, or parafunctional activity, and to reveal the relationship among the habits related to jaw use, occupational stress, and TMD according to job type. Methods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swers obtained from 353 of 452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January 2010 to April 2010. Subjects were selec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by judgmental nonprobability sampling according to whether they were office workers, service workers, or teachers. The questionnaire included TMD symptoms, habits related to jaw use, the contracted version of occupational stres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 frequency analysis was used for prevalence. The relationship and risk factors between TMD severity and independent variables were analyzed by the chi-square test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75.4% of the subjects exhibited at least one TMD symptom. Temporomandibular joint(TMJ) sounds were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symptom(56.4%), followed by frequent headaches or neck pain(36.5%). The results showed that TMJ sounds were one of the significant TMD symptoms and suggested that the neck pain and headaches were related to TMD. 56.8% of the respondents with moderate or severe TMD were females, and 37.6% were males. TMD was symptomless in 19.1% of females and 36.6% of males. The 40-year-old ag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MD severity than younger groups. Variables associated with education level and daily use of the jaw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number of habits related to jaw use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odds of mild TMD compared to symptomless. However the significant statement would be that one habit increase by 45% the odds of being in moderate TMD rather than symptomless, and by 59% the odds of being severe TMD rather than symptomless, controlling for other variables in the model. TMD severity tended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levels of occupational stress. The odds of being severe TMD rather than symptomless is increased by a factor of 2.53 by being the second level of stress rather than the lowest level of stress, also observed to increase by a factor of 3.19 by being the third level of stress rather than the lowest level of stress, by controlling for other variables in the model. Conclusion : TMD severity increased with acquired parafunctional activity and higher levels of occupational stress. TMD treatments are needed to consider and approach the diversified aspects, which are subjective symptoms, objective signs, behavioral factors, psychosocial problems and so on, of this problem. Clinical methods, self care, and control of contributing factors such as removing parafunctional activity and reducing stress, will be effective for preventing or decreasing the severity of TMD.

      • SCL-90-R을 이용한 측두하악장애 재발환자의 심리학적 분석

        차정현 부산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452

        연구배경 및 목적 측두하악장애 재발환자의 심리학적 양태를 초진으로 내원한 측두하악장애환자 및 일반치과환자들과 비교하여 살펴보고 재발된 환자에서 유의한 차이점이 관찰된다면 이들을 문제목록으로 인지하여 신체요인들과 함께 통합하여 다룸으로써 합리적인 치료계획의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2005년 3월부터 2006년 2월까지 사이에 부산대학교병원 진료처 구강내과 구강안면통증클리닉에 내원한 측두하악장애 재발환자 27명을 실험군으로 하고, 같은 기간 중의 측두하악장애 초진환자 45명을 대조군I, 부산지역 소재 치과의원에 내원한 일반치과환자 50명을 대조군II로 하였다. 각 연구 대상자는 개별적으로 간이정신검사의 90문항을 읽고 응답하게 한 후, 기본 척도에 따른 원 점수를 채점하여 표준화된 규준표에 따라 T점수를 산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I, II의 검사 내용인 9개 증상차원을 비교해보고, 남성과 여성 간의 차이 및 병력 기간에 따라 6개월을 기준으로 급성 환자군과 만성 환자군으로 분류하여 각 집단의 차이를 Kruskal-Wallis test,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결론 1. 측두하악장애 재발환자군(실험군)과 측두하악장애 초진신환군(대조군I) 및 일반치과환자군(대조군II)에서 9개 기본증상차원의 척도별 규준척 T점수 평균 값은 모두 정상범위 내에 있었다. 2 재발환자군에 비해 일반치과환자군의 대인예민성척도, 우울척도, 공포불안척도, 정신증척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측두하악장애 재발군과 초진신환군의 기본척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4. 급성군과 만성군으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재발환자에서는 특별한 차이점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측두하악장애 초진신환군의 만성환자군에서 신체화도, 적대감척도, 공포불안 척도, 정신증척도의 평균 T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 The Effectiveness of Age Estimation Method by Occlusal Tooth Wear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TMD) Patients

        鄭宰容 江陵大學校 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7439

        본 연구는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이갈이의 유무 및 심도에 따른 추정연령과 실제 연령과의 차이(추정오차)를 평가하여 그 관계를 살펴보고, 측두하악장애 환자의 이갈이가 치아 교모도를 통한 연령감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모도를 이용한 Takei의 연령감정법을 163명(대조군: 56명, 환자군: 107명)의 대상자에게 적용하였다. 저자는 추정연령과 실제연령의 차이를 통해 대상자의 교모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령에 따라서는 측두하악장애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모든 연령군에서 교모도가 더 큰 경향을 나타냈으며, 특히 20대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2. 성별에 따라서는 측두하악장애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효모도가 더 큰 경향을 나타냈으며, 특히 남성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3. 이갈이가 있는 측두하악장애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교모도가 더 큰 경향을 나타냈으며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4. 측두하악장애 환자군간에는 이갈이 심도와 교모도에 대한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5. Takei에 의한 방법은 한국에서 여전히 유용한 연령감정법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교모도를 이용한 연령감정의 경우, 이갈이 심도에 대한 평가와 연령, 성별, 지역에 따른 차이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A preliminary study of increased taste sensitivity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김이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435

        미각과 통증 인지에 관련된 특정 뇌 영역이 겹친다고 제시한 여러 연구가 있었으며, 최근 만성 요통이나 섬유근통과 같은 만성통증 환자에서의 미각 예민성 증가가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의 미각 역치를 평가하여 만성 턱관절 통증과 미각과의 관련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불안이나 우울 등의 심리학적 증상을 동반하지 않는 9명의 측두하악장애 환자와 성별과 연령을 일치시킨 17명의 건강한 대조군을 대상으로 만성통증척도(Graded Chronic Pain), Beck 우울지수(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Beck 불안지수(Beck Anxiety Inventory, BAI)와 비자극성 및 자극성 전타액분비율을 조사하였으며, 신맛과 감칠맛(umami taste)에 대한 감지역치(detection threshold)와 인식역치(recognition threshold), 단맛, 짠맛, 신맛, 쓴맛, 감칠맛에 대한 초역치 미각강도(suprathreshold taste intensity) 및 미각 유쾌성과 불쾌성(pleasantness-unpleasantness perception), PROP의 초역치 미각강도를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PROP의 초역치 미각강도 공변량분석에서 측두하악장애 환자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감칠맛(umami taste) 감지역치와 인식역치를 보였다. 2. 측두하악장애 환자는 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자극성 타액분비율을 보였다. 3. 실험 대상의 만성통증척도는 감칠맛에 대한 감지역치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4. 실험 대상의 만성통증척도는 자극성 타액분비율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5. 연령, 성별, BDI, BAI, 비자극성 타액분비율을 조절한 다중회귀분석결과 감칠맛에 대한 감지역치는 측두하악장애 유무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의 미각과 통증 감각과의 관련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향후 만성 통증을 호소하는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suggesting the overlap between specific brain regions involved in pain and taste perceptions, and the recent studies that the patients with chronic pain such as chronic back pain or fibromyalgia reported increased taste sensitiv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gustatory function in the patient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 (TMD). Nine TMD patients with no high levels of anxiety and depression, and 17 age- and gender-matched control volunteers were evaluated. Detection and recognition thresholds for sour and umami taste, and ratings of both suprathreshold taste intensities and pleasantness-unpleasantness perceptions for sweet, sour, salty, bitter, and umami stimuli were evaluated in each subject. Graded Chronic Pain (GCP) scal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Beck Anxiety Inventory (BAI), and both resting and stimulated whole salivary flow rates were measure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MD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detection thresholds and recognition thresholds for umami taste than the control subjects. 2. TMD patients showed lower stimulated salivary flow rates than control subjects. 3. The GCP scales of the subject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etection thresholds of umami taste. 4. The GCP scales of the subject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timulated salivary flow rates. 5. The detection thresholds for umami tast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existence of TMD after adjusting the age, gender, BDI, BAI, and unstimulated salivary flow rates. Our results showed that the patients with TMD reported increased sensitivities for umami taste, and suggested the possibilities of gustatory function changes in chronic TMD patients.

      • Sleep duration and levels of systemic inflammatory mediators in relation to long-term treatment response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김이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434

        Introduction : Sleep deprivation is one of the systemic comorbidities and a relevant factor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 At the same time inflammation is recognized as one of the underlying mechanisms associated with heightened pain perception and disrupted sleep. Objective: This research studied the association between hematological indices reflecting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HPA) axis activity, inflammation, and the prolonged clinical features in TMD patients, aiming to validate the influence of systemic inflammation and sleep disruption in the context of TMD. Methods : Among 63 consecutive female patients diagnosed with TMD, this study examined levels of hematological inflammatory and stress mediators. At the same time, comorbidities such as autonomic symptoms, somatization, stress, and sleep were evaluated using questionnaires. Variances in hematological factors and clinical features were assessed after 3- and 6-months of conservative treatment, categorized based on total sleep duration as short (< 6 hours), normal (6≤ and <8 hours) and long (<8 hours) sleep. Additionally, a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clinical and hematological variables relevant with positive treatment responses. Results : During voluntary mandibular movement, a significant finding was that fewer patients in the long sleep time group experienced pain. (p=0.042) Conversely, short sleep patients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somatizations with pain (p=0.002) and depression (p=0.043). The longer sleep, lower level of norepinephrine. The minimal reduction in pain intensity following conservative treatments was observed in the short total sleep time group. And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was linked to substantial pain reduction after the 3-month treatment, while interleukin (IL)-1β, -4, and -8 concentrations emerged as predictors of a favorable treatment response after both the 3- and 6-month treatments. Conclusion : Short TST group was associated with an adverse long-term response to treatment and increased occurrence of additional systemic conditions in individuals with TMD, potentially linked to HPA axis dysregulation and systemic inflammation. Based on such findings, appropriate sleep management may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in achieving successful and sustained treatment outcomes for TMD over the long-term.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eded to further verify the role of sleep quality in TMD pathophysiology. 연구배경 : 수면장애는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흔히 나타나는 동반증상이면서 동시에 측두하악장애의 예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러 연구 결과를 통하여 낮은 수면의 질이나 부적절한 수면시간이 전신적인 염증상태의 발생과 연관되어 있음이 밝혀졌고, 이것은 뇌하수체-시상하부-부신 축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의 활성과 그와 관련된 매개 물질이나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연관되어 있다고 보고되었다.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증가는 또한 다양한 통증증후군에서 관찰되는 현상이기도 하다. 연구목적 :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수면 시간에 따른 임상적 특성과 동반증상의 발현 및 강도를 살펴봄과 동시에 전신 염증과 스트레스 매개물질 농도 등의 혈액학적 특성 등이 어떻게 다른지 조사하고자 하였다. 또한 수면시간에 따른 치료에 대한 장기예후를 분석하여 측두하악장애에서 수면시간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러한 현상의 매개체로서 전신성 염증이 가지는 역할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63명의 20대 여성 측두하악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정맥혈을 채취하여 뇌하수체-시상하부-부신 축 매개물질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포함한 전신 염증과 관련된 지표의 혈액내 농도를 측정하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스트레스, 신체화, 자율신경계 증상 및 수면의 질 등을 조사하였다. 환자들을 정상 (6시간 이상 8시간 미만), 짧은 (6시간 미만), 그리고 긴 (8시간 이상) 수면 시간 그룹으로 나누어 3 개월 및 6 개월 간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후 나타나는 장기간의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또한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치료의 예후가 좋은 경우를 예측할 수 있는 임상 및 혈액학적 지표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 초진 시, 긴 수면시간 그룹에서 하악의 전방운동시 통증을 보이는 환자 수가 유의하게 적고 (p=0.042) norepinephrine 농도가 낮은 반면에, 짧은 수면시간 그룹에서 우울 (p=0.043) 과 통증과 관련된 신체화 (p=0.002) 지수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3개월, 6개월 치료 후 그룹 별 예후를 살펴보았을 때, 최대 개구량의 개선 정도에서 그룹 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정상 수면시간 그룹에서 그 예후가 가장 좋았고 짧은 수면시간 그룹에서 가장 좋지 못했다. 그리고 적혈구 침강 속도가 낮을 수록 3개월 치료 후 통증이 유의하게 나아진 것이 보였으며, interleukin-1β, -4, -8 농도는 3개월, 6개월 후 통증 감소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라고 할 수 있다. 결 론 : 짧은 수면시간 그룹은 동반증상을 더 많이 보이고 측두하악장애 치료의 장기간 예후가 상대적으로 좋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면과 측두하악장애 증상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할 수 있다. 다만 이번 연구의 결과는 두 요소 간의 인과관계를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수면장애, 전신염증 및 측두하악장애 증상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수면에 대한 평가는 측두하악장애 환자의 진단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하여 환자의 예후 개선에 이바지할 수 있다.

      • Characteristic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instrumentalists

        장재영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5 국내박사

        RANK : 247422

        악기연주와 측두하악장애의 연관성에 관한 여러 연구들이 있어왔으나 앞선 연구들은 대부분 대상자의 주관적 증상을 바탕으로 한 설문을 통한 것이거나 대상자의 수가 적었다. 임상 검사와 방사선 검사를 병행한 연구도 있었으나 비올라나 바이올린, 관악기 등 특정 악기에 한해서만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많은 악기연주자를 대상으로 측두하악장애 설문지 조사, 임상 검사 및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여 측두하악장애와 관련된 주관적 증상과 임상적 진단들을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악기연주자의 측두하악장애 특성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841명의 악기연주자에게 측두하악장애 관련 설문지 조사를 한 후 교정이나 턱의 외상 경험이 있는 경우 또는 설문에 불완전한 대답을 한 경우를 제외하여 총 739명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739명 중 하나 이상의 측두하악장애 증상을 보고한 연주자 중에서 임상 검사 및 방사선 검사를 원하는 71명의 자원자를 내원시켜 1명의 구강안면통증 전문의에 의해 최종 진단을 내렸다. 또한 주관적 증상과 임상적 진단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들에 따른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알 수 있었다. 1. 악기연주자 739 명 중 76.6% 에서 하나 이상의 측두하악장애 증상을 보고하였다. 2. 악기연주자의 가장 흔한 주관적 증상은 턱관절음이었다. 3. 여성연주자는 남성연주자보다 턱관절음, 턱관절의 통증, 근육의 통증, 긴장성 두통이 의심되는 증상, 편두통이 의심되는 증상이 더 빈번했다. 4. 턱관절음은 20대 연주자에서, 근육의 통증, 긴장성 두통이 의심되는 증상은 20대와 30대 연주자에서 빈번했다. 5. 턱관절음은 목관과 금관악기 연주자에서, 턱관절의 통증은 upper strings와 금관악기 연주자에서 빈번했다. 6. 팔을 40°이상으로 드는 자세로 연주하는 그룹은 40°미만 그룹보다 근육의 통증을 더 많이 보고하였다. 7. 구강 부기능적 습관을 가진 연주자는 습관이 없는 연주자에 비해 턱관절의 통증과 편두통이 의심되는 증상을 더 많이 보고하였다. 8. 악기연주자의 가장 흔한 임상적 진단은 근육통 또는 근막동통이었다. 9. 악기를 연주한 경험이 14년 이상 되는 그룹은 14년 미만 그룹보다 정복성 관절원판변위는 더 빈번한 반면, 턱관절통은 더 줄어들었다. 10. 하루연습시간이 3.5시간 이상인 연주자는 3.5시간 미만인 연주자보다 근육통 또는 근막동통이 더 빈번하게 나타났다. It has been reported that many musicians who play musical instruments exhibit signs an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 However, most previous studies of the association between playing instruments and TMD have considered only subjective symptoms or been limited to small populations. Furthermore, studies that employed clinical examinations and radiography only involved specific instrument groups, such as violinists, violists, or wind instrumentalists. This study therefor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MD in instrumentalists by evaluating both subjective symptoms and clinical diagnoses in a large number of instrumentalists. Musicians from a diverse range of instrument groups completed a TMD questionnaire and underwent clinical examinations and radiography. After excluding subjects with a history of orthodontic treatment or jaw trauma, and those who fail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739 instrumentalis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mong those who reported at least 1 symptom of TMD, 71 subjects volunteered to visit the dental clinic (Department of Orofacial Pain and Oral Medicine,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to undergo clinical examinations and radiography for the clinical diagnosis. Clinical examinations, radiographic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bles associated with TMD symptoms and clinical diagnoses were performed by an orofacial pain specialist. Based on the obtained results, we report the following findings: 1. 76.6% of the 739 instrumentalists reported having 1 or more symptoms of TMD. 2.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subjective symptom in instrumentalists was a clicking or popping sound. 3. Clicking or popping sound, temporomandibular joint (TMJ) pain, muscle pain, symptoms of suspected tension-type headache (S-TTH), and symptoms of suspected migraine (S-migraine) were more common in female instrumentalists than in their male counterparts. 4. Clicking or popping sound was frequently reported by instrumentalists aged 20?29 years. Muscle pain and symptoms of S-TTH were frequently reported by instrumentalists aged 20?29 years, and 30?39 years, 5. Clicking or popping sound was frequently reported by woodwind and brass instrumentalists. TMJ pain was reported more often by upper strings and brass instrumentalists. 6. Muscle pain was more common in those with an elevated arm position (40° elevation of the arm while playing) than in those with a neutral arm position (<40° elevation of the arm while playing). 7. Instrumentalists with oral parafunctional habits frequently experienced TMJ pain and S-migraine. 8. The most common clinical diagnosis in instrumentalists was myalgia or myofascial pain. 9. Compared to those with <14 years of experience, instrumentalists with 14 years of playing experience had a higher frequency of disk displacement with reduction but a lower frequency of TMJ arthralgia. 10. Myalgia or myofascial pain was more common in instrumentalists who practiced 3.5 hours daily compared to those who practiced <3.5 hours daily.

      •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저작 효율 및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평가

        이용승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407

        본 연구에서는 최근 Sato 등이 고안한 mixing ability index(MAI)를 이용하여 측두하악장애 환자 중 통증이 있는 군과 무통성 관절잡음이 있는 군을 대상으로 객관적인 저작 효율을 정상인으로 구성된 대조군과 비교하고, 주관적인 평가 방법인 설문조사법 중에서 음식섭취가능지수(Food Intake Ability Index, FIA)와 저작 능력에 대한 주관적 인식도 평가(Visual Analogue Scale, VAS)를 이용하여 저작 효율을 평가하고,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49K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각 평가 방법 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고, 또한 통증군에 있어서는 치료 후 통증이 감소함에 따라 저작 효율의 변화 양상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1. MAI, FIA, VAS는 통증군이 정상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관절잡음군보다도 감소하여 통증군이 정상군과 관절잡음군에 비해 저작 효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관절잡음군에서는 MAI, FIA, VAS에서 정상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2.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설문지인 OHIP-49K의 경우 정상군에 비해 통증군과 관절잡음군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여 구강건강과 관련한 삶의 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3. 전체 대상자(71명)에서 객관적 저작 능력 평가 방법인 MAI와 주관적 저작 능력 평가 방법인 FIA와 VAS간에는 서로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OHIP-49K에서도 MAI를 제외하고 모두 통계학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4. 관절잡음군에서는 FIA와 VAS에서만 통계학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이외의 모든 항목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5. 각 평가 방법 간의 상관성에서 FIA와 VAS는 전체 대상자, 통증군, 관절잡음군 모두에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6. 통증군에서 치료 전에 비해 치료 후 통증 감소와 함께 VAS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 하였다(P〈0.05). 반면에 MAI에 있어서는 저작 효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또한 FIA, OHIP-49K에서도 치료 전과 후 통증 감소에 따른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번 연구를 통하여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저작 효율을 감소시키는 주요인은 통증이며, 관절잡음은 저작 효율을 감소시키는 요인은 아니지만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저작 효율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통증을 치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통증뿐만 아니라 관절잡음에 대한 관리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the objective masticatory efficiency of two group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s, pain and sound groups, was compared with that in a normal group using the MAI (mixing ability Index). The subjective chewing ability was evaluated using questionnaires, such as the Food Intake Ability Index (FIA) and Visual Analogue Scale (VAS).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49K of the patients was also examined to measure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results were as follows:1. The MAI, FIA and VAS in the pain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normal and sound groups. This shows that the chewing efficiency of the pain group was lower than the normal and sound groups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ound and normal groups.2. The OHIP-49K for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both the pain and sound groups compared with normal group. This means that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lower in both the pain and sound groups.3.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MAI, FIA and VAS (P〈0.01) in all subjects (71 persons). The OHIP-49K was associated with the FIA and VAS.4.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FIA and VAS (P〈0.05) in the sound group but no correlation in the other groups.5.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FIA and VAS in all groups.6. The VA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pain group according to the level of pain reduction after treatment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AI, even though there was an improvement in masticatory efficiency. In add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IA and OHIP-49K according to the level of pain reduction after treatment.In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pain is a main factor decreasing the masticatory efficiency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Moreover, TMJ sounds decrease the quality of life but do not decrease the masticatory efficienc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trol the pain in order to improve the masticatory efficiency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s. Moreover, managing both pain and sound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두부자세 변화가 초기 교합접촉에 미치는 영향

        최원호 전남대학교 1996 국내석사

        RANK : 247407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두부자세의 변화에 따른 초기교합접촉위의 변화양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전남대학교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환자중 병력 조사 및 임상검사를 통해 측두하악장애의 증상 및 징후를 보이는 13세에서 36세 사이의 환자 24명과, 측두하악장애 증상을 보이지 않고 정상 또는 앵글씨 1급 교합을 갖는 23세에서 25세 사이의 정상군 21명을 대상으로 하여 두부자세가 Frankfort 수평면 기준으로 직립위, 앙와위, 45° 신전, 30° 굴전된 상태에서, 하악운동분석기(MKG^ⓡ)(K6 diagnostic system, Myo-tronic Inc., U.S.A.)로 초기 교합접촉위와 최대교두간위 사이의 변위를 계측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직립위와 30° 굴전위에서 정상군과 환자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p<0.01). 2. 정상군과 환자군 모두 초기 교합접촉위는 직립위와 30° 굴전위에서 전하방으로 분포하는 경향을 보이며 앙와위와 45° 신전위에서는 후하방에 분포하였다. 3. 환자군에서 직립위와 앙와위, 직립위와 45° 신전위 사이에(p<0.05), 또한 30° 굴전위와 앙와위, 30° 굴전위와 45° 신전위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이상의 결과로 보아 정상군과 환자군 모두 통상적으로 앙와위에서 치료후 직립위 또는 굴전위에서도 교합상태를 검사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측두하악장애 환자의 경우 정상군에 비하여 직립위에서의 교합상해에 대한 주의깊은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 effect of change on head posture initial occlusal contacts with measuring the distances between initial occlusal contacts and maximum intercuspal position at different head posture in TMDs patient, For this study, 24 patients from age 13 to 36 were selected, they were examined health history taken, patients who have sign and symptoms of TMDs were examine before the study. For the normal group, 21 adults from age 23 to 25 were selected, They have normal or class I molar relationship, and have no symptoms of TMJ or masticatory muscles, and some of them had restorations less than 3 areas on each tooth, and have no other prosthetic restorations. Difference on distance between initial occlusal contact and maximum intercuspal position with mandibular kinesiograph (MKG^ ) (K6 diagnostic system, Myo-tronic Inc., U.S.A.) in upright, supine, 45 extension, 30 flexion position of the head were measured. The Frankfort horizontal plane was used as a reference plan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itial occlusal contacts of the normal and patient group on upright position and 30 flexion of the head (p<0.05, p<0.01). 2. The positions of the initial occlusal contacts have a tendency to place anterior and inferior to maximal intercuspal position in upright position and 30 flexion of the head as well as posterior and inferior in supine position and 45 extension of the head in the normal and patient groups.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initial occlusal contacts between upright and supine position ; upright and 45 extension of the head(p<0.05) ; supine position and 30 flexion of the head, and 30 flexion and 45 extension of the head in the patient group (p<0.01). The result have shown that after treatment on the supine position, it may be necessary to check occlusal contact on the upright position as well as flexion of the head. It may need careful adjustment in occlusal condition on upright position of TMDs patient.

      • 뉴로피드백 훈련이 측두하악장애 환자들의 통증 감소, 수면의 질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박지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407

        뉴로피드백 훈련이 측두하악장애 환자들의 통증, 수면의 질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사전 검사에서 측두하악장애 질문지, 시각 아날로그 척도, Pittsburgh 수면의 질 지수 및 구강 건강 관련 삶의 질 척도를 실시하였다. 측두하악장애 진단을 받고, 턱 통증을 경험한 14명이 본 연구에 참가하였다. 그들은 Pittsburgh 수면의 질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그러고 나서, 14명은 10주 뉴로피드백 치료 집단(7명) 또는 대기 통제 집단(7명)에 무선할당 되었다. 뉴로피드백 훈련은 20회기로 실시되었다. 턱 통증, 수면의 질 및 삶의 질은 사전 검사, 사후 검사 및 1개월 추적 검사 기간에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뉴로피드백 훈련 집단이 대기 통제 집단보다 턱 통증이 유의하게 더 감소되었고, 수면의 질 및 구강 건강 관련 삶의 질이 유의하게 더 개선되었으며, 그 수준이 추적검사까지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Neurofeedback Training on pain reduction, quality of sleep,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emporomandibular Disorder Questionnaire, Visual Analog Scale(VAS),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and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 were used for selecting in pre-test. 14 people who took a Temporomandibular Disorder diagnosis and experienced a jaw pai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got a relatively high score in PSQI and OHIP. Then, 14 people were randomly assigned to a 10 weeks Neurofeedback Training group(n=7) or wait-list control group(n=7). The Neurofeedback training for 7 people was administered for 20 sessions. Jaw pain, quality of sleep, and quality of life were assessed at pre-test, post-test, and 1-month follow-up peri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scores of jaw pain, quality of sleep and quality of life in the Neurofeedback Training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more than those in the wait-list control group.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