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태권도 수련 참여동기가 초등학생의 인성과 생활태도에 미치는영향

        유경열 경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태권도 수련 참여동기가 초등학생의 인성과 생활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여 지도자들에게 수련생을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교육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이 있다. 수련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성별, 학년, 주당 참여 횟수, 1일 수련 시간, 수련 기간으로, 독립변인인 참여동기는 주변환경, 즐거움, 여가생활, 자기계발, 건강증진으로, 매개변인인 인성은 기본생활습관, 공동체 의식, 자아확립, 배려성, 예절성으로 종속변인인 생활태도는 학교생활태도, 학교규칙준수, 일상생활태도, 교사관계, 교우관계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지역 8개 태권도장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집락무선표집하여 총376부에 대한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처리 방법은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 수련을 통한 초등학생의 참여동기를 보면 성별은 건강증진에서 차이가 있고, 학년은 즐거움, 자기계발, 건강증진에서 차이가 있고, 수련 기간은 주변환경에서 차이가 있다. 둘째, 태권도 수련을 통한 초등학생의 인성을 보면 학년과 주당 참여 횟수는 기본생활습관, 배려성, 예절성에서 차이가 있고, 1일 수련 시간은 기본생활습관, 공동체 의식, 자아확립, 배려성, 예절성에서 차이가 있다. 셋째, 태권도 수련을 통한 초등학생의 생활태도를 보면 학년은 학교규칙준수, 교사관계에서 차이가 있고, 주당 참여 횟수는 학교생활태도, 일상생활태도에서 차이가 있고, 1일 수련 시간은 학교생활태도, 학교규칙준수, 일상생활태도, 교사관계에서 차이가 있다. 넷째, 태권도 수련 참여동기, 인성과 생활태도와의 상관관계는 수련생 참여동기가 높게 인식될수록 인성과 생활태도 인식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참여동기에 따른 수련생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기본생활습관, 공동체 의식은 즐거움, 자기계발, 건강증진에서 차이가 있으며, 자아확립과 예절성은 자기계발, 건강증진에서 차이가 있으며, 배려성은 주변환경, 즐거움, 자기계발, 건강증진에서 차이가 있으며, 참여동기에 따른 학교생활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계발, 건강증진에서 차이가 있으며, 학교규칙준수, 일상생활태도, 교사관계, 교우관계는 즐거움, 자기계발, 건강증진에서 차이가 있으며, 인성에 따른 학교생활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기본생활습관, 공동체 의식, 자아확립, 배려성, 예절성에서 차이가 있으며, 학교규칙준수는 기본생활습관, 공동체 의식, 자아확립, 예절성에서 차이가 있으며, 일상생활태도는 기본생활습관, 자아확립, 배려성, 예절성에서 차이가 있으며, 교사관계, 교우관계는 공동체 의식, 예절성에서 차이가 있다. This paper had the necessity and the aim of providing fundamental material for Taekwondo leaders to efficiently educate their trainees by testifying the effect of motivation in participating Taekwondo training on elementary students personality and life attitude. As for the variables of this research, the gender, the grade, weekly frequency, daily duration of training and the period of training were set up as background variables. As for independent variable, that is, the motivation, neighboring environment, the pleasure, the leisure, self development and health improvement were established. In terms of the personality, that is, mediation variable, basic life attitude, community spirit, self establishment, caring, and politeness were set up. As for the life attitude, namely dependent variable, school life attitude, compliance with school rules, daily life attitude,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relationship with friends were established.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Taekwondo trainees from 8 Taekwondo Training Centers located in Seoul area through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and I finally set 376 samples as the objects of analysis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collected data through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the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elementary school trainee's motivation according to Taekwondo training, the gender showed a difference in health enhancement and the grade in the pleasure, self development and health enhancement, and the period of training in neighboring environment. Second, as for the personality according to Taekwondo training the grade and weekly frequency showed a difference in basic life habit, caring and the politeness, daily training time in basic life habit, community spirit, self establishment, caring and the politeness. Third, as for the life attitude according to Taekwondo training the grade showed a difference in compliance with school rules, relationship with teachers, weekly frequency in school life attitude, daily duration of training in school life attitude, compliance with school rules, daily life attitude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s. Fourt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tivation and the personality and life attitude,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rainee's motivation,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e personality and life attitude were. Fifth, as for trainee's personality according to participation motivation the basic life attitude, community spirit showed a difference in the pleasure, self development and health enhancement, self establishment and the politeness in self development and heath enhancement, caring in neighboring environment, the pleasure, self development and health enhancement, as for school life attitude according to participation motivation showed a difference in self development and health enhancement, compliance with school rules, daily life attitude, relationship with teachers, relationship with friends in the pleasure, self development and health enhancement, as for school life attitude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showed a difference in basic life attitude, community spirit, self establishment, caring and the politeness, as for compliance with school rules in basic life attitude, community spirit, self establishment and politeness, as for daily life attitude in basic life attitude, self establishment, caring and politeness,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relationship with friends in community spirit and the politeness.

      • 농구동호인의 대회 참여 동기와 운동지속관계에서 스포츠몰입의 매개효과 검증

        임우영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농구동호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참여 동기, 스포츠몰입, 운동지속의 차이를 알아보고, 참여 동기가 스포츠몰입과 운동지속을 예측할 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참여 동기와 운동지속의 관계 사이에서 스포츠몰입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하는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모집단의 자료 수집은 비확률표집(nonprobability sampling)에 의거한 편의추출방법(convenience sampling)을 사용하여 농구대회에 참가하고 있는 농구동호인 16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에서 조사내용이 일부 누락되었다거나 불성실하게 답변된 것으로 판단되는 자료 19부를 제외한 총 141부의 자료를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t-검정, 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Baron & Kenny(1986)가 제안했던 3단계의 회귀분석을 통한 매개검증방식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는 결론을 얻었다. 농구동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참여 동기는 농구경력에서 부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연령대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스포츠몰입과 운동지속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농구동호인들의 내적 동기는 인지몰입과 행위몰입, 경향성, 가능성, 강화성을 예측하는데 정(+)의 영향을 미쳤고, 외적 동기는 행위몰입과 강화성만을 예측하는데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스포츠몰입의 하위변수인 인지, 행위몰입은 농구동호인들의 참여 동기와 운동지속의 하위요인인 경향성, 가능성 그리고 강화성의 모든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로 보았을 때 농구 동호인들이 지속적으로 농구에 참가하게하기 위해서는 농구에 참여하는 동기를 더욱더 높여주며, 스포츠몰입을 평소보다 더욱 자주 경험하게 할 수 있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여 적용시키는 노력을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recognizes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motivation, sports commitment, and adherence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basketball club, and how participation motivation affects sports commitment and exercise adherence prediction,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otivations for participation and exercise. The data collection method was used to collect data on 160 basketball clubs participating in basketball competitions. Among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e survey, except for the 19 parts of the analysis result which is deemed to have been partially missing or unfaithfully answered, were obtained using the SPSS 24.0 program for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Verification. First, the differences in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basketball club showed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 group,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sketball experience. Second, the differences in sports commitment due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basketball club were not significant in both age groups and basketball careers. Third, basketball club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dherence of exercise due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driver, both in his age group and in his basketball career. Fourth, the inner motive of a basketball club had a positive effect on predicting both cognitive and behavioral commitment and a positive effect on predicting behavior commitment only. Fifth, the inner motive of a basketball club had a positive effect on predicting propensity, probability, and strength, and external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redicting only strength. Sixth, cognitive and behavioral commitment have an effect on the motivation of basketball club and the relationship of athletic tendency, possibility and strength.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keep basketball club engaged,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develop and apply ways to increas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basketball and to experience sports more often. The results produced were also discusse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ior study of motivation, sports commitment and athletic endurance.

      •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 및 만족도와 지속의지와의 관계

        강성경 위덕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tried to empirically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f motives of university students for participating in volunteer activities and their satisfaction levels on their intention to continue volunteer activities and thus seek to ways to vitalize volunteer work by enhancing their satisfaction and continuity. As for a research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500 students attending a two-year, three-year, and four-year diploma course in Gyeongsangbuk-do, 352 of whom who have recently been involved with volunteer work for the last one year period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female students were found to be more engaged in volunteer work than male students. Their intention to continue volunteer activities was 3.50 points on a five-point scale on average. The average satisfaction level and motives for participation (altruistic motive= 2.87, selfish motive=2.68) were 3.47 and 2.78, respectively. Second, motives of university students for participating in volunteer work have a positive impact (+) on their intention to continue. The higher their motives, the more they are likely to continue volunteer work, though such results differed when it comes to sub factors of participation. Altruistic motive, one of the sub factor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impact on their intention to continue volunteer work whereas selfish motive ha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Third, as it relate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es of university students for participating in volunteer activities and their continuity, students' satisfaction level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at is, motives for participation not only have a direct influence on continuity, but also have an indirect impact, influencing their intention to continue volunteer work through satisfaction level. Fourth, the results of analyzing mediating effect of students' motives for participation by sub factors suggest that altruistic motives not only affect their intention to continue volunteer activities, but also enhance their satisfaction levels from volunteer work. Such satisfaction levels also have an indirec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sh motives and their intention to continue volunteer work. Yet, selfish motives do not have a direct impact on their intention to continue, but have an impact on continuity through satisfaction. Based on such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can be mad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its meaning in that it has suggested a new research model using mediating variables for a study on the intention of university students to continue volunteer work. It assumed that students' motives for participating in volunteer work have an effect on their intention to continue and used research model verifying factors influencing their intention to continue volunteer work through satisfaction, a mediating variable, to cast light on new relationships or functions between variables. Second, it has been discovered in this study that motives of volunteer workers for participating in volunteer activities and their satisfaction from volunteer work have a direct impact on their intention to continue. This means that their intention to continue enhances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d satisfaction from volunteer work. Such research result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could be used to induce continued participation of volunteer workers and increase their intention to continue by understanding their motives in-depth. Third, altruistic motive, a sub factor of participation motive, not only has a direct impact on their intention to continue, but also increases satisfaction, which has an indirec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ltruistic motive and intention to continue. But, selfish motive does not directly influence intention to continue, but has an impact on continuity only through satisfaction. This implies that it needs to explore ways to enhanc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depending on altruistic and selfish motives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a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ir motives and to establish strategies that spark such motives.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 및 만족도가 지속의지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이 어떠한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이들의 자원봉사 만족도 및 지속성 증대를 통한 자원봉사활동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설문지를 이용한 서베이이며, 연구대상은 경상북도 소재 2, 3년제의 전문대학교와 4년제 대학교의 학생 500명이다. 이들 중 최근 1년간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352명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 대학생이 남자 대학생보다 자원봉사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원봉사활동 지속의지는 5점 만점기준으로 평균 3.50점,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의 평균값은 3.47점, 참여동기는 평균 2.78점(이타적 동기=2.87점, 이기적 동기 2.68점)으로 각각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는 이들의 지속의지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동기가 높을수록 대학생들의 자원봉사 지속성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결과는 참여동기 하위요인별로는 상이한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동기의 하위요인인 이타적 동기는 지속의지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기적 동기는 지속의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들의 참여동기와 지속성의 관계에서 자원봉사 만족도는 부분매개효과(partial mediating effect)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참여동기는 지속성에 적접적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만족도를 통해 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도 동시에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참여동기를 하위요인별로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대학생의 이타적 참여동기는 지속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를 높이고, 이 만족도는 이타적 동기와 지속의지와의 관계에서 간접적인 효과도 동시에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기적 동기는 지속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고 만족도를 통해서만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결과의 함의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가 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 하에 매개변인인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를 통하여 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연구모형에 의해 변수들 간의 새로운 관계나 기능을 조명하고자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 지속의지 연구에 매개변인을 활용한 새로운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 봉사활동 만족도가 지속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참여동기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가 높을수록 지속의지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원봉사자의 참여동기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통하여 자원봉사자들의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고 지속의지를 확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셋째, 참여동기의 하위요인인 이타적 동기는 지속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를 높이고, 이 만족도는 이타적 동기와 지속의지와의 관계에서 간접적인 매개효과도 동시에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기적 동기는 지속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고 만족도를 통해서만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대학생들의 이타적․이기적 참여동기별로 만족도 및 지속의지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고,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을 유인하기 위해 그들의 참여동기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그 동기를 유발하는 모집전략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노인자원봉사참여동기 및 자원봉사활동만족도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 및 노화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진봉희 백석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노인 자원봉사 참여동기 및 자원봉사 활동만족도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 및 노화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진 봉 희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기독교사회복지학 지도교수: 염 영 옥 노인들이 주체적이고 의미있는 노후생활을 보람있게 보낼 수 있는 방안으로써 자원봉사활동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노인자원봉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노인자원봉사 참여동기 및 자원봉사 활동만족도를 독립변수로, 자아통합감을 종속변수로, 사회적지지와 노화불안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본 논문을 제시하였다. 연구를 검증하고자 만 65세 이상 수도권에 거주하는 “노인종합사회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받은 437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고, 이에 관한 연구결과와 논의 및 함의와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성별은 남자 97명, 여자 339명으로 여자가 남자에 비해 3.5배가 더 많았다. 연령은 70대가 가장 많았고, 학력은 고졸이 가장 많았다. 종교는 있는 대상자가 종교가 없는 대상자보다 7배 많았으며, 결혼상태는 배우자가 있는 경우가 배우자 없는 대상자보다 많았다. 근로여부는 소득활동을 하지 않는다가 많았다. 월 소득은 100만원 이하가 가장 많았고, 경제수준은 나쁘다고 응답한 비율과 좋다고 응답한 비율이 비슷했다. 둘째, 노인의 인구사회학적특성에 따른 연구변수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원봉사 참여동기와 자원봉사활동만족도는 성별, 월용돈, 용돈제공자, 경제수준, 건강상태 등 5개 변인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사회적지지는 성별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노화불안은 학력, 결혼상태, 경제수준, 건강상태 등의 4개의 변인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자아통합감은 성별, 학력, 결혼상태, 월소득, 월용돈, 경제수준, 건강상태, 만성질환 유무 등의 8개의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연구가설검증을 살펴본 결과 노인자원봉사 참여동기 및 자원봉사 활동만족도를 독립변수로, 자아통합감을 종속변수로, 사회적지지와 노화불안을 매개변수로 설정한 연구가설은 모두 다 지지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자는 아래와 같은 이론적인 함의, 정책적인 함의, 실천적인 함의를 하고자 한다. 넷째, 이론적 함의를 살펴보면 자아통합감을 제시하였다는 점과 사회적지지와 노화불안을 매개효과로 살펴보고자 한 점으로 건강한 노후를 보내기 위한 노인복지프로그램 개발하는데 있어서 실증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 점과, 자원봉사를 통하여 자아통합감을 증가시키고 대안을 마련하여 건강한 노후를 보내고자 하는 노인복지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실증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이론적인 함의로 제시하고자 한다. 다섯째, 정책적 함의를 살펴보면 경제적으로 안정된 노인들이 자원봉사에 참여할 확률이 높았다는 부분을 감안하여서, 정부가 충분한 예산을 확보하여 경제적 자립도가 부족한 노인들이 경제적인 부담감을 느끼지 않으면서 자원봉사에 참여하도록 활동비등을 지원하는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여섯째, 실천적 함의를 살펴보면 노인대학과 노인복지센터에서 노인들의 교육에 참여하도록 약간의 활동비를 지급하는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도록 실천적인 함의를 제기하고자 하며, 노년기의 종교생활은 더욱 권장되어야 하며, 노인자원봉사상담과 노인자원봉사교육에서 자발적인 사회연계망을 구축하게 한다. 이러한 함의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와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일곱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살펴보면 연구대상자를 선정하는데 있어서 우리나라 전체 노인들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의 대표성에 있어 한계점을 지니고 있으며, 수도권이 아닌 기타 다른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보다 전수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그리고 후속연구에 있어서는 참여관찰이나 심층인터뷰를 해서 질적 연구방법을 시도하고 노인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보다 깊이 있게 파악되는 연구가 제안된다. 연구할 자료를 수집하는데 있어서 자기 보고적인 설문지에만 의존했으며 일대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살펴보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의 자료 수집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주제어: 노인, 자원봉사참여동기, 자원봉사활동만족도, 자아통합감, 사회적지지, 노화불안.

      • SNPE참여자의 참여동기가 운동지속수행 및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건강운동 심리자원의 매개효과

        이섬결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expanding the base of participating in SNPE(Self Natural Posture Exercise) by setting the psychological resources in exercises as a mediating variable on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motives on exercise adherence and exercise commitment of SNPE participants, and then understanding various psychological resources required in the area of SNPE. For this, using online questionnaires targeting the SNPE participants in Seoul and capital area, total 349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Using the SPSS 24.0 & AMOS 25.0 Statistical Program,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alysis on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Bootstrap,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frequency analysis to underst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garding the age, the subjects in their 30s were the most. The highest frequencies were shown in one year or more for participation period, 2-3 times a week for the number of participation, and 1-2 hours for participation hours. Second,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verify the validity of participation motives, psychological resources in exercises, exercise adherence, and exercise commitment, the acceptability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verified by eliminating the items with insufficient loading based on the early model fit of each variable. Third,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for verifying correlations of observed variables,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of participation motives, psychological resources in exercises, exercise adherence, and exercise commitment. Fourth,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analysis on the structural model, the fit index was verified as acceptable.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paths of the structural model, the participation motives had posi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resources in exercises and exercise adherence while the participation motives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exercise commitment. Fifth, the psychological resources in exercises had positive(+) effects on exercise adherence and exercise commitment. Sixth, the psychological resources in exercises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 between participation motives and exercise adherence while the psychological resources in exercises showed complet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 between participation motives and exercise commitment. Such results of this study verified the positive effects of participation motives on psychological resources in exercises of SNPE participants, and the important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resources in exercises in strengthening of exercise adherence and exercise commitment of SNPE participants. The psychological resources in exercises is an important psychological mediating variable that improves the continuous participation and commitment experience in SNPE, so the instructors would need to make efforts to fully apply this to the field. Also, there should be follow-up researches that verify the correlation and effectiveness of psychological resources in exercises and various exercise participation behaviors. 본 연구는 SNPE참여자의 참여동기가 운동지속수행 및 운동몰입과의 관계에서 건강운동 심리자원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여 SNPE(Self Natural Posture Exercise: 바른자세 척추운동) 운동영역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심리자원에 대해 알아보고 SNPE 참여의 저변확대를 위한 유용한 정보로 활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SNPE참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총 349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SPSS 24.0, AMOS 25.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 부트스트랩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 연령은 30대에 가장 많은 분포를 나타냈다. 참여기간은 1년 이상이 가장 많았고, 참여횟수로는 주 2∼3회가 가장 많은 반응을 보였으며, 참여시간은 1∼2시간 미만에서 가장 많은 빈도를 보였다. 둘째, 참여동기, 건강운동 심리자원, 운동지속수행 및 운동몰입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 각 변인의 초기 모형 적합도를 기준으로 적재량이 미흡한 문항의 제거를 통해 적합도를 향상시켜 확인적 요인분석의 수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관찰변수 간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피어슨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 참여동기, 건강운동 심리자원, 운동지속수행, 운동몰입 간의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구조적 모형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 적합도 지수는 수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구조모형의 경로를 살펴본 결과 참여동기는 건강운동 심리자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동기는 운동지속수행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동기는 운동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운동 심리자원은 운동지속수행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건강운동 심리자원은 운동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참여동기와 운동지속수행의 관계에서 건강운동 심리자원의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참여동기와 운동몰입의 관계에서 건강운동 심리자원의 완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SNPE참여자의 참여동기가 건강운동 심리자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SNPE참여자의 건강운동 심리자원이 운동지속수행 및 운동몰입 강화에 있어 중요한 매개역할을 하는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건강운동 심리자원은 SNPE에 지속적인 참여와 몰입경험을 향상시켜 주는 중요한 심리적 매개변인으로 이를 현장에 잘 적용하기 위한 지도자들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건강운동 심리자원과 다양한 운동 참여 행동에 대한 관련성 및 효과성을 검증하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파크골프의 참여 동기와 여가 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동호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파크골프 동호인들의 참여유형, 종목특성, 성별에 따라 참여 동기와 여가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에 소재한 파크골프 동호인 200명을 ‘임의 표본추출(convenirnce sampling)' 하였다. 참여 동기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한 검사지는 Pelletier 등(1995)과 Wessinger와 Bandalos(1995)가 만들고 정용각(1997)이 수정 개발한 ‘스포츠 참여동기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기술발달, 즐거움, 성취감, 컨디션, 사교, 건강, 과시, 무동기 등 총 8개의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어있다. 또한 여가만족에 관한 내용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는 Beard와 Ragheb(1980)가 개발한 여가만족척도(Leisure Safisgaction Scale, LSS)로 이종길(1992), 김경태(1996), 김나미(1997), 김효숙(2001)의 연구에서 사용된 것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는 심리적요인, 교육적요인, 사회적요인, 휴식적요인, 생리적요인, 환경적요인 등의 6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있다. 수집한 자료의 처리는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의 목적에 따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를 실시하였으며, 유의 수준은 P<.05로 설정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파크골프 참가자의 일반적 특성(성별, 연령, 직업, 학력, 수입)에 따른 참여 동기는 차이가 있었다. 즉 일반적 특성(성별, 연령, 직업, 학력, 수입)에 따른 참여 동기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연령에서 50세미만이 60세이상보다 내적동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파크골프 동호인들의 여가만족도(심리적 만족, 교육적 만족, 사회적 만족, 휴식적 만족, 생리적 만족, 환경적 만족)의 결과를 보면 요인 특성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연령에서 심리적요인, 교육적요인, 사회적요인, 환경적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직업에서 사회적요인과 학력에서 교육적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참여 동기와 여가만족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 동기는 심리적요인(r=.698**)에서 가장 크게 상관관계를 보이고 외적 동기는 휴식적요인(r=.718**)에 가장 크게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고, 무동기는 심리적요인(r=-.528**)에 부적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파크골프의 참여 동기와 여가 만족도는 상호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olved the type of parkgolf hobbyists, More features, depending on gender motivated to participate and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Study is located in Jeollanamdo- 200 Parkgolf hobbyists 'random sampling (convenirnce sampling)' were. Motivated to participat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research being used to scan and Pelletier (1995) and Wessinger and Bandalos (1995) to create a jeong yong gak (1997) developed a modified 'sports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who knows' that was used, the technology development, enjoyment, accomplishment, conditioning, social, health, show off, including mudonggi consists of 8 sub-factors. In addition, information on leisure satisfaction questionnaire designed to measure the Beard and Ragheb (1980) developed a measure of leisure satisfaction (Leisure Safisgaction Scale, LSS) as lee jong gil (1992), kim kyoung tae (1996), kim na mi (1997), kim hyo suk (2001 ) · modification of that used in the study were used to complement, the psychological factors, educational factors, social factors, did break factors, physiological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red 6 is composed of two sub-factors. SPSS 17.0 program for processing data collected by taking advantage of technical analysis for the purposes of statistical analysis conducted on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as conducted, the significance level of P <.05 was se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kgol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gender, age, occupation, education, income) due to the differences were motivated to participate. That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age, occupation, education, income)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verified the difference between motivated to participate in the 50 and under age 60 years or more ros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internal motivation. Second, the parkgolf recreational hobbyists satisfaction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hyusikjeok satisfaction, physiologic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factor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are Partially. Psychological factors in age, educational factors, social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ed natanaetgo, occupational and social factors in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 fell in the educational factors. Third, particip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synchronous correlation analysis of the results, which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Inner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factors showing the most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xternal motivation factors did break showing the most significant relationship, and psychological factors that Mudon term has been the most significant correlation. Thus a Study on participate motivated and leisure satisfaction of Parkgolf has been significantly correlated.

      • 스크린골프참가자의 기본적 심리욕구와 참여동기 및 참여지속의도의 관계분석

        김창문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fference and analysis of relationship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intention of continuance participation of screen golf player. The subjects totalled 593 persons who experience of screen golf and exercise golf in golf practice range. The analysis based basic sta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multiple regression, MANOVA and path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PC using SPSS version 19.0 and AMOS version 19.0. A significance level of p<.05 was used for all statistical tes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 1. General characteristics difference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intention of continuance participation 1) It was reveal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gender, golf career, golf level, round experience, screen golf career and screen golf frequency on basic psychological needs. 2) It was reveal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gender, age, golf career, golf level, round experience, screen golf career and screen golf frequency on participation motivation. 3) It was reveal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gender, golf career, round experience and screen golf frequency on intention of continuance participation. 2.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to participation motivation 1) It was revealed that self-determination, relatedness, competence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to intrinsic motivation. 2) It was revealed that self-determination, relatedness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to health/fitness. 3) It was revealed that relatedness, competence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to relationship. 4) It was revealed that relatedness, competence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to competition. 5) It was revealed that self-determination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has significant negative effect to amotivation. 6) It was revealed that self-determination, relatedness, competence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to participation motivation. 3.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to intention of continuance participation It was revealed that self-determination, relatedness, competence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to intention of continuance participation. 4.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to intention of continuance participation It was revealed that intrinsic motivation, relationship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to intention of continuance participation and amotivation has significant negative effect to intention of continuance participation. Whole participation motivation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to intention of continuance participation. 5. causality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intention of continuance participation Research model analysis results was showed that it is suitable model. 본 연구는 골프의 대중화로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스크린골프 참가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기본적 심리욕구, 참여동기, 참여지속의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기본적 심리욕구, 참여동기, 참여지속의도 간의 관련성 및 인과적 관계를 밝히고자 골프연습장에서 연습하는 골프 운동 참가자 총 593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PSS/PC+ Windows용 19.0 Vers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AMO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기본적 심리욕구, 참여동기, 참여지속의도의 차이 (1) 성별, 골프 경력, 골프 수준, 라운딩 정도, 참여기간, 참여빈도 간 기본적 심리욕구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성별, 연령, 골프 경력, 골프 수준, 라운딩 정도, 참여기간, 참여빈도 간 참여동기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과 연령, 골프 수준 간 경쟁 요인은 차이를 보였고, 골프 경력 간 내적동기, 건강, 무동기 요인은 차이를 보였다. 라운딩 정도 간 내적동기 요인과 경쟁, 무동기 요인은 차이를 보였다. 참여기간 간 건강/체력과 경쟁 요인은 차이를 보였고, 참여빈도 간 모든 요인은 차이를 보였다. (3) 성별, 골프 경력, 라운딩 정도, 참여빈도 간 참여지속의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기본적 심리욕구가 참여동기에 미치는 영향 (1) 자율성, 관계성, 유능성, 기본적 심리욕구 전체는 내적동기에 유의하게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자율성, 유능성, 기본적 심리욕구 전체는 건강/체력에 유의하게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관계성, 유능성, 기본적 심리욕구 전체는 교류에 유의하게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유능성, 관계성, 기본적 심리욕구 전체는 경쟁에 유의하게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자율성, 기본적 심리욕구 전체는 무동기에 유의하게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기본적 심리욕구 전체는 참여동기 전체에 유의하게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기본적 심리욕구가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율성, 관계성, 유능성, 기본적 심리욕구 전체는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하게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참여동기가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내적동기, 교류는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하게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동기는 유의하게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동기 전체는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하게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기본적 심리욕구와 참여동기 및 참여지속의도 간의 인과관계 기본적 심리욕구와 참여동기 및 참여지속의도 간의 인과관계는 부분적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었으며, 수정모형이 추정되었다. 관계성은 내적동기, 외적동기,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유능성은 내적동기, 외적동기,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자율성은 내적동기, 외적동기, 무동기,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동기와 외적동기는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정모형에서는 스크린골프 참가자의 기본적 심리욕구와 참여동기 및 참여지속의도 간의 인과관계가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기본적 심리욕구와 참여동기 및 참여지속의도 간의 인과모형 적합도 평가에서 수정모형은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스크린골프 참가자들에게는 기본적 심리 욕구에서는 자율성의 요인이 중요함을 알 수 있으며, 참여 동기에서는 내적동기 요인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참여지속의도에는 내적동기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축구동호회의 참여동기가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김규병 상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생활체육 활동 중 하나인 축구 동호회 회원들을 대상으로 축구 동호회 활동에 참여하는 동기가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각 변인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바탕으로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참여동기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령별에 따른 참여동기의 차이에서 활동성과 친애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율성, 정화성 및 항상성은 연령별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여부에 따른 참여동기의 차이에서는 자율성, 활동성, 정화성, 친애성 및 항상성의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교육정도에 따른 참여동기의 차이에서 자율성, 정화성 및 친애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활동성 및 항상성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월수입에 따른 참여동기의 차이에서 자율성, 활동성, 정화성, 친애성 및 항상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운동몰입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령별에 따른 운동몰입의 차이에서 인지몰입 및 행위몰입에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혼여부에 따른 운동몰입의 차이에서 인지몰입 및 행위몰입에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교육정도에 따른 운동몰입의 차이에서 인지몰입 및 행위몰입에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월수입에 따른 운동몰입의 차이에서 인지몰입 및 행위몰입에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참여동기와 운동몰입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에서 참여동기와 운동몰입의 관계를 살펴보면, 참여동기 중 인지몰입에 대해서는 자율성, 활동성, 정화성, 친애성, 항상성에서 모두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행위몰입에 대해서는 자율성, 활동성, 정화성, 친애성, 항상성에서 모두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참여동기가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여동기 중 활동성, 항상성 및 정화성이 운동몰입 중 인지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율성 및 친애성은 인지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동기 중 활동성 및 자율성이 운동몰입 중 행위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항상성, 정화성 및 친애성은 행위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중국 민족전통체육 참여동기와 몰입, 자기효능감, 지속참여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 용춤 참가자를 중심으로

        호소용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국민족전통체육 참가자의 스포츠 활동 참여동기(건강증진, 사회성추구, 즐거움)가 몰입,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몰입과 자기효능감을 통해 참여동기가 지속참여의도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중국민족전통체육 경영 및 마케팅 활용에 도움을 주려 하는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중국 용춤 아카데미 5곳과 용춤 커뮤니티 3곳을 선정하여 직접 활동을 참여한 경험이 있는 참가자들에게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총 336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자료처리를 위해 AMOS 20.0 및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해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경로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목적과 방법을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연령별 참가자에 따른 참여동기 요인에서 성별, 연령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민족전통체육 참가자 참여동기의 하위 요인인 건강증진이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민족전통체육 참가자 참여동기의 하위 요인인 사회성이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국민족전통체육 참가자 참여동기의 하위 요인인 즐거움이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국민족전통체육 참가자 참여동기의 하위 요인인 건강증진이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중국민족전통체육 참가자 참여동기의 하위 요인인 사회성이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중국민족전통체육 참가자 참여동기의 하위 요인인 즐거움이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중국민족전통체육 참가자 참여동기의 하위 요인인 몰입이 지속참여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중국민족전통체육 참가자 참여동기의 하위 요인인 자기효능감이 지속참여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help Chinese national traditional sports management and marketing by analyzing the effect of Chinese national sports participant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sports activities (health promotion, social pursuit, and pleasure) on immersion and self-efficiency, and understand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participation motivation to sustain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selected five Chinese dragon dance academies and three dragon dance communities and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participan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themselves. As a result of the survey, a total of 336 copies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Furthermore, frequency analysis,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path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AMOS 20.0 and SPSS 20.0 programs for data processing in this study.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research purposes and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gender and age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participatory motivation factors by age and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Second, health promotion, a sub-factor of Chinese traditional sports participants' motivation to participate, has a positive impact on immersion. Third, sociality, a sub-factor of Chinese traditional sports participants' motivation to participate, has a positive impact on immersion. Fourth, pleasure, a sub-factor of Chinese traditional sports participants' motivation to participate, has a positive impact on immersion. Fifth, health promotion, which is a sub-factor of Chinese traditional sports participants' motivation to participate,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iency. Sixth, sociality, which is a sub-factor of Chinese traditional sports participants' motivation to participate,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iency. Seventh, pleasure, a sub-factor of Chinese traditional sports participants' motivation to participate,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iency. Eighth, immersion, a sub-factor of Chinese traditional sports participants' motivation to participat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on. Ninth, self-efficiency, which is a sub-factor of Chinese traditional sports participants' motivation to participate, has no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ntion of continuous participation.

      • 20대 남녀의 헬스 참여동기가 신체적 자기개념, 운동지속 및 운동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희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20대 남녀 헬스 참여자의 참여동기, 신체적 자기개념, 운동지속 및 운동중독간의 인과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을 통해 헬스에 참여하고 있는 전국 20대 남녀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여 불성실 응답 및 중복 응답한 설문지 6부를 제외한 294부를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Ver.23.0 Program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기초통계량을 구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를 산출하였고, 타당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들의 하위요인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참여동기, 신체적 자기개념, 운동지속, 운동중독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항목별 통계적 유의수준(α)은 .05로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20대 남녀의 헬스 참여동기가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1) 내적동기, 외적동기는 외모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무동기는 체지방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외적동기는 자기존중감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외적동기는 건강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20대 남녀의 헬스 참여동기가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1) 내적동기, 외적동기는 가능성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내적동기, 외적동기는 강화성에 정적영향을 미치고, 무동기는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내적동기는 경향성에 정적영향을 미치고, 무동기는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20대 남녀의 헬스 참여동기가 운동중독에 미치는 영향 1) 내적동기는 금단증세에 정적영향을 미치고, 무동기는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내적동기는 운동욕구에 정적영향을 미치고, 무동기는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내적동기는 감정적 애착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20대 남녀 헬스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1) 외모, 건강은 가능성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자기존중감은 강화성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체지방, 건강, 자기존중감은 경향성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20대 남녀 헬스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운동중독에 미치는 영향 1) 체지방, 건강, 외모는 금단증세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외모는 운동욕구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외모, 건강은 감정적 애착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20대 남녀 헬스 참여자의 운동지속이 운동중독에 미치는 영향 1) 경향성은 금단증세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경향성, 가능성은 운동욕구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경향성은 감정적 애착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ausality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physical self-description, exercise continuance, and exercise addiction of male and female gym participants in their 20s. To this end, a survey of 300 men and women in their 20s participating in the gym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294 copies were used for research and analysis, excluding 6 questionnaires that were answered insincerely and repeatedly. The data processing in this study used the SPSS Ver.23.0 Program as follow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nducted to obtain basic statistics. Cronbach`s α was calculated for reliability verification, a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for feasibility verification.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subfactors of each variab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physical self-concept, exercise continuance, and exercise addiction.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α) for each item is set to .05.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are as follows: 1. The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f Men and Women in their 20s in the Gym on Physical Self Description 1) Internal 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ppearance. 2) Amotivation has been shown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body fat. 3) Extrinsic motivation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4) Extrinsic motivation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health. 2. The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f Men and Women in their 20s in the Gym on Exercise Continuance 1) Internal 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nabling. 2) Internal 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reinforcing, and Amotivation has been shown to have a negative effect. 3) Internal motiv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predisposing, and Amotivation has been shown to have a negative effect. 3. The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f Men and Women in their 20s in the Gym on Exercise Addiction 1) Internal motiv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withdrawal symptom, and Amotivation has been shown to have a negative effect. 2) Internal motiv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needs for exercise, and Amotivation has been shown to have a negative effect. 3) Internal motivation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ttractive attachment. 4. The Effect of Physical Self-Concept of Men and Women in their 20s in Gym Participants on Exercise Continuance 1) Appearance and health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nabling. 2) Self-esteem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reinforcing. 3) Body fat, health, and self-esteem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redisposing, 5. The Effect of Physical Self-Concept of Men and Women in their 20s in Gym Participants on Exercise Addiction 1) Body fat, health, and appearance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withdrawal symptom. 2) Appearance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needs for exercise. 3) Appearance and health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ttractive attachment. 6. The Effect of Exercise Continuance of Men and Women in their 20s in Gym Participants on Exercise Addiction 1) Predisposing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withdrawal symptom. 2) Predisposing and enabling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needs for exercise. 3) Predisposing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ttractive attach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