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터넷을 활용한 진로 탐색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김연수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학생들에게 친숙한 인터넷을 활용한 진로 탐색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추후 검사 비교를 통하여 진로 탐색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활용 진로 탐색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킬 것인가? 둘째, 인터넷 활용 진로 탐색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하위영역(태도, 능력)을 향상시킬 것인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에 따라 첫째, 인터넷 활용 진로 탐색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킬 것이다. 둘째, 인터넷 활용 진로 탐색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하위영역(태도, 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라는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광역시 수성구에 소재하는 J중학교 2학년 두 학급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학급은 실험집단에 배정하였고, 다른 한 학급은 통제 집단에 배정하였다. 사전·사후·추후검사에서 성실하게 임해준 60명을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에게만 4주간에 걸쳐 주2회 내지 주3회 총 10회의 인터넷 활용 진로 탐색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측정된 도구는 임언 등(2001)이 개발한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진로성숙도 검사이며 사전, 사후, 추후검사를 하였다. 자료처리는 검사 시기(사전, 사후, 추후)와 집단(실험집단, 통제집단)의 이요인 혼합설계를 사용하였고 통계적 결과 처리는 SPSS for windows 12.0을 사용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한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본 실험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사후검사, 추후검사에서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인터넷 활용 진로 탐색 프로그램은 진로성숙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활용 진로 탐색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하위영역(태도,능력)을 모두 향상시켰다. 특히 능력영역은 추후검사에서 사전검사보다 더 많이 향상된 점으로 보아 프로그램 참여자는 프로그램 참여의 경험으로 정보 수집과 활용 방법을 터득하여 진로정보를 스스로 탐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터넷 활용 진로 탐색 프로그램의 경험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학교현장에서 진로 탐색 프로그램 적용의 기초연구로써 뿐만 아니라, 교육적 차원에서도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의 활용과 후속 되어야 할 연구 과제를 위해 제언을 하면 첫째, 인터넷을 활용한 연구가 기존의 인쇄물에 의존하는 지필 연구보다 효과가 있는지 입증하는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프로그램 실시의 효과를 더욱 효과적으로 검증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과정에서 개개인의 진로 발달 변화에 대한 과정연구를 개발· 실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프로그램의 실시 효과가 학년별로 차이가 나는지 또는 학업성취도가 다른 학생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의식성숙에 미치는 효과

        권명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의식성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첫째,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진로의식성숙의 태도영역이 긍정적으로 변화될 것이다. 둘째,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진로의식성숙의 능력영역이 긍정적으로 변화될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북도 구미시에 소재한 S중학교 2학년 2개 학급 각30명을 대상으로 하여, 각 1개 학급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배치하고 실험집단 학급에 대해서만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 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는 무처치 집단으로 하였다.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의식성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존의 진로탐색 프로그램들 중 대구광역시 교육과학연구원(2002)에서 제작하여 배포한 재량활동을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실려 있는 중․고등학생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한국직업능력 개발원(2003)에서 제작한 진로탐색 프로그램, 삼성사회정신건강 연구소(2006)에서 제작한 청소년 진로탐색 프로그램 및 조한나(2009)와 김미영(2004)의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자가 연구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여 활용하였다. 진로성숙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도구는 한국교육개발원(1991)에서 개발, 제작한 ‘진로성숙도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이 검사는 한국교육개발원이 Super의 진로발달의 이론적 모델에 기초하여 제작한 CDI(Career Development Inventory: 진로발달 검사)와 Crites(1978)가 개발한 CMI(Career Maturity Invantory: 진로 성숙도검사)에 초점을 맞추어 각각의 하위 영역을 통합 조정하여 우리나라의 중학교 2학년에서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 제작한 자기보고식 검사 도구이다. 자료분석은 두 집단의 진로의식성숙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한 후, 그 유의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의식성숙의 태도영역과 그 하위영역에서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진로의식성숙의 능력영역 전체와 직업세계 이해와 의사결정 능력 영역에서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탐색집단상담이 중학생들의 진로의식성숙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using a portfolio career exploration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career maturity of students who attend at the middle school. Th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effects of using a portfolio career exploration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Factors of career maturity attitude? Second, what are the effects of using a portfolio career exploration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Factors of career maturity ability? The hypothesises for solving the question consist of what follows. First, the factors of career maturity attitude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treated with using a portfolio career exploration program would be more enhanced than that of control group. Second, the level of factors of career maturity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treated with using a portfolio career exploration program would b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 sample consists of the students who were attending a S middle school 2 classes in Gumi, Korea. After being announced the contents of the program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60 subjects who agreed to participate voluntarily in the study were assigned randomly to two group : 30 subjects in experimental group and 30 subjects in control group. Before the enforcement of the program to the group, the preliminary inspection were carried out. Then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 in the 13 section using a portfolio career exploration program. After finishing the program, post inspection were carried out. The program which was used in this study was produced in Dae-Gu science research institution(2002) and Korea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2003) produced by the Samsung Institute of Mental Health(2006) for Youth Career Exploration Program was used. Based on these programs Jo Han Na (2009) and Kim Mi Yung (2004), using a portfolio of career exploration programs on the basis of the researcher reorganized it for this study. The instruments for measuring career maturity were used in the study. For career maturity, 'Career Maturity Inventory', which was originally designed by Crites(1978) and Super(1969) was used to test the Career Development. The resulting data was processed with SPSS program. Analysis of ata was applicable to Mean, Standard deviation, and Covariance (ANCOVA) was also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actors of career maturity attitude score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using a portfolio career exploration program was more increased than that of students who were in control group. Second, factors of career maturity ability the average of the students who were in the using a portfolio career exploration program was increased. Specifical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ield of career decisiveness, career independence, career Planning, understand the world of work and career decision-making ability. According to the results this study, the using a portfolio career exploration program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verified great effects on career maturity.

      • 단기과정 진로탐색활동이 중학생의 진로 성숙에 미치는 영향

        곽효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발달을 위한 프로그램을 중학생에게 적용하였을 때, 그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진로성숙에 얼마나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1개 중학교에서 본 프로그램의 시행을 희망하는 2개 학급을 포함하여 총 4학급(127명)을 선정하였다. 적용한 프로그램은 사단법인 청소년교육전략21에서 개발한 진로선택프로그램(2001)이고, 사용한 검사도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진로성숙도 검사(2001)였다. 연구절차로 실험집단에게 주 2회로 총 5주 동안 11회의 진로탐색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태도검사에서 사전-사후 검사를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은 독립성, 계획성, 일에 대한 태도 요인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능력검사에서 사전-사후 검사를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은 자기이해, 합리적 의사결정, 다양한 직업에 대한 지식, 그리고, 관심 있는 직업에 대한 지식요인에서 비교집단에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셋째, 행동검사에서 사전-사후 검사를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은 진로탐색 및 준비활동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 사용한 진로탐색프로그램은 중3 학생들의 진로성숙도 총점과 그 구성요인들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만 사전-사후 검사에서의 평균값 차이를 분석해본 결과 독립성 요인은 프로그램의 효과가 가장 적었다. 따라서 본 진로탐색프로그램을 적용할 때, 자기 스스로 진로를 탐색하고 선택하는 독립성 요인 활동을 좀 더 보강하여 실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의미는 교육현장에서 관례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프로그램들에 대해 교사 스스로 그 효과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현지 실정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만들어갈 수 있다는 데 있다. 특히, 제 7차 교육과정 적용에 따라, 교사 스스로 만들거나 선택한 프로그램으로 교수활동을 수행함에 있는 바, 교사는 그 효과를 평가하고 그 결과는 해당 프로그램 개선작업으로 이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looking over how the career exploration program on the career maturity is effectively used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data were selected from 127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willing to take part in this program in Seoul. This program was adopted from the Career selection program of the Strategies 21 for Youth Education(2001) and the measurement instrument of the result was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of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2001). The proceeding of this study was as followed : The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on 11 times, twice a week during 5 weeks. And there isn't any special treatment to the control group. Belows ar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First of all, we can see that the experimental group regarding to the independence, the planning and the attitude on job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by comparing the result of the pre-post test in attitude. Second, we can also find out that the experimental group regarding to the self-appraisal, the rational goal selection and the knowledge of the various and popular occup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by comparing the result of the pre-post test in ability. Third, based with the result of the pre-post test in behavio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significance than the control group as to the level of the career exploration and ready-action As a result, we can be informed that the career investigation program for the 3rd middle school students has great influence on their career maturity. However, the program effect was most low in the independence element comparing the mean of their pre-post test. Therefore, we can make a conclusion that we need to reinforce the program so that we can get the impartial effectiveness while applying for the program on the activity of the independence. This study appeals that the teachers should make the adequate programs through the scientific investigation when they are to use the practiced programs in real educating situation. Especially, teachers should keep improving the program and concern with the evaluation. That's because they can make or select some programs so as to apply for the teaching lesson by themselves under circumstances the 7th National Curriculum.

      • 進路探索프로그램의 適用이 中學生의 自我正體感發達과 進路成熟에 미치는 效果

        이수웅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진로 탐색단계인 중학교 학생들에게 진로탐색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적용할 경우 자아정체감과 진로성숙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연구목적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1. 진로탐색프로그램의 적용이 학생의 자아정체감 발달에 어떻게 작용하는가? 2. 진로탐색프로그램의 적용이 학생의 진로 성숙에 어떻게 작용하는가? 3. 진로탐색프로그램이 학생들에게 매력이 있고 유익할 것인가? 이 문제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시내에 소재 하는 남녀공학 학교인 ㅇㅇ중학교에서 "진로탐색반"이라는 클럽활동반을 만들고 희망자를 모집하여 남자 16명 여자 26명으로 실험집단을 구성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집단에서 성별, 학업성취,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라 자아정체감과 진로성숙도가 어떻게 변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남녀별, 학업성취는 상·중·하로, 부모의 교육정도는 국졸, 중졸, 고졸, 대졸 등 4개 집단으로 나누어 그 변화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진로탐색프로그램은 서울시교육연구원(1991-B)에서 제작한 「진로탐색자료」를 중심으로 하고 서울시 교육연구원<전국 교육연구원 공동개발>(1992)의 「나의 발견과 진로 탐색」, 경기도교육연구원(1992)의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참고하여 본교 중학생 수준에 적합한 내용을 재구성하여 제작하였으며, 45분 단위로 10회에 걸쳐 실시 했다. 본 프로그램의 적용은 3월 15일 부터 5월 4일 까지 주 1-2회 씩 이해자료, 활동자료, 관련자료를 유인물로 제작하여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게 했다. 적용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도구로써 첫째 자아정체감 검사는 Dignan의 Ego Identity Scale을 서봉연(1973)이 번안하여 만든 64문항의 4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둘째 진로성숙도 검사는 한국교육개발원(1992)에서 Super의 Career Development Inventory와 Crites(1973)의 Career Maturity Inventory, Westbrook(1973)의 Career Vacational Maturity Test를 모델로 하여 제작한 진로성숙도 검사를 사용하였다. 실험 설계로는 사전 사후 실험 집단 설게를 하여 실험 집단의 전·후 득점을 비교하는 실험을 했다. 자료 분석으로는 자아정체감과 진로성숙도의 각 하위 영역의 점수 변화는 t-test로 검증하였으며, 그리고 남녀별, 학업성취도도, 부모의 교육정도로 나눈 집단의 실험 전·후의 평균 점수 변화는 공변량 분석을 했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정체감의 발달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t 검증을 한 각 하위 영역의 전체점수에서는 목표지향성, 대인역할기대, 자기수용, 자아정체감, 전체점수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여주었으나, 다른 5개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또 공변량분석을 한 목표지향성의 학업성취도에 따른 점수 변화, 자기 존재의식의 성별에 따른 점수 변화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으나, 다른 25개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둘째, 진로성숙도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각 하위 영역별 전체의 평균 점수 변화를 t 검증을 한 결과 독립성을 제외한 계획성, 결정성, 태도합계, 직업이해, 직업선택, 의사결정, 능력 합계가 .000의 높은 수준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여 주었다. 그러나 공변량분석을 한 변인에서는 독립성과 직업선택의 학업성취도에 따른 집단의 평균점수 변화가 .05와 .01의 수준에서 유의한 점수차이를 보여주었으나, 나머지 14개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실험 실시 도중에 관찰 및 면담과, 실험 실시 이후 설문 통하여 프로그램의 매력도를 조사한 결과, 매력이 있으나 흥미는 적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진로탐색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정체감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나 성별, 학업성취도, 부모의 학력 정도에 따른 효과의 차이는 일부를 제외하고 별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진로탐색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직업성숙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나, 성별, 학업성취도, 부모의 학력 정도에 따른 효과의 차이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별로 유의한 결과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진로탐색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중학생의 수준에 맞추어 좀 더 다양하고 흥미롭게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갭라하여 학생들의 진로탐색을 도와줄 수 있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 on ego-identity and career maturity in addition to finding the method of guiding the students to promote them, when Career Search Program has been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issue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l. Would there be affirmative changes in ego-identity development by sexes, school work achievements, and levels of their parents' school education, when Career Search Program has been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2. Would there be affirmative changes in career maturity development by sexes, school work achievements, and levels of their parents' school education, when Career Search Program hae been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2. Would the program be attractive and profitable when it i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To achieve this issues, organized a club activity class with 16 boys and 26 girls who applied for participating in this program among all the students of M middle school which is located in Seoul. The program consists of 10 times and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rom March, 15 to, May 4 once or twice a week. As a experimental design, the pretest-post test experimental group design was used, and to verify the effect of Career Search Program two instruments were used. One is the Test of Ego-Identity written by Bong-yeun Sea. the other is the Test of Career Maturity written by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ion. The statistical treatment used in this study was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 the one for testing the differences of scores in the area of subfactors of ego identity and career maturity. the other for testing the differences of pretest and posttest scores in the area of sexes, school work achievements. and level of parents' education in both ego identity and career matur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tatistical analysis of ego- identity ◁ 표 삽입 ▷ (원문을 참조하세요) 2. Statistical analysis of career maturity ◁ 표 삽입 ▷ (원문을 참조하세요) 3. According to investigating students through observation, interview, questionnaire, the Career Research Program was attractive and profitable to the development of ego identity and career maturity, but was uninteresting a little to the students.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abov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are significant positive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of ego identity partially, but fe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rea of sexes, school work achievements. and levels of parents' education when Career Search Program has been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2. There are a lot of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of career maturity, but fe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rea of sexes, school work achievements, and levels of parents' education when Career Search Program has been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3. Career Search Program is very profitable to the students, but is not interesting to apply to them. So the program needs improving for students to study interestingly.

      • 인터넷 활용 진로정보탐색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진로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현주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인터넷 활용 진로정보탐색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진로 자기효능감에 유의하게 미치는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진로지도를 위한 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인터넷 활용 진로정보탐색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진로효능감이 유의미하게 높을 것이며, 지속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낼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강원도 홍천군에 소재한 H여자중학교 3학년, 6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진로정보탐색프로그램은 김봉환 등(2001)이 개발한 「청년층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한 모듈인 「직업정보탐색」모듈을 참고로 하여, 임은미와 장선숙(2002)이 개발한 「인터넷을 활용한 진로정보탐색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김현진(2003)이 「인터넷을 활용한 진로정보탐색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에서 수정한 것을 중학교 현실에 맞게 재구성한 허남(2003)의 「인터넷을 활용한 진로정보탐색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수정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Taylor와 Betz(1983)가 개발한 진로 의사결정 자기효능감검사 (CDMSES: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Scale) 단축형에 대하여 이기학과 이학주(2000)가 타당화 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t-test와 paired t-test를 통해 이루어졌다. 이 연구의 결과 실험집단은 진로 자기효능감 검사 영역 중 목표 설정과 문제 해결을 제외한 직업 정보 수집, 계획 수립, 자기 평가에서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 지속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인터넷 활용 진로 정보탐색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진로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계속될 연구에서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은 하위 영역 -목표설정, 문제해결-에 대한 좀 더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직업이란 단순히 생계유지의 차원을 넘어서 직업 생활을 통해 자아실현을 추구하고 행복을 얻는 데 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의의에 비춰보았을 때, 학교에서는 진학을 위한 획일화된 진로 지도를 하기보다는 학생들이 자신을 탐색하고 직업의 여러 가지 유형의 성질과 특성간의 관계를 살펴 직업적 목표를 계획하고 실천하는 과정을 배워 미래를 위한 잠정적인 계획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나아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internet based career information exploration program on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o make the materials for career counseling. It inquired into preceding studies in order to achieve the aim of the study. Based on this, two hypotheses were established - one is that the self-efficacy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the program (experimental group) will be higher than the students who did not (control group), and the other is that the meaningful effect will continuously happen between them. The program was practiced by 67 volunteer female students of grade 9 at H girls' middle school located in Hongcheon, Gangwon. It used the program from「The effects of the Internet based career information exploration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self-efficacy (Huh nam,2003)」which was recomposed according to the reality of middle school. It was from the study 「The effects of the Internet based career information exploration program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self-efficacy (Kim Hyun-jin, 2003)」based on 「The Internet based career information exploration program」 developed by Leem Eun-mi and Jang Seon-suk(2002). This program referred to a「career information exploration」 module of 「employment supporting program for the youth」 developed by Kim Bong-hwan, etc. (2001) The study tool was based on 「CDMSES :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Scale (Taylor & Betz, 1983)」 that Lee Ki-hak and Lee Hak-ju regarded as appropriate. The data analyzed by t-test and paired t-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 It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more meaningfully than the control group in collecting the career information, establishing the career plan and self evaluation except for goal-setting and problem solving. According to above results, it could find that the internet based career information exploration program was meaningfully effective in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More deepen studies will be continuously accomplished on the domain of subordinate which was not effective such as goal-setting and problem solving. In modern society, the career has deep significance because people can be happy and persue self-realization through career life beyond maintaining their livelihood. All things considered, it is necessary for school to guide so that students can explore themselves and develop provisional plan for the future after they learn to make a career plan and practice it,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kinds of trai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areer.

      • TRIZ기법의 진로탐색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청소년의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김창율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의 목적은 TRIZ기법의 진로탐색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청소년의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TRIZ기법의 진로탐색프로그램은 진로발달이론과 창의성 교육이론을 TRIZ기법에 적용하여 구성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국내 TRIZ전문가, 프로그램 현장전문가, 진로전문가와의 자문을 통해 최종 프로그램을 구성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경남 C시에 소재한 B중학교 저소득층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이다. 실시기간은 2013년 7월 22일부터 26일까지였으며,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총 10회기를 회기별 50분씩 매일 2회기를 진행하였다. 조사방법은 척도지를 사용하였다. 종속변인은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다. 통계처리는 SPSS for windows 12.0을 사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사 및 사후결과 점수 비교는 두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비교는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이 확보되지 않은 영역은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RIZ기법의 진로탐색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 보다 진로장벽 전체 사후점수와 하위요인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성역할 갈등 및 성차별, 자신감 부족, 중요한 타인과의 갈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TRIZ기법의 진로탐색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진로장벽 전체와 모든 하위요인에서 사후점수가 사전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셋째, TRIZ기법의 진로탐색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 보다 진로 결정자기효능감 전체 사후점수와 하위요인 직업정보, 문제해결, 미래계획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넷째, TRIZ기법의 진로탐색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체와 모든 하위요인에서 사후점수가 사전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RIZ Career Exploration Program on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iency of Youth from Low income Household. The program was composed of consultation expert of TRIZ, expert of the programming, with experts of career development. This study class consisted of 10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from 2 classes selected from the 2nd grade class of A middle school located in C city, Gyeongsangnam-do. This program consisted of total 10 sessions and was administered 50 minutes for a session per twice sessions every day during the program from July 22 to 26. The test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Dependent variables are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iency. The data was submitted to SPSS/Windows 12.0 for the t-test before and after this program, paired-t-test was used to compare pre-result and post-result of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after this program, the Career Barriers overall score, uncertainty about the future, gender role conflict & gender discrimination, lack of confidence and conflict with significant others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creased as comparing with the controled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s before and after score of Career Barriers overall and all sub-factors indicat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Third, after this program,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iency overall score, career information, troubleshooting and future plans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as comparing with the controled group. Fourth, the experimental group's before and after scor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iency overall and all sub-factors indicat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 보드게임을 활용한 진로탐색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이경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e helpful in maki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in the phase of career exploration to be interested in career and to explore the careers joyfully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the career exploration program using board game on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them The subjects were 76 1st grade students enrolled in S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and were 38 experimental groups and 38 control groups. A total of eight sessions of 45 minutes were administered for the career exploration program using board game for the experimental groups.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subjects was measured with a scale adjusted and validated by Lee (2001)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career maturity was measured with a scale developed by Korean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in 2006. The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were performed by SPSS 24.0 and the Repeated Measures ANOVA was performed to test the effect of the career exploration program using board gam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exploration program using board game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all the sub-fa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uch as total score, goal setting, job information, problem solving, and planning for future. This implies that the board game motivates through active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leads to self-efficacy showing that one is able to successfully perform tasks through visual and behavioral recognition in career exploration, and performs significant role in improv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cond, the career exploration program using board game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such as planning action plan, self-knowledge, and career behavior. It is speculated that the active energies generated during self-directed career planing and preparation for choosing and deciding the career has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areer maturity. The attitude and independency, th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meanwhil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affected also in control group. This may explained by the facts that the independent decision of middle school 1st grade students about them is limited yet because they are still under the influence of parents or acquaintances, though they have a willingness to choose and make their own decisions about their care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areer exploration program using board game induces active participation of the subjects by using appropriate board game related to career in each session and provoking the interests and curiosities about career and that these may lead to improvement i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This means that the career exploration program using board game is helpful for middle school student in the phase of career explor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탐색기에 있는 중학생들에게 진로에 흥미를 가지고 즐겁게 탐색할 수 있도록 진로탐색 활동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보드게임을 활용한 진로탐색프로그램을 중학생들에게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시 소재 S중학교 1학년 76명으로 실험집단 38명과 통제집단 38명이었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보드게임을 활용한 진로탐색프로그램을 회기 당 45분씩 총 8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평가하기 위하여 이은경(2001)이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수정하고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진로성숙도는 2006년도에 한국고용정보원에서 개발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 및 분석은 SPSS 24.0을 사용하였고, 보드게임을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드게임을 활용한 진로탐색프로그램은 중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총점과 목표선택, 직업정보, 문제해결, 미래계획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드게임을 통해 적극적인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으로 동기유발이 되고, 진로탐색을 하는데 있어서도 시각적·행동적으로 인지하게 함으로써 성공적으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자기효능감으로 이어지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큰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된다. 둘째, 보드게임을 활용한 진로탐색프로그램은 중학생들의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에서 계획성, 자기지식, 진로행동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주도적으로 진로계획을 세워보고, 진로를 선택하고 결정하기 위한 준비를 하면서 능동적인 에너지가 생기고, 이것이 진로성숙도 향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태도와 독립성은 통제 집단에서도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시간적인 제약으로 태도에 대해 충분히 다루는데 한계가 있었고, 중학교 1학년은 아직은 부모나 주변인의 영향을 받는 시기이므로, 진로와 관련된 의사결정에 있어서 자신의 진로에 대해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해야한다는 의지는 가지고 있으나 혼자서 선택하고 결정하기에는 아직은 부족함이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보드게임을 활용한 진로탐색프로그램은 각 회기마다 적절한 진로관련 보드게임을 활용함으로써 중학생의 프로그램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자극하여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였으며 이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의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따라서 보드게임을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진로탐색기의 중학생에게 도움이 된 것으로 확인하였다.

      • 자기이해 중심 진로탐색프로그램에 참여한 인문계열 대학생의 경험과 요구 탐색

        박현주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5

        본 연구는 인문계열 대학생들의 자기이해 중심 진로탐색프로그램 참여경험을 살펴보고, 이들이 프로그램 참여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가졌으며, 인문계열 대학생이 가지는 진로에 대한 지원 요구는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향후 대학 현장에서 인문계열 대학생들의 진로프로그램을 준비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자기이해 중심 진로탐색프로그램 참여경험이 있는 인문계열 대학생 8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반 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자기이해 중심 진로탐색프로그램에서의 경험에 초점을 두고 면담을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인문계열 대학생들은 자기이해 중심 진로탐색프로그램 참여과정에서 자신의 가치관이 정립되고 자신감 상승과 진로효능감이 제고되는 긍정적 경험을 하였으며, 운영 측면에서는 인문계열 대학생들만 참여하는 프로그램에서 느끼는 안정감과 소수 인원 운영으로 인한 개별지도 느낌에 만족감을 가졌다. 이들의 진로에 대한 지원요구는 인문계열 대학생들만을 위한 프로그램 지원과 자신들과 같은 진로의 경험이 있는 현직자 멘토링 운영 지원 등이었다. 향후 인문계열 전공의 직무 불일치를 보완해 줄 수 있는 실용적 진로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와 급변하는 산업 환경을 고려하여 외부환경을 통찰하고 대비할 수 있는 폭넓은 진로탐색의 기회와 대학생들의 진로효능감 증진을 위해 지속가능하고 구조화된 후속프로그램 개발 및 관리 등의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중학교 3학년의 학업성취동기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오은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의 목적은 특별활동 시간에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생애 처음으로 진학에 대한 진로의사를 결정하게 되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학업성취동기 향상과 자신의 잠재적 가능성을 발견하여 진로정체감을 확립하고 진로를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며, 또한 자신에게 맞는 진로를 탐색하여 미래의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의해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학업성취동기와 진로정체감의 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광주 시내 C중학교 3학년 학생 중 계발활동 부서 편성 시 진로탐색반 희망자를 실험집단에,통제 집단 또한 자발적으로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학생을 중심으로 구성하고,실험집단에게만 특별활동 시간에 총 16회기의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은 학업성취동기 수준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정체감(안정성, 목표지향성, 독특성, 자기주장, 자기존재의식)의 수준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진로정체감을 확립하고 진로를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며, 또한 자신에게 맞는 진로를 탐색하는 데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motivation of academic achievement of third grade students in middle school who are going to make their decision on admission to a high school for the first time, using a career-searching group counseling program. The purpose is also to establish career identities and foster ability to decide their course directions after identifying their potential abilities, with the ultimate objective of leading a happy life. The subject matter was set up as "Achievement And The Career Identity Among The Muddle School Third Grade Students." I divided the third grade students of a middle school in Gwang-ju into two groups: one was for the experiment group who wanted to be involved. The other was for the controlled group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voluntarily. Both groups contained 20 members and the career-searching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conducted only on the experiment group for a total of 16 times. The summariz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level of motivation of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the point average of the experiment group went up a little higher. The effect of the career-searching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proved to some extent. Second, the level of identity (stability, directivity for purpose, uniqueness, self assertion, self esteem) of the experiment group members who took part in the career-searching group counseling program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hypothesis that career-searching group counseling program would be effective for motivation of academic achievement and career identity of the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as proved. The reason why a career-searching group counseling program is needed for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s that they are in the state of indifference, because there's no information and experience on the job and course. In spite of being at the very time when they should experience the career searching program based on actual judgement about social reality and themselves in real situations, there is no access to such counseling. This study suggests that a career-searching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improve the motivation for academic achievement of third grade students in middle school It also establishes career identities and fosters the ability to decide their career directions after identifying their potential abilities, with the ultimate objective of leading a happy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