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T 분야 직무 기술과 고등학교 정보 관련 전문교과 내용요소간의 연관성 분석 연구

        전종호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3

        기업에서 필요로하는 직무중심의 직업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개발, 마이스터 고등학교 및 특성화 고등학교 설립 등의 국가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직업교육을 목적으로 설립된 마이스터 고등학교와 특성화 고등학교에서는 교육을 기업의 실제 직무에 중심을 두고 실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직업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참고하는 2007 및 2009 개정 교육과정 전문교과의 내용요소를 살펴보면 직무(job) 기술(skill)에 대한 내용 제시가 미흡하다. 따라서, 일부 학교에서는 개별적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거나 교과서를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학교에서는 추가적인 비용과 인력이 부족하여 2007 및 2009 개정 교육과정 전문교과에서 제시한 내용에 따라 수업을 진행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2007 및 2009 개정 교육과정 전문교과의 내용에 직무 기술과 관련된 내용을 보완하여 제시한다면 많은 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전문교과 중에서도 정보 관련 전문교과로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고, 전문교과의 내용요소와 IT 분야 직무 기술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향은 첫째, 교과별로 단원의 내용과 IT 분야 직무 기술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제시하였고, 둘째, 특정 IT 분야 직무 기술을 배우기 위해서 어떠한 정보 관련 전문교과들을 배워야 하는지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절차와 방법을 적용하였다. 첫째, 2007 및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정보 관련 전문교과의 내용요소를 분석하여 교육과정의 변경 과정에서 내용적으로 구분되는 모든 전문교과를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둘째, 국가직무능력표준 등 공식적으로 개발하여 배포된 대표적인 IT 관련 직무 기술 자료를 분석하여, 고등학교 수준에 적합한 IT 분야 직무를 선정하였다. 셋째, 정보 관련 전문교과별 단원 내용요소에 연관되는 IT 분야 직무 기술을 분석하여 제시하고 IT 전문가를 통해 연관성의 적절성을 검증받았다. 넷째, IT 전문가로부터 검증받은 자료를 활용하여 IT 분야 직무 기술별로 어떤 정보 관련 전문교과와 연관되어 있는지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열별로 공업계열 7개 전문교과(정보 기술 기초, 정보 기술과 활용, 정보 통신, 컴퓨터 구조, 시스템 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 컴퓨터 그래픽), 상업정보계열 10개 전문교과(컴퓨터 일반,자료 처리(자료 구조),프로그래밍 실무,소프트웨어 개발,웹 프로그래밍,멀티미디어 기획,미디어 콘텐츠 일반,멀티미디어 실무,미디어 콘텐츠 실무,모바일 콘텐츠)를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둘째, 공식적으로 개발하여 배포된 대표적인 IT 분야 직무 기술 자료는 국가직무능력표준(고용노동부), IT분야 세부기술 수요조사(2007, 정보통신부), SW Skill Standard(2009, 지식경제부), IT 직무체계 분류 및 직무수행능력 모델(2008, 정보통신단체표준)을 선정하였다. 이들 자료의 직무수준체계 및 직무 기술 분석하여 고등학교 직업교육에 적합한 초급수준의 직무 278개를 선정하였다. 셋째, 278개 IT 분야 직무 기술 중에서 17개 정보 관련 전문교과의 단원별 내용요소와 연관성이 직무만을 선정하여 18명의 IT 전문가에게 5점 리커트 척도로 연관성 분석 자료의 적절성을 검증받았다. 검증결과 240개의 직무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절성이 검증된 직무는 IT 전문가의 적절성 평균 점수에 따라 필수(M, mandatory)와 선택(O, option)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넷째, 마지막으로 검증된 직무를 기준으로 어떤 정보 관련 전문교과들이 해당하는지 연관성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두 가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활용할 수 있다. 첫째, 정보 관련 전문교과의 단원별로 제시한 IT 분야 직무 기술은 실습 교육을 위한 주제 선정에 활용할 수 있다. 둘째, IT 분야 직무를 기준으로 어떤 정보 관련 전문교과들이 해당하는지 제시한 자료는 교과의 편성과 교과별 수업내용의 연계를 위해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정보 관련 모든 전문교과의 내용요소와 IT 분야 직무 기술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제시함으로써 IT 분야 직무 기술과 정보 관련 전문교과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정보 관련 전문교과 편성과 직무 중심의 실습 수업 주제 선정을 위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전문교과 교육과정에 대응하기 위한 공업계고등학교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이상민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저출산과 고령화, 전반적인 사회구조 변화로 인해 기능 및 기술인력은 점차 부족해 짐에도 불구하고 공업계고등학교 졸업생들은 취업보다는 진학률이 점차 높아지는 것이 현실이다. 기술분야의 안정적이고 질높은 인력공급을 위해서는 공업계 고등학교의 본질적인 기능회복과 정체성 회복이라는 근본적 관점에서 문제를 접근해야 하며 효율적인 기술 및 기능교육을 위해 공업계 고등학교를 위한 적정한 공간계획이 필요하다. 전문계고등학교 교육방향의 고찰을 통해 공업계고등학교 건축계획의 원칙과 방향을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공업계고등학교 건축계획에 있어서의 규모산정의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공업계 고등학교의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공간계획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범위는 사회 및 교육의 발전방향과 새롭게 개정된 7차교육과정에 의한 객관적 기준을 기본으로 한다. 또한 전문계 고등학교 중에서 공업계 고등학교로 한정하여 연구를 실시한다. 이는 과거에 비해 정체성의 위기를 겪고있는 공업계 고등학교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이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공간계획방법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필요한 다양한 공간중에서 공업계 고등학교의 교육을 위한 핵심적인 공간인 전문교과교실로 한정하여 그 규모계획에 대한 연구를 실시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문헌고찰을 통해 사회변화와 전문계고등학교의 교육방향을 분석한다. 둘째, 전문계고등학교의 교육방향과 교육과정 등의 내용을 통해 건축계획의 원칙과 방향을 추출한다. 셋째, 건축계획의 방향과 규모산출을 위한 요소와의 교차분석을 통해 전문계 고등학교의 규모산정을 위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넷째, 분석된 내용을 통해 규모산정에 실질적으로 필요한 인자를 추출한다. 다섯째, 추출된 인자를 통해 규모산정 방법과 수식을 도출한다. 공업계 고등학교의 공간계획을 위한 교실수 산정을 위한 체계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실수 산정계획에 있어서 가장 우선적으로 각 전문교과의 특성을 분석하여 필요한 공간의 종류를 결정해야 한다. 둘째, 각 전문교과를 위한 공간의 종류가 결정된 이후 각 공간별로 해당교과에 대한 수업시수를 결정해야 한다. 수업시수는 단위수의 형태로 학교별 교육과정에 명시되어 있으므로 이를 근거로 결정해야 한다. 셋째, 학생수는 기본적으로 전공별 학년 학생수를 기본값으로 설정해야 한다. 넷째, 과목당 총 수강 학생수와 수업시 학생 그룹수에 의해 수용율을 결정한다. 수용율은 교실용량에 관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일정교실용량에 넘치는 학생수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교실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수용율 개념의 수치가 올라갈수록 많은 수의 교실이 필요하게 된다. 다섯째, 수업가능시간을 결정한다. 수업가능시간을 결정해야 하는 이유는 일정한 과목에 대한 이수시간이 있을 경우 이 과목을 일주일에 몇회정도 소화할 수 있는 가에 대한 회전율(turn over rate)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여섯째, 과목별 학생이 해당과목의 수업시수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총 교실면적을 산출한다. 일곱째, 교실수는 산출된 총면적에 대한 공간의 단위면적의 비로 결정할 수 있다. 공간의 단위면적은 단위공간의 수용인원과 기자재, 여유공간 등에 의해 결정되는데 각 공간의 특성에 따른 적정 단위면적을 산출하여 이 공간이 수용할 수 있는 용량에 따라 교실수가 산출되게 된다. 여덟째, 교실수는 이용율을 통해서 보정해야 한다. 이용율은 교실이용의 여유 혹은 시간표 작성 상의 여유를 어느 정도 줄 것인지에 대한 정도를 결정하는 정도를 말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아홉째, 각 과목의 공간별 교실수가 산정이 된 후에는 타 교과를 위한 공간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공용이 가능한 실의 경우 교실수를 합산하여 결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 교과공간과의 관계 분석을 통한 유사한 교과공간에 대한 공용교실화는 공업계 고등학교 공간계획에서 매우 유용한 방법이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교실의 이용율을 높이고 보다 다양한 종류의 공간을 확보하여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공간계획이 가능하게 된다.

      • 전문 영어교과서와 일반 영어교과서에 관한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만족도 조사 및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 분석

        이하정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전문 영어교과서와 일반 영어교과서에 관한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만족도 조사 및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 분석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영어교과서와 특수 목적 영어(ESP: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분류에 해당하는 전문 영어 교과서에 대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식과 만족도를 교재 평가표를 통해 알아보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특성화고등학교의 학생들의 특성에 맞는 영어 교과서를 사용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나아가서 이 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만족도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교과서 개발과 제작 및 교사들의 교과서 선정에 있어서도 학생들의 요구와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일반 영어교과서와 전문 영어 교과서를 사용하고 있는 경기도 성남시 소재의 S경영 고등학교 2, 3학년, 6개 학급 149명을 대상으로 교과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t-검정과 상관관계 분석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학생들의 일반 영어 교과서와 전문 영어 교과서에 대한 만족도는 기술적 품질과 실용성을 제외한 일반적 인상, 동기유발, 교육적 분석, 전공분야와의 연계성(교과내용)에 대한 만족도에서 전문 영어 교과서의 만족도가 높게 나왔다. 학년별로 결과를 보면 2학년은 교과서의 전공분야와의 연계성(교과내용)을 제외한 요인에서 일반 영어 교과서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왔다. 3학년은 모든 교과서의 만족도 요인이 전문 영어 교과서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 입시를 준비하기 보다는 취업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학습자 배경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그리고 특성화 고등학교가 취업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학교의 정의적 특징과 부합하는 결과이다. 둘째, 각 교과서의 만족도와 학업 성취도 상관관계분석 결과 상관관계를 보인다고 나왔으며 2학년 집단을 분석한 결과 일반 영어 교과서에서 상관관계를 보였다. 3학년 집단의 경우 일반 영어 교과서와 전문 영어 교과서 모두 학업성취도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기 때문에 만족도와 학업성취도의 관련성을 낮다고 볼 수 있다. 이를 종합해보면 영어 교과서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이 전반적으로 영어 학습에 영향을 미치므로 학습자들의 외국어 학습에 대한 요구, 그들이 선호하는 학습 방법과 활동 유형, 그리고 외국어 학습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고려해야 한다는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특성화 고등학교의 영어 교과서 재정비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얻을 수 있는 시사점과 필요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를 습득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인들 중 교과서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제 2언어로 영어를 배우는 우리나라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에게는 그들의 학교 특성과 수준, 적성에 맞는 교과서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고 본다. 3학년의 경우 전문 영어 교과서에 관한 만족도가 높지만 2학년의 경우 일반 영어 교과서에 대한 만족도가 전문 영어 교과서에 대한만족도 보다 높게 나온 것을 보면 이것은 학생이 전문 영어 교과서를 낯설게 느껴진다는 의견을 반영해 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두 가지 교과서를 함께 사용하는 것을 통해 한 언어를 배우는 것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과연 두 교과서를 모두 사용하는 것이 맞는 것인가라는 부분에 있어 논의가 필요할 것이고 이런 점에서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영어 교과서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학교 현장에서는 특성화 학생들이 학습을 위해 사용하는 영어 교과서에 갖고 있는 인식과 생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의 변화가 필요 할 것이다. 왜냐하면 학습에 있어서 교재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교사가 인지하고 관리하는 것이 교사의 역할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특성화 고등학교 교사가 가지고 있는 영어 교과서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는 것도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적절한 영어 교과서 자료가 개발되고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국가 교육과정이 여러 번 바뀌는 동안 변화하는 추세에 발맞춰 영어 과목에 대한 교육과정도 바뀌고 있다. 그러나 교육과정이 고등학생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일반 고등학생들의 기준으로 바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관점에서 일반 고등학교와는 다른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특성화 고등학교의 특성에 맞게 별도의 영어과 교육개정과 교과서 개발, 선정 및 검토가 심도 있게 논의 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제언을 통해 우리나라 특성화 고등학교 영어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인 교과서 개발, 제작 및 선정에 대한 교과서 제작자들과 교사들의 인식 변화와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이 사용하는 교과서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공업계 고등학교 전기과의 전문교과와 수학교과의 연관성 분석

        최정민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Industrial high school education is an NCS competency-oriented curriculum aimed at cultivating professional technicians that meet industry demand. In line with this trend, the mathematics curriculum of industrial high schools needs to be changed. This study examines what mathematics concepts are dealt with in specialized subjects and the timing and time difference of learning in specialized and mathematics subject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mathematical concepts dealt with by the subject of the subject of study were different and the mathematical concepts were handled above the appropriate level. In addition, there was a learning lag between the learning period of the mathematics concept covered in the specialized subject and the learning period of the specialized subject.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curriculum is organized in the school field without recogniz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specialized subject and the mathematics subject,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 association with the specialized subject is not considered when constructing the mathematics subject. In order to make students feel that mathematics is necessary to grow into experts in the field and to recognize the value of mathematics as a discipline connected with various fields,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curriculum considering the connection between specialized subjects and mathematics subjects and to reconstruct the mathematics subjects considering Industrial high school curriculum. 공업계 고등학교 교육은 NCS직무능력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산업체 수요에 맞는 전문기술인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공업계 고등학교의 수학 교육과정에도 변화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전문 교과목에서 다루는 수학 개념이 무엇이고, 그 개념에 대한 전문교과와 수학교과의 학습 시기 및 학습 시차에 대한 내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연구 대상 전문 교과목별로 다루는 수학개념이 상이하고, 적정 수준이상으로 수학개념을 다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문교과에서 다루는 수학 개념의 학습시기와 전문교과의 학습시기 사이에 학습시차가 발생하였고, 전문교과에서 다루는 수학개념의 상당수가 교육과정을 벗어나는 내용이었다. 이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는 전문 교과와 수학교과의 연관성을 인식하지 못한 채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수학 교과목 구성 시 전문교과와의 연관성을 고려하지 않는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생들이 수학을 해당 분야의 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교과라고 느끼고, 수학이 다양한 분야와 연계되는 학문으로서 수학의 가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전문교과와 수학교과의 연관성을 고려한 교육과정 편성과 공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고려한 수학 교과목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 NCS 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교과 교사의 정책 적응 과정 분석

        송승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NCS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교과 교사의 정책 적응 과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문교과 교사는 직업계 고등학교에서 직업인력을 양성한다. NCS기반 교육과정을 운영하며 NCS 관련 정책집행을 하고 있다. 정책집행 과정에서의 집행자의 순응과 불응은 정책의 성공과 실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중요한 정책일수록 집행자의 순응(compliance)과 불응(non-compliance) 여부와 행태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정유리, 2021). 특히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과 NCS 관련 정책집행의 경우 전문교과 교사의 정책에 대한 역할과 순응이 정책 성패에 큰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NCS 정책에 의해 NCS기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전문교과 교사의 순응과 불응의 모습과 상황적 맥락을 분석하면서 이들의 정책 순응 과정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는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에 의한 NCS 관련 정책이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게 해준다. 그뿐만 아니라 NCS기반 교육과정을 운영하면서 직업인력 양성을 하고 있는 직업계고의 현장에 대한 이해를 제도적인 관점에서 조금이나마 알 수 있게 해 준다. 특히 전문교과 교사는 정책집행의 대상이며, 동시에 정책집행자이다. 두 가지 역할을 가진 그들이 NCS기반 교육과정과 NCS 관련 정책집행 과정에서 정책 불응보다는 순응으로 나아가는 행위를 연구의 분석틀을 통해서 찾고자 했다. 본 연구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Lipsky 일선관료제 이론에서 볼 때 연구참여자들의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과 NCS 관련 정책집행 과정에 어떻게 적응하고 있는가? 연구참여자들은 2018학년도 NCS기반 교육과정이 전면 도입될 당시에는 NCS 정책 시행을 미루거나 변경하는 ‘지연’, ‘회피’ 등의 행위를 보이기도 했다. 연구참여자들이 이와 같은 ‘지연’, ‘회피’ 등의 행위를 보이는 이유는 NCS 정책을 포함하여 잦은 정책 변화로 인해 정책의 지속성을 신뢰하지 못한다는 점, 아직까지 NCS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예측가능성을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 해당 업무의 필요성에 공감하지 못한다는 점, 변화에 대한 두려움과 개인 능력 실행의 불안감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그 밖에도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에서 NCS학습모듈 같은 자원부족, 학교가 위치한 지리적 여건, 소수 계열에 대한 특성 등의 불응 요인이 있었다.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 초기 NCS학습모듈에는 교수・학습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과 평가 방법에 대한 정책 지침이 부족했다. 이럴 경우 연구참여자들은 기존의 경로의존에서 해 온 내용과 평가방법으로 수정・보완을 통해 운영을 했다. 연구참여자들이 면담 과정에서 가장 크게 불응의 요인으로 지적한 것은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관련 정책의 성급함이었다. 공식적 정책집행자는 학교현장의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으며, 전문교과 교사와의 의사소통마저 미흡했다. 상호 소통보다는 밀어붙이기식의 정책 강행이 불응의 기제로 작용했다. 모든 계열이 그렇듯이 예술 분야나 상업, 승마 등은 그 계열만의 축척된 인력양성 기술과 직업교육과정의 노하우가 있다. 이런 부분은 NCS학습모듈에는 반영이 되지 않는다. 한편으로 도입 시한을 정해 놓고 NCS기반 교육과정을 운영하라는 정책 지침은 연구자들을 지치게 한다. NCS 관련 정책집행 과정에서 혼돈과 압박감을 받게 되고, 불응의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와 같은 NCS 정책의 성급함, 혼돈과 압박감, 시행 초기 명확하지 않은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 지침, NCS 정책에 대한 기관 불신, 이전 2009 개정 교육과정이나 다른 업무에 비해 자율이나 재량권 부족 등의 상황은 정책 불응의 상황적 맥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이런 불응 요인들을 제거하면서 순응의 모습으로 나아갔다. 예를 들어 실무과목에 필요한 NCS학습모듈이 없을 경우 연구참여자가 방학 중이나 주말을 이용해서 관련 협회나 단체를 찾아가서 연수를 받는다든지, 기관이나 학회에서 계열에 맞는 행사가 있을 경우 이를 학교에서 개최하도록 하여 관련된 기술이나 지식을 획득하는 방법 등이다. 둘째, 순응과 불응 이론에서 볼 때 연구참여자들의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에서 정책 순응과 불응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과 학교 환경 요인은 무엇인가? 전문교과 교사는 NCS기반 교육과정을 운영하면서 NCS 관련 정책에 순응할 의도를 가지고 있을 때 수용과 수정 시도의 순응 형태를 보였다. 그들은 정책 지침을 큰 수정 없이 그대로 집행하고 있었는데,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에 도움이 되는 부분은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했다. 나아가 명확히 제시된 정책 지침이 없어도 직업인력 양성에 필요한 부분이라면 이를 수용하고자 했다. 이러한 순응의 행위에는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과 NCS학습모듈 도입, 사업 관련 재정지원사업, 개인적 유리함, 정책의 정당성에 대한 긍정적 인식 등이 맥락적 요인으로 작용했다. 연구참여자들은 NCS기반 교육과정을 운영할 때 연관된 세부 지침을 그대로 수용하기보다는 학교의 현실에 적합하게 조정하면서 인력양성을 했다. NCS학습모듈이 없을 경우에는 다른 실무과목으로 대체 운영하거나, 기존에 교육과정에서 사용한 학교의 교육 설비나 공간 등을 수정하여 활용했는데, 일종의 융통성이라고 할 수 있다. 융통성의 발휘는 NCS 정책을 집행할 수 있는 자원이 부족하거나 수정하지 않을 때, 그리고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을 때에 나타났다. 또한 해당 실무과목 NCS학습모듈을 교수・학습할 수 있는 전문교과 교사 등의 상황을 고려해 운영했다. 연구참여자들이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정책지침에 수정을 가하는 것은 정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다. 교육부와 한국****관리공단 등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므로 NCS 정책에 순응하는 행위로 볼 수 있다. 셋째, 역사적 신제도주의에서 볼 때 연구참여자들은 NCS기반 교육과정 도입과 NCS 정책집행 과정에서 제도적 환경변화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연구참여자들은 NCS기반 교육과정 도입과 NCS 관련 정책집행 과정을 경로의존으로 보고 있었다. NCS기반 교육과정은 이전의 직업교육과정과는 전혀 달랐다. NCS학습모듈로 실무과목을 구성해야 했다. NCS학습모듈의 표준화와 모듈화는 전문교과 교사들을 상당히 당혹스럽게 만들었다. 공식적 정책집행기관에서는 새로운 직업교육정책을 도입했다. 그러나 일선관료인 전문교과 교사들은 이전 직업교육과정의 연속선에서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을 예상하였다. NCS 정책집행 환경에서 본다면 하나의 정책을 두고서 상급기관과 일선기관이 서로 다른 측면을 바라본 것이다. 공식적 정책집행기관에서는 NCS 정책을 지금까지와는 다른 제도의 전환(conversion)으로 정책집행을 원했다. 반면에 연구참여자들은 기존 제도의 연속성 위에서 NCS 정책집행과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을 예상했다. 즉 제도의 중첩(institutional layering)에서 바라본 것이다. NCS 정책 시행 초기 이러한 시각 차이가 상호관 메커니즘에 의해서 진화를 하게 된다(Kathleen Thelen, 2011). 전환과 중첩은 뫼비우스의 띠처럼 연속적으로 제도 변화에 영향 끼치고 있다. NCS기반 교육과정이나 NCS 관련 정책이 도입되기 전 제도는 안정적이었다. NCS기반 교육과정은 그 안정화된 제도의 틀에 정책 접목을 하게 된 것이다. 접목 초기 혼돈은 있었지만, 점차 새로운 제도로 정착되고 있다. 문제는 NCS 정책 시행 초기 이러한 시각 차이가 기관 불신을 가져오게 했다. 이는 정책에 대한 신뢰와 정책 불응의 요인으로 작용했다. 넷째, 연구참여자들은 전문교과 교사로서 행위자(agency), 주체(subject)를 어떻게 형성하고 있는가? 연구참여자들은 행위자로서 주체 만들기를 하고 있었다. 그들은 자신의 계열과 표시과목에 대한 자부심이 높았다. 선후배 사이에 도제식으로 전수되는 기술과 업무 노하우 속에서 공동체 가치 체계를 만들어 가고 있었다. 그들만의 공동체 가치 체계는 전문교과 교사라는 강한 긍지를 형성하게 했다. 공동체 가치 체계는 정책으로부터 피곤한 그들을 지켜주는 방어 기제로 작용하는 듯하였다. 또한 정책으로부터 자부심과 긍지에 상처받는 것을 싫어했다. “정책이 우리를 건드리지 않았으면 좋겠다.”라는 이야기는 이를 뒷받침한다. 연구참여자들은 NCS 정책 관련한 공식적 정책집행자(기관)에 대한 불신을 가지고 있었다. 오랜 기간 상급기관으로부터의 변함없는 정책집행 요구는 연구참여자들을 지치게 했다. ‘던져 주고 하라는 식’은 그동안의 정책집행 과정에서 상급기관으로부터 겪은 내면의 감정을 나타낸 것이다.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과 NCS 관련 정책집행 과정에서의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전문교과 교사로서, 그리고 행위자로서 주체 만들기는 현재 진행형으로 계속 쌓아 가고 있다. 연구참여자들은 학생들에 대한 소명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이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방향을 고민했다. 그들의 소명의식은 내면적으로는 정책 불응의 부분도 있지만, 외형적으로는 정책 순응의 행위로 나아가게 만드는 기제로 작용했다. 연구참여자의 이러한 정책 순응은 교육자로서의 갈등과 고민으로 분석된다. “NCS도 필요하지만 학생들에게 철학적 소양을 키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래야 인간으로서 바르게 성장할 수 있다.”는 연구참여자의 이야기는 스승으로서 가지는 고뇌이며, 동시에 미래 다양한 사회적 주체 지위를 가지게 될 학생들에 대한 배려이기도 할 것이다. 본 연구과정에서 제시된 정책 적응 요인들을 면밀히 분석하여 정책 순응으로 향하는 상황적 맥락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다면 정책집행의 효율성은 높아지고, 거부감은 줄어들 것이다. 정책집행 과정에 대한 전문교과 교사의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주제어: 직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 NCS 기반 교육과정, NCS 정책, NCS 학습모듈, Lipsky 일선관료제 이론, 순응과 불응, 제도의 전환과 중첩

      •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수학교과와 전문교과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 마케팅 특성화고등학교 금융자산마케팅과를 중심으로

        박가영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2

        A Study on a Connection between Mathematics and Specialized Subjects at Specialized High Schools - Focusing on Financial Assets Marketing Department - Park, Ga Young Major in Mathematics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Kim, Hong Chan The mathematics curriculum for specialized high schools is identical to that of academic high schools, and it does not consider present students' levels and the connection between mathematics and other specialized subjects. For this reason, students have lower motivation levels for leaning mathematics. This study analyzed the subjects learned at a marketing-specialized high school to examine which mathematical knowledge and concepts are needed for various specialized subjects. It also intended to find out whether learning other specialized subjects in connection with mathematics helped the students to improve learning attitudes, interests, senses of purpose, and academic motivations towards mathematics. Research questions for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are the essential mathematical knowledge and concepts for learning marketing-specialized subjects? Research question 2) When specialized subjects are learned in connection with mathematics, do the students' learning attitudes, interests, senses of purpose, and academic motivations improve? To examine th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selected one class, with twenty-six students, of the third year in Financial Assets Marketing Department of D High School as subjects. For the question 1, the study analyzed the curriculum of specialized subjects of the participants in order to find and organize mathematical concepts that are required in those subjects. This study then analyzed the text books of Mathematics I and II, locating any overlapping mathematical knowledge with that from other subjects to identify essential math skills. For the question 2, the study carried out a pretest for learning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Then, the total of 8 mathematics classes used worksheets and handouts that connected with General Finance subjects. In the end, it conducted a post test to examine changes in the students' learning attitudes, interests, senses of purpose, and academic motivation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question 1 are as follows: The analysis of the General Finance text book revealed that the concept of percentage was essential because finance fields deal with a great amount of calculating especially for interest rates(%). Also, some problems that require connections to real life and simple equations problems were found. The results of research question 2 are as follows: Of the 40 items of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 test, the average score of 27 items was improved while the score of 4 items did not change, and that of 9 items decreased. About 68% of items showed higher scores and in general, the post test resulted in 0.18 higher points than the pre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llow us to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when the special subjects and mathematics were combined in learning, it could improve the students' learning attitudes, interests, senses of purpose and motivations. That is, it may be beneficial to restructure mathematics classes that focus on the academic skills that are important for th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n other words, for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it will be necessary to organize the school curriculum in consideration of connections among various specialized subjects. Second, the mathematics teachers of the specialized high school should realize the close relationships between specialized subjects and mathematics. It is also advisable for the mathematics teachers to bring in real life problems to classes to enhance the quality of learning. In addition, communicating with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on what is important to teach in mathematics classes could benefit the students' learning. <Key words> specialized high school, specialized subjects, finance general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수학교과 교육과정은 현재 학생들의 수준과 교과별 연관성의 고려 없이 인문계 고등학교와 동일하게 운영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은 수학교과와 전문교과와의 연관성을 알지 못하여 수학교과를 배우는 목적의식이 없다.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수학교과를 인문계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동일하게 가르치고 있다는 것은 특성화 고등학교의 교육목표와 부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케팅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전문교과를 분석하여 그 교과에서 필요한 수학적 지식과 개념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전문교과와 수학을 연계하여 학습하였을 때 학생들이 수학교과에 대한 학습태도와 흥미, 목적의식, 성취동기 등이 향상되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마케팅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전문교과를 학습할 때 필요한 수학적 지식과 개념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전문교과와 수학을 연계하여 학습하면 학생들의 학습태도와 흥미, 목적의식, 성취동기 등이 향상되는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시 성북구에 위치한 D고등학교 금융자산마케팅과 3학년 1학급(2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문제 1을 해결하기 위하여 금융자산마케팅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였고, 그 중 금융일반 교과를 선택하여 교과서에서 금융 업무 단원의 설명이 어떤 형식으로 전개되는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 단원마다 수학적 개념을 요구하는 부분을 찾아 정리하고, 정리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수학I, 수학II 교과서를 분석하여 연관되어 있는 단원을 찾아 꼭 알아야 하는 수학적 지식과 개념을 정리하였다. 연구문제 2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학학습태도 검사지로 사전검사를 한 후, 교과서 분석을 토대로 수학교과와 금융일반 교과목을 연계시킨 학습 활동지를 만들어 8차시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수학학습태도 검사지로 사후검사를 하여 학생들의 수학학습태도와 흥미, 목적의식, 성취동기 등의 변화를 살펴보기로 하였다. 연구문제 1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금융일반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백분율의 개념을 필요로 하였는데, 이는 금융에서 금리(%)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과정이 많기 때문이다. 또 실생활 관련 문제들을 읽고 일차방정식을 세워 풀어야 하는 문제들도 있었다. 실생활 관련 문제들은 수학 학업성취도가 낮은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이 특히 어려워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금융일반 과목과 연계시켜 학습해야 하겠다. 연구문제 2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학학습태도 검사지 40개의 문항 중 27개 문항의 평균점수는 향상되었고, 4개 문항의 평균점수는 변화가 없었으며 9개 문항의 평균점수는 감소하였다. 전체 문항 중 약 68%의 평균점수가 향상되었으며 전체적으로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에서 0.18점 향상되었다. 이는 학생들이 수학교과와 전문교과가 연계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 수학을 배우는 목적이 대학진학뿐만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고 긍정적으로 변화하여 학습태도와 흥미, 목적의식, 성취동기 등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전문교과와 수학은 서로 연계하여 학습하였을 때 학생들의 학습태도와 흥미, 목적의식, 성취동기가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수학교과를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필요한 내용으로 재구성하여 수업을 하는 것이 학생들에게 더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해서는 각 교과간의 연관성을 고려한 학교 교육과정의 구성이 반드시 필요하겠다. 둘째, 특성화 고등학교 수학 교사들은 전문교과와 수학과의 연관성을 인식해야 한다. 전문교과에서 학습한 내용과 연계한 실생활 문제도 풀어보는 등 수업방법을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전문교과 교사와 수시로 정보를 교환하며 효과적인 지도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 인천광역시 특성화고등학교 보통교과교사와 전문교과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비교

        이운경 인천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2

        특정 분야의 인재 양성을 설립 목적으로 하는 특성화고등학교의 경우 일반고등학교와는 달리 보통교과교사와 전문교과교사가 함께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직업 교육의 비중이 크고, 그에 따라 전문교과교사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운영한다는 점에서 특성화고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가 타 급의 학교와는 다른 성격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었다. NCS 국가직무능력표준 등에서 강조하고 있는 직업기초능력과 직무수행능력을 함께 갖춘 기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보통교과교사들을 중심으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하고, 동시에 전문교과교사들이 주도하여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한다. 따라서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직업교육의 운영을 위해서는 보통교과교사와 전문교과교사 모두의 질적 도모가 이루어져야 하며,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분석하고 특성을 비교하여 직업교육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에 재직 중인 교사의 개인적 배경 변인(성별, 연령, 직위, 학교계열, 교직경력, 특성화고 재직 경력)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어떠한가? 둘째, 보통교과교사와 전문교과교사 간 직무스트레스 요인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천광역시 소재 28개 특성화고등학교 중 10개교를 무선 표집 하여 교사 300명(보통교과교사 150명, 전문교과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중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한 297명의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이상의 연구 과정을 바탕으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교사의 경우 관료적 운영, 학생지도, 직업교육 영역에서, 여교사의 경우 학급관리와 학생지도에 있어 보통교과교사가 전문교과교사보다 높은 수준의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대 교사의 경우 인간관계와 직업교육 영역에서, 30대 교사의 경우 낮은 대우 영역에서, 40대 교사의 경우 학생지도에 있어 보통교과교사가 전문교과교사보다 높은 수준의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반면 50대 이상 교사의 경우 낮은 대우에 있어 전문교과교사가 보통교과교사보다 높은 수준의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 셋째, 일반교사의 경우 권위상실, 낮은 대우, 과부하에 있어 보통교과교사가 전문교과교사보다 높은 수준의 직무스트레스 점수를 받았다. 넷째, 공업계 특성화고 교사의 경우 관료적 운영, 학생지도, 직업교육에서, 상업계 고 특성화고 교사의 경우 학생지도에 있어 보통교과교사가 전문교과교사보다 높은 수준의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요소의 점수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났다. 다섯째, 교직경력 1~3년인 교사의 경우 학급관리에서, 4~10년인 교사의 경우 인간관계, 낮은 대우, 직업교육에서, 11~15년인 교사는 권위상실에서, 21년 이상 경력의 교사의 경우 관료적 운영과 학생지도에서 보통교과교사가 전문교과교사보다 높은 수준의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1년 이상 경력의 전문교과교사의 경우 낮은 대우에 있어 보통교과교사보다 높은 수준의 직무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특성화고 재직 경력 1~3년인 교사의 경우 학급관리, 학생지도에서 4~10년인 교사의 경우 관료적 운영, 낮은 대우, 학생지도에서, 16~20년인 교사의 경우 학생지도에 있어 보통교과교사가 전문교과교사보다 높은 수준의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특성화고 재직 경력 11~15년인 교사의 경우 낮은 대우와 직업교육에 있어, 21년 이상 경력의 교사의 경우 낮은 대우에서 전문교과교사가 보통교과교사에 비해 높은 수준의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통교과교사의 경우 20대~40대의 저연령, 여교사 비중이 높으며, 따라서 특성화고 재직 경력이 비교적 적다. 반면 전문교과교사의 경우 50대 이상의 고연령, 남교사 비중이 높으며 특성화고 재직 경력이 비교적 높은 교사가 많다. 이에 따라 관료적 운영, 학생지도, 학급운영, 직업교육 등 전반에 있어 보통교과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보통교과교사는 학급지도, 학생지도의 경우 특성화고 학생들의 부족한 학업 의욕과 생활 태도 측면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보통교과교사들의 특성화고 학생들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보통교과교사는 직업 교육을 중점적으로 운영하는 특성화고의 교육과정 운영 특성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보통교과교사들 또한 직업기초능력을 중점적으로 하여 직업 교육과 특성화고 운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전문교과교사의 경우 낮은 대우 측면에 있어 높은 수준의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는 특성화고 부흥 시절부터 오랜 기간 근무를 해온 특성화고의 전문교과교사들이 최근 들어 교권 추락 등의 문제로 대우차원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특성화고 교육과정 운영과 학생에 대한 이해가 높은 전문교과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직업교육의 운영을 도모할 수 있어야 함을 시사한다. 교육 현장이 더욱 치열해 지고, 교권이 점차 추락하고 있는 시점에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진단함으로써 교사들간의 신뢰를 구성하고 효율적인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특히 직업 교육은 전문교과교사들만이 주도하는 것이 아닌 보통교과교사들과 함께 운영해 나갈 때 직업기초능력과 직무수행능력을 함께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특성화고의 보통교과교사와 전문교과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와 고찰은 계속적으로 필요할 것이고, 이를 토대로 직업 교육의 발전이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 해운분야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모델 개발 및 역량요구도 분석

        한송이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2

        This study has its goal on developing the competency of teacher specializing in subjects of marine fields and to analyze each of the competencies of the teachers as well as the awareness upon significance based on background variables. To achieve such study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following the procedures below. To develop the competency of teacher specializing in subjects of marine fields, the documentary survey was conducted on the current state of affairs in highschools studying marine fields and the roles of teachers teaching specialized subjects. Then, excellent teachers among the employed teachers teaching marine field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focus group interview and behavior event interview that were related with competency modeling. The gathered data were processed through coding by the researcher and tentative competency model was deduced based on the data. Tentative competency model was thoroughly revised and supplemented by group of experts specializing in marine fields. Through this process, the final competency model consisting of eight competencies and 40 behavioral index was completed. Setting such deduced competency as the found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ubjects who were the teachers currently employed in highschool specializing in marine fields and shipping firm executives. Out of 122 people’s data gathered, excluding one insincere response that was proved to be invalid, 121 people’s data was analyzed. The data gathered through survey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o tell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mpetency model’s level of demand and significance. Upon statistical analysis,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were utilized as well as using Borich Needs formula to calculate the value of needs which was later used for setting priorities of competency demand. Finally, conducting one-way Anova, the difference between competency significance on each of the variables and its awareness was proven, with scheffé conducted as post-hoc test. The conclusion deduced from the result of the study is stated below. Above all, the competency model of teacher specializing in marine field was developed by 8 competencies and 40 behavioral index. The 8 competencies were shown as student oriented, benchmarking, international perspective, onboard training operation rapport building, external networking, guiding change in awareness, pursuit of expertise and goal oriented. Next, upon the competency of teacher specializing in marine field, the difference between current standard and future standard of required level was revealed to be in meaningful relationship in every competencies(p<.001). Among the given 8 competencies, the one in highest demand of competency was ‘external networking’, while the behavioral index indicated the competency of external networking as ‘regular visit of ship owning company and identify the trend of industries’ This evidently shows that specialized teachers of vocational highschool are aware of the need of building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industries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various options which will be helpful to students’ future. Third, the difference upon significance awarenes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 [teachers teaching specialized subjects, teachers teaching common subject, industrial] has meaningful difference in 5 of the 8 competencies(student oriented, onboard training operation rapport building, external networking, guiding change in awareness, goal oriented). Upon significance awareness of each of background variables on behavioral index, 18 out of 40 behavioral index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On significance awareness of competency and behavioral index, teachers specializing in specialized subjects and common subjects had higher level of awareness on each of the competencies than those who were employed in industries. This study has developed competency model for teachers specializing in marine fields, analyzed competency demand and conducted analysis upon differences of background variable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s outcome will provide fundamental and crucial information upon aspects of educating teachers with marine field expertise, strengthening competencies of schoolteachers, and for schoolteacher evaluation. 본 연구는 해운분야 전문교과 교사가 갖춰야 할 역량을 도출하여 각 역량에 대한 전문교과 교사의 요구와 배경변인에 따른 중요도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절차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해운분야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해운분야 고등학교의 현황 및 전문교과 교사의 역할, 직업계고 교사의 역량에 관한 문헌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역량모델링과 관련하여 해운분야의 재직교사 중 우수교사를 선정하여 초점집단인터뷰와 행동사건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연구자에 의해 코딩과정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잠정적 역량모델을 도출하였다. 잠정적 역량모델은 해운분야 전문가 집단의 검토를 거쳐 수정 및 보완되었다. 이 과정을 통해 8개의 역량과 40개의 행동지표로 구성된 최종 역량모델이 완성되었다. 도출된 역량모델을 기초로 해운분야 고등학교 재직 교사 및 해운회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한 총 122명 중 불성실한 응답이라고 판단되는 1부를 제외하고 총 12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역량모델의 요구도와 중요도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기술통계분석과 t 검정이 활용되었으며, 이후 Borich의 요구도 공식을 활용하여 요구도 값을 산출하고 이를 통해 역량 요구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여 변인별 각 역량의 중요도 인식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였고, 사후검정은 Scheffé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운분야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모델은 총 8개의 역량과 40개의 행동지표로 개발되었다. 8개의 역량은 학생 지향, 벤치마킹, 국제적 안목, 승선실습운영 관계구축, 외부 네트워킹, 인식변화 유도, 전문성 추구, 목표 지향으로 나타났다. 둘째, 해운분야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에 관하여 현재 실행하고 있는 수준과 향후 필요수준의 차이는 모든 역량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1). 8개 역량 중 요구가 가장 높은 역량은 ‘외부 네트워킹’으로 나타났고, 40개 행동지표 중에서는 외부 네트워킹 역량의 ‘주기적으로 선사를 방문하여 산업계의 동향을 파악한다’로 나타났다. 이는 직업계고 전문교과 교사들이 정부교육기관 및 산업계와의 협력적 관계 구축의 필요성과 학생의 장래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실행안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배경변인[전문교과 교사, 보통교과 교사, 산업계]에 따른 중요도 인식의 차이는 8개 역량 중 5개 역량(학생 지향, 승선실습운영 관계구축, 외부 네트워킹, 인식변화 유도, 목표 지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각 행동지표에 대한 배경변인별 중요도 인식에 있어서는 40개의 행동지표 중 18개 행동지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역량 및 행동지표의 중요도 인식에 있어서는 전문교과 및 보통교과 교사가 산업체 재직자에 비해 각 역량의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해운분야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모델을 개발하고 역량요구도 분석 및 배경변인별 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는 해운분야 전문교과 교사에게 학교 현장 전문가로서 갖춰야하는 자질과 역량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해줄 것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전문성 있는 해운 분야 교사 양성, 교원 역량 강화, 교원 평가의 측면에서 기초적이고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 공업계 고등학교에서의 수학교과와 전문교과와의 연계성에 관하여 :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최현식 順天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2

        공업계고등학교에서의 수학의 이해는 전문교과의 수학적 내용의 계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도구 교과의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공업계 고등학교의 수학교과는 다음의 문제들로 인하여 그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 하고 있다. 1) 전문교과와 수학교과의 교육과정이 별개로 운영되고 있다. 2) 수학과 교육과정이 대입을 목적으로 하는 인문계고등학교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3) 공업계고등학생들의 중학교 수학의 성취도가 인문계고등학교 학생들에 비해 월등히 낮다. 4) 7차 교육과정에서 개편된 수학교과서가 전문교과와의 연계성이 고려되지 않았다. 이에 공업계고등학교의 특성 및 전문교과와의 연계가 충분히 고려된 수학교과서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본 연구자는 공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와 수학교과와의 내용의 연관성과 기존의 실업계용 수학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해 봄으로써, 현 공업계 또는 실업계고등학교의 현실을 충실히 반영한 수학교과서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이로써 수학과목에 열등한 공업계 혹은 실업계학생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성취도를 향상시키고 전문교과에 반영된 수학교과 학습요소를 이해함으로써 보다 내실 있는 전문교과 이수에 다소나마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 It seems that it is critical to comprehend Mathematics as a tool subject in order to understand a number of calculations in the professional subjects in the Industrial or Vocational Highschool. But, 'Math' subject in the industrial high school has not done very well for the followings; In the industrial high school, 1. So far, professional subjects and 'Mathematics' subject have been carrying out differently. 2. 'Mathematics' subject has been focused on entering the higher academic system, rather college or university as the normal high schools. 3. Industrial highschool students were by far poorer in Math's grades when they were in middle schools than those of the normal high schools. 4. The new 'Math' textbook of 7th educational reform curriculum is not considered in the light of relationship with professional subjects. For these reasons, It seems that a new attempt is necessary to study 'Math' subject while it maintains with relationship with professional subjects. In this study, I d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ubjects and Math subject in the Industrial or Vocational High school. In the end, I suggest that we should make new 'Math' textbook which reflects the reality and needs of the present Industrial 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doing so, I hope that Industrial 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can get better grade of Math by identifying learning factors relating with 'Math' in the professional subjects, and that this study can help them learn professional subjects more efficiently. Study is expected to be widely used for mathematics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