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百濟 漢城期 物流體系 形成과 그 社會·經濟的 背景 硏究 : 京畿南部 地域 竪穴 倉庫(群)의 分析

        김왕국 용인대학교 문화재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Cross-section of a flask-shaped storage pits in the area of ​​the Baekje is confirmed. To date, more than 1000 were investigated. The quantity and distribution pattern seen Baekje society and that can be very relevant. however, So far, the cross section of an flask-shaped storage pit of Baekje studies on the there is a problem. It is that very microscopic. In the meantime, the study of storage pits didn’t pay attention to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implications. Only by focusing on the temporal changes were studied.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focused on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implications of the cross section of an flask-shaped storage pit. First, the study area is 64% of the total storage pit had an Osan river. And the specialized storage pit ruins are made from 4 century, starting from the late fourth century in the fifth century was the presence of the large number of storage pits specialized storage pit ruins. And 84% of the entire storage pits in 1.5km from the nearby river When created the accessibility of the river was very important to know that. Especially, storage pits depending on the river, depending on the distance of the river, or depending on the ruins of the average diameter of the bottom there was no statistically difference. This is when you create the storage pits seem to be the effect of a certain standard. The Hansung Baekje of the logistics system and the tax system related to the area inside the large area. And through the distribution of the storage pits of the Hansung Baekje could see various logistics systems. It is the center of much of the logistics system and regional and inter-regional and inter-regional logistics system is divided into. Warehouse operations and remains the way through the existence of the central and regional distribution of the goods was unknown. And review the results of the regional logistics transportation hub in between were able to determine the logistics system could also check. Finally, Th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benefits of the Osan river was the place. So the Osan river basin was a center of Max logistics in Baekje Hansung period. Overall, The cross-section of a flask-shaped storage pits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was in social of Hansung Baekje. So That is well as social data that can be represented. In this study, through these storage pits the change of a social aspect of Hansung Baekje and the distribution system was found. 단면 플라스크형 저장수혈은 백제의 영향권에서만 확인되는 것으로 현재까지 1000여기 이상이 조사되었다. 그 수량과 분포양상을 보아 이 저장수혈은 백제 사회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백제의 단면 플라스크형 저장수혈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시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져온 문제점이 있었다. 이 저장수혈이 백제 사회에 가지는 정치·사회·경제적인 의미를 밝히는 것에는 등한시 한 채 시간적인 변화상에만 주목하여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고에서는 단면 플라스크형 저장수혈의 정치·사회·경제적 의미에 집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연구대상 지역인 경기남부 지역의 저장수혈의 분포를 살펴본 결과 전체의 64%가 오산천유역에 집중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4C 전반부터 저장수혈이 집중적으로 축조된 저장전문유적이 형성되기 시작하여 4C 후반∼5C 전반에 가장 많은 수의 저장수혈군 유적이 존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저장수혈군을 조성할 때에는 수계와의 접근성이 매우 중요시되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전체 저장수혈의 84%가 인근 수계와 1.5km 이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저장수혈들은 수계에 따라, 수계와의 거리에 따라, 혹은 유적에 따라 분류하여도 평균 바닥지름은 2.3∼2.5m로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저장수혈군 조성시에 일정한 기준이 도입된 결과로 파악되었으며 기준이 적용된 저장수혈군이 입지하고 있는 지역은 한성백제의 물류체계영역 내이며 국가 존립에 있어서 중요한 기반인 조세·수취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지역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저장수혈군 유적의 분포를 통해 한성백제에는 다양한 물류체계가 존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는데 크게 중앙과 지방간의 물류체계와 지방과 지방간의 물류체계로 대별할 수 있었다. 중앙과 지방간의 물류체계는 주창고와 보조창고가 동시에 운영되는 이원적인 창고운영방식과 창고군을 관리하는 관리동의 존재를 통해 한성백제 중앙의 창고운영방식이 지방의 물류거점에서도 똑같이 운영되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질적인 유물을 통해서도 중앙과 지방간의 활발한 물자의 유통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지방과 지방간의 물류체계를 설정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기준은 수·륙의 교통로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검토 결과 각각의 교통요지에 주요 유적들이 위치하여 지리적 이점을 이용해 지방물류거점으로 그 기능을 수행하고 있었음을 파악하였다. 경기남부 지역의 저장수혈군들은 주요 수계에 따라 그 분포양상과 물질문화 양상이 약간씩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그러한 현상은 당시 해당 수계 지역의 자연지리·정치·사회·경제적 배경이 달랐기 때문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오산천유역은 지리적으로 한성백제 중앙과 접근성이 좋고 하천주변으로 넓은 충적지가 잘 발달되어 있어 높은 농업생산력을 기대할 수 있는 지역이었다. 또한 정치적으로도 안정되어 있어 다른 하천들에 비해 저장수혈의 축조가 매우 활발하였으며 한성백제 최대의 물류중심지로 기능하던 지역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단면 플라스크형 저장수혈은 당시 백제사회에 있어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백제의 사회상을 잘 대변해주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저장수혈을 통해 한성백제 사회의 변화상과 당시 물류체계의 일면을 파악할 수 있었다.

      • 湖西地域 청동기시대 屋外貯藏竪穴의 변화

        박진경 충북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1

        The outdoor pits dated to the Bronze Age from Hoseo region are related to the changes in storage patterns. Although it is assumed that the outdoor pits performed the role of storage, it is only a sweeping generalization based on a few confirmed remains. As a result, there is a lack of a general and practical standard that defines many mass outdoor storage pi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properties required to perform the function of underground storage from the perspective of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nly through this process is it possible to offer a standard for distinguishing outdoor storage pit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 shape and size of the outdoor storage pits were estimated by reviewing the suitability of storing crops underground in the Bronze Age as well as the archaeological materials, experiments, and ethnography.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for the depth and floor space of the outdoor storage pits were established by comparing the average depth of settlements within the site and presuming earthenware storage conditions. The standard from these criteria was applied to confirm the pattern of outdoor storage pits in Hoseo region during the Early to Middle Bronze Age. The outdoor storage pits had a variety of cross-sectional forms during the transition from the Early to Middle Bronze Age, Which was different form the original circular flat floor shape. The floor space was evenly distributed during the Early Bronze Age, which was followed by a floor shape concentrated on a constant value with more depth during the Middle Bronze Age. Based on the distinction criteria for mass outdoor storage facitlies, the sites that ate considered to be storage sites were re-evaluated and the sites with high concentration of outdoor storage pits were specifically selected. The number of outdoor storage pits in such sites had more-than-double storage pits than those of the settlements, with at least ten storage pits in each site. Many circular flat floors and flask-shaped cross-sectional pits were discovered, which were deeper than the sites from the Early and Middle Bronze Age. The changes in the depth ate related to the changes in the shape. However, the sites with high concentration of outdoor storage pits had a relatively deeper reverse trapezoid shape, which are usually shallow, differentiating them from other remains of the Early and Middle Bronze Age. Moreover, the sites with high concentration of outdoor storage pits is judged to have a more efficient storage capacity with the arrangement of mass outdoor storage pi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claim confidently that the storage feature was enhanced based on the evidence such as the arrangement of high-capacity outdoor storage pits within the sites with high concentration of outdoor storage pits. In addition, evidence for the fixed nature of the arrangement has not yet been found elsewhere. It is estimated that a variety of sizes for outdoor storage pits were selectively used while building them in specific areas around the dwelling site. Other outdoor pits that were excluded from the changes in the outdoor storage pits were located around the dwelling site and fragments of earthenware were found in the vicinity. Therefore, it is possible that these may be daily storage or processing units for drying and pre-processing rather than long-term storage facilities. This study provided a criteria for distinguishing outdoor storage pits that had previously been discussed only in general terms and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storage patterns more objectively. 호서지역 청동기시대 옥외수혈은 저장양상의 변화와 연관되어 있다. 옥외수혈이 저장의 기능을 수행했을 것으로 추정하면서 옥외저장시설로 이해되지만 소수의 유구에서 확인된 자료를 통해 포괄적으로 설명하고 있을 뿐이다. 그 결과 다수의 옥외저장수혈을 정의하는 보편적이고 실전적인 기준이 미비하다. 따라서 수행특성의 관점에서 지하저장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속성의 검토가 필요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옥외저장수혈을 판별하는 기준을 마련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청동기시대 작물의 지하저장 적합성, 고고자료, 실험, 민족지의 검토를 토대로 옥외저장수혈의 형태와 규모를 유추하였다. 이후 유적 내 주거지의 평균깊이와의 비교, 토기저장의 상황을 가정하여 옥외저장수혈의 깊이와 바닥면적의 구분 기준을 마련하였다. 그 후 옥외저장수혈을 판별하는 기준을 적용하여 호서지역 청동기시대 전•중기 옥외저장수혈의 양상을 확인하였다. 청동기시대 전기에서 중기로 이행하며 옥외저장수혈은 원형의 평면형태가 중심을 이루는 것과 달리 단면형태는 다양하다. 바닥면적이 고르게 분포하던 전기의 양상에서 중기에는 집중되는 경향이 나타나며 깊이는 전기보다 중기에 깊어지는 양상을 보인다. 옥외저장수혈의 판별 기준을 토대로 저장전문유적으로 이해되는 유적을 재평가하고 저장수혈 집중유적을 선정하였다. 저장수혈 집중유적의 저장수혈은 주거지의 수보다 저장수혈의 수가 2배 이상 확인되면서 저장수혈의 절대 수 최소 10기 이상 확인되는 유적이다. 원형의 평면형태와 제형의 단면형태 수혈이 다수 확인되고 전기 및 중기의 일반유적들에 비해 깊은 것이 확인된다. 깊이의 변화는 단면형태의 변화와 관련이 있지만 저장수혈 집중유적에서는 상대적으로 깊이가 얕은 역제형 수혈조차 깊어 저장수혈의 수, 저장수혈의 규모 모두 전기 및 중기 일반유적과는 차별성을 보인다. 또한 저장수혈 집중유적은 옥외저장수혈의 배치를 통해 저장양상의 강화가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하지만 저장수혈 집중유적 내에서 상대적으로 저장량이 큰 옥외저장수혈 각각 배치의 정형성이 확인되지 않아 저장양상의 강화 현상만을 설명할 수는 없으며, 주거지 주변이나 유적 내 일부 지역에 집중 조성하는 과정에서 크고 작은 옥외저장수혈을 선택적으로 사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옥외저장수혈의 변화에서 제외된 기타 수혈유구는 주거지 주변에 위치하고 토기편이 확인되는 점으로 보아 장기간의 저장시설이라기 보다는 일상용 보관장소 혹은 장기저장을 하기 전 건조 및 전처리 과정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논의를 통하여 포괄적으로 다루어졌던 옥외저장수혈을 판별하는 기준을 마련하였고, 저장 양상과 변화를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시도였다고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