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방정부의 순세계잉여금이 지방재정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임재훈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박사

        RANK : 248829

        Given the recent rapid increase of the net budget surplus, it is becoming more important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net budget surplus on local finances. However, research on net budget surpluses in local governments has been limited. Existing research has only stated that it can reduce the efficiency of local finance without investigating the effect of net budget surplus on local governme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local government net budget surplus on local fiscal efficiency. Niskanen's budget maximization model was used as a theoretical model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ment net budget surplus and its efficiency. Furthermore, the model of Migue and Belanger, which supplemented Niskanen's model, was examined. The model proposed by Migue & Belanger was found to be the most appropriate model for local government conduct in Korea, and it was supplemented and applied in this study. Specifically, based on the model,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finance and the limitations in Korea were supplemented and the following two hypotheses were established. First,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larger a local government's net budget surplus, the worse its fiscal efficiency. Second, it was hypothesized that there would be a moderating effect to alleviate the influence of the net budget surplus on fiscal inefficiency in the case of local governments that specifically guarantee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budget process. To empirically test the above hypothesis, the efficiency of local finance was defined as technical efficiency. In addition, the financial efficiency of local governments was measured from the perspective of technical efficiency. After that,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ccurrence of a fiscal surplus and local fiscal efficiency, the relationship between net budget surplus and local government fiscal efficiency was analyzed with Panel-Tobit regression. As for efficiency measurement methods, two approaches were considered. There were the BCC efficiency estimation method and the game cross efficiency estimation method among the DEA analysi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3 basic local governments nationwide. The analysis period was limited from 2012 to 2017 based on the possibility of securing DATA. During the period, among basic local governments nationwide, administrative districts integrated between 2012 and 2017 and basic local governments promoted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BCC efficiency score and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game cross efficiency score were similar except for several control variables. In the 'city' and 'district' types of local governments, the net budget surplus had a negative influence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and the net budget surplus square term had a positive coefficient valu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ounty' type local governments, the signs in the analysis results of 'city' and 'district' types were analyzed in the same way, but the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Local governments that followed the implementation rules of the resident participation budget in the "city" and "district" types, however, had less influence on fiscal inefficiency than those that did not. These findings imply that by using standard procedures to transparently disclose information to residents and councils during the budget process, local governments can reduce fiscal inefficiency caused by uncertainty and inaccuracies in the budget process.

      • WTO 政府調達協定 發展 方案 硏究 : 通商規範과 財政效率性의 調和를 中心으로

        김대식 서울시립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8829

        Government Procurement means that a government or public organization purchases from the private sector goods or services- education, defence, utilities, infrastructure, health, and so forth. Generally speaking, the size of the associated public procurement market is from 10% to 15% of GDP in a nation. Government procurement accounts for a significant proposition of GDP and discrimination in government procurement can create important barriers to trade. The typical examples of discriminative measures include local contents, offsets, and preferential treatment to local products and services at the time of bid evaluation. Because of its sensitive nature, government procurement was largely excluded from the non-discrimination obligations of GATT 1947. But, in 1979, Tokyo Round formulated the GATT agreement on government procurement that extended basic GATT obligations such as non- discrimination and transparency to the tendering procedures of selected government entities. Later, the Uruguay Round supplemented the previous agreement and adopted 'The WTO agreement on government procurement' (GPA). The primary obligation imposed by the GPA on covered entities is non-discrimination. This extends not only to imports but also to subsidiaries of locally established foreign firms. The GPA thus treated foreign affiliates as national firms, government should treat foreign firms no less than domestic ones. Price-preference policies, offsets and similar policies are therefore in principle prohibited. The GPA provides for three tendering method: open, selective, and limited. The first two methods are preferred. Entities must publish an invitation to participate for all cases of intended procurement, except for the case of limited tendering, stating the mode of procurement, its nature and quantity, dates of delivery, economic and technical requirements, and amounts and terms of payment. Entities must award contracts to the tenderer who has been determined to be fully capable of undertaking the contract and who is either the lowest tender or the tender that is most advantageous in terms of the evaluation criteria set out in the notices or tender documentation. And the GPA also contained transparency rules, designed mainly to make it difficult to conceal discrimination. This transparency rules include publicity for contracts opportunities, publicity for rules of award procedures, limitation on discretion, provisions on verification and enforcement. But, at present, the GPA is plurilateral agreement only applicable to 40 signatories, the benefits of membership are also limited for some states by the use of the positive list approach in specifying the entities and service sectors covered. And many members of WTO have been reluctant to become the member of the GPA, because of a pressure in enforcing strict transparency standards. Therefore, the analysis for the GPA in flexible standpoint is needed, and it is relevant to Value for Money. Value for Money(VFM) is the term used to assess whether or not an organization has obtained the maximum benefit from the goods and services it acquires and/or provides, within the resources available to it. It not only measures the cost of goods and services, but also takes account of the mix of quality, cost, resource use, fitness for purpose, timeliness and convenience to judge whether or not, when taken together, they constitute good value. VFM in the GPA means a approval for pursuing governmental best practice, adopting governmental preferred strategies. For example, GPA Article Ⅵ for Technical specifications admit that entities may choose products and services in terms of performance rather than design or descriptive characteristics, and GPA Article ⅩⅣ provides that a party may provide for entities to conduct negotiations in the context of procurements in which they have indicated such intent, namely in the notice referred to in paragraph 2 of Article IX or when it appears from evaluation that no one tender is obviously the most advantageous in terms of the specific evaluation criteria set forth in the notices or tender documentation. Analysis by harmonization between transparency standards and VFM, gives WTO members chances for becoming GPA member. And Approach of harmonization between transparency standards and VFM solve other problems for GPA. First, the harmonization approach in the GPA can accept 'Multiple Award Schedule' system in the U.S. government, 'Standing Offer' system in the Canada, 'Framework Agreement' system in the United Kingdom. These systems are based on meeting the various requirements of diversity and quality for their own government clients, making buyers(entities) conversation with suppliers for their requirements. Second, by harmonization between transparency standards and VFM, a problem that a public firm as a GPA entity has a difficulty in performing privatization would be solved. In case of the privatization for public firms, to withdraw them from the coverage of the GPA concession, GPA Article ⅩⅩⅣ:6(a), ⅩⅩⅣ:6(b) require that the member that would perform privatization should do the state compensatory adjustments that submit additional procurement to regulation to compensate or involve other parties withdrawing their own concessions in relating to the amending party. In a view of VFM, the provision must be revised that compensatory adjustments are not needed, when the public firm as a GPA entity would perform privatization. Third, in a view of harmonization between transparency standards and VFM, it is needed to encourage more use of a Government Electronic- Procurement System(GEPS) in the award process - for example, to advertise contracts, to send out contract documents, to send requests to participate, or to submit tenders - as well as in the contract administration phase - for example, to place orders or to make payment. But, WTO, IBRD, and developed GPA parties should provide developing countries, in particular least-developed countries with technical, financial assistances for their GEPS. WTO 정부조달협정(GPA)은 일반적으로 행정주체가 교육, 국방, 전기·수도 등 시설, 도로·항만 등 사회간접시설, 보건 등등의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행위인 정부조달에 관한 국제교역을 규율하며, 다른 다자무역협정들과는 달리 개별 협정에 가입절차를 밟은 후에만 적용되는 복수국간 무역협정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GPA 가입국은 2008.1 현재 150개 WTO 회원국 중 40개국에 불과하여 그 참여정도가 낮다. 본 논문은 많은 WTO 회원국들이 아직까지 정부조달협정에 대한 참여에 소극적인 원인이 자유무역 통상규범, 특히 투명성원칙과 개별 국가 주권의 대립에 있음을 인식하고, 그 두 가지 이념의 조화 수단으로서 재정효율성이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이러한 재정효율성의 개념을 통해 많은 국가들에게 GPA 협정의 경직성과 협정상 의무이행에서의 부담감을 완화하는 해석론 및 개정의견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다자무역규범의 대상이 되는 상품, 서비스 등의 상업적 무역에 있어 개별 경제주체(私人)가 국제시장에서의 가장 효율적인 생산자의 제품을 구매하려고 노력하는 것처럼, 정부조달에 참여하는 행정기관의 목표는 공정하고 투명하면서도 양질의 상품, 서비스를 저렴하게 제공하는 효율적인 공급자로부터 상품, 서비스를 조달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부조달무역에서의 경제적 효율성은 재정의 지출비용(cost) 대비 산출(benefit)의 비율을 나타내면서, 가장 최적의 납품조건과 효율적 조달절차를 확보하려는 정부조달의 상업적 양상인 ‘재정효율성’(value for money)으로 표출된다. 하지만, 현행 GPA 제Ⅶ조 이하는 조달절차에 있어 투명성확보의 취지하에 GPA가 적용되는 조달절차시 원칙적으로 일반경쟁입찰(open tendering)이나 지명경쟁입찰(selective tendering) 시행을 의무화하고, 예외적으로 일정한 요건하에 제한입찰(limited tendering)을 시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이러한 절차는 모두 주로 최저가 및 수요기관과 공급기관의 의사소통 차단을 원칙으로 하는 엄격한 입찰계약에 기반하고 있다. 이러한 엄격한 경쟁입찰절차의 강제는 수요기관의 수요내용에 대해서 공급자의 제안내용을 합리적으로 조정하는 대화를 차단하게 되며, 제한입찰 등 수요기관이 구매자와 입찰참가자들의 조달절차상의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선택행위를 제한하고, 다양한 수요를 반영하거나 양질의 상품· 서비스를 신속하게 제공받는 데 한계를 지니며, 이는 궁극적으로 개별 국가가 한정된 자원을 투여하여 최적의 가치를 실현하는 재정효율성을 달성하는데 제약을 가져온다. 이처럼 GPA 내용에서 드러나는 정부조달 무역상 계약절차가 재정효율성보다 엄격한 투명성에 무게 중심이 놓여있어야 한다는 국제규범 입법자의 의식은 개별국가들에게 합리적인 범주에 속하는 정부조달 행정재량을 제약하고, 협정 가입시 이행비용에 대한 상당한 부담을 야기하기 때문에 아직까지 GPA에 가입하지 않은 WTO 회원국들의 협정가입이 지연되고 있다. 현행 GPA가 각국의 공공기관이 가치극대화실현을 추구하고 그들이 선호하는 구매전략을 세우는 것을 제약하지는 않으나, 현행 GPA처럼 투명성을 크게 강조하는 경우 가치극대화를 얻는데 장애가 될 수 있다. 따라서 GPA의 엄격한 투명성 요건과 재정효율성 확보가 적절한 조화를 이루는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인데, 그러한 방안의 하나로서 공정한 기회제공을 유지하는 범위에서 입찰절차 이외에 ‘협상’ (negotiation)을 통해서 계약이 이루어지는 다수공급자계약제도 등 다양한 조달절차의 시행이 허용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투명성과 재정효율성의 조화를 중심으로 한 GPA 해석론과 발전론은 GPA 회원국인 한국, 미국, 영국, 캐나다 등이 ‘다수공급자계약제도’를 시행함에 있어 그 근거를 제공하고, GPA 회원국 확대의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재정효율성 제고를 위한 정부조달조치의 경우, 그것이 비차별적이고 합리적 범위에서 이루어진다면, GPA 제Ⅵ조의 기술규격과 관련하여 조달기관의 재량권, 제ⅩⅣ조의 시담(negotiation) 규정, 제ⅩⅩⅣ:8조의 정부조달 효율성을 위한 정보기술의 진보 규정 등의 적극적 해석을 통해 그러한 조치의 허용 근거를 모색할 수 있다. 한편, 투명성원칙의 연장선상에서 GPA에 투영되어 있는 엄격성은 GPA 양허기관이 시장친화적 조직형태로의 변화를 억제하는 양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예를 들어, GPA 제ⅩⅩⅣ:6(b)조에는 양허대상 기관이 더 이상 정부의 통제와 영향을 받지 않아 그 양허대상 기관을 양허목록에서 철회시키려면, 이를 정부조달위원회에 통보하고 회원국의 반대가 없어야만 양허목록에서 철회됨이 명시되어 있다. 결국, GPA 적용을 받던 공기업이 민영화를 달성한 이후에도 회원국이 반대하는 한 GPA을 계속해서 적용받게 된다. 이러한 양허기관인 공기업의 민영화와 관련해, GPA 제ⅩⅩⅣ:6(b)조상 보상조정 관련 내용은 투명성원칙과 재정효율성의 조화 측면에서 재검토될 필요성이 있다. GPA 제ⅩⅩⅣ:6(b)조가 양허 기관의 민영화의 경우, 이와 관련된 수정제안 및 이에 따른 보상 조정(compensatory adjustment) 조치에 대한 고려시에 정부 통제나 영향력이 제거됨에 따른 시장개방 효과가 감안되어야 함을 규정하듯이, 민영화를 통해 자유 시장에서의 경쟁에 의해 그 존립이 좌우되는 형태로 조직이 변경되는 것이 증명된 때에는 보상 조정이 요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정부통제와 영향력이 배제된 경우에도 경쟁적·상업적 조달이 아닌 비경쟁적이거나 특권(특혜)적 조달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보상적 조정이 필요할 것이다. 한편, 모든 국가들은 주권적 권한으로서, 자국의 낙후산업의 보호 및 중소기업·여성기업의 육성, 친환경상품의 진흥 등 자국의 산업적·사회적 이해를 유지하기 위해 차별적 공공조달 조치를 시행할 권한을 보유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은 특히 수량제한, 관세, 보조금 등의 정책적 수단들이 다른 WTO 규범들에 의해 제한되면서 더욱 커지게 되었는데, 특히 경제에 대한 정책적 개입의 필요성이 선진국보다 상대적으로 큰 개발도상국들의 경우, 정책적 정부조달에 대한 의존도가 크다. 이러한 정책수단으로서의 정부조달은 GPA 제ⅩⅩⅢ:2조에 의해 예외적으로 인정되며, 개발도상국의 경우 GPA 제Ⅴ조 이하에서 그에 대한 특별대우를 허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규정들이 다양한 정책적 정부조달조치의 시행을 포섭하여 합리적 범위에서 예외를 인정함으로써 실질적으로 개발도상국의 GPA 가입을 유인하는 데에는 아직까지 큰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재정정책수단으로서의 정부조달이용이 GPA 규정상 허용될 지 그 재정정책의 목적별로 그 근거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자국낙후산업보호나 중소기업·여성기업의 육성, 친환경상품의 진흥 등 자국의 산업적·사회적 이해를 유지하기 위해 공공조달 조치를 시행의 경우에는 본질적으로 차별적 성격이 크므로, 제ⅩⅩⅢ:2조의 협정 예외 규정과 개발도상국의 경우 제Ⅴ조 이하의 개발도상국 특별대우 규정 등에 의해 제한적으로 그 허용여부를 검토할 수 있다. 한편, 전자조달제도의 도입은 정부조달의 투명성 확보, 정보공개에 큰 역할을 할 것이지만, 통상법적으로는 전자조달제도가 자유무역의 원칙을 제약하는 또 다른 무역장벽의 결과를 낳지 않도록 접근성·범용성을 제고하기 위한 국제규범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전자조달제도의 도입에는 상당히 많은 시간, 인력, 재원이 소요되므로, 정부조달에 있어 투명성 제고의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큰 개발도상국과 최빈개발도상국은 이들 국가들에 대한 국제사회의 도움 없이는 전자조달제도의 시행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들 국가들에 대한 WTO, IBRD 등 국제기구들과 선진국들의 제도적·기술적·재정적 지원이 요구되므로 이러한 지원 체계와 의무를 규범화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또한, GPA 이의신청절차(challenge procedure)가 정부조달 무역상 투명성을 제고하면서도 재정효율성을 달성하는 데 중요성을 지니는데, GPA 제ⅩⅩ조는 DSU에서와 달리, 공급자도 GPA 위반여부가 문제되는 조달기관에 직접 이의신청을 제기할 수 있고, 의무적 사항은 아니지만 각국의 이의심의기관이 이의신청절차를 통해 조달절차의 정지 등 잠정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GPA 제ⅩⅩ:7(a)조), 협정위반으로 인한 손실 또는 피해를 보상할 수 있음을 규정하고 있으므로(GPA 제ⅩⅩ:7(c)조), 향후 이러한 이의신청절차를 통한 사전적 분쟁해결이 활발하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현행 GPA 이의제기절차는 한편으로 악의적인 이의제기를 통한 남용가능성, 이의신청절차를 제한하기 위한 명시적인 시한의 부재 문제와 더불어, 또 다른 한편으로는 보상의 범위를 입찰준비나 이의신청 소요 비용으로 제한할 가능성으로 인한 불충분한 피해자 보호 문제 등이 제기되므로, 이의신청제기 기한을 설정하면서도, 입찰준비나 이의신청 소요 비용 이외의 손해도 보상 가능하도록 GPA 제ⅩⅩ조의 보완이 필요하다.

      • 지방자치단체의 청렴도와 재정분석지표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재정효율성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전경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813

        Since the first survey of public agencies' integrity was conducted in 2002, public institutions have been making efforts to improve the integrity of the organization and improve the integrity level of the organiz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integrity score. As a result, the integrity score rose steadily, but when the organization became clear, the researcher began to question whether the achievement resulted not only in the integrity score but also in the organizational capacity. Although the actual corruption cases are reflected in the evaluation,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result of the survey, the integrity score, is related to other evaluation indexes of the public institutions, in particular, the financial indicators of public institutions. In this study, we analyzed local governments. Local governments with a clear organizational culture, that is, municipalities with high integrity scores, will perform their original functions well, especially in the recognition of business executives (public officials) and that there is a positive effect of integrity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financial domain analysis index, which is judged to be able to be grasped as objective data. There is little direct comparison between integrity levels and local financial state of local government. However, according to other studies that have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est rates and the issuance of municipal bonds in the financial sector, the correl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 integrity and municipal bond issuanc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mproving the integrity of local governments can lower the cost of financing the local governments, and also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fiscal index and integrity. In addition, the results of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ruption and government spending and the efficiency of corruption and fiscal spending, which were not compared with direct financial status,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finance and corruption. These studies have identified the effects of integrity(or corruption level) on financial status and financial size. We will try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 relation with the local financial efficiency index showing fair business performance and the resulting financial status, as a result of the specific survey of the level of integrity of local govern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Integrity Score and financial efficiency index, Internal Integrity Score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atio of local subsidy and promotion festival, which are financial efficiency indicators of expenditure sector. The effect of the ratio of current account balance, which is an indicator of fiscal soundness, and the ratio of management debt to the ratio of local subsidies, event festival expenses, and effort cost reduction, which are indicators of financial efficiency, affects or influences the opposite direction respectively.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there is a study that if decentralization is done to local government, corruption problem deepens and adversely affects local finance, decentralization reduces corruption problem positively. This implies that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degree of decentralization of government, including the degree of decentralization of local government, the level of democracy, the degree of political freedom, and the level of economic freedom, the extent and direction of impacts of local governments on the local financial system may change. If local governments establish decentralization, including finances, the benefit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public services that citizens receive are not necessarily improved, but corruption is a problem in local finance, depending on the level of society (political, economic freedoms, the direction in which it affects can vary. Previous research is primarily a priori research, In the empirical analysis, the comparison of countries was the main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level of corruption in local governments affects local finance by applying it to local governments in Korea. As a specific variable, the internal integrity score, which is an indicator of the level of corruption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financial efficiency index,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 integrity score and the financial efficiency index.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integrity of a public institution, which is expressed by an integrity score, is 'the extent to which public officials handle transparent and fair internal and external affairs and policies without corruption', and provides basic data for accurate level diagnosis for effective anti-corruption policy promotion. There is a limit to the model that the Integrity score, which is judged to show the level of integrity of local autonomous entities, such as the status of the system and perceptions of the related parties, will affect the financial indicators that express numerical results of local fiscal execu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lmost all hypotheses were rejected. There is no direct evaluation item that can be measured in the integrity test, and the ac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grity score and the financial efficiency seems to be very weak. Therefore, the interpretation of the financial efficiency can not be estimated by the integrity score have. In addition to the results of the surveys, it may be possible to discuss the relationship with the financial indicators if the indicators of integrity level in the financial sector are reinforced, such as supplementing the integrity evaluation by reflecting the actual occurrence of corruption incidents.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distribution of integrity scores is not large and the variance of scores among local governments is concentrated in certain scales, and the results of local finance analysis index,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and this can be seen as a limiting point in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grity and financial analysis results in a statistical manner. In this paper, we could not find a clear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grity score of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financial analysis index, but in many previous studies, the level of corruption affects the size of wealth (financial scale) a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effectiveness and soundnes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integrity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status of local finance with a more precise model using objective indicators that can measure the level of integrity and financial status of local governments. Keywords: Integrity, Local Government Corruption, Financial Soundness, Financial Efficiency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청렴도 조사가 2002년 처음 실시된 이후, 공공기관들은 청렴도 점수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도개선을 하고 조직의 청렴수준을 높이기 위한 실천을 해왔다. 이 결과로 청렴도 점수는 꾸준히 상승해오긴 했지만, 조직이 청렴해 진다면 그 성과가 청렴도 점수뿐만 아니라, 조직의 역량이 더 향상되는 결과를 가져오지 않았을까 하는 질문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실제 부패사건 여부를 평가에 반영하긴 하지만 설문조사 결과인 청렴도 점수가 공공기관의 다른 평가지표와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특히 공공기관이 관련된 부패사건이 그 기관의 재정에 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많은데, 공공기관의 재정지표와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는데, 청렴한 조직문화를 갖춘 지방자치단체라면, 즉 청렴도 점수가 높은 지자체는 그 본래 기능의 수행도 우수할 것이며, 특히 업무수행자(공직자)나 지역주민의 인식에 의존하지 않고 객관적인 자료로 파악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재정영역 분석지표와의 관계에서 청렴도가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추정을 확인하고자 한다. 청렴도와 지방재정과 직접적으로 비교한 연구는 거의 없었으나, 재정영역 중 지방채 발행금리와의 관계를 확인한 다른 연구에 따르면, 지방정부의 청렴도와 지방채 발행금리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다고 한다. 이 연구결과로 지방정부의 청렴도를 개선시키면 지방정부의 자본조달 비용을 낮출 수 있다는 시사점을 보여주며, 다른 재정분석지표 청렴도도 유의미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또, 직접적인 재정현황과 비교한 것은 아니지만, 정부의 부패문제가 재정지출을 포함한 정부규모와의 비교와 부패와 재정지출의 효율성 관계에 대한 국가간 비교 연구를 한 선행연구에서 나온 결론으로 지방정부의 재정과 부패간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청렴도(부패수준)가 재정현황이나 재정규모에 주는 영향을 확인한 것인데,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청렴도 수준의 구체적인 조사결과인 청렴도 점수가 공정한 업무수행, 그 결과인 재정현황을 보여주는 지방재정효율성 지표와 관계가 있는지 분석해 보고자 한다. 내부청렴도 점수와 재정효율성 지표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내부청렴도 점수는 세출부문의 재정효율성 지표인 지방보조금비율, 행사축제경비비율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업무추진비절감노력도에 미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재정건전성 지표인 경상수지비율과 관리채무비율이 재정효율성 지표인 지방보조금비율, 행사축제경비비율, 업무추진비절감노력도에 대한 영향은 일부 관계의 경우 가설과는 반대방향의 영향을 주거나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지방정부로 재정분권이 이루어진 경우, 부패문제가 심화되어 지방재정에 악영향을 주는 경우도 있으나, 분권화로 인해 부패문제가 완화되어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연구도 존재한다. 이는, 지방재정분권화 정도를 포함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분권화 수준, 민주주의 수준, 정치적 자유, 경제적 자유의 수준에 따라 지방정부의 부패 수준이 달라지고 이에 따른 지방재정에 대한 영향 정도와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지방자치단체가 재정을 포함하여 분권화를 확립하면 시민들이 받는 혜택, 행정적, 재정적 공공서비스가 당연하게 좋아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의 수준(정치적, 경제적 자유, 민주주의 수준 등)에 따라 부패문제가 지방재정에 영향을 주는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선행연구는 주로 선험적인 연구이고, 실증분석을 한 연구는 국가별 비교가 주된 연구대상이었으며, 이를 한국의 지방자치단체에 적용하여 지방자치단체의 부패수준이 지방재정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해보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었다. 구체적인 변수로 지방자치단체의 부패수준을 가늠하는 지표인 내부청렴도 점수와 지방재정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재정효율성 지표를 채택하였으나, 통계분석결과 내부청렴도 점수와 재정효율성 지표사이에는 의미있는 영향관계를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청렴도 점수로 나타낸 공공기관의 청렴도의 개념적 정의는 ‘공직자가 부패행위를 하지 않고 투명하고 공정하게 내외부 업무 및 정책을 처리한 정도’이고, 효과적인 반부패 정책추진을 위한 정확한 수준진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설문조사로 제도현황과 관련자의 인식수준 등 지방자치단체의 청렴수준을 보여준다고 판단된 청렴도 점수가 지방재정의 집행결과를 수치로 표현하는 재정 지표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모형에 한계가 있을 것이다. 이는 거의 모든 가설이 기각된 분석 결과로 나타났다. 청렴도 조사 내에 재정과 관련하여 측정할 수 있는 직접적인 평가항목이 없고 실제 분석결과에서도 청렴도 점수와 재정효율성은 영향관계가 아주 약한 것으로 보이므로 청렴도 점수로 재정효율성에 대한 해석을 추정할 수는 없다고 할 수 있다. 설문조사 결과 이외에 구체적인 부패사건 발생현황을 반영하여 청렴도 평가를 보완하듯이 재정분야에서 청렴도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보강하게 되면 재정지표와의 연관성을 논의해 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또, 청렴도 점수의 분포가 지자체간 점수의 편차가 크지 않고 일정 점수대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과 종속변수인 지방재정분석 지표 결과도 일부지표의 경우 점수의 편차가 크지 않다는 것은 통계적인 방법으로 청렴도와 재정분석결과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제한점으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이번 논문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청렴도 점수와 재정분석지표와의 뚜렷한 관계성을 발견할 수는 없었으나, 많은 선행연구에서 부패수준이 부의 크기(재정규모)에 영향을 주고, 경제성장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재정효과성과 건전성에 의미있는 관련성이 있다고 하였다. 이후에는 지방자치단체의 청렴도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객관적인 지표와 지방재정현황을 나타내는 지표로 좀 더 정밀한 모형으로 지방자치단체의 청렴 수준과 지방재정현황과의 관계성을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지방정부의 전략적 상호작용이 재정지출 및 지출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 공간회귀모형과 패널토빗모형을 중심으로

        황정민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97

        항목별 예산을 평가하고 재정지출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것은 지방정부(local government)에게 있어 중요한 정책적 현안이다. 지역행사 및 지역축제에 투입되는 예산과 관련해서는 2010년대부터 성과관리제도, 원가회계정보 공개, 총액한도제 등의 여러 제도적 장치가 도입되면서 재정지출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역행사에 투입되는 총원가 비용은 꾸준히 상승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행사지출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등, 지방정부의 예산낭비문제가 또 다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방정부 지출의 비효율성을 야기하는 원인을 분석하였으며 지출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지방정부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략적 상호작용에 주목하여, 정부간 경쟁의 원인을 파급모형, 자원이동모형, 비교경쟁모형으로 구분하고 행사 및 축제지출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정부간 지출경쟁에 의해 변화하는 재정지출규모를 측정하여 경쟁과 효율성 간의 인과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정부의 행사지출에 관한 포괄적인 이해를 위해서 총 네 가지의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첫째는 행사 및 축제지출에 관한 탐색적 분석으로 행사지출의 관한 국내동향을 시간적·공간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각 지방정부의 행사 및 축제지출 수준이 장기간에 걸쳐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살펴보았다. 둘째는 행사 및 축제지출의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으로 공간회귀분석(Spatial Regression Analysis)을 활용하여 지리적으로 인접한 이웃정부 간에 어떠한 공간적 상관관계가 포착되는지 살펴보고 전략적 상호작용 이론의 관점에서 이와 같은 공간적 상관성이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셋째는 행사 및 축제지출에 관한 효율성 분석으로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을 활용하여, 지방정부 행사지출의 상대적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특히, 행사지출의 경제적 효율성에 초점을 맞추어 직접적인 사업수익을 산출물로 하는 1차 효율성과 간접적인 경제파급효과를 산출물로 하는 2차 효율성을 구분하였고 각각의 효율성 지표의 시간적·공간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넷째는 행사 및 축제 지출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으로 정부간 경쟁에 의해 변화하는 재정지출규모를 공간회귀계수를 활용하여 조작화하고, 패널토빗분석(Panel Tobit Analysis)을 통해 경쟁과 효율성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행사 및 축제지출을 중심으로 지방정부 간의 경쟁적인 지출현상이 목격되었다. 구체적으로 지리적으로 서로 인접한 이웃정부 사이에서 양의 공간적 상관성이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행사지출에 관한 지방정부 간의 전략적 상호작용이 실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정부간 경쟁은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났는데, 한 가지는 지방선거시기를 중심으로 발생하는 하향경쟁으로 이는 비교경쟁의 원리를 통해 나타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반대로, 비선거시기에는 행사지출을 서로 경쟁적으로 늘리는 상향경쟁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파급모형의 관점에서 그 원리를 찾아볼 수 있었다. 둘째, 비선서시기에 발생하는 지출경쟁은 1차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반면, 2차 효율성에는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간 지출경쟁은 수익성 행사사업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이유로 1차 효율성의 경우, 상향적 지출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행사를 통해 발생하는 사업수익의 총량도 함께 증가하게 되면서 운영보다는 규모의 원리에 의해 효율성이 개선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2차 효율성의 경우, 효율성 지표가 산출요소보다는 투입요소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지출경쟁을 통해 지방정부의 행사지출이 증가하게 되면 운영상의 비효율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선거시기에 발생하는 비교경쟁은 1차 효율성과 2차 효율성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비교경쟁이 행사지출을 줄이는 하향경쟁의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효율성이 개선되는 원리에는 1차 및 2차 효율성 간의 미세한 차이점이 존재했다. 구체적으로 1차 효율성은 투입과 산출이 함께 조정됨으로써 규모효율이 높아져 효율성이 개선되었고, 2차 효율성의 경우 산출량에는 큰 변동이 없음에도 행사지출이 감소하였기 때문에 운영상의 효율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 국내 지방정부의 행사지출에 관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행사지출을 경정하는 과정에서 이웃정부로부터 발생하는 외부효과에 대한 적절한 고려가 필요하다. 대부분의 행사지출은 점증적인 형태로 변화하는 것이 사실이나 본 연구에서는 외부적 요인에 의한 비점증적 지출변화도 함께 관찰되었으며 이는 지방정부 간의 전략적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었다. 특히, 선거시기에 나타나는 비교경쟁과 비선거시기에 발생하는 지출경쟁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행사지출의 변화를 유도하기 때문에, 이점을 고려하여 외부요인에 의한 행사지출액의 변화량을 측정하고 이를 예산기획과정에 반영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둘째, 행사지출에 관한 비효율성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웃정부와의 재정경쟁이 지출효율성에 미칠 영향력을 예측해보는 전략이 요구된다. 지방정부 간의 경쟁은 규모적인 측면에서는 효율적이나 운영상의 비효율을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각 지방정부는 행사지출과 관련하여 자신의 비효율성 원인을 일차적으로 파악하고, 이웃정부와의 재정경쟁이 어떠한 영향을 초래할 것인지 예측해볼 필요가 있다. 특히, 운영상의 비효율성이 문제가 되는 지방정부의 경우, 정부간 경쟁이 오히려 지출효율성을 악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지출경쟁을 억제하는 전략이 요구된다. 셋째, 지역행사에 대규모 자본을 투자한다고 해서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커지는 것은 아니므로, 이를 근거로 행사지출을 늘리는 행태를 지양할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지방정부는 행사지출을 늘리는 주요 논거로서 지역 내 경제적 파급효과를 언급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행사지출과 경제부가가치의 변화가 큰 상관성을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행사는 외부관광객의 유입과 경제활동을 유도한다는 점에서 지역경제성장에 일부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지만, 정부의 행사지출 그 자체는 지역경제성장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으므로, 이점을 충분히 고려하여 투입량을 조절해야 할 것이다. Fiscal efficiency has been an important policy issue in local government field. Korean central government has enforced several fiscal programs such as Fiscal Performance Management, Cost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fiscal expenditure on local government’s festival policy. Despite such institutional efforts, however, the cost of local festival has been steadily rising and its expenditure alarmingly increased which becoming a pending issue for policy maker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ause of inefficiency in local government expenditures and attempted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fiscal efficiency. Focusing on the strategic interaction among Korean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classified it into Spillover Model, Resource Flow Model, and Yardstick Competition Model to find out the impact factors of festival expenditures in local government.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cla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iscal competition and fiscal efficiency by measuring the amount of expenditure changed by intergovernmental competition. In this study, four analysis method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behavior of local government on festival expenditure. First, the domestic trend of festival expenditure over last 8 years was examined from a temporal and spatial perspectives through exploratory analysis. Second, it examined whether a spatial correlation between neighboring governments exists or not using Spatial Regression Analysis and analyzed the causes of such spatial correlation based on the theory of strategic interaction. Third, the relative efficiency of local government was measured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Fourth, it examin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iscal competition and fiscal efficiency using Panel Tobit Analysis. The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iscal competition on festival expenditures among local governments were observed. Specifically, there was a positive spatial correlation between neighboring governments. It could be inferred that such competition among governments appears in two forms. On the one hand, there was downward competition in the period of local elections, which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principle of Yardstick Competition Model.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non-election period, upward competition occurred, which could find the principle of compet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pillover Model.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fiscal competition that occurred during the non-election period improves the primary efficiency, while having a negative effect on the secondary efficiency. Since fiscal competition was centered on profitable businesses which is charging admission, the total amount of business revenue generated through festivals also increased, and it caused the rise scale efficiency rather than technical efficiency. On the contrast, since secondary efficiency was much more determined by input rather than output, it can be seen that fiscal competition results in technical inefficiency.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fiscal competition occurred during the ele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the primary efficiency and the secondary efficiency. This is because fiscal competition during the that period reduced the festival expenditure.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way of improving efficiency. In the case of secondary efficiency, it was improved by increasing the scale efficiency, but in the case of secondary efficiency, the technical efficiency was increased. The policy implication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xternal impact of neighboring governments while planning festival expenditure. It is true that most festival expenditure change in the incremental principal, but nevertheless, there are non-incremental changes due to the strategic interactions among local governments. Since fiscal competition occurs in different ways during election and non-election period,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expenditure changes in each period and consider them together in the budget planning. Second, competi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is efficient in terms of scale but not to technical one. When the competi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efficiency, it is because a simultaneous changes in input and output, which means only caused by scale. Therefore, each local government needs a strategy to identify the cause of its inefficiency and predict how fiscal competition with neighboring governments will affect its performanc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local governments where has the technical issue, fiscal competition is not a good option because it would be leading to bad result. Third, investing large amounts of capital in local events does not lead to the growth in local economy. Local government has been increased festival expenditure on the ground of spillover effect in its local economy, but in this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estival expenditure and economic growth. Local events themselves are clearly helpful for regional economic growth in that they induce the influx of external tourists and economic activities, but the government's expenditure is not highly correlated with regional economic growth.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adjust festival expenditure in local governments

      • 보건의료분야의 공공성과 효율성 논의 : 서울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구가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81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보건의료 영역의 공공성과 효율성을 논의하기 위해 다양한 관점에서 공공성과 효율성을 정의한 후,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공공성을 크게 공급적 관점과 수요적 관점으로 나누어 재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울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하여 효율성(운영 효율성 및 재정 효율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우선 공급적 관점에서는 소유주체와 수익성의 높낮이에 따라 공공성을 정의하였다. 두 가지 특성에 따라 공공성의 정도를 분류하였고 그룹별로 자료포락분석(BCC 효율성)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기관별로 공공성 정도에 따라 기관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그룹별로 효율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소유주체 상으로는 공공의 영역일 때, 수익성의 높낮이 상으로는 수익성이 낮은 필수 진료과목의 영역일 때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흔히 공공의 영역은 효율성이 낮다는 선행 연구결과와 배치되는 결과였다. 이에 회귀분석을 통해 그 요인을 보다 심화하여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자료포락분석에서 사용된 투입자원으로서 간호사, 의사 등 보건의료 인력은 BCC 분석결과와 일치하였으나 병상수와 장비 수는 상반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처럼 투입자원에 따라 공공성과 효율성 간 관계가 일관성이 없다는 점은 자료포락분석이 갖는 연구방법의 한계점으로 지적하였다. 또한 공공성을 수요적 관점에서 정의하여 효율성의 가치를 분석하였다. 그 간 이루어진 이론적 논의들을 바탕으로 보다 넓은 관점에서 효율성을 정의하여 보건의료 재정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공공성의 요소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보건의료영역에서의 공공성을 수요자 입장에서 바라보아 ‘보장성’, ‘보편성’, ‘접근성’, ‘인프라’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재정의 하였고, 이를 통해 기관별로 과잉진료 등 비효율적인 요소에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전체적인 보건의료영역에서의 재정의 효율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수익성이 낮아 의료서비스의 공급이 부족한 필수진료과목의 영역에서는 건강보험 환자 수는 많을수록, 의료급여 환자 수는 적을수록 과잉진료의 유인이 낮아 재정효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환자 수가 연령별로 보편적이지 않고 특정 연령층에 집중되어 분산이 클수록, 지역별로 의료기관 당 장비수가 많을수록 과잉진료의 유인이 낮아 재정 효율성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I defined the publicity and efficiency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then the correlation between two ideas were analyzed on the hospitals in Seoul. First of all, from a supply-side perspective, publicity was defined according to the owner and the profitability. The degree of publicity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wo characteristics and analyzed using the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group by group. Through this, I examined whether the hospitals are operating efficiently depending on the degree of publicness of each institution and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fficiency by group. As a result, it is highly efficient for owners to be in the public domain, and for compulsory care subjects to be less profitable above the high level of profitability. This result was against a prior study that the public domain was less efficient. Accordingly, the regression analysis was intended to examine the factors more deeply, and as a result, health care personnel such as nurses and doctors were consistent with DEA analysis results, but the number of hospital beds and equipment was inconsistent. As such, the lack of consistency between public and efficiency depending on the input resources was pointed out as a limitation of the research method of data capture analysis. In addition, the value of efficiency was analyzed by defining publicity from a demand perspective.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s meanwhile, I wanted to define efficiency from a broader perspective to analyze the factors of public that affect healthcare financial efficiency. In particular, the public nature in the healthcare sector was redefined by dividing it into areas of 'coverage', 'universality', 'accessibility' and 'infrastructure' from the consumer's perspective. As a result, the more the patients were under health insurance coverage and the smaller the patients were under medical benefit patients, the lower the inducement of over-care(inefficient). In addition, the greater the dispersion due to the fact that the number of patients is not common by age and concentrated in a specific age group, and the greater the number of equipment per medical institution by region, the lower the inducement of over-care(inefficient), which is positive for financial efficiency.

      • 재정분권이 지방재정 지출구조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경상적 지출과 투자적 지출을 중심으로

        정재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767

        1. Purpose of this Study Fiscal decentralization is able to achieve economic efficiency with condition of autonomy and responsibility. Especially, the efficient fiscal expenditure of local governments determines the success of fiscal decentralization. However, the empirical research on the efficiency of fiscal expenditure of local governments does not exist. The study analyzes the influences of the fiscal decentralization on the local expenditures. For the research, this study constructs three research questions and conducts analysis. First, this study compares and investigates the orientation of fiscal decentralization with government regimes from 1991 to 2006. Second,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 of local fiscal standards on the basis of vertical equilibrium and horizontal equilibrium according to fiscal decentralization. Third,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fiscal decentralization influences local finance outlays. In addition, this study tests whether a difference in the orientation of fiscal decentralization depending on the presidential regime induces a difference of fiscal outlays. The independent variables for the research include ratio of local tax revenues and ratio of local share tax revenues. The current expenditure and the investment expenditure consist of dependent variables for the study. The current expenditure includes expenditures for articles and expense transfers. The investment expenditure includes the capital expenditures and the government loans and investments. The data for the research is the cross section data of 16 provincial governments (Metropolitans and ‘Do’s) and 90 basis level local governments and time series data from 1991 to 2006. With this data, this study conducts panel analysis by dividing subjects to basic level local governments and provincial governments. 2. Results of this Study 1) Difference in the Fiscal Decentralization Orientation depending on the Presidential Regimes The Roh Taewoo Administration and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promoted central government-oriented one-way fiscal decentralization. They pushed forward with “autonomy financing” decentralization for ensuring local finance according to newly enacted local autonomy. On contrary to, the Kim Daejoong Administration promoted “transfer/dependent financing” fiscal decentralization policy with the consideration of interests of various local governments. However, the policy impacts were not manifest because of even of IMF crisis. Following administration,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also promoted transfer financing extension policy with agreement of policy orientation of the Kim Daejoong Administration. This administration emphasized self resource of revenue in the initial policy, then adjusted fiscal decentralization strategy toward extension of transfer financing for local government revenue. 2) Local Finance Standard Depending on the Fiscal Decentralization The ratio of local self-revenue had been decreased continually, but the ratio of transfer revenue had been increased continually from the Roh Taewoo Administration to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In the transfer revenue, the ratio of general financing decreased, while the ratio of special financing increased. The revenue ratio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has been unchanged as ratio of 80:20 since 1991. As a result, the ratio of self financing revenue had been decreased after local autonomy and fiscal independent level of local government had continued to decrease. Rather, the study shows that autonomy of budget operation of local government had been infringed as most of them since special financing of transfer revenue came to increase. This means the improvement of level of vertical equilibrium is not much as expected. The analysis on the fiscal equilibrium level among local governments on the basis of local allocation tax shows that the equilibrium level of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7508) was decreased slightly by .0067 compared to the level of Roh Taewoo Administration (.7257). Later, these levels of equilibrium have been raised continually from the Kim Daejoong Administration to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3) Influences of the Fiscal Decentralization on the Structure of Local Fiscal Expenditures This study shows that the local governments with higher ratio of local tax revenue among provincial governments tend to increase the investment and the current expenditures. Especially, the expenditures for articles and transfer expenditures have been increased among the current expenditures, while the capital expenditures of investment expenditures have been rising. For the basic level local government, the local governments with large part of revenue on the local tax are likely to decrease the investment expenditures and grow the current expenditures. The major reason of increases in the current expenditure is the rises in the transfer expenditures. In the perspective of the local allocation tax revenue of local governments, the provincial governments with large part of the local allocation tax experience the decrease in the investment expenditures. The reduction of the capital expenditures contributes to decrease the investment expenditures. The basic level governments with large portion of local allocation tax show the decrease in the investment expenditures and increase in the current expenditures. As considering the tendency of local fiscal expenditure, the Kim Daejoong Administration had reduction of the investment expenditures for the provincial governments and reduction of the current expenditures and increment of the investment expenditures for the basic level local governments compared with the Roh Taewoo Administration and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exhibits drops in the investment expenditures and current expenditures for the provincial governments, while this Administration shows the decline in the investment expenditures but increments in the current expenditures for the basic level local governments compared with the Roh Taewoo Administration and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Since local governors have been elected, the provincial governments have increased the investment expenditures and the current expenditures, however, the basic level local governments have raised only the current expenditures. This study also shows the provincial governments have decreases in the investment expenditures while the basic level local governments have declines in the investment expenditures and increases in the current expenditures during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compared with the Kim Daejoong Administration. 3.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Firstly, this study presents distinguished results for fiscal expenditure analysis by applying different methodology with prior researches. This study has a basis on the expenditure structure of attribute and category not functional expenditure. This study analyzes whether a discretionary authority from fiscal decentralization promotes an efficiency of the fiscal expenditures and induces fiscal economy, and a special financing encourages an elasticity of fiscal operation of the local governments. These distinguished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alternatives for study on the local fiscal expenditures. Secondly, this study presents different results between the provincial governments and basic level local governments from analysis on the influences of the local tax revenue and local allocation tax on the local fiscal expenditure of local governments. This implies the necessity of fiscal decentralization strategy which considers characteristics of local governments. Also the findings of results are available for basic research data to establish a direction of fiscal decentralization. Thirdly, the study succeeds to bring out alternative views on the local tax revenue and local allocation tax. The literature reviews interpret that the local tax revenue encourages the responsible fiscal operation and local allocation tax relatively demotes the responsibility of fiscal. However, this study draws the necessity of consideration of perception of manager in the share of local fiscal operation as well a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finance sources which are local tax revenue and local allocation tax. This study suggests that distinguished fiscal decentralization which is appropriate to local authority and institutional efforts for fiscal operation are required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local finance. Finally, this study is worthy for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ng new indicator to measure the efficiency of local fiscal expenditures. The ratio of the current expenditures and the investment expenditures are developed as indicators to measure fiscal economy of local authorities. This methodology assumes that the increases in the current expenditures causes a rigidity of fiscal operation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increases in the ratio of the investment expenditures brings about enhancement of incomes and local economy conditions. However, to satisfy these assumptions the analysis on the current expenditures and the investment expenditures need to be itemi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esent the continuous efforts of local authorities to remove unnecessary finance investment waste even though the ratio of the current expenditure continues to increase. This means the criteria of ratio of the current expenditure is not appropriate to judge the inefficiency of fiscal operation of local authorities and lacks of legitimacy since the institutional efforts to economize the fiscal operation exist distinctly. 1. 연구 목적 재정분권은 자율과 책임을 전제로 할 때 경제적 효율성(economic efficiency)을 달성할 수 있다. 특히 자치단체의 효율적 재정지출은 재정분권의 성공을 위한 핵심이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치단체가 얼마나 효율적인 재정지출을 하는지에 대해 경험적(empirical)으로 검증한 연구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재정분권이 자치단체 재정지출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세 가지 하위 연구 질문을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1991년부터 2006년까지 추진되어온 재정분권의 정향(orientation)을 정권별로 비교․분석하였다. 둘째, 재정분권에 따른 자치단체 재정수준 변화를 수직적 형평화(vertical equilibrium)와 수평적 형평화(horizontal equilibrium)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재정분권화가 지방재정 지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정권마다 차별화가 존재하는 재정분권 정향이 재정지출의 차이를 유발하였는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독립변수는 지방세(local tax) 수입액 비중과 교부세(local share tax) 수입액 비중이고, 종속변수는 경상적 지출과 투자적 지출이다. 경상적 지출은 다시 물건비(articles)와 이전경비(expense transfer)로 구성하였고, 투자적 지출은 자본지출(capital expenditure)과 융자 및 출자(loan & investment)로 구성하였다. 분석은 16개 광역시․도, 90개 기초자치단체의 횡단면 자료와 1991년부터 2006년 까지의 시계열 자료에 기초하였다. 그리고 기초자치단체와 광역자치단체를 구분하여 패널분석(panel analysis)을 실시하였다. 2. 연구결과 1) 정권별 재정분권 정향의 차이 노태우 정부와 김영삼 정부는 비록 중앙정부 위주의 일방향적 분권을 추진하기는 하였으나 새롭게 시작되는 지방자치의 재정 확보를 위해 자주재원(autonomy financing) 위주의 분권을 추진하였다. 반면 김대중 정부는 다양한 지방의 이익을 모두 고려하고자 하는 과정에서 이전재원(transfer/dependent financing) 확대 위주의 재정분권 정책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IMF로 인해 그 효과는 크지 않았다. 노무현 정부 역시 김대중 정부의 정향과 같은 맥락에서 이전재원 확대 위주의 정책을 추진하였다. 특히 초기에는 자주재원 확대를 강조하였으나 중반 이후에는 이전재원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재정분권 전략을 수정하였다. 2) 재정분권에 따른 지방재정 수준 노태우 정부부터 노무현 정부 까지 자주재원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한 반면 이전재원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전재원 중 일반재원(general financing)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특정재원(special financing)의 비중은 증가하였다. 그리고 중앙과 지방간 세입의 비중은 1991년부터 현재까지 큰 변화 없이 80:2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지방자치 실시 이후 자주재원의 비중이 감소하게 되어 자치단체의 재정자립 수준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이전재원 중 특정재원의 비중이 증가하게 되어 자치단체 재정운용의 자율성이 상당부분 침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직적 형평화 수준의 개선 효과가 크지 못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부세를 기준으로 자치단체간 재정형평화 수준을 분석한 결과 노태우 정부 때 교부세의 형평화 수준은 .7275 였으나 김영삼 정부 들어 .7508로 근소하게 형평화 수준이 낮아지고 있다. 이후 김대중 정부부터 노무현 정부까지는 지속적으로 형평화 수준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재정분권이 지방재정 지출 구조에 미친 영향 광역자치단체중 지방세의 비중이 높은 자치단체일수록 투자적 경비와 경상적 경비가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상적 경비 중 물건비와 이전경비가 증가하고, 투자적 경비 중 자본지출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자치단체 중 지방세의 비중이 높은 자치단체일수록 투자적 경비가 감소하고 경상적 경비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상적 경비 증가의 주요 원인은 이전경비의 증가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역자치단체중 교부세의 비중이 높은 자치단체일수록 투자적 경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적 경비 감소의 가장 큰 원인은 자본지출의 감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자치단체중 교부세의 비중이 높은 자치단체일수록 투자적 경비가 감소하고 경상적 경비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태우․김영삼 정부 대비 김대중 정부에 들어서 광역자치단체는 투자적 경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초자치단체는 투자적 경비가 감소하고 경상적 경비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태우․김영삼 정부 대비 노무현 정부에 들어서 광역자치단체는 투자적 경비와 경상적 경비가 모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초자치단체는 투자적 경비가 감소하는 반면 경상적 경비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선자치단체장 등장 이후 광역자치단체는 투자적 경비와 경상적 경비가 모두 증가한 반면 기초자치단체는 경상적 경비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대중 정부 대비 노무현 정부에 들어서 광역자치단체는 투자적 경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초자치단체는 투자적 경비가 감소하고 경상적 경비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연구의 시사점 첫째, 연구방법상에서 기존의 재정지출 분석 방법과 다른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차별화된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기능별 지출이 아닌 품목성질별(attribute and category) 지출구조에 기초해 재정분권화를 통한 재량권이 자치단체 재정지출의 효율성을 증진시키는지, 예산 절약을 유도하는지, 특정 재원이 재정운영의 탄력성을 증진시키는지 등을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연구와 다른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는 지방재정 지출 연구의 새로운 대안을 마련해 주는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지방세와 교부세가 자치단체의 재정지출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에서 서로 다른 효과가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정분권을 추진함에 있어 자치단체의 특성을 고려한 전략 마련의 필요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재정분권 방향을 정립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지금까지 선행 연구들에서 지방세는 보다 책임 있는 재정을 유도하고, 교부세는 상대적으로 책임성이 저하된다고 보았으나 분석결과에 의하면 교부세와 지방세라는 재원의 구조적 특성 뿐만 아니라 자치단체 재정운영 담당자의 인식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도출되었다. 이는 지방재정운영의 효율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자치단체에 맞는 차별화된 재정분권과 재정운영의 효율화를 위한 제도적 노력이 함께 존재해야 한다는 것을 다시 일깨워 주는 것이라 하겠다. 넷째, 이 연구는 지방재정 지출의 효율성을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지표의 구축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지방자치단체 재정운영의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 경상적 경비 비중과 투자적 경비 비중이 이용되고 있다. 경상적 경비의 증가는 자치단체 재정운영의 경직성을 유발하는 반면 투자적 경비 비중의 증가는 소득 및 지역경제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가정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가정이 충족되기 위해서는 경상적 경비와 투자적 경비를 보다 세분화 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 경상적 경비의 비중이 증가됨에도 불구하고 불요불급한 재원 투자를 통한 낭비를 제거하고자 하는 자치단체의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치단체의 재정절약 노력이 분명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경상비 비중의 증가라는 점만을 기준으로 자치단체가 비효율적인 재정운영을 하고 있다고 판단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 지방자치단체의 특성이 지방재정책임성에 미치는 영향

        송승윤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35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자치단체의 특성이 지방재정책임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공시된 회계자료를 이용하여 지방재정의 책임성을 측정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이 있다. 분석을 위하여 2015년부터 2021년까지 우리나라 7개 특·광역시에 속한 지방자치단체 81개의 특성과 지방재정책임성과의 관련성을 실증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가설 6개를 설정하여 재정책임성(Accountability)을 검증하였고 추가분석을 통하여 재정책임성의 하부구조인 건전성(Sustainability), 효율성(Efficiency), 투명성(Transparency)을 분석하여 가설검증을 보완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 지역적 특성은 재정책임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분석결과, 지역적 특성의 대용변수인 서울소재여부(ISE)의 회귀계수는 유의한 음(-)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적 특성은 재정책임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 1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가설 2. 인구적 특성은 재정책임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분석결과, 인구적 특성의 대용변수인 인구수(POP)의 회귀계수는 유의한 양(+)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구적 특성은 재정책임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 2를 지지하는 결과이다. 가설 3. 경제적 특성은 재정책임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경제적 특성의 대용변수인 재정자립도(SELF)는 유의미한 양(+)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제적 특성도 재정책임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 3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가설4. 사회적 특성은 재정책임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사회적 특성의 대용변수인 고령인구비율(OLD)은 유의한 양(+)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적 특성은 재정책임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 4를 지지하는 결과이다. 가설5. 정치적 특성은 재정책임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정치적 특성의 대용변수인 여당여부(RULE_PARTY)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가설 5는 기각한다. 가설6. 지방자치단체장의 선거시점은 재정책임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정치적 특성의 대용변수인 선거시점(ET)은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6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책임성(Accountability)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결정 및 관리에서 고려해야 할 다양한 요인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지방소비세 도입효과 분석 : 재정 효율성과 지역 간 형평성을 중심으로

        오동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52

        This study attempts to disclose the effects of local consumption tax introduced in 2010. The new tax was designed to improve the financial efficiency and inter-regional fiscal equality. The research tests them and suggests policy issues for the amendment of local consumption tax system. Chapter 2 contains some theoretical issues of local consumption tax and reviews the theoretical basis of local consumption tax, the concept of financial efficiency and inter-regional fiscal equality. Chapter 3 designs the analytical framework for the effects of local consumption tax and set up a series of hypothesis for effective tests. The empirical study on financial efficiency and inter-regional fiscal equality of local consumption tax follows the analytical framework with regard to local tax revenue and its financial structure.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SPSS(win18.0) and RM ANOVA was employed to measure policy effect of local consumption tax and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effects among those regions. Additionally, the paired sample t-test was proceeded to measure policy effect by regions and in-depth interview was carried out with the help of the public officials in charge and experts. Chapter 4 collects set of studies with empirical analysis, in-depth interview, and comparative studies with abroad. The result from the empirical study is as follows: Firstly, in terms of financial efficiency, the proportion of local tax revenue to the total budget increases and the downtrend of the local financial independence rate moderates due to the introduction of local consumption tax. Secondly, in therms of inter-regional fiscal equality, local tax amount per local resident, the proportion of local tax revenue to GRDP, and transfer revenue per local resident increase solidly in the statistics. The result from the in-depth interview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ose participants evaluate the timing of introduction of the new tax and the ends of the local consumption tax positively. Secondly, they evaluate there are some positive contributions of imposing the local consumption tax system following expansion of independent revenue on the list are financial balance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fiscal decentralization, and structural change of local tax revenue. Thirdly, most of the participants urge the expansion of local consumption tax revenue and the improvement of distribution criteria in local consumption tax revenue. To put it concretely, they propose local consumption tax revenue be increased to OECD level and the distribution criteria reflect the following principle, i.e., local consumption tax should be levied at the region where the consumption made. Finally, those interviewee answered on their interest with regard to the improvement of weighting method, which is supposed to influence the size of the Regional Synergetic Development Fund. In the part of foreign case study, tax structure of OECD countries and institutional reform trends are compared and the policy implications are generated. And also the possibility of reform is presented variously through the analysis of local consumption tax system and its policy effect in Japan,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Chapter 5 draws policy implication and improvement. The policy implications are the policy goal reset required for improving the financial efficiency, establishment of the medium-and long-term development plan of local finance, construction of the collaboration system across the government. This study suggests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gradual expansion of local consumption tax revenue, development of macroscopic distribution criteria, set the macroscopic policy goal of local finance, adjustment of weighted value by regions, abolition or expansion of Regional Synergetic Development Fund, and introduction of horizontal Intergovernmental Grants. The research reviews the domestic and foreign theory related to local consumption tax and analyzes the policy effects of local consumption tax in terms of financial efficiency and inter-regional fiscal equality. Especially,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with the public officials in charge and experts the study analyzes the overall policy effects and suggests the policy implications and improvement of local consumption tax system. Consequently the study contributes to reform of local consumption tax system.

      • 지방정부 성과주의예산제도 효과성 제고를 위한 제도 운영실태 연구

        심의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0

        본 연구는 성과주의 예산제도의 도입 및 운용 현황을 검토하고 더 나아가 실제로 제도의 도입이 지방자치단체의 조직성과를 제고시키는데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향후 지방자치단체의 성과주의 예산제도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성과주의 예산제도에 대하여 이론적 접근을 통해 성과주의 예산제도의 개념 및 주요내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론적 기초를 근간으로 현재 성과주의 예산제도를 도입하고 있는 전라북도의 예산운영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어온 지방자치단체의 성과주의 예산제도를 제도 도입의 목적 달성도 제도 운영체계상의 특성, 행정 관리 측면 세 가지로 구분하여 검토하고, 그 효과성을 평가하며 성과주의 예산제도의 개선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 번째로, 성과주의 예산제도 목적 달성도 측면 검토 결과, 전라북도는 예산편성 과정에서 BSC직무성과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내부지침 등을 활용하여 업무 전반에 대한 책임을 강화하고 예산절약을 목표로 예산지출의 효율성을 도모해 온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직무성과체계와 예산성과체계의 연계를 통해 효과적으로 조직성과를 제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제도 운영체계 측면 검토 결과, 전라북도는 Top-down cascading 방식을 활용하여 성과목표들을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사업단위 예산편성 및 집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라북도의 경우 예산관리체계에 대한 자체적인 내부지침이 존재하지 않지만, BSC직무성과체계를 활용하여 도정 전반을 상당히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 행정관리 측면의 경우, 전라북도는 성과보고 결과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내년도 예산의 성과계획서 작성에 대해 전문가가 코칭하는 과정을 통해 직무성과평가 지표와 예산성과가 적절하게 연계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전라북도 현안이나 공약 등이 주요한 예산 성과지표로 반영되어 설정되도록 고도화 하여 이후 예산의 성과보고서 분석을 통해 예산 편성 및 집행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는 기제를 마련하였다. 이상 사례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도출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도정을 살펴보며 장기적으로 평가·자문을 제공할 있는 지역사회의 전문 연구 인프라를 구축하고, 제도 운영 및 평가에 방향성을 제공하는 타당한 내부 지침을 개발하여야한다. 둘째, 직무성과관리체계와 예산운영체계를 유기적으로 연계하기위해 성과계획서의 성과목표와 사업예산의 정책사업을 명확하게 연계시켜 편성하여야 한다. 셋째, 예산 성과보고가 단순한 부서별 성과지표 분석을 넘어 고도화 되어 평가 결과가 공개함으로써 예산 편성 및 집행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는 기제를 마련하여야 한다. 넷째, 성과목표(정책사업)와 성과지표(단위사업)를 적절히 연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로 부서에서 수행하는 예산사업에 기초하여 실·과별 전략목표가 설정되고 이에 따라 하위 정책목표와 성과지표가 설정되었는지 그 체계를 세심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직무성과평가 시스템에 입력한 성과지표의 목표와 실행과제가 e-호조 시스템에서 성과지표 및 단위사업으로 자동적으로 추출되는 방향으로 e-호조 시스템 고도화를 강구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the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the performance-based budget system, and further studies whether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has had an effect on improving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local governments. Therefore, the concept and main contents of the performance-based budget system were examined through a theoretical approach to the performance-based budget system. Based on the theoretical basis, I analyzed a case analysis of the budget operation of Jeollabuk-do, which currently operates a performance-based budgeting system. The performance-based budget system of local governments was reviewed by dividing into three categories: achievement of the purpose of introducing the system,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on system, and administrative management. In addition, the study attempted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and examine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based budget system. first,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achievement level of the performance-based budget system objectives, Jeollabuk-do reinforced responsibility for overall work by utilizing the results of BSC performance evaluation in the budget planning process and utilizing internal guidelines. In addition, it was evaluated that the efficiency of budget expenditure was promoted with the aim of saving the budget. Also, it was found that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effectively improved by linking the BSC performance system and the budget performance system. Second, as a result of the review of the operation system, it was found that Jeollabuk-do uses the top-down cascading method to establish a business plan in detail and organize and execute a budget for each business unit in order to achieve performance goals. In the case of Jeollabuk-do, there is no internal guideline for the budget management system, but it is evaluated that the province is systematically managed overall by utilizing the BSC performance system. Lastly, in the aspect of administrative management, Jeollabuk-do reviewed the results of the performance report, and based on this, an expert coached the preparation of the performance plan for the next year's budget so that the job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 and the budget performance could be properly linked. That is, Jeollabuk-do's pending issues and pledges were reflected on major budget performance indicators. Afterwards, Jeollabuk-do utilized the budget performance report as a mechanism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budget formulation and execution. The policy implications derived based on the above cas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rofessional research infrastructure in the local community that can analyze the province as a whole and provide long-term evaluation and consultation, and develop appropriate internal guidelines that provide direction for system operation and evaluation. Second, in order to organically link the job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nd the budget operation system, the performance target of the performance plan and the policy project of the project budget must be clearly linked and organized.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echanism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budget formulation and execution by making the budget performance report advanced beyond simple analysis of performance indicators for each department, and the evaluation results are disclosed. Fourth, it is important to properly link performance goals (policy projects) and performance indicators (unit projects).In fact,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analyze whether the strategic goals for each department have been set based on the budget project carried out by the department, and whether subordinate policy goals and performance indicators have been set accordingly. Lastly, it is necessary to advance the e-hojo system in a direction in which the goals and tasks of the performance indicators entered in the BSC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can be automatically extracted as performance indicators and unit projects from the e-hojo system.

      • 재정분권 정책이 지방재정에 미치는 영향분석 : 지방재정 건전성, 지방재정 효율성을 중심으로

        김상길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2447

        본 연구의 목적은 민선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현 정부까지 계속 추진되어 오고 있는 지방재정 분권정책이 지방재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것으로 지방재정 건전성과 지방재정 효율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지방재정 분권정책을 논의할 때 주요 당사자는 국가재정을 대변하는 기획재정부, 지방재정을 대변하는 행정안전부, 지방 4대 협의체 그리고 국무조정실, 외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다. 재정분권 정책에 대한 각 정부의 대통령 공약사항에도 불구하고 재정분권 정책을 논의할 때 빠지지 않는 논쟁은 지방자치단체는 재정운영의 건전성과 효율성이 낮은 경우가 많아 명분 없는 지방재정 확대정책은 국가 전체적으로 예산 낭비 사례로 연계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중앙정부에서 바라보는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낭비적인 우려가 개선되고 있어 향후 지방재정 분권 정책을 논의하고 시행할 때 지방재정의 건전성, 효율성을 담보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재정분권은 지방자치단체 스스로 재정확대 정책을 법·제도화 하고 중앙정부 권한과 역할을 지방자치단체에 이양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재정확대 정책으로 실질적으로 지방재정이 늘어나는 것과 아울러 제도적인 측면에서 지방자치단체 스스로 자기 결정권을 늘려주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재정분권 정책에 관한 본 연구의 이론적 바탕은 Tiebout 가설과 Oates의 재정 분권화 이론이다. 지방재정의 건전성과 지방재정의 효율성 분석에는 행정안전부와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이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지방재정 분석제도의 재정 건전성 및 재정 효율성 지표 중 4개 지표를 활용하였다. 이는 과거 15년 동안 지방재정 건전성과 지방재정 효율성을 대표하는 지표로 꾸준히 활용되고 장기간 유지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는 재정분권에 관한 연구, 재정분권 정책과 지방재정 건전성, 재정분권정책과 지방재정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지방재정 건전성에 대한 선행연구는 재정분권의 수단과 지표개발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지방재정 효율성에 대한 선행연구는 세출관련 주요경비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종합적인 의견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효율성은 개선되고 있고 재정분권 정책은 지방교부세 확대보다는 지방세 확대가 바람직하다는 연구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수로 지방세와 지방교부세를 적용하였으며, 종속변수로는 지방재정 건전성과 지방재정 효율성을 설정하였다. 지방재정 건전성 측정지표는 채무잔액지수와 경상수지비율로 하고, 지방재정 효율성 측정지표는 민간이전경비 비율과 행사축제경비 비율로 하였다. 통제변수로는 인구수, 도시인구비율, 지방자치단체 수, 재정자립도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변수를 활용하여 설정한 가설은 “지방세액이 높을수록 지방재정 건전성과 효율성은 높아질 것이다”와 “지방교부세액이 높을수록 지방재정 건전성과 효율성은 낮아질 것이다”라고 제시하였다. 또한,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지방재정 효율성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실증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지방세 총액이 지방재정의 건전성 측정의 지표인 지방채무 잔액지수에 미친 영향을 확인하였다. 가설을 제기한 “지방세 총액이 높을수록 지방채무잔액 지수는 낮아질 것이다”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지방세 총액에 따른 지방채무 잔액지수는 지방세 총액이 증가하면 지방채무 잔액지수도 증가한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가설의 내용에 부합되지는 않았지만 지방세 증가에 따라 지방재정의 확장적 재정정책을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둘째, 지방세 총액과 지방교부세 총액이 경상수지 비율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가설을 제기한 “지방세 총액이 높을수록 경상수지 비율은 낮아질 것이다”이다. 분석결과 지방세 총액이 높을수록 경상수지 비율은 낮아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재정분권 정책에 따라 지방세 총액이 증가하더라고 지방재정의 건전성이 훼손되지 않는다“라는 가설의 내용과 일치하는 것으로 지방자치단체의 건전성을 우려하는 목소리를 어느 정도 해소하는 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셋째, 지방세 총액, 지방교부세 총액이 민간이전경비 비율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가설은 “지방교부세 총액이 높을수록 민간이전경비 비율은 높아질 것이다”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지방교부세 총액이 높을수록 민간이전경비 비율은 높아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마지막으로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효율성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은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에서는 민간이전경비 비율이 증가하였을 것이다”에 대한 분석결과는 이명박 정부에서 노무현 정부에 비해 민간이전경비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지방세와 경상수지비율에서는 지방세가 증가하면 경상수지비율은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지방교부세와 경상수지 비율은 지방교부세가 커지면 경상수지비율은 감소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이는 지방자치단체 스스로 사용하는 세입의 증가함에도 경상수지 비율이 낮아지는 결과는 지방자치단체가 전체적으로 건전하게 운영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결과인 것이다. 지방세 비중이 높을수록 민간이전경비 비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등 지속적인 제도개선을 통해 민간이전경비에 대한 제한을 두는 제도개선을 실시한 결과로 판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자주재원이 증가하면 민선 지방자치단체장의 선심성 경비는 증가할 가능성이 더 많지만 지방재정법령 등 지방재정의 건전성과 효율성을 유지하기 위한 지방교부세 페널티 제도, 예산낭비 감시활동, 보조금 부정수급 억제대책 등 다양한 정책효과로 기인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fiscal decentralization policy, which has been promoted continuously since the implementation of local autonomy system, on local finance focusing on the local fiscal soundness and efficiency. The main parties for the discussion on fiscal decentralization include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that represents the national finance,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that represents the local finance, top 4 regional councils,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and outside experts. Despite the president’s commitment to fiscal decentralization policy of each administration, there has been discussion with the argument that the policy to expand local finance without justifiable reasons could lead to waste of budget across the nation with lower fiscal soundness and efficiency of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aims to show that This study aims to show that the soundness and efficiency of local finance are assured for the future discussion on fiscal decentralization as the concerns over the waste of local governments by the central government are being addressed. Fiscal decentralization is the system where local governments legalize and institutionalize fiscal expansion policy by themselves and the authority and roles of the central government are transferred to local governments. This concept includes the actual increase in local finance with fiscal expansion policy and increased self-determination power from the institutional perspective. The theoretical basis of this study on fiscal decentralization is Tiebout hypothesis and Oates’ fiscal decentralization theory. For the analysis on the soundness and efficiency of local finance, 4 indicators from fiscal soundness and efficiency indicators used for the local finance analysis jointl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nd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ocal Administration were used. This study took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se indicators have been utilized and maintained for 15 years as a representative figures for soundness and efficiency of local finance.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was divided into studies on fiscal decentralization, policies on fiscal decentralization and soundness of local finance and study on the analysis of fiscal decentralization policy and efficiency of local finance. The previous studies on the soundness of local finance can be divided into the means of fiscal decentralization and indicator development. Previous studies for the efficiency of local finance were analyzed based on major expenditures. Overall,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fiscal efficiency of local governments has increased and expansion of local tax is more desirable than expansion of local share tax for fiscal decentralization policy. In this study, local tax and local share tax were appli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soundness and efficiency of local finance were applied as a dependent variable. The indicators to measure the soundness of local finance were debt balance index and current account ratio while the indicators to measure the efficiency of local finance were the share of fund transferred to the private sector and the ratio of expenses for festivals and events. The population size, ratio of urban population, the number of local governments and degree of fiscal independence were control variables. The hypotheses established using this variables were “the higher the local tax amount, the higher the local fiscal soundness and efficiency.” and “the higher the local share tax, the lower the local fiscal soundness and efficiency.” In addition, the hypothesis that there is difference in local fiscal efficiency between Roh Moo-hyun government and Lee Myung-bak government. The results of examination confirmed first that the total amount of local tax had an impact on the local debt balance index, which is an indicator of measuring local fiscal soundness. The verification was done for the hypothesis “the higher the total amount of local tax, the lower the local debt balance index.” It is found that the local debt balance index related to the total amount of local tax increases with the increase in total local tax amount. This did not correspond to the hypothesis, but it can be judged that the expansionary fiscal policy of the local finance is shown with increase in local tax. Seco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impact of total amount of local tax and local share tax on the current account ratio. The hypothesis presented was “the higher the total amount of local tax, the lower the share of account balanc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it is estimated that the higher the total amount of local tax, the lower the current account ratio. This is in line with the hypothesis “even though the total amount of local tax increases as a result of fiscal decentralization, local fiscal soundness is not damaged”. This results can ease the concerns on the soundness of local finance to some extent. Third, the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mpact of the total local tax amount and local share tax amount on the share of expenses transferred to the private sector. The hypothesis “the higher the local share tax, the higher the share of fund transferred to the private sector”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it is estimated that the higher the total amount of local share tax, the higher the ratio of fund transferred to the private sector. Finally,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hypothesis that there is difference in efficiency between Roh Moo-hyun government and Lee Myung-bak government. The hypothesis was “the share of fund transferred to the private sector increased during the period of Roh Moo-hyun government and Lee Myung-bak governmen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fund transferred to the private sector increased during Lee Myung-bak government compared to Roh Moo-hyun governmen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higher the local tax amount, the lower the current account ratio. The higher the local share tax, the lower the current account ratio. The results of lower current account ratio even with increase in tax income of the local governments indicate that overall, the local governments are managing finance in a sound manner. It is also found that the higher the share of local tax and local share tax, the lower the ratio of fund transferred to the private sector.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results of improving institution that puts limit on the fund transferred to the private sector through continuous institutional improvement by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and Ministry of Interior and Safety. Normally, it is more likely that the expenses to win hearts of local people to be spent by head of local governments will increase as the local financial resources increase. However, the analysis results are judged to be the effects of various policies such as local fare tax penalty systems to maintain local fiscal soundness and policy such as laws on local finance, activities to monitor budget waste and measures to prevent illegal receipt of subsi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