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울증 환자 집단에서 비자살적자해가 자살시도에 미치는 영향 : 습득된 자살잠재력과 자살욕구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초롱 성균관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831

        This study examines integrative effects of non-suicidal self-injury,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and suicidal desire on suicide attempt among psychiatric patients who have depressive symptoms. Suicide is a pathological behavior that requires caution as once it is accomplished, the result cannot be undone. Prevention of suicide is especially important in Korean society as it has particularly high suicide r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on-suicidal self-injury and suicide attempt through the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and suicidal desire, which are the concepts proposed in the interpersonal psychological theory, the latest theory of suicide. According to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non-suicidal self-injury, which refers to self-injurious behavior without the intention of suicide, is one of the most robust risk factors for suicide. Non-suicidal self-injury is known as a pathologic behavior which can strengthen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 an ability required for lethal suicide attempt. When sensitivity for pain and distress is habituated through repeated non-suicidal self-injury, the possibility for suicide attempt can be increased. However, not all of those with high level of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actually attempt suicide. One of the main hypothesis of interpersonal psychological theory for suicide is that a fatal suicide attempt is only possible when suicidal desire, an active desire to die of suicide, and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both increase. However, despite the need to examine both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and suicidal desi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on-suicidal self-injury and suicide attempt, there have been only few studies that have integrated the two. For this study, a total 91 psychiatric patients who have depressive symptoms completed self-report inventories, pressure algometer, and structured interview to assess non-suicidal self-injury,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suicidal desire and the number of lifetime suicide attempts. The variables which can affect suicide attempts such as sex, smoking, depressive symptom are also assessed to be computed as covariat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s, and subsequently in moderated mediation model using PROCESS macro. As a result, non-suicidal self-injury was shown to significantly predict suicide attempt through pain tolerance mediator, one of the subcomponents of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Non-suicidal self-injury, however, did not significantly predict another subcomponent, fearlessness for death. Furthermore, suicidal desir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in tolerance and suicide attempt significantly. In other words, the effect of pain tolerance on suicide attempt was strengthened when suicidal desire was high. As a final step, a moderated mediation model which contains non-suicidal self-injury,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suicidal desire and suicide attempt was analyzed. Pain tolera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on-suicidal self-injury and suicide attempt when suicidal desire is high but not when suicidal desire was low. Mentioned results were still significant after computing smoking and depressive symptoms as covariates. Based on abov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비자살적자해, 습득된 자살잠재력 그리고 자살욕구가 우울증 환자들의 자살시도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검증하였다. 자살은 여타 병리와 다르게 완수될 경우 돌이킬 방법이 전혀 없다는 점에서 주의가 요구되는 병리적 행동으로, 자살률이 높은 한국사회에서는 그 예방적 중요성이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그간 다양한 이론들이 자살을 설명하기 위해 주력해왔으며, 본 연구는 자살에 대한 최신 이론인 대인관계적심리이론에서 제안된 개념인 습득된 자살잠재력과 자살욕구를 통해 비자살적자해와 자살시도 간의 관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비자살적자해는 자살과 달리 자살의도가 없이 이루어지는 자기상해적 행동으로, 수많은 연구들에서 비자살적자해가 자살에 대한 강력한 위험요인이라는 것을 밝힌 바 있다. 비자살적자해는 치명적인 자살시도에 요구되는 능력인 습득된 자살잠재력을 높일 수 있다고 알려진 대표적인 행동 중 하나로, 선행연구에 의하면 비자살적자해를 반복함으로써 고통과 두려움에 둔감해질 경우, 자살시도를 실시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그러나 높은 수준의 습득된 자살잠재력을 가진 이들이 모두 자살시도를 하는 것은 아니며, 이론에 의하면 치명적인 자살시도는 습득된 자살잠재력에 더불어 자살로 죽고자하는 능동적인 욕구를 의미하는 자살욕구 또한 높아졌을 때 비로소 가능하다. 그러나 비자살적자해와 자살시도 간의 관계에서 습득된 자살잠재력과 자살욕구를 모두 살펴보아야 할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검증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울증상을 경험하고 있는 정신과 환자군 91명을 대상으로 비자살적자해, 습득된 자살잠재력, 자살욕구, 자살시도 횟수를 자기보고식 질문지와 압통계, 구조화된 면담을 통해서 측정하였다. 자살시도 횟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알려진 성별, 흡연, 우울증상 등의 정보 또한 함께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한 매개모형과 조절모형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조절된 매개모형의 검증을 위해 PROCESS 매크로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비자살적자해는 습득된 자살잠재력의 하위요인인 죽음에 대한 두려움의 감소를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했던 반면, 또 다른 하위요인인 통증인내력 매개를 거쳐 자살시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통증인내력이 자살시도를 예측하는 데 있어 자살욕구의 수준이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였다. 즉, 자살욕구가 높을수록 통증인내력이 자살시도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하였다. 비자살적자해와 통증인내력, 자살욕구 그리고 자살시도를 모두 포함한 통합적 모형에 대한 조절된 매개분석 결과, 비자살적자해가 통증인내력 매개를 거쳐 자살시도를 예측할 때, 자살욕구가 통증인내력이 자살시도로 이어지는 경로를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자살시도와 유의한 상관을 나타낸 흡연과 우울 공변인의 효과를 통제한 이후에도 마찬가지로 유의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비자살적자해가 자살시도의 횟수를 높이는 데 있어 습득된 자살잠재력과 자살욕구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 지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기제는 그간 자살에 대한 위험요인으로 알려진 우울증상의 수준을 통제한 이후에도 유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이론적, 임상적 의의를 논하였다.

      • 청소년기의 인지적 몰락 및 이상-현실 괴리와 자살욕구와의 관계

        양소영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828

        The purpose of ths study is to find out the direct and/or indirect effect of the cognitive deconstruction and the ideal-reality discrepancy, among various reasons, to the suicide in the adolescent period, In addition, this treatise will cover the interactive effect of the above discribed two reasons to the suicidal desire. Sample for this study is 872 highschool students in Chollabuk-do. The measurements of the cognitive deconstruction is made by using the scale for escape from self of Shim, Min Sub which is based on Baumeister theory. And for the ideal-reality discrepancy, two aspects, the characteristic and the capability is being considered. Particularly in connection with the characteristical aspect, refering to the study of Lee, Eun Young, making 27adverbs and/or adverb phrases from University students, new model for highschool studyents was made and used for the measurement. Using the model of Shin, Min Sub, developing Beca's scale for suicidal Ideation, the suicidial desire was measured. The statistical procedures adopted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included correlation(Pearson's Product -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MANOVA and stepwise diseriminant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the study shows that every case of the cognitive deconstruction of the adolescent is highly correlated to the suicidal disire. In case of the cognitive deconstruction, passive attitude to life increases a desire of suicide and in the suicidal desire, negative attitude and positive attitude of suicidal desire increase cognitive deconstruction. And in most case, the possibility of female students to suicide desire is much bigger than that of male student. Second, the influnce of the ideal-reality discrepancy to suicide desire is found to be lower than that of the cognitive deconstruction. In view of the frecast parameter of the ideal-reality discrepancy indicating the rate of suicidal desire, male studyents are mostly affected by the discrepancy in school work achievemnet, while female students are influenced by the discrepancy of such characteristical factor as effort/affection to the life. altruism, faithfulness and so on. And in the suicidal desire, male students are easily affected by the ideal-reality discrepancy. Third, the relationship among the cognitive deconstruction of adolescent, the gap of idea-reality, and sucidal desire show high interaction effect on negative attitude of the suidical desire, prepare aspect of suicidal desire and reality satisfaction, attachment discrepancy of the life. In addition, cognitive deconstruction as more influence on the sucidial desire compared with the ideal-reality discrepancy.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자살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수많은 요인들 - 즉 우울증, 공격성, 충동성, 열등감, 왜곡된 자아상 등의 심리적 장애 그리고 부모의 양육태도와 같은 가정환경변인이나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와 같은 학교환경변인, 인지적 몰락이나 이상-현실 괴리, 부적절한 정신상태 등- 중에서 우울증이나 공격성과 같은 변인들은 그동안 자살과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인지적 몰락이나 이상-현실 괴리 요인과 같은 기타 변인들과 자살과의 관계를 연구한 것은 그리많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는 인지적몰락과 이상-현실괴리 두요인을 선택하여 자살욕구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어느 요인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적적으로 청소년기의 자살욕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려고 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변인이 별개로 자살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것보다는 두변인이 동시에 자살욕구에 영향을 미칠때 더 큰 상관이 있을거라 예측하고, 일방적으로 한 방향에서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양방향에서 영향을 미칠 때 즉 상호작용을 할 때 더욱 높은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라 가정했기 때문에 인지적 몰락과 이상-현실 괴리가 자살욕구에 어떠한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대상은 전북에 소재한 고등학교 1,2,3학년 남녀 학생 총 8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측정도구로서는 인지적 몰락을 측정하기 위해 Baumeister(1992)의 이론에 입각하여 신민섭(1992)이 제작한 자기도피 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이상-현실 괴리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두가지 차원, 즉 성격적인 차원과 능력적인 차원을 고려하였는데, 우선 성격적 차원에서의 척도는 이은영(1990)이 대학생을 대상으로 27개의 형용사 혹은 형용사구를 제작한 것을 본 연구자가 고등학생들에게 적합하도록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살욕구에 관한 측정도구는 Beck의 자살생각척도를 신민섭(1990)이 변형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반된 자료의 통계분석은 SAS프로그램을 이용하였는데, 인지적 몰락 및 이상-현실 괴리와 자살욕구와의 관계를 Pearson 상관계수, 정준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 분석 그리고 다변량 분석을 이요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각각의 세 변인-인지적 몰락, 이상-현실괴리, 자살욕구-의 각 하위영역은 다음과 같다. 인지적 몰락에 있어서 각 하위영역은 세 영역으로 즉 현실안주, 수동적 삶의 자세, 현실도피 영역으로 용인분석을 통해 나왔으며, 이상-현실 괴리에 있어서는 다섯 영역으로 삶에 대한 노력 괴리, 타인배려 괴리, 삶에 대한 애착 괴리, 진실성 괴리(성격적 측면), 학업성취 괴리(능력적 측면) 영역이엇다. 또한 자살욕구에 있어서는 네 영역으로 자살에 대한 소극적 태도, 자살에 대한 적극적 태도, 자살에 대한 준비, 자살 가능성 영역으로 요인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인지적 몰락의 전 영역과 자살욕구의 전영역은 높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몰락 척도의 경우는 수동적 삶의 자세영역이 자살욕구에 영향을 미쳤고, 자살욕구의 경우는 자살에 대한 소극적 태도와 적극적 태도영역의 영향력이 높았다. 그리고, 자살가능성의 영역의 경우는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의 영향력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상-현실 괴리의 경우 자살에 대한 영향력은 인지적 몰락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욕구를 예측하는 이상-현실 괴리의 예측변수를 보면, 남학생의 경우는 능력적 차원의 학업성취 괴리 영역의 영향력이 컸지만 여학생의 경우는 삶에 대한 노력 괴리나 타인배려 괴리, 삶에 대한 애착 괴리, 진실성 괴리 등 성격적 차원의 영향력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그리고 자살욕구영역의 경우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이상-현실 괴리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인지적 몰락 및 이상-현실 괴리와 청소년의 자살욕구와의 관계는 자살에 대한 소극적 태도, 자살에 대한 준비영역에 있어서 현실안주와 삶에 대한 애착괴리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자살에 대한 소극적 태도 영역에 있어서, 현실안주가 높고 삶에 대한 애착 괴리도 높은 경우에는 자살에 대한 소극적 태도 영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삶에 대한 애착 괴리가 높아도 현실안주가 낮으면 자살에 대한 소극적 태도 영역 역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삶에 대한 애착 괴리가 낮아도 현실안주가 높으면 자살에 대한 소극적 태도는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뿐만아니라, 자살에 대한 준비 영역에 있어서도 자살에 대한 소극적 태도 영역에서 나온 결과와 같았다. 또한 자살욕구에 대한 영향력은 이상-현실 괴리보다는 인지적 몰락이 큰것으로 나타나 전자보다는 후자가 더 높은 상관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 육군 초급간부의 좌절된 대인관계욕구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연구

        추성엽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2446

        As seen in the recommendation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to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ce on Sep 1, 2020, the extreme choice of junior leaders continues to increase. As countermeasures, various suicide prevention programs, mandatory education of suicide prevention, and mandatory counseling for junior leaders by professional counselors are implemented, but problems are raised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of systems. In addition, the current military organization are facing new challenges such as a decrease in military resources due to the decrease in population, a shift from conscription system to volunteer military system, increased relative deprivation of junior leaders in the process of the military culture innovation and increased fatigue due to COVID-19.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sent a theoretical plan to prepare countermeasur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exact cause of the suicide rate increase problems of junior leaders. Through previous studies, interpersonal needs, future time perspective,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were selected as variables that influence suicidal ideation, and a hypothesis was established on how the process affects suicide ide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on suicide ideation of junior leader in Army. In this process, it was attempted to confirm whether the future time perspective acts as a mediating factor between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and suicidal ideation and whether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has a moderating effect. A questionnaire was created using the scales of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suicidal ideatio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A total of 512 members of the Army TRADOC students and junior leaders working in the field were surveyed, and the collected results were used for analysis. Here, the junior leader refers to the staff sergeant, sergeant first class, second lieutenant, first lieutenant, and captain.. In this study, rank, unit, MOS (military occupational specialities), affiliation, marital status, children’s existence, and final academic background were checked in order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officers and NCO(non-commissioned officer)s within 4 years after commission. To confirm the correlations, mediating effects and moderating effects between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suicidal ideatio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PROCESS macro model 5 were used for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Bootstrap was used for verifying the control effects and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suicidal ideatio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showed correlations. Suicidal ideation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future time perspective and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It was found that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future time perspectiv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It was found that the future time perspectiv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This shows the possibility that improvement of future time perspective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can contribute to reducing suicidal ideation. Also, the regulation of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is related to the regulation of suicidal ideation. Seco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the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influenced the future time perspective and suicidal ideation. This indicates that as the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increases, the future time perspective decreases, and it means that the fulfillment of the interpersonal needs can positively improve the prospect for the future.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increase of the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has an effect on the increase of suicide accidents. In addition,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the future time perspective had a negative effect on suicidal ideation. Considering these results, it shows the possibility of reducing the risk of suicide by improving the future time perspective through the improvement of a positive future outlook. Thir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This shows that suicide accidents are likely to be affected by external and future-oriented factors such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future prospects, but less by internal factors. This means that external frustrations and pessimistic outlooks for the future have a greater impact on suicide than self-awareness. The same was found in the results of a study on adolescents from Seo (2011) and military soldiers from Shim (2017). Fourth,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future time perspective acts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and suicidal ideation. This shows a linear relationship in which the future time perspective is improved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and through this, the suicidal ideation is reduced.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of reducing suicidal ideation is greater by improving the future time perspective rather than directly affecting suicidal ideation through improvement of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This means that in the process of improving the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to improve the future time perspective, suicidal ideation is also reduced, resulting in a positive double effect. Fifth, the moderating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and suicidal ideation. This shows that although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does not directly affect suicidal ideation independently, it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uicidal ideation if it works with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when controlling suicide accidents, it is more effective to improve the external factors together that affect the target beyond personal problem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some but not the entire military organization and found that despite gender differences and various limitations of cross-sectional investigations,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future time perspective,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were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In solving the suicide problem, it was found that it was possible not only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internal factors of the individual but also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relational aspect of the individual. This study was conducted only for junior leaders, but it seems that the intervention and responsibility at the organizational level beyond the individual level are also required for the soldiers. In order to prevent suicide and solve problems in military organiz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be reflected in the cause of analysis and current education contents,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elp establish military policy and improve suicide-related systems in the future. 국방부에 대한 인권위의 권고(2020.9.1)에서 보듯이 초급간부들의 극단적 선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른 대책으로 각종 자살예방 프로그램과 자살예방교육 의무화, 병영생활 전문상담관에 의한 초급간부 집단상담 의무제등이 실시되고 있으나 각종 제도의 실효성 측면에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 밖에도 현재 군 조직은 인구 감소에 따른 병역 자원의 감소, 다문화장병의 군 입대, 징병제에서 모병제로의 전환 논의, 병사 위주로 진행되는 병영문화혁신 과정에 대한 초급간부들의 상대적 박탈감과 코로나로 인한 피로감 증가 등의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따라서 초급간부들의 자살률 증가 문제의 정확한 원인 파악을 위해서는 대응책 마련을 위한 이론적 방안 제시가 필요하다. 선행연구를 통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대인관계욕구, 미래지향 시간관,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선정하였고, 자살생각에 어떠한 과정으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육군 초급간부의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함이다. 이 과정에서 미래지향 시간관이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와 자살생각 사이에서 매개요인으로 작용하는 것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에서 확인된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 자살생각, 미래지향 시간관,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육군 교육사 예하 병과학교 교육생과 야전에서 근무하는 초급 간부 중 총 51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결과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여기서 초급간부란 하사 중사 소위 중위 대위의 계급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는 임관 후 5년 이내 장교 및 부사관을 대상으로 그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서 계급, 부대, 병과, 성별, 소속, 결혼여부, 자녀유무, 최종학력을 확인하였다.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 자살생각, 미래지향 시간관, 무조건적 자기수용 척도 상호간의 상관관계, 매개효과,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요인분석, 상관분석을 위해 PROCESS macro model 5를 이용하였고 조절효과와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랩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 자살생각, 미래지향 시간관, 무조건적 자기수용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살생각은 미래지향 시간관,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와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지향 시간관은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래지향 시간관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향상이 자살생각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무조건적 자기수용은 미래지향 시간관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와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의 조절이 자살생각을 조절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가 미래지향 시간관과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가 증가할수록 미래지향 시간관이 감소한다는 것을 나타내며 대인관계 욕구의 충족이 미래에 대한 전망을 긍정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의미이다. 또한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의 증가가 자살사고의 증가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 더해서 미래지향 시간관이 자살생각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볼 때 긍정적인 미래 전망의 향상을 통해 미래지향 시간관을 개선하여 자살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셋째, 무조건적 자기수용은 자살생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이는 자살사고가 대인관계나 미래에 전망과 같은 외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요소에 영향을 받지만 내면적인 요소에 영향을 덜 받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외부로부터의 좌절과 미래에 대한 비관적 전망이 자기 스스로에 대한 인식보다 자살에 더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서미아(2011)의 청소년과 심태경(2017)의 군 병사 대상 연구결과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넷째, 미래지향적 시간관이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와 자살생각의 사이에서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를 개선하는 것을 통해서 미래지향적 시간관이 향상되고 이를 통해서 자살생각이 감소하는 선형관계를 보여준다. 따라서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의 개선을 통해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보다 미래지향 시간관을 함께 개선함으로서 자살생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미래지향 시간관의 개선을 위해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를 개선하는 과정에서 자살생각도 감소하게 되는 긍정적인 이중효과를 갖게 된다는 의미이다. 다섯째,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와 자살생각 사이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독립적으로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와 함께 작용하면 자살사고를 개선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자살사고를 조절할 때 개인적인 문제를 넘어서 대상에게 영향을 미치는 외적인 영향요인도 함께 개선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군 조직 전체가 아닌 일부를 대상으로 진행하였고, 성별의 차이 및 횡단적 조사라는 여러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육군 초급간부를 대상으로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 미래지향 시간관,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자살생각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살 문제 해결에 있어 개인의 내적 요인뿐만 아니라 개인이 처한 관계적 측면의 외적 환경 개선을 통해서도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육군의 초급간부만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나, 장병들을 대상으로도 개인적 차원을 넘어 조직적 차원에서의 개입과 책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군 조직 내 자살 예방 및 문제 해결을 위해 본 연구 결과를 원인 분석 및 현재 실시하는 교육 내용에 반영해야 할 것이며, 이 밖에도 향후 군 정책 수립과 자살관련 제도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대학생의 좌절된 대인관계욕구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감사성향의 조절효과

        은숙희 건양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32415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좌절된 대인관계욕구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관계를 감사성향이 조절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남 소재의 4년제 대학교 두 곳의 재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대인관계욕구 질문지(Interpersonal Needs Questionnaire: INQ), 자살생각 척도(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SIQ), 한국판 감사성향척도(Korean Version of Gratitude Questionnaire: K-GQ-6)를 이용하였다. 최종 수집된 총 374명의 자료는 SPSS 21.0을 활용하여 상관분석, 조절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좌절된 대인관계욕구와 하위변인인 짐이 되는 느낌, 좌절된 소속감은 자살생각과 정적상관관계, 좌절된 대인관계욕구(짐이 되는 느낌, 좌절된 소속감)와 감사성향은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감사성향과 자살생각은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좌절된 대인관계욕구와 하위변인인 짐이 되는 느낌, 좌절된 소속감은 자살생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감사성향은 자살생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좌절된 대인관계욕구(짐이 되는 느낌, 좌절된 소속감)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조절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좌절된 대인관계욕구(짐이 되는 느낌, 좌절된 소속감)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감사성향이 완충해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상담 개입 실제에 주는 시사점과 의의,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의 방향들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look at the influence of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on suicidal ideation, and to confirm if gratitude can moderate this relationship.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questionnaire surveys were given to 400 students from two four-year universities in Chungnam. The questionnaire itself was composed of the Interpersonal Needs Questionnaire (INQ), the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SIQ), and the Korean Version of Gratitude Questionnaire (K-GQ-6). A total of 374 participants’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to analyze correlation and control effec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along with its subordinate variable of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a thwarted belongingn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icidal ideation, and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perceived burdensomeness, thwarted belongingness) and gratitude were negatively correlated. Thus, gratitude and suicidal ideat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Second,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along with its subordinate variable of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a thwarted belongingnes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f suicidal ideation, but gratitud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s of gratitude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perceived burdensomeness, thwarted belongingness) and suicidal ideation. Thus, gratitude can buffer the negative impact of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perceived burdensomeness, thwarted belongingness) on suicidal though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 of counseling intervention,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대인관계 욕구를 매개로 한 대인갈등과 청소년 자살사고와의 관계

        김은정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398

        본 연구는 대인갈등이 청소년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대인관계욕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이 세변인들 간의 상관을 알아보고, 각 변인들에서 성별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450명의 중고생들에게 대인갈등의 하위척도인 가족갈등척도, 부모-자녀간 갈등척도, 부부간 갈등척도, 교우갈등척도와 자살사고척도, 대인관계욕구 질문지를 각각 실시하였다. 각 변인에 대한 성별효과는 t검증으로, 대인관계욕구의 매개효과는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대인갈등과 자살사고, 그리고 대인관계욕구는 각각 서로에 대해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교우관계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그리고 대인관계욕구는 대인갈등과 청소년자살사고 사이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자살사고에 대한 대인관계욕구의 역할을 확인함으로써, 대인갈등이 청소년자살사고에 이르는 과정을 세부적으로 밝혔다. 이는 자살사고를 지닌 청소년에 대한 상담에서 ‘대인관계욕구’에 대해 다루는 것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두방법을 기술하였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interpersonal needs as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conflicts and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and investigated the correlations among this three variables. Also, gender effect on the three variables was examined, respectively. For this study, The sample of 331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Family conflict, the peer relation, the korean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 (k-CPIC), parent-children Issue Checklist, Interpersonal, Needs Questionnai(INQ), Scale for Suicide Ideation(SSI). I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interpersonal conflicts,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and the interpersonal needs all had positive correlation among each other. Gender difference also was significant in all three variables. men's score was higher than women's. And,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interpersonal needs was a partial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conflicts and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This study revealed the detailed process between interpersonal conflicts and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by identifying the role of the interpersonal needs. This result suggest importance of dealing with 'the interpersonal needs' in counsel.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대학생의 좌절된 대인관계욕구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자기혐오와 무망감의 이중 매개효과

        진성미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398

        In this study, we sought to confirm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self-hatred and hopelessness in the impact of college students'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on suicidal thoughts. For this purpose, a self-report questionnaire consisting of scales of interpersonal desire, self-hatred, hopelessness, and suicidal ideation was conducted targeting 337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ducting a correlation analysis on frustrat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uicidal thoughts, self-hatred, and hopelessness, it was found that frustrat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uicidal thoughts, self-hatred, and hopelessnes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ouble mediating effect of self-hatred and hopelessness in the effect of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on suicidal thoughts. This showed that frustrat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d an indirect effect on suicidal thoughts through self-hatred and hopelessness rather than a direct effect on suicidal thoughts.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presented.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좌절된 대인관계욕구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혐오와 무망감의 이중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37명을 대상으로 대인관계욕구, 자기혐오, 무망감, 자살사고 척도로 구성된 자기 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좌절된 대인관계욕구, 자살사고, 자기혐오, 무망감에 대한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좌절된 대인관계욕구, 자살사고, 자기혐오, 무망감은 서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좌절된 대인관계욕구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혐오와 무망감의 이중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좌절된 대인관계욕구가 자살사고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보다는 자기혐오와 무망감을 통해 자살사고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대학생 생활스트레스,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좌절된 대인관계욕구 및 자살생각의 구조적 관계

        최우경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32395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Life Stress,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and Suicidal Ideation. (A thesis submitted to the Council of the Graduate Schoo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Doctor of Education in June 2013.) Choi Woo Kyoung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Kim, Jin-Sook)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llege students’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especially the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in Korea using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The presump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two mediator,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may serve as vulnerable factors, thereby facilitating suicidal ideation, based on relevant theory and research. The study included a sample of 534 college students who were in Daegu and Gyeungbuk province. The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Life Stress Scal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cale,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Scale and Suicidal Ideation Scale. When analyzing this data, the study employed statistical terms and method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Cronbach’s alpha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SPSS 18.0 and AMOS 18.0 program; in clarifying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the Sobel’s test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EM an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on the relation between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study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2) Life stress had indirect effects on suicidal ideation mediated by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That is,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can be heightened by life stress and heightene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can be affect suicidal ideation. It means that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s mediating factor between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3) Life stress had indirect effects on suicidal ideation mediated by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That is,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can be heightened by life stress and heightened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can be affect suicidal ideation. It means that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is mediating factor between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4) Life stress affected college students’ suicidal ideation via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This mediation effects also showed up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means that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are mediating factors between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In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acts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in this area were discussed.

      • Cognitive buffers against suicidal desire, suicide preparation, and suicide attempt : reasons for living

        이유리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8 국내석사

        RANK : 232367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otective effect of reasons for living on three subtypes of suicidal behavior that may lie on a continuum: suicidal desire, suicide preparation, and suicide attempt. A total of 277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by completing questionnaires on depression, hopelessness, reasons for living, and suicidal behavio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and a mean comparison through ANOVA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six clusters of reasons for living, Survival and Coping Beliefs had a significant main effect on suicidal desire after controlling for depression and hopelessness. Moral Objections and Fear of Suicide had significant main effects on suicide preparation beyond the effect of suicidal desire. Finally, among participants with greater-than-zero preparation levels, those with history of suicide attempt reported significantly less Survival and Coping Beliefs and Moral Objections than those without such history.The findings in this study suggest that reasons for living may differentially predict various types of suicidal behavior. The implications on suicide risk assessment and prevention strategie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자살행동의 세가지 하위유형 - 자살 욕구, 자살 준비, 및 자살 시도 - 에 대한 여러 가지 삶의 이유의 보호적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총 277명의 대학생이 설문에 참여하여, 우울, 절망감, 삶의 이유, 그리고 자살행동을 측정하는 문항들을 작성하였다. 자료는 위계적 회귀분석과 ANOVA를 통한 평균차 비교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통계분석 결과, 여섯 가지 종류의 삶의 이유 중 생존 및 대처에 관한 믿음이 우울과 절망감의 주효과를 넘어서서 자살 욕구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자살에 대한 윤리적 거부감과 자살에 대한 두려움은 자살 욕구를 넘어서서 자살 준비 수준에 유의미한 주효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0 이상의 자살 준비 수준을 보고한 사람들 중 과거 자살시도 경험이 있는 참가자들은 그렇지 않은 참가자들보다 유의미하게 적은 생존 및 대처에 관한 믿음과 자살에 대한 윤리적 거부감을 보고하였다.위 결과들은 자살 행동의 여러 하위유형에 따라 각기 다른 종류의 삶의 이유가 유의미한 예측력을 지닐 수 있음을 제시한다. 이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자살 위험 측정 및 예방 전략에 대한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 환자의 죽음욕구에 대한 윤리적 분석 : 에드먼드 펠레그리노의 임상판단양식을 중심으로

        나해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32094

        본 논문은 임상 의료 현장에서 죽음욕구를 가진 환자를 의료 행위로 조력하는 것에 대한 윤리적 정당성을 분석하고 실천적인 대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안락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늘었지만 실제로 죽음을 돕는 행위에 대해 거부감을 갖는 원인을 밝히기 위해, 죽음에 대한 다각적인 고찰을 하였다. 죽음욕구의 본질을 밝히고 죽음이 갖을 수 있는 가치를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죽음시행을 돕는 것이 윤리적 정당성을 갖는 근거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현재 의사조력자살이 시행되는 주요 국가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의사조력자살을 선택한 환자들의 죽음욕구의 가장 큰 원인은 자율성(autonomy) 상실이었다. 한편 '즐길 수 있는 삶'이라는 측면은 최근 환자들의 죽음욕구 원인으로 점점 더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 환자의 죽음욕구는 질병차원에서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외적인 요인과 환자 주변의 환경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때문에 임상가로서 죽음욕구의 치료 해결책 모색의 과정에서는 중립적인 의료행위 이외 환자의 개인적 맥락에서 환자의 외부적인 요인에 대한 중재도 필요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죽음욕구의 본질과 의료행위로 인정될 수 있는 윤리적인 요건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임상 사례 해결의 과정을 제시하였다. 특히 에드먼드 펠레그리노의 임상판단양식을 중심으로 환자의 죽음욕구를 진단하는 방법과 치료적 대안을 모색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드러내, 실제 임상 현장에서 간과하고 있는 부분과 제도적인 한계를 지적하였다. 해결하기 어려운 도덕적 갈등의 상황을 제시해 죽음욕구 해결의 본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환자의 죽음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은 죽음과정을 돕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환자가 죽음을 원하는 근본적 원인을 환자 개인의 삶의 맥락에 맞게 찾아내 보완하고 완전성을 회복한다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죽음욕구의 진정성을 밝히고, 죽음욕구를 해결할 수 있는 치료적인 대안이 충분히 모색된 후에야 죽음행위의 보조는 적절한 선택으로서 타당하며, 의료행위로서 윤리적 정당성을 논의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자가 처한 삶의 맥락에서 죽음시행이 최선의 선택으로서 의미를 갖는다면 죽음사건이 비참한 형태로 끝나지 않도록 환자의 존엄성을 돕는 의료행위는 의미가 있다. 이때 죽음시행을 돕는 의료행위는 개인의 실존적 결단을 돕는 수단이며 완전성을 지향하는 의료의 목적에 비추어 윤리적 정당성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여대생의 미래지향이 자살 관련 대인욕구 좌절에 미치는 영향 : 성역할 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손현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15805

        본 연구는 여대생의 미래지향이 자살 관련 대인욕구 좌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성역할 태도의 조절효과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소재 4년제 남녀공학 12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4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의 미래지향, 성역할 태도, 그리고 자살 관련 대인욕구 좌절의 전반적 경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여대생의 전반적인 미래지향은 ‘직업과 진로’, ‘결혼과 가족’ 두 영역에서 대체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대생의 성역할 태도는 대체로 양성평등적 경향을 보였다. 여대생의 자살 관련 대인욕구 좌절 수준은 ‘인식된 짐스러움’, ‘좌절된 소속감’ 모두 대체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자살 관련 대인욕구 좌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분석 결과, ‘자살 관련 대인욕구 좌절’과 하위 변인 중 ‘좌절된 소속감’의 경우는 여대생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가족의 월평균 소득이 적을수록, 직업과 진로, 결혼과 가족영역에 대하여 미래지향적이지 않을수록, 성역할 태도가 전통적일수록 높아졌다. 다음으로 ‘인식된 짐스러움’의 경우는 가족의 월평균 소득액이 적을수록, 직업과 진로영역에 대하여 미래지향적이지 않을수록, 성역할 태도가 전통적일수록 결혼과 가족에 대하여 미래지향적이지 않을수록 높아졌다. 셋째, 여대생의 미래지향과 자살 관련 대인욕구 좌절 간의 관계에서 성역할 태도는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여대생은 결혼과 가족에 대하여 미래지향적이지 않을수록, ‘자살 관련 대인욕구 좌절’과 하위 변인 중 ‘좌절된 소속감’ 수준이 높아졌으며, 이러한 관련성들은 여대생이 전통적인 성역할 태도를 가질수록 보다 현저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성 인지적 관점에서 20대 청년층 여성의 양성평등의식 제고 및 대인욕구 좌절의 완화를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uture orientation on suicide related frustration of interpersonal needs among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roles attitudes. Data were collected from 342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12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female students’ future orientation of their future ‘work and career’, and ‘marriage and family’ showed mostly high. Also, they showed substantially equal gender role attitudes with low levels of suicide-related frustration of interpersonal needs. Second, the levels of female students’ suicide-related frustration of interpersonal needs and thwarted belongingness were found to be higher among older students. This was also true when their family income was lower, their future orientation of work and career, and marriage and family weaker, and their gender role attitudes more traditional. As for the level of perceived burdensomeness, it was found to be higher as the female students’ family income was lower, their future orientation of work and career, and marriage and family weaker, and the gender role attitudes more traditional. Third, this study found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s of gender role attitud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future orientation and suicide related frustration of interpersonal needs. Female students with low levels of future orientation of marriage and family who had a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showed high levels of suicide-related frustration of interpersonal needs and thwarted belonging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and therapy programs for young women to prevent their frustration of interpersonal nee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