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상담자의 자기효능감이 대리외상에 미치는 영향 : 자기위로능력과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김진선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의 자기효능감과 대리외상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과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서 활동하는 상담자 중 대리외상에 노출되거나 경험할 가능성이 있는 상담자 391명(남: 67명, 여: 324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척도, 자기위로능력척도, 마음챙김척도, 대리외상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의 대리외상에 대해 성별 차이가 존재하였다. 여성 상담자가 남성 상담자보다 대리외상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 둘째, 대리외상은 자기효능감, 자기위로능력, 마음챙김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고 자기효능감과 자기위로능력, 마음챙김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자기효능감과 대리외상 간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고 마음챙김도 유의한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자기위로능력과 마음챙김이 자기효능감과 대리외상 간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이중매개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자기위로능력이 높고 높은 자기위로능력은 마음챙김을 향상시키며 마음챙김을 잘할수록 대리외상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soothing ability and mindfulness on the relation between the self-efficacy of counselors and the vicarious trauma. For this, the survey including scales of self-efficacy, self-soothing, mindfulness and vicarious trauma was conducted targeting 391 counselors(male: 67, female: 324) who were likely to experience or exposure to vicarious trauma in the count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dopt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s as follows. First, the gender difference was shown for the vicarious trauma. The score of vicarious trauma of female was significantly significant higher than male ones. Second, vicarious trauma h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efficacy, self-soothing ability, and mindfulness respectively. In other ha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self-efficacy, self-soothing ability, and mindfulness. Third, self-soothing ability and mindfulness showed the significant complete mediating effect between self-efficacy and vicarious trauma. Lastly, self-soothing ability and mindfullness made a double-mediated effect which mediated sequentially between self-soothing abilty and mindfulness. So, higher self-efficacy has higher self-soothing abilty, and high self-soothing ability can improve mindfulness, then better mindfulness make less vicarious traum.  Finally,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importance and limitation and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 중국 유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진로정체감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진희 중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국 유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이 진로정체감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자는 2020년 충청도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유의표집을 이용하여 총 252명의 표본을 추출하였고, 수집된 자료 중 누락 또는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는 없었으며, 표집 된 자료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은 수집된 자료를 회수한 후에 컴퓨터에 개별 입력시킨 후, SPSS 21.0 ver program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일반적 효능감이 진로정체감 하위요인인 정서와 인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일반적 효능감이 진로성숙도 하위요인인 결정성, 준비성, 독립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셋째, 진로정체감의 하위요인인 정서가 진로성숙도 하위요인인 결정성과 준비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p<.05), 진로정체감의 하위요인인 인지에서도 진로성숙도 하위요인인 결정성, 준비성 및 독립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상의 결론들을 종합하면 중국 유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진로정체감 및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중국 유학생들은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한국 생활 및 학업에 충실히 한다면 진로정체감을 높이고 진로성숙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자기선택적 진로독서 프로그램이 일반고등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유나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선택적 진로독서 프로그램(SCRP-H)이 일반고등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보고 이를 교육 현장에 활용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자기선택적 진로독서 프로그램은 일반고등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자기선택적 진로독서 프로그램은 일반고등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하위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충남에 소재한 일반고등학교 1학년 8학급 중 임의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한 학급씩 각각 28명을 지정하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두 집단이 동질함을 확인했다. 실험집단에 주 2회 4주에 걸쳐 총 8회의 자기선택적 진로독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실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처치가 끝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대상으로 사전검사와 동일한 검사도구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집단별로 프로그램 진행 전과 후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선택적 진로독서 프로그램은 일반고등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자기선택적 진로독서 프로그램은 일반고등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하위영역인 진로탐색효능감, 진로결정효능감, 진로수행효능감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자기선택적 진로독서 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하위영역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실행연구 관점에서 논의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선택적 진로독서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은 본 프로그램이 유용하다고 평가했다. 학생은 진로 도서를 직접 탐색하고 선택해 자신의 읽기 속도에 맞춰 독서하고 모둠원 간 진로정보를 공유하는 과정이 유용하다고 답변했다. 또한, 활동을 통해 직업윤리를 실질적으로 생각해 볼 수 있었다고 응답했다. 둘째, 본 프로그램의 교육적 의의를 정리해보면 기존 진로독서 프로그램과 달리 자기선택적 진로독서 프로그램은 학생이 자신의 읽기 수준과 진로발달 수준에 따라 한 권의 도서를 선택하고 활동할 수 있어 개인별 맞춤형 활동이 가능하다. 또한 교육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지도안과 활동지를 제시한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고 본다. 자기선택적 진로독서 프로그램은 일반고등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끼친 프로그램이며 이는 고등학교 진로독서 교육에 교육적 시사점이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self-selected career-reading program(SCRP-H)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established. First, the self-selected career-reading program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Second, the self-selected career-reading program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ubarea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Of the two classes studied, 28 students in one class are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other class is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e pre-test were confirmed to be homogeneous between the two groups through an independent t-test. The self-selected career-reading program was conduc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wice a week for four weeks, and no treatment was given to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a post-test was conducted on the two groups.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performed with ANCOV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selected career-reading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Second, the self-selected career-reading program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career search efficacy, career decision efficacy, and career performance efficacy, which are subareas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he self-selected career-reading program is effective i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ubareas of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discussion from the perspective of implementation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elf-selected career-reading program evaluated that this program was useful. Students answered that it was useful to choose a book and share information. In addition, they responded that they were able to think of professional ethics through activities. Second, there is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is program. The self-selected career-reading program allows personalized learning. In addition, the program gave guidance and handout that could be used in class.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self-selected career-reading program is effective for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 자기효능감 관련 미술치료 중재연구 동향 분석 : Bandura의 이론을 중심으로

        안희진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 관련 미술치료 중재연구의 동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학술DB 검색 사이트에서 ‘효능감 미술치료’를 검색하여 최종 선정된 자료는 학위 논문 31편, 학술지 4편, 총 35편이다. 자료 분석은 자기효능감 관련 미술치료 중재연구의 질적 수준, 방법 및 결과적 특성, 자기효능감의 4가지 근원과 3가지 하위요인 관련 미술치료 중재 프로그램의 특성을 표와 그래프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 관련 미술치료 중재연구의 질적 수준은 수준Ⅴ가 사례연구(10편, 28.5%)와 질적연구(3편, 8.7%)를 합쳐 13편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둘째, 자기효능감 관련 미술치료 중재연구의 방법 및 결과적 특성의 형태는 집단(25편), 통제집단(15편)이었다. 연령대는 아동(18편), 실험집단의 인원은 6~10명(14편), 주 2회(16편), 60분 이상 70분 미만(10편), 11회기~15회기(17편)로 진행한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다. 연구도구는 김아영, 차정은(1996)의 자기효능감 검사를 김아영(1997)이 수정한 것을 한혜진(2002)이 초등학생에게 알맞은 표현으로 수정한 것이 6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림 검사로는 K-HTP가 5편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는 p<.05수준에서 전체 자기효능감 6편, p<.01수준에서 전체 자기효능감과 자신감이 각각 5편, p<.001수준에서 전체 자기효능감 4편으로 가장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측정 시기는 사전-사후(29편), 연구장소는 지역아동센터(7편), 연구설계는 사전-사후 실험 통제 집단 설계(13편)로 가장 많았다. 셋째, 미술치료 중재 프로그램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만들기 기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목표 및 기대효과에서 자기효능감의 4가지 근원 중 성공 경험, 3가지 하위요인 중에서는 자신감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발행된 자기효능감 관련 미술치료 중재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프로그램 방안을 모색하여 앞으로의 연구자들이 자기효능감 관련 미술치료를 구성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trend in the study of art therapy intervention for self-efficacy.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t Therapy for Efficacy’ was searched in an academic database search engine, and a total of 35 papers comprising 31 academic papers and 4 academic journal articles were finally selected. The tables and graphs on the quantitative standards, methods, and resulting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of art therapy intervention for self-efficacy and the characteristics of art therapy intervention programs related to the four sources and three subfactors of self-efficacy were presented for data analysis. The summaries of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quantitative standards of the study of art therapy intervention for self-efficacy, standard V appeared most frequently; this showed up thirteen appearances comprising ten case studies (28.5%) and three quantitative studies (8.7%). Second, the form of method and resulting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of art therapy intervention for self-efficacy were group (25 studies) and controlled group (15 studies). Most of the studies conducted programs for children (18 studies), six to ten subjects (14 studies), twice a week (16 studies), between 60 and 70 minutes (10 studies), and eleven to fifteen sessions (17 studies).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studies adopted the self-efficacy test by Ayeong Kim and Jeongeun Cha (1996) which was amended by Ayeong Kim (1997) and reamended by Hyejin Han (2002) to suit elementary school children, appearing six times, while K-HTP emerged as the most-used drawing test, with five studies adopting them as the research tool. Six, five, and four studies showed the most significant improvement in overall self-efficacy at p<.05, overall self-efficacy and confidence at p<.01, and overall self-efficacy at p<.001. Most of the studies made pre-study and post-study measurements (29 studies) at regional children’s centers (7 studies), and the most popular study design was the pre-study and post-study controlled group, appearing in thirteen papers. Third,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art therapy intervention programs showed that the creation technique was used most frequently, and the mastery experience and the confidence from the four main sources and three subfactors of self-efficacy appeared most frequently in the goal and anticipated effects. This paper is meaningful that it analyzes the trend of studies of art therapy intervention for self-efficacy published to date and becomes the base data to explore an effective program that will allow the researchers to compose and develop art therapy for self-efficacy.

      •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유하나 경기대학교 미술·디자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1999년부터 2020년까지의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지와 석·박사학위 논문에서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와 관련된 연구 결과들의 종합하여 메타분석 하였고, 분석대상 논문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를 알아보고, 특성별로 효과크기의 차이가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 비교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와 관련된 연구논문 총 97편을 수집하였고, 그 중 메타분석이 가능한 연구논문 79편을 최종 분석대상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와 관련된 분석대상 논문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출간유형은 석·박사 학위 논문이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출판연도는 2011년에 출판된 논문의 편수가 많았으며 2010년 이후부터 비교적 일정하게 논문들이 발표되고 있다. 연구설계 유형은 RCT의 논문의 편수가 많았으며, 성별은 혼성으로 이루어진 집단의 비율이 높았다. 연구대상자 연령으로는 초등학생∼성인의 논문이 대다수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연구대상자 유형은 비병리·비장애군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집단원 수는 8명∼10명이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으며, 총 시행회기 수는 12회∼14회, 1회기 당 시행시간은 81분∼100분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주당 시행회기 수는 주 2회와 주 1회가 비슷한 비율을 차지하여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1.426으로 Cohen의 기준에 따라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으며, 백분위 지수(U3)는 약 92%에 해당하였다. 따라서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특성(출간유형, 연구대상자 연령, 연구대상자 유형, 집단원 수, 총 시행 회기 수, 1회기 당 시행시간, 주당 시행회기 수)에 따른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학위 논문의 효과크기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연구 대상자의 연령에 따른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으나 성인집단의 효과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 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병리·장애군 집단의 효과크기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집단원 수에 따른 효과크기는 8명∼10명의 집단에서 효과의 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원의 수가 많아질수록 효과의 크기가 감소하였는데, 메타회기 분석 결과 집단원의 수가 효과크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총 시행 회기 수에 따른 효과크기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16회기 이상이 효과의 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회기 당 시행시간의 효과 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61분∼90분의 효과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당 시행회기의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주 1회의 효과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효능감 향상에 큰 효과성이 있음을 입증하였고, 총 시행회기 수를 16회기 이상, 61분∼90분, 주 1회로 구성하여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메타회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집단미술치료로 프로그램 진행시 집단원 수는 8명∼10명으로 구성하는 것이 조금 더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여겨진다. This study is a meta-analysis of research results related to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fficacy in academic journals and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published in Korea from 1999 to 2020. saw.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of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fficacy, and to compare how the difference in effect size varies by characteristics. For this study, a total of 97 research papers related to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fficacy were collected, and among them, 79 research papers that could be meta-analyzed were selected as the final analysis target paper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overall trend of the thesis analysis related to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fficacy, the majority of publication types were master's and doctoral thesis. In the year of publication,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in 2011 was large, and papers have been published relatively consistently since 2010. As for the type of research design, the number of RCT papers was large, and the ratio of the group consisting of mixed sex was high. As for the age of the study subjects, the majority of papers were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dults, and the non-pathological group and non-disabled group accounted for a high proportion of the study subject types. The number of group members showed the highest distribution of 8 to 10, and the total number of trial sessions was 12 to 14, and the duration of each session was 81 to 100 minutes, accounting for the highest ratio. As for the number of trial sessions per week, twice a week and once a week accounted for a similar ratio,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fficacy was 1.426, indicating a large effect size according to Cohen's criteria, and the percentile index (U3) was about 92%.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magnitude of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fficacy was high.Thir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fficacy (type of publication, age of study subjects, type of study subjects, number of group members, total number of trials, time per session, number of sessions per week) The effect size of the dissertation was found to be larger,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age of the study subject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effect size of the adult group was found to be hig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type of study subjects, the effect size of the pathological/disabled group was larger,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for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number of group members, it was found that the size of the effect was high in the group of 8 to 10 people. As the number of group members increased, the size of the effect decreased. As a result of meta-regression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the number of group memb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ffect size.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total number of trial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ither, but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size was high after 16 trials. The effect size of the trial time per sess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effect size of 61 to 90 minutes was found to be high. The effect size of the weekly trial session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once-weekly effect size was found to be high. Therefore, taking the above results together, it was proved that group art therapy i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self-efficacy. It is considered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meta-regression analysis, it is considered that when the program is conducted with group art therapy, a slightly higher effect can be obtained if the number of group members is 8 to 10.

      • 자기주도적 논술 집단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백명화 상지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자기주도적 논술 집단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자기주도적 논술 집단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자기주도적 논술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가 향상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위의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강원도 H군에 소재한 중, 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청소년 12명(고=2명 중학생=10명)을 실험집단으로, 동일한 조건의 청소년 12명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해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자기주도적 논술 집단프로그램을 12주간에 걸쳐 주1회 매회 120분씩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연구에 적용한 프로그램은 존슨 형제(Johnson & Johnson, 1993)의 논쟁수업모형을 이영희(2003)가 재구성한 설계를 기초로, 2009강원도 청소년 우수프로그램사업에서 시행된 청소년 논술 아카데미 ‘숲’의 수업교재를 중심으로 연구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Guglielmino(1977)가 개발하고 이단순(2006)이 수정. 보완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척도(SDLRS)와 Sherer, Maddux, Merchandants 등(1982)이 개발한 검사를 신선영(2009)이 번안한 자기효능감 검사, 한국직업능력 개발원의 임언, 정윤경, 상경아(2001)에 의해 개발된 진로성숙도 검사를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효과검증을 위한 결과분석은 SAS 9.1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첫째 자기주도적 논술 집단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자기주도적 논술 집단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기주도적 논술 집단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기주도적 논술 집단프로그램을 현장에서 활용하여 청소년에게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길 기대한다.

      • 남녀 대학생의 계획임신 자기효능감 영향요인의 비교

        강샘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심각한 저출산 현상의 대책으로써 건강한 임신 결과를 도모하여 임신 손실을 줄이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임신 전 건강관리로 건강한 임신을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계획임신을 통해 임신 전 건강관리를 시작할 수 있고, 초기성인기부터 미래의 임신과 출산을 위한 계획임신을 실천하면 건강한 임신 결과를 도모할 수 있다. 초기 성인기 중에서도 대학생은 계획되지 않은 임신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나, 이에 대한 인식은 낮다. 가까운 미래에 임신과 출산 가능성이 높은 대학생이 미래의 계획임신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먼저 계획임신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 계획임신 자기효능감의 영향요인을 파악하여야 한다. 또한, 임신과 출산, 임신 전 건강관리에 대한 인식은 남녀 차이가 분명하므로 남녀 특성을 고려한 성별비교 접근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계획임신 자기효능감과 그 영향요인의 성별차이를 확인함으로써 계획임신을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계획임신 자기효능감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건강신념모델을 바탕으로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잠재적으로 수정 가능한 개인차원의 변수를 선정하였다. 이에 독립변수를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장애, 지각된 이익, 행동계기가 포함된 계획임신 건강신념, 생식관련 지식,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 특성, 성 건강 특성을 포함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내 소재 1개 대학교에 재학중인 만 18세 이상 30세 미만의 미혼 남녀 대학생 총 819명(여자 476명, 남자 343명)이었다. 교내 e-mail서비스를 이용하여 학부생을 대상으로 설문에 접속할 수 있는 링크가 포함된 메일을 보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IBM Statistics Program 25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서술적 통계, Chi-squared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계획임신 자기효능감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다(t=3.07, p=.002). 여학생의 계획임신 자기효능감의 영향요인은 지각된 장애(β=-0.57, p<.001), 행동계기(β=0.16, p<.001), 우울(β=-0.09, p=.045), 생식관련 지식(β =0.08, p=.025)이었고, 모형의 설명력은 41.0%였다. 남학생의 영향요인은 지각된 장애(β=-0.44, p<.001), 행동계기(β=0.16, p=.001), 지각된 이익(β=0.12, p=.018)이었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35.0%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남녀 대학생의 계획임신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계획임신에 대한 지각된 장애를 낮추고, 행동계기를 향상시키는 것이 남녀 모두에게 필요하고, 여학생은 특히 우울을 관리하고, 생식관련 지식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반면 남학생은 계획임신에 대한 지각된 이익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토대로 대학생에게 계획임신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To address the extremely low birth rate, it is important to reduce pregnancy losses by promoting healthy pregnancy outcomes through preconception care provided to prepare for a healthy pregnancy. Pregnancy planning can be used at the initial stages of preconception care, and pregnancy planning starting in early adulthood can lead to healthy pregnancy outcomes. In early adulthood, college students are exposed to the risk of unplanned pregnancy, but are relatively unaware of it. In order for university students who are likely to become pregnant and give birth in the near future to practice their future plans, it is necessary to first increase their self-efficacy, and to do so, they should understand the factors influencing self-efficacy for pregnancy planning. In addition, a gender comparison approach is needed because of the obvious likelihood of different perceptions of pregnancy, childbirth, and preconception care between men and women.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education programs to promote pregnancy planning by identifying gender differences in self-efficacy for pregnancy planning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influencing factors. Methods: A total of 819 unmarried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ged 18 to 30 years old, who were attending one university in Seoul, were surveyed (476 women and 343 men). Using the university’s e-mail system, data were collected by sending an e-mail containing a link to access the survey to undergraduate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chi-square test, the Fisher exact test, the independent t-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in IBM SPSS version 25. Results: Male students had higher self-efficacy than female students. Factors influencing self-efficacy for pregnancy planning among women were perceived barriers, cues to action, feeling depressed, and fertility knowledge, and the model had a 41.0% explanatory power. The factors influencing self-efficacy for pregnancy planning among men were perceived barriers, cues to action, and perceived benefits, and the model had a 35.0% explanatory power. Conclusion: In light of these findings, for both men and women, steps should be taken to reduce perceived barriers and to improve cues to action for promoting self-efficacy for pregnancy planning. For women, it is important to manage depression and increase fertility knowledge. For men, in contras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erceived benefits of pregnancy planning. Based on this, nursing interventions could be developed to enhance self-efficacy for pregnancy plann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분석

        유효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교학습 상황에서 학습자들이 지니고 있는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는 가장 중요한 정의적 특성이며, 학교적응은 학교학습 상황의 질과 성패여부 측면에서 중요시되고 있는 변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학습자들의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 및 학교적응을 변인으로 규정하여 세 변인간 성별에 따른 차이와, 자기 효능감과 학습동기 수준별 학교적응은 차이가 있는지, 또한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가 학습적응과 정적 상관이 있는가를 알아보고,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 가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 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 및 학교적응은 성별에 따라 의의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 및 그 하위요인 각각의 수준별 학교적응은 의의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 및 학교 적응간에는 의의 있는 정적 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4] 자기효능감 하위요인과 학습동기 하위요인 각각은 학교적응과 하위요인에 의의 있는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5] 자기효능감 하위요인과 학습동기 하위요인은 학교적응과 그 하위요인에 의의 있는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소재 5개의 중·고등학교 남·녀 학습자 381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척도」김아영, 1997), 「학교학습동기척도」(김용래, 1993), 「학교적응척도」(김용래, 1993)를 사용하였다. 통계자료 처리는 SP65/WIN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가설의 검증을 위해 기술통계(M, SD), t-검증, 변량분석(ANOVA),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가설을 유의수준 '.05'이하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가설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은 성별에 따라 의의 있는 차이가 있었으나 (p<.05), 학습동기는 의의 있는 차이가 없었다(p>.05). 둘째,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의 상·중·하 수준별 학교적응은 매우 의의 있는 차이가 나타났으나(p<.001), 하위요인에서는 부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5). 셋째,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은 의의 있는 정적 상관을 보였고(p<.001), 하위요인에서는 부분적으로 의의 없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p>,05). 또 학습 동기와 학교적응은 의의 있는 정적 상관을 보였고(p<.001), 하위요인도 의의 있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p<.001). 넷째, 자기효능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은 16.97%이고, 학습동기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은 31.19%이다. 그 중 수업동기는 가장 큰 설명력(25.99%)을 갖고 있으며, 이에 추가해서 본질동기와 계속동기는 각각 3.44%, 1.75% 학교적응을 설명하고 있다. 다섯째,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은 34.47%이다. 그 중 수업동기가 가장 큰 설명력(2599%)을 갖고 있으며, 이에 추가해서 자신감, 계속동기, 자기조절 효능감, 본질동기로 각각 3.75%, 2.71%, 1.18%, .83% 학교적응을 설명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relation among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 adjustment. The problem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 1.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the sex? 2.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adjustment by the high, middle, and low level of the self-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3. Is there an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 adjustment? 4. Is there any significant effect sub-factors of self-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on school adjustment? 5. Is there any significant effect sub-factors of self-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on school adjustment?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set up. 1.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the sex. 2.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the high, middle, and low level of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sub-factors. 3. There a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 adjustment. 4.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and sub-factors. 5.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and sub-factors of learning motiva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and sub- factors. And in order to verify above hypotheses which set up this research 381 middle and high school boys and girls was sampled randomly in Seoul area. The instruments used for the research were 「Self-efficacy Scale」 (Kim. 1997), 「School Learning Motivation Scale」(Kim, 1993), 「School Adjustment Scale」(Kim, 1993). In this research, the data were analyze extracted using SPSS/WIN with the descriptive statistic (Mean score, Standard Deviation), the Pearson's correlation, the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regression analysis. All these statistical values were tested in the significant level of '.05'.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made by the sex in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p<.05), but there wasn't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motivation(p>.05). 2. The school adjustment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high, middle, and low level of self-efficacy(p<.001), but partially it's sub-factors weren't any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high, middle, and low level of self-efficacy(p>.05). 3. The school adjustment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high, middle, and low level of learning motivation(p<.001), but partially it's sub-factors weren't any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high, middle, and low level of leaning motivation(p>.05). 4. There was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p<.001), but there were in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ir sub-factors(p).05). 5. There was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 adjustment(p<.001) a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ir sub-factors (p<.001). 6.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school adjustment was 16.97%. (p<.001). 7. The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on school adjustment was in order of instructional motivation(25.99%), intrinsic motivation(3.44%) and continuing motivation(1.75%). The combined effect of these was 31.19% (p<.001). 8.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on school adjustment was in order of the instructional motivation(25.99%), self-confidence(3.75%), continuing motivation(2.71%), self-regulation efficacy(1.18%), intrinsic motivation(.83%). The combined effect of these was 34.47(p<.001).

      • 자기효능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무의 경력유용성과 집단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목화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조직몰입은 조직 내에서 종업원들이 형성할 수 있는 태도로서, 그것이 조직에 가져다 주는 긍정적인 효과로 인해 아직까지도 학자들뿐만 아니라 조직의 경영자들에게도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때문에 그 동안 이루어져 온 조직몰입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선행변수에 대한 연구가 상당히 많이 이루어져 온 게 사실이다. 또한 오늘날 기업들이 생존과 성장을 위해 끊임없이 변화와 혁신을 추구하고 있는 상황에서 인식하게 되는 가장 중요한 사실 중의 하나가 바로 모든 혁신의 중심이 사람으로 귀결된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Katzenbach & Feign(2003)은 조직 구성원들로부터 조직에 대한 몰입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그들의 pride에 대한 관리가 꼭 필요하다고 주장을 하고 있다. 때문에 이제는 조직몰입의 선행변수 중 구성원 개인과 관련된 변수에 좀 더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중요한 개인 심리 변수인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간의 관계가 일관되게 나타나고 있지 않고, 그 원인도 실증이 아닌 이론적 추론에만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의식을 갖고 시작하였다. 첫째,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 사이에서 직무의 경력유용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직무의 경력유용성이란 현 직무를 수행함으로써 미래에 기대되는 경력 성장 기회를 의미한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 사이에서 집단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집단효능감이란, 자신이 속한 집단이 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낼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집단 구성원 개인의 믿음을 의미한다. 셋째, 집단효능감의 조절효과가 밝혀질 경우, 지금까지 집단효능감에 대한 선행변수 연구가 상당히 미흡하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이에 대한 조직 차원의 관리 방안을 마련해 주기 위해 집단효능감의 예측변인을 검증해 보았다. 집단효능감의 예측변인으로는 상사에 대한 신뢰와 동료에 대한 신뢰, 그리고 집단 내 커뮤니케이션 만족도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 사이에서 직무의 경력유용성과 집단효능감의 조절작용 부분과 집단효능감의 예측변인 부분으로 나뉜다. 먼저 직무의 경력유용성과 집단효능감의 조절작용에 대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자기효능감은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직무의 경력유용성은 자기효능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다. 즉, 직무의 경력유용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간의 관계는 더욱 강해질 것이다. 가설 3. 집단효능감은 자기효능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다. 즉, 집단효능감을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간의 관계는 더욱 강해질 것이다. 집단효능감의 예측변인 부분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4. 상사에 대한 신뢰는 집단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5. 동료에 대한 신뢰는 집단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6. 조직구성원들의 커뮤니케이션 만족도는 집단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위와 같은 가설을 검증해 본 결과,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 사이의 직무의 경력유용성 및 집단효능감의 조절효과는 모두 검증 되었다. 또한 상사에 대한 신뢰, 동료에 대한 신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만족도 모두 집단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이론적인 측면에서는 첫째, 지금까지 연구 결과가 일관되게 나타나지 않았던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 사이에서 직무의 경력유용성과 집단효능감의 조절효과를 확인했다. 둘째, 지금까지 많이 밝혀지지 않은 집단효능감의 선행변수로서 상사 및 동료에 대한 신뢰와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집단효능감의 유의한 예측변인임을 확인했다. 셋째, 자기효능감이 조직몰입의 하위 차원 중 감정적 몰입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직무의 경력유용성과 집단효능감 역시 감정적 몰입에만 조절 작용을 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즉, 조직몰입의 하위 차원인 감정적 몰입과 지속적 몰입간에 개념적 독립성을 확인했다. 실무적인 측면에서는 첫째,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 사이에서 직무의 경력유용성의 조절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조직 차원에서 구성원들의 경력 계획에 대한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 사이에서 집단효능감의 조절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구성원 개인의 능력뿐만 아니라 집단의 능력에 대한 관리 역시 조직에서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셋째, 집단효능감의 예측변인에 대한 확인을 통해, 집단효능감의 조직적 관리 방안을 제시해 주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갖는다. 첫째, 자기효능감을 측정함에 있어서 자기 보고식 설문 방법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이에 대한 과장이 있을 수 있다. 둘째, 집단효능감의 예측변인을 선정함에 있어서 신뢰가 쌍방향의 성격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하에 대한 신뢰는 제외한 채, 상사에 대한 신뢰만을 고려하였다. 셋째, 측정 도구의 타당성 검증에 있어서 연구자의 작위성이 개입되었을 수 있다. 넷째, 조직몰입의 하위 차원 중 지속적 몰입에 대한 설문 항목이 한국적 상황에는 맞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 자기효능감 및 관련변인과 국어 학업성취도 : 특성화고등학교 남학생을 중심으로

        정연석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남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관련변인과 국어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관련변인으로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부모 및 교사의 사회적 지원, 학습자의 흥미, 학업 기대와 정신건강을 포함하였다. 분석대상은 총 341명(1학년 121명, 2학년 108명, 3학년 112명)이었다. 측정도구는 박영신(2013)이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신뢰도계수는 Cronbach =.62~.92로 양호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정의 경제수준이 국어 학업성취도와 낮은 부적 관계에 있었다. 또한 부모의 정서적 지원이 국어 학업성취도와 낮은 정적 관계를 보였다. 둘째, 교사의 사회적 지원과 국어교수방법은 국어 학업성취도와 정적 관계에 있었다. 교사의 정서적 지원만이 아니라 특히 정보적 지원을 많이 받을수록, 국어교사의 교수방법이 좋을수록, 특성화고 남학생의 국어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과 국어 학업성취도는 높은 정적 관계를 나타내었다. 특히 국어학업성취효능감, 교사학생관계효능감 및 자기조절학습효능감이 높을수록 국어 학업성취도가 매우 높았다. 넷째, 국어 흥미와 집중도는 국어 학업성취도와 정적 관계에 있었다. 즉 국어 과목에 대해 흥미가 있을수록, 국어 학습에 대한 집중도가 높을수록 국어 학업성취도가 좋았다. 다섯째, 특성화고등학교 남학생의 정신건강과 학업성취도는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스트레스와 국어 학업성취도는 부적 관계를, 생활만족도와 국어 학업성취도는 정적 관계를 보였다. 즉 국어과목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국어 학업성취도가 높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