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동병동 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능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경숙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51

        본 연구는 아동병동 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능력, 직무만족도 및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임상의사결정능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에서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D시와 K지역에 소재한 아동병동이 있는 아동전문병원, 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의 아동병동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7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6월 20일부터 8월 10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임상의사결정능력, 직무만족도 및 아동간호사-환아 부모 파트너십 측정도구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statistic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임상의사결정능력 평균 5점 만점에 3.24점, 직무만족도 5점 만점에 3.11점,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 평균 5점 만점에 3.56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의사결정능력은 종교유무(t=2.67, p=.008), 병원유형(F=6.48,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직무만족도는 최종학력(F=3.37, p=.038), 간호사직책(F=8.08, p<.001), 병원유형(F=4.76, p=.01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은 월 소득(t=-2.26, p=.025), 병원유형(F=3.65, p=.028)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아동병동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능력은 직무만족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고(r=.33, p<.001),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과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43, p<.001). 그리고 임상의사결정능력과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49, p<.001). 4. 아동병동 간호사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은 임상의사결정능력과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각 각 설명력은 19%, 26%였으며, 이들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임상의사결정능력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들 관계에서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이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아동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전문적인 지식과 대처능력, 능숙한 파트너십을 위한 간호사의 능력을 향상시킬 교육 및 전략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urvey study was to identify the clinical decision making, job satisfaction and nurse-parent partnership and to elucidate mediating effects of nurse-parent partnership with in a children's ward. Nurse-parent partnership are defined as th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clinical decision making ability. Subjects of the study were 174 nurses including those who have worked in an children's ward in university hospitals, general hospitals, and children's hospitals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Data was collected from June 20, 2016 to August 10, 2016 and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22.0 programs.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s of clinical decision making were 3.24 out of 5.00, job satisfaction were 3.11 out of 5.00, and nurse-parent partnership were 3.56 out of 5.00, respectively. 2. Clinical decision making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religion (t=2.67, p=.008), hospital type (F=6.48, p=.002). Job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level of education (F=3.37, p=.038), nurse's position (F=8.08, p<.001), hospital type (F=4.76, p=.010). Nurse-parent partnership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monthly incom (t=-2.26, p=.025), hospital type (F=3.65, p=.028). 3. Clinical decision making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r=.33, p<.001), nurse-parent partnership (r=.49, p<.001) and job satisfaction. Clinical decision making also had a positive relationship also with nurse-parent partnership (r=.43, p<.001). 4. Nurse-parent partnership had significant effects on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job satisfaction and had an explanatory power of 19% and 26%, respectively. Nurse-parent partnership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job satisfaction. In summary, nurse-parent partnership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job satisfaction of the children's ward nurse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job satisfaction of children's ward nurse, it is necessary to develop effective education and strategies to address their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nurse-parent partnership.

      • 혈액투석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공감능력, 임상의사결정능력이 공유의사결정인식에 미치는 영향

        윤정화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49

        오늘날 혈액투석환자는 급격한 증가를 보이며, 질병의 관리과정에서 공유의사결정은 생리적 지표의 조절과 자가관리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혈액투석환자의 가장 가까이에서 오랜 시간 간호하는 혈액투석간호사는 환자와 긴밀히 협력함으로써 공유의사결정 참여의 핵심적인 위치에 있다. 그러므로 혈액투석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전문직관과 공감능력, 임상의사결정능력이 공유의사결정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혈액투석간호사의 공유의사결정인식 향상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혈액투석간호사의 공유의사결정인식, 간호전문직관, 공감능력, 임상의사결정능력을 파악하고, 혈액투석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공감능력, 임상의사결정능력이 공유의사결정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혈액투석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 공감능력, 임상의사결정능력, 공유의사결정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간호전문직관, 공감능력, 임상의사결정능력과 공유의사결정인식과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혈액투석간호사의 공유의사결정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공감능력 (β=.250, p=.012)이 가장 크고, 임상의사결정능력 (β=.22, p=.008), 학력수준 (β=.154, p=.046)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23.0%(F=11.73, p<.001)였다. 혈액투석간호사는 혈액투석환자의 자가관리 증진과 안전한 투석과 각종 만성질환의 안정적 관리를 통하여 삶의 질의 증진을 위해서는 공감능력과 임상의사결정능력의 향상을 통한 공유의사결정인식을 높여, 혈액투석환자의 공유의사결정의 참여를 증진시켜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혈액투석간호사의 공유의사결정인식의 향상을 위한 환경을 조성하고 교육이 필요하다

      • 한국형 병원 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능력 측정도구 개발

        오선영 경희 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50749

        병원 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능력은 이론적 지식과 임상경험을 토대로 환자의 문제를 확인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문제의 목록을 작성하여 적절한 중재와 치료의 대안을 선택하는 목적 지향적인 판단과정이며, 간호 실무의 핵심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병원 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능력의 주요 개념 및 속성을 체계적 문헌 고찰과 심층 면담을 통해 규명하고 이를 객관적으로 측정 가능한 도구로 개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DeVellis(2016)의 8단계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1단계에서는 병원 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능력에 대한 개념 분석을 실시하였고, 2단계에서 속성을 기반으로 예비문항을 작성하였다. 3단계에서 도구의 척도를 결정하고, 4단계에서 전문가 내용 타당도를 검증 받았다. 5단계에서 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다. 6단계와 7단계에서 수정된 도구로 병원 간호사 37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였다. 8단계에서 최종 문항을 선정하여 도구를 완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단계 개념 분석에서는 인식, 통합, 대안선택 및 적용, 자원 활용 및 결과평가를 포함한 5개의 요인과 10개의 속성이 도출되었다. 2단계와 3단계에서 속성을 기반으로 Likert 5점 척도의 71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4단계에서 10인의 전문가들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증받고, 5단계에서 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6단계에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 분석으로 최종 5개 요인 51문항이 도출되었고, 설명력은 65.5%이었다. 또한 모형적합도는 기준을 충족하는 수용기능한도구임이 검증되었다. 준거 타당도는 Jenkin’s(1985)의 CDMNS 간의 상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준거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내적 신뢰도 검증 결과 한국형 병원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능력의 전체 Cronbach’s α 는 .84 , 각 영역별로는 . 60–. 90로 도구의 안정성과 일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도구에서 반영되지 않았던 병원 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능력 속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고, 개발된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본 도구는 병원 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직무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다양한 중재 연구에 활용 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The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of hospital nurses is a goal-oriented judgment process that identifies patients' problems based on theoretical knowledge and clinical experience, creates a list of problems in order of priority, and selects appropriate interventions and treatment alterna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ain concepts and attributes of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of hospital nurses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and in-depth interviews, develop them into objectively measurable tools, and test their validity and reliability. This study was a methodological research and the study procedures followed the guideline for measurement development suggested by DeVellis(2016). In the first stage, conceptual analysis conducted on the clinical decision making ability of hospital nurses, and second stage, Preliminary questions were prepared based on attributes. In the third stage, the scale of the tool was determined, and the fourth stage, the validity of expert content was verified. In the fifth stage,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hospital nurses. In the sixth and seventh stag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71 hospital nurses with the modified tool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ool. Last eighth stage, the final items were selected to complete the t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first stage concept analysis, 5 factors and 10 attributes including recognition, integration, alternative selection and application, resource utilization and result evaluation were derived. In stages second and third, 71 preliminary items of the Likert 5-point scale were developed based on attributes. In stage fourth,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10 experts, and in stage fifth,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hospital nurses.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ool in stage sixt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ed in the final 5 factor 51 items,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65.5%.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model fit is an acceptable function limit tool that satisfies the criteria. For the criterion validity,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DMNS of Jenkin's (1985) was performed, and as a result, the criterion validity was verifi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s a result of internal reliability verification, the overall Cronbach's α of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of Korean hospital nurses was .84, and each domain was . 60–. 90, confirming the stability and consistency of the tool. In this study, a tool that can measure the attributes of hospital nurses'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which was not reflected in existing tools, was developed,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tool were verified. This tool is expected to be used in various interventional studies that can objectively evaluate the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of hospital nurses and improve their duties based on the results.

      • 아동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임상의사결정능력,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 및 간호의 질의 관계

        이정은 충북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49

        본 연구는 아동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전문직관, 임상의사결정능력,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 및 간호의 질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충청지역에 소재하는 병원 10곳에서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이해하며 참여에 동의한 133명의 아동병동 간호사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22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특성 및 주요 변수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의 기술통계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 임상의사결정능력, 환아-부모와의 파트너십 및 아동 간호의 질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와 ANOVA로 분석하고, 사후검정은 Scheffé test로 검증하였다. 이때 표본수가 적은 경우(교육정도, 현재 직위)는 비모수 검정의 Kruskal-Wallis test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 임상의사결정능력,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 및 아동 간호의 질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은 5점 만점에 평균 3.66±0.43점, 임상의사결정능력은 5점 만점에 평균 3.48±0.20점,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은 5점 만점에 평균 4.04±0.38점, 간호의 질은 10점 만점에 평균 8.50±0.85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 임상의사결정능력,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간호의 질은 자녀가 있을 때 더 높았다(t=2.04, p=.043). 또한 병원 유형(F=5.83, p=.004)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아동전문병원이 종합병원이나 상급종합병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은 임상의사결정능력(r=.481, p<.001),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r=.573, p<.001), 간호의 질(r=.378,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임상의사결정능력은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r=.551, p<.001), 간호의 질(r=.321,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은 간호의 질(r=.422,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아동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임상의사결정능력,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 및 간호의 질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아동병동에서 근무하는 아동간호사의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간호전문직관, 임상의사결정능력 및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을 고려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향후 아동간호사의 아동간호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 변인을 확인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professionalism, clinical decision-making, pediatric nurse-parent partnership, and quality of pediatric nursing care among pediatric nurses who care for hospitalized childre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33 nurses from 10 pediatric wards located in region S, C, and D who understood the purpose and method of this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it.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31, 202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6.0 for Windows.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nursing professionalism, clinical decision-making, pediatric nurse-parent partnership, and quality of pediatric nursing care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he differences in nursing professionalism, clinical decision-making, pediatric nurse-parent partnership, and quality of pediatric nursing care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the independent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and were further confirmed by the Scheffé test. When the sample size was small(education, current position), data were analyzed by the Kruskal–Wallis nonparametric test. Correlations between nursing professionalism, clinical decision-making, pediatric nurse-parent partnership, and quality of pediatric nursing care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nursing professionalism (range 1~5) was 3.66±0.43 and the mean score of clinical decision-making (range 1~5) was 3.48±0.20. The mean score of pediatric nurse-parent partnership (range 1~5) was 4.04±0.38 and the mean score of quality of pediatric nursing care (range 0~10) was 8.50±0.85. 2. Nursing professionalism, clinical decision-making, and pediatric nurse-parent partnership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quality of pediatric nursing ca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who had children (t=2.04, p=.043) and in those working at children’s hospitals compared to those working in general and advanced general hospitals (F=5.83, p=.004). 3. Nursing professionalis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linical decision-making (r=.481, p<.001), pediatric nurse-parent partnership (r=.573, p<.001), and quality of pediatric nursing care (r=.378, p<.001). The clinical decision-making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ediatric nurse-parent partnership (r=.551, p<.001), and quality of pediatric nursing care (r=.321, p<.001). The pediatric nurse-parent partnershi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quality of pediatric nursing care (r=.422,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nursing professionalism, clinical decision-making, and pediatric nurse-parent partnership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quality of pediatric nursing care perceived by participants. Therefore, nursing professionalism, clinical decision-making, and pediatric nurse-parent partnership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ursing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pediatric nursing care.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dditional variables that affect the quality of pediatric nursing care provided by pediatric nurses.

      •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의사결정능력이 투약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

        이송은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48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투약안전역량 정도를 파악하고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의사결정능력이 투약안전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함으로써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투약안전역량 증진을 위한 실행전략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대상은 G광역시·J도에 소재한 상급종합병원 3곳과 S특별시·G도에 소재한 상급종합병원 3곳을 의도표집한 후, 연구의 취지를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할 것을 동의한 총 임상경력 3개월 이상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2020년 9월 14일부터 2020년 9월 25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최종분석에는 216부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도구로 비판적 사고성향은 윤진(2004)이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비판적 사고성향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임상의사결정능력은 Jenkins (1985)가 개발한 The Clinical Decision Making in Nursing Scale를 백미경(2005)이 번역하여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투약안전역량은 박진경(2019)이 개발한 간호사의 투약안전역량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점수는 5점 만점에 3.58점, 임상의사결정능력 점수는 5점 만점에 2.67점, 투약안전역량 점수는 5점 만점에 3.92점이었다. 2.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판적 사고성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F=3.47, p<.01)과 최종학력(F=6.08, p<.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의사결정능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투약안전역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투약안전역량은 비판적 사고성향(r = .52, p<.001) 및 임상의사결정능력(r = .60,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의사결정능력 간에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 = .54, p<.001). 6.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투약안전역량에 가장 주요한 예측 요인은 임상의사결정능력(β=.28, p<.001)이었고, 다음으로 비판적 사고성향(β=.45, p<.001), 근무부서(β=-.11, p<.05)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41.0%이었다(F=51.25, p<.001). 종합해 보면, 본 연구를 통해 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능력과 비판적 사고성향, 직무관련 특성은 투약안전역량에 중요한 영향요인이라는 점이 검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병원 내 간호사의 투약안전역량 향상을 위해서는 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능력과 비판적 사고성향 및 직무관련 특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인식을 간호조직 내에 확대 시키고, 간호사의 투약안전역량 증진 전략 개발 시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의사결정능력 향상에 중점을 두고 근무부서 등 직무 관련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이 개발·제공된다면 간호사의 투약안전역량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

        이지선 아주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48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communication competence,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and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mong nurses in comprehensive care service wards. We recruited 143 nurses who worked at least three months in the comprehensive care service ward of a university hospital in Suwon, Korea.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4 to 18, 2020. We used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Scale developed by Lee(2009) and modified by Lee(2011),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Scale developed by Lee(2015), Health Communication Assessment Tool developed by Campbell (2013) and translated to Korean by Lee(2015), and Clinical Decision-Making Scale developed by Jenkins(1985) and translated to Korean by Baek(2005). Data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IBM SPSS Statistics for Windows, Version 25.0 for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s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were 4.33 points (out of 5), 3.68 points (out of 5), 3.55 points (out of 5), and 3.34 points (out of 5), respectively. We observ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depending on age, total clinical experience, and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patient safety culture campaigns. Second, we fou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r=.59, p<.001), communication skills (r=.45, p <.001), and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r=.42, p<.001),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Third,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ere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β=.63, p<.001, △R2=.269), communication competence (β=.18, p=.007, △R2=.062), and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β=.16, p=.045, △R2=.037). The total explanatory variance was 48.8% (R²=.488, adjusted R²=.472, p<.001).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ere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Thus, based on our results, we suggest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strategies and education programs that focus on improving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communication skills, and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in nurses in comprehensive care service wards, to strengthe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환자안전문화인식, 의사소통능력, 임상의사결정능력의 정도와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S시에 소재한 일 상급종합병원에 근무 중인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 143명을 대상으로 2020년 9월 4일부터 9월 18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환자안전관리활동과 환자안전문화인식은 이금옥(2009)이개발하고, 이유정(2011) 수정·보완한 환자안전관리활동 측정도구와 이순교(2015)의 환자안전문화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의사소통능력은 Campbell 등(2013)이 개발하고 양희모등(2016)이 수정·보완한 의사소통 사정도구로 측정하였다. 임상의사결정능력은 Jenkins(1985)가 개발하고 백미경(2005)이 번안한 임상의사결정능력척도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목적 및 측정변수의 척도수준에 따라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와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Hierarchical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목적에 따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9.1세이며, 총 임상경력은 평균 6년이었고, 5년 미만의 경력간호사가 60.8%로 많았다. 환자안전문화캠페인 참여경험이 있는 경우는 16.1%로 참여경험 평균빈도는 1.3회이었다. 2. 주요변수들의 평균평점(5점 만점)은 환자안전관리활동 4.33±0.38점으로 높고, 환자안전문화인식 3.68±0.42점, 의사소통능력 3.55±0.42점, 임상의사결정능력 3.34±0.49점으로 중간수준으로 나타났다. 3. 환자안전관리활동은 환자안전문화인식(r=.59, p<.001), 의사소통능력(r=.45, p<.001), 임상의사결정능력(r=.42,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일반적 특성 중 연령(p=.003), 총 임상경력(p=.005), 환자안전문화캠페인 참여경험(p=.004)에 따른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4.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유의한 영향요인은 환자안전문화인식(β=.63, p<.001, △R2=.269), 의사소통능력(β=.18, p=.007, △R2=.062), 임상의사결정능력(β=.16, p=0.45, △R2=.037)순으로 나타났다. 연령, 총 임상경력, 환자안전문화캠페인 참여경험을 통제한 후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의 최종모형에 대한 총 설명력은 48.8%로 나타났다(R²=.488, Adjusted. R²=.472, F=18.27, p<.001). 본 연구를 통해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유의한 영향요인은 환자안전문화인식이 26.9%로 설명력이 높았고, 의사소통능력과 임상의사결정능력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중재 전략 및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언한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간호사 개인차원과 함께 조직의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환자안전역량의 관계 : 임상의사결정능력의 조절 및 매개 효과 :

        나현숙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48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의사결정능력 및 환자안전역량의 정도를 파악하고 비판적 사고성향과 환자안전역량의 관계에서 임상의사결정능력의 조절 및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임상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을 강화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방법: 본 연구 설계는 서술적 조사연구이고, 자료수집기간은 2021년 8월 23일부터 9월 9일까지이며,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의 상급종합병원의 간호사 중 근무 경력 1년 이상이며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17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Scheffé test 사후검정, 피어슨 상관계수,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성별은 여자 169명(94.9%), 남자 9명(5.1%)이었다. 연령은 평균 29.40±5.24세 이었으며, 26~30세가 71명(39.9%)으로 가장 많았다. 결혼상태는 기혼 49명(27.5%), 미혼 129명(72.5%)이었다. 학력은 대졸이 122명(68.5%),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104명(58.4%)으로 가장 많았다. 현 근무부서는 병동이 115명(64.6%)으로 가장 많았다. 총 임상경력은 평균 7.14±5.45년 이었으며, 3년 미만 47명 (26.4%), 3~5년 미만 38명(21.3%), 5~10년 미만 44명(24.7%), 10년 이상 49명(27.5%)이었다. 현 부서 경력은 평균 4.67±3.99년이었으며, 3년 미만 76명(42.7%), 3~5년 미만 41명(23.0%), 5~10년 미만 41명(23.0%), 10년 이상 20명(11.2%)이었다. 비판적 사고성향 교육 여부는 예 91명(51.1%), 아니오 87명(48.9%)이었다. 환자안전교육 여부는 예 174명(97.8%), 아니오 4명(2.2%)이었다. 환자안전 담당자역할 여부는 예 74명(41.6%), 아니오 104명(58.4%)이었다. 2.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총 5점 만점에 평균 3.63±0.31점이었고, 임상의사결정능력은 총 5점 만점에 평균 3.35±0.22점이었으며 환자안전역량은 총 5점 만점에 평균 4.05±0.37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판적 사고성향은 연령(F=4.41, p=.005), 결혼상태(t=2.31, p=.022), 직위(t=-3.34, p=.001), 총 임상경력(F=4.42, p=.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Scheffé test로 사후검정을 실시한 결과, 연령은 36세 이상이 25세 이하와 26~30세보다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았다. 결혼상태는 기혼이 미혼보다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았다. 직위는 책임간호사가 일반간호사보다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았다. 총 임상경력은 10년 이상이 5~10년 미만보다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았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의사결정능력은 직위(t=-2.19, p=.030)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Scheffé test로 사후검정을 실시한 결과, 직위는 책임간호사가 일반간호사보다 임상의사결정능력이 높았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역량은 연령(F=5.72, p=.001), 결혼상태(t=2.68, p=.008), 직위(t=-4.12, p<.001), 총 임상경력(F=6.67, p<.001), 현 부서경력(F=2.91, p=.036)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Scheffé test로 사후검정을 실시한 결과, 연령은 36세 이상이 25세 이하와 26~30세보다 환자안전역량이 높았다. 결혼상태는 기혼이 미혼보다 환자안전역량이 높았다. 직위는 책임간호사가 일반간호사보다 환자안전역량이 높았다. 총 임상경력은 10년 이상이 1~3년 미만보다 환자안전역량이 높았다. 현 부서경력은 10년 이상이 3년 미만보다 환자안전역량이 높았다. 4. 대상자의 환자안전역량은 비판적 사고성향(r=.48, p<.001), 임상의사결정능력(r=.39,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비판적 사고성향은 임상의사결정능력(r=.48,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임상의사결정능력은 비판적 사고성향과 환자안전역량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었고(Z=2.62, p=.009) 조절효과는 없었다(β=.08, p=.423).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환자안전역량의 관계에서 임상의사결정능력은 부분매개효과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비판적 사고성향을 증진시키고 임상의사결정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계화된 프로그램 적용이 필요하다.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임상의사결정능력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인영 충북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47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 전문직 자율성, 임상의사결정능력 수준을 파악하고,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C, D, G 지역에 소재하는 11개의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에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근무경력 6개월 이상의 간호사 151명을 대상으로 2017년 7월 1일부터 8월 2일까지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간호업무성과의 도구는 고유경 등(2007)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전문직 자율성은 Schutzenhofer (1983)가 개발하고 한경자 등(1994)이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임상의사결정능력은 Jenkins (1985)가 개발하고 백미경(2005)이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간호업무성과, 전문직 자율성 및 임상의사결정능력 수준은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의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업무성과, 전문직 자율성 및 임상의사결정능력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Independent t-test와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사후검정은 Scheffé test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전문직 자율성, 임상의사결정능력과 간호업무성과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였으며,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간호업무성과는 5점 만점에 평균 3.71±0.58점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업무성과는 최종학력(p=.043), 연봉수준(p=.037)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업무성과는 근무병동(p=.005), 담당 직무만족도(p=.004)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대상자의 전문직 자율성은 총점 166.74±18.02점이었으며, 일반적 특성과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전문직 자율성은 근무병동(p<.001), 간호사 1인당 담당환자 수(p=.005), 담당 직무만족도(p=.002)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대상자의 임상의사결정능력은 5점 만점에 평균 3.31±0.25점이었으며, 일반적 특성과 직무관련특성에 따른 임상의사결정능력은 근무병동(p=.007), 담당 직무만족도(p=.007)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는 전문직 자율성(r=.404, p<.001), 임상의사결정능력(r=.626,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임상의사결정능력(β=.525, p<.001), 전문직 자율성(β=.194, p=.006)순이었다. 임상의사결정능력 수준이 높을수록, 전문직 자율성 수준이 높을수록 간호업무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요인들이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의 45.4%를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능력과 전문직 자율성이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환자가 기대하는 간호서비스 질 향상요구에 부응하고, 간호업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주요어: 간호·간병통합서비스, 간호업무성과, 임상의사결정능력, 전문직 자율성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correlation among nurses’ professional autonomy,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and nursing performance in a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as well as to analyze factors that affect nursing performance. Thi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on 151 nurses working in a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for over six months.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 to August 2, 2017, using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s. The performance measurement scale for nurses developed by Ko et al. (2007) was used to measure nursing performance of nurses. Professional autonomy was measured using the professional autonomy scale that was developed by Schutzenhofer (1983)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Han et al. (1994).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was measured using the clinical decision making scale that was developed by Jenkins (1985)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Baek (2005).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The average scores of the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were 3.71(±0.58) for nursing performance, 166.74(±18.02) for professional autonomy, and 3.31(±0.25) for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2.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rsing performance were observed in terms of educational level (p<.043), annual income (p<.037), working department (p=.005), and job satisfaction (p=.004). 3. When the relations among nursing performance, professional autonomy, and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of the subjects were analyzed, it was found that professional autonom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ing performance. Additionally,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ing performance. 4.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nursing performance of the nurses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p<.001) and professional autonomy (p=.001). These variables explained 45.4% of the nursing performance. Considering the above mentioned factors for effective nursing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for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Key words: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nursing performance, professional autonomy,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 응급실 간호사의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 임상의사결정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정해인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747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급변하는 의료 환경 속에서 강한 강도의 외상환자를 간호하면서 생기는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와 간호사에게 필수역량인 임상의사결정능력, 의사소통능력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300병상 이상 상급 병원 및 종합 병원의 7개의 병원에서 근무하는 응급실 간호사 181명을 임의표집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23년 7월 4일부터 2023 10월 31일까지 자가보고식 온라인설문지를 바탕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도구는 환자안전간호활동 34문항,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 17문항, 임상의사결정능력 40문항, 의사소통능력 30문항, 일반적 특성 9문항의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자,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의 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156명(86.2%), 연령은 평균 31.45(±5.75)점이었다. 최종학력은 학사 졸업 이상이 155명(85.6%), 임상 경력은 5년 이상~10년 미만이 70명(38.7%) 응급실 경력은 6개월 이상~ 3년 미만 94명(51.9%)로 가장 많았다. 응급실 형태는 지역응급의료센터 100명(55.2%), 환자 안전 교육 경험 횟수는 5~10회 54명(29.8%), 환자 안전 정기 교육 횟수는 6개월마다 교육 104명(57.5%), 환자안전사고 보고 경험은 1~2회 71명(39.2%)가 가장 많았다. 2. 연구 대상자의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의 평균은 5점 만점에 2.62(±0.78)점, 임상의사결정능력의 평균은 5점 만점에 3.29(±0.23)점, 의사소통능력의 평균은 5점 만점에 3.37(±0.51)점, 환자안전간호활동의 평균은 5점 만점에 4.12(±0.46)점으로 나타났다. 3.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간호활동을 분석한 결과, 연령(F=10.13, p<.001), 최종학력(F=4.03, p=.018), 임상 경력(F=3.21, p=.024), 환자 안전 교육 경험 횟수(F=6.85,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 임상의사결정능력, 의사소통능력과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환자안전간호활동은 임상의사결정능력(r=.43, p<.001), 의사소통능력(r=.16, p<.035)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임상의사결정능력은 의사소통능력(r=.26,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는 임상의사결정능력(r=-.30, p<.001), 의사소통능력(r=-.34, p<.001)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5.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회귀분석을 통계처리를 실시한 결과, 임상의사결정능력과 환자안전교육 경험 횟수가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을 27.1% (R2=.324, adj.R2=.271, F=6.15,p<.001)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응급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중 환자안전교육 경험 횟수와 임상의사결정능력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근거로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이 수준이 향상될 수 있도록 임상의사결정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중재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환자안전교육을 지속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dentified emergency room nurses’secondary traumatic stress that occurs while caring for patients with severe trauma in a rapidly changing medical environment,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clinical decision-ma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which are essential competencies in patient-safety nursing activities. It aimed to provide basic data to promot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among emergency room nurses. Participants were a convenience sample of 181 emergency room nurses working in 7 hospitals, including tertiary and general hospitals, with 300 beds or more. Data was collected based on a self-reported online questionnaire from July 4, 2023, to October 31, 2023. The questionnaire contained 34 patient-safety nursing activities questions, 17 secondary traumatic stress questions, 40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questions, 30 communication competence questions, and 9 general characteristics questions. Data were subjected to mean and standard deviation,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Participants were 156 female nurses (86.2%) with the average age of 31.45±5.75.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was a bachelor's degree or higher (155 people, 85.6%), clinical careers were between 5 and 10 years (70 people, 38.7%), and emergency room careers were between 6 months and less than 3 years (94 people, 51.9%). The most common type of emergency room was a local emergency medical center (100 people, 55.2%), and the most frequent patient-safety education experience was 5–10 times that of 54 people (29.8%). The most frequent number of regular patient-safety trainings was every six months (104 people, 57.5%), and patient-safety accident was one to two times (71 people, 39.2%). 2. Participants’average secondary traumatic stress,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patient-safety nursing activities was 2.62±0.78, 3.29±0.23, 3.37±0.51, and 4.12±0.46 out of 5, respectively. 3. Analysis of patient-safety nurs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age (F=10.13, p<.001), highest level of education (F=4.03, p=.018), clinical experience (F=3.21, p=.024), and number of patient safety education experiences (F=6.85, p<.001),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4. Patient-safety nursing activitie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ies (r=.43, p<.001)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r=.16, p<.035).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mmunication competence (r=.26, p<.001). Moreover, secondary traumatic stres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r=-.30, p<.001)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r=-.34, p<.001). 5.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β=.40, p=<.001), and 3-4 (β=.23, p=.011), 5-10 (β=.25, p=.010), 11 or more (β=.20, p=.033) patient-safety education experiences were factor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patient-safety nursing activities. Furthermore, emergency room nurses'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explained 32.7% of the variance (R2=.327, adj.R2=.274, F=6.23, p<.001). Results confirm that the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of emergency room nurses is a factor that affects patient-safety nursing activities. Therefore, interventions and programs that can increase the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of emergency room nurses are necessary to improve patient-safety nursing activities.

      • 요양병원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전문직 자율성,간호업무환경이 임상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신희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47

        국문초록 요양병원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전문직 자율성, 간호업무환경이 임상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전문직 자율성, 간호업무환경이 임상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광역시와 J도시에 소재하는 150병상 이상의 7개의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64명이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21년 8월 10일부터 2021년 08월 30일까지 진행하였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비판적 사고성향은 Facione(1994)가 개발한 도구를 권인수(2006) 등이 수정, 보완하여 측정하였고, 전문직 자율성은 Schutzenhofer(1983)이 개발한 도구를 한경자, 이은옥, 박성애, 하양숙, 김금순(1994)이 번안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간호업무환경은 Lake(2002)가 개발한 도구를 조은희(2011)가 수정한 도구로 측정하였고, 임상의사결정능력은 Jenkins(1985)가 개발한 도구를 백미경(2005)이 번안, 수정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와 ANOVA를 이용하였고, 사후분석은 Scheff’s test를 시행하였으며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175점 만점에 평균 118.98점, 전문직 자율성은 240점 만점에 평균 162.47점, 간호업무환경은 120점 만점에 평균 76.44점, 임상의사결정능력은 200점 만점에 평균 129.28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의사결정능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특성은 직무 만족(t=0.03, p<.05)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임상의사결정능력은 비판적 사고성향(r=.453, p<.001), 전문직 자율성(r=.162, p<.001), 간호업무환경(r=.258,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임상의사결정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결과, 임상의사결정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비판적 사고성향(β=0.417, p<.001)이며, 설명력은 20.6%인 것으로 나타났다(F=11.57, p<.001). 본 연구결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임상의사결정능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이에 대한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비판적 사고성향, 전문직 자율성, 간호업무환경, 임상의사결정능력, 요양병원 간호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