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흡착 세라믹 담체 제조 및 미생물 고정화에 따른 제거 효율 평가에 관한 연구

        최미연 전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녹조현상에 주요 원인 물질인 인을 제거하기 위해 다양한 세라믹 재료를 활용하여 인 흡착 세라믹 담체를 제조하였다. 세라믹의 재료는 고령토, 황토, 점토, 레드머드, 제올라이트, 부식산, 제지슬러지 등을 사용 하였으며, 혼합된 재료들을 해수염, 증류수, 천일염 등으로 반죽 한 후 850℃로 소성하여 인 흡착 실험을 실시하였다. 총 53 가지의 세라믹을 제조한 결과 5.14% ~ 92.69%의 인 제거 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제조 된 세라믹 담체에 고정 할 미생물은 광주 환경시설공단의 활성슬러지에서 분리하였다. 그 중 인 제거 효율이 높은 strain 3 균주와 strain 4 균주를 고정화 한 결과 Microorganisms Ceramic carrier (M.C.C)가 Ceramic carrier(C.C)에 비해 2.20 ~ 20.33%, 7.3~16.72% 인 제거 효율이 향상되었다.

      • 도 대학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 개발 연구

        Langkhankhup, Ngaihte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ystematic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major in India. In order to do this, Korean language major curricula of India and neighboring countries were examined, which highlighted the problems of Korean language major curriculum in India and identified valuable reference points from the curricula of neighboring countries. Based on this, a needs analysis survey was done on Korean language major students and teachers in India. Finally, the findings from this survey were incorporated in proposing a more effective Korean language major curriculum for Indian students. Chapter 1 identifies the need and purpose of the study and reviews existing literature to establish the study's foundation. The literature review dealt with two topics; the first topic explored in the studies dealing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India, while the second topic expands the scope to India's neighboring countries. The chapter examines the overall literature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India and neighboring countries. It derives the aspects that can be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major curriculum in Indian universities. Chapter 2 contains a conceptual framework for developing Korean language major curriculum in India. This involves exploring the current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Indian universities and India’s foreign language policy. The chapter describes the history and growth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India while further demonstrating the current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operating in various universities in India. The chapter also reviewed the foreign language policy and standard curricula proposed by the education board of India. Following this, the chapter explores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summarizes the concept of curriculum, components, and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Chapter 3 consists of an analysis of the Korean language major curriculum in India. For this, the curriculum of Jawaharlal Nehru University was chosen, and the syllabus was analyzed based on the area of language knowledge, skills, culture, literature, and practical. This was further followed by an analysis on the criteria of aim and objective, course selection and sequence, yearly and final target level of the curriculum. The Korean language major curricula of neighboring countries, Myanmar, Thailand, and Cambodia, were analyzed on the same criteria, which provided valuable reference points for establishing survey questions to students and teachers in India. Chapter 4 presents surveys conducted to 103 Indian students and 14 teachers of Korean language in India. The survey result determined the demands of the students and teachers in the area of Korean language knowledge, skills, culture, literature, and practical. The result further demonstrated the preferred course of the students and teachers in these five areas, the objective standard for each year, and the final objective standard for graduation. Chapter 5 proposed a development plan for Korean language major curriculum in Indian universities. This proposal i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of chapter 4, situational analysis results from chapter 2, and analysis of existing curricula in chapter 3. The development plan in this chapter can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steps. First, the chapter establishes the principle for developing Korean language major in India. Second, the chapter identifies the aims and objectives for Korean language major in India. Third, the chapter presents the yearly objective of Korean language major curriculum in India based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the Korean Language. Lastly, the chapter proposes both a three-year and four-year Korean language major curriculum for Indian universities. Both models are presented to facilitate a flexible curriculum for universities in India as proposed by the National Education Policy of India in 2020. Chapter 6 presents a summary of the study and reflections on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is the first research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India while conducting situational analysis and needs analysis on students and teachers. The researcher anticipates that this study serves as a stepping stone for further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India, which is very minimal. This study is also significant as it proposes a model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India; three-year and four-year course models, which are Indian students centered and can be flexibly adjusted according to situational need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could not incorporate the newly established Korean language major curricula of three universities in India, which could have provided a more comprehensive analysis. The study concludes with expectations that further in-depth analysis on Korean language major and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Indian will follow and secure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in India.

      • 차량 속도 및 노면 마찰계수 추정을 통한 휠(in-wheel) 전기자동차 자세제어 알고리즘 개발

        고성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에서는 차량속도 및 노면 마찰계수 추정을 이용한 인휠 전기자동차의 자세제어 알고리즘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대상 인휠 전기자동차의 모터, 배터리를 포함한 동력 전달계와 드라이버 모델, 제어 로직 등을 MATLAB/Simulink를 이용하여 모델링하고 CarSim으로 차량모델을 개발하여 인휠 전기자동차의 동적해석을 수행할 수 있는 co-simulator를 개발하였다. 차량 제어 시 필수적인 파라미터인 차량속도 추정 알고리즘에서는 질량 변화, 저마찰 노면 주행, 경사 주행에 대한 가상의 질량(Effective inertia) 개념을 도입하고, 앞에서 개발한 co-simulator를 이용하여 다양한 주행환경에서 속도 추정알고리즘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노면 마찰계수 추정 알고리즘에서는 특정 타이어 특성 맵 대신 센서 값과 동역학 식으로 노면 마찰계수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횡방향 요소도 고려함으로써 직진 주행 시뿐만 아니라 선회 시에도 노면 마찰계수를 추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앞에서 추정한 차량속도 및 노면 마찰계수를 이용하여 차량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차량 슬립 제어 로직 및 선회 제어 로직을 개발하였다. 차량 슬립 제어 로직은 노면 마찰계수 추정알고리즘에서 추정한 노면 마찰계수와 차량 슬립률 및 요구 슬립률을 이용하여 피드백 제어를 수행하고, 선회 제어 로직에서는 선회 시 차량 속도 제어 로직과 선회 시 상황판단 알고리즘, 요레이트 제어 로직을 통하여 선회 시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선회시 차량 속도 제어에서는 차량속도를 제한하여 차량이 안전한 속도로 선회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선회 시에는 차량 상태가 오버스티어(over steer)인지, 언더스티어(under steer)인지 뉴트럴 스티어(neutral steer)인지 판단하도록 제안하였다. 요레이트 제어 로직에서는 차량 상황판단 알고리즘에 따라 각 휠의 구동모터를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직접요모멘트를 발생시켜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제안하였다. 개발된 co-simulator를 이용하여 다양한 주행환경(저마찰 노면 급가속, 급제동, split-μ, 저마찰 노면 원주행)에서 이 연구에서 제시된 차량 자세제어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a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algorithm for an in-wheel electric vehicle is proposed using vehicle velocity and road friction estimation. In order to evaluate performance of the control algorithm, a co-simulator is developed under both MATLAB/Simulink and CarSim simulation environment. Dynamic model of the in-wheel electric vehicle components such as the motor, battery and driver model are developed using MATLAB/Simulink and CarSim vehicle model is used for simulating the dynamic performance of in-wheel electric vehicle. Vehicle velocity estimation of essential parameters to control vehicle is developed based on a effective inertia which is variable at changing mass, low friction road and climbing road. To evaluate the vehicle velocity estimation, various simulations is conducted using MATLAB/Simulink and CarSim co-simulator. Road friction estimation is developed using sensor values and vehicle dynamic equations without tire characteristic maps and include lateral components so that it can estimate a road friction at turning as well as straight running. The electronic stability algorithm is designed based on the wheel slip control and turning control. The wheel slip controller reduces motor torque of each wheel when the slip ratio exceeds the reference slip ratio based on the road friction and slip ratio. The turning controller consists of vehicle velocity control at turning, decision algorithm of vehicle state at turning, yaw rate control. The vehicle velocity controller at turning restricts vehicle velocity to turn safely, the decision algorithm of vehicle state at turning decides whether under steer or over steer and yaw rate controller generates the torque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motor in order to compensate the yaw rate error. To evaluate the electronic stability algorithm, various simulations which are low friction road acceleration, deceleration, split-μ and circle test are conducted, so this algorithm is verified.

      • 도 전통 리듬 연주의 세트드럼 적용에 관한 고찰 : -피트로켓‧베니그렙‧가보르도네이를 중심으로-

        강기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전통 인도 음악의 딸라 리듬과 더불어 세트드럼을 활용한 인도 리듬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인도 음악이 지닌 리듬 체계와 각 아티스트들이 지닌 드럼 테크닉들을 고찰해 보았다. 또한 인도 음악이 지니고 있는 특징적 요소와 각 시대에 나타난 인도 음악 체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인도 음악의 개념에 대하여 알아보고, 인도 음악의 역사적 흐름에 대해서 알아보고, 인도 음악의 역사적 시대 흐름을 나누어 고대 시대 · 중세 시대 · 근대 시대 그리고 현대 시대로 구분하여 각 시기별 음악 동향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인도 음악의 구체적인 리듬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하여 음악적 시간의 개념과 인도 전통악기 및 앙상블 형태들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인도 음악의 종류와 시대별 특징에 대한 고찰에서는 인도 음악의 분류에 따른 각 지역으로 나뉜 남인도의 음악과 북인도의 음악에 나타난 성향과 동태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인도 음악의 악기 분류를 통해 세부적인 인도 음악의 흐름들을 설정하였다. 인도 음악의 시대별 특징에서는 고대시대의 최초의 문헌이 등장했던 시점을 기준하여 기원후 200년 · 1300년대 · 1800년대 · 1900년대 그리고 2000년대로 나누어 분석해 봄으로써 각 해당 시기별 인도 음악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아직까지도 많은 음악 연구학자들로부터 정확한 인도 음악의 시점을 구분하기 어려우며 현재까지도 논의가 끊이지 않고 있다. 결국 대부분의 문헌들은 총 4개의 시대로 분류하며 인도 음악의 음악적인 요소인 선율, 리듬 등에 관하여 세부적으로 분석을 시행하고 있다. 본 논자 역시 라가의 선율을 제외한 리듬에 대해서만 살펴보았다. 그에 앞서 고대 시대에 최초로 등장하게 된 극예술 문헌 ‘나따야샤스트라’의 시작으로 라가, 딸라, 라야로 구분하여 예술 문헌들이 여럿 등장하게 된다. 리듬의 ‘타알’은 인도 음악의 진행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이다. 시간의 단위 즉 리듬 사이클이라는 순환 구조로 처음에 등장한 리듬들이 계속해서 변형 형태를 띄우며 진행되는 것을 뜻하며 인도 음악의 핵심적인 요소 중 하나이다. 1300년대의 중세 시대는 종교의 혼란으로 인해 여러 지역으로 분단되며 각 지역의 음악 문헌 전개 역시 다르게 기록되며 방대한 해석들로 만들어졌다. 그 결과 예술 문헌들이 가장 많이 나오던 시대였으며 라가와 딸라 체계 또한 구체적으로 논의를 거쳐 정립되어져 갔다. 1800년대의 근대시대에 들어와 각 지역의 양 음악 간의 소통과 필요성이 제기되던 시기였다. 고유 힌두 전통을 유지하며 음악 문헌에 전념해온 남인도와 일찍 해외 무역에 힘쓰며 현장 무대 경험과 대중들과의 소통을 일찍 시작한 북인도는 결국 통합하며 인도 음악의 형태를 갖추게 된다. 1900년대의 현대시대에는 서양악기의 유입과 해외 뮤지션들의 관심이 인도 음악에 주목되며 세계적으로 인도 음악이 소개되었다. 더하여 다양한 예술 분야까지 영향을 주게 되며 영화 음악, 영화, 드라마, 연극, 춤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 까지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서양 악기의 유입으로 인해 인도 음악의 짙은 전통성이 사라지게 될 줄 알았지만 오히려 서양악기가 인도 음악에 스며들며 음색이 하나 추가되는 현상을 발견하게 되었다. 결국 서양악기의 바이올린은 가장 인도 음악에 가장 적합한 악기로써 앙상블 혹은 합주 시 주 멜로디 선율을 연주하게 되었다. 계속한 시도들 끝에 2000년대 들어 멀티 퍼커션이자 드러머인 피트로켓이 세트드럼으로 인도 리듬을 해석하며 대중들에게 선보이기 시작했다. 심벌과 드럼의 조합으로 인도 리듬의 고유 가락들을 해석하며 저서와 앨범으로 대중 혹은 많은 연주자들에게 인도 음악의 이해를 도왔다. 아울러 피트로켓의 ‘리드믹 빌딩 블록’의 서양 이론 측면으로 접근하여 결국 체계화시켜 모호하고 방대하게만 받아들였던 인도 리듬들을 풀어갔다. 피트로켓의 「INDIAN RHYTHMS FOR DRUMSET」의 수록곡 3곡을 분석 하며 세트드럼의 구룹핑 컨셉과 피트로켓의 리드믹 빌딩 블록을 고찰시키며 같은 악보로 2가지 관점에서 다르게 해석되었다. 또한 피트로켓은 인도 전통 리듬을 서양악보로 기보 시켜 해석해 내며 많은 대중들에게 기여했다. 더하여 세계적인 드러머 베니그렙은 인도 음악과 밀접한 연관이 있었으며 「THE LANGUAGE OF DRUMMING」에서 세트드럼을 해석할 때 인도 음악과 고찰시켰다. 리듬을 알파벳 순서로 글자로 만들었으며 그 글자들을 조합하여 문장으로 완성시킨다. 이는 곧 세트드럼의 테크닉의 구룹핑 컨셉과 동일하였으며 베니그렙은 완성된 문장들을 가지고 반복적으로 순환할 수 있게 만들었다. 아울러 베니그렙은 숫자가 아닌 글자로 해석한 것은 인도 리듬의 언어와 깊은 연관이 있었으며 상호작용이 있었기에 많은 시도와 도전 정신으로 결과물을 도출시켰다. 피트로켓과 함께 한 연주 곡 <Tea For Steve>을 분석하며 베니그렙의 세트드럼 테크닉을 어떠한 방법으로 인도 음악에 적용하였으며 베니그렙의 ‘리드믹 알파벳’과 연관 지어 인도리듬들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가보르도네이와 피트로켓이 함께 작업한 앨범 ≪RHYTHM FRONTIER≫은 다양한 악기 조합으로 다양한 인도리듬을 살펴볼 수 있다. 먼저 가보르도네이의 세트드럼 솔로 프레이즈를 살펴보며 인터뷰 내용, 잡지, 기사를 통해 가보르도네의 드럼 테크닉을 확인하였다. 앨범의 총 10곡 중 6곡은 피트로켓의 인도 리듬 솔로와 가보르도네이의 세트드럼 솔로로 만들어졌으며 선정된 4곡은 함께 협연 곡으로써 인도 리듬과 구룹핑 컨셉을 살펴볼 수 있기에 선정하였다. 더불어 곡에 쓰인 가보르도네이의 드럼 테크닉들 또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도 전통 리듬과 세트드럼에 관한 고찰을 곡 분석을 통해 3가지 항목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인도 리듬의 구조적 특징으로는 인도 리듬의 반복적 특성으로 인해 두 도막 혹은 세 도막 형식으로 곡이 주를 이루고 있다는 점이며, 곡의 첫 부분과 끝 부분은 인도 리듬으로 모두 정리된다는 점이다. 중간 인도 리듬의 솔로 프레이즈와 세트드럼의 솔로 프레이즈 역시 마디 수를 제외한 동일 방식으로 곡 진행이 이루어진다. 둘째, 인도 리듬은 다른 월드뮤직 장르에 비해 아직까지 협소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라틴, 삼바에 비해 이론적 체계가 부족한 것은 사실이며 이점 또한 많은 음악 연구학자들에 의해 연구 되어져야 할 부분이다. 셋째, 인도 리듬은 홀수 박자인 3,5,7,9의 리듬 위주로 사용이 많다는 점이다. 이는 피트로켓의 리드믹 빌딩 블록에 근거하여 홀수 박자를 확인할 수 있다. 피트로켓의 곡 외에 베니그렙의 곡과 가보르도네이 곡들 역시 홀수 박자의 해석되는 경우가 대부분 이였으며 90% 이상 16분 음표 혹은 8분 음표의 기준 음표로 정하여 인도 리듬이 전개된다는 점을 곡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리듬적인 측면에서 인도 전통 리듬 소재의 사용 비율을 높이기 위해 서양 리듬 사용 비율을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세트드럼의 솔로 프레이즈를 제외하고는 유니슨 구간에 인도 리듬을 나열 하였다. 이와 같이 현시대의 인도 전통음악에 관한 해석들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것이라 판단하여 인도 전통 리듬 연주의 세트드럼을 고찰해 보았다. 근거 사례로 등장하는 피트로켓 · 베니그렙 · 가보르도네이를 살펴보고, 각 사례에 나타나는 곡 분석들을 통해 인도 음악이 지닌 한계를 규명해보았다. 주제어: 인도음악, 인도 리듬, 세트드럼, 구룹핑 컨셉, 리드믹 빌딩 블록 The rhythmic System of Indian music and the artists’ drum techniques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traditional Indian music of Tala Rhythm and the rhythms produced with a drum set. In addition, the distinctive features and the music system emerging at different time were studied. First, the concept of Indian music and its historical trends in ancient, medieval and modern times were discussed. For insightful study of characteristics of Indian rhythm, the concept of musical time,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and types of ensemble were studied. The types of Indian music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with a comparison of the dynamics and their distinctive features between the South India and North India. The flow of Indian music was defined by classifying Indian music instruments Periodical features of Indian music were analyzed from the time when the first literature was appear. The era was divided into AD 200, 1300s, 1800s, 1900s and 2000s for this study. There are conflictive opinions to determine the exact time point when Indian music started from, and it has not been defined yet up to now. However, in most research, the era of Indian music has been classified in four different time periods, and studied the musical factors of melody and rhythm in detail. In this research, the rhythms have been focused, but Raga was excluded. Since the first art literature of ‘NatyaShastra’ was written, many literatures studied with a classification of Raga, Tala and Laya have been published. ‘Taal’ of rhythm plays the most critical role in progression of Indian music. Cycle, the time unit is a circulating structure, in which the rhythms used at the beginning are repeated with modifications. The structure is one of the main features of Indian music. In 1300s of the Middle ages, the religion of chaos caused the division of the country, changing the aspects of the music literatures with broad diverse interpretations. For this reason, a large number of art literature was written during the time, and the systems of Raga and Tala were established by detailed discussion. In 1800s, the needs in communications between the music of two different areas were raised. South India tried to conserve Hindu traditions establishing music literatures while North India strived for trade to have field experiences and communicate with the public. They were finally integrated to form Indian music. In 1990s, Indian music has been introduced to the world as the western musical instruments were inflowed to India and foreign musicians started to have interested in Indian music. It affected various fields of art such as film music, film, drama, plays, and dances. Although it was worried to disappear the tradition of Indian music with the influx of western musical instruments, they were well harmonized with Indian music to make an additional tone of the music. For example, violin has been used to play melody in ensemble as it is adopted for the most suitable instrument for Indian music. Finally, a multi percussionist and a drummer, Pete Lockett interpreted Indian music by playing the drum set for the public. The integration of cymbals and drums enabled to interpret traditional Indian melody to help people and many players to understand Indian music with publicized books and albums. He also organized ‘Rhythmic Building Block’ to make too broad and obscure Indian music understandable. He investigated grouping concept of a set drum and rhythmic building block by analyzing three songs in「INDIAN RHYTHMS FOR DRUMSET」. In this research, he interpreted a music note in two different viewpoints. Furthermore, he contribute to the public’s understanding of Indian music as the traditional rhythms transferred to western musical notations. The world famous drummer, Benny Greb is related to indian music. He replaced the rhythms to letters in alphabetical order and arranged them to complete the sentences. It is concordant to the grouping concept in the techniques of a drum set, and his trial to use letters instead of numbers was closely associated and interacted with Indian rhythm and languages. He played <Tea For Steve> with Pete Lockett and analyzed the piece. He adopted Benny Greb’s Drum Set technique to Indian music and analyze the Indian rhythm using rhythmic alphabets. In addition, the album of ≪RHYTHM FRONTIER≫which was made by Gabor Dornyei and Pete Lockett showed diverse Indian rhythm as they combined various musical instruments to play. According to Gabor Dornyei’s interviews, magazines, and articles about his drum solo, his techniques were studied. Six pieces among ten pieces of track in the album were made of Pete Lockett’s Indian rhythm solo and Gabor Dornyei’s Drumset solo. The other four pieces were played together demonstrating Indian rhythms and grouping concepts. Furthermore, Gabor Dornyei’s drum techniques can be seen. The study of traditional Indian rhythm and drum set with analysis of the pieces can be summarized in three points. First, structural features of Indian rhythm are that most pieces take binary form or ternary form due to the repeated Indian rhythms, and the first and the last parts of pieces were made of Indian rhythms. In the middle of the pieces, Soloing of Indian rhythm and drum set Solo were played in the same way except the number of bar. Second, indian rhythm is small compared to other genres of world music. Obviously, theoretical system is not well established unlike Latin and Samba, and thus it should be investigated by musical scholars. Third, Indian rhythms often use odd beats like three, five, seven or nine. It can be found in Pete Lockett’s ‘Rhythmic Building Block’. In addition to Pete Lockett’s music, many of Benny Greb’ and Gabor Dornyei’s music also used odd beats and over 90% of were adopted Semi-quaver and quaver as standard notes for progression of Indian rhythms. Last, the portion of western rhythms were relatively low in Indian music to increase the use of traditional Indian rhythms. Indian rhythms were arrayed in Unison sections, except for solo drumming on the drum set.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tudied traditional Indian rhythms played by drum sets. As it is assumed that traditional Indian music in the modern age would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Pete lockett · Benny Greb · Gabor Dornyei’s music were used for analysis and defined the limitations of Indian music. Keywords: Indian music, Indian Rhythm. Drum Set, Grouping Concept, Rhythmic Building Block.

      • 빌딩 MIMO 서비스를 위한 동축케이블 확장장치 구현 및 다중대역 수용 방안 연구

        김영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807

        LTE service has opened a full-scale wireless data era from voice-centric 2G, 3G service. Originally, LTE is the system considered in order to improve the wireless data transmit rate. However users of large volume data such as video have been increased and therefore many mobile carriers are putting effort to compete of securing frequency and technical development to ensure the traffic capacity for handling the increasing rate of data traffic. MIMO antenna technology is the most efficient technology for traffic processing in current LTE network. When applying LTE-A with 4x4 MIMO antenna technology, this would be twice faster than LTE 2x2 MIMO data rate and therefore this indicate the effect of ensuring the capacity of the system twice more. For Inbuilding MIMO service, however will require an additional pair of feeder cable with same length of existing feeder cable, however, it is not easy in reality because as an business aspect it will cause excessive investment issue and the landlord would concern about damage being caused by additional facility installation of feeder cable and antennas. This paper suggests feeder cable MIMO expansion device, which utilize an existing building operations to enable MIMO service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settle the excessive investment issue and oppose installation of coaxial cable and antenna. Core functions of the research is WCDMA and LTE as an input signal to pass through the main path without frequency conversion process and in respect of MIMO signal path, it converts the intermediate frequency and multiplex it with the main frequency, and de-multiplex transfer function and two signals which have been mixed at the service antenna to reprocess and devide the wave of main signal and MIMO signal through field test to confirm whether MIMO properly functions. In addition, it should mainly classified into two cases; the separation of the main signal and the MIMO signal when receiving the wire, and receiving an RF signal on the main signal and the MIMO radio signal that is mixed, and test the two cases to draw a conclusion on whether they are properly function, and compare the economics feasibility. Also, feeder cable in implementing the MIMO expansion units require the operating power supply of the service and therefore, it should suggest improving standards with respect to the problem of pre-existing RF passive components of coupler, spliter, antenna and etc. This study however verifies and embodies the feeder cable extender which accommodate band 3 of LTE frequency and 3G that is commercialized by domestic mobile carrier. In case of receiving RF signal in via to optical cable, the test result of transmission improvement of feeder cable MIMO extender which has been improved by average of 166.8% from SISO and also, 161.2% from receiving RF signal by wireless. Feasibility study regarding investment costs says its investment costs went down to 69.2% from the way of laying 100% additional feeder cable to the building which is provided SISO, and 30.8% from the way of deployment all new feeder cable in new facility. It is inconvenient not to have an implementation for multi-frequency acceptance plan additional three or more of multiple frequency bands that it could not verify the effect, and also not able to extend the research in respect of the whole acceptance plan of frequencies owned by 3 domestic carriers. However, considering that LTE is expected to continue to evolve in the future, the study presents and concludes the expansion plans to adopt additional LTE frequency band other than the one currently in use. This study suggests continuous research for the interference control technology to solve the deteriorated performance problem near hand off area and in-building cell edge like RF small output femto cell and feeder cable MIMO extender for reducing occurrence of PIMD and expanding its capacity. LTE 서비스는 그동안 2G, 3G 음성 중심의 서비스에서 본격적인 무선 데이터 시대를 열었다. LTE는 태생적으로 무선 데이터 전송속도 향상을 위해 고려된 시스템이지만 동영상 등 대용량 데이터 사용자들이 늘어나면서 이동통신사업자들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데이터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트래픽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치열한 주파수 확보경쟁 및 기술 개발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재 LTE에서 가장 트래픽을 가장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기술은 MIMO 안테나 기술로 LTE-A의 4x4 MIMO 안테나 기술을 적용하면 LTE 2x2 MIMO 데이터 처리속도 대비 2배의 시스템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인빌딩 건물 내에서는 지상 서비스와는 다르게 MIMO 서비스를 위해서는 기존 동축케이블이 설치된 1조의 길이만큼 추가적인 동축케이블 시설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사업자 측면으로 보면 과도한 투자비 문제가 발생하고, 건물주 입장에서는 동축케이블 및 안테나 추가 시설작업으로 인한 건물 훼손에 대한 우려가 많아 추가적인 시설공사도 용이하지가 않다는 게 현실이다. 본 논문은 이동통신 사업자의 이러한 투자비용 문제 해결과 건물주의 공사반대를 적극적으로 해결 할 수 있는 대안으로 기존 구축 운용중인 인빌딩 동축케이블 1조 시설을 활용하여 MIMO 서비스가 가능한 동축케이블 MIMO 확장장치를 제안하였다. 연구된 핵심 기능은 입력된 WCDMA와 LTE 주 Path 신호를 주파수 변환작업 없이 그대로 통과 시키고, MIMO Path 신호에 대하여는 주파수 변환을 하여 기존 Path의 주파수와 다중화하여 전송기능과 안테나 출력 측에서는 혼합되어온 두 개 이상의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원래의 주 신호와 MIMO 신호의 전파를 재생하여 방사하는 기능을 구현하여 현장 시험을 통하여 MIMO 기능이 수행되는 것을 검증하였다. 또한 주 신호와 MIMO 신호를 구분하여 유선으로 수신하는 경우와 주 신호와 MIMO 신호가 혼재되어 있는 무선 상의 RF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등 크게 2가지로 나누어 시험을 실시하여 모두 MIMO 서비스가 가능함을 도출하였으며 경제성을 비교 검증하였다. 동축케이블 MIMO 확장장치를 구현함에 있어 서비스 안테나의 동작 전원 공급이 필요하므로 기존 RF 수동소자인 결합기, 분배기, 안테나 등에 대하여도 전원 인가시의 안테나 특성변화, 분배기의 전류변화에 따른 온도 변화 등의 문제점 유무를 검토하여 문제점에 대하여는 개선 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국내이동통신 1개사가 보유하고 있는 3G 및 LTE 주파수의 상용 망 환경에서 3G와 LTE Band 3대역만을 수용하는 듀얼대역의 동축케이블 MIMO 확장장치 구현 검증을 하였고, 기지국에서 광케이블로 RF 신호를 받는 경우의 MIMO 확장장치의 속도향상 시험 결과 SISO 대비 평균 166.8%의 향상과 무선으로 RF 신호를 받는 경우에는 평균 161.2%의 속도 향상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투자비를 고려한 경제성 검토는 LTE 서비스가 SISO로 제공되고 있는 건물에 동축케이블을 100% 추가 포설한 방식 대비 69.2%, 신규 시설로 동축케이블을 추가 포설하는 방식과 대비해서는 30.8%의 투자비 절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경제적인 효과도 큼을 알 수 있었다. 향후에도 LTE 진화가 지속될 예정임을 감안 현재 서비스 중인 주파수 외에 향후 추가가 예상되는 LTE 주파수 대역도 수용하기 위한 확장 방안을 제시를 하였고, PIMD 발생 문제를 경감시키기 위한 방안과 용량 증대를 위해 도입된 소출력 펨토 셀 및 동축케이블 MIMO 확장장치 등의 지상 신호와 인빌딩 신호의 핸드오프 부근에서 성능이 열화되는 문제점 해결을 위한 간섭 제어 기술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도 영화에 나타난 여성 캐릭터의 이미지 변화 연구 : <당갈>, <시크릿 슈퍼스타>, <토일렛>을 중심으로

        우위멍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image of female characters in contemporary Indian films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especially films like < Dangal >, < Secret Supersta > and < Toilet - Ek Prem Katha > such popular films. These films not only successfully attract a wide audience, but also profoundly touch people's attention to social change and cultural identity. Through real and vivid storylines, they successfully convey profound exploration and thinking about family, society and self-understanding, becoming a powerful medium for social change and emotional resonance. The female images created in these films break away from traditional constraints and show the strong inner strength and unique personality charm of Indian women. The female images in these films, whether they are traditional submission and weakness, or modern self-realization and brave pursuit, are all displayed and developed in different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s. They face up to social challenges, pursue self-awareness and independent develop ment, and inject new vitality and impetus into the progress and diversified development of Indian society. The female images in these films are intertwined with the background of Indian society, showing the multiculturalism, traditional values,contradictions and challenges in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Indian society. As research processed, we can better understand the changes and evolution of the images of women in Indian society, as well as the profound social significance and cultural value behind the change.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e following six chapters: The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shaping and evolution of female images in Indian films deeply, based on the film < Dangal >, < Secret Supersta > and < Toilet- Ek Prem Katha > are cases. The first chapter explain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research in detail, emphasizing the key role of prior research in understanding the image of women in contemporary Indian films. The second chapter provides a detailed analysis of the development history of Indian films. It discusses in detail the different stages of the development history of Indian films, including the exploration period, the new film wave and the film revival period.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female images presented in Indian films and the role of female images in Indian social identity. Chapter 3 provides an in-depth analysis of the portrayal of female images in traditional Indian films, highlighting the oppression and restrictions on women in feudal society. It explores in detail the challenges faced by female characters in family and society, including religious persecution, marriage Obstacles and the destruction of the patriarchal society reveal their dilemma and struggle in the context of traditionalIndian society. Chapter 4 focuses on the creation of new female images, in-depth analysis of the female characters shown in the movie who have the courage to challenge social constraints and pursue The spirit of self-realization. It focuses on how these new female images pursue freedom, equality and dignity bravely, as well as the positive strength and independent spirit they show in family, workplace and society. Chapter 5 focuses on clothing, expressions, The film symbol construction of the body, As well as the careful observation of social background and other aspects, demonstrate in detail the characteristics and complex challenges faced by the female image in the film. It highlights the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female image and the social background in which they are located. dilemma, further revealing the richness and complexity of female images in Indian films. Finally, Chapter 6 summarizes the entire paper, emphasizes the abstract and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and points out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the areas that need to be modify. In summary, this study explores in detail the shaping and evolution of female images in Indian films, with particular emphasis on the new looks and characteristics these images have taken on in recent years. This development trend directly reflects the attention and importance paid to the improvement of women's status in Indian society. It is expected that this bene ficial change will continue to be promoted in the future with the continuo us development and ideological emancipation of Indian society, building a new era of greater equality and tolerance. <당갈>, <시크릿 슈퍼스타>, <토일렛> 등 현대 인도 영화에 등장한 여성 캐릭터는 사람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 영화들은 많은 관객의 관심을 받는 동시에 사회 변혁과 문화 인정에 대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이끌었다. 이 영화들은 리얼리티 하고 생생한 소토리로 가정, 사회와 자아 인식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와 반성을 일으켰으며 사회 변혁과 감정 공감의 강력한 매개체가 되었다. 이 영화들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는 전통의 속박에서 벗어나 인도 여성의 강한 내적 파워와 독특한 개인 매력을 보여줬다. 이 영화들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는 전통적이고 순종적이든 현대적이고 자아 실현을 용기 있게 추구하든 모두 역사와 사회의 배경 하에서 표현되고 발전된 것이다. 여성이 용기 있게 사회의 도전을 직면하고 자아를 인식 하고 독립적으로 발전하면서 인도 사회의 발전과 다원화에 새로운 활력과 에너지를 불어넣었다. 이 영화들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는 인도 사회의 배경과 결합하면서 인도 사회의 다원화적인 문화, 전통 가치관, 현대화 과정에 존재하는 갈등과 도전을 잘 보여줬다. 이 영화들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와 분석을 통해 우리는 인도 사회 속의 여성 이미지의 변화를 더욱 잘 이해하고 이런 변화의 배후에 들어있는 사회적 의미와 문화적 가치를 더욱 잘 알아볼 수 있다. 이번 연구는 아래의 6장으로 구성되었다. 이번 연구는 <당갈>, <시크릿 슈퍼스타>, <토일렛> 등 인도 영화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의 구축 과정과 변화 과정을 깊이 있게 탐구했다. 제1장에서 연구 배경과 연구 목적을 상세하게 설명했으며 선행연구가 인도 영화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를 분석하는데 아주 관건적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제2장에서 인도 영화의 발전사와 여성 이미지를 깊이 있게 탐구했다. 탐구 시기, 신 영화 열풍 시기, 영화 부흥 시기 등 인도 영화 발전사의 각 단계를 상세 하게 토론했으며 인도 영화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의 특징, 그리고 여성 이 미지가 인도 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발휘하고 있으며 어떤 인정을 받고 있 는지를 토론했다. 제3장에서 전통 인도 영화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의 형성 과정을 깊이 있게 분석했으며 여성에 대한 봉건사회의 압박과 제한을 강조 했다. 여성 캐릭터가 가정과 사회에서 직면하는 도전, 종교 박해, 혼인 방해, 남권사회의 박해 등 문제를 토론했으며 전통 인도 사회 배경 하의 여성들의 딜레마와 투쟁을 밝혔다. 제4장에서 새로운 여성 이미지의 형성에 중심을 두고 영화에 등장한 여성 캐릭터가 사회의 속박을 용기 있게 도전하고 자아 실현을 추구하는 정신을 깊이 있게 분석했으며 새로운 여성 이미지가 어떻게 자유, 평등, 자존심을 추구하고 가정, 직장, 사회에서 어떤 긍정적인 에너지와 독립적인 정신을 보여줬는지를 깊이 있게 분석했다. 제5장에서 복장, 조명, 사회 배경 등 다방면에 대한 세밀한 관찰로 영화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의 형성 특징과 직면하는 복잡한 도전을 상세하게 보여줬다. 여성 이미지에 들어있는 다차원적인 특징과 사회 배경으로 인한 딜레마를 강조하고 인도 영화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의 형성 과정이 얼마나 다채롭고 복잡한지를 보여줬다. 제6장에서 이번 연구를 전반적으로 정리했으며 연구의 개요와 의미를 강조하고 연구의 한계성과 개선 방향을 밝혔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이번 연구는 인도 영화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의 형성 과정과 변화 과정을 상세하게 토론했으며 특히 최근에 나타난 인도 여성의 새로운 모습과 특징을 강조했다. 이런 발전 추세는 인도 사회의 여성 지위가 지속해서 관심 받고 중시되고 있다는 점을 잘 반영했다. 앞으로 더 많은 긍정적인 변화가 생겨나고 인도 사회의 발전과 사상 해방이 끊임없이 이뤄 지면서 더욱 평등하고 포용적인 사회를 건설하는데 힘이 되고 영향을 미쳤으면 하는 바람이다.

      • 印度 初期 Stupa 形式 硏究 : Relief Stupa 分析을 中心으로

        김준오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807

        인도 스투파는 B.C 5세기 붓다입멸 이후 불교에서 본격적으로 상징적 조형물의 하나로 조영되기 시작했다. 스투파는 본질적인 성격에서 붓다의 신골을 매장한 불교 조형물로 인식되며, 교리와 사상의 중심이 된다. 불교 스투파는 최초 8분된 근본 스투파 조영을 시작으로, 교세의 확장에 따라 인도 전역을 비롯해 주변국과 극동아시아에 영향을 미치면서 하나의 문화권을 형성한다. 그러나 인도의 초기 스투파는 대부분 파괴되고 마멸되어 남아있는 유구가 적어 그 형식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현존하는 대표적인 스투파는 산치를 들 수 있다. 산치스투파는 B.C 3세기부터 조영되었으나 지속적인 개보수와 확장으로 인해 최초 형식을 보기 어렵다. 또한 이는 인도에 남아있는 사원과 석굴사원, 그리고 다수의 스투파에서도 유사한 실정으로 대부분 파괴되어 완전한 형식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인도 시원 스투파와 초기 형식은 불교 자체적으로 발전된 조형물이 아니었다. 즉 스투파는 불교에서 교리와 교단을 형성하면서 재래의 브라만교와 전통사상, 민간신앙을 자체적으로 수용한 것이다. 이러한 전통신앙과 건축형식은 불교 스투파 조영에 직접적으로 반영되면서 불교화되어 표현된다. 그러므로 불교 스투파는 본질적으로 고대 사상과 신앙, 그리고 건축형식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는 인도 스투파의 상징요소와 발전과정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인도 스투파는 고대 사상의 함축적 의미가 반영되어 조영된 것으로, 이를 통해 각각의 스투파와 구성요소에서 상징하는 의미와 변화&#8228;적용되는 계통적인 흐름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불교에서의 최초 스투파 조영과 유사한 시기에 조영된 Relief stupa를 통해 초기 스투파 유형과 형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으로는 인도 전역에 산재하고 있는 폐사지와 단편적으로 발굴된 Relief stupa가 된다. Relief stupa는 초기의 스투파 조영과 동시에 조영되었으며, 그 형식을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다. 그러므로 방대한 지역에 남아있는 각 사원의 Relief stupa는 인도 스투파의 초기 형식을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그간의 인도 Relief stupa는 스투파 연구자들에 의해 단편적으로 언급되고 있어, 초기 형식 이해를 위한 통합적인 분석이 필요했다. 인도의 스투파와 Relief stupa유형 분석은 자체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상징과 의미와 함께 형식적 변화과정에 대해 세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인도 스투파는 본질적으로 고대 사상과 전통이 불교의 조형물로 반영된 것으로 시대별, 양식별 전개에 따라 그 변화과정을 엿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은 스투파의 구성요소에 대한 원리와 적용과정을 이해하는 중요 자료가 된다. 나아가 한국 불탑 연구에 있어 인도 스투파와 직&#8228;간접적인 영향과 발전과정을 이해하는 수단이 될 것이다.

      • “仁”字的構成及其文化意蘊

        김명월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문자학•문화학• 철학의 관점에서 ‘仁’자에 대해 전반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仁, 親也. (인이란 친근하게 하는 것이다)’라는 말은 일종의 효에 대한 정감이며, ‘仁’의 유래는 조상신에게 제사를 지내어 (신의) 가호와 종족 번식을 바래는 토템 숭배의식에서 나온 것이다. ‘仁’자는 갑골문에는 출현하지 않았으나 도리어 시기가 더욱 빠른 骨刻文에 나타나고 있다. 《주역》•《시경》•《상서》등의 상고문헌에도 나타나고 있으므로,‘仁’자는 아마 西周시대에 나타난 것이다. 그러나 <이백이궤기명(夷伯夷簋器铭)>•<노백유보궤명《魯伯俞父簠铭》>•중산왕정명문(中山王鼎铭文) 중의 금문과 새인문 <후마맹서,《侯馬盟書》> 중의 옥석문(玉石文), 전국시대 초나라 간독(簡牘) 간백문(簡帛文)중의 ‘仁’자에 관한 기록 자인 등에서 우리는 또 仁자 이체자들의 공시적이며 역사적인 변천들을 살펴볼 수 있다. 본 논문은 한국•중국•일본 학자들의 연구성과를 종합하고, 왕녕(王寧)선생의 《漢字構形學講座(한자구조학강좌)》중의 학술이론을 결합하여 ‘仁’자의 이체자자형 、 、 、 、 、 、 、 、 、 、 、 、 등을 형방(形旁) 위주로 하여 從心과 從 人의 두 가지 부류로 나누고, 연구현황들을 분석하고 정리하여 각 이체자들의 자형•의미와 상호간의 구별을 다음과 같이 귀납하였다. 유봉군(刘凤君) 교수는 2005년 발견된 골각문(骨刻文) ( )에서 仁자는 갑골문에 나타나지 않는다는 회의적인 주장들을 타파하고, 이 ‘ ’자는 조상신이며 기능적 부호 “=”가 덧붙여진 뒤, 자형의 뜻이 ‘친근한 신’으로 변했다고 주장하였다. 곧 일종의 신과 소통하며 가호를 구한다는 뜻이 있게 되어, 신과 교감하는 사랑을 완성한다는 색채를 띄게 되었다. 과 는 자가 전승되어 베껴 쓰는 과정에서 자형의 속성과 자형의 요소가 변화를 일으킨 이구자(異構字)이다. 은 ‘尸’와 ‘人’ 사이의 친함이고 의 뜻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친함이다. 이 글자에는 시대문화의 변화가 문자자형에 미친 영향 곧 사람과 사람 사이의 친밀함이 드러나 있다. 는 從厂從生의 형성자인데, 자형의 뜻은 응당 生과 관련이 있으며 仁의 이형자이다. ; ( ), 과 는 글을 베끼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이체자인데, 을 간략하게 써서 이루어진 글자이다, 자형의 뜻은 생자를 숭배하는 가운데에서 일어나는 일종의 生生(끊임없이 태어나게 하는)하는 德性인 것이다. 는 이 몇 가지 從心에 속하는 ‘仁’의 이체자에서 규범화가 이루어진 뒤의 우량 선택 결과이다. 心자를 편방으로 하는 仁자는 덕을 나타내는 관점에서 만들어진 글자로, 철학적 의미로 전환된 글자이다. 神---->尸---->仁---->心의 변화는 ‘종교와 신의 일을 윤리화’시킨 과정으로 인류 스스로에 대한 가치의 승화를 반영하고 있다. 문자의 사용에 있어 ‘仁’자는 주로 최고의 도덕적 범주로 쓰이고 있다. 仁자는 주로 ‘타인을 사랑하다’․ ‘예로써 존경하다’․ ‘본래 마음이 가진 온전한 덕성’․ ‘최고의 지혜’ 등의 뜻을 나타내며, 사람의 고귀함을 드러내는 글자이다. ‘仁’자의 사유방식은 자형면에서 중국인 특유의 변증적이며 균형적인 심미관을 드러냄으로서 인간을 근본으로 삼는 휴머니즘 정신을 나타낸다. 그러나 자형의미면에서는 두 가지 회의자가 결합된 사고방식을 드러냈는데 仁 이체자 각 부분의 조합과 전환속에서 仁자의 서로 다른 구성적 의미가 표현되었다. 人字에서 心字의 의미에 이르는 과정에서 사물의 특징적 변화가 일어나면서 (이것이) 한자발생에 영향을 미쳐, 인류의 조상신에 대한 숭배가 사람에 대한 관심으로 나타나게 되었으니 인류의 세계관이 근본적으로 변한 것이다. ‘仁’자 자형에서 우리가 알 수 있는 역사문화정보에서 살펴본다면 토템숭배․ 시제․ 관직․ 예악 등 관직과 연관된 모든 문화적 함의는 모두 신의 일과 연관된다. (여기에는) 중국인 고유의 중화의식․ 봉토에서 씨족이 일어섰다는 혈연의식․ 만물에는 신령이 깃들었다는 종교적 감정․ 강인하고 희생적인 도덕의지 등의 문화심리가 반영되고 있다. 仁은 유가의 핵심사상으로, 공자로 말미암아 특정의 역사적 배경하에서 계승되고 발전되어 하나의 仁學으로 성립되었으며, 공자의 사상에서 仁은 특정한 권위를 가지고 있다. (仁은) 주로 양자관계에서 나타나며, 그 특징은 5개의 분야에서 드러난다. 사람과 사람, 나와 자신, 개인과 집단과의 조화, ‘타인에 대한 사랑’과 ‘자신에 대한 사랑’의 통일, 사람과 자연의 융합 등이다. 공자는 仁을 神---->尸---->人으로 전환시킴으로서 인류 스스로의 가치를 상승시켰다. 공자 이후 유가는 스스로의 분파를 이루면서 사회적․ 역사적 요소를 仁에 부여하여 (仁자에) 일련의 내재적 변화를 가져 왔다. 楚지역의 思孟학파는 ‘仁’자의 의미를 본토식으로 바꾸어, 從心의미의 仁자를 사용하여 ‘仁’자의 의미를 철학적 범주로 끌어 올렸다. 공자시대 이후의 유학자들은 ‘仁’에 서로 다른 시대적 내용을 부여하여 ‘일내(허)일외(실)’의 특징을 드러내었다. 이러한 현상 The paper surveyed the Chinese character “benevolence(仁)”in terms of grammatology, culturology, and philosophy. “Goodness is love towards parents” speaks about filial piety. “benevolence(仁)” originated from worship of gods and ancestors for their favor, as well as worship of procreation. Even though “benevolence(仁)” was never found on the Oracle bone script, it appeared on even earlier bone carvings. Some early documents like The Book of Changes, The Book of Songs, and The Book of History showed that “仁” came to existence approximately in early Western Zhou Dynasty. In Yi "Bo Yi Gui Inscriptions" of the late Western Zhou Dynasty, "Lu Bo Yu Fu Gui Inscriptions" of the early Spring and Autumn Periods, bronze inscriptions of King Zhongshan Tombs in Pingshan, Jade scripts of Houma Treaty of Alliance, and inscriptions on Chu’s bamboo slips during the Warring State Period, the synchronic and diachronic variants of “benevolence(仁)” can still be seen.This paper concluded the research finding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linguists, combined theories of variants of “仁” in Structures of Chinese Character by Wang Ning, and focused on Chinese radicals “人” and “心”,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of research, and concluded the structural and literal differences between variants: Professor Liu Lijun in 2005 discovered the bone carving that shattered the suspicion that “仁” never appeared on the Oracle bone script. This character“仁” referred to “ancestral god”. When the functional part “=” was added, the character meant “closer to god”, expressing worship of god for its favor, communion, and love. When the character was written and passed down through the ages, it became due to changes of structural properties and elements. stood for the close relationships between “尸” and “人”; stood for close relationships between different individuals, influenced by the evolution of times; was a character consisting of “厂” and “生”, meaning “birth”, a variant of “benevolence(仁)”; , , and are different shorter written forms of , a character expressing worship of reproduction, life and virtue. was one of the variants with the Chinese radical “心”,a standardized and prioritized version of “benevolence(仁)”. The Chinese radical “心” stood for mentality, which was a philosophical turning point. From “God” to “尸(person representing spirit of the dead person during sacrifices, usu. a child)”, and to “人 (person)”, and to “心 (mind)”, came the process of “Humanization of Divinity”, which reflected the increase in value of humanity. In terms of usage, “benevolence(仁)” mainly stood for the highest standard of morality, including “showing affection towards people”, “treating people with respect”, “the greatest of hearts”, “the highest wisdom”, etc, showing the great value of humanity. The structure of“benevolence(仁)” reflected the unique way of thinking and aesthetic values of balance in China, the spirit of humanism. “benevolence(仁)”, being a compound character, indicated different meanings in the process of its evolution. A lot of cultural and historical information could be revealed by the structure of “benevolence(仁)”. All kinds of cultural affairs of “benevolence(仁)”, such as worship of gods, burials, ascension to offices, music, and ceremonies, had to do with gods, which reflected ancient Chinese people’s unique awareness of bonds between gods and humanity, their religious piety, and morality, etc. “benevolence(仁)”, as the core spirit of Confucianism, was developed by Confucius under specific historical backgrounds and turned into “the study of benevolence”. Confucius believed that “benevolence(仁)” mainly covered “relationships” in five aspects, including relationships between one person and another, between a person and that person’s self, between an individual and a group, between “loving others” and “loving oneself”, between humanity and nature. Confucius completed the transition of focuses from “God” to “尸(person representing spirit of the dead person during sacrifices, usu. a child)” and to “人 (person)”, and improved the value of humanity. After Confucius, the division of Confucianism, and social historical factors brought changes to core meanings of “benevolence(仁)”, especially the localization of “仁” by the Zisi-Mencius school of Chu brought “仁” into the realm of philosophy. Scholars of Confucianism after Confucius all gave “benevolence(仁)” different meanings of their own ages characterized by “Inside and outside”. These phenomena reflected world views and values of different ages, and scourges of their times. These scholars adopted a positive attitude towards society and Confucianism had its considerable influence on politics. “benevolence(仁)” was full of humanism. It was not a religion, but a kind of religious emotion that originated from filial piety. This emotion combined with dialectical thinking determined Chinese way of life and faith for thousands of years. Even nowadays, the humanism expressed by “benevolence(仁)” was still meaningful to the modern society.

      • 집단 지정서행동요법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소진,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김혜련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집단 인지정서행동요법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소진,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김혜련 지도교수 윤숙희 인제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목적 : 본 연구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집단상담을 이용한 인지정서행동요법을 개발하고, 개발된 집단 인지정서행동요법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소진,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고자 함이다. 방법 : 본 연구는 집단 인지정서행동요법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소진,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유사실험연구로서 비동등성 대조군 반복측정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이다. 연구 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하는 J 의료재단 산하 2개 병원을 편의표출하여 각각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선정하였으며 해당 병원에서 근무하는 36개월 미만의 간호사 중에서 연구 참여에 동의하는 각 24명씩을 편의추출 하였다. 실험군 24명에게는 주 1회, 회기 당 180분, 8회기로 구성된 집단 인지정서행동요법을 중재하였다. 자료수집은 2015년 1월 5일부터 4월 3일까지이며 실험 중재의 효과는 실험군, 대조군 모두에게 중재 직전, 중재 직후 사후조사Ⅰ, 중재 4주 후 사후조사Ⅱ의 시점에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한 후 점수 변화로 유의성 검정을 하였다. 측정변수는 간호사의 직업건강심리 변인인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직무태도 변인인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이다.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및 동질성 검정을 실시하였고, 집단 인지정서행동요법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가설검정은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정은 Cronbach’s α 계수로 분석하였다. 결과 : 집단 인지정서행동요법을 중재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직무스트레스(F=8.85, p<.001), 소진(F=5.62, p=.022) 점수는 감소하고, 직무만족(F=2.70, p=.042), 조직몰입(F=2.97, p=.048) 점수는 증가하고, 이직의도(F=4.60, p=.012) 점수는 감소할 것이라는 가설이 지지 되었다. 결론 : 이직의도가 높은 임상 간호사들에게 집단 인지정서행동요법의 중재를 통하여 간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정도를 낮춤으로써 직업건강심리 상태를 긍정적으로 유도하고 직무만족, 조직몰입을 높이고 이직의도는 낮춤으로써 직무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조직의 유효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Abstract Effects of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on the Nurse's Job Stress, Burnout,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Hye-Lyun Kim Director : Prof. Sook-Hee Yoon, Ph.D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of Inje University Objectives : This study is to develop a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with group counseling of nurses and to test effects of the group therapy on their job stress, burnout,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Methods :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test with repeated measures is employed as a quasi-experimental pretest-posttest design to identify effects of the group therapy on nurses' job stress, burnout,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 data are from 48 participants convenience-sampled among the nurses working at J Medical Foundation Affiliation in B Metropolitan City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5 to April 3, 2015. One half of the participants are put under experimental interventions of the group therapy: once a week, 180 minutes for each, 8 times in total. Effects of experimental intervention are measured for each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y using a series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at the phases of pre-intervention, post-intervention, post-test Ⅰ just after, post-test Ⅱ in 4 weeks and then are tested for the significance of score changes. There are five variables in this study : job stress and burnout as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ical variables and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s job attitude variables. The data a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18.0 Program to test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omogeneity of both groups. A repeated measures ANOVA analysis is done to compare effects of the Group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for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All of the confidence levels are analyzed by Cronbach’s α coefficients. Results :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s intervened by the Group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have their hypotheses supported in terms of job stress(F=8.85, p<.001), Burnout(F=5.62, p=.022), job satisfaction(F=2.70, p=.042), organizational commitment(F=2.97, p=.048) and turnover intention(F=4.60, p=.012). Conclusions : The results above indicate that the group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provides nurses with effective interventions: Job Stress and burnout of the nurses decreased, improving their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ical states. Thei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creased and turnover intention decreased, leady to improving their job attitudes. All of the results indicate that REBT contribute to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an organization.

      • 북한 민회의·민위원회 연구 -주권기관의 수립과 변천 과정(1945〜1972)-

        강응천 북한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사회주의 국가는 주권, 즉 국가권력이 본질적으로 유일한 것이라는 전제 아래 인민의 주권을 대표하는 주권기관 중심으로 국가기구를 조직한다. 북한의 최고인민회의는 소련의 최고소비에트, 중국의 전국인민대표대회 등에 해당하는 최고주권기관이다. 내각, 중앙검찰소와 중앙재판소 등의 수장은 최고인민회의가 선거하거나 임명하며, 이들 기관은 자기 사업에 대해 최고인민회의에 책임진다. 북한 주권기관의 역사에서 가장 먼저 거론되는 이름은 인민위원회이다. 해방 후 한반도 곳곳에서 등장한 자생적 자치기관들은 인민위원회라는 이름으로 통일되어 갔다. 인민위원회는 입법과 집행의 기능을 겸한 비상시의 주권기관이었다. 남한의 인민위원회가 미군정의 탄압을 받아 쇠퇴한 반면 북한의 인민위원회는 소련군의 지원을 받아 정권의 토대로 입지를 다졌다. 따라서 인민위원회를 선거에 의해 수립되는 주권기관과 그 주권기관에 복종하는 국가기관들의 체계로 재조직하는 과제는 북한 지역으로 축소되었다. 먼저 북한 각 지방의 인민위원회를 총괄하는 중앙의 임시 주권기관으로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가 1946년 2월 출범했다.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는 토지개혁과 주요 산업 국유화 등 민주개혁을 추진해 북한 사회의 계급 구조를 혁명적으로 바꿔 놓았다. 그 바탕 위에서 그해 11월 지방 인민위원회 위원 선거를 실시하고, 이를 통해 조직된 각급 인민위원회의 대표들이 1947년 2월 평양에 모여 북조선인민회의를 선출했다. 주권기관인 북조선인민회의가 산하에 집행기관인 북조선인민위원회를 조직한 것이 북한 인민회의?인민위원회 체제의 시작이었다. 다만 지방에서는 아직 인민위원회가 주권기관과 집행기관의 역할을 함께 담당하도록 했다. 분단으로 가는 과정에서 북조선인민회의가 제정한 헌법에 따라 1948년 8월 북한의 최고주권기관인 최고인민회의 선거가 실시되었다. 최고인민회의 휴회 중의 주권기관으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가 조직되고, 최고집행기관으로는 내각이 조직되었다. 1954년에는 지방의 국가기관 체계도 개편해 지방 인민회의를 지방 주권기관으로 신설하고 지방 인민위원회는 해당 인민회의의 집행기관으로 지위를 조정했다. 길고 험난한 과정을 거쳐 중앙과 지방의 주권기관으로 확립된 각급 인민회의 앞에는 인민주권의 진정한 대표기관임을 입증해야 하는 역사적 과제가 놓여 있었다. 그 과제를 실현하려면 제도적 형식을 인민의 자발적 참여라는 내용으로 채워 넣어야 했다. 그러나 1972년 사회주의 헌법의 제정에 따른 주석과 중앙인민위원회의 도입은 주권기관 체계를 일인 권력에 종속시킴으로써 그 체계의 원칙을 훼손했다. 그것은 수령과 인민대중이 한 몸이라는 주체의 이데올로기에 의해 합리화되면서 해방 후 인민회의?인민위원회에서 비롯된 체제의 활력을 질식시키고 그 진보를 가로막았다. 이 같은 역사적 퇴행은 국방위원회와 국무위원회 체제에서도 세부적 형태를 달리하며 이어지고 있다. 다만 북한 헌법은 숱한 수정에도 불구하고 사회주의적 대의기관의 형식을 띤 최고인민회의에 최고주권기관의 지위를 지속적으로 부여해 왔다. 정치적 측면에서 북한을 아직도 사회주의 국가라고 할 수 있다면 이처럼 법적, 형식적으로 최고인민회의를 정점으로 하는 국가기관 체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문제는 내용이다. 해방 후 인민위원회와 인민회의가 수립되던 시기의 역동성을 회복하고 인민의 자발성을 충전하지 않는 한 북한이라는 국가의 퇴행은 멈추기 어려울 것이다. The socialist state is established centering on the power organ representing the people's sovereign power under the premise that the state power is essentially one. Like the Supreme Soviet of the Union of the Soviet Socialist Republics and the National People's Congres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 Supreme People's Assembly(SPA) is the supreme power organ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DPRK). The SPA organizes the Cabinet and the Central Court, allocates their administrative and judicial power, and oversees them. The spontaneous self-government bodies, which emerged all over Korea right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were later commonly called the people's committees. People's committee was an emergency self-government organization in which the legislative and the administrative roles are not separated. While the people's committees were suppressed and ousted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South Korea, in North they became the bas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under the assistance of the Soviet Army. Therefore the task of normalizing the people's committee by dividing it into the power and the executive organs were to be performed only in the North Korea. First, the Provisional People's Committee of North Korea(PPCNK) was established as the central power organ commanding the local people's committees in February, 1946. The PPCNK changed the class structure of the North Korean society on a revolutionary level by executing the land reform and the nationalization of the principal industries. On the basis of the reforms, the elections of the local people's committees were held in November that year. The representatives of the elected committee members assembled in Pyeongyang and elected the People's Assembly of North Korea(PANK) in February, 1947. The people's assembly & committee system in North Korea began to operate when the PANK, as the first elected central power organ in North Korea, organized the People's Committee of North Korea as its administrative organ. Still the local people's committees worked as the power and executive organs at the same time in their jurisdictions. The PANK began to draft the constitution as the Joint Soviet-American Commission came to a rupture and the division of the north and south Koreas appeared almost inevitable. Right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election of the SPA, which was defined as the supreme power organ of the DPRK in the draft of constitution, was held nationwide on 25 August, 1948. The SPA, successor of the PANK, organized the Cabinet instead of the People's Committee as its executive organ. The Presidium was to represent the people's power at all times during the recess of the SPA. In 1954, the local power organ system was reformed when the local people's assemblies were established as the local power organ and the local people's committees were degraded as the local executive organ. The people's assembly & committee system, established institutionally, should be filled with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people in order for it to progress into the real socialist state institution. However, the introduction of the President and the Central People's Committee, compliant to the Socialist Constitution of 1972, ruined the principle of the people's assembly & committee system by subordinating it to one-man power. The one-man power system was rationalized by the Juche ideology of the Supreme Leader (President) and people being one, while it suffocated the vitality of the people's assembly & committee system and blocked its progress. This historical regression continued through the National Defense Commission and the State Affairs Commission systems with minor changes. If we could call the DPRK the socialist state in the political context, it may be because this country still maintains such state system as entitling the SPA to be the supreme power organ legally and formally. Unless the dynamics of the genesis of the people's assembly & committee system and the people's proactiveness are recovered, the regression of the DPRK could never sto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