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판매촉진이용성향에 따른 쇼핑가치 지각 및 소비자만족에 관한 연구

        오영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의복관여가 판매촉진이용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둘째, 의복관여, 판매촉진이용성향이 판매촉진관련 점포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며, 셋째, 의복관여, 판매촉진이용성향, 판매촉진관련 점포이미지가 쇼핑가치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며, 넷째, 이러한 변인들이 소비자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대 이상의 성인 여성 62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분석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 군집분석, 분산분석, Duncan test, χ^(2) -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판매촉진이용성향 즉, 판매촉진의 방법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은 경품·사은품지향, 가격할인지향, 디스플레이지향의 세 가지 판매촉진이용성향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판매촉진이용성향은 의복관여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차원별로 보면, 경품·사은품지향에는 쇼핑관심, 유행관심이 정적 영향을 미쳤고, 신중구매가 부적 영향을 미쳤다. 가격할인지향에는 신중구매가 정적 영향을 미쳤고, 쇼핑관심이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디스플레이지향에는 의복중요성, 신중구매, 쇼핑관심, 유행관심 등 의복관여 모든 요인이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의복관여, 판매촉진이용성향과 판매촉진관련 점포이미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의복중요성, 신중구매, 경품·사은품지향, 가격할인지향이 판촉행사관련 점포이미지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디스플레이지향만이 디스플레이관련 점포이미지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의복관여, 판매촉진이용성향, 판매촉진관련 점포이미지와 쇼핑가치 지각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판매촉진관련 점포이미지를 제외하고 의복중요성, 쇼핑관심, 유행관심과 모든 판매촉진이용성향요인이 쾌락적 쇼핑가치 지각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판매촉진이용성향의 모든 요인을 제외하고, 의복중요성, 신중구매, 쇼핑관심, 판매촉진관련 점포이미지가 실용적 쇼핑가치 지각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부정적 쇼핑가치 지각에는 신중구매가 정적 영향을, 디스플레이 관련 점포이미지가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소비자만족과 그 영향변인들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경품·사은품지향과 판촉행사관련 점포이미지, 디스플레이관련 점포이미지, 쾌락적 쇼핑가치 지각, 실용적 쇼핑가치 지각이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부정적 쇼핑가치 지각이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변인은 판촉행사관련 점포이미지였다. 또한 의복관여가 판매촉진이용성향, 판매촉진관련 점포이미지, 쇼핑가치 지각을 통해 소비자만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가적 관심으로 판매촉진이용성향에 따른 소비자집단을 세분화한 결과, 가격할인관심 집단, 판촉무관심 집단, 디스플레이관심 집단, 경품·사은품관심 집단의 네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집단에 대해 의복관여, 판매촉진관련 점포이미지, 쇼핑가치 지각, 소비자만족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쇼핑가치 지각의 하위차원인 부정적 쇼핑가치 지각만을 제외하고 모두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품·사은품관심 집단은 거의 모든 변인에 대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한 모든 요인들에서 판촉무관심 집단은 가장 낮은 점수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집단간 인구통계적 특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나이, 학력, 직업, 월평균 가계총소득, 월평균 의복지출비, 쇼핑빈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의복에 대한 정보원이용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정보원에 대해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경품·사은품관심 집단이 모든 정보원을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dentify the effects of clothing involvement on the deal proneness, 2) to examine the effects of clothing involvement and deal proneness on store images related to promotions, 3) to reveal the effects of clothing involvement, deal proneness and store images related to promotions on perceived shopping value, and 4) to reveal the effects of deal proneness, store images related to promotions and perceived shopping value on the consumer satisfac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624 female consumers living in Seoul, Korea vi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were analyzed by frequency,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Consumers' responses to sales promotion were classified to three factors which were Sweepstakes/gifts proneness, Price discount proneness and Display pronenes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lothing involvement and deal proneness, Sweepstakes/gifts proneness was explained by Shopping interest, Fashion interest and Prudent purchase, Price discount proneness was explained by Prudent purchase and Shopping interest, and Display proneness was explained by all dimensions of clothing involvement. 2) In the relationships among clothing involvement, deal proneness and store images related to promotions, Clothing importance, Prudent purchase, Sweepstakes/gifts proneness and Price discount proneness had the effects on store images related to Price discount/events. And Display proneness had the effects on store images related to Display. In the relationships among clothing involvement, deal proneness, store images of promotions and perceived shopping values, Clothing importance, Shopping interest, Fashion interest and all three factors of deal proneness had the effects on perceived hedonic shopping values. Clothing importance, Prudent purchase, Shopping interest, store images related to promotions had the effects on perceived utilitarian shopping values. And Prudent purchase had the positive effects and store images related to Display had the negative effects on perceived negative shopping values. 3) From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antecedent variables on consumer satisfaction, Sweepstakes/gifts proneness, store images related to Price discount/events and Display, perceived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s positively influenced the consumer satisfaction. store images related to Price discount/events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s on consumer satisfaction. From the result of path analysis, clothing involvement had the effects on consumer satisfaction indirectly through deal proneness, store images related to promotions and perceived shopping values. 4) Using cluster analysis on deal proneness factors, four groups were identified : price discount prone group, promotion insensitive group, display prone group, sweepstake/gifts prone group.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clothing involvement, store images related to Promotions, perceived shopping values and consumer satisfaction except the perceived negative shopping values. Group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age, educational background, occupation, income, clothing expenditure and shopping frequency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n clothing information sources.

      • 소매점 이용 성향에 따른 의복 구매 행동에 대한 연구

        한세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의류 구매 시 소비자들이 이용하는 소매점은 무엇이며, 어떠한 평가 기준이 중요시되는지 조사함으로써 소비자들의 양면적 소비 현상에 대해 알아보고, 구매 시 이용한 소매점에 대한 만족도와 구매 가격대, 구매 목적을 조사함으로써 유통 업체들의 마케팅 활동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소매점 이용 성향에 따른 의복 구매 행동에 대해 알아본다. 1-1. 의류 구매 시 이용한 소매점을 조사하여, 소매점 이용 성향에 따라 집단을 나누어 인구 통계적 특성과의 관계를 알아본다. 1-2. 소매점 이용 성향에 따른 평가 기준을 알아본다. 1-3. 소매점 이용 성향에 따른 소매점 만족도를 알아본다. 1-4. 소매점 이용 성향에 따른 구매 가격을 알아본다. 1-5. 소매점 이용 성향에 따른 구매 목적을 알아본다. 2. 소매점별 의복 구매 행동에 대해 알아본다. 2-1. 소매점과 품목에 따른 평가 기준에 대해 알아본다. 2-2. 소매점별 만족도를 알아본다. 2-3. 소매점과 품목에 따른 구매 가격을 알아본다. 본 연구의 대상은 다양한 유형의 소매점이 존재하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20대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의류직물학과 4학년생 65명을 대상으로 자유 기술형 설문지법을 이용한 탐색 조사를 실시하여 연구의 기초 자료를 얻었고, 문헌과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설문지를 만들었으며, 서울시에 거주하는 20대 여성 6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실시하여 회수된 최종 606부를 본조사의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Package를 이용하여 빈도 분석, χ_(2) 검증, 요인 분석, 신뢰도 검증, ANOVA,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류 구매 시 이용한 소매점을 조사한 결과, 품목에 상관없이 백화점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소매점이며, 특히 정장과 코트는 65% 이상이 백화점에서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화점은 모든 품목에서 가장 높은 구매 빈도를 나타내었기 때문에, 백화점을 제외한 소매점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티셔츠는 다른 품목에 비해 보세 의류 대중점에서, 청바지는 국내 브랜드 대리점에서 비교적 높은 빈도를 보였고, 정장과 코트는 아울렛과 국내 브랜드 대리점에서 비교적 높은 빈도가 나타났다. 다양한 소매점을 고가, 저가, 고가 할인, 무점포의 4 유형으로 분류하여 구매 빈도를 비교해보았다. 백화점, 수입 브랜드 매장, 디자이너 부티크, 국내 브랜드 대리점을 고가로 분류하고, 보세 의류 대중점, 재래시장, 동대문을 저가로 분류하였다. 또한 고가의 브랜드를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하는 아울렛과 면세점을 고가 할인으로 분류하였으며, 유형의 점포가 아닌 TV와 인터넷을 활용한 TV홈쇼핑과 인터넷 쇼핑몰을 무점포로 분류하였다. 고가와 고가 할인의 소매점 유형에서는 코트, 정장, 청바지, 티셔츠 순으로 구매 빈도가 높아진 반면, 저가와 무점포의 소매점 유형에서는 티셔츠, 청바지, 정장, 코트의 반대 순서로 구매 빈도가 높아졌다. 소매점을 고가, 저가, 고가 할인, 무점포의 4 유형으로 나누었을 때, 티셔츠, 청바지, 정장, 코트를 구매한 소매점 유형이 모두 동일한 경우를 단일 소매점 이용자라고 명명하고, 한 품목이라도 다른 유형의 소매점에서 구매했다면 다중 소매점 이용자라고 명명하여 집단을 나누었다. 단일 소매점 이용자 집단은 다시 이용 소매점에 따라 세분화하였다. 단일 소매점 이용자는 전체의 41.9%로 나타났으며, 품목별로 각기 다른 소매점을 이용한 다중 소매점 이용자는 58.1%로 나타났다. 단일 소매점 이용자를 구매 소매점에 의해 세분하면, 고가 소매점만 이용하는 소비자가 40.3%로 가장 많았으며, 저가 소매점만을 이용하는 소비자는 1.3%, 고가 할인 소매점만을 이용하는 소비자는 0.3%로 매우 작은 비율로 나타났다. 둘째, 소매점 이용 성향에 따른 인구 통계적 특성을 비교하여 보면, 다중 소매점 이용자 집단은 사회 계층이 낮아질수록, 수입이 낮아질수록 높은 비율을 보였고, 학생보다는 직장인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경제적 위험을 줄이기 위해 저가의 소매점을 이용하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고가의 소매점도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와는 상반된 결과로, 고가의 단일 소매점 이용자 집단에서는 사회 계층이 높아질수록, 수입이 높아질수록 높은 비율을 보였고, 직장인보다는 학생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저가의 단일 소매점 이용자 집단은 사회 계층이 낮아질수록, 수입이 낮아질수록 높은 비율을 보였고, 학생보다는 직장인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소매점 이용 성향에 따른 평가 기준 중요도의 차이를 알아보면 고가 할인의 단일 소매점 이용자 집단을 제외한 다중 소매점 이용자, 고가와 저가의 단일 소매점 이용자인 나머지 세 집단에서는 이성적 기준보다는 감성적 기준을 더 중요시한다고 나타났다. 이성적 기준은 저가의 단일 소매점 이용자 집단에서, 감성적 기준은 고가 할인의 단일 소매점 이용자 집단에서 그 중요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고가의 단일 소매점 이용자 집단은 두 기준 모두 가장 중요시 되는 집단으로 나타났으며, 저가의 단일 소매점 이용자 집단은 두 가지 기준 모두 중요도가 낮게 나타났다. 경제적 부담이 커질수록 평가 기준이 더 중요시 됨을 알 수 있다. 넷째, 소매점 이용 성향에 따른 소매점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다중 소매점 이용자 집단은 만족 요인 중 인적·물적 서비스에서만 낮게 만족하였으며, 고가의 단일 소매점 이용자 집단은 모든 요인에서 만족하였다. 저가의 단일 소매점 이용자 집단은 모든 요인에서 다른 집단에 비해서는 불만족하다고 나타났으나, 저가의 단일 소매점 이용자 집단 내에서는 제품 요인을 가장 만족하였다 고가 할인의 단일 소매점 이용자 집단은 제품 요인에서만 만족도가 높았다. 고가의 단일 소매점 이용자 집단에서의 인적·물적 서비스 요인이 가장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저가의 단일 소매점 이용자 집단에서의 판촉 요인이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다섯 번째, 소매점 이용 성향에 따른 구매 가격을 비교해보면, 다중 소매점 이용자 집단은 주로 저가격대의 의류를 많이 구매하는 경향을 보였고, 단일 소매점 이용자 집단 내에서는 소매점의 유형을 고가, 저가, 고가 할인과 같이 가격대를 기준으로 나누었기 때문에 집단 간의 비교는 무의미하다고 생각된다. 여섯 번째, 의류이기 때문에 선물을 할 목적으로 구매한 경우는 자기 사용을 목적으로 구매한 빈도에 비해 매우 작게 나타났으므로, 4품목 모두에서 소매점 이용 성향과 구매 목적은 유의하지 않다고 나타났다. 그나마 티셔츠는 저가격으로 부담이 없는 까닭에 청바지, 정장, 코트에 비하여 선물 목적으로 많이 구매되었으나, 4.3%에 불과하다. 의류는 개인의 취향이 많이 반영되는 것이므로 선물로서는 적절치 않은 품목임이 밝혀졌다. 일곱 번째, 소매점 유형에 따른 평가 기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모든 소매점 유형에서 감성적 기준이 이성적 기준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이성적 기준은 고가와 고가할인의 소매점 유형에서 중요시되며, 저가와 무점포의 소매점 유형에서는 그 중요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감성적 기준도 고가와 고가 할인의 소매점 유형에서 그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저가의 소매점 유형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소매점 각각에 따른 평가 기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면세점은 이성적 기준과 감성적 기준 둘 다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대로 TV 홈쇼핑은 판촉 활동에 의한 충동 구매가 많이 이루어지는 소매점이기에 이성적 기준과 감성적 기준 둘 다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성적 기준은 백화점과 아울렛에서, 감성적 기준은 과시 소비가 주로 이루어지는 수입 브랜드 매장에서 비교적 중요시한다고 나타났다. 또한 의류 구매 시 평가 기준에 대한 평균값이 코트, 정장, 청바지, 티셔츠의 순으로 크게 나타났으므로, 경제적 부담이 클수록 평가 기준이 더욱 중요시됨을 알 수 있다. 품목에 따라서 평가 기준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평가 기준의 양면성을 밝히려 했으나, 본 연구에서 조사된 의류 품목 내에서는 평가 기준의 뚜렷한 양면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여덟 번째, 소매점 유형별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는 고가의 소매점 유형은 모든 요인에서 가장 만족했으며, 편의 요인은 무점포의 소매점 유형에서 가장 불만족하였고, 인적·물적 서비스와 판촉 요인은 저가의 소매점 유형에서 가장 불만족하였다. 소매점별로 살펴보면, 백화점은 모든 요인에서 만족하였고, 수입 브랜드 매장은 판촉에서 다소 불만족하였다. 디자이너 부티크는 인적·물적 서비스 요인에서만 만족하는 편이었고, 국내 브랜드 대리점은 대체로 모든 요인에서 만족하였다. 보세와 재래 시장과 동대문은 제품 요인에서는 만족하였으나 나머지 요인들에선 불만족하였다. 아울렛은 제품과 편의 요인에서는 만족하였고 인적·물적 서비스와 판촉 요인에서는 불만족하였다. 면세점에서는 인적·물적 서비스 요인만 다소 불만족하였고 나머지 3 요인에서는 만족하였다. TV 홈쇼핑은 판촉 요인에서만 만족하였고, 인터넷 쇼핑몰은 제품 요인에서만 만족하였다. 아홉 번째, 품목별 구매 가격을 알아보면, 티셔츠의 구매 가격은 25,000원 이상~50,000원 미만, 청바지의 구매 가격은 30,000원 이상~85,000원 미만, 정장은 100,000원 이상~225,000원 미만, 코트는 100,000원 이상~350,000원 미만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mbivalence of consumption value by researching the retailing store consumers are using and evaluating criteria. And, this study provides the fundamental resources to establish various marketing strategy by research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level from retail stores, price, and objectiv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emale consumers in twenties who lives in Seoul where exists various retailing store. For data collection, in the pilot study, 65 university students were surveyed by open questionnair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in order to develop questionnaires. For the main research, 650 women were given questionnaires and the sum of 60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Using SPSS package, frequency analysis, x^(2)-test,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ing, ANOVA, Duncan test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often visited retailing stores were department store. T-shirts and jeans were purchased mainly at high-price retailing stores and outlet retailing stores. Suits and coats were purchased mainly at low-price retailing stores and flee market type stores. Second, single retailing store users who used only department stores were 41.9%, and multiple retailing store users who used different retailing stores depending on products were 58.1%. It was shown that ambivalence of consumption value appeared at preferring retail stores. The higher a social class, the more single retailing store users. And the smaller income, the more single retailing store users. Single retailing store users got the highest score among students, and high purchasing price. Third, sensitive criteria was more important than rational criteria at all group except outlet retailing store users group. Multiple retailing store users were satisfied with product factor at buying T-shirts and jeans, and with human and physical service factor at buying suit and coat mostly. High-price single retailing store users were satisfied with human and physical service factor, and high-price and low-price single retailing store users were satisfied with product factor. Forth, gift-giving situation got very lower frequency than self-usage situation. Even so, T-shirts were purchased more than jeans, suit, coat, but it was just 4.3%. It was shown that clothing didn't fit for a gift. Fifth, design was the most important evaluative criteria at all 4 types. Investigating by 2 factors, sensitive criteria was more important than rational criteria at all types. It was shown there were no ambivalence of consumption value by evaluative criteria. Sixth, promotion fact got the lowest degree at retailing store satisfaction at all types. Consumers were satisfied with all factors at department stores, and were dissatisfied with promotion fact at import brand stores. They were satisfied with only human and physical service factor at designer boutiques, and were satisfied with all factors at domestic brand stores. They were satisfied with product factor, but another factors were dissatisfied at mass-agent stores, mass wholesale stores, and Dongdaemun. They were satisfied with product and convenience factors, and were dissatisfied with human and physical service and promotion factors at outlet. They were dissatisfied with only human and physical service factor at duty-free shop. They were satisfied with only promotion factor on TV home shopping, and product factor from internet shopping mall. Seventh, the purchasing price got the highest score ranging between 25,000 won~50,000 won for T-shirts, 30,000 won~85,000 won for jeans, 100,000 won~225,000 won for suits. 100.000 won ~ 350.000 won for coats.

      • 인터넷 조경매체 이용성향 및 만족도 연구 : 전문포털사이트를 중심으로

        최자호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69

        인터넷 기반의 지식정보화사회로 진입하며 산업과 사회변화 속도가 한층 더 빨라지고 있다. 이제 조경분야도 ICT융합을 통한 변화와 새로운 시장으로의 진출이 촉구되고 있다. ICT의 핵심인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라펜트는 한국을 비롯한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등의 전 세계에서 100만 여명에 달하는 월누적방문객이 접속하는 조경분야 전문포털사이트이다. 2008년에 오픈한 이후 뉴스 및 매거진 정보를 비롯한 채용, 커뮤니티, 조경소재, 사진 등의 종합적인 조경정보를 제공해 오고 있다. 하지만, 서비스 종류 및 이용자가 증가할수록 제공되는 정보의 총량과 다양성, 시스템 유지관리 및 확장의 범위가 커져, 한층 더 정교한 서비스 관리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는 지식정보가 산업발전을 견인한다는 점에서, 전체 조경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문제로 부상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조경매체 이용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수요시장의 형성구조를 이해하고, 이용성향과 서비스 품질에 대한 다양한 반응 유형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재 운영 중인 인터넷 조경매체에 대해 중요도와 성취도를 조사하여,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가치부여와 평가 정도를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인터넷 조경매체에 대한 이용자들의 중요도/성취도 반응과 전반적인 만족도의 양자관계에 대해 인과관계를 포함한 종합적인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서비스 품질의 평가척도로 국내외에서 충분히 검증된 SERVQUAL 모형을 활용하여, 이용자들의 서비스 중요도와 성취도를 측정하였다. 확신성, 신뢰성, 응답성, 외형성, 공감성의 5개 요인별로 44개 측정문항을 설계하였고, 만족도는 3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수집은 설문조사로 이루어졌으며, 총 516명의 표본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선행연구에 대한 이론적인 검토를 거쳐 3개의 가설을 설정하였고, 다시 6개의 가설로 구체화하였다. 수집자료와 측정척도는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을 거쳐 자료로서의 적정성을 충분히 검토한 뒤 본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먼저 신뢰성, 응답성, 확신성 등이 이용자의 기대에 상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성과 외형성은 중요도와 성취도가 모두 낮게 나타났으나, 외형성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나 가장 효율적인 진보 대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용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기대와 성과반응의 차이는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나이, 사회경제학적 특성 중 담당업무에 대해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적으로 받아들여졌다. 셋째, 서비스 품질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한 정(+)의 영향력이 확인되었고, 특히 외형성의 영향이 가장 두드러졌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인터넷 조경매체를 접하는 이용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이용빈도 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현재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중요도/성취도 분석으로 각 서비스별 대응 방향수립의 기초자료를 구축하였다. 또한, 중요도/성취도 반응과 만족도와의 인과적 관계를 밝힘으로써 인터넷 조경매체의 만족도 관리방향을 종합적으로 시사하였다. With the emergence of internet based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the industrial and social changing speed gets faster. Now, the Landscape Architecture area is required to change through ICT convergence and to advance in a new market. LAFENT is a portal website specializing in Landscape Architecture, where as many as one million monthly cumulative visitors around the world, including Korea, the US, China, Japan, and German, make access. Since its opening in 2008, the portal website provides news and magazine information, and comprehensive Landscape Architecture information including recruitment, community, landscape materials, and photos. With increases in service types and users, the total amount and diversity of the information provided, system maintenance and scalibility have been larger. Therefore, more elaborate service management is required. In the point that knowledge information drives industrial development, such information can become a very important issue to develop the overall Landscape Architecture.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users of internet Landscape Architecture media,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demand market, and to examine use tendencies and diverse types of responses to service quality factors. In addition, it surveyed the importance and achievement of the internet Landscape Architecture media being provided as of now, and looked into the extents of users' values for services and their evaluation.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comprehensive correlations, including causal relation, between users' importance and achievement reponses to internet Landscape Architecture service and their overall satisfaction. As a study method, SERVQUAL model, which was already proved home and abroad as service quality assessment scale, was employed to measure users' service importance and achievement. In the five categories of assurance, reliability, responsiveness, tangibility, and empathy, 22 questions for measurements were designed; for satisfaction, three questions were mad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nd thus a total of 516 samples were collected. To perform the study purpose effectively, theoretical review was made on previous studies, and three study issues were determined. And then, six study hypotheses were set up. Suitability of the collected data was reviewed enough through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es before they were used as analysis data. The study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reliability, responsiveness, and assurance met users' expectation. Empathy and tangibility had low importance and achievement, but tangibility was so greatly influential over satisfaction that it was found to be the most efficient progressive factor. Secondly, regarding the difference in achievement reponses according to users'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n a main job amo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ts relevant hypothesis was accepted partially. Thirdly, service quality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influenced satisfaction, and espeically 'tangibility' was the most influential.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fi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use frequency of the users accessing internet Landscape Architecture media, and to build a fundamental material necessary to establish the response direction of each service through the analysis on the importance and achievement of the services being provided currently. In addition, by revealing the causal relation between importance/achievement reponses and satisfaction, this study comprehensively suggested the management direction of users' satisfaction with internet Landscape Architecture media.

      • 海外旅行商品의 利用性向에 관한 硏究 : 페키지 투어를 中心으로

        최철수 京畿大學校 大學院 1991 국내석사

        RANK : 248654

        Korean citizens had been restricted to travel into foreign countries until 1970s for the chronic trade deficits and unpreparedness in political and social circumstances. According to the government plan to allow gradually citizens to have overseas travel to meet the era of internationalization, the 50-year old citizens permitted to travel abroad from January 1983. In the later 1980s the government concluded that the national condition for overseas travel has matured by the expansion of national power and lasting trade surplus, and the authorities accelerated open polcies such as extending overseas travel to over 45-years old citizens from September 1987, to 40-year olds from January 1988 and then it was opened by staged to the over 30-year old citizens. At last the overseas travel door was completely opened and liberalized to all Koreans by the abolition of age restriction from January 1990. In accordance with the enforcement of this open policy, the general travel and foreign tourism industries in this country rapidly increased and reached to 717 firms established as of September 1, 1990. With the waves, the number of overseas package tours planned and sold by these firms also jumped tremendously. However, the fact is that the outbound package tours give many controversial points to the tourists who use them. Therefore, this study was started to find a good plan to improve the problematics in toursism and to activate the tour business of Korea by analyzing the propensity to use outbound package tours and grasping the controversial points. It was chosen that Book & Data Research, Interview with employees currently engaging in tourism business and Questionnaire for actual proof analysis as the methods for this study. It was obtained through guestionnaires sent to 381 individuals who experenced outbound package tours offered by 17 travel service agencies in Seoul for 16 days, from August 9, 1990 to August 24. The questionnaire is consisted of 32 questions which are broken down 5 questions about demographic variable, 8 about propensity to use the package tours, 8 about satisfaction degree at outbound package tours, 5 about preference degree and 6 about others. The summary from the information through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e result of analysis the individual experenced outbound package tours by each demographic variable was that the frequency number was high in men classified by sex, in under 30-year old citizens by age, in college graduates (including junior college graduates) by educational levels, in office employees by occupations and income earners under 1,000,000 won each month by income levels. 2.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propensity to use outbound package tours, the frequency showed high figure in sightseeing package tours classified by goods, Southeast Asia by tour areas, 6 days to 10 days by travel periods, relatives or family members by companions for outbound tour, saving by the method to raise travel expenses, visit area by choice package tours and pamphlets provided by the concerned tour service firms by the ways to collect information on tour. 3. From the analysis outbound package tours composition factors to measure the satisfaction degree at them, it was found that many unsatisfactory points have comparatively come out in shopping, guide's service, meals and substance of tour. 4.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degree is much affected in outbound package tours by accommodations, meals, guide's service, shopping and substance of tour. 5. As the result of analysis each demographic variable to grip the state of satisfaction with the factors, constituent parts of outbound package tours, there were wide differences in accomodations according to ages, in meals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s, in traffic for sightseeing in tour site according to occupations, in guide's service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levels, and monthly income amount of each tourist. In this study, several plans to improve efficiently outbound package tours are proposed. The following is that. 1. Plan to develop package tours classified by tourist classes based on age, sex, educational level. 2. Plan to control the quality of constituent factors as well as package tours. 3. Plan to cultivate another package tour to meet diversified demand in tourism field. 4. Plan to develop not only lower priced package tours but also high priced ones and application of discriminative price under the seasonal condition. 5. Plan to better distribution structure for outbound package tours. However, those plans presented in this thesis are considered as ones unreached to the current trend of opinion and being not in the concrete. So further study on this field is being required.

      • 협동적 커스터마이제이션이 온라인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 브랜드 동일시와 SNS이용 성향을 중심으로

        김민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51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모바일과 온라인의 부상에 따라 SNS(Social Network Service) 또한 그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상황 속에서 기업은 단지 전통적인 입소문 방식뿐이 아니라 SNS상에서 인터넷을 통해 일어나는 온라인에서의 입소문 또한 관심 있게 지켜보고 전략을 새워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사회적인 트렌드를 반영하여 협동적 커스터마이제이션이라는 구체적인 커스터마이제이션의 한 종류를 독립변수로, 그에 대한 종속변수로는 온라인 구전의도라는 개념을 정하여 그에 따른 영향을 측정하였다. 나아가, 협동적 커스터마이제이션에 따른 온라인 구전의도가 왜 일어나고, 언제 일어나는지 또한 알아보기 위하여 브랜드동일시라는 개념을 정의하고 이에 따른 변수간의 매개효과를 관찰하였다. 또한, SNS이용성향을 개인중심적인 SNS이용성향과, 타인중심적인 SNS이용성향으로 나누어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즉, 본 연구는 협동적 커스터마이제이션이 온라인 구전효과에 미치는 주효과와 작용하는 변수들의 효과(매개효과, 조절효과)를 알아봄에 따라 아직 마케팅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협동적 커스터마이제이션의 온라인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커스터마이제이션을 통해 소셜 마케팅으로 파급효과를 불러오고자 하는 실무자들에게 어떤 성향의 고객층을 위주로 어떤 커스터마이제이션 된 제품을 어떻게 제공하면 좋을지에 대해 타겟을 구체화할 수 있는 전략적 증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Recently, the SNS has become more important due to rapidly changing mobile and internet. Corporations need to rebuild their strategies to appeal customers in this on-line society where people are sharing their information constantly through the internet. Also, customer's needs to pursue their own product have also become more significant. This research reflects a current social trend that people want to share their knowledge and communicate on-line. This study also focuses on customers' desire to purchase a product which reflects their own identity. To reflect this ide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llaborative Customization (Independent Variable) on E-WOM Intention (Dependent Variable). To figure out how and why this effect occurs, this research carried out a research on mediating effect of brand identification on main effect. Furthermore, to find out when this effect occurs, this research looked into an inclination of SNS Use (Self-oriented Use, Other-oriented Use) as moderating effect. As a result, this study empirically demonstrates the main effect of Collaborative Customization and E-WOM Intention was positively verified. Also,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Identific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inclination of SNS Use were confirmed. This study has a practical significance because the specified customization concept has been used. Now corporations could accept an idea that a product that customers can change a shape or contents could bring positive outcome. Also, making brand identification among customers would be important.

      • 고객의 이용성향에 따른 베이커리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한정숙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decision- markets and marketers both the target market information and the useful clues to understand customers'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market in bakery. Sample data were collected from 476 customer from bakery in seoul.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April 2, 2004 to April 27, 2004. The main methodology of data analysis market segmentation wa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ANOVA. In this analysis the sample customers were clustered into four segments which are consisted of the impulsive cluster, the purposeful cluster, be influenced cluster from external and the preference cluster. This paper determined the customers' choice characteristics of bakery according to their motives or purposes in bakery, and isolated factors underlying the important attributes of the bakery, and finally author applied a market segmentation approach by capturing customers' preference of bakery attributes in different customer segments of dining-out situations.

      • 카지노 고객 이용성향 및 선호도에 관한연구 : 카지노 홍보유형을 중심으로

        김선영 성균관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With the onset of the 21st century, the casino industry has changed much. As casinos in the past just focused on table games and facilities management, they could not attract many types of visitors and was often judged unfavorably. Today’s casinos offer many amusement facilities and programs to collect more groups of visitors. Those include an entertainment center or theme park, cheaply enjoyable slot machines and video games, and a convention center for participants. These efforts have added ordinary tourists to the categories of casino visitors, which had included only special classes of people. As a result, the concept of casino has been changed from a gambling place to a leisure place. Considering the change of casino visitors’ needs and lifestyle and the transition of the casino concept into a leisure plac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both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methods to identify the casino visit tendency and preference of the visitors for foreigners dedicated casinos in Korea, especially in terms of the type of public relations. First of all, this study specified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casinos, the operation of Korean casinos, and the change in casino industry. Prior studies were review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asino visitors, especially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who are the principle customers of foreigners dedicated casinos in Korea. To identify the casino visit tendency and preference of casino visitors, the principles of the effective value and the symbolic value were compared to define the effective and symbolic aspects in the casino industry. As the symbolic aspects including public relations and preference become more important than the effective value that is based on games, the types and importance of public relations as an element of symbolic aspects were studied. First, Chinese visitors regarded the effective aspects as less important than Japanese visitors, and thought casinos as a place for taking a rest and having fun. Second, both Chinese and Japanese visitors preferred the staff service in foreigner dedicated casinos in Korea, but had less preference for incidental facilities and amusement places. Considering the fact that such casinos are operated as a part of hotels so that they have difficulty offering enough convenience facilities and amusement places, it would be required to develop resort-type casinos in the future. Third, the preference to public relation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hinese and Japanese visitors. Higher preference to advertising was shown in Japanese visitors. Both Chinese and Japanese visitors had high preference to popular dinner shows. It was found that the online casino mad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rest and visit decision of visitors.

      • (A) study on the effect of consumer characteristics on intention to use in mobile location-based advertising

        조원상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1 국내박사

        RANK : 248616

        IT 기술의 발달과 스마트폰의 보급 확산은 기업과 소비자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 고 있다. 소비자들은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 인터넷을 통한 정보 검색 등으 로 인해 과거보다 다양하고 많은 양의 정보를 습득할 수 있게 되었고, 의사결정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기업들도 이와 같은 소비자의 행동 패턴 변화에 민감하 게 반응하게 되고, 마케팅에 반영하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소비자에게 가장 쉽게 접 근할 수 있는 방안은 모바일 기기를 사용한 마케팅 방안이다. 소비자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스마트폰을 가지고 행동하고 있고, 과거 PC의 확산보다 더욱 빠른 속도로 스 마트폰은 확산되었다. 또한, 스마트폰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특징들 중, 위치기반 기술은 기업 입장에서 타겟 마케팅을 제공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이와 같 은 기술 발달과 사회적인 변화는 소비자의 위치를 중심으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홍보 하고 할인쿠폰과 같은 혜택을 제공하는 모바일 광고 시장의 확산으로 연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광고 시장에서 중요한 마케팅 방법으로 자리 잡은 모바일 위치기 반 광고에서 소비자 특성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개 인화, 인게이지먼트, 쿠폰이용성향, 경제성, 성가심의 변수가 태도와 정보프라이버시 염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태도와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가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인화는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게이지먼트, 쿠폰 이용성향, 경제성은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성가심은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쿠폰 이용성향은 경 제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성가심은 경제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경제성과 성가심은 정보프라이버시 염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정보프라이버시 염려는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 막으로 태도는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정보프라이버시 염려는 사용의 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소비자에게 모바 일 위치기반 광고를 제공할 때, 고려해야 할 요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nd the spread of smartphones are having a great impact on businesses and consumers. Consumers have been able to acquire more diverse and larger amounts of information than in the past due to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smartphones and information search through the Internet, which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decision-making. Companies have also become sensitive to such changes in consumer behavior patterns, reflected in their marketing. Among them, the most easily accessible method to consumers is a marketing method using mobile devices. Consumers spend most of their time with smartphones, and smartphones have spread at a faster rate than the proliferation of PCs in the past. In addition, among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smartphones, location-based technology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providing targeted marketing from a company's point of view. Such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social change have led to the expansion of the mobile advertising market, which promotes products or services based on the location of consumers and provides benefits such as discount coupon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nfluence of consumer characteristics on intention to use in mobile location-based advertising, which has become an important marketing method in the mobile advertising market. The effects of variables of personalization, engagement, coupon proneness, economic efficiency, and irritation on attitude and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were analyzed, and the effects of attitude and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on intention to use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personaliz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Engagement, coupon proneness, and economic efficiency had a positive effect on attitude, but irrit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attitude. Also, coupon proneness and irritation were found to hav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economic efficiency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economic efficiency and irri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but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Finally, it was found that attitude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use and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had a negative effect on intention of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judged to be able to suggest factors to consider when providing mobile location-based advertising to consumers in the future.

      • 便宜店 顧客의 利用性向에 관한 硏究

        최홍기 東亞大學校 經營大學院 1994 국내석사

        RANK : 248605

        Our consuning culture and consuming patterus have charged a lot in the rapldly changing circumstances. In the entrance of 1990s,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of Income level, lifestyle and consuning patterns and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population acting in thenight in order to meet the moderns' desire pursuing the Convinlence of life, 'the Convinient Store', the new type of a circulation business, have established and developed until now. Therefore, this research was studied positively about the propensity to use and the behavior of purchase to select 1,000 of consumers in randon using the C.V.S in the subject of 126 of C.V.Ss which have engaged in business in Pusan, at present in Nov, 1993. This research was studied in order to seek and propel the marketing strategy of C.V.S in the fatare by knowing that how will the variables of statistic of population and the variables of statistic of basis influence to the actual conditions and the motives in using the C.V.S and what variables will work to the corditions of location of C.V.S. As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the specificity of statistic of population was appeared that the women use more than the men do and the students at twenties and a single graduated college whose income is average 1,500,000 wons to 2,000,000 wons per month use C.V.S freguently. And in relation to acting condition and motives in using, it was appeared that the motives to use C.V.S was recoynition by chance and because of being opened throughout the year every 24 hours and the acting condition were that they use it from one to three times a week, On Saturday, Sunday and holiday, mostly from five p.m to eleven p.m and purchase beverages, general processed foodstuffs and fastfoods about amounts of 5,000 wons and consume them one hour. And alse, it was investigated that there's few people who use specifiod company's store but LG 25 and family Mart was answered as favorite shop. In reference to payment of royalty, mone then half people have known it alreaoty and in regard to this they loetrayed their dissatisfaction to pay the royalty even to the retail stores. In relation to the intend of them in using C.V.S continuously, over 90% people answered that they will use it as usual and this is considered that they have duplicity in using C.V.S. And a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it was appeared that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C.V.S, the age groups and classes of consumers had a difference and also there's differences in goods being sold well and it was proved that the C.V.S is also business of locations like as the retail stores. Thecefore, in the future, someone who want to open a C.V.S must investigate exactly the location, the around market area and target consumer, and then will formulate a marketing strategy to meet it. In conclusion, this research was studied on the point of the prospersity to use of consumers, but recently, many members of C.V.S have had friction freguently with the head office on the problem of dullness of sale and excessive royalty paid to head office, and finally there's some stores to give up their business or to change their occupation. So in the future, the way of the distribution of profits and raising confidence between head office and members of C.V.S must be studied as well as the way of development of C.V.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