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가공식품 섭취와 이상지질혈증과의 연관성 및 유전적 다형성과의 상호작용

        조민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365

        Dyslipidemia may raise the risk of death or non-communicable diseases. Ultra-processed food, as defined in the NOVA classification, contains food additives and is produced by industrial food processing, exhibiting low nutritional quality. Epidemiological studies have reported associations between ultra-processed food intake and the risk of non-communicable diseases including dyslipidemia. In addition, the association between ultra-processed food intake and dyslipidemia risk may vary by genetic variant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 risk of dyslipidemia is associated with ultra-processed food intake and whether this association is modified by the polygenic score related to dyslipidemia in three Korean prospective cohort studies. A pooled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ree Korean cohort studies included in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 which were the Health Examinees (HEXA) study, Cardiovascular Disease Association Study (CAVAS), and the Korea Association Resource (KARE) study. Daily ultra-processed food intake was categorized into five groups: <5%E, 5%E to <10%E, 10%E to <15%E, 15%E to <20%E, and ≥20%E. Odds Ratios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for the risk of dyslipidemia were calculated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s. The ORs were combined using either a random or fixed effects model based on heterogeneity across the studies. Subgroup analyses were also performed to assess whether associations between ultra-processed food intake and dyslipidemia risk were altered by polygenic scores, age, sex, body mass index, smoking status, alcohol drinking, and education level using a meta-regression model. A total of 9,849 cases of dyslipidemia were diagnosed among 20,044 participants during the follow-up. No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ultra-processed food intake and the risk of dyslipidemia. Compared with <5%E of daily ultra-processed food intake, pooled ORs (95% CIs) were 1.02 (0.94-1.11) for 5%E to <10%E, 1.09 (0.99-1.19) for 10%E to <15%E, 0.97 (0.87-1.08) for 15%E to <20%E, and 1.01 (0.90-1.13) for ≥20%E of daily ultra-processed food intake (pooled p trend=0.83). This lack of a significant association persisted when the analysis was stratified by the polygenic score of dyslipidemia (pooled p interaction=0.90). In summary, there was no evidence of an association between ultra-processed food intake and dyslipidemia risk, which did not vary according to the polygenic score of dyslipidemia among Koreans aged 40 years or older. Further replication studies in young Asian populations are required. 이상지질혈증은 사망률 혹은 만성질환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다. NOVA 체계에서 제시된 식품 유형인 초가공식품(Ultra-Processed Food, UPF)은 각종 식품첨가물이 이용되고 산업적 가공 공정을 거쳐 생산된 식품으로서 영양적 질이 낮은 것이 특징이다. 국내외 역학 문헌에서 초가공식품 섭취와 이상지질혈증을 포함한 비전염성 만성질환 발생 위험이 연관 있음이 보고되었다. 또한 초가공식품 섭취와 이상지질혈증 발생 위험과의 연관성은 유전적 요인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개의 전향적 한국인 코호트 연구에서 초가공식품 섭취와 이상지질혈증 발생 위험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고, 이 연관성이 이상지질혈증의 다유전적 위험도에 따라 다른지를 살펴보았다. 한국인 유전체 역학조사 사업(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에 포함된 세 개의 한국인 코호트 연구, 곧 도시기반 코호트 연구(the Health Examinees, HEXA), 농촌기반 코호트 연구(Cardiovascular Disease Association Study, CAVAS), 지역사회기반 코호트 연구(the Korea Association Resource, KARE)를 통합 분석(pooled analysis)하였다. 식품섭취빈도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일일 총 섭취 열량 대비 초가공식품으로부터의 일일 섭취 열량(%E/day)을 계산하였고, 연구 대상자를 일일 초가공식품 섭취 열량 비율에 따라 5%E 미만, 5%E 이상 10%E 미만, 10%E 이상 15%E 미만, 15%E 이상 20%E 미만, 20%E 이상인 집단으로 범주화하였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이상지질혈증에 대한 초가공식품 섭취의 오즈비(Odds Ratio, OR)와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을 추정하였다. 세 코호트 연구 간의 이질성 여부에 따라 이질성이 있는 경우에는 확률효과모형(random effects model)을, 이질성이 없는 경우에는 고정효과모형(fixed effects model)을 사용하여 통합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메타회귀(meta-regression)를 통해 이상지질혈증의 다유전적 위험도, 연령, 성별, 체질량지수, 흡연력, 음주력, 교육수준에 따라 초가공식품 섭취와 이상지질혈증 발생 위험과의 연관성이 다른지를 조사하기 위해 하위 집단 분석을 수행하였다. 추적조사 기간에 연구 대상자 2만 44명 중 총 9,849명의 연구 대상자에게서 이상지질혈증이 발생하였다. 세 코호트 연구를 통합 분석한 결과, 초가공식품 섭취와 이상지질혈증 발생 위험과의 연관성은 없었다. 일일 초가공식품 섭취 열량 비율이 5%E 미만인 대상자와 비교하여 일일 초가공식품 섭취 열량 비율이 5%E 이상 10%E 미만인 대상자의 통합 오즈비(95% 신뢰구간)는 1.02(0.94-1.11), 10%E 이상 15%E 미만인 대상자의 경우 1.09(0.99-1.19), 15%E 이상 20%E 미만인 대상자의 경우 0.97(0.87-1.08), 20%E 이상인 대상자의 경우 1.01(0.90-1.13)이었다(pooled p trend=0.83). 또한 초가공식품 섭취와 이상지질혈증 발생 위험과의 연관성은 이상지질혈증의 다유전적 위험도에 따라 다르지 않았다(pooled p interaction=0.90). 따라서 초가공식품 섭취량이 비교적 적은 40세 이상 한국인에게서 초가공식품 섭취와 이상지질혈증 발생 위험과의 연관성은 없었고, 이 연관성은 이상지질혈증의 다유전적 위험도에 따라서도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가공식품 섭취와 이상지질혈증 발생 위험과의 연관성 및 유전적 다형성에 따른 상호작용을 더욱 명확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연령대의 아시아 인구집단을 포함한 역학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Assessing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dairy consumption and APOA5, ZPR1, FBXL17 genetic polymorphisms on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정혜윤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330

        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 높은 혈압, 이상혈당증, 이상지질혈증 등 대사적 이상들의 집합체이다.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이에 대한 예방과 치료가 중요하다. 대사증후군의 발병은 유전적 요인과 식이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식이 요인 중에서 유제품의 섭취가 대사증후군에 예방 효과가 있다는 것이 많은 역학연구들을 통해 입증되었다. 최근에는 전장 유전체 연관분석(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을 통해 상당수의 대사증후군 감수성 유전자들이 밝혀졌다. 하지만 유전적 다형성과 유제품의 섭취의 상호작용이 대사증후군 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 GWAS를 통해 한국 중년인구에서 대사증후군 감수성 유전적 다형성을 조사하여, 이들과 대사증후군과의 관계성을 확인하고, 2) 유제품과 대사증후군과의 관계성과 3) 대사증후군 감수성 유전적 다형성과 유제품 섭취와의 상호관계가 대사증후군과 그 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한국인 유전체 역학조사 사업(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 중 지역사회 기반 코호트(KARE cohort)를 사용하여 총 4818명이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유전체정보는 The Korean Biobank Array (KCHIP)를 통해, 식이정보는 반정량적 식사 섭취 빈도 조사(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Q-FFQ)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유제품의 섭취는 우유, 요구르트, 치즈, 아이스크림의 섭취빈도와 섭취분량을 이용하여 하루 유제품 섭취량(serving/day)으로 계산하였고, 한국 성인의 권장 섭취량에 따라 하루 1회 섭취를 기준으로 (하루 1회 기준분량 미만, 이상) 분류했다. 유제품섭취과 유전적 다형성이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변수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했다. GWAS 분석을 통해 3개의 유전자(APOA5 rs662799, ZPR1 rs113932726, FBXL17 rs167012)가 대사증후군 감수성 유전자로 밝혀졌으며, 이 유전자 모두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중 지질 농도와 관련성을 보였다. 유제품 섭취와 대사증후군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총 유제품을 권장섭취량 이상으로 섭취하는 사람이 대사증후군에 대한 위험이 20% 감소했다(Adjusted odds ratio (AOR)= 0.80, 95% CIs=0.66-0.97, p < 0.05). 유제품의 섭취와 대사증후군 감수성 유전자의 상호관계는 총 유제품을 권장섭취량 이하로 섭취하면서 대사증후군 감수성 유전자의 위험대립유전자를 가지는 사람에게서 대사증후군에 대한 가장 큰 위험을 보였다. APOA5의 경우, rs662799 GG 유전자형이면서 총 유제품을 권장섭취량 이하로 섭취한 그룹이 AA 유전자형이면서 총 유제품을 권장섭취량 이하로 섭취한 그룹에 비해서 대사증후군의 위험이 남녀 각각 2.67배(AOR=2.67, 95% CIs=1.71-4.16, p < 0.05), 3.24배(AOR=3.24, 95% CIs=2.112-4.97, p < 0.05)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ZPR1의 경우, rs113932726 위험대립유전자 T를 가지면서 총 유제품을 권장섭취량 이하로 섭취하는 그룹이 CC 유전자형이면서, 총 유제품을 권장섭취량 이하로 섭취한 그룹에 비해서 성별에 관계없이 대사증후군에 대한 위험이 증가하였다(AOR=1.79, 95% CIs=1.30-2.47, p < 0.05 남자; AOR=1.90, 95% CIs=1.36-2.67, p < 0.05 여자). 또한 FBXL17에 대해서도 rs167012 CC 유전자형이면서 총 유제품을 권장섭취량 이하로 섭취한 그룹이 성별에 관계없이 대사증후군에 대한 위험이 가장 높았다(AOR=1.85, 95% CIs=1.28-2.69, p < 0.05 남자; AOR=1.66, 95% CIs=1.15-2.42, p < 0.05 여자). 따라서 본 연구는 유제품 섭취의 예방효과와 대사증군 감수성 유전자의 위험 대립유전자의 위험효과가 서로 연관되어 대사증후군의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개인의 유전적 정보를 기반으로 대사증후군 발병을 감소시킬 수 있는 맞춤 유제품 섭취량을 제시할 수 있는 기반적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대사증후군 감수성 유전자, 유제품의 종류, 성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상호관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더 필요하다. Metabolic syndrome (MetS) is a complex phenomenon of metabolic disorders, such as abdominal obesity, dyslipidemia, hypertension, and insulin resistance. The progression of MetS is influenced by both genetic and dietary factors, in addition to the interactions between them. Consuming dairy products, which contain calcium and proteins, may have a protective effect against MetS. Epidemiological analyses have shown an inverse association between dairy consumption and MetS risk. In addition, previous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GWAS) have identified several candidate genes involved in the risk of MetS. Therefor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1) investigate genetic polymorphisms related to MetS through GWAS analysis and explore the association between gene polymorphisms involved in increasing MetS susceptibility and MetS parameters, 2)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airy consumption and MetS, and 3) examine the effects of interactions between genetic polymorphisms and dairy consumption on the risk of MetS. Using the Korean Association REsource (KARE) cohort baseline data, a total of 4818 Korean adults aged ≥40 years were included, and data on genotype and dietary information were obtained from the Korean Biobank Array (K-CHIP) and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Q-FFQ), respectively. The consumption of dairy products wa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frequency of consumption and reported serving size of milk, yogurt, cheese, and ice cream. The categories of dairy consumption were classified into two based on the recommendation for dairy food intake (≥ 1 serving/day). To estimate the adjusted odds ratios (AOR)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airy consumption and genetic polymorphisms and the associated risk of MetS after adjustment for covariates. The GWAS analysis revealed that rs662799 in APOA5, rs113932726 in ZPR1, and rs167012 in FBXL17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et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riacylglyceride concentration in plasma with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minor alleles for three SNPs related to MetS (rs662799 in APOA5, rs113932726 in ZPR1, and rs167012 in FBXL17). In total, an inverse association between dairy consumption and MetS risk was observed. Compared to individuals consuming <1 serving/day, individuals consuming ≥1 serving/day of total dairy products had a reduced risk of MetS (AOR = 0.80, 95% CIs = 0.66-0.97, p < 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interactions between dairy consumption and the minor allele of APOA5 rs662799, ZPR1 rs113932726, and FBXL17 rs167012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MetS. The strongest risk of developing MetS was observed in participants who consumed <1 serving/day of total dairy products and had APOA5 rs662799 GG genotype (AOR = 2.67, 95% CIs = 1.71-4.16; p < 0.05 for men; AOR = 3.24, 95% CIs = 2.112-4.97, p < 0.05 for women). Individuals who consumed <1 serving/day of total dairy products and carried the ZPR1 rs113932726 minor T allele showed a higher risk of MetS than those with the CC genotype (AOR=1.79, 95% CIs =1.30-2.47, p < 0.05 for men; AOR = 1.90, 95% CIss = 1.36-2.67, p < 0.05 for women). Similarly, individuals with the ZPR1 rs113932726 CC genotype and who consumed <1 serving/day of total dairy products showed the greatest risk of MetS (AOR = 1.85, 95% CIs = 1.28-2.69, p < 0.05 for men; AOR = 1.66, 95% CIs = 1.15-2.42, p < 0.05 for women). In summary, this study suggests the applicability of “personalized nutrition” for dairy consumption according to individual genetic information. Further replication studies for the effect of gene–diet interaction on the risk of MetS are required, considering the role of sex and the type of dairy products in the progression of MetS.

      • 급성 이식편대숙주질환의 감수성에 미치는 Interleukin-10 promoter 유전적 다형성의 영향에 대한 메타 분석

        조인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316

        Interleukin-10은 여러 면역반응에서 다른 염증매개물질들의 영향을 조절하는 매우 중요한 면역조절 cytokine으로서 동종조혈모세포이식 후 나타나는 이식 후 사망률에 매우 주요한 원인인 이식편대숙주질환 발생과의 관련성이 여러 연구에서 밝혀진바 있다. 하지만, Interleukin-10 promoter 유전적 다형성에 따른 이식편대숙주질환의 위험도에의 영향이 이미 출판된 연구에서 일치하지 않아 본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동종조혈모세포이식 후 수여자와 공여자에서 급성 이식편대숙주질환에 미치는 Interleukin-10의 유전적 다형성의 영향 및 관계를 현재까지 출판된 자료를 통합하고 분석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기존의 의학논문 데이터베이스인 MEDLINE, EMBASE, Cochrane library에서 'Interleukin-10', 'polymorphism', 'Graft-vs-Host Disease'의 검색어를 통하여 관련 논문을 검색하였다. 총 11개의 연구가 확인되어 급성 이식편대숙주질환 위험도에 대한 Interleukin-10 유전적 다형성의 영향을 각각, dominant, recessive, additive genetic model로 95%의 신뢰구간에서 오즈비로부터 분석하였다. 본 메타 분석에서 수여자 3588명과 공여자 3221명의 자료를 포함하여 분석한 결과, IL-10 -1082 G>A SNP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IL-10 -819 C>T SNP에서는 수여자 dominant model에서 CC genotype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등급 I-IV (OR=2.722, 95% CI = 1.360-5.450, Heterogeneity; Chi2=0.597, I2 = 0%, p=0.005)과 등급 II-IV (OR=2.265, 95% CI = 1.015-5.053, Heterogeneity; Chi2=6.798, I2 = 55.9%, p=0.046)의 이식편대숙주질환의 위험도를 높였다. IL-10 -819 C>T SNP의 공여자 dominant model에서도 CC genotype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등급 I-IV (OR=2.306, 95% CI = 1.168-4.551, Heterogeneity; Chi2=0.974, I2 = 0%, p=0.016)의 이식편대숙주질환의 위험도를 높였으며 등급 II-IV (OR=1.506, 95% CI = 0.929-2.442, Heterogeneity; Chi2=3.059, I2 = 1.9%, p=0.097)에서는 그 경향성이 나타났다. IL-10 -592 C>A SNP에서는 수여자 dominant model에서 CC genotype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등급 II-IV (OR=1.999, 95% CI = 1.230-3.250, Heterogeneity; Chi2=5.366, I2 = 44.1%, p=0.005) 이식편대숙주질환의 위험도를 높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메타분석결과 IL-10 -819 C>T CC genotype과 IL-10 -592 C>A CC genotype이 동종조혈모세포이식 후 급성 이식편대숙주질환의 위험도를 높인다는 근거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전적 결정인자를 고려한 환자개별적 치료전략의 수립에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동종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치료결과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 임상분리 결핵 균주간의 유전적 다형성

        김지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32300

        Despite the efforts to combat tuberculosis it still remains one of the major public health problems, which forced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to declare tuberculosis a global emergency in 1993. Mycobacterial species belonging to Mycobacterium tuberculosis complex show 99.9% similarity in nucleotide sequences, but they differ widely in their host tropisms and phenotypes related to pathogenicity. Recently clinical strains of M. tuberculosis showing diversity in virulence phenotype have been reported, but the molecular basis for the phenotypic diversity among the clinical isolates remains poorly understood.$$a$$aBased on the assumption that genetic differences among clinical strains account for the phenotypic variation, genetic polymorphism among recent clinical isolates of M. tuberculosis was investigated. Comparison of the whole genome sequence of M. tuberculosis K strain, one of the most prevalent strains in Korea, with that of M. tuberculosis H37Rv revealed the presence of 153 deletions and 124 insertions in the K genome relative to the H37Rv genome. Those deletions and insertions affect 96 ORFs and 58 ORFs, respectively, which encode mostly PE, PPE family proteins, hypothetical proteins and transposases. DNA fragments corresponding 54 deletions and 58 insertions were amplified by PCR with specific primers and analyzed to find genetic variations among 40 clinical isolates.$$a$$aClinical isolate A, a, b, d, 13 and 18 showed similar insertions and deletions found in H37Rv, while other isolates showed variations similar to K strain. Del_3, Del_16 and Del_18 were found to be unique in K strain and Del_29 and Del_36 were shown to be conserved among members of K family, suggesting that variations in these loci may account for the hypervirulence of K strain. Nucleotide sequences of PCR products carrying 21 selected deletions and insertions showed that PCR products with the same size have identical nucleotide sequence for each deletion or insertion, while PCR products with variations in size have altered nucleotide sequences because of insertions or deletions, which result in changes in amino acid sequences.$$a$$aIn this study PCR amplification of targeted regions and sequence analysis have provided information on both insertions and deletions,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comparative genomic approaches based on DNA hybridization which identify deletions only. The information presented herein could contribute to the identification of M. tuberculosis genes associated with virulence of the pathogen.$$a$$a 결핵은 결핵균 (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의하여 발생하는 만성 세균감염증으로 세계보건기구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 ''global emergency’로 선포하였을 만큼 세계적인 보건 문제이다. M. tuberculosis complex에 속하는 균주들은 전체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이 99.9%의 유사성을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숙주특이성과 발병력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최근 환자에서 분리된 결핵균 임상분리 균주들에서 균주에 따라 병원성과 관련된 표현형들이 차이가 있음이 밝혀지고 있는데 이와 같은 발병력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분자유전학적인 연구는 아직 충분하지 않다.$$a$$a본 연구는 결핵균 임상분리 균주들에서 보이는 발병력의 차이가 각 균주들이 가지고 있는 유전 정보의 차이에 기인할 것이라는 가정에 따라 몇 가지 임상분리 균주들의 유전적 다형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최근에 밝혀진 임상분리 결핵균 K 균주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결핵균 표준균주 H37Rv의 염기서열과 비교분석하여 이 균주들 사이에 차이 (결손 혹은 삽입)를 보이는 염기서열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국내 및 국외에서 분리된 임상분리 균주들을 대상으로 해당 DNA 절편을 PCR로 증폭하고 염기서열을 결정하여 각 부위의 유전적 다형성을 규명하였다.$$a$$aK 균주와 H37Rv 균주의 전체 염기서열을 비교하여 K 균주에서 153 개의 결손과 124 개의 삽입이 일어났음을 확인하였다. 결손과 삽입에 의해서 각 96개와 51개의 open reading frame (ORF)이 영향을 받았으며 이들 대부분은 PE, PPE family, hypothetical protein, transposase을 coding하고 있었다. 각 부위에서 균주간의 다형성을 확인하기 위해 54 부위의 결손과 58 부위의 삽입을 대상으로 40개의 임상분리 균주에서 PCR을 수행하였다. 임상분리 균주 A, a, b, d, 13, 18은 전반적으로 H37Rv와 유사한 삽입 및 결손을 보이는 반면 나머지 임상분리 균주들은 각 부위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결손과 삽입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Del_3, Del_16, Del_18 부위는 K 균주에서만 결손되었고, Del_29, Del_36은 모든 K family에 속하는 균주들에서 결손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들 부위에 위치하고 있는 유전자들이 K 균주에 특이적인 발병력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결손과 삽입 중에서 21 부위를 선정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하여 분석한 결과 PCR 산물의 크기가 같을 경우 염기서열이 동일하였고 PCR 산물의 크기가 다를 경우에 결손이나 삽입에 의하여 염기서열의 변화가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아미노산 서열에도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a$$a지금까지의 비교유전체 연구는 DNA microarray를 기반으로 하여 수행되었기 때문에 이미 알려져 있는 염기서열에서 결손된 유전자들을 탐색하는 것에는 유용하지만 근본적으로 새롭게 삽입된 유전자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는 없다. PCR 및 sequencing을 이용하는 본 연구는 결손이 일어난 염기서열에 대한 정보 뿐 아니라 삽입된 염기서열의 탐색도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연구결과보다 광범위한 결과를 축적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각 임상분리 균주에서 발견되는 발병력의 차이에 대한 유전적인 원인을 규명할 수 있는 기초 정보들을 제공함으로써 결핵균의 발병인자를 탐색하고 병인기전을 규명하는데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a$$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