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택재건축사업과 민영주택건설사업의 입지요인 비교연구 : - 대구시 단독주택지 정비사업의 사례

        류상현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기성시가지 정비사업에서 민간건설사업의 아파트 건설경기가 과열되면서 토지가격과 분양가 상승의 악순환적 상승작용을 초래하여 부동산 과열경기와 시가지 정비지구 확보의 투기현상을 초래하였다. 기성시가지 정비에서 민간건설부문의 비중이 도시공간형성에 지대함에도 불구하고 기성시가지 정비사업지구의 입지에 대한 전반적 연구가 전혀 진행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성시가지에서 민간건설사업과 공공의 주택재건축사업의 사업지구 입지결정에서 주요한 입지인자의 규명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분산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해 선별된 각 입지요인을 기준으로 단독주택재건축사업과 민영주택건설사업 간 판별분석을 실시하여 사업유형별 입지요인의 차별성을 규명하고,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적용하여 주택재건축 정비예정구역의 예상되는 시가지 정비유형을 구분하는 과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입지인자의 규명은 넓은 의미에서 도시 내 기성시가지 토지이용변화의 기제로서 토지이용변화 패턴예측에 활용되고, 좁은 의미에서 기존의 주택재건축 정비예정구역의 입지성향을 판별하여 주거환경정비전략 수립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Redevelopment in built-up area is distinguished Public sector and Private sector. As a result that Private sector takes leading in Redevelopment in built-up area, many problems have been encountered like housing stock inflation, increase of unsold apartment, etc. Although private sector Housing redevelopment seriously effect on Urban space structure, locational factors of private sector have not been studied. The aims of the study are to clarify major locational factors of Housing Redevelopment by Public sector and Private sector in the old sing-housing area in Daegu city and to verify locational characteristics in the Planned Housing Redevelopment district.

      • 요인분석에서 사각회전 방식간의 비교

        임태경 성균관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The comparison between criterions of oblique rotation in factor analysis. Tae-kyung, Lim Department of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riterions of oblique rotation on recovery of population factors under conditions in which the common factor model holds in the population. Which are relatively little studied among a variety of Monte Carlo studies on recovery of population factors. The general approach used in this study involved the following steps: ⑴ 12 population correlation matrices were generated, which matrices were defined as having specific desired properties and known factor structures. The matrices were defined by ⒜ two levels of inter factor correlation(0.30, 0.50), ⒝ two levels of factor loading(0.40, 0.60), ⒞ three levels of number of factors(3, 4, 5), and the number of measured variables was held ‘number of factors×10’. ⑵ 30 sample correlation matrices were generated from each population; ⑶ the sample correlation matrices were factor analysed, using maximum likelihood factor analysis and various criterions of rotation(Geomin, Infomax, Orthoblque, Direct oblimin), specifying the number of factors retained as equal to the known number of factor in the population; the sample factor solutions were evaluated to determine how various aspects of those solutions were affected by criterion and other properties of the data. For each of the rotated sample solutions, measures of congruence between sample and population factors the variations of variable complexity(decrease and increase) were obtained. This Indexes were treated as dependent variables in four-way ANOVAs using three between factor(inter factor correlations, factor loading, number of factors), one within factor(criterions) as independent variables. As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dependent variable, factor loadings and inter factor correlations become higher, the role of criterion become more important.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전략 요인 연구

        Jin, Xiangshu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of the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of Chinese Korean learners, reveal their characteristics, and explore th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direction of the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by analyzing the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learner factor. Until now, vocabulary teaching and its necessity has been largely disregarded and considered a personal problem for learners. However, Chinese learners are likely to lose interest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itself because they do not use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effectively when they encounter new vocabulary. This evident when Chinese learners, after spending a lot of time memorizing Korean vocabulary recklessly, do not know the exact usage of words. Recognizing these problems,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on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useful for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To achieve this, this study first explains the goals and needs of the study, as well as reviewing second language education and prior resear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relation to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in Chapter I.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Chapter II examined the concept of Korean vocabulary, the status of vocabulary education, the concepts and classification systems of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in addition to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nd selected learners' factors that affect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In Chapter III, 577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were surveyed by developing tools for measuring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creating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two categories of ‘semantic discovery strategies’ and ‘memory enhancement strategies’, six higher-level strategies and 61 lower-level strategie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through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V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produced in Chapter IV, and are as follows. Firstly, the perception survey of vocabulary learning found that learners were highly aware of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vocabulary learning. Through the factor analysis assessment, we were able to derive seven higher-level strategies and 30 lower-level strategies in two categories: ‘meaning discovery strategies’ and ‘memory enhancement strategie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These strategies were further categorized into seven strategies: ‘strengthening vocabulary and meaning’, ‘social request strategies’, ‘memory strategy using association’, ‘self-directed cognitive control strategies’, ‘selective iterative strategies’, ‘vocabulary information utilization strategies’, and ‘affective (psychological) anxiety control strategies’. After looking at the usage patterns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of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by category, we can see that they prefer ‘semantic discovery strategies’ to ‘memory enhancement strategies’. Specifically, if you look at each of the seven top strategies, it appears in the order of “vocabulary information utilization strategies > selective iterative strategies > memory strategy using association > affective (psychological) anxiety control strategy > self-directed cognitive control strategies > social request strategy > strengthening vocabulary and meaning strategy”. In addition, a difference analysis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based on learner factors showed that women use strategies more than men. According to the Natural Learning Ordina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earners in their early 20s (ages 20 to 24) and learners in their late 20s (ages 25 to 29). Overall, beginner and intermediate learners were more likely to use strategies than advanced learners in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proficiency. The experience of learning a first foreign languag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nd significant differences could be identified in the period of learning, particularly between learners of more than four years and learners of less than one year. According to the difference analysis results, the correlation between age, proficiency, learning period, and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was significant. As a result, the lower the level of mastery, the higher the correlation between strategies utilizing the core words of the ‘strengthening vocabulary and meaning strategy’ through the ranking of the use of sub-strategies by mastery, or strategies that ask others to translate vocabulary into Chinese through quizzes and ‘social request strategies’. Also, the strategy of guessing the meaning through context, or by analyzing previous parts of text after finding unknown words was identified as a strategy that could help improve the proficiency of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In addition, an analysis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ffecting learners' proficiency confirmed that strategies to guess meanings through contexts or contexts of ‘vocabulary information utilization strategies’, and strategies to know what vocabulary to use through ‘affective (psychological) anxiety control strategy’, had a positive impact on learners' proficiency and a strategy to remember vocabulary through quizzes to others in ‘strengthening vocabulary and meaning strategy’, did not have a positive impact. To conclude, this study identified and considered the detailed categories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that could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These findings may be meaningful in that they can provide basic data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lexicon learning teaching methods for Chinese learners.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전략 요인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밝히고 어휘 학습전략과 학습자 요인과의 관계 분석을 통해 어휘 학습전략의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동안 어휘 교수는 필요성을 인정받지 못하고 학습자 개인의 문제로 여겨져 왔다. 중국인 학습자들은 새로운 어휘를 접할 때 어휘 학습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하여 외국어 학습 자체에 흥미를 잃기가 쉽다.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어휘 학습 시에 무작정 단어를 암기하는 데 수많은 시간을 투자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어휘의 정확한 쓰임새를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주도적인 학습에 유용한 어휘 학습전략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Ⅰ장에서는 연구 목적 및 필요성과 어휘 학습전략에 관한 제2언어교육과 한국어교육에서의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Ⅱ장에서는 기존의 연구를 토대로 한국어 어휘에 관한 개념과 어휘교육의 위상, 언어 학습전략과 어휘 학습전략에 관한 개념 및 분류 체계를 살피고 어휘 학습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요인을 선정하였다. Ⅲ장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어휘 학습전략 측정을 위한 도구를 개발하여 ‘의미 발견 전략’과 ‘기억 강화 전략’ 두 개 범주와 상위전략 6개, 하위전략 61개로 구성된 설문문항을 만들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577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는 요인분석(Factor analysis), 기술 통계,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s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VOVA),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등의 방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Ⅳ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먼저, 어휘 학습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학습자들은 어휘 학습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크게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요인분석을 통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특성을 밝힐 수 있는 ‘의미 발견 전략’과 ‘기억 강화 전략’ 두 개 범주 내 상위전략 7개와 하위전략 30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상위전략으로는 ‘의미 발견 전략’에 속하는 ‘어휘 의미 강화 전략’과 ‘사회적 요청 전략’, ‘기억 강화 전략’에 속하는 ‘연관성을 활용한 기억 전략’, ‘자기 주도적 인지 조절 전략’, ‘선택적인 반복 전략’, ‘어휘 정보 활용 전략’, ‘정의적(심리적) 불안 조절 전략’의 7개 상위전략으로 개념화가 가능하였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전략의 사용 양상을 범주별로 살펴본 결과, ‘의미 발견 전략’을 ‘기억 강화 전략’보다 더 많이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7개의 상위전략별로 살펴보면 “어휘 정보 활용 전략 > 선택적인 반복 전략 > 연관성을 활용한 기억 전략> 정의적(심리적) 불안 조절 전략 > 자기 주도적 인지 전략 > 사회적 요청 전략 > 어휘 의미 강화 전략”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 요인에 따른 어휘 학습전략의 차이분석을 한 결과 성별에 따라 여성이 남성에 비해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함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 연령에 따르면 20대 초반(20~24세) 학습자와 20대 후반 (25~29세) 학습자 간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숙달도에 따른 차이 분석에서는 전반적으로 초급, 중급 학습자들이 고급 학습자에 비해 전략 활용도가 높았다. 학습자의 제1외국어(영어, 한국어)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학습 기간에 따라 4년 이상 학습자와 1년 미만인 학습자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연령, 숙달도와 어휘 학습전략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숙달도와 어휘 학습전략 간의 상관관계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로 인해 숙달도별 하위전략 사용의 순위는 ‘어휘 의미 강화 전략’의 ‘핵심어를 활용한 전략’이나 ‘사회적 요청 전략’의 ‘모국어로 번역을 부탁하는 전략’이 숙달도가 낮을수록 상관관계가 높았다. 그리고 ‘어휘 정보 활용 전략’에 속하는 ‘글의 문맥 또는 전후 관계를 통해 의미를 추측하는 전략’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전략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숙달도에 영향을 미치는 어휘 학습전략을 분석한 결과, ‘어휘 정보 활용 전략’의 ‘글의 문맥 또는 전후 관계를 통해 의미를 추측하는 전략’과 ‘정의적(심리적) 불안 조절 전략’의 ‘어떤 경우에 어떤 어휘를 사용 할지를 잘 아는 전략’은 학습자의 숙달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어휘 의미 강화 전략’중에서 ‘다른 사람에게 퀴즈를 통해 어휘를 기억하는 전략’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의 특성을 밝힐 수 있는 어휘 학습 전략의 범주와 세부 전략을 추출하여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어휘 학습 교육 방안을 강구하는 데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공통요인분석자혼합모형의 요인점수를 이용한 일반화가법모형의 신용평가 모형

        임수열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로지스틱판별분석은 금융 분야의 계량분석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통계적 기법이다. 신용평점자료를 이용하여 신용평가를 수행함에 있어서도 로지스틱판별모형은 해석이 쉽고 우수한 분별력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종속변수에 대한 설명변수들의 비선형적인 관계를 설명하는 부분에는 한계점이 있다. 일반화가법모형은 로지스틱판별모형의 장점과 더불어 종속변수와 설명변수 사이의 비선형적인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최근 신용분류모형으로 사용되는 통계적 기법이다. 만약 신용분류(신용우량/신용불량)를 하는데 있어 사용되는 연속형 설명변수의 수가 대단히 많은 경우 로지스틱판별모형이나 일반화가법모형은 실제 모형에 유의한 변수를 선택해야하는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이에 대한 한 가지 대안으로서 다수의 연속형 설명변수들을 공통요인분석자혼합모형에 의한 차원축소를 통해 새로운 소수의 특징변수들로 변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통요인분석자혼합모형에 의하여 변환된 소수의 요인점수들을 일반화가법모형의 새로운 연속형 설명변수로 사용하여 신용분류를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실제 자료인 호주 및 독일의 신용평점자료를 이용하여 로지스틱판별모형과 새로운 소수의 요인점수를 이용한 일반화가법모형과의 정분류율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공통요인분석자혼합모형의 요인점수를 새로운 요인점수로서 이용한 일반화가법모형의 분류 성능이 더 우수하였다. Numerous classification techniques, including both statistical methods and machine learning algorithms, have been adopted for credit scoring. Logistic discrimination is an useful statistical technique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financial service industry. Especially for the credit classification using credit scoring data, it is not only easy to be implemented, but also has good classification rate. Generalized additive model is useful for credit scoring since it has the same advantages of logistic discrimination as well as accounting ability for the nonlinear effects of the explanatory variables. It may, however, need too many additive terms in the model when the number of explanatory variables is very large and there may exist dependencies among the variables. Mixtures of factor analyzers can be used for dimension reduction of high-dimensional feature. This study proposes to use the low-dimensional factor scores of mixtures of factor analyzers as the new features in the generalized additive model. Its application is demonstrated in the classification of some real credit scoring data. The comparison of correct classification rates of competing techniques shows the superiority of the generalized additive model using factor scores.

      • 창업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김주철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창업자와 예비창업자가 파악하고 있는 창업 성공요인으로서 창업역량의 결정요인들을 규명하고, 각 결정요인이 창업역량에 대한 갖는 영향력을 창업자 및 예비창업자의 집단들에 따라 분석하여 창업역량 제고를 위한 전략과제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론검정, 가설설정, 표본설문조사, 1차 자료 기반 가설검정을 정량 및 정성분석으로 수행했다. 특히 창업의 핵심요소 및 유형 분석과 함께, 창업자의 자세, 창업수행프로세스, 창업성공요인과 실패위험의 이론적 검토와 우리나라 창업환경과 실태분석을 수행했다. 표본설문조사를 기초로 상관분석, 요인분석, 단계별 회귀분석 수행으로 사업지식능력의지, 경험적성준비태세, 판단력정직수용성, 외부수단활용능력이 창업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각 능력에 대한 중요도 평가의 집단별 비교를 수행하여, 자신 역량과 환경에 적합한 창업역량 구축을 위한 전략과제와 창업교육 프로그램 도입에 대한 지원방향 및 관련 정책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주요어 : 창업역량, 창업성공요인, 성장단계, 창업자 자세, 가치사슬, 창업환경, 정성분석, 인과관계, 정량분석, 요인분석, 단계별회귀분석

      • 요인분석과 구조적 모형을 이용한 헬기조종사의 상황인식과 교육만족도 분석

        김상철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attempted to focus on human accidents that occur frequently, accounting for about 80% of rotational wing aircraft (hereinafter referred to as helicopters). In particular, the pilot's "situation awareness and emergency situation overcoming ability" is a major factor directly related to aircraft accidents, and the scope of the accident can be minimized if the pilot has the right situation awareness and emergency situation overcoming abil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pilot's "determinant of situational awareness and emergency overcoming" to prepare for aircraft accidents as the aviation industry expands quantitatively, and the helicopter pilot's "educational satisfaction" with poor research at universities and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We attempted to approach the study from two aspect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First, related characteristics and factors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examination and empirical research on pilots to identify accident-weighted problems with pilots' situational recognition errors and emergency situational ability. For the study progress, among all the variables obtained in the survey, factor scores were obtained by reducing them by the method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ince the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has been analyzed by substituting "single function model"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research purposes, and "age", "working experience" and "family relationship" have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in demographic factors. In order to identify personal characteristics, an analysis of the impact on pilot's situation perception and emergency overcoming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all sub-regions of self-efficacy, life satisfaction, autonomy awareness, academic will, and school life relationship. In other words, the more stable the pilot's 'personal psychology', the more positive it has been prov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situational awareness and emergency situational capability. In particular, among the personal psychological variables, the influence of "self-competence" is relatively greatest, indicating that education or systems that can enhance self-competence are needed to strengthen and stabilize pilots' personal psychology.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approach to conducting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impact of pilot education satisfaction, which has shown poor research results in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during the pilot's curriculum. The reason why education satisfaction factors are identified during the pilot's curriculum is that the pilot aims to improve the pilot's flying ability by acquiring knowledge of aviation and maximizing flight training.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and training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existing research were analyzed through literature examination, and based on theoretical evidence, educational satisfaction surveys were conducted on pilot and existing pilots. Surveys are useful research methods for identifying the current state of the education system and for identifying educational needs. Through empirical analysis conducted on pilot trainees and experienced pilots, this study was able to produce the following results.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al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lot and the experienced pilot. In other words, "flight hours"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educational satisfaction under 2000 hours, "flight qualifications" under pilots, "work experience" under 10 years, and under 40s. This mean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or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re closely related. Therefore, the need for education to take into account the needs of educators, the working environment, and work experience is raised. Second, the analysis using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model" showed that variables related to "education and training characteristic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rticular, among the related variables, "the quality of the instructor"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relative influence, followed by "the method of education," "the method of teaching," "the method of teaching,"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is study, it is practical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cause of pilot's "situation recognition error" and the pilot's education satisfaction through empirical knowledge and empirical investigation to prevent airline accidents and improve pilots' flying ability to fly.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have attempted to identify the fundamental causes and education systems to identify pilots despite the lack of data due to the lack of research on "determinants of situation awareness and emergency situations." 본 연구는 회전익 항공기(이하 헬리콥터라고 칭함) 사고의 80% 정도를 차지할 만큼 빈번하게 발생하는 인적사고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시도하였다. 특히 조종사의 ‘상황인식과 비상상황 극복능력’은 항공기 사고와 직결되는 주요 요소로 문제가 발생 시 올바른 상황인식과 비상상황 극복능력을 갖추고 있다면 사고범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항공 산업의 양적 확대에 따라 증가하는 항공기 사고를 대비하기 위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는 조종사의 ‘상황인식과 비상상황 극복의 결정요인’ 과 함께 아직 연구 성과가 미진한 헬리콥터 조종사의 ‘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 가지 측면에서 연구로의 접근을 시도하였다. 첫째, 조종사의 상황인식오류와 비상상황극복 능력의 문제로 사고가 가중되는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문헌고찰과 조종사들을 대상으로 한 실증연구를 통해 관련 특성과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연구 진행을 위해 설문 조사에서 얻어진 모든 변수 중 ‘탐색적 요인 분석’의 방법으로 변수를 줄여 요인점수를 구했다. 이후 ‘단일함수모형’과 ‘구조적 모형(SEM : Structural Equation Model)’을 연구목적에 대입하여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요인에서는 ‘연령’, ‘근무 경력’, ‘가족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개인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개인심리를 변수로 하여 ‘조종사의 상황인식과 비상상황 극복의 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하위영역 중 ‘자기 유능성’, ‘삶의 만족도’, ‘자율성 인식’, ‘학업 의지’, ‘학교생활관계성’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종사의 ‘개인심리’가 안정적일수록 상황인식과 비상상황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특히 개인심리 변수 중 ‘자기 유능성’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조종사의 개인심리를 강화시키고 안정화를 위해서는 자기 유능성을 제고할 수 있는 교육이나 제도의 보완이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한편,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두 번째 접근방법은 조종사의 교육과정 중 타 교육기관에서 부진한 연구결과를 보이고 있는 조종사 교육만족도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조종사의 교육과정 중 교육만족도 요인을 밝히는 것은 조종 훈련생의 항공분야 지식 습득 및 비행훈련 극대화를 통해 조종사의 비행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연구의 교육훈련특성과 교육만족도에 관하여 문헌고찰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조종 훈련생과 기존 경력조종사들을 대상으로 교육만족도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는 교육제도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피교육자의 교육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연구방법이다. 본 연구는 조종 훈련생과 경력조종사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실증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조종 훈련생과 경력 조종사의 특징에 따라 교육만족도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즉, ‘비행시간’은 2,000시간이하에서, ‘비행자격’은 정조종사 이하, ‘근무경력’은 10년 이하 그리고 연령은 40대 이하에서 교육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피교육자의 특성과 교육환경이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피교육자의 요구와 근무환경 및 근무 경력 등을 고려한 교육진행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둘째, ‘위계적 다중회귀모형’을 이용한 분석결과에서 ‘교육훈련 특성’과 관련한 변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관련 변수 중 ‘교관 자질’이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 ‘교육방법’ > ‘교관교수법’ > ‘교육환경’ 등의 순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조종사의 비행능력향상을 위해 연구의 경험적 지식과 실증적 조사를 통해 조종사의 ‘상황인식오류’의 원인과 비상상황 극복에 필요한 대처방법 및 조종사의 교육만족도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실무적인 의의가 있다. 아직까지 국내·외 연구에서 조종사들을 대상으로 ‘상황인식과 비상상황 극복의 결정요인’과 ‘조종사의 교육만족도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기 때문에 자료의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파악하기 위해 근본적인 원인파악 및 교육제도 등을 전반적으로 시도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고차원 자료의 군집분석을 위한 절약 공통요인분석자 혼합모형

        정윤경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Gaussian mixture model, which is most popular among mixture models, is highly parameterized when the dimension of the observation is large. Some parameterizations of the component-covariance matrix based on the spectral decomposition were introduced to reduce the number of parameters in the model. However, if the number of variables is large relative to the sample size, it may not be possible to get reliable parameter estimates of the model. Mixture of factor analyzers is a good model to reduce the number of parameters by allowing factor-analytic representation of the component-covariance matrices. In practice, there is often the need to reduce further the number of parameters in the specification of the component-covariance matrices. To this end, the mixture of factor analyzers with common component factor loadings was proposed, and it considerably reduces the number of parameters. It can also project the high-dimensional data on the low-dimensional factor space to show cluster structure in a straightforward way in contrast to the mixture of factor analyzers. The mixture of factor analyzers with common component factor loadings can be extended further to include more parsimonious models by constraining on the factor covariance matrix and/or the error covariance matrix. We propose a class of parsimonious mixture of factor analyzers with common component factor loadings to include various simple structures on the factor covariance matrix and/or the error covariance matrix. The proposed class contains eight mixture models. Parameter estimates for each member of the class of models are derived using EM algorithm. The best member of the family is then chosen using Bayesian information criteria, and the estimated posterior probabilities of component membership of the data using the associated parameter estimates are used for clustering. We demonstrate that the clustering performance of our method applied to three sets of real data is better than or at least as good as the conventional mixture models. But, the parsimonious MCFA is sensitive to both non-normality and outliers as MCFA, which are commonly observed in microarray data. This sensitivity of the PMCFA results from its being based on a mixture model in which the multivariate normal family of distributions is assumed for the component-error and factor distributions. An extension to mixtures of t-factor analyzers with common component-factor loadings was proposed, whereby the multivariate t-family is adopted for the component-error and factor distributions. The method can handle data with tails longer than that of the normal distribution, is robust against outliers, and allows the data to be displayed in low-dimensional plots. It is applied to some microarray gene-expression data for clustering and shows its better performance over several existing methods. We describes the extension of the mixtures of t-factor analyzers with common component-factor loadings model to include constraints on the degrees of freedom, the component-covariance matrices, and the error variance matrices. The result is a family of sixteen mixture models, including parsimonious models. Parameter estimates for this family of models are derived using an alternating expectation-conditional maximization algorithm. Model selection is carried out using the Bayesian information criterion (BIC), the integrated completed likelihood (ICL) and Approximate Weight of Evidence (AWE). This novel family of mixture models is then applied to simulated and real data where clustering performance meets or exceeds that of established model-based clustering methods. Many statisticians have been using object-oriented languages such as S-PLUS, R, and MATLAB to make programs for new data analysis methods. S-PLUS and R are slower in computation as well as in processing large data sets than MATLAB. Recently MATLAB is often used for developing statistical analysis programs owing to its fast computing ability and abundant mathematical algorithm modules. Sometimes it is hard for non-statistician to understand MATLAB programs which are developed by statisticians. Therefore Graphical User Interface(GUI) is needed to facilitate the usage of MATLAB codes. Here, we introduce how to develop a GUI for MATLAB codes which is executable on Windows. And then PMCFA and PMCtFA are implemented to a GUI-based standalone application using MATLAB. 혼합 모형 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가우스 혼합 모형은 관측값이 고차원인 경우 추정해야 할 모수가 매우 많다. 모수의 수를 줄이기 위해 고유값-고유벡터 분해를 통한 성분-공분산 행렬의 몇 가지 모수 절약화 방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변수의 수가 표본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면, 모형의 신뢰성 높은 모수 추정치를 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Mixture of factor analyzers(MFA)는 성분-공분산 행렬에 대하여 요인분석적인 표현을 가정하여 모수의 수를 줄인 모형이다. 실제로, 성분-공분산 행렬에서 모수의 수를 더 줄여야 할 필요가 종종 있다. 이 때문에 공통요인분석자 혼합모형(MCFA: mixtures of common factor analyzers)이 제안되었고, 모수의 수를 상당히 감소시켰다. MCFA는 또한 MFA와 달리 고차원 자료를 간단한 방법으로 저차원 요인 공간에 사영하여 군집 구조를 보여줄 수도 있다. MCFA는 요인 공분산 행렬 및/또는 오차항 공분산 행렬에 제약 조건을 줌으로써 보다 (모수) 절약적인 모형들을 포함하도록 확장할 수 있다. 요인 공분산 행렬 및/또는 오차항 공분산 행렬을 다양하면서도 간단한 구조를 갖도록 하는 절약 공통요인분석자 혼합모형(PMCFA: parsimonious MCFA)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모형 집합은 여덟 가지의 혼합 모형으로 구성된다. 모형 집합의 각 하부-모형에 대한 모수 추정은 EM(expectation- maximization) 알고리즘을 통해 이루어진다. 모형 집합 중에 최고의 성능을 가진 하부-모형을 선택하는 기준으로 BIC(Bayesian information criterion)와 ICL(integrated completed likelihood) 그리고 AWE(Approximate Weight of Evidence)를 이용하며, 해당 모수 추정치를 통해 자료의 성분 소속에 대하여 추정한 사후 확률을 사용하여 군집화한다. 네 가지의 실제 자료에 적용해 본 결과, 제안 기법의 군집 성능은 기존의 혼합 모형보다 더 좋거나 최소한 비슷하다는 것을 보였다. 그러나 PMCFA는 MCFA처럼 비정규성과 이상점에 민감하다. 이 두 가지 특징은 마이크로어레이 자료에서 공통적으로 관찰된다. 이러한 PMCFA의 민감성은 요인과 오차항에 대하여 다변량 정규 분포를 가정하는 혼합 모형에 기반함으로써 기인한다. 극단적인 자료에 민감하다는 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공통t-요인분석자 혼합모형(MCtFA: mixtures of common t-factor analyzers)이 제안되었는데 이는 오차항과 요인에 대하여 다변량 t 분포를 가정한다. 정규 분포보다 더 긴 꼬리를 가지는 자료를 분석할 수 있는 이 기법은 이상점에 대해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며 자료를 저차원 공간에 나타낼 수 있다. 이 또한 마이크로어레이 유전자 발현 자료를 군집화하여 기존의 몇몇 방법에 비해 우월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성분-공분산 행렬과 오차항 분산 행렬 그리고 자유도에 대하여 다양한 제약 조건을 주어 MCtFA를 확장하였다. 그 결과, 열 여섯 가지의 하부-모형을 갖는 절약 공통t-요인분석자 혼합모형(PMCtFA: parsimonious MCtFA)을 개발하였다. 각 하부-모형에 대한 모수 추정치는 AECM(alternating expectation- conditional maximizatio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모형 선택은 BIC와 ICL 그리고 AWE를 통해 이루어진다. 새로이 제안하는 혼합 모형들을 실제 자료에 적용해 본 결과 기존의 모형-기반 군집 기법과 비슷하거나 더 나은 성능을 나타냈다. 많은 통계학자들이 S-PLUS나 R 또는 MATLAB과 같은 객체-지향 언어를 사용하여 새로운 자료 분석 기법에 대한 프로그램을 제작한다. S-PLUS와 R은 큰 규모의 자료를 처리하고 계산하는 데 있어서 MATLAB에 비해 다소 느린 편이다. 최근 들어 MATLAB은 빠른 계산 속도와 풍부한 수학적 알고리즘 모듈 덕분에 통계적 분석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자주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통계 전문가가 만들어 놓은 MATLAB 프로그램을 통계 비전공자들이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 그리하여 MATLAB 코드를 보다 쉽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Windows 상에서 실행할 수 있는 MATLAB 코드에 대한 GUI-기반 독립형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그런 후에 MATLAB을 이용하여 작성한 PMCFA와 PMCtFA 프로그램 코드를 GUI-기반으로 제작한 독립형 응용프로그램을 소개한다.

      • 소규모 프로젝트 사업초기단계 핵심성공요인 체크리스트 개발

        김영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A successful execution of construction projects requires an analysis of uncertainty and suitable measures to the corresponding analysis results. As with the increase in the specialization and complexity of construction projects, it is becoming more important to determine and manage the risks in the front-end planning stage, which can also be verified in the degree of cost impact. Meanwhile, projects can be divided into the large, middle and small sizes, and depending on the size, these projects exhibit different characteristics. Particularly, small projects have a shorter construction period than large projects, and thus, they lack in the time for preparation and construction planning. In South Korea, there is insufficient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small projects and their management. Small projects mean the construction cost and period are smaller than larger projects, but this does not mean that they are of lesser importance or the project management would be easier. Therefore, for the successful completion of small project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ritical success factors that need to be considered in the front-end planning stage of small projects and develop a check list based on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so as to contribute to the success of small project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hecklist of critical success factors that will contribute to the execution of successful small projects, the study conducted the following analysis. First,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the study defined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small projects in South Korea and determined limitations of existing studies by examining them. Second, it analyzed the construction projects ordered for the last ten years from 2008 to 2017 at Nara Jangteo(Korea ON-Line E-Procurement System), which showed that over the half of the total projects were small projects, which signified that specialized management techniques that would consider characteristics specific to small projects would be required. Third, to derive success factors for construction projects, the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view and surveyed previous research to derive 72 success factors suitable for construction projects. Among these factors, the study identified 36 success factors suitable for small projects. Fourth, as the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of the derived 36 small project success factors, four clusters were formed. However, within the same clusters, there were areas that had two different characteristics. Thus, the study separated clusters with two different characteristics for the smooth AHP analysis. Fifth,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above processes, the study developed a check list and conducted a case study with specialists who conducted projects, which helped verify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relation between non-identified items on the check list and the problems that actually occurred. By using the proposed checklist of critical success factors of small projects, one can determine the relative importance of critical success factors by the category of small projects as well as key management factors that would lead to the success of small projects. Meanwhile, the study is limited in that the small number of specialists surveyed in the process of the AHP analysis would make it difficult to generalize the weighting values. Therefore, it is determined that further in-depth research is required on granting weighting values by conducting additional survey with specialists. 건설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불확실성에 대한 분석과 그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져야 한다. 건설 프로젝트가 전문화, 복잡화되어감에 따라 초기단계 리스크를 파악하고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는 비용영향도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성공적인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서는 사업의 기획·계획 단계부터의 체계적인 평가와 관리가 중요하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프로젝트는 대규모, 중규모, 소규모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들은 규모에 따라 각기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소규모 프로젝트의 경우 대규모 프로젝트에 비해 공사기간이 짧고, 작업준비 기간과 공사계획 수립에 있어 시간이 부족하여, 문제 발생시 대응이 미흡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국내의 경우, 소규모 프로젝트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매우 부족하고, 소규모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현실이다. 소규모 프로젝트는 공사비나 공사기간이 상대적으로 작다는 의미이며, 규모가 작다고 하여 중요도나 프로젝트 관리가 용이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소규모 프로젝트 수행을 위하여, 소규모 프로젝트 초기단계에 고려해야 하는 핵심성공요인을 도출하고, 도출된 핵심성공요인을 중심으로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여, 성공적인 소규모 프로젝트 수행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소규모 프로젝트 수행에 이바지하기 위한 핵심성공요인 체크리스트 개발을 위해 다음과 같은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국내 소규모 프로젝트에 대한 정의 및 특징을 고찰하고,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기존 연구들의 한계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나라장터의 최근 10년간 발주한 건설프로젝트 발주현황을 분석한 결과, 국내 건설공사 발주 중 소규모 프로젝트의 발주비율은 절반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소규모 프로젝트만의 특징을 고려한 관리기법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건설 프로젝트 성공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참고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72개의 건설 프로젝트에 적합한 성공요인을 도출하였다. 이 중, 전문가 면담을 통하여, 소규모 프로젝트에 적합한 성공요인은 36개로 정리하였다. 넷째, 앞서 도출한 36개의 소규모 프로젝트 성공요인을 토대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군집이 형성되었다. 하지만, 같은 군집 안에서도 2가지의 성격을 띠고 있는 부분이 존재하여, 원활한 AHP분석 수행을 위해서 2가지 성격을 가지고 있는 군집은 분리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다섯째, 지금까지의 결과를 바탕으로 체크리스트를 개발하고, 실제 프로젝트를 수행한 전문가와의 면담을 통해 사례적용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체크리스트에서 낮은 점수를 받은 항목과 실제로 발생한 문제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검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소규모 프로젝트 핵심성공요인 체크리스트를 이용하면, 소규모 프로젝트 카테고리 별 핵심성공요인의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할 수 있고, 소규모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중점관리 요인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AHP분석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설문대상 전문가의 수가 적어, 가중치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추후에 추가적인 전문가 설문을 진행하여 가중치 부여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레저제약과 레저스킬의 모형화에 관한 연구 : 아웃도어 캠핑을 중심으로

        김난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여가 시간의 확대와 소득의 증대, 다양한 레저용품 출시와 레저 장비의 발전, 지역사회에 여가시설의 증대 등으로 최근 레저활동의 다양화와 고급화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아웃도어 레저활동과 관련한 시설ㆍ공간ㆍ장비 등 하드웨어의 발달과 함께 소규모 동호회 증가 및 강습 프로그램 개설 등 소프트웨어의 증대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레저활동과 관련된 연구들은 레저 활동 참여동기와 가치, 만족도, 참여제약요인 등 주로 심리적 상태를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며, 레저활동에서의 기술ㆍ환경이해ㆍ장비ㆍ경험과 같은 레저스킬에 관한 연구는 매우 희박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첫째로 레저제약요인이 레저스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로 레저스킬 수준에 따라 레저제약요인별로 영향력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레저스킬과 레저활동의 빈도ㆍ만족도ㆍ지속성ㆍ지출비용의 상관관계 규명을 통하여 레저활동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선행연구와 관련 분야의 문헌조사, 전문가 면담, 현지 설문조사 및 자료의 통계적 처리를 통한 실증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였다. 실증연구의 조사대상은 2011년 화천 쪽배축제 캠핑마당 프로그램 참가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249명의 자료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또한 사전조사를 통해 신뢰도와 타당성이 검증된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판별분석, 회귀분석 등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적용한 레저스킬의 기술성, 이해성, 경험성에 관련된 변수들은 신뢰성과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레저제약은 레저스킬에 대해 부(-)의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김기철(2008)의 레저제약과 레저스킬의 관계성 결과와 일치한다. 셋째, 레저스킬 수준에 따라 레저제약요인들의 영향력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이 검증되어, 판별분석결과 레저스킬 수준이 높을수록 제약의 영향력은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레저스킬에 있어서는 구조적 제약의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난 반면, 인간상호적 제약은 그 영향력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그동안 심리적ㆍ개인적 측면이 강조되었던 레저제약에 신체적ㆍ객관적 측정이 가능한 레저스킬 개념을 도입하여 레저제약이론과 모형이 한층 보강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넷째, 레저스킬은 레저활동의 빈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레저스킬수준이 높을수록 레저활동에 참여하는 빈도가 증가한다. 다섯째, 레저스킬은 레저활동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레저활동의 만족도가 높은 케이스는 레저스킬수준이 대부분 높은 경향을 보였다. 여섯째, 레저스킬은 레저활동의 지속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레저스킬 수준이 높을수록 레저활동을 지속하는 기간도 길어지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일곱째, 레저스킬은 레저활동 관련 지출비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레저스킬수준이 높을수록 레저활동과 관련된 지출비용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즉, 레저스킬은 레저활동의 다양한 특성 즉, 빈도ㆍ만족도ㆍ지속성ㆍ지출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레저스킬수준에 따라서 레저활동의 질이 높아질 수도 낮아질 수도 있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시사점을 토대로 앞으로 전 국민의 레저활동의 활발한 참여 유도방안과 레크리에이션 활성화 전략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 국민의 레저활동의 활발한 참여 유도를 위해서는 레저제약요인을 최소화해야하며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에 따르면 레저스킬 수준을 높이는 것이 그 방안이 될 수 있다. 레저스킬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장비 및 시설 확충을 통한 기술성 보강, 다양한 레저 프로그램을 통한 이해성 강화, 레저 참여 기회확대를 통한 경험성 증대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 특히, 200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인터넷과 모바일 등의 급속적인 성장은 일반인들이 레저 관련 정보를 쉽고 빠르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인프라 조성에 걸맞은 다양하고 재미있는 프로그램과 콘텐츠의 조성이 레저스킬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이라 판단된다. 둘째, 레저스킬 수준이 높을수록 레저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특성들이 정(+)의 관계성을 보임에 따라 레저스킬 수준 향상에 대한 구체적인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가족단위 중심의 자연친화적인 레저생활이 일반적인 레저활동의 특징으로 부각되어 왔으나 점차적으로 조금 더 모험이나 체험ㆍ교육 등의 에듀테인먼트적 요소를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다양한 레저생활이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양한 레저활동을 추구하는 국민들의 전체적인 레저스킬 수준 향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세분화ㆍ타겟팅ㆍ포지셔닝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각각 추구하는 레저스타일이 다른 집단별로 그 요구에 부합하는 알맞은 교육 및 프로그램 등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며, 직접 레저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서 시설과 공간 마련 및 접근성, 시간적ㆍ경제적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적 제약요인에 대한 완화도 함께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레저활동에 대한 다양한 요구와 전망을 예측하고 그에 알맞은 전략이 시행된다면, 전 국민의 활발한 레저활동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방안과 전략의 시행을 통해서 국민생활의 만족도 제고 및 삶의 질 향상뿐만 아니라 국가경제의 활성화, 국가이미지 향상 등 국가적인 파급효과도 꾀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traints, leisure skills and quality of leisure activities likes frequency, satisfaction, durability, expense in outdoor camping.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both an investigation of the literature concerned about leisure constraints and leisure skills and the empirical study were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e literature survey, a model of leisure sports constraints was induced and according to this model, a hypothesis to be examined with empirical analysis was established. In order to evaluate the suggested hypothesis, this investigation uses SPSS 12.0 as a tool of analysis. This tool enabled us to analyse and examine the credibility of exploratory factors, confirmatory factors, correlations and covariance structure. This study focused only on leisure including Korean campers. A total of 300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249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249 usabl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by a 5-point Liker Scale. This study uses th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discriminant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for verifing the hypothesis. The outcome of this study will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traints, leisure skills and quality of leisure activities likes frequency, satisfaction, durability, expense. At first, the variables relates of technique, understanding of leisure condition and experience hav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Second, leisure constraints and leisure skills have the relationship, but the relationship of two factors need to verify what kind of direction at future study. Also, leisure skills level affects the influence of leisure constraint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leisure skills the weaker the infuence of leisure constraints. Lastly, the leisure skills have the normal direction flow relationship with the quality of leisure activities likes frequency, satisfaction, durability, expense in outdoor camping. Therefore, the level of leisure skills affects the quality of leisure activities. This not only can meet the camper cultural needs but can improve their life quality and local autonomous entity can also accomplish the original purpose of opening the leis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