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동화요구분석시스템의 설계에 관한 연구 : 요구 명세서 오류 검증을 중심으로

        박찬란 朝鮮大學校 大學院 198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quality of softwares depends upon the validity how exactly they perform in accordance to their purpose and how maintainable they are. If there is an error in requirement specification describing user requirement or if it is not correct, the result that the software developed by this requirement specification produce is different from user requirement, and it is not to be trusted. Therefore, the analysis stage for producing a correct requirement specification is of more importance in the software life cycle. Many kinds of requirement analysis tools have been developed in order to improve the above defects and Structured Analysis Methodology is typical of them. The Structured Analysis Methodology is useful for users to understand easily because it describes the items of user requirement as a graphic model and a way of partition, but it has such defects that it lacks in the ability of system modeling of the user's requirement contents which are fragmentary and descriptive as a formalized form and it is impossible for it to verify errors automatically In this thesis, I have studied of the Requirement Analysis System, and have designed the system to verify automatically errors of requirement specifi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se defects.

      • 요구분석을 통한 필리핀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 필리핀 대학교, 아테네오 대학교, 필리핀 국제대학교를 중심으로

        김수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필리핀 내 대학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교육과정을 파악하고 필리핀 학습자들에게 유용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에 필리핀 학습자에게 유용한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학습자의 요구조사와 한국어교사, 각 기관의 학부 운영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분석한다. 요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목적과 목표를 수립하고 교육과정을 모색하여 필리핀 학습자에게 적합한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한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선행연구와 연구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선행연구를 통해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들과 그에 따른 필리핀 학습자에 대한 한국어 교육 관련 연구 경향과 내용을 살펴본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개념-기능 교수요목과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의 세부 내용에 대해 논한다. 3장에서는 필리핀의 한국어 교육현황과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필리핀 대학교, 아테네오 대학교, 필리핀 국제대학교의 한국어 교육과정 및 세부 내용을 살펴본다. 4장에서는 필리핀 대학교, 아테네오 대학교, 필리핀 국제대학교의 학습자의 요구조사 결과를 분석한다. 요구조사는 설문지로 실시되며 설문지 전반부 항목은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학습자들의 학습동기 파악과 현 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학습자의 주관적 평가로 이루어져 있으며, 후반부는‘한국어로 무엇을 하고 싶은지’에 대한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의‘기능/등급화’의 90개의 항목을 유사 기능관계, 상위-하위 기능관계로 정리한 58개의 기능항목과 10개의 한국문화 항목에 대한 학습 선호도를 조사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국어 교사 및 학부 운영자를 통해 필리핀 학습자들의 학습 전반에 대한 반응과 앞으로의 한국어 교육 방향에 대한 질문지와 인터뷰를 통해 의견을 수렴한다. 5장에서는 4장의 요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단계별 목적과 목표를 설정 하고 교육내용을 선정하여 필리핀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을 제시한다. 6장에서는 요구분석을 통한 필리핀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연구의 의의를 밝히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마무리한다. This study is about Korean curriculum development for Filipino learners through needs analysis.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opinions of the faculty at each institution regarding Korean courses available to Filipino learners, the needs of the learners, and what teachers need to develop. This was the targeted demand research and analysis that was conducted: establishing specific goals and exploring objective based curriculum for Filipino leaners. In chapter one, the purpose and needs in the study are presented. Also previous literatures on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study trends about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Korean learners in the Philippines are presented. In chapter two, a notional-functional syllabus and an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for Korean language curriculum development is discussed. In chapter three, the Philippines's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ditions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being conducted at the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Diliman, Ateneo de Manila University, Philippine International College is examined. In chapter four, needs assessment is conducted by questionnaire. The first half of the survey identified a learner’s motivation for the Korean curriculum development. It consists of a subjective assessment of students for the current Korean educational process. The second half,“What would you like to do with Korean?” Korean education standard model features / items of 90 graded similar function relationships, upper and lower feature relationships a reorganized in to learning preferences consists of a survey of 58 and 10 items extracted Korea culture items. In chapter five, using the results of the needs analysis in chapter four, educational goals and purpose are established, training contents are selected, and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Philippine learners is developed. In chapter six, the significance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development study for Philippine learners is wrapped-up and the study is concluded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 대학생의 토익 요구 분석을 통한 교과 과정 설계 방안에 관한 연구 제목

        황선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TOEIC scores have become a necessary requirement for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to graduation requirements and employment standard scores, it is also used as a means to enter the public sector. To assist students in post graduate job acquisition through high-stakes testing, universities offer TOEIC classes as a non-credit course. The importance of high-stakes TOEIC testing in this job market is also being extended in the medical field. As one of many objectives for identifying and screening potential candidates in the medical field such as standardized nursing education courses, clinical training and national nursing exams, the importance of high-stakes TOEIC scores have been on the rise. This study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TOEIC in the nursing job market and is based on the need for active implementation of the university's role in supporting students ' employment, and is subject to the development of the regular curriculum and non-credit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e TOEIC requirements of medical students, universities and nursing colleges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methods such as interview, questionnaire and data investigation techniqu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81 respondents participated in the recognition of high-stakes TOEIC testing. In addition to for credit TOEIC classes during the regular semester, a non-credit programs designed to focus on TOEIC during the vacation period can be useful. Second, a total of 258 data were used in the analysis of the university students ' demand for TOEIC classes. In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TOEIC classes, we believe that we need professionals help to achieve our target TOEIC scores, and that we can check the recognition factors of our school programs in the survey. The needs of learners were analyzed through pilot testing and surveys, and the design of TOEIC classes were presented accordingly. Third,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medical fields seem to favor the use of TOEIC scores when they are screening candidates. Through this research, meaningful teaching techniques along with the focus to raise TOEIC testing scores should be considered and implemented.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how to teach TOEIC effectively to help students, and how to improve TOEIC classes in a more efficient and interesting way.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perceptions of nursing students about whether TOEIC is necessary for employment and also the needs of universities and the medical community. While the results of students in a university may seem to conducted on a smaller scale, further studies may indicate and yield key details especially when subject to broader analysis. 토익 점수는 대학생들에게 필요한 조건이 되어지고 있다. 졸업요건이나 취업 시 기준점수로 더 나아가 공공기관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대학에서는 취업 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비교과과정으로 토익 수업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취업 시장에서의 토익의 중요성은 의료 시장에서도 확대 적용되고 있다. 표준화된 간호 교육 과정, 병원 실습 및 국가고시 통과 등의 유사한 자격 인증 과정을 거친 간호 대학생들의 취업 능력을 분별하기 위한 객관적 기준으로서, 토익의 중요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간호 취업 시장에서의 토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재학생 취업 지원을 위한 대학의 적극적 역할 수행이 필요함을 대전제로 하여, 간호대학 정규 교과 과정 및 비교과 과정의 효율적 연계를 통해 교내 토익 커리큘럼 수립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의료계, 대학 및 간호대학 재학생의 토익 요구를 면담, 설문지, 자료 조사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 번째, 토익에 관한 인식에 대해서는 총 81명의 응답자가 참여하였는데, 기본적으로 간호대학 재학생 대부분은 토익을 사회적으로 필요한 도구로써 인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좋은 성적을 위해서는 토익만 준비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정규 교과 과정에서 진행되는 토익 수업과 더불어 교내에서 방학 기간을 활용하여 토익 집중 프로그램을 설계하면 유용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두 번째, 토익 수업에 대한 대학생의 요구분석에서는 총 258개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토익 수업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설문조사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학생들이‘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목표 토익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고 생각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교내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요인 설문조사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교내 영어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는 이미 입증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예비조사 및 설문조사를 통해 학습자의 요구를 분석하였고, 이에 맞는 토익 수업 방안 설계를 제시하였다. 세 번째, 의료계에서도 취업 시 토익점수에 가산점을 부여하고 있다는 것을 자료조사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하면서 어떻게 해야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효과적인 토익 수업을 제공할 수 있을지, 나아가 토익 수업이 보다 흥미롭고 효율적인 방향으로 어떻게 개선되어야 할지에 관해서 고민해봐야 할 문제라고 생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과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토익이 취업 시 필요한지에 관한 인식을 파악하고, 또한 대학 및 의료계의 토익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였다. 하나의 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결과가 보편성의 문제에서는 자료의 취약함으로 보이겠으나, 향후 연구에서는 여러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좀 더 방대한 자료 조사 분석을 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결과가 앞으로의 토익 수업에 필요한 교수요목 설계에 반영될 수 있는 연구 지표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 T생명보험의 하이브리드 영업사원 역량 요구분석

        왕상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하이브리드 영업사원의 성과향상을 위해 필요한 역량을 현재 보유수준과 중요도간의 차이를 규명하여 도출하고 도출된 역량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 결정을 통해 하이브리드 영업사원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그 우선순위를 파악함으로써 이에 기반 한 하이브리드 영업사원의 교육을 통한 조직의 경쟁력과 성장에 기여하는데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하이브리드 영업사원의 역량개발을 위한 요구는 무엇인가? <연구문제 2> 하이브리드 영업사원에게 요구되는 역량의 우선순위는 어떠한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T생명보험의 하이브리드 영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전국의 하이브리드 영업사원 약 400여명 가운데 23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 총 215부를 회수하여 이 중에 분석에 이용할 수 없거나 설문지에 불성실하게 응답했다고 판단되는 설문지 8부를 제외하고 총 207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설문지 구성은 Spencer & Spencer(1993)의 영업사원 역량모델을 기본으로 여기에 보험사 선행논문을 종합하여 하이브리드 영업사원의 역량모델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19개의 역량은 일차적으로 내용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해 Likert 7점 척도를 활용하여 설문을 진행하였고, 이후 설문 문항별 내용타당도를 확인하는 내용타당도(CVR)값을 구하여 문항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수거한 자료는 Windows용 SPSS 18.0을 사용하여 영업사원의 역량의 중요도 및 현재수준과의 차이를 위해 t 검정을 실시하였고, 현재 보유한 역량의 수준과 요구되는 바람직한 수준과의 차이에 대한 우선순위 결정을 위해, Borich 요구도 공식을 통해 요구도 값을 산출하였고, 다음으로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Borich요구도의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Borich요구도 결과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간의 결과 중복성을 확인하여 요구역량의 최우선 순위군과 차순위군을 결정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이브리드 영업사원의 역량의 중요도와 현재수준과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19개의 항목이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그중에서도 t값이 가장 높게 나타난 역량은 성취/행동 역량군의 ‘성취 지향성’으로 나타났고 가장 낮은 t값이 나타난 것은 인지 역량군의 ‘분석적 사고’로 나타났다. 둘째, 하이브리드 영업사원의 역량 요구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Borich요구도 공식을 활용한 결과, 성취/행동 역량군의 ‘성취 지향성’과 ‘주도성’ 그리고 영향력 역량군의 ‘키맨 및 협력자 관리’와 ‘인맥관리’ 그리고 인지 역량군의 ‘자기개발’ 개인효과성 역량군의 ‘자기조절’ 항목 순으로 19가지 역량 항목의 우선순위가 결정되었다. 셋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에서 제시된 좌표평면의 결과에서, 1사분면에 속하는 항목의 개수는 6개로서, 성취/행동 역량군의 ‘성취 지향성’, 영향력 영향군의 ‘키맨 및 협력자 관리’와 ‘인맥관리’ 그리고 인지 역량군의 ‘자기개발’, 개인효과성 역량군의 ‘자기조절’과 ‘이미지 관리’ 항목이 포함되었다. 넷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에서 1사분면에 속하는 항목의 개수가 6개임에 따라 Borich 요구도 상위순위에 포함된 항목 또한 6개로 결정하여, 두 방법을 통해 상위우선순위도 제안된 항목들의 중복성을 확인하였다. 총 7개의 항목이 제안되었는데, 최우선순위 역량은 총 5개로서, 성취/행동 역량군의 ‘성취 지향성’, 영향력 영향군의 ‘키맨 및 협력자 관리’와 ‘인맥관리’ 그리고 인지 역량군의 ‘자기개발’, 개인효과성 역량군의 ‘자기조절’로 나타났다. 차 순위 역량에는 두 우선순위 결정 방법 가운데 하나에만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난 항목들을 제시할 수 있는데, 먼저 Borich 요구도 값에 의한 성취/행동 역량군의 ‘주도성’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에 의한 개인효과성 역량군의 ‘이미지 관리’, 두 가지로 나타났다.

      • Requirements analysis for BIM : competency of BIM professionals, RFP-based design compliance checking, and information required for FM

        Uhm, Mi-young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은 정보 전달 및 의사 소통의 어려움 등 건설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대안으로 등장하였다. BIM은 벡터 기반의 정보를 3차원의 형태로 표현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며, 이러한 새로운 접근 방식은 건설 산업에 많은 혜택을 제공함과 동시에 새로운 요구들을 만들어 내고 있다. BIM의 사용이 전세계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이러한 BIM 도입으로 인해 발생한 새로운 요구들은 점차 BIM 사용을 가로막는 장애물로 인식되고 있다. BIM 사용을 가로막는 여러 요인들이 있지만, 본 연구는 BIM 프로젝트 참여자들로부터 가장 빈번하고 심각하게 인식되고 있는 요소인 BIM 전문가의 부족 및 교육 프로그램의 부족, 빈번한 설계 변경에 대응하기 위한 설계 자동화 검토 도구의 부족, 그리고 건설 단계로부터 시설물 유지 관리 단계로 정보를 넘겨주기 위한 요구 명세서 내용의 불명확함을 대상으로 하였다. 3가지 연구 주제 간의 상호 연관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기는 어렵지만, 건설 산업이 사람에 의해 개발된 기술을, 사람에 의해, 사회적 체계 안에서 적용되는 산업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이들 3가지 연구 주제간의 상관성을 추측 하는 일은 어렵지 않다. BIM 역시 건설 산업의 한 분야로, BIM의 요구 분석에 사회과학적 접근 방법과 연구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다양한 관점에서의 문제를 진단하고 요구를 정의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복잡한 요구 내용들을 수집, 추출, 분석을 위한 연구 방법론의 한계는 연구자들로 하여금 다양한 자료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할 수 있는 “mixed research methods”와 “mixed sources of data”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Mixed methods”는 연구자가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기술, 연구 방법, 연구 접근 방법 및 연구에 사용되는 주요 언어를 특정 연구에 적용하는 것을 말하며, mixed research methods의 기본 개념은 본 연구에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동시에 사용함으로 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요구를 폭넓게 이해하는 연구의 기본 개념이 되었다. 본 연구는 요구 공학의 요구 분석의 절차에 따라 mixed methods를 적용하였다. 공학이라는 단어가 의미하듯 요구 공학은 사용자의 요구, 기술적 요구, 산업적 요구를 고려하여 요구 사항을 도출하고, 구체화하고, 분석하고, 검증하는 체계를 제공한다. 요구 공학은 소프트웨어 공학의 한 영역으로 소프트웨어에 집중된 시스템의 요구를 분석을 목적으로 하는 4가지 단계로 요구 추출, 요구 분석, 요구 명세화, 그리고 요구 검증을 소개한다. 요구 공학의 프로세스는 기술적이고 사회적인 요구를 분석하는데 사용되었을 뿐 아니라 요구 분석의 결과의 논리적 일관성을 유지하는데 활용되었다. 요구 공학의 기본 절차와 mixed methods research의 개념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BIM산업에서 새롭게 정의되어야 할 요구를 다음과 같이 구체화하였다. - BIM 산업에서 요구하는 BIM 전문가의 역량은 무엇인가 - BIM 환경에서 설계 검토를 자동화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 시설물 유지 관리 단계에서 BIM이 활용되기 위해서는 건설 단계에서 시설물 유지 관리 단계로 넘겨주어야 하는 정보는 무엇인가 첫째, BIM 프로젝트 수행 인력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BIM 직업의 명칭, 자격은 BIM 전문가를 채용하고, 교육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이러한 이슈들을 해결하기 위해, 미국, 영국, 중국에서 영어로 작성된 242개의 온라인 구인 광고를 수집하였다. 온라인 구인 광고를 분석하여, 35개의 직업 명과 역량을 설명할 수 있는 5,998개의 용어를 도출하였다. 35개의 직업 명은 Social network analysis의 role and position analysis를 사용하여 직업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 8개의 그룹으로 묶었다. O*NET 역량 분석 모델을 기반으로 5,998개의 용어는 43개 그룹으로 분류하였고, 다시 직업의 적용 범위에 따라 필수 역량, 공통 역량, 특정 직업에 요구되는 역량으로 분류하였다. 필수 역량은 모든 BIM 직업에 요구되는 역량으로“말하기,” “공학 및 기술 기반 지식,” “공학 관련 교육,” “BIM 프로젝트 관련 경험,” “컴퓨터 활용 능력,” “인력 관리 업무”가 해당되며, 공통 역량은 다수의 BIM 직업에 요구되는 역량 (8개의 그룹 중 5개 그룹 이상 적용)이며, “협력,” “디자인 관련 지식,” “대학 교육 이상 학위,” “기준 검토 및 정보 검토 업무,” “창조적 업무,” “도면 작성 업무,” “협업,” “협력 업체 관리,” “교육 지원 업무,” “조직 성과 관리”에 이에 해당된다. 특정 직업에 요구되는 역량은 유사한 직업을 구분할 수 있는 역량으로, 예를 들면, BIM 매니저는 다른 사람을 교육하거나 업무 순서를 결정하는 일은 수행하지만, BIM 코디네이터는 그렇지 않다. BIM 역량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본 연구는 현재 BIM 산업에 현존하는 직업 명을 소개하였고, 그들간의 관계와 분류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BIM 산업에서 활용이 가능하도록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역량 분류 모델에 기반하여 BIM 직업에 따른 요구 역량 및 역량 분류 방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BIM 환경에서 입찰 제안서에 기반한 설계 검토는 한계를 가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거시설, 업무시설, 전시시설, 의료시설, 체육시설, 법원 프로젝트의 27개의 입찰 제안서를 분석하였다. 각 입찰 제안서는 1,800개 단어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중 컴퓨터에서 인식 가능한 문장 366개를 도출하였다. Context free grammar (CFG)를 적용하여 자연어를 명사, 동사, 조동사 및 기타의 4가지 구문으로 분류하였고, 명사는 다시 공간, 건물 구성 요소, 장비로 세부적으로 분류하고, 조동사는 다시 must, should, might, could로 세부 적으로 분류하고, 동사는 29개로 세부적으로 분류하였다. 대다수(90%)의 명사는 공간 정보였고, 29개 동사 중 6개의 동사(getNumberofArea, getNumberofSpace, isComposedOf, hasEquipment, isAccessible, getNumberofEquipment)가 전체의 95%를 차지하였다. 90%이상의 조동사는 ‘should’이며, 예외 조항이 없는‘must’보다는 다소 약한 강제력을 가진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설계 요구에는 일련의 규칙이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으며, 어떻게 설계 요구의 규칙을 컴퓨터가 인식 가능하게 번역할 수 있는가를 보여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용자와 컴퓨터를 모두 고려한 설계 요구 사항의 제작의 가능성을 암시하고 있다. BERA(Building Environment Rule and Analysis)나 Solibri Model Checker와 같은 기존의 규칙 검토 도구들과는 달리 본 연구는 BIM 사용자가 어떠한 프로그래밍 지식이 없다고 하더라도 규칙을 쉽게 사용하고 변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시설물 유지 관리 단계에 BIM 데이터를 재 사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은 끊이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찰 조사, 인터뷰, 문헌 자료로 구성된 triangulation method를 사용하여 대학 시설에서 시설물 유지 관리 단계에 요구되는 정보를 분석하였다. 정보 수집 이후 별도의 5개 대학의 사례를 분석하여 총 429개의 데이터가 대학 시설물 유지 관리 단계에서 사용되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미국 COBie 데이터 호환 포맷을 사용하여 사용자 정보, 객체 정보, 그리고 부가 정보 그룹으로 재 분류 하였다. 429개의 데이터 중 절반의 정보 (55.9%)가 객체 정보이며, 나머지 정보 중 약 33.8%가 부가 정보, 그리고 10.2%는 사용자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Semantic set operator에 기반하여 대학에서 요구하는 정보와 COBie에서 정의하는 정보를 비교한 결과 시설물 유지 관리 단계에서 요구되는 정보의 약 절반(53.9%)이 COBie 데이터 포맷으로 지원이 가능하며, COBie에서 지원 가능한 정보의 73.1%가 객체 정보에 해당한다. 그러나 시설물 유지 관리 단계에서 요구되지만 기존의 COBie 데이터 포맷으로 지원되지 않는 약 절반 (51.5%)의 정보는 정보의 프로세스나 계약 정보와 같은 부가 정보에 해당하며, 198개의 데이터는 시설물 유지 관리자에 의해 준비되어야 하는 정보 임을 확인하였다. 중복되는 정보를 제외하며, 필수적으로 시설물 유지 관리에 사용되는 정보는 91개이고, 이들은 다시 현재 시스템에서 가져올 수 있는 정보, 새롭게 정의되어야 하는 정보, 설계자 혹은 건설 업자에게 추가로 요청해야 하는 정보, 정부에서 정한 법률 정보, 컴퓨터에서 자동 계산 가능한 정보의 5가지로 재 분류하였다. 현재 시스템에서 확보 가능한 데이터, 추가 요청 정보, 컴퓨터에서 자동 계산 가능한 정보 모두 확보 가능한 정보라고 가정할 때 429데이터 중 13개 데이터, 약 3%의 정보가 BIM 기반 시설물 유지 관리에서 추가로 요구되는 정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설계 및 건설 단계에서 시설물 유지 관리 단계에 전달되어야 하는 정보가 무엇인지를 구체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각 단계에서 전달되어야 하는 정보를 구체화 함으로 BIM 정보에 대한 사용자간의 기대의 차이를 줄이는데 기여할 것이며, 현재 애매하게 정의된 정보 교환에 대한 기준을 명확하게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BIM 산업에 있어 주요한 이슈인 사람, 디자인 품질, 그리고 데이터 교환에 대한 주제를 요구 공학의 프로세스와 mixed methods research의 기본 개념을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논문 초반에 언급하였듯이, 3가지 주제의 요구 분석 결과 간의 상호 보완의 가능성의 여지는 충분하다. 예를 들면, 본 연구의 설계 요구의 패턴은 시설물 유지 관리에 요구되는 정보를 문서화할 때 활용할 수 있으며, 시설물 유지 관리에 요구되는 정보의 목록은 데이터 관리 전문가의 요구 지식 혹은 기술을 서술할 때 참조할 수 있다. BIM의 문제점을 다루고 있는 본 연구의 결과가 프로젝트 혹은 사용자들이 직면한 어려움을 해결해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has emerged as a technical solution for numerous problems in architecture,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AEC) projects, such as poor commun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coordination (Weippert and Kajewski 2004). BIM is a software solution that enables the creation of a vector-based representation in 3-dimensional (3D) formats for construction projects. This new approach brings many benefits to the AEC industry while simultaneously raising new requirements (Sacks and Barak 2009). As the use of BIM has expanded around the world, these requirements have been perceived as obstacles that hinder its use. There are several obstacles to active BIM use, but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the most frequent and serious issues defined by BIM project participants: lack of skilled BIM professionals and education programs for recruiting and training them, lack of computational design compliance checking tools to respond to frequent design changes, and ambiguous requirements for data handover from the construction phase to the facility management (FM) phase.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qua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these three issues. However, it can be assumed that there is a mutual influence between the issues, given that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a “social process” to be applied “by the people” of technology and developed “by the people” to achieve goals established “by the people” (Abowitz and Toole 2009). This social science-based approaches and methods are useful to understand three requirements issues in this dissertation because BIM are also used in a social and organizational context. Soci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are not a single viewpoint but are influences on all viewpoints. Limitations of methods to collect, elicit, and analyze complex and complicated requirements encourage researchers to turn their eyes to “mixed research methods and mixed sources of data.” Mixed methods are formally defined as the class of research where the researcher mixes or combine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methods, approaches, concepts, or language into a single study. This concept of employing mixed research methods in an effort to combin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is the basis for selecting and combining research methods of this dissertation. When mixed research methods are employed for identify requirements of BIM in three areas, systematic processes are helpful to arrange research methods. As the term “engineering” implies, requirements engineering (RE) provides a disciplined and systematic approach to elicit, specify, analyze, commit, validate, and manage requirements considering user-, technical-, and business-oriented needs. RE, a branch of software engineering concerned with identifying and communicating the purpose of a software-intensive system, is defined as a set of activities comprised of four processes: requirements elicitation, requirements analysis, requirements specification, and requirements validation. The RE process is not only applicable to both technical and social requirements presented in this dissertation, but it is also useful to maintaining the logical consistency of requirements analysis results. Moreover, RE provides many cases in which combinations of research methods are useful. Based on the process of RE and approach of mixed methods research, this dissertation specifies obstacles in the BIM industry to the following three requirements issues: what competency is required of the BIM professional; what is required to enable computational design compliance checking; and what information can be transferred from the construction phase to the FM phase. First, as the demand for BIM project personnel has increased, questions regarding job titles, duties, and qualifications for these personnel have become critical for recruitment, promotion, and education purposes. To address this issue, 242 online job postings in English from the US, the UK, and China were collected. Through the online job posting analysis, 35 job titles and 5,998 terms containing competency were derived. The 35 job titles were classified into eight BIM job groups (BIM project manager; director; BIM coordinator; senior architect; BIM manager; BIM designer; BIM mechanical, electrical, and plumbing (MEP) coordinator; and BIM technician)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titles using the role and position analysis of the social network analysis (SNA). Based on the Occupational Information Network’s (O*NET) job competency classification model, 5,998 terms were categorized into 43 competency elements. These were subcategorized into the three categories of essential, common, and job-specific competencies for the eight BIM jobs depending on the frequency. The “essential” competences are required all BIM job groups and include “speaking skill,” “engineering and technology-related knowledge,” “technical vocational education,” “BIM-related work experience,” “work activity of interacting with computers,” and “work activity for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common competencies required by most job groups (more than five out of the eight job groups) include “work style of cooperation,” “design knowledge,” “post-secondary degree,” “work activity of evaluating information to determine compliance with standards,” “work activity of thinking creatively,” “work activity of documenting or recording,” “work activity of communicating with supervisors and peers,” “work activity of guiding, directing, and motivating subordinates,” “work activity of providing consultation and advice,” and “organizational context to monitor data on quality/costs/waste/etc.” The “job-specific” competency could distinguish similar BIM jobs. For example, the BIM manager performs “work activity of training and teaching others” in the “organizational context to determine workflow or order of tasks for others,” but not for the BIM coordinator. Compared to other existing papers regarding BIM competencies, this dissertation introduces all job titles currently used in the BIM industry—not just the representative BIM job titles—and provides their relationships and classifications. Moreover,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analyze BIM professionals’ competencies based on the competency model currently in use to improve their applicability in the BIM industry. In addition, the level of competencies for BIM professionals allows for their application for the BIM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Second, there are limitations to check the compliance of a building design in a request for proposal (RFP), especially in BIM. To respond to these needs, a total of 27 RFPs for housing, offices, exhibitions, hospitals, sports centers, and courthouse projects were analyzed. Each RFP was composed of more than 1,800 sentences. Of these, only 366 sentences could be translated into computer-interpretable sentences. For further analysis, this study deployed context-free grammar (CFG)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classified morphemes into four categories: object (noun), method (verb), strictness (modal), and others. The subcategorized morphemes included three object types (space, building element, and equipment), four strictness levels (must, should, might, and could), and 29 method types. Most of the object types (90%) were spaces. Of the 29 method types, six methods (i.e., ‘getNumberofArea,’ ‘getNumberOfSpace,’ ‘isComposedOf,’ ‘hasEquipment,’ ‘isAccessible,’ ‘getNumberOfEquipment’) covered 95% of the design compliances. More than 90% of the strictness types in the RFPs were “should,” which is mandatory but is weaker than “must”; e.g., a minor exception might be allowed. The results of this dissertation show that patterns exist in the design requirements and that they can interpret computer readable rules. The results imply potentials for design requirements to be generated for both human and computer readable rules. Compared to existing rule checking tools—for example, BERA (Building Environment Rule and Analysis) or the Solibri model checker—the results of this dissertation allow BIM users to use rules easily for their BIM projects and to transform rules without any program knowledge. Third, the requirements’ needs are ever-increasing due to questions about the possible repurposing of BIM data during the FM phase of AEC projects. To address these questions, the triangulation method—job-shadowing, interviews, and document analysis—was used to explore information required for FM in higher education facilities. The collected information was then adjusted through requirements comparisons of five additional higher education facilities. There were 429 information items required for higher education FM, which were classified into actors (users and staff in higher education facilities and third-party service providers), objects (facility, floor, space, zone, type, component, system, assembly, connection, spare, resource, and job), and additional data groups (process, inspection, contract, impact, document, attribute, coordinate, issue, and picklist) that the US construction building information exchange (COBie) had defined previously. Among the 429 information items for higher education facilities, half of the information items (55.9%) were objected data items, one-third (33.8%) was residue from additional data, and one-tenth (10.2%) was actor data. A comparative analysis of information requirements between higher education FM and COBie was conducted using the semantic set operator, which was effective in finding common information items among different data sets between systems and information sets. The comparison results showed that half of the information (53.9%) required for FM could be extracted from the construction phase in the US COBie data format. Additionally, three-quarters (73.1%) of the COBie coverable data were objected data items. However, 46.1% of the information required for FM should be prepared during the FM phase. Half of the information items (51.5%) prepared by the FM phase were additional information items, such as information of FM processes, inspections, and contracts. However, redundancies were noted in the 198 data items prepared by FM managers. With the exception of repeatedly used data items, the number of essential data items were reduced to 91 (Table 43). They could b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available data in the existing system, data needed to redefine, data needs to request to (sub) constructors, references provided by the government or another authority, and calculated data by computers. Given the available data from the existing system, data needs to request to (sub) constructors, and calculated data by computers, only 13 data items are required for the BIM FM about 3% of the 429 data items for FM (Table 35). The results of this dissertation specify what information could be transferred (or not) from the design/construction phase to the FM phase and who is responsible for this information. This dissertation helps to fill the gap between BIM project participants in the pre-construction phase and project owners in the post-construction phase. Additionally, it is expected that this dissertation contributes to clarifying current ambiguous requirements. This dissertation studied three requirements regarding people, design quality, and data problems in the BIM industry based on the fundamental RE process and mixed research methods. As stated previously, it is not difficult to envisage that the results of three requirements contribute to three complementing issues. For example, derived rules patterns of RFPs in this dissertation can be used to describe documents information required for FM. Information items for BIM FM in this dissertation will be a reference that specially explains the knowledge and skills required for data management. The authors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dissertation on three BIM problems have the advantages of either using, transforming, or adding by demanding their fulfillment via either projects or users.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효과적인 대학 하이브리드 수업 운영을 위한 요구분석

        김주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효과적인 대학 하이브리드 수업 운영을 위해 대학 교수자들의 요구를 중요도와 필요도를 중심으로 확인하여 우선순위를 선정함으로써 대학의 하이브리드 수업을 실제적으로 운영하는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어려움을 해결하고 최적의 방안을 모색하고 활성화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국내외 관련 선행연구 및 문헌 분석을 통해 하이브리드 수업 요구조사에 관한 설문 문항을 도출하고, 전문가 검토를 통해 타당도 및 신뢰도를 확보하여 최종 설문 문항을 개발하였다. 하이브리드 수업에 대한 경험이 부족한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현재의 하이브리드 수업에 대한 수행도(실행도) 또는 만족도를 측정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필요도를 중심으로 교수자들의 요구를 확인하였다. 요구분석에서 중요도-필요도 응답 편의성을 위해 온라인 설문 사이트를 개발하고, A대학교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2주 동안 온라인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고, 유효한 응답자 수는 총 265명이었다. 연구 대상을 전체 응답 교수자 집단, 하이브리드 수업에 대한 인식별 집단, 경력별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첫째, t-검정을 통해 중요도와 필요도의 차이 및 전반적인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교수자들이 생각하는 하이브리드 수업의 중요도와 필요도를 알아보고 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중요도-실행도 분석(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을 적용하였다. 셋째, Borich 요구도 순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1사분면(HH)의 문항들을 비교하여 중복된 문항들을 최우선 순위군으로 확인하였다. 넷째, t-검정, IPA 분석 결과, Borich 요구도 순위,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1사분면(HH)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우선순위 항목을 최종적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이브리드 수업에 대한 교수자의 전반적인 요구는 하이브리드 수업 준비, 상호작용, 평가, 제도 등을 중심으로 높았으며, 하이브리드 수업의 교수학습활동과 관련된 서비스, 자원 등 환경 지원과 관련해서는 낮은 요구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하이브리드 수업에 대한 교수자들의 인식에 따른 요구는 인식 수준별로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이브리드 수업에 대한 인식이 높은 집단은 학생에 대한 관심과 열의, 수업평가에서 목표 달성 기준 및 평가 방법, 교수평가 시스템 개선, 우수사례 공유, 요구 및 만족도 조사 등에 대한 요구가 인식이 낮은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하이브리드 수업에 대한 인식이 낮은 집단은 수업방식 선정 및 구성, 상호작용 중 질문에 대한 피드백, 인센티브 제도, 조교(도우미) 교육에 대한 요구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하이브리드 수업에 대한 교수자들의 경력에 따른 요구는 전반적으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특히 학생에 대한 관심 및 열의, 자기주도 학습 촉진, 학습자와 교수자 간의 상호작용, 질문에 대한 피드백, 목표달성 기준 및 평가방법 등에 대한 요구가 대체적으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이전의 하이브리드 수업은 블렌디드 러닝이 확대된 개념으로 인식되며 하이브리드 수업과 블렌디드 러닝이 혼용되어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코로나 이후에 하이브리드 수업은 외부 환경 변화의 영향을 최소화하며 학습자들에게 수업 참여 방식 선택권을 부여하고 학습자 중심 수업을 더 강조한다는 점에서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교수자들이 하이브리드 수업에 대해 어떤 요구를 가지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효과적인 하이브리드 수업 운영을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지원해야 하는 실제적인 우선순위를 확인하고 설정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교수자들의 하이브리드 수업에 대한 인식이나 교육 경력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요구분석을 실시하고, 수업 준비부터 수업 실행, 수업 평가까지의 과정과 환경 지원 측면에서 구체적인 요구를 확인하고 우선순위를 설정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미가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하고자 한다. 첫째, 하이브리드 수업에 대한 경험 정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하이브리드 수업에 대한 지식과 정보, 경험이 부족한 교수자들의 경우에 하이브리드 수업에 대한 중요도와 필요도를 정확하게 구분하여 그 차이를 인식하고 응답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에 앞으로 하이브리드 수업 운영 경험이 있는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하이브리드 수업 경험 정도를 고려하여 요구조사 진행한다면 보다 차별화된 구체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교수자 특성을 구체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수자 특성으로 하이브리드 수업에 대한 인식 수준 및 교육 경력을 고려하였다. 앞으로의 후속연구에서는 전공계열, 수업 규모 등 보다 더 구체적이고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다양한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심도 깊은 면담과 인터뷰 등을 중심으로 하는 질적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학습자 대상의 체계적인 요구분석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수자들만을 대상으로 하이브리드 수업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 추후에는 하이브리드 수업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이브리드 수업 경험과 인식 및 요구 등에 관한 현황 분석과 연구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하이브리드 수업에서의 교수학습 활동, 학습효과, 수업 선택권 등에 대한 학습자들의 다양하고 구체적인 요구와 의견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군 정신전력교육에 대한 요구분석

        전해님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정신전력교육 수업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정신전력교육 주제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여 요구가 크게 나타나는 부분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전력교육 주제에 대한 병사, 중대장, 공보정훈장교 집단의 중요도와 이해도, 우선 순위를 분석한 후 향후 수업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주제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가들이 잠정적인 교육 주제 63가지를 도출하였으며 병사, 중대장, 공보정훈장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총 347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요도와 이해도는 대체로 높게 나타났으나 중요도와 이해도 사이에는 격차(공보정훈장교>중대장>병사 순)가 있었다. 또한 상대적으로 1수준 집단(병사)은 중요도를 낮게 평가했으며 2수준 집단(중대장, 공보정훈장교)은 이해도를 낮게 평가하였다. 따라서 수업에 대한 동기(motivation)를 높이기 위해서는 1수준 집단의 경우 수업의 가치(value)를 인식해야 하며 2수준 집단의 경우 학습자의 수행에 대한 기대(expectancy)를 가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요구분석의 기법으로 -검정과 Borich의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사용하였다. 각 주제에 대한 종속표본 -검정() 결과 병사 집단에서 6개의 주제를 제외하고 중요도와 이해도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Borich의 요구도 분석에서 1순위 주제는 병사 집단에서 ‘미래 전쟁 대비’, 중대장 집단에서 ‘명예’, 공보정훈장교 집단에서 ‘국방의 의무’로 나타났다.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분석했을 때는 병사 집단에서 15개, 중대장 집단에서 19개, 공보정훈장교 집단에서 20개의 주제가 HH분면에 속하였다. 세 집단 모두 HH분면에서 나타난 주제는 ‘건전한 애국심’과 ‘북한군의 군사전략’이었다. Borich의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바탕으로 각 집단에서 최우선 순위와 차우선 순위 주제를 도출한 결과 집단별로 다양한 요구가 나타났다. 향후 수업에서 우선 고려해야 할 주제를 선정하기 위해 3개 집단의 요구를 종합한 결과 모든 집단에서 1회 이상 우선 순위가 나타난 주제 2개와 2개 집단에서 우선 순위가 나타난 주제 21개를 핵심 주제로 선정하였다. 또한 1개 집단에서 우선 순위가 나타난 주제 21개를 필수 주제로 선정하였다. 19개의 주제는 우선 순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해당 주제도 전문가의 검증을 거쳤으며 4점 이상의 중요도를 보였기 때문에 선택 주제로 포함하였다. 향후 핵심 주제는 기본과제 교육에 연간 1회 이상, 필수 주제는 기본과제 또는 시사안보 교육에 연간 1회 이상 편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선택 주제는 핵심 주제나 필수 주제를 다룰 때 하위 주제로 포함할 수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교육의 경우 ‘통일의 필요성’과 ‘통일 정책’에 대해 요구가 나타났으나 자유민주주의 및 시장경제체제의 우월성이나 대한민국의 발전상, 북한의 실상과 관련된 주제에서는 요구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민주시민교육과 관련해서는 1수준 집단에서는 ‘국민의 권리’에 대해, 2수준 집단에서는 ‘국민의 의무’에 대해 요구가 나타나 이에 대한 중재가 필요하다. 셋째, 국방력 및 준비태세와 관련한 주제의 수업이 필요하다. 넷째, 2019년 교재에서 새롭게 추가된 주제 중 다수에서 요구가 나타나 현재 해당 내용에 대한 수업이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검토해야 한다. 다섯째, ‘조직 및 개인 차원의 가치’에 대한 주제는 중대장 집단에서 요구가 크게 나타났으며 병사 집단에서는 요구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 이유는 해당 주제가 태도 목표와 관련이 깊기 때문일 수 있으며 향후 수업에서 모델링과 강화를 활용한 행동화 수업, 자기 보고식 평가 등을 통해 수행 격차를 줄이는 노력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향후 정신전력교육 수업 주제를 선정하거나 기본교재를 개정할 때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본 연구는 언어적 정보로 진술된 주제에 대한 이해도를 조사하여 조사된 이해도 수준과 실제 학습자의 수행 수준이 다를 수 있으며, 도출한 주제에 대해 목표 진술 및 과제 분석을 수행하는 수준까지 나아기지 못했다. 또한 표본수가 충분하지 않아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 使用者 要求 分析 特性이 情報 시스템 開發 成果에 미치는 效果

        이한진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2

        국제화와 정보화의 물결 속에서 기업의 환경은 급격히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정보시스템의 구축은 이제 모든 기업활동에 있어서 핵심 역량이 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많은 시스템 개발의 사례에서 보듯이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정확히 반영되지 못하거나 잦은 요구변경으로 인하여 개발이 실패하기도 하며, 설사 개발이 완료되었다고 하더라도 사용자의 불만을 야기시키는 등 조직의 성과에 기여하게 되지 못하고 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사용자 요구분석의 중요성에 비추어 요구분석 명세서가 갖추어야 할 여러 가지의 바람직한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사용자 요구분석의 특성이 실제로 사용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변수로는 요구분석의 특성을 나타내는 요구분석 명세서의 충실도를 7점 척도로 측정하여 이와 같은 요구분석의 특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개발된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였다. 요구분석 충실도에 따라서 낮음과 높음의 두 개의 집단으로 분류한 후 이들 두 집단간에 사용자 만족도에 유의적인 차이가 존재하는 지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두 개의 집단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존재함이 판명되어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표본 자료는 모두 39개로서 국내의 대기업과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하여 최근 2-3년 사이에 수행된 정보시스템 개발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설문서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로는 요구분석의 충실도가 사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정확한 요구분석과 아울러 명확한 요구표현 및 의사소통, 그리고 요구사항의 추적가능성이 요구변경을 관리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향후 급변하는 기업환경 하에 새로운 정보 기술과 다양한 시스템 요구에 부응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요구사항의 특성에 따른 새로운 분석방법론이나 이에 관한 새로운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The business environment is changing rapidly due to globalization and the growing digital economy. Information Technology(IT) as the driver of change is now regarded as a Competitive Weapon in every business aren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validate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requirements definition on user satisfaction with IT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ies of the user requirements defini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is found to be significant. Because an effective requirements definition process and methodology is not well developed, there are risks of failure in many IT development projects. The difficulties of the user requirements definition process due to lack of effective methodology and the lack of developer'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requirements definition in the Systems Development Life-Cycle (SDLC) together lead to great risk that the developed system will not meet user expectations. This research result shows that clear and definite requirements specification and effective requirements change management are keys to the success of an IT development project.

      • 웹 애플리케이션 사용자의 요구분석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윤용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2

        일반 애플리케이션과 달리 웹 애플리케이션은 접근의 용이성, 플랫폼의 독립성과 상대적으로 적은 구축비용등과 같은 장점으로 인해 많은 비즈니스 영역에서 시스템 개발 툴로 사용되고 있다. 웹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중심의 관점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자유롭게 비순차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는 특징 때문에 주로 다양한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과 인터페이스가 주로 발생하는 물품 구매 업무와 같은 업무 영역에 적용하기가 가장 적당한 툴이다.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가 중요하다는 것은 그만큼 운영하고 있는 시스템이 변화될 요인 크다는 것과 충분히 사용자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는다면 시스템의 적용이 실패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더욱 더 철저하게 사용자의 요구사항 파악하고, 검증할 수 있는 요구사항의 체계적인 절차가 필요하게 된다. 웹 애플리케이션은 짧은 기간동안에 급속하게 발전함에 따라, 개발자의 기술력도 낮고, 또한 개발에 적용하는 공학적인 방법론도 과거의 구조적 방법론이나 객체지향 방법론을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방법론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등에서 나타나는 웹의 특성을 표현하는데는 한계가 있게 되었고, 최근에 들어와서 웹 애플리케이션의 개발방법론들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현재 연구되어 제시된 웹 애플리케이션의 개발방법론들을 살펴보면 기능적인 측면과 화면설계/구현영역을 주로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사항 분석 절차에 대해서는 다루고 있지 않아, 사용자 요구분석은 과거의 방식을 그래도 적용하고 있어, 광범위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충분하게 반영하지 못한다거나, 사용자가 자유롭게 정보에 접근하는 기능의 설게가 어렵다는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객체지향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서 제공하는 요구공학 프로세스를 살펴보고, 다양한 사용자가 존재하고, 각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항해기능을 요구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검토해 볼 때 발생하는 문제점 및 프로세스와 단계별 활동내역등을 재 정립하여,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맞는 요구분석 프로세스를 확립하여 제안한다. Contrary to legacy application, web application is used by means of the system development tool in many businesses because of merits such as easiness of the access, independence of the platform and a little cost. Because web application has a merit of information of which users can easily get an access , web application is a proper tool in a business such a service as an unspecified number of the general public purchases goods. The importance of the interface with users reflects that system can be changed frequently and if it doesn't consider users, system application can be failed. In order to prevent this problem, we have to grasp user's request thoroughly and systematically. Because web application was developed rapidly, developers have a low technology and use a past structural methodology or object oriented methodology as for engineering methodology applied to development. But this methodology have a limit to express merit of the web such as user interface. Therefore development methodology of the web application is researched lately. Because present development methodology of the web application manages function and screen design mainly but doesn't manage request of the users, it uses past method in the same way as before. Therefore most of the system developed by the web application does not reflect user's request and can't be approached easily. In this paper, I am going to explain requirement process engineering for present object oriented application development and analyze web application function each various user request differently, and then I suggest request analysis process suitable for developing web ap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