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동주택 옥외공간 사용자 분석을 통한 활용증대 방안에 관한 연구

        오석환 공주대학교 테크노융합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공동주택의 옥외공간에 대한 인식 변화들이 계속 되어 왔다. 아파트 단지 내 옥외공간은 주변 환경에 대한 입주자들의 요구를 현실적으로 반영하여 분양 및 시공 단계에서 사용자들의 이용률와 만족도를 기본적으로 파악하여 단지 내 옥외공간을 설치해야 한다. 공동주택 단지의 주거환경의 발전과 외부공간에 대한 개념을 변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 볼수 있다. 옥외공간의 일반적 정의는 옥외에 있는 모든 요소들과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 사람이 걸을 수 있고, 달리고, 앉고, 일하고, 휴식하고, 놀 수 있는 곳은 말한다. 옥외공간은 공동주택 단지 내 주거 이외의 중요한 주변 환경 요소로 자리 잡았으며 더욱 이용하기 쉽고 편리하고 다양한 시설의 설치로 사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어야 한다. 기존 옥외공간의 시설은 규정과 의무적인 성격이 강하며 차츰 변화된 사용자 중심의 친화적인 옥외공간의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옥외공간의 시설 사용자의 이용률과 만족도 및 선호 시설에 대한 설문인식 조사를 통하여 옥외공간에 대한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옥외공간 부대시설에 접근하고 사용하기 편한 시설 공간으로 변화되기 위한 기본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많은 수의 옥외공간에 대한 논문들과 연구를 통한 인식조사와 선호도 조사에서 볼 수 있듯이 제도적 규정과 관리부실에 따른 노후화로 인하여 사용성이 떨어지고 있다. 이에 옥외시설의 차별화, 고급화와 더불어 단지 외부 시설과 연계성을 고려한 시설의 공간 변화와 노후 시설의 교체가 재정적 지원 아래 쉽게 이루어져야 하며 관리 주체의 철저한 시설관리와 유연한 변화로 언제나 깨끗한 환경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옥외공간 시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사용자의 욕구와 환경에 맞는 옥외공간이 될 수 있도록 더욱 더 노력하고 사용자 위주의 구성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 할 수 있는 옥외공간이 되길 바란다.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outdoor spaces in apartments have continued. Outdoor spaces in apartment complexes shall be established by basically identifying users' utilization rate and satisfaction in the stage of sale and construction, reflecting the residents' demands f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t can be seen as an important factor to change the develop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concept of external space in multi-family housing complexes. The general definition of outdoor space refers to all elements of outdoor activities, space where a person can walk, run, sit, work, rest, and play. Outdoor spaces have become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s other than housing in multi-family housing complexes and should be able to increase users' satisfaction with the installation of a variety of facilities that are easier to use, more convenient to use. Existing outdoor facilities have strong regulations and mandatory characteristics and are gradually evolving into user-friendly outdoor spaces. In this paper, we hope that the survey on the utilization rate, satisfaction, and preference of existing outdoor facilities will provide basic data for users to more conveniently access outdoor facilities and transform them into easy-to-use facilities. As can be seen in papers and research on a large number of outdoor spaces, perception surveys and preferences, useability is falling due to aging due to institutional regulations and poor management. Therefore, the space change and replacement of facilities considering the connection with external facilities should be made easily under the legislative support, along with the differentiation and sophistication of outdoor facilities, and the thorough management of the management entity and flexible changes should always make it easy to use outdoor facilities in a clean environment. We hope that it will be an outdoor space that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in a user-oriented configuration, making efforts to become an outdoor space suitable for users' needs and environment.

      • 水源靑少年文化센터 屋外空間 利用 後 評價에 關한 硏究

        부경숙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younger generation in the modern society is trying to express their privileges with their own way even though their individuality and will are repressed by study and ethics in the society. One of the their privilege is participating in variety of culture and art activity without restriction. Thus it is important to support and providing cultural facilities enabling them of forming animated culture with respect for the growth. Now days, the facilities for the youth are being expanded. How ever, the Youth Center that are established in residential area are not equipped with enough outdoor activity facility due to the financial problem and lack of space. This study had been carried out to identify any problem in relation to utilization and their needs of physical, social, visual and aesthetical environment of the facility and collect necessary data to establish appropriate outdoor facility of youth center with effective design and management direction through the analysis of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the youth at outdoor facility in Suwon Youth Culture Center that is one of biggest one among the center in Korea. The study and analysis of the management, utilization and surroundings of the outdoor facility in the center had been conducted in a subject facility that is being selected by random sampling through the drawing and field survey. The person-to-person interview survey was performed with user and administrant of the outdoor facility and analyzed in addition to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observation survey on the aspect and frequency of utilization in the active hour were conducted, focusing on youth in the subject facility that was increasing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Self-administration Questionnaires were used as main survey method on utilization in summer season which were categorized into the after school hours, weekend or holyday and vac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demographic background, facility utilization, equipment, program, satisfaction and estimation of each area in the facility after use, used area and badness and necessary improvement in the facility by SPSS win 10.0 program.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 five parts as follows : First, The user living in vicinity are in higher proportion but, some of users are coming from far away by means of public transportation or own transportation to use wide and active facility. The user does not favor the not characterized, improperly equipped and mismanaged facilities and insufficient spare time and inconvenience transportation are one of the major issues for the convenience use. Second, The facility is providing over all satisfaction by means of the size to the user and it is capable place to satisfy their desire. Third, The assessment result of individual outdoor activity facilities are : - Satisfied in the tree arrangement & shade and safety in a night use. - Suitable for the deck as rest area but, not good enough for shade in the park. - Highly satisfied in the performance stage as relaxation facility and its multiple function. - Satisfied in the Theme Plaza of shock absorption floor and its multiple function design. - Highly satisfied in the roller skating rink of safety factors in floor & fence and sufficiency of equipments such as lighting and bench. - The Family Park is unfamiliar to the user. - There are two different responses from the user in entrance. A positive response is a good place to raise its image and the other is a danger zone due to the uncontrolled bike and in line skating board. Fourth, The badness and necessary improvement in the outdoor facility are insufficiency of wide outdoor facilities & space, rest area, greens & shade and fulfilling variety of demand, safety, crowd, cleanness, noise and not well known its existing. Fifth, The factors on over all satisfaction are as in order of facility & management, scale & quality, accessibility & safety and purpose & motive of use. The suggestion of the study on the assessment of outdoors facility in Suwon Youth Culture Center is, The youth prefer a wide outdoor facility and a facility that may accommodate active activities. Furthermore, they need the facility that is facilitating rest and dialogue to build their moral character and relaxing area with natural surroundings, trees and flowers. Thus, it is important of appropriate planning, design and management of the facility in particular consideration of youth to promote outdoors facility in youth center. Al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or improve outdoor facilities in existing youth center in near future. Likewise, the more study on related subject, based on analyzed data is a essential and those study should be utilized for the appropriat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the outdoor facility in the youth center.

      • 건축물 옥외공간의 음향특성에 관한 시뮬레이션 연구

        정선응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As residents’ demands to expand the green space and secure the recreational and cultural life in the city are recently met, the awareness of the need to create a comfortable outdoor space is being spread. In particular, as community activities including resting, playing and interaction have been increased in outdoor space in the apartment complex, various landscaping and design techniques such as making parking lots under grounds and expansion of outdoor green space are applied to increase the comfort of the residents. Such efforts are ongoing. As a result, residents tend to stay in outdoor space longer and thereby the importance of creation of comfortable outdoor environment is being increased. Outdoor space is the space created by other building in the area where the building groups are concentrated, and major outdoor space including domestic apartment is mainly finished with reflective materials such as glass window and concrete in the skin of neighboring buildings. Thus, background noise and reverberation characteristics caused by multiple reflections and diffraction or diffusion by neighboring buildings upon outdoor noise propagation are increased. It causes discomfort of noise to the residents using outdoor space and it may give adverse effects to acoustic comfort. Outdoor space is formed by design elements such as shape and size of buildings in Korea, but there is little study on acoustic characteristics based on changes in various design elements. Thus, the design elements of buildings which affect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outdoor spaces should be clearly defined, and study on acoustic design in outdoor space with consideration of layout of neighboring buildings and characteristics of wall sides based on above results is required. This study mainly reviewed reverberation time which was acoustic property and distance attenuation with various design elements (size and shape, height of neighboring buildings, change in width and depth, diffusion coefficient of building skin and green elements of wall sides) of buildings consisted of outdoor space, and it used ODEON (Ver. 11) which was the simulation program of acoustic analysis. In addition, important factors of various components giving the effect upon design of outdoor space were analyzed to seek the design methods with consideration of acoustic characteristics of outdoor space. The main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s size of outdoor space was increasing, reverberation time tended to increase linearly. It was confirmed that reverberation theory of Sabine in which the volume of space was proportional to reverberation time was applied to the outdoor space. 2) Result of prediction of reverberation time by shapes of outdoor space showed that the reverberation time of outdoor space with ㅁ type in which four sides were closed was the highest. Outdoor space with the size of 50m×50m was predicted to have long reverberation time of more than 5 seconds. In addition, attenuation by distance with ㅁ type was the shortest. It was thought that multiple reflection caused by layout of neighboring buildings surrounding the outdoor space affected reverberation time and distance attenuation. 3) As the number of stories in the neighboring building increased, the reverberation time of outdoor space tended to increase.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reverberation time was compared when the height of neighboring buildings was 3m and 18m in outdoor space of 10m×10m. ㅁ type, 二 type and 一 type shoed 1.31 seconds, 0.88 seconds and 0.36 seconds, respectively. The increase of reverberation time based on height of neighboring building was varied depending on shape of outdoor space. 4) The reverberation time was almost same as the width(W) in outdoor space of ㄷ type and 二 type was increased, but it was clearly increased as depth(D) was increased. In outdoor space with 10m(D)×10m(W), when width was increased by 20m(10m×30m) and depth was increased by 20m(30m×10m), the reverberation time in outdoor space of ㄷ type and 二 type was 1.35 seconds and 1.06 seconds, respectively. It was thought that difference in facade area of neighboring buildings which caused multiple reflection affected reverberation time. 5)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reverberation time by shapes of outdoor space was reduced by 0.85~0.48 seconds as diffusion coefficient of outdoor finishing side of neighboring building was increased by 0.01~0.3. It was thought that diffusion reflection that occurred in deformity part of exterior finishing was effective to attenuate the acoustic energy. In addition, it showed the same result of existing studies on diffusion reflection. 6) Application of natural elements using vegetation is varied depending on green elements coefficients to absorb sound, but it was generally effective to attenuate noise and reduce reverberation time. 최근 도심 녹지공간 확장 및 복잡한 도심 속에서 여가·문화생활을 보장받기 바라는 거주자의 수요가 부합되면서 쾌적한 옥외공간 조성의 필요성에 관한 인식이 확산되어지고 있다. 특히, 아파트 단지의 경우 지상주차장의 지하화로 인한 녹지면적의 확대와 옥외공간에서 거주자들의 커뮤니티 활동 증가 등으로 쾌적한 옥외 음환경 조성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옥외공간은 건물군이 집합된 지역에서 타 건물에 의해 창조된 공간으로 국내 아파트를 포함한 주요 옥외공간은 주변 건물외피가 유리창 및 콘크리트 등의 반사성 재료로 마감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따라 옥외 소음전파 시 주변 건축물로 인한 다중반사 및 회절·확산현상에 의해 배경소음 및 잔향감 증가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며, 이는 옥외공간을 이용하는 거주자에게 소음의 불쾌감을 유발하여 음향적 쾌적함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건축물의 형태 및 규모 등에 따라 다양한 옥외공간이 형성되고 있지만 이들 옥외공간 설계요소의 변화에 따른 음향특성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옥외공간의 음향특성에 영향을 주는 건축물의 설계요인들이 명확히 규명되어야 하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주변 건물의 배치 및 벽면특성들을 고려한 옥외공간 음향설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옥외공간을 구성하는 건축물의 다양한 설계요소(규모 및 형태, 주변건물의 높이, 폭과 깊이의 변화, 건물 외피의 확산계수, 벽면 녹화요소 적용)를 변수로 하여 음향특성인 잔향시간과 거리감쇠를 중점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음향해석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ODEON(Ver. 11)을 사용하였다. 또한 옥외공간 디자인 시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구성조건들의 중요인자를 분석하여 옥외공간의 음향특성을 고려한 설계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옥외공간의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잔향시간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공간의 체적과 잔향시간이 비례한다는 Sabine의 잔향 이론이 옥외공간에서도 적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2) 옥외공간의 형태별 잔향시간 예측 결과 4면이 닫혀있는 ㅁ자형 옥외공간의 잔향시간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규모가 50m×50m인 옥외공간에서는 5초 이상의 긴 잔향시간이 예측되었다. 또한 거리에 따른 감쇠 역시 ㅁ자형태의 감쇠치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옥외공간을 둘러싸고 있는 주변건물의 배치에 의한 다중반사가 잔향시간과 거리감쇠에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3) 주변건물의 층수가 높아질수록 옥외공간의 잔향시간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10m×10m인 옥외공간에서 주변건물의 층수가 3m와 18m일 때의 잔향시간 차이를 비교했을 때 ㅁ자형은 1.31초, 二자형은 0.88초, 一자형은 0.36초로 주변건물의 높이에 따른 잔향시간의 증가폭이 옥외공간의 형태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4) ㄷ자형과 二자형 옥외공간에서 폭(W)의 증가에 따른 잔향시간은 거의 차이가 없었지만 길이(D)가 증가할수록 잔향시간의 증가폭이 뚜렷했으며 10m(D)×10m(W)인 옥외공간에서 폭이 20m 증가하였을 때(10m×30m)와 길이가 20m 증가하였을 때(30m×10m)의 잔향시간은 ㄷ자형 옥외공간에서 1.35초, 二자형 옥외공간에서 1.06초의 차이를 보였다. 이는 다중반사를 유발하는 주변 건물의 파사드 면적의 차이가 잔향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5) 주변 건물의 외부마감면 확산계수가 0.01~0.3으로 증가할수록 옥외공간의 형태별 잔향시간이 0.85~0.48초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외부마감의 요철부분에서 발생하는 확산반사가 음에너지를 감쇠하는데 있어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6) 식생을 이용한 벽면 녹화요소 적용은 녹화요소의 흡음계수에 따라 차이가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소음저감 및 잔향시간 감소에 효과적이었다.

      • 옥외공간의 잔향시간에 따른 외부 소음의 주관적 반응 실험 연구

        정자영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과거의 공동주택 단지는 도시 내 인구집중현상에 따라 주택부족에 대한 해결 방안을 위해 마련된 주거 양식으로 옥외 공간은 단순히 이동을 위한 통로나 주차장의 개념으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공동주택 단지 내 옥외공간은 도심 속에서 충분한 여가·문화 생활을 원하는 거주자의 수요가 부합하여 과거의 단순한 개념에서 커뮤니티를 위한 생활에 중요한 공간으로서 쾌적한 옥외 음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공동주택 내 옥외공간은 자연 상태의 공간이 아닌 인위적으로 주변 건물에 의해 만들어진 공간을 의미하며 옥외공간을 구성하는 주변 건축물의 형태 및 규모 등에 따라 음향적으로 다양한 울림 형태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공간은 주변 건축물에 의한 다중반사의 영향으로 옥외공간 내에서 잔향시간과 음압레벨이 증가한다. 이러한 영향은 옥외공간으로 유입되거나 옥외공간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에 영향을 끼쳐 옥외공간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음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 최근 옥외공간에 대한 이용도가 증가함에 따라 옥외공간으로 유입되는 도로교통, 철도 및 공사장 소음 등의 외부소음과 옥외공간 내에서 발생되는 확성기, 어린이들이 발생하는 소음 등 소음에 대한 민원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공동주택 실외소음도에 대한 기준은 주로 외부 소음원에 면한 건물에 대하여 규제 하고 있다. 공동주택 내 옥외공간에 대한 소음 및 잔향시간 기준에 대한 연구 사례는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공동주택 옥외공간을 대상으로 잔향시간과 음압레벨의 특성에 따른 이용자의 주관적 반응 실험을 통하여 잔향시간을 중심으로 어노이언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옥외공간에서의 잔향감에 따른 주관적 반응 평가 실험으로 두 가지 실험에 의하여 결과를 도출 하였다. 첫 번째 실험은 잔향시간 차이에 대한 인지 실험으로 각각의 소음원에 대하여 잔향시간의 차이를 인지하는 범위를 측정하였다. 소음원에 따라 울림의 차이를 얼마나 민감하게 인지하는지 검토하였고, 어노이언스 반응 실험에 적용할 잔향시간의 범위를 선정하였다. 두 번째 실험으로 잔향시간과 음압레벨의 차이에 따른 어노이언스 반응 실험을 실시하였다. 앞서 설명한 잔향시간 차이에 대한 인지 실험의 결과를 토대로 잔향시간의 범위를 한정하였다. 잔향시간과 음압레벨 변화에 따른 각각의 음원에 따라 어노이언스 반응 실험을 실시하였다. 두 가지 실험을 통하여 옥외공간에서 발생되는 생활·환경 소음에 대하여 공간의 잔향감이 어노이언스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통계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아파트 옥외공간 배치유형에 따른 거주자의 공간사용 및 커뮤니티 의식에 관한 연구

        장동현 부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outdoor space in the apartment complexes is a place where the residents carry out diverse activities individually or mutually. It is a living space where they actively accommodate their daily living and experience the community. Thus the use of the outdoor space ? the means to come in contact with the neighbor ? has long been suggested by many studies as a way to raise the sense of community. With a need to substantiate these studies, this paper looks into the impact that the use of the outdoor space by the residents has on the neighbor relationships and the sense of community. Document research was conducted to find the physical design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use of the outdoor space in order to study the difference of using the outdoor space. Based on the results, the subjects were selected. The document research showed that there are two major design factors: connectivity and collectivity. These factors were then used to set forth the four types of the outdoor space: dispersed, collective, connected, and connected-collectiv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residents using the outdoor space in the apartment complexes where the study was undertak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18.0 and AMOS19.0. The result of the research and conclusion are as follows: First, the use of the outdoor space and the awareness of the outdoor space were different based on the type of the outdoor space in the apartment complexes. The frequency and time of use were the lowest in the dispersed type. The frequency was higher in the collective type while the connected type showed higher frequency and time. In the connected-collective type, the frequency and time were both the highest. As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 of the space, the residents who access the connected and the connected-collective type felt that the space was located in proximity to the access path and more noticeable. Second, the difference in the use of the outdoor space demonstrated a partial relevance in the neighbor relationship but was irrelevant when it came to the sense of community. The number of the neighbors that the residents communicate with indicated how close they were to their neighbors, and it was higher in the complexes where the outdoor space was used more often. The community awareness differed significantly by type but wa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difference in the use of the outdoor space, indicating that the relevance was low. Third, the structural model was prepared to observe the links between the use of the outdoor space by type, neighbor relationship, and the overall relationship with the sense of community. It was demonstrated that these factors were significantly relevant. Based on the previous analysis, the following hypothesis was set up: ?using the outdoor space influenced by the layout of the space may affect the neighbor relationships, and the neighbor relationships may affect the sense of community.? Then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structural model. As a result, the hypothetical model had an acceptable level of credibility and had a high level of significance and influence coefficient in each of the path.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the outdoor space can enhance the neighbor relationships and contribute to revitalizing the community. As the study shows, the arrangement plan of the outdoor space is one of the many elements that improves the sense of community and requires considerable research and develop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tructurally shows that the physical change such as the layout of the outdoor space affects the human behavior such as the sense of community. 아파트 옥외공간은 거주자 개인 및 상호관계에 의한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장소로서 거주자의 일상생활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공동체를 직접적으로 경험하고 느낄 수 있는 생활공간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옥외공간의 사용과 이에 따른 이웃과의 접촉은 커뮤니티 의식을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많은 연구에서 제시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연구들에 대한 실증적 검증이 필요하다는 생각에 거주자의 옥외공간 사용차이가 이웃과의 관계는 물론,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옥외공간 사용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통하여 옥외공간 사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리적 계획요소를 찾아, 이를 기준으로 조사대상을 선정하였다. 문헌연구 결과, 옥외공간의 연계성과 집합성을 주요 계획요소로 파악하고 이 두 가지 계획요소를 기준으로 분산형, 집합형, 연계형, 연계집합형의 4가지 옥외공간 유형을 설정하였다. 조사연구는 각 조사대상 아파트 단지의 옥외공간을 사용하고 있는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한 자료는 SPSS18.0과 AMOS19.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설정한 아파트 옥외공간의 유형에 따라 거주자의 옥외공간 사용 및 의식에 차이가 나타났다. 분산형에서 사용빈도 및 사용시간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집합형은 이보다 사용빈도가 증가한 반면, 연계형은 사용빈도와 사용시간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연계집합형에서는 모든 유형들 중 사용빈도 및 사용시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옥외공간 이용의 편리성에 대해서는 연계형과 연계집합형의 거주자들이 옥외공간의 위치가 보행로 가까이에 있으며 접근하기 쉽고 눈에 잘 띄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옥외공간 유형에 따른 사용의 차이는 이웃관계에서 일부 상관성을 나타냈으나 커뮤니티 의식에서는 큰 상관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웃관계를 나타내는 교제 이웃 수에서는 옥외공간 사용정도가 높은 단지에서 보다 높은 응답치를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다. 커뮤니티 의식에서는 유형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났으나, 옥외공간 사용차이와는 전혀 다른 경향을 나타내 그 상관성이 낮은 것으로 파악하였다. 셋째, 구조모형을 작성해 옥외공간 유형별 공간사용, 이웃관계, 커뮤니티 의식의 전체적인 관계를 살펴 본 결과, 이들 요소 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앞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가설 ?옥외공간 배치유형에 영향을 받는 옥외공간 사용은 이웃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웃관계는 커뮤니티 의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를 세운 뒤 구조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설정된 가설의 모형은 수용할 만한 신뢰도를 나타냈으며, 각 경로에서 높은 수준의 유의도와 영향계수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옥외공간의 사용은 이웃관계 증진을 통해 커뮤니티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 옥외공간의 배치계획은 커뮤니티 의식 활성화를 위한 요소 중 하나로서 많은 연구와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옥외공간 배치계획이라는 물리적 변화가 옥외공간의 사용과 커뮤니티 의식이라는 인간의 행태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과정을 구조적으로 확인한 것에 그 의미가 있다.

      • 옥외공간 활용을 통한 저층 주거지역의 주거환경 개선방안

        박진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저층 주거지역의 옥외공간을 새롭게 활용함으로써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설계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저층 주거지역에서 다가구 및 다세대 주택은 주택공급의 양적인 측면에서 기여를 했다. 하지만 체계적인 관리의 부재는 주택 외부공간 및 인접한 다른 주택에 대한 고려 없이 개별 필지단위의 개발로 이어졌으며 이는 열악한 주거환경을 야기했다. 최근 도시를 관리하는 패러다임이 변화하면서 신축보다는 기존 주택을 유지 및 관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으며 기존의 뉴타운 사업이 점차적으로 백지화됨에 따라 주거환경의 급진적인 변화를 기대하기 어려워졌다. 때문에 기존의 저이용되고 있던 옥외공간의 새로운 활용 가능성을 찾고 공간을 개선하는 방법이 전반적인 주거환경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사유지 공간인 대지 내 옥외공간은 개별 주택의 내부 공간뿐만이 아니라 공공영역인 가로와도 물리적·시각적으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대지 내 옥외공간의 환경개선은 개인의 주거환경과 더불어 전체 도시환경의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재정비촉진구역에서 해제된 서울시 중랑구 중화2동의 주거블록을 사례 대상지로 선정하여 대지 내 옥외공간의 실제 이용현황분석 및 주민들의 인식조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물리적인 개선방법을 제안하였다. 일률적인 법제의 적용 및 사유지를 구분하기 위한 담장 등의 구조물 설치는 사례 대상지 내에 활용 또는 접근이 어려운 협소공간을 만들었다. 또한 협소한 옥외 공간들이 주택 사면으로 파편화되면서 주민들이 일상에서 그 공간들을 이용하고 접근할 기회가 줄어들었다. 이는 녹지에 대한 심리적인 욕구가 있음에도 사유지 내외부에 적극적으로 녹공간을 조성하지 못하게 만드는 원인으로 작용했다. 또한 1970년대부터 1990년대 사이에 지어진 주택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반지하 주거형태는 채광과 환기, 사생활 보호 측면에서 열악한 물리적 환경을 보여주었다. 반지하 주거의 사생활 침해를 막기 위해 설치된 담장 및 각종 차폐시설물 등은 대지 내 옥외공간의 활용 효용을 떨어트리는 주범이 되고 있다. 이 외에도 대상지 블록 한 가운데를 차지하고 있는 교회에서 공간복지 차원의 의향을 보였음에도 현재까지는 폐쇄적인 공간이용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다음 세 가지 목표안을 가진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협소한 대지 내 옥외공간을 개선하여 보다 개방감 있으면서 동시에 사생활 역시 보호되는 안락한 주거공간으로 조성하였다. 둘째, 주택 내외부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녹공간을 제공하였다. 셋째, 폐쇄적이었던 교회의 외부공간을 개방하여 인근 주민들이 일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 공간으로 조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대지 내 옥외공간의 단차조정을 통해 사유지의 소유권을 분리함과 동시에 수직·수평적인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켰다. 또한 반지하주거의 용도변경, 옥외공간의 적극적인 녹화를 통해 사유지뿐만 아니라 공공영역의 환경개선까지 모두 고려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최종 개선안의 내용을 다른 저층 주거지역에서 일반화할 수 있도록 공통된 설계원칙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개별 필지단위가 아닌 인접한 필지들과 공공공간을 고려하며 도시적 차원에서 접근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무엇보다 주민 인터뷰를 통해 공간에 대한 주민들의 관심을 환기하고 개선안 평가단계까지 참여시켰다는 점 역시 설계 논문으로서 가장 큰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가 향후 신축과 보존을 동시에 고려한 연구진행의 밑거름이 될 수 있길 바라본다.

      • 아파트 단지 옥외공간별 환경요소 선호특성에 관한 연구

        이지연 부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Apartment is not just a place to live but a comprehensive environment for a life. As the quality of life has attracted more and more attentions, it is becoming a critical issue whether an apartment, the most popular type of living-space, can provide higher quality of life. To meet the demands for a better life, construction companies are already striv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living-space by designing distinctive outdoor spaces. However, tracking preference and satisfaction upon outdoor spaces themselves are not enough to explain how high quality of life residents in apartments have. Behavior of residents needs to be examined as well for an in-depth analysis for residents? quality of life. Therefore, this paper surveyed residents ? mainly housewives - of apartments and examined their use and behavior, environment preference, and consciousness of outdoor spaces. Outdoor spaces are classified as entrance space, pedestrian space, facility space, and green space. Firstly, the study revealed that apartment residents use entrance space most, followed by pedestrian space and facility space, respectively. Green space has the lowest frequency of usage. 1) Entrance Space: Passage is the most purpose of usage. Residents use entrance space several times every day, largely in the weekday morning with their children. Time of a usage is under 10 minutes. 2) Pedestrian Space: Passage is the most purpose of usage. Residents use entrance space several times every day, largely in the weekday morning with their children. Time of a usage is under 10 minutes. These results imply that pedestrian space as well as entrance space is places for necessary behavior in daily life. 3) Facility Space: Resident checked ?No use due to inadequate facilities? most. In case of usage, resident responded that they use the facility space largely because of its close distance, and for childcare, playing, and light exercise. 4) Green Space: Resident checked ?No use due to inadequate facilities? most. In case of usage, resident responded that they use the green space mainly because of its nice environment, and for a walk, jogging, rest, and light exercise. The study also examined preference for each outdoor space, based on the presumption that each outdoor space is well-designed. Interestingly, the analysis unveiled that residents prefer green space most, followed by facility space, pedestrian space, and entrance space, respectively. This is exactly the opposite results for the usage of outdoor space. In addition, the study found out that environmental preference of residents on outdoor space varies depending on age, income, and the size of an apartment. 5) Entrance Space: Resident prefers entrance space to improve environment of their apartment. They responded that ?location? is the most critical factor for the space. In environmental preference, street lights got the most responses, followed by flower gardens, tree lights, lawns, trees, and benches, respectively. It has shown that the most desired behaviors were passing, and seeing guests in/out, respectively. 6) Pedestrian Space: Resident prefers pedestrian space to improve environment of their apartment. ?Security? was indicated as the most critical factor to concern in designing the space. In environmental preferences, street lights got the most responses, followed by walking/jogging paths, flower gardens, benches, tree lights, and trees, respectively. It was shown that the most desired behaviors were walking/jogging, light exercise, passage, talking to neighbors, respectively. 7) Facility Space: Resident prefers facility space for a relaxation or a recreation. ?Security? was indicated as the most critical factor to concern in designing the space. In the environmental preferences, street lights got the most responses, followed by benches, children?s playgrounds, nurseries, exercise machines, walking/jogging paths, and lawns, respectively. It was shown that the most desired behaviors were childcare, playing, and light exercise, respectively. It is confirmed that the desired time of usage in well-equipped facility space is higher than the actual time they spend in current facility space. 8) Green Space: Resident prefers green space for a relaxation or a recreation. ?Pleasure? was indicated as the most critical factor to concern for the space. In the environmental preferences, street lights got the most responses, followed by lawns, trees, flower gardens, tree lights, waking/jogging paths, tree tunnels, fountains, lawn lights, and pavilions, respectively. It was shown that the most desired behaviors were gardening and walking/jogging, respectively. It is confirmed that the desired time of usage in well-equipped green space is higher than the actual time they spend in current green space.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expected that apartment residents will spend more time doing more various activities in outdoor space, if environments and facilities get improved. Quality improvement of outdoor space brings about significant changes in residents? consciousness of outdoor. Moreover, well-designed outdoor space in apartments will attract more residents to use outdoor space facilities, and thus enjoy a higher quality of life in their apartments.

      • 발코니확장으로 인한 옥외공간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 공공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심방섭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2

        In the past, it was common to integrate the balcony space into the exclusive indoor space illegally in the apartment houses, despite the balconies were allowed as service spaces. Recognizing such a problem recently, the government has legalized expansion of the balconies for residents' convenienc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form of the apartment buildings could be changed with the expanded balconies and how the outdoor living environment could be affected.Specifically,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expanded balconies on the outdoor living space in the apartment houses and suggesting a desirable direction for living environment planning.To this end, the researcher sampled 19 apartment housing blocks including A18-1 block being built at Pangyo, Seongnam by Korea National Housing Corporation.Then, the researcher divided the sample blocks into those oriented toward both inside and outside and those oriented primarily toward inside. In order to evaluate the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 the researcher used such indoor space indices as 'front width of unit house' and 'area of balcony' and such outdoor space indices as 'ratio of outdoor living space' and 'ratio of elevation area of the block.'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it was found that inside/outside-oriented blocks had a more excellent outdoor environment than inside-oriented blocks. Namely, the former blocks had a wider outdoor living space, and therefore, their residents were expected to enjoy a higher life quality, and further, as the ratio of block elevation area was lower, the sense of openness from both inside and outside was conceived better.Second, although indoor living environment was similar between two types of the apartment blocks, the inside-oriented blocks were slightly better than the inside/outside-oriented ones. Namely, the inside-oriented blocks had a longer front width of unit house than the inside/outside-oriented ones, while the ratio of increase of the front width was larger, which means a more favorable sunshine environment and view.In terms of balcony area, two types of blocks were deemed similar. Upon comparing the balcony areas before and after the change, the inside-oriented blocks were found to have their balconies increased more than the inside/outside-oriented blocks. In contrast, in terms of actual balcony area, the inside/outside-oriented blocks had more wide balcony areas than the inside-oriented ones.Therefore, since the inside-oriented blocks had relatively wider block area than the inside/outside-oriented ones, they could have wider exclusive indoor area by unit house. In contrast, in terms of the absolute area of balcony, the inside/outside-oriented blocks had wider balcony area, their in-block life quality would be relatively better.Third, summing up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environment of both outdoor and indoor spaces, it was judged that the inside/outside-oriented blocks had a better living environment than the inside-oriented blocks. Of course, the inside-oriented blocks would be better than those blocks with no balconies expanded. Since the inside/outside-oriented blocks would have less unit houses, they might be unfavorable more or less in terms of business profitability, although they had the best living environment. However, their residents would live a healthy life in a more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In conclusion, as the balconies were expanded to increase the front width of unit house as well as the balcony space, residents' life quality would be improved, but as the blocks were longer to reduce the floor area ratio, the construction profitability was expected to fall. Therefore, in order to ensure the proper profitability, the blocks need to be planned to be higher dense, but in such a higher dense block, the environment for vehicle and pedestrian traffic would be deteriorated, while the green and open spaces would be reduced in both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Accordingly, it is deemed necessary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of the block to expand the balconies and improve the indoor living environment, while improve the outdoor living space.This study may be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the changed outdoor life due to changed balcony space for the first time. In other word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showed the cases analyzed where the apartment block plan should be changed due to changes of balcony plans and thus, the outdoor living space or environment could be changed. 우리나라의 공동주택에서는 서비스면적으로 주어진 발코니 공간을 세대 전용공간으로 불법적인 확장을 하는 것이 보편화 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를 인식한 정부에서는 최근에 입주자의 편의성 제고를 위한 발코니 확장을 합법화하게 되었다.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연구에서는 실내공간인 발코니 공간의 변화로 인해 건축물인 주거동의 형태가 변화하고 더 나아가 옥외생활공간 환경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가정을 확인하고자 한다.공동주택에서 단위세대 구성 요소의 하나인 발코니의 확장이 옥외생활공간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규명하여 바람직한 주거환경의 계획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이러한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대한주택공사의 성남판교 A18-1블록 단지 등 19개 분양단지를 사례단지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이들 사례 단지들을 내부공간과 옥외공간을 동시에 고려하는 내·외부지향형 단지와 내부평면의 개선을 위주로 하는 내부지향형 단지로 유형을 구분하여 비교·평가하였다. 옥내·외의 환경을 평가하기 위하여, ‘단위세대 전면 폭’과 ‘발코니 면적’ 등 옥내공간의 평가지표와 ‘옥외생활공간비율’과 ‘단지입면적률’ 등의 옥외공간의 환경 평가지표를 사용하였다.이러한 과정을 거쳐 도출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옥외공간의 환경은 내·외부지향형 단지가 내부지향형 단지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내·외부 지향형 단지는 내부지향형 단지보다 옥외생활공간이 넓어서 주민들의 옥외공간에서의 생활의 질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단지입면적률도 낮아서 단지 내·외부에서의 개방감도 상대적으로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둘째, 옥내공간의 환경은 내·외부지향형 단지와 내부지향형 단지가 대체로 비슷하나, 내부지향형 단지가 약간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단위세대 전면 폭은 내부지향형단지가 내·외부지향형단지 보다 더 길고 변경 후의 증가폭이 커서 일조환경과 조망환경에서 보다 더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그리고 발코니 면적에 있어서는 내·외부지향형 단지와 내부지향형 단지가 대체로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변경 전·후의 발코니 면적을 비교해 보면, 내부지향형단지의 평면이 내·외부지향형단지의 평면보다 발코니의 면적증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발코니의 실제 면적에서는 내·외부 지향형 단지의 발코니가 내부지향형 단지의 발코니보다 면적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그러므로 변경 전·후의 발코니 면적의 변화에서는 상대적으로 내부지향형 단지의 면적증가가 많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유리해진다고 볼 수 있다. 반면에 발코니의 절대적인 면적에서는 내·외부지향형 단지의 발코니 면적이 크기 때문에 내·외부지향형 단지의 생활의 질은 상대적으로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셋째, 옥외공간과 옥내공간의 환경을 평가한 결과를 종합하면, 내·외부지향형 단지가 내부지향형 단지 보다 환경적으로 우수하다고 판단된다. 물론 본 연구에서 제외한 아무런 변화가 없는 단지보다는 내부지향형 단지가 환경이 우수할 것이다. 환경이 제일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 내·외부지향형 단지들은 세대수가 감소된 단지들이므로 사업성 측면에서는 어느 정도 불리해질 것으로 예상 된다. 그러나 내·외부지향형 단지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보다 쾌적한 거주환경 속에서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결론적으로, 결국 발코니 확장에 따른 단위세대의 전면 폭의 길이 증가와 발코니 공간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주민의 거주성은 향상되었으나, 주거동의 길이 증가로 인해 용적률이 감소되어 사업성은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사업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보다 고밀도로 계획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고밀도의 단지에서는 차량과 보행환경의 저하, 녹지공간과 오픈스페이스의 양적인 감소와 질적인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따라서 단지계획 수립 초기단계에서부터 단지 특성과 여건에 맞추어 발코니확장을 통한 주택내부의 주거환경 개선과 더불어 옥외생활공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계획적인 배려가 필요할 것이다.본 연구는 실내공간인 발코니 공간의 변화에 따른 옥외생활공간의 변화를 분석한 처음으로 시도되는 연구로서 그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발코니 계획의 변화로 인해 건축물인 주거동의 계획이 변화하고 이에 따라 옥외생활공간 환경도 변화될 수 있음을 실제의 사례분석을 통해 보여 주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공동주택 옥외공간의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박수화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2

        사회적으로 소득수준의 향상과 개인 삶의 질에 대한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주거환경에도 많은 변화가 왔다. 기존 주택시장은 공급시장 형태에서 수요시장 형태로 변화되었고, 또한 차별화된 주택만이 성공 마케팅을 위한 유일한 전략으로 ‘특화아파트’마케팅 전략을 강화하여 왔다. 이렇게 ‘특화아파트’라는 차별화로 인하여 옥외 외부공간의 차별화도 더욱 강화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현재의 아파트 단지는 옥외 공간에서 활동하는 사용자인 입주민들이 의견이 제외된 상태에서 건립되어 왔으며, 이러한 외부공간은 실제 거주자인 주민들로부터 만족을 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쾌적하고 편리한 아파트 외부공간의 설계를 위하여 사례대상지를 선정하여 그 내용을 분석한 것으로써, 아파트 외부공간 설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건축물 규모의 실태를 조사하고 그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현재 외부공간의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브랜드별 아파트의 사례대상지를 선정하여 현장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하여 그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단지의 규모별 특성을 분석하여 보면 대지면적과 층수, 건축면적, 연면적, 조경면적은 비례적인 요소로써 대지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해당 요소도 증가함을 알 수가 있다. 반면에 대지면적과 건폐율, 용적률은 반비례적으로 해당 요소 비율이 떨어지고 있음이 조사 되었다. 대지면적과 옥외공간율은 대지면적의 증가에 따라 그 비율은 변함이 없음을 알 수가 있었다. 특히 용적률의 증가와 옥외공간비율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지 않아 건축물 규모와 옥외공간률은 커다란 의미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체적으로 본 설문조사를 통하여 ‘단지 내 옥외공간 시설에 대한 거주자 만족도’의 종합적인 조사분석 결과 서울 동부지역의 망우동단지(3.29점)와 정릉동단지(3.15점), 그리고 경기 동부지역인 토평동단지(3.00)에서 3.0점 이상의 만족도 점수가 평가되어 보통이상이라고 조사가 되었다. 1,000세대 이상 단지인 인천 서부지역의 산곡동단지(2.98점)와 검단동단지(2.90점), 경기 동부지역의 수택동단지(2.99점)에서는 모두 3.0점 이하로 조사되어 ‘옥외 공간시설에 대한 거주자 만족도’가 불만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브랜드와 규모별 아파트 만족도 조사를 분석한 결과 입주민들의 만족도 성향은 세대수나 건축규모적인 측면보다는 브랜드의 이미지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으며, 특히 사업별로 그 내용을 분석하여 보면 재건축단지의 재정착률이 높은 단지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입지적 요소에서 아파트 단지의 입지와 주변의 물리적 환경에 따라 만족도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입지적 요소에서 아파트 단지의 입지와 주변의 물리적 환경에 따라 만족도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단지 내부적인 측면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는 하지만 현재의 입주민의 성향은 사업에 따른 재정착률, 주변환경, 단지 내 옥외공간 등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re are considerable changes to the residential environment due to the advent of a mature societ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the standard of incomes. The type of market has been converted from the supply to the demand in regards of the existing housing market and intensified the competitive edge in Brand marketing strategy so called "Specialized Apartment" as the sole way for the successful marketing in the differentiated housing market. Moreover, the differentiation for the open outdoor space has been much intensified under the pretext of "Specialized Apartment", however, the present apartment complexes have been constructed by being exempted from the opinion of the tenants who avail of the open space and it has been revealed by the doubts about the satisfaction of using its open space from the actual residents in the real circumstances. Therefore, this study has been given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in-depth contents by selecting the case locations of the characteristic for the design of an amenity and convenience in open space in residential complex. An analysis of correlation and the actual condition for a scale of building might have an effect on the design of its open space in apartment complex have been applied to this research. Further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satisfaction of open space in residential complex through the medium of questionnaire and on-the-spot survey with selected locations of an apartment complex classified by a brand name, and to produce the data referred to the design of open space in apartment complex henceforward. The summaries on this study are as followed. First of al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r the case complexes by using the characteristic depending on size, it conspicuously appears that the factors including plottage, the number of floors, building area, Floor area and Landscaping Area are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increase of the relevant elements as the plottage may increase. On the other hands, the results show that the factors including Building Coverage Ratio, Floor space index ar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decrease of the relevant elements as the plottage may decrease. And there is no change into the proportion to the increase of plottage and outdoor space ratio. Especially, there is no great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 scale of building and outdoor space ratio. The second, all things considered through the medium of this in-depth questionnaire in regards of the 'A survey on the satisfaction of a resident for the facility of its open space in residential complex', the highest level of the satisfaction was formed 3.29 points of Mang-u-dong complex located in the eastern area of Seoul between more than 500 and less than 1,000 residences, and the lowest level of the satisfaction was formed 3.05 points of Geomdan complex located in the western area of Incheon with over 1,000 residences. As the result of a comprehensive survey, 3 of the cases have been evaluated the satisfaction points over the average (3.00) with over Mang-u-dong complex and Jeongneung-dong complex were formed by (3.29) and (3.15) located in the eastern area of Seoul, and Topyeong-dong complex was formed by (3.00) points has been formed by grading the satisfaction points located in the eastern area of Gyeunggi province for with in order of sequence. On the other hands, 'The satisfaction of a resident for the facility of its open space in residential complex' in some areas such as San-gok(2.98 points)/Geomdan-dong(2.90 points) complexes in Incheon and Su-taek-dong complex(2.99 points) located in the eastern area of Gyeunggi province have been ranked with less than 3.00 points even if the complexes contained over 1,000 residences, it means that the dissatisfaction of open space in those residential complexes is higher than others. The third, as followed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satisfaction of apartment complex with using the factors on size and brand name, the most important element for the propensity of the satisfaction to residences was come out with the image of the brand rather than the viewpoint of the building size or the number of households. Especially, the highest ratio of re-settlement in the reconstruction complexes comes up with the high level of satisfaction referring to the results on this study, however, the results show up the lower ratio of satisfaction than re-settlement in the case of the residences considering their apartment complexes as using for an investment element. There is a difference of the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physical environment around and the location of a residential complex in terms of the locational factors. Likewise, it conspicuously appears that there is a great difference for the satisfaction of open space according to the physical environment around and the location of the apartment complex from the viewpoint of the locational elements. As a result from the analysis to figure out that the propensity of the present residents was revealed in order of sequence as followed the ratio for resettlement, its surroundings and the open space in apartment complex in terms of the business plan.

      • 공동주택 옥외공간의 친환경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 한화 Eco-Metro 사례를 중심으로

        조훈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2

        최근 현대 사회에서 전 세계적으로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면서 자연환경의 보호와 관리를 위한 환경 페러다임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환경 중에서도 특히 건축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서 선진 각국에서는 이미 그린 빌딩, 친환경 건축, 생태건축, 환경친화형 건축, 지속가능한 건축, 환경공생 건축 등 다양한 개념으로 보다 에너지 절약적이며 자연 보존적인 건축물 및 거주 쾌적성을 제고할 수 있는 건축 환경을 만들기 위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건축물에 대한 환경적인 변화와 노력은 주거환경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최근 지속가능한 개발을 원칙으로 하는 환경친화형 주거단지들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친환경 주거단지에 대한 건축적, 환경적, 정책적 노력이 시작되는 단계로서 현재의 친환경 주거단지는 단지 내의 녹지 공간이나 단순히 몇 가지 환경 친화적 계획 요소를 도입함으로써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는 실정이며 친환경 아파트에 관한 새로운 방향을 탐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공동주택단지 옥외공간의 친환경 계획요소 도출을 위해 필요한 문헌연구, 사례연구를 하였고 문헌연구를 통해 공동주택단지 옥외공간에서의 친환경적 계획요소 용어의 개념을 정립하고, 국내외의 생태주거단지의 사례분석과 연구동향을 검토하여 적용빈도의 분석과 옥외공간에 적용된 실태를 파악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도출된 계획요소를 바탕으로 적용 대상지에 대한 설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