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생 여가스포츠 교육프로그램 참가자의 여가기술에 따른 스포츠 소비행동 분석

        윤여옥 한국체육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생 여가스포츠 교육프로그램 참가자의 여가기술에 따른 스포츠 소비행동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생 여가스포츠 참가자의 여가기술, 여가인지에 따른 스포츠소비행동의 관계규명을 위하여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statistics),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표준중다회귀분석(standard multiple regression),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8년 현재,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하며, 체육 특기ㆍ적성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교 6곳에서 프로그램에 참가하고 있는 초등학생 240명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다단계 유층집락(multi-stage stratified cluster sampling)을 이용하여 불성실한 40명의 자료를 누락시킨 후 최종적으로 200명을 추출․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도구는 여가스포츠 참가자의 여가기술에 따른 스포츠소비행동 분석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체육 특기ㆍ적성 프로그램 참가자의 여가기술에 따른 스포츠소비행동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체육 특기적성 교육프로그램 참가자에 대한 여가기술은 성별, 학년, 가계소득, 종교에서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학년이 낮거나 높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수입이 많을수록, 천주교 집단이 여가기술에 있어서 신체적, 인지적, 태도적 측면이 높게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스포츠 소비행동에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직접 소비행동에서는 성별, 학년, 가계소득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성별은 남학생이, 학년은 높을수록, 가계소득이 높을수록, 직접소비를 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별, 학년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학년이 낮을수록 간접소비를 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 특기적성 교육프로그램 참가자의 여가기술에 따른 스포츠소비행동에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여가스포츠 참가자의 여가기술인 신체적 기술, 인지적 기술이 높아질수록 직접 소비행동인 기간, 빈도, 강도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신체적 기술과 태도적 기술은 간접 소비행동인 경기장관람, TV시청, 라디오청취, 신문ㆍ잡지 구매와 구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인지적 태도는 경기장관람과 라디오청취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 대학생의 여가스포츠 참가와 여가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유환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ed to exam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leisure sports and leisure satisfaction on university students' life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67 university students(270 male and 197 female) who are currently enrolling in the university which are located in Busan and method of survey was the questionnaire of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which was used by Lee, Jong-kil(1992).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ath analysis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the way of analysis of the collected statistic data. The following conclusion is showed in this study through the above method of study and procedure. 1) The sex and subjective health influence to participation in the leisure sports. The rate of the participation of men is higher than women's and the better subjective health, the higher rate of participation in leisure sports. 2) Participation in leisure sports influences sex, subjective health, grade, income, and the leisure satisfaction. That is, the higher rate of participation in leisure sports, the more leisure satisfaction, the rate of the participation of the men is higher than women's, and the higher subjective health, grade, and income, the more leisure satisfaction. 3) Participation in leisure sports and leisur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fluence subjective health, grade, and life satisfaction. That is, the higher rate of participation in leisure sports and leisure satisfaction, the more life satisfaction, and the higher subjective health and grade, the more life satisfaction. 4) There ar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participation in leisure sports,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in leisure sports influences improvement of life satisfaction directly. Also it influences life satisfaction indirectly through the leisure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e participation in leisure sports of university students contributes to increase leisure satisfaction and improve life satisfaction.

      • 여가스포츠활동 참가가 결혼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백성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Effect of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on Marital Satisfaction Beak, Sung-Min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onsei University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 of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on marital satisfaction. In order to fulfil such purpose, the study established the population of the married over one year dwelling in Seoul at the time of 2003 and sample about 600 persons in four areas of Kangdong, Kangsseo, Kangnam and Kangbuk around Hangang river with the method of multi-stag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Although 583 participants responded, only 567 were used for data analyses because 16 were considered to be incompletely or responded to incorrectly.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The questionnaires for measuring marital satisfaction as one of variables in this study, I used questionnaires being changed and standardized by You, Eun Hee(1991)''s measuring tools which is modified to the Korean culture with the 48 sentences among which Bowden, Fraier and Roach(1981) selected the higher critical sentences from the 180 MSI questionnaires Snyder(1979) has developed.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the statistical program of SPSSPC+ 11.0 version of Window and the study utilized for analyzing collected data were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OVA, ANCOVA,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Form the analysis of data, this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Firstly, there are partial difference in marital satisfaction on the basi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variable. Practically, the marital satisfaction differs to the gender, age, occupation, religion, education, monthly income , age span among wife and husband, marriage style, number of children. The marital satisfaction to the gender depends on the mind of colleague, difference between man and woman and those of man is higher than those of woman. The 40th''s satisfaction is higher than other groups in relation with the emotional sense, communication and sexual life satisfaction. But the over 50th''s satisfaction in relation with the self consciousness it is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With the occupation, that of the entrepreneur is higher than the others when it accords to the colleagued mind, emotional coalition, communication, sexual life and attitude between wife and husband and when it accords to the satisfaction of the self consciousness, other groups of occupation are higher than this. When it regards to the religion, the christian couples are higher than the others in the senses of colleague, emotional attitudes, communication, the satisfaction of the couples''s attitude. But when it mentions to the educational background, the masters are higher in connection with the colleague, emotion, communication. When it sees the monthly income, the groups under 3-4hundred group showed higher satisfaction and when it relates to the emotional coalition, communication. self consciousness, the income earners over 4million are higher than the others. Years of married and age span showed that spouses of 3~4years age span is higher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the span over 20years showed higher satisfaction in the sense of communication but when it accords to the sexual satisfaction, those under 1~5years showed higher satisfaction. To the difference of the marital satisfaction in connection with the marriage style, the married through love showed higher satisfaction in connection with the emotion, communication, sexual life and attitude along with self consciousness. When it says about children, the no-child family showed highest satisfaction and the family over three showed higher. Lastly, Participation in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influences on the marital satisfaction. The participants thus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the non-participants or single participant in the sense of colleague, emotion, communication, sexual life, attitude and of self consciousness which are lower variables. The leisure sports activity of the couple effect on the colleague, emotion, communication, attitude and self consciousness. The satisfaction of the colleague affected positively when they gain in sports more actively and their emotion, communication, attitude, self consciousness will be higher when they participate positively in the leisure sports activity. 본 연구는 여가스포츠활동 참가가 결혼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3년 현재,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결혼 1년 이상 된 성인 남녀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서울지역의 한강을 중심으로 4개 지역(강동, 강서, 강남, 강북)으로 총 4개의 각 지역별 150명씩, 총 600명을 유층집락무선표집법(multi-stag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의 방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자료 수집을 위한 측정도구는 설문지로서 결혼생활만족 설문지는 Snyder(1979)가 개발한 180문항의 결혼만족도검사(MSI)를 Bowden, Fraier와 Roach(1981)이 문항변별도가 높은 48개의 문항만을 취하여 짧은 형태로 재구성한 척도를 유은희(1991)가 우리나라의 문화적 배경에 맞도록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자료 분석은 Window용 SPSSPC+ 11.0 Versio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설정한 변인의 하위변인별 신뢰도검증과 일원변량분석, 공변량분석, 표준중다회귀분석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이러한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여가스포츠활동 참가가 결혼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1.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결혼생활만족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결혼생활만족은 성별, 연령, 직업, 종교, 교육수준, 월평균 가계수입, 배우자와 연령차이, 결혼한 년 수, 결혼유형, 자녀수에 따라 차이가 있다. 성별에 따른 결혼생활만족의 차이는 동료감, 부부태도 만족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다. 연령에 따른 결혼생활만족의 차이는 성격적응, 의사소통, 성생활 만족에서는 40대 집단이 그 외의 집단보다 더욱 높으며, 자아개념 만족에서는 50대 이상 집단이 그 외의 집단보다 높다. 직업에 따른 결혼생활만족의 차이는 동료감, 성격적응, 의사소통, 성생활, 부부의태도 만족에서는 자영업에 종사하는 집단이 그 외의 집단보다 높으며, 자아개념 만족에서는 기타 직종에 종사하는 집단이 그 외의 집단보다 높다. 종교에 따른 결혼생활만족의 차이는 동료감, 성격적응, 의사소통, 부부의태도 만족에서 기독교 집단이 그 외의 집단보다 높다. 교육수준에 따른 결혼생활만족의 차이는 동료감, 성격적응, 의사소통 만족에서 대학원졸업이상 집단이 그 외의 집단보다 높다. 가계수입수준에 따른 결혼생활만족의 차이는 동료감 만족에서는 300-400만원미만 집단이 그 외의 집단보다 높으며, 성격적응, 의사소통, 자아개념 만족에서는 400만원 이상 되는 집단이 그 외의 집단보다 높다. 배우자와 연령 차이에 따른 결혼생활만족의 차이는 의사소통에서 3-4살 차이집단이 그 외의 집단보다 높다. 결혼한 년 수에 따른 결혼생활만족의 차이는 성격적응과 자아개념 만족에서는 20년 이상 집단이 그 외의 집단보다 높으며, 성생활 만족에서는 1-5년 미만 집단이 그 외의 집단보다 높다. 결혼유형에 따른 결혼생활만족의 차이는 성격적응, 의사소통, 성생활, 부부의태도, 자아개념 만족에서 연애혼 집단이 그 외의 집단보다 높다. 자녀수에 따른 결혼생활만족의 차이는 성생활 만족에서는 자녀가 없는 집단이 그 외의 집단보다 더욱 높으며, 자아개념 만족에서는 3명이상 집단이 그 외의 집단보다 높다.2. 여가스포츠활동 참가유형에 따라 결혼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먼저 여가스포츠활동 참가 형태에 따른 결혼생활만족의 차이는 여가스포츠활동에 함께 참가하는 부부가 여가스포츠활동에 혼자참가하거나 비참가하는 부부보다 결혼생활만족의 모든 하위변인인 동료감, 성격적응, 의사소통, 성생활, 부부의태도, 자아개념 만족이 높다. 여가스포츠활동 참가정도는 동료감, 성격적응, 의사소통, 부부의태도, 자아개념 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부부간의 동료감 만족은 여가스포츠활동 참가정도가 높을수록 영향을 받으며, 부부간의 성격적응, 의사소통, 부부의태도, 자아개념 만족은 여가스포츠활동 참가 빈도가 높을수록 영향을 받는다.핵심 되는 말: 여가, 여가스포츠활동, 여가스포츠활동 참가, 결혼생활만족

      • 여가스포츠로서의 태권도 인식조사 및 발전방안 모색

        노순명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Taekwondo as a leisure sports and provide developmental plans. This study have applied mixed-methods design. In order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Taekwondo as a leisure sport, I have performed a survey to 11 association staffs, 115 coaches(62 directors and 53 masters), 113 participants(49 juveniles and 64 adults), and depth interview to 2 association staffs, 4 coaches(2 directors and 2 masters), 4 participants(2 juveniles and 2 adults). The result obtained from this procedure is as following. First, concerning the aspects of human resource, it was perceived that the programs for training coaches and re-education do not reflect reality, educational materials and facilities are insufficient, and many coaches do not qualify as a leader. Thus, it is needed to develop various and professional training programs which reflect the demand of coaches and trend of the time, to establish training centers in city & province associations to offer chances of educational participation, and to raise the qualification for becoming a coach as well as to introduce the system for evaluating him/her. In aspects of a leisure sport, it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to include leisure-related contents to the training program and educate the coaches, so that they will have the correct perception of leisure. Second, for adults, the reasons for practicing Taekwondo were enhancement of health and physical strength, pursuit of pleasure and relieving stress in leisure time, improving sociality and internal growth, while the reasons for not learning it were absence or insufficiency of program for adults, other sports that are more interesting, physical and mental burden, etc. Thus, in order to elevate Taekwondo as a leisure sport, it is needed to develop and improve various programs, facilities and environment considering the aspects of pleasure and fun, relieving stress, etc., while maintaining the aspect of martial arts, so that adults can easily approach to it. Third, concerning the management of Taekwondo, it was perceived that advertisements through mass media are not enough, facilities and tools are insufficient, employment and welfare conditions are not good. Thus, it is needed to find a strategy for advertisement through various mass media, to improve working conditions and have a welfare system, to investigate for modern facilities and tools which can induce fun and pleasure, so that Taekwondo hall can serve as the center of the leisure culture. Fourth, concerning the educational aspect of Taekwondo, it was perceived that the educational programs lack diversity depending on gender and age, tutorials and textbooks are insufficient, evaluation of Taekwondo activities are not being done well. Thus, it is needed to re-establish the educational purpose of Taekwondo that can adapt various ages and levels, and leisure factors should be also considered here. It is also necessary to prepare curricula in each level and evaluation system, to motivate the practitioners and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Fifth, coaches, participants, association staffs all were perceiving Taekwondo as martial arts and life sport but not as a leisure sport. However, they did not think that Taekwondo is less interesting than other sports, but it has many factors of fun and pleasure. In order to elevate Taekwondo as a leisure sport, first of all, it is needed to change the perception of Taekwondo and improve its image. Considering the fact that leisure sports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an individual's physical strength and health, satisfaction, pursuit of pleasure, as well as social harmony and unification, we should diffuse the perception that Taekwondo also has enough value for a leisure sport. Programs and educational materials containing the leisure factor should be developed, and must be taught in coach training and re-education processes. In addition, to prepare for the leisure time which introduces a five-day only work and pursues well-being, it is needed to prove that Taekwondo, as a leisure sport, brings us physical, mental health and psychological happiness through fun, pleasure and devotion to it, and as a consequence, it can improve the quality of our lives. In conclusion, Taekwondo has enough values for a leisure sport and a lot of possibilities, and we can expect new practitioners and continuous training by developing factors of fun and pleasure, while maintaining its nature as martial arts. Also, it is considered that we could improve the negative image and perception about Taekwondo.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지역을 중심으로 여가스포츠로서 태권도의 인식을 조사해보고 바람직한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통합방법설계(mixed-methods design)를 적용하였다. 여가스포츠로서 태권도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협회임원 11명, 지도자 115명(관장 62명, 사범 53명), 참여자 113명(청소년 49명, 성인 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협회임원 2명, 지도자 4명(관장 2명, 사범 2명), 참여자 4명(청소년 2명, 성인 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 인적요인과 관련하여 지도자 양성 및 재교육 프로그램이 현실에 적합하지 않고, 교육 자료나 시설이 부족하며, 자질이 부족한 지도자가 많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일선지도자의 요구와 시대적 변화를 반영한 다양하고 전문적인 연수프로그램이 개발이 필요하고, 시·도 협회에 연수원을 개설하여 교육 참여 기회를 다양하게 제공해야 하며, 지도자의 자격 조건을 높이고 지도자 평가 제도를 도입해야 할 것이다. 여가스포츠적 측면에서는 여가와 관련된 내용을 연수 프로그램에 포함시켜 교육시킴으로써 지도자들이 여가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둘째, 성인층 태권도 활성화에 있어서 성인들이 태권도를 수련하는 이유로는 건강 및 체력증진, 여가시간을 활용한 즐거움의 추구와 스트레스 해소, 사회성 향상, 내면적 성장 때문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반면, 배우지 않는 이유로는 성인프로그램의 부재와 다양성 부족, 타 스포츠가 더 재미있기 때문, 신체적, 심적 부담 때문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여가스포츠로서 태권도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태권도의 무도적인 측면은 유지하면서 성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재미와 즐거움, 스트레스 해소라는 여가적 측면을 고려하여 다양한 프로그램과 시설, 환경 등이 다각적으로 개선되고 개발되어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셋째, 태권도 운영요인과 관련하여 대중매체를 통한 홍보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시설 및 용구가 부족하고, 고용과 복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협회차원에서의 다양한 대중매체를 통한 홍보 전략이 필요하고, 실질적인 근무조건 개선과 복지후생제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시대와 요구에 맞는 현대적 시설 및 재미와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용구 등의 투자를 통하여 태권도장이 여가문화의 공간으로서 역할을 감당해 나가도록 해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넷째, 태권도의 교육요인과 관련하여 성별과 연령에 따른 다양한 교육프로그램부족, 지도서나 교과서의 부족, 태권도 활동에 대한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연령과 수준에 맞는 태권도의 교육 목적을 재정립해야 할 것이고, 이때 여가적인 요인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단급별 커리큘럼을 정비하고 평가시스템을 도입하여 수련자의 동기를 유발하고 교육의 질을 높여 나가야 할 것이다. 다섯째, 태권도 지도자, 참여자, 협회임원 모두 태권도를 무도스포츠와 생활스포츠로는 인식하고 있었고 여가스포츠라고는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으나 태권도가 타 스포츠에 비해 재미없는 운동으로 인식하고 있지 않았으며, 태권도에 재미와 즐거움의 요소가 많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스포츠로서 태권도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먼저 태권도가 여가스포츠라는 인식의 전환과 이미지의 개선이 필요하다. 여가스포츠가 개인의 체력, 건강 증진 및 개인적 만족, 즐거움의 추구, 그리고 사회적 조화와 통합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볼 때 태권도도 여가스포츠로서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의식을 계몽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태권도 교육 내용에 여가적인 요소가 포함되도록 프로그램이나 교육 자료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지도자 양성과 재교육 과정에서 반드시 교육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주5일제 근무제도의 도입과 웰빙을 추구하는 여가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태권도가 여가스포츠로서 재미와 즐거움, 몰입의 통해 신체적, 정신적인 건강은 물론 심리적 행복감을 가져다주며, 결과적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치가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도록 태권도의 다양한 측면에 적용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처럼 태권도는 여가스포츠로서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있기에 발전 가능성이 있으며, 태권도의 무도로서의 본질을 훼손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재미와 즐거움의 요소를 개발함으로써 새로운 수련층 확보는 물론 지속적인 수련이 가능하게 될 것이며, 태권도에 대한 편향되고 부정적인 사회적 인식 및 이미지도 개선될 것이라 사료된다.

      • 여가스포츠 참여유형과 매니아 수준이 건강신념 및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강영국 한국체육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여가스포츠 참여유형과 매니아 수준이 건강신념 및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에 연구대상은 2013년 현재 서울, 경기 지역의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분포를 고려하여 서울, 경기지역 각각을 동, 서, 남, 북으로 4개 구역으로 구분한 다음 2차적으로 각각의 4개 구역에서 무선으로 시와 구를 선정하고 여가스포츠 참여자를 무선으로 선정하여 유의표집법을 이용하여 남자 193명, 여자 185명, 총 378을 표집 하였다. 조사도구로 여가스포츠 참여유형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홍백(2008) 제시한 여가스포츠의 특징을 참고로 하여 일반스포츠와 모험스포츠로 구분하였으며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매니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임준택(2002)의 연구에서 사용한 매니아 수준을 참고로 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건강신념을 측정하기 위해 이영숙(2005)이 사용한 건강신념설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활용하였으며 건강증진행위를 측정하기 위해 서현미(2001)가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검증하기 위하여 응답이 완성된 자료를 회수한 후 부호화(coding)하였으며 부호화된 자료를 컴퓨터에 개별 입력시킨 후 통계 프로그램인 SPSS Windows 18.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 목적에 맞게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에 따른 자료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건강신념 및 건강증진행위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스포츠 참여유형에 따라 건강신념 및 건강증진행위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매니아 수준이 건강신념 및 건강증진행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건강신념이 건강증진행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고등학생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여정도에 따른 여가제약과 여가만족도의 관계

        박민수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thesis is intended to study relations between leisure restriction and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ir participation in leisure sports activities and conduct a detailed, comprehensive and fundamental study on their satisfaction of leisure activities after analyzing their participation and restriction in leisure activities to create leisure sports cultures, develop and supply reasonable leisure programs. For this study, a total of 452 students were sampled among first and second graders in five high school located in the B region, S city, Gyeonggi-do, Korea from June 27 to September 30 2009.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 collected from 452 students (Male 187, Female 265) were statistically analyzed for the purpose of study. The studying tool was questionnaire which includeda total of 24 questions, such as 10 questions including 3 for background variables, 2 for participation, 5 for interpersonal restriction as the sub-section of leisure restriction, 3 for internal restriction, 2 for structural restriction, 6 for educationalsatisfaction, 4 for physical satisfaction, 5 for social satisfaction, 4 for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5 for psychological satisfaction in the five sub-sections of leisure satisfaction. The difference among groups was analyzed by using a statistical program 10.5 version: t-test with 5% in significance level, difference test with one-way ANOVA, and Scheffe in post-hoc analysis. Also,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d difference between participation, leisure restri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and relations between participation, leisure restri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articipation (frequency and intensity)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including gender, school year,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gender (1%), school year (0.1%),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rticipation frequency and all criteria (gender, school year,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0.1%) in the participation intensity. Second, i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leisure restriction (interpersonal, internal and structural restriction)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including gender, school year,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gender (0.1%)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5%)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personal restriction and all criteria (gender, school year,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5%) in the structural restriction. Third, i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leisure satisfaction (education, physical, social, environmental, and psychological)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including gender, school year,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gender (0.1%) and school year (1%)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all criteria (5% in gender, 1% in school year, and 0.1% in monthly household income)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hysical satisfaction. Gender (5%), school year (0.1%), and monthlyhousehold income (1%)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ocial satisfaction; school year (1%)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0.1%)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nvironmental satisfaction; monthly household income (1%)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sychological satisfaction. Fourth, the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leisure sports activities on leisure restriction revealed that participation frequency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 in the interpersonal, internal, and structural restriction; participation intensity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 in the interpersonal and structural restriction. Fifth, leisure satisfaction was influenced according to high school students’participation in leisure sports activities. In other word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tronger participation intensity, the higher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e higher participation frequency, the higher physical satisfa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여 정도에 따른 여가제약과 여가만족도와의 관계를 규명하여 고등학생들의 여가스포츠 문화를 조성해주고 합리적인 여가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을 위해 고등학생들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여정도와 이러한 참여가 어떠한 제약을 받는 지를 알아본 후 여가만족도에 대한 구체적이고 포괄적인 기초연구를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를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2009년 6월 27일부터 9월 30일까지 현재 경기도 S시 B지역을 소재로 하고 있는 5개 고등학교 1·2학년에 다니고 있는 학생을 모집단으로 표집하여 총 452명으로부터 회수된 자료(남학생 187명, 여학생 265명)가 연구 목적에 따라 통계 처리 되었다. 검사도구로는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배경변인 3문항, 참여정도의 2문항, 여가제약의 하위 영역인 대인적 제약 5문항, 내적 제약 3문항, 구조적 제약 2문항으로 총 10문항, 여가만족도의 5개 하위영역에서 교육적 만족도 6문항, 신체적 만족도 4문항, 사교적 만족도 5문항, 환경적 만족도 4문항, 심리적 만족도 5문항으로 총 24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배포, 회수한 후 통계프로그램 15.0 Version을 활용, 검증을 위한 유의수준은 5%로 하고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으로 차이검증 후 Scheffe의 사후검정을 통하여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분석하여 배경변인에 따른 참여정도, 여가제약, 여가만족도의 차이와 참여정도와 여가제약 및 여가만족도의 관계에 관하여 결과를 얻었다. 검사자료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인 성별, 학년, 월 가계소득에 따른 참여정도(빈도, 강도)의 차이분석에서는 성별(1%수준), 학년(0.1%수준), 월 가계소득(5%수준)이 참여빈도에서 유의 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참여강도는 성별, 학년, 월 가계소득 모두 0.1%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배경변인인 성별, 학년, 월 가계소득에 따른 여가제약(대인적, 내적, 구조적)의 차이분석에서는 성별(0.1%수준), 월 가계소득(5%수준)이 대인적 제약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구조적 제약에서는 성별, 학년, 월 가계소득 모두 5%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배경변인인 성별, 학년, 월 가계소득에 따른 여가만족도(교육적, 신체적, 사교적, 환경적, 심리적)의 차이분석에서는 성별(0.1%수준), 학년(1%수준)이 교육적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신체적 만족도에서는 성별(5%수준), 학년(1%수준), 월 가계소득(0.1%수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교적 만족도에서는 성별(5%수준), 학년(0.1%수준), 월 가계소득(1%수준)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환경적 만족도에서는 학년(1%수준), 월 가계소득(0.1%수준)이 유의한 차이를 타나냈으며, 심리적 만족도에서는 월 가계소득(1%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고등학생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여정도가 여가제약에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결과는 참여빈도가 대인적, 내적, 구조적 제약 모두 유의한(p<.001) 차이를 나타냈으며, 참여강도는 대인적, 구조적제약에 유의한(p<.001) 차이를 나타냈다. 다섯째, 고등학생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여정도에 따라 부분적으로 여가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즉, 참가강도가 높을수록 심리적 만족도가 높고, 참여빈도가 많을수록 신체적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여가스포츠 동호인의 재미요인을 통한 여가몰입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선택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여가스포츠 동호인의 재미요인이 여가몰입,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재미요인이 여가몰입에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주며, 영향을 받은 여가몰입이 여가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함으로써 여가스포츠를 참여하는 동호인들이 재미와 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받고 만족을 받는지 설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2012년 현재 여가스포츠의 종목 상관없이 동호회에 가입하여 활동 중인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제 분석에는 최종 오류검증 절차를 거친 277명의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조사도구로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여가스포츠 동호인의 재미요인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병준(1997)이 개발한 스포츠 재미요인 질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여가몰입 측정에는 Scanlan외 공동연구자(1993)가 제시한 ESCM을 정용각(1997)이 국내 실정에 맞게 수정하고 개발한 스포츠 몰입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여가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Beard & Ragheb이 개발하고 이종길(1992)에 의해 번안된 여가만족 척도 LSS(Leisure Satisfaction Scale)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s용 SPSS 20.0과 AMOS 18.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 목적에 따라 처리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기술통계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의 검증에는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과 확인적 요인분석(factor confirmatory analysis),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가설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규명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가설을 검증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스포츠에 참여하고 있는 동호인의 재미요인과 여가몰입과의 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여가스포츠 동호인의 재미요인은 여가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여가스포츠 동호인들이 스포츠 활동을 하면서 재미와 같은 긍정적인 경험을 많이 느끼면 행하고 있는 스포츠 활동에 대해 몰입도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여가스포츠의 참여하고 있는 동호인의 여가몰입과 여가만족간의 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여가 스포츠 동호인의 여가몰입은 여가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여가스포츠 동호인들이 스포츠 활동을 하면서 몰입의 경험을 많이 경험할수록 여가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볼 때, 늘어나는 여가시간에 대한 활용방안으로 여가스포츠 활동에 참여하여 그 활동 안에서 재미와 같은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할수록 더욱더 많은 스포츠 활동에서의 몰입을 경험하게 되고, 이러한 몰입의 경험 여가의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제시할 수 있다.

      • 여가스포츠 참여 중년여성의 여가제약, 여가제약협상 및 여가만족의 구조적 관계

        배연준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여가 스포츠에 참여하는 중년여성의 여가제약, 여가제약협상 및 여가만족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 여가제약과 여가만족의 관계에서 여가제약협상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여가 스포츠에 참여하는 중년여성의 중도 포기를 막고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중년여성의 건전한 여가선용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문화체육관광부(2021)의 국민 생활체육 조사 중년 여가 스포츠 참여율 상위 5개 종목인 걷기, 등산, 보디빌딩(헬스), 요가(필라테스), 골프 종목을 대상으로 동호회와 상업 스포츠시설 및 공공스포츠시설, 교육기관 등에서 참여하고 있는 집단을 중심으로 최소 6개월 이상, 1회 50분 이상 여가 스포츠에 참여하는 서울·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중년여성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비확률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2023년 7월 31일부터 8월 18일까지 19일간 중년여성 43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후 응답 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된 19부를 제외한 총 411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BM SPSS Win Ver. 28.0과 Amos Win Ver. 28.0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원 변량 분산분석과 사후 검증을 하였다. 또한, 변인별 하위요인과의 관계를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인과 구조모형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매개효과와 유의성 검증을 위해 매개 회귀분석 및 부트스트랩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여가 스포츠 참여 중년여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여가제약, 여가제약협상, 여가만족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여가제약과 여가제약협상 및 여가만족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여가 스포츠에 참여하는 중년여성의 여가제약은 여가제약협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 스포츠에 참여하는 중년여성의 여가제약협상은 여가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가 스포츠에 참여하는 중년여성의 여가제약은 여가만족에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여가 스포츠에 참여하는 중년여성의 여가제약협상은 여가제약과 여가만족 간의 관계에 있어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인 관점에서 볼 때 중년여성의 지속적인 여가스포츠활동을 위하여 개인의 심리적인 부분에서 발생하는 내재적 제약과 환경적 측면에서 발생하는 구조적 제약, 대인관계와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대인적 제약을 여가제약협상 전략을 통해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면 여가만족을 향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즉, 중년여성의 지속된 여가스포츠활동과 여가만족을 향상하려면 여가제약을 감소하거나 제거하려는 노력과 여가제약협상을 활용하여 극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constraints,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leisure sports and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constraints and leisure satisfaction. In order to carry 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s(2021) national sports survey conducted on clubs and clubs targeting the top five sports walking, hiking, bodybuilding(fitness), yoga(pilates), golf with middle-aged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rate. Middle-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leisure sports for at least 6 months for at least 50 minutes at a time were selected as the population, focusing on groups participating in commercial sports facilities, public sports facilitie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using convenience sampling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430 middle-aged women over 19 days from July 31 to August 18, 2023. Afterward, a final analysi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411 people's data, excluding 19 whose responses were judged to be poor or unreliable. In this study, IBM SPSS Win Ver. 28.0 and Amos Win Ver.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nd post hoc testing were conducted through the 28.0 program.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each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causal structure model, and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and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s in leisure constraints,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leisure sports,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isure constraints,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Second, the leisure constraints of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leisure sport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Third, negotiation of leisure constraints among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leisure sport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leisure satisfaction. Fourth, the leisure constraints of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leisure sports were not found to be significant for leisure satisfaction. Fifth, the negotiation of leisure constraints among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leisure sport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constraints and leisure satisfaction. When looking at the results of this study above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for the continuous leisure sports activities of middle-aged women, there are inherent constraints arising from the individual's psychological aspect, structural constraints arising from the environmental aspect, and interaction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t is believed to be meaningful in been confirmed that leisure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if interpersonal constraints that arise reduced or eliminated through efforts to negotiate leisure constraints. In other words, in order to improve middle-aged women's continued leisure sports activities and leisure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reduce or eliminate leisure constraints from a personal perspective and to overcome them by utilizing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 중년여성의 여가스포츠 참가, 여가제약, 여가제약협상 및 여가만족의 관계

        성현수 건국대학교(충주캠퍼스)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ntends to review the relative affect of middle aged females' leisure sport participation on constraintsation of leisure, negotiation of leisure constraints, and satisfaction of leisure, and to reveal the relation among the variables. Subjects were middle aged female with ages 35-60 who participate in leisure sports in C city of Chung Cheong Buk Do, and a total of 463 were collected through cluster random sampling. The guestionnairs used in the study was made by Crawford et al.(1991), which the leisure constraints measuring questions were translated by Won Hyung Jung (1998), and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 measuring questions translat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Korean status by Kim Kyung Sik, Hwang Sung Hwan, and Won Do Yeon (2008) based on the criteria of Loucks-Atkinson & Mannell(2007), and leisure satisfaction criteria of Beard & Ragheb(1980) translated and used by Lee Jong Kil (1992). The statistics method used for data analysis was SPSS 14.0 Version to perform one-way ANOVA, multiple correl 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Amos 17.0 program. Through such research method and procedure,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leisure constraints,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middle aged female, it showed difference in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according to age, and it showed difference in leisure constraints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and income. In addition, according to age, education level, and income, which are subsidiary factor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 of leisure constraints,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period, which is the subsidiary factor of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showed affect on leisure constraints, and period, frequency, and intensity showed affect on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 In addition, frequency and intensity showed a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 of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leisure constraints, leisure constraints showed partial affect on subsidiary factors of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 and also partial a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 of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 affected leisure satisfaction.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 of cause and effect of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leisure constraints,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leisure constraints applied as negative factor, but leisure satisfaction became higher through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 The fact that can be known through such results is that middle aged females who participated in leisure sports feel various types of leisure constraints, but through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 they relieve constraints or overcome them and feel satisfaction, so it can be known that developing or composing various negotiation skills for overcoming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 is important. 이 연구는 중년여성의 여가스포츠 참가가 여가제약, 여가제약협상 및 여가만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 이들 변인간의 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충청북도 C시에서 여가스포츠를 참가하는 35세∼60세의 중년여성이었으며, 총 463명을 집락 무선 표집법(cluster random sampling)으로 연구대상을 표집하였다. 이 연구의 측정도구는 Crawford et al.(1991)이 작성하여 원형중(1998)이 번안한 여가제약 측정 문항, Loucks- Atkinson & Mannell(2007)의 척도를 기초로 하여 한국 실정에 적합하게 김경식, 황선환, 원도연(2008)이 번안한 여가제약협상 측정 문항, Beard & Ragheb(1980)에 의해 개발되고 이종길(1992)에 의해 번안 사용된 여가만족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사용된 통계처리방식은 SPSS 14.0 Version을 활용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중다상관분석(multiple correl ation analysis),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및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여성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여가스포츠 참가, 여가제약, 여가제약협상 및 여가만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에 따라 여가스포츠 참가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과 수입에 따라 여가제약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적 특성의 하위요인인 연령, 학력, 수입에 따라서 여가제약협상과 여가만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스포츠 참가에 따른 여가제약, 여가제약협상, 여가만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여가스포츠 참가의 하위요인인 기간은 여가제약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간, 빈도, 강도는 여가제약협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빈도와 강도는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제약에 따른 여가제약협상 및 여가만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여가제약은 여가제약협상의 하위요인들과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가만족에서도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가제약협상에 따른 여가만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여가제약협상은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여가스포츠참가, 여가제약, 여가제약협상 및 여가만족의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 여가제약은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지만, 여가제약협상을 통하여 여가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여가스포츠에 참가하는 중년여성들은 다양한 유형의 여가제약을 느끼지만 여가제약협상 과정을 통하여 제약을 완화시키거나 극복하여 여가만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여가제약극복을 위한 다양한 협상능력을 배양하거나 조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