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압력손실시험에서 기-액 흐름 해석을 활용한 분리막 특성별 막여과 계열설계 영향 평가

        이용수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831

        분리막을 이용한 막여과 공정에서는 계열설계에 반영되는 주요인자와 동시에 절대적인 수질을 보증하는 이점을 유지하기 위한 막 완결성 시험이 중요하다. 특히 음용수 생산을 위한 정수처리 공정에서는 분리막 손상이 병원성 미생물 누출에 심한 악영향을 미치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막 완결성 시험은 단일 막모듈에 대한 간헐적인 연구와 제도적 지침이 이루어지고 있을 뿐 계열설계 반영에 따른 오차보정 및 문제점 제시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막 완결성 시험 방법으로 간접법(online)과 직접법(offline) 방법이 있는데 막 손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로그제거율 모델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여과운전으로 인한 막오염이 압력손실시험에서 압력손실률에 어떠한 저해요인으로 작용하는 기작을 보이는지 규명하고, 막오염에 의한 동일한 압력손실률을 얻을 수 있도록 압력손실시험의 정량화 및 결정과정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또한 궁극적으로 다수의 막모듈로 이루어진 계열설계에 반영할 때 막 손상 감지를 위한 압력손실시험의 공기주입량을 결정과 공기주입으로 인한 압력편차를 최소화하는 방법과 신속하고 고감도로 손상된 막모듈을 검출하고자 압전센싱 융합기술을 제안하였다. 막 손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을 하기 위하여 실제 손상된 누출유량과 농도로써 로그제거율 모델을 세우고 탁도 계측값으로 산출된 농도비를 적용한 실시간 로그제거율을 압력손실시험에 의존하는 로그제거율(LRVDIT)과 비교 평가한 결과로써 log0.2 차이로 실시간 로그제거율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보편화되어 있는 압력손실시험은 초기상태의 설정압력이 막오염 진행에 상관없이 고정값으로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막오염에 따라 분리막 표면에 접촉각이 변하면서 기-액 치환 원리의 측면으로 설정압력에 도달에 저항을 일으키는 것을 증명하였다. 기-액 치환에 저항을 일으키는 대표적 막오염 물질인 Floc, NOM, Fe, Mn, 입자성 물질은 각각 분리막 표면에 정전기적 중화로 인한 케이크 층, 소수성 반응(Hydrophobic interaction)으로 접촉각 변화에 영향을 기인한다고 확인하였다. 따라서 막오염에 따른 압력손실시험에서 초기설정압력의 결정과정을 정립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모니터링과 막오염을 규명을 통한 정량화를 도출 하였으며, 실제 계열설계에 반영하기 위한 압력손실시험에서 공기주입량 결정과 막모듈에 따른 압력분포를 배관 내 흐름패턴을 유도하여 막 손상 감지 감도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었다. 또한 계열구성에서 손상된 막모듈 검출을 위한 고감도 압전센싱 기술을 융합하여 가능성을 도출한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계열설계를 위하여 정확한 막 손상 감지 감도 인자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a log removal value model is established so that a membrane damage can be monitored in real time. This study shows a quantification and determination process of a pressure decay test(PDT) to clarify that which inhibition factor of the pressure decay rate(PDR) in the pressure decay test the membrane damage caused by a filtration step functions; and the same PDR caused by the membrane damage is obtained.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a method for determining an air injection amount of a PDT for sensing the membrane damage; a method for minimizing a pressure deviation caused by the air injection in a unit desig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membrane modules; and piezo-electric sensing fusion technology for detecting damaged membrane module in a fast and high sensitive manner. In order to monitor a membrane damage in real time, the actually damaged leakage flux and concentration was used for establishing a log removal value model; and a turbidity measurement value was used to calculate a concentration ratio for establishing a real time log removal rate. In the case where the real time log removal rate was compared with the LRVDIT, which depends from a pressure decay test,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real time log removal rate was confirmed as a difference of log0.2. In the general pressure decay test, the initial pressure is set as a fixed value regardless of the membrane damage process. However, this study verifies that the contact angle on the separation membrane surface is changed depending on the membrane damage, thereby causing a resistance in arriving at a set pressure with respect to air-liquid conversion principle. The representative membrane damage materials, which causes a resistance in air-liquid conversion, include floc, NOM, Fe, Mn, and particle materials and such materials were confirmed to influence the change of the contact angle of a cake layer, which is caused by the electrostatic neutralization on each separation membrane surface, and hydrophobic interaction. Accordingly, this study establishes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the initial pressure in the pressure decay test according to the membrane damage. Consequently, this study derives the quantification of the real time monitoring and membrane damage. In the PDR for a unit design, the air injection amount is determined and the pressur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membrane module is induced as the flow pattern within a pipe, thereby increasing the precision of the membrane damage sensing sensitivity. Further, this study suggests a precise membrane damage sensing sensitivity factor in various unit designs based on the possibility resulting from the fusion of the high sensitive piezoelectric sensing technology for detecting the damaged membrane module detection in the unit.

      • 소방호스 전개상황에 따른 압력손실에 관한 연구

        이형은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30

        화재가 발생하면 소방관은 최대한 신속하게 현장에 도착하여 화재진압 활동을 개시한다. 소방호스와 관창을 연소가 진행 중인 발화실 혹은 화점에 최대한 가깝게 전개하고 주수(注水)를 통해 화재를 진압한다. 주수과정에서 방수압력과 유량은 화재진압의 성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항시 적정 방수압력과 유량이 확보된다는 전제하에 진압활동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실제 화재현장에서는 소방호스의 전개환경이 달라질 수 있으며, 소방호스의 꺾임이나 꼬임 또는 소방펌프차와 화재현장의 고저차 등으로 인한 압력손실이 발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주수를 위한 방수압력과 유량이 충분하지 않아 화재진압능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재현장에서 소방호스의 전개상황에 따른 압력손실 발생가능성을 검토하고, 압력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소방호스 전개상황에 따른 압력손실 실측 결과, 화재현장에서의 신속한 소방호스 전개에 따라 자연스럽게 발생 할 수 있는 압력손실의 가장 큰 원인은 소방호스의 꺾임이 기준치인 90° 이상으로 큰 꺾임이 발생하는 경우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꺾임으로 인한 압력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소방호스가 기둥, 차량바퀴, 문틈, 모서리 등 장애물에 걸리거나 끼임 현상이 발생 하지 않도록 소방호스를 보다 여유 있게 전개하여, 위에 언급한 장애물 등으로 인한 꺾임이 발생되지 않도록 최대한 주의하여 소방호스를 전개해야 하며, 화재현장 차량 배치 시 화점까지의 최단거리에 소방호스를 전개할 수 있는 현장에서의 최적의 위치를 고려하여 차량을 배치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소방호스 전개 시 관창수가 관창을 들고 있는 소방호스 선단부에 내부진입 후 화재진압을 실시하기에 충분히 여유 있게 원하는 위치에 다다를 수 있을 만큼 확보 전개하여, 차후 관창수 혹은 관창보조가 소방호스 부족으로 인해 소방호스를 지나치게 당기거나 끌며 발생할 수 있는 꼬임 및 꺾임 현상을 최대한 줄이고, 관창수가 방수개시 이후 지속적으로 방수압력 부족이 느껴질 시, 운전원에게 재차 압력상승을 요청하기에 앞서 전개된 소방호스의 경로 상 압력저하의 원인이 되는 구간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방호스 전개 시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상황에 국한하여 실측 위주의 연구를 진행하였지만, 여기서 더 나아가 소방관이 화재현장에서 사용하는 모든 소방장비의 실질적인 압력손실값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와 실측이 이루어지고, 소방호스 전개 중 일반적이지 않은 예측치 못한 상황의 데이터까지 추가되어 대한민국 소방전술 발전과 장비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끊임없는 관련 연구와 데이터들이 지속적으로 나오길 기대해 본다. In the event of a fire, the firefighter arrives at the fire as soon as possible to initiate fire suppression. Fire hoses are deploy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fire point where combustion is underway. Since water pressure and flow rate directly affect fire suppression performance during the drinking process, suppression activities are carried out on the premise that proper waterproof pressure and flow rate are secured at all times. The focus of this study is for firefighters to understand the pressure loss that can easily occur in general situations when deploying fire hoses, such as kinking or bending and twisting of fire hoses, which are deployed immediately after arrival at the fire site, and to deploy fire hoses more accurately and efficiently and successfully. As a result of the pressure loss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fire hose deployment situation, the biggest reason for the pressure loss in the fire site due to the rapid deployment of the fire hose was the refraction of the fire hose, which is kinked greater than the angle at 90°. The solution was to prevent the fire hose from being caught or trapped by as much as possible columns, vehicle wheels, doors, corners, etc., and so that the fire hose could not be kinked as possible. Therefore, when placing a engine truck at a fire site, the engine truck is placed at the shortest distance to the point of fire, considering the best location to deploy the fire hose. In this study, I conducted a fact-finding-oriented study only to the general situation that may occur when a fire hose is deployed, but I hope that further research and measurement on the actual pressure loss value of all fire-fighting equipment used by firefighters will be conducted, and that data on unusual unforeseen situations during the fire-fighting hose deployment and I hope those studies will be added to help the development of fire fighting tactics and equipment in South Korea.

      • 다양한 투과율 및 형상변수를 가진 주름진 필터의 압력손실에 관한 실험적 연구

        윤원경 아주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830

        최근 미세먼지 및 이상 기후에 의한 대기오염으로 인해 실내 공기정화 시장이 확대되며 환기설비 및 공기청정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공기청정기는 일반적으로 집진효율이 99.95% 이상인 헤파필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풍량이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인 분진청정화 능력이 된다. 필터의 집진효율이 증가하면 투과율이 감소하여 압력손실이 증가하게 되어 풍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헤파필터를 사용할 때는 공기청정기의 적절한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 압력손실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투과율 및 형상변수를 갖는 헤파필터의 유속에 대한 압력손실을 측정하여 상관식을 도출하였다. 세 종류의 투과율(H-13, H-11, H-10)을 갖는 필터를 사용하여 4가지의 주름 깊이(20 mm, 30 mm, 40 mm, 50 mm), 6가지 주름 간격(3 mm, 3.3 mm, 3.6 mm, 3.9 mm, 4.2 mm, 4.5 mm), 전개 유속 0~0.45 m/s 범위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주름진 필터는 주름 간격이 감소할수록 주름 사이의 유로 통과 면적이 감소함에 따라 점성효과가 증가하여 압력손실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름 깊이가 증가할 때는 형상에 의한 압력손실 비중이 증가하여 점성효과가 상대적으로 커지며 압력손실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값을 사용하여 도출한 상관식으로 예측한 압력손실과 실험데이터는 약 15% 이내로 일치하였고, 산포의 원인을 고찰하며 압력손실의 경향이 바뀌는 변곡점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변곡점은 주름진 필터의 압력손실이 다공성 매체를 투과할 때 형성되는 압력손실(Darcy effect)과 주름 형상에 의해 형성되는 압력손실(Viscous effect)이 복합적으로 발생하여 생성된다. 이에 따라 변곡점을 예측하는 새로운 상관식을 도출하여 값에 따라 Darcy dominated region, 변곡점, Viscosity dominated region을 구분하여 압력손실 상관식을 도출하였다. Darcy dominated region과 변곡점 영역은 상관식과 실험 데이터가 약 5% 이내로 일치하고, Viscosity dominated region은 상관식으로 예측한 압력손실과 실험 데이터가 약 15% 이내로 일치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 사이클론 집진기의 벽면구배에 따른 압력손실과 집진효율에 대한 연구

        허광수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829

        사이클론 집진기는 회전 기류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입자를 분리하는 장치이다. 사이클론 집진기 중 가장 널리 쓰이는 형식은 접선방향 유입구와 원통과 원추로 구성된 몸체를 가지는 역류, 원통·원추(reverse-flow cylinder-on-corn) 형식의 집진기이다. 본 연구에서는 원통·원추 형상의 사이클론이 지니는 유체역학적인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연속적인 곡선을 이용하여 사이클론의 몸체를 설계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사이클론 벽면구배가 집진율과 압력손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험과 해석을 병행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안된 설계방법을 Stairmand HE 사이클론에 적용하여 각기 다른 벽면구배를 가지는 네 개의 테스트 사이클론과 비교실험을 위한 표준적인 Stairmand HE 사이클론을 제작하고 입자계수법을 이용하여 집진효율과 압력손실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된 설계방법이 집진효율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으며, 압력손실 저감에 매우 효과적임이 나타났다. Convex 사이클론의 압력손실은 벽면구배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며 Stairmand HE 사이클론 기준 최대 40%의 압력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실험을 통해 얻어진 집진효율과 압력손실 변화를 이해하고 벽면구배에 따른 내부 유동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전산유체 해석을 이용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사이클론과 같은 제한된 회전유동의 압력손실은 보텍스·코어의 위치 및 코어속도에 큰 영향을 받는다. 전산유체해석을 통해 사이클론 벽면의 구배가 커지면 보텍스·코어가 사이클론 중심부로 이동하며, 접선속도의 최대값 역시 감소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보텍스·코어 내부의 축방향 속도는 벽면구배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사이클론의 벽면구배에 따른 압력손실과 컷·사이즈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사이클론 내부의 마찰면적과 벽면에서의 우력손실을 고려하여 얻어진 출구관 하단의 접선속도를 이용하여 보텍스·코어의 위치와 접선속도 최대값의 변화를 구하고, 랭킨·보텍스 가정을 이용하여 벽면구배에 따른 압력손실과 컷·사이즈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음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사이클론의 벽면을 곡선으로 설계하는 방법이 압력손실 저감에 효과적임을 보였다. 사이클론의 압력손실은 벽면구배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며, 벽면구배가 과도해지는 경우 유동의 불안정에 의해 압력손실이 증가한다. Cyclone is one of particle separation device with centrifugal force of rotating flow. Most commonly used cyclone is tangential inlet, reverse flow, cylinder-on-con shape separators. Discontinuous flow area change at junction of cylinder and cone cause additional pressure losses. In this study, a new cyclone design method named as Convex cyclone is proposed which define cyclone wall with a continuous curve to reduce the pressure losses. Experiments and analytical studies about influence of collection efficiency and pressure loss depend on cyclone wall curvature of proposed cyclone are performed. For comparative experiments, proposed design method is applied to Stairmand HE cyclone, and four test cyclone with different wall curvature and standard Stairmand HE are made by CNC process. The experimental results clearly show that proposed design method can achieve maximum 40% pressure loss reduction without considerable cut-size increase. For a in-depth comprehension about pressure loss and collection efficiency of Convex cyclone, CFD simulations are performed. The pressure loss of confined vortex like as cyclone separator is effected by vortex-core and maximum tangential velocity. As a result of CFD simulation, it is shown that the increase of wall curvature cause decrease of maximum tangential velocity and vortex-core is move to the cyclone center. It is also revealed that the axial velocity of inside vortex-core is not effect by wall curvature. A prediction model about pressure loss and cut-size depend on a cyclone wall curvature are developed. The tangential velocity below vortex-finder is obtained with consideration about friction area and momentum loss on the cyclone wall, and with this the variation of vortex-core and core velocity is obtained. Finally, pressure loss and cut-size variation depend on wall curvature is successfully predicted using a Rankine vortex hypothesis. In this study, it is shown that proposed design method is effective to pressure loss reduction. The pressure loss of cyclone is decreased with wall curvature increase, and because of instability of rotating flow, it is increased when the wall curvature is immoderate.

      • 충격기류식 여과집진장치에서 최적의 탈진 분사거리 예측

        김기풍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828

        급속한 산업발전과 각종 생산 및 제조공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은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끼친다. 그중에서 가장 유해한 오염물질은 먼지 입자라 할 수 있는데 세계 보건기구에서는 발암물질로 지정하였다. 미세먼지로 인한 오염과 피해가 심해져 중대한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2018년 3월 27일 초미세먼지(PM2.5) 환경기준을 연간 평균치 15㎍/㎥이하, 24시간 평균치 35㎍/㎥이하로 강화하여 시행하고 있다. 미세먼지는 물론 배출가스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저비용 고효율의 시설과 효율적인 운전 및 설계를 위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며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산업체에서 주로 사용되는 입자상 오염물질 처리는 여과집진장치와 전기집진장치인데 전기집진장치의 경우 대용량의 가스를 처리할 수 있으며 압력손실이 작다는 장점이 있으나 마지막 Field에서 탈진 시 미세먼지/초미세먼지의 배출로 집진 능력이 떨어지는 문제와 고저항 분진이 Back Corona 현상으로 집진효율의 현저한 저하가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최근 대형 소각로를 포함한 환경시설에는 초기 투자비용이 적고 안정적 포집이 가능한 충격기류식 여과집진장치를 많이 채택하고 있다. 충격기류식 여과집진장치는 압력손실은 높으나 초기 투자비용이 적고 입자상 물질의 전 범위에서 집진효율이 높으며 분진 포집성능이 안정적이고 특히 인체에 위해성이 가장 큰 미세분진에 대한 안정적인 포집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 국내외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대기오염방지시설이다. 산업현장에서는 충격기류식 여과집진장치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충격기류식 여과집진장치의 가장 중요한 운전 및 설계인자는 탈진특성과 압력손실이다. 여과포 자체의 압력손실과 여과포의 분진에 의한 압력손실 증가는 여과포 교체 비용과 전력비 등의 에너지 소비 및 경제적 소비를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이다. 충격기류식 여과집진장치에서 압력손실 변화는 분사거리, 탈진간격, 분사노즐 직경, 탈진압력, 입구분진농도, 여과속도 등 운전조건 및 분진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 등 여러 요인들에 의한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국내에는 충격기류식 여과집진장치의 운전 및 설계 시 운전 착안점과 설계인자에 관한 이론적 확립이 미흡한 실정이다. 대부분의 대기오염 방지시설업체에서는 이론보다는 경험에 의존하여 설계 및 운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탈진 성능저하, 필터백의 수명 단축, 과도한 운전비용,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 등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 제철소 Coke 분진으로 Pilot 설비에서 실험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압력손실을 최소로 하는 최적의 분사거리를 추정하기 위하여 SAS 9.4(USA, SAS Institute) 프로그램의 OLS(Ordinary Least Squares Estimation) 방식으로 통계 추정하였다. 충격기류식 여과집진장치의 경제적인 운전조건과 효율적인 설계의 기초자료인 최적의 분사거리를 추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운전조건(여과속도, 입구농도, 탈진압력, 분사거리, 분사간격)의 변화에 따른 540개 압력손실 실험 결과는 최소 13mmH2O에서 최대 117mmH2O로 넓은 범위로 나타났다. 운전조건에 따른 압력손실의 추정식을 도출하였으며 인자 추정 결과 역시 설명인자에 따른 압력손실의 증가와 감소에 대한 영향에 부합됨을 알 수 있었다. 앞선 연구들의 결과로 압력손실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설계 인자가 여과속도임을 알 수 있어 여과속도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구분하였으며 도출된 추정식에 입구농도, 탈진압력, 분사간격의 평균 데이터 수치로 압력손실과 분사거리에 따른 영향을 고려하여 정리하였다. 여과속도가 1.25m/min일 때 180개의 실험 데이터로 압력손실을 통계 추정한 결과 추정 상관계수는 0.8905로 신뢰도가 높아 추정식을 신뢰할 수 있었으며 압력손실과 분사거리의 관계는 2차 함수이며 압력손실을 최소화하는 최적의 분사거리는 102mm임을 알 수 있었다. 여과속도가 1.5m/min일 때 180개의 실험 데이터로 압력손실을 통계 추정한 결과 추정 상관계수는 0.9150으로 신뢰도가 높아 추정식을 신뢰할 수 있었으며 압력손실과 분사거리의 관계는 2차 함수이며 압력손실을 최소화하는 최적의 분사거리는 100mm임을 알 수 있었다. 여과속도가 1.75m/min일 때 180개의 실험 데이터로 압력손실을 통계 추정한 결과 추정 상관계수는 0.9259로 신뢰도가 높아 추정식을 신뢰할 수 있었으며 압력손실과 분사거리의 관계는 2차 함수이며 압력손실을 최소화하는 최적의 분사거리는 108mm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Blow Tube에서 여과포까지의 최적 분사거리는 100mm ~ 110mm 사이로 설계하는 것이 적절하다. 향후, 충겨긱류식 여과집진장치의 운전조건 요인들과 압력손실과의 관계에 관한 추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열회수형 전열교환기 덕트시스템의 급기구별 풍량 예측

        김석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828

        In recent years, in order to improve energy efficiency of buildings, passive and active parts have been emphasized at the same time. In particular, as the importance of passive elements is emphasized, many problems arise in relation to indoor air quality due to the high airtightness of buildings.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handling VOCs, CO, and fine dust generated inside the building, and the main equipment used to improve this and improve indoor air quality is a Total Heat Recovery Heat Exchanger. A a Total Heat Recovery Heat Exchanger is a device that discharges indoor contaminated air to the outside, supplies outdoor fresh air, and exchanges heat with air supplied to the inside to recover some of the heat energy wasted due to ventilation. The Total Heat Recovery Heat Exchanger itself is indicated in detail of product characteristics and specifications of each manufacturer, but the duct system of the Total Heat Recovery Heat Exchanger actually constructed is install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field circumstances. Since there is no data on the friction loss of flexible ducts in domestic and foreign handbooks and any literature on the coefficient of intuitive friction loss and the coefficient of curved pipe friction, this study conducted a direct experiment and used the coefficient. By analyzing the drawings mainly constructed in the field, a model of the duct system of the Total Heat Recovery Heat Exchanger was manufactured and installed, and the air volume was predicted by measuring the air volume and pressure of each supply port through experiments, and applying the theoretical formula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e experimental device. Experiments to calculate the coefficient of friction loss of the flexible duct showed that the coefficient of friction of the flexible duct was 0.1141, the coefficient of friction of the flexible duct was 0.2658, the coefficient of friction of the flexible duct was 0.44, and the coefficient of the flexible duct was 1.45.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pressure loss of the diffuser used in the Total Heat Recovery Heat Exchanger duct system with the pressure loss of the circular diffuser and the square circular diffuser, and the exhaust side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from the circular diffuser.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pressure loss of the hood cap installed mainly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n the Total Heat Recovery Heat Exchanger duct system, the pressure loss of the hood ca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pressure loss of the hood cap.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air volume by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the Total Heat Recovery Heat Exchanger duct system in the laboratory, similar air volume was measured for outlets No. 1 and No. 2, but the air volume was relatively increased at No. 3 (terminal air supply port). The air volume was predicted using the EES program to predict the air volume by applying the theoretical formula, and the result was that the air supply was slightly smaller than those of No. 1 and No. 3 (terminal air supply) and somewhat more than that of No. 1 and No. 2.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wind power of the Total Heat Recovery Heat Exchanger with the wind power predicted by applying a simple theoretical formula, the measurement error was 4.7% for the 1st air supply, -6.2% for the 2nd air supply, and 4.1% for the 3rd air supply. 최근 건축물의 에너지효율 향상을 위하여 패시브적인 부분과 액티브적인 부분이 동시에 강조되고 있다. 특히 패시브적인 요소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건축물의 고 기밀화로 인하여 실내공기질과 관련하여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건축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VOCs, CO, 미세먼지 등을 처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이를 개선하고 실내공기질 향상을 위하여 주로 사용되는 장비가 열회수형 전열교환기이다. 열회수형 전열교환기는 실내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함과 동시에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가 보유한 열에너지를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와 서로 열교환하여 환기로 인해 낭비되는 열에너지의 일부를 회수하는 장치이다. 열회수형 전열교환기 자체의 풍량은 각 제조사의 제품 특성 및 제원의 상세히 표시되어 있으나, 실제 시공되는 열회수형 전열교환기의 덕트시스템은 현장 사정의 따라 여러 형태로 설치가 되고 있어 각 급기구에서 급기되는 풍량은 정확히 확인 할 수 없는 것이 현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플랙시블덕트의 마찰손실에 대한 자료가 국내외 핸드북과 어떤 문헌에도 직관마찰손실계수 및 곡관마찰손실계수에 대한 자료가 없어 직접 실험을 실시하여 마찰손실계수를 산출하여 연구의 활용하였다. 현장에서 주로 시공되는 도면을 분석하여 열회수형 전열교환기의 덕트시스템의 모형을 제작·설치하고 실험을 통해 각 급기구의 풍량과 압력을 측정하고 실험장치와 동일한 조건으로 이론식을 적용하여 풍량을 예측하였다. 플랙시블덕트의 마찰손실계수 산출을 위해 실험한 결과 1 m 직관에 플랙시블덕트 직관마찰손실계수()는 0.1141, 플랙시블덕트 1 m를 3/4로 수축시켰을때는 직관마찰손실계수()는 0.2658, 플랙시블덕트 1 m를 2/4로 수축시켰을때는 직관마찰손실계수()는 0.4414, 플랙시블덕트 1 m를 1/4로 수축시켰을때는 직관마찰손실계수()는 0.6451로 산출되었고 플랙시블덕트 엘보형의 곡관마찰손실계수()는 1.44 U형의 곡관마찰손실계수() 2.16으로 산출되었다. 열회수형 전열교환기 덕트시스템의 사용되는 디퓨져의 압력손실과 원형 디퓨져와 사각 원형 디퓨져의 압력손실을 비교하고자 실험을 실시 한 결과, 배기측은 원형 디퓨져와 사각원형 디퓨져의 압력손실이 큰 차이가 없었으나 급기측에서는 원형 디퓨져보다 사각원형 디퓨져를 사용 할 경우 압력손실이 175.66%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열회수형 전열교환기 덕트시스템에서 주로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후드캡의 압력손실을 실험을 통해 측정 한 결과 외기 측의 경우 일반형 후드캡과 역풍방지형 후드캡의 압력손실이 큰 차이가 없었으나 배기 측의 경우 일반형 후드캡보다 역풍방지형 후드캡의 압력손실이 202.24%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열회수형 전열교환기 덕트시스템을 실험실에 직접 제작 및 설치하여 풍량을 측정한 결과 1번과 2번 급기구는 비슷한 풍량이 측정되었으나, 1번과 2번 대비 3번 급기구(말단 급기구)에서 풍량이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론식을 적용하여 풍량을 예측하기 위해 EES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풍량은 예측하였고 결과는 2번 급기구에서는 1번과 3번 급기구의 대비하여 급기량이 다소 작았으며 3번 급기구(말단 급기구)에서는 1번과 2번 급기구의 대비하여 다소 많은 급기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에서 실제 실험하여 측정한 열회수형 전열교환기 급기구의 풍량과 간단한 이론식을 적용하여 예측한 풍량을 비교한 결과 측정 오차는 1번 급기구는 4.7%, 2번 급기구는 -6.2%, 3번 급기구는 1.5%이고 평균 오차는 4.1%로 분석되어 열회수형 전열교환기 덕트시스템 설계 및 시공시 본 연구의 자료를 활용 가능 한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