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헌법상 국민의 안전권 구현에 관한 연구 : 재난 및 안전관리 법제를 중심으로

        김정훈 전남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world entered a dangerous society as it passed through the modern era, and Korea has fallen into a dual risk society where pre-modern and modern risks are mixed without clearing up the pre-modern days through compressive modernization. The people living in the present age are living with the risk of various disasters and accidents as seen in the recent Sewol ferry sinking accident, the MERS outbreak, and COVID-19 infection. Although it is the intrinsic duty of the nation to ensure the safety of the people, it can be seen that it has been neglected due to the lack of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the korean government’s constitutioal security right. The reason for this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since there is no explicit provision on the right to safety in our Constitution, the right to safety of the people has been interpreted as simply a protection interest that must be protected by law. It can be assumed that even as the government, there must have been limitations in actively responding to the public’s safety issues. The current constitution stipulates in Article34(6) that the state should make efforts to prevent disaster and protect the people from such dangers, and in the form of literature alone, it is limited to the degree of imposing the state’s obligations or targets to protect the people from dangers threatening life and health in natural disasters and the industrial society. Therefore, with the recognition that this regulation alone is insufficient to secure the right to safety, discussions have been made on the security of the people, focusing on Artcle 10, Artcle34(6),Artcle36(3), Artcle37(1), etc. including the full text of the Constitution related to the safety of the people in academia. The main issues related to this start from the question of whether these regulations are target regulations of the state or are mandatory regulations of the state, and if the right to safety is viewed as a basic right, it is controversial whether it is considered as one of the basic social rights related to Article 34 of the Constitutions, or whether it is a basic right limited to the protection of life and body based on the dignity and values of man in Article 10. Likewise it would be desirable to resolve the difficulties of the current constitutional regulations, which are not easy to derive the right to safety as a basic right though a constitutional amendment, so amidst the interest in the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which has recently matured, academia is trying to find a way. However, with regard to the introduction of the right to safety regulations when revising the constitution,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search for a solution to the ambiguity of the legal concept and scope of safety itself and to establish a scope for national safety that can reflect the era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First of all, if the right to safety is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a discussion on whether it will be a duty of the state or whether it will remain as one of the basic rights should be preceded, and at this time it is natural to stipulate as one of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so that the safety right can be guaranteed by the subjective public authority. Various discussions can be made on how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the basic rights related to safety here, but in this paper, noting that the people’s right to safety has a social right character, it is desirable to compose it together with the rules for basic social rights and to secure safety as one of the types of basic social rights that can consider not only the elements of the freedom right but also the elements of social welfare. From this, the right to safety is secured as the subjective public authority of the people, and it is possible to argue against the illegality and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inadequacy of legislation related to the national duty of protection. This is because it can be established as a personal public authority that can claim compensation for damages arising from violating the duty to protect safety as well as being able to claim the invocation of administrative authority for the state’s omission. Looking at examples of foreign constitutions related to the right to safety of the people, the US, Italy, Argentina, Slovakia and Philippines are countries that stipulate the “individual right to safety”. Countries that define the “comprehensive right to safety” include the European Union Charter of Fundamental Rights, Spain, Canada, Portugal, Finland, Hungary, Iraq and Republic of South Africa. Other constitutions, such as Germany, France, Japan, etc, do not clearly state the general right to safety, but it can be seen that they share the perception that people’s right to safety is a very natural and fundamental right. Our efforts to keep pace with the global trend regarding the safety of the people can be seen in the amendment to the Constitution of the Special Committee on National Constitution led by the government in 2018. Article 37 of the amendment says “① All citizens have the right to live safely. ② The nation should prevent disasters and protect people from dangers.” In response to this, in the amendment to the Constitution initiated by President Moon Jae-In in 2018, the right to safety as a basic right was newly established as a prestigious regulation. The constitutional stipulation of the right to safety means that citizens living in a dangerous society have the right to positively and actively demand security guarantees from the state. Thus, the state is more strongly aware of the safety obligations to the people and promotes systematic reorganization of related systems, and the citizens can also compete with the state’s responsibilities and request relief for rights. In this way, the highest constitutional values such as human dignity, happiness and freedom will be expanded or strengthened. In order to realize this, the contents of the laws that embody the purpose of the Constitution should be reviewed, and if there are any deficiencies, the improvement of those laws should follow. As we know, the representative law of the disaster-related legislation for realizing the right to safety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under our current practical law is the Basic Act on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However, when compared with foreign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laws, in which the roles of the central and local are clearly separated legally and the proper division of duties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areas in accordance with the localization era has been established, disaster-related laws and regulations in Korea lack mutual connection and various departmental management organizations exist, so they do not have the unity of a unified and systematic organization to respond to disasters. Therefore, the basic Act on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cannot be regarded as sufficiently performing a top-notch role as a basic law.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clarify concepts and contents related to disaster and safety, and to systematically organize safety-related laws. In order to realize the people’s right to safet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afety system through cooperation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in response to disaster, and for this, the complete legal system must be supported. Among disaster-related laws, the concept of legal terms that can overcome the abstraction of safety—related concepts should be unified and clear, and there should be systematization between laws and regulations to eliminate confusion of legal usage.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orgnizations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to establish a civilian cooperation system in response to disasters, and basic rules for efficient and quick disaster management by front-line administrative agencies should be prepared in detail. In the content of the law, subjective public authority must be secured so that each citizen’s right to claim for national measures related to safety can be recognized. In accordance with the assertion of this paper, when a fast and efficient disaster response system can be operated in a well-established disaster-related legal body based on the basic right to safety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the safety of the people living in a dangerous society will be secured, and it will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the ideology of the basic right of dignity and value as a human being, and from this, the feeling of happiness of the people will further increase. 《Keyword: Security Guarantee, State’s Duty to Protect Citizens’ Basic Rights, Safety Right, Disasters and Safety Management Law System,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s and Safety》 세계는 근대로 넘어오면서 위험사회로 접어들었고, 우리나라는 압축적 근대화를 거치면서 전근대적 위험을 미처 정리하지 못한 채 근대적 위험을 맞게 됨으로써 양자가 혼재하는 이중적 위험사회에 빠져 있다. 최근 세월호 침몰사고, MERS 사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사태에서 볼 수 있듯이 현대를 살아가는 국민들은 각종 재난과 사고의 위험과 더불어 생활하고 있다. 국민의 안전보장은 국가 본연의 임무임에도 그동안 우리 정부의 헌법상 안전권에 관한 인식과 이해의 부족으로 인하여 소홀히 취급되어왔다고 볼 수 있다. 그러한 연유는 우리 헌법에 안전권에 관한 명시적 규정이 없음으로 인하여 국민의 안전권이 단순히 법률상 보호해야 하는 보호이익 정도로 해석되어 왔던 데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정부로서도 국민의 안전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을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현행 헌법은 제34조 제6항에서 “국가는 재해를 예방하고 그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여 문언의 형식으로만 보면, 자연재해, 산업사회에서 생명과 건강을 위협하는 위험원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해야 할 국가의 의무 내지 목표를 부과하는 정도에 그쳐있다. 따라서 이 규정만으로는 안전권 확보가 불충분하다는 인식하에 학계에서는 국민의 안전과 관련된 헌법 전문을 비롯하여 제10조, 제34조 제6항, 제36조 제3항, 제37조 제1항 등을 중심으로 국민에 대한 안전보장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 이에 관한 주된 쟁점들은 이들 규정들이 국가의 목표규정인가 아니면 국가의 의무규정인가, 이들 규정으로부터 기본권 도출이 가능한가에 관한 문제에서 출발하여, 안전권을 기본권으로 본다면 헌법 제34조와 관련된 사회적 기본권의 하나로 볼 것인지 아니면 제10조의 인간의 존엄과 가치에서 근거를 두고 생명과 신체의 보호에 한정된 기본권인지에 관한 논란들이다. 이처럼 기본권으로서의 안전권을 도출하기에 수월치 않은 현행 헌법 규정의 난맥상은 헌법 개정을 통한 명문화를 통해 해소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 바, 최근 모처럼 무르익은 헌법 개정에 대한 관심 속에 모색의 길을 찾으려 하고 있다. 다만, 헌법 개정 시 안전권 규정의 도입에 관해서는 안전 자체의 법적 개념과 범위가 모호한 점에 대한 해소방안의 모색과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반영할 수 있는 국가 안전에 대한 범위를 설정하는 문제가 고려되어야 한다. 먼저 안전권을 헌법에 명문화한다면, 국가의 의무사항으로 할 것인가, 아니면 기본권의 하나로 존치할 것인가에 관하여 논의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며, 이때 안전권이 국민의 주관적 공권으로 보장받을 수 있도록 국민의 기본권의 하나로서 규정함이 당연하다. 여기에서 안전에 관한 기본권의 내용을 어떻게 정할 것인가에 관하여는 다양한 논의가 가능하겠지만, 본 논문에서는 국민의 안전권을 사회권적 성격이 있음에 주목하여 사회적 기본권 규정들과 함께 구성하고, 자유권적인 요소는 물론 사회복지적 요소까지 고려할 수 있는 사회적 기본권 유형의 하나로서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고 있다. 이로부터 안전권이 국민의 주관적 공권으로 확보되어 국가의 보호의무속에 그에 관한 입법의 불비에 대한 위법·위헌성을 다툴 수 있게 되고, 국가의 부작위에 대한 행정권 발동을 청구할 수 있음은 물론, 안전에 관한 보호의무 위반으로 발생하는 손해에 대하여도 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 개인적 공권으로도 자리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눈을 돌려 국민의 안전권과 관련한 외국 헌법의 사례를 살펴보면, 개별적 안전권을 규정한 미국, 이탈리아, 아르헨티나, 슬로바키아, 필리핀 등의 헌법이 있고, 포괄적 안전권을 규정한 유럽연합기본권헌장을 비롯하여 스페인, 캐나다, 포르투칼, 핀란드, 헝가리,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의 헌법을 들 수 있다. 그 외 독일, 프랑스, 일본 등 헌법에는 ‘일반적 안전권’을 명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국민의 안전권을 너무도 당연한 기본권이라는 인식을 공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국민의 안전에 관한 세계적인 추세에 발맞추어 나아가려는 우리의 노력은 2018년 정부가 주도한 국민개헌특별위원회의 헌법개정안에서 그 내용을 볼 수 있다. 그 개정안 제37조에 “① 모든 국민은 안전하게 살 권리를 가진다. ② 국가는 재해를 예방하고 그 위험으로부터 사람을 보호해야 한다”라고 제시하고 있다. 이를 수용하여 ‘2018년 문재인 대통령 발의 헌법개정안’에는 기본권으로서 안전권을 명문 규정으로 신설했었다. 헌법상 안전권의 명문화는 위험사회 속에 살아가는 국민이 국가에 적극적·능동적으로 안전보장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가 됨을 의미한다. 그리하여 국가에게는 국민에 대한 안전의무를 보다 더 강하게 인식하여 관련 제도의 체계적 정비를 촉진하도록 하며, 국민의 입장에서도 국가의 책무를 다툴 수 있고, 권리구제를 요청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인간의 존엄, 행복, 자유와 같은 헌법적 최고 가치가 확장 내지는 강화될 것임은 말할 것도 없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헌법의 취지를 구체화하는 법률들의 내용을 재검토하고, 미비점이 있다면 그 법률들의 개선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알려진대로 우리의 현행 실정법상 헌법이 보장하는 안전권 구현을 위한 재난 관련 법제의 대표적인 법률에는「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이 있다. 그러나 중앙과 지방의 역할이 법적으로 명확히 구분되고 지방화 시대에 맞는 중앙과 지방의 적절한 업무분담 구도가 확립된 외국의 재난 및 안전관리 법제들과 비교해 볼 때, 우리나라의 재난 관련 법령들은 상호간의 연계성이 부족하고, 다양한 부처별 관리기구가 존재하여 재난에 대응할 일원화된 체계적이고 통일적인 조직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은 기본법으로서 위상과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다고 볼 수 없다. 특히 재난 및 안전과 관련한 개념과 내용의 명확성을 기하고, 안전 관련 법제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 국민의 안전권 구현을 위해서는 재난에 대응할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협력을 통한 안전체계 구축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법체계의 완비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 재난 관련 법제들 간에는 안전 관련 개념들의 추상성을 극복할 수 있는 법적 용어들의 개념이 통일적이고 명확해야 하며, 법령들간에 체계화가 이루어져 법 적용의 혼란을 없애야 할 것이다. 재난에 대응할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의 조직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어야 하고, 더불어서 재난 대응에 있어서 민간 협력체계를 확립하는 것도 중요하며, 일선 행정기관이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재난을 관리할 수 있는 기본 준칙이 세부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법률의 내용에는 안전과 관련된 국가적 조치에 대한 국민 개개인의 청구권이 인정될 수 있도록 주관적 공권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위와 같은 본고의 주장에 따라 헌법에서 보장된 안전에 관한 기본권을 바탕으로 잘 정비된 재난 관련 법체계 속에 신속하고 효율적인 재난대응시스템을 가동할 수 있을 때, 위험사회를 살아가는 국민의 안전은 확보되고,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보장이라는 기본권의 이념 구현에 이바지할 것이며, 이로부터 국민의 행복감은 더욱 높아질 것이다. 《주제어 : 안전보장, 기본권보호의무, 안전권, 재난 및 안전관리 법제,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 韓國의 安全保障機構 改善方案 硏究

        김학록 東國大學校 行政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brief definition of "National Security" can be described as "to achieve national goals through protecting values pursued by a nation from internal and external threats by military or non-military tools." If the essence of national security is to keep core values of a nation from any threat, however, it is not easy to find how to recognize the current and possible threats and to evaluate the importance of the threats, to develop countermeasures, and to make a corresponding deci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pecialized organization for national security policies to cope with threats that vary by the trend of diversifying national security environment and expanding realm of national security promptly and actively and to promote people's reliability by systematic and consistent policy development and it's execution for national security affairs. Main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US have their own specialized organizations for national security policies as a committee for establishing, coordinating, and controlling national security policies though the function and status of the organizat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general, the president of the country call and preside over the committee and limited members of minister participate in the meeting as standing members. The committee discusses and decides policies about national security and crisis management and also carries out advisory functions. Recently, ministers of financial departments tend to participate in the committee as the importance of industrial mobilization is added. In addition there are also significant numbers of experts for developing, supporting, analyzing, and evaluating policies in the working-level institutions of the committee. The specialized organization for national security policies in Korea is the National Security Council(the Council) established in Nov. 1963 but its role has weakened since the president Chun's government and, finally, it became a just nominal organization in the president Kim, Young- Sam's government even there was not a substantial meeting in the government. Fortunately, however, there were some efforts to reorganize the Council such as the amendment of the organizational law and the restoration of the General Administration Office in the president Kim, Dae-Jung's government but there still remains many things to be settled for the Council to be an actual coordinating and controlling organization of national security policies. At first, the legal status and function of the Council must be strengthened. That is, its current status as an advisory for the president prior to the discussion of State Council must be moved to the final organization for the examination of national security policies and, besides, some additional functions for crisis management, leading role at war-time, and northern policies must be included to its original functions for foreign, military, and domestic policies related to national security. Secondly, the resonable reorganization of the Council members and the reinforcement of subordinate offices must be considered. That is, the chief of staff in the Presidential Secretariat and the Senior Secretary of foreign affairs and National Security must be replaced by the Minister of MOFE and the chairman of Emergency Planning Committee as standing members and the Senior Secretary of foreign affairs and National Security had better participate in the Council as observer's status. In addition, the General Administration Office, an working-level institution, must be supplemented with specialists in each field and sub-institutions such as Management Office, Policy Coordination Office, and National Consolidated situation room. Thirdly, the discussion of the Council must be a compulsory process by legalization when there happens emergency in national secur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ussion should not be just ceremonial for public information but substantial for real world policy development.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how to improve the National Security Council to strengthen the decision-making system of national security policies and this kind of study must be reflected on legislation and execution through more systematic and substantial discussion between related institutions. In addition, the top decision maker's strong will and effort is indispensable for successful operation of the Council because any system, however excellent it may be, can not be effective if the capacity and effort of its operator is not followed.

      • 刑事裁判 非公開 事由로서 國家安全保障에 관한 硏究

        김훈영 성균관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대부분의 안보 관련 형사사건의 재판에 있어 피고인·변호인과 검사는 증인신문 절차를 비롯한 심리 절차를 방청객 등에 공개할 것인지, 비공개로 이를 진행할 것인지 여부에 대하여 극심한 대립을 보이고 있다. 이는 우리 헌법 체계에서 과연 형사재판의 비공개 사유로 기능할 국가안전보장의 개념은 무엇인지, 어떠한 경우 국가안전보장을 사유로 비공개 재판이 허용될 수 있는지 여부가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위와 같이 계속되는 공개재판에 관한 소모적 논쟁을 최소화 해보려는 것인바, 이와 관련된 첫 번째 쟁점으로서 우리 헌법상의 공개재판제도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 살펴본다. 이를 위해 우선 공개재판을 받을 권리 내지 공개재판제도의 의의와 연혁을 살핌으로써 애초 공개재판제도의 고전적 기능은 공개재판을 통하여 밀실재판의 폐해를 방지하고, 법관의 자의적인 판단을 통제함으로써 형사피고인의 인권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었음을 확인한다. 반면 공개재판제도가 확립되어 재판을 공개하는 방식으로 법관을 통제하려는 필요성이 감소한 우리나라와 같은 선진 법체계에서는 공개재판으로 인해 야기되는 증인 등 소송관계인의 불이익, 실체진실발견이 방해되는 공공의 불이익, 알권리와 관련된 국민의 이익 등 재판의 공개에 관한 제반 이익들이 바르게 형량되어 재판의 공개 여부가 적절히 조정되어야 한다는 공개재판제도에 대한 현대적 재해석이 필요하다는 점에 대하여 살펴본다. 두 번째 쟁점은 공개재판제도의 한계 내지 공개재판을 받을 권리의 제한 사유인 헌법상의 국가안전보장의 개념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의 문제이다. 더 나아가 좀 더 근본적으로 국가안전보장 그 자체를 어떻게 개념화 할 것인지 고민하여야 한다. 종래 우리 학계와 사법부의 해석론은, 남북의 대치상황, 국가안전보장이 기본권의 제한 사유로 규정되어 있는 점을 고려하여 국가안전보장의 개념을 군사 부문과 연관된 외적의 침략으로부터 국가의 체제를 유지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제한하여 해석하여 왔다. 그러나 국가안전보장의 개념이 논의되어 온 연혁, 그 개념이 가질 수밖에 없는 문언적 특성, 우리 법체계에서 국가안전보장이 법률용어로서 수용되고 있는 상황 등을 살펴보면서 우리 법체계 하에서도 국가안전보장의 개념 내지 그 범주를 군사적 문제 외에도 국가의 존립과 관련된 경제, 사회, 문화, 자원, 환경 등의 다양한 문제를 포함하는 포괄적·적극적인 개념으로 해석할 여지가 있음을 확인한다. 한편 국가안전보장의 개념을 포괄적으로 해석할 여지가 있다 하더라도 국민의 기본권을 제한하는 근거가 될 국가안전보장의 개념은 당분간 소극적으로 해석되지 아니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불가피한 상황에서는 종래 안보 관련 형사사건의 재판에서 법원이 증인신문 등의 절차에서 국가안전보장을 사유로 하여 그 절차를 비공개 상태로 진행한 사례들을 분석하고, 피고인의 이익을 위한 경우, 증인 등 소송관계인의 이익을 위한 경우, 실체진실 발견을 위한 경우, 수사기밀 등의 보존이 필요한 경우 등으로 사례를 유형화함으로써 국가안전보장을 사유로 한 안보 관련 형사재판의 비공개 필요성을 설명하는 일은 상당한 의미를 갖는다고 사료된다. 우리가 남북분단의 시대를 끝내고 평화롭게 통일된 대한민국으로 거듭나게 되면 국가안전보장의 개념은 인권탄압의 대명사라는 오명(汚名)을 벗어던지고 실질적으로 국민과 국가를 보위하고 국민을 하나로 통합시키는 통합의 기능을 다하게 될 것이다. 이때 우리는 현대사의 아픈 기억을 딛고 국가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헌법의 조정기능을 현명하게 운영함으로써 우리 공동체를 수호함은 물론 국민의 평화로운 삶을 보장하여야 한다. 본 연구가 이에 관한 합리적인 헌법적 기준을 마련하는 데에 참고가 되길 바란다.

      • 국제형사재판소(icc) 로마규정 비당사국 국가원수의 면제 : A1-Bashir 사례를 중심으로

        강우현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2005년 UN안전보장이사회(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이하 UN안보리)는 결의안 1593을 통과시켜, 국제연합헌장(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이하 UN헌장) 제25조, 제41조 및 국제형사재판소 로마규정(The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이하 로마규정) 제 13조 (b)에 따라 본 사건을 국제형사재판소(International Criminal Court; 이하 ICC)에 회부하였다. 채택된 결의안 1593에 의하면, (i) UN안보리는 UN헌장 제 7장에 따라 (ii) 2002년 7월 1일 이후의 다르푸르의 상황(the situation in Darfur)을 ICC 소추관(Prosecutor)에 회부하고, (iii) 수단 정부를 포함한 다르푸르 사태의 당사국에 대해 재판소에 온전히 협력하고 또 필요한 모든 지원을 해줄 의무를 부과하였다(shall cooperate fully with and provide any necessary assistance to the Court and the Prosecutor pursuant to this resolution). ICC소추관 Luis Moreno-Ocampo는 2005년 6월 6일 로마규정 제 53조에 따라 수사를 개시하기로 결정하였다. 특히 ICC는 Darfur 사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 수단의 현직 대통령 Omar Hassan Al-Bashir에 대한 수사 및 기소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Ocampo는 3년여간 수사를 진행한 후, 2008년 7월 13일 Al-Bashir 대통령이 3건의 제노사이드, 5건의 인도에 반한 죄 그리고 2건의 전쟁범죄를 배후에서 지시한 정범(영어로는 indirect perpetrator)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고, 로마규정 제 58조 제1항에 따라 체포영장을 청구하였다. 이에 대해 ICC 전심재판부(Pre-Trial Chamber I)는 (i) Al-Bashir가 인도에 반한 죄 및 전쟁범죄를 범했다는 합리적인 근거(reasonable grounds)가 있고, (ii) Al-Bashir가 자진해서 출석할 만한 정황이 아니므로 체포영장의 필요성도 인정된다고 하여, 로마규정 제 57조, 제 58조에 따라 Al-Bashir에 대한 체포영장을 발부하였다. 다만 제노사이드 부분의 경우 초과주관적 구성요소인 집단파괴의도가 입증되지 못했다는 이유로 체포영장을 기각하였는데, 상소재판부(the Appeals Chamber)는 제노사이드에 관한 체포영장 기각 부분을 다시 심리할 것을 전심재판부에 명령하였다. 이에 전심재판부는 Al-Bashir가 Fur, Masalit 그리고 Zaghawa 인종집단을 파괴할 특정한 의도가 있었다고 믿을 만한 합리적인 근거가 있다고 보아, 제노사이드 부분에 대해서도 체포영장을 발부하였다. 이 논문은 Al-Bashir의 면제에 관한 것이다. ICC는 처음에는 관습국제법에 의존하여 위 문제를 풀어나갔지만, 반발에 부딪히자 나중에는 UN안보리결의 1593의 구속력에 의존하여 문제를 풀어나가는 태도를 보인다. ICC의 태도는 국제범죄는 반드시 처벌해야 한다는 논리와 주권평등의 논리가 충돌하는 와중에서 균형을 찾으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과연 ICC의 논증이 법리적으로 타당한 지점을 찾아가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반드시 필요하다. 아울러 불처벌의 관행을 극복하기 위해서 Al-Bashir 사례가 얼마나 가치 있는 사례인지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Al-Bashir 사례에서 도출된 결론을 일반화할 수 있는지의 문제를 반드시 검토하여야 한다. 위를 밝히기 위해서 첫째, ICC의 초기 태도가 갖는 문제점을 살펴본다. ICC가 초기에 설시한 내용은 크게 두 가지이다. 1) ICC는 로마규정 제27조가 갖는 관습국제법성을 기초로 Al-Bashir에 대한 ICC의 관할권을 정당화하려 시도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인적 면제와 물적 면제를 구분하지 않았기 때문에 인적 면제의 예외에 관한 관습국제법이 물적 면제의 예외에 관한 관습국제법보다 더디게 발전하고 있는 점을 간과했다. 이러한 점에서 현직 국가원수인 Al-Bashir가 ICC에 대해서 인적 면제를 주장할 수 있는지의 문제를 충분히 규명하지 못한 것이다. 2) 아울러 ICC는 Al-Bashir가 수단이 아닌 제3국에 체류하고 있을 경우, 그 제3국은 관습국제법상 Al-Bashir를 ICC에 인도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대해서도 관습국제법의 성립 여부에 대한 충분한 근거를 대지 않은 채 로마규정 제98조를 형해화시켰다는 비판과 더불어, Al-Bashir가 제3국에 대해서 주장할 수 있었던 면제를 부당하게 박탈했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이에 대해 본고에서는 1) 우선 국가원수가 누리는 면제를 인적 면제와 물적 면제로 나누어 고찰할 것이다. 2) Al-Bashir가 ICC관할권으로부터 면제를 향유하는지를 검토할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로마규정 제27조의 내용이 로마규정 비당사국에도 적용되는지를 중심으로 검토가 이루어질 것이다. 3) Al-Bashir가 로마규정 당사국인 제3국에서 체포로부터의 면제를 향유하는지를 고찰할 것이다. 종국에는, 로마규정 당사국들 간 관계에서는 ICC가 현직 국가원수를 재판할 수도 있고, 제3국에 대하여 인도요청도 할 수 있음을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국가원수가 로마규정 비당사국 국적인 경우에는 법리가 달라진다. 만일 ICC가 그 국가원수에 대한 관할권을 획득하게 된다 하더라도, 면제규칙 때문에 그를 재판할 수도 없고(관할권으로부터의 면제), 그 국가원수가 제3국에 소재할 경우에 그 제3국은 ICC에 대하여 인도의무를 부담하지 않게 된다(체포로부터의 면제). 이처럼 로마규정은 아직 비당사국 국가원수에 대해서는 ICC에 실효적인 관할권을 부여하고 있지는 않다. 이는 조약의 상대효에 비추어 보면 당연한 것이고, 아직 로마규정의 면제 관련 규범이 관습국제법의 지위를 획득하지 못하였음을 의미한다. 둘째, UN안보리결의의 구속력에 의존하는 ICC의 변경된 논증은 타당한지 살펴본다. UN안보리는 UN헌장 제24조상 국제평화와 안전의 유지를 위한 제 1차적 책임을 지는 기관으로서, 동 헌장 제25조에 따라 UN회원국들에게 구속력이 있는 결의를 발할 수 있다. 그러나 UN안보리결의 1593은 Al-Bashir에 대한 ICC의 관할권이나 면제규칙에 대하여 침묵하고 있으므로, 결국 이 문제는 해석론을 통하여 해결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안보리결의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에 대한 일반적인 논의를 바탕으로, 1) 안보리결의 1593이 Al-Bashir가 누리는 ICC관할권으로부터의 면제를 박탈하는지, 2) 그가 누리는 체포로부터의 면제도 박탈하는지의 문제를 검토할 것이다. 이를 통해 안보리결의 1593이 갖는 몇 가지 특수한 특징을 통해 Al-Bashir의 면제가 제거되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이러한 결론이 얼마나 일반화될 수 있는지를 검토해야 한다. 왜냐하면 국가원수에 대한 불처벌의 관행을 일반적으로 극복하기 위해서는 Al-Bashir 그리고 안보리결의 1593만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한 결론만으로는 부족하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일반화될 수 없다면 “안보리가 국가원수가 연루된 어떤 상황(situation)을 ICC에 회부하기만 하면, 그 국가원수에 대해서 ICC가 수사를 하고 또 그를 체포할 수 있다는 내용의 관습국제법이 확립되어” 일반성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지의 문제를 검토해야 한다. 제 2장에서 첫 번째 논의를, 제 3장에서 두 번째 논의를, 제 4장에서 세 번째 논의에 대해 고찰한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1) 국가원수의 처벌과 관련하여 면제규칙을 배제할 수 있는지 여부, 2) 이를 배제하기 위한 메커니즘의 관습국제법화 여부, 그리고 3) 그 메커니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종합적으로 고찰할 수 있을 것이다.

      • 유엔(UN)안보리 결의와 북한 비핵화 분석

        정종필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상대적으로 미흡했던 국제사회의 유엔(UN) 안전보장이사회(이하 안보리) 결의 이행과 다자협상 과정에서의 실패원인 분석과 대응방안을 통해 북한을 비핵화 시키기 위해 접근한 연구이다. 북한의 5차 핵실험에 대한 강력하고 포괄적인 안보리 결의안 마련과 중․장기적인 단계별 비핵화 전략을 구상하여 국제사회 공조를 통한 비군사적 제재와 압박 및 군사적인 제재(무력시위 등)로 북한을 비핵화 시키는 데 있으며 안보리 결의안 중에서 북한의 1차~5차 핵실험에 대한 안보리 결의안과 9․19공동성명 등 다자협상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같이 북한이 핵무기의 투발수단과 소형화, 다종화,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 안보리 결의와 교착상태에 빠진 다자협상을 대신해서 추가 핵무기 협상을 할 수 있는 수단과 방법이 없기 때문에 매우 제한사항이 많다는 것을 인식해야 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북한의 1차~5차 핵실험에 따른 안보리 결의안이 제대로 이행되었는가의 문제점을 분석․평가하였으며, 과거 다자협상으로 북한을 비핵화 시킬 수 있는 기회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성공시키지 못한 다자협상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향후 전략적인 대안을 제시하여 북한을 비핵화 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북한의 5차 핵실험을 차단하지 못했던 실패원인은 미국의 권력변화에 따른 일관성 없는 대북정책 추진, 북핵문제를 정치적으로 이용, 안보리 결의에 대한 중국과 러시아의 비협조적인 점, 국제사회의 안보리 결의 이행노력 미흡, 한국 정부의 북핵문제에 대한 중․장기적 외교, 안보 전략의 부재 그리고 정권 교체에 따른 대북정책 잦은 변화 등 다양한 원인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거울삼아 더욱 강력한 제재와 압박으로 북한을 비핵화 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안보리 결의안의 강제성과 효력을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 유엔헌장 41조(경제제재) 뿐만 아니라 42조(무력제재)에도 중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직접 명시해야 한다. 또한, 안보리 결의 제재조치를 더욱 격상시키는 방안 11개 조항, 안보리 결의 51조에 의거 추가적인 제재 방안 9개 조항을 마련하여 북한 스스로가 비핵화의 길로 나올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그리고 기 채택된 안보리 결의에 대한 철저한 대북제재 이행이 되도록 안보리 회원국을 철저히 감독,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둘째, 기존 다자협상의 문제점과 국제정세 및 전략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북한을 비핵화 시키기 위한 단계별 추진전략을 수립해 나가야 할 것이다. 1단계는 압박 및 봉쇄전략(강화된 대북 경제제재), 2단계는 북한의 핵개발 동결, 3단계는 북한의 핵무기 폐기 및 평화협정 체결, 4단계는 남․북간 경제협력 전략이다. 셋째, 다자협상간 기존의 6자회담의 협의구도를 바탕으로 9․19 공동성명 실천을 위한 2단계 조치인 10․3합의의 구체적인 실천방안들과 필자가 제시한 단계별 비핵화 시행방안들을 효과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창의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기존의 대북제재보다 더욱 강력한 결의안 채택과 철저한 이행으로 북한을 비핵화시켜 나가야 한다. 따라서 지금까지 상대적으로 미흡했던 다자협상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안보리 등 국제기구의 활동 강화, 일관성 있는 대북정책 추진, 외교․안보분야의 전문성 강화, 정부 주도의 전략적인 싱크탱크 역량 구축 등 향후 이 분야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는데 단초를 제공하게 되었다고 생각하며, 이를 계기로 향후 북한의 비핵화와 평화협정, 남․북한 경제협력 확대 방안 구상 등 관련 연구가 더욱 더 활성화되길 기대한다. This research analyzes the relatively lacking execution of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s resolution as well as the failure in the multilateral process of negotiation and cooperation to further the act of nuclear disarmament in North Korea. Following the increasing danger of nuclear weapons in North Korea; a stronger, more comprehensive resolution is required. This research intends to provide a short and long-term strategy for North Korea nuclear disarmament through both non-military and military (e.g. Show of Force) for international societies. Through the analysis and criticization of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UNSC) resolution on the first to fourth nuclear testing done by North Korea; The implications behind the Iran nuclear negotiation settlement; And a study on multilateral negotiations based on the joint declaration of nuclear disarmamen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September 19th joint statement, and finally the 2008 October 3rd political deadlock; to provide a plan of action for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It should be known that aside from the given multilaterally deadlocked UNSC resolution, there are no other negotiations possible without massive limitations due to North Korea's insistence on the development of miniaturization, diversification, and reinforcement of nuclear weapons. Thus, this essay intends to provide strategies for the future of nuclear disarmament of North Korea though both; the analysis and criticization on whether or not article 41 of the UNSC resolution has been properly executed in accordance to the first to fourth nuclear testing done by North Korea; and finding the issues that prevented nuclear disarmament of North Korea in the past when multilateral resolutions could have easily succeeded. The main reasons why the fifth nuclear testing of North Korea could not be prevented are; First, the forwarding of inconsistent North Korea policies from the United States due to a change in leadership; Second, the use of North Korea nuclear problem as a political tool; Third, the lack of cooperation from both the Russian and Chinese government on the UNSC resolutions; Fourth, an insufficient endeavor in the application of the UNSC resolution; Fifth, the South Korea government's mid-long term diplomacy on North Korea nuclear problem; and finally, the absence of security strategies coupled with frequent changes to North Korea policies due to changes in governmental administrations. To draw a lesson from issues and to strengthen restrictions and pressure on North Korea nuclear disarmament; First, the UNSC resolutions' forcibleness and effectiveness must be increased. To achieve this state, it should be known that not only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article 41 (economic sanctions) but article 42 (armed restraint) must be heavily prepared for future applications. In addition, to lead North Korea into nuclear disarmament by themselves, article 41 of the UNSC resolutions should be strengthened with the method of 11 clauses for disciplinary measures; as well as the reinforcement of article 51 through the addition of 9 clauses. This act also calls for a creation of a system that is able to provide a strict direction as well as assessments for participating nations for the application of North Korea sanctions based upon the newly applicated UNSC resolutions. Secondly, a multi-phase forward strategy has to be established to consider the problems in multilateral negotiations, international situations, and strategic situations. Phase one would be pressurization and blockading strategies (strengthened North Korean economic sanctions); Phase two would be freezing North Korean nuclear development; Phase three would be the removal of nuclear weapons from North Korea and a conclusion to peace treatise. the final phase, phase four would be South-North Korean strategies for economic cooperation. Thirdly, during multilateral negotiations, preexisting basis of Six-party Talks' agreements should be applied to act out the September 19th joint statement. For this to happen, a two-step measure from October 3rd agreements' definitive plan for practice as well as the author's proposed multi-phase North Korea nuclear disarmament execution plan should be creatively planned for effective combination. In conclusion, the current North Korea sanctions (primarily economical sanctions) should be replaced with stronger sanctions (article 41's economic sanctions + article 42's armed restraint) alongside multi-phased thorough execution for nuclear disarmament of North Korea. Thus, to reinforce the relatively insufficient multilateral negotiation skills, both the UNSC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ctivities should be increased; the reinforcement of diplomatic and security expertise in relation to North Korea policies; the additional construction of the government's strategic think tank's capabilities; providing a step forward in activation of debates in this field- which ultimately will lead to future peace treatise and nuclear disarmament of North Korea, as well as the expansion of South-North Korea economic cooperation and researches in the coming future.

      • 안보리 제재 결의 이행 시 UN 헌장 제103조의 해석과 적용

        안호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가들은 UN 헌장을 성안하면서 국제연맹의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고자, UN 헌장상의 의무가 효과적으로 이행되는 것을 보장하는 조항인 UN 헌장 제103조를 포함하였다. 그러나, UN 헌장 제103조가 의무간의 충돌에 관한 기본적인 원칙만을 제시하는데 그친 탓에, 출범 초기부터 동 조항의 해석과 적용에 관한 의견이 분분하였다. 다만, 안보리의 결정을 이행할 의무가 다른 국제협정상의 의무와 충돌하는 경우 UN 헌장 제25조 및 제103조에 따라 전자가 우선한다는 원칙은 ICJ의 Lockerbie 사건을 통해 확립되는듯하였다. 하지만, 2000년대부터 안보리가 국제평화 및 안전 유지를 위해 개인의 권리를 제한하는 제재 조치를 취하면서 해당 원칙 또한 재고되기 시작한다. 이 글은 이른바 스마트 제재로 일컬어지는 안보리의 제재 조치를 이행하는 과정에서 UN 헌장 제103조가 어떠한 방식으로 해석되고 적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고찰한다. 스마트 제재의 정당성이나 투명성 측면에서 여러 비판이 제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UN 헌장 제103조가 적용될 수 있는지 또는 적용되어야 하는지를 비판적으로 살펴본다. 본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먼저 제2장과 제3장에서는 그간 UN 헌장 제103조에 관한 담론을 종합하여 나름의 이론적인 틀을 제시해보았다. UN 헌장 제103조는 국제연맹 규약 제20조와는 달리 기본적인 원칙을 제시하고 있으면서도, 헌장과 조약간의 충돌이 아니라 특정 조약으로부터 도출되는 의무간의 충돌을 규율하기 위해 제정 되었다는 점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동 조항이 다른 국제협정상의 의무와 UN 헌장상의 의무를 구분하고 있는 바, 양자의 의미를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또, Lockerbie 사건의 법리에 비추어 안보리 결정을 준수할 의무와 다른 국제협정상의 의무가 충돌하는 경우, 안보리에 주어진 권한 내에서 적법하게 법적 구속력을 의도할 목적으로 채택된 결정이라면 UN 헌장 제25조 및 제103조에 따라 다른 국제협정상의 의무보다 우선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 UN 헌장 제103조에 합목적적인 해석임을 확인하였다. 상기한 해석에 비추어 제4장과 제5장에서는 최근 유럽사법재판소와 유럽인권재판소에 회부된 사건을 중심으로, 안보리의 제재 조치를 이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돌에 UN 헌장 제103조를 적용하는 방식을 따져보았다. 그 결과, 안보리의 제재 결의를 이행할 의무와 개인의 권리를 보장할 의무간의 충돌이 존재할 수 있는지, 동 결정으로 인하여 강행규범에 준하는 권리가 침해되지는 않았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뒤 극히 예외적인 상황에 대해서만 UN 헌장 제103조가 원용될 수 있다고 보았다. 다만, 설령 의무간의 충돌이 발생하여 안보리 제재 결의를 이행할 의무가 동 조항에 따라 우선한다고 할지라도, 제재 대상자에 대하여 회원국이 최소한의 절차적 보장을 제공할 의무까지 배제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또, UN 헌장 제103조는 의무간의 충돌이 유효한 기간 동안 일시적인 방편으로 원용될 수 있을 뿐이지 궁극적으로 안보리가 채택한 결의를 수호하기 위해 원용되어서는 안 된다고 본다. 그럼에도, 회원국이 안보리의 제재 조치를 이행하는 과정에서 개인의 권리 및 자유를 균형 있게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제재 체제에 대한 재고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된다. As States gathered around at San Francisco to discuss the establishment of the United Nations, they wished to insert a clause that would ensur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obligations laid down in the Charter. Yet, the clause, now known as Article 103, has brought about a wide array of debate with regards to its application in times of conflict since it only stipulates a simple principle of conflict resolution. Other than the confirmation by the ICJ in the Lockerbie case that the clause is also applicable to Security Council decisions, it seems that a consensus on the meaning and role of the clause is yet to exist. Especially, the recent judgments rendered by the European Courts seem to have further ignited the debate whether Article 103 can apply even to a decision of the Security Council that may lead to unnecessary limitation or infringement of individuals’ enjoyment of human rights. In this regard, this paper revisits the question of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Article 103, particularly focusing on sanctions decisions adopted by the Security Council targeting individuals. Can we resort to the legal reasoning of the ICJ in the Lockerbie case to justify such consequences? This paper begins by dwelling upon the legal components of Article 103 and aims to establish a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provision. It compares and contrasts the two similar yet different provisions of the League of Nations Covenant and the Charter, trying to shed light on the reason why States decided on a clause that opens up leeway for interpretation. Then, it decomposes the Article to clarify the meaning of ‘conflict of obligations’; one being the obligations of the Members of the UN under the present Charter and the other being the obligations under any other international agreement. This paper specifically limits the scope of research to decisions of the Security Council and argues that the application of Article 103 is thinkable only when Security Council decisions legally bind the Member States and the legality of such decisions is unquestionable. Based on the abovementioned analysis, it reviews the recent judgments of the European Courts related to smart sanctions and analyzes the possible scenarios that Article 103 needs to be applie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To elaborate, this paper argues that there are indeed times when Article 103 need to be applied inevitably; yet this can only be done in exceptional cases based on a thorough review whether there exists a genuine conflict between the obligation to carry out the resolutions adopted by the Security Council and the obligation to protect the rights of individuals. This paper further argues that Article 103 cannot be equated as a clause that guarantees the implementation of Security Council decisions regardless of their nature nor does it establish a hierarchical status placing the Charter obligations higher than any other international obligations. Rather, Article 103 is a conflict resolution clause enabling the Member States to set aside certain obligations for the sake of effectively carrying out their duties under the Charter. Furthermore, even applying Article 103 to sanctions decisions doesn’t release them from securing the minimum procedural safeguards to the targeted individual. But, it is undoubted that it is high time to review the targeted sanction regime once again to resolve the tension between the two core principles of the Charter and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measures adopted by the Security Council, absence of the possibility of conflict arising in the future.

      • 안보리 대북제재 참여 요인 분석 : 미국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이난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UNSC: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이하 안보리) 대북 경제제재에 참여하는 국가들의 속성과 제재 이행보고서 제출 여부의 관계를 분석한다. 대북제재 결의안이 발효되면, 유엔 회원국들은 대북제재 이행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하지만 안보리 결의의 속성, 잠재적 참여국의 속성 등 여러 이유로 대북제재 결의안과 관련하여 제출된 이행보고서의 규모는 달랐다. 이에 본 논문은 “국가들이 안보리 대북제재에 참여하는 요인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제기하였다. 본 연구는 안보리 대북제재를 주도하는 미국의 영향력을 국가들의 주된 참여 원인으로 본다. 선행 연구는 결의안 발효 직후 북한의 경제적 변화에 초점을 두고, 중국과 러시아의 역할을 제고하였다. 그러나 안보리 대북제재에 ‘국제 공조’와 ‘경제제재’가 공존한다는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안보리 내외에서 작용하는 미국의 영향력은 상당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통계 방법을 통해 유엔 회원국들이 2006년에서 2016년 사이 발의된 다섯 개 결의안(1718호, 1874호, 2094호, 2270호, 2321호)에 참여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분석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다음의 다섯 가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미국 대비 상대적 국가 경제력이 큰 국가일수록 제재 이행보고서를 제출할 확률이 높다. 둘째, 북한과 수교한 국가일수록 제재 이행보고서를 제출한다. 셋째, 미국과 경제적 상호의존도가 높은 국가일수록 제재 이행보고서를 제출할 확률이 높다. 넷째, 대북제재 결의안 내용의 차이는 제재 이행보고서 제출 여부에 영향을 준다. 다섯째, 아시아 및 유럽 지역의 국가들이 제재 이행보고서를 제출할 확률이 높다. 더 나아가 예측확률모형을 통해 각 변수의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첫째, 미국 대비 국가 경제력이 높을수록 제재 이행보고서를 제출할 확률이 높다. 둘째, 미국과 경제적 상호의존도가 높을수록 제재 이행보고서를 제출할 확률이 높다. 셋째, 유럽 국가일수록 제재 이행보고서를 제출할 확률이 높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 논문은 두 가지 함의를 갖는다. 첫째, 선행 연구에서 간과했던 안보리 대북 경제제재의 국제 공조에 관해서 분석하였다. 둘째, 안보리 대북제재 사례를 고찰함으로써 국제적 사안에 관한 국가들의 행동 요인을 분석하는 연구에 새로운 논의를 줄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ributes of member states participating in imposing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in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hereafter “UNSC) and the numbers of submitted implementation reports. After a UNSC resolution is adopted, UN Member States are required to submit implementation reports to the 1718 Sanctions Committee. However, each country’s submission of its UNSC Resolution showed distinct differences accordingly to their attributes and counterparts’ attributes to the UNSC Resolution. Therefore, this paper discusses, “What factors cause member states to submit UNSC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This paper argues that US power has been the leading force for other countries to follow in imposing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In fact, previous researches emphasized the roles of China and Russia focusing on the economic change in North Korea right after the adoption of the resolution. Nonetheles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UNSC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have both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economic sanctions, the US has been highly influential in leading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causes of member states’ participations in five resolutions (Resolution 1718, 1874, 2094, 2270, and 2321) approved from 2006 to 2016. After a thorough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five empirical results were found. The results show that (1) a member state with the higher GDP compared to the US GDP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higher number of submissions; (2) a member state that has diplomatic tie with North Korea is more likely to submit the implementation reports; (3) a member state that has higher economic dependence on the U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higher submission numbers; (4) different attribute of each resolution has influence over the rates of implementation report submission; (5) Asian and European countries have higher rates of implementation report submissions. Furthermore, out of the empirical results I have found, I have also conducted the recycling prediction model. As a result, the three among five mechanisms were found to be more significant to explain what causes international cooperation on UNSC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First, having higher GDP compared to the US GDP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higher numbers of submissions. Second, the member countries that have higher economic dependence on the U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higher numbers of submissions. Third, European countries are more likely to submit implementation reports. My dissertation provides two implications. First, it analyzes international cooperation of UNSC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which the previous studies have overlooked. Second, by showing the UNSC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it gives a new discussion to the study about how the countries behave when they deal with international issues.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권한 확대

        윤주경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2

        유엔 창설로 부터 70여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살펴볼 때, 국제사회의 환경 변화와 관행 누적 등에 따라 유엔의 역할과 위상 등에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유엔의 핵심적인 기관이자 국제평화와 안전의 유지를 일차적 책임으로 하는 유엔 안보리 역시 변화의 중심에 있다. 안보리는 의사결정과 행동에 있어서의 정치성, 국제평화와 안전을 위협하는 사태에 대처한다는 임무적 특성에 의해 냉전기 권한 행사가 위축되어 있었으나, 탈냉전 이후 진영간 대립이 사라지고 국제평화와 안전의 위협요소가 다양해짐에 따라 그에 대응하기 위한 안보리의 권한이 확대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안보리 권한 확대를 살펴봄에 있어서 헌장에 규정되어 있는 안보리의 집행적 권한이 활발히 행사되는 것과 함께, 헌장에 언급되지 않고 있는 권한들이 나타나는 가능성에 대해서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헌장의 집행적 권한 행사에 있어서 최근 안보리가 가장 활발하게 선택하고 있는 수단은 제재(sanction)로써, 안보리는 비용 대비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스마트 제재 방식을 도입하여 활용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헌장에 언급되지 않는 권한으로써 안보리가 일반적 상황에 추상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개념의 입법적 권한이나, 구체적인 상황에 대해 법률적인 판단을 내리는 사법적 권한의 행사 가능성도 상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안보리 권한 확대에 대한 통제를 보장하고 안보리의 민주적 성격을 강화하여 국제사회 전체의 대표성을 확보함으로써, 안보리의 위상을 재정립할 필요성이 있다. 이 과정에서 안보리 권한 확대 과정이 국제평화와 안전의 유지라는 안보리 본래의 목적 달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권한 남용 가능성을 유념하고 유엔 개혁 논의와도 연계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