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레스토랑 직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이 지각된 경영품질에 미치는 영향

        추대엽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Pierce et al.(1991)에 의해 처음 제기된 심리적 주인의식을 “개인이 소유의 대상을 자신의 것처럼 느끼는 심리적 상태”로 인식했으며, 공식적인 주인의식이 아닌, 심리적으로 주인의식을 경험하는 비공식적 주인의식 즉 심리적 주인의식이란 개념을 레스토랑 직원들을 대상으로 조직에 대한 심리적 주인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심리적 주인의식이 레스토랑 직원에게 지각된 경영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에 대한 심리적 주인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직원에게 지각된 직무특성(직무교육기회, 직무재량권, 직무정형성), 지각된 조직특성(조직지원, 상사지원, 고용안정, 참여경영)을 선정하였다. 심리적 주인의식의 결과는 직원들의 긍정적인 태도와 행동의 결과인 레스토랑의 지각된 경영품질로 선정하고 경영품질에 해당하는 세부 요인으로는 고객만족, 인적자원중심, 리더십, 정보·분석경영, 주기적인 직무교육,, 효율적 의사소통으로 세분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에 있는 레스토랑 중 호텔레스토랑, 패밀리레스토랑, 관광식당에 근무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12.0과 AMOS 5.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레스토랑 직원에게 지각된 직무특성 요인에 따라 조직에 대한 심리적 주인의식에 미치는 영향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직원에게 높게 지각된 직무교육기회와 직무재량권은 조직에 대한 심리적 주인의식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각된 직무정형성은 심리적 주인의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레스토랑 직원에게 높게 지각된 조직특성의 요인인 조직지원, 상사지원, 고용안정, 참여경영은 심리적 주인의식은 증가시켰다. 셋째, 레스토랑 직원이 갖는 심리적 주인의식이 지각된 경영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경영품질의 세부적 요인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레스토랑 직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이 높을수록 고객만족, 인적자원중심, 리더십, 정보·분석경영, 주기적인 직무교육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나타났다. 그러나 레스토랑 직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이 효율적 의사소통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영품질에의 요인 중에서 정규직 직원과 경력 10년 이상의 직원이 고객만족과 인적자원중심, 주기적인 직무교육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며, 비정규직 직원과 경력 10년 미만의 직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그룹 간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레스토랑의 관리자는 고객만족, 인적자원중심, 리더십, 주기적인 직무교육, 효율적 의사소통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사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그룹 간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In the study, a psychological ownership suggested by Pierce et al in 1991 at the first time was recognized as ‘a psychological status that an individual feels an possessive object as his/her possessions’ and not an official ownership, but an unofficial ownership that psychologically experience a ownership, namely a concept of a psychological ownership was adapted on restaurant employees in the study. The study is to seek to find factors to affect a psychological ownership in an organization and to find how a psychological ownership affects managerial quality perceived by restaurant employees. In the study, job characteristics(opportunities of job training, job discretions, routine job),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organizational supports, leader's supports, stabilized employment, participant management) perceived by employees, as factors to affect a psychological ownership on organization were chosen. The results of a psychological ownership are chosen by employee's positive attitudes and perceived managerial quality of restaurants as a result of behaviors, and detail factors that belong to managerial quality are classified to customer satisfaction, concentrating on human resources, leadership, information/analysis management, regular job training, and efficient communications. In the study, an questionnaire method was implemented to employees who are working at hotel restaurants, family restaurants, and tourism restaurant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utilizing SPSS 12.0 and AMOS 5.0. The followings are an abstract of results acquired from the study. First, according to factors of job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employees, it's found that a psychological ownership on organizations was affected differently. It is found that opportunities of job training and job discretions perceived, in a high degree, by employees increased a psychological ownership on organizations, while perceived routine job decreased a psychological ownership on organizations not significantly in the statistics. Seco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organizational supports, leader's supports, stabilized employment, participant management) perceived, in a high degree, by employees increased a psychological ownership on organizations. Third, It's found that a psychological ownership differently affected managerial quality perceived by restaurant employees according to the detail factors. Higher restaurant employees' a psychological ownership is, more significantly(+), in the statistics,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concentrating on human resources, leadership, information/analysis management, and regular job training. However, it's found that a psychological ownership didn't affect efficient communications significantly in the statistics. Fourth, among factors in managerial quality, concentrating on human resources and regular job training showed higher means on the employees who are regular employees and have been experienced more than 10 years, and it's fou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ormer group and the group who are irregular employees and have been experienced less than 10 years. Customer satisfaction, concentrating on human resources, leadership, regular job training, and efficient communications showed higher means on the restaurant managers, and it's fou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anagers and the employees.

      • 호텔 종사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이 고객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홍섭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국내 특 1.2급 호텔을 대상으로 호텔 종사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이 직무만족과 고객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리고 심리적 주인의식이 고객지향성의 영향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나,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와 관련하여 미래의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국내외의 관련 자료와 문헌에 의존하여 이론적 고찰에 의한 종합적인 분석과 검토를 거쳐 실증적 연구를 위한 연구 분석틀과 가설을 설정 하였다. 문헌연구를 토대로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검증을 위한 자료수집 방법으로는 설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전체 문항은 32문항으로 ,가설검증을 위한 문항 25문항, 인구통계학적 문항 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문항은 Likert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조사기간은 2012년 11월15일부터 - 2012년 11월 30일까지로 16일간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전 연락을 통해 2개의 호텔에 근무하고 있는 정규직, 비정규직 사원들을 대상으로 총 300부의 설문지중 298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조사 자료는 자기기입법을 통한 설문조사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문항은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하였는데, 첫째부문은 호텔 종사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으로 Van Dyne & Pierce(2004)가 제시한 문장을 호텔관광분야에서 표본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한 심지연(2011)의 연구에서 사용한 문항의 신뢰성 및 타당성이 충족되어 (a>0.90)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다. 또한 오류 설문지를 찾아내기 위해 4번과 9번 문항을 역코딩 하여 기존 문항을 보완하였으며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해 측정하였다. 둘째부문은 직무만족으로 조선배·김석영, 2009; 박용석·류기현, 2008; 오영섭·변광인, 2008 Wu & Norman, 2006의 연구를 토대로 하여 ‘나는 전반적인 나의 업무에 만족한다.’. ‘나는 다른 사람보다 나의 일을 더 많이 좋아한다.’. ‘나는 현재의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기쁨과 보람을 느낀다.’. ‘대부분 나의 업무를 수행하는 동안에 정열을 쏟는다.’ 등의 4개의 항목을 Likert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셋째는 고객지향성으로 오영섭·변광인, 2008; 윤성준·박종원·최동춘(2004)의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를 추출하여 ‘나는 고객에게 기쁨을 주기 위한 서비스에 노력한다.’, ‘나는 고객이 원하는 모든 정보를 제공해준다.’, ‘나는 고객에게 친근하고 개인적인 관계를 위해 노력한다.’ 등의 4개 항목을 Likert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가설1은 호텔 종사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는 호텔 종사원의 직무만족은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3은 호텔종사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의 설문자료는 SPSSv. 17.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호텔 종사원의 심리적 주인의식과 직무만족, 고객지향성에 대해 알아보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 방법으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넷째, 각 변수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가설검증을 위하여 단순회귀분석 및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호텔 종사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결과 독립 변수로서 심리적 주인의식은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호텔 종사원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해서는 심리적 주인의식의 향상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호텔 종사원의 직무만족이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한 분석결과 독립변수로서 직무만족은 고객지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호텔종사원의 고객지향성 향상을 위해서는 직무만족의 향상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셋째, 호텔 종사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이 고객지향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 에 대한 분석결과 독립변수로서 심리적 주인의식은 고객지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호텔 종사원의 고객지향성 향상을 위해서는 심리적 주인의식의 향상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넷째, 호텔 종사원의 직무만족은 심리적주인의식이 고객지향성을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 인가에 대한 분석결과 심리적 주인의식은 1단계에서 매개변수인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2단계에서 종속변수인 고객지향성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단계의 독립변수인 심리적 주인의식의 회귀계수가 2단계에 비해 적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만족은 심리적 주인의식과 고객지향성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호텔 종사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이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치고 직무만족은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호텔과 같은 서비스기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인적 자원관리를 하여야 할 것이다.

      • 심리적주인의식, 직무열의, 잡크래프팅의 관계 : 사회적 요인의 영향, 언론인을 중심으로

        양영은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727

        심리적주인의식과 직무열의, 잡크래프팅은 직무와 관련된 조직구성원의 대표적인 심리, 태도, 행동 변수이다. 즉, 조직구성원의 직무에 대한 심리와 태도 또는 행동을 나타내는데 이들은 최근 긍정심리학이 대두되면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현재까지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직무열의를 중심으로 선행변수와 결과변수를 살펴본 연구가 다수 있으나, 심리적주인의식을 선행변수로 살펴본 연구는 많지 않고 잡크래프팅을 결과변수로 살펴본 논문도 찾아보기 어렵다. 심리적주인의식의 경우 직무열의의 결과변수로 살펴본 경우가 대부분이고 잡크래프팅은 직무열의의 선행변수로 살펴본 연구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잡크래프팅은 많은 통합적 문헌 고찰 논문들과 메타 분석 논문들이 지적하고 있듯, 그 선행변인과 결과변인 사이에 인과적 모호성이 존재하여 보다 정교한 연구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또한 심리적주인의식의 경우에도 직무요구-자원이론에 따라 직무열의의 선행변수로서 작용하리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한편 직무열의를 둘러싼 변수들의 영향 관계도 직무요구-자원 모형을 근간으로 하여 설명되고는 있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직무자원과 직무요구가 어떻게 관계를 맺는지에 대한 심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며 더 나아가서는 직무열의를 중심으로 다양한 조절변수의 확인을 통한 상황모형의 개발도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꾸준한 관심을 받고 있는 변수인 직무열의를 중심으로, 직무요구-자원 모형에 따라 개인 차원의 직무자원으로서 직무기반 심리적주인의식을 선행요인으로 하고, 조직구성원의 개인-직무 부합을 극대화하여 직무성과를 증진시킨다는 측면에서 관심을 모으고 있는 잡크래프팅을 결과변인으로 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들 변수들 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들도 확인해볼 것이다. 이때 직무기반 심리적주인의식과 직무열의 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로는 사회정체성이론에 따라 외부로부터 지각된 직업의 위상을, 직무열의와 잡크래프팅 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로는 사회정보처리이론 관점에서 지각된 동료 구직행동을 각각 선택하였다. 가설 검정을 위해 근래 직업의 사회적 위상 하락에 따른 사기 저하와 이직의 증가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현직 언론인 310명의 설문 응답 자료를 활용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직무기반 심리적주인의식은 잡크래프팅과 직무열의에, 직무열의는 잡크래프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직무열의는 직무기반 심리적주인의식과 잡크래프팅 간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무기반 심리적주인의식과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외부로부터 지각된 직업 위상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직무열의와 잡크래프팅의 관계에서 지각된 동료 구직행동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즉, 외부로부터 직업 위상이 높게 지각될수록 직무기반 심리적주인의식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도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기반 심리적주인의식과 잡크래프팅의 관계에서 직무열의는 지각된 직업 위상에 의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직무열의 관련 문헌연구의 확장에 기여하면서 매개효과 및 조절변수의 탐색으로 직무열의 관련 변수들 간의 관계를 보다 종합적이고 정교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또한 직무열의와 잡크래프팅 증진을 위한 실무적인 의의도 지닐 것이다.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amongst psychological ownership, job engagement, and job crafting. Studying a sample of 310 journalists in South Korea, it was found that both job-based psychological ownership and job engagement had a direct effect on job crafting. Additionally, through job engagement, job-based psychological ownership indirectly influenced job crafting, which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Furthermore, the moderating effect of a perceived coworker's job search behavio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reas that of perceived occupation ima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ing that the latter factor could on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based psychological ownership and job engagement.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ccupation image was also confi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an individual's job-based psychological ownership acts positively in promoting job crafting. It also demonstrated that an individual's job engagement is an important antecedent factor to facilitate job crafting.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increase job crafting an individual's intrinsic motivation should be fostered through psychological ownership resulting in the improvement of job engagement. Though the moderating effect of a perceived coworker's job search behavior was not confirmed, this study did confirm the moderating/mediated-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ccupation image on the relationship amongst job-based psychological ownership, job engagement, and job crafting.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verified the influence of social information on the relationship among job-based psychological ownership, job engagement, and job crafting. Additionally, it showed that an individual's attitude and actions towards a job can be influenced by psychological status and behavior as well as by social information such as perceived occupation image.

      • 직무기반 심리적 주인의식이 기업 구성원의 생산적 행동에 미치는 심적 과정에 관한 연구

        엄윤섭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에 대한 심리적 주인의식이 생산적 행동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자율감 또는 의무감의 경험이 구성원들의 생산적 행동에 어떤 차별적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여 직무기반 심리적 주인의식의 심적 메커니즘을 탐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직무기반 심리적 주인의식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하고 구성원들의 대표적 생산적 행동인 혁신행동, 역할 내 행동, 조직시민행동을 종속변인들로 설정하였다. 이들 사이에서 자율감과 의무감을 매개변인으로 삼았으며, 자율감과 의무감을 경험하게 하는 동기적 요인으로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을 또 다른 매개변인으로 한 연속적 이중매개 모형을 설정하였다. 국내 기업 근무기간이 1년 이상인 직장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패널조사 방식으로 수집한 315명의 응답자료를 분석한 결과 직무기반 심리적 주인의식은 자율감과 의무감의 매개를 통해 구성원들의 혁신행동, 역할 내 행동, 조직시민행동 모두와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자율감은 혁신행동과, 의무감은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은 기여를 하였으며, 향상초점은 구성원들이 직무기반 심리적 주인의식을 자율감과 의무감으로 느끼도록 유도하는 반면, 예방초점은 의무감만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직무기반 심리적 주인의식은 향상초점과 자율감을 거쳐 혁신행동 및 역할 내 행동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며, 예방초점과 의무감을 거쳐 역할 내 행동 및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연속적 이중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그 경로를 확인하였다. 끝으로 논의에서는 본 연구의 실용적 의의와 한계점을 밝히고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mechanism in the process where job-based psychological ownership(JPO) leads to the productive behavior of employees at work. In this study, JPO was set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ree productive behaviors(innovative behavior, in-role behavior,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OCB) were set as dependent variables. Among them, feeling of autonomy and felt obligation were used as mediating variables. In addition, promotion focus and prevention focus were the other mediating variables as motivating factors for experiencing feeling of autonomy and felt obligation. A total of 315 Korean employees who have worked for more than one year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ough online panel surve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JPO was positively related to innovative behavior, in-role behavior, and OCB. The mediating effects of feeling of autonomy and felt obligation was significant between JPO and those productive behaviors. In this process, feeling of autonomy contributed more to innovative behavior. Felt obligation contributed more to OCB. It was confirmed that promotion focus induces employees to feel JPO with feeling of autonomy and felt obligation while prevention focus only induces felt obligation. Furthermore, it was verified by statistically significant serial dual mediation effect that JPO goes through promotive focus and feeling of autonomy to affect innovative behavior and in-role behavior, and that JPO goes through preventive focus and felt obligation to reach in-role behavior and OCB. Finally,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esented.

      • 카지노 종사원의 경력정체 지각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주인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희수 세종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6

        논문요약 카지노 종사원의 경력정체 지각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주인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카지노 산업은 높은 노동의존성을 지닌 산업인 만큼 인적자원의 관리가 무척 중요시 되는 산업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카지노 조직에서 종사원의 이직은 기업의 직접적인 손실을 야기하게 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처럼 조직에 손실을 야기하는 이직의도에 카지노 종사원이 느끼는 구조적, 내용적 경력정체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그 사이에서 심리적 주인의식이 매개 역할을 함을 검증하여 이직의도를 줄이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연구모형을 도출하고 총 7개의 가설을 세웠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가설을 위한 질문 16건과 인구통계학적 정보를 위한 질문 8건, 총 24건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파라다이스 세가사미, GKL강북지점, 강원랜드의 종사원을 대상으로 260부를 배포하였다. 이중 미응답 및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199부의 설문응답을 확보하였다. 회수한 설문지를 바탕으로 빈도분석을 통해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분류하였으며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 분석을 실시하고 각 변수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이 후 각 변인에 따른 변수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으며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 및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의 검증을 위하여 Baron&Kenny의 3단 회귀분석 매개검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통계프로그램은 SPSS v. 20 이다. 아래는 7개의 가설에 대한 분석 결과이다. 첫째, 구조적 경력정체는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1을 증명하기 위해 Baron&Kenny의 3단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제로 구조적 경력정체는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용적 경력정체는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2를 증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용적 경력정체는 이직의도에 실제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조적 경력정체는 심리적 주인의식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3을 증명하기 위해 Baron&Kenny의 3단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조적 경력정체는 심리적 주인의식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내용적 경력정체는 심리적 주인의식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4를 증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용적 경력정체는 심리적 주인의식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심리적 주인의식은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5를 증명하기 위해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심리적 주인의식은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심리적 주인의식은 구조적 경력정체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이의 매개의 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6을 증명하기 위해 Baron&Kenny의 3단 회귀분석 매개검증을 사용해 분석을 실시한 결과 심리적 주인의식은 구조적 경력정체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이의 완전 매개의 역할을 함이 검증되었다. 일곱째, 심리적 주인의식이 내용적 경력정체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이의 매개의 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7을 검증하기 위해 Baron&Kenny의 3단 회귀분석 매개검증을 사용해 분석을 실시한 결과 심리적 주인의식은 내용적 경력정체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이의 부분매개의 역할을 함이 검증되었다. 주제어 : 경력정체, 심리적 주인의식, 이직의도, 카지노 종사원, 매개효과

      • 조직공정성과 조직유효성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

        이정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6

        조직에서의 심리적 주인의식의 연계는 종업원의 마음을 연결하는 유대이며 그는 종업원이 조직에 대한 만족도, 조직에 대한 감정이입, 직무성과에 영향을 준다. 조직에 대한 구성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에 영향을 주는 선행 요인을 절차공정성과 분배공정성으로 나누어, 각각의 요인들이 조직에 대한 심리적 주인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조직에 대한 구성원의 태도를 직무긴장, 조직시민행동으로 구분하고, 조직에 대한 종업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이 이들 각각의 결과변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심리적 주인의식의 독립변수들과 종속변수들의 과계에 있어서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과 연구모형을 실증분석하기 위해, 객관적 데이터(data)를 마련하기 위해 중국 기업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 방법은 설문지를 통한 실증적 연구방법이 되고 분석은 SPSS18.0를 통한 다양한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은 구성원의 조직에 대한 심리적 주인의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근로자들의 조직에 대한 소유감은 분배공정성보다는 절차공정성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조직에 대한 심리적 주인의식은 직무긴장에 부(-)의 영향을 미치며 조직시민행동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분배 공정성은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절차 공정성은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분배 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은 직무긴장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심리적 주인의식은 분배공정성과 조직유효성의 두 요소인 직무긴장, 조직시민행동 간, 그리고 절차 공정성과 직무긴장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지 않았으나 절차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21st century, human resources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resources for a country as well as an organization to develop and surviv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organization's manager to think on the effective ways to hold and encourage the talented employees. In order to hold and encourage an employee, first of all, the manager has to understand the employee's psychological ownership. The manager should be able to know and understand what the employee's expectations and perspectives to the organization, as well as his/her sense of value. The organization's understanding of its employee's perspective and expectations will determine the level of its employees' psychological ownership. Due to this issue,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psychological ownership, as well as to examine how psychological ownership influenc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is study, the organizational justice is divided into procedural justice and distributive justice. Meanwhil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divided into job stress and OCB. Since there is no empirical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owner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us, this study represents one of the first studie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owner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distributive justi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b stress and OCB). Besides,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job stress and OCB using the demographic variables. Survey data were gathered from the people who works for big or small-medium enterprises in China.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oth procedural justice and distributive justice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ownership, with procedural justice the strongest indicator for Chinese workers' sense of ownership for the organization. The results also address that the psychological ownership has significant effect on both job stress and OCB, where psychological ownership has positive effect on OCB, but a negative effect on job stress. Besides, this study also shows that procedural justice has significant direct positive effect on OCB. In addition, this study also proves that psychological ownership has the mediating effects between procedural justice and OCB.

      • 진정성 리더십이 전투사기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영기 성균관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6

        오늘날 조직의 환경이 역동적인 변화를 겪고, 군부대 또한 이와 같이 예측이 어려운 심기에 직면했을 때 안정적인 시기와 상황에 비해 리더십을 발휘하기가 더욱 어렵다. 전쟁에서 부대의 승패를 좌우하는 전투사기와 다양한 전장 환경에서 임무형 지휘가 가능하도록 하는 부대원들의 창의성은 변화에 적응하고 승리하기 위해서 더욱더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정성 리더십, 심리적 주인의식, 전투사기 그리고 창의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관련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및 실증연구를 병행하였으며,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해병대 대대급 전투부대(n=187)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데이터를 가지고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타당성 분석을 하였고, 크론바흐 알파값을 통하여 신뢰성 분석을 하였다. 또한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정성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들의 심리적 주인의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 구성원들의 심리적 주인의식은 전투사기와 창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정성 리더십과 전투사기, 창의성의 관계에서 조직 구성원들의 심리적 주인의식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호텔종사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이 직무열의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병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6

        최근 호텔들은 조직과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법으로 비정규직의 고용을 늘리거나 구조 조정 등의 인력구조를 비탄력적인 방법을 지향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호텔산업의 고용 안정성은 줄어들고 종사원의 조직에 대한 소속감과 충성도의 수준은 낮아졌다. 이러한 상황일수록 조직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원들의 바람직한 행동은 자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업무적 환경을 형성하는 것은 매우 필요하며, 종사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이 더욱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호텔 주방 종사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이 직무열의와 직무성과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연구결과는 호텔 내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와 함께 다양한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분석 방법으로는 가설검증 이전에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Cronbach’ a 검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검증 검증의 분석은 통계프로그램인 SPSS WIN 18.0을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차이검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서울 특1급 호텔 종사원들을 대상으로 20일간 본 조사를 실시하고, 수집 되어진 자료들을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호텔종사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회귀식의 설명력인 R2값은 55.5%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181.849, p<.001). 호텔종사원의 심리적 주인의식 중 조직에 대한 심리적 주인의식, 직무에 대한 심리적 주인의식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1은 모두 채택 되었다. 호텔종사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회귀식의 설명력인 R2값은 42.3%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106.990 , p<.001). 호텔종사원의 심리적 주인의식 중 조직에 대한 심리적 주인의식, 직무에 대한 심리적 주인의식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2는 모두 채택 되었다. 호텔 종사원의 직무열의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회귀식의 설명력인 R2값은 48.5%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276.084, p<.001). 분석 결과 호텔 종사원의 직무열의는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3은 채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 1급 호텔 종사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이 직무 열의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호텔 종사원이 회사를 나의 조직으로 느끼고 확장된 자아로 여겨 주체적인 역할을 하는 심리적 주인의식을 갖는다면, 직무를 수행할 때 열정적인 마음과 도전정신을 발휘하여 직무에 고도로 헌신할 수 있는 직무열의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며, 회사 매출에 직간접적으로 연결이 되는 직무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회사발전과 자신의 발전 모두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Recently, hotels are aiming to increase the employment of non - regular workers as a way to improve organization and efficiency, or to make inefficient workforce structure such as restructuring. For this reason, the employment stability of the hotel industry has decreased and the level of belonging and loyalty to the employees' organizations has been lowered. In such a situation, it is very necessary to form a working environment so that the desirable behavior of the members influencing the growth of the organization can be autonomously formed, and the psychological ownership of the employees is becoming more conscious.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psychological mastery of hotel kitchen workers will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nthusiasm and job performance,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esent various data along with basic data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hotel. As a research method, Cronbach 'a and factor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confir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before the hypothesis test. The analysis of the hypothesis test and verification was conducted using SPSS WIN 18.0,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ifference verific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20 days at the first class hotel employees in Seoul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he R2 value of the regression equation was 55.5% and the regression model was significant (F = 181.849, p <.00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sychological ownership of the hotel employees and the psychological ownership of the organization. Therefore, Hypothesis 1 was adopted.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the R2 value of the regression equation was 42.3% and the regression model was significant (F = 106.990, p <.00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sychological ownership of the hotel employees and the psychological ownership of the organization. Therefore, Hypothesis 2 was adopted.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the R2 value of the regression equation was 48.5% and the regression model was significant (F = 276.084, p < .001). The results showed that job enthusiasm of hotel employees affects job performance. Therefore, Hypothesis 3 was adop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of the psychological ownership of the first class hotel employees on job enthusiasm and job performance was significant, and the hotel employees felt psychological self - If you have a sense of ownership, you will be able to show enthusiasm and enthusiasm when you perform your duties and show your enthusiasm for high dedication to your duties. Positive impact on your job performance, which is directly or indirectly linked to your company's sales And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able to promote both company development and self development.

      • 최고경영자의 포용적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바이오기업을 중심으로

        김홍민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725

        포용적리더십(Inclusive Leadership)은 리더가 구성원들과의 상호작용을 하는 과정에서, 구성원들이 리더에게 쉽게 접근 할 수 있고 의사소통의 장벽을 해소할 수 있는 개방적인 마인드를 가지며 다양한 의견을 구하고 각기 다른 의견을 수용하여 의사결정에 반영하는 심리적으로 유능하고 조직내 효과를 일으키는 리더십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포용적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심리적주인의식(Psychological Ownership)과 조직신뢰(Organizational Trust)가 매개효과를 보이는지와 포용적리더십이 자기관찰(Self-monitoring)과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내는지에 대하여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속변수인 조직시민행동(OCB)은 개인을 향한 조직시민행동(OCBI/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r Individual)과 조직을 향한 조직시민행동(OCBO/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r Organization)로 구분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모형은 사회교환이론(Social Exchange Theory)에 기반을 두고 설명하고 있다. 설정한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도권에 소재한 바이오기업의 직장인들 중 20대 이상 사무직 및 연구직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05부의 데이터를 표본으로 이용하였다. SPSS 25.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상관관계 분석, 일반 회귀분석,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검증을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매개효과는 Baron & Kenny(1986)의 3단계 검증방법을 따랐으며, 조절효과는 평균중심화를 통한 조절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용적리더십은 심리적주인의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주인의식은 OCBI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심리적주인의식은 OCBO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주인의식은 포용적리더십과 OCBI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심리적주인의식이 포용적리더십과 OCBO의 관계에서는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포용적리더십은 조직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신뢰는 OCBI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조직신뢰는 OCBO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신뢰는 포용적리더십과 OCBI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직신뢰가 포용적리더십과 OCBO의 관계에서는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기관찰은 포용적리더십과 심리적주인의식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관찰은 포용적리더십과 조직신뢰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바이오기업의 리더들에게 포용적리더십에 대한 교육훈련을 강화함으로써 포용적리더십 활용을 적극적으로 유도하여 구성원들의 심리적주인의식 및 조직신뢰의 향상을 통해 궁극적으로 조직시민행동의 제고를 달성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조직의 성과 및 구성원만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난다. 보다 자세한 시사점은 결론과 논의 파트에서 다루어진다. Inclusive Leadership is an open-minded leadership that allows followers to easily access the leader in the process of a leader's interaction with followers, thus eliminating barriers to communication. In this study, in the process of Inclusive leadership having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t shows whether the Psychological Ownership and Organizational Trust have a mediating effect and whether the inclusive leadership has an interaction effect with self-monitoring. The dependent variabl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re set up by dividing them into two category -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r Individual(OCBI)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r Organization (OCBO). The research model is based on the Social Exchange Theory. To verify the model, 405 copies of the data were sampled by a survey of office workers in their 20s or more of the bio firms in the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general regression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using SPSS 25.0. The mediating effect was followed by the three-step method of Baron & Kenny (1986), and the moder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mean centralization. The verifica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clusive leadership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sychological ownership. It has also been shown that psychological ownership have a relationship with OCBI, and Psychological Ownership have a relationship with OCBO as well. Second, it was shown that Psychological Ownership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OCBI, but psychological ownership did not have a medit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OCBO. Third, inclusive leadership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trust. It has also been shown that Organizational Trust has a positive effect on OCBI, and OCBO. Fourth, organizational trust has been shown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OCBI, but organizational trust has no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OCBO. Finally, Self-monitoring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psychological ownership. Also, Self-monitoring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trust. This research result shows that by strengthening education and training on inclusive leadership, bio-enterprise leaders can actively encourage the use of inclusive leadership, ultimately achieving the enhancemen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the improvement of members' Psychological Ownership and Organizational Trust. More detailed implications are addressed in the conclusion and discussion s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