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동엽 시 연구 : 언술주체의 의미실현 양상을 중심으로

        김희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33

        본 연구는 시의 언술주체가 의미를 실현해 가는 과정을 분석적으로 고찰해봄으로써, 신동엽의 시가 지향하고 있는 바가 무엇인지를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텍스트 자체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신동엽 시의 주제적인 면이 작품의 내적인 형식과 유기적으로 관계 맺고 있는 양상을 밝혀내고자 했다. 신동엽의 시에서 '현실 세계'는 언제나 변혁해야 하는 부정적인 대상으로 나타난다. 이로 인해 신동엽 시의 담화 구조는 언술주체의 현실 변혁 의지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나타난다. 이에 본고에서는 화자 지향적 언술과 청자 지향적 언술, 그리고 화제 지향적 언술의 제양상들을 통해 언술주체가 현실 변혁 의지를 실천해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화자 지향적 언술 속에서 자아가 형상화되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신동엽 시의 화자 지향적 언술은 자아와 세계의 단절을 체감하는 언술주체에 의해 구성된다. 이때 언술주체는 부정적인 세계에 대한 개인적 대응에 있어 상반된 태도를 보이는 두 유형의 화자를 등장시킨다. 여기에서 세계와의 불화를 극복하지 못하는 화자는 어떠한 전망도 제시하지 못한 채 내적으로 고립되는 모습을 보인다. 이때 언술주체는 현실 극복의 노력을 적극적으로 보여주지 못하는 화자의 절망적인 내면 상황을 부각시킴으로써 수동적인 '자아'의 한계성을 드러낸다. 반면에, 자아를 확장해서 세계와의 화해를 추구하는 화자는 단절을 극복하려는 적극적인 시도를 통해 새로운 전망을 획득해내고 있다. 고립된 자아와 확장된 자아가 보여주는 대립적 태도는 전망의 '부재/획득'이라는 결과적 상황을 통해 '부정/긍정'이라는 이항대립적 상황을 만들어낸다. 여기에서 언술주체는 세계와의 불화를 능동적으로 극복해내는 자아에게 긍정적인 시선을 보냄으로써 이상적인 자아상을 제시하고 있다. Ⅲ장에서는 청자 지향적 언술 속에서 자아와 타자의 관계가 형상화되고 있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언술주체는 청자 지향적 언술을 통해 세계와의 화해를 추구하는 '자아'가 개별적인 타자들과 직접적으로 관계를 맺는 모습을 전경화시킨다. 여기에서 언술주체가 내세우고 있는 화자는 청자의 성격에 따라 상반되는 두 가지 태도를 보인다. 부정적인 타자들을 향해 발화를 수행하는 화자는 청자에 대해 강한 거부감을 드러낸다. 반면, 긍정적인 타자들을 향해 발화를 수행하는 화자는 청자에 대한 열정적인 사랑을 보여준다. 여기에서 긍정적 타자는 대지적 생명력과 굳건한 의지를 가진 건강한 민중으로 설정되고 있다. 이렇게 타자의 '부정/긍정'에 따라 '강한 거부/열정적 사랑'으로 상반되게 나타나고 있는 화자의 태도는 언술주체가 지향하는 타자가 건강한 민중 집단이라는 것을 명확하게 드러낸다. 언술주체는 대지에 발 딛고 노동하는 인간, 즉 민중들과 자아의 긍정적 연대를 통해 이상적인 타자상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Ⅳ장에서는 화제 지향적 언술 속에서 세계가 재현되고 있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신동엽 시에서 이러한 유형의 언술은 텍스트의 외부에 존재하면서도 텍스트 내의 상황이나 장면에 주관적·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서술 화자에 의해 구성된다. 여기에서 서술 화자는 두 가지 태도를 보여준다. 화자는 훼손된 세계의 모습을 그대로 재현해냄으로써 현재적 상황에 내재하는 폭력의 구조를 드러내거나, 상상적 비젼을 통해 현실 세계의 폭력과 억압, 착취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적인 세계의 모습을 그려낸다. 현실 세계와 이상적 세계 사이에 존재하는 '부정/긍정'의 이항대립은 언술주체가 지향하는 세계가 조화롭고 평화로운 공동체적 삶이 구현되는 평등주의적 사회라는 것을 보여준다. 언술주체는 현실 상황의 부정성이 지양되고 극복되는 세계의 상상적 비젼을 통해 이상적인 세계상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Ⅴ장에서는 Ⅱ, Ⅲ, Ⅳ장의 분석을 통해 드러난 언술주체의 의미실현 양상을 종합적으로 고찰해 봄으로써, 신동엽 시의 '담화 목표'가 궁극적으로 독자들에게 세계 변혁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신동엽의 시를 민중시·참여시로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형식적 구성 원리는 이렇게 독자를 현실 변혁의 행위로 유도하는 방식을 통해 드러난다. 신동엽 시의 언술주체는 양가적 시선을 통해 이상적 자아상과 이상적 타자상, 그리고 이상적 세계상을 제시함으로써, 독자들에게 부정적인 세계에 대한 개인적·집단적 대응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세계 변혁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신동엽 시의 주제적 측면은 작품의 내적 구조와 유기적으로 관계 맺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존의 논의들은 그것이 찬양일변도를 보여주는 것이든, 맹렬한 비판을 보여주는 것이든, 이러한 이중적 작업, 즉 시의 내적 구조와 주제적 측면에 대한 동반적 연구를 소홀히 했다는 점에서 동일한 한계를 보여주었다. 이에 본고는 시의 언술주체가 보여주는 다양한 언술의 실현 양상들을 구체적인 작품 분석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신동엽 시의 전략과 지향을 규명해보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Shin Dong-yeup's poems intended to by analytically examining the aspects that a subject of discourse in poems realized the meaning.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matic aspects that Shin Dong-yeup's poems were systematically related to intrinsic forms by focusing on analysis of the text of his works itself. In Shin Dong-yeup's poems, the actual world always represents a negative object that has to be revolutionized. In consequence, a discourse structure of Shin Dong-yeup's poems is closely related to the will of a subject of discourse to revolutionize the reality. Therefore, this thesis examined the process that the subject of discourse realizes its will to revolutionize the reality by looking into the patterns of speaker-oriented discourse, listener-oriented discourse, and theme-oriented discourse. In chapter two, it is studied the patterns that a self has been taken shape in speaker-oriented discourse. Speaker-oriented discourse of Shin Dong-yeup's poems is made up of by the subject of discourse that recognizes breaking-off between the self and the outer world. At this time, the subject of discourse lets two types of speakers, who have contrary attitudes each other about the way to face to the negative reality for themselves, appear. At first, the speaker who cannot overcome the discord with the reality appears to be isolated from the reality and confined in inner world without any prospect. By emphasizing the speaker's desperate inner state, the subject of discourse reveals a limit of a passive 'self' that does not make any effort to cope with the reality. On the other hand, the speaker, who seeks to harmonize with the reality by expanding the self, acquires new prospect through the active attempt to overcome breaking-off with the reality. The opposing attitudes between the isolated self and the expanded self create the binary opposite situation, 'negative/positive', through consequential situation, 'absence/acquirement' of prospect. Here the subject of discourse suggests an ideal image of the self by sending positive eyes to the self that actively overcomes breaking-off with the reality. In chapter three, it is examined the patterns that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 has been taken shape in listener-oriented discourse. The subject of discourse foregrounds the picture that the 'self', trying to reconcile with the reality, directly makes relationship with individual others through listener-oriented discourse. At this point, speakers made stand by the subject of discourse show two contrary attitud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listeners. A speaker narrating to negative others reveals strong hostility toward the listener. On the other hand, a speaker narrating to positive others expresses ardent love toward the listener. Here, the positive others are represented as the crowds with sound mind that have enormous vitality and strong will. The speaker's contrary attitude that shows 'strong hostility/ardent love' according to the others' 'negative/positive' represents clearly that the others that the subject of discourse intends to is the crowds with sound mind. What the subject of discourse wants to mean is to represent the image of ideal others by emphasizing the positive solidarity with human beings that are laboring on the earth, that is, the crowds, and the self. In chapter four, it is studied the patterns that the reality is reemerged in theme-oriented discourse. In Shin Dong-yeup's poems, this type of discourse is composed of by a narrating speaker who intervenes in the situation or scene within the text in a subjective or active way, though the subject is outside the text. At this point, the speaker shows two attitudes. The speaker reveals a structure of violence underlying in the present by making the destroyed reality reappear, or pictures an ideal world that there is not any violence, suppression, and exploitation existing in the real world through imaginative vision. The binary opposition of 'negative/positive' lying in between the real world and ideal world represents that the world that the subject of discourse is longing for is a society where the principle of equality is observed and all the people can live each other harmoniously and peacefully. The subject of discourse intends to show the ideal image of the reality through an imaginative vision that negativeness of the reality can be denied and be overcome In chapter five, the research examined synthetically the aspects of the subject of discourse's realization of meaning that were reveal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vious chapters, and then it is found out that 'the aim of discourse' of Shin Dong-yeup's poems is ultimately to suggest the direction about how to change the world to readers. The formal principle that Shin Dong-yeup's poems are identified with poems of the crowds or socially activistic poems is revealed through the way to lead readers to an action for the reform of the reality just like this. The subject of discourse in Shin Dong-yeup's poems intends to give a direction to confront negative world individually or as a group to readers by offering the ideal images of 'self', 'the other' and 'the world', and based on this, ultimately to suggest a direction to revolutionize the reality. In conclusion, it is found that the thematic aspect of Shin Dong-yeup's poems is systematically related to the inner structure of the works. Existing arguments, whether they admire his works or severely criticize them, have a limit, concerning that they did not discuss the issues that inner structures of poems and thematic aspects should be examined at the same time. Consequently, this thesis identified Shin Dong-yeup's poems' strategies and intentions by examining various aspects of discourse represented by the subject of discourse in his works through concretely analysis of his works.

      • 한국어 ‘괜찮다’와 프랑스어 ‘Ça va’의 비교 연구 : 구어 실현 양상과 문법화 과정을 중심으로

        김채중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1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Gwaenchanda’ and French ‘Ça va’ through the aspects of usages in spoken language and processes of grammaticalization. In this study, first, I have searched for the meanings of ‘Gwaenchanda’ and ‘Ça va’ through the dictionaries and previous studies. Second, I have presented the usages in spoken language of ‘Gwaenchanda’ and ‘Ça va’. Third, I have compared the processes of grammaticalization of two vocabularies. In order to confirm the use of ‘Gwaenchanda’ and ‘Ça va’ in detail, I used the spoken corpus composed of 21st century Sejong spoken corpus, French corpus, dramas, and movies to find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vocabularies.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spoken languages of ‘Gwaenchanda’ and ‘Ça va’, there are asking opinions, speaking opinions, relieving(apologizing, worrying, complaining), allowing, refusing which are used as common functions in both languages. There are greeting expressions and negative refusal expressions used as individual functions only in French. However, it is not easy to compare the degree of fusion because ‘Gwaenchanda’ and ‘Ça va’ have different languages and different parts of speech. The grammaticalization of ‘Gwaenchanda’ can be seen in terms of the suffix ‘-chanhda /-ch’anhda’(Lee, Ghwang-ho, 2002). ‘Gwaenchanda’ is a derivation of a new meaning in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which means ‘It is worth it. Not so bad.’, ‘It does not matter.’ and so on(Standard Korean Dictionary,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Studies). The origin of ‘Ça va’ is ‘Comment allez-vous à la selle?’. According to historians, the exact etymology is unknown, but it came from 7th Latin ‘selle’ and began with questions about health in the Middle Ages. In modern French, it became a derivative word with various other new meanings as ‘greetings’, ‘It is OK.’ and so on. In the case of ‘Gwaenchanda’, there are various functions that can not be grasped only by the dictionary meaning, and the frequency of use is also high. Therefore, if Korean learners do not fully understand what each meaning of ‘Gwaenchanda’, they may face obstacles in communication with Korean speakers.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present the correct mood in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and in the textbooks through various dialogue situations. It can be seen as ambiguous expression due to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functions and meanings of ‘Ça va’.

      • 水雲 崔濟愚의 誠敬論과 文學的 實現樣相 硏究

        신상구 동국대학교 2004 국내박사

        RANK : 248636

        This thesis can be understood the newly character and the significance of Su-woon Choi, Jae-woo's poem-literary. It was elicited by his literary ideology through Donggyeongdaejeon(The east longitude complete collection) and Yongdamyusa and tried to examine the embodied aspect of his literary work. Until now, many have studied specific meaning of Su-woon's religious ideas and his ideology. But there are few works about the origin and character of his literary ideology and poem-literature. Moreover, it was impossible to examine the real facts of his literature, because the contents of Donggyeongdaejeon were covered with religious substance. At this point, the theme of my study contains the difficult and the value of practice. Su-woon has lived under the foundation thinking of Human nature and Natural law philosophy. But, the reality of Su-woon's life has fallen into confusion, and the lives of the people has fallen into the misery, owing to the loss of Human nature and natural laws philosophy's natural original form. In this atmosphere, he tried to look for the change of thought for overcoming the reality, such as Won-hyo, Toe-gye and Yul-gok. Namely, he suggested the school of mind Seong-Gyeong which is based on the world view of Human nature and the natural laws of philosophy, and figured it by literature to find a solution to change society, because he wanted to relieve the peoples impoverishment, and relax the national public order and corruption of morals, by the massacre of scholars and a struggle for power. These facts are demonstrated as the Seong-Gyeong-sin concept which is the important argument through his literary, and Geun-am, his father who, through his scholastic origin has the same thinking, and the small movement of Human nature and natural law philosophy in the end of Chosun in Su-woon lived. Geun-am, his father who is scholastic master preferred to develop their own, and emphasize the spirit and attitude that finds their own human nature by using Gyeong. But he didn't only mention Gyeong, he also used and Seong together. Geun-am thought that Cho-sun's Hwan nature and natural law philosophy was divided into Seong or Gyeong after Toe-gye and Yul-gok. Then Cho-sun's academic tradition was given up to party squabbles, to tie the party opinion and doctrinal faction by following these two traditions. So, to overcome it,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that of having unitary speculation not divided into Seong and Gyeong like the origin Confucianism. Therefore Geun-am's argument reached the unitary speculation after Yeongnam shcool. Except Geun-am, Woe-wa who is Su-woon's uncle has the same thinking. The difficulties of reality in Su-woon's ancestry, and the stream of thought, at the end of Chosun, came from the political confusion that tied the party opinion and doctrinal faction. To reform it, the most important way was to find the unitary speculation which has the original of Human nature and natural law philosophy. So, it was the proper result that Su-woon made Seong-Gyeong as the basis in the thought of Donghag. Toe-gye suggested the school of mind(Simhag) which was the basis of thought to overcome the crisis of reality as the way of cultivation. So, Su-woon made speaks of the of "school of mind" Seong-Gyeong. But, Su-woon didn't emphasize only Seong-Gyeong, he suggested the new religious and historical model by using trust(Sin). The concept of Seong-Gyeong to Su-woon is the central concept of self-culture discussion in Hwan nature and natural law philosophy. Seong means there is no untruth, because it is too true. And it points to the temper of a saint who is Bulmyeonleejung, Bulsaleedeug, Jongyongjungdo. Namely, they are the inborn of natural law and natural disposition. Seongji which means Gyeong is the process of "to look for Seong" which is our goal. People are easy to follow desire and evil, so, he stated that people have to choose Jiseon which is the nature of innateness and progress by adhering Yujeongyuil. Thus, Seong is the thing which we can approach through Gyeong, and Gyeong is the performative effort to reach Seong. In the case of the moral theory, Seong and Gyeong are divided into two. Seong is the concept of the essence and Gyeong is the concept of practice. But in case of the self-culture theory, they are united as one. Su-woon didn't classify Seong and Gyeong in the case of the essence of the theory, as he created the new concept trust(Sin) which includes Seong and Gyeong. He stated that Seong includes Gyeong in case of self-culture theory. Afterwards, he aimed at the unitary ideology both in the essence theory and self-culture theory. The thoughts of Yunhoesiwoon, Hoocheongaebyeog, Insimcheonsim, Sicheoniu which are picked from the thoughts of Donghag, can be explained the concept of Seong-Gyeong and Sin. Among them, the concept of Muljijongsi in Seong can be compared the concept of Yunhoesiwoon, Hoocheongaebyeog, and the concept of Naehwoemul can be compared to the concept of Osimieugyeosim· Cheoninhbil. So, the central concept which we can estimate Su-woon's thought is Seong-Gyeong Sin. We will understand Su-woon's thought clearly, when we look straight at the concept of Seong-Gyeong Sin. Surely, these kinds of Su-woon's thought were expressed in concrete forms in his literary as the unitary view of the world. Referring to the special feature and significance in Su-woon's poem-literary, there is distintion in configuration way compared to other writers' work. I listed five ways. First, the way of creation for singing. Second, the way of composition for intention. Third, the way of description for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result. Fourth, the way of rhetorical transmission through a symbol. Fifth, the way of image expression through comparison of imagination and poetic words. Su-woon's literature were not written only by his feeling but quite freely or coming across his mind. Su-woon's literatures have an intention which repels the age of confusion and opens the post age by using incantatory language. In the case of the morphological, his literature reorganized as the intention of a form idea, and had the way of narration on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result. In the case of the way of transmission, the meanings were expressed through high symbol and image. The imaginations that Su-woon's literature has, were expressed his own inner world which can be understood by people who recognize the objective natural laws of his literary. He didn't embody freely only by using simple imagination. His poetry had another aspect. In his poetic world, he expelled the world of all real selfishness, and exposed clearly the exact reasons of things in the world of the ecstasy, mystique and flutter. Finally, I studied the tradition of Su-woon's literature and the significance of his poem-literary. Su-woon's thought and literature had the goal which relieve the people and the nation through the social change. But, before Su-woon, there were many attempts to change ontological contradiction of human being and the social irrationality through the religion and the change of thought. And these attempts were the spontaneous phenomenon. Because, when the dominant ideology and the order in the society went wrong, many people tried to can out a reform to overcome them. Like this, the purpose of Su-woon's creative literature was to present the role of radical reform by using Inseongjigang.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Su-woon's creative literature was a useful writing which was written to keep readers in mind. But, to express them by literary, Su-woon respected individuality that was the basis of literature theory of Cheon-Gi discussion which was the basis of inspiration in the thought of the times. So, his Chinese poetry compounded several genres by breaking the established regular forms. Su-woon's literature have the historical tradition and the history of literature tradition. Because, during the difficult ages, he tried to overcome the reality through religion and figured thoughts of these kinds. Undoubtedly, Su-woon's literature also has limitations. He didn't accomplish the new form, and accepted styles of diverse categories. But, he arranged his thought through the historical tradition's thought. And he helped the literature thought to expand and develop by expressing it concentrically in his literary. They are the special features in Su-woon's literature.

      • 한국어와 투르크멘어의 문장 유형 실현 양상 대조 연구

        Parahadova Guljeren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444

        본 연구는 한국어와 투르크멘어의 문장 유형 실현 양상을 대조하여 두 언어의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감탄문, 청유문 실현 양상에 나타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과 연구 방법에 대해 제시하고 두 언어의 문장 유형에 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해 봤다. 제2장에서는 기초 자료로서 양국 언어의 문장 성분, 문장 유형 및 문장 유형을 이루는 어미들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해 봤다. 두 언어는 문장이 완결성과 통일성을 갖는 최소의 언어 단위이며 ‘주어-목적어-서술어’의 어순으로 나타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학교문법을 기준으로 할 때 한국어 문장 유형에는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감탄문, 청유문이 있으나 투르크멘어는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감탄문이 존재한다. 문장 유형을 이루는 어미의 경우 한국어와 투르크멘어는 그 체계가 다르다. 제3장에서는 2장에서 이론적으로 고찰한 기초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와 투르크멘어의 문장 유형 실현 양상을 검토해 봤다. 또한 문장 유형 실현 양상에 있어 두 언어의 유사점이나 차이점으로는 어떠한 것들이 존재하는지 살펴보았다. 본 장에서는 한국어 문장의 다섯 가지 유형인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감탄문, 청유문을 기준으로 하여 대조를 수행하였다. 대조할 때는 교재나 논문에서 나오는 한국어와 투르크멘어의 실제 문장들을 예문으로 활용하였다. 제4장에서는 제3장에서 대조 및 분석한 두 언어의 문장 유형 실현 양상의 특징들을 공통점과 차이점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제5장 결론에서는 제2장, 제3장, 제4장에서 검토한 내용들 요약하여 정리하였다. 본고는 한국어를 학습하는 투르크메니스탄 학습자들이 두 언어의 문장 유형 실현 양상에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 및 문법적 특징을 이해하는 데 효과적인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투르크메니스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교육하는 교사에게도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ast the methods of realizing sentences in Korean and Turkmen Languages, and to clarify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the realization methods of plain preface, question, command, exclamation, and solicitation in both languages. In Chapter 1,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s well as the research method, were presented. Previous studies on sentence types in both languages were reviewed. In Chapter 2, the component of sentences in both languages, sentence types, and the endings constituting sentence types were theoretically considered as basic data. The two languages are similar in that sentences are the smallest unit of language with completeness and unity, and appear in order of ‘subject-object-predicate’. Based on school grammar, there are plain preface, question sentence, command sentence, exclamation sentence, and suggestion sentence in Korean sentence types, however, there are plain preface, question sentence, command sentence, and exclamation sentence in Turkmen. In the case of the ending that forms the sentence type, the system is different between Korean and Turkmen. In Chapter 3, based on the basic data theoretically considered in Chapter 2, reviewed the method of realizing sentence patterns in Korean and Turkmen. In addition, it was examined what similarities or differences exist between the two languages in the method of realizing the sentence type. In this chapter, comparisons were performed based on five types of Korean sentences: plain, question, command, exclamation, and suggestion. In contrast, actual sentences in Korean and Turkmen from textbooks or papers were used as examples. In Chapter 4,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hod of realizing the sentence types of the two languages that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Chapter 3 were classified into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and presented. In the conclusion of Chapter 5 summarized the contents reviewed in Chapters 2, 3, and 4. This paper can be used as an effective basic material for Turkmenistan learners learning Korean to understand the commonalities, differences, and grammatical features that appear in the method of realizing the sentence types of the two language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be a useful resource for teachers who are teaching Korean to Turkmenistan learners.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비공손 실현 양상 연구

        원패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444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대화에서 나타나는 비공손 실현 양상을 관찰하여 이 양상에 나타나는 특징과 차이를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둔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자세하게 살펴본 다음에 이론적 배경을 소개하였다. 공손 이론과 불손 이론을 바탕으로 공손성을 어기는 상황을 어휘적, 통사적, 화용적 세 가지 측면으로 논의하였다. 그리고 기존연구에서 공손과 불손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2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총 35명을 대상으로 모집하였다. 그 중에서 중급 학습자는 15명이고 고급 학습자는 20명을 모집한 다음에 피험자에게서 이메일, 문자 메시지, 채팅 기록 등 자연 발화를 반영하는 문어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분석이 필요한 상대방의 지위, 피험자와의 관계, 친밀도 등 화용적 정보까지 수집하였다. 그 다음에 자료를 비공손 유형과 숙달도 두 측면에 따라 분석 방향을 설정하였고 구체적 연구절차를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실현의 결과를 정리하였다. 연구결과는 크게 두 분류로 나누고 ‘유형에 따른 비공손 실현 양상’과 ‘숙달도에 따른 비공손 실현 양상’ 두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빈도와 비율을 통해서 먼저 전체적인 양상을 살펴보면서 각 유형에 따라 나타나는 전체적 양상 및 세부적인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다음에 숙달도에 따라 중급 학습자와 고급 학습자 각각의 전체적 양상을 살펴보고 각 유형의 실현 양상도 알아보면서 그 중에 나타나는 공손성 문제를 분석하며 두 집단의 차이도 알아보고자 한다. 4장에서 연구결과에 의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대화에서 나타나는 비공손 현상의 특징과 원인에 대해 논의하였다. 첫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가운데 전체적인 비공손 실현 비율은 14.72%로 나타났으며 이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일상발화에서 최대한 공손을 지키면서 원활한 인간관계와 상호적용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공손성을 어기는 현상도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학습 숙달별로 중급 학습자의 전체적인 비공손 실현 비율이 고급 학습자보다 높다. 어휘적 비공손인 경우 중급 학습자는 호칭어, 지칭어, 그리고 존대어휘의 비공손 실현 비율 모두 고급 학습자보다 높다. 그런데, 특정어휘의 실현 비율이 고급 학습자보다 낮고 비속어의 실현은 없다. 통사적 비공손의 경우, 중급 학습자는 주로 종결어미의 부적절한 사용이 고급 학습자보다 상대적으로 많고 아주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반면에 고급 학습자는 선어말어미 ‘-(으)시-’와 높임조사 ‘-께서, -께’의 사용 비율이 중급 학습자보다 높다. 화용적 비공손의 경우 중급 학습자와 고급 학습자들은 모두 명령조의 사용 비율이 가장 많은 비율로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장에서는 연구에 대해 전체적으로 정리하고 연구의 의미와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Chinese Korean learners by observing the aspect of realization of impoliteness in conversation. Chapter 1 examin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in detail and then introduc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Based on the politeness theory and the disrespectful theory, the situation in which politeness is violated was discussed in three aspects: lexical, syntactic, and pragmatic. In addition, previous studies on politeness and disrespect were examined in previous studies, and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through these studies. Chapter 2 describes the research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35 Chinese Korean learners. Among them, 15 intermediate learners and 20 advanced learners were recruited, and then written data reflecting spontaneous speech such as e-mails, text messages, and chatting records were collected from the subjects. In addition, pragmatic information such as the position of the other party requiring analysis, relationship with the subject, and intimacy were also collected. Then, the direction of analysis of the data was set according to the two aspects of non-poorness and mastery, and specific research procedures were presented. Chapter 3 summarizes the realization results. The study result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and the results were divided into two aspects: 'actualization of non-poorness according to type' and 'actualization of non-poorness according to proficiency'. First, looking at the overall pattern through frequency and ratio, the overall aspect that appears according to each type and the specific aspect within the type were examined. Then,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level,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will look at the overall aspect, respectively, and the realization aspect of each type, analyze the politeness problem that appears in them, and also try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Chapter 4,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non-poorness in conversation among Chinese Korean learners were discussed. First, the overall non-poorness of Chinese Korean learners was 14.72%, which indicates that although Chinese Korean learners are maintaining good human relationships and mutual application while keeping as much politeness as possible in everyday speech, there is also a phenomenon in which politeness is violated. Confirmed. Second, the overall ratio of non-professional realization of intermediate learners by proficiency is higher than that of advanced learners. In the case of lexical non-poority, intermediate learners have a higher rate of non-poority in pronouns, referential words, and respectful words than advanced learners. However, the realization rate of specific vocabulary is lower than that of advanced learners, so there is no realization of profanity. In the case of syntactic non-poorness, intermediate learners mainly have higher proportions than advanced learners in the inappropriate use of ending endings. On the other hand, advanced learners are higher than intermediate learners in the use of the prefix '-()si-' and the adjective '-(e)si-' In the case of pragmatic non-poorness, it can be seen that both intermediate learners and advanced learners clearly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use of the command as a metaphor. Chapter 5 summarizes the study as a whole and presents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 한국어 조사 '의'의 통사와 의미 : 중국어 조사 '的'과의 대조를 중심으로

        이광연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395

        본고는 한국어 조사 '의'와 중국어 조사 '的'에 대해 통사・의미론적 특성을 대조언어학의 관점으로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서로의 대응 관계를 밝히려고 한다. 조사 '의'와 '的'은 공통점이 많은 만큼 서로 대응되는 문법 요소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문법 기능, 연결 성분의 성격, 생략과 필수 실현 환경 등의 측면에서 차이점도 많이 나타난다. 조사 '의'는 선・후행 성분 간의 관계에 의해 의미 해석도 다양하고 실현 양상도 복잡하여 파악하기가 어렵다. 특히 구어에서 빈번한 생략 현상이 나타나서 '의'를 잘못 쓰거나, 잘못 생략하는 오용과 남용이 문제가 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의'와 '的'에 대해 통사・의미적으로 살펴보고 각각의 특성 및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힌 후, '의'와 '的'의 대응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양국 언어학계에서 각각 조사 '의'와 '的'에 대해 많은 연구를 진행해 왔다. '의'에 대해 문법적 지위부터, 통사적 기능, 의미적 기능, 실현 양상 등에 대해 많은 연구 성과를 거두었고 '的'의 유래, 분류, 기능, 실현 상황 등에 대한 연구도 계속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기존 한국어에서나 중국어에서 '의'와 '的'에 관한 연구 업적이 교육적인 관점에서 '의'와 '的'의 실현 양상을 중심으로 논의해 온 반면, 대조언어학적인 관점에서의 연구 업적은 상대적으로 소수에 불과하고 논의도 실현 양상에 집중되어 언어학적으로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그리고 주로 조사 '의'에 대응되는 구조조사 '的'을 대상으로 연구해왔고 실현 양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많이 다루었다. 본고는 통사・의미론적 관점에서 '의'와 '的'을 다루어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대응 관계를 밝힘으로써 한국어 학습에 보다 체계적이고 이론적인 자료를 보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2장에서는 조사 '의'의 통사・의미론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조사 '의'의 문법적 지위, 통사적 기능, 연결하는 선・후행 성분의 성격과 분포 양상, 구조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연결하는 두 성분 간의 의미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의'의 문법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조사 '의'와 '的'의 대조 연구를 진행했다. 우선 '的'을 구조조사와 어기조사로 분류하여, 그와 대응되는 한국어 표현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사 '의'와 대응되는 구조조사 '的'에 대해 그 통사・의미론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조사 '의'와 구조조사 '的'의 각각 연결되는 성분의 품사 성격, 통사・의미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 보았다. 마지막으로 조사 '의'의 실현 양상을 살펴보고 이에 대응되는 중국어 표현을 고찰하여 실현 양상의 대응 관계를 유형화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조사 '의'와 '的'의 대응 관계를 밝혔다. 조사 '의'는 중국어의 '的, 之, ∅' 등으로 대응되고 구조조사 '的'은 한국어의 조사 '의', 관형사형어미 '­은/을', 그리고 조사 '的' 뒤의 성분이 생략될 경우, '의'와 관형사형어미 '­은/을'과 의존명사 '것'과의 연결 구조 '­의 것', '­은/을 것' 등으로 대응된다. 주제어: 조사, '의', '的', 통사론적, 의미론적, 구조조사, 어기조사, 공통점, 차이점, 실현 양상, 대응 관계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불평 화행 실현 양상에 대한 연구 : 중국 내 20대 중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금양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364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모어 화자, 중국 내 중급 한국어 학습자, 중국어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불평 화행 사용 양상이 어떻게 다른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세 집단이 불평 화행의 실현 양상에 있어서 어떻게 다른가와 학습자 집단의 한국어 불평 화행 실현 양상은 무슨 특성이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조사 결과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세 집단이 가장 선호하는 전략은 청자의 입장에서 말을 하는 전략이다. 둘째, 대부분의 상황에서 학습자 집단은 불평 화행의 실현 방식에 있어서 간접적인 전략을 제일 선호한다. 셋째, 한국인 집단은 불평 화행의 실현 방식에 있어서 중국인 집단과 학습자 집단에 비해 직접적인 불평 전략을 선호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전략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구하였다. 먼저 화자와 청자의 권력 관계가 확정된 상황에서 세 집단의 불평 전략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청자의 지위가 높은 상황과 청자의 지위가 낮은 상황에서 특히 후자의 경우 학습자 집단은 불평 전략을 선택할 때 목표어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청자의 지위가 높은 상황에서 한국인 집단과 학습자 집단은 모두 자신과 청자의 사회적 거리가 멀수록 직접적 불평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청자의 지위가 낮은 상황에서 두 집단은 청자가 같이 일하는 후배인 경우에는 청자와 친할수록 간접적 불평 전략을 더 선호하고 청자가 동생이나 낯선 아이인 경우에는 자신과 청자의 사회적 거리가 멀수록 간접적 불평 전략을 더 선호하기 때문이다. 다음에 화자와 청자의 친소 관계가 확정된 상황에서 세 집단의 전략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펴보았다. 먼저 화자와 청자의 관계가 친한 상황에서 사회적 지위는 한국인 집단의 불평 전략 선택에 제일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다. 한국인 집단은 지위가 높은 청자들에게 간접적 불평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이는 서열관계에 민감하고 장유유서(長幼有序)의 질서를 엄격히 지키는 한국의 가치관이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겠다. 학습자 집단은 어머니, 친한 상사에게 간접적 불평 전략을 100% 사용했다. 윗사람을 공경하는 전통은 한중 두 나라의 공통점인데 학습자 집단도 그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청자가 친한 동료인 경우에는 간접적 불평 전략을 더 선호하는데 이러한 방식은 사회적 거리가 가까우면 솔직한 표현을 한다는 상식에 어긋나므로 해석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사회적 지위는 학습자 집단의 불평 전략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지만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중국인 집단은 어머니에게 간접적 불평 전략을 100%로 사용하였고 지위가 높은 친한 상사보다 동생에게 오히려 간접적 불평 전략을 더 많이 사용했다. 친한 상사에게 직접적 불평을 할 수 있는 것은 사람마다 평등하다는 사회주의 사상의 반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청자와 화자의 관계가 친한 상황에서 사회적 지위라는 변인이 중국인 집단의 불평 전략 선택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못하다. 그리고 화자와 청자의 관계가 소원한 상황에서 세 집단은 모두 지위가 높은 청자에게 간접적 불평 전략을 사용하는 점에서 유사성을 보였으므로 이런 상황에서 사회적 지위는 세 집단의 불평 전략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이 상황에서 사회적 지위는 한국인 집단보다 중국인 집단과 학습자 집단의 불평 전략 선택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 낯선 어르신에게 간접적 불평 전략을 사용한 중국인 집단과 학습자 집단보다 한국인 집단은 간접적 불평 전략을 덜 사용하며 오히려 낯선 아이에게 간접적 전략을 더 사용한다. 따라서 불평을 표현할 때 낯선 어르신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한국인 집단은 중국인 집단 및 학습자 집단과의 차이를 나타냈다. 총체적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집단은 불평 전략 실현 양상에 있어서 때로는 모국어인 중국어의 사용 방식에 가깝고 때로는 목표어인 한국어의 사용 양상에 근접한 특성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 점이 바로 불안정한 중간언어의 특성을 잘 보여 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연구의 결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는 실험 대상으로 선정된 대상이 많지 않고, 담화완성형 설문지의 상황이 제한된 상황이라는 점이다. 다른 상황을 통한 연구 결과와 비교 검증이 필요하다. 둘째로 본고에서는 중국 내의 중국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불평 화행 실현 양상에 대한 논의에 초점을 맞추었고, 한국에서 공부하고 있는 학습자 집단을 대상으로 연구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한국에서 공부한 학습자와 중국에서 공부한 학습자 간의 차이에 대한 부분은 향후의 연구를 통해 해결되기 바란다. With native Korean speakers, intermediate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nd native Chinese speakers as respondents, This paper conducts a survey to discover the differences of the ways that they complain in various situations and the social factors which have influences on their use of complaint speech ac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conclusions can be seen as follows. Among all the strategies adopted by the paper, all 3 groups have shown their biggest interests in strategy 2. As to the choices made by each group, the ICLK(Intermediate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group displays its tendency to use indirect strategies in most situations, while, compared with the ICLK group, the NKS(Native Korean Speaker) group selects direct strategies in many situations. In addition, in term of the social factors that have influences on the respondents' uses of complaint speech act, in the situation where the speaker's power relationship with the listener is confirmed, the social factors which influence the respondents' choices of strategies are very diverse. However, in the situation where the speaker's close and distant relationship with the listener is confirmed, things can be different. In this case, when the speaker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listener, power as a social factor has very obvious effect on the choices made by the NKS group and big influence on the selections made by the ICLK group, but no clear effect on the NCS(Native Chinese Speaker). In contrast, when the speaker has a distant relationship with the listener, power as a social factor has obvious influences on both of NCS and ICLK groups, but no clear effect on NKS group. In conclusion, in term of the use of the strategies, in some situations does the ICLK(Intermediate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group behave like the NKS group, but in other situations like the NCS group. In this way, the respondents from the ICLK group display the obvious features of their interlanguages.

      • 지시, 거절, 질책 기능을 중심으로

        강미함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32362

        실제 담화에서 평서문은 사물이나 사실을 단순히 진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방에게 요구를 하거나 함축적인 뜻을 전달하는 경우도 많다. 특정 상황에서 평서문이 기본적인 진술 기능에만 국한되지 않고 명령, 부탁, 거절, 질책, 질문, 청유 등 다른 담화 기능을 수행하면서 화자의 어떤 의도나 태도를 드러낼 수 있는 것도 간접 화행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한국어 모어 화자는 평서문 간접 화행을 다양한 맥락에서 발화 의도에 따라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으나,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화용적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문문에 비해 평서문의 간접 화행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들의 평서문 간접 화행의 이해 및 사용 양상을 고찰하고 그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평서문의 간접 화행에 관한 이론적인 배경을 검토하였다. 먼저 화행 이론과 간접 화행의 개념, 범위, 원리, 그리고 담화 기능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평서문의 실현 방법 및 기능을 논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평서문 간접 화행의 담화 기능과 실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주로 드라마 대본을 활용하여 평서문의 담화 기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라 평서문 간접 화행은 실제 담화 중에서 지시, 거절, 질책 기능을 가장 많이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지시, 거절, 질책 기능을 중심으로 평서문 간접 화행의 담화 기능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교육에서의 평서문 간접 화행 교육을 고찰하였다. 주로 평서문 간접 화행 교육의 필요성과 한국어 교재에서 평서문 간접 화행의 제시 현황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학습자 평서문 간접 화행의 사용 양상을 고찰하였다. 주로 설문 조사를 통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실제 평서문 간접 화행에 대한 이해 및 사용 현황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인 모어 화자 109명,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229명을 선정하여 그들의 발화를 비교·분석하였으며 수용성 판단 테스트(Acceptability Judgment Test, AJT), 담화 완성 테스트(Discourse Completion Test, DCT), 역할극(role play), 회상(retrospection), 사후 인터뷰(Follow-up Interview) 등의 실험 도구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자의 이해 양상을 살펴보면 평서문 종결 어미에 대한 인식 부족, 언어적 지식의 부재, 상황 맥락의 소홀, 간접성과 공손성의 인식 부족, 전략 의식의 결여, 그리고 문화 차이 등의 문제가 나타났다. 그리고 학습자의 실현 양상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특징이 나타났다. 1) 평서문 간접 화행의 사용상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에 비해 중국인 학습자가 매우 부족한 실태이다. 2) 한국어 모어 화자에 비해 중국인 학습자는 담화 변인을 많이 고려하지 않고 발화한다. 3) 평서문 간접 화행의 어미 사용에 있어서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모어 화자보다 다양한 구어체 어미를 원활하게 사용하지 못한다. 4) 평서문 간접 화행의 문형 사용에 있어서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모어 화자보다 공손 표현을 많이 활용하지 못한다. 또한 학습자 구어 사용상의 문제를 살펴보면 통사적 완화장치, 존대법, 사회적 거리, 그리고 간접성의 정도로 인해 의사소통 문제가 많이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역시 언어 지식의 부재, 학습 환경의 한계점, 모국어의 간섭, 담화 변인의 소홀, 공손과 전략 의식 부족, 문화 차이의 영향으로 인해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Ⅱ장에서 고찰한 이론적 배경을 결합하면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알맞은 평서문 간접 화행의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우선, 학습자의 평서문 간접 화행 사용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형태·통사적 특징, 담화 기능, 사용 맥락, 전략 기능 네 가지 차원에서 평서문 간접 화행의 구체적인 교육 목표를 세웠다. 그리하여 학습자들이 평서문 간접 화행을 제대로 이해하고 파악하여, 실제 담화 중에서 유창하게 사용할 수 있고, 원만한 의사소통을 달성하도록 하였다. 다음은 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의 일상생활과 한국어 교육 중에서 빈번하게 등장한 30가지의 평서형 종결어미들, 그리고 26가지의 평서문 문형들을 교육 내용으로 삼았다. 교육 방법으로는 드라마를 활용한 담화 기능을 부각시키기, 역할극을 활용한 담화 맥락을 강화시키기, 관찰·발견·탐구 교수법 활용하기 등의 방법을 취하였다. 그리고 담화 맥락을 조명하기 위해 동영상을 기반으로 한 I-I-I 수업 모형을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I-I-I 수업 모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P-P-P 모형과 대조하여 검증 실험을 하였다. 검증 결과, I-I-I 수업 모형은 목표 문법 담화 기능의 강화, 담화 맥락의 부각, 그리고 학습자의 흥미 유발에 있어서 P-P-P 모형보다 효과적이지만 목표 문법의 강조, 수업 활동의 활성화 측면에서는 P-P-P 모형이 더욱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고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논의는 담화 차원에서 평서문 간접 화행의 기능을 살펴보고, 폭넓은 조사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의 학습상의 특징 및 문제점을 밝히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알맞은 교수법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렇지만 실제 구어 자료의 수집과 분석에 부족한 점이 있어 앞으로 이를 보완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종성 /ㅇ/의 발음 실현 양상 연구

        황설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2318

        The thesis takes advanced Chinese learners of Korean as research objects and aims to master their pronunciation of the final constant /ŋ/ in Korean, by studying the restraint on the combination of phonemes of Korean and Chinese and the pronunciation position, method & type of the consonants in Korean. Besides, the thesis investigates the independent pronunciation of /ŋ/ in single word and the continuous pronunciation in articles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in the correct pronunciation ratio of /ŋ/. This is another aim of the thesis. The fact that the final consonant /ŋ/ in Korean is, as observed, a difficult point for Chinese learners, serves as the motivation behind the thesis. As well known to all, whether learners can pronounce in a correct manner during foreign language learning, directly affects whether they can obtain a smooth communication. For this reason, it is curious that under what influence Chinese learners have a wrong pronunciation of /ŋ/. Given there is only one thesis during previous study that discusses how Chinese learners pronounce /ŋ/ a final consonants in Korea, this thesis becomes extremely necessary. Different from other thesis studying the final consonants in Korean, this thesis adopts a brand-new method, i.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ifference in the constraint of the combination of phonemes between Chinese and Korea and the pronunciation position, method & type of the consonant of Korean, to discuss their influence upon the pronunciation of /ŋ/.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both the independent pronunciation and continuous pronunciation of /ŋ/ on the correct pronunciation ratio of /ŋ/ is discussed. The introduction of the thesis, first of all, defines the research aim, object and scope. Next, the previous study on the pronunciation of /ŋ/ is summarized and arranged from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ly, the overall pronunciation situation of those learning Korean as second language is investigated; secondly, the influence of the difference in the constraint of the combination of phonem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upon the pronunciation of /ŋ/ is explored; thirdly, the influence of the difference in the consonant classification of Korean and Chinese is summarized. To investigate the accuracy or difficulty of advanced Chinese learner in pronouncing /ŋ/, two pronunciation experiments, which correlate, are performed for 40 advanced Chinese learners in chapter II.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s is to judg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constraint of the combination of phonemes and consonant classifica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the actual pronunciation situation of Chinese learners in case of both independent pronunciation and continuous pronunciation. Chapter III analyze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s in chapter II. By calculating correct pronunciation ratio, the factors affecting Chinese learner’s correct pronunciation (adifficultpointforChineselearner) of /ŋ/ are analyzed. On such a basis, chapter IV carries out an overall analysis of the controlling factors in the pronunciation of /ŋ/. The thesis analyzes the pronunciation of /ŋ/ by advanced Chinese learner from a brand-new perspective. It is hoped this thesis can fill, to a certain degree, the void in the previous study on the pronunciation of /ŋ/ and provide some help for the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어권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소결합제약 차이, 그리고 한국어 자음의 조음위치, 조음방법, 발성유형의 3가지 방향으로 한국어 첫 음절에 오는 종성 /ㅇ/에 대한 발음 실현 양상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또한 종성 /ㅇ/이 단어로 단독 발음할 때와 문장에서 연속 발음할 때 발음의 정확률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는 데 또 하나의 목적을 두었다. 어느 날 저는 택시를 타고 “기사님, 저는 중앙대에 가요.”라고 말했는데 기사님은 지명을 알아듣지 못하신 모양이다. 내가 “중앙”이란 발음을 잘못해서 기사님과 커뮤니케이션이 잘 안된 이유를 나중에서야 알게 되었다. 그 후에 중국어권 학습자들과 소통했을 때에도 한국어 종성, 특히 종성 /ㅇ/에 관한 발음이 어렵다는 점을 느꼈다. 그러나 발음이 정확해야 화자와 청자 간에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한국어 종성 /ㅇ/ 발음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호기심에서 나온 생각이 바로 종성 /ㅇ/에 관한 발음오류는 어떤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확하게 발음하기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여기에 초점을 맞추어 본고의 연구범위를 정하였다. 또한 전 연구들을 살펴보았는데 한국어 종성의 발음 문제점을 언급하는 연구들은 많지만 중국어권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국어 종성 /ㅇ/의 발음 양상으로 쓴 논문은 거의 없었다. 이러한 원인으로 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본고는 새로운 시각으로 즉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소결합제약 차이와 한국어 자음의 조음위치, 조음방법, 발성유형 3가지 분류에서 출발하여, 이들이 종성 /ㅇ/ 발음에 대하여 어떤 영항을 미치는지를 밝히고, 단독 발음을 할 때와 문장에서 연속 발음을 할 때, 이 두 가지 상황에서 종성 /ㅇ/ 발음을 할 때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중국어권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발음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두 가지 방법으로 진행되었는데, 먼저 VN음절구조의 환경에서 결합된 모음은 종성 /ㅇ/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하였다. 그 다음은 CVN음절구조의 환경에서 종성 /ㅇ/과 결합된 자음을 조음위치, 조음방법, 발성유형 3가지 방향으로 발음 실현 양상을 고찰하였다. 또한 모든 실험 단계에서 단어 형식과 문장 형식 두 부분을 하여 모두 발음하는 형식으로 진행하여 단독 발음 또는 문장에서 연속 발음 간의 정확률 차이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 순서대로 진행하였다. 제1장에서는 먼저 본고의 연구 목적과 필요성을 제시하여 연구 대상과 연구 범위를 한정하였다. 그 다음은 이에 대해서 선행 연구를 검토한 후에 문제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어권 학습자들이 한국어 종성, 특히 종성 /ㅇ/에 대한 발음 연구를 파악할 수 있었다. 제2장에서는 연구 목적에 따라서 중국어권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종성 /ㅇ/ 발음 실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물론 뒤에 연구 방법 부분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간단하게 소개하자면 본고의 실험은 모두 두 개로 나뉜다. 실험1은 중국어권 고급 학습자 4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이 실험 내용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하나는 단어 형식으로 단독 발음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문장 안에서 연속 발음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 방법으로 실험한 이유는 한국어 종성 /ㅇ/은 단어로 발음할 때와 문장에서 연속 발음할 때 발음의 정확률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이다. 실험2도 중국어권 고급 학습자 40명을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이 실험 내용도 실험1과 같이 단어와 문장 형식 두 가지 방법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또한 이 두 실험을 나누는 기준은 종성 /ㅇ/발음이 VN음절구조 아니면 CVN음절구조에 따른 환경에서 어떻게 발음하게 되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제3장에서는 전 단계에서 진행했던 실험의 결과를 분석하는 내용이다. 연구 방법에 따라서 각 집단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한국어 종성 /ㅇ/의 발음 정확률을 계산한 후 비교를 하고자 한다. 분석을 통해 종성 /ㅇ/ 발음이 어떤 변수 때문에 정확하게 발음하기 어려워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3장의 바탕으로 한국어 종성 /ㅇ/ 발음 실현 양상에 대해서 발음에 영향이 미치는 요소가 무엇인지 밝히는 것과 교육적 제안에 대해 논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중국어의 VN음절구조의 영향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게 VN음절구조의 환경에서 한국어 종성 /ㅇ/에 대해 모음의 영향이 미치는 것을 알아본다. 둘째, CVN음절구조의 환경에서 한국어 자음의 조음위치, 조음방법, 발성유형 3가지 분류는 종성 /ㅇ/발음에 어떻게 영향이 미치는지 알아본다. 셋째, 단어 또는 문장의 발화 환경에서 종성 /ㅇ/의 발음 실현 양상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밝히는 것이다. 넷째, 교육적 제안에 관한 논의를 서술하였다. 제5장은 본고의 연구 결과를 정리하고 본 연구의 의미와 한계점을 다루었고, 더 나아가 한국어 종성 /ㅇ/에 관한 향후 연구 분야에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경음화 실현 양상 연구

        박지숙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300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경음화 현상을 모든 유형별 각 환경에서 어떻게 적용하여 실현하는지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실험 목록으로 구성된 낭독 실험과 인지 실험 외에도 자유 발화 조사를 실시하여 실생활 대화 속에서 나타나는 실제적인 오류를 함께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 대상은 대학교의 한국어 교육기관 정규 교육 과정 6급에서 학습 중인 베트남인 학습자이다. 먼저 자유 발화 조사는 두 명의 베트남인 학습자를 매주 한 시간씩 총 10차례에 걸쳐 대화를 녹음하고 이를 전사하여 자료를 만들었다. 그리고 낭독 실험과 인지 실험을 위해 세분화된 유형별 환경으로 구성된 실험 문장을 제작하여 학습자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행하였다. 세 실험의 자료를 가지고 경음화의 각 유형별 실현율과 오류율을 도출하고 각 환경별 오류 유형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먼저 베트남인 학습자들은 인지 실험의 오류율이 38%, 낭독 실험은 20%, 자유 발화에서는 6.7%의 오류율을 나타내어 전반적으로 경음화 실현에 크게 어려워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유 발화의 경우에는 개인의 학습 능력과 수준에 맞춰 어휘를 선택하여 대화를 구성해서 발화하였기 때문에 오류율은 더 낮게 나타났다. 각 실험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전체에서 베트남 학습자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것은 합성어 사이시옷 환경의 경음화와 어간 말 ‘ㄴ,ㅁ’ 의 어휘수가 많지 않아 학습이나 생활 속에서 노출 기회가 적은 용언 어간 말 비음 뒤 경음화로 나타났다. 둘째, 평파열음 뒤 경음화와 같이 비교적 쉬운 규칙의 유형이라도 환경별 경음화 실현에 차이가 있어 세부적인 환경에서의 교수 학습이 이루어져야 함을 확인했다. 셋째, 평파열음 자음군 뒤의 경음화 오류는 대부분 자음군 발음의 오류로 인한 것으로 자음군 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넷째, 관형형 어미 ‘ㄹ’ 뒤 경음화는 일상에서 많이 사용하는 ‘할 수’의 경우 100% 실현을 함으로써 난이도가 높은 규칙이라도 사용 빈도가 높으면 오류가 줄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세 가지 실험에 나타난 학습자들의 주된 오류 유형은 베트남어의 간섭으로 인한 철자법대로 음절별로 끊어서 발음하는 오류가 가장 많았고 선행 음절의 종성을 탈락하여 경음화를 적용하지 못한 경우와 경음을 격음으로 대치하여 발음하는 등의 오류를 각 유형에서 골고루 발견할 수 있다. 여섯째, 유형별 각 환경에서의 오류를 비교해 봄으로써 계획된 문장을 읽은 낭독 실험에서보다 학습자가 스스로 구성하여 산출한 자유 발화가 인지 실험의 결과를 더 잘 설명해주는 객관적인 조사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Vietnamese Korean learners apply and actualize glottalization phenomenon in all types of environments. As a research method (for this purpose), recital experiments and cognitive experiments formed as lists, as well as free articulation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to examine practical errors that appear in real-life conversations. Subjects are Vietnamese learners studying level 6 formal curriculum in Korean Education Institute at university. Free articulation inquiry recorded conversations of two Vietnamese learners every week for an hour, for a total of 10 occasions, and transcribed them into material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wenty learners by producing experimental sentences composed of subdivided types of environments for recital experiments and cognitive experiments. Actualization rates and error rates of each type of glottalization was derived and error types for each type of environment was examined using the data from three experim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Vietnamese learners had error rate of 38% in cognitive experiment, 20% in recital experiment, and 6.7% in free articulation inquiry, generally indicating that these learners have little difficulty in actualizing the glottalization. Especially in case of free articulation, the error rate was lower due to conversations that were composed of vocabulary select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learning ability and level. The results of each experiment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oughout the whole experiment, it appears that Vietnamese learners had most difficulty with becoming double consonant after compound word ‘ㅅ’ and becoming glottal sound after pleonastic stem-final ‘ㄴ, ㅁ(ㄻ)’ which had little chance of exposure in studies or everyday life as a result of shortage of vocabulary of the stem ‘ㄴ, ㅁ’. Second, it was verified that teaching-learning must be done in detailed environments, as even the relatively easy type of rules, such as becoming glottal sound after obsturent, differ in the actualization of glottalization by environment. Third, becoming glottal sound after obsturent consonant group are most often caused by errors in consonant group pronunciation, which emphasizes on the importance of consonant group education. Fourth, in case of ‘할 수’ which is commonly used in everyday life, becoming double consonant after an adnominal ending form ‘-(으)ㄹ’ actualized 100%, and by doing so, it was confirmed that errors can be reduced, only if high level of difficult rules are used more frequently. Fifth, in the three experiments, learners’ major type of errors was pronouncing words by breaking them down according to the spellings and syllables due to Vietnamese interference; also, errors such as failing to apply glottalization due to failure in pronouncing the leading syllable’s final consonant, and replacing tense sound with aspirated sound while pronouncing, can be found evenly in each type. Sixth, by comparing errors in different types of environments, it was apparent that free articulation composed and produced by learners themselves was an objective investigation that better clarified the results of cognitive experiment than in the recital experiment that required reading the arranged sent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