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17 한방의료이용실태조사의 설계효과와 한방의료 이용 선택의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 : 일반국민 조사를 중심으로

        임진웅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연구배경 및 목적 2017 한방의료이용실태조사는 한의약 정책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2008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조사로 층화, 집락 등의 복합표본추출을 활용하여 표본추출을 하고 있다. 현재까지 한방의료이용실태조사의 내용적 측면에서는 일부 연구가 이루어져 있으나 조사방법론 측면에서는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7 한방의료이용실태조사 중 일반국민 대상으로 한 조사를 중심으로 주요 항목별 설계효과를 포함하여 집락내상관계수, 오차의 한계, 상대표준오차를 산출하여 표본추출의 효율성 및 추정치의 신뢰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2017 한방의료이용실태조사의 내용적인 측면의 분석을 위해 한방의료 이용경험과 이용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향후 한의약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17 한방의료이용실태조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주요 항목별 Kish의 경험적 제안에 기반한 설계효과, 집락내상관계수, 오차의 한계, 상대표준오차를 산출하여 표본추출의 효율성과 추정치의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Andersen의 의료이용 모델을 고려한 변수와 한방의료에 대한 인식을 나타내는 변수들을 추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한방의료 이용경험과 이용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추가적으로 가중치를 고려하지 않은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적합하여 가중치를 고려한 모형과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2017 한방의료이용실태조사 중 일반국민에 대한 조사의 주요항목별 설계효과는 1.2-1.5사이에 있으며 중간값은 1.3292였다. 집락내상관계수는 –0.007에서 0.003사이에 있으며 중간값은 –0.0015였다. 오차의 한계는 0.3-1.8%사이에 있으며 중간값은 1.4%였다. 상대표준오차는 0.46-0.628%사이에 있으며 중간값은 0.509%였다. 한방의료 이용경험과 이용의향에 따른 일변량 분석에서 나타난 일반적인 특성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연령에 따라, 미혼보다 기혼이, 교육수준의 정도에 따라, 의료보장 형태에 따라, 본인의 건강상태가 더 나쁘다고 생각할수록, 만성질환이 있을수록, 한방의료에 대해 잘 알수록, 한약재 안전도가 더 높다고 생각할수록 이용경험과 이용의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월평균 가구소득, 장애등급 판정, 한방의료 비용에 대한 생각은 이용경험여부에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직업여부는 이용의향여부에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용경험과 이용의향에 따른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두 모델 모두 기본적인 요인에 한방의료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는 요인을 추가한 모델이 더 적합하였으며 이용경험 측면에서는 남성보다는 여성이, 연령이 높을수록, 기혼자일수록, 본인의 건강상태가 나쁘다고 생각할수록, 만성질환이 있을수록, 한방의료에 대해 잘 안다고 생각할수록, 한약재가 안전하다고 생각할수록 한방의료를 경험했을 확률이 높았으며 이용의향 측면에서는 남성보다는 여성이, 연령이 높을수록, 월평균 가구소득에 따라, 의료보장 형태에 따라, 본인의 건강상태가 나쁘다고 생각할수록, 만성질환이 있을수록, 한방의료에 대해 잘 안다고 생각할수록, 한방의료 비용이 저렴하다고 생각할수록, 한약재가 안전하다고 생각할수록 한방의료 이용의향의 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중치를 고려하지 않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이용경험에 대해서 의료보장형태, 이용의향에 대해서 직업여부가 유의한 변수로 분석되었으며 연령 중 60대 이상, 월평균가구소득, 의료보장형태, 한방의료 비용에 대한 생각 등은 이용의향 측면에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2017 한방의료이용실태조사 중 일반국민에 대한 조사의 항목별 설계효과와 집락내상관계수에 따르면 본 조사의 표본 추출은 추정측면에서 비교적 효율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오차의 한계와 상대표준오차에 따르면 본 조사의 추정치의 신뢰도도 비교적 양호함을 알 수 있다. 한방의료 이용 선택의 영향 요인에 대한 분석에서는 한방의료에 대한 인식이 한방의료 이용 선택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침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한의학 교육과 홍보 및 비용 연구에 관한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복합표본설계에 의한 효과 등의 가중치를 반영하지 않는 경우 추정에 편향이 생길 수 있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urvey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general population survey in 2017 Korean Medicine Utilization Survey (KMUS) including design effect (DEFF), intracluster correlation coefficient (ICC), margin of error (MoE) and relative standard error (RSE), and investigate influencing factors of using Korean medicine services (KMS) using the general population survey in 2017 KMUS. Methods Demographic statistics of the survey, DEFFs, ICCs, MoEs and RSEs of main items in the survey were investigated. Influencing factors of KMS experience in the past and intention to visit KMS in the future were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 of complex sample survey. Variables were selected based on Andersen's behavioral model of health care utilization and factors associated with individual recognitions of KMS. Additionally, logistic regressions without weights were analyzed to compare the results. Results The median (range) of DEFFs, ICCs, MoEs, and RSEs were 1.3292 (1.2-1.5), –0.0015 (-0.007–0.003), 1.4% (0.3-1.8%), and 0.509% (0.46-0.628%), respectively. Individual recognitions of KMS were necessary variables when analyzing influencing factors of using KMS. In the aspect of KMS experience, sex, age, marriage, health condition, presence of chronic disease, a degree of knowledge about Korean medicine and a view about herbal medicine safe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intention to visit KMS, sex, age, family income, health condition, presence of chronic disease, a degree of knowledge about Korean medicine, a view about the cost of KMS, and a view about herbal medicine safe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logistic regressions without weights, an insurance type in the experience and having private insurance, types of occupation in the inten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ge over 60, family income, work health insurance and a view about the cost of KMS in the intentio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 complex sampling method of the general population survey in 2017 KMUS was relatively efficient and reasonable, considering DEFFs and ICCs. Estimates of the survey were shown to be reliable, considering MoEs and RSEs. Individual recognitions of KMS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when analyzing both the past experience and future intention about KMS, and enabling components in Andersen’s model were particularly significant when it comes to the intention to visit KMS. Policies supporting the education and promotion of Korean medicine as well as further studies assessing the economic factors are encouraged. In addition, future studies analyzing KMUS need to consider the weights in the survey to avoid statistically misleading results.

      • 住生活 實態調査를 통한 共同住宅의 可變型 住戶 平面計劃에 관한 硏究

        강재호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8702

        1960년대 주택문제 해결을 위해 아파트라는 주거 형식을 도입한 지 30여년이 경과해 왔으며, 그 비중은 점차 증대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해 공동주택은 우리에게 새로운 주거양식의 획일화를 초래하게 되었다. 즉 주생활 요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없이 과거의 단편적인 경험에 의존하여 평면구성이 면적에 따라 몇가지 유형으로 한정된 단위평면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또, 주거계획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거주자의 주생활에 대한 실태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채 무비판적이고 획일적인 계획 및 설계가 이루어져서 거주자의 다양한 요구나 변화를 제대로 수용하지 못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국내외 기존의 주택계획 및 설계방법상에서의 한계와 문제점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적용방안을 모색하고, 둘째, 새로운 주생활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제 가변형 아파트 거주자들의 주생활 실태조사를 통해 다양한 주생활 요구나 가족의 Life Cycle 변화에 관련된 가변요인을 찾아내어 이를 통합하는 데 있으며, 셋째, 주생활의 다양성과 가족의 성장 및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는 공동주택의 가변형 주호평면계획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1) 가변성에 대한 개념정립과 국내외의 다양화와 변화에 대응한 평면형들에 대한 그 설계방법 및 평면의 특성을 가변성(Flexibility)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고, 2) 주생활 실태조사 분석으로 거주자의 다양한 요구를 파악하고, 유형화(Pattern) 과정을 통해 새로운 가변형 주호평면계획에 활용하며, 3) 이러한 국내외 가변형 주호평면분석과 실태조사 분석을 기초로 하여 새로운 가변형 주호평면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생활과 공간과의 대응관계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공·사적 영역에 따른 주생활 행위, 가구, 주의식에 대해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적영역인 LDK 공간에서 거주자들의 다양한 개성에 따른 주요구에 대응 할 수 있도록 공적영역의 자유로운 분절이라는 가변성의 고려가 요구되며 개설이 모두 침실로 확보될 경우 공적행위를 좀 더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DK 공간계획이 요구된다 하겠다. 2) Life Cycle에 따른 주호의 실사용 실태를 살펴보면 비취침실인 자녀놀이방 및 공부방, 빈방, 타실의 가구만 있는 방, 창고용도로 사용되는 방 등이 나타나고 있는데 자녀실 분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고 실사용의 적극성을 가질 수 있도록 사적영역에서의 실상호간의 가변부분 설정에 세심한 배려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3) 공적공간인 거실의 확립과 사적공간에서 안방을 확립하고자 하는 주생활상의 유형에서는 거실과 안방 상호간의 가변성 외에 다른 개실과의 가변성이 보다 요구된다. 4) 공적공간인 거실을 확립하고자 하며 공적행위 일부가 습관상 안방에서 이루어져 안방의 면적을 확대하고자 하는 주생활상의 유형에서는 거실로의 확대를 요구하지 않아 안방과 거실과의 가변성보다는 안방과 다른 개실과의 가변성이 요구된다. 위에서 분석한 결과들을 토대로 주생활 변화를 고려한 40㎡, 60㎡ 규모의 가변형 주호평면계획을 제시하였다. The apartment has been introduced for 30 years as a new housing life style to solve the housing problems in 1990s, and it becomes more important than ever. Due to the rapid economic developement, the apartment housing resulted in the uniformity of housing life style. Without the systematic research on housing life demands and based only on the previous superficial experiences, the plan does not escape from the type of unit plan restricted to only a few styles according to the respective areas. The actual survey on the life styles of residents which is the essential point for the housing plan has not been performed and the resulting uniformity plan and the drawings could not consider the various demands of the residents appropriately. In this paper we firstly analyze the limits and problems of the previous methodologies on housing plan and drawings for further applications. Secondly, to understand the possibilities of the new housing life, we find and unify the flexible components concerned with the changing life cycle of family members and housing life demands through the actual survey on housing life of flexible apartment residents. Then this paper proposes the planning of flexible unit plan in apartment housing which can accomodate the various housing life and the growing and change in family members. For these purposes, 1) we define the concept of flexibility and based on the concept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awing method and plan for housing which can accomodate the variations and changes, 2) we understand the various demands of the residents with the analysis of the actual housing life survey, and apply the results to the planning of new flexible unit plan through the patternization process, 3) we propose a planning of new flexible unit plan based on the above analyses of the flexible unit plan and actual survey. The results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problems arising in the use of the space in housing life are as follows. 1) Consideration of the flexibility in LDK space, such as free divisions of public space, is needed to accomodate the various housing demands of the residents. And the DK space planning which can accomodate the public activity more actively is needed, if all rooms are used as bedrooms. 2) The actual use of non-sleeping rooms shown in survey includes children's play room, study room, empty room, room with only furniture and storage room, etc. And the careful consideration on establishing flexible components between rooms in private space is needed for the devision of children's rooms and to make the use of rooms resourceful. 3) For the housing life style where the living room is independently maintained as public space and master room as private space, the flexibility between living room and the ohter rooms are more needed than the living room and master room. 4) For the housing life style where the living room is independently maintained as public space and a part of public acts are done in master room, the flexibility between master room and the other rooms are more needed since the extension of the master room is needed not affecting the area of the living room. Based on the above results of analyses, we propose the planning of flexible unit plan.

      • 국제안전규정에 의한 어린이 놀이터 안전 실태조사와 개선방안 : 부산광역시 도시공원 어린이놀이터를 중심으로

        윤강호 인제대학교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놀이시설에서 발생 할 수 있는 위해요소를 제거하기위하여 어린이 놀이터 국제 안전기준에 관한 사항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한국에서 심층 분석되지 않은 어린이 놀이터 위험실태를 파악하기위해 미국 IPEMA협회와 NPPS가 활용하는 북미 지역 놀이터안전 진단 리포터(American Safety Report)를 기준으로 부산지역 공원놀이터에 대하여 연구 조사하였다. 관련 어린이놀이터 국제안전규정으로는 공인검사 기관에서 사용하는 북미지역(IPEMA)국제표준규정 CSA-Z614-07/ ASTM 1487F와 유럽(TUV) 국제표준규정 EN1176 1-7이 있다. 놀이터 안전 위해 요소를 비교분석하기위해 북미지역에서 가장 널리 활용하고 있는 APS(America playgrounds safety) report를 적용하였고, 부산시에 분포되어져 있는 어린이놀이터 229개에 대하여 위험요소별로 나누어 자료를 검토하였다. 또한 부산시와 지리적으로 비슷한 환경에 있는 북미지역 샌프란시스코의 데이터 자료와도 비교분석하여 관련 문제점을 고찰해 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연구의 객관성을 높이고자 북미지역 국제 어린이놀이터 안전규정(CAN/CSA-Z614-07/ ASTM1487)을 분석하고, 국제공인 CCPI자격증 소유자가 직접 안전검사 기구를 사용하여 안전점검을 진행하였다. 조사의 분류 형태는 첫째, 감독(supervision)으로 보호자의 입장에서 어린이들을 보호 관찰 할 수 있는 구조를 조사하였다. 둘째, 연령대그룹의 디자인 (age-appropriate design)으로 놀이터의 연령대별 분류와 놀이의 구조가 안전하게 적용되었는지를 알아보았다. 셋째, 낙하높이(fall surfacing)에 대한 안정성에 관하여 어린이 놀이터에 적용된 표면재질과 높이 안전공간 확보 등 기초의 마감부에 대하여 정리를 하였다. 넷째, 놀이터유지관리(equipment maintenance)로서 가장 중요시 되어지는 분야이며 설치 후 시간이지나면서 발생하는 안정성 문제와 볼트의 풀림, 표면의 유실, 파손, 머리걸림 등에 대하여 자세히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의 통계자료 표본은 북미지역에서 연구조사를 위해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America Playgrounds Safety Report 조사항목을 가지고 체계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부산시 공원놀이터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한국의 어린이놀이터에도 국제안전규정에 위배되는 많은 위험 요소를 내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문제가 있는 부위는 각 스코어 분류를 함으로서 A(안전우수), B(안전유의), C(잠재적 위험노출), D(위험), F(철거) 등급으로 나누어 위험을 현재 부산광역시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공원 어린이놀이터 시설에 같은 검정방법으로 스코어를 적용하여 전수조사를 한 결과 위험상태 D+등급에 속함으로서 놀이터가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부산시 전체놀이터 시설의 86%가 아직 안전진단을 받지 않는 제품으로 되어있고 안전인증을 받은 것은 14%에 불과 하다. 안전인증을 받은 놀이터 제품들도 유지관리를 하지 않음으로서 지속적 잠재적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 관리법은 어린이의 안전을 최고의 가치로 두고 종합적인 안전관리체계 하에 운영하되 동시에 어린이놀이시설의 창의성과 모험성을 구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올바른 유지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정부정책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정책과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면밀한 연구와 실태조사를 통하여 놀이시설물의 기술향상과 유지관리를 위한 전문 프로그램을 개발 할 수 있는 여건을 성숙시킬 수 있도록 관련법규를 재정비하는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n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Safety Standards to Playgrounds for Safety Analyses and Improvements: Focusing on Playgrounds located in Busan City Parks Gang-Ho, Yoon (Director : Kwang-Bong, Lee)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This study is intended to eliminate hazards which can occur at children’s playgrounds, by systematically analyzing international safety regulations regarding playgrounds and examining the real condition of hazards at playgrounds located in big cities by investigating playgrounds in the Busan area on the basis of the "Playground Safety Report Card" which is utilized by America’s National Program for Playground Safety (NPPS). Using well-known Public Playground Safety Standards CSA-Z614-07 & ASTM 1487F from North America and EN11761-7 from the European Union which are used by buyer sand professionals within those markets,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safety or hazard of playground elements. In order to have a rational approach to research data, we analyzed the data while segmenting by hazard element at 229 playgrounds widely distributed in Busan, applying the PSRC(America playgrounds safety report card). Also, we compared these data with PSRC data of San Francisco of North America, where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is similar to Busan. In order to guarantee objectivity of there search method, we analyzed according to North America standards (CAN/ CSA -Z614-07 & ASTM-F1487) and this safety- inspection was performed by an inspector who holds CCPI license (Certified Canadian Playground Inspector) and he used international standard safety inspection tools for this inspection. The classification of research is: 1. Supervision: Investigated whether the structure is suitable or not for guardian/caregiver to have a clear line of sight to observe children. 2. Age-appropriate design: Investigated classification of playgrounds as to the intended user age and designed structure of playgrounds for proper play safety. 3. Fall surfacing: Reviewing fall height safety, with attention to chosen surface material, depth or thickness of material, and allowed safety use zone. 4. Maintance: This is the most important field. When time passes since installation of equipment, there can occur safety problems such as unfastening bolts, migration, wearing or compaction of surface material, or other forms of structural damage. This can lead to hazards such as choking entanglement, entrapments of head & neck, protrusions or pinch points, sharp edges, or a lack of impact attenuation to protect from injury during falls to the surface. We analyzed these in detail. The statistical data sample of proven analysis results were systematically compared and analyzed using the format of the America Playgrounds Safety Report Card which is officially used by many municipalities and playground equipment buyers in North America for research and investigation of their currently installed public playgrounds. After we researched and investigated current conditions of playgrounds in Busan city, we determined that there are many hazard elements which do not comply with international safety regulations at public playgrounds in Korea. We calculated each score of the hazardous parts and graded each playground with an overall score classified by one of 5 degrees: A (safety-excellent), B (safety-attention), C (exposed to potential hazard), D (hazard), F (removal). Applying this method, we investigated conditions of the playgrounds installed in Busan and found them on average to be graded D+ hazard. In conclusion, 86% of total playgrounds in Busan are equipped with products which were diagnosed as having hazards. Just 14% were diagnosed as safe, or hazard-free. Even though those playgrounds were originally diagnosed safe, they are exposed to potential hazards because they have not been maintained properly. The safety control law for children’s playground equipment should make children’s safety the top priority, and then create a total safety control system that prevents hazards while simultaneously supporting the children’s creativity and adventurousness. ------------------------------------------------------------- Keyword : Playground Equipment, Playground Safety Standard(APS), Proposal of Improvement of Children playground safety.

      • 삼척시 문화향수 활성화 방안 연구 : 문화향수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이금희 추계예술대학교 예술경영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2

        정보통신의 발달과 세계화의 영향으로 사회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창의력의 바탕이 되는 문화가 그 변화의 중심의제로 대두되고 있다 .경제적 풍요와 물질적 만족을 뛰어넘어 이제는 정신적 ·지적 향상을 삶의 질로 인식하게 되면서 문화가 사회경제적 국가발전의 원동력이 되는 바야흐로 '문화의 세기' 를 맞이하게 된 것이다 .우리나라는 문민정부 출범이후 문화를 국민의 삶의 질과 직결된 문화복지로 인식하여 국민의 문화향수를 제고하는 것을 하나의 주요 문화정책 전략으로 삼아왔다 . 따라서 국민의 문화향수 제고를 위한 문화정책 수립 시 꼭 필요한 것이 문화향수의 주체자인 국민의 문화향수실태를 조사 ·분석하는것이라 할 수 있다 . 우리나라는 1988년부터 3년 주기로 '국민들이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문화적 삶을 누리고 있는가 ' 를 통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문화향수실태조사 ' 를 해왔다 . 그러나 이러한 중앙정부차원의 조사는 너무 광범위하여 각 지역의 실제적인 문화향수실태의 현실을 파악하는 데는 많은 한계가 있다 . 본 논문에서는 강원도의 최남단에 위치하고 있는 도농복합도시이면서 경제적 ·문화적으로 소외되어 있는 삼척시의 문화향수실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 이러한 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삼척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문화향수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며 ,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 1장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배경과 목적 , 연구내용 및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 2장에서는 일반적 문화의 개념과 본 논문에서의 문화의 개념 및 영역을규정하고 문화향수의 개념과 사회변화에 발맞추어 변화해 온 문화향수의 실태변화에 관해 알아보았다 . 또한 문화향수 실태조사의 필요성과 우리나라에서 실시되어 온 문화향수 실태조사에 대해 정리하였다 . 3장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 도시인 강원도 삼척시의 일반환경을 역사적 배경 , 자연지리적 환경 , 사회인구학적 환경 , 산업경제적 환경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고 , 삼척시의 문화정책 , 문화시설 , 문화예술 행사 , 문화예술 관련 인력현황을 통해 삼척시 문화환경을 파악하였다 . 또한 기존의 삼척시 문화향수실태에 관한 평가를 덧붙였다 . 4장에서는 삼척시의 문화현실을 반영할 수 있는 문화향수실태조사의 내용을 구성하고 , 그에 맞게 작성한 설문지를 비교적 문화향수가 활발히 일어날 수 있는 환경을 지닌 삼척시의 4개 동에 배포하여 회수한 설문 중 유의미한 364부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 설문분석을 통하여 삼척시 문화향수의 걸림돌로 , 시민을 위한 문화향수에 대한 지자체의 의지부족과 시민들의 문화예술 향수에 대한 적극성 부족이라는 결론을 얻었으며 , 시간과 비용 부족 , 문화시설 부족 , 문화예술프로그램 부족 , 정보부족 , 문화예술활동 보다 운동 및 체육활동을 선호하는 취향과 공동체적 생활의 잔재인 잦은 모임 등을 문화향수를 방해하는 구체적인 요인으로 도출하였다 . 5장에서는 4장에서 도출된 문화향수의 방해요인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 그 방안으로는 삼척시의 시민을 위한 문화향수 활성화 의지를 바탕으로 한 일련의 방안들 , 문화시설 확충 및 효율적 운영 방안 , 인근 도시 문화시설과의 네트워크 , 문화시설과 주변학교와의 네트워크 및 문화시설과 단체와의 네트워크를 통해 보다 활발히 문화운동을 확산하는 방안 , 문화예술인들을 적극 유치하여 창작공간을 제공하고 , 삼척에서 활동하는 문화예술인을 발굴하여 지원하는 방안 , 공동체적 생활습관인 잦은 모임을 문화예술 활동의 동력으로 활용하여 문화예술 동호회 및 문화관련 자원봉사 활동을 활성화 하는 방안 , 부족한 문화관련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문화예술 공연 및 행사에 관한 홍보강화 , 문화시설 및 단체의 행사 , 인근도시의 문화행사까지도 포괄하는 문화예술종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 등이 그것이다 . 6장은 본 논문의 결론으로 참여 ·자율 ·분권의 세 가지 국정논리가 문화 분야에서도 적용되고 있는 현실에서 시민들의 문화향수 및 문화활동에의 참여의지는 무엇보다 중요한 문화발전의 초석임을 강조하며 , 본 논문의 한계점과 의의를 제시하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 With progres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under the impact of globalization our society is changing very rapidly and the culture which is basis of creativity is emerging as central agenda of such change. Now beyond economic affluence and material satisfaction spiritual and intellectual improvement is perceived as quality of life and the 'century of culture' is ushered in where the culture is driving force of socio-economic as well as national development. Since embarkation of civilian government in our country culture is perceived as cultural welfare directly linked to quality of citizens life so improvement of cultural enjoyment became a major strategy for establishment of cultural policy. Accordingly what is essential at the time of establishment of cultural policy for improving cultural enjoyment of people is field survey and analysis of status of cultural enjoyment of people who are principal players for such enjoyment. From 1988 periodically every 3 years our government has been conducting 'survey on status of cultural enjoyment' in order to find out 'how much and how the citizens are enjoying their life culturally?'. Nevertheless such survey on the level of central government is too broad therefore there is a certain limit in finding out actual status of cultural enjoyment of people. In this treatise this author carried out survey and analysis of status of cultural enjoyment of Samcheok City which is a city relatively alienated economically and culturally as a city for combination of urbanity and farming. The purpose of this treatise is to propose on measures for activating programs of cultural enjoyment to improve life quality of Samcheok citizens through such field survey and analysis. In Chapter 1, this author proposed background, purpose, contents and method of this treatise. In Chapter 2 this author defined concept of general culture and also defined concept and scope of culture in this treatise and checked on status of change of cultural enjoyment which has been undergone in step with social change. Also this author summed up on the need of field survey on cultural enjoyment and status of such field survey conducted in our country. In Chapter 3, this author examined general environment of Samcheok City by classifying it into historical background, natural and geographical background, socio-demographic background and socio-economic environment. Also this author investigated the cultural policy, cultural facility and cultural and art events, status of personnel related to culture and art in Samcheok City. This author added his evaluation on existing status of cultural enjoyment of Samcheok City. Chapter 4 is organized by contents of field survey on cultural enjoyment which can reflect cultural reality of Samcheok City. Questionnaires prepared in reflection of such reality were distributed to 4-dongs in the city where relatively high level of cultural activity are expected and collected. Then 364 questionnaires so collected were analysed. Through questionnaires this author concluded that lack of will of self governing body and lack of positiveness on the cultural enjoyment by the citizens were major stumbling blocks to cultural enjoyment of the city. And more concretely this author extracted specific elements for such block against cultural enjoyment from lack of time and fund, lack of cultural facility, lack of cultural and art programs,lack of information and preference of exercise and sports activity rather than cultural and art activity and frequent get-together meeting which was residue of communal life style. In Chapter 5, this author studied measures for minimizing obstructive elements to cultural enjoyment as exposed in Chapter 4. As such measures First, in order to reinforce will for cultural enjoyment of Samcheok City it is necessary to foster and secure professionals in various fields of culture and art. Necessity for setting out proper cultural goal and vision and measures for establishing cultural policy for development of culture of Samcheok City by inducing budget support from central government and efficient operation of such budgets and carrying out specific field survey on cultural enjoyment and survey on statistics on culture and art. Continuously reinforcing insufficient cultural facility and measures for using existing cultural facility efficiently, Measures for building environment able to accomodate variety of cultural and art programs of adjacent cities' cultural facilities through network; measures for actively extending cultural campaigns through network between cultural facility of Samcheok City and schools in its vicinity and network between cultural facilities and organizations, Actively inducing people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to Samcheok City thus providing space for their creative activity and exploring people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active in Samcheok City and providing support to them, Utilizing frequent meetings which are habit from communal life style by converting it into driving force of cultural and art activity thus activating volunteer service in connection with culture and art and related circles, It is measure to build combined cultural and cultural information system covering cultural facility, events of groups and even covering cultural events of adjacent cities in order to share insufficient information on culture and art strengthening publicity of cultural and art performance and events. Chapter 6 is conclusion part of this treatise and under the reality where development under the circumstances where logics of statecraft of participation, self-autonomy and division of power are even applied even to cultural field this author like to emphasize that citizens' will to participate in cultural enjoyment and activity is cornerstone for cultural progress. The conclusion is drawn with suggestion on limitation and significance of this treatise.

      • 국가수준 실태조사통계 이용자의 만족도 수준 결정요인 탐색 : 평생학습실태조사통계를 중심으로

        김일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larify the statistical quality factors decid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among users of the statistics of nationwide survey research. The following six were the factors deciding the statistical quality: relevance, accuracy, coherence, timeliness/punctuality, comparability, and accessibility/clarity. To investigate the level of users' satisfaction, 130 individuals were sampled from the user list of National Survey of Lifelong Learning, provided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high in general was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National Survey of Lifelong Learning users, which was estimated properly even though it was based on the new statistic data in 2007. Second, discriminant analysis was performed to clarify statistical quality factors of users' satisfaction level for distinguishing users' group characteristics.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accessibility/clarity among the statistical quality factors were the best factors to distinguish professional users from common ones. Third, ranking lists of statistical quality dimensions affect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National survey of lifelong learning users were accuracy, relevance, accessibility/clarity, and timeliness/punctuality. When viewing of National survey statistics based on statistical examples of National Survey of Lifelong Learning, most users of National survey statistics wanted to take enough accurate information which they expected from a number of statistical data. Thus, National agencies preparing statistical data should examine users' satisfaction level of statistics and conduct rational and consistent statistical quality management continuously. 본 연구는 국가수준 실태조사통계 이용자만족도를 결정하는 통계품질요인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통계품질을 결정하는 요인은 관련성(relevance), 정확성(accuracy), 일관성(coherence), 시의성/정시성(timeliness/punctuality), 비교성(comparability), 접근성/명확성(accessibility/clarity) 6가지이다. 이용자만족도 조사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제공한 평생학습실태조사통계 이용자리스트 1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학습실태조사통계의 이용자만족도 수준은 2007년도 신생통계임에도 불구하고 통계이용자들에게 적합하게 작성되었으며 만족도가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이용자만족도 수준을 결정하는 통계품질 요인들이 이용자들의 집단 특성을 타당하게 구별할 수 있는지 검정하기 위하여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품질 요인가운데 접근성/명확성이 전문이용자와 일반이용자를 변별해주는 가장 좋은 판별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평생학습실태조사통계 이용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통계품질차원은 정확성, 관련성, 접근성/명확성, 시의성/정시성의 순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평생학습실태조사통계의 사례를 통해 볼 때, 국가수준 실태조사통계의 이용자들은 수많은 통계자료로부터 자신들이 기대하는 정보를 충분히 얻기를 원하고 있다. 따라서 이용자만족도 조사를 통해 통계작성기관은 자료제공자의 입장이 아닌 이용자의 입장에서 통계이용자가 만족하는 수준이 무엇인지, 그리고 제공된 자료가 품질요인 측면에서 부족한 차원은 무엇인지 파악하여, 계속적이고 지속적인 품질관리를 해야 하겠다.

      • 장애인 진료 현황 분석에 기반한 구강건강 실태조사 방식 개발 : 청주시 일부 장애인 중심으로

        정혜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1

        목적: 국내 등록장애인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장애인은 치과 진료에 대한 접근성이 낮은 편이다. 이에 정부는 다양한 지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이러한 사업을 위한 기초자료인 장애인 구강건강 실태조사는 아직 시행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주시 장애인 무료 치과 진료소의 진료 내용을 분석을 기반으로 전국 단위의 장애인 구강건강 실태조사를 위한 방식을 개발하고 이를 시범 적용한 청주시 일부 장애인의 구강건강 상태를 조사하여, 향후 장애인 구강건강 실태조사를 시행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장애인에게 필요한 구강 진료 및 구강건강 증진방안 마련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장애인 진료 현황 분석은 2014∼2019년 청주시 무료 치과 진료소를 이용한 장애인의 진료기록부를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장애인 구강건강 실태조사 방식 개발은 2019∼2021년 청주시 장애인 주간보호시설 등 장애인 관련 기관의 이용자에게 구강 검사와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양식과 지침은 ‘2018 아동 구강건강 실태조사’를 따르되 일부 항목은 수정하여 적용하였다. 조사에 응한 대상자는 총 38명이었고, 구강 검사는 전문적인 교육과 훈련을 받은 치과의사 1인이 시행하였고, 설문은 장애인 진료 경험이 많은 치과위생사 1인이 수행하였다. 조사과정에서 대상자가 직접 하기 어려우면 보호자가 응답하도록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구강건강 실태조사는 경희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KHSIRB-19-257, KHSIRB-21-130), 진료 내용 분석은 경희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면제 심의 승인(KHSIRB-21-009(EA))을 받아 진행하였으며, 모든 연구는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기관의 참여 동의 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통계 분석은 IBM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통계적 유의성 기준은 p<0.05로 설정하였다. 결과: 장애인 진료 현황 분석 결과에 따르면 대상자 중 남자가 여자보다 많았고, 치주 처치, 충전, 발치, 틀니, 신경치료, 브릿지, 크라운 순으로 치료를 많이 받았으나, 대부분의 진료에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그러나 틀니와 발치율의 경우에는 연령대가 증가하거나, 여자일수록 유의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통해 장애인 구강건강 실태조사에 필요한 최소 인력은 검사자, 기록 및 보조자, 조사 총괄자, 이동 및 검사 보조자로 총 4인으로 나타났다. 진행 과정에서 장애의 특성 또는 구강 검사에 대한 두려움 등을 고려하여 대상자가 익숙한 환경에서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대부분 비교적 짧은 시간이 소요되었으나, 일부 대상자의 경우 구강 검사 거부로 준비시간이 길어지거나 1회로 불가능하여 2회에 걸쳐 진행하기도 하였다. 결론: 장애인 구강건강 실태조사는 다른 조사에 비하여 검사를 위한 인력, 공간 등 더 많은 사전 준비가 필요하며, 대상자 특성에 따라 편차가 크게 나타나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고, 앞으로 본 조사를 시행하여 전국 단위 장애인의 구강건강 지표를 산출하여야 하며 이를 토대로 장애인 구강건강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정책 지원 수립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registered number of disabled people in Korea is steadily increasing. Usually, they have experienced difficulties in dental treatment. The governments are implementing various support programs for them. However, a disabled oral health survey, which is essential, has not yet been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dental records from charity dental clinics for the disabled, to develop forms for a national disabled oral health survey, and to investigate the oral health status of some disabled people in Cheongju. Methods: The records of dental treatment by 141 patients from 2014 to 2019 in a charity dental clinic in Cheongju City were analyzed. The disabled oral health survey conducted in Cheongju city from 2019 to 2021. Forms and guidelines follow the 2018 Korea National Children’s Oral Health Survey and some of them were modified. A total of 38 peopl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oral examinations were performed by a dentist after calibration and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by a dental hygienist. Both of them had skillful experience of the dental care of the disabled. When the participants were difficulty responding to the questionnaire, the survey team asked the guardians to participate. Kyung Hee University Institutional Review Board approved the disabled survey (KHSIRB-19-257, KHSIRB-21-130) and the dental treatment analysis (KHSIRB-21-009 (EA)). All of them were conducted after explaining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grees by participants and institutions. The IBM SPSS 26.0 program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the p-value was below 0.05. Results: By the analysis of dental records from charity dental clinic in Cheongju, the percentage of men were slightly over than women. All of them had more treatments for periodontal conditions, fillings, extractions, dentures, root canals, bridges, and crown.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reatment records. Only the rates of having dentures and tooth extraction were higher in older participants or women. Four types of operators were required, an inspector, a records assistant, an investigator, and an inspection assistant to survey the status of oral condition in the disabled. The survey was implemented in a familiar environment To diminish the fear of the disabled about the oral examination. As a results, it took a relatively short time even though some difficulty cases were impossible at the first visit. The oral health status of disabled people in Cheongju is generally similar to the 2010 National Oral Health Survey for the Disabled. However the DMFT index and MT rate were higher, and the FT rate was lower than them. The status of sealant in permanent tooth were poor. It was evident that the D and DT rates differed depending on the institution. Conclusions: Compared to other oral health surveys, the disabled oral health survey requires lots of preparation for the team and infrastructure.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the diverse situations depending on the subjects. The implementation of disabled oral health survey would support policy establishment to improve oral health for them.

      • 한국어의 일본어 가나표기 실태조사 연구 : 효율적인 일본어 표기교육을 위한 일고찰

        김윤미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1

        ABSTRACT A study on the writing of Japanese Kana character in Korean language Kim Yunmi Dept. of Japanses Language & Literature Graduate School Sejong University Recently there are more and more signs in Japanese on the streets that attract consumers attention in various forms of Koreanization. As the number of Japanese tourists visiting Korea thanks to the hot wind of Korean Wave is constantly increasing, the streets are filled with a variety of wrong Koreanization as an effort to attract Japanese tourists. This may confuse the public’s language use and confuse Korean learners of Japanese in education and learning of Japanese. Thus, this study was carried out aiming to correct this problem if any since a wrong Koreanization may deliver wrong vocabulary to Japanese tourists and cause Korean learner of Japanese keep using the wrong writing in learning Japanese. As for the method of research, an on-site actual condition survey on what errors occurred in Koreanizing Japanese Kana in the signs and menus in Korean actually used on the streets and an analysis of a survey carried out for learners majoring in Japanese were chose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ctual condition survey, the causes of the misuses were analyzed, a direction was proposed as an inquiry for efficient education of the Koreanization of Japanese, and the proposal for that was presented so that they use right Koreanization. This paper consists of six chapters: Chapter 1 described the purpose, subjects and methods of this paper and introduced preceding studies. Chapter 2 specified both countries’ orthographies to make a precise analysis based on the standards of Korea’s and Japan’s loanword orthographies. Chapter 3 analyzed the Koreanization of Japanese in actual signs and menus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an on-site actual condition survey in Myeongdone area, which was classified to ten items by four types of characters: Hirakana, Katakana, Kanji (Chinese characters) and mixed Koreanization of Japanese, and the causes of the diversity of misuses were analyzed. Chapter 4 selected the target words for survey based on the on-site actual condition survey and an actual condition survey was carried out for students at the Department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in S. University, and they were classified by the type of the character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misuse rate of the target words were examined, and the misuse types divided into 10 items like the actual condition survey in Myeongdong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causes of the misuses were examin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two actual condition surveys. Chapter 5 made a few suggestions for the efficient education of the Koreanization of Japanes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wo actual condition surveys. Chapter 6 mentioned the points that could be fou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on-site actual condition survey and the learners’ actual condition survey and the future tasks. I hope that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Japanese education and learning the Koreanization of Japanese in the future. Key words : Koreanization of Japanese Kana, Actual Condition Survey in Myeongdong, Korean Learners, Misuse Types, Misuse Rate 논문요약 한국어의 일본어 가나표기 실태조사 연구 -효율적인 일본어 표기교육을 위한 일고찰- 최근 거리의 간판을 보면 다양한 방법의 표기의 형태들로 소비자들의 시선을 자극하는 일본어 간판이 증가하였다. 한류열풍으로 인하여 한국을 방문하는 일본인 관광객이 끊임없이 늘고 있는 만큼 일본인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노력으로 잘못된 표기들이 거리에 난무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일반대중의 언어생활을 혼란스럽게 하고, 일본어를 학습하는 한국인 학습자들에게도 일본어교육과 학습에 있어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잘못된 표기로 인하여 일본인 관광객들에게 잘못된 어휘를 전달하고,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들이 일본어를 학습하는 데에 있어 잘못된 표기를 계속해서 쓰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에 이를 조금이라도 바로잡고자 하는 것을 목표로 행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실제 거리에서 사용되고 있는 간판과 메뉴판의 한국어가 일본어 가나표기를 할 때 어떤 오류가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한 현장 실태조사와 일본어를 전공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를 분석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실태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오용의 원인을 분석하였고, 효율적인 일본어 표기 교육을 위한 일고찰로서 방향을 제시하며, 올바른 표기를 쓰도록 그 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목적, 연구대상 및 방법에 대해 서술하였고, 선행연구를 정리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일 외래어 표기법의 기준에 의거하여 정밀한 분석을 행하기 위해서 양국의 표기법을 명기하였다. 제3장에서는 명동일대의 현장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실제 한국의 간판과 메뉴판에 나타나는 한국어의 일본어표기를 분석하였는데 이를 히라가나, 가타카나, 한자, 일본어 혼용표기 4가지의 문자유형별로 분류하여 표기의 다양한 오류의 형태를 10가지 항목으로 나누어서 오용의 원인을 음운적인 측면과, 문자표기상의 측면으로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현장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조사대상어를 선정하여 S대 일어일문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표기실태조사를 실시하여, 문자 유형별로 분류하고, 조사대상어에서 보여지는 특징과 오용률을 살펴보았고, 오용유형을 명동 현장 실태조사와 마찬가지로 10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리고 두 실태조사 결과를 비교하여 오용의 원인을 살펴보았다. 제5장에서는 두 실태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일본어 표기교육을 위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제6장에서는 현장실태조사와 학습자 실태조사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는 점, 앞으로의 과제 등에 대해 언급하였다. 본 연구의 제시가 향후 일본어 교육과 표기 학습에 있어서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주제어 : 일본어 가나표기 , 명동실태조사 , 한국인 학습자 , 오용유형 , 오형률

      • 주거환경 만족도평가의 현황 및 신뢰성 향상에 관한 연구 : 주거실태조사를 대상으로

        박동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0

        주거환경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주택 및 주거환경 전반에 대한 대규모 설문조사인 ‘주거실태조사’의 활용성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주거실태조사의 위상을 고려할 때, 분석조건에 맞춰 데이터를 제대로 검증하여 사용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통계조사의 질을 떨어트리는 이상치(outlier)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여 자료의 신뢰성을 훼손할 염려가 높아지고 있다. 통계조사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서는 데이터 전처리나 정제 과정이 중요하다. 실제로 2006년부터 2017년까지 시행된 주거실태조사 응답자들의 응답에서는 모든 주거환경만족도 항목에 대해 동일 응답 패턴(SP; Same Pattern)의 평균 비율은 12.6%에 달한다. 이러한 동일 응답 패턴의 일부는 빠른 설문 종료를 위해, 불성실하게 답을 한 것으로 여길 수 있으며, 이는 데이터에 오류를 야기하는 이상치로 여길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에서 접근하여, 주거환경만족도 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주거실태조사의 주거환경만족도를 대상으로 이상치 현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분석 결과, 동일 응답 패턴이 2017년에는 전체의 약 21%(12,882명)로 나타나 데이터 신뢰성에 심각한 문제가 있지만, 이들이 불성실한 이상치라는 근거는 찾을 수 없었다. 그러나 많은 연구에 따르면 주거환경만족도는 응답자의 성별, 연령 등 여러 응답자 특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만약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분석한다면 이상치 검출이 가능하다고 예상되었다. 특히, 기계학습은 만족도와 특성과의 관계를 고려하는데 알맞다고 판단되었으며, 4가지 알고리즘을 비교한 결과, Naive-Bayesian에 의한 추정방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이를 이용하여 2017 주거실태조사에 적용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6%(3,532명)의 응답자들의 설문응답이 이상치 후보로 검출하였다. 특히, 기존 동일 응답패턴에서는 모든 항목에 만족하는 SP.3(대략 만족)이 가장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Naive-Bayesian 추정에 의해 검출된 이상치 후보 중에서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오히려 SP.1(매우 불만)과 SP.4(매우 만족)와 같은 극단적인 평가 값의 동일 응답 패턴이 이상치일 확률이 높아 이들을 우선적으로 제거할 필요가 있다. 주거환경만족도 평가에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 중의 하나는 약 300여개가 넘는 설문항목이 응답자로 하여금 상당한 피로감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피로효과를 줄이기 위해 문항을 축소시키고, 일치성 효과를 줄이기 위해 테이블 형식을 분할하여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이러한 이상치 의심 동일응답 패턴 발생빈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주거실태조사의 주거환경만족도 문항을 현재의 설문과 같은 형태인 기본형(B형), 축소형(R형), 그리고 분할형(D형)으로 구성하고 2,2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설문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설문의 구성 방법에 따라 응답자들의 만족도는 모두 다르게 나타나며, 피로효과를 줄이기 위해 문항수를 줄인 R형의 경우, 오히려 동일응답 패턴이 가장 높고, 문항을 분할하여 배치한 D형의 경우 가장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데이터에 불순물(이상치)이 많이 포함되어 있을수록 성능이 떨어지는 기계학습 모형에 착안하여 Naive-Bayesian을 이용한 자기 예측 평가를 실시한 결과, R형 설문형태가 가장 불순물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일련의 연구 결과를 고려한다면 주거환경만족도를 분석할 때에는 데이터 신뢰성 검증이 우선될 필요가 있으며, 조사를 할 때에는 설문지의 구성은 표 형식의 문항은 분할하여 배치하거나 배제해야한다. 또한, 문항수의 감소는 오히려 데이터의 신뢰성이 낮아질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As growing attention is given to the importance of residential environment, the usefulness of the ‘Korea Housing Survey’, which is a large-scale survey on overall housing and residential environment, is increasing as well. Given this, it is important to test and apply survey data in accordance with analysis conditions, and yet, the risk of weakening data credibility is rising due to the lack of considerations for outliers that can undermine the quality of statistical analysis. Data pre-processing and cleansing is essential to ensure credibility of statistical analysis. In the "Korean Housing Survey," which was conducted between 2006 and 2017, the average ratio of the "Same Pattern" (SP) which a pattern that answers every question with only one satisfaction was 12.6%. Part of this same pattern might be the result of giving perfunctory answers to quickly finish the survey, and thus could be seen as outliers that cause data errors. In this study, we analyzed outliers in responses to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Korea Housing Survey, to enhance the credibility of the survey result, and discuss how to improve the survey. Analysis results, the ratio of SP reached 21%(12,882 respondents) for the 2017 survey, raising serious concerns over the data credibility, but no evidence was found that these were outliers caused by insincere replies. However, many studies showe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living environment with respon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nd age. If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taken into account, the ground for identifying outliers might be found. Particularly, machine learning was deemed suitable for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living environment and respon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Noting this, we examined and compared four different algorithms, and concluded that the naïve-Bayesian formula would be most suitable. We applied the formula to the 2017 survey accordingly and identified 6%(3,532 respondents) of all replies as potential outliers. In a previous analysis of Same Pattern, SP.3(satisfaction) was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pattern for all questions, but it was not observed at all among potential outliers according to the naïve-Bayesian formula. Instead, extreme values─SP.1(very dissatisfied) and SP.4(very satisfied)─showed a higher probability of being outliers, and thus need to be eliminated first. One of the reasons that this problem occurs with the survey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s because respondents feel quite tired as they try to answer more than 300 questions. Considering this, the number of questions needs to be reduced to mitigate respondents’ fatigue, and questions in a table format need to be divided and placed apart to reduce congruity effect. To test frequency of Same Pattern that are potential outliers, we experimented with an online survey for 2,250 respondents with three types of surveys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Basic(B) as it is, Reduced(R) with a smaller number of questions, and Divided(D) with questions in a table format pl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some space in between. The result showed that respondents’ level of satisfaction varied by how the survey’s questionnaire was designed. The ratio of SP was the highest for a type-R survey that reduced the number of questions to mitigate fatigue, and it was the lowest for a type-D survey where questions were divided into clusters. Noting that the more the outliers in learning data, the poorer the performance of a machine learning model, we conducted a self-estimation using the naïve-Bayesian formula, and the result showed that a type-R survey had the least outlie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ata credibility needs to be tested first when analyzing data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when designing the questionnaire, questions in a table format need to be placed apart from each other, or such formula should not be used at all. Lastly, reducing the number of questions needs to be done carefully since it can actually weaken data credibility.

      • 도시형생활주택의 전용면적에 따른 주차공간 이용실태 분석 : 서울시 구로구,성북구 원룸형주택을 중심으로

        최보람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0

        1~2인 가구의 증가로 소형주택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정부는 2009년 주택공급을 활성화하고자 도시형생활주택을 도입하게 되었고, 그 중 원룸형주택은 주차장완화, 세제 혜택 등을 통해 2010년 이후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그로인해 소형주택공급을 통해서 전세난의 일부는 해결할 수 있었을지 모르나 주차장 완화에 따른 주차문제가 심각하다는 문제제기가 끊임없이 제기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첫째, 도시형생활주택 중 주차장 기준을 완화 받아 건설된 원룸형주택의 주차장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주차문제 발생여부를 파악하고, 설치된 법적 주차대수와 주차공간 이용실태 조사에 따른 주차장이용 대수를 비교분석함으로 주차장 설치 기준의 적합여부를 판단해 보았다. 둘째, 주차장 이용실태 조사결과에 따른 주차장 이용대수와 해당건축물 거주자를 중심으로 해당 주소지로 등록된 자동차등록대수의 비교를 통해 자동차등록현황의 정확도를 파악하고, 향후 각 필지별 주차장 이용현황 조사 시 문서상 등록된 자동차등록현황에 대하여 자료로서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셋째, 도시형생활주택 공급활성화를 위해 정부는 1~2인 가구 수가 많고, 자동차이용이 적을 것으로 판단되는 지하철 역세권 지역을 선정해 주차장 완화구역을 지정하였다. 그러나 지하철역까지의 거리와 도시형생활주택 원룸형의 각 필지별 주차장 이용률과의 상관성은 검토된 바가 없어 이번 연구에서는 도시형생활주택 원룸형의 전용면적에 따른 주차장 이용률과 지하철역까지 거리와의 상관성을 분석해 보았다. 성북구, 구로구를 대상으로 도시형생활주택 원룸형의 주차장 실태조사 결과 주차문제가 많을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각 필지별 주차장을 이용하는 세대수가 주차장설치 기준보다 적어 여유 있게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주차장 이용대수와 문서상의 자동차등록현황을 조사한 결과 자동차 등록현황보다 더 많은 수의 차량이 주차장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도시형생활주택 전용면적별 주차장 이용률을 분석한 결과 전용면적이 커질수록 주차장이용률이 커지고, 지하철역까지의 거리와 전용면적별 주차장이용률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역세권에서는 상관성을 보였으나, 비역세권에서는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다만, 지하철역까지의 거리에 따른 단위별 주차장 이용률을 조사한 결과 지하철역까지의 거리가 700미터까지는 주차장 이용률이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으나 700미터 이상은 주차장 이용률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임대비용에 따른 거주자의 소득수준이 주차수요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것으로 보인다. As the necessity of small type housing due to increase of single or two-person households came to the fore, the government got to introduce urban living housing to vitalize housing supply in 2009. It got to construct studio-type housing of them explosively by relaxing parking lot regulations and tax favors since 2010. Part of lease problems could be solved through small type housing supply, but the problems that dwellers’ parking is serious according to relaxation of parking lot regulations have continued to have been brought up by the press. First, this study grasped parking problems by conducting the survey of parking lots of studio type housing constructed in urban-life housing as parking standards were relaxed and judged the suitability of the standards to install parking lot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number of cars which are legally installed and the number of cars which use parking lots according to the survey of parking space use with each other. Second, the study tried to grasp accuracy of the survey report of parking lot use by comparing the number of cars which use parking lots according to the survey report of parking lot use with the present condition of vehicle registration that dwellers in the applicable buildings have and increase utilization of the number of car registration in documents as the data when the present condition of parking lot use by lot will be investigated in the future. Third, as the government designated the zones to relax parking lot regulations by selecting the station influence areas to be judged that the number of single or two-person households is higher and use of cars is lower to vitalize supply of urban-life housing, it and subdivided studio type of urban-life housing by area of exclusive use space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utilization rate of parking lots by area of exclusive use space and the distance from stations to parking lots to review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ctual distance from stations to parking lots and the utilization rate of parking lots by lot. The survey result of studio type parking lots in urban-life housing in Seongbuk-gu and Guro-gu has found that the number of households which use parking lots by lot is using them more sufficiently as it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the standards to install parking lots unlike the press’ concern. And the result which investigated the number of cars which use parking lots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vehicle registration in documents has found that more cars than that in the present condition of vehicle registration are using the parking lots. The result which analyzed the utilization rate of parking lots by area of exclusive use space in uurban-life housing according to the actual condition of parking lots has found that the larger area of exclusive use space is, the higher utilization rate of parking lots is. And in the result which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stance from stations to parking lots and the utilization rate of parking lots by area of exclusive use space, the correlation is shown in the station influence areas, but it is not shown in the places which are not the station influence areas. However, the result which investigated the utilization rate of parking lots by unit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stations to parking lots has found as follow: the utilization rate of parking lots gradually increased when the distance from stations to parking lots is up to 700 meters, but the utilization rate of parking lots decreased when the distance from stations to parking lots is more than 700 meters. It is thought that income levels according to lease costs to some degree have the effect on parking demand.

      • 공공건축 사업계획 사전검토를 통해 본 건축기획업무의 현장적용 실태에 관한 연구

        성기관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99

        건축기획업무와 사업계획 사전검토, 공공건축심의는 좋은 공공건축(공공적 가치와 디자인 품격을 갖춘 공공건축)의 구현을 위한 학계와 연구자, 관련 공무원들의 지난한 노력의 결실이다. 그러나 제도의 도입이 좋은 건축의 즉각적인 실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므로 좋은 제도라도 애착을 가지고 가꾸어 나가지 않는다면 실효성 없는 형식적 행정절차로 전락할 수 있다. 하지만 사업계획 사전검토가 도입된 2014년부터 2020년까지 사업계획 사전검토의 정착이 제대로 되고 있는지, 문제는 무엇인지, 어떠한 개선이 필요한지 알아보기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는 등 건축연구원(국가공공건축지원센터)을 중심으로 제도의 정착과 개선을 위한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새로운 제도는 타 법령(국가재정법, 지방재정법, 건설기술진흥법 등)에 의한 기존 건축기획의 절차(기본구상, (예비)타당성조사, 투자심사, 기본계획, 기본설계 등)와 결합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하지만 새로운 제도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제도를 실행하는 일선 공무원, 설계자, 전문가들은 혼란 속에서 많은 시행착오를 거칠 수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일선 공무원들은 ‘이행절차의 중복’, ‘행정절차의 확대’로 인식하기도 한다. 최근 이 같은 제도에 대한 내용이 ‘국가공공 건축지원 센터’로 전달되어 제도 개선방안을 구상하기도 한다. 이러한 ‘제도의 정착과 개선을 위한 노력’은 설계발주 이전의 과정에 대한 ‘간접적인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2014년 6월 제도 시행 이후 8년이라는 시간이 경과한 현시점에도 건축기획업무의 제도화가 건축설계에 미친 영향을 ‘직접 살펴보는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건축기획업무, 사업계획 사전검토, 공공건축심의 라는 일련의 건축기획 절차를 거쳐 발주된 건축설계가 제도의 목적을 어느 정도 달성하고 있는지 고찰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들 연구를 통해 현 제도를 유지·발전시키고 미흡한 부분이 있다면 원인을 찾아 개선하는 노력이 가능할 것이다. 이는 제도 개선을 통해 좋은 공공건축을 구현하기 위한 직접적인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건축기획업무의 제도화가 공공건축 건축설계에 미친 영향 정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3단계 과정으로 접근하였다. 첫 번째 단계로 공공건축 사업의 법령·제도 검토 과정을 통해 법령의 모순점이나 모호성을 살펴보고 개선의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더불어, 국내 전체 건축시장의 80퍼센트 이상을 차지하는 민간건축 건축기획의 절차와 공공건축 건축기획의 절차 비교를 통해 공공건축 수행 시에 민간건축 수행절차에서 도입 가능한 착안점을 도출하였다. 두 번째 단계로는 ‘국가공공 건축지원 센터’에서 2016년 이후 매년 발간하고 있는 공공건축 ‘사업계획 사전검토의 수행실적과 시행 효과를 정리한 연차(성과)보고서’ 분석을 통하여 사업계획 사전검토의 절차, 인식, 효과적 측면의 특성과 성과를 확인하고 제도개선을 위한 몇 가지 관점을 제안하였다. 이와 더불어 성과보고서 분석을 토대로 설계용역 실태조사를 위한 설문조사 항목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세 번째 단계에서 공공건축 건축기획을 시행한 설계 Project의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태조사는 건축설계사무소에서 실제 건축설계를 수행한 설계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내용은 ‘절차 및 관리의 적정성’, ‘사전검토의 효율성’, ‘건축기획업무의 전문성과 내용의 적정성’의 3가지 측면으로 구성하였으며 전체 111개의 설문 응답서를 취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과정을 통해 확인한 결과 제도화에 따른 효과를 일부 확인하였으나 여전히 많은 문제점들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법령·제도에서 확인된 타 법령과의 관계 설정 및 시행시기의 모호성은 성과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었고 설계 Project 실태조사에서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제도개선을 위한 간접적 연구 방식을 벗어나 실제 건축설계에서 나타나는 과정과 결과를 살펴보고 성과와 실태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다만, 설문조사에서 기관별, 용도별 특성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적정 수 이상의 설문 응답서를 확보하지 못한 점은 본 연구에서 아쉬운 점이라고 할 수 있다. 향후 ‘국가(지역)공공건축지원센터’에서 건축설계 완료 이후 건축설계 결과를 취합하여 ‘제도의 현장적용 실태’를 파악한다면 기관별, 용도별 특성에 따른 제도개선을 위한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