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환경정책과정에서 NGO역할에 관한 연구 : 광주 무등산 환경정책 사례에서 시민사회단체 참여를 중심으로

        김희송 성공회대학교 시민사회복지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4351

        본 연구는 NGO의 관점으로 광주 무등산 환경정책사례에서의 NGO 참여와 그 역할을 실증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환경정책에서 NGO 역할 증대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무등산환경정책사례에서 대표적인 현안문제인 운림온천개발저지 운동과정을 3가지 시기로 구분하고 문제의 흐름·정치의 흐름·정책의 흐름에 따라 NGO의 참여와 역할을 문헌조사와 참여관찰, 인터뷰를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무등산 운림온천 개발을 둘러싼 갈등은 무등산이 지니고 있는 가치와 이용방향에 대한 지역사회 구성원들간의 합의와 이해가 형성되지 못한데서 기인하는 것으로 개발가치와 보전가치의 대립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광주의 상징인 무등산의 훼손을 초래할 온천개발에 대한 정책결정과정이 시민참여가 배제된 채 이루어짐으로서 이후 심각한 갈등을 유발하였다. 또한 개발패러다임의 시기에 이루어진 정책결정이 환경패러다임으로 변화된 시기의 정책방향을 규정하면서 논란을 더 증폭시켰다. 무등산 운림온천개발 저지운동과정에서 NGO는 가시적 참여자로서 운림온천 문제해결을 위해 이슈생산자로서의 역할, 정보제공자로서의 역할, 감시자로서의 역할, 대안제시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슈생산자로서의 역할은 시민들이 미처 구체적으로 인지하지 못했던 온천개발에 따른 환경파괴문제를 이슈화시켜 시민의 관심을 유발하고 긍극적으로 정책결정과정에 영향력을 형성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되어진다. 시민단체의 정보생산 및 정보제공활동은 이슈생산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진행되었으며 이러한 활동의 결과 운림온천개발이 가져올 환경파괴문제를 시민들이 인식하게 되었고 운림온천 개발에 대한 반대여론 형성의 촉매제가 되었다. 대안제시자로서 NGO가 제시한 정책대안은 지방정부차원에서 바로 정책에 반영되지는 않았지만 시민단체가 대안제시를 통해 환경문제해결에 진지하게 참여함으로서 환경문제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가능하게 하였고 이것은 시민들의 환경의식 제고와 시민단체의 신뢰성 제고에 기여하였다. 이러한 시민단체의 참여와 그 역할은 운림온천개발에 대한 정책의 흐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정책변화의 요인이 ‘정당성(Legitimacy), 실행가능성(Feasibility), 지지(Support)’라고 했을 때 지방정부는 온천개발에 대한 시민단체의 적극적인 반대와 이에 따른 부정적인 시민여론형성을 무시할 수 없었을 것이다. 무등산에 대한 시민의식 설문조사 결과를 비롯하여 시민여론의 잣대가 될 수 있는 언론보도의 빈도와 내용, 다른 단체와의 연대정도 등을 종합해 볼 때 시민단체의 무등산 운림온천 개발저지활동은 효과적으로 진행되었다고 볼 수 있다. 운림온천개발 저지운동사례에서 NGO의 정책참여는 정책의제화 단계에서부터 참여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가능하다면 정책의제형성단계에서부터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NGO의 정책참여방식에 있어 집회, 캠페인, 서명운동, 성명서 발표 등 비제도적 참여에서 점차 간담회, 공청회, 위원회 참가 등 제도적 참여가 늘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비제도적 참여도 병행되지만 과거에 비해 비제도적 참여보다는 제도적 참여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모습이 두드러진 것이다. 이것은 정책과정에서의 NGO 지위와 역할에 대한 변화로 NGO가 외부자 집단(outsider group)에서 점차 문턱집단(thresholder group)으로 지위와 활동영역이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NGO의 역할제고 방안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민운동에 대한 시민들의 지지를 확보해야한다. 둘째, NGO의 전문성과 역량강화가 필요하다. 셋째, 네트워크의 활성화로 연대성과 협력을 강화하여야 한다. 넷째, NGO 내부의 민주적 의사결정과 인적 자원관리 강화방안이 마련되어야한다. 다섯째, NGO의 독립성·투명성·책무성을 강화하여야 한다. 여섯째, 정부와의 관계에 있어 비판과 협력의 조화가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역할제고 방안을 통해 환경NGO는 NGO에게 제기되고 있는 새로운 과제와 도전들을 능동적으로 헤쳐나갈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articipation and role of NGOs in Gwangju Mudeungsan(Mt. Mudeung), and to search for ways of extending NGO's role in making environmental policy process in the future. In order to pursue the purpose, this study divides the whole process of 'protesting against Unrim spa development', which is the most current representative issue regarding ‘Mudeungsan environmental policy' case, into 3 periods and examines the NGOs' participation and its role through content analysis of document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s. The research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 policy is composed of three separate but related streams, i.e. problem streams, political streams, and policy stream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conflict aroused from Mudeungsan Unrim spa development' is mainly came from the inability to reach the mutual understanding and consensus of opinions among local residence on value which lies in Mudeungsan. In short, it is a debate between conservation values and development values. Especially, without any engagements or participations of local citizen in making policy process of spa development which would cause severe damage to the Mudeungsan the symbol of Gwangju, it was plain to see that it would have resulted in serious conflict thereafter. Besides, the conflict has been intensified by the fact that the policy decision that was made in development paradigm period is still regulating and controlling policy direction of environment paradigm period. In the process of protesting movement against Unrim spa development, NGOs, a visual participant, played a critical role as an issue generator, information provider, monitor, alternatives provider to solve the problem. The role as an issue generator is to bring out the environmental destruction problem that citizens had not yet been recognized in issue to stimulate citizens' attention and basically to have influence upon policy making process. Information producing and providing activities of NGO has implemented with close relations with issue producing. As a result of these activities, citizens started to recognize the consequences that Unrim spa development will bring later on and became a catalyst to formation of anti-development opinion. Although the proposed alternative policy from NGO did not take effect in the policy at local governmental level, it surely enabled us to approach environmental problems from different angles through cordial participating in problem solving and suggesting alternatives, and greatly contributed to heightening citizens' environmental awareness and NGO's credibility as well. These NGO's participations and roles had big impact on the policy stream. Supposed the factors of policy changes are 'legitimacy, feasibility, and support', NGO's enthusiastic opposition and derived negative opinion formation from the public on spa development might be hard to be ignored. Considering the survey conducted on citizen consciousness, frequency of public releases and contents, and correlation with other organizations, protesting movement against Unrim spa development has implemented efficiently. In addition, it is obvious that NGO's participation is more efficient if it is made at the policy issuing phase, and if possible, from the phase of making the policy agenda. In the methods of NGOs' policy making participation, it has gradually shifted from informal meetings, campaigns, signing movements, and presenting announcements that are non-systematic participations into social gatherings, public hearings, and committee meetings, etc, which are systematic participations. Compared with practices in past, this trend of systematic participations to solve problems has been on rise lately though it sometimes combines with non-systematic participations. As we may see this is a change in NGOs' status and role from outsider group to thresholder group and its activity domain is changing respectively. Through this study, the plans of heightening the NGOs' role can be pointed out as followings; First, NGOs should strengthen their independence,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Second, NGOs should prepare for democratic opinion-making process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program inside. Third, NGOs need to secure the support of citizens. For this purpose, we can consider the intensifying communication with citizens and the usage of the internet. Fourth, NGOs need to raise the competency of social evolution through the strengthening capability and specialty. Fifth, NGOs should build up the solidarity and cooperation through the utilization of network. Sixth, it would be advisable to harmonize criticism and cooperation in relation with the Government. Environmental NGOs will be able to actively overcome new tasks and challenges through these heightening role plans.

      • 한국의 정치민주화 과정에서의 시민사회단체의 역할 : 참여연대 및 총선연대의 활동을 중심으로

        소피아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4350

        What is labeled "the third wave" of global democratization has been characterizing the last few decades. Considering these democratic transitions in numerous parts of the world, many political scientists analyzed the role of the civil society. According to many of them the growth of civil society in Asia has played a critical role in the democratic transi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impact of civil society groups in democratic transition and consolidation in Korea. Democratic transition in Korea was set in motion in 1987 with the June 29 Declaration, therefore the periods concerned in this research are the governments of Roh Tae Woo(1988-1993), Kim Young Sam(1993-1997) and Kim Dae Jung(1998-2003). The trends which have been characterizing Korean democratization and the rise and the development of civil society organizations in this period are reviewed. Then, the study focused on two of the most prominent groups in Korea, namely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established in year 1994 and "Civil Action for the 2000 General Election", launched by 412 Korean civil movement organizations in year 2000. Specifically, the research examined the changes of the anticorruption law made due to the campaigns organized by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Another case is the movement for opening of the expediency fund in Seoul to the public, launched by the same civic group. Next, the research focused on the Blacklisting Campaign against corrupt politicians in year 2000. The result of this campaign is that 68.6% of the blacklisted candidates were defeated in the election. Therefore, this campaign is being regarded as an exemplary movement for political reform in Korea. In summary, examining closely the cases, mentioned above, the research proves the role of civil society groups in promoting democracy in Korea. However the stage of consolidating democracy requires development of a democratic political culture among others. Thus, civil society must engage, affect, monitor, check and control the state by promoting new policy prescriptions. Here is the future challenge to the Korean civil society groups and Korean democracy.

      • 사회복지정책의 결정과정에 대한 연구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제정과정을 중심으로

        남준우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34319

        이 논문은 사회복지정책의 결정과정을 연구하기 위하여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제정과정을 사례로 삼아 정책결정과정의 특성과 법 제정과정에서 참여자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제2장에서는 사례연구에서 분석도구로 사용할 수 있는 정책결정과정에 관한 이론을 살펴보고, 그 중에서 Anderson의 정책결정단계이론과 Cobb의 외부주도형 모형 이론, 그리고 Jones의 사회집단별 정책형성이론과 Cobb & Elder의 과정별 정책형성이론을 사용하여 연구의 분석 틀을 구성하였다. 제3장에서는 정책결정과정에 대한 사례로서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제정과정을 대상으로 하여, 정책의제형성과정, 정책대안수립과정, 정책채택과정으로 나누고 각 과정별 진행내용과 특징, 그리고 참여자로서 시민사회단체, 정당, 대통령, 행정부의 역할을 알아보았으며 특히 외부주도형 모형이론과 어떻게 일치하는지를 분석해보았다. 제4장은 본 연구의 결론으로서 국민기초생할보장법의 제정과정을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먼저, 시민사회단체가 입법의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시민사회단체의 줄기찬 사회운동이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제정을 이끌어낸 가장 큰 동인이 되었다. 사회운동은 대중이 정치과정에 있어서 차지하는 비중이 뚜렷하게 증대된 시기에 나타나는 특수한 형태의 정치운동이라고 볼 수 있는데, 시민사회단체가 법 제정과정에서 영향력을 행사한 방법은 첫째, 지적인 것으로서 국회의원이나 고위정책결정자들에게 문제해결에 필요한 전문지식, 문제에 대한 각종 정보와 자료를 수집·제공하였고, 기자회견 등 여론조성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정책결정과정에 관여하였으며, 둘째, 정치적 방법으로서 여론을 등에 업은 정치적인 영향력을 이용하여 정책결정자가 자신들이 원하는 정책을 조속히 결정하도록 정치적 압력을 가하였다. 둘째, 사회복지정책에 있어서 정치적 요인이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작용하며 정치체계의 하위체계인 입법체계는 특히 정치적 상황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경우도 법 제정의 고비마다 정책결정자들이 처한 정치적 상황에 의해 입법과정이 영향을 받았다. '복지병'과 소요재정의 과다를 이유로 정부가 반대하는 입법을 야당이 아닌 여당이 먼저 발의한 것은 과거 정책적 우호관계에 있던 시민사회단체와의 관계를 의식한 정치적 배려이며, 야당이 뒤늦게 자체법안을 제출한 것도 여당측에서 이탈하는 저소득층을 지지기반으로 흡수하기 위한 정치적 계산이 있었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그러나 법의 내용에 있어서는 특별한 정치적 쟁점이 존재하지 않아 여야 지도부에서 입법방침이 결정된 후에는 입법과정에서 별다른 어려움을 겪지 않았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은 시민사회단체가 법 제정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외부주도형 모형으로서 정부의 우월적 지위, 정책결정과정의 비민주성을 특징으로 하는 우리나라 정책결정과정에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법의 내용도 생존에 관해 무한개인주의가 팽배해 있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기초생활에 대한 보장을 시민의 권리로 명시하였다는 점에서 획기적이라고 할 수 있다. To study the decision process of the social welfare policy, this thesis analyzes the role of participants in the course of law making and characteristics of policy decision process, taking the enacting process of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Law. For this purpose, in the second chapter, some theories of policy decision process, which are able to be used as analysis tools for researching examples, have been studied, and among the theories, Andersons theory on policy decision step, Cobbs External Leading Model theory, Jones policy formation theory by social group, and Cobb & Elders policy formation theory by process have been used for forming the analyzing frame for the research. In the third chapter, as an example of policy decision process, the enacting process of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Law has been divided into three parts: policy agenda formation process, alternative policy formulation process, and policy adoption process. Each part has been analyzed in progressing process, characteristic, and the role of citizen & social organizations, political parties, President, and government. Especially, in this chapter, External Leading Model theory has been applied to the enacting process of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Law. The fourth chapter is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The outcome of researching the enacting process of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Law is as follows: First, citizen & social organizations have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enacting process of the law and vigorous social activities of the organizations are the most significant motive in the enactment of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Law. Social activity is a kind of the particular form of political activity. The methods of exercising the organizations influence over the enacting process are, firstly, intellectual things; collecting and providing the specialized knowledge, all sorts of information and material which are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s, to th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directly and indirectly, engaging in the process of policy decision through producing public opinion, like holding press conference. And the other method is political; pressing the policy decision maker for early deciding the policy by using political influence backed up by public opinion. Second, political cause acts as an important decisive factor in the social welfare policy, and particularly, it has been revealed that low systems of the political organizations are greatly influenced by the political condition. Also, in the critical moment of the enacting process,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Law case has been affected by political condition with which policy decision makers are faced. In fact, the law has been objected by the government because of welfare dieses and excess of financial expense. However, the reason of the ruling partys proposal, not opposition partys, is that political consideration in the light of the relations with citizen and social organization which has friendly relations in the political matter in the past, and the opposition party cannot deny that the reason of the opposition partys late introducing their own bill is their political calculation which they want to absorb the low-income brackets, seceded from the ruling party side, as a supporting footing. On the contrary to the reality, there are no typical problems in the enacting process of the law, for the content of the law contains no special political issue after both party leaders decision of the line in the enacting the law. As reviewed abov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Law shows the external leading model in which citizen and social organization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enacting process of the law, and it suggests new model in our countrys policy decision process which has characteristic of surpassing position of government and undemocratic way in policy decision process. Furthermore, the content of the law is epochal for it states plainly the guarantee of basic living as the right of citizen for the first time in our country in which unlimited individualism has been prevalent.

      • Making Open Data Work for You: A Participatory Governance Perspective in Bicol Region, Philippines

        Allen Roy Olea Prila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4264

        Looking at the perspective of a developing country such as the Philippin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ynamics of open government data within the local government context particularly on the Civil Society Organizations' role in participatory governance. Analyzing and evaluating selected cities—Naga City (53.75/100), Iriga City (37.5/100), and Legazpi City (26.88/100)—showed varied degree of openness scores. Although Local Government Units (LGUs) excel in data availability and timeliness, usability and machine readability remain lacking. LGU online platforms are limited to only serving as an information dissemination medium, however, require innovation along data and information sharing, and knowledge generation. Statistical analysis supported the hypotheses of this paper, affirming that higher data openness correlates significantly with increased Civil Society Organization (CSO) participation and the reinforcement of the perception of public trust (p-values ≤ 0.002). The result inferred that higher openness strongly influences and directs the increase in participation and the improvement of perceived trust. The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open data in reinforcing democratic values and highlights the need for improved mechanisms such as policies, infrastructures, and capacity building for effective public engagement in local governance. Further, this study advocates and supplements the continuous longitudinal research to establish the enduring relationship between trust, participation, and open data, and addressing knowledge gaps. Also, emphasizing on the dynamics of local governments—an area often overlooked in prior studies, this paper provides innovative ideas for replication and highlight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local governance influenced by local actors personified through the CSOs. Lastly, shedding light on the underexplored role of CSOs as partners in local governance, the findings in this paper reveal how their engagement with open data reinforces their capacity for involvement. Finally, this paper highlighted the need for updated national strategies and policie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infrastructure in successful open data initiatives. Recommendations include updating of national strategic plans, passing the Freedom of Information Bill, and enhanc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nfrastructures. At the local level, suggestions involve the adoption of a context-based open government data strategic plan, expanding the utility of LGU websites as open data medium, and capacity development for CSOs. The Department of the Interior and Local Government (DILG) with its role in empowering CSOs and promoting transparent governance, requires interventions such as open data integration, local performance assessment enhancement, and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Governance Research Center (LGRC) to facilitate collaboration and knowledge exchange.

      • 地方自治團體 市民參與制度의 效果性에 關한 經驗的 硏究

        박재홍 國民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박사

        RANK : 185199

        20세기 말에 시작된 세계화, 정보화는 기존의 국가실패나 시장실패를 새로운 인식과 차원에서 해결할 수 있는 틀을 요구하게 되었다. 우리정부 역시 이러한 변화 속에서 시민참여와 분권을 통해 공공부문의 능률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하고 있고, 지방자치단체는 시민의 다양한 욕구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응하면서 질 좋은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오늘날 행정개혁 또는 정부혁신(government innovation)이라는 이름으로 진행되고 있는 변화는 경직된 전통적 관료제에서 탈피하여 보다 혁신적으로 정부를 운영해 보자는 것으로 지방자치단체에 있어서는 보다 탄력적이고 유연한 관리 운영방식을 도입하여 고객 지향적이며 동시에 성과지향적인 행정을 실현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지방정부가 공공서비스의 능률성과 효과성을 높이면서 시민참여를 통한 행정서비스의 만족도를 증대시켜야 하는 것은 직관적 명제다. 그러나 이의 실현이 지방을 둘러싼 법적, 제도적 환경의 불완전성과 낮은 시민의식, 변화에 소극적인 공직행태 등으로 지방자치단체의 고객지향성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고 있는 것 또한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참여 지향적 행정체제는 정부실패와 시장실패에 대한 절충으로써 중·하위직 공무원들의 개혁적 참여와 시민사회의 조직적인 정책 참여를 활성화함으로써 행정의 능률성과 민주화에 기여할 수 있는 제도로 인정되고 있으며 참여정부의 주요 행정개혁 목표가 되고 있다. 본 연구가 밝히려는 핵심적 과제는 고객만족의 주체인 시민이 참여제도를 어느 정도 이해하고 만족하는지에 대한 규명과 품질구성 요인으로써 시민과 공직자, 자치단체장 중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어떤 것인지를 밝히는데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섯 가지 시민참여제도를 중심으로 이론적 고찰과 방법론을 사용 하였다. 본 연구가 의도한 바는 제도적 관점과 품질 관리적 관점을 시민만족도와 연계해서 제도적 측면의 바람직한 대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실증적 연구에 의하면 공무원이 시민보다 참여제도에 대한 인지도가 높지만 필요성이나 만족정도에 있어서는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공무원들이 그들 스스로가 입안하고 시행하고 있는 참여제도에 대해 이해도가 떨어질 뿐 아니라 제도 운영에 있어서 효과적이지 못함을 나타내는 결과다. 시민참여제도 및 행정서비스 품질구성 요인이 행정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정서비스 헌장제도에 대한 인지도가 높을수록 행정서비스 만족도가 높았다. 따라서 행정서비스 헌장의 지표를 설정하는 사전단계에서부터 사후 평가단계까지 시민 참여를 제도화함으로써 시민들의 인지도와 관심을 높여 나가야 한다는 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시민평가제도에 대한 인지도가 높을수록 행정서비스 만족도도 높았다. 이로써 향후 시민평가는 행정서비스의 품질을 시민들이 직접 평가할 수 있도록 제도화함으로써 참여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는 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인터넷 민원서비스제도에 대한 인지도 역시 만족도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로 행정정보화와 지역정보화를 통해 시민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하고 확장적인 시민참여를 촉진시켜 나가야 함을 확인하였다. 넷째, 국민고충처리 위원회제도에 대해 이용한 경험이 있거나 이 제도를 알고 있는 주민은 이미 행정서비스의 불만을 경험한 것을 의미함으로 만족도에 (-)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제도가 거주지역에 마땅한 고충처리제도가 없는 현실에서 하나의 대안이 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다섯째, 시민제안제도에 대한 인지도는 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시민들의 자유로운 제안을 통해 서비스의 질을 크게 높이고 있는 선진국의 예를 볼 때 의외의 결과로써, 시민들이 적극제안에 참여할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하고 의견 수렴 통로를 다양하게 만들어 나가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섯째, 공직자에 대한 신뢰는 행정서비스 만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공직자의 친절성과 신속성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접점에 위치한 공직자들의 창의적 노력과 적극적인 업무처리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는 결과이다. 일곱째, 공직자에 대한 직ㆍ간접적인 금품 요구 여부를 물은데 대하여 92.2%의 시민들이 "그렇지 않다"고 답변함으로써 고양, 파주 두 지역 공직자들이 비교적 청렴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는데, 이는 청렴성이 행정서비스 만족도의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여덟째, 시장에 대한 지지도가 높을수록 행정서비스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장의 지지이유에 대하여 파주시민들은 체계적인 지역개발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들고 있으며 고양시민들은 문화예술 진흥과 자연친화적 환경조성을 들고 있어 자치단체장이 정책 미션을 어디에 두는가에 따라 행정서비스만족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아홉째, 시민의 행정서비스에 대한 기대심리가 행정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준다는 것은 어렵지 않게 유추해 볼 수 있으나 이러한 결과를 재확인해 보고자 한 것은 행정서비스에 대한 시민의 기대심리와 공직자 개개인의 서비스 노력 중 어느 것이 시민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하는 의도였다. 회귀분석결과 공직자의 신뢰> 시장에 대한 지지도> 기대심리 순으로 확인되었다. 열째, 행정서비스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종합적으로 행정서비스헌장제, 국민고충처리제, 인터넷 민원서비스제, 기대심리, 공직자의 신뢰, 청렴성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들은 행정서비스의 품질관리차원에서 지속적으로 고려되고 선행되어야 할 요인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의 실증적 연구결과로 보아 지방정부의 참여 지향적 행정체제 구축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으로써 지방자치단체가 지향해 나가야할 방향이라고 판단된다. 이에 따라 검토된 대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금의 공급자 중심조직을 시민의 기대와 욕구를 반영하는 참여중심조직으로 전환하여야 한다. 참여중심 조직은 고객의 요구와 수요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Adhocracy' 조직과 'Team제'를 통해 유연성(柔軟性)을 확보하여야 한다. 둘째, 기존의 민원실 개념을 보강하여 불만민원의 공정한 해결과 시민생활불편의 신속한 처리, 풍부한 시정정보제공, 시민평가 등의 기능을 갖는 시민만족센터의 설치를 제안한다. 셋째, 시민의 불만욕구에 대한 적절하고도 공정한 대처야 말로 참여 지향적 행정의 우선과제라고 할 수 있다. 행정서비스에 대하여 불만족을 경험한 시민은 새로운 불만 시민을 만들게 된다는 TARP 조사 결과에서 보듯이 시민불만을 전담 처리하는 시민 불만 조사관제의 도입을 제안한다. 넷째, 시민의 행정서비스 참여와 만족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제도의 하나로써 행정서비스헌장제도를 확대, 보완해야 한다. 우선 현재 훈령으로 운영하고 있는 행정서비스헌장을 조례로 제정하여 시민의 권리와 의무를 명확히 규정하고 헌장 전담조직을 통해 행정서비스의 질을 지속적으로 관리해 나가야 한다. 다섯째, 행정서비스헌장이 규정한 행정서비스 기준의 이행여부를 측정, 평가하여 행정의 책임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로써 시민평가제의 확대를 제안한다. 시민평가는 종래의 민원인 설문조사와는 구별되는 것으로 행정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정하여 그 이행을 시민에게 약속하고 정기적인 평가를 받는다는 점에서 시민의 참여 욕구와 공직자의 고객 지향성을 확보하는 필수 장치로 정착시켜 나가야 한다. 여섯째, 지역사회 공동체를 완성하고 행정의 외부통제 수단으로 책임성을 확보한다는 측면에서 시민의 시정참여 활동을 적극 권장하여야 한다. 시민참여는 제도에 대한 확실한 인식을 통해 촉진되는 만큼 제도의 내용과 절차를 보다 많은 시민들이 알 수 있도록 관심을 유도하여야 한다. 앞으로 시민참여는 공공시설을 가꾸거나 어려운 이웃을 돌보는 소극적 참여에서 한 걸음 나아가 지역 내의 정책적 이슈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시정과 개선을 촉구할 수 있는 시민역량을 키워나가야 한다. 참여지향적인 행정 개혁은 시대적인 흐름이다. 그러나 백가쟁명(百家爭嗚)식의 일방적인 참여는 지방행정에 과도한 부담과 불신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외국 선진도시의 사례들이 보여주는 것처럼 참여 지향적인 행정은 전략적이고 분석적으로 접근하여야 하고 지역 구성원들의 참여와 공감대를 갖고 추진되었을 때 성공을 거둘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rapid globalization that has begun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this information society was in need of true solutions for the existent government or market failure. Our government is drudging effort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office through citizen participation and decentralization of power. More over, the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s are trying to provide the citizens with quality administrative services by corresponding rapidly towards their numerous requests. Today, one may call this administrative reformation "government innovation". Many people are trying to escape from the traditional bureaucracy and operate the government in more progressive manner. This "government innovation", especially, introduces more flexible management program to the local governments so that they will be able to provide the customers with better service. As the local governments are trying to improve their effectiveness of the public service, most agree that they must increase the quality of administration service through citizen participation. However, one needs to realize that the incompleteness of legal and management system, low citizenship level and the passiveness of the public officers themselves hinder the effectiveness of the new reform movement.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administration system that encourages more participation is recommended. This is recognized as a system that stimulates participation of all government employees as well as the citizens and it became a governmental administration's main reform goal. This study explores the topic of how much the citizens, understand the participation system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citizens. Therefore, this study used to five theoretical investigation and methodology laying stress on citizen participation systems. The intension of this research is to find a system that is desirable to both aspect of system, which is quality management and citizen satisfaction. According to a current study, a public official has a higher level of understanding about the participation system; however, both public official and an ordinary citizen show the same level of satisfaction about the system. This is a result of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e participation system of the public officials as well as the inefficiency of the system's operation. Following shows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participation system and the administration service on the satisfaction level. as the comprehension level of the system increased, the satisfaction level increased. Therefore, one could confirm that the institution of citizen participation system will increase the understanding as well as the interest of the citizens. First, as the comprehension level of the system increased, the satisfaction level increased. Therefore, one could confirm that the institution of citizen participation system will increase the understanding as well as the interest of the citizens. Second, as the comprehension level about citizen evaluation system was high, higher the administration service satisfaction was. Therefore, one could confirm that institutionalizing a system where the citizens may actively participate in evaluating the quality of the administration services is necessary Third, the internet customer service system also showed big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citizens. therefore, one could confirm that promo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availability of variety of different information to the citizens i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the citizen participation system. Fourth, the inhabitants who is used to experiencing the difficulty processing committee or knows this system already go through dissatisfaction of administration service, so it made sure that was given bad influence in satisfaction meaning. Therefore, this system can be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the customer service system Fifth, it is noticed that citizen suggestion system does not influence the satisfaction level. This is an unexpected result since one could find examples of other nations, which use this system to improve quality of service. Therefore, one could confirm that advertising the absolute need of citizen participation, so that they can actively give their part in the government. Sixth, trust in public officials showed great influence on the administration service satisfaction level. Especially, kindness and the swiftness of the officials showed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level. This shows the importance of the public officials' effort and the ability to carry out their job completely and effectively. Seventh, when asked about the public official's direct or indirect money and goods request, 92.2% of the citizens who were asked said "they were not asked to give money or goods". This showed that Go-yang and Paju public officials keep relative integrity. Therefore one could confirm that the integrity of the public officials play a big role in the government's administrative service satisfaction level. Eighth, it was proven that as the citizens support for the mayor increased, their satisfaction level increased as well. In discussing their support for the mayor, citizens of Paju explained that mayor is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the development of the city and the activity of the economy of the city. On the other hand, the citizens of Go-yang explained that the mayor stimulates the development of art and culture and environment friendly city expansion. This confirms that the focus of the government plays a big role i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administrative service. Ninth, one can guess that citizen's expectation about the government affects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administration service. The result of the actual research was the following: the trust in the public officials> approval level of the mayor> expectation of the citizens. Tenth, the variables that exert impact on the administration service satisfaction level were following: administration service for the written constitution, ancestor memorial service, customer service system, Internet customer service system, expectation mind, trust in the public officials, integrity of the officials. These variables are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as the efforts to improve the administrative services continues With the results discussed above, one can concluded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participation oriented administration system is necessary for the future improvement of the government. Following are the suggestions that should be considered First, now suppliers' organization should convert to participation organization system that reflects citizen's expectation and desire. Participation organization system must have 'Adhocracy' organization and 'Team system', which can win the flexibility. Second, to strengthen the former Public Service Center and to provide fair solution, to handle problems effectively, and to provide the citizens with abundant market information, a center for customer satisfaction should be built. Third, suitable and fair disposal toward citizens'complaint is the most important assignment of participation oriented administration system. As seen in the TARP report, citizens who experience dissatisfying administration service become increasingly frustra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organization that only deals with discontent citizens. Fourth, written constitution service should be expanded since it is the system that can allow the citizen's participation while satisfying their needs. Initially, one must define the citizens'right and their duty and through discussion and organized management then, quality of the administrative service should be administered continuously. Fifth, the expansion of the citizens' evaluation system is necessary to measure the availability of the written constitution and to secure the liability of the administration. Citizens'evaluation system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citizen questionnaire in that it truly evaluates the quality of the administrative services and promises better service quality. In addition, since this system allows the evaluation to directly come from the citizens it really allows them to show their desire to participate in the government. Sixth,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encourage the citizens to participate in the government in order to strengthen the local community and allow citizens to feel more responsible about many of the current issues. Other then focusing in formality of the participation system, it is more important to advertise the system so that more people are aware and interested in it. In the future the participation system will be the deriving force in finding solution to all the problems in the local society. It is eminent that participation administrative reform is necessary to cope with arising problems of the modern democratic society. But, unilateral participation that causes to only insist upon their opinion can cause excessive burden and disbelief in local administra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alize that the success in pursuing this system can only be achieved when this participation oriented administration approaches problems strategically and propel with sympathy as seen in the examples of other nations.

      • 사회참여적 복음주의 운동이 한국 시민운동의 형성에 끼친 영향 : 1987년 민주화 전후시기를 중심으로

        김민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52431

        본 논문은 1987년 민주화 운동 시기에 전개된 사회참여적 복음주의 운동의 배경을 밝히고 이 운동이 한국 시민운동의 형성에 끼친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80년대 중반은 ‘반정부 운동’을 통한 민주화의 열기가 무르익는 시기임과 동시에 민주화 이후 본격적으로 맞게 되는 시민운동의 시대를 준비하는 시기이기도 했다. 본 논문은 이 시기에 개신교 내의 한 분파인 복음주의 운동이 활발한 사회참여를 시작하게 된 배경과 그 전개 양상을 살펴보고, 한국 시민운동의 형성에 끼친 영향을 보여준다. 이는 민주화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던 소위 ‘민중운동 지향의 기독교 분파’ 외에 시민운동의 단초를 품고 새로운 사회운동을 준비했던 개신교 복음주의 분파의 역사와 의미를 되살려내는 작업이 될 것이다. 1980년대 한국에서 등장한 사회참여적 복음주의 운동은 1940년대 미국에서 대두한 신복음주의 운동의 영향으로 시작되었다. 미국 신복음주의 운동의 성과물인 ‘하나님 나라’에 대한 새로운 해석, ‘로잔언약’ 그리고 ‘기독교세계관운동’은 한국 개신교인들의 사회참여를 신학적 · 철학적으로 정당화해주는 토대를 제공했다. 그러나 1980년대 한국의 개신교인들에게 사회참여의 책임을 자극한 것은 당시 활발하게 전개되었던 민주화운동이었다. 미국의 신복음주의 운동은 근본주의 세력과의 갈등과 분리를 통해 사회참여적 성격을 획득하였지만, 한국의 사회참여적 복음주의 운동은 80년대 민중운동 혹은 개신교의 에큐메니컬 운동 진영의 활발한 민주화 운동으로 인한 자극으로부터 종교의 사회책임을 인식하게 되었다. 사회참여를 둘러싼 논쟁의 대상이 미국 복음주의자들에게는 근본주의자들이었지만 한국의 복음주의자들에게는 민중운동 진영이었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한국의 복음주의자들은 사회에 대한 관심은 민중운동 진영과 공유하면서도 유물론이라는 사상과 폭력혁명이라는 방법론에는 거리를 두었다. 한국의 사회참여적 복음주의 운동은 민주화 운동의 적극적 주체였던 노동자 · 농민 등의 민중운동, 민중운동을 이론적으로 뒷받침하는 마르크스주의, 민중운동과 마르크스주의의 신학적 수용의 결과인 민중신학, 민중신학을 기반으로 사회운동을 벌였던 에큐메니컬 진영 모두와 구별되는 운동으로서 스스로의 정체성을 규정하였던 것이다. 80년대와 90년대에 한국 사회참여적 복음주의 운동은 ‘온건한 사회참여적 복음주의 운동’과 ‘급진적인 사회참여적 복음주의 운동’으로 분화되어 각자의 입장을 강조하는 논쟁을 벌이면서도 공존하는 모습을 보였다. 급진적인 분파는 당시 민중운동의 중요한 이론적 배경이었던 마르크스주의와 민중신학, 그리고 폭력혁명이라는 운동전략을 일정 부분 수용하였고, 온건한 분파는 이를 비판하며 복음주의 신앙의 틀 안에서의 사회참여 운동을 지향하였다. 이 공존의 시기는 짧게 끝난다. 급진적인 사회참여적 복음주의 분파가 복음주의 신앙을 유지하면서도 마르크스주의와 민중신학을 수용하는 신학적 · 실천적 토대를 탄생시키지 못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그들 중 일부는 신앙을 버리고 소위 ‘운동권’으로 수렴되거나 민중운동 내 에큐메니컬 진영으로 이전하지만, 대부분의 급진적인 사회참여적 복음주의자들은 온건한 사회참여적 복음주의자들과 함께 시민운동단체를 결성하거나 복음주의 목회자의 길을 선택하였다. 온건한 사회참여적 복음주의자들은 민주화 이후 형성된 시민사회의 기회영역을 잡아 기윤실이나 경실련 등의 새로운 시민운동단체를 형성한다. 따라서 민주화 이후 한국의 시민운동 형성에 영향을 준 복음주의 분파는 바로 이 온건한 사회참여적 복음주의자들이라고 할 수 있다. 온건한 사회참여적 복음주의 운동이 한국 시민운동의 형성에 끼친 영향은 크게 시민운동단체의 결성과 시민운동의 성격 규정이라는 두 측면을 지적할 수 있다. 1980년대 온건한 사회참여적 복음주의자들은 1987년 기윤실과 1989년 경실련을 설립하는 등 본격적인 시민운동단체를 시작함으로써 한국 시민운동의 형성에 기여했다. 이들의 성공으로 7,80년대 민중운동의 범주에 포함되어 있던 운동단체들이 80년대 말부터 그 성격을 달리하기 시작하여 90년대 초 완전한 시민운동의 성격과 방식을 수용하기에 이른다. 온건한 사회참여적 복음주의 운동이 시민운동의 형성에 끼친 두 번째 영향은 한국 시민운동의 성격을 규정했다는 점이다. 온건한 사회참여적 복음주의 분파는 복음주의 내부에서의 급진적인 사회참여적 복음주의 운동과 복음주의 외부에 있는 민중운동과 마르크스주의, 민중신학, 그리고 에큐메니컬 운동에 반대하는 것으로 스스로의 정체성을 규정한다. 이러한 정체성은 이들이 형성한 한국 시민운동의 초기 성격에도 그대로 이어진다. 온건한 사회참여적 복음주의 분파는 정치적 민주화가 성취된 직후 설립된 기윤실과 경실련을 통해서 한국의 시민운동을 선점(先占)함으로써 ‘민중운동’이 아닌 ‘시민운동’, 마르크스주의가 내세우는 계급 정치에 반대하는 운동으로서의 시민운동의 성격을 규정하게 된다. 시민사회와 시민운동을 둘러싼 이론적 논쟁이 학계와 운동 진영에서 활발해지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에 들어서인데 학자들과 활동가들은 기윤실과 경실련을 한국 시민운동의 전범(典範)으로 삼았다. 본 논문은 그 동안 제대로 포착되지 못한 1987년 민주화 전후 개신교 복음주의 운동과 시민운동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기존의 한국 시민운동 형성을 둘러싼 학계의 담론에서는 복음주의 운동의 역할과 중요성이 간과되었다. 한국의 시민운동을 형성하고 그 성격을 규정했던 사회참여적 복음주의 운동의 역사와 특성을 밝힘으로써 사회 변동에 대한 종교의 독립변수로서의 역할에 주목했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학문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한국의 환경운동과 환경거버넌스 형성에 관한 연구 : 백두대간보호에관한법률의 제정과정을 중심으로

        장윤선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35996

        ''Act on the Protection of the Baekdu Deagan Mountain System'' established in December, 2003 may be important because it encompasses the natural environment preservation policies for the entire Korean peninsula. The topography of the Korean peninsula was reorganized by the Japanese colonists into a mountain system and since then, ''Baekdu Deagan'' had been a symbol of Korea''s national spirit until recently. As the environmental aspects of Baekdu Deagan began to be highlighted by environmental groups in mid-1990''s, our own unique eco-environmental movements started on a full scale.Meanwhile, the environmental pollution could not be spotlighted as a serious social issue due to the ''policy of economic growth first'' under the oppressive military rule, and belatedly in 1980''s, professional environmental movements began to be organized by the leadership of some intellectuals to stage environmental movements primarily against the pollution. When the closed political structure was made open owing to the democratic movement in 1987, the social movements began to change and evolve dramatically. The opened political structure led to formation of a civil society with many new social movements such as environmental, gender and peace movements. By 1990''s, a series of environmental pollutions revealed urged people to be more concerned about our environment, promoting environmental movements more actively. In 1995, Agency of Environment was promoted to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reby, environmental policies began to be designed and implemented on a full scale.''Governance'', a concept of state affairs originated from the West in accordance with democratization and pluralism, has affected our adminstration much. Governance represents a new change of government''s roles, its operation system and solutions of the social problems. Discussions about governance have urged the civil societies to participate in the closed policy formations initiated by the government.Environmental preservation groups not only set environmental issues as policy agendas through social movements but also continue to input their causes into policy formulations. Since environmental policies are regulative by nature, it is important to tune the resistances emerging in their implementations. Because the society may fall into a state of disorder with the social costs increased if a development project should be stopped or invalidated, the best policy would be ''environmental preserv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however, it is required of the concerned parties to participate in the policy formulations for sufficient discussions before reaching a consensus.On the other hand, since the environmental movements alone could not afford to check the development projects damaging the Baekdu Deagan, environmentalists staged a campaign for an act to protect the mountain system and thereby, establish a natural environmental preservation system encompassing the whole national land. Since ''Act on the Protection of the Baekdu Deagan Mountain System'' was born from the environmental movements staged by civil organizations, its legislation may well give us an insight into formation of governance inviting environmental preservation groups to policy-making process.Even if the act has been established, it is deemed necessary to arrange some institutional mechanism whereby concerned parties can be persuaded to reach a consensus to preserve the natural environment. In order to establish an environmental governance as a control mechanism solving the conflicts, it is essential to construct a horizontal network among government, citizens and businesses. To this end, the information about our environment should be open to the public, while participants in governance should be more responsible for public values. And local people should be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policy formulations voluntarily, and local autonomous administrations are obliged to pursue environmental-friendly policies. 2003년 12월에 제정된 ‘백두대간보호에관한법률’은 한반도 전체를 아우르는 자연환경보전정책으로서의 의의를 갖는다. 일제에 의해 한반도의 지형을 산맥체계로 재편한 후 최근까지 ‘백두대간’은 민족정기의 상징적 의미로 여겨져 왔다. 1990년대 중반부터 환경단체에 의해 백두대간의 환경적인 측면이 부각되면서, 한국적인 생태환경운동이 전개되었다.국가의 경제성장제일주의와 군사정권하의 억압적인 정치구조 하에서 환경오염문제는 사회문제화되지 못하다가, 1980년대에 들어와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전문 환경운동 조직이 구성되면서 반공해운동의 차원에서 환경운동을 전개하였다. 1987년의 민주화운동으로 폐쇄적인 정치구조가 개방되면서, 사회운동은 상당한 변화와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정치구조의 개방은 시민사회가 형성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환경·여성·평화운동 등 새로운 사회운동이 나타났다. 1990년대를 전후한 일련의 환경오염사건은 국민들의 환경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켰고 환경운동도 활발히 전개되었다. 1995년 환경처가 환경부로 승격되면서 한국의 환경정책도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한국사회의 민주화, 다원화와 함께 서구사회에서 등장한 거버넌스(Governance)의 국정 개념은 변화된 한국사회의 행정에도 영향을 주었다. 거버넌스는 정부의 역할, 운영체제 그리고 사회문제의 해결방식에 있어서 새로운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다. 거버넌스의 논의는 정책과정에도 영향을 주어 기존의 정부주도의 폐쇄적인 정책형성구조에 시민사회의 참여를 독려하게 되었다. 환경보전단체들은 사회운동을 통해 환경문제를 정책의제화할 뿐만 아니라 정책결정단계에서도 계속적인 투입활동을 하고 있다. 환경정책은 본질적으로 규제정책적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정책의 집행과정에서 나타나는 저항을 조율하는 것이 중요하다. 개발 중인 사업을 중단하게 하거나 개발 결정을 철회하는 것은 사회적 혼란을 야기시키고, 사회적 비용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환경보전’이 최선책이다. 환경보전의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책형성단계에서부터 이해당사자들이 참여하여 충분한 협의를 거쳐 결정되어야 한다. 백두대간의 훼손을 막기 위해 개발 사업을 저지하는 환경운동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전국토를 아우르는 자연환경보전정책을 수립하고자 백두대간보호법의 제정운동이 전개되었다. ‘백두대간보호법’의 제정은 시민단체의 환경운동이 정책으로 수립된 사례로서 환경보전단체가 정책 수립에 참여하는 거버넌스의 형성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법률이 제정되었지만 자연환경을 보전하고자 하는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이해당사자들을 설득하고 협의를 도출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갈등의 해결을 위한 조정기제로서의 환경거버넌스를 구축하기 위해서 정부와 시민, 기업의 수평적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환경관련 정보를 공개해야 하고, 거버넌스 참여자들의 공익적 가치에 대한 책임성을 제고해야 한다. 그리고 해당 지역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독려하고 지방정부 차원에서 친환경적 정책을 지향해야 할 것이다.

      • 시민입법운동과 협치의 정치과정에 대한 연구

        이재경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70495

        시민입법운동은 제도화된 시민운동의 하나로서 사회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한 법률의 변화를 목적으로 하여 정치적 이익을 확보하기 위한 정치과정의 특징을 보인다. 무엇보다 국가-시민단체 간의 법적·제도적 장치를 구축하여 이들 간의 협조 및 타협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협치’를 통해 시민입법운동의 동학을 서명할 수 있다. 시민입법운동은 정치민주화와 그로 인한 시민사회의 성장을 그 등장배경으로 한다. 정치민주화는 법을 통한 지배를 기초로 하여 국가권력의 사회적 통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국민의 참여 및 국가-시민단체간의 협력을 긍정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정치민주화는 1980년대 이후 신자유주의 이념의 확산과 1987년 6월 민주항쟁으로 인하여 공고화되었다. 그 결과 국가영역의 약세와 함께 이를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세력으로서 시민사회 영역의 확장이라는 정치권력의 이동을 가져왔다. 이것은 시민단체의 증가와 함께 다양한 이슈의 형성 및 법률을 활용한 제도적 운동을 통한 일상적 저항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와 같은 시민운동의 일상화로 시민단체는 공식적인 절차를 통한 정책결정에의 참여를 요구하게 되었고, 이것은 시민의 법에 대한 관심과 함께 시민입법운동의 등장을 가져왔다. 시민입법운동이란 법률의 제정·개정·폐지를 목적으로, 기존의 사회운동을 극복하고 개혁을 구체화·제도화하는 역할을 하는 시민운동이다. 그 구조는 크게 행위자와 행위양식으로 구성되며 행위자는 정부, 시민(단체), 그 외 전문가 집단, 언론, 이익단체 등을 들 수 있으며, 행위양식은 입법청원, 공청회, 청문회 등과 같은 제도적 행위양식과 로비활동, 토론회, 기자회견, 시위 및 집회 등 비제도적 행위양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시민입법운동은 ‘정책대안에 관한 논의→여론화 작업→입법청원→로비활동’의 진행과정을 거친다. 이를 통해 시민입법운동은 아래로부터 위로의 의사소통형성방식을 기초로 하여 그 과정이 ‘시민단체⇄국가’의 순환적 구조로 나타난다는 점에서 국가-시민단체간의 비판적 협력을 가능하게 한다. 즉, 시민입법운동은 협치의 정치과정을 전제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정책과정에서의 시민참여에 관한 기존 연구를 보완하여 시민입법운동의 주요 사례-국민기초생활보장법, 부패방지법, 상가임대차보호법-를 대상으로 유형별 분석을 시도하고, 이를 각각 협치의 정치과정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