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의 스포츠 활동 참여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영국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고등학교 학생들의 스포츠활동 참가정도 및 참여종목과 학교생활 만족도와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 목적을 위하여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에 입소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스포츠 활동 참여와 학교생활 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 목적을 기초로 얻어진 가설의 검증 결과에 의하면 청소년의 스포츠활동 참가의 정도와 학교생활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스포츠 참여 특성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참여 종목에서는 단체종목, 대인종목, 개인종목의 순으로 나타났고, 참여 횟 수에서는 주 1-2회, 주 4-5회, 한달 1-2회, 주 3-4회, 주 6회 이상의 순으로 나타났다. 참여 시간으로는 1시간-2시간 미만, 1시간 미만, 30분 미만, 2시간-3시간 미만, 3시간 이상의 순으로 나타났고, 참여 기간에서는 1년 미만, 4년 이상, 3년-4년 미만, 2년-3년 미만, 1년-2년 미만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 하위요인별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학교전반, 수업 시간, 선생님, 친구, 행사 및 특별활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 상태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 하위요인별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학교전반, 수업 시간, 선생님, 친구, 시설, 행사 및 특별활동 등 모든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참여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다. 스포츠 참여 유무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학교전반, 수업 시간, 선생님, 친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포츠 참여 종목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학교전반, 수업 시간, 선생님, 시설, 행사 및 특별활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스포츠 참여 시간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학교전반, 수업 시간, 선생님, 친구, 행사 및 특별활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참여 시간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학교전반, 수업 시간, 선생님, 친구, 시설, 행사 및 특별활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스포츠 참여 기간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학교전반, 수업 시간, 선생님, 친구, 시설, 행사 및 특별활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초등학교 학생들의 스포츠활동 참여형태에 따른 장애 요인 분석

        이진영 청주교육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고도화된 산업사회의 물질문명의 발달로 인간의 삶이 풍요로워지고 생활이 편리해진 반면에 신체활동의 감소와 스트레스를 가져왔고, 다원화와 분업화, 전문화된 생활패턴은 생활의 질적 향상과 더불어 스포츠활동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이에 현대인들은 스포츠활동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특히 초등학교 고학년은 신체적으로 협응력과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이 성인에 가까워지고 급격한 신체의 성장과 여러 가지 자세에 대한 습관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로 스포츠활동을 통하여 심신의 조화된 개인적, 사회적 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시기부터 스포츠를 접하면서 건강하고 즐겁게 살도록 하며, 그 속에서 각자의 보람과 소질을 잘 길러 낼 수 있도록 스포츠 참여지도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스포츠활동 참여 형태에 따른 장애 요인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배경 변인에 따른 초등학교 학생들의 스포츠활동 참여 형태 둘째, 배경 변인에 따른 초등학교 학생들의 스포츠활동 참여 장애 요인 셋째, 초등학교 학생들의 스포츠활동 참여 형태에 따른 장애 요인을 분석하였다. 표본의 추출 절차는 2002년도 현재 충청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중 2개시, 1개군의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체계적 단순 무선 표집법(systematic simple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440명을 표집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도구는 초등학교 아동이 스포츠활동 참여 형태와 장애 요인의 관계에 관한 설문지로서 선행연구를 기초로 연구자가 작성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교차분석(x²), 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절차와 자료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 변인에 따른 초등학교 학생들의 스포츠활동 모두 비 참여 비율이 높았고, 참여 유형은 방과후 체육활동, 스포츠클럽, 운동선수 순으로, 참여 종목은 단체스포츠, 대인스포츠, 개인스포츠 순으로 나타났단. 성별에 따른 참여 정도는 남자가 여자보다, 5학년이 6학년보다, 1시간 이내와 1∼2시간 사이 아동이, 부모직업이 맞벌이와 편부인 아동이, 아파트 단지와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아동이 스포츠활동 참여 비율이 높았다. 배경 변인과 스포츠활동 참여 형태 중 성별에서 참여 유형, 종목, 빈도, 기간, 강도, 학년에서 참여 빈도, 기간, 학원수강시간에서 참여 유형, 강도에서 유의한 차가 있었다. 둘째, 배경 변인에 따른 초등학교 학생들의 스포츠활동 참여 장애 요인은 성별에서 개인적 장애, 시간적 장애, 학원수강시간에서 시간적 장애와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성별에서 남자보다 여자가, 5학년보다는 6학년이, 1∼2시간 학원수강을 한 아동들이 높은 장애를 보이고 있었고, 부모직업이 고아인 아동이,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아동이 높은 장애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 변인과 참여 장애 요인 중 성별과 시간적 장애, 성별과 개인적 장애, 학원수강시간과 시간적 장애만 집단간에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아동의 스포츠활동 참여 형태에 따른 장애 요인은 참여 유형에서는 방과후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아동이 시간적 장애, 개인적 장애, 사회적 장애를, 운동선수를 하는 아동이 경제적 장애를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 종목에서는 개인스포츠에 참여하는 아동이 사회적 장애, 대인스포츠에 참여하는 아동이 시간적 장애, 경제적 장애, 개인적 장애를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 빈도에서는 매일 참가하는 아동이 시간적 장애, 일주일에 2∼3회 참여하는 아동이 가족적 장애, 일주일에 1회 참여하는 아동이 사회적 장애, 한 달에 2∼3회 참여하는 아동이 경제적 장애, 개인적 장애를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 기간에서는 1∼3개월 참여한 아동이 모든 장애 요인을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 강도에서는 10분 이내 참여하는 아동이 시간적 장애, 경제적 장애, 가족적 장애, 10∼30분 참여하는 아동이 개인적 장애, 사회적 장애를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2시간 이상 참여하는 아동이 모든 장애 요인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활동 참여 형태와 장애 요인 중 참여 종목과 사회적 장애, 참여 기간과 경제적 장애간에만 집단간에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Lies in analyzing the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fficulties in participating in the sports activity. Three subjects were set up to develop this research. First,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ports participation type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Secondly, the factors of difficul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ports participation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Thirdly, the analysis of difficulty factors according to the typ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ports participation. 440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 at the elementary schools of two cities and one county in Chung-buk province were sampled by the systematic simple random sampling as of 2002. Questionnaire which was about the relation between students' sports participation type and the difficulties factors of the students' sports participation at the elementary school were used to collect data. I designed the questionnaire myself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x2 and one-way ANOVA. The research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tion rate of sports activity amo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ny variables was low. In the type of participation, after-class activity ranked highest, sports clubs were next and athletes were the last. In case of the kind of sports, team sports ranked highest, personal sports were next, and the individual sports were the last. Men outnumbered women, 5th graders outnumbered 6th graders, students practicing less than two hours outnumbered more than two hours, children from double-income families or children of widowers outnumbered children from normal families, and children living in the apartment or in single houses outnumbered others in sports participation. Referr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and the type of participation, there were meaningful relations between gender and the type of sports, kind of sports, frequency and degree of hardness, between the grade and participation frequency and participation period, and between private institution taking and type of participation and degree of hardness. Secondly, the difficulty factors of sports activity participation were so much related to personal difficulty and time difficulty in gender and private institution taking time. Men, 5th graders and children taking lessons at private institution had much more difficulties over women, 6th graders, and non-taking children respectively. Orphans with no parents and the children living in single houses had especially deep difficulties. Referr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and the difficulty factors of participation, There were meaningful relations only between gender and time difficulty, between gender and personal difficulty, and between private institution taking time and time difficulty. Thirdly, as to the difficulty factors upon the type of participation, while the students participating after-class sports activity had time difficulty, personal difficulty, and social difficulty, the athletes often had economic difficulty. In case of kind of sports, the children participating in individual sports had much social difficulty, the children participating in personal sports had time difficulty, economic difficulty and personal difficulty so much. As to the participation frequency, the children practicing everyday had time difficulty, the children practicing 2∼3 times a week had family difficulty, the children practicing once a week had social difficulty, and the children practicing 2∼3 times a month had economic and personal difficulty. In case of participating period, the children who has participated for 1∼3 months had all types of difficulty. As to the degree of hardness, the children practicing for less than 10 minutes had personal difficulty, economic difficulty, and family difficulty, the children practicing for 10∼30 minutes had personal and social difficulty, and the children practicing for more than 2 hours had no type of difficulty. Among the different participation types of sports activity and difficulty factors, there were meaningful relations only between the type of sports and social difficulty and between participation period and economic difficulty.

      • 노인들의 스포츠활동경험이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 심리적 안녕감 및 지속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양재원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mpirically that multilateral aspects of sports activity which elders recognized have an affect on resilience, social support percep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Specifically, we verify that playfulness, sociality, symbolism and variety of sports participation experience recognized by elders influence for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perception. Also we analyzed that how resilience, social support perception which are made by the sports experience a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For collecting some data, we conducted a survey done by 300 elders and 261 usable data for practical analysis. Techniques for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PASW and LISR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layfulness, symbolism, physicality among the elders’ sports participation experience had significant effect on resilience, but sociality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resilience. Second, sociality, symbolism, physicality among the elders’ sports participation experience had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support perception, but playfulnes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support perception. Third,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perception had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perception had significant effect on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Fifth, psychological well-being had significant effect on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Sixth, sociality, symbolism, and physicality among the elders’ sports activity experiences positively influenced the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through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ut the indirect effect on the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of playfulness had no significant effect.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이 인식하는 스포츠활동경험의 다각적인 측면들이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 심리적 안녕감 및 지속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노인들이 인식하는 스포츠활동경험의 유희성, 사회성, 상징성, 신체성이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고, 스포츠활동경험을 통해 형성된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가 심리적 안녕감 참여 지속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병원 및 생활체육센터 등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노인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61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와 LISRE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 SEM을 통한 효과분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들의 스포츠활동경험 중 유희성, 상징성, 신체성은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회성은 회복탄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들의 스포츠활동경험 중 사회성, 상징성, 신체성은 사회적지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희성은 사회적지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들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는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들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는 참여지속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노인들의 심리적 안녕감은 참여지속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노인들의 스포츠활동경험 중 사회성, 상징성, 신체성은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을 통해 참여지속의도에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유희성의 참여지속의도에 대한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학교스포츠클럽활동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요구도 분석

        송지영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and needs of parents for school sport club activities. A survey was conducted on 307 parents who resid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whose children wer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ir awareness of school sport club activities, they weren't well aware of these activities, whereas they felt high needs for them. When their positive and negative views were analyzed, they had high opinions when there was nothing wrong with the professionalism of instructors, the diversity of events, promotion and operation, but they took a dismal view when there was room for improvement in these regards. As for the priority of their goals for participating in the activities, all the parents of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gave top priority to health promotion, and they gave the second most weight to leadership training and fostering community spirits. Concerning the effects of school sport club activities, the majority had positive opinion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ir needs for school sport club activities, they asked for badminton the most, and they hoped that their children could engage in these activities twice a week in the afternoon. They strongly requested instructors to have superb professionalism and plenty of educational experiences. In terms of promotion, they demanded a lot that teachers in charge should give introduction in person. Whether there was anything to be desired was asked, and they especially demand more spaces to exercise without any restrictions.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it's needed to make an effort to promote school sport club activities and provide information to improve awareness of them, and how to apply the findings of the study was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스포츠클럽활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도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및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학부모 3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학교스포츠클럽활동에 대한 인식도를 분석한 결과이다. 학교스포츠클럽활동에 대한 인지 정도는 낮으나 그 필요성과 효과에 대한 인식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운영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부정적 인식의 구체적인 이유를 통하여 필요성과 효과 대비 낮은 인지 정도에 대한 원인을 분석한 결과, 지도자의 전문성, 종목의 다양성, 홍보 및 운영 등이 잘 진행될 경우에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반면, 이에 대한 부분이 미비할 경우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활동에 대한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선호 종목으로는 배드민턴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으며, 운영 시간대와 횟수는 오후 시간, 주 2회를 가장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도자의 전문성과 교육 경험에 대한 요구와 홍보 방안에서 학교스포츠클럽활동 담당 교사가 직접 안내 할 것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아쉬운 부분에서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는 공간 확충에 대한 요구가 높게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인식 개선을 위한 홍보 및 정보 제공을 위한 노력과 함께 조사된 내용이 실제 현장에서 실천될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스포츠 접촉 동기가 재미, 스포츠 가치 인식 및 스포츠활동에 미치는 영향

        임룡비 호남대학교 대학관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스포츠 접촉 동기가 스포츠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으며, 스포츠활동 참여를 촉진하고 홍보하는데 있어 SNS 사용의 중요성 및 중재 매체로서의 SNS가 스포츠 문화 및 경제에 기여하는 역할을 밝히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2019년부터 2022년까지 SNS를 통해 운동 활동에 참여한 참여자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중국 중부, 남부, 동부 및 서부 지역에서 이 기간 동안 운동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스포츠에 참여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온라인 조사를 통해 표본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554명의 표본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외생변수는 성별, 연령, 참여 기간, 가구소득, 내생변수는 SNS 스포츠 접촉 동기, 관심사, 스포츠 가치 인식이다. 또한, 종속변인은 스포츠활동이다. 인터넷 기술과 그 영향력이 지속적으로 발전하면서, 우리는 인터넷과 밀접하게 연관된 시대에 접어들었다. 인터넷은 일과 네트워크 요구뿐만 아니라, 의류, 식사, 주거 등 우리 생활의 모든 측면을 아우르게 되었다. 모든 사회에서는 사람들이 핸드폰, 시계 등 이동 장치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의 편리함을 누리고 있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사용된 통계분석은 SPSS Windows 22.0 Version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 및 사후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에 따른 자료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SNS 스포츠 접촉 동기, 재미, 스포츠 가치 인식 및 스포츠활동 간에는 일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SNS 스포츠 접촉 동기가 재미, 스포츠 가치 인식 및 스포츠활동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재미가 스포츠 가치 인식 및 스포츠활동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스포츠 가치 인식이 스포츠활동에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SNS 스포츠 접촉 동기에 따라 재미, 스포츠 가치 인식 및 스포츠활동 간에 인과 관계가 나타났다. SNS 스포츠 시장 활성화를 위해 온라인으로는 토론회, 경기 예측, 퀴즈 등의 활동을, 오프라인으로는 스포츠 경기 관람, 운동 도전 등을 개최할 수 있다. SNS 스포츠 플랫폼은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와 관심을 충족시키기 위해 스포츠 경기, 온라인 강연, 오프라인 모임 등 다양한 활동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SNS 스포츠 플랫폼에서 오프라인 스포츠 문화 관광을 개최하여, 사용자가 경기장, 박물관, 문화 전시회 등을 방문하여 스포츠 역사, 문화 및 발전을 이해하고 스포츠 가치를 인식하도록 도와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ocial Network Service (SNS) sports contact motivations on sports activities. It aim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NS usage in promoting and advertising sports participation and to examine the role of SNS as a mediator in contributing to sports culture and economy. In this paper, participants who engaged in physical activity through SNS from 2019 to 2022 were studied.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exercise SNS communities in central, southern, eastern, and western China during this period were surveyed online using a sample extraction method, and a sample of 554 respondents was collected. The exogenous variables in this study are gender, age, participation period, household income, while the endogenous variables are SNS sports contact motivation, interests, sports value perception. The dependent variable is sports activity. As internet technology and its influence continue to advance, we have entered an era closely related to the internet. The internet now encompasses not only work and network requirements, but also all aspects of our daily lives, such as clothing, meals, and housing. In modern society, people enjoy the convenience of the internet anytime and anywhere through mobile devices such as phones and watches. For data analysis, various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Windows 22.0 Version,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with post-ho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data analysis using the methods and procedures mentioned above are as follows. The first conclusion drawn from the data analysis based on the methods and procedures described is that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NS sports contact motivation, enjoyment, sports value perception, and sports participa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ly, SNS sports contact motivation includes factors such as enjoyment, perception of sports value, and perception of sports activity,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se motivations among some groups. Third, enjoy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orts value perception and perception of sports activities. Fourth,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ports value perception and perception of sports activities. Fifth, there wa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NS sports contact motivation, enjoyment, sports value perception, and sports activity. To activate the SNS sports market, online activities such as panel discussions, match predictions, quizzes, can be organized, while offline activities such as attending sports events and participating in physical challenges can be arranged. SNS sports platforms should offer diverse experiential activities, including sports matches, online lectures, and offline gatherings, to meet the demands and interests of various users. By organizing offline sports cultural tourism through SNS sports platforms, users can visit stadiums, museums, cultural exhibitions, and gain an understanding of sports history, culture, and development, thereby raising awareness of sports values.

      • 방과 후 스포츠활동 참여가 공격성, 자아통제력,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나성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Effect of Participating in After School Sport Activity on Aggression, Self-control, and Self-esteem Na, Soung Jun (Supervisor Kim, Young Ho) Dept. of Sports Science Graduate School of Industry &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after school sport activity on aggression, self-control, and self-esteem. A total of 369 male students(174 for the treatment group and 195 for the control group) were recruited from eight middle schools, geographically located in Nowon-gu and Dobong-gu Seoul, Korea. Subjects in the treatment group participated in sports such as soccer and basketball for one semester ( two hours at a time and two or three times a week). Meanwhile,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didn't participate in any sport activity over the same period. Data were collected twice at the beginning and at the end of the semester(September and December). Independent T-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differences in aggression, self-control, and self-esteem between the treat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during the perio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in aggression(t = 3.40, p<.001), self-control(t=2.06, p<.05), self-esteem(t =16.08, P<.001) between the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2) In the treatment group, among sub-variables of aggression, hostility(t=6.59, P<.001) decreased significantly. In addition, among sub-variables of self-control, risk seeking(t=2.67, P<.05) and physical activity(t=2.47, P<.05) significantly decreased, and in contrast self-centeredness(t=-5.10, P<.001) substantially increased. This study concludes that participation in after school sport activity has significant effects on changes in aggression, self-control, and self-esteem which are deeply related to juvenile violence and delinquency. On the basis of the present study, I suggest systematic and various researches into effects of sport activities on mental health conditions continue as follow-up studies. Also, I expect studies on effects of new introduction to regular sport class and extens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 to be continued. 제 목 : 방과후 스포츠활동 참여가 공격성, 자아통제력,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2011년 우리 사회를 떠들썩하게 만든 왕따와 학교폭력 이후 비행과 폭력예방을 기대하고 진행된 스포츠활동 강화가 실제 학교 현장에서 얼마나 효과를 거두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현장 연구이다. 방과 후 스포츠활동 참여가 비행의 개인적 요인 중 가장 예측력과 설명력이 뛰어난 공격성, 자아통제력,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지역 북부교육청 관내 노원구와 도봉구에 위치한 33개 중학교 남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이들 중 유층집락 무선표집 방법에 의해 8개 학교를 최종 연구 참여 학교로 선정하였다. 이 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중 2학기 방과 후 스포츠활동을 수강한 174(2차 171)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동일학교의 방과 후 스포츠활동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 중 본 연구에 참여를 희망하는 195(2차201)명 학생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방과 후 스포츠활동에 참여한 학생은 축구, 농구 등 구기 종목에 참여하였으며, 2학기 동안 총 20회 이상 40시간 이상의 수업을 진행하였고, 학교 상황에 따라 주 2회 혹은 3회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9월 초에 1차 설문, 12월 말에 2차 설문을 실시하였다. 방과 후 스포츠활동 프로그램이 실시되는 동안 참여집단과 비참여집단의 공격성,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종속 t-test가 실시되었다. 또한, 방과 후 스포츠활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에 Levene의 동질성 검사를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청소년들 간에 공격성,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등에 차이가 있는 지를 확인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프로그램 실시 전 집단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변인에 대해서는 독립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변인의 경우는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변인별 평균차를 이용하여 독립 t-test를 실시하였다. 모든 분석은 SPSS 18.0을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방과 후 스포츠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모든 변인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공격성(t = 3.40, p<.001), 자아통제력(t=2.06, p<.05), 자아존중감(t =16.08, P<.001)]. 이와 대조적으로 통제집단의 경우, 공격성(t=-.79), 자아통제력(t=-1.13), 자아 존중감(t=.86)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실험집단에서 공격성의 하위변인 중 적대감(t=6.59,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흥분성, 부정성, 의심에 대해서는 사전-사후 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로운 점은 방과 후 스포츠활동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경우에도 사전-사후 결과 공격성의 하위요인 중 적대감(t=2.57, P<.05)은 낮아지고 의심(t=-3.96, <.001)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나머지 흥분성과 부정성의 평균은 높아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실험집단에서 자기통제력의 하위변인 중 위험추구(t=2.67, P<.05), 육체활동(t=2.47, P<.05)은 낮아졌고 자기중심(t=-5.10,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아졌다. 충동성, 단순과제의 평균은 높아지고 분노기질은 낮아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통제집단의 경우 사전-사후 결과 자아통제력의 하위요인 중 자기중심(t=2.57, P<0.05), 분노기질(t=-3.96, P<0.001)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충동성, 단순과제, 육체활동은 높아지고 위험추구는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연구결과 요약 : 본 연구에서 방과후 스포츠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은 축구, 농구로 대표되는 남성성이 강한 종목에 주로 참여하였다. 이들 학생들은 운동참여 이전에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공격성과 낮은 수준의 자아통제력, 낮은 자아 존중감으로 출발하였으나 한 학기 동안의 스포츠활동에 참여한 결과 세 개 변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긍정적으로 개선되었으며, 스포츠관련 방과 후 수업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은 통계적으로 변화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청소년 비행이 증가하고 학교폭력이 우리 사회의 중요 관심사가 되고 있는 시점에 비행과 폭력행동의 예측력과 설명력이 가장 높은 심리적 요인인 공격성, 자아통제력, 자아존중감에 방과후 스포츠활동 참여가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차후 스포츠활동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체계적이고 다양한 연구를 기대하며, 방과후 스포츠활동 외에 스포츠시간 1시간 신설 및 체육수업 증설의 효과에 관한 연구가 이어지기 기대한다.

      • 중학생의 성별 자아존중감과 그릿의 관계에 대한 스포츠활동의 매개효과

        심보현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중학생의 성별 자아존중감과 그릿의 관계에 대한 스포츠활동의 매개효과 심보현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스포츠청소년지도전공 청소년기 스포츠활동, 자아존중감, 그릿은 삶의 만족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다. 특히, 청소년기 스포츠활동은 자아존중감과 그릿의 향상에 영향을 주는 주요 활동이다. 그럼에도 이들의 실태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들은 일관성이 부족하고 스포츠활동이 자아존중감과 그릿의관계에 대한 역할과 관련하여 정보가 제한되어있다. 따라서 스포츠활동, 자아존중감, 그릿 수준의 성차를 분석하고 자아존중감과 그릿의 관계에 대한 스포츠활동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네 가지 연구문제가 제기되었다. 첫째, 청소년의 스포츠활동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스포츠활동, 자아존중감, 그릿 수준에 있어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셋째, 성별에 따른 스포츠활동, 자아존중감, 그릿의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성별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그릿의 관계에 대한 스포츠활동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중학교 1학년 남학생 1,137명(50.4%), 여학생 1,117(49.6%) 총 2254명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초등학교 4학년 4차년도(2021년) 코호트로 2008년생이다. 스포츠활동 경험은 운동시간과 운동강도로 측정하였다. 운동시간은 주중 스포츠활동 시간과 주말 스포츠활동 시간으로 분류하였다. 운동강도는 일주일간 땀 흘리며 운동한 시간으로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카이제곱 검정, t-test, 적률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적용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청소년의 스포츠활동 수준은 낮았다. 둘째, 청소년의 스포츠활동, 자아존중감, 그릿 수준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다. 셋째, 스포츠활동, 자아존중감, 그릿의 상관관계는 성별에 따라서 달랐다. 남, 여 모두 스포츠활동을 나타내는 세 가지의 지표와 자아존중감과 그릿은 유의한 정적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이들의 스포츠활동과 자아존중감 및 그릿과의 관계는 성별에 따라서 달랐다. 남학생은 스포츠활동의 세 가지 지표는 그릿과 모두 정적 상관을 보였고 이들 중 주말 스포츠활동 시간과 운동강도가 자아존중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반면에 여학생은 스포츠활동의 세 가지 지표 모두 자아존중감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이들 중 주말 운동시간와 운동강도가 그릿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넷째, 자아존중감과 그릿의 관계에 대한 스포츠활동의 매개효과는 남학생에게서만 발견되었고 여학생에게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남학생은 주말 스포츠활동 시간와 운동강도가 자아존중감과 그릿의 관계를 부분매개하였다. 본 연구결과, 청소년의 스포츠활동의 수준은 낮았으며, 특히 여학생의 스포츠활동 경험 수준이 남학생에 비해서 더 낮았다. 여학생의 이러한 부족한 경험으로 인해 남학생에 비해서 스포츠활동이 자아존중감과 그릿의 향상에 기여하는 효과가 적은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남학생의 스포츠활동 경험은 자아존중감과 그릿의 향상에 대한 효과가 여학생에 비해 더 컸을 뿐 아니라 스포츠활동이 자아존중감과 그릿을 매개하는 효과도 있어서 자아존중감과 그릿의 관계를 촉진하는 기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방과 후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들의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태유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방과 후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들의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가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확인하고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 만족도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그 목적이 있고 이 결과를 통해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수업의 개발 및 프로그램 구성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용인시에 소재하고 있는 중·고등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도구는 설문지이며 설문지의 타당도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되었으며 신뢰도는 내적 일관성에 의한 신뢰도 평가 방법인 Cronbach's α계수를 이용하였다.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2.0을 이용하였으며 사용한 통계기법은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을 통해 얻은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 후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들이 인지하는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 만족도의 하위요인들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소속, 참여 종목)에 따라 부분적으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방과 후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들의 자기효능감(자신감, 내적동기, 지속성)은 학교생활 만족도(교사만족, 교우만족, 수업 및 학습만족, 학교적응, 학교환경)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과 후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들의 자기효능감은 학교생활 만족도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n afterschool sports activity on self-efficacy in adolescent and presen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and program composition of afterschool sports activity. Data were collected via questionnaire from N= 400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 who are living in Yongin-si, Gyenggi-do.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was verifi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was used by Cronbach’s α coefficient which is a method of assessing based on internal consistency.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IBM SPSS 22.0 program. Statistical technique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rossover analysis, and variance analysis Firstly, the perceived self-efficiency of adolescent who participating after-school sports activities and sub-factors of school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 such as gender, belonging and participating events. Secondly, the self-efficiency which is self-confidence, inner motivation and persistence of teenagers participating in after-school sports activities has been shown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including teacher satisfaction, companionship, class and learning satisfaction, school adaptation, and school environment. Thirdly, the self-efficacy formed through after-school sport activities has a positive effec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ere wa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self-efficacy through after-school sports activitie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몰입이 스포츠가치관 및 지속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희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2012년 2학기부터 전격적으로 도입된 창의적 체험활동 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대한 수업몰입이 긍정적 스포츠가치관 형성 및 지속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실질적으로 긍정적 스포츠가치관 형성의 효과와 지속적 참여의도에 따른 평생스포츠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경기도 S지역의 M중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총 334명의 학생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조사내용 중 일부가 누락되어진 무성의한 자료 41부를 제외한 총 293부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설문지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 Versio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 및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몰입은 지속적 참여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몰입은 스포츠가치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좀 더 구체적으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몰입이 사회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몰입 하위요인 중 통제감각, 시간감각, 자기 목적적 체험이 사회적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몰입이 신체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몰입의 하위요인 중 자기 목적적 체험만이 신체적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몰입이 품성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몰입의 하위요인 중 통제감각, 시간감각, 자기 목적적 체험이 품성적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몰입이 오락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몰입의 하위요인 중 통제감각, 자기 목적적 체험이 오락적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가치관이 지속적 참여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좀 더 구체적으로 스포츠가치관 하위요인인 오락적 가치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가치, 품성적 가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체적 가치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몰입이 스포츠가치관 및 지속적 참여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스포츠동아리활동 재미요인이 청소년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서향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동아리활동의 인구학적특성(성별, 학교 급별, 종목별, 참여기간, 참여빈도, 참여시간)에 따라 재미와 심리적 웰빙의 차이, 스포츠동아리활동 재미가 청소년의 심리적 웰빙에 영향을 주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서울․경기도에 소재한 청소년수련관 및 학교의 중․고등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비확률 표본 방식 중에서 편의표집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79명을 제외한 52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자료 수집은 2011년 3월 11일부터 3월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수집된 모든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WIN 17.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사용된 통계는 자료의 전반적인 기술 통계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Cronbach's α계수 분석)을 실시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과 Scheffe 사후비교검증, 각 변인들의 영향력 검증을 위해 다변량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인구학적특성(성별, 학교 급별, 종목별, 참여기간, 참여빈도, 참여시간)에 따라 재미와 심리적 웰빙의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에 따른 재미와 심리적 웰빙의 차이는 재미의 경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웰빙의 경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성취감, 개인사회적 만족감, 유능감과 가족관계, 교사관계, 친구관계, 긍정적 자기인식, 자기 주장성이 더 높은 것을 의미한다. 학교 급별에 따른 재미와 심리적 웰빙의 차이는 재미의 경우,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성취감, 개인사회적 만족감, 유능감이 더 높은 것을 의미한다. 심리적 웰빙의 경우, 학교 급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고등학생과 중학생이 가족관계, 교사관계, 친구관계, 긍정적 자기인식, 자기 주장성에서는 동일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포츠동아리활동 종목에 따른 재미와 심리적 웰빙의 차이는 재미의 경우, 팀 활동이 대인활동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웰빙의 경우, 팀 활동이 대인활동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팀 활동이 대인활동보다 성취감, 개인사회적 만족감, 유능감과 가족관계, 교사관계, 친구관계, 긍정적 자기인식, 자기 주장성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포츠동아리활동 참여기간에 따른 재미와 심리적 웰빙의 차이는 재미의 경우, 1-2년 이하와 2년 이상이 1년 이하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1-2년 이하 집단에 속하는 청소년과 2년 이상 집단에 속하는 청소년이 1년 이하 집단에 속하는 청소년보다 성취감, 개인사회적 만족감, 유능감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포츠동아리활동 참여빈도에 따른 재미와 심리적 웰빙의 차이는 재미의 경우, 주5-6회와 주1-2회가 주3-4회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5-6회 집단에 속하는 청소년과 주1-2회 집단에 속하는 청소년이 주3-4회 속하는 청소년보다 성취감, 개인사회적 만족감, 유능감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포츠동아리활동참여시간에 따른 재미와 심리적 웰빙의 차이는 재미의 경우, 2시간 이상, 1시간-1시간30분 이내, 1시간30분-2시간 이내가 30분-1시간 이내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2시간 이상 집단에 속하는 청소년, 1시간-1시간30분 이내 집단에 속하는 청소년, 1시간30분-2시간 이내 집단에 속하는 청소년이 30분-1시간 이내 집단에 속하는 청소년보다 성취감, 개인사회적 만족감, 유능감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포츠동아리활동 재미가 청소년의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스포츠동아리활동 재미가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개인사회적 만족감과 유능성을 제외한 성취감에만 영향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동아리활동 재미가 교사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성취감, 유능감, 개인사회적 만족감 순으로 모두 영향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동아리활동 재미가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성취감, 개인사회적 만족감, 유능감 순으로 모두 영향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동아리활동 재미가 긍정적 자기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성취감, 유능감, 개인사회적 만족감 순으로 모두 영향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동아리활동 재미가 자기주장성에 미치는 영향은 개인사회적 만족감을 제외한 성취감, 유능감 순으로 영향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enjoyment factors, difference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njoyment factors of sports club activity influence youth's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the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sex, school class, event, participating period, participating frequency, and participating frequency). The population was sampled to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youth training centers and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o youth, and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of non-probability sample methods was utilized. excluding 79 students giving inhonest answers, 521 people were analyzed, and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Mar. 11 through Mar. 31, 2011. All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WIN 17.0. As used statistics, reliability test(Cronbach's α coefficient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overall technological statistical amount, and t-verification, Scheffe post-comparative verification were used to find out differences between demographical features and multi-variab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the verification of an effect of each variable, and the findings revealed by those analyses are as follows. The differences of enjoyment factors and psychological welling according to demographical features(sex, school class, event, participating period, participating frequency, and participating time) considered, the differences of enjoyment factors and psychological welling were indicated to be higher in male students than female students in case of enjoyment factors, and higher in male students than female students in case of enjoyment factors as well in psychological well-being. That is, it means that male students are higher than female students in achievement, individual and social satisfaction, competency and family relation, teacher relation, friend relation, affirmative self-recognition, and assertiveness. In case of the differences of enjoyment factors and psychological welling according to school clas, high schoolers were indicated to be higher than middle students. That is, it means that high school students are higher than middle school students in achievement, individual and social satisfaction, competency. Psychological well-being was indicated to be not different by school class. That is, it means that high school students are indicated as the same as middle school students in family relation, teacher relation, friend relation, affirmative self-recognition, and assertiveness. The differences of enjoyment factors and psychological welling according to the events of sports club activity considered, the enjoyment factors were indicated to be higher in team activity than inter-personal a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ing was indicated to be higher in team activity than inter-personal activity. That is, it means that team activity is higher than inter-personal activity in achievement, individual and social satisfaction, competency and family relation, teacher relation, friend relation, affirmative self-recognition, and assertiveness. The differences of enjoyment factors and psychological welling according to the participating period of sports club activity considered, the enjoyment factors were indicated to be higher in those under the 1st and 2nd graders and over the 2nd graders. That is, it means that the youth belonging to the group under 1st and 2nd graders and over the 2nd graders is higher than the group under 1st graders in achievement, individual and social satisfaction, competency. The differences of enjoyment factors and psychological welling according to the participating frequency of sports club activity considered, the enjoyment factors were indicated to be higher in 5 or 6 times a week than 3 or 4 times a week. That is, it means that the youth belonging to 5 or 6 times a week is higher than the youth belonging to 3 or 4 times a week in achievement, individual and social satisfaction, competency. The differences of enjoyment factors and psychological welling according to the participating time of sports club activity considered, the enjoyment factors were indicated to be higher in over 2 hours, within 1 hour and 1 hour and one half, within 1 hour and one half and 2 hours is higher than within a half and 1 hour. That is, it means that the youth belonging to over 2 hours, within 1 hour and 1 hour and one half is higher than the youth belonging to within 1 hour and one half and 2 hours in achievement, individual and social satisfaction, competency. The effect of enjoyment factors in sports activity on youth's psychological welling considered, the effect of the enjoyment factors enjoyment factors in sports activity was indicated to have only on achievement excluding individual and social satisfaction, competency. The effect of the enjoyment factors enjoyment factors on teacher relation was indicated to have on achievement, competency and individual and social satisfaction in the priority order. The effect of the enjoyment factors enjoyment factors on friend relation was indicated to have on all achievement, competency and individual and social satisfaction. The effect of the enjoyment factors on affirmative self-recognition was indicated to have on achievement, competency and individual and social satisfaction in the priority order. The effect of the enjoyment factors on self-assertiveness was indicated to have on achievement, competency excluding social satisfaction in the priority 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