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지도성과 장애아동 수용태도와의 관계

        서정숙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leadership perception by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acceptive attitud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effective intergrated educational directions. The sample of this study were the 4th, 5th, and 6th grade of 373 students in Pusan.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method was developed and SPSS WIN 12.0 program was used for this study. This study has several findings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nt relationship between class styles and teachers' leaderships based on children characteristics. But intergrated class students had high score of harmony-oriented type than general class students. In disability's styl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intergrated class students had high score of teacher's harmony-oriented type than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terms of students` years comparision, the 4th grade students and students who have intergrated experience had high harmony-oriented type than the 6th grade students and non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 students. Secondly, in terms of acceptive attitud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ing disabilities students showed more positive responses than intergrated mental disabilities. And female students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han male students. Third, in acceptive attitud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bas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toward teachers` leadership style, those who had intergrated experiences or sat down ( class mates??) with disabled students perceived teachers as ideal type or harmony-oriented type Students those who perceived teachers as ideal type and harmony-oriented type were more positive about acceptive attitud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previous studies focused on effective factors of acceptive attitud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based on ordinary students` characteristics. The differentiation and contribution of this study were that class styles and teachers of intergration class impact acceptive attitud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leadership and acceptive attitud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study indicated the necessity of studying intergrated education per classes and disabled people in the future.

      • 정서지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임영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 향상을 위한 정서지능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비장애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 문제는 첫째, 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 향상을 위한 정서지능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안되어야 하는가? 둘째, 정서지능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장애수용태도 사전․사후․추수 점수의 변화는 통제집단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 A초등학교 3학년 통합학급의 비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2개 학급을 선정하여 한 학급의 21명은 실험집단으로, 다른 학급의 20명은 통제집단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김창대 외(2011)가 개발한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수정·보완하여 총 10회기의 프로그램을 구안하였으며, 효과성 검증을 위한 검사 도구로 류순옥(2002)이 번안하여 수정한 Voeltz(1980)의 자기보고식 수용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SPSS/Windows 22.0에서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 및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의 방법으로 통계 처리하였으며, 집단원의 경험보고서 및 연구자의 관찰 내용과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효과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 향상을 위한 정서지능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사전·사후·추수 장애수용태도 점수의 변화가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에 실험집단의 장애수용태도가 향상되었으며, 추수검사에서도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둘째, 사후검사에서는 장애수용태도의 실제적 접촉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그리고 추수검사에서는 장애수용태도의 모든 영역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 차이를 보였다. 셋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원의 경험보고서 및 연구자의 관찰 내용과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평가 결과를 분석한 결과, 본 프로그램이 장애수용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정서지능 모형에 입각한 장애수용태도 향상 프로그램을 구안함으로써 일부 정서적 요인만을 다루지 않고, 정서지능의 전 영역을 체계적으로 반영하고자 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 향상을 위해 단순히 장애이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애인식개선교육이 아닌, 학생 개인의 정서지능의 향상을 통해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장애수용태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보편적 교육 접근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셋째, 통제집단의 장애수용태도 사후 검사 점수가 낮아진 결과를 통해 통합학급 학생들에게 장애수용태도 향상을 위한 조기의 교육적 개입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른 지역의 학생들을 비롯하여 다른 학년의 초등학생들과 중·고등학생들, 그리고 통합학급을 경험하지 않은 학생들에게도 본 연구의 프로그램이 효과적인가에 대해 후속 연구에서 검증될 필요가 있다. 둘째, 정서지능의 전 영역을 충분히 다룰 수 있도록 정규 수업시간 이외에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장애학생과의 상호작용 등의 실제적 접촉을 일으키는 요소를 프로그램에 반영한다면 보다 빠르고 효과적인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the emotional intelligence 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on inclusive class non-disabled students'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will the emotional intelligence 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be constructed to improve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experiment group’s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fter treatment and the improvement is kept until a follow-up? To verify the effect on th program third-grade 41 students of A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were chosen.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 20 students in one inclusive clas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21 students in the other inclusive clas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This program was build 10 sessions through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based on consultation program development model by Kim Chang-Dae, and the others(2011). The Acceptance Scale(A-Scale) developed by Voeltz(1980) and adapted by Ryu, Soo Ok(2002) was used as a measuring instrument to test the effects of the this program. was used as a measuring instrument to test the effects of the this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by the Repeated Measures ANOVA and MANOVA using IBM SPSS Statistics 22.0 for windows to analyze the statistical results. And the experience reports of the program participants, the observational data from the counselor, and the satisfaction evaluation of the program participants were also analyzed and the results were present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those who did not. It means that after treatment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s improved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kept until a follow-up. Second, form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tudents’ experience reports and the counselor’s observations, it can be stated that this program had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of the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implication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reflect the whole areas of emotional intelligence instead of just handling some emotional factors, by designing a program to improve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model. Second, another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e universal approach to education aiming to improve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positive self-understanding through the improv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individual students, rather than the education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disabilities simpl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disabilities. Third, through the result that the score of the post-test was decreased, it confirmed the importance of early educational intervention to improve the acceptance attitude on disability of inclusive class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 For the follow-up studies based on this research results, there are several recommendations. First, there is a need to verify whether the program of this study is effective to other grade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students and those who have never experienced the inclusive classes including students in other areas. Second, in order to fully handle the whole areas of emotional intelligence, it would be necessary to secure enough time on top of the regular class hours. Third, it is thought that if the factor that causes actual contacts like interaction with disabled students is reflected to the program, there would be faster and more effective changes.

      • 수용태도에 따른 Nappy헤어스타일의 인식 차이 연구

        김소현 영산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831

        현대사회는 매스미디어의 발달과 개방화로 인하여 국가 간의 교류가 점차 활발해지고 그 경계의 구분이 무너지며, 전 세계적으로 유행의 속도가 빨라지고 모방의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개인의 특성을 표출할 수 있는 새로운 스타일에 대한 대중의 요구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향후 미용업에서 고객과의 소통과 고객의 니즈 파악에 도움이 되고자, 수용태도에 따른 Nappy헤어스타일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려고 한다. 나아가 최근 대두되고 있는 Nappy헤어스타일이 미용 산업의 트렌디한 디자인 발상에 바탕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 수집에 목적을 두었다. 20대 이상의 남·녀 511명을 대상으로 인식 차이를 알아본 결과, Nappy헤어스타일을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20대가 45.8%로 가장 높고, 50대 이상이 16.7%로 가장 낮았다. 반면, Nappy헤어스타일이 부정인 느낌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50대 이상이 27.3%로 가장 높고, 20대가 9.8%로 가장 낮았다. 두 문항의 비교를 통해 신세대와 기성세대의 인식 차이를 알 수 있다. Nappy헤어스타일에 대해 긍정·부정·무관심 중, 부정적인 느낌이라고 말한 응답자가 13.9%로 가장 낮게 나온 것에 반해, Nappy헤어스타일에 대한 시도 여부에서는 해보고 싶지 않다는 응답자가 82.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Nappy헤어스타일이 현시대에 맞는 개성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직접 시도하기에는 다소 부담스러운 것으로 보인다. 하위문화 및 Nappy헤어스타일에 대한 인지가 높을수록 수용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 미용업에서 하위문화 및 Nappy헤어스타일에 대해 정확히 인식하고 개념을 정리함으로써 다양한 고객층의 니즈에 대한 수용태도를 높여야 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수용태도에 따른 Nappy헤어스타일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여 현대인들이 가진 내재 된 생각과 표출하는 경계가 어떠한지 알아볼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본 연구가 새로운 스타일 접근에 대한 방향 제시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중학생의 자기수용, 타인수용, 공동체의식과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의 관계

        전종숙 충북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수용, 타인수용, 공동체의식과 장애학생 수용태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중학생의 개인적 특성 변인(성별, 장애학생 경험 여부)에 따라 중학생의 자기수용, 타인수용, 공동체의식과 장애학생 수용태도는 차이가 있는가? 2. 중학생의 자기수용, 타인수용, 공동체의식은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3. 중학생의 자기수용, 타인수용, 공동체의식이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이를 위해, 본 연구에는 C도의 읍지역에 위치한 2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총 190명이 참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8.0을 이용하여 t-test,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학생의 개인별 특성(성별, 장애학생 경험 유무)에 따라 자기수용, 타인수용, 공동체의식과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중학생의 자기수용과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학생의 타인수용과 공동체의식이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중학생의 자기수용과 공동체의식은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냈다. 그러나 타인수용은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냈다.

      •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와 유아의 정서지능 및 또래유능성

        이지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first social relation which a human being has in this world is the one with his/her mother, and the relation between a mother and an infant, the earliest environment, has direct or indirect influence on development of the infant's emotion and sociality. Mothers' attitude on parenting children, especially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 expressiveness, has an important effect upon development of the infant and plays an very important role in the progres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with their peer competence. And through this, the study makes parent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others' understanding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 expressiveness related to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competence of toddler-hood, proposes a direction to enhance parenting children, and hopes to provide fundamental materials of childhood education to develop parent education programs. Thu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are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 expressiveness betwee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 expressiveness between children's peer competence? Third,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Fourth, what is the explain power of mothers'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 expressiveness on both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For analysis of this research, the study used 230 pieces of material from 230 children of age 4 and 5, as many mothers, 30 teachers in 10 nurseries and 5 preschools in Seoul. To measure mothers' understanding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 expressiveness, the research used an adaptation version of Saarni's PACES(Parent Attitude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Scale, 1990) which was adapted by Ji-seon Lee(2002) to fit ages and other characteristics of subjects. In order to estimat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e children's EQ(Emotional Quotient) Measurement & Evaluation system for teachers of Gyeonghee Kim(1999) was used which was based on the concept model of emotional intelligence adapted by Salovey and Mayer(1996). For measurement of children's peer competence, the peer competence measurement system developed by Juhee Park․Eunhae Lee(2001) was employed. Data process was done by SPSS12.0 for Window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is research subjects were detected under frequency analysis, and Cronbach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for credibility verification of standards of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competence. In addition, a correlation analysis was made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of mothers' understanding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 expressiveness,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The study employ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mothers' understanding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 expressiveness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carried out path analysis to judge the explain power of mothers' understanding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 expressiveness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 the effect of mothers' understanding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 expressiveness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in case that mothers' understanding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 expressiveness is receptive and permissive, there are high mutual relations with utilization of self emotion as a sub-element of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recognition and consideration of other emotion, recognition and consideration of self emotion, emotion control, impulse suppression, interaction with teachers, interaction with peer group. Second, in the effect of mothers' understanding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 expressiveness on children's peer competence, in case that mothers' understanding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 expressiveness is receptive and permissive, there are high mutual relations with sociality, society-friendliness, and leadership as sub-elements of children's peer competence. At this time we can learn that the receptive and permissive mothers' understanding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 expressiveness on children's peer competence plays a greatest variable in children's society-friendliness of peer group. Third,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s emotion intelligence and peer competence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The strongest variables to explain children's peer competence were recognition and consideration of other emotion and the relation with peer group i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is means that children's peer competence grows higher as they frequently use the skills of relation with peer group. Fourth, mothers' understanding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 expressiveness on children's peer competence has effects on such sub-areas of children's emotion intelligence as the use of emotion, recognition and consideration of other emotion, recognition and expressiveness of self emotion, emotion control and impulse suppression, interaction with teachers, interaction with peer group as well as children's emotion intelligence has effects on such sub-areas of children's peer competence as sociality, society-friendliness, and leadership. That is, mothers' understanding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 expressiveness on children's peer competence has direct effects on children's emotion intelligence, but indirect effects on children's peer competence rather than direct effects. 인간이 이 세상에서 최초로 맺는 사회적인 관계는 어머니와의 관계이며, 초기 환경인 어머니와 유아의 관계는 자녀의 정서와 사회성 발달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자녀양육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 중 특히 정서표현수용태도가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중요하며, 자녀의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는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을 발달시키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만 4,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와 유아의 정서지능 및 또래유능성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유아기 자녀의 정서지능 및 또래 유능성과 관련하여 유아의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태도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바람직한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육성 방향을 제시하며, 부모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유아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는 유아의 정서지능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는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넷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가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에 대해 갖는 설명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에 소재한 어린이집 10곳과 유치원 5곳의 만 4, 5세 유아230명과 그들의 어머니 230명, 담임교사 30명을 대상으로 각 230부의 자료를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유아기 자녀의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Saarni(1990)가 개발한 PACES(Parent Attitude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Scale)를 연구 대상의 연령 및 기타 특성에 적합하도록 이지선(2002)이 번안․수정한 것을 사용하였고, 유아의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해서 Salovey와 Mayer(1996)가 수정 제안한 정서지능의 개념모형을 토대로 김경회(1999)가 제작한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또래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박주희․이은해(2001)가 개발한 또래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2.0 for Window를 사용하여 연구 대상자의 인구학적특성 요인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파악했고,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와 유아의 정서지능, 또래유능성의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와 유아의 정서지능 및 또래유능성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가 유아의 정서지능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가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에 대해 갖는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가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가 수용․허용적일 때 유아의 정서지능 하위요소인 자기정서의 이용, 타인 정서의 인식 및 배려, 자기 정서의 인식 및 표현, 감정 조절 및 충동 억제, 교사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가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가 수용적이고 허용적일 때 유아의 또래유능성 하위요소인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 때 수용적이고 허용적인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는 또래관계내에서 유아의 친사회성에 가장 큰 변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과의 관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정서지능 중 타인 정서의 인식 및 배려와 또래와의 관계가 유아의 또래유능성을 설명해 줄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변인이었다. 이는 유아가 타인 정서의 인식 및 배려와 또래와의 관계기술을 많이 사용할수록 또래유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넷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는 유아의 정서지능 하위영역인 정서의 이용, 타인 정서의 인식 및 배려, 자기 정서의 인식 및 표현, 감정조절 및 충동 억제, 교사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의 정서지능은 유아의 또래유능성 하위영역인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는 유아의 정서지능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할 수 있겠다.

      • 중학교 장애수용프로그램이 체육통합수업의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주양엽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831

        국 문 초 록 중학교 장애수용프로그램이 체육통합수업의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전공 주 양 엽 본 연구는 중학교 장애수용프로그램이 체육통합수업의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성공적인 체육통합수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체육통합수업에 대한 중학생의 수용태도, 성별, 학년에 따른 체육통합수업에 대한 중학생의 수용태도 비교, 봉사활동 경험 유‧무, 장애체험활동의 유‧무, 장애이해교육의 유‧무, 장애관련 시청각 교육의 유‧무에 따른 체육통합수업의 수용태도들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J공립 중학교 통합학급학생 및 일반학급 학생 273명을 무선 표집 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설문지법을 사용하였고 설문지는 장애인 통합체육에 관한 생활체육 지도자의 태도 연구(조영록, 2003).와 청소년용 통합체육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 개발(오광진, 2001)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방식에 대한 수용태도,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 내적 수업환경 에서는 긍정으로 나타났으나 외적 수업환경에서는 부정적인 태도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수용태도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년에 따른 체육통합수업에 대한 중학생의 태도는 3학년, 2학년, 1학년 순으로 학년이 높을수록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넷째, 통합학급 경험에 따른 장애 학생에 대한 일반 학생의 수용태도에서는 경험이 있는 집단이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봉사활동 경험에 따른 장애 학생에 대한 일반 학생의 수용태도에서는 수업방식에 대한 수용태도,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 체육통합 수업효과, 내적 수업환경에서 경험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보다 더 긍정적이었으나, 외적 수업환경에서는 두 집단 간의 인식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섯째, 장애 체험활동 경험에 따른 장애 학생에 대한 일반 학생의 수용태도는 있다 집단이 없다 집단 보다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런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일곱째, 장애이해교육에 따른 장애 학생에 대한 일반 학생의 수용태도는 수업방식에 대한 수용태도와 내적 수업 환경, 외적 수업환경에서 없다 집단이 있다 집단 보다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 태도와 체육 통합 수업 효과에서는 있다 집단이 없다 집단 보다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수업방식에 대한 수용태도,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 외적수업환경이 체육 통합 수업 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장애 수용프로그램이 체육통합수업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 이었다. 그러나 일반학생은 자발적으로 장애학생과의 상호작용과 수용적 태도를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위해서는 이들 간의 상호작용이 자연스럽게 일어나도록 장애수용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따라서 다양한 자료와 교육활동이 통합적으로 구성되고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체계적인 장애수용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교육과정 속에서 지속적인 장애수용프로그램이 실시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ABSTRACT The Effect of The Disability Reception Program in Middle School on The Receptive Attitude of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Joo Yang-yeob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of the University of Seoul This study's purpose is to get the basic data for the successful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through research on the effect that the disability reception program in middle school causes the receptive attitude of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This research examined the receptive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and the comparison of the receptive attitude according to the gender and grade. The research also examined the receptive attitude of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the experience of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the disability experience activities, the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and the audio-visual education related with disability. The subjects were 273 students randomly sampled in the inclusive class as well as the normal class of J-public middle school in the city of Seoul. This research used the question method. The questionaires were referred to the study of the life physical director's attitude on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for the disabilities(Yeongrok Jo, 2003) and the development of the attitude measuring tool on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for the youth(Gwangzin Oh, 2001). This research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receptive attitude to the teaching method and the disabled students, and the inner class environment were affirmative in contrast to negative attitude to the outer class environment. 2. Girl students showed more affirmative attitude than boy students in the receptive attitude according to the gender. 3. The higher grade students showed more affirmative attitudes in the order of 3rd, 2nd, and 1st grade to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in middle school according to the grade. 4. In the normal students' receptive attitude to the disabled student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inclusive class, the experienced group showed more affirmative attitude comparing to the inexperienced one . 5. In the normal students' receptive attitude to the disabled student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volunteer service activity, the experienced group showed more affirmative attitude than the inexperienced one to the receptive attitude of the class method and the disabled students, the effect of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and the inner class environment. However, there was no evidence of any cognitiona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outer class environment. 6. The experienced group showed more affirmative attitude than the inexperienced one in the receptive attitude of the normal students to the disabled students according to the disability experience activity,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 7. In the receptive attitude of the normal students to the disabled students according to the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the inexperienced group was more affirmative than the experienced one to the receptive attitude of class method, inner class environment, and outer class environment. However, in the receptive attitude to the disabled students as well as the effect of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the experienced group was more affirmative than the inexperienced one. 8. The receptive attitude to the class method and the disabled students, and the outer class environment affected significantly to the effect of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In conclusion, the effect of the disability reception program on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was affirmative. Nevertheless, it is rather difficult to expect the normal students having receptive attitude nor voluntary interaction to the disabled. Hence, there should be an disability reception program for facilitating natural interaction between them and fulfilling effective inclusive education at the end. It can finally be said that various materials and educational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and new paradigm for practicing continuous disability reception program in the rim of educational curriculum.

      •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문제행동이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김광희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문제행동이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지역의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교육받고 있는 만 3세와 4세, 5세의 유아 197명으로 유아의 문제행동과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교사 보고로, 정서표현 수용태도는 어머니의 보고로 조사하였다. 연구를 위해 유아문제행동은 Goodman(1997)이 개발한 강점/난점 (Strengths & Difficulties Questionnaire: SDQ)의 한국어 번역판 교사용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모두 25 가지의 문항 중에서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을 알아보는 20개 문항을 사용하였다. 유아의 정서적 어려움과 또래문제를 나타내는 내재화 문제행동과 과잉행동 및 부주의 어려움을 나타내는 외현화 문제행동과 유아의 행동문제 각 10개의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유아의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감정코치 척도(John Gottman, 2007)를 김윤수(2016)가 수정한 것으로 사용하였다. 감정코치 척도는 4점 Likert척도 12 문항으로 어머니의 평가를 사용하였다. 총점이 높을수록 유아의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력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유아의 또래관계는 육아정책 연구소의 한국 아동 패널팀이 수정, 번역한 Fantuzzo, Sutton-Smith, Coolahan, McDermott와 Coolahan,(1995)의 또래놀이 상호작용(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PIPPS)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한 자료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유아의 문제행동과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 및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다. 둘째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높고 유아의 문제행동 정도가 낮을수록 유아의 놀이상호작용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높고 유아의 문제행동 정도가 낮을수록 유아의 놀이방해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높고 유아의 문제행동 정도가 낮을수록 유아의 놀이단절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유아의 문제행동 및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는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영향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주 양육자인 어머니가 유아에게 긍정적인 정서표현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처럼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유아의 문제행동과 어머니의 정서표현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데 이와 관련하여 유아 문제행동 지도와 부모 교육관련 후속 연구를 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발달을 위한 바람직한 교육과 양육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실질적인 프로그램과 부모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maternal acceptance attitudes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ffect peer play interac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97 children aged 3, 4, and 5 who enrolled in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Gyeonggi-do. This study also examined teacher reports for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peer play interaction and mother reports for maternal acceptance attitudes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This study also used the Korean version teacher questionnaire of the Strengths & Differences Questionnaire(SDQ) developed by Goodman(1997) to examine children's problem behavior. Out of 25 questions, this study used 20 questions measuring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The study used 10 questions indicating children's emotional difficulties and peer problems to measure in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and the other 10 questions indicating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hyperactivity, and carelessness to measure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The study used the emotional coach scale (John Gatman, Nam Eun-young, 2007) modified by Kim Yoon-soo(2015) to measure maternal acceptance attitudes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scale evaluated mothers with 12 questions on the 4-point Likert scale. The higher the total score, the higher the maternal acceptance attitudes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study used the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PIPPS) questionnaire by Fantuzzo, Coolahan, Mcdermott, and Sutton-Smith(1995), adapted and modified by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team of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o measure the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roblem behaviors, maternal acceptance attitudes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eer play interaction. Second, the higher the maternal acceptance attitudes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he lower the level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the higher the level of children's play interaction. Third, the higher the maternal acceptance attitudes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he lower the level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the lower the level of children's play disruption. Fourth, the higher the maternal acceptance attitudes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he lower the level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the lower the level of children's play disconnection. As a result, the study found that the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the maternal acceptance attitudes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are essential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interaction of children's peer pla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support mothers, who are primary caregivers, to express their emotions appropriately to children. On this wise,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s are influenced strongly by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is regard, a further study focusing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 guidance and parental education is therefore suggested.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formation on desirable education and parenting environment can be provided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and the results can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practical programs and parental education.

      •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가 유아의 놀이성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하선영 동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s' acceptance attitude of emotional expressions on the playfulness and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For that purpose, the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Research Question : 1. What kind of effect does mothers' acceptance attitude of emotional expressions have on the playfulness of young children? 2. What kind of effect does mothers' acceptance attitude of emotional expressions have on the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include 200 four- and five-year-olds attending a kindergarten or daycare center in Seoul and their 200 mothers. Total 200 questionnaires on mothers' acceptance attitude of emotional expressions were distributed from March 30 to April 6, 2016, and 171 were returned. The ten homeroom teachers of subject children rated their playfulness and peer competence, and their ratings were used in analysis. Mothers' acceptance attitude of emotional expressions was measured with the Parental Attitude toward Children’ Expressiveness Scale(PACES) developed by Saarin(1990) and revised and translated by Lee Hyeon-min(1998) with the term school replaced with the kindergarten to fit the subjects. Young children's playfulness was measured with Children's Playfulness Scale(CPS) developed by Barnett(1990) and revised and translated by Kim Yeong-hee(1995).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was measured with the Peer Competence Scale developed by Park Ju-hee and Lee Eun-hae(2001).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18 Program.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emographic factors of subjects. Cronbach a coefficients were obtained to test the reliability of the scales on mothers' acceptance attitude of emotional expressions a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peer competenc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relations between mothers' acceptance attitude of emotional expressions a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peer competence.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s' acceptance attitude of emotional expressions on the playfulness and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others' acceptance attitude of emotional expressions on the playfulness of young children and found that young children's playfulness was high when their mothers took a permissive and accepting attitude toward emotional expressions and that mothers' acceptance attitude of emotional expressions was in high correlations with such subvariables of playfulness as physical, social and cognitive spontaneity, expression of pleasure, and sense of humor. Second,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others' acceptance attitude of emotional expressions on the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and found that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was high when their mothers took a permissive and accepting attitude toward emotional expressions and that mothers' acceptance attitude of emotional expressions was in high correlations with such subvariables of peer competence as sociability, prosociality, and initiative. The findings indicate that mothers' permissive and accepting attitude toward emotional expressions will lead to the high playfulness and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That is, when mothers make sensitive reactions to the emotional expressions of their children, sympathize with their emotions, take an accepting and permissive attitude to them, and encourage them, their children tend to be accepted well into play with their peers and get along with them.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가 유아의 놀이성 및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가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가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4, 5세 원아 200명과 그들의 어머니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16년 3월 30일부터 4월 6일까지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에 관한 설문지를 200부를 배부하였으며, 그 중 각 171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의 유아들과 함께 생활하고 있는 담임교사 10명이 유아의 놀이성 및 또래유능성 평정자로서 참여하여 활용하였다.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 측정하기 위하여 Saarin(1990)이 개발한 PACES(Parental Attitude toward Children’ Expressive ness Scale)를 이현민(1998)이 수정‧번안한 것에서 학교라는 명칭을 본 연구 대상에 맞도록 유치원이라는 명칭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놀이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Barnett(1990)이 제작한 유아의 놀이성 척도(Children’s Playfulness Scale; CPS)를 김영희(1995)가 수정․번안하여 사용하였다. 또래 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박주희․이은해(2001)가 개발한 또래 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18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대상자의 인구학적 요인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파악하였으며,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놀이성 및 또래 유능성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는 Cronbach a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놀이성 및 또래 유능성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유아의 놀이성 및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가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허용적․수용적일수록 유아의 놀이성이 높았으며, 놀이성의 하위변인인 신체적․사회적․인지적 자발성과 즐거움의 표현, 유머감각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 둘째,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허용적․수용적일수록 유아의 또래 유능성이 높았으며, 또래 유능성의 하위변인인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허용적수용적일수록 유아의 놀이성 및 또래유능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어머니가 자녀의 정서표현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고, 정서를 공감하며 수용적이고 허용적인 태도를 보이고 격려 할 때에 유아들이 또래와의 놀이 속에서 잘 수용되고 친하게 지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의사결정유형 집단별 광고수용태도가 미용제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설옥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831

        연구는 소비자의 의사결정유형 집단별 광고수용태도에 대해 알아보고, 의사결정유형과 광고수용태도가 미용 제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여 향후 미용 산업의 발전과 제품 판매 촉진에 필요한 정보 및 학문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의 성별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 연령은 40대 이상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학력은 전체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대학교 재학 및 졸업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혼 여부는 기혼이 미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한 달 평균 소득은 전체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62.5%가 200만원 미만으로 나타났다. 직업은 학생, 주부, 전문직이나 사무직, 판매나 서비스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의 인구통계적 특성을 성별을 기준으로 비교하여본 결과는, 남성의 연령의 경우 20대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학력은 대학교 재학 및 졸업이 가장 높았다. 결혼 여부는 미혼이 기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한 달 평균 소득은 100만 원 미만이 가장 많았다. 직업은 학생, 전문직/사무직, 판매/서비스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연령의 경우 40대 이상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이하가 가장 많았다. 결혼 여부는 기혼이 미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한 달 평균 소득은 100만 원 미만이 가장 많았다. 직업은 주부, 판매나 서비스업, 학생, 전문직이나 사무직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사결정유형의 차원은 의존적 유형, 신중한 유형, 충동적 유형, 직관적 유형, 순응적 유형의 다섯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고, 분류된 다섯 가지 의사결정유형의 요인들을 기준으로 조사대상을 군집화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합리적 의사결정형, 직관적 의사결정형, 의존/충동적 의사결정형의 세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넷째, 미용제품 광고수용태도의 차원은 광고 호의, 구매 자극, 정보 신뢰, 부정적 인지의 네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고, 미용제품 구매행동의 차원은 합리적 구매, 상표 지향적 구매, 유행 지향적 구매, 경제적 구매, 고가/광고의존 구매, 경험/추천 구매의 여섯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다섯째, 합리적 의사결정형, 직관적 의사결정형, 의존/충동적 의사결정형집단의 미용제품 광고 수용 태도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들을 종합해 보면, 의사결정유형과 광고수용태도가 미용제품 구매행동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의사결정유형에 따라 광고를 수용하는 태도가 달라지고, 광고를 수용하는 태도에 따라서 구매행동이 달라지는 것으로 볼 때, 제품의 기능이나 품질도 중요하지만 소비자의 성향이나 광고의 내용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사결정성향과 광고수용태도가 미용제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본적인 연구가 될 것이며, 향후 미용 산업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앞으로도 본 연구에 이은 후속 연구들을 통해 이론적, 실무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깊이 있는 연구들이 계속되길 기대한다.

      • 장애아동에 대한 지식, 자아존중감, 공감능력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은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와 장애아동에 대한 지식척도와 자아존중감, 공감능력, 사회적 바람직성 변인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수용태도 하위 영역 중 인지적, 정서적 요소의 주요변인들을 분석하여, 시간적으로 제한된 장애관련교육에서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어떤 변인에 중점을 두어야 하는지 알아보는데 있고, 효과적인 장애관련교육과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총 394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변인의 기술 통계치를 산출하고, 장애 수용태도에 대한 하위요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 자기보고식 설문방법의 특성상 나타날 수 있는 사회적 바람직성을 통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바람직성 통제 하에 정서적 공감은 초등학생의 장애 수용태도와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장애에 대한 지식, 자아존중감, 인지적 공감은 유의미하지 않은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에 대한 지식 같은 인지적 영역은 장애수용태도에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정서적 영역의 자아존중감이나 인지적 공감도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수용태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공감 중에서도 정서적 공감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elementary students’ receptive attitude, knowledge yardstick, self-esteem, empathy ability and social desirability variables toward disabled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what variables to place emphasis on in order to improve non-disabled students’accommodation attitude on disabled students at time-limited education related to disabled students, analyzing main variables of cognitive and emotional elements among subordinate scopes of disability accommodation attitude, and the purpose is to help develop an effective curriculum and program related to disability. The values of descriptive statistics are calculat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from the data which are collected from conducting a survey of 394 schoolchildren of 5th and 6th grad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in order to know relative influence of subordinate elements about receptive attitude toward the disabled. In addition, social desirability is regulated which aris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elf-report type questionnaire method. The conclusion is that emotional empathy under regulation of social desirability suggested having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receptive attitude toward the disabled of elementary student, while knowledge toward the disabled, self-esteem and cognitive empathy are revealed as meaningless variables. In other words, it appears that cognitive scope such as knowledge about the disability doesn’t have an influence on the receptive attitude toward the disabled, nor do self-esteem of emotional scope and cognitive empathy. This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emotional empathy among it in making program to improve the receptive attitude toward the disabl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