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원작의 영화화 제작사례 및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만화, 소설이 원작인 한국영화 중심으로

        구나영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83

        본 논문은 지금까지 제작된 만화, 소설을 원작으로 갖는 한국영화의 현황과 사례들을 통해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원작이 있는 영화를 경험해 본 영화의 주 관객층인 20~30대를 중심으로 원작이 있는 영화를 이용할 때 어떤 요인이 영향을 끼치는지 측정함으로써 원작이 있는 영화가 흥행에 성공하기 위해 고려해야하는 요인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분석한 연구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작을 토대로 영화를 제작할 때에 원작의 스토리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원작의 유무와 관계없이 스토리는 영화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관객이 영화를 선택할 때 스토리를 가장 중요시하기 때문이다. 둘째, 만화, 소설을 영화화 할 때 원작의 내용을 그대로 따라 할 필요는 없다. 원작이 있는 영화의 성공요인은 원작에 충실했는가와 무관하다. 셋째, 원작이 있는 영화가 개봉하면 원작을 찾아보는 독자가 늘어나고 이미 원작을 읽은 독자는 영화에 흥미를 갖고 관람하게 된다. 특히 영화 관람 후 원작을 찾는 경우는 장르적 특성이 반영된다. 영화와 원작은 서로 다른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고, 영화 관람 후 원작을 찾는 경우는 범죄/수리/추리나 드라마를 장르로 가진 경우가 가장 높았다. 넷째, 원작자체가 대중들의 관심을 크게 불러일으킬 수 있는 작품이 아니라면 그 다음 중요시해야 할 요인은 마케팅이다. 영화에 대한 관객들의 흥미를 끌기 위해서는 몇 가지 요소를 선택하여 중점적으로 마케팅 해야 한다. 다섯 번째, 만화, 소설보다 영화가 대중에게 더 빠르게 영향을 끼친다. 현재 활성화 되어가는 만화,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 본 연구는 관객이 원작이 있는 영화를 선택할 때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어떤 것인지, 지금까지 제작된 원작이 있는 영화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었는지를 통합적으로 알아보고, 원작이 있는 영화가 흥행에 성공하기 위해 고려해야하는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OSMU (One Source Multi-Use) 활용한 뮤지컬의 현상에 관한 연구 : 소설 원작을 활용한 뮤지컬을 중심으로

        백옥기 동국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81

        다른 분야에서 활발하던 OSMU를 활용한 현상은 뮤지컬 업계에서도 점차 중요한 작품 개발의 기법이 되었다. 뮤지컬의 콘텐츠 개발에 있어서 완전히 새로운 콘텐츠를 창출하기 보다는 기존 있었던 소재에 의해 글 혹은 영상, 이미지부터 무대로 전환시키는 현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난다.소설이 원천 콘텐츠로 활용되는 것은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으며 지금까지도 여러 매체로 번안되는 작품이 상당수를 차지한다. 본 논문은 OSMU를 활용한 뮤지컬 가운데 충분한 주목을 받지 못한 소설 원작으로 만들어진 뮤지컬 사례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 原作小說과 脚色된 TV드라마의 受容樣相 比較 硏究 : 소설 <은비령>과 KBS 일요베스트 <은비령>을 중심으로

        김수연 동아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19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se and compare between styles of expression of novels and TV dramas. Novels and TV dramas have the transmission of a story in common. But they have many differences in the form of transmission of a story. So the contents that they have are transformed by the form of the media. Therefore, this thesis shows what its transform and preservation are when essential aesthetics that novels have transforms into imaginal aesthetics and analyses the impressive aspect of novels and TV dramas when an acceptant appreciates adapted TV dramas after they appreciate novels or the reverse. For this, the following is suggested in a concrete way. First,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escriptive structures of novels and adapted TV dramas? Second, what are transformed, eliminated, and added parts in the course of adaptation? And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ersonality of characters and the specific gravity of their roles in novels and TV dramas? Third, how are related the appreciation of the media with the acceptation and interpretation of works? Fourth, what do acceptants think of more impressive media? Also Why do they think so? Fifth, what is this basis that an adapted TV drama is a creation? To analyse this, I selected Soon-won Lee's novel, 「Eunbiryoung」 and 「Eunbiryoung」of KBS Ilyo Best as an exampl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escriptive structures of novels and adapted TV dramas had the difference of the plot. So novels were developed by a story with a mixed structural method. On the contrary, TV dramas had the subtitle in the middle of the story so as that they were developed simply. Second, as compared with novels, TV dramas transformed a little in characters and storylines and were eliminated the image of an original work, 「Baramkkot」. This points had more concrete motives so as that the ideal description of a novel reappeared as an image. And it needed the correction about storylines and characters in this course. Third, the appreciation of the media related with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 Also this showed that the last appreciation in the media was passive. Fourth, most of acceptants answered the contents of the first media were more impressive. To begin with, the reason original is more impressive is as follows. The description of inner psychology of characters was expressed insufficiently in TV dramas. And when characters met each other, it was so accidental that the strong image of melodramas was showed. On the contrary, the reason TV dramas are more impressive is as follows. It was showed that acceptants had strong feelings about the poetic structure, the aesthetics of an excellent image, and the sound track harmoniz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drama. Fifth, as a novel was imaged, the content of the novel didn't appear itself but was reinterpreted and recreated to harmonize with the property of the imaginal media. So I think, adapted TV dramas are apparent creations because of this reason In conclusion, there aren't the differences of reading novels or watching TV dramas in understanding about the same work. But there is the different of impression between reading novels and watching TV dramas. This i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formal language of the each media. Therefore, I think that novels and imaginal works are another creations. So it will be discussed that the criticism of the quality of works should be based on theory so as to interchange better novels and TV dramas.

      • 한국과 일본의 呼秤 및 指秤 연구 : 한·일 원작 소설과 번역본의 대조를 통하여

        진경애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32429

        한국과 일본의 呼稱 및 指稱 연구 -한·일 원작 소설과 번역본의 대조를 통하여- 진 경 애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어일문학과 지도교수 이 미 숙 사람을 부를 때 사용하는 「호칭(呼稱)」과 가리킬 때 사용하는 「지칭(指稱)」은 인간관계에서 매우 중요한 의사소통기능을 담당하며 시대의 흐름과 문화적 배경 및 사회상(社會相)을 반영한다. 「호칭」과 「지칭」은 화자의 감정, 심리적 상태 및 화자와 상대방과의 관계, 친소(親疎), 연령, 직업 그리고 장소와 상황 등 여러 요인에 따라 각각 다르게 표현된다. 이러한 점에 초점을 맞추어 본 연구는 한·일 원작 소설과 번역본의 대조를 통하여 한국과 일본의 「호칭」및「지칭」의 특징과 사용양상에서 나타나는 유사·상이점을 비교 분석하고 양국의 차이를 밝힘으로써, 효과적인 의사소통에 기여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한·일 원작 소설과 번역본에서 사용된 「호칭」및「지칭」을 개별어(종류)와 전체어(빈도)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한국 원작 소설은 「호칭」이 282회(73종), 「지칭」이 4,561회(246종) 사용되었고 일본어 번역본에서는 「호칭」이 262회(75종), 「지칭」이 4,030회(256종) 사용되었다. 즉, 일본어 번역본에서는 「호칭」 20회, 「지칭」 531회가 감소하였다. 한편, 일본 원작 소설은 「호칭」이 162회(56종), 「지칭」이 2,973회(212종) 사용되었고 한국어 번역본에서는 「호칭」이 152회(51종), 「지칭」이 3,178회(184종) 사용되었다. 즉, 한국어 번역본에서 「호칭」은 28회 감소한 반면, 「지칭」은 205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주어로 사용된 「호칭」및「지칭」의 생략이 가장 큰 원인이라 할 수 있으며 특히, 일본어 번역본에서 많았다. 또한 양국 모두 「호칭」에 비해 「지칭」의 사용이 많은데, 한국 원작 소설은 약 16배(호칭 282회, 지칭 4,561회), 일본 원작 소설은 약 18배(호칭 162회, 지칭 2,973회)나 된다. 「호칭」의 경우, 상대와 대면(對面)하고 있을 때 생략하는 경향이 있으나 「지칭」은 상대를 언급해야 하므로 생략이 어렵다. 한편, 「호칭」은 화자 및 청자의 외적인 요인(연령, 직업, 장소, 상황) 등에 의해 선택되는 직접적이고 일반화된 표현이 많지만 「지칭」은 외적인 요인과 더불어, 화자의 감정 및 심리적 상태에 따른 내적인 요인도 반영되기 때문에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 등을 이유로 들 수 있다. 다음으로 「호칭」및「지칭」을 사용양상에 따라 <인칭대명사 유형(1인칭・2인칭・3인칭 대명사)>, <이름 유형(성명·성(姓)·이름・애칭・별명)>, <친족명칭 유형(친족명・친족화(親族化)・종자명(teknonymy)>, <직업명칭 유형(직업명・직함명)>, <통칭 유형>, <회피적 표현 유형>등 여섯 개의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각 특징을 분석하였다. 한국 원작 소설은 여섯 개의 유형 중, 「호칭」으로는 <이름 유형(37.6%)>, <친족명칭 유형(22.0%)>, <회피적 표현 유형(13.5%)>, <직업명칭 유형(9.9%)>, <인칭대명사 유형(9.6%)>, <통칭 유형(7.4%)>의 순으로 사용하고, 「지칭」으로는 <이름 유형(49.9%)>, <인칭대명사 유형(25.5%)>, <통칭 유형(10.1%)>, <친족명칭 유형(9.4%)>, <직업명칭 유형(5.1%)>, <회피적 표현 유형(0.1%)>의 순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일본어 번역본의 경우, 「호칭」에서 <인칭대명사 유형>, <이름 유형>, <회피적 표현 유형>의 사용빈도는 증가하고 그밖에 유형은 감소하였으며,「지칭」에서는 여섯 개의 유형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원작 소설은 여섯 개의 유형 중, 「호칭」으로는 <이름 유형(46.3%)>, <회피적 표현 유형(24.7%)>, <친족명칭 유형(21.0%)>, <직업명칭 유형(5.6%)>, <인칭대명사 유형(2.5%)>순으로 사용하고 <통칭 유형>은 사용예가 없었다. 「지칭」으로는 <이름 유형(38.7%)>, <인칭대명사 유형(23.2%)>, <친족명칭 유형(20.0%)>, <통칭 유형(10.0%)>, <직업명칭 유형(7.5%)>, <회피적 표현 유형(0.6%)>의 순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한국어 번역본의 경우, 「호칭」에서는 <인칭대명사 유형>, <통칭 유형>이, 「지칭」에서는 <인칭대명사 유형>, <친족명칭 유형>, <직업명칭 유형>, <통칭 유형>이 증가하고 그밖에 유형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본어 번역본에서는 일본의 언어적 특징이, 한국어 번역본에서는 원작의 언어적 특징에 의한 간섭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유형별 분석에서 나타나는 특징 및 유사·상이점은 다음과 같다. 1) <인칭대명사 유형> 중 ‘1인칭 대명사’는 자기 자신을 지칭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일본의 경우, 화자의 성별에 따라 구별하는 특징이 있다. 양국 모두 ‘시점의 이동’에 의해 상대의 시점에서 자신을 ‘친족명’으로 지칭하기도 한다. ‘2인칭 대명사’는 상대를 호칭 또는 지칭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양국 모두 하대(下待)를 의미하므로 사용예가 많지 않다. 때문에 ‘2인칭 대명사’를 대신하여 ‘이름, 직함명, 통칭, 회피적 표현’ 등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마지막으로 ‘3인칭 대명사’는 「지칭」으로 사용되며, 일본의 경우, 아이에게도 ‘3인칭 대명사’를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 2) <이름 유형> 중 ‘성명’은 동등하거나 손아랫사람에게 사용하는 것으로, 일본의 경우, ‘성명’을 대신하여 ‘이름·성’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이름’은 양국 모두 가장 사용이 많은 항목으로, 한국의 경우, 「호칭」으로 사용할 때 격조사인 ‘-아・-야’를 붙여서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 ‘애칭’은 주로 일본에서 많이 사용되며, ‘이름’을 축약하거나 ‘-ちゃん’을 붙인 형태로 사용되는 특징이 있다. 참고로, ‘애칭’으로 사용된 ‘-ちゃん’은 한국어 번역본에서 ‘친족명(예: 언니)’으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마지막으로 ‘별명’은 한국의 경우, 상대를 낮추는 표현을 사용하고 일본은 상대의 특징을 묘사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3) <친족명칭 유형> 중 ‘친족명’은 본래 친족관계에서 사용되는 「호칭」및「지칭」을 말한다. 일본의 경우, 이형태(異形態)가 많고 「호칭」및「지칭」을 구별하여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 ‘친족화’는 ‘친족명’을 친족이 아닌 사람에게 사용하는 것으로, 주로 한국에서 많이 사용되며 이 경우, 일본어 번역본에서는 ‘친족화’를 대신하여 ‘이름’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종자명’은 한국의 특징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선행연구의 결과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사용예가 많지 않았다. 4) <직업명칭 유형> 중 ‘직업명’은 일반적으로 단독 사용이 가능하지만 한국의 경우, ‘직업명’에 ‘친족명’을 붙여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예: 버스기사 아저씨). ‘직함명’은 양국 모두 회사, 학교 등 장소 및 상황에 따라 선택되며 유일하게 상하관계가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5) <통칭 유형>은 일반적으로 「지칭」으로 많이 사용되며 양국 모두 ‘녀석, 놈, (이)자식’ 등과 ‘こいつ, やつ, 野郎’ 등과 같이 ‘비칭(卑稱)’이 사용되는 특징이 있다. 6) <회피적 표현 유형>은 유일하게 「지칭」보다 「호칭」의 사용예가 많은 유형으로, 특히, 일본에서 사용예가 많고, 양국 모두 직접적인 표현을 대신하여 「호칭」으로 ‘감탄사’를 사용하고 「지칭」으로 ‘방향’ 표현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이상, 한국과 일본의 「호칭」및「지칭」의 특징과 사용양상에서 나타나는 유사·상이점을 비교 분석하여 양국의 차이를 밝혔다. 언어와 문화는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호칭」및「지칭」과 관련된 양국의 언어와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무엇보다 교육 현장 및 한국어와 일본어 학습자를 위한 교재 등에서는 앞서 제시한 양국의 사회적·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호칭」및「지칭」에 대한 고려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는 교재로 학습한 것과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표현의 차이로 인해 혼란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본 연구가 양국의 이해와 교육 현장 및 외국어 학습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본 연구는 종래의 연구와 달리 「호칭」과 더불어 「지칭」까지 다루었다는 점과 기존의 설문 조사방식이 아닌 한·일 원작 소설과 번역본을 대상으로 조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보나, 조사대상이 많지 않고 분류방식이 미흡했던 점에 대해서는 차후의 연구 과제로 삼고자한다. 주제어 : 호칭, 지칭, 원작 소설, 번역본, 인칭대명사 유형, 이름 유형, 친족명칭 유형, 직업명칭 유형, 통칭 유형, 회피적 표현 유형 A Study on Address Terms and Reference Terms of Korea and Japan - A Comparative Study on Novels of Korea and Japan and Their Translations - Jin, Kyung Ae Department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Lee, Mi Suk 「address terms」, which is used when calling or addressing someone and 「reference terms」, which is employed when pointing to something, are in very important charges of functions for communications in human relationships and reflect the images of its own society, including the cultural backgrounds and the flows of the eras. 「address terms」, 「reference terms」, are differently expressed depending on such the many states as the speaker's emotion, the psychological condition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peaker and listener, the degree of intimacy, ages, vocations, the related places and situations, and so on. Focusing on this immediate fact with the help of collating the original novels of Korea and Japan with the translated versions, this present study is going to compare and analyze the sameness and differences, to fathom out the discrepancies of two nations. Resultingly,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give an assistance or aids for the efficacious mutual communications. To begin with, the individual words(kind) and the whole words(frequency) of 「address terms」 and 「reference terms」are classified, which are put to use both in the original novels of Korea and Japan and in the translated versions. As a result of this classification, in the original versions of Korea 「address terms」appears in the 282 cases(all sorts of 73) and 「reference terms」does in the 4,561 (all sorts of 246), while in the translated versions into the Japanese, 「address terms」occurs in the 262 cases(all sorts of 75) and 「reference terms」does in the 4,030 (all sorts 256). In the course of the translations, 「address terms」has decreased by 20 times, and 「reference terms」has by 531 times. On the other hand, on the occasion of the original versions of Japan, 「address terms」comes out in the 162 cases(all sorts of 56) and 「reference terms」does in the 2,973(all sorts of 212), while in the translated versions into the Korean, 「address terms」presents itself in the 152 cases(all sorts of 51) and 「reference terms」does in the 3,178 cases(all sorts 184). In the process of the translations, 「address terms」has gone down by 28 times, but 「reference terms」has gone upward by 205 times. These upshots results strongly from the emission of the「address terms」and the「reference terms」which are used as subjects. In particular, this phenomenon emerges in the Japanese-translated visions with high frequency. In both of two countries, the number of 「reference terms」is much more, compared with that of 「address terms」. To spell it out concretely, in the Korean original versions, there are about 16 times (「address terms」: 282 cases, 「reference terms」: 4561 cases). However, in the Japanese original versions, there are about 18 times(「address terms」: 162 cases, 「reference terms」: 2973 cases). For 「address terms」, it is likely to be omitted when the speakers are confronted with the listeners. while 「reference terms」is unlikely to fall into ellipsis because of the needs to point to the counterparts. In the meantime, there can be some other reasons for the above fact this. 「address terms」has a lot of direct and generalized expressions which have been chosen for the outer factors(age, jobs, situations) of speakers and listeners alike mean, while 「reference terms」is various on the reason of the fact that it reflects the inner factors depending on the emotions and psychological states along with the outer factors Second, according to the usage-aspects, 「address terms」and「reference terms」are divided into six items and are explicated: <the pattern of personal pronoun(the first person, the second person, and the third person)>, <the pattern of name(full name · surname · name · endearment · nickname)>, <the pattern of the addressing of consanguinity(name of relatives · affiliation · teknonymy)>, <the pattern of job-name (name of the job, name of the position>, <the pattern of alias>, <the pattern of the elusive expressions>. In the original versions of the Korean, among the six patterns, <the pattern of name(37.6%)>, <the pattern of the addressing of consanguinity(22.0%)>, <the pattern of the elusive expressions(13.5%)>, <the pattern of job-name(9.9%)>, <the pattern of personal pronoun(9.6%)>, and <the pattern of alias(7.4%)> are employed as 「address terms」, and then, <the pattern of name(49.9%)>, <the pattern of personal pronoun(25.5%)>, <the pattern of alias(10.1%)>, <the pattern of the addressing of consanguinity(9.4%)>, <the pattern of job-name(5.1%)>, and <the pattern of the elusive expressions(0.1%)> in sequence are utilized as 「reference terms」. In the translated versions into the Japanese, the frequency of the use as 「address terms」, for the pattern of personal pronoun, the style of name, and the pattern of the elusive expressions grow to be increased, furthermore, the other patterns and 「reference terms」are found to be decreased. In the original novels of the Japanese, among the six patterns, <the pattern of name(46.3%)>, <the pattern of the elusive expressions(24.7%)>, <the pattern of the addressing of consanguinity(21.0%)>, <the pattern of job-name(5.6%), <the pattern of personal pronoun(2.5%)>, and <the pattern of alias(0.0%)> are presented as 「address terms」. In the meanwhile, <the pattern of name(38.7%)>, <the pattern of personal pronoun(23.2%), <the pattern of the addressing of consanguinity(20;.0%)>, <the pattern of alias(10.0%)>, <the pattern of job-name(7.5%)>, and <the pattern of the elusive expressions(0.6%)> is orderly made use of as 「reference terms」. In the translated versions into the Korean, both <the pattern of personal pronoun> and <the pattern of alias> as 「address terms」are augmented. Likewise, <the pattern of personal pronoun>, <the pattern of the addressing of consanguinity>, <the pattern of job-name> and <the pattern of alias> as 「reference terms」are increasingly used. However, the other patterns lessens. That is, we can understand that the rendered versions into the Japanese exude the linguistic peculiarities of the Japanese, while the rendered versions into the Korean reflect the interruption of the originals. Lastly, the traits and the parallels which show up in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first person' among <the pattern of personal pronoun>, which is put to use to delineate oneself, is characteristic of being discerned in terms of the sexes of the speakers. Both nations point to himself or herself as <the pattern of the addressing of consanguinity> in the counterparts' position in range of the displacement of 'point of view'. 'The second person', which is put into practice when 「address terms」and「reference terms」the opponents, is barely applied because it suggestively betrays inhospitality. That is why there is a tendency in the two nations that 'name, addressing in the position, alias, and the elusive expression' are implemented instead of 'the second person'. Finally, being relative to 'the third person' which represents 「reference terms」, Japan has the feature that it is exploited for children as well. 2) 'Full name' in <the pattern of name> is for the one's juniors or the equivalents with the speakers , but then, in case of Japan, ‘name·surname' replaces 'full name'. 'Name’ occurs with the highest frequency in Korea and Japan. Specifically, in Korea, the distinctive is that when used as 「address terms」the case makers of the ‘-ah·-yai' falls right behind name. 'Endearment' much turns up in Japan. as the abbreviated 'name' or the form which 'chang’ is added to. For reference, ‘chang’ as 'endearment' tend to be rendered into <the addressing of consanguinity(ex, Unyi). On the other part of the spectrum of <the pattern of name>, in respect to 'nickname', it is for ignoring the opponents in Korea, which is representative of the outstanding aspects of the listeners in Japan. 3) 'Name of relatives' in <the pattern of the addressing of consanguinity> primarily means 「address terms」and「reference terms」which are used in the relationships of kin. In Japan, the many different forms exist and, 「address terms」and「reference terms」are characteristically differentiated. 'Affiliation' is to apply 'the name of relatives' to the person who is not relatives, which mainly takes place in Korea. In the rendered versions into the Japanese, 'name' is likely to take the place of 'Affiliation'. 'Teknonymy' is known as the feature of the Korean language, however, it does not appear in this present research, being different from the precedent studies. 4) 'Name of the job' in <the pattern of job-name> is possible to avail itself of in singleness. Still, there lies the tendency that the 'name of relatives' is added to the end of the 'Name of the job' in case of Korea(ex, Bus-driver Ahjussyi). The 'name of the position' is to be culled depending on the such situations as one's company, schools, and places. It is exclusively and characteristically revealing the vertical relationship, namely the hierarchy. 5) <The pattern of alias> is usually employed as 「reference terms」, and used as 'yaesug, nom, jahsig, etc' and ‘koitsu, yatsu, yaroo’ with non-referentiality. 6) <The pattern of the elusive expressions>, which has more「address terms」than「reference terms」, is more practiced in Japan. There is a similarity that instead of the direct expressions, 'interjection' is exploited as「address terms」, and the representation of 'direction' is as 「reference terms」.in both nations Like all of the above, the differences have gotten to be fathomed out through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arallels and dissimilarities which emerge on the aspects and the features of 「address terms」and「reference terms」. Language and culture are never thought to be separate. It is kind of a desire that this research would grow to be helpful for the effective communication on the base of the understanding of both language and culture regarding「address terms」and「reference terms」through this study. Most of all, there is no consideration about 「address terms」and「reference terms」concerning the previously-presented social and cultural traits of the two nations on the text for the students of the Korean and the Japanese on the spot of education. Thus, it is natural for students to get confused because of the disparities of expressions between the text-study and the real life. It is wished that this present research would be even at least aids for the real scene of education and the learning of the foreign language, including the comprehension of both nations. This present research has the meaningfulness in that 「reference terms」along with 「address terms」is dealt with, being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esearches and the original novels of Korea and Japan is studied. However,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re not so many and the way of the classification is insufficient, which is proposed to remain as one of the tasks for next studies. Key words : address terms, reference terms, original novel, translated versions, the pattern of personal pronoun, the pattern of name, the pattern of the addressing of consanguinity, the pattern of job-name, the pattern of alias, the pattern of the elusive expressions

      • 소설 원작 가족영화의 청소년 캐릭터 연구 : <우아한 거짓말>과 <두근두근 내 인생>을 중심으로

        김민경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3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characters in the original family movie of the novel and to examine the meaning of youth characters' independence and reproduction of youth characters in family movies. Based on traditional familyism and modern familyism, family movies based on novels in the 2000s developed many family discourse, but most of them were based on family love. In addition, even in this day and age, normal family or patriarchal ideology has not disappeared, and it has been found that it has crossed the boundary between collapse and maintenance.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characters who engage in family love or various family discussions were different. Based on traditional familyism and modern familyism, family movies in the 2000s created options such as "deficiency/non-deficiency", "family love/resistance", and "subordinate/independent" and analyzed the youth characteristics of family movies based on novels in the 2000s. Through this,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characters heaven and earth in <!-- Not Allowed Tag Filtered --><Thread of Lies> and <!-- Not Allowed Tag Filtered --><My Brilliant Life> showed that the youth characters are trying to express their complex character to secure their own independence. This also appears in comparison with the original novel, but both works have reduced their independence compared to the original novel. In conclusion, through the above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the youth characters in the 2000s novel's original family movie have implications for "possibility of independent personality," "strategic adultization," and "multiple personality struc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paper's research, we hope that more diverse youth characters will be created and studied in the family movie based on the novel. 본 논문은 소설 원작 가족영화의 청소년 캐릭터의 특성을 알아보고 청소년 캐릭터가 가족영화 속에서 가지는 주체성과 청소년 캐릭터 재현의 함의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전통 가족주의와 현대 가족주의를 토대로 2000년대 소설 원작 가족영화는 여러 가족 담론을 펼쳤으나 대부분 가족애를 바탕으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현시대에도 정상 가족 혹은 가부장 이데올로기는 없어지지 않고 남아 몰락과 유지의 경계를 넘나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가족애 혹은 다양한 가족 담론을 펼치는 청소년 캐릭터의 특성은 서로 달랐다. 2000년대 가족영화는 전통 가족주의와 현대 가족주의를 토대로 ‘결핍/비결핍’, ‘가족애/저항’, ‘종속적/독립적’이라는 선택지를 만들었고 2000년대 소설 원작 가족영화의 청소년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우아한 거짓말>과 <두근두근 내 인생> 속의 청소년 캐릭터 천지와 아름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청소년 캐릭터는 자신만의 주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복합적인 성격을 드러내는 등의 노력하고 있으며 실제로 자신만의 성장의 과정을 거치고 있으나 미성년이라는 사회적 지위 때문에 여전히 완전히 주체성을 획득한 독립적인 캐릭터는 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원작 소설과 비교해서도 나타나는데 두 작품 모두 원작 소설에 비해 그 주체성이 축소되었다. 위의 분석을 통해 결론적으로 2000년대 소설 원작 가족영화의 청소년 캐릭터가 ‘주체적 성격화의 가능성’, ‘전략적 성인화’, ‘다중적 성격 구조’라는 함의를 가지고 있음을 밝혀냈다. 본 논문에서 연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설 원작 가족영화 속에 더 다양한 청소년 캐릭터가 탄생하고 또 연구되기를 바란다.

      • 1960년대 한국과 이집트 문학 원작 영화에 나타난 지식인상 비교 연구

        Alaa Fathay Elewa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2380

        비교문학의 시작을 18세기부터라고 여긴다면, 현재까지 이에 관한 연구는 직접적인 영향 관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지었는데, 물론 이는 서양 문학 위주로 진행되었다. 그리고 오랫동안 비교문학은 서양문학과 다른 문학의 관계라는 제한 속에서 일방적 영향 관계의 역사를 검토하는 관점을 보여주었고 그럼으로써 차이점과 유사점을 밝히는 데 그쳐, 특정한 예술적 현상의 탄생이나 번창 또는 쇠락의 조건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한편, 이러한 관계, 혹은 서양 문학의 지배적인 특질에서 벗어난 비교문학은 새로운 연구 분야를 발견한다. 영향 관계 속에서 해명되지 못한 문학 현상, 특히 관계가 없는 서로 다른 나라에서 뚜렷한 영향 관계 없이 동시적으로 출현한 문학적 현상을 관찰하고 설명하는 것은 비교문학의 새로운 임무가 되었다. 이는 문학 경험의 통일성의 가설 하에 이루어진 것이다. 한국과 이집트 같은 경우에도 이 새로운 관점을 적용한다면 양국 간의 비교 연구는 어느정도 수월해질 수 있다. 그리고 두 나라의 문학을 비교하는 데 있어 제3의 문학을 거치지 않고 양쪽의 문학 경향을 제한없이 관찰하는 방향으로 연구의 범위를 넓힐 수 있다. 이 중에서 문학 원작 영화를 연구의 주제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영화가 발전하는 과정에서 생긴 형식과 내용의 변증법이 문학을 원작으로 한 영화라는 방향으로 귀결되었다는 바쟁의 주장을 알아봤다. 이를 바탕으로 두 국가의 영화산업의 경향을 포괄적으로 해석하고 세계적인 현상으로서 문학을 원작으로 한 영화들의 첫 출발점을 찾기 위해서 1960년대 이전에 영화에 대해서 다룬 기사를 살펴보았다. 1950년대부터 나타나는 것처럼 한국 영화가 양적·기술적으로 발전되어 가고 있었지만 빈곤한 내용에 대한 불만의 소리가 계속 이어지자 문학 작품을 영화화하는 경향이 시작되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이집트에서도 1950,60년대 영화와 문학의 관계에 관한 수많은 기사들이 지속적으로 실렸다. 이 중에서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외국 영화를 주목하는 글, 이집트 영화의 현황에 관한 글뿐만 아니라 유명한 작가가 영화에 대해서 논한 글도 있었다. 두 국가의 내적 조건을 파악한 뒤 영화에 영향을 미친 실제 정책을 살펴봤다. 두 국가에서 영화 정책의 실제 실행이 앞서 살펴본 내적 조건 보다 후에 시작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정책들은 문학을 원작으로 한 영화의 시발점이 되지는 않았으나 다른 나라에서 빨리 사그라진 문학 원작 영화의 경향이 두 국가에 오랫동안 수명을 유지할 수 있게 도와주었다는 것을 밝혔다. 이 연구는 다음으로 한국과 이집트 영화에 나타나는 지식인상을 분석했다. 먼저 한국 영화에 등장하는 지식인상을 알아봤다. 1960년대 한국의 다양한 작품을 분석한 결과는 1960년대 초반과 후반에 한국 영화에서 등장하는 지식인상이 서로 다르다는 것이다. 이는 권영순의 <흙>의 허숭과 신상옥의 <상록수>의 채영신과 박동혁, 세 인물을 통해서 알아봤다. 이광수의 동명 소설을 재해석한 1960년 작 <흙>의 허숭은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찾는 데 성공하지만, 계몽이라는 지식인의 의무에 있어 부족한 면을 보여 주고 있다. 그는 농촌으로 가기 전에 농촌 운동 실천에 대한 자세한 생각을 보여주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농촌 운동을 추상적으로 그린 이 영화는 당시 국가 건설에 대한 큰 열망을 가진 동시대의 사람들이 혼란스러운 정치 상황 속에서 이를 실천하는 방법을 고민하는 모습을 보여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상록수>의 채영신과 박동혁은 각각 1960년대 당시 사회가 필요하는 지식인의 두 태도를 취하고 있다. 교육자형 지식인의 역할을 맡은 채영신은 샘골 아이들, 농민들과 소통하려고 한다. 이러한 소통을 통해서 지식인과 대중의 관계가 성립된다. 즉, <상록수>는 비록 대중을 계몽의 대상으로 연출하였지만 그 당시 지식인과 대중의 관계에 대해 주목하고 이에 대한 관심을 보여 주는 선구적인 측면이 있었다. 한편 박동혁은 국가재건과 경제 개발에 필요한 체계적 기획력을 갖고 있었으며 당시 현실 지식인들이 추구한 젊고 강한 혁명적인 지도자를 대표하였다. 4.19 혁명과 5.16 쿠데타에서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영화계에 등장하는 지식인, 계몽자로서 지식인의 모습이 사라진다. <안개>의 윤기준은 고독, 권태, 침체, 즉 현대 젊은 현대인들의 무기력함을 상징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현대 사회에 선택과 자유가 한정됨에 따라 그에 대한 책임 역시 한정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장군의 수염>에서는 언제나 타인과의 관계에 대해 고민하는 지식인의 모습을 알아 보았다. <장군의 수염>을 통해서 김철훈의 고독이 하나의 특정한 역사적 사건이나 소설에서 드러나는 공간적, 시간적 배경에 한정된 것이 아니다. 그의 고독은 흔히 풍습, 종교, 사상 등과 같은 다양한 가면 뒤로 숨는 획일주의로부터 파생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시발점>에서는 일제식민지 말기, 해방, 한국전쟁, 4.19 혁명과 5.16 쿠데타, 군사 정권의 개발주의까지 오랜 기간 동안 다양한 정치적 상황을 경험한, 자아를 찾는 데 실패한 ‘나’를 살펴 봤다. 혼란스러운 시공간을 거치면서 이념적 갈등이 일어나는 것은 당연하다. 극도로 이념적 자유가 축소된 상황에서 그에게 허락되는 사상이 억지로 강요되지만, 그는 형과 달리 전쟁이라는 고유한 경험을 겪지 않았다. 무엇을 표현해야 하는지 모르고, 그 어떠한 것도 책임지는 것을 거부하는 ‘나’의 태도는 이러한 이념적 갈등으로부터 파생된 것으로 분석하였다. 1960년대 이집트 문학 원작 영화에 등장한 지식인을 크게 세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첫째는 <열린 문>과 <부드러운 손들>이다. 이 영화들은‘모순된 지식인의 발견’이라는 테마 안에서 살펴봤다. 1954년 지식인 위기 후에 권력과 대중의 신뢰를 잃은 지식인은 양측의 비판 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비판은 앞서 언급한 영화에서 알아 봤다. 두 번째는 지식인과 대중의 갈등을 보여주며, 지식인의 태도를 정당화하려고 하는 영화들이다. <산>, <움므 하심의 램프>가 그것이다. <산>은 근대화에 있어 적합한 방법이 무엇이냐 하는 문제를 다룬다. 이 영화는 해결책을 마련하지 못하는 절망적 결말에서 지식인과 대중 간의 단절을 나라의 발전을 막는 핵심적 원인으로 지적한다. <움므 하심의 램프>는 고등교육을 받거나 서양으로 유학 혹은 이주하는 상대적 상위계층에게 애국심을 고취시키고자 하는 의도를 지닌 작품이다. 이를 위하여 영화에서는 동양과 서양을 고정관념에 의존하여 보여주는데, 동양의 서정적 정서를 부각시키는 동시에 이것이 부재하는 서양을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우체부>는 원작 소설과 달리 지식인과 대중의 관계에 집중하지 않고 있으며 이집트 시골의 모습과 그로 인한 문제들을 다루었다. 이 중에서 특히, 남성주의 사회에‘명예’를 회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진 살인 사건들은 명예를 위하여 여성을 희생시키고, 희생시키는 자들이 남성이라는 점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가지게 한다. 시골의 문제는 남성주의 사회와 약자로서의 여성을 주제로 삼은 이 영화는 끝내 해결책을 제시하지는 못하며 상업적 목적 때문에 문제를 다소 과장하면서 관객의 감정을 자극하고자 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권력에 대한 지식인의 고발을 한 영화 <시골의 검사 일기>가 있다. 이 영화는 제 3차 중동 전쟁 후 사회적으로 이루어진 표현의 자유의 권리와 이를 용납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탄생한 영화다. 정확한 목적을 갖고 있는 이 영화는 사회의 세 구성원들인 정부, 대중, 지식인 간의 상호 작용을 보여 주었다. 마지막으로 양 국가의 현실 지식인과 영화에서 반영된 지식인의 관계를 알아봤다. 1960년대 한국과 이집트 영화에서 등장하는 지식인의 양상은 당대 사회적인 여러 조건과 정치적 상황으로부터 파생된 결과였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 논문은 한국과 이집트에서 제작된 문학을 원작으로 한 영화를 세계적 현상으로 위치 지으려는 시도이다. 두 나라의 영화들은 개별적으로 연구되어왔지만, 이 논문을 통해서 당시 영화들에 대한 새로운 연구를 시도하는 것을 기대한다. Films of the 1960s in both Korea and Egypt share many common characteris-tics. These include the main trend of the film industry, in addition to some of the political situations. The Thesis examines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n and Egyptian films of 1960’s when adaptation of novels was the main cine-matic trend. The first part of the thesis investigates the background behind the emergence of such trend in connection with other examples from world cinema. Based on André Bazin’s thoughts and other examples of novel adaptation into films in the 1940-60s in Europe and North America, it becomes apparent that the trend in both South Korea and Egypt can be explained as an international phenom-enon. This part also explores the different situations and policies that influenced film production in both countries in the 1960s’, and it concludes that political situa-tions and policies could have helped in the continuity of such trend, but it is diffi-cult to consider these as the main reason for its creation. In the second part of this study, I analyze the role of intellectuals of both coun-tries, as reflected in both cinemas of 1960’s. Characters appearing in South Korean and Egyptian films of the 1960’s, share a multiplicity of common features. In ana-lyz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films and reality, the study focuses on intellectu-als’ characters. Defining the relation between the intellectual and the state after the April Revolution and May 16 coup in South Korea and the Egyptian revolution of 1952, is the main purpose of my research. For this purpose, I examined the charac-ters of intellectual in Korean films: Soil (1960), Evergreen (1961), Mist (1967), The General’s Mustache (1968) and Starting Point (1969) and Egyptian films: The Open Door (1963), Soft Hands (1963), The Mountain (1965), The Lamp of Umm Hashim (1968), The Postman (1968) and Dairy of a Country Prosecutor (1969). There are plenty of studies about South Korean and Egyptian films of the 1960’s, but what has been missing in those studies is the comparative prospective which can lead to a new understudying for the 1960’s film trend in both countries. This study can be a fruitful starting point to more comparisons of different national films to provide a comprehensive image about links between world cinema.

      • 소설 『웃는 남자』의 뮤지컬 전환 연구 : 서사 방식과 시·청각의 변용을 중심으로

        소유정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51

        원작 소설의 무대화는 곧 장르의 변화를 의미하기 때문에 각색 단계에서 내러티브변용 뿐만 아니라 표현 방식에도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다. 소설에서 뮤지컬로의 매체 전환은 1차원에서 3차원으로의 변형이기 때문에 결국 언어적 표현의 시·청각화가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소설과 뮤지컬이 상이한 특징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문학 소설이 지속적으로 뮤지컬로 변용되는 까닭을 밝히고, 이것이 어떤 방식으로 각색이 이뤄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 가장 핵심으로 여기고 있는 시·청각적 요소의 변용에 특히 주목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연구 대상으로 소설 『웃는 남자』와 뮤지컬 <웃는 남자>로 선정했으며, 소설 『웃는 남자』에서 뮤지컬 <웃는 남자>로 변용되는 과정에서 시·청각적 요소의 변화를 통해 작품의 메시지와 의미를 어떻게 녹이고 구현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매체 전환과 각색에 관련된 선행연구 및 문헌 조사를 통해 매체 전환의 개념과 유형, 각색의 의미와 방식을 알아보았다. 이후 뮤지컬의 시·청각적 요소가 수용되는 방법을 분석하기 위해 소설과 뮤지컬의 차이점과 뮤지컬만이 가지는 시·청각적 구성요소에 대해 정리하여, 이를 토대로 ‘뮤지컬의 시·청각적 변용 연구’를 위한 관점을 확립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정립을 바탕으로 소설 『웃는 남자』를 뮤지컬 <웃는 남자>로 매체 전환 시 소설이 뮤지컬로 어떻게 변용되어 나타났는지 서사 방식과 시·청각적 변용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뮤지컬 <웃는 남자>는 원작 소설의 서사를 최대한 활용하여 뮤지컬로 전환한 점과 소설의 주제와 메시지를 뮤지컬의 다양한 시·청각적 요소를 통해 충실하게 구현한 점, 더불어 현대적 관점에서 대중들이 모두 공감할 만한 보편적 욕망인 ‘행복’의 주제를 더하여 상징적이고 함축적으로 무대에 구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When the original novel gets transformed into a stage production, the genre chang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ok at not only the change in narrative, but also the way to express the media in the adaptation stage. In other words, visualization and audioization of the linguistic expression are the key of the media transition from novel to musical because it is a transformation from one dimension to three dimensions. This raises questions about why literary novels are continuously transformed into musicals even with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novels and musicals, how novels are being arranged for the stages, and how visual and auditory elements are being used during the arrangement. Accordingly, this paper selected the novel "The Man Who Laughs" and its musical counterpart for research. This research analyzed and examined how the meaning of the message was conveyed and how perfectly it was implemented mainly based on the visual and auditory elements in the transformation process. The research stages are as follows. The concepts and the types of media transformation and the meanings and the methods of the adaptation through preceding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related to media transformation and adaptation. In order to analyze how the visual and auditory elements of musicals are adapted, the differences between novels and musicals and the visual and auditory components of musicals were summarized in this paper. Based on this, a perspective for the study of visual and auditory transformation of musicals was established. This paper compared and analyzed how the novel "The Man Who Laughs" was converted into a musical, focusing on the narrative techniques and the visual and auditory transforma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concept and perspective established in the earlier stage of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novel "The Laughing Man" was arranged into a musical symbolically and implicitly by getting the best of the original novel's narrative, implementing the novel's theme and message through various visual and auditory elements, and adding ‘happiness’ as its theme, which is a general desire of people in the modern perspective.

      • 일본소설을 원작으로 삼은 한국영화의 각색 연구 : <화차>와 <용의자X>를 중심으로

        나카츠카 에미코 동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32351

        本論は、日本の小說を原作とした韓國映畵が相次いで製作されているにも關わらず、それほどまでに興行的成功を收めていないという点に着目し、興行的成功を分けているのが小說から映畵への脚色過程にあると考え、實際に作品を原作小說と比較し、その原因を探る事を目的としている。 近年、なかでも日本のミステリ-小說を原作使用する傾向にあり、過去これまで日本の小說を原作とした韓國映畵のうち最も多くの觀客動員數となる243万人を記錄したピョン·ヨンジュ監督の「火車」(原作:宮部みゆき「火車」)と、ドラマや映畵の影響により原作者の名前が韓國內でも一定の知名度を持っているパン·ウンジン監督の「容疑者X」(原作:東野圭吾「容疑者Xの獻身」)を、それぞれ比較の對象とした。 作品分析の前に、まず韓國映畵の原作使用の歷史を見ていくと、初期の頃から古典や現代小說などが映畵の原作として使用されているのが確認でき、日本の大衆文化開放が始まってからは日本のドラマや漫畵を原作として使用され始めた。その中で日本の現代小說の飜譯本數も增えたことも少なからず映畵製作にも影響を與えた。以前、ミステリ-を扱う韓國映畵は極端に少なかったが、2000年代中頃にミステリ-や犯罪を扱った韓國映畵が興行的に成功したのを受け同ジャンルの需要は廣がった。そこに、單純にミステリ-を解いていくだけでなく、社會問題や特徵的な登場人物を事件と絡め、共に物語を展開していくところが日本のミステリ-小說の魅力であるとされ、次第に韓國映畵の原作としても多く選擇されるようになった。 「火車」は、物語の軸は原作通りであるが、スト-リ-展開における話者の置き換え、結末を大膽に變える等、變更箇所も多く見られる脚色であった。また、原作小說には登場しなかった人物を映畵では登場させ、その人物の生き樣をありありと見せつける事で物語の悲劇性や殘忍さを强調させ觀客の視線を固定させる結果となった。變化が多く見られる脚色ではあるが、原作が持っていた“社會の犧牲者”という意味は失われることなく、表現が多く異なる中でも原作の意識は大きく受け繼がれた脚色であった。 「容疑者X」は、全體的には原作に忠實そのものであるが、過去に日本で映畵化されている事もあり、原作の中心にある“天才二人の頭腦戰”ではなく、ひとりの男の“獻身的な愛”に焦点を當てた脚色となった。原作の人物を一人削除し設定のみを別の人物に統合させた事で、ミステリ-の構造は縮小され、また削除された人物が“獻身的な愛”の觀察者の役割も擔っており彼の視線により物語が進行していたが、映?ではそれも十分に見せる事ができず、觀客自身が客觀的な觀察者となり結果的に物語の中の誰かに感情移入がし難い構成となった。また、原作の結末には、日本の代表的な美的理念といえる“もののあはれ”を見る事が出來るが、映?では若干表現が異なっており、これは失う事で美を感じる日本と、完全なる形の美しさを好む韓國との美意識の違いから起こったものと言える。これら變化により、原作本來の意識はいくらか縮小された形での脚色となった。 二作品に共通して言えるのは、ロマンスや扇情的な場面が原作よりも多く見られる点である。これは、映畵が小說よりも商業性が高いメディアである以上、興行を意識するならば大衆的要素は不可欠である爲に起きた脚色變化であると言える。ミステリ-小說を原作とする場合には、原作の醍호味とされる推理を軸に、大衆的要素や物語に集中できる觀客の視線を意識した構成を組んでの脚色が重要となる。

      • 소설과 드라마의 상호적 읽기 :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소설과 드라마의 내용과 형식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이현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351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in each of the three realms: the story, the discourse, and the context. It also tried to draw a deeper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the narrative genre through mutual reading of novels and dramas. Chapter 1 presented research purpose, research history review, research methods, and scope of research. The review of research history was examined in four parts; A Study on the Reality of Industrialization in the 1970s of the novel『dwarf』, A Study on the Unique Expression Techniques used by Cho Se-hui to criticize problems sharply through the field of labor, A Comparative Study on the Narrative Transformation of the novel and drama『Dwarf』, A Study on the Analysis of Visual Techniques in the Drama『Dwarf』. Chapter II looked at the real perception of the 1970s in the novel 『Dwarf』. Due to low production costs and industrialization based on export-oriented industrial systems, this study looked at the appearance of workers who should have worked in poor conditions and confirmed that 『Dwarf』 emerged in the 1970s with a speciality of the times. Unlike other novels of realistic style, 『Dwarf』 exposed the lives of workers and employers to the world through various forms, metaphorical expressions and style. Metaphors and stylistic features show how the dwarf is maximizing the reality. This study classified the types of metaphors and styles and presented their meanings and effects. Chapter III looked at the value of the drama『Dwarf』as a visual literature. The HD TV Literature-theater, where the drama『Dwarf』aired, is aimed at re-interpreting literature by current perspective. The drama adapted a series of short stories, 『The Mobius band』,『The knife-edge』 and 『The small Ball shot by a Dwarf』 The drama『Dwarf』reinforced reality through technical features such as short and angle, visual images and fantasy elements. This study looked at how the fantasy shown in the drama『Dwarf』relates to reality and plays a functional role. Chapter IV intended to activate the mutual reading of novels and dramas through comparison of story areas, contrast of speech (discussion) areas, and exploration of context. Mutual reading followed the suggestion made by Park(2007). First this study compared the common feature of the story, such as characters and plots. Next, it contrasted the discourse, such as the formal differences in time and description. Finally, it explored the communication-situation context and socio-cultural context of novels and dramas. Although the adapted drama reduces social problems to family problems, The drama showed social problems of the 1970s through family: poverty and the grief of day laborers, conflict and unemployment in labor-management relations, redevelopment and the grief of migrants. This study conducted a mutual reading based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novel and drama for a deeper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Dwarf』 Although the original novel and adapted drama developed the story through different mediums of writing and video, they we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to activate the mutual reading of novels and drama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content and form for a deep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the narrative genre. 본 연구는 소설『난쏘공』과 드라마『난쏘공』의 내용과 형식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는 논문이 아주 적다는 점에 착안하여, 소설과 드라마가 이야기의 영역, 표현(담론)의 영역, 맥락의 영역 등 각 3가지의 차원에서 어떤 차이점과 공통점이 있는지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소설과 드라마의 상호적 읽기를 통해 독자로 하여금 서사 장르에 대한 더욱 깊이 있는 이해와 감상을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Ⅰ장에서는 연구 목적 및 연구사 검토와 연구 방법 및 연구 범위를 제시하였다. 연구사 검토는 크게 소설『난쏘공』이 다루고 있는 1970년대 산업화 시대에 대한 현실 인식에 대한 연구, 산업화시대의 문제점을 노동의 현장성을 통해 날카롭게 고발할 때, 조세희가 사용한 독특한 표현기법에 대한 연구, 소설과 드라마『난쏘공』의 서사적 변용에 대해 비교 분석한 연구, 드라마『난쏘공』에 나타난 영상적 기법을 분석한 연구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소설『난쏘공』에 나타난 1970년대 현실인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낮은 생산비와 수출 중심의 산업 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산업화로 인해, 비인간적 대우를 받으며 열악한 환경 속에서 근무했어야 했던 노동자의 모습을 살펴보고, 『난쏘공』이 1970년대 시대적 특수성을 담아내며 출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난쏘공』은 리얼리스트적인 문체의 다른 소설들과 다르게 다양한 형식과 은유적인 표현, 문체를 통해 노동자와 사용자의 삶을 세상에 폭로하였는데, 『난쏘공』속에 나타난 은유적인 표현과 문체의 특징을 통해 『난쏘공』이 어떻게 리얼리티를 극대화 시키고 있는지 각 유형을 분류하고 그 의미와 효과를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영상문학으로서의 드라마『난쏘공』의 가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드라마『난쏘공』이 방영된 HD TV문학관은 영상과 문학의 만남을 주선하여, ‘문학을 현재의 관점으로 재해석’하려는 목적을 갖는 프로그램으로, 연작집『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내의 단편 「뫼비우스의 띠」, 「칼날」,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각색하였으며, 드라마『난쏘공』은 쇼트·앵글과 같은 기술적 특징과 영상적인 이미지·환상적인 요소를 통해서 리얼리티를 새롭게 강화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드라마『난쏘공』에 나타난 환상성이 현실과 어떤 관계를 맺으며 기능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이야기 영역의 비교, 표현(담론) 영역의 대조, 맥락의 탐구를 통해 소설과 드라마의 상호적 읽기를 활성화 하고자 하였다. 상호적 읽기는 박기범(2007)이 제안했던 방안을 따랐으며, 소설과 각색된 드라마의 내용적인 공통 요소인 등장인물과 플롯과 같은 이야기 구성 요소들을 비교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형식적인 차이 요소인 시점 및 서술과 같은 담론 요소들을 대조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소설과 각색된 드라마의 소통·상황적 맥락과 사회·문화적 맥락을 탐구하는 활동을 하였다. 이를 통해 원작 소설에 비해 각색된 드라마에서는 노사문제, 주택문제, 빈민문제 등 현실 사회 문제를 보다 축소하여 다루고 있지만, 1970년대의 사회적 문제를 한 가정에서 일어나는 문제로 접근하여 가난의 대물림과 일용직 노동자의 외로움, 노사관계의 갈등과 그에 따른 실업, 재개발과 이주민의 비애 등 사회의 균열을 보여주고자 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처럼 『난쏘공』의 더욱 깊이 있는 이해와 감상을 위해 소설과 드라마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근거한 상호적 읽기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원작 소설과 각색된 드라마가 문자와 영상이라는 각기 다른 매체를 통해 이야기를 전개시켰지만 서로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으며, 서사 장르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감상을 위해 내용과 형식의 비교 분석을 통한 소설과 드라마의 상호적 읽기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 장르 및 매체 전환에 나타난 인물·서사 변용 연구 : TV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를 중심으로

        전호성 동국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32346

        작품의 완성도를 담보하고 성공적인 영상 콘텐츠로 발전될 가능성이 높은 원재료 확보는 TV드라마의 기획 과정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원재료 발굴의 맥락에서 최근 시청자로부터 호평을 받은 작품들을 일별할 때 하나의 제작 경향이 발견되는데, 타 장르 서사물의 드라마화가 그것이다. 작품성과 대중성이 검증되었거나 대중적 콘텐츠로의 개발 가능성이 풍부한 소설, 만화, 논픽션 등의 원재료는 결과물의 상업적 실패 위험을 줄이고 개발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 때문에, 타 장르에 비해 대규모 자본이 투입되는 영상 서사물 제작에 있어 중요한 고려 대상이 된다. 그 대상 중 하나인 소설은 이야기-시간과 담론-시간, 이야기-공간과 담론-공간의 측면에서 TV드라마와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그 차이로 인해 문자 매체와 영상 매체 사이의 간극을 해결하는 소설-드라마 간 매체 전환의 중요성이 부각된다. 분석의 대상으로 삼은 텍스트는 소설 『뿌리 깊은 나무』와 TV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이다. 텍스트 선정에 있어서는 TV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가 원작소설과 TV드라마 간의 서사 및 인물 변용의 폭이 넓고 변용의 결과가 향유자의 호응을 이끌어내는 데 효과적이었다는 점, TV드라마의 형식에 적합한 인물과 서사의 적절한 생략·첨가로 성공적인 매체전환을 이루어냈다는 점에 주목했다. 소설 『뿌리 깊은 나무』는 대중적 인지도가 높고 소재가 흥미롭다는 점에서 TV드라마로 제작할 만한 텍스트로 주목받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소재적 장점에도 불구하고 소설 『뿌리 깊은 나무』는 극성(劇性)의 부족, 캐릭터의 흡인력 미약, 구성의 단조로움 등, TV드라마화에 부적합한 요소들이 서사 전체에 내재되어 있다. 이 요소들은 각색의 과정에서 제거되거나 변용되어 성공적인 매체 번역과 대중적 호응을 이끌어냈는데, 이를 가능케 했던 각색의 방식은 인물의 재구성, 배경 및 전사(前事) 변용, 인물 간 역학 관계의 재구성, 사건의 재구성 및 재배치 등이다. 작법의 측면에서 볼 때, TV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는 미스터리와 스릴러의 방식을 혼합 서스펜스를 적재적소에 배치하여 원작의 영상서사로서 의 약점을 보완하고, 기존 인물 삭제, 새 인물 추가, 기존 인물의 변용으로 극의 시작과 끝이라 할 수 있는 갈등과 긴장을 강화하여 서사에 전진시키는 동력으로 삼고 있다. 이처럼 <뿌리 깊은 나무>는 소설과 TV드라마 사이의 매체적 차이를 효과적으로 극복한 예이다. 최적화된 매체 번역으로 소설과 TV드라마의 매체 상의 차이와 간극을 좁히고 새로운 스토리 첨가와 플롯 구성으로 TV드라마의 오락적 수요를 충족시키면서 과거의 담론에 시의성을 담아낸 결과인 것이다. 소설 원작을 TV드라마로 옮긴 여타 작품으로부터 <뿌리 깊은 나무>를 차별화시킨 매체 전환의 방식도 같은 지점에서 출발한다. 소설의 중심사건을 서브플롯으로 밀어내고 갈등을 극대화시키는 과감한 서사변용, 드라마에서 부각시킨 새로운 중심사건과 인물 변용의 결합, 영상서사에 특화된 작법의 운용 등이 <뿌리 깊은 나무>를 TV드라마의 상업적 목적과 작품성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character and narrative changes in dramatization. The acquisition of source materials that have a high probability of successful media contents is forming an even-greater part of the planning process of TV dramas. There is a growing tendency among production companies to create TV dramas based on the narratives from other genres such as novels, comic books, webtoons, animations, non-fiction stories, and so on. The source materials which were highly acclaimed for both their quality of work and their popularity have become a significant consideration for the conversion of genre and media because they are efficient to reduce the terms of development and decrease the risk of commercial failure in the production of media contents which requires significant production costs. The importance of the conversion of novels into TV dramas that bridges the gap between publishing media and image media has stood out due to the major difference between novels and TV dramas. The focused text of this analysis is the TV drama <The Deep-Rooted Tree> and the source novel The Deep-Rooted Tree. The novel is a source material that is sufficient for a TV drama because of its high profile status and its interesting subject matter. In spite of its strength, the novel includes unsuitable elements such as a lack of dramatic set-up, insufficient charm of characters, and a monotonous narrative structure. The defects were supplemented and transformed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and the modification resulted in a successful media conversion and public acclaim. The dramatization methods in the conversion are the reconstruction of the characters, the modification of the characters' backgrounds and their personal history. We also take into account the reconstruction of the dynamics between the characters and the reconstruction and rearrangement of the plot and its incidents. In the composition method, the TV drama <The Deep-Rooted Tree> makes up for the novel's weak points by integrating suspense formed by mystery that was carefully weaved into the series to intensify the conflict and tension by omitting, transforming, and adding characters. <The Deep-Rooted Tree> is a good example of a TV drama that truly overcame the difference of media between novels and TV dramas. It met the demand of the entertainment industry, conjoined timeliness and historical discourse. It is also an exemplary result of narrowing the gap between a novel and a TV drama through the optimization of media conversion. The conversion method discriminated <The Deep-Rooted Tree> from other TV dramas adapted from novels. The narrative transfiguration of maximizing conflict by replacing the existing main plot with the newly created plot combined with transforming characters and applying the dramaturgy specialized for the narrative of image media affected the commercial purpose and the quality of the TV dra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