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셰익스피어 비극에 구현된 역동적 질서

        김명식 東義大學校 一般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943

        셰익스피어가 살던 당시 사회는 보수적이고, 전통적이며, 계급 사회구조가 지방이나 시골경제를 기반으로 존재하는 한편, 기존의 계급이나 질서를 위협하며 새로운 도시 중심의 자본주의를 기반으로 사회의 변화를 주도하는 세력이 등장하여 이 두 세력의 상호관계는 복잡하면서도 광범위했다. 이들의 관계는 때로는 서로 적대적인 관계로, 또 때로는 기존의 계급 구조가 새로운 세력을 수용하며 자신의 기반을 놓치지 않으려고 조화를 꾀하는 관계로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셰익스피어가 살고 있던 사회는 이러한 양면성이 공존하고 있던 시대로 이들간의 복잡한 양상이 어우러져 일으킨 갈등과 대립은 당시 사회적 배경을 고려해 볼 때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전통적인 종교관만으로 이해하는 것이 불완전할 수밖에 없음을 드러내 준다. 튜더왕조는 표층에 흐르던 안녕과 질서라는 기조아래 저 심층부에서는 불안과 동요라는 시대 파괴적 요소가 꿈틀거리고 있었다. 그리고 세계질서에 대한 엘리자베스 시대인들의 개념은 중세적인 세목(細目)을 상당히 포기했다고는 하지만 전반적으로 볼 때 여전히 중세적인 것이었다. 이들에게 우주란 완전한 하나의 통일체이며 이 안에서 모든 만물은 제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하나님의 완전한 작품으로, 이 속에 어떠한 불완전 요소라도 있으면 그건 하나님의 작품이 아니라 인간의 소행으로 간주되었다. 셰익스피어 비극은 너무나 복합적이고 변화무쌍하여 어떤 하나의 분명한 패턴이나 주제로 설명할 수 없다. 다만 우리는 셰익스피어 비극에 동시에 나타나 있는 이상과 현실, 낙관론과 비관론, 질서와 혼돈, 회의주의와 기독교적 구원관을 지켜보면서, 자신의 시대에 속해 있으면서도 그 시대를 뛰어넘어 보편적인 인간존재와 사회의 원리를 꿰뚫어 본 셰익스피어의 천재적 통찰력에 감탄할 수밖에 없다. 흔히 셰익스피어 비극의 주인공들은 죽으면서 인간의 장점들을 다 드러내고, 인간의 온갖 가능성을 다 보여준다. 이들의 스케일은 거대하고, 높은 차원으로 올라가며 그 정신력의 위력적인 범위는 가히 가공할 만하다. 폭군으로 끝나지만 자신이 가졌던 모든 야망이 하나씩 다 무너져버리고 마지막 야망마저도 무너져버린 다음 가히 초인적이랄 수 있을 정도로 감탄할 만한 용기로 버티다 최후를 맞는 맥베스를 보게 될 때, 르네상스 시대 지성인의 상징인 온갖 자질과 최상의 군왕자질 그리고 덕성까지 겸비한 젊은 햄릿이 독을 바른 검에 치명상을 입고 쓰러져 국민의 기대를 끝내 실현하지 못한 채 죽을 때 우리는 그들의 운명에 대해 결코 우울해 할 수 없다. 셰익스피어는 이처럼 자신의 비극세계에서 기존의 가치와 질서가 흔들리고 혼란에 빠지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동시에 인간의 본질을 꿰뚫는 날카로운 시각을 제시하여 질서와 조화의 세계를 자신의 작품 속에서 암시하고 있다. 반영론적인 입장에서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살펴보면 예술의 여러 기능 중〈문학은 현실을 반영하는 거울〉이라는 명제를 얻어낼 수 있을 법하다. 본 논문은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에 나타난 질서와 무질서의 이미지가 대립과 갈등을 일으키면서 튜더왕조의 세계관이 그의 비극 속에 어떤 식으로 투영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동시에 셰익스피어의 비극 속에 드러난 혼탁한 무질서의 세계를 셰익스피어 비극의 주인공이 어떤 식으로 수습해 나가며 이렇게 구현된 질서의 이미지가 엘리자베스 시대에는 어떤 식으로 투영되고 있는지 도출해보고자 한다. Shakespearean society was conservative and traditional. Its class hierarchy system was formed on the basis of an agricultural economy, yet its stability was threatened by a new social class which started to rise up in the wake of capitalism. Amid this vortex of social change, the new social class, claiming a drastic social mobility, was expanding its influence, and the old faction struggled to win its power back seen in both the reconciliatory and hostile relations with the new one. Shakespearean society is characterized by this duality, and the complex social aspects aroused by these two forces lead us into an assumption that the traditional Christian approach to the Shakespearean tragedies has a limit. In the Tudor dynasty, deep in the orderly surface there flowed a destructive unrest which kept threatening the Elizabethan order. The Elizabethan contemporaries' conception of order, though sligh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middle ages, was still medieval. From the Elizabethan perspective, the universe was God's perfect work, in which every creature has its own place in the hierarchy. Consequently, any instability was considered to be caused by human beings without divine approval. The Shakespearean tragedies are complex and various both in theme and in image; the reason being, they do not follow a simple pattern. Shakespeare had an exceptionally outstanding insight into the Elizabethan age where there existed contradictory aspects of the universe: "order and disorder," "optimism and pessimism," and "Humanism and Christianity." He reconciled these dichotomous aspects and resultingly obtained a universal quality in his text, which further expands into the understanding of our modern contemporaries. It is because of this complexity and universality that Shakespeare is more highly regarded than any other Elizabethan writer. In his tragedies when the leading characters die they demonstrate all the possible human positive qualities and potentialities. Macbeth, though dying a tyrant, fights to the death rather than accept humiliation even after all his ambition is gone. Hamlet, who dies by the poisoned sword during the dual, regains the attributes of an ideal man. As depicted above, the order which the Shakespearean tragedies represent is not static. Showing an unstable order and presenting a vision looking into the crux of a human being, Shakespeare implies a world of reconciliation between order and disorder in his text. Literature is a mirror reflecting a society in which it is written. When seen from this perspective, the Shakespearean tragedies can be said to reflect the instability in the Elizabethan society. This study accordingly aims to depict how this unstable order is presented in the four major Shakespearean tragedies and how this collapsed order gets restored through a process of conflict and struggle.

      • 메리 램의 셰익스피어 문제극 각색 과정 연구

        임근순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943

        찰스 램과 메리 램이 집필한 『셰익스피어 이야기』(1807)는 19세기 초반의 어린 독자들을 대상으로 원전인 셰익스피어 작품의 희곡을 산문 형식으로 개작한 작품이다. 찰스 램과 메리 램은 공동 작업을 하였지만 각자가 맡은 비극과 희극 개작 작업에서 상이한 태도를 드러낸다. 찰스 램은 당시 아동문학의 지배적인 경향과 맞서는 “동화의 상상력”을 강조하는 태도를 견지하면서 비극을 각색한 반면, 메리 램은 어린 여성독자들을 “바람직하고 품위 있는 태도”를 지닌 여성으로 만들기 위하여 희극의 개작에서 “도덕적이고 교훈적인” 요소를 강조한다. 그들의 상이한 각색 태도는 『셰익스피어 이야기』 집필하는 공동 작업 과정에서 서로 얽히게 된다. 그리하여 『셰익스피어 이야기』는 상상력을 강조하는 찰스 램의 입장과 교훈성을 강조하는 메리 램의 입장으로 인해 “이중적인 태도”를 띠게 되는데 이는 당시 비평가들의 논쟁을 야기한다. 그러나 램 남매는 상상력의 관점에서 “아이보다 더 훌륭한 것은 없다”고 생각하고 교육적인 관점에서 아이들을 덕스런 어른들로 성장시키기 위해 『셰익스피어 이야기』를 읽히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면서 자신들의 입장을 방어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셰익스피어의 문제극인 『끝이 좋으면 다 좋다』와『자에는 자로』를 원전과 각색본의 내용을 플롯과 인물을 중심으로 비교하고 검토하여 『셰익스피어 이야기』의 저술 의의를 밝히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셰익스피어 이야기』에 반영된 메리 램의 각색 의도와 각색 방향을 논의함과 동시에 메리와는 상이한 찰스의 각색 태도 역시 논의한다. 본 논문은 9구체적으로 두 문제극에 등장하는 부차적인 인물과 중심 인물을 메리 램이 어떻게 각색 하였는지를 그녀의 네 가지 각색 방향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메리 램의 첫 번째 각색 방향은 원전으로부터 부차적 줄거리와 인물의 삭제와 축소이다. 부차적인 인물이 삭제된 경우는 『끝이 좋으면 다 좋다』에 등장하는 퍼롤레스와 러배슈의 경우이고 부차적인 인물이 축소된 경우는 『자에는 자로』에 등장하는 루시오와 전옥의 경우이다. 셰익스피어는 『끝이 좋으면 다 좋다』에서 부차적인 인물 퍼롤레스와 대응되는 인물인 주인공 버트럼을 통해 당시 사회의 진정한 귀족에 대한 올바른 도덕적인 덕목을 제시하려 했다. 그러나 메리 램은 퍼롤레스를 삭제하는데, 이는 헬레나를 통해 외적인 신분보다는 내적인 정신의 중요성을 강조 하려한 의도에 연유한다. 그 결과 메리 램의 개작에서는 관심의 초점이 버트럼에서 헬레나로 이동한다. 또 다른 부차적인 인물인 러배슈는 작품 전체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극의 전개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인물로, 셰익스피어 원전에서 주 플롯의 전개를 주도하도록 계획된 인물이다. 그러나 메리 램은 광대 러배슈를 다음 세 가지 이유에서 생략한다. 첫째, 러배슈가 입체적인 희곡의 구도에서 단선적인 이야기체 구도로 옮겨오게 되면 플롯의 짜임을 흩뜨리는 경향이 있고, 둘째, 독자가 광대에게 주는 곁눈질은 주 플롯의 집중도를 떨어뜨릴 우려가 있으며, 셋째, 러배슈가 추구하는 삶의 자세에 대한 철학적 통찰은 어린 독자의 텍스트 접근을 어렵게 만들기 때문이다. 『자에는 자로』에서 셰익스피어가 의도한 루시오는 공작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으며 절대 권력의 배후에서 지배 세력을 견제하고 대항하며 도전하는 인물이다. 그러나 메리 램은 지배 세력에 도전적이며 공작의 정체를 알고 있는 유일한 인물인 루시오가 대단원에서 공작의 정체를 드러내는 장면을 삭제한다. 이처럼 루시오의 성격을 축소하고 단순화시키는 것은 어린 여성독자들에게 난폭한 감정과 상스러운 행위를 제공하지 않으려는 메리 램의 의도에 기인한다. 그러나 이러한 메리 램의 각색 태도는 플롯의 밀도를 떨어뜨리는 결과를 낳는다. 루시오의 경우와는 달리 전옥은 셰익스피어의 원전에서 긍정적으로 의도된 인물이다. 대단원에서 공작이 전옥의 공적을 보상함으로서 『자에는 자로』의 제목이 잘못에 대한 응징의 의미만 지니는 것이 아니라 긍정적인 보상의 의미로도 해석 가능하게 한 인물이다. 그러나 메리 램은 감옥 장면이 어린 여성독자들에게 부적절하다는 이유로 이를 대폭 삭제한다. 그 결과 닫힌 공간인 감옥에서 죄수들을 열린 마음으로 관리하는 전옥의 긍정적인 성격이 축소된다. 이는 그를 통해 좋은 본보기를 제시하려 했던 셰익스피어의 의도를 배제한 것이고, 그 결과 어린 독자들을 위한 교육적인 측면이 축소되어 버린다. 『끝이 좋으면 다 좋다』에서 메리 램이 가장 많은 변형을 가한 부분은 ‘침실 장면’으로 이는 셰익스피어와 뚜렷한 차이를 드러내는 메리 램의 태도를 검증할 수 있는 부분이다. AWT의 침실 장면에서 메리 램이 강조하려는 점은 “생기 넘치는 대화”를 구사하는 여주인공 헬레나의 “지적인 면모”이며, 이는 원작과 구별되는 결정적인 차이이다. 그리고 이러한 침실 장면은 결말 부분에서 자신의 낭군이 되어 달라는 헬레나의 요청이 버트럼에게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결과를 낳는다. 원전의 침실 장면에서 헬레나는 지적인 면모를 드러내는 “말”을 하지 않고 오직 성적 욕망의 대상으로 재현되어 있다. 침실 장면에서 아내의 조건을 이행한 헬레나의 요청에 버트럼은 헬레나가 아닌 제 3자인 국왕에게 또 다른 조건을 제시하며 자신의 대답을 유보하는 태도를 취함으로써 문제극의 성격을 띠게 된다. 헬레나의 요구에 대한 버트럼의 이러한 유보적인 태도의 원인은 침실 장면에서 버트럼이 헬레나의 ‘지적인 면모’를 확인하지 않은 데서 비롯된 것인데, 이는 버트럼을 통해서 당시 귀족 남성의 성적 욕망에 내재한 부도덕하고 무분별한 속성을 지적하려는 셰익스피어의 의도를 반영한다. 셰익스피어가 침실 장면을 통해 보여 주려고 한 것과는 달리, 메리 램은 ‘대화’를 통한 지적인 매력으로 버트럼의 사랑을 되찾은 헬레나를 통해 그 시대의 ‘올바른 여성의 모습’을 어린 여성독자들에게 전하려고 했다. 『자에는 자로』의 중심 인물인 앤젤로와 공작 그리고 이사벨라에 대해서, 메리 램은 자신이 세운 각색 방향 네 가지 모두를 적용하고 있다. 그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점은 작품을 종결짓는 메리 램의 태도이다. 셰익스피어는 원작에서 이사벨라로 하여금 공작의 두 번에 걸친 청혼에 모두 침묵으로 대응하게 함으로써 관객이 ‘침묵’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할 수 있도록 작품의 결말을 느슨하게 풀어놓고 있다. 그러나 메리 램은 MMT에서 이사벨이 공작의 청혼을 기뻐하며 받아 들어 공작과 결혼 했다고 기술하고 있다. 메리 램은 결말 부분을 ‘열린 침묵’으로 일관하도록 한 셰익스피어와는 달리 원전에 결여되어 있는 종결 감을 이야기에 부여하여 느슨한 결말 부분들을 단단하게 묶어 주고 있다. 그러나 메리 램의 이러한 태도는 작품의 다양한 해석의 기회를 독자에게 제공해 주지 못함으로서 셰익스피어 원작의 문학성을 훼손하는 결과로 이어진다. 『셰익스피어 이야기』는 교훈적인 동시에 풍부한 “상상력”을 고무시키는 작품이다. 그리고 그것은 문학 작품을 성별에 기초하여 구분하고 개작한 것으로 주목을 끈다. 메리 램의 각색이 어떤 면에서는 원전의 문학성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지만 어린 여성독자들을 가르친다는 자신의 의도에 부합하도록 원전을 변형했고, 그 변형은 교육적인 관점에서 볼 때 타당한 것이다. 그리고 메리 램은 원전의 난해한 언어에 접근하기 어려운 어린 독자들을 위해 원전을 쉽고 명쾌한 산문으로 개작하여 그들이 문학 작품을 쉽게 읽고 즐길 수 있도록 했을 뿐 만 아니라 그들의 도덕성을 함양하는데 성공했다고 평가 할 수 있다. Tales from Shakespeare, written by Charles and Mary Lamb in 1807, is an adaptation of Shakespeare’s plays which was intended for children. Shakespeare’s poetic language is transmitted into prose, which enables children to easily read his works. Charles and Mary Lamb collaborated in adapting Shakespeare’s plays, but they undertook separate duties which revealed different attitudes in their approach to the adaptation. Charles Lamb was in charge of the adaptation of tragedies, while Mary Lamb took control of adapting comedies. Charles Lamb stressed the “imagination of a fairy tale,” which was against the trend in children’s literature of the time, while Mary Lamb stressed “the moral and didactic element.” Mary Lamb was concerned with the education of female children in the early nineteenth-century. As a result, the Tales presents “a double movement” or perspective, which stresses didactic elements, as well as imagination. These ambivalent attitudes caused critical debates in the nineteenth-century. However, the Lambs defended criticism against “the double movement,” suspecting themselves to be “no bigger than a child,” from the viewpoint of “the imagination,” and reading the Tales to be effective at “making a child a virtuous man,” from the viewpoint of “an education.” This dissertation examines Mary Lamb’s adaption of Shakespeare’s problem plays All’s Well That Ends Well and Measure for Measure, with an adapted pattern focusing on the plot and character. It debates Charles Lamb’s attitude in his adaptations, which was different from Mary Lamb’s, as well as her intent and direction in the adaptation used in Tales from Shakespeare. In addition, this dissertation analyses how Mary Lamb adapted secondary and main characters in the problem plays by focusing on the four directions of her adaptation. In All’s Well That Ends Well, Shakespeare tried to present the healthy moralistic virtue of the genuine nobility of society through a hero, Bertram. However, Mary Lamb tri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inner spirit through Helena. In consequence, the focus of interest moves from Bertram into Helena in her adaptation of the play. Lavatch was designed to play a leading role in developing the main plot of Shakespeare’s play. However, Mary Lamb omits Lavatch, the clown, from the Tales, because transferring him from the play would complicate the plot. In addition, Lavatch’s philosophical insights would be difficult for young readers. In Measure for Measure, Shakespeare intends Lucio to have an influence on the audience’s perception of the Duke. However, Mary Lamb reduces and simplifies Lucio’s personality with the intention of not providing young ladies with examples of violent feelings and vulgar behaviors. Unlike Lucio, the provost is an affirmative character in Shakespeare’s play. However, Mary Lamb largely omits scenes which take place in prison, as those scenes are unsuitable for young female readers. As a result, the provost’s influence is reduced. In All’s Well That Ends Well Mary Lamb transforms the scene of the bed-trick illustrating her clear differences with Shakespeare. Mary Lamb intends to highlight the intellect of a female character, Helena, shown by “a lively conversation.” The scene of the bed-trick in Shakespeare’s play, which bans “a word,” exposes a disposition toward intellect and only describes Helena as an object of sexual desire. As opposed to Shakespeare, Mary Lamb tried to let the young female audience see the “honorable feminine state” transmitted by Helena, who won Bertram’s love with intellectual attractiveness, via “a conversation.” Mary Lamb transforms the main characters in All’s Well That Ends Well. The most conspicuous adaptation is her attitude in closing the work. Shakespeare allows readers to make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e silence in the play by having Isabella answer twice to Duke’s proposal of marriage with silence. However, Mary Lamb shows Isabel consenting to the Duke’s proposal of marriage with pleasure and then subsequently marrying the Duke. To make a conclusion consistent with “open silence,” Mary Lamb gives the Tales the feeling of closure which is predominantly lacking in Shakespeare’s play. Tales from Shakespeare is didactic and at the same time inspiring. It is a prominent example of gender-based division and revision of literature. Mary Lamb transformed the original to conform through her intent to teach young female readers. In addition, she adapted an original work into easy, clear prose for young readers. Mary Lamb’s efforts enabled them to read and enjoy a literary work more easily, and moreover, succeeded in the goal of fostering a sense of their morality.

      • 셰익스피어와 힙합 음악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

        남윤서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에서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문학 작품과 힙합 음악 사이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탐구하였다. 두 예술 형식이 언어적 창의성, 주제적 유사성, 리듬과 라임의 활용을 통해 어떻게 연결되고 융합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는 문헌 조사와 질적 기반의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셰익스피어의 주요 테마와 스타일, 힙합 음악의 발전 및 문화적 중요성, 그리고 이 둘 사이의 표현적 공통점 및 차이점에 중점을 두었다. 다음으로 관계성에 대한 정량적 검증을 위하여 상관관계를 검증하는 연구모형을 만들었고, 언어적 창의성, 주제 연관성, 리듬과 라임 사용 측면의 상관관계를 증명하는 방식으로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하였고, 결과적으로, 셰익스피어와 힙합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은 채택되어서, 셰익스피어와 힙합 음악의 관계성이 존재함을 증명하였다. 셰익스피어와 힙합 음악이라는 이질적일 수 있는 분야에 대한 구체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하여 질적 연구에서는 셰익스피어 극과 힙합 음악의 결합 사례, 힙합 음악에서 셰익스피어를 인용한 사례, 그리고 셰익스피어와 힙합을 활용한 교육의 구체적인 사례 등을 심층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개념화, 범주화, 이론화하기 이전의 상태에서 셰익스피어와 힙합 음악의 관계성을 연구하였다. 이와 같은 질적 연구 후에는 상관관계에 관한 양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가설은 H1 ‘셰익스피어 작품의 이해도는 힙합 음악의 언어적 창의성에 대한 인식과 관계가 있을 것이다.’, H2 ‘힙합 음악 청취 발생률과 셰익스피어 작품과의 주제적 유사성 인식은 관계가 있을 것이다.’, H3 ‘셰익스피어 작품 이해도와 힙합 음악 청취 빈도는 리듬 및 라임 사용의 인식과 관계가 있을 것이다.’를 선정하였고, 상관분석 결과 유의미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해외에서는 셰익스피어와 힙합 음악 두 장르의 결합이 90년대부터 공연, 음악, 교육 분야에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점에 대해 아쉬운 부분이 있다. 추후 국내에도 다양하게 두 장르가 혼합된 예술 또는 교육 사례가 점차 생긴다면 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것을 후속 연구자들에게 추천한다. This study focused on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illiam Shakespeare’s literary works and hip-hop music. We analyzed how these two art forms can be connected and fused through linguistic creativity, thematic similarities, and the use of rhythm and rhyme. The research employed a literature review and qualitative case analysis, examining Shakespeare’s major themes and style, the development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hip-hop music, and the expressiv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enres. To quantitatively verify the relationship, we developed a research model to examine correlations, conducting additional research to demonstrate the connections between linguistic creativity, thematic relevance, and the use of rhythm and rhyme. As a result, our hypothesi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hakespeare and hip-hop was supported, confirming the existence of a significant connection between Shakespearean works and hip-hop music. For an in-depth investigation into these potentially disparate fields, our qualitative research included case studies of Shakespeare’s plays combined with hip-hop music, instances of Shakespeare being quoted in hip-hop lyrics, and educational applications integrating Shakespeare and hip-hop. Specific cases were analyzed in detail. In this process, we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Shakespeare and hip-hop music before proceeding to conceptualization, categorization, and theorization. Following this qualitative study, we conducted a quantitative study on correlations. Our research hypotheses were: H1: “Understanding of Shakespeare’s works will be related to awareness of the linguistic creativity in hip-hop music.” H2: “There will be a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listening to hip-hop music and the perception of thematic similarity with Shakespeare’s works.” H3: “There will be a relationship between the understanding of Shakespeare’s works and the perception of the use of rhythm and rhyme in hip-hop music.” Correlation analysis yielded significant results supporting these hypotheses. While research on the combination of Shakespeare and hip-hop music has been actively conducted overseas in the fields of performance, music, and education since the 1990s, it is regrettable that such research has been lacking in Korea. As diverse cases of art or education mixing these two genres emerge in Korea, we recommend that future researchers conduct follow-up studies on this topic.

      • 셰익스피어 재해석하기 : 에드워드 본드의 『리어』와 『빙고』를 중심으로

        이정아 성균관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943

        셰익스피어의 작품은 17세기부터 오늘날까지 많은 작가들에 의해 개작되어 왔다. 영국 정치 극작가 에드워드 본드(Edward Bond)는 셰익스피어 관련 대표작인 『리어』(Lear, 1971)와 『빙고』(Bingo, 1973)를 쓴다. 본드가 이 작품들을 쓴 1970년대는 마가렛 대처(Margaret Thatcher) 정권 시기로, 많은 작가들은 셰익스피어를 대처 정권의 옹호와 영국의 국가 정체성을 관철하기 위해서 이용한다. 그리고 심지어 교육 분야에서도 셰익스피어는 권위적이고 보수적인 세력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본드는 이런 과정에서 정전(canon)이나 성상(icon)으로서 신비에 쌓인 기존의 셰익스피어의 모습을 전복시킨다. 그는 연극을 사회 개혁의 방편으로 여겼으며, 우익 세력에 반(反)하는 방식으로 신비화된 셰익스피어를 해체시킨다. 본 논문은 셰익스피어에 대한 새로운 해석에 대해 논의한다. 먼저 본드의 『리어』에서는 원전인 『리어왕』에 대한 정치적이고 사회적 비평으로서의 개작을 보여준다. 원전인 셰익스피어의 『리어왕』에서 전통적인 요소들에 의해 억압되고 적극적으로 표출되지 않은 정치적 이슈들을 『리어』에서는 적극적으로 제시한다. 특히 작품 전면에서 ‘폭력의 연쇄적 고리’를 이루며 나타나는 문제를 진단하고 주인공 리어의 인식의 과정과 행동으로까지 변화해가는 모습을 집중 분석한다. 『빙고』는 셰익스피어 전기(biography)에 대한 탈신비화(demystification)이자 그의 삶에 대한 재구성이다. 본드는 그만의 상상력으로 우상화된 셰익스피어의 이미지를 벗겨낸다. 인클로저(Enclosure)라는 사회의 변화 안에서 셰익스피어는 더 이상 작가가 아닌 자본가로서의 면모를 보이며, 자신의 영리 추구에만 몰입하는 모습이다. 게다가 그는 가장(家長)으로서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집안 구성원들에게 미움을 사는 존재이다. 또한 그는 작가로서도 실패한 모습을 보여준다. 한 때 그를 존경했던 사람도 이제 더 이상 그를 작가로서 인정하지 않고, 오히려 증오의 대상으로 여긴다. 결론에서는 『리어』와 『빙고』의 주인공 모두의 죽음과 자살로 마무리되는데 이 상황을 비관적으로 볼 것인지 혹은 낙관적으로 볼 수 있는지 짚어볼 것이다. 이렇게 본드는 두 작품을 통해 이제까지의 셰익스피어에 대한 해석과는 전혀 다른 재해석을 시도한다.

      • 영화 『셰익스피어 인 러브』에 나타난 셰익스피어 변용

        김상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943

        Shakespeare's works have been read in various ways due to his universal themes, remarkable theatricality, delicate psychological description, and applicability to modern critical theories. The filmization of Shakespeare's works is continuing in the same context. The film Shakespeare in Love(1998), which gained both box-office success and favorable comments from literary critics, is especially well-known for Tom Stoppard's screenplay full of wit and the refined lines. The film combined historical background with authorial imagination and reconstructed the story of Shakespeare writing Romeo and Juliet with his love of Viola. The most interesting point is that the female character Viola crossdresses both in Twelfth Night and Shakespeare in Love and love of Romeo and Juliet and that of Will Shakespeare and Viola have similarities and distinction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examines the reason and the aspects of Stoppard's appropriation of Viola's crossdressing in Twelfth Night and of love theme in Romeo and Juliet. Twelfth Night's Viola wears men's clothing to protect herself in a strange land. She disguises herself as an eunuch and seeks Olivia's hand on behalf of her master Duke Orsino. Olivia loves crossdressed Viola and Viola herself loves Orsino but Viola is not able to make their love come true because of her crossdressing. Although Sebastian, Viola's twin brother shows up and all the loves end happily, we see that Viola's crossdressing in Twelfth Night is less positive and Viola is perplexed when her crossdressing interrupts her love. However, Shakespeare in Love's Viola tries men's clothing to be an actor which has been her impassioned dream despite the law which prohibited women from acting on the stage. She wears men's clothing and plays as an actor and experiences love. Viola's crossdressing in Shakespeare in Love is more positive than that in Twelfth Night and she can achieve both her dream and her love in real life because her crossdressing is caused by the convention on stage. In the film, Stoppard represents more active and positive female character than in the original text. Romeo and Juliet in Romeo and Juliet, and Will and Viola in Shakespeare in Love are very similar in their first meeting in the way that they fall in love at a party and whisper their love on a balcony. Moreover, they share similarities in that they have obstacles in love such as feuding families, difference in family backgrounds, and Juliet and Viola's betrothed husbands selected by their fathers' will. Juliet's father forces her daughter to marry using patriarchal power and Viola's father offers her daughter for sale to hard-up Lord Wessex. Stoppard makes Shakespeare in Love more stinging satire on patriarchal marriage than Romeo and Juliet. Romeo and Juliet and Shakespeare in Love are quite different in the way that the love of Will and Viola is influenced by Romeo and Juliet which is the play within a film. The plot in Romeo and Juliet is simple but that of Shakespeare in Love is more complicated. The plot of the film is cross-weaved by a play and reality in the film. Stoppard constructs the plot of the film in the way that sometimes a play reflects reality and sometimes reality reflects a play, and through this, he relaxes the boundary between a play and reality. Shakespeare in Love poses the question "Can a play show us the very truth and nature of love?" and gives us positive answer through showing us the love of Will and Viola on stage. As Stoppard once represented in his metadrama The Real Thing, he reasserts that "subtext" which aspirates vitality into a dry text makes a play real and truthful. Stoppard appropriates Romeo and Juliet which is a representative of love story to present this idea. 셰익스피어의 작품들은 보편적 주제, 뛰어난 연극성, 정교한 심리묘사, 현대적인 새로운 비평이론과의 접목성 등으로 인해 끊임없이 새롭게 읽혀지고 있다. 셰익스피어의 영화화도 이런 맥락에서 계속 새롭게 해석되고 있다. 특히 1998년 평단의 호평과 대중의 흥행을 동시에 얻은 영화 「셰익스피어 인 러브」(Shakespeare in Love)는 대본을 쓴 톰 스토파드의 재치 있는 구성과 유려한 대사로 인해 주목을 받았다. 이 영화는 역사적 사실과 작가적 상상력을 결합하여, 셰익스피어가 바이올라라는 여성과의 사랑을 통해 「로미오와 줄리엣」Romeo and Juliet)을 창작했다는 줄거리로 셰익스피어의 생애를 재구성하였다. 흥미로운 점은 영화의 여주인공 바이올라가 셰익스피어의 「 십이야」(Twelfth Night)의 바이올라처럼 남장을 시도한다는 것과, 로미오와 줄리엣의 사랑과 윌 셰익스피어와 바이올라의 사랑이 유사점과 차이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스토파드가 영화 「셰익스피어 인 러브」에서 「십이야」의 바이올라의 남장을 전유한 의도와 「로미오와 줄리엣」의 사랑을 변용한 방식 및 의도를 고찰해 보는 데 있다. 영화와 「십이야」, 영화와 「로미오와 줄리엣」을 비교 분석하는 작업을 통해 스토파드의 셰익스피어 변용 양상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십이야」의 바이올라는 낯선 땅에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남장을 한다. 그리고 오시노 공작의 시동으로서 공작의 올리비아를 향한 구애를 대신 담당하지만, 올리비아는 남장한 바이올라에게 사랑을 느끼고, 바이올라는 공작을 사랑하게 된다. 그러나 남장 때문에 자신의 사랑도 실현하지 못하고 올리비아의 사랑도 실현시켜 줄 수 없다. 결국 쌍둥이 오빠 세바스천의 등장으로 행복한 결말에 이르기는 하지만, 우리는 「십이야」의 바이올라의 남장을 소극적인 남장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바이올라의 남장은 사회적인 관습의 제약을 받은 남장이었기 때문에 자신의 사랑을 이룰 수 없이 당혹스러워하는 바이올라를 볼 수 있다. 그러나 「셰익스피어 인 러브」의 바이올라는 여성의 무대 진출이 금지된 관습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 남장을 한다. 그녀는 남성의 옷을 입고 배우로서 인정을 받으면서 자신의 꿈을 이루는 동시에 윌과의 사랑을 경험한다. 「셰익스피어 인 러브」의 바이올라의 남장은 훨씬 더 적극적인 의도에서 비롯되었으며, 무대 관습의 제약을 받은 남장이었기에 무대 아래에서 바이올라는 자신의 사랑 또한 이룰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스토파드는 원작에서보다 더욱 적극적인 여성인물을 재현하였다. 「로미오와 줄리엣」의 두 연인과 「셰익스피어 인 러브」의 윌과 바이올라는 무도회에서 만나 사랑에 빠지고 발코니에서 사랑을 속삭이는 등 첫 만남이 매우 흡사하다. 원수 가문이라는 이유로 또는 신분 차이의 이유로 인해 서로 어울리지 않는 사이라는 점과, 아버지가 선택한 정혼자가 있다는 점에서는 사랑의 방해요소도 유사하다. 줄리엣의 아버지도 가부장적 권위로 딸의 결혼을 주재하지만, 바이올라의 아버지는 딸을 매매하다시피 결혼시키는 모습에서 스토파드가 가부장제 하의 결혼제도를 더욱 노골적으로 풍자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로미오와 줄리엣, 그리고 윌과 바이올라의 사랑이 전개되는 모습이 비슷한 것 같지만, 윌과 바이올라의 사랑에는 연극이 개입되어 있다는 점에서 매우 다르다. 「로미오와 줄리엣」의 플롯은 단순하지만, 「셰익스피어 인 러브」의 플롯은 영화 속 연극 로미오와 줄리엣」과 현실이 서로 직조되어 있다. 스토파드는 연극이 현실을 반영하기도 하며 연극이 현실을 반영하기도 하는 방식으로 플롯을 구성하여 허구와 현실의 경계를 이완시킨다. 그리고 「셰익스피어 인 러브」는 “연극이 사랑의 진실과 본질을 보여줄 수 있는가?”라는 물음을 던진 후, 윌과 바이올라가 무대에서 표현한 사랑을 통해 긍정적인 답을 제시한다. 스토파드는 자신의 메타드라마 「진짜」(The Real Thing)에서 애니의 목소리를 통해 말한 것과 같이, 이 영화에서도 언어에 생명을 불어넣는 써브텍스트가 바로 연극이라는 텍스트를 진실하게 만든다는 견해를 표명하고 있다.

      • 셰익스피어와 근대성 : 셰익스피어 연극의 근대적 징후들에 관한 연구

        한보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943

        우리의 근대화의 역사가 한 세기를 넘기면서 셰익스피어 수용의 역사도 이와 비슷한 나이를 갖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는 아직도 셰익스피어와 우리 사이의 관계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국내에서 셰익스피어 수용(혹은 거부)은 크게 보아 문학적 보편주의와 민족주의라는 두 가지 시각 아래서 이루어졌는데 이 양극단의 독해방식은 조선인의 후손(민족성)일 뿐만 아니라 지구화된 근대성의 시대를 살고 있는 근대인이기도한 현재의 한국 독자가 셰익스피어의 텍스트와 맺게되는 관계의 의미론적 복합성을 제대로 다루지 못했다. 이 논문의 기본적 논점은 근대적 조건을 살고 있는 주체의 태도 혹은 삶의 방식으로서의 근대성의 징후들이 16세기 셰익스피어의 연극무대와 현재의 우리가 공유하고 있는 의미론적 콘텍스트라는 것이다. 이런 전제 하에 이 논문은 권력, 욕망, 언어 그리고 자기(自己)라는 네 가지 데마 영역에서 셰익스피어의 연극들이 엘리자베스 시대 영국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 문화적 변동들과 맺고있는 관계를 문화 의미론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이 때 셰익스피어의 텍스트는 개인적 창작예술인 문학이라기보다 당대의 역사적 문제들이 공연의 형태로 제기되어 집단적으로 성찰되는 장(場)인 16세기의 연극무대의 흔적으로 가정된다. 권력의 테마는 중세적 정의국가와 권력체계의 붕괴과정에서 '통치성'이라는 근대적 권력 모델과 사적인 욕망인이 탄생되는 과정을 다룬다. (『리차드 2세』, 『헨리 4세』, 『헨리 5세』, 『코리올레이너스』, 『안토니와 클레오파트라』) 욕망의 테마는 16세기 영국에서 물질적 삶의 조직형식을 변동시키고 근대 자본주의의 문화적 토대를 이룬 물질적 욕망의 해방이 『아테네의 타이먼』과 『베니스의 상인』에서 어떤 식으로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 오셀로의 비극적 편집증과 이아고의 악의가 공동체의 전통적 규범들로부터 탈영토화된 물질적 욕망의 아노미에서 비롯되는 근대 심성의 병리적 징후임을 밝혀본다. (『오셀로』) 언어의 테마는 상동성이라는 중세적 가상세계의 원리가 허물어지는 과정에서 대상세계와의 오래된 근친관계를 상실한 언어가 셰익스피어의 무대 위에서 이전 시대의 환상 세계와는 전혀 다른 성질의 표상적 공간을 만들어내고 있음을 다루며 『태풍』 이런 표상적 공간은 세계의 무대이자 무대를 바라보는 시선으로서의 인간이라는 이율배반적 관점, 즉 '폐쇄적 인간'의 주관성의 공간이라는 점을 분석한다.(『좋으실데로』)이 내면 논리는 감옥에 갇힌 리차드 2세의 독백 속에서 내면화된 언어로 나타나는데, 이것이 극장이라는 공간에서 배우와 개별화된 관객 사이의 독백의 교환을 통해 문학적 재현이라는 근대적 소통양식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살펴본다.(『리차드 2세』) 마지막으로 자기의 테마는 태어나고 죽는 유한적 존재로서의 인간이 삶과 죽음에 대해 갖게되는 태도가 셰익스피어의 비극들 속에서 어떤 변화의 징후들을 보여주는지를 살펴본다. 이 때 자기형성이란 인간이 자기자신을 타자들과의 관계 속에서 사회적 존재로 만들 뿐 아니라, 자기 스스로에 대해 어떤 의미를 가지는 존재로 만들어가는 생의 의식적 과정인데, 리어를 벌거벗은 "하나의 인간"으로, 가장 원초적 진실인 육체로 환원 시켜버렸던 공동체의 역사적 균열과 전통의 해체가 햄릿과 멕베드를 어떻게 자기형성 을 위한 자의식적 분투의 과정으로 몰고가며, 그것은 왜 언제나 실패할 수 밖에 없는가를 영원한 완성되지 못하는 근대성의 과도기적 본성과의 관련 속에서 살펴본다.(『리어 왕』, 『햄릿』, 『멕베드』) 자기형성의 도정 속에서 끊임없이 자기인식과 자기부정을 거듭하는 근대적 주체의 자의식 속에는 생의 의미에 대한 항상적 위기감이 내재하게 되는데, 자신을 항상 과도기에 처한 운명으로 볼 수밖에 없는 이 근원적 불안은 르네상스기 영국이라는 유동적이고 혼란스런 전환기의 무대화인 셰익스피어의 연극에는 근대적 주체의 삶의 방식들의 징후로서 스며있다. 셰익스피어 텍스트에 대한 이러한 역사적이고 문화론적인 접근은 셰익스피어 독해에도 새로운 논점을 제기한다. 이제 셰익스피어의 보편성은 셰익스피어 텍스트와 우리 사이의 역사적 연관성으로 상대화되어야 하고, 그의 텍스트와 우리 사이의 민족적 이질성에 대한 비판은, 우리의 현재적 삶에 대한 비판과 재구성이라는 차원에서 '근대성' 비판으로 대체될 필요가 있다. 셰익스피어 비평은 문학예술의 보편성이나 언어적, 인종적 이질성이라는 기원론적이고 과거지향적인 관점이 아니라 그것이 담고있는 이데올로기가 우리의 현재적 삶을 얼마나 증진시키고 풍요롭게 할 수 있는가라는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이는 셰익스피어 텍스트의 역사성과 우리의 현재적 삶에 대한 비판적 앎을 동시에 필요로 한다. Symptoms of modernity appear as the attitude or mode of life for the modem subject. Thus, one way and another, they are related both the Shakespearean theatre and our contemporary reality. Shakespeare's plays at once construct and are constructed by the economical, political, and socio-cultural changes of the Elizabethan period in England. This relationship can be analyzed in terms of the cultural semiotics in four thematic areas of power, desire, language and self. Therefore, Shakespeare's plays is not so much "literature" in the most common sense of the word - that is, the creative art of a individual genius - as the trace of the collective field of the theatre in a specific time, in which historical problems were presented and reflected in the form of performance. The first chapter on power focus on the collapse of the medieval justice-state and of its power system. In this problematic process arose both "governmentality" as the modern model of power, and "desiring man" as its counterpart in the private sphere. Governmentality shows itself in Shakespeare's historical plays, like Richard II, Henry IV, Henry V, while the Shakespeare's Roman plays, like Coriolanus, Anthony and Cleopatra stages the private men of desire. The following chapter on desire argues that material desire was liberated in the sixteenth century of England. This liberation changed the organization of material life, and founded the pre-modern capitalistic mode of life on the cultural level, as is shown in Timon of Athens and The Merchant of. Venice. If material desire is completely seperated from the traditional collective norms, the modem mind begins to menifest itself in such pathological symptoms as Othello's paranoid and Iago's malice. The third theme chapter on language discusses revealed a new space of representation totally different from the earlier world of illusionary mimesis. This space is nothing but homo claucus, that is, the modem subjectivity of antinomy, which is at once a stage and a gaze looking at that stage. It follows the logic of interiority, by which an individual actor and the individualized audience exchage soliloquies only to achieve a new way of communication, namely, literary representation. The fourth chapter on self is concerned with the symptoms of changes revealed in Shakespeare's tragedies. While Lear is reduced to a naked "mere man", a bare reality of a physical being, in the process of the disintegration of tradition, Hamlet and Macbeth are driven into the self-conscious struggle for self-fashoning in the middle of the same phenomenon. Moreover, it will be argued that these Shakespearean heroes are doomed to fail because of the fatal transitionality of modernity. The modem subject persistently repeats self-recognition and self-negation in the process of self-fashioning, and his/her consciousness of it involves the permanent crisis concerning the meaning of life. Therefore, he/she cannot but considers him/herself as dominated by the notion of transitionality. This kind of primordial anxiety permates the way Shakespeare dramatize confusion and mobility in the age of transition.

      • 시드니(Sidney)와 셰익스피어(Shakespeare)의 소네트 연작(蓮作)에 나타난 사랑과 시의 주제

        엄미양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942

        시드니와 셰익스피어가 속해 있던 르네상스 시대의 다양한 학문적·문학적·예술적 움직임들은 시인들에게도 사고와 표현의 기회를 넓힐 수 있는 바탕을 제공했다. 영국 소네트 역사의 핵심적 인물들인 시드니와 셰익스피어는 당대의 이같은 여건과 분위기를 십분 활용하면서 왕성하게 시작 활동을 했던 독창적인 시인들로 평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작 형식의 소네트를 영국에서 처음 사용한 시드니의 『애스트로필과 스텔라』(Astrophil and Stella, 1591)와 영국식 소네트 형식을 가장 훌륭하게 완성한 셰익스피어의『소네트집』(The Sonnets, 1609)을 집중적으로 검토하면서, 사랑이라는 동일한 소재에 대한 두 시인의 개성적인 접근 방식과 시 세계를 살펴보려고 한다. 2장에서 살펴본 시드니의 『애스트로필과 스텔라』는 영국 최초의 소네트 연작이라는 점에서 각별한 중요성을 갖고 있으며, 소네트 곳곳에 드러난 시에 대한 열정과 창작 의지는 후배 시인들에게 좋은 모범을 보여주고 있다. 자신의 첫 번째 소네트에서 시드니는 뮤즈의 입을 빌려 “그대의 마음을 보고, 글을 쓰라”(look in thy heart, and write)고 말하고 있지만, 그 자신으로서도 기존의 관습적인 어구를 피해 가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 소네트들 중 1번, 6번, 15번, 74번 소네트는 창의적인 표현에 대한 그의 생각과 열정을 담은 것으로 시드니의 시적 노력을 엿볼 수 있는 대표적인 시편들이다. 시드니는 15번 소네트에서 기존의 다른 시인들이 빈번하게 사용한 관습화된 시적 표현들을 체계적으로 비판하고 있다. 실제로 페트라르카풍의 문학적 관습은 시드니로서는 더 이상 반복하고 싶지 않은 인습이었다. 21번, 41번, 45번 소네트에서 시드니는 자신의 친구, 마상 시합, 스텔라등과 연관시켜 사랑과 시작활동에 관한 자신의 신념을 밝힌다. 21번 소네트에서 시드니는 대화체를 사용해 친구와 대화를 주고받듯이 자연스럽게 자신의 소견을 밝히고 있다. 41번 소네트에서는 마상시합에 출전해서 우승한 자신의 심정과, 주변의 상황을 사실적으로 묘사해 당시의 시대적 분위기와 문화 생활을 접할 수 있게 해준다. 45번 소네트는 사랑하는 여인을 향한 시드니의 간절한 심정을 솔직하게 표현한 시로 시를 읽는 독자로 하여금 안타까움과 공감을 느끼게 한다. 3장에서 살펴본 셰익스피어의 소네트는 사랑, 시간, 시라는 세 가지의 주제를 젊은 남자, 검은 숙녀, 시인간의 삼각 관계 속에서 고찰하면서 사랑의 가치와 시의 영속성이라는 핵심 주제를 이끌어 낸다. 본 논문에서 다룬 소네트들 중 시간의 파괴적인 힘과 시간을 극복한 사랑의 완성을 노래한 작품은 18번, 19번, 55번, 60번, 65번 소네트이다. 셰익스피어는 이 소네트들에서 자신이 사랑하는 대상과 결부시켜 시간의 파괴적인 속성들을 인정하면서 자신이 쓴 뛰어난 시 속에 자신들의 사랑이 담김으로써 영속화될 수 있다는 자부심을 피력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셰익스피어는 29번, 30번, 73번 소네트에서는 시간의 파괴력에 속수무책인 인간의 무력감을 다소 어둡게 그려낸다. 특히 73번 소네트에서 셰익스피어는 나이가 들어 노쇠한 자신의 모습을 은유적인 방식을 통해 설명하면서 약한 모습을 내비친다. 자괴지심에 빠져 있는 그의 기분을 전환시켜 주는 것은 오직 애인의 관심과 사랑임을 밝히는데, 이것은 사랑의 가치에 대한 그의 확신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다. 시드니와 셰익스피어는 현재까지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는 시인이며, 그들의 소네트를 읽으면서 우리는 인간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본질적인 감정인 사랑에 대해 새롭게 숙고하게 된다. 16세기의 대표적 시인들인 시드니와 셰익스피어는 자신들의 연작 소네트인『애스트로필과 스텔라』와『소네트집』을 통해 사랑과 시에 대한 개성적인 접근 방식을 보여주었다. 사랑과 시작 활동의 연관성에 관한 일관된 사색을 담고 있는 시드니의 『애스트로필과 스텔라』와 시간의 파괴력과 시의 영속성의 문제를 다양한 문맥과 상황에서 집요하게 탐구하고 있는 셰익스피어의 『소네트집』은 보편적 주제를 설득력 있게 표현함으로써 강력한 호소력을 가지고 있으며 오늘날까지 영국 소네트 연작의 모범으로 남아 있는 것이다. A variety of academic, literary, and artistic movements in the Renaissance period when Sidney and Shakespeare lived, provided poets with a basis to enlarge the opportunities of their thinking and expression. Sidney and Shakespeare, two major poets of the period, are considered as those creative poets who wrote their poems vigorously, utilizing sufficiently that kind of condition and atmosphere. Sidney's Astrophil and Stella, discussed in Chapter Ⅱ, is of vital importance in that it is the first sonnet sequence. His enthusiasm and will for creation toward poems, expressed here and there in his sonnets, offers a good example to younger poets. Although Sidney in his first sonnet says “look in thy heart, and write” in Muse's words, it is very difficult for him to keep away from conventional words and phrases. His sonnets 1, 6, 15, and 74 among those are representative poems in which his thinking and enthusiasm on creative expressions, and his poetic effort, come to the fore. Sidney criticizes other poets' conventional poetic expressions systematically in his sonnet 15. In fact, the Petrarchan Convention is a long-established one that Sidney doesn't want to repeat anymore in his poems. He discloses, in his sonnets 21, 41, and 45, his own belief in love and composition of poems, in connection with his friend, the tournament, and Stella. Sidney naturally gives his opinions using a dialogue style in the sonnet 21, having a conversation with his friend. He realistically describes his feeling and situation about his winning the championship in a horseback match in the sonnet 41 and it makes us encounter the trend and cultural life of that time. His sonnet 45 is the poem honestly expressing his love toward his dear woman and making readers feel pity and sympathy. Shakespeare's sonnet sequence, discussed in Chapter 3, elicits the core theme that the value of love and poem is everlasting, observing three topics of love, time and poem within the triangular love affair between a young man, a black woman, and a poet. The sonnets 18, 19, 55, 60, and 65 celebrate the triumph of his love overcoming the destructive power of time. Shakespeare in these sonnets expresses his pride that the poems can be perpetual by puting his love in to those that he wrote, acknowledging the destructive properties of time in connection with the objects that he loves. In opposition to that, in the sonnets 29, 30, and 73 he emphasizes the powerlessness of human beings who are helpless in the presence of the destructive power of time. Especially, he discloses his old age by using the commonplace metaphors method in the sonnet 73. He makes it clear that the only thing changing his mood addicted in a guilty conscience is the interest and love of his love, and this comes from his confidence in the value of love. Sidney and Shakespeare are among the most beloved poets in all ages. When we read their sonnets, we come to reconsider love, the most essential emotion in human life. Sidney and Shakespeare show their distinctive approaches in their sonnet sequences, Astrophil and Stella and The Sonnets. Sidney's Astrophil and Stella containing his reflections on the relation of love to composing of poems and Shakespeare's Sonnets examining the perpetuity of poetry and the destructive power of time in a variety of contexts, have a powerful appeal by expressing a general topic persuasively and have so far remained as good examples of the British sonnet sequence.

      • WHOLENESS IN FRAGMENTS : COLERIDGE'S SHAKESPEAREAN CRITICISM

        이경옥 UNIVERSITY OF GLASGOW 2000 해외박사

        RANK : 2942

        코울리지의 셰익스피어 비평은 일관성있게 기획되고 완성된 하나의 전체적인 완결판이 아니라 산만히 분산된 조각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그 산만히 분산된 조각들에서 어떤 전체성과 통일성을 찾아보자는 데에 있다. 코울리지의 비평에 나타나는 글의 파편적 성격이 단순히 그의 게으름이나 지연의 습관에서 온 것인가 혹은 낭만주의 시대를 성격짓는 하나의 흐름 이었는 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필자는 그의 글의 파편성을 전체의 대유로서, 그리고 전체를 그려볼 수 있는 가능성으로서 파악하여 그의 글의 전체성을 도출해 낸다. 우선, 제 1장에서는 코울리지의 셰익스피어 비평의 배경을 살펴보기 위하여 당시의 두개의 대표적인 셰익스피어 학파, 즉 영국학파와 독일학파에 대해 토론한다. 두 학파의 일반적인 성격을 설명한 후 셰익스피어에 관련된 각학파의 대표들, 즉 사무엘 존슨, 데이비드 게릭, 성격비평가들, 쉴레겐 형제에 관하여 논의 한다. 제 2장에서는 코울리지의 셰익스피어 비평의 기본이 되는 시의 원리, 즉 자연, 유기체론, 그리고 상상력에 대하여 논의한다. 자연의 개념은 시인으로서의 셰익스피어 뿐만 아니라 셰익스피어 작품에관한 코울리지 비평의 핵심이 된다. 특히 그의 자연의 개념은 예술, 유기적 통일, 복제, 상상력등에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필자는 이러한 개념들을 다른 평자들의 개념과 비교하고 그 차이점과 유사성을 논의한다. 제 3장에서는 어떻게 시인으로서의 셰익스피어라는 통합적인 개념이 도출되었는 가에 대해 논의한다. 이 논의의 초점은 어떤 점에서 셰익스피어는 코울리지에게 천재의 개념을 도출하게 했는 지를 살펴본다. 천재에 대한 코울리지의 정의 역시 자연의 개념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으며 셰익스피어에 관한 언뜻 보기에 단편적인 수식어들도 모두 자연의 개념으로 설명 가능하다. 제 4장에서는 어떤 면에서 셰익스피어의 작품이 모든 예술의 최상의 본보기가 될 수 있는 지에 대해 자연의 개념과 연과시켜 살펴본다. 또한 셰익스피어 작품의 전반적인 성격을 논의하기위해 다른 예술장르와 셰익스피어의 작품에 대한 코울리지의 비교를 살펴본다. 다음으로 셰익스피어 작품의 각 구성성분을 역시 코울리지의 자연의 개념과 유기체론에 입각하여 살펴본다. 이를 수행함에 있어 이론비평과 실제비평의 관계에 초점을 두는데, 이는 그의 형식, 성격비평, 그리고 언어에 대한 논의가 18세기의 성격비평가들과 많은 차이가 있음을 드러내준다. 제 5장에서는 셰익스피어 작품에 관한 코울리지의 감상론을 다룬다. 논의의 시작은 그가 극의 상연을 배제한 이른바 서재 비평가 였느냐는 점이다. 그의 극의 기원, 엘리자��여왕시대와 당시의 연극무대의 비교, 그리고 그의 환영론을 살펴보면 그는 처음부터 셰익스피어 극의 상연을 반대하지 않았음이 드러난다. 그의 독자 수용론 역시 시인-독자-작품사이에는 자연이라는 공통적인 요소로 설명된다. 결론부분에서는 그의 자연에대한 개념과 그것을 바탕으로 한 그의 비평이 구체적이며 타당성과 설득력이 있음을 제시하고 셰익스피어 비평상의 위치를 논의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