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成人學習者의 自我槪念, 參與動機 및 學習參與度와 平生學習成果의 構造的 分析

        金英美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dult Learner's self-concept,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degree of participation in learning on lifelong learning outcomes. The hypotheses tested were as follows: Lifelong learning outcome would be influenced significantly by adult Learner's 1) self-concept, 2)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3) degree of participation in learning. Degree of participation in learning would be influenced significantly 4) by adult Learner's self-concept and, 5) by adult learners' participation motivation. A hypothetical model was formulat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by the researcher. In this model, self-concept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were treated as independent variables, degree of participation in learning as a mediate variable, and lifelong learning outcomes as a dependent variable, respectively. Self-concept consisted of self-esteem and learning-efficacy,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consisted of learning orientation, goal orientation, and activity orientation, degree of participation in learning consisted of level of participation and learning flow. Lifelong learning outcomes consisted of cognitive domain, affective domain, social domain, physical domain, domestic domain, and career domain.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417 adult learners(male 56, female 361) aged over twenty years-old from the lifelong learning institutes located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Self-concept, participation motivation, degree of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outcomes were measured using Kim Jin-Ho's Self-esteem Scale(2003), Lim Sook-Kyung's Educational Participation Scale(2007), Lim Sook-Kyung's Flow State Scale(2008), and Kim Ae-Ryeon's Scale(2002), respectively. Basic statistical data including frequency, mean, SD, and correlations among 13 subordinate variables were computed using SPSS19.0, and a structur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MOS 9.0 program.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sults of model fitness showed that the hypothetical model generally fit into empirical data(χ²=146.76(p<.001, df=38), GFI=.939, IFI=.919, TLI=.912, CFI=.918, RMR=.02, RMSEA=.079. So, it was concluded that the hypothetical model greatly fit into empirical data. Second, participation motivation(β=.48, C.R=4.21, p<.001) and degree of participation in learning(β=.45, C.R=2.22, p<.05) had a direct effect on lifelong learning outcomes, respectively. Eventually two variables contribute to explain the lifelong learning outcomes. Third, self-concept(β=.70, C.R=7.72, p<.001) and participation motivation(β=.42, C.R=5.34, p<.001)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degree of participation in learning, respectively. Fourth, total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degree of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self-concept on lifelong learning outcomes was .67, .45, and .36, respectively. It was concluded that a variety of program for improving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the extent of learning particip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enhancing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and maximizing lifelong learning outcome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can be characterized as highly-educated individuals with careers. However, one of the main purpose of lifelong learning is to achieve social integration. Thus, a variety of studies should be conducted, which attract latent adult learners who have disadvantage of information accessibility and mobility. 본 연구는 지역의 평생학습기관에서 평생학습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평생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 중 자아개념, 참여동기, 학습참여도의 영향을 구조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자아개념 및 참여동기와 평생학습성과 변수 간의 관계와 영향력은 어떠한가? 둘째, 성인학습자의 자아개념 및 참여동기와 학습참여도 변수 간의 관계와 영향력은 어떠한가? 셋째,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도 변수와 평생학습성과 변수 간의 관계와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통한 가설적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독립변인으로 자아개념과 참여동기를, 매개변인으로 학습참여도를, 종속변인으로 평생학습성과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들 4개의 잠재변인을 측정하기 위한 하위요인에는 자아개념에 자아존중감, 학습효능감 2개 요인, 참여동기에 학습지향, 목표지향, 활동지향 3개 요인, 학습참여도에 참여수준과 학습몰입 2개 요인, 평생학습성과에는 지적영역, 정의영역, 사회영역, 신체영역, 가정생활영역, 진로․취업 영역의 6개 요인으로 총 13개의 측정변인을 구성하여 각 요인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대전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평생학습기관이 운영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성인학습자 4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SPSS 19.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9.0 program을 사용하여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에서 제안된 연구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적합도가 양호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수정모형을 설정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료에 부합된 적합도지수 χ²=146.76 (p<.001, df=38), GFI=.939, IFI=.919, TLI=.912, CFI=.918, RMR=.02, RMSEA=.079를 확인 하여 검증하였다. 둘째, 평생학습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으로 참여동기, 학습참여도가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또한 매개변수인 학습참여도는 자아개념, 참여동기에 모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자아개념에서 매개변수가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외생변수와 매개변수의 평생학습 성과에 대한 전체효과를 분석한 결과, 평생학습성과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변인은 참여동기, 학습참여도, 자아개념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역사회에서 평생학습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의 자아실현과 지역사회의 경쟁력 강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평생학습성과에 대한 학습전략의 개발이 이루어져야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역을 기반으로 한 평생학습참여 기회를 다양한 계층으로 확대하기 위한 환경조성이 요구된다. 특히 본 연구에서의 성인학습자들은 고등교육을 받고 지속적인 사회활동을 하고 있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평생학습의 목적인 개인의 자아실현과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정보의 접근성과 이동성 측면에서 불리한 잠재적인 학습자를 평생학습의 장으로 유인하는 지속적인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 성인학습자들의 자기계발 학습 참여 과정 연구

        신수경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성인학습자들의 자기계발 학습 과정을 탐구한 것이다. 인간 수명의 연장과 급변하는 사회적 상황 속에서 성인학습자들은 자신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자기계발에 부단히 노력하고 있으며, 여러 평생교육 기관에서도 이들을 수용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자기계발 열풍 속에서 기존의 연구들은 자기계발의 필요성이나 중요성을 환기시키는 데 주로 역점을 두고 논지를 펴 왔을 뿐, 성인학습자들이 평생교육 기관에서 자기계발 학습에 참여하는 역동적인 과정과 상황에 관한 정보는 부족하다. 이 연구는 평생교육기관에서 진행하는 자기계발 학습과정에 성인학습자들이 어떻게 입문하는가, 또 과정 초기부터 과정 종료 시점까지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느낌은 어떠한가, 그리고 자기계발 학습 과정에서 특히 고려할 만한 사항은 무엇인가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여 조사한 것이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평생교육기관, 교수자에게 향후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나 교수법 적용에 필요한 단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의 C평생교육학원에서 자신감과 인간관계,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을 주제로 한 자기계발 학습 프로그램을 이수한 성인학습자 11명이다. 성인학습자들이 학습과정에서 겪는 심리적 변화를 포함한 경험을 보다 구체적으로 다루고자 정성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보다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참여자들의 토의 형식으로 진행되는 포커스 그룹 면담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들이 자기계발 학습과정에 입문하게 된 주요 배경은 동일 과정을 이수한 주변 지인들의 영향이 크다. 주변 지인의 학습을 통한 성장과 권유가 동기부여 요소로 작용하여 대부분은 호의적·능동적으로 과정에 입문한다. 반면, 비자발적으로 참여한 일부 학습자의 경우 학습 초기에 과정에 대해 부정적이고 비판적인 학습태도를 견지하기도 하는데 이는 필요(need)에 의해서 주도적으로 움직이는 성인학습자들의 학습지향적, 목표지향적 성향이 반영된 것이다. 둘째, 성인학습자들의 자기계발과정을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심리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탐색해 봤을 때, 학습초기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강사의 전문성’이었다. 또 과정 중반부터는 ‘의도적·무의도적인 결석’이 과정에 대한 몰입과 흥미, 집중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과정 후기에는 ‘동료 학습자간의 네트워크 형성과 소통 양상’이 수료 후의 만족도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셋째, 성인학습자들은 자신의 ‘경험’을 자기계발 학습과정과 연계할 때 학습효과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말하는 ‘경험’은 과정 중에 지식으로 습득한 것에 대한 연습, 즉 learning by doing에 의한 경험뿐 아니라, 자기계발과정에 입문하기 이전의 생애경험까지를 포함한다. 학습자들은 자신의 경험을 학습 과정에 개입시키고 공식적으로 공유함으로써 배움과 가르침의 이중적 입장을 체험하게 된다. 또, 이러한 자기 고백적 성찰은 자의식에서 벗어나는 힐링(치유)의 효과와 동료 학습자간 친밀감 강화, 삶에 대해 긍정적이고 열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한다. 이 연구는 자기계발 과정의 필요성이나 중요성을 환기시키는 차원을 넘어, 학습자의 목소리를 통해 자기계발 학습 과정의 내부와 흐름을 들여다 봄으로써 과정 설계와 운용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특히, 자기계발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들의 변화촉진 요소로 제시한 ‘경험의 공유’는 성인학습자들의 주요 학습자원인 ‘경험’을 학습의 장에서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중요한 근거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비단 자기계발 과정뿐만 아니라 성인학습자를 위한 여타의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에서도 참고할 가치가 있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의미를 지닌다. 주요어 : 자기계발, 성인학습자, 경험 공유, 평생교육

      • 전문대학 학위과정 참여 성인학습자의 참여 동기 및 실태 분석

        오지은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 학위과정 참여 성인학습자의 참여 동기, 평생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및 재참여의향, 학위과정 선택 영향요인, 학위과정 발전방안이 개인적 변수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조사·분석하는 것이다. 개인적 변수는 성별, 연령, 재직여부, 최종학력, 학과, 학년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D광역시에 소재한 Y전문대학의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회수된 304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인 설문 28부를 제외한 276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프로그램은 SPSS 21.0을 사용하였으며 개인적 변수에 따른 참여 동기, 평생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및 재참여의향, 학위과정 선택 영향요인, 학위과정 발전방안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교차분석,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참여 동기와 평생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및 재참여의향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위과정 참여 성인학습자의 참여 동기는 학습지향형 동기가 가장 높았으며, 개인적 변수 중 성별, 연령, 재직유무, 최종학력, 전공,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평생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및 재참여 의향은 긍정적인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변수에 따라서는 학년, 학과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 동기와 평생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및 재참여 의향은 서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학습지향형 동기를 가진 성인학습자는 평생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및 재참여 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성인학습자의 학위과정 선택 영향요인으로는 입학설명회, 지인 권유, SNS 순으로 응답하였으며 개인적 변수에 따라서는 성별, 연령, 재직여부, 최종학력, 학과,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전공 선택의 이유로는 배워보고 싶어서, 향후 진로 및 구직에 대비 순으로 높았으며, 개인적 변수에 따라서는 성별, 연령, 재직여부, 학과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학위과정 발전방안에 대한 인식 중 진학 활성화를 위한 지원으로는 교육 전문성의 강화, 성인학습자 입학 관련 정보 및 홍보자료 제공, 선행학습 인정 순으로 높았으며, 성인학습자의 학교 적응을 위한 투자 분야로는 장기간 학업 공백을 도와주기 위한 보충교육 프로그램 제공, 성인학습자를 위한 학습서비스센터 운영, 맞춤형 상담시스템 운영 순으로 나타났다. 성인학습자의 고용 가능성 향상을 위한 지원으로는 성인학습자 취업을 위한 인턴십 프로그램 운영, 성인학습자 대상 취업 정보 제공, 직업능력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순으로 나타났다. 성인학습자들이 어떠한 참여 동기를 가지고 있는지, 학위과정에 대한 인식과 실태는 어떠한지 연구하는 것은 새로운 학위과정을 운영하거나 기존 학위과정을 발전시키는 것에 있어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학습자 개인마다 학습의 선호와 요구가 다름을 인식하고 다양한 접근 방식으로 학습전략을 세워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fferences of adult learners motivation, their need for lifelong education and their willingness to re-participate in college dgree programs. Participants’ demographic variables were composed of gender, age, employment status, final education, department, and grad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 learners at Y College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and 276 copies of the 304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es. A series of one-way ANOVA, cross-tabulation, and independent t-test were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need for lifelong education and willingness to re-participate.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 21.0 were conducted to reveal the relationship among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s, need for lifelong education, and willingness to re-particip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dult learners showed the highest learning-oriented motivation.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ge, job status, final degree, major, and grade. Second, the need for lifelong education and willingness to re-participate showed a high level of positive perception,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 and major. Thir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the need for lifelong education, and the intention to re-participate have a positive (+) correlation with each other. Fourth, the factors which influenced on the selection of the degree programs, were an admission information session, recommendation from friends and a social network system.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degree program selection according to gender, age, job status, final academic background, department, and grade. In addition, the adult learners had desire to learn because of their future career and job search. Lastly, the reinforcement of educational expertise, supply of information and advertisement of admission information for adult learners, and acceptance of their prior learning experiences were suggested as the suitable support for their career development. It was also suggested that supplementary education program, learning centers, and customized counseling system were needed to help adult learners to adapt themselves to school. Internship availability, job inform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support for developing their job skills were also needed to provide for adult learners to increase the possibility to get a job. It is very important and essential to study what kind of motivation adult learners have to participate and how they perceive their degree program considering that these basic data can be used to develop a new degree course or to improve an existing degree course. Therefore, it suggests that learning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with various approaches, recognizing that each learner has different learning preferences and needs.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에 재학중인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인식 및 참여실태 분석

        권미정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학교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 살펴보고, 학력인정평생교육 참여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여 앞으로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들의 평생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성인학습자들의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참여 실태와 그에 따른 문제점은 무엇이며 앞으로 발전방향은 무엇인가? 연구방법은 대구광역시 D군에 위치하고 있는 학력인정평생교육시설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대상자들의 성별, 연령별, 직업별, 학년별, 수입별 등을 고려하여 제작한 설문지 400부를 배부하였고, 그 중 총 361부의 설문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수집된 자료를 성별, 연령별, 직업별, 학년별, 수입별로 분류하고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빈도, 백분비) 및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에 대해 전반적으로 들어보기는 했으나 정확히 알고 있지는 못하지만 평생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성인학습자들이 요구하는 평생교육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평생교육시설의 및 사회제도적으로 평생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둘째, 학력인정 평생교육의 참여 실태를 분석한 결과, 평생교육에 참여하는데 따르는 가장 큰 어려움으로 학습에 대한 공포감과 자신감 결여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참여하고 있는 프로그램에도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었으며, 프로그램 재참여의사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요구 또한 의학보건, 컴퓨터, 취미생활 등 전 과정에 걸쳐 다양하게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참여 실태를 바탕으로 성인학습자들이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여야 하며, 성인학습에 대한 의식변화를 위해 사회 제도적인 홍보 및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우리나라 평생교육이 아직까지 체계적으로 실행되지 못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학습자들의 요구를 분석하여 다양한 프로그램 및 참여기회를 늘릴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학교 재정적 상황에 따라 학교시설 내에서 충당하지 못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다른 교육시설로 서로 연결 시켜주어 학습자들의 교육요구를 만족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향후 평생교육의 발전을 위해서 교육의 공급자인 평생교육시설은 수요자인 학습자에 맞는 친절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하여야 한다. 특히 성인학습자의 경우 학습 시간대와 교육시설의 현대화 등을 통해 서비스 질을 향상시킨다면 평생교육시설의 점진적인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많은 학습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기란 힘들지만 평생교육시설의 혁신적인 마인드와 정부차원의 재정적 지원 및 제도적 방안이 갖추어진다면 평생교육의 미래는 밝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adult learners who attended an accredited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perceived lifelong education and how they received accredited lifelong education in an attempt to explore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accredited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1. What is the general view of adult learners in an accredited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about lifelong education? 2. How do adult learners receive education in an accredited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What problems are they faced with? In which direction should accredited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be l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0 adult learners who attended an accredited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located in D-gun, Daegu. A survey was conducted with questionnaires prepared in consideration of their gender, age, occupation, academic year and income, and the answer sheets from 361 learners were analyzed. After the collected data were sorted out by gender, age, occupation, academic year and income, SPSS 12.0 program was employed to make a frequency analysis and x2-test.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dult learners investigated had heard about lifelong education in general, but they didn't exactly know about it. Nonetheless, most of them felt the need for that, and publicity activities should be beefed up to spread awareness on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and system. Second, as for the state of their lifelong learning, they found it most difficult to take that education due to fear and poor confidence. They were satisfied to some extent with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n which they had participated, and they were willing to take part in those programs again. In terms of educational needs, they asked for education about diverse fields like health, computer and dilettante life. Given the reality of their lifelong learning, adult learners should be given plenty of opportunities to learn, and a formal publicity campaign should be conducted to change the way they look at adult learning. As lifelong education isn't yet on the right track, learner needs should accurately be grasped to prepare a wide variety of programs, and they should be encouraged to receive more lifelong education. If a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cannot afford to offer some particular programs, learners should be helped to participate in those kinds of programs provided by another educational institution so that their educational needs could be satisfied. Third, in order to ensure the development of lifelong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the supplier of education, should offer educational services tailored to the needs of learners who are clients. For adult learners, the superb quality of services should be guaranteed by arranging learning hours and modernizing teaching facilities. That will contribute to facilitating the growth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It's a hard task to address many learners' needs at the same time, but innovative efforts by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subsidy from the government and an establishment of a good system will serve to lay the solid foundation for lifelong education.

      •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동기, 학습몰입, 자아인식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PERMA 모델의 적용

        조은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applied the PERMA model to adult learners participating in distance higher education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influence of learning motivation (positive emotion) on well-being(achievement) through the mediation of learning engagement (immersion) and self-awareness (relationship, mea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and to identify ways to improve the well-being of adult learners. To accomplish these objective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adult learners (25 to 64 years old) of higher education who use distance learning.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and face-to-face surveys, and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prior to the main survey. Of the 5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434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missing data, and the data were process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difference test,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Sobel 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mean values of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engagement, self-awareness, and well-being of adult learners were 3 points or more higher on 5-point Likert scale. In learning engagement motivation, the activity oriented subfactor showed a high level. In wellbeing, subfactors such as relationship and social domain, and in learning engagement and self-awareness, subfactors like definitional learning engage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vitality scored high. Second, we examin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based o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We found that younger generation have higher levels of motivation for learning participation, learning engagement, and well-being than older generation, except for self-awareness. Thir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showed that learning motiv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well-being through the mediation of learning engagement and self-awareness. In other words, the greater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earning, the higher the learning engagement. Also, the greater the self-awareness, the greater the improvement in well-being. Fourth, to examine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variables on adult learners' well-being, we used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engagement, and self-awareness variables were sequentially added. As a result, the relative influence of learning engagement was the greatest. To sum up, we found that adult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directly affects their well-being and also indirectly through learning engagement and self-awareness. We also found that learning engagement is the most influential in terms of the relative influence of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engagement, and self-awareness on well-being. Applying the PERMA model to these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learning motiva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order to promote well-being of adult learners; in particular, they need to be sincerely engaged and act to achieve their desired goals. In other words, learners' positive emotions lead to achievement through engagement, relationships, and meaning. 본 연구는 원격대학 고등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들을 대상으로 PERMA모델을 적용하여 학습참여동기(긍정정서)가 학습몰입(몰입)과 자아인식(관계, 의미)을 매개로 행복감(성취)에 미치는 영향력과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그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성인학습자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원격을 이용한 대학 고등교육의 성인학습자(25세부터 64세)를 중심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방법은 온라인 및 대면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후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에 이용한 자료는 회수된 500부 중에서 결측치를 제외한 총 434부이며, 자료처리는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차이검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동기, 학습몰입, 자아인식, 행복감 정도는 5점 리커트 척도에서 평균값 3점 이상으로 나타났다. 학습참여동기에서는 활동지향형 하위요인, 행복감에서는 관계 및 사회적 영역 하위요인, 학습몰입과 자아인식에서는 정의적 학습몰입과 대인관계 및 활력성 하위요인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세대별에 따른 차이가 자아인식을 제외한 학습참여동기, 학습몰입, 행복감에서 청년세대가 연령대가 높은 장년세대에 비해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에서 학습참여동기는 학습몰입과 자아인식을 매개로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참여동기는 행복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학습몰입과 자아인식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습참여동기가 클수록 학습몰입이 높고 자아인식에도 영향을 미쳐 행복감을 크게 증진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성인학습자의 행복감에 미치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선형회귀분석방법을 이용하여 학습참여동기, 학습몰입, 자아인식의 변수를 순차적으로 추가하였다. 그 결과, 학습몰입의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디지털사회에서 교육방법의 다양성 차원에서 활용되고 있는 원격대학 고등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들의 학습동기와 행복감과의 관련성을 살펴, 이를 PERMA모델에 적용하여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학습참여동기가 학습몰입과 자아인식을 매개로 행복감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검증한 결과, 원격대학 고등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동기가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과 학습몰입과 자아인식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행복감에 미치는 학습참여동기, 학습몰입과 자아인식의 상대적 영향력에서는 학습몰입이 가장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PERMA모델에 적용하면 성인학습자들의 학습을 통한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학습동기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특히 자신이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진심으로 몰입하고 행동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학습자들의 긍정적 정서가 몰입, 관계, 의미를 통한 성취로 연결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원격대학 고등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들의 학습을 통한 변수들을 설정하여 그들의 행복감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관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행복감에 미치는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원격대학 고등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들의 행복감을 설명하는데 있어 긍정심리학의 PERMA모델을 구체적으로 적용하였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성인학습자 평생교육 프로그램 실태분석 : 강원도 江陵市지역 평생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유경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in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a lifelong educational program desired by adult learners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 and the requirements by adult learners that are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offered by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located in Gangneung-si. The research was conducted centering on the issue of 'what is the plan for improving the management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desired by the citizens?' upo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adult learning and learning programs, and examining the history of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located in Gangneung-si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managed by these institutions, as well as the actual condition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 by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the evaluation of the management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the items of requirement and complaint on the management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As for the research methods, present condition research, actual condition research and survey research were conducted for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in Gangneung region. The results of the actual condition research on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adult learners are as follow. First, 23 adult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have been established and being managed in Gangneung-si as of the present time in 2009, and the total number of programs offered by these institutes is 380, and the number of peopl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s 9,428, which is 5.7% of the population over 20 years of age in Gangneung-si (165,766), and the programs are mainly focusing on in the areas of hobbies, entertainment and leisure, as well as basic cultural educa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expand and offer the program subjects according to the desires of learners since the programs are not satisfying the demands of the learners from various classes. Second,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rate of participation is low for the low income earners that are earning less than 1 million won per month, people with middle school education or lower and youths in their 20s to 30s. In response to these, the program fee should be waived for the low income earners or offer programs that connect education cost support and income, and the programs that will be officially recognized and accredited for those without higher education should be introduced and the introduction of basic cultural programs should be expanded, and the programs that will be helpful for the youth in their 20s to 30s in their employment should be introduced. Third, nearly the half (46.9%)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currentl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ies (working) but only a few institutions were offering night programs for them, and the biggest reason for stop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as lack of time. Therefore,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need to expand their night programs to accommodate their needs. Fourth, the many overlapping programs by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resulting from their piecemeal program management approaches that are irrelevant to the regional accessibility are making it difficult for learners to choose their desired program and causing the result of not being able to accommodate their various needs. Therefore, the institutes need to develop and offer specialized and professional programs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Fifth, it is currently difficult to quantitatively expand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desire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provide them systematically due to the lack of network established among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According,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mutual network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by the institutes. Sixth, the result is revealing that the use of the Internet through the homepage of the education institutes is the biggest path through which the learners participate in programs, thereby requiring the education institutes to thoroughly manage their homepage to swiftly provide information on their lifelong education program. Seventh, it is being revealed that the biggest item of complaint by the program participants is their complaint on educational equipment and facilities, thereby requiring the improving of deteriorated facilities and expand their insufficient educational equipment and facilities, as well as convenience facilitie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is a plan for improving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desired by adult learners. Firs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d management programs for various user classes. Second, opportunities need to be expanded for the neglected to participated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them. Third, night programs for working professionals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ies need to be expanded. Fourth,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need to develop and offer specialized, high-quality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ifth, network among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needs to be established. Sixth,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need to thoroughly management their homepage to swiftly provide information on their lifelong education programs. Seventh, they need to improve or expand their educational equipment and facilities and convenience facil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江陵市에 소재하는 평생교육기관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참여 실태 및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성인학습자들이 원하는 평생교육의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는 데 기여하고자 함에 있다. 연구내용은 성인학습과 학습프로그램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江陵市에 소재하는 평생교육기관 설립연역과 이들 기관이 운영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운영현황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자들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참여 실태는 어떠한가,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평가는 어떠한가,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요구 및 불만사항은 무엇인가를 파악하여 시민들이 원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개선방안이 무엇인가 라는 문제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강릉지역 평생교육기관의 현황조사 및 실태분석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성인학습자 평생교육 프로그램 실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江陵市에는 2009년 현재 23개 성인평생교육기관이 설립·운영되고 있으며, 이들 기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 수는 총 380개로 참여인원은 江陵市의 20세 이상 인구(165,766명)의 5.7%인 9,428명이 참여하고 있으며, 프로그램의 내용은 취미·오락·여가 분야와 기초교양·문화교육 분야에 치중되어 있고 다양한 계층의 학습자들의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어 학습자들이 새로이 개설을 원하는 프로그램을 확대 개설·운영을 해야 한다. 둘째, 성인학습자 중 월 평균 100만 원 이하의 저 소득자와 중학교 졸업이하의 저학력자, 그리고 20~30세의 청년 계층의 참여율이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저소득층에 대하여는 수강료면제 또는 교육비용지원과 소득과 연계되는 프로그램 운영을 해야 하고, 저학력자들에 대하여는 학력·학점인정교육과 기초교양프로그램의 개설을 확대하고, 20~30세의 청년계층에 대하여는 취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설운영을 해야 한다. 셋째, 연구대상자 중에서 거의 절반(46.9%)에 가까운 학습자들이 현재 경제활동(직장)에 참여하고 있으나 이들을 위한 야간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있는 기관은 일부 기관에 불과하고, 프로그램참여 후 직장관계로 시간부족이 중단하는 가장 큰 이유가 되고 있으므로 이들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각 평생교육기관에서는 야간 프로그램을 확대 운영해야 한다. 넷째, 각 평생교육기관에서는 지역별 접근성 등과 무관하게 백화점식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관계로 중복되는 프로그램들이 많아 학습자들이 원하는 프로그램의 선택을 어렵게 할뿐 아니라 그들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어 지역 특성에 맞는 평생교육기관별 특성화된 전문성이 요구되는 프로그램을 개발운영 해야 한다. 다섯째, 현재 평생교육기관 간 네트워크가 구축되지 많아 원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설·운영을 양적으로 확대함과 동시에 체계적으로 제공하기 어렵다. 이를 위해서는 평생교육기관 상호간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네트워크 구축해야 한다. 여섯째, 인터넷발달로 인하여 교육기관 홈페이지를 이용한 인터넷활용이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참여경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신속한 정보제공을 위해서는 교육기관 홈페이지 관리에 철저를 기해야 한다. 일곱째, 프로그램 참여자의 불만사항 중 교육시설·설비에 대한 불만이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으므로 노후시설을 개선하고 부족한 교육시설·설비 및 편의시설을 확충해야 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하여 성인학습자들이 원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운영을 위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이용자 계층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운영이 필요하다. 둘째, 소외계층 등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셋째,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직장인을 위한 야간 프로그램의 운영을 확대해야 한다. 넷째, 평생교육기관별 특성화된 질 높은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해야 한다. 다섯째, 평생교육기관 간의 네트워크 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 여섯째,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신속한 정보제공을 위해 기관 홈페이지 관리에 철저를 기해야 한다. 일곱째, 교육시설·설비 및 편의시설을 개선 또는 확충해야 한다.

      • 학력인정 평생교육기관 성인학습자의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임순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학위취득을 목적으로 평생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20대와 30대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학습자로 하여금 개인의 능력에 대한 신념의 중요성 및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이해하여 표현하고 행동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바람직한 상호작용을 형성&#8231;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는 학업의 지속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성인학습자에 대한 이해를 통해 다양한 상담 장면에서 전략적 상담 방법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성인학습자의 정서지능이 대인관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성인학습자의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평생교육기관에서 학위과정에 재학 중인 20대와 30대 성인학습자 338명이었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성인용 정서지능 검사도구, 자기효능감 검사도구와 한국판 대인관계 형용사 검사도구이다. 성인용 정서지능 검사도구는 자기보고식 질문지로서, Mayer와 Salovey(1990)의 정서지능 모형에 입각하여 문용린(1996)이 개발한 AEQT(The Adult Emotional Quotient Test)를 사용하였다. 자기효능감 검사도구는 김아영과 차정은(1996)이 개발한 것을 김아영(1997)이 수정한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대인관계 상호작용 검사도구는 Wiggins(1979, 1982)의 대인관계 형용사 척도(IAS)를 축약한 IAS-R(Interpersonal Adjective Scales-Revised version)을 모델로 하여 정남운(2004)이 개발한 한국판 대인관계 형용사 척도(KIAS)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바람직한 분원과 바람직하지 못한 분원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자료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주요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변인 간 Pe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고, 단계적(step-wise)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정서지능은 대인관계 상호작용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 상호작용의 바람직한 분원 전체에 대한 성인학습자의 정서지능의 설명력은 25.7%였으며, 정서조절(F=80.226, p<.001), 정서표현(F=15.683, p<.001), 감정이입(F=8.999, p<.01), 정서인식(F=7.786, p<.01)의 하위요인 순으로 설명력이 높았다. 바람직하지 못한 분원 전체에 대한 성인학습자의 정서지능의 설명력은 21.6%였으며, 정서표현(F=56.171, p<.001), 정서활용(F=26.969, p<.001), 정서조절(F=6.967, p<.01)의 하위요인 순으로 설명력이 높았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자기효능감은 대인관계 상호작용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 상호작용의 바람직한 분원에 대해서 자기효능감은 하위요인 중 자기조절효능감(F=83.373, p<.001)이 19.6%의 설명력을 보였다. 바람직하지 못한 분원 전체에 대한 성인학습자의 자기효능감의 설명력은 16.2%였으며, 자신감(F=59.825, p<.001), 자기조절효능감(F=6.517, p<.01)의 하위요인 순으로 설명력이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dult learn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on interpersonal interaction with others. Especially, this study tried to help adult learners to maintain interpersonal interactions with other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competence and emotions on interpersonal interactions with others. Also this study wanted to present basic resources for counselling strategies for adult learn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everal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1. What is the effect of adult learners' emotional intelligence on interpersonal interaction with others? 2. What is the effect of adult learners' self-efficacy on interpersonal interaction with other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338 adult learners who study in the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 in Seoul. Main methods for collecting data in this study were The Adult Emotional Quotient Test(AEQT), Self-Efficacy Rating Scale, and Korea Interpersonal Adjective Scales(KIAS)(Jung, 2004). AEQT was developed by Moon(1996) based on the Mayer and Salovey(1990)'s emotional intelligence mode. KIAS was revised by Jung(2004) who shorten Wiggins'(1979, 1982) IAS-R. SPSS 17.0 program was used for analyzing the data of this study. Especially the data analyzed frequent analysis, Preason's co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al analysis. .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ed that adult learner's emotional intelligence explained significantly the interpersonal interactions with others. Specific results of this study were emotional regulation (F=80.226, p<.001), emotional expression (F=15.683, p<.001), empathy(F=8.999, p<.01), emotional acknowledge (F=7.786, p<.01) and R² was 25.7% on interpersonal interaction. Second, this study also showed that adult learner's self-efficacy affected interpersonal interaction with others. Specifically this study showed that R² of self regulation efficacy(F=83.373, p<.001) was 19.6% in the positive section. In the negative section, this showed that R² of self-efficacy was 16.2%, followed by confidence(F=59.825, p<.001 and self regulation efficacy(F=6.517, p<.01).

      • 성인학습자의 경험학습양식과 학습만족도와의 관계

        방은숙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yle of Learning Experience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Education Among Adult Learners Modern society is the learning society. It is necessary for people to learn anything they want in order to adapt to the changes. At the same time, They must be able to have the chance to educate themselve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Lifelong learning society is the inevitable social trend. Learning is co-existing as a right and as a duty in our society.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situation above, this research aims at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yle of learning experience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education and at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of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gender, age, occupation, major, grade, and incom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questionnaires with the students of the Broadcast Communication University so as to measure the level of the satisfaction of the learning experiences and the learning style. The resul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yle of learning experience and the level of learning satisfaction is the followings: First, this research found that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the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higher satisfac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ways was shown to the women than men, 40's in the age, and the first grade among the grades. Moreover, people who are in 30's and earn less than two million won as an income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any other group. The satisfaction of educators depends on personal characteristics except for gender, but relating to the learning and satisfaction of educators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satisfaction had little difference. Second, i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satisfaction of the learning according to the learning experience mode of adult learners.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degree in the educational content and educators was getting higher as learners had propensity to experience concretely. In the view of the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al method, environment, and facilities, the style of learning experi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in general. This research made the conclusion that the style of learning experience was not suitable to explain the satisfaction of the education when researchers analyzed the impact of the style of learning experience on the whole parts of education. However, this conclusion does not mean that the style of learning experience has little impact on the sub-region of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style of learning experience has little impact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but adult learners have variable experiences, do the self-directed learning, have the intrinsic motivation, and learn to adjust to life. When we think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and the process of perceiving the education as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 adult learners will form a unique learning style exchanging meaningful impacts on the environment. In other words, adult learners including the learners who have the experience and don't have it will form the unique style of learning experience, showing the personal gap. Therefore, learning style systematic is needed in order to accurately diagnose the learning mode of adult learners and to take advantage in the field. Furthermore, there is more room to detect the various parameters when the research is studied using the collection tools and analyzing methods. Keyword: Adult Learners, Learning Satisfaction, Experience. 요약(국문초록) 성인학습자의 경험학습양식과 학습만족도와의 관계 현대사회는 학습사회이다.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누구나 학습을 해야 하며, 동시에 지속적인 발달을 위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학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의무로서의 학습과 권리로서의 학습이 공존하는 사회, 학습이 편재하는 사회인 평생학습사회는 이제 시대의 거스를 수 없는 추세가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성인학습자의 경험학습양식과 학습만족도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분석해보고, 경험학습양식에 따라 학습만족도를 파악하여 성별, 연령별, 직업별, 전공별, 학년별, 수입별에 따른 학습만족의 차이를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송통신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경험학습양식과 학습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성인학습자의 경험학습양식과 학습만족도의 관계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라서 학습만족도에 큰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자보다는 여자가 연령에서는 40대, 학년에서는 1학년이 교육내용과 방법에 대해 더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교육환경과 교육시설에서는 30대와 월 소득 200만원 미만의 집단의 만족도가 다른 집단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았고 교육담당자 만족도에서는 성별을 제외한 모든 개인적 특성에 따라 교육담당자에 대한 만족도 수준에는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지만 개인적 특성에 따른 학습만족도와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경험학습양식에 따라서 학습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교육내용, 교육담당자 만족도 부문에 있어 경험학습 양식 중 구체적 경험의 성향이 높을수록 교육내용과 교육담당자에 대한 만족도 또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경험학습양식은 교육방법, 교육환경, 교육시설 만족도에 대해서는 대체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경험학습 양식이 교육만족도 전체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해 볼 때 경험학습 양식이 교육만족도를 설명하는데 적합하지 않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분석 결과가 경험학습 양식이 교육만족도의 각 하위 영역에 대해 미치는 영향력까지도 유의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성인학습자의 경험학습양식이 학습만족도에 유의하지 않다고는 하지만 성인학습자는 다양한 경험학습을 하며,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하고, 내재적 동기를 갖고, 생활적응 및 생활 중심적이다. 이러한 성인학습자의 특성을 감안하고 학습을 새로운 정보나 지식을 지각하고 처리하는 유형화된 과정이라고 본다면, 성인학습자는 각각 환경과 의미 있는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독특한 학습양식을 형성할 것이다. 즉, 형식과 무형식학습을 포함한 성인학습자의 경험학습은 개인차를 보이면서 각각의 학습양식을 형성할 것이다. 따라서 성인학습자의 학습양식을 정확하게 진단하여 현장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학습양식이 필요하다. 또한 다른 조사대상이나 수집도구,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연구한다면 좀 더 다양한 매개변인들이 탐색될 여지가 있음을 시사한다. 주제어 : 성인학습자, 경험학습양식, 학습만족도

      • 원격평생교육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개인적 배경 특성, 학습참여동기, 학습장애요인과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 만족도와의 관계

        성영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learning obstacle factors, and satisfaction with distanc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of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distance lifelong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the distance lifelong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person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gender, age, residence, educational background, occupation, lifelong education experience) of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distance lifelong education? Second, how does the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goal-oriented, activity-oriented, learning-oriented motivation) of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distance lifelong education program affect their satisfaction on the distance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ird, How does learning obstacle factors (learning environment, distance learning program media environment, self-efficacy toward media,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teraction) of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distance learning program affect satisfaction on distanc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Surveys and statistical tests were used to conduct such studie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both of online survey and offline direct survey targeting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a distance learning program. Through this, a total of 263 surveys were collected, and 252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11 copies with insincere or missing value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the distance lifelong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person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distance lifelong educa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evance in satisfaction on distanc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gender, age, job status, and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evance in satisfaction on distanc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place of residence and the period of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experienc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distanc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by learning participation motive factors, three factors of goal-oriented, activity-oriented, and learning-oriented participation motivation included in the regression model accounted for 26.1% of satisfaction with the distance learning program,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goal-oriented motivation and learning-oriented motiva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on distanc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t was found that learning-oriented motivation have a greater effect than goal-oriented motiva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on distanc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by learning obstacle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with the distance learning program. If implication are suggest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plan and develop a distance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at can satisfy the learning-oriented motivation and goal-oriented motivation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ng in distance lifelong educ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learning environment or media environment included in learning obstacle factors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ng in distance lifelong education did not become an obstacle to learning. However, since adult learners engage in lifelong learning while conducting daily life, such as balancing work and learning, therefore planning, developing a distance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at can increase satisfaction on the distance lifelong education program by reflecting various learning obstacles through learner analysis and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will be required. 본 연구는 원격평생교육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개인적 배경 특성, 학습참여동기, 학습장애요인과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 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원격평생교육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개인적 배경 특성(성별, 연령, 거주지, 학력, 직업 유무, 평생교육 경험 정도)에 따라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동기(목표지향적, 활동지향적, 학습지향적 동기)는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학습장애요인(학습 환경,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 매체환경, 매체에 대한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능력, 상호작용)은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와 같은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통계적 검증을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과 오프라인 직접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이루어졌다. 이를 통하여 총 263부의 설문이 수거 되었고, 불성실하거나 누락된 결측치가 있는 11부를 제외한 252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 분석에는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및 t검증, 일원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평생교육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개인적 배경 특성에 따른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연령 및 직업 유무, 최종학력에 따른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와 평생교육 참여 경험정도에 따른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참여동기 요인별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 만족도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회귀모형에 포함된 목표지향적, 활동지향적, 학습지향적 참여동기 세 요인은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 만족도를 26.1% 설명하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인 중 목표지향적 동기와 학습지향적 동기가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지향적 동기가 목표지향적 동기보다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장애요인별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 만족도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안하면 첫째, 원격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의 학습지향적 동기와 목표지향적 동기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기획과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원격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의 학습장애요인에서 학습 환경이나 매체 환경은 거의 학습에 장애가 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인학습자는 일과 학습을 병행하는 등 일상생활을 영위하면서 평생학습에 참여하기 때문에 학습자분석을 통하여 다양한 학습장애요인을 반영하여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기획과 개발 및 교수설계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 성인학습자 성경교육 능력기반 교수학습환경 효과분석

        장혜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e competency-based learning environments on the improvement of learners’ bible core and comprehensive competencies in youth bible classe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Is the competency-based learning environment of youth bible education effective in improving the core bible component ability of students?’ and ‘Is the competency-based learning environment of youth bible education effective in improving the bible comprehensive competencies of students?’ it was. There are three research contents and procedures for solving research problems. First, the necessity of improving critical reflection ability in bible education for youth learners was revealed, and a plan to establish a constructivist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was explored as a concrete strategy to promote it. Second, after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competency-based learning environment to build a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a system approach, a method for designing competency-based learning environment applying actual problem-based learning was strategies is sought, and finally, competency-based learning environment model was derived. Third, after designing a class based on the derived model and forming two groups whose homogeneity was verified in advance,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a competency-based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control group applied general lecture-style instruction the class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re component competencies of bible educ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applied the competency-based learning environment of bible education for youth learners and the control group that applied general lecture-style classes.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each sub-area of the bible core component competenci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scover concepts.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ible comprehensive competencies between groups.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y sub-area of comprehensive competencies, there was a ver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ppropriateness of inquiry, specificity of solution, self-reflection areas. Two conclusions could be drawn based on the study results. First, it can be said that the competency-based learning environment in youth learners' bible education is effective in forming the core component competencies. In particular,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bible core component competencies is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discovery of concepts, which are sub-areas. Second, it can be said that the competency-based learning environment in youth learners' bible education is effective in forming learners' bible comprehensive competencies. In particular, it is interpreted that the improvement of competencies is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sub-areas of the appropriateness of inquiry, specificity of solution, self-reflection ability. From the above, it can be said that the competency-based learning environment of youth learners' bible education is an effective way to improve learners' bible core competencies and bible comprehensive competencies. However, since the experiment period is short-to-mid-term and is a study for a limited number of units and learners, a more mid-to-long-term approach and follow-up studies to verify the effect of applying it to various units and learners are need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assessment tool that evaluates high-level abilities across a variety of subjects and learners. 이 연구는 성인학습자 성경교육에서 능력기반 교수학습환경이 학습자의 핵십 구성능력 및 포괄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는 ‘성인학습자 성경교육의 능력기반 교수학습환경은 성인학습자의 성경교육 핵심 구성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와 ‘성인학습자 성경교육의 능력기반 교수학습환경은 성인학습자의 성경교육 포괄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내용 및 절차는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성인학습자 성경교육에서 비판적 성찰 능력 향상의 필요성을 밝히고, 이를 도모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으로써 구성주의 교수학습환경을 구축하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둘째, 체제 접근에 의한 구성주의 교수학습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능력기반 교수학습의 가능성을 검토한 후, 실제문제기반학습을 적용한 능력기반 교수학습환경 모형을 도출하였다. 셋째, 도출된 모형을 기반으로 수업을 설계하고, 사전에 동질성이 검증된 두 집단을 구성하여 실험집단은 능력기반 교수학습 환경을 적용하고, 통제집단은 기존의 강의식 교수학습을 적용하여 4차시 수업을 진행하여 성인학습자의 성인교육 핵심 구성능력 및 포괄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인학습자 성경교육의 능력기반 교수학습환경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일반 강의식 수업을 적용한 통제집단 간에는 성경교육 핵심 구성능력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성경교육 핵심 구성능력의 하위 영역 중 개념의 발견에 해당하는 능력의 함양에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집단 간 성경교육 포괄능력에서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성경교육 포괄능력의 하위영역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탐구의 적합성, 해결 방안의 구체성, 자기 성찰 영역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두 가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성인학습자 성경교육에서 능력기반 교수학습환경은 학습자의 성경교육 핵심 구성능력 형성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성경교육 핵심 구성능력의 향상은 하위 영역인 개념의 발견의 향상으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성인학습자 성경교육에서 능력기반 교수학습환경은 학습자의 성경교육 포괄능력 형성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포괄능력의 향상은 하위 영역인 탐구의 적합성, 해결 방안의 구체성, 자기 성찰 능력의 향상에서부터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상에서 볼 때, 성인학습자 성경교육의 능력기반 교수학습환경은 학습자의 성경교육 핵심 구성능력과 포괄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실험 기간이 4차시로 단기적이고, 한정된 주제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이며, 목표능력의 향상을 확인하기 위한 평가 도구가 단편적이었다는 한계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고차원적인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마련하고, 다양한 주제 및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중장기적 접근을 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