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강의평가를 위한 설문지 작성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박영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6

        최근 눈에 띄게 발전된 컴퓨터와 관련 소프트웨어, 통신의 발전으로 인터넷의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되었다. 이로 인해 인터넷을 통한 멀티미디어 교육이 열린대학, 가상대학에 의해서 가시화·가속화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 즉 정보사회에서 평생학습의 실현이라는 패러다임 속에서 각종의 가상교육의 형태가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가상교육이 교육의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적절한 강의평가가 이루어져서 좀더 질 높은 수업이 되도록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강의평가의 실시는 교사가 좋은 강의를 하기 위해 즉 교육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철저히 강의준비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외적 자극요소인 동시에 강의개선에 대한 피드백 효과를 주어 보다 나은 강의를 할 수 있게 해 주고, 학습의 주체인 학생의 배울 권리를 보호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생에게도 유익하다. 이러한 강의를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관찰법, 검사법, 면담법, 평정법, 설문지법 등이 여러 가지가 있는데 웹 기반 교육에서 가장 쉽게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은 설문지를 이용한 평가가 될 것이다. 현재 인터넷상에서 강의평가를 위한 설문이 간단한 텍스트 형태의 설문지나, CGI나 ASP를 이용하여 인터넷에서 바로 설문에 응할 수 있는 형태 등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인터넷상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설문 시스템을 비교 분석하여 그 특징과 제한점을 알아본 후에 그 제한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ASP를 이용하여 설문지를 인터넷상에서 편리하게 만들 수 있고 만들어진 설문을 관리하며 그 설문을 통해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교육자로 하여금 좀더 질 높은 교육을 할 수 있는 피드백 효과를 얻도록 하는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 하고자 한다. Recently, computer industry announced various types of application software and related products. So there are many problems in practical usages. Most of the software in the internet application is so complex to integrate multi functions. For this reason, multimedia education through internet is almost hard to implement to be used in cyber university or open university. Also, various types of online education are possible within the new education paradigm, which is the actualization of life-time education in information society. To attain a favorable result in cyber education, well-developed lectures must be offered with appropriate evaluation feedback process. The evaluation system of lectures is not only a external stimulating factor in encouraging teachers to prepare effective lecture for the maximization of effects of education, but also to induce them in making every effort to improve their lectures and teaching skills. Furthermore, this meaningful system plays a prime role in protecting the students right to learn. In brief, this thesis informs us of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s of present the internet-based questionnaire systems when compared and analyzed. For better education and overcoming the limits of the present system, this thesis aims to design a practical system which allows teachers to receive positive feedback from results of a questionnaire, that is easily composed and managed on the internet using industry standard MicroSoft IIS webserver and its embedded serverside script.

      • 귀비탕 변증설문지와 생체신호의 상관성 연구

        김선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806

        칠정상에 사용되는 처방인 귀비탕의 변증설문지와 체성분 분석, 위전도, 지첨용적맥파, 맥박변이도, Beck 우울척도 사이의 상관성을 연구하였고, 이를 통하여 병인에 따른 각종 생체기능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서, 전통적인 한방 진단방법에 대한 보편성과 객관성을 확보한 보조적 진단방법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귀비탕 증을 진단하는데 위전도의 위서맥 비율 식전후차와 가속도맥파의 평가지표 중 SDPTG AI, b/a ratio, c/a ratio, Beck 우울척도가 유용한 진단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Currently, as a method of standardization of prescription, GBT(Longan- Polygalae-Nerve-Psychostimulant-WD(10))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which is a representative prescription of Chiljungsang among endogenous etiological factors, so as to analyze etiology and to decide the prescription to it, in order to make etiological differentiation of syndromes as objective. And, researches are being reported which analyzed correlation of physical signals and existing questionnaires. There had been research on correlation between Pyongwisan questionnaire and physical signals, and correlation between Bojoongikki-tang questionnaire and physical signals. But there had been no research on correlation between GBT questionnaire and physical signals.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testify whether differentiation of Chiljungsang etiology is relative with body composition, mobility of gastric smooth muscle, volume change of microcirculatory system, activity of autonomic nervous system for the heart, and depression. Methods : The subjects(20 to 65 years old; 14 males, 46 females) were isolated from drinking alcohols for 24 hours before the experiment, and fasted for 8 hours, and measured for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BIA), electrogastrography(EGG), finger photoplethysmogram, and pulse rate variability (PRV). And then filled out GBT Questionnaire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Results : 1. As s result of factor analysis, 4 factors were extracted. Factor 1 was made up 5 items and was named 'depressive syndrome'. Factor 2 was made up 3 items and was named 'deficiency syndrome'. Factor 3 was made up 2 items and was named 'amnesia'. Factor 4 was made up 2 items and was named 'fire syndrome'. 2. In Person's correlation analysis, Total score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CW(intracellular water), ECW(extracellular water), protein, mineral, body fat percentage, dominant frequency of EGG channel 2, dominant frequency of EGG channel 4, bradygastria time, bradygastria time of EGG channel 2, arrhythmia time of EGG channel 4, SDPTG AI(aging index of second derivative of photoplethysmography), b/a ratio, c/a ratio, RMS-SD(the square root of the mean of the sum of squares of differences between all adjacent NN intervals), and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Factor 1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body fat percentage, dominant frequency of EGG channel 2, SDPTG AI, and BDI. Factor 2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ominant frequency of EGG channel 2, dominant frequency of EGG channel 4, bradygastria time of EGG channel 2, and arrhythmia time of EGG channel 4 and BDI. Factor3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CW, ECW, protein, mineral, body fat percentage, dominant frequency of EGG, dominant frequency of EGG channel 2, dominant frequency of EGG channel 3, dominant frequency of EGG channel 4, bradygastria time of EGG, bradygastria time of EGG channel 2, SDPTG AI, PTG AI, b/a ratio, c/a ratio, d/a ratio, e/a ratio, and BDI. Factor 4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ominant frequency of EGG channel 2. 3.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tal score was explained as dominant frequency of EGG channel 2, BDI, and RMS-SD. R2 had persuasive power as 0.516. Factor 1 was explained as dominant frequency of EGG channel 2, BDI, and tachygastria time of EGG channel 3. R² had persuasive power as 0.237. Factor 2 was explained as BDI. R² had persuasive power as 0.376. Factor 3 was explained as dominant frequency of EGG channel 2, BDI, and SDPTG AI. R² had persuasive power as 0.416. Factor 4 was explained as dominant frequency of EGG channel 2, SDNN(the standard deviation of all NN intervals), and PR(power ratio) of EGG. R² had persuasive power as 0.243. 4. In correlation analysis by gender, male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arameters of pulse rate variability, while female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arameters of EGG. 5. In independent samples t-test by GBT Questionnaire score, it was able to identify that bradygastria time, SDPTG AI, b/a ratio, c/a ratio, and BDI could assist diagnosing GBT symptom. Conclusions : By various analysis, it confirmed that body composition, EGG, finger photoplethysmogram, PRV, and body composition had correlation with GBT Questionnaire. Especially, bradygastria time of EGG, SDPTG AI, b/a ratio, c/a ratio, and BDI was able to use diagnosing of GBT symptom.

      • 韓方婦人科 診斷設問紙와 要約說問紙의 信賴度硏究

        민병화 東義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박사

        RANK : 247806

        목적 : 동의대학교 부속한방병원 부인과에서 사용중인 진단용설문지(한방부인과 진단설문지, 이하 설문지)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병기별 문항과 병기지표를 수정하고, 임상에서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중요문항으로 요약시킨 요약설문지를 제작한 후 이 두 설문지에 대하여 病機 진단의 신뢰도를 조사하고, 설문지의 病機 항목에 대한 평가와 病機간의 상관관계를 살펴 보기위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2000년 4월부터 2004년 3월까지 동의대학교 부속한방병원 한방부인과에 내원한 환자 중 부인과 질환을 주소로 하는 환자 1706명의 설문지 응답결과를 가지고 통계분석 하였다. 결과 : 1. 설문지 病機 진단의 신뢰도는 95% 미만 90% 이상이 9개, 90%미만 85% 이상이 3개, 85% 미만이 3개였으며, 요약 설문지는 이보다 다소 낮았으나 총 15개 병기 가운데 12개 병기에서 85%보다 높아 설문지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2. 病機 산출빈도와 病機 평균점수를 비교하면 요약설문지가 기존 설문지보다 대체로 떨어지는 경향을 보여 요약 설문지의 결과가 기존의 설문지에 비해 다소 낮게, 적게 산출되는 경향이 있었으나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3. 병기별 순수문항의 비율이 50%를 넘는 병기가 10개, 66.7%이었으며, 순수문항이 상관계수 0.9 이상으로 病機 결과 산출 기여하는 병기도 10개, 66.7%이었다. 요약설문지에서는 설문문항의 요약에 의해 병기별 문항 겹침 현상이 줄어들고 순수 문항의 비율이 높아지며 관련되는 병기수로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4. 病機의 산출은 겹침문항이 많을 수록 동반되는 경우가 많았으나, 痰-陰虛, 氣虛-血瘀, 氣虛-陰虛,腎-痰은 겹침문항이 없는데도 病機 동반경향이 높았다. Purpose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so that reliability of disease mechanism diagnosis would be examined, the estimation about disease mechanism item of Questionnaires and the relations of disease mechanism would be inquired about 'Oriental OB&GY diagnosis program' Questionnaires and abridgment Questionnaires which were used for the object diagnosis of Oriental medicine in the dept. of Oriental OB&GY, Oriental Medical hospital of Dong-Eui University. Method : We analyzed the results of Questionnaires about 1706 outpatients who had OB&GY disease in the Oriental Medical hospital of Dong-Eui University from April 2000 to March 2004. Result : 1. The reliability of Oriental OB&GY Questionnaires above 90% under 95% was 9 case, above 85% under 90% was 3 case, under 85% was 3 case, and abridgment Questionnaires was lower than former Questionnaires, but 12 case disease mechanism of total 15 case disease mechanism was above 85%, therefore both abridgment Questionnaires and former Questionnaires had similar result. 2. Abridgment Questionnaires was usually lower than existing Questionnaires in the comparison of disease mechanism output frequency and that of disease mechanism average score. Therefore, the result of abridgment Questionnaires seemed to produce less than that of existing Questionnaires, but the great difference wasn't seen. 3. Disease mechanism that was over 50% in the rate of pure question per disease mechanism, was 10 case(66.7%). And disease mechanism that contributed in producing disease mechanism result and in which pure question was over relevance calculation 0.9, was 10 case(66.7%). In abridgment Questionnaires, the duplication of question per disease mechanism was decreased, the rate of pure question was increased, and the number of related disease mechanism was decreased by abridgment of Questionnaires question. 4. The calculation of disease mechanism went with the increase of the duplication of question in many times, but Tam-Umhe, Kihe-Hyule, Kihe-Umhe, Shin-Tam went with disease mechanism in many times despite nothing of duplication of question.

      • 韓方婦人科 診斷設問紙 DSOM (r) S.1.1 信賴度硏究

        김미진 東義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6

        목적 : 진단 객관화를 위하여 설문지를 이용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나 조사방식이 환자자신의 진술에 의하므로 설문문항이 많을 경우 환자의 집중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 중요문항으로 요약시킨 한방부인과진단용 설문지(2005년판 설문지, Diagnos system of oriental medicine (r) Summary 1.1, 이하 DSOM (r) S.1.1)를 제작한 후 기존의 한방부인과 연구용 설문지(2004년판 설문지, Diagnos system of oriental medicine (r) Research 1.1, 이하 DSOM (r) R.1.1)와 病機 진단의 신뢰도를 비교하고, 설문지의 病機 항목에 대한 평가와 病機간의 상관관계를 살펴 보기위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2000년 4월부터 2005년 3월까지 동의대학교 부속한방병원 한방부인과에 내원한 환자 중 부인과 질환을 주소로 하는 환자 3354명의 설문지 응답결과 가운데 불량응답자를 제외한 2851명을 통계분석 하였다. 결과 : 1. DSOM (r) R.1.1의 문항수는 188개이며, DSOM (r) S.1.1는 문항수는 137개로 요약하였다. 2. DSOM (r) S.1.1의 신뢰도는 DSOM (r) R.1.1에 비하여 氣虛·血瘀·陽虛·熱·濕 5개 病機의 신뢰도가 높아졌는데, 특히 陽虛가 4.4%로 가장 많이 높아졌고 나머지는 0.5%정도 높아졌다. 血虛·氣滯·寒·濕·燥·肝·心·脾·腎 8개 病機의 신뢰도는 낮아졌으나, 氣滯가 2.12% 낮아진 것을 제외하면 모두 2% 미만의 차이를 보여 두 설문지의 신뢰도가 대체로 유사하였다. 3. 두 설문지 결과의 일치도는 문항의 변동이 없는 陰虛·痰을 제외하고 肝·脾·血瘀·血虛 등 4개 病機는 일치도가 90%를 넘었고 寒이 82.47%로 가장 낮았으며 다른 8개의 病機는 모두 85%를 넘는 일치도를 보였다. 4.DSOM (r) S.1.1 의 病機별 특성 가운데 중요한 내용은 1) 氣虛는 氣滯와 중복문항을 삭제하여 전형적 氣虛의 상태를 더 잘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氣滯는 氣滯로 인한 신체증상을 묻는 문항을 삭제하여 氣滯의 상태를 묻는 문항에 치중되는 경향이 있다. 3) 寒은 설사경향을 묻는 문항을 삭제하여 寒冷의 자각을 묻는 문항의 비율이 높아졌다. 5. 순수문항이 설문지의 病機 결과 산출에 미치는 기여도는 1)DSOM (r) R.1.1에서 陽虛·濕·痰의 病機 산출 기여도는 상대적으로 낮았고,氣虛·血虛·陰虛·寒·熱·肝·心의 7개 病機에서만 해당병기 순수 문항의 기여도가 0.9이상의 상관성을 보였다.(p<0.0001) 2)DSOM (r) S.1.1에서 脾·腎·痰의 3개 病機를 제외한 모든 病機에서 해당病機 순수 문항의 기여도가 0.9이상의 상관성을 보였다.(p<0.0001) 3)DSOM (r) S.1.1에서 陽虛·濕·肝·腎·痰의 순수문항 기여도가 진단설문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높아졌다. Purpose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so that reliability of disease mechanism diagnosis would be examined, the estimation about disease mechanism item of Questionnaires and the relations of disease mechanism would be inquired about 'health diagnosis program' Questionnaires which were used for the object diagnosis of Oriental medicine in the department of Oriental OB&GY, Oriental Medical hospital of Dong-Eui University. Method : We analyzed the results of Questionnaires for 3354 outpatients who had OB&GY disease in the Oriental Medical hospital of Dong-Eui University from April 2000 to March 2004. Result : 1. The diagnosis Questionnaires(after DSOM (r) R.1.1) was the figures 188, the health diagnosis Questionnaires (after DSOM (r) S.1.1) was the figures 137. phiegm·deficiency of qi was used in DSOM (r) R.1.1 as it is. 2. The reliability of DSOM (r) S.1.1 was usually higher than DSOM (r) R.1.1 in deficiency of qi·blood stasis·insufficiency of Yang·heat syndrom·damp, 5 case disease mechanism. The reliability of DSOM (r) S.1.1 was usually lower than DSOM (r) R.1.1 in blood deficiency·stagnation of qi·coldness·damp·dryness·liver·heart·spleen·kidney, 8 case disease mechanism. but the great difference wasn't seen, therefore both DSOM (r) S.1.1 and DSOM (r) R.1.1 had similar result. 3. A meeting point both DSOM (r) S.1.1 and DSOM (r) R.1.1 was above 90% in liver·spleen·blood stasis· blood deficiency, 4 case disease mechanism with the exception of phlegm· deficiency of Yim nothing of fluctuations of question. A meeting point of coldness that was 82.47% was lowest, A meeting point of the rest disease mechanism was above 85%. 4. The effect that contributed in producing disease mechanism result and in which pure question was over relevance calculation 0.9, insufficiency of Yang·damp·phlegm that contributed in producing disease mechanism result was lower comparatively in DSOM (r) R.1.1. But the effect that contributed in producing disease mechanism result and in which pure question was over relevance calculation 0.9 except spleen·kidney·phlegm in DSOM (r) S.1.1.

      • 한국인의 폐쇄성 수면무호흡 고위험군 선별을 위한 세가지 설문지의 유용성

        김보미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5

        폐쇄성 수면무호흡의 표준 진단법은 수면다원검사이다. 그러나 수면다원검사는 전문적인 검사실 및 전문가가 필요하고, 시간 및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연구에서는 코골이, 주간졸림 등의 증상과 수면다원검사 결과의 상관성이 떨어진다고 보고되어 증상만으로 폐쇄성 수면무호흡을 진단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코골이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 중 폐쇄성 수면무호흡의 고위험군을 선별하여 진단을 위한 수면다원검사를 시행 하는데 도움이 되는 선별 방법이 필요하다. 과거에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을 예측하기 위한 공식을 이용하였다. 이는 비용이 적게 들고 장소와 시간과 관계없이 시행 가능하며 수면 전문의가 아니어도 사용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이는 계산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설문지는 사용이 간편하여 현재 폐쇄성 수면무호흡의 선별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주로 사용 중인 설문지는 Sleep Apnea of Sleep Disorder Questionnaire (SA-SDQ), Berlin 설문지, STOP-Bang 설문지이다. 그러나 이들의 타당도는 서양인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 검증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체질량지수가 적은 한국인에게는 각 설문의 민감도와 특이도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여 각 설문지의 타당도를 검증하여 가장 적합한 설문지를 과거 사용하였던 예측공식과 비교하여 그 유용성에 대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2009년 1월부터 2010년 6월까지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을 주소로 서울아산병원 수면검사실을 내원하여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세 가지의 설문지 및 예측공식의 항목이 포함된 설문지를 시행하였다. 이를 폐쇄성 수면무호흡의 진단 기준인 무호흡-저호흡 지수(Apnea-hyponea index, AHI) 5/hour와 중증도 이상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의 기준인 AHI 15/hour, 중증 폐쇄성 수면무호흡의 기준인 AHI 30/hour를 기준으로 각각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 예측도 및 음성 예측도를 계산하여 유용성을 평가, 비교하였다. 설문지 중 폐쇄성 수면무호흡 고위험군 선별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설문지의 ROC (Receiver-operator characteristic) 곡선을 그려 한국인에 적합한 판정값을 결정하고, 이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이전에 사용하였던 예측공식과 비교하여 설문지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총 592명 환자(남성 495명, 여성 97명)의 평균 연령은 47.6±12.7세(18-79세) 였고 평균 체질량지수는 24.7±3.5kg/m2였다. 495명(83.6%)이 폐쇄성 수면무호흡으로 진단되었고 중증도 이상인 경우가 346명(58.4%) 이었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이 있는 경우가 없는 환자들에 비해 나이, 남성의 비율, 체질량지수, 목둘레 및 고혈압 유병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코골이와 질식감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의 증상도 유의하게 높았다. STOP-Bang설문이 가장 민감도가 높았고(AHI≥5기준에서 97.0%, AHI≥15 기준에서 98.0%, AHI≥30기준에서 99.1%), Berlin설문과 SA-SDQ 설문은AHI 5/hour이상일 때 각각 71.5%, 66.7%였고, AHI 15/hour 이상일 때 75.5%와 73.1%, AHI 30/hour이상일 때 80.3%, 79.3%의 민감도를 보였다. 반면 STOP-Bang 설문지는 가장 낮은 특이도를 보였고(AHI≥5기준에서18.6%, AHI≥15 기준에서, 10.6%, AHI≥30 기준에서 8.2%), SA-SDQ설문이AHI 5/hour 이상일 때 65.0%, AHI 15/hour이상일 때 54.5%, AHI 30/hour이상일 때 48.3%로 가장 높은 특이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세가지 설문지 중 SA-SDQ설문 가장 적합한 민감도와 특이도를 나타내었다. 서양인보다 비교적 체질량지수가 적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여 SA-SDQ설문에 대한 ROC곡선을 그려 찾은 판정값은 남성의 경우 기존값과 같은 36점이었고, 여성의 경우는 기존값이 32점인데 비해 낮은 30점이었다. 이를 이용하여 AHI 15/hour이상을 기준으로 확인한 민감도는 74.0%로 과거 사용하던 예측공식의 62.7%에 비해 조금 높았고, 특이도는 60.8%로 과거 사용하였던 예측공식에 비해 낮았으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HI 30/hour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는 SA-SDQ설문의 민감도가 80.3%로 예측공식의 민감도 74.2%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특이도는 SA-SDQ설문에서 45.6%로 예측공식의 63.6%에 비해 낮은 값을 보였다. 현재 폐쇄성 수면무호흡의 선별을 위해 사용 중인 Berlin설문, STOP-Bang설문, SA-SDQ설문 중 SA-SDQ설문이 비교적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 및 양성 예측도를 보였다. 이를 한국인에서 체지량지수가 서양인에 비해 적은 것을 고려하여 판정값을 여성에서 30점으로 조절하면 특이도가 민감도가 증가하였고, 이는 과거 사용하였던 예측공식과 비슷한 특이도와 민감도를 보였다. 사용의 편리성을 고려한다면 한국인에서 폐쇄성 수면무호흡의 고위험군을 선별하는데 SA-SDQ설문이 가장 적합한 선별도구라 할 수 있겠다. 그러나 높지 않은 민감도 와 특이도를 보여 사용에는 제한적이다.

      • 내부고객 의식 파악을 위한 설문지 설계 및 분석 사례 연구 : K사를 중심으로

        최용운 西京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5

        본 연구는 6시그마를 도입한 K사를 대상으로 성공적인 6시그마를 추진하기 위하여 내부고객인 사원들의 의식을 파악할 수 있는 설문지를 설계하고 새로운 분석방법을 통해 6시그마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먼저 설문지는 많은 기업들이 실시하고 있는 6시그마 활동의 성과측정을 위한 설문지를 기존의 설계방법 즉, 문헌조사를 통한 설계의 방법에서 벗어나 6시그마 활동의 설문지에 관한 문헌자료나 기존 설문지의 분석을 통해 설문지의 구성 및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벤치마킹하여 본 연구의 방향 및 방법을 결정하여 연구의 모형을 설계하였으며 인터뷰, Brainstorming을 통한 설문 문항 데이터 수집으로 설문 문항을 작성하여 신뢰성 및 타당성 검사를 통해 기존의 설문지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설문지를 제시해 보았다. 다음으로 분석방법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얻어진 데이터를 가지고 가설검증으로 끝나는 기존 논문의 분석방법과는 달리 기초분석과 원인분석을 하였으며 기초분석에서는 평균집계와 x^(2)분석을 통해 현상 파악을 해보았고 원인분석에서는 CS-Portfolio분석을 통해 각 카테고리별로 알고자 하는 중점항목을 선정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중점항목에 대해 유의한 항목을 선정하여 6시그마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In this thesis, we suggest questionnaire which is designed to understand of what employees include executive think about 6 sigma management movement and to find important factor for strategic of success 6 sigma management movement of K. Corporation. This thesis is composed of 2 parts, one is questionnaire design and the other is questionnaire analysis. Firstly, we design questionnaire by step, (1) survey questionnaire literature, in which we study questionnaire structure, (2) interview with employee include executive of K. Co., we design question items, (3) brainstorming with expert of questionnaire and 6 sigma team, we complete questionnaire. Our questionnaire distinct with existing questionnaire, which has drive factors and results factors question items, which can obtain general statistic information and factor effects information for strategic of success 6 sigma management movement. Secondly, we analysis questionnaire. We give general statistical information each question items by using graphic views and average and stand variation. We find important factor for strategic of success 6 sigma management movement of K. Corporation by using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hich results very useful and great help for K's Co. In questionnaire analysis, we use by minitab package version 13.2.

      •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를 위한 중학생용 어휘 선택 설문지 제작 및 임상적 유용성 고찰

        양수빈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4

        구어를 통한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자신의 요구를 적절히 표현하지 못함으로써 사회적 활동에 심각한 제한을 받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을 일컬어 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를 지닌 사람들(Complex Communication Needs; 이하 CCNs)이라고 한다. 보완대체의사소통(Augmentative Alternative and Communication; 이하 AAC)은 CCNs의 의사소통을 돕는 영역이다. 최근 의사소통 지원을 위해 AAC 체계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국내·외 AAC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AAC 체계를 통해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경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적절한 어휘 선택이 이루어져야한다. 국내에서 진행된 AAC 관련 어휘 연구들을 살펴보면 핵심어휘 및 부수어휘 목록을 조사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는 취학 전 아동이나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청소년이나 성인의 어휘를 직접적으로 수집한 연구는 찾아보기가 어렵다. 어휘수집 환경은 대부분 가정 및 학교인 경우가 많았으며 그 외에 다양한 상황에서 발화를 수집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 청소년을 대상으로 다양한 지역사회 환경에서 어휘를 수집하고 분석함으로써 AAC 중재 초기 단계인 어휘 선택 과정을 돕기 위한 경험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두 부분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Ⅰ에서는 중학생 95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자주 이용하는 지역사회 환경을 조사하여 실제 상황에서 사용하는 발화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즉, 전체 상황 및 개별 상황에서의 고빈도 어휘와 핵심어휘를 알아보고 핵심어휘와 고빈도 어휘가 전체어휘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중학생용 어휘 선택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연구Ⅱ에서는 ‘중학생용 어휘 선택 설문지’를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 경험이 있는 언어재활사 및 특수교사와 자녀를 통해 AAC 중재를 경험한 부모를 대상으로 해당 설문지가 AAC 체계의 어휘 선택 과정에서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그 유용성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제 Ⅰ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여 중학생이 자주 이용하는 지역사회 장소의 순위는 달랐지만 상위 10곳이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자주 이용하는 지역사회 장소는 교육기관, 교통시설, 공공기관, 음식점 및 생활편의시설과 관련된 곳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소에 따른 고빈도 어휘를 조사한 결과, 수집된 어휘 수에 따라 고빈도 어휘의 수와 고빈도 어휘가 전체 어휘 수(NTW)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달랐지만, 소수의 상위 고빈도 어휘가 전체 어휘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높게 나타났다. 셋째, 17,708개의 전체 어휘가 수집되었으며, 다른 어휘 수(NDW)는 2,032개로 나타났다. 그 중 핵심어휘는 37개였으며, 총 빈도수는 8,457개로 전체 어휘 수(NTW)의 48.2%를 차지하였다. 넷째, 핵심어휘 수와 핵심어휘가 전체 어휘(NTW)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개별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지만 적은 수의 핵심어휘가 전체어휘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제 Ⅱ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재활사는 ‘어휘 선택 설문지’의 어휘 범주의 수가 적절하다고 생각하였으며 해당 설문지를 다시 사용할 의향이 있고 타 전문가에게 추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임상적으로도 유용하다고 평가하였다. 둘째, 특수교사는 부모와 언어재활사에 비해 ‘어휘 선택 설문지’에 대한 평가에서 좀 더 우호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들은 설문지를 구성하는 어휘 범주와 어휘의 수가 적절하며, AAC 중재 시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설문지를 다시 사용할 의향이 있으며, 타 전문가에게 추천할 생각이 있고 임상적으로도 유용하다고 평가하였다. 셋째, 부모는 ‘어휘 선택 설문지’가 이해하기 쉽게 제작되었고 해당 설문지를 다시 사용할 의향이 있으며 AAC 체계를 사용하고 있는 다른 부모에게 추천할 것이고 임상적으로도 유용하다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지역사회 환경에서 중학생이 사용하는 어휘 목록을 직접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실제적인 어휘 사용 패턴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어휘 선택 설문지’를 제작하여 AAC 중재 시 주요 정보제공자인 언어재활사, 특수교사 및 부모를 대상으로 해당 설문지가 어휘 선택 과정에서 얼마나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 대상자의 핵심어휘 리스트를 제공하고 AAC 중재 시 어휘 선택 과정을 촉진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Development of the Korean Medicine Mental Health Questionnaire for Elderly(KMMHQ-E) : A Delphi Survey and Qualitative Study

        김태윤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4

        노인은 가령에 따라 사회적/직업적 기능과 역할이 쇠퇴함으로써 삶의 질이 떨어지고 은퇴 전만큼 정신적 건강상태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다수의 임상적 지견에도 불구하고, 한의학 특성에 적합한 타당화된 노인 대상의 환자 보고식 측정 도구는 개발된 적이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전반적인 정신 건강 상태를 자가보고식으로 측정하여 점수화하는 설문지를 개발하는 것이다. 설문지에 대한 합의수준을 정하기 위해 델파이 조사가 수행되었고, 설문지의 내용 타당도 검증과 문항 수정을 위해 질적 연구를 위한 인터뷰가 수행되었다. 델파이 설문지는 이메일을 통해 전달 된 네이버 설문 양식을 통해 2020년 2월 12일에 최초 배포되었다. 델파이 설문지는 환자보고식 결과 측정의 개념화, 구조, 포함 항목, 개발 시 참고해야 할 자료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델파이 조사 결과, 전문가 패널은 한방신경정신과에서 활용할 수 있는 환자보고식 설문의 필요성과 함께 Likert 척도의 사용, 그리고 1개월 회상 기간의 사용에 대한 합의를 이루었다. 또한 환자 보고식 결과 측정을 구성하는 포함 항목들과 참고자료에 대한 부분이 합의되었다. 합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예비 설문지가 작성되었다. 설문지에 포함될 개념을 얻기 위해 65세 이상의 노인 14명과 그 배우자와 자녀로 구성된 가족 8명을 포함하여 총 22명과 초점그룹면접을 진행하였다. 노인의 정신 건강 변화와 관련된 경험을 이끌어내기 위한 반구조화된 개방형 인터뷰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인터뷰 내용은 질적 연구 소프트웨어인 NVivo 12.0을 이용하여 코드가 추출되었고, 추출된 코드는 설문지의 개념적 구조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이 결과에 기초하여 구성된 인터뷰에 따라 환자보고식 설문지의 초안은 수정되었고, 임상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내적 타당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요인 분석 및 기존 설문지 문항과의 상관 관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검증을 위한 분석 이후 최종적으로 결정된 설문지의 문항은 36개 항목과 4개 영역(우울, 불안, 분노 및 무력)으로 구성되었다. 추가로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다면 한의노인정신건강설문지 ver 1.0은 한방신경정신과 영역의 진료와 연구, 나아가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한 대단위 서베이 조사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The validity of modified STOP-Bang questionnaire as a screening tool for diagnosis ofobstructive sleep apnea in Korean population

        이민기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3

        Objectives :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modified STOP-Bang questionnaire with different body mass index cut-off value as a screening tool for diagnosis of obstructive sleep apnea (OSA) in Korean population. Study design : Retrospective data review Methods : The medical records of 1417 participants who visited sleep center and underwent overnight level I polysomnography were evaluated. According to severity of OSA and cut-off valu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PPV), negative predictive value (NPV), accuracy were calculated. Receiver-operator characteristic (ROC) curve and area under the ROC curve (AUC) of the modified and traditional STOP-Bang questionnaire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and the AUC according to the cut-off value of the modified questionnaire was also compared. Predictive performances of specific combination composed of STOP questionnaire and one item from modified “Bang” components were also analyzed to find out whether the specificity is increased. Results : Optimal cut-off value of modified and traditional STOP-Bang questionnaire for detecting OSA with different severity was 3.5 respectively. The AUC of modified STOP-Bang questionnai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ll OSA severity groups. Predictive values of the questionnaire were compared as the cut-off values were set to 3 and 4. Modified STOP-Bang questionnaire with cut-off value ≥ 4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ensitivity than traditional STOP-Bang questionnaire in all OSA severity groups. Diagnostic accuracy of modified STOP-Bang questionnaire with cut-off value ≥ 4 for detecting any OSA and moderate-to-severe OS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raditional STOP-Bang questionnaire. A combination of any three positive items on STOP components plus one item on “Bang” components showed higher specificity to detect moderate to severe OSA. Conclusion : Modified STOP-Bang questionnaire with a cut-off value of 4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screening tool for diagnosing OSA in Korean population instead of traditional STOP-Bang questionnaire. 목적 : 본 연구는 STOP-Bang 설문지의 BMI 항목의 기준을 변경한 STOP-Bang 설문지의 한국인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진단을 위한 선별검사로써의 유용성에 관하여 검증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2016년 10월부터 2021년 3월까지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수면센터를 방문하여 Lv. I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한 총 1417명의 자료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각 중증도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에 따라 기존 설문지와 변형된 설문지의 점수에 따른 ROC 곡선과 AUC, 그리고 최적의 절단값을 비교하였다. 또한,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 정확도를 각각의 절단값과 수면 무호흡증의 정도에 따라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설문지의 STOP 항목과 Bang 항목에서 특정 조합을 통하여 기준값을 정하였을 때 진단의 민감도 및 특이도의 증가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결과 : 변형된 STOP-Bang 설문지의 AUC가 기존 설문지에 비하여 모든 중증도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집단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나 진단에 있어서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설문지의 최적의 절단값은 3.5점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3점과 4점을 기준으로 정하여 두 설문지의 예측도를 비교하였다. 변형된 STOP-Bang 설문지의 기준값을 4점으로 하였을 때 기존의 설문지에 비하여 모든 중증도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진단에 있어서 유의미하게 민감도가 높았다. 마지막으로, 변형된 STOP-Bang 설문지의 기준값을 3점으로 하였을 때와 4점으로 하였을 때의 ROC 곡선을 비교하였을 때 기준값이 4점일 때 AUC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 : BMI 기준을 변경한 STOP-Bang 설문지의 기준값을 4점으로 하였을 때, 기존 설문지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높은 민감도를 나타내었고, 기준값이 3점일 때보다 폐쇄성 수면 무호홉증을 예측하는 데 있어 정확도가 더 높음을 검증하였다.

      • Development of a 24-hour movement behavior questionnaire for youth

        송윤경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2

        The main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was to 1) develop a 24-hour movement behavior questionnaire – physical activity, sedentary behavior and sleep for youth in Korea, and 2) evaluate the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hrough seven steps that consisted of systematic procedures including (1) review of literature, (2) experts panel discussion, (3) development first/initial draft of questionnaire items, (4) pilot testing, (5) revision of the questionnaire through expert panel advise and the minutes of meetings, (6) reliability and validity evaluation, and (7) completion of the 24-hour movement behavior questionnaire. First of all,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to examine current physical activity, sedentary behavior and sleep questionnair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found a total of 35 questionnaires and among those, only two questionnaires, which assessed physical activity, sedentary behavior and sleep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Through systematic review, questions were extracted and developed. Second of all, experts’ panel discussion was held to discuss and decide which question to be include in the first draft of the 24-hour movement behavior for adolescents for youth. Furthermore, experts’ panel discussion was decided number of participants for pilot and reliability testing. Based on systematic review and opinion from experts, the first draft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total of 24 questions were developed. The pilot study was conducted whether adolescents understand questions developed in the draft, as well as to understand the overall composition, and flow, and conformity of sentences and examples. Participants (N=103, 48 boys and 55 girls, mean of age at study = 15.34 ± 1.48 years) in the study slept 419.61 ± 85.40 minutes on weekdays and 534.40 ± 107.96 minutes on weekends. Sedentary behavior (or sitting time), participation time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physical activity at school were 390.2 ± 137.2, 155.5 ± 169.2, 26.5 ± 30.0 minutes per week, respectively. Sedentary leisure time (including studying time and sitting time) during week days were 768.9 ± 456.0 minutes and 874.1 ± 483.2 minutes on weekends. A questionnaire of 24-hour a day showed 1679.9 ± 487.4 minutes on weekdays and 1448.7 ± 502.8 minutes on weekend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sum of all times exceeded 24 hours a day, or 1440 minutes, and had to revise and correct the questionnaire. After analyzing the findings of from the pilot study, expert panel discussion as well as individual meetings with university professors specialized in physical activity assessmen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middle and high school, were held repeatedly to discuss items of questionnaires. Based on discussions with experts as well as small pilot interviews with adolescents, the questionnaire revised five more times. During this process, a total number of questions, a duration required to complete questionnaire, an understandability of questions by participants were considered. Once the final version of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as teste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a total of 147 adolescents (107 boys and 40 girls, mean of age at study = 14.9 ± 1.4 yea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19 questions in five parts. The test-retest methods were conducted at weekly intervals to analyze correlation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the frequency and duration of activities for each cont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all areas (p-value < .01). While the correlation of sleep time on weekdays was the highest at 0.85 (p-value < .01), the duration of active transportation-related activity (e.g., walking or biking), sedentary time at school, non-study purpose of sedentary time during the free time (r = 0.44, 0.49, 0.39) showed a relatively low correlation (p-value < .01). Correlation of activity times for each category by day resulted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for all areas (p-value < .01). The highest correlation was 0.78 for sleep time during the week, and the lowest correlation was 0.301 in the total 24 hours during the week (p-value < .01). In summary,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as found to have more than a moderate correlation by contents and category. In conclusion, through six steps, a reliable 24-hour movement behavior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he development of this questionnaire more accurate and useful measurements of adolescent’s activities and lifestyles in Korea are possible. In future, the validity of this questionnaire should be tested. 소아비만의 예방책으로 아동청소년 신체활동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던 1990년대부터 신체활동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지가 개발되기 시작하였으며, 특히, 청소년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신체활동뿐만 아니라 좌식 행동을 모니터하기 위한 수많은 조사 도구들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외 청소년의 24시간 행동을 측정하는 설문지는 매우 제한적이다. 청소년의 생활은 복잡하고 다양하며, 하루 24시간으로 제한되어 있는 일과에서 신체활동, 좌식 행동, 수면이 발생하기 때문에 청소년의 건강과 웰빙을 위해 이 모든 활동/행동을 종합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국내 청소년들의 낮은 신체활동량, 긴 좌식 시간, 짧은 수면시간이 국외 청소년들, 타 선진국의 청소년과 비교하여 차이가 나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한국 특유의 사회문화적 환경을 고려한 24시간의 복합적인 설문지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청소년의 24시간 행동 설문지를 개발하고, 개발된 설문지의 신뢰도를 평가하는데 있다. 한국 청소년의 24시간 행동 설문지는 총 7단계에 걸쳐 개발되었다. 우선 선행연구 고찰을 하였으며, 현존하는 국내외 설문지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각 분야 전문가들과 회의를 통해 청소년의 신체활동, 좌식 행동 및 수면을 조사하기 위한 초안 설문지를 개발하고, 파일럿 연구를 통해 개발된 설문지의 이해도와 문항과 질문의 구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들의 자문과 회의를 통해 설문지를 수정하는 단계를 거쳤으며, 개발된 설문지의 신뢰도를 검증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1은 설문지 개발 단계에 관한 연구로 체계적 문헌 고찰, 전문가 자문회의, 파일럿 연구, 설문지 수정을 각 단계별로 서술하였다. 체계적 문헌 고찰 결과, 국내외 청소년의 신체활동, 좌식 행동 및 수면 설문지는 총 35개로 정리되었다. 그 중에서 신체활동 설문지가 31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신체활동, 좌식 행동 및 수면을 모두 포함한 설문지는 2편으로 나타났다. 활동 범주는 크게 신체활동, 좌식 행동과 수면으로 구분되며, 활동의 구성은 학교, 여가, 그리고 장소 이동 중 일어나는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설문지는 활동의 회상 기간에 따라 특정 기간과 평소의 활동으로 나뉘며, 활동의 시간, 빈도, 강도, 종류/유형에 따라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일럿 연구는 단면 연구로 서울과 경기지역의 중고등학생을 대상 (N = 103, 남학생48명과 여학생55명, 평균 연령 = 15.3 ± 1.5 세)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5개 영역에서 총 24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대상자의 주중 수면 시간은 419.6 ± 85.4 분, 주말에는 534.4 ± 108.0 분이며, 학교에서 앉아있는 시간(좌식 시간), 체육 수업 참여 시간, 그 외 신체활동 시간은 각각 390.2 ± 137.2, 155.5 ± 169.2, 26.5 ± 30.0 분으로 나타났다. 자유시간에 앉아있는 시간(공부시간 포함)은 주중 768.9 ± 456.0 분, 주말 874.1 ± 483.2 분이었으며, 하루 24시간 행동 시간은 주중에는 1679.9 ± 487.4 분, 주말에는 1448.7 ± 502.8 분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설문지의 수정이 필요함을 나타내었다. 보여주었다. 파일럿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와 현장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중고등학교 체육선생님들의 자문 및 회의를 토대로 설문지 개발에 대한 논의를 통해 설문지 최종본을 완성하였다. 연구 2는 개발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지의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총 147명의 중고등학교 학생 (남학생 107명과 여학생40명, 평균 연령 = 14.9 ± 1.4 세, 응답률 87.5%) 이 신뢰도 검증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최종 설문지는 5개 영역, 총 1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검사-재검사의 방법으로 동일 대상자에게 일주일 간격으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각 문항의 활동 빈도와 시간에 대한 상관계수는 모든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p<.01). 주중 수면시간의 상관계수는 0.853으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활동적 장소 이동과 관련된 활동 (예. 걷거나 자전거 타기). 학교에서의 좌식 시간과 자유시간의 학습 목적 이외의 좌식 시간은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r = 438, 0.491, 0.389, p<.01). 또한 각 활동 영역별 시간의 상관관계는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가장 높은 상관관계는 주중 수면시간(r=0.783, p<.01), 가장 낮은 상관관계는 주중 24시간에서 0.301로 나타났다. 청소년기의 건강한 생활습관의 형성과 확립은 성인기의 생활습관으로 이어지며, 청소년기의 건강이 성인기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청소년의 신체활동, 좌식 행동 및 수면은 독립적 또는 상호적으로 건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문화적으로 적절하고 상황에 맞는, 그리고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설문지를 사용하는 것은 한국 청소년의 24시간 활동을 예측하는 데 중요하다. 국내 청소년의 활동 및 생활습관을 보다 정확하고 유용하게 측정하고 이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넓히는 것은 앞으로 청소년 건강 관련 자료 및 정책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이다. 또한, 주관적으로 측정하는 자기 기입형 설문지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객관적 도구를 이용한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