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육시설에서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조직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윤성희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시대적인 환경변화에 따라 보육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 되면서 보육 패러다임의 대전환기를 맞이하였다. 이로 인하여 보육시설에서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리더의 새로운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게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보육에 대한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서번트 리더십이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서번트 리더십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서번트 리더십에 관한 실증적 연구가 매우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육시설에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원장에 대한 교사의 신뢰 및 조직몰입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보육시설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에 따른 보육교사가 보육시설에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을 알아보며, 보육시설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보육교사에 조직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근거로 향후 보육시설의 리더십 방향과 보육시설 운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연구문제로는 첫째, 본 연구에서는 여러 유형의 리더십 중 보육시설의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에 어떤 영향이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둘째, 보육시설의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조직충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아보았다. 본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 고양시, 파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보육시설 중 민간과 가정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2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177명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를 위하여 사용한 통계프로그램은 SPSS Ver. 15.0 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보유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에는 정적인 상관이 있으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가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을 높게 지각할수록 원장에 대한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조직충성도에는 정적인 상관이 있으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가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을 높게 지각할수록 조직에 대한 충성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원장이 서번트 리더로서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그 비전을 분명한 목표와 연결시켜 구체적 방향을 설정해 준다면 보육교사의 조직에 대한 몰입 및 충성도를 강화시키고, 이로 인해 위기를 극복하고 경쟁력 있는 조직을 만들 수 있으며,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보육교사들의 활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한수미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ABSTRACT The Influence of Servant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iciency Su-Mi Han Dept. of Public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Daejeon University(Supervised by Prof. Hyon-Kun Kwak) Recent researches on leadership in this changing society mostly include members of organization in order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leadership. Also, the leadership which is to create organizational achievement and to develop the abilities of the members in the context of the situation changing into vertical structure is being emphasized. Servant Leadership(SL) helps the members in organization to grow and develop and makes them achieve their own goals in the long run. That is, the leader supports the members to realize their potential, putting value on serving others.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SL in the field(center) which care workers in long-term sanatoriums recognize and organizational efficiency, and then to analyze it empirically with care workers’ job stress as a parameter and emotional intelligence as a moderating variable.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measures to enhance competitiveness of organization by improving its efficiency, practising SL. The result of this study which analyzed empirically the impact of the chief of a sanatorium on organizational efficiency(satisfaction, commitment) is like the below. First,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are workers show that the number of female care workers is higher than that of male and they are usually aged, uneducated and unexperienced. In addition, they don’t work long time, considering the number of patients(2-3) each of them take charge of. They are paid low and unstable-employed. This result reflects the job characteristics and the poor working conditions of care workers employed in long-term home visiting sanatoriums. Secondly, SL of the chief in a long-term home visiting sanatorium affects significantly on organizational efficiency. This study shows that SL is a sustainable leadership that strengthens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are workers. Among the factors of SL, the result that the higher the altruistic calling, which is servant spirit,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and that those servant spirit and wisdom lead to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corresponds to the result of the former studies. However, the result that the lower the emotional cure variables, the higher organizational efficiency represents the opposite outcome to the former studies. Third, among the factors of SL, while servant spirit like altruistic calling, persuasion and organization has a meaningful effect on job stress, the job stress doesn’t necessarily effect job satisfaction and it proved to be a partial mediation in regard to the relation between SL and organizational efficiency. Lastly, along with the former variables, referring to the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is a moderating variable, altruistic calling and wisdom are influential. In relation to the altruistic call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is one of the factors of organizational efficiency, they can be either more strengthened or more weakened depending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former research. Based on the result from the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ith some limitations in it and adds a proposal for further researches. 국문초록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한 수 미 대전대학교 행정학과 지도교수 곽현근 급변하고 있는 환경 속에서 최근의 리더십 연구는 리더십의 효과성을 높이고자 조직구성원을 포함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수평적 조직구조로 변하는 상황에서 조직성과를 창출하고 구성원의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리더십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서번트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성장과 발전을 도와 궁극적으로는 구성원 스스로가 조직성과를 만들어 내도록 하는 것이다. 즉 리더가 섬김과 봉사에 가치를 두고 구성원의 역량을 발휘하도록 돕는 것이다. 본 연구는 장기요양기관의 요양보호사가 인식하는 시설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효과성의 관계를 파악하고,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매개변수로 감성지능을 조절변수로 사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서번트 리더십을 실천하여 조직효과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조직의 경쟁력을 키워나가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재가장기요양기관 시설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종합하면 남성보다는 여성의 비중이 높았고, 연령대가 높으며, 학력이 낮고, 경력이 낮으며, 요양보호사가 돌봄하는 담당 인원수는 2-3명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근무시간이 많지 않으며, 임금이 높지 않고, 고용형태가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재가장기요양기관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의 열악한 근로환경과 직무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둘째, 재가장기요양기관 시설장의 서번트 리더십은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서번트 리더십은 요양보호사의 조직몰입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는 리더십임을 본 연구결과는 보여주고 있다. 서번트 리더십 중 이타적 소명, 청지기 정신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다는 것과 이타적 소명, 지혜, 청지기 정신이 높을수록 조직몰입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은 기존의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하지만 감정적 치유변인은 낮을수록 조직효과성이 높다는 연구결과는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상반된 결과로 제시되었다. 셋째, 서번트 리더십 중 이타적 소명, 설득, 조직의 청지기 정신이 직무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서번트 리더십의 조직효과성과의 인과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는 부분적인 매개 역할로 검증되었다. 넷째, 앞선 변수들과 함께 조절변수인 감성지능을 영향 검증에서는 서번트 리더십 중 이타적 소명과 지혜가 영향이 있음이 나타났고, 이타적 소명과 조직효과성 중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에 따라 더욱 증대될 수도 혹은 약화될 수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감성지능이 조절역할의 따라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게 제시되었으며, 이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인 시사점과 연구 과정에서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키워드 : 서번트 리더십, 조직효과성,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감성지능

      • 보육시설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직무 만족도간의 관계

        박경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rvant leadership in child care center directors on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ccordingly, this study selected and confirmed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First, will there be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according to child car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academic background, age, career, and qualification)? Second, will there be difference in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level? Third, what about influence of servant leadership in child care center directors upon job satisfaction among child care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ampled 196 child care teachers who work at national & public, corporate, private, and home child care centers where are located in Seoul Metropolis and were analyzed by using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was referred to Livovich(1999)'s questionnaire, and Yun Seong-hui(2011)'s questionnaire, which used by modifying terminology in line with the organization of the child care facilities in order to measure sub-behavioral characteristics on servant leadership of child care center directors. This study used a tool that is composed of totally 17 items. A response form to each item was allowed to be responded with Likert's 5-point scale. Reliability of measurement tool, which was used in this study, was analyzed by calculating Cronbach’s α coefficient as for 17 items. To measure teachers' job satisfaction, Noh Jong-hui(2001)'s teacher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 was used. As totally 23 items, they are composed of questions about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 response method of questionnaire based on questionnaire items was set for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Likert's 5-stage rating scale was used.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wasn't significant according to child care teachers' academic background and age, the working career of the current facilities, the total working career of the child care facilities, and child care license. Second, job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in coworker satisfaction and the lowest in salary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with task, salary and welfare in job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according to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level. However, the satisfaction with promotion, coworker, and senior was insignificant. Third, the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was significant with listening attentively, persuasion, curing, cognition, insight, member's growth, and steward consciousness, but was insignificant with community formation. Synthesizing and seeing this research, it confirm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according to child car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It could be known that the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is high in child care teachers with high recognition on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and that the child care teachers with high recognition on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have the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the child care teachers with low recognition on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시설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고 확인하였다. 첫째, 보육교사의 배경변인(학령, 연령, 경력, 자격)에 따라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 인식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둘째,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 수준에 따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는 차이가 있을 것인가? 셋째, 보육시설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보육교사간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국공립, 법인, 민간, 가정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 196명을 표집하여 질문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지는 보육시설기관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에 대한 하위 행동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Livovich(1999)와 보육시설 조직에 맞게 용어를 수정하여 사용한 윤성희(2011)의 설문지를 참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총 17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사용하였다. 각 문항에 대한 반응양식은 Likert(리커트) 5점 척도로 반응하도록 되어 있다. 17문항에 대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여 본 연구에 사용한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교사의 직무만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노종희(2001)의 ‘교사 직무 만족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총 23문항으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하고 있다. 설문문항을 바탕으로 설문지의 응답방법은 자기보고식 설문지로 설정하였으며, Likert식 5단계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학력과 연령, 현재시설 근무경력, 보육시설 총 근무경력, 보육자격증에 따른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 인식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직무만족도는 동료만족이 가장 높았으며 보수만족이 가장 낮았다. 직무만족도의 업무, 보수, 복지만족은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 수준에 따라 유의미 하였으나, 승진, 동료, 상사 만족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 중 경청, 설득, 치유, 인지, 통찰, 구성원의 성장, 청지기 의식 과는 유의미 하였으나, 공동체형성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를 종합하여 볼 때,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 인식에는 차이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의 만족은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 인식이 높은 보육교사가 높고,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 인식이 높은 보육교사가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 인식이 낮은 보육교사보다 직무만족도가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 서번트리더십에 대한 부하직원의 인식이 상사에 대한 신뢰를 매개로 하여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협동조합을 중심으로

        김종구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서번트리더십의 특성이 협동조합에서 근무하는 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 분석하였다.이를 위해 전국 협동조합의 임직원을 대상으로 2008년 5월 6일부터 6월 10일까지 온라인(그룹웨어-웹아리오피스) 및 오프라인의 질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 방법으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v. 12.0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협동조합 종사자들이 느끼는 서번트리더십은 평균 3.03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하직원이 상사에 대해 느끼는 유형이 서번트리더십에 가깝다는 것을 의미한다.둘째, 서번트리더십과 부하직원으로부터 상사에 대한 신뢰의 관계는 협동조합조직에 있어 정(+)의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셋째, 부하직원으로부터 상사에 대한 신뢰 또한 조사된 데이터 상에서 정(+)의 방향으로 나타났고, 이로써 직무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넷째, 서번트리더십은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서번트리더십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 함께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결론적으로 서번트리더십은 부하직원으로부터 상사에 대한 신뢰 및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서번트리더십의 개념은 1970년대 등장했지만 실증적인 연구는 아직까지 초기단계에 불과하다. 또한 서번트리더십을 측정할 만한 도구 역시 체계적이지 못한 상황이다. 앞으로 보다 체계적으로 서번트리더십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과 도구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의 한계점을 고려하고 보완하여, 서번트리더십에 대한 경영학적인 측면에서 좀 더 심도 깊은 실증분석이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and confidence of employees working at cooperative associations by verification.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actual data were collected both on-line (through Groupware - Webari Office) and by off-line questionnaires to the staff and the managers of nationwide cooperative associations from May 6, 2008 to June 10, 2008. The data were processed and analyzed statistically by using SPSS v. 12.0 package program.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First, the figure shows 3.03 on the average that the employees understand the Servant leadership. And it means that the employees' sentiment on their senior officials is close to the servant leadership's.Second, the interrelation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employees' confidence on their senior officials moves to the direction of plus(+) and it shows the servant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fidence for their senior officials especially in cooperative associations.Third, the employees' confidence on their senior officials also shows to move '+' direction in the data and it verifies that their confidence to b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job satisfaction.Fourth, the servant leadership is to be statistically proven as a significant factor on their job satisfaction through the data and it shows that the higher servant leadership is, the more job satisfaction creates.In conclusion, it is certain that the servant leadership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staff's confidence on senior officials and their job satisfaction. Even the concept 'Servant Leadership' firstly appeared in 1970's though, the actual researches are still in the early stage, and tools/programs for measuring and analyzing the Servant Leadership are not systematically set up yet.Therefore, it is our task to develop proper tools and methods measuring Servant Leadership more systematically in future.Furthermore, more in-depth study on the Servant Leadership should be done at the aspect of business administration with considering and making up its limits.

      • 보육교사가 지각한 시설장의 서번트 리더십 특성이 시설장 신뢰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정미영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시대적인 환경변화에 따라 보육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보육 패러다임의 대 전환기를 맞이하였다. 이로 인해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리더의 새로운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게 강조되는 가운데 보육에 대한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서번트 리더십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고, 그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서번트 리더십에 관한 실증적 연구가 매우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설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시설장에 대한 신뢰 및 조직몰입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시설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시설장에 대한 신뢰와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고, 이를 근거로 향후 보육시설의 리더십 방향과 보육시설 운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연구문제로는 첫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시설장의 서번트 리더십 특성이 시설장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둘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시설장의 서번트 리더십 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보육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3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로 서번트 리더십은 Laub(1999)이 개발한 측정문항을 국승오(2009)가 학교조직에 맞게 문항을 재구성한 질문지를 보육시설 조직에 맞게 재구성하고,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시설장 신뢰는 Mayer와 Davis(1999)에 의해 개발된 측정문항을 사용한 김경섭(2005)의 설문내용을 근거로 보육시설 조직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조직몰입은 Meyer와 Allen(1991)이 개발한 측정문항을 국승오(2009)가 학교조직에 맞게 재구성한 질문지를 보육시설 조직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변수인 시설장의 서번트 리더십의 특성과 시설장 신뢰, 조직몰입 간의 상호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영향력 검증을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를 위하여 사용한 통계프로그램은 SPSS Ver. 12.0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시설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시설장에 대한 신뢰는 정적인 상관이 있었으며, 시설장의 서번트 리더십 특성이 시설장에 대한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가 시설장의 서번트 리더십을 높게 지각할수록 시설장에 대한 신뢰가 높아진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며, 시설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시설장에 대한 보육교사의 신뢰인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둘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시설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조직몰입과는 정적인 상관이 있었으며, 시설장의 서번트 리더십 특성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번트 리더십 특성 중 구체적 방향(인지, 통찰, 비전의 제시)요인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시설장이 서번트 리더로서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그 비전을 분명한 목표와 연결시켜 구체적 방향을 설정해 준다면 보육교사의 조직에 대한 몰입의 정도를 강화시키고, 이로 인해 위기를 극복하고 경쟁력 있는 조직을 만들 수 있으며,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보육교사들의 활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호텔 일식레스토랑의 외국인 주방장 서번트 리더십이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연구

        차기훈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With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tourism industry in the latter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hotel industry has also developed in quality and quantity. While the reliance of raw materials in the hotel industry is incomparably low in comparison to any other industries, the major challenge is improving productivity and competitiveness through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service and strategy, because services based on human resources are the core contents of services provided by a hotel. In the recent years, particularly in most 5-star hotels in Seoul City, international chefs from overseas have been employed to satisfy the appetite of consumers and to increase productivity and profit-generation. Whilst employing a foreigner chef will develop new menus and have a positive effect on sales, communication within the kitchen can cause misunderstanding due to the difference in language and culture. If existing leadership was the role of leading the member of the organization, servant leadership involves the leader serving the members to form a sense of unity and consensus and to achieve corporate goals. As the first study on the leadership of foreigner chef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servant leadership, which is a type of leadership, affects the organizational efficacy of cooks, and divided organizational efficacy into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oreigner chef’s servant leadership on the work efficiency of domestic employees. To specify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greater detail, it i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the domestic hotel cook regarding the servant leadership of the foreigner chef.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ideal leader type of foreigner chefs for effective employment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the future. To achieve this purpose, theoretical review and empirical research were conducted. Existing literature was used for theoretical review, such as research thesis, domestic and international, and specialist book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oreigner chef’s servant leadership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of members at the Japanese restaurant, a self-entry questionnaire was conducted against employees of a five-star hotel restaurant, after explaining the purpose of the survey. The result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3 sub-factors of servant leadership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equation was 17.5%(R²=.175), and the equation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tion. Proposal of vis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of servant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roposal of vision,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Secondl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immersio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3 sub-factors of servant leadership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equation was 21.7%(R²=.217), and the equation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tion. Proposal of vision and empathy, as independent variables of servant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immers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empathy and proposal of vision,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immersion. Thirdl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immersio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 factor of job satisfaction as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equation was 60.8%(R²=.608), and the equation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tion. Job satisfaction, as the independent variable of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immers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immersion. The following are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Firstly, the component factors of 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have reliability and validity when applied in the hotel corporation kitchen. More specific and detailed item development appears to be possible in future research. Secondly,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cooks will improve through the improved leadership of foreigner chefs, if the leadership program developers or human resource departments of each five-star hotel implement a servant leadership training program for foreigner chefs working in the kitchen. This will also contribute greatly to the profit generation and success of the corporation. Limit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n the questionnaire survey, there would have been difficulties in creating the questionnaire because the exact age of the foreigner chef or the number of years they worked in Korea was unclear. Different results may be found when the questionnaires a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hotel in the fu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ef working at the specific hotel are used. Secondly, the kitchen organization is changing from a vertical structure to a horizontal structure, and it is reasonable for the chef to accept new leadership qualities to respond to such changes. However, the understanding of servant leadership is still lacking in Korean corpor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cluding contents on servant leadership on top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when conducting leadership training for hotel chefs. If the above limitations were improved in future research and studies on foreigner chefs are conducted from various different angles, it would be greatly beneficial in preparing for the future labor shortage of kitchen cooks by developing not only leadership programs, but programs for adapting in Korea, in preparation for the time we will need to employ foreigners as general cooks like other advanced countries, not just chefs. 오늘날 20세기 후반에 들어 우리나라 관광산업의 발전에 따라 호텔 산업도 양적 질적인 면에서 많은 발전해 왔다. 호텔산업에서는 다른 어떠한 산업에서도 비교가 안될 만큼 원자재 의존도가 낮은 반면에 인적자원을 이용한 서비스가 호텔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핵심적인 내용이 되고 있기 때문에 호텔산업에서는 인적 서비스와 전략의 개발에 의해서 생산성과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주요 과제가 되고 있다. 최근 들어, 대부분의 서울 시내 특1급 호텔에서는 이러한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생산성과 이익 창출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외국인 주방장을 채용하고 있다. 외국인 주방장의 채용하여, 매출에 큰 효과와 새로운 메뉴개발을 할 수 있으나, 주방에서 함께 근무 하고 있는 구성원들과의 언어적 차이와 문화적 차이로 의사소통이 오해를 발생시키게 한다. 기존의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을 이끄는 역할이었다면 서번트 리더십은 구성원들에게 리더가 구성원의 일체화 공감대 형성 직접 봉사를 함으로서 구성원을 만족시키고 더 나아가 기업목표를 달성 하게 되는 것이다. 아직까지 외국인 주방장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가 없는 설정에서 본연구는 리더십 유형중 서번트 리더십 유형으로 인하여 조리 종사자의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고, 조직 유효성을 직무만족, 조직 몰입으로 세분화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리더로써의 외국인 주방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국내 종사원들의 업무 효율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제시해 보면, 외국인 주방장의 서번트 리더십에 대한 국내 호텔 조리 종사원의 인식이 직무 만족과 조직몰입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앞으로 외국인 주방장의 바람직한 리더상과 채용 하는데 효율적인 인력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론적 고찰과 실증적 연구를 중심으로 실시하였고, 이론적 고찰에는 국내· 외 연구 논문 및 전문 서적과 연구논문등 선행연구를 통해 일식레스토랑의 외국인 주방장 서번트 리더십이 구성원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특급호텔 레스토랑에 근무하고 있는 종사원을 대상으로 조사 취지와 목적을 설명하고 협조를 통해 설문자들이 직접 기입하는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방법을 이용하여 이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서번트 리더십의 하위요인 3개를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회귀식의 설명력은 17.5%(R²=.175)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독립변수 서번트 리더십의 비전의제시는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전의제시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서번트 리더십의 하위요인 3개를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회귀식의 설명력은 21.7%(R²=.217)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독립변수 서번트 리더십의 공감과 비전의제시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과 비전의제시가 높을수록 조직몰입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직무만족의 요인을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회귀식의 설명력은 60.8%(R²=.608)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독립변수 직무만족의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조직몰입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십,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구성요인들을 호텔기업 주방내에 적용시에도 신뢰성과 타당성이 있어서 향후 연구에도 이러한 구성요인을 좀 더 구체적인 항목 개발을 할 수있을 것 같다. 둘째, 주방에 종사하는 외국인 주방장을 위한 서번트리더십 육성 교육 프로그램을 각특급호텔의 인사부나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자들이 관심을 갖고 추진한다면, 외국인주방장들의 더 나은 리더십을 통해 조리종사자들의 직무만족은 향상 될 것이며, 기업의 이익창출 및 성공여부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지 조사에 있어서, 외국인 주방장의 연령, 한국에서의 근무기간등이 명확히 알 수 없었기 때문에 설문 작성시 어려움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향후에는 설문지에 호텔을 구분하여 그 호텔에서 근무하는 주방장의 특성을 기입하면 또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둘쨰, 주방조직이 수직적 구조에서 수평적 구조로 변화하고 있고, 이에 부응할 주방장 자신의 자질을 갖추기 위해 새로운 리더십 유형을 받아들이기를 타당하리라고 본다. 그러나 국내 기업은 아직도 서번트 리더십에 대한 이해가 미흡하다. 그러므로 호텔 주방장의 리더십 훈련시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과 함께 서번트 리더십에 관한 내용도 포함시키는 것을 고려해야 하겠다.향후 연구에서는 위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외국인 주방장들에 대한 다각도의 연구가 진행된다면 앞으로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외국인 주방장들뿐만 아니라 선진국처럼 일반 조리사들도 외국인을 채용 할 날을 대비하여 미리 그 들을 위한 리더십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한국 적응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여, 앞으로의 주방 조리사의 인력난을 대비해야 할 것이다.

      •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권우덕 서울시립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세계화와 무한 경쟁 속에서 조직연구의 화두는 조직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조직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요인들 가운데서 최근에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구성원들의 역할외 행동(extra-role behavior)이다. 역할외 행동은 순수하게 조직을 관리하는데 투입될 자원을 보다 생산적인 분야에 투자할 수 있도록 하고, 구성원들 사이의 협력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조직이 효과적으로 기능하고, 기대 이상의 성과를 올리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역할외 행동의 대표적인 유형이 조직시민행동이다. 우리나라 공공조직은 고도경제성장의 시기를 지나면서 재정확대가 어렵게 되었지만, 지방자치제도의 실시 이후 시민들의 행정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는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었다. 그래서 공공조직도 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생산성 증대가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이러한 환경변화는 공공조직에서도 조직시민행동에 관심을 기울이도록 하였다. 본 논문은 조직시민행동을 제고하기 위한 영향요인으로 서번트 리더십과 직무만족, 그리고 상사몰입을 선정하였으며, 공공조직인 서울시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번트 리더십의 하위요인 가운데서 지혜는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타적 소명과 감성적 치유는 직무만족을 매개로 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상사몰입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번트 리더십은 상사몰입과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번트 리더십의 하위요인들은 설득, 감성적 치유, 이타적 소명의 순으로 상사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서번트 리더십의 하위요소들 가운데 치유와 지혜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설득은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득이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은 직무와 관련해서 상사가 업무의 중요성 등을 강조하는 것은 오히려 직무를 수행하는 직원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해서 직무스트레스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셋째, 직무만족의 하위요인 가운데 직무자체만족과 동료만족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승진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승진이 조직시민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공무원들이 공직생활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승진이 임박할수록 근무평가 등에 유리한 주어진 역할에 따른 직무성과를 올리는데 집중하고, 성과평가 등에 실질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알 수 없는 조직시민행동과 같은 역할외 성과에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넷째, 상사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직무만족의 하위 요소 가운데는 승진이, 서번트 리더십의 하위 요소 중에서는 지혜를 제외한 모든 요인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상사몰입의 하위요소 가운데 감성몰입만이 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서번트 리더십은 직무만족을 매개로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가 가지는 이론적․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번트 리더십이 공공조직에서도 유용하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으며, 둘째, 상사몰입과 조직시민행동의 영향관계에 대한 검증결과 상사몰입은 조직시민행동과 같은 역할외 행동보다는 직무성과와 보다 연관이 있을 것이라는 것을 추론할 수 있었다. 셋째, 직무만족이 조직시민행동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수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정책적으로 서울시의 인사제도 개혁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객관성과 합리성을 확보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중간관리자들의 리더십 행위가 구성원들의 행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간관리자들에 대한 교육에서 리더십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검색어 : 조직시민행동, 서번트 리더십, 직무만족, 상사몰입 Abstract A Study on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Kwon Woodeok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the University of Seoul Improving organizational productivity has been a main topic of organizational research with ongoing competitive globalization. A factor that recently draws attention among various factors for improving organizational productivity is related to extra-role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Extra-role behavior may reduce the need for devoting scarce resources to maintain functioning of the organization. It can make resources use more productive and allow organizations to be more effectiv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is a representative type as extra-role behavior. Passing by a period of rapid economic growth, it is hard to increase finance scale for public organizations in Korea, but because of increased citizens' demands for public service, local governments have faced with difficulty. It is reason why the efficient use of resources and improving productivity are being emphasized. So public organizations should give attention to OCB. This paper selected servant 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 supervisor as influencing variables for improving OCB. Survey to public servants i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as conducted. A Surve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wisdom, subfactor of servant leadership, influences positively OCB. Altruistic calling and emotional healing affected significantly OCB through job satisfaction, mediation factor. In contrast, the commitment to supervisor as a mediating variable did not influence to OCB. Second, the servant leadership influence positively on commitment to supervisor and job satisfaction. Persuasion among subfactors of servant leadership has the highest and most positive influence on commitment to supervisor. The next positive factors are emotional healing and altruistic calling in order. Emotional healing and wisdom have not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Persuasion has a significant and nega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because organizational members recognize persuasion add more work to them. Third, nature of job itself and coworker satisfaction among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influence OCB positively. In contrast, promotion has significantly negative affect on OCB, because members think that extra-role behavior is not helpful to promotion. Forth, according to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promotion is the only positive factor among subfactor of jab satisfaction to commitment to supervisor . In subfactor of servant readership, all factors except wisdom have positive effect on commitment to supervisor. Fifth, only affective commitment among subfactors of commitment to supervisor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OCB. Sixth, servant leadership positively affect OCB through job satisfaction as a mediating variable. Key Word :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Servant Leadership, Job Satisfaction, Commitment to Supervisor.

      • 법률사무소관리자의 서번트리더십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남인수 경일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the impact of law office managers' servant leadership on office staff'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using communication as a parameter.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a technical approach based on the literature and an empirical method through a survey of office staff at law offices were used in parallel. Based on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with servant leadership as the independent variabl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communication as the mediator,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regard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communicati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is, operational definitions and survey questions were created for each variable, and the hypothesis was test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s with data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office staff at 51 law offices in the Daegu and Gyeongbyeong reg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rvant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and 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the sub-variables of servant leadership, stewardship spirit and growth suppor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relationship with many of the sub-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ommunity forma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relationship with all sub-variabl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other hand, vision present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both the sub-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communication, stewardship spirit and growth support, which are subvariables of servant leadership,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relationship with with all subvariables of communication (clarity, accuracy, timeliness, and openness), Community formation was analyz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larity and timeliness. On the other hand, vision present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any of the communication sub-variable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irst of al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nd job satisfaction, accuracy, which is a sub-variable of communication,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ompensation, co-worker relationships, social recognition and job which are sub-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timeliness appears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mpensation, promotion, and co-worker relationships, and clarity and openness appear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romotion. Nex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imeliness, which is a sub-variable of communication,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all of the sub-variabl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uracy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continuous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and clarity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emotional commitment. Each was confirmed. On the other hand, openne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any of the sub-variabl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was confirmed that communicat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policy implication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ervant leadership training program for each situation. 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policy support to develop a servant leadership training program at the bar association level, while continuously monitoring whether effective leadership can be demonstrated and training law office managers. Second, growth support for the servant leadership of law office managers is needed. We also need measures to enhance support for the growth of not only law office managers but also lawyers, who are leaders of law offices. Thir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communication between law office managers and office staff. To this end, it is important for law office managers to make efforts to create a culture of active communication within the law office organization.

      • 서번트 리더십이 MCS의 상호작용적 이용, 조직몰입, 의사소통, 그리고 관리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군 조직을 중심으로

        이병석 건양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Servant leadership is different from a traditional leadership. A servant leader respects and serves his subordinate. Also, he gives a chance for them to demonstrate their creativity and potential in the organization. That kind of behavior helps to the subordinate to grow and facilitates the organization to become a better community. The study on servant leadership in the field of general company and government office is active and vibrant until now. However, studies on servant leadership in military organizations are extremely limited. However, military organizations now recognize the necessity for servant leadership because of the changing environment that affects the military's consciousness structure and attitudes of its diverse soldiers. There is a difficulty in finding studies which particularly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battalion commander's servant leadership employing the interactive use of MCS, organizational commitment, communication and managerial performance. Hence, this study intends to conduct an exploratory research on this area. Generally, this investigate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 Battalion commander's servant leadership with the interactive use of MCS, organizational commitment, communication and managerial performance in the military organizations. Respondents of the study are the battalion officers who are budget practitioners knowledgeable on the military's budget-related system especially form budget planning to budget execu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battalion commander's servant leadership with the interactive use of MC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per unit to test the hypotheses and a total of 162 questionnaires were retrieved. The structural model was analyzed with P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battalion commander's servant leadership had no direct effect on managerial performance. Second, the battalion commander's servant leadership had a positive significance on the interactive use of MCS. Third, the battalion commander's servant leadership had a positive significance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Fifth, the interactive use of MCS had a positive significance on communication. Sixth, the interactive use of MCS had no positive significance on managerial performance.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ommunication had a positive significance on managerial performance. In brie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battalion commander's servant leadership has no direct effect on managerial performance in the military organizations. But the battalion commander's servant leadership has an effect on managerial performance in the military organizations by playing mediating roles with the interactive use of MC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ommunication.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battalion commander's servant leadership has an effect on managerial performance in the military organizations by playing mediating roles with the interactive use of MC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ommunication. Also, it serves as a signpost on how the battalion commander can improve managerial performance in the military organizations. 서번트 리더십은 전통적인 리더십과는 달리 인간존중을 바탕으로 부하를 섬기며, 창의성과 잠재력을 발휘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부하의 성장을 도와 조직이 진정한 공동체를 이루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서번트 리더십 연구는 일반기업 및 공공조직을 대상으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었지만, 군 조직을 대상으로 서번트 리더십 관련 연구는 활성화 되지 못하였다. 최근 군 조직도 인간존중의 가치 확산, 구성원들의 다양성 증대, 장병의 의식구조와 행동양식 변화 등으로 서번트 리더십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군 조직을 대상으로 수행된 서번트 리더십 관련 선행연구들은 다양한 매개변수들을 활용하여 성과까지 검증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제기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탐색적인 연구를 시도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대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MCS의 상호작용적 이용, 조직몰입, 의사소통, 그리고 관리적 성과와의 인과관계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대대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대대급 조직의 MCS의 상호작용적 이용을 측정하기 위해 예산편성 및 집행과 관련된 예산제도를 잘 이해할 수 있는 대대급 예산업무담당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대대급 부대의 예산담당자로 국한하여 부대 당 1부씩을 배포하였다. 설문지 총 200부를 중 162부를 최종분석에 이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번트 리더십이 관리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군조직 내 대대장의 서번트 리더십은 관리적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번트 리더십이 MCS의 상호작용적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 결과, 서번트 리더십은 MCS의 상호작용적 이용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서번트 리더십은 각각 조직몰입과 의사소통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MCS의 상호작용적 이용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예측한 바와 다르게 MCS의 상호작용적 이용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가설이 기각되었다. 다섯째, MCS의 상호작용적 이용이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MCS의 상호작용적 이용은 의사소통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MCS의 상호작용적 이용이 관리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예측한 바와 다르게 MCS의 상호작용적 이용은 관리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직몰입과 의사소통이 관리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조직몰입과 의사 소통은 각각 관리적 성과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가설검정 결과, 대대장의 서번트 리더십은 관리적 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MCS의 상호작용적 이용, 조직몰입, 그리고 의사소통 변수들을 통해 관리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대대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MCS의 상호작용적 이용, 조직몰입, 그리고 의사소통 변수를 통해 군 조직의 관리적 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가를 규명함으로써 대대장이 관리적 성과 향상을 위해 행해야 할 행동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가지고 이다.

      • 영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원장 리더십과 교환관계,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연구

        이언영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research tried to verify that an influence of leadership from the principal of a children education institute, that a daycare teacher recognizes, affects teacher’s efficacy and the relationship of the principal’s leadership that affects teacher’s efficacy through an exchange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o find out how the principal’s leadership(servant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ffects teacher’s efficacy. Second, to find out how the principal’s leadership affects an exchange relationship. Third, how the principal’s leadership( servant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ffects the teacher’s efficacy through the exchange relationship. The region of the survey is set as O district of U city, U county, town and township of O, and the period of the survey is from November 1st in 2015 to January 20th in 2016. The subjects are 409 teachers from daycares. A structural equation is used to analyze based on the data complied. Research method composed variables of general teacher efficacy and personal teacher efficacy, servant leadership of principal are composed of a chamberlain mind, growth support, community and vision. Transformation leadership is composed of inspirational motivation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Exchange relationship is used for variables of emotional bond, loyalty, and professionalism. The result of the research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bout an influence of how servant leadership affects teacher efficacy, it shows that if there is the higher servant leadership of principal, there will be the more teacher efficacy from the daycare teacher has.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how about an influence how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ffects teacher efficacy, you can figure out even if there is highe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 teacher efficacy doesn’t get higher.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about how servant leadership of principal affects exchange relationship, the principal’s leadership is , the higher exchange relationship gets. Four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bout how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ffects exchange leadership, if there’s highe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re’s more exchange relationship. Fifth, exchange relationship is verified as there is an indirect effect in teacher efficacy relationship. In other words, exchange relationship doesn’t affect i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 efficacy. The practical intervention method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are as follows. First, the hypothesis that there is an positive effect on teacher efficacy through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was verified. Thus, a follow up research is necessarily to find specific and practical plan for improvement of teacher efficacy. Second,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has an indirect influence on teacher efficacy through the exchange relationship. This shows principal’s leadership gets higher if there is more teacher efficacy through daycare teacher’s exchange relationship. Therefore a political support is necessary for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Third,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oesn't affect teacher efficacy by exchange relationship. By the result, the principal is expected to be a fundamental materials of research that develops teacher efficacy by an altruism of interactional characteristic of education combined with servant leadership.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리더십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원장의 리더십이 교환관계를 통한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장의 리더십(서번트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려는 데 있다. 둘째, 원장의 리더십이 교환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려는 데 있다. 셋째, 원장의 리더십(서번트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에 대해 교환관계를 통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려는 데 있다. 연구대상자의 설문조사 지역은 U시의 O구와 U 군 O읍면 지역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 시기는 2015년 11월 1일부터 2016년 1월 20일까지 조사를 하였다. 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들을 대상으로 409명의 자료가 연구에 사용되었다. 수집한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구조방정식을 시행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도구는 교사효능감은 일반적 교사 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의 하위변인을 구성하였고,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은 청지지 정신, 성장지원, 공동체와 비전으로, 변혁적 리더십은 영감적 동기와 지적 자극으로 구성하였고, 교환관계는 전문성, 충성심, 정서적 유대감, 공헌을 하위 변인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간단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 원장이 서번트 리더십이 높을수록 유아 교사의 교사효능감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높을수록 교사효능감이 높아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교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 원장이 서번트 리더십이 높을수록 교환관계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 원장이 변혁적 리더십이 높을수록 교환관계가 높아진다고 할 수 있었다. 다섯째,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효능감 관계에서 교환관계는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어 채택되었다. 즉,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효능감에서 교환관계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효능감 관계에서 교환관계는 간접효과가 없는 것으로 검증되어 기각되었다. 즉,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효능감에서 교환관계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을 통하여 교사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이와 같이 교사효능감 향상의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요구 된다. 둘째,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교환관계를 통해 교사효능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유아 교사의 교환관계를 통해 교사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실천이 필요하다. 셋째,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교환관계를 통해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원장은 서번트 리더십과 결합하여 상호작용 주의 교육 특성의 이타심을 통한 교사효능감을 높이는 연구의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