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업직장인의 상담학전공 석사과정 경험 연구

        오지영 백석대학교 상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전업직장인이 상담학전공 석사과정에서 겪은 경험과 의미를 살펴보고, 그 경험에 내재되어 있는 현상의 본질이 무엇인지 밝혀 기술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한 하위 연구 문제는 첫째, 전업직장인이 상담대학원 진학을 선택한 이유, 둘째, 전업직장인은 상담대학원 과정에서의 경험, 셋째, 상담대학원에서의 경험이 전업직장인에게 주는 의의에 관한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직장생활 10년 차 이상으로 대학원 3학차 이상에서 졸업 1년 이내인 전업 직장인 7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1년 10월부터 2022년 1월까지 이루어졌고, 수집된 자료는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 분석 방법에 따라 9개의 상위주제, 21개의 하위주제, 85개의 구성된 의미로 최종 분석되었다. 분석으로 도출된 참여자들의 경험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업직장인이 상담대학원에 진학하게 된 동기는 ‘현 직장에서의 불안감이 상담 직종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짐’, ‘상담 경험이 상담공부로 이끔’, ‘다양한 루트를 통해 상담대학원 진학을 고려하게 됨’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업직장인의 상담학전공 석사과정에서의 심리사회적 경험은 ‘낯설고 힘들지만 수업을 통해 ‘나’를 찾아감’, ‘직장생활과 학업의 병행은 서로에게 시너지가 됨’, ‘다중역할을 감당하며 한계와 현실의 벽을 마주함’, ‘관계의 Good & Bad를 경험하며 대상의 다양성을 체득함’, ‘지금의 나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임’, ‘가족과 동료와의 관계에 선한 변화가 생김’이었다. 셋째, 상담대학원에서의 경험이 전업직장인에게 주는 의의는 ‘직업으로서의 상담 현실을 인정하고 현 직장에서 전문성을 업그레이드함’, ‘미래의 직업으로서 상담사를 꿈꾸며 준비해 나감’에 있다. 결론적으로 직장인으로 10년 이상 근무하며 안정적인 진로를 영위하고 있는 참여자들이 새로운 분야인 상담학에 진학하게 되며 경험하는 체험의 세계는 한마디로 ‘상담학을 통한 성장으로 현 직장에서 전문성을 업그레이드하며 전문상담사를 준비함’으로 요약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로는 첫째, 기업과 직장을 이해하는 전업직장인의 상담학전공 석사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했는지 밝히는 것에 의의가 있다. 둘째, 평생직업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현대사회에서 중년의 전업직장인이 새로운 진로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체험의 세계를 이해하는 사례를 제시하였다. 셋째, 중년 직장인들이 상담 경험과 상담대학원 진학을 통해 자신을 수용하고 통합해가는 과정을 겪으며 자아실현과 성숙을 이루어 나가는 경험을 드러내는데 의의가 있다. 주제어: 전업직장인, 상담학전공, 석사과정, 질적연구, van Man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the one hand,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the people who are full-time employees and enrolled students in the master’s degree program in counseling, and on the other hand, to reveal their meaning phenomenologically. To fulfill the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followering subtopics: first, the reason why full-time employees’ chose to enter the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second, their experiences in the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and third, the significance of their experiences in counseling graduate school. Participants in the study selected seven full-time employees with more than 10 years of work and less than one year of graduation from three or more graduate schools as study subjects. Data collection took place from October 2021 to January 2022. And the collected data were finally analyzed with nine top topics, 21 subtopics, and 85 meanings according to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analysis method. Th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derived from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tives of full-time employees to enter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are "facing anxiety about their current job leads to interest in counseling jobs," “getting counseling experience leads to study counseling," and "considering the entrance of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through various routes." Second, the psychosocial experiences of full-time employees in the master's course in counseling major are "finding meanings through classes despite of facing unfamiliar and difficult situations," "combining work and study life creates synergy with each other," "facing limitations and walls of reality while playing multiple roles," "learning diversity of objects by experiencing Good & Bad of relationships", "accepting me as I am now" and "building good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and colleagues." Third, the significance of experience at the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to full-time employees lies in "recognizing the reality of counseling as a job and upgrading expertise at the current job" and "preparing for a counselor as a future job." In conclusion, participants who have worked as full-time employees for more than 10 years and have a stable career will go to counseling, a new field, and the world of experience can be summarized as "growth through counseling studies upgrades professionalism in the current workplace and leads to preparation as a professional counselo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first, it is meaningful to reveal how full-time employees who understand companies and jobs experienced in the master's course in counseling. Second, an example of understanding the world of experience experienced by middle-aged full-time employees in the process of seeking a new career path in modern society, where the importance of lifelong jobs is emerging, was presented. Third, it is meaningful to reveal the experience of counseling study achieving self-realization and maturity of an individual through the process of middle-aged employees accepting and integrating themselves through counseling experience and graduate school entrance. Keywords: full-time employee, counseling studies, master's degree, qualitative research, van Manen.

      • 상담전공 장애대학생의 열등감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고화숙 평택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상담전공 장애대학생들이 장애로 인한 열등감을 어떻게 경험 하고 인식하고 있으며, 상담공부를 통해 그 열등감을 어떻게 성장 동력으 로 삼아가는 지에 대한 과정을 탐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 구 목적을 위하여 장애대학생의 장애 경험은 무엇인지, 장애대학생들이 겪 는 좌절과 어려움은 무엇인지, 장애대학생들이 상담을 전공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지, 상담전공이 장애대학생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지, 상담전공 장애 대학생의 열등감은 일반적 열등감과 비교하여 어떤 차이와 의미를 주는지 를 연구 과제로 설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표 현하고 이해하는 최선의 탐구방법인 클랜디닌과 코넬리의 내러티브 탐구 를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현재 대학교에서 상담을 전공하는 장애대학생으로 중도 지체장애인 1명, 뇌병변장애인 2명, 시각장애인 1명, 청각장애인 1명으로 연령대는 20대 4명, 50대 1명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수집기간은 2022년 3 월 11일부터 2022년 9월 2일까지 약 7개월 동안 이루어졌고, 추가 인터뷰 를 2022년 10월 12일에 진행하였다. 연구 자료는 질문지를 중심으로 개별 인터뷰를 통해 녹취자료를 이용하여 수집되었으며, 연구 일지와 녹취자료 분석 과정을 반복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의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상담전공 장애대학생의 열등감 경험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대학생들의 장애 경험에 대해 살펴보면, 장애대학생들은 신체 적 장애로 인해 이동의 불편함과 기본적 생활에서의 불편함을 경험하였으 며, 이로 인해 타인의 도움을 받지 않고서는 기본적인 생활이 힘들었으며, 자신의 장애에 대해 수용 받지 못하여 혼자라는 것을 경험하였다. 둘째, 장애대학생들이 겪는 좌절과 어려움으로는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 의 장애가 다른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고, 혼자서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다 는 좌절을 경험하였고, 사회적 배제와 더불어 사람들의 장애인에 대한 기 대치가 낮음을 경험하였다. - iv - 셋째, 장애대학생들이 상담을 전공하게 된 이유는 도움을 줄 수 있는 대상으로의 변화와 기대, 긍정적인 상담관련 경험, 자기이해와 성장에 대 한 욕구로 연구 참여자들은 상담공부를 통해 자신의 삶을 변화시키고 싶 은 욕구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상담전공이 장애대학생에게 주는 의미를 살펴보면, 연구 참여자들 은 상담전공을 통해 자신의 장애를 유연하게 받아들이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자기와 화해하는 결과를 얻게 되었고, 주위 사람들과의 관계가 회복 됨을 경험하였다. 다섯째, 상담전공 장애대학생의 열등감과 일반적 열등감에 대한 차이와 의미를 살펴보면, 장애 문제는 개인적인 결함에서 비롯된 결과가 아니라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의 문제라는 것이다. 일반적인 열등감은 자신 의 무가치함에 대한 개인내적 평가로 이해된다면, 장애대학생의 열등감은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이미지로 인해 평가 절하된 특성이나 집단의 고정 관념의 일반화로 인해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과제의 결과에 더하여 연구 참여자들은 종교의 유무에 따 라서 열등감의 경험이 매우 다름을 이해할 수 있었다. 신앙을 가지고 있는 연구 참여자들은 장애에 대한 열등감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종교적인 측면에서 힘을 얻는 경험을 하였다. 신앙을 가지고 있지 않은 연구 참여자 들은 자신의 장애를 자기 존재 자체의 문제로 해석하고, 세상과 스스로에 대해 원망과 분노를 경험하였다.

      • 상담전공학부생의 대학원 진학결정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하다혜 인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상담 전공 학부생들이 상담 관련 전공 대학원 진학 과정 동안의 경험을 탐색하고 이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10명의 상담 관련된 전공의 학부생을 대상으로 회고적 심층 면접을 시행하고 질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인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담 전공 학부생들은 분명한 동기를 가지고 상담 학부 과정에 들어오지만, 진로에 관한 객관적인 정보 부족과 경력 및 역량의 부족으로 인해 제한적인 진로를 결정을 직면하였다. 동시에 학부 과정을 통해 자아 탐색과 변화된 관점을 가지는 욕구와 함께 진학 결정에 대한 망설임이 드러났다. 이렇게, 진학 결정 과정에서 어려움과 갈등, 망설임을 경험하지만, 주변 사람들의 영향, 개인적인 탐색, 상담 관련 경험, 그리고 상담 분야에서의 다양한 시도를 통해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진학에 대한 확신과 개인의 역량을 성장시켜 왔다. 이들은 진로와 관련된 경험을 통해 자신의 역량을 개발하고 자아를 탐색하며, 더 나은 전문상담자로 성장하기 위해 대학원 진학을 결정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목회자의 상담전공 수련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호은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상담을 전공하고 있는 목회자들이 학업 및 임상수련 과정 중에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를 탐색하고 기술하는 데 있다. 한국교회 안에 상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상담을 배우고자 대학원에 입학하는 목회자들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자는 대학원에서 상담을 전공하고 있는 목회자들이 상담수련과정 중 실질적으로 어떤 경험들을 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경험이 목회 현장에서 하는 상담에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탐색하는 것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목회자의 대학원 상담전공 수련 시작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 둘째, 상담전공수련 경험 중 목회자 자신과 가정의 삶의 변화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셋째, 목회자의 상담전공수련 과정에서의 경험이 목회자의 목회현장에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 자료 수집을 위해, 본 연구자는 교육부가 인정한 상담대학원의 상담학 석사과정에 있는 목회자 6명을 대상으로 6개월 간 개인 인터뷰와 이메일, 전화통화 방법을 통해 자료를 확보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1978)가 제안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즉 참여자들로부터 기술된 의미 있는 문장이나 구를 추출하여 이를 기초로 일반적이며 추상적인 진술을 만들어 의미를 구성하고 주제별로 묶어 범주화한 다음 경험의 본질적 구조를 기술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32개의 의미단위, 12개의 하위주제, 그리고 4개의 상위주제가 목회자의 상담전공 과정 중에 경험한 바에 대한 주요 주제로서 범주화 되었다. 4개의 상위주제는 첫째, ‘다양한 목적에 의해 상담학 석사과정을 시작함’, 둘째, ‘상담수련과정 중 인간에 대한 인식이 변화됨’, 셋째, ‘목회의 패러다임이 상담적 목회로 변화됨’, 넷째, ‘신학대학원에서의 M.Div. 과정중 상담의 필요성을 인식함’이다. 상위주제 별로 연구결과를 차례대로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목회자들이 대학원 상담전공에 입학을 하게 된 동기는 크게 목회 현장에서 접하는 한계와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받고자 하는 동기, 목회자 본인의 문제 해결 및 자기이해에의 동기, 그리고 자기계발의 필요성 인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자들은 상담수련과정 중에 성도들의 상처와 아픔을 더 많이 이해하게 되고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의 지평이 넓어지며, 자신이 할 수 있는 일과 없는 일의 한계를 깨닫게 되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아내에 대해 이해와 공감을 하게 되면서 부부관계의 개선이 일어나고 자녀 양육에 대한 관점의 변화를 경험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경험의 기저에는 상담 수련과정에서 인간의 문제가 과거 어린 시절의 상처로 인해 반복되고 있다는 ‘인간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있었다. 셋째, 참여자들은 상담전공 수련 중에 교회 내 소그룹인도 등에서 긍정적인 경험을 하게 되고, 성경을 해석하는 관점이 변화되는 것을 경험하였다. 또한 목회자 개인의 변화 경험은 상담의 효용성의 확신으로 이어지게 되었고 목회 패러다임이 상담목회로 변화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연결되었다. 넷째, 참여자들은 상담전공수련 과정 중 몇 가지 어려움들, 즉 상담이 추구하는 인간의 목표와 기독교 신앙이 추구하는 인간의 목표사이의 혼란, 대학원 학비에 대한 경제적 어려움, 학업하기 위해 이동하는 거리의 어려움 등이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가운데에 혼란과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혼란과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다방면의 노력을 통해 목회자로서, 또 상담자로서 정체성을 통합해 가는 것의 필요성 및 실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갖는 의의로는 첫째, 대학원의 상담수련과정을 통해 인간심리의 이해, 자기의 이해, 배우자와 자녀의 이해, 성도들의 이해가 목회자 자신의 변화에 기여한 중요한 경험이 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는 점이다. 둘째, 목회자들에게 가족 상담이나 개인 상담을 다룰 수 있는 능력 함양이 목회현장에서 심방 또는 성도 상담시 중요한 영역임을 보여 주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셋째, 상담수련과정은 목회자의 상담자적 정체성 통합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것은 상담전공수련이 목회의 가장 중요한 본질 중 하나인 ‘사람사랑’(마태복음22:39)의 목회비전으로 지각변동을 일으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게 되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넷째, 목회자들이 상담자 전문성 발달의 과정에서 자기 성장을 경험하게 된다는 점을 발견하게 되었다는 데 의미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to investigate and depict what kind of experiences the pastors who are taking major in counseling obtain during the process of academy and clinic training. As interest in counseling is increasing in Korean church, there are increasing number of pastors who are enrolling in graduate schools to learn counseling. On the basis of this kind of necessity, the researcher focused research on what kind of experiences the pastors who are taking major in counseling in graduate school practically get during counseling training process, and investigate how those kinds of experiences are connected to counseling they do in their ministry sit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like the following. Firstly, what significance does start of training of pastor in counseling major in graduate school have? Secondly, how does change of life appear for the pastor who takes major in counseling during counseling major training experience? Thirdly, what is the meaning that the experiences in process of pastor's counseling major training give to the pastor's ministry site? For gathering of data, the researcher gathered data from six pastors who are taking Master's degree in counseling in counseling graduate school which Department of Education acknowledged for six months by means of individual interviews, E-mails and calls. The gather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proposed by Colaizzi(1978). In other words, after extracting depicted meaningful sentences and phrases from participants, meaning was composed after making general and abstract statement basing on those, and categorized them by grouping by topics, then tried to describe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the experience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32 measures of meaning, 12 sub themes, and 4 main themes were categorized as significant topics in experiences during pastor's professional counselor process. The 4 main themes are firstly 'Starting Master's degree in counseling for various purposes', secondly 'Perception toward human changed in the middle of counselor training process', thirdly 'Paradigm of ministry changed to counseling type of ministry', and fourthly 'Realization of the necessity of counseling during M.Div. process in graduate school of theology.' To summarize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main themes, it is like the below. Firstly, the motivations of pastors, who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enrolling for major in counseling in graduate school is largely the to get help in solving difficulties and limits they face in ministry site, to solve the pastor's own problem and self-understanding, and the realization of necessity of self-development. Secondly, during counseling training process,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got to understand the pains and wounds of believers more and prospect of self-understanding enlarges, and had experience of realizing the things they can do and their limits, and they began to understand and sympathize their wives hence leading to improvements of marital relationship and experienced change in point of view about child rearing. In the base of these kinds of experiences, there was the 'change of perception about human' that the problem of human was being repeated by childhood pains. Thirdly, during professional counseling training, the participants had optimistic experiences in small group meeting in church, and also experienced the perception of interpreting Bible changed, and experience of pastor's individual change is to be connected to certainty of utility of counseling and connected to change of ministry paradigm to counseling ministry. Fourthly, during the professional counselor training process, the participants had few difficulties like confusion between human goal that counseling pursues and human goal that Christian faith pursues, financial difficulty regarding tuition fee of graduate school, and distance travelling for study and etc.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confusion and difficulty in midst of endeavoring to solve these kinds of problems. But, perception about necessity and practice in unifying the identity as a pastor and as a counselor increased through many-sided efforts to solve these kinds of contusion and difficulty. The significance that the result of research gets is firstly understanding of human mentality, self, partner and children, and Christians can be the important experience that contributes to changing of pastor himself. Secondly, it has meaning to show that the fostering of ability to handle family consultation or individual consultation for pastors is a important area in times of visiting or counseling a Christian at ministry site. Thirdly, the counseling training process acts a role of expedition for unifying of pastor's identity as counselor. This has meaning that professional counselor training has possibility to cause diastrophism through ministry vision of 'Love for person'(Matthew 22:39) which is the most important nature of ministry. Fourthly, there is also significance that the pastors discover they experience self-development through process of counselor professionalism development.

      • 상담 전공 대학원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인상담의사

        김경은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상담관련 전공 대학원생이 노인을 대상으로 상담을 하는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노인에 대한 태도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인천, 경기, 충남, 대전 지역의 상담관련 전공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218명의 자료를 분석 하였다. 노인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한정란(2004)의 연령집단에 대한 태도 척도를 사용하였고 노화불안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최순옥, 김숙남, 신경일, 이정희(2008)가 번안한 Lasher와 Faulkender(1993)의 노화불안 척도(AAS)를 사용하였으며 노인상담의사를 보기 위해 박중순(2010)의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을 도입하여 노인상담의사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의 목적에 따라 중다회귀분석과 단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관련 전공자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는 연령, 성별, 봉사활동 경험 유무, 노인 관련 과목에 대한 수강의지, 그리고 노인과의 동거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성보다는 남성이, 그리고 연령이 높은 대학원생보다 적은 대학원생이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노인관련 봉사활동 경험이 있고, 노인에 대해 친밀하게 느끼고, 노인과 동거한 경험이 있는 경우 노인에 대해 더 긍정적이었다. 또한 노인관련 과목 수강의지가 높은 대학원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가 수강의지가 낮은 대학원생에 비해 더 긍정적이었으나 노인관련 과목 수강여부는 노인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노화불안, 노인에 대한 친밀감 정도, 그리고 향후 노인관련 과목 수강이 노인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담관련 전공자들의 노화불안이 낮을수록, 노인과의 정서적 친밀감이 높을수록, 그리고 노인과목에 대한 향후 수강의지가 높을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을 의미한다. 특히 노화불안은 노인에 대한 태도를 설명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담관련 전공자들은 다른 연령대 보다 노인에 대한 상담 선호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상자의 과반수이상가 노인을 대상으로 상담 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넷째, 상담관련 전공자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는 노인상담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향후 노인상담을 할 가능성도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 상담관련 전공자의 노인에 대한 태도는 노화불안, 노인에 대한 친밀도, 그리고 향수 노인 과목 수강 의사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노인에 대한 태도는 노인상담의사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향후 상담관련 대학원생들의 노인상담의사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교육적, 사회적 분위기와 기회를 제공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를 바탕으로 논의와 추후 연구에 대한 제안 등을 전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unseling graduate students' attitude toward elderly and to analyze their willingness to provide counseling for the elderly.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18 counseling graduate students in Seoul, Gyeonggi-do, Inchen, Choongchung-namdo and Daejeon areas. Using SPSS,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multiple regression, and simple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d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the counseling students, men had more positive atttiudes toward elderly than females, and younger students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elderly. Also, students with higher intention to take gerontological courses, with more volunteer experiences with elderly, with more experience living with elderly, and who felt closer to their grandparents held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Second, students' anxiety about aging, degree of intimacy with the elderly, and willingness to take gerontological courses in the future significantly predicted attitudes toward elderly. More specifically, when the students had lower the aging anxiety, higher the emotional intimacy, and higher willingness to take gerontological courses, their attitudes toward elderly were more positive. Third, counseling graduate students preferred to counseling young clients if they were able to choose their clients. However, more than half of those respondents were willing to provide counseling to the elderly if they had to. Fourth, counseling graduate students attitudes toward elderly senior counseling predicted their willingness to counsel older adults. When counseling graduate students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they were more willing to provide counseling to the elder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ging anxiety was the major predictor of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mong graduate students in counseling. Thus, a positive shift in attitude toward the elderly would increase intention to counsel elderly.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provided some suggestions for gerontological counseling education and future research.

      • 상담전공 대학원 중국인 유학생의 진로 선택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서군정 평택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상담전공 대학원 중국인 유학생이 진로 선택과정에서 어 떠한 경험을 하는지,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하여 3차원적 내러티 브 탐구 공간(시간성, 사회성, 장소)을 반영하여 탐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 구의 연구 참여자 [왕진철(가명)]은 26세 남성이며 중국에서 고등학교를 졸업 한 뒤 중국 북경에서 1년간 한국어 공부를 한 후 2018년 2월에 한국으로 오게 되었다. 한국으로 온 [왕진철]은 학부에서 신학을 전공한 뒤 2022년 2월 상 담대학원에 진학하였다. 두 번째 연구 참여자 [정이맹(가명)]은 27세 여성 으로 중국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중국 칭다오에서 1년간 한국어 공부 를 한 후 2017년 2월에 한국으로 오게 되었다. 한국에서 신학교육 학부와 유아 보육 학부를 복수 전공하고 2021년 2월에 상담대학원에 진학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23년 1월부터 12월까지 내러티브 탐구 공간에서 살아 가면서 연구 참여자들과 진로 선택과 관련한 경험에 대하여 계속해서 이 야기하였다. 연구자는 상담전공 대학원에 중국인 유학생의 진로 선택 경험 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첫째, ‘주변의 권유에서 시작하여 주체적인 자기결정으로 나아감’이다. [왕진철]이 선교사님의 권유를 받아 한국에서 신학을 공부하기로 스스로 선 - iv - 택하였지만 아버지의 소원이기도 하였다. 자신의 선택과 아버지의 소원이라는 두 가지 감정이 섞인 채 자신에게 정말 필요한 것은 무엇이고 원하는 것 은 무엇인지를 구분하지 못하던 [왕진철]은 학부 공부를 하는 동안 진심으 로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를 깨달으며 진로를 전환하였다. [정이 맹]은 중국 수능시험에서 원하는 학교에 진학하지 못하고 진로를 고민하 던 중 아버지의 권유로 한국 유학을 선택하였다. 그러나. 유학 생활 속에 서 느끼는 문화적 차이, 언어 수준의 한계, 대인관계 등의 문제로 인해 자 신의 선택과 결정을 후회하고 갈등하는 과정을 통하여 주체적인 출구를 찾았고 진로를 전환하였다. 둘째, ‘자신의 모습을 인정하고 수용함’이다. [왕진철]은 상담대학원에 진 학한 후 학부에서 상담을 배운 경험이 없고 교수님이 가르쳐 주시는 내용 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힘들어하였다. 점차 [왕진철]은 공부한 상담의 기법을 자신에게 적용하기 위해 아버지의 추천으로 교회에서 실습하며 적 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그는 상담전공으로 진로를 선택한 자신을 인정하게 되었고 자신의 많은 변화와 성장을 느끼며 미래에 대한 기대와 자신감이 생기게 되었다. [정이맹]은 상담대학원에 진학하여 다니는 과정 에서 어려운 경험을 하였지만, 상담 공부를 통해 자신을 돌아보기 시작하 였고 함께 공부한 상담대학원 선생님들로부터 받은 피드백과 격려를 통해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태도를 가지며 자신의 모습을 수용하고 인정하게 되 었다. 셋째, ‘좋은 상담사가 되고 싶은 꿈을 향해 나아감’이다. [왕진철]은 COVID-19와 더불어 교회에 함께 다니던 청소년 형제가 심리적 어려움으 로 자살한 사건을 경험하면서 목회자에서 상담사로 진로를 전환하였다. 그 리고 상담을 통한 마음의 치유와 회복을 자신의 비전이자 소명으로 생각 하며 힘들지만 상담공부를 끝까지 마칠 수 있었다. [정이맹]은 상담대학원 에서 공부하는 과정에서 복잡한 내용과 견디기 힘든 감정을 내적으로 성 찰하며 미래의 가치를 충족시키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였다. [왕진철]과 [정이맹]은 상담전공 대학원을 졸업한 후에 모국인 중국으로 돌아가 심리 상담사가 되어 교회에서 교인들의 마음 치유와 성장을 돕고자 하는 꿈을 - v - 갖고 있다. 미래에 상담사가 되기 위해서는 앞으로도 많은 도전이 있겠지 만 그들은 여전히 마음 깊은 곳에 상담 관련 분야 취업에 대한 희망을 놓 지 않고 있다. 연구 참여자들을 통해서 연구자가 알게 된 것은 인간은 삶 의 전 과정에서 가치 있는 진로 선택의 화두를 품고 살아가는 존재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중국인 유학생뿐만 아니라 한국에서 상담을 전공하고 전문상 담사가 되기를 꿈꾸는 모든 유학생에게 진로의 방향을 수립하는 데 도움 이 되기를 바란다. 더 나아가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의 보다 좋은 환경에 서 상담 공부를 할 수 있도록 필요한 학문적 환경과 제반 여건을 확충하 는데 기초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가 우울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돌봄의 조절효과

        진미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자기돌봄이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에 있는 상담전공 석사과정 대학원생 227명이었으며, 자료수집에는 개정판 대학생 생활 스트레스 척도, 시간 부족 지각 척도, 신체적 자기지각(건강) 척도, 임상실습 스트레스 척도, 자기돌봄 척도, 아동상담자의 자기돌봄(전문적 도움 추구) 척도, 우울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를 연구 도구로 사용하였다.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는 우울 및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를 자기돌봄이 조절할 것이다. 셋째,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자기돌봄이 조절할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 및 학업/진로 스트레스는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학업/진로 스트레스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기돌봄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돌봄의 하위요인인 일·휴식 균형유지 및 전문적 도움추구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에 대해서 연구했다는 것과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정신건강을 위해서 활용할 수 있는 자기돌봄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a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 total of 227 counseling graduate students nationwid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mpleted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RLSS-CS), Visual Deficit Perception, Physical self – Description Questionnaire(PSDQ; health), Clinical Practice Stress Scale, Professional Self-Care Scale for Korean Counselors, Self-Care Scale for Child Counselors(seeking professional help), Center for Epio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cademic/career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and academic/career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are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and life satisfac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maintaining work–life balance and seeking professional help, which are subscale of self-care, was significa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tudied the stress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and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importance of self-care that can be used for mental health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Limitation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상담전공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전공만족도에 따른 집단 구분을 기준으로

        이지연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making levels based on the satisfaction of counseling major college students' academic majors. It also ai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making levels. To achieve th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ample of 257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related fields at a four-year university. The survey included measures of major satisfaction,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making level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PROCESS Macro was utiliz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major satisfaction,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making level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condly, when comparing the two groups based on high and low levels of major satisfac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making level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owever, the sub factor of realistic conditions for employment within the psychological career barrier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irdly, psychological career barrier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areer decision-making levels in both the high and low major satisfaction groups, while environmental career barriers only had a significant impact in the low major satisfaction group. Lastly, in the high major satisfaction group,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making level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major colleg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집단별로 구분하여 진로장벽(심리적, 환경적), 진로결정수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와 전공만족도에 따른 변인 간 차이를 살펴보고 심리적, 환경적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갖는지에 대해 분석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심리적 진로장벽, 환경적 진로장벽, 진로결정수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상담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집단에 따라 심리적, 환경적 진로장벽, 진로결정수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차이가 있는가. 셋째, 상담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집단에 따라 심리적, 환경적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상담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집단에 따라 심리적, 환경적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가이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를 진행하였다. 연구자료의 수집을 위해 전국의 상담 관련 전공에 홍보 및 협조를 구하였으며, 결과적으로 경기도,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상담관련전공 재학생 중 본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하는 상담전공대학생 257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김수현(2007)이 개발한 진로장애검사 척도 30문항을 활용하여 진로장벽을 측정하였으며, Osipow, Carney, Winer, Yanico & Koshir(1976)가 개발하고 고향자(1993)가 수정 및 번안한 진로결정수준 척도 18문항, Taylor와 Betz(1983)가 개발하고 이기학과 이학주(2000)가 번안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타당화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CDMSES-SF) 25문항, 김계현과 하혜숙(2000)이 개발한 학과만족도 척도 27문항을 활용하여 전공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회수된 257부의 설문지를 검토한 후 누락된 자료 없이 전체 자료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6.0, PROCESS Macro 4.2를 사용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서 측정한 주요 변인에 대한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전공만족도에 따른 집단 구분은 전공만족도의 점수를 백분위에 따라 상위 40%에 해당하는 112명을 전공만족도가 높은 집단, 하위 40%에 해당하는 103명을 전공만족도가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다음으로 전공만족도, 심리적 진로장벽, 환경적 진로장벽, 진로결정수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전공만족도 집단별로 심리적, 환경적 진로장벽, 진로결정수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일원변량분석과 Scheffe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전공만족도 집단별로 심리적, 환경적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확인하기 위해 Process Macro model 4를 사용하여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분석에 따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만족도, 심리적 진로장벽, 환경적 진로장벽, 진로결정수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체 점수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심리적 진로장벽은 전공만족도, 진로결정수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각각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환경적 진로장벽은 전공만족도, 진로결정수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각각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반면,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그리고 진로결정수준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임이 나타났다. 둘째, 전공만족도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여 심리적, 환경적 진로장벽, 진로결정수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공만족도가 높은 집단이 인식하는 심리적, 환경적 진로장벽 수준에 비해 전공만족도가 낮은 집단이 인식하는 심리적, 환경적 진로장벽의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전공만족도가 높은 집단의 진로결정수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수준에 비해 전공만족도가 낮은 집단의 진로결정수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수준이 더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집단에 따른 차이와 달리 심리적 진로장벽의 하위요인 중 취업의 현실여건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전공만족도에 따라 구분한 두 집단 모두에서 심리적 진로장벽은 진로결정수준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와 다르게, 환경적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전공만족도가 낮은 집단에서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넷째, 심리적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전공만족도가 높은 집단에서는 심리적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공만족도가 낮은 집단에서는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상담전공대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는 점, 그리고 전공만족도를 높은 집단,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여 변인 간의 차이와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는 면에서 독창성이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고려한 진로상담 및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둘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측면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적 개입의 필요성을 입증하였다. 또한 전공만족도가 높은 집단에서의 심리적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나타낸 결과를 통해 상담전공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을 높이는 데 있어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과 상담전공대학생의 진로상담 현장에서 전공만족도 수준에 따라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 초등학교 교사의 대학원 교육상담 전공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권정현 충북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0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대학원 교육상담 전공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내러티브 탐구를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연구자인 나는 자전적 내러티브를 통해 초등학교 교사로 재직하면서 대학원에서 교육상담 전공을 선택하게 된 동기와 교육상담을 공부하면서 겪게 되는 다양한 경험을 진술하고, 이 경험들이 초등학교 교사로 재직하는 데 미친 영향에 대해 개인적인 서사를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연구자의 경험이 대학원에서 교육상담을 전공하는 다른 초등학교 교사들에게도 나타나는 현상인지에 대한 궁금증에서 비롯된 세 가지 연구퍼즐을 구성하였다. 세 개의 연구퍼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어떻게 대학원 교육상담 전공을 선택하고, 석사학위를 마치고 박사학위 과정까지 수학하는 경험을 지속하는 것인가?; 둘째, 교육상담 전공 경험은 초등학교 교사에게 개인적 삶의 3차원적 내러티브 공간에서 어떻게 조망되고, 어떤 의미를 형성하는가?; 셋째, 초등학교 교사에게 교육상담 전공 경험은 그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으며, 나아가 사회적 관계나 교사의 전문성 발달 측면에서 어떤 의미가 있는가? 이러한 퍼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서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교사가 되는 과정의 자격과정과 교사가 된 후의 전문성 발달 및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교사론적 측면에서 이상적 교사의 자질에 대한 선행연구이론을 탐색하고,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상담 전공 경험에 대한 기존 연구를 살펴보고 그 한계가 무엇인지를 밝히며, 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5가지 이유로 내러티브 탐구를 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첫째, 내러티브 탐구의 특성은 본 연구의 연구퍼즐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수집된 자료의 해석과 분석을 통해 의미를 도출하기 위해 내러티브 탐구는 적합한 연구방법이 될 수 있다. 셋째, 연구자인 나와 연구참여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료가 수집되고 해석되는 과정에서 내러티브 탐구는 협력적 관계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공동의 연구 결과물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기존의 연구, 선행연구 및 시대적 변화와 관련하여 교육상담을 전공한 초등학교 교사의 경험에 대한 이해와 의미를 도출하는 데 있어서, 내러티브 탐구는 새로운 시각에서 교육상담을 전공한 초등학교 교사의 경험을 바라보도록 도울 것이다. 다섯째, 도출된 경험의 의미로부터 교사의 교육전문성으로 연장하여 의미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설계된 내러티브 탐구 연구절차는 7단계(자서전적 내러티브 기술, 연구퍼즐 구성, 연구참여자 선정 및 관계 형성, 현장텍스트 수집, 연구텍스트 변환 및 분석, 분석자료 교류 및 검토, 연구 결론 도출)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진행을 위해, 초등학교 교사이면서 교육상담 석사와 박사과정을 수료하거나 졸업한 3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이들의 교육상담 전공 경험에 대해 면담하여 수집한 자료를 ‘Ⅳ장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상담 전공 경험의 이야기’로 현장텍스트로 기술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현장텍스트 자료를 토대로 연구제목, 연구목적, 연구퍼즐을 다시 검토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연구자는 현장텍스트를 내러티브 탐구의 세 가지 축인 시간성, 공간(장소)성, 사회성을 기준으로 연구텍스트로 변환하기 위한 중간텍스트로 가공하였다. 연구자는 시간의 순으로 텍스트를 재기술하고, 공간(장소)성과 사회성이 드러나는 이야기들을 중요한 사건으로 채택한 후, 세 연구참여자인 A, B, C선생님의 이야기를 시간 순으로 정리하여, 연구퍼즐의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한 그들의 경험의 이야기를 담아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렇게 기술된 세 연구참여자의 내러티브는 ‘Ⅴ장 논의’에서 연구자에 의해 본격적으로 해석되고 분석되었다. 현장텍스트로부터 재구성된 중간텍스트인 Ⅳ장의 내용을 다양한 근거자료를 토대로 해석하고 분석하여 연구텍스트를 제시하였다. 먼저, 세 연구참여자들의 내러티브는 내러티브의 세 가지 축의 관점에서 잘 진술되고 있는지 재고찰하였다. 이후 연구퍼즐의 관점과 선행연구 및 이론의 관점에 기초하여 해석하고 분석하였다. 연구퍼즐의 관점에서 연구의 목적과 주제에의 적합성을 파악하고, 연구의 시작지점에서 발생한 궁금증에 대한 답변을 찾기 위해 노력하였다. 특히, 초등학교 교사의 대학원 교육상담 전공 경험의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내러티브를 선행 연구들, 교사론 및 교육학, 심리상담 이론과 연계하여 해석하고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려고 노력하였고,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상담 전공 경험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찾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상담 전공 경험의 의미를 세 가지 차원에서 ‘개인적 의미’, ‘실제적 의미’, ‘사회적 의미’로 분류하여 도출하였다. 첫 번째 차원인 ‘개인적 의미’는 3가지(①자기탐색과 자기이해를 통한 치유와 성장, ②새로운 배움, 진로, 과업으로 나아가기, ③관계를 다시 바라보고, 함께 살아가며)로 도출되고, 이 연구의 개인적 정당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두 번째 차원인 ‘실제적 의미’는 5가지(①교육적 배려와 존중을 실천하는 교사, ②자신을 성찰하는 교사, ③배움공동체를 실현하는 교사, ④창의적 생활지도를 실천하는 교사, ⑤진정한 만남으로 존재하는 교사)로 도출되고, 이 연구의 실제적 정당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세 번째 차원인 ‘사회적 의미’는 2가지(①대학원 교육상담 전공과정에 대한 시사점, ②예비교사 교육과 현직교사 연수에 대한 시사점)로 도출된 후 사회적 정당성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교육상담 석사와 박사과정 전체의 경험을 다룬 국내 연구가 없는 상황에서 연구참여자들이 살아 온 이야기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상담 전공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로 실시한 점, 세 연구참여자의 삶을 통해 초등학교 교사의 대학원 교육상담 전공 경험의 동기와 시작, 전공을 하는 과정과 전공 이후의 삶에 대해 구체적 사례를 통해 의미를 발견하고자 한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는데, 앞으로 중등학교 교사를 대상을 확대해 같은 연구방법으로 해보거나, 내러티브 탐구 외의 다른 질적연구 방법를 통한 연구,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향후의 삶에 대한 지속적 연구의 필요성을 후속연구로 제안하였다. 또한, 교육학에서의 내러티브 탐구가 더욱 확장되어 교육현장의 다양한 이야기를 학술적으로 들려주며 많은 논의가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연구를 마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narrative inquiry to understand in-dep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on majoring in education counseling. To accomplish this purpose, in this study I as a researcher first expressly stated, through an autobiographical narrative, the motivation for selecting the education counseling major in a graduate school while serving a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the various experiences going through while studying the courses in educational counseling, and the overall impact these experiences had on serving a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thereby my personal narrative of influence was constructed. Next, three research puzzles were constructed out of my curiosity about whether such experiences of mine is a common phenomenon that oth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who major in educational counseling in graduate school. The three research puzzles are as follows: First, how do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ect to major education counseling in graduate school, and continue to major in Ph.D. course after obtaining master's degrees?; Second, how do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look at their experiences on majoring in educational counseling and what do the experiences mean to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three-dimensional narrative space of their personal lives?; And third, what did their experiences on majoring in educational counseling impact on their lives, and what did their experiences impact to their social relationships or professional development? To solve these puzzles,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the qualification process to be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in Korea and in-service training programs for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were explored. Next, previous educational theories concerning the qualities of the ideal teacher were carefully examined, the previous research studies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of majoring in education counseling were reviewed,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ies were raised, an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narrative inquiry for the following five compelling reasons. First, the nature of narrative inquiry are expected to help satisfy the curiosity about the research puzzle of this study. Second, narrative inquiry can be an appropriate research method to elicit meaning through interpretation and analyses of the collected data. Third, in the process of data collection and interpretation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I as a researcher and research participants, narrative inquiry allowed to produce collaborative research findings through building and sharing the experiences in the relationships. Fourth, in extracting the meaning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on majoring in educational counseling in connection with previous research studies about teacher education and educational counseling maior, narrative exploration will help explo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from a new perspective. Fifth, the meaning can be understood by extending the meaning of the elicited experience to suggestions for the teacher's educational expertise. The narrative inquiry research procedure designed i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7 steps(autobiographical narrative description, research puzzle composition, research participant selection and relationship formation, field text collection, research text conversion and analyses, exchange and review of th data analyzed, and research conclusions). In this study, 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ve completed or graduated from both the master's and doctoral courses in educational counseling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 data collected by interviewing them about their experiences on majoring in education counseling were reconstructed in 'Chapter IV'. Through the process of reviewing research titles, research objectives, and research puzzles based on field text data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the researchers processed field text as an intermediate text to be converted into research text based on three 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 temporality, place, and sociality. The researchers re-described the text in chronological order, adopting stories that reveal place and sociality as significant events, and structured the stories of three research participants, A, B, and C, in chronological order to capture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to solve research puzzles. The narratives of the three research participants described in this way were interpreted and analyzed earnestly by researchers in ‘Chapter V, Discussions’. The contents of Chapter IV as an intermediate text reconstructed from field texts, were interpreted and analyzed based on various corroborative evidence to present a research text. First of all, the narratives of the three research participants were reconsidered as to whether they were well stated in terms of the three 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 Afterwards, they were interpre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he research puzzle and the perspective of previous studies and theories. From the standpoint of the research puzzle, I left no avenue unexplored to understand the suitability of the purpose and topic of the study, and to find answers to the puzzles which was brought up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In particular, I endeavored to decipher the mean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on majoring in education counseling in graduate school. By interpreting and analyzing the narratives of research participants in connection with previous studies, teacher theory and pedagogy,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theory, efforts were made to secur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of the research, and to find out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in detail. The mean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ducation counseling major experience was elicited by categorizing them into ‘personal meaning', ‘practical meaning', and ’social meaning' in three dimensions. The first dimension, ‘personal meaning', is derived as three(① healing and growth through self-exploration and self-understanding, ②Moving on to a new learning, career, or task, ③rethinking the relationship, living together), and the personal justification for the study was adequately described. The second dimension of ‘practical meaning’ is derived as five (①teachers who practice educational consideration and respect, ②teachers who reflect on themselves, ③teachers who realize learning communities, ④teachers who practice creative living guidance, ⑤teachers who co-exist through true encounter), and was described what practical justifications do these meanings have in this study. The third dimension, ‘social meaning’, was derived from two (① implications for graduate school education counseling major, ② implications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in-service teacher training), and then the social justification was described. This study takes on a special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this study as a narrative inquiry were conducted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on majoring in education counseling in graduate based on the stories of the participants, while there were no domestic previous studies that addressed their entire experience on majoring in the master's and doctoral programs in educational counseling, in order to explore the mean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sonal underlying motivations to start to study for majoring in educational counseling in graduate school, their experiences on taking the courses and the changes in their lives going through th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through narrative inquiry about their specific personal l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further studies are suggested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will be expanded to secondary school teachers using the same research method, or research through other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other than narrative inquiry, and a follow-up study was proposed the necessity of continuous research on the future life of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Finally, this study was put an end in the hope that more studies using narrative inquiry would be conducted in education field so that various stories in the educational field could be unfold and discussed academically.

      • 상담전공대학원생의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관여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문선경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상담전공대학원생들의 진로발달을 위해 개인의 실천적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관여행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관여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상담전공대학원생의 계획된우연기술,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관여행동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상담전공대학원생의 계획된우연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셋째, 상담전공대학원생의 계획된우연기술, 진로관여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있는가? 이와 같이 설정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상담을 전공하고 있는 서울, 경기, 인천 소재 석사 과정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오프라인 176부, 온라인 119부 총 295부를 회수하였고 이들 중 불성실한 자료 8부를 제외하고 총 287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계획된우연기술의 5가지 하위변인(호기심, 유연성, 인내심, 낙관성, 위험감수)은 모두 진로관여행동은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하위요인 중 ‘호기심’이 종속변인인 진로관여행동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둘째, 계획된우연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문제해결, 목표선택, 직업정보, 미래계획)은 모두 진로관여행동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목표선택’과 ‘직업정보’가 진로관여행동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넷째, 계획된우연기술과 진로관여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직업환경을 고려하여 상담전공대학원생의 현재와 미래 직업세계에 대한 적응력이 중요시되는 시대적 요구를 반영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미래의 상담전문가가 될 전공생들의 진로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인지와 동기 및 행동적 차원의 통합적인 관점을 기반으로 연구한 점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대부분이 초심상담자인 상담전공생에게 자신과 일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행동적 변인인 진로관여행동을 높이기 위해 상담전략 및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