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三國遺事』所載 佛敎說話의 崇高性과 卑俗性

        안병국 延世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三國遺事』 所載 佛敎說話에 나타난 對立的 價値인 崇古性과 卑俗性이 佛敎의 理想的 價値로 統合되고 受容될 수 있는가를 밝혀 보는데 硏究 目的을 두었다. 연구의 범위는 『三國遺事』의 아홉 篇目 중 興法의 이하로 한정하였다. 그것은 紀異篇의 설화에 비해서 興法이하 餘他篇의 설화가 佛敎信仰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불교가 卑俗함보다는 崇高함을 추구해야 한다는 普遍的 當爲性이 있음에도, 『三國遺事』 불교설화에는 오히려 卑俗한 說話가 더 두드러져 보인다. 이러한 상식을 넘어선 絶妙한 作品構造를 어떻게 이해하고 설명할 것인가. 이 같은 문제 해결의 열쇠는 現世 超越的 神異性과 佛菩薩의 靈驗性에서 찾아야 한다. 즉 神異性과 靈驗性이 卑俗性을 극복하는 기능을 가진다고 보아야 한다. 이들은 宗敎的 信仰心을 고양하기 위한 요소들인데, 『三國遺事』에는 그 양상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들은 高僧들의 行蹟을 통해서, 出生과 身分을 통해서, 時, 空間의 超越的 移動을 통해서, 變身을 통해서, 심지어 賤婢나 畜生의 행위를 통해서도 나타난다. 먼저 僧侶들의 경우를 보면, 그들의 行蹟은 崇高하게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卑俗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그런데 卑俗한 行蹟은 단지 崇高性을 깨닫게 하기 위한 逆說的 表現일 뿐이다. 왜냐하면 卑俗한 行爲의 결말이 항상 僧侶가 佛法이 숭고함을 깨닫는 것으로 마무리되거나, 民衆들을 깨우치게 하는 것으로 마무리되기 때문이다. 또한 時, 空間의 超越이 나타난 설화는 崇高한 靈驗譚이 있는 반면, 卑俗한 내용을 담은 것도 있다. 卑俗한 時, 空間 超越은 民衆들을 깨우치게 하는 기능과 함께 僧族들에게 佛菩薩의 실체를 추적하게 하는 기능이 있다. 결국 이것도 窮極的으로는 佛敎 信仰心을 고양하고자 하는 崇高性이 깔려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出生과 身分도 釋迦牟尼의 탄생과 모습을 연상케 하여 佛法의 神聖함을 일깨우는 경우도 있지만, 종의 자식, 아비없이 태어난 寡婦의 자식, 寺刹의 계집용, 文盲 등 卑賤하게 설정한 說話도 있다. 그런데 비속한 出生身分은 단지 表面的으로 드러난 것이고 그 內面에 담긴 實存的인 속성은 崇高하다고 보아야 한다. 왜냐하면 그들은 어릴 적부터 神異한 능력이 있었으며, 아비없는 출생은 英雄의 神異한 誕生으로 보아야 하며, 文盲이 佛經을 읽은 것은 부지런한 香華에 菩薩이 感應한 것이고, 계집종이 西昇한 것은 신분과 관계없이 聖心으로 念佛하면 成佛할 수 있다는 敎化的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變身도 神聖하고 崇高한 變身이 있는가 하면 世俗 指向的인 卑俗한 變身도 있다. 卑俗한 變身은 崇高한 變身에 비해서 나타나는 頻度가 매우 적으며, 주로 佛法敎化 위한 補助的인 기능을 담당한다. 그리고 그 변신체가 退治의 대상으로 나타났다가 후에 佛法에 敎化되기도 한다. 이로 보아 變身은 民衆들에게 佛法의 神聖함을 일깨워 信仰心을 고양하는 기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三國遺事』 所載 佛敎說話에 나타난 崇高性과 卑俗性은 現世 超越的인 神異性과 佛菩薩의 靈驗性을 바탕으로 對立이 아닌, 調和와 和合의 원리안에 統合 受容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make clear whether the sublimity and the vulgarity, opposing concept of each revealed in Buddhism narratives contained in 'Samguk Yusa』 to be integrated and accepted as an idealistic Buddhism value or not. The scope of study is confined to the volumes below Hung Bup[興法]of nine volumes of 『Samguk Yusa』. It is based on my view point that narratives included in the copies next to Hung Bup are more related to the Buddhism faith compared with narratives in the volume of Gii[紀異]. The sublimity and the vulgarity are revealed in the Buddhism narratives contained in 『Samguk Yusa』 simultaneously. Instead of the common validity that the Buddhism should pursue the sublimity rather than the vulgarity, We can meet the prominence of the vulgarity more than the sublimity in the Buddhism narratives contained in 『Samguk Yusa』. How can we figure out and explain such an superexcellent situations beyond the common sense. We should find the key to this problem in the spirit reason rising above the mundane world and Buddhism saint s miraculous virtue. That is to say, it would be better for us to recognize the spirit reason and the miraculous virtue can overcome the vulgarities above mentioned. These elements to enhance the religious mind appeared in various shapes in 『Samguk Yusa』. Such shapes were shown through the learned Buddhist monks contributions, birth and status, movements of taking no choice of time and space, disguise, even low positioned woman servants and beats behaviors. From the view point of Buddhist priests, their actions were revealed not only as the sublimities but also the vulgarities. But these vulgarities was only a paradoxical expressions so as for them to let the Buddhist monks recognize the sublimity. The reason why I led- up to such conclusion; the ends of the vulgarity were always closed as letting the buddhist monks recognize the Buddhism sublimity or call attention of the public for them to realize. Narratives displayed by neglecting time and space showed the sublime tales with miraciilous virtues, and vulgarities as well. These vulgar tales taking no choice of time and space had the functions to let the Buddhist priests pursue the reality of Buddhist saints as well as the functions to let the public realize the Buddhism holiness. Finally These actions taken might be concluded as the sublimity to enhance the Buddhist religious mind. On the other hand, while there were narratives trying to let the Buddhist monks realize the holiness of Buddhism by reminding them of Budda's birth situation and his status, there were ones as to servants children without their fathers, woman servants, and illiterates. We should regard such vulgar status as only a superficial appearances, and their existential attributes in Buddhism narratives as the sublimity. For above mentioned characters had a great ability from the childhood, the birth of children without fathers should be considered as the marvelous and strange birth, illiterates' reading Buddhist scriptures was caused by Buddhist saints responded by the sincere sacrificial rite, and woman servants becoming Buddhist priests indicates that woman servants could have attained Buddhahood if they had sincerely prayed to Buddha. In conclusion there were holy and sublime disguises, while there were ones directing to secular affairs. The vulgar disguises appeared in low frequencies compared with the sublime ones, functioning the assistant functions mainly for evangelization of buddhism. Sometimes the converted appeared a s healing subjects and afterward they were evangelized to Buddhism. So We can conclude that these converted people had the functions to cause the public to realize the holiness of Buddhism and to enhance the public s religious mind. Finally we can reach to the conclusion that the sublimity and vulgarity in Buddhism narratives contained in『Samguk Yusa』does not have the relation of opposing each other but can be integrated and accepted in the principle of harmony and unity based on the marvelous and strange deed of rising above the mundane world and miraculous virtues of Buddhist saints.

      • <삼국유사> 소재 설화 선택 및 교육 양상에 대한 연구 : 아동문학 교육의 관점에서

        최민정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lection and teaching of 'Samgukyusa' that accompanies said works. 'Samkukyusa' is an important classical work which represents Korean history, culture and religion, so this book is commonly used as children's classical literature. However, in spite of the stature of 'Samgukyusa' it would be difficult to find past studies of 'Samgukukyusa' as a children's literature. Actually, we find that when using the 'Samgukyusa' for children's literature, the study of focusing on educ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is necessary.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Samgukyusa' as an interesting and helpful children's literature. Therefore, this paper will analyze which Samgukya' folk tales have been selected for teaching and how it may be possible to adapt the original folk tales of 'Samgukyusa'. Further to this, the paper will look at possible adaptations to the teaching method itself. To analyze the current the 'Samgukyusa’teaching method, I selected and studied current children's books and Korean language school books used specifically for the purpose of teaching Korean. Through analyzing the books currently used to study 'Samgukyusa', it is clear that there are many limits to the method. The folk tales in these books can report historical and cultural information, so other educational factors are disregarded in the current books. The educational focus centers solely on cultural and historical issue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tales are further hindered due to the limited selection of tales found in the books. Although the contents can be altered and enriched for modern children the tales remain unchanged. Consequently, we find that the only changes are adaptations to bring the language up-to-date, which are designed to make the text easier for modern audiences to read. Additionally, the educational focus appears to be to study the material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reading and writing skills. Therefore the folk tales of 'Samgukyusa' are olny used as reading material for language ability; its attributes as folk tales are not considered for the literature. The purpose of the 'Samgukyusa' folk tales is to appreciate the stories following its true character, as an old, interesting narrative story. Therefore, we have to overcome the problems highlighted through analysis of present Samgukyusa' usage. Firstly, we can select interesting folk tales which have themes that people can easily identify with. That means incorporating a wider selection of folk tales which will provide more choice for the reader, thus increasing the likelihood of evoking interest and sympathy than in the previous adaptations. Additionally, we can create new stories based on the original the folk tales. We can use the 'Samgukyusa' folk tales as an original literature to give us inspiration for more contemporary stories which will provide the reader with a more relevant and identifiable subject matter. These adaptations will allow us to increase the range of scenarios in which we can use them as an educational tool. For example, rather than restricting tales to historical analysis or as a means to improve literacy, we can use them as interesting old stories and thus educate children in a different and somewhat subtler manner. In particular, the tales can be used to improve student's narrating ability. There are four aspects in particular in which the children could benefit from a change in teaching method and a wider range of stories: the student could immerse themselves the story, thus bringing it to life. The student would be able to recreate the outline of the story for others from memory, therefore improving their memory skills; they could recreate the story themselves, implementing their own ideas and making their own changes; and finally they will be able to tell the story in public, in the same way that the teacher told them. This study discussed the selection and current teaching method in relation to 'Samgukyusa' folk tale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highlights the current trends in 'Samgukyusa' teaching method, with particular regard to the specific tales that are selected for teaching, and suggests effective and viable alternatives that could improve the process. Furthermore, despite the scarcity of past research papers, discussing this issue the paper is relevant as it shows unforseen issues with the current educational approach to 'Samgukyusa' as a children's literature. This research will be the basis for a future study which will discuss 'Samgukyusa' in children's literature. <삼국유사>는 고려 후기 승려 일연이 지은 책으로, 한국사의 독자성과 유구성을 드러내는 다양한 우리 역사 및 문화에 대한 이야기를 싣고 있는 설화집이다. 오늘날 우리는 <삼국유사> 소재 설화를 아동을 위한 문학으로서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삼국유사> 소재 설화가 지닌 아동문학으로서의 가치와 활용 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연구한 논의를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아동문학의 제재로서 <삼국유사> 소재 설화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살피는 논의가 필요함을 토대로 본 논의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을 위한 문학의 제재로서 <삼국유사> 소재 설화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삼국유사> 소재 설화의 현재화 양상 분석을 토대로 개선 및 효과적인 교육의 방안 연구에 초점을 두었다. 따라서 현재 아동을 위한 현대 출간물과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속 <삼국유사> 소재 설화의 선택 및 변용 그리고 교육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현재화 양상 분석을 토대로 <삼국유사> 소재를 효과적인 아동문학의 제재로 활용할 수 있는 원칙과 개선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먼저 <삼국유사> 소재 설화의 현재화 양상을 분석한 결과, 선택되는 설화는 역사적, 문화적 정보 전달의 목적을 띠고 선택되는 편중된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원전 해석본을 변용하는 과정에 있어서 단순하게 풀어쓰는 정도의 ‘재화’ 수준의 변용이 일어났다. 또한 국어 교육 자료로서 ‘학습자의 국어사용 기능 신장’을 위한 단편적 읽기 자료로서 활용되고 있었다. 즉 ‘설화’로서 지니는 ‘원형적 이야기’ 구조라는 장르적 특수성을 살리지 못하고 단편적으로 제시되고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현재화 양상에서 드러나는 문제점을 토대로 개선 방안을 언급하였다. 먼저 인간의 보편적 관계 및 경험을 다루며 옛이야기로서 즐거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측면의 설화 선택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다양한 측면에서의 설화 선택을 바탕으로 견고한 이야기 구조를 살려 풍부하고 새로운 이야기로 창출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국어 교육 자료로 활용함에 있어 본연의 ‘문학’ 작품으로 <삼국유사> 소재 설화를 바라보고 설화의 장르적 특수성을 살리는 독자적 활동을 전개해야한다. 그 일환으로, 설화가 지닌 견고한 이야기 구조를 활용하여 ‘듣기 및 구연’, ‘재창작’ 활동을 전개할 수 있다. 특히 학습자의 ‘서사능력’ 신장을 위한 자료로서 <삼국유사> 소재 설화를 활용할 수 있다. 크게 네 단계로 이루어지는 활동을 통하여 학습자는 역사적 이야기로의 상상 체험을 통해 즐거움을 만끽하고 주변 세계에 대해 인지하게 된다. 아울러 민족 고유의 정체성 확립이 가능해지는 효과 또한 누릴 수 있다. 즉 서사능력 신장을 중심으로 다양한 <삼국유사>의 교육적 가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삼국유사> 소재 설화에 대한 아동을 위한 문학의 현재화 양상을 분석하여 현재화 양상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과 활용 방안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냈다. 기존 <삼국유사> 소재 설화와 관련한 연구의 편중된 경향을 극복하며 아동문학으로서 <삼국유사> 소재 설화에 대한 논의를 구체화하였다고 본다. 본고는 앞으로 독자적인 아동문학의 제재로서 <삼국유사> 소재 설화를 활용할 수 있는 심도 있고 구체적인 논의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 『三國遺事』의 編纂과 刊行에 대한 硏究

        하정용 高麗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고의 고찰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몇가지를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첫째, 『三國遺事』가 적어도 一然 生前에는 完成되지 않았으며, 나아가 現在 流轉되는 『三國遺事』가운데 있는 오자, 탈자 등의 많은 문제점들을 고려해 보면, 一然 및 無極 等의 撰者가 直接 編纂 및 刊行에 參與하지 못한 것을 추정해 볼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까닭에 未完成作일 가능성이 높다고 사려된다. 둘째, 『三國遺事』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내용적인 문제점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一然과 無極 以外의 撰者가 存在했을 可能性에 注目하였다. 特히 내용적으로 一貫性이 缺如되어 있으며 條目間의 有機的 關係가 缺如되었다는 것 自體가 적어도 한 사람의 作品이 아님을 말해주는 명백한 證據라고 여겨진다. 셋째, 권제오의 서두에 찬자인 일연의 이름과 직위가 쓰여져 있다. 따라서, 一然에 의해서 生前에 卷第五를 中心으로 해서 1次的인 撰述이 이뤄졌으며, 적어도 권제오의 집필은 완성되었다고 추측된다. 그러나 『삼국유사』의 서명이 일연의 비문 등에 쓰여있지 않은 점 등을 고려해 보면, 그 이외의 편목이 완성되지 않았던 까닭에 일연의 生前에는 刊行되지는 못한 것으로 여겨진다. 以後 前後所將舍利條, 關東楓岳鉢淵藪石記條 等의 條目에 대해서 無極을 中心으로 2次的인 撰述 卽 補入이 이뤄졌다. 勿論 무극의 비문 등에도 아무런 언급이 없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이때에도 板本으로 刊行했을 可能性이 없는 것은 않으나 매우 희박하다고 여겨진다. 다음 『三國遺事』가운데 두군데 있는 無極記의 內容의 일부를 引用하고 있는 慈藏定律條의 分註의 존재는 이가 적어도 無極이 집필한 以後에 追加로 補入되었음을 말해 준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아마도 筆寫本으로 流轉되던 『三國遺事』를 보고 刊行過程과 無關해 보이는 몇몇 讀者아마도 승려들이 寫本에 頭註를 붙인 것이 刊行時에 後註化된 것으로 보인다. 넷째, 제편목과의 관계에 대해서 쓰여져 있는 기이편의 서문을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 언제인지는 단정하기 어렵지만 아마도 『삼국유사』의 편집 때, 紀異卷第一等의 紀異篇이 제편목보다 앞서 배치되었다고 여겨진다. 또한 그 以後에 제편목과 내용이 상충되는 『王曆』이 아마도 刊行에 즈음하여 編入된 것으로 보았다. 최후로 1394年傾에 즈음하여 아마도 金居斗에 의해서 별다른 校訂過程 없이 『三國遺事』의 최고본 즉 소위 古板本이 刊行된 것으로 보인다. 필자는 이 판본의 고려본의 흔적이 없는 점 등, 찬자들의 시대에 간행되었다는 증거가 없는 것을 고려해서 이것이 初刊本일 可能性이 있다고 想定했다. The present dissertation is a critical study of several problems related to the compilation of 『『三國遺事(Samkukyusa)』』, especially, to the problems concerning the participation of 一然(Ilyeon)、無極(Muguek) in the compiling process of 『『三國遺事(Samkukyusa)』』. The research process is to be classified into four Stages by the author. Stage I. The compilation of 『『三國遺事(Samkukyusa)』』 was not completed while 一然(Ilyeon) was in his lifetim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numerous defects in the so-called popular editions of 『『三國遺事(Samkukyusa)』』, such as errata, omitted words, we can reasonably assert that 一然(Ilyeon) and 無極(Muguek) did not get involved in the compiling process of 『『三國遺事(Samkukyusa)』』 as the general compilers. Therefore, it may well be said that 『『三國遺事(Samkukyusa)』』 was an incomplete piece of work when it came out. Stage Ⅱ. The problematic inconsistent relations between the chapters of 『『三國遺事(Samkukyusa)』』 led the author to suspect the high possibility that other scholars than 一然(Ilyeon)、無極(Muguek) participated in the compilation of 『『三國遺事(Samkukyusa)』』. The illogical relations that are noticed between several contents could be an evident proof that the book had not been compiled by particular compilers. Stage Ⅲ. Further detailed examinations are to be treated here concerning the participation problems of 一然(Ilyeon)、無極(Muguek) in the compilation of 『『三國遺事(Samkukyusa)』』. (1) The name and social rank of 一然(Ilyeon) are recorded only at the preface of BOOK Five, which indicates the great possibility that BOOK Five was given the text criticism by 一然(Ilyeon). However, 『三國遺事(Samkukyusa)』 is not mentioned in the epigraph dedicated to 一然(Ilyeon), which points to the possibility that the book was not published in his life time. (2) In the later years, 無極(Muguek) did the text criticism, second to 一然(Ilyeon), to the chapters of 前後所將舍利條 and 關東楓岳淵藪石記條 as the main compiler. Considering, however, the fact that 『三國遺事(Samkukyusa)』 is not inscribed in the epigraph in honor of 無極(Muguek), there is only a small possibility of the publication of the book during his life time. And also the fact that the chapter of 慈藏定律條had quoted two separate critical notes by 無極(Muguek) suggests that 無極(Muguek) was supplementarily used in the publication of the book after his death. The later readers (=monks) of the so-called popular editions may have given the head-notes to them and quoted 無極(Muguek)' s notes as after-notes at the time of publication. Stage Ⅳ. The Preface to the section of 紀異篇(a volume of extraordinary things) is to be scrutinized in this dissertation. The Preface refers to the sections and their mutual relations. The definite dates remain unconfirmed yet, but the section of 紀異篇(a volume of extraordinary things), such as the section of 紀異(a volume of extraordinary things), Volume I, is supposed to have been placed at the preceeding position to the other sections in the process of compiling. And in the following years, several other sections and 王曆篇(the names of the Eras) were supplemented and recorded when they were published. Finally to say, 金居斗(Kimkeodu) published 『三國遺事(Samkukyusa)』 (around the year of 1394) with no revision being added to the book, as the authentic edition, or the so-called ancient woodprint edition. Considering that there are no recorded proofs that the book was published in the life-times of the compilers and that 金居斗(Kimkeodu) edition contains no traces of influence in it from the 高麗(Corea) editions, the author has concluded upon the high possibility that 金居斗(Kimkeodu) edition should be the first edition of 『三國遺事(Samkukyusa)』.

      • 『三國遺事』의 시적 수용과 '미당 遺事'의 창조

        조은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글은 『新羅抄』,『冬天』,『질마재 神話』에 이르는 서정주 시의 변모과정을 『三國遺事』와 관련하여 연구하였다. 서정주의 시와 『三國遺事』는 그동안 수많은 연구자에 의해 다각도로 분석되어 왔지만 둘의 연관성을 깊이 있게 다룬 논문은 없었다. 그나마도 『三國遺事』를 소재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설화 수용 양상을 분류하거나 시 속의 주요 모티프가 어떤 설화에서 유래된 것인지를 살펴보는 데에 치중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서정주는 『三國遺事』의 설화 한두 편을 활용하는데 그치지 않고 『三國遺事』 전체를 다양한 방법으로 작품화하였다. 설화를 시로 바꾸는 초기 단계인 『新羅抄』에서는 설화의 줄거리를 그대로 옮겨오거나 설화 속 주인공을 시의 화자로 설정하는 방법을 썼다면 『冬天』에서는 직접적인 소재로 채용하기 보다는 ‘불교적 상상력’이라고 부르는 비유법을 추출해내는 근거로 활용하였다. 『질마재 神話』에 와서는 『三國遺事』 전체의 구조를 재현하는 동시에 신라의 정신에 자신만의 이야기를 덧붙여 독창적인 ‘미당 遺事’를 창조하였다. 이 글에서는 『三國遺事』를 시화하는 다양한 방법과 양상을 각 시집별로 살펴보았다.우선 2장에서는 서정주가 신라를 발굴하게 된 동기와 그 중에서도 특히 『三國遺事』에 천착하게 된 이유를 살펴보았다. 서정주는 『歸蜀途』를 창작할 무렵부터 한국적인 한(恨)의 정서, 체념과 달관의 정서에 마음이 끌렸지만 슬픔 속에서는 미래에 대한 전망을 찾을 수 없다는 사실 또한 절감하고 있었다. 무기력한 전통에서 벗어나 ‘이즈러지지 않은 우리의 모습’를 추구하려는 막연한 의지만 갖고 있던 그가 본격적으로 신라를 탐구하게 된 것은 6.25 전쟁 이후의 일이다. 다른 시대가 아닌 신라였던 까닭은 이민족 지배의 치욕이나 내분이 없고 삼국통일이라는 위업을 달성한 최초의 민족국가였기 때문이다. 현재와의 거리가 충분히 멀어서 더 많은 허구의 자유를 누릴 수 있다는 점도 고려의 대상이 되었다. 무엇보다도 거기에는 『三國遺事』가 있었다. 『三國遺事』의 풍부한 이야기들은 신라를 막연한 이상향이 아닌 역사적으로 실재했던 구체적인 이상향으로 실감하게 해주었고, 수록된 향가들은 신라인의 정신세계를 추측케 하는 자료가 되었다. 『三國史記』에 비해 자주적 성격이 두드러지는 점과 민족의 기원을 고대로 소급하고 영원으로 확장하는 시간 개념을 그 속에 보인다는 점, 절망적인 현실을 정신의 힘으로 이겨내는 자세를 나타낸다는 점 역시 『三國遺事』를 선택하게 만든 이유들이었다.3장에서는 서정주가 말하는 ‘신라 정신’의 개념을 정리하고 그 정신의 추출 방법과 실체화 과정을 『新羅硏究』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서정주는 ‘신라 정신’을 『三國遺事』를 바탕으로 재구성했으며 신라인들의 사고방식과 정신세계를 총칭하는 개념으로 사용하였다. 『新羅硏究』에는 ‘신라 정신’을 확립해나가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나타나있다. 1장에서 4장까지 이상적인 신라의 모습을 보여준 후 5장부터는 그 이상적 세계를 되찾기 위한 방법으로 정신의 힘과 의지를 강조한다. 10장부터 마지막장까지는 ‘신라 정신’ 추출의 근거가 된 문헌을 버리고 ‘신라 정신’을 되살려야 할 위대한 민족정신으로 실체화하는 과정이 드러나 있다. 『新羅硏究』의 각 단계는 『新羅抄』에서 『冬天』에 이르는 시적 변모 과정과 상당 부분 겹쳐진다.4장에서는 『新羅抄』를 중심으로 설화를 수용하여 압축하는 양상을 고찰했다. 이때 설화의 시적 수용은 두 가지 목적을 위한 것이다. 하나는 문헌에서 설화를 가져옴으로써 시 속에 그려지는 이상 세계가 실재 존재했던 역사적 사실임을 증명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시라는 장르의 특성을 빌려 과거를 현재화하는 것이다. 『新羅抄』에는 설화를 시로 수용한 여덟 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는데 시기적으로 앞선 「新羅의 商品」, 「百結歌」, 「老人獻花歌」등이 설화를 줄거리 중심으로 풀어썼다면 뒤에 창작된 「善德女王의 말씀」과 「꽃밭의 獨白」,「娑蘇 두 번째의 편지 斷片」은 설화 속 인물의 목소리를 빌려 노래하고 있다. 이 시기 서정주는 피의 성질을 바꿔보려고 지속적으로 시도하지만 피는 하늘까지 올라가지 못한 채 ‘하이얀 김, 푸른 김, 사랑 김의 떼’로 솟구칠 뿐이다.5장에서는 『冬天』을 중심으로 ‘불교적 상상력’의 내용과 ‘신라 정신’의 실체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 시기에는 『三國遺事』의 전체를 관류하는 삼세인연설(三世因緣說)과 윤회설(輪回說)을 시 창작의 원리로 활용한다. ‘불교적 상상력’은 『三國遺事』에서 발견한 것이지만 설화의 인연이 환유로 연결되는데 반해 서정주 시의 인연은 은유로 결합되는 점이 다르다. 연결 고리 없이 두 대상을 한 장면에 등장시킴으로써 시구는 일상어의 용법을 뛰는 낯선 표현이 되어 선문답처럼 인식의 각성을 유도한다. 무관해 보이는 두 대상의 숨은 인연을 밝혀낸 것처럼 사물의 순환도 시인의 의지에 따라 이루어낸다. 『新羅抄』에서는 끝내 피의 성질을 바꾸지 못해 고뇌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면 『冬天』에서는 어느새 물과 빛깔로 분리된 피가 하늘로 올라가있다. 시집 전체에 걸쳐 지상의 사물은 모두 영원을 증거하는 그림자가 되어버리며 ‘신라 정신’은 원래부터 존재했던 절대적인 정신으로 자리잡게 된다.6장에서는 『질마재 神話』를 중심으로, 『冬天』을 거치면서 뼈대만 남은 ‘신라 정신’에 자기만의 이야기를 덧붙여 독자적인 ‘유사(遺事)’를 창조해내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압축된 ‘신라 정신’을 그만의 독창적인 설화로 풀어내려는 의지는 자연스럽게 시의 형식을 운문보다는 산문, 노래보다는 서술에 가깝게 만들었다. 『冬天』의 시들이 공간과 시간을 한 점에 응축시킨 전형적인 서정시였다면 『질마재 神話』의 시들은 공간을 다시 확장하고 시간을 다시 흐르게 하는 전형적인 서술시이다. 그 속에는 숭고한 인물과 비천한 인물의 이야기가 뒤섞여있으며 낱낱의 이야기가 모여 전체적인 세계를 구성한다. 신라시대의 설화를 수용한 작품은 몇 편 안 되지만 그 작품들은 질마재가 신라를 이어받은 마을임을 증명해주는 연결고리 역할을 하며 나머지 작품들은 ‘있을 법한 신라’의 모습을 보여준다. 질마재와 신라를 연결하기 위해 시인이 택하는 방법은 적절한 화자의 설정이다. 세계를 신비와 경이로 받아들이는 아이화자를 설정하기도 하고 때로는 세상사에 닳고 닳은 어른 화자를 등장시켜 ‘그럴 수도 있는 일’ 아니겠냐며 동의를 구하기도 한다. 때로는 한 작품에 아이와 어른, 존댓말과 반말을 뒤섞어 핵심적인 구절을 강조하기도 한다.『三國遺事』에서 이상적 세계를 발견하고 그것을 시화(詩化)하는데 충실하던 『新羅抄』부터 ‘신라 정신’을 실체화하여 추구하는 모습을 보여준 『冬天』을 거쳐 자기만의 설화를 채워넣은 『질마재 神話』에 이르기까지, 이 모든 과정은 앞 단계의 시도를 보완하려는 하나의 연속된 작업이었다. 서정주의 의도는 마침내 『질마재 神話』에서 완성된다. 이 시집에 와서 비로소 그는 『三國遺事』를 온전히 시화한 동시에 그것을 넘어서서 자기만의 ‘미당 遺事’를 창조하게 된다.

      • 『三國遺事』의 虛詞 硏究

        정순영 誠信女子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史書 가운데 『三國遺事』를 대상으로 하여 『三國遺事』에 나타난 모든 虛詞에 대한 定量分析의 방법을 통해, 虛詞가 단위 문장내에서 統辭·形態的으로 어떠한 문법기능을 수행하고 있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기존의 虛詞에 대한 연구는 통시적으로 많은 자료를 수집·분석하였으나, 공시적인 연구와 연관해서 허사를 규명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해당 허사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도 훈고적 해설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대부분이며, 단위 문장 안에서 허사가 갖는 기능을 설명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몇몇 기능에 대해서만 설명할 뿐, 통사적 체계 안에서 갖는 구체적 기능에 대한 분석은 매우 소홀히 다루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시적 시각에서 기존의 연구방법을 보완하고 虛詞가 단위 문장내에서 체계적으로 나타내는 문법기능을 분석·검토하였다. 장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 2장에서는 『三國遺事』의 성립을 一然(1206-1289)에 대한 생애와 시대적인 배경을 통해 살펴보았다. 일연이 국내적으로 무인들의 반란과 집권, 국외적으로는 몽고족의 침입이라는 시대적인 상황에서 새로운 세계관을 가지고 역사를 집필한 점을 주목하였다. 고려 사회가 무인집권이라는 커다란 변화와 宋의 멸망과 元의 성립이라는 큰 변화로 세계관이 바뀌는 시대상황에서 관료지식인들은 중국중심에 서 있었으나, 승려들은 처음부터 중국중심에 있지 않았으므로 세계에 대한 인식이 자유롭고 적극적이었다. 따라서 『三國史記』는 중국의 司馬遷의 『史記』를 기준으로 역사를 저술하였으나, 『三國遺事』는 자유자재로 역사사실을 수집하고 기록할 수 있었으며, 당시 형성된 모든 지식인이 공유할 수 있는 역사사실을 전달하려고 한 점을 주목하였다. 제 3장에서는 虛詞의 개념과 선행연구 검토로서, 虛詞硏究에 대한 종래의 연구 현황과 虛詞槪念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토대로 實詞와 虛詞의 분류기준을 검토하였으며, 虛詞硏究에 대한 업적을 『馬氏文通』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馬氏文通』 이전에는 전통의 훈고학적 방법에 의한 훈고식 풀이가 그 주류를 이루어 왔었으나, 『馬氏文通』에서 虛詞를 介詞, 連詞, 助詞, 歎詞 등 네 가지로 분류한 이후 虛詞에 대한 어법적 측면에서의 연구가 시작되었다. 虛詞는 意味자질을 갖지 못하며, 단위 문장내에서 종속요소로서 자립적으로 출현하지 못하므로 실사에 의존하여 그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문장구성에 있어서 허사의 문법기능은 실사보다 더 중요한 기능을 가진다는 점을 밝혔다. 제 4장에서는 介詞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로서, 『三國遺事』에 출현한 介詞는 '以' '於' '爲' '乎' '于' '與' '從' '由' '因' '在' '用' '自' 등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들 개사를 場所介詞, 時間介詞, 行爲者介詞, 對象介詞, 道具介詞, 動機介詞, 根據·基準介詞, 出處·根源介詞, 時機·機會介詞, 範圍介詞, 方面介詞로 나누어, 단위 문장내의 통사·형태론적 의미기능을 분석하였다. 제 5장은 連詞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로서, 『三國遺事』에 출현한 連詞는 '而' '且' '與' '及' '若' '況' '抑' '又' '以' '然則' '然後' '遂' '乃' '於是' '則' '然' '然而' '寧' '與其-焉如' '與其-莫若' '與其-曷若' '莫若' '曷若' '與其' '故' '以故' '是故' '玆故' '因' '因而' '因此' '由是' '爲' '是以' '蓋' '雖' '雖然' '苟' '苟或' '如' 등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들 연사를 對等連詞, 漸層連詞, 承接連詞, 轉換連詞, 選擇連詞, 因果連詞, 讓步連詞, 假定連詞로 나누어, 단위 문장내의 통사·형태론적 의미기능을 분석하였다. 제 6장은 助詞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로서, 『三國遺事』에 출현한 助詞로는 '之' '者' '所' '夫' '惟' '蓋' '也' '其' '耶' '乎' '矣' '焉' '爾' '耳' '而已' '歟' '斯' '哉' '也歟' '也哉' '矣哉' 등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들 조사를 構造助詞, 語氣助詞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구조조사는 단위 문장내의 통사·형태론적 기능을 분석하였으며, 語氣助詞는 다시 發語語氣, 提示·停頓語氣, 陳述語氣, 疑問語氣, 反語語氣, 推測語氣, 限定語氣, 感歎語氣, 命令語氣로 나누어 단위 문장내의 통사·형태론적 기능과 함께 화자가 청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구체적 의미기능을 분석하였다. 제 7장은 歎詞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로서, 『三國遺事』에 출현한 歎詞로는 '嗚呼' '於戱' '噫' 등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들 탄사를 讚美歎詞와 悲痛歎詞로 나누어 단위 문장내의 통사·형태론적 기능과 함께 화자가 청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구체적 의미기능을 분석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 나타난 주요한 특징을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三國遺事』는 일연에 의해 편찬체재에 구애를 받지 않고, 개인의 역사의식을 기초로 쓰여진 것으로, 내용 면에 있어서 민간에 전승된 신화, 전설 및 불교와 관련된 특수한 내용을 수집·정리한 것이다. 이러한 자료수집과 집필과정에서 보면, 『三國遺事』는 당시 형성된 많은 지식인의 요구에 부응하여 상용화된 한문문장의 구성방식을 채택하여 집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三國遺事』에 나타난 虛詞의 사용빈도를 보면, 상용화된 '之' '而' '以' '於' '者' '也' 등의 허사가 매우 높은 사용빈도를 나타냈으며, 『三國史記』와 비교하여 虛詞의 종류와 사용빈도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이는 『三國遺事』가 공시적으로 같은 시기의 문헌인 『三國史記』의 문장표현방식을 많이 참고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三國遺事』와 『三國史記』의 허사의 사용분포를 비교해 보면 중국의 『史記』에 비하여 상용화된 허사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특히 助詞와 歎詞의 경우는 『史記』에 비하여 더욱 보편화된 허사만을 사용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三國遺事』는 『三國史記』와 함께 공시적으로 고려시대 한문문장의 표현방식이 잘 나타난 자료로, 고려시대의 한문문장의 구성특징과 수준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특징은 통시적으로 중국의 先秦, 漢代의 한문 표현방식에서 변화된 문장의 구성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시적 문법체계의 한 연구로서, 『三國遺事』에 나타난 단위 문장 구성에 있어서 虛詞의 역할과 기능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밝히고자 한 연구이다. Grammar functions of the function word(虛詞) syntactical, morphological in unit sentence were studied in this thesis using the method of quantitative analysis for all the function words appeared in Samkukyusa (『三國遺事』) which is one of the historical books of Korea. In the previous studies about function word, man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diachronically. But those studies failed to examine function words closely in connection with synchronic study. Besides, in the explanation about relevant function words also, the case which was made centering around exegetic explanation was most. And, in the case to explain the function that function words have in unit sentence also, the explanation only about some functions is made, but the analysis about concrete function to have in syntactical system is being handled negligently. Thus, this study was suppelemented existing study method with synchronic viewpoint and analyzed and examined the grammar function that function words show in unit sentence systematically. To arrange by chapters is as follows: In the second chapter, the formation of Samkukyusa was examined through the lifetime and period background about Ilyeon. It was noticeable fact that Ilyeon(一然, 1206-1289) wrote history with new world view in the period situation to be the rebellion of soldiers and their taking the reins of government internally and the invasion of Mongolian race externally. In this period situation that world view changed into great change to be soldiers' taking the reins of government and great change to be the ruin of Song and the formation of Won in Koryo society, bureaucrat intelligentsias were standing centering around China, but priests were not standing centering around China. So, the recognition for world was free and positive. While Samkuksaki (『三國史記』) was described history on the basis of Saki (『史記』) of Samacheon(司馬遷) of China, it was noticeable point that Samkukyusa was collected and recorded historical fact freely which all the intelligentsia in those days may share. In the third chapter, as a conceptional and preceding study for function words, the standard of classification was studied between content word(實詞) and function word on the basis of the present situation of former study about function word study and the opinion of various scholars about function word concept and was arranged the achievement about function word study by classifying it into that before Massimoontong(馬氏文通) and that after it. Before Massimoontong, exegetic explanation to be based on the exegetics of tradition had formed the mainstream. But, after Massimoontong classified function words into 4 kinds such as preposition, conjunction, particle, and interjection, the study from the grammar viewpoint for function words started. As function words fail to have meaning quality and they fail to appear independently as subordinate element in unit sentence, they perform the function by depending on content word. It was clarified that the grammar function of function words have more important function than content words in sentence composition. In the fourth chapter, it was clarified that, as for the prepositions which appered in Samkukyusa, '以' '於' '爲' '乎' '于' '與' '從' '由' '因' '在' '用' '自' etc. were appeared and analyzed in unit sentence syntactical, morphological meaning function by classifying these individual words into place preposition, time preposition, action preposition, subject preposition, tool preposition, motive preposition, basis participle, origin preposition, opportunity preposition, range preposition, and field preposition as the concrete study about prepositions. In the fifth chapter, it was clarified that, as for the conjunctions which appered in Samkukyusa, '而' '且' '與' '及' '若' '況' '抑' '又' '以' '然則' '然後' '遂' '乃' '於是' '則' '然' '然而' '寧' '與其-焉如' '與其-莫若' '與其-曷若' '莫若' '曷若' '與其' '故' '以故' '是故' '玆故' '因' '因而' '因此' '由是' '爲' '是以' '以是' '蓋' '雖' '雖然' '苟' '苟或' '如' etc. were appeared and analyzed in unit sentence syntactical, morphological meaning function by classifying these conjunctions into equal conjunction, gradual conjunction, succeeding conjunction, conversion conjunction, choice conjunction, conjunction of cause and effect, concession conjunction, and hypothesis conjunction as the concrete study about conjunction. In the sixth chapter, it was clarified that, as for the particles which appeared in Samkukyusa, '之' '者' '所' '夫' '惟' '蓋' '也' '其' '耶' '乎' '矣' '焉' '爾' '耳' '而已' '歟' '斯' '哉' '也歟' '也哉' '矣哉' etc. were appeared and analyzed these particles by classifying them into structure particle and linguistic spirit particle. The structure particle was analyzed syntatical, morphological function in unit sentence and linguistic spirit particles was analyzed the concrete meaning function that narrators try to transmit to listeners with syntactical, morphological function in unit sentence by classifying linguistic spirit particles into original linguistic spirit, suggestion, linguistic spirit of arrangement, linguistic spirit of statement, linguistic spirit of doubt, linguistic spirit of irony, linguistic spirit of guess, linguistic spirit of limit, linguistic spirit of exclamation, and linguistic spirit of command again about the particles of linguistic spirit. In the seventh chapter, it was clarified that, as for the interjections which appeared in Samkukyusa, '嗚呼' '於戱' '噫' etc. were appeared and analyzed the concrete meaning function that narrators try to transmit to listeners with syntactical, morphological function in unit sentence by classifying these interjections into praise interjection and pathos interjection. Main feature which appeared as the result of above analysis could be arranged with 2 kinds. First, Samkukyusa is collected and recorded the mythology and legend transmitted to folks and the special contents related to Buddhism in the side of contents as what was written on the basis of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individual in contents regardless of compilation system by IIyeon. From this viewpoint of course of data collection and writing, it could be seen that Ilyeon wrote Samkukyusa through using the common method of Chinese character composition freely by meeting the request of many intelligentsia formed in those days. Second, function words such as '之' '而' '以' '於' '者' '也' etc. appeared frequently in Samkukyusa. There were a little difference in kind and use frequency of function words between Samkukyusa and Samkuksaki. It could be found out that Samkukyusa might refer to the expression method of Samkuksaki much as two literature were written in synchrous period. However, comparing to Saki of China, common function words were more selectively used in Samkukyusa and Samkuksaki. Especially, in case of particle and interjection, it could be discovered that more generalized function words were used than literatures of China. Samkukyusa shows synchronically the feature and the level of Chinese sentence in Koryo(高麗) period as Samkuksaki. This feature shows that the expression form of Koryo was changed diachronically from that of Sunjin(先秦) and Han(漢) period of China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how the role and the function of function words are being made in the composition of unit sentence which appeared in Samkukyusa through synchronic grammar system.

      • 삼국유사』의 후고구려 인식

        홍창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essay studied how the historiography, Samguk-yusa of the 13th century perceived the Later Goguryeo. The discussion proceeded with three major stages. First, the study compared records of the Later Goguryeo in the article of ‘Hugoryeo-gungye’, Wangryok with those in other history books, and then explored what kind of materials had been used for the article. Next, as the use of the term ‘Hugoryeo Wang’ can be found in stories related to Silla’s Sambo in ‘Cheonsaokdae’ from Kiyi and ‘Hwangryongsa-gucheungtop’ from Topsang records, it was able to check which period of history was reflected in those chapters. Based on the result,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how the compilers of Samguk-yusa perceived the Later Goguryeo. Through the review on the Article of ‘Hugoryeo-gungye’, it was proved that Samguk-sagi was little contributed to drawing up the article as a source, which means that the compilers of Samguk-yusa were not likely to follow the perception of the Later Goguryeo or Gung-ye shown in Samguk-sagi. Especially, the study paid attention to a few descriptions such as Gung-ye established ‘Goryeo’ in 901, the capital change of the Later Goguryeo was set from Cheol-won to Song-ak and Cheol-won again, and few descriptions of the name of Gung-ye reign and its era name. While, Samguk-yusa described ‘Goryeo’ as Former-Later Goryeo. Based on the reference, it would be right to see ‘Hugoryeowang’ shown in the Article of ‘Cheonsaokdae’ and ‘Hwangryongsa-gucheungtop’ as Gung-ye. Thus, the passage that Gung-ye suspended his invasion plot just because of the existence of Sambo which is Buddhistic objects implied an extremely Silla-centered view. The records related to Gung-ye in Samguk-sagi were mainly based on Kim Bu-sik’s consideration of, so called, ‘Taejo Legitimacy’. Thus, the reason that the records were not selected for the Article of ‘Hugoryeo- gungye’ in Wangryok means that the compilers of Samguk- yusa had nothing to do with the ‘Taejo Legitimacy’. But, it would be intentional not to record the country name, Taebong because they judged Taebong as the period of Gung-ye’s government negative. That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fact they contained the story related to Sambo in the Article of ‘Cheonsaokdae’ and ‘Hwangryongsa-gucheungtop’. Especially, the compiler who drew up the Article of ‘Hwangryongsa- gucheungtop’ compared Silla’s Sambo to Chinese Gujeong. According to the tale of Gujeong, King Zhuang of Cho tried to invade Ju Dynasty, but returned back home to see that Ju Dynasty had Gujeong. The tale is quite similar to the story that Gung-ye, King of the Later Goguryeo tried to invade Silla, but finally gave it up to see there was Sambo in Silla as described in Samguk-yusa. Of course, the original purpose of these tales is to emphasize the patriotic aspect of Gujeong of Sambo, but on the other hand, it reveals King Zhuang and Gung-ye’s ambition to conquer Ju and Silla respectively. Through this, it can be demonstrated that the authors of Samguk-yusa did not see the Later Goguryeo and Gung-ye in an amicable way. As is known, Il-yeon spent most of his life in Gyeonsang-do region. This is the reason why Samguk-yusa has Silla-centered records, and generally Silla-biased descriptions were made. Especially, if the fact that Topsang chapter was written with the purpose of emphasizing the rich history of Buddhism in Silla is taken into consideration, it tells us that the authors of Samguk-yusa wanted to say Buddhism from Silla was succeeded by Goryeo. Goryeo in the 13th century when Samguk-yusa was drawn up was suffered from invasions from foreign dynasties. Il-yeon looked around a lot of districts and witnessed devastation caused by foreign invasions, and often left the fact in Samguk-yusa. Il-yeon might feel a strong hostility toward the fact that the long Buddhist tradition of Silla which he tried to emphasize was disconnected by the Mongolian army’s invasion. Thus, the compilers of Samguk-yusa were in with a shout of identifying Mongolia that tried invading Goryeo with the Later Goguryeo that tried invading Silla. That is, they perceived Gung-ye as a hostile force that tried destroying the miraculous Buddhist objects. In short, the authors of Samguk-yusa identified the Later Goguryeo as strongly negative. That was originated from their perception of historical status of Silla and their realistic situation, not from, so called, ‘Taejo legitimacy’. 이 글은 13세기의 사서인 『삼국유사』가 후고구려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 고찰한 것이다. 논의는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먼저 왕력의 後高麗弓裔조 기록을 다른 사서와 비교하여, 이 조목의 작성에 어떠한 자료 계통이 쓰였는지를 탐색하였다. 다음으로 天賜玉帶조(기이)와 皇龍寺九層塔조(탑상)의 신라 三寶 관련 이야기 가운데 ‘後高麗王’의 용례가 확인되는 바, 그 실체를 밝히고 이 대목이 어느 시대에 해당하는지 점검하였다. 이러한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삼국유사』 편찬진들의 후고구려 인식을 가늠하였다. 후고려궁예조의 검토를 통해 이 조목의 작성에 『삼국사기』가 典據로서 기여한 바가 적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궁예가 辛亥년(901)에 ‘高麗’를 일컬었다고 기술한 점, 후고구려의 도읍 변천을 철원→송악→철원으로 설정한 점, 궁예정권의 국호와 연호가 매우 불충분하게 작성된 점 등을 주목하였다. 이는 『삼국유사』 찬자들이 『삼국사기』에서 보이는 후고구려나 궁예에 대한 인식을 따르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한편, 『삼국유사』 내에는 ‘고려’가 전・후의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를 토대로 천사옥대조와 황룡사구층탑조에서 보이는 ‘후고려왕’은 궁예로 보는 것이 옳음을 언급하였다. 불교적 기물인 삼보의 존재만으로 궁예가 침략 모의를 중단했다는 것은, 그러므로 지극히 신라 중심적인 관점이 내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삼국사기』의 궁예 관련 기록들은 김부식의 이른바 ‘태조정통론’에 대한 배려가 근간을 이루고 있다. 그런 점에서 왕력의 후고려궁예조 작성에 이 기록들이 선택되지 않았다는 것은 『삼국유사』 편수자들이 정통론과는 무관했음을 보여준다. 다만, 국호 태봉은 의도적으로 기록하지 않았다고 생각되는데, 이는 그들이 궁예의 태봉시기를 부정적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것은 천사옥대조와 황룡사구층탑조에 삼보 관련 이야기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다. 특히 황룡사구층탑조의 작성자는 신라의 삼보를 중국의 九鼎에 견주었다. 구정의 설화에 의하면 楚 莊王은 周를 침범하려 했다가 주에 구정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고서 본국으로 돌아갔다고 한다. 이는 후고려왕 궁예가 신라를 침략하려다가 신라에 삼보가 있다는 것을 듣고 그 모의를 중단했다고 하는 『삼국유사』의 삼보 관련 기사와 흡사하다. 물론 이 일화들은 구정이나 삼보의 호국적인 면모를 강조하는 것에 그 본의가 있겠지만, 한편으로는 주와 신라를 정복하려 했던 장왕과 궁예의 야욕을 폭로하는 역할도 한다. 이를 통해 『삼국유사』 서술자들이 후고구려와 궁예를 우호적으로 인식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주지하듯이 一然은 일생의 대부분을 경상도 지역에서 보냈다. 이는 『삼국유사』가 신라 중심의 기록을 수록할 수밖에 없는 이유이며, 전반적으로 신라에 편향적인 기술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특히 탑상편이 신라의 불교사가 지극히 오랜 옛날부터 시작되었음을 강조하기 위해 작성되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결국 『삼국유사』 찬자들은 신라로부터 시작된 오래된 불교가 고려를 통해 계승되었음을 말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런데 『삼국유사』가 편찬된 13세기의 고려 사회는 이민족의 침략으로 시련을 겪고 있었다. 당시 일연은 여러 지역을 돌아다니며 외압으로 인한 참상을 직접 목도했거니와, 그에 대해 『삼국유사』 곳곳에 기록하였다. 아마도 일연은 신라의 오랜 불교 전통이 몽고군의 침략으로 인해 끊기는 것에 강한 거부감을 지녔던 듯하다. 그런 점에서 『삼국유사』 찬자들은 신라의 영험함이 깃든 불교적 기물을 파괴하는 궁예와 신라의 오랜 불교 전통을 파괴하는 몽고를 동일시하였을 가능성이 크다. 이는 『삼국유사』 찬자들이 궁예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토대로서 작용하였을 것이다. 요컨대, 『삼국유사』 편찬자들은 후고구려를 매우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다만, 그것은 소위 ‘태조정통론’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신라의 역사적 위상에 대한 인식과 그들의 현실적인 상황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 三國史記와 三國遺事의 比較 考察 : 本紀와 紀異編을 中心으로

        이재운 忠南大學校 大學院 1983 국내석사

        RANK : 248703

        Many People have been working so much so on a outline study abou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compilation and historical presentation on Samguksagi(三國史記) and Samgukyusa(三國遺事). But when we refer to a tondency of study up to now, it has an aspect which an affirmative view and a negative view on Samguksagi(三國史記) and. Samgukyusa(三國遺事) are contfronted with argument. In spite of continous study, therefore, we have not accomplished a true synthetic study yet. As a writer, I have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a comparative study on Samguksagi(三國史記) and. Samgukyusa(三國遺事)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assess two history books objectively. And so, with Giyi (紀異) of Samgukyusa(三國遺事), I'll compare Bongi(本紀) of Samguksagi(三國史記) with it. For the convincing make, I divided the contents of two history books into four periods and tried to examine the editor's historical characters shown in a desoription of two history books. First, before foundation of three countries(高句麗,百濟,新羅) historical characters or two history books Shown in a description are as follows. Generally, we have referred that Kim pusik(金富軾) selected necessary materials based, on only Confucian view of history. He has pointed out that be had made a sharp olimination of narrative parts and Samguksagi(三國史記) has only it's traces. On the other hand, as IL-yeon(一然) wrote only the marvelous and strange contents in contrary with document on the parts of the Samguksagi(三國史記) IL-yeon's(一然) document has doubted as a history book. But in the view of my study, on the contrary Samgukyusa(三國遺事) had narrations written with quotation of the contents Samguksagi's(三國史記) Bongi (本紀) and besides, there are many same parts of contents in two history books. Moreover historical facts were always in the narrative contents Samgukyusa(三國遺事). It is one of reasons why Go Joseon Jo (古朝鮮條) was omitted in Samguksagi(三國史記) that because Kim pusik (金富軾) was absorbed in editing the history of three countries or he seems not to work hard at the previous history In the narrations on the foundation of three countries, what the contents lacks compared with Samgukyusa(三國遺事) is that when Kim pusik (金富軾) edited Samguksagi(三國史記) with excessive materials of history, the elimination was given to that. Next, historical characters of two history books shown during coexistent period, of three countries are as follows As we saw whole amount of Samguksagi(三國史記) it would be obliged to do that. As we compared the articles of two history books, accuracy of Samgukyusa's(三國遺事) historical facts has some part of deficiency. On the whole, IL-yeon(一然) is well received favourable comment that he makes clear reference by wide scope of various kinds. But in fact I found out that he paid no attention to exact historical investigation about abundant quotations. I think that this is Just a great fault in Samgukyusa(三國遺事) as a history book. Generally Samgukyusa(三國遺事) is well known as n history book which describes historical facts selected against reasonable, historical view of Confucianism. But by my survey on this, IL-yeon (一然) emphasized faithfulness and. Loyalty, and had strong nationa1 consciousness which reasonable and social ethics needed. And he realized the Thought of Heaven and emphasized. natural result on destruction of Koguryo(高句麗) and, Paek-Jae (百濟) against the rule of Heaven with inhumanity and the law of nature violated. As a result, we discovered that it is in accord with Kimpusik's (金富軾) historical view. when we examined the age of United Silla (統一新羅) he emphasized. stronger national consciousness and he had attitude of indirect comment about reality. From this matter, we realized that compilation of Samgukyusa(三國遺事) has a lot of political intensions. Next, IL-yeon (一然) thought that the end of Silla's (新羅) history had divine protection of sacredness disappeared. And he emphasized the end of the kingdom by showing endless nature's calamity. This will be said as an indirect comment that reversion toward Kingdom of Koryo(高麗) is round by law of nature He also thought to graspe obligatory act and ethical virtue, of king as such, a subject as such, and the people as such, as basic element of nation. Accordingly we can say the compilation aim of his Samgukyusa(三國遺事) not only was about to write materials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content of Samguksagi(三國史記) and. materials which were omitted in Samguksagi(三國史記) but also to emphasize strong comment to social reality within and penetrative national consciousness from outside. This is in accord. with the compilation aim of Kimpusik's(金富軾) Samguksagi(三國史記)

      • <삼국유사> 파른본 각판서체 연구

        왕지영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고려시기에 일연이 쓴『三國遺事』는 한국 문학의 보고로, 한국 고대 서사 문학과 시문학으로 이루어졌다. 고유문학, 본토 신앙, 민속 문화들을 보존하여 문학사와 역사 문화에서 큰 가치를 가지고 있다. 이런 가치를 인장받아 1999년 11월 19일『三國遺事』는 부산 유형 문화재 31호로 지정됐다. 그래서『三國遺事』는 한국 고대사, 문학, 사상, 풍속, 언어 등 여러방면을 연구할 때 중요한 문서로 여겨졌다. 『三國遺事』여러 판본이 있는데, 본문에서 연구한 ‘파른본’은 조선 초기 판본이다. 고(故) 손보기 교수 유족이 기증한 것이고, 연세대학교는 이 판본을 ‘파른본(藍本)’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2015년 한국 문화유산청은 이를 보물 1866호로 지정했다. 대부분 학자들은 문학적 가치, 문화유산 가치, 고전 문학 자료, 판본 연구와 비교, 연구 문학 가치 등에 초점을 맞춰 연구했으며,『三國史記』의 보충이나 수정에 대한 여러 조사도 포함되었다. 예를 들어 판본 내용의 차이나 오류 등을 분석해왔다. 이 과정에서는 주로 판본 간의 불일치나 오자 등을 분석해 역사적 사실을 연구하고, 『三國遺事』 전체를 종합하려고 했다. 그래서『三國遺事』의 서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편이고,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 논문은 『三國遺事』 초기 판본인 조선 초기판본 중 파른본을 주요연구 대상으로 하고, 『三國遺事』 中宗壬申本과 順庵手澤本을 횡적 비교 자료로, 『雁塔聖教序』 와 『楊大眼造像記』, 유건옥 교수가 제공한 데이타베이스를 종적 비교 자료로 사용했다. 주요 샘플과 횡적 비교 샘플 사이에서 서체 변화 과정에서의 해서 정도를 분석하고 비교했다. 주로 파책(波磔)의 가로획(橫向)과 대각선(斜向), 점획(點畫), 결체(結體) 세 가지 방면을 비교해왔다. 이 세 부분의 필획 모양을 제1단계, 2단계, 3단계로 나누어 미시적으로 분석했다. 또 시대 배경, 서풍 트렌드의 영향, 그리고 같은 시기 중국 서예가 파른본에 미친 영향을 종합했으며, 가능한 서예 스타일을 중심으로 자세히 연구했다. 이 논문은 또한 서예에서 문자 형태로의 표현 형식과 본질의 내적 관계를 사용하여 『三國遺事』 파른본에 나타난 이체자 현상도 조사했다. 성부(聲符)와 의부(義符)의 변화나 대체를 분류 기준으로 사용하고, 사용 빈도와 출처를 통계하며, 이체자의 시대적 특징을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파른본 서체 발전의 규칙을 그리고 스타일 특징을 요약했다. 나아가 『삼국유사』의 판각 서체가 이후 한국에 끼친 영향도 간단히 연구했다

      • 삼국유사》 소재의 권미자 시 연구 : 샤머니즘을 중심으로

        권미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A Study on the Kwon Mi Ja’s Poetry Based on Samgukyusa(三國遺事) - Centered on the Shamanism Department of Creative Writing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Kwon Mi Ja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analyze the shamanistic factor inside the poetry of Kwon Mi-ja and examine the literary feasibility. Kwon Mi-ja has published her creative work from 2004, and this study focused on the total of more than sixty poems that includes the published and unpublished poems. The research was centered on the poems based on Samgukyusa(三國遺事), and examined the scalability of the shamanism aesthetics. Furthermore, it explored the poetic transitions which go beyond the realistic discourses. For this approach, the researcher focused on the poems that reinterpreted the shamanism aesthetics in contemporary perspectives. These poems had a feature of presenting the invisible world of an abyss in the process of the poetic transitions. Therefore, the result that appeared as the shamanistic expressions seemed to be another creation of myths. The researcher aimed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works based on the emotional analysis rather than the interpretation on rhetorics. The aspects of the poems with shamanistic expressions show the desires to communicate with the supernatural existence in order to satisfy the fundamental conditions of human finitude. At this time the ritual act for the communication is ‘Gut’. The poetic world of Kwon Mi-ja seems to pursue the methodology of shaping this kind of poetic transition. Furthermore, it is a universal characteristic of Shamans who pursue the communication with supernatural beings. The archetype of shamanism utilizes the fundamental essence of human life. This characteristic can be read in King Munmu, Learning the Language of the Sea. In the poem the value of the shamanistic element made from the fundamental truth. Also, the basic motive of the story does not change even though it is created by other poetic transitions of myths and tales. This can be confirmed through Cheonsaokdae and King Munmu, Learning the Language of the Sea. Kwon Mi-ja’s poetry pursues the shamanistic world view and presents the scalability of shamanistic aesthetics. In particular, this study which was centered on Samgukyusa presented the inherent existential meaning and its applicability. In the case of King’s Dance, there was the poetic world of poetical transition of shamanistic aesthetics. The researcher explained the process of reading the original meanings through discovering the inherent shamanistic images with this work. In addition, through the recomposition of the poetic transitions of the shamanistic features in King’s Dance, the researcher analyzed the writing techniques that create the contemporary poetry. The poetic world of Kwon Mi-ja put major poetic meaning in the act of ‘gut’, which is one of the shamanistic elements. ‘Gut’ progressed steadily and showed diverse acts. This process was expressed in her poetic world. Furthermore, the shamans who inherited the King’s Dance become poetic subjects. In contemporary society, the bias that the shamans are the primitive forms of superstitions remains. Therefore, the researcher showed the right opinions on shamanism through the references and present positive feasibility in development with specific examples. And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shamanism aesthetics is to overcome the growing ' mole humanity ' in the overperforming industrial society and restore humanness. The poetic world of Kwon Mi-ja pursues the shamanistic world of the folk beliefs in which the poetic transitions can be conducted. The scalability in shamanistic aesthetics is only possible through the world view which does not divide the self and the universe. The series poems of Kwon Mi-ja were based on this world view. In conclusion, Kwon Mi-ja’s poetic world was a composition actively utilizing the archetypal images which were the shapes of a primitive notion of the human beings. 요약 <<삼국유사>> 소재의 권미자 시 연구 - 샤머니즘을 중심으로 본 논문의 목적은 <<삼국유사>>를 소재로 창작한 권미자 시에 내재된 샤머니즘 요소를 분석하고 문학적 실현 가능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권미자는 2004년에 등단하여 현재까지 창작 활동을 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발표한 시와 미발표 시를 포함한 총 60여 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방향은 <<삼국유사(三國遺事)>> 소재의 시를 중심으로 진행하고, 샤머니즘 미학의 확장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현실적인 담론을 뛰어넘어 시적 변용을 이루어내는 부분을 탐색하였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샤머니즘 미학을 현대적 관점으로 재해석한 시들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이 작품들은 시적 변용의 과정에서 보이지 않는 심연의 세계를 현재화시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그 결과로써 나타난 샤머니즘 표현은 또 다른 신화 창조처럼 보인다. 본 연구자는 수사적 해석보다는 정서적 분석을 전제로 하여 작품들의 특징을 설명하고자 한다. 샤머니즘이 표현된 시들의 양상을 살펴보면, 인간의 유한성에 대한 근원적 조건을 충족하기 위해 초자연적 존재와 교통하기를 원한다. 이 때 교통하기 위한 의식 행위가 바로 ‘굿’이다. 권미자의 시세계는 이러한 시적 변용을 형상화하는 방법론을 추구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는 ‘초자연적 존재와의 교류’를 추구하는 샤먼의 보편적인 특성이기도 하다. 샤머니즘의 원형은 인간 삶의 근원을 본질로 삼는다. 이러한 특성은 대표적으로 <문무왕, 바다의 말을 배우다>에서 읽어낼 수 있다. 여기에서는 근원적 진실로 이루어진 샤머니즘 요소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신화나 설화를 원형으로 시적 변용하여 창작하여도 이야기의 기본 동기는 변하지 않는다. 이는 대표적으로 작품 <천사옥대>시편과 <문무왕, 바다의 말을 배우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권미자의 시는 샤머니즘 세계관을 지향하고 있으며, 샤머니즘 미학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한다. 특히 <<삼국유사>> 소재 시편을 중심으로 한 이번 연구는 샤머니즘에 내재한 실존적 의미와 그 활용성을 보여준다. 작품 <왕의 춤>의 경우 샤머니즘 미학을 시적 변용한 시세계를 가지고 있으며, 본 연구자는 이 작품을 예시로 은유적으로 내재된 샤머니즘 이미지를 찾아 원형적 의미를 읽어내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또한 <왕의 춤>에 나타난 샤머니즘이 시적 변용의 재구성을 거치면서 현대적 시편으로 창작되는 작법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권미자 시세계는 샤머니즘 요소 중 ‘굿’의 행위에 주요한 시적 의미를 담고 있다. ‘굿’은 시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진행되며 다양한 행위를 보여준다. 이러한 과정이 시세계에서 표현된다. 또한 현재까지 <왕의 춤>을 이어온 사람들인 샤먼이 시적 주체가 된다. 현대 사회에서는 샤먼을 가리켜 원시 형태의 미신이라 여기는 그릇된 편견이 여전하다. 때문에 본 연구자는 참고문헌을 통해 샤머니즘에 대한 올바른 견해들을 보여주고, 구체적인 정황을 들어 긍정적인 발전 가능성을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샤머니즘 미학이 갖는 의의와 가치는 과도한 성과 위주의 산업사회에서 만연해진 ‘몰 인간성’을 극복하고 인간다움을 회복하는데 있다. 권미자의 시세계는 시적 변용이 가능한 토속 신상의 샤머니즘 세계를 지향한다. 샤머니즘 미학의 확장은 자아와 우주가 구분되지 않는 세계관에서 가능하다. 권미자의 연작 시편들은 이러한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다. 결론적으로 권미자의 시세계는 인간 근원의 원초적 관념을 형상화한 원형 이미지를 적극 활용하여 이루어낸 것이라 할 수 있다.

      • 삼국유사 가온누리 콘텐츠 연구 : 일연 문화관 건립을 중심으로

        이영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현재 국책 과제의 일환으로 경상북도 군위군에 테마파크로 건설중인 삼국유사가온누리의 가칭 ‘일연문화관(一然文化館)’에 구축될 스토리텔링과 생태-인지 체험 중심의 콘텐츠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자는 선행연구의 일환으로 삼국유사가온누리의 형성 배경과 일연문화관에 관련한 사례를 분석하고 고찰한 바, 삼국유사가온누리의 핵심 콘텐츠인 얼쑤누리와 아름누리, 그리고 으뜸누리에 반드시 들어가야 할 일연문화관이 결여되어 있음에 주목하였다. 이는 일연문화관이 삼국유사가온누리의 모태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삼국유사』의 일연찬시(一然讚詩)와 일연을 기리기 위하여 왕명으로 세운 보각국존비명(普覺國尊碑銘)에 근거해 새로운 제안을 해 보았다. 본 논문은 모두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장의 주요한 핵심 사항을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제1장은, 연구의 취지와 더불어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연구방법에 대한 도입의 성격을 띤다. 특히 삼국유사가온누리의 공간 구성에 있어 가장 큰 화두인 일연문화관이 빠져 있음에 주목하여, 『삼국유사』에 실린 48수의 일연찬시와 보각국존비명에 실려 전하는 일연의 생애와 업적, 그리고 일연의 사상과 문학세계를 바탕으로 한 스토리텔링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제2장에서는, 테마파크로서 삼국유사가온누리의 속성과 그 형성의 추이를 살펴보았다. 특히 이 장에서는 그동안 건설 중인 콘텐츠 전반에 대하여 성찰하면서 일연문화관의 내용구성에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제3장에서는, 보각국존비명에 실려 있는 일연선사의 생애와 업적에 대한 화소(話素)들을 재해석해 스토리텔링을 하고 이들을 인지체험으로 이어갈 방안을 탐색하였다. 제4장에서는, 『삼국유사』 전편에 나오는 일연의 찬시 48수의 시화(詩話)의 배경이 되는 화소를 찾아내어 이를 재해석하였다. 특히 이들 스토리의 전개를 〔발단-전개-위기-절정-결말〕의 단계로 구조화하여, 방문객으로 하여금 가상현실(VR)과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한 차세대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게 하였다. 제5장에서는, 일연문화관과 연계해 생태-인지 체험을 할 수 있는 콘텐츠를 구축하고 시뮬레이션 하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특히 생태-인지 체험의 현장으로 인각사(麟角寺)의 보각국존비명과 일연의 부도인 정조탑(靜照塔), 석산리약바람 산촌생태마을, 사라온 이야기마을, 삼국유사 화본마을을 들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자연 친화적인 콘텐츠를 연계하여 일연의 생애와 『삼국유사』 스토리를 접목하였다. 『삼국유사』 관련 인문학에 관한 학문적인 연구가 많은 것에 비해 실사구시적인 『삼국유사』 콘텐츠에 대한 담론은 매우 드물다. 본 연구의 의의를 찾자면 바로 여기에 있을 것이다. 그리고 특히 삼국유사가온누리는 일연문화관에 대한 진지한 고민 없이 진행된 결과 형식이 내용을 담보하지 못하고 있다. 논문의 전체적인 얼개를 마무리한 제6장에서는 이러한 점들을 재삼 강조하면서 향후 보완해야 할 내용들을 제시하고 전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