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빅토르 위고의 서정주의를 통해 본 리스트의 'Oh quand je dors'

        박수진 성신여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32303

        헝가리를 대표하는 국민 작곡가인 리스트(Franz Liszt, 1811-1886)는 피아노 작품을 비롯한 다수의 기악 작품으로 유명하다. 그 자신이 잘 알려진 피아니스트이기도 하였고 피아노에 대한 애정이 많았던 그는 많은 수의 피아노곡을 작곡하였고, 현재까지 여러 피아니스트들에 의하여 즐겨 연주되어지고 있다. 반면, 400여 개의 피아노곡에 비해 비교적 적은 수의 82곡이라는 가곡을 작곡하였지만, 동시대의 가곡 작곡가인 슈베르트나 다른 독일 가곡 작곡가들에 비해 그 작곡 기법의 대담함과 개성 면에서 매우 흥미로운 점을 발견할 수 있다. 당시의 많은 비평가들은 리스트가 열렬한 슈베르트 음악의 지지자였던 것으로 미루어보아 그의 가곡 작품은 당연히 슈베르트나 독일 가곡의 전통을 따르고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였다. 그러나 1842년 프랑스의 문호 빅토르 위고(Victor-Marie Hugo, 1802-1885)의 시에 노래를 붙인 "오! 내가 잠잘 때"(Oh! quand je dors)의 첫 번째 버전을 살펴보면 독일 가곡전통의 영향을 받았다기보다는 오히려 이탈리아 음악 스타일을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후기 낭만주의 시대에 이르러 가곡 작곡 분야는 매우 진보되고 대중적인 분야로 자리매김을 하였고, 많은 수의 수준 높은 시 작품들은 가곡 작곡가들에게 가곡 창작을 위한 좋은 자극제가 되기도 하였다. 이런 시와 음악의 관계는 성악가들에게 깊이 있는 시의 해석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 내가 잠잘 때"에 반영된 19세기 위고의 프랑스 서정주의를 통하여 음악적으로 어떻게 영향을 받았는지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 빅토르 위고의 『가을 잎』에 나타난 시간에 대한 관점 연구

        조인하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2239

        Hugo est un écrivain d'une rare fécondité qui a produit de nombreuses œuvres tout au long du XIXe siècle. Sa vie est bien connue ; elle a subi divers et variables changements. Pour cette raison, certains chercheurs n’hésitent pas à dire que ses œuvre s’inscrivent dans un processus progressif continu dont chaque étape est basé sur les grandes étapes de la biographie de Hugo. Cependant, une telle approche de ses œuvres ne paraît pas satisfaisante, parce qu’elle les analyse de façon trop fragmentaire et déprécie la particularité de chaque poème. Elle a d’ailleurs provoqué des malentendus surtout s’agissant des œuvres classées parmi les oeuvres d’“avant l’exil” et les “premières œuvres” de Hugo. Les Feuilles d'automne publiées en 1831 n’échappent pas à ces préjugés. Ce recueil a été souvent décrit soit comme appartenant à la ‘poésie précoce’, soit comme ‘le recueil des poèmes le plus personnel, le plus autobiographique, le plus interne’. Au cours de la période des années 1828 à 1831, lorsque Hugo écrivit les Feuilles d'automne, on constate que la vie de Hugo était instable et sombre. Beaucoup d'études antérieures ont montré que le poète avait de l'anxiété et de l'angoisse à cause d'expériences déprimantes répétées, et par conséquent, les Feuilles d'automne est perçu comme un ‘refuge intérieur’ : un recueil autobiographique et interne parce que l'auteur a détourné les yeux du monde extérieur et ne s’est concentré que sur lui-même. À cet égard, ce recueil s’organise autour du cadre de l’“intime”, et il est aussi considéré comme le recueil de poèmes sur la vie d’un poète de trente ans qui parle de sa famille, de ses amis et de ses amours. Cependant, cette interprétation ne se fonde pas sur l'œuvre elle-même, elle n'est qu'une interprétation fragmentaire, et il y a un risque de simplification et de négligence quant à la valeur et à l'importance des Feuilles d'automne. En réalité, les Feuilles d'automne est une œuvre qui occupe une position tout à fait unique parmi les œuvres de Hugo. Cette oeuvre ne peut pas être simplement interprétée comme appartenant à la ‘poésie précoce’ de Hugo, car elle est à un tournant, et laisse entrevoir ce qui deviendra dans un recueil ultérieur, les Contemplations. Pierre Albouy nous révèle un indice important au sujet de ce receuil : “A cette poésie du monde extérieur s’oppose le lyrisme personnel des Feuilles d’automne ; Les Orientales étant le livre d’où le moi est le plus absent, le recueil qui suit inaugure véritablement la poésie du moi, et, cette fois à nouveau, une très grande œuvre se dessine à l’horizon lointain : Les Contemplations.” Dans ce contexte, il est nécessaire d'examiner les points communs entre les Feuilles d'automne et Les Contemplations, qui sont les deux recueils connu pour cette ‘intimité’ parmi l’ensemble des œuvres de Hugo. Les Contemplations est l’objet de déjà beaucoup de recherches, et les chercheurs abordent ce recueil plus particulièrement par le biais de la notion de ‘temps’. Selon Colette Gryner, les Contemplations sont écrites avec le temps. Ce recueil traite une période de vingt-cinq années, avec le sujet de "l’existence humaine sortant de l’énigme du berceau et aboutissant à l’énigme du cercueil”, et dans lequel le poète déclare même : "Ma vie est la vôtre, votre vie est la mienne." Mais avant cela, les feuilles d’automne était déjà une “autobiographie du vous", 25 ans avant. Bien qu’il existe déjà de nombreuses études sur les Contemplations, les analyses des Feuilles d'automne se limitent à l'aspect ‘intimité’. Or pour bien saisir les Feuilles d'automne, il semble qu’il est nécessaire de comprendre le recueil dans son rapport à la ‘conception du temps’. Nous verrons que la caractéristique commune des Feuilles d'automne et des Contemplations est «la totalité dans l'intimité», et on peut en déduire que le ‘temps’ servit d’axe dans les deux œuvres. En outre, le sujet du ‘temps’ n'est pas étranger de nombreuses œuvres chez Hugo. L’étude sur ses œuvres selon la perspective du temps peut nous permettre de découvrir un trait cohérent qui traverse son œuvre toute entière. Par conséquent, le but de cette étude est d'analyser les travaux centrés sur la ‘conception du temps’, de montrer que l’on ne saurait découper de façon claire et nette entre période de jeunesse et période tardive, et de redécouvrir la valeur des Feuilles d'automne.

      • V. 위고의『웃는 남자』에 나타난 카니발리즘 연구 : 우르수스를 중심으로

        김선욱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2239

        La celo de tiu ?i studo estas klarigi la aspekton de la karnavalismo, kiu estas enkarnigita de Ursus en la romano "La Viro, kiu ridas"(L’Homme qui rit) de Viktoro Hugo. La teorio de karnavalo, kiun iniciatis Mi?ail Ba?tin, demonstras proceduron, kiamaniere la literaturo disbatas negativan realon kaj celadas pozitivan renaskon. La fakto, ke ?i tiu romano estis verkita de la pasio por la respublikismo de Hugo opozicianta al senta?ga regado de la Dua Imperio, ebligas nin reinterpreti la verka?on per vidpunkto de la karnavalismo. Interalie Ursus, la bufono, kiu mokas la oficialan kulturon per sarkasmo kaj degradado, estas persono karnavalisma, kiu entenas renversemon potencialan de la popolo. La karnavalismaj karakteroj, kiuj aperas en la romano estas jenaj : Unue, la humuro emfazas la ridon de la popolo, kiu enhavas homamon kaj malkovras malhumanecan aspekton de la oficiala kulturo. En la vortoj kaj ago de Ursus ni povas konstati la ≪?ojan cinikismon≫ kaj la ≪ridon per larmoj≫. ?i tiuj du elementoj reprezentas pozitivan karakteron de la popolo, kiu per farso kontra?staras al oficiala moro senmoraligita. Due, la korpo montras imagojn de la groteska realismo por simboli ri?econ kaj renaskon karnavalismajn. ?i tiaj imagoj de la korpo kuni?as kun tiuj de la bankedo kaj man?ado kaj deduktas novan rilaton inter homoj kaj maturi?on de la heroo, Gwynplaine. Per ?i tio la karnavalismo de la rakonto atingas elnodi?on. Laste, la degradado malnobligas kaj vulgarigas la oficialan kulturon por denunci ?ian absurdecon internan. La skribado parodia de Ursus provas malkonstrui la dominantan diskuton. ?i tiel farita diskuto de rezistemo cetere montras eblecon de antimonarkio kaj mem funkcias kiel alternativa solvo por renversi malnovan re?imon socialan. Kaj ?i tio formas ideologian fonon, kiu faras Gwynplaine renaski?i praktikulo de la respublikismo. ?i tiu studo resumas aspekton de la karnavalismo de la romano "La Viro, kiu ridas", enfokuse analizante ?i-suprajn tri elementojn por vastigi nian komprenon pri la verka?o. Krom tio, ni povas rimarki, ke la a?toro sublimigis per romana formo siajn defion kaj reagon por establi sanan respublikon en Francio de la mezo de la 19-a jarcento. Ankora? hodia? ni devas sen?ese plibonigi kaj poluri spiritojn de la demokratio kaj de la respubliko. Do, la penso kaj literaturo kreitaj de Hugo, kiuj jam pli frue ser?adis kaj esploradis la saman vojon, povas funkcii kiel klasika?o neperdanta validecon ?is nun. 본 논문의 목적은 빅토르 위고Victor Marie Hugo의 소설『웃는 남자L’Homme qui rit』에서 등장인물 우르수스Ursus가 구현하는 카니발리즘(carnavalisme)의 양상을 살펴보는 데 있다. 바흐친Mikhaïl Bakhtine의 카니발 이론은 문학이 부정적 현실을 해체하고 긍정적 재생을 지향하는 과정을 제시한다. 이 작품이 제2제정의 부정적 사회 현실에 대한 작가 위고의 공화주의적 열망에 기반하여 창작되었다는 점은 텍스트를 카니발리즘의 관점에서 해석할 여지를 준다. 그리고 풍자와 격하를 통해 공식문화를 조롱하는 광대 우르수스는 민중이 지닌 잠재적 전복성이 구체적으로 형상화된 카니발적 인물이다. 작품에 나타난 카니발리즘의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학성은 인간애가 담긴 민중의 웃음을 부각시키며 공식문화의 비인간적인 이면을 폭로하는 기능을 한다. 우르수스의 언동에서 드러나는 ‘유쾌한 냉소주의’와 ‘눈물을 통한 웃음’은 각박한 세태에 익살로 맞서고자 하는 건강한 민중성이다. 둘째, 육체성은 그로테스크 리얼리즘(réalisme grotesque)의 이미지를 제시함으로써 카니발적 풍요와 재생을 상징한다. 이러한 육체의 이미지가 향연 및 음식의 소재와 결합되어 새로운 관계와 성장이 이루어짐으로써 카니발리즘이 대단원에 달하게 된다. 셋째, 전복성은 공식문화를 격하하고 비속화함으로써 그 내적 부조리를 고발하는 역할을 한다. 우르수스가 구사하는 패러디적 글쓰기는 지배담론에 대한 해체를 시도한다. 이렇게 생성된 저항담론은 탈군주제라는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하며 당대의 교착된 사회체제를 전복시킬 대안으로 떠오른다. 그리고 이는 주인공 그윈플레인Gwynplaine을 공화주의의 실천자로 거듭나게 하는 사상적 배경을 형성한다. 본 논문은 이 세 가지의 요소를 중심으로 해서 소설『웃는 남자』가 가지는 카니발리즘의 양상을 고찰해봄으로써 작품에 대한 해석을 확장하는 시도를 진행하였다. 그리하여 우리는 위고가 19세기 중반 프랑스 사회에 건전한 공화국을 정착시키기 위해 벌인 도전과 응전을 소설의 형식을 통하여 예술로 승화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민주주의와 공화주의를 끊임없이 개선하여 발전시켜야 하는 오늘날, 앞서 이러한 노정을 치열하게 탐색한 위고의 사상과 문학은 유효한 고전으로 기능한다. Le but de cette étude est d’expliquer l’aspect du carnavalisme incarné par le personnage Ursus dans le roman "L’Homme qui rit" de Victor Marie Hugo. La théorie du carnaval de Mikhaïl Bakhtine démontre que la procédure littéraire démembre la réalité négative et la reproduction positive. Le fait que cette œuvre ait été fondée par le fondement de la passion pour le républicanisme de Hugo opposé à la réalité sociale négative du Second Empire, donne le choix d’interprétation du texte, du point de vue du carnavalisme. Et Ursus, le bouffon qui se moque de la culture officielle, parle des sarcasmes et la dégradation, est un personnage carnavalesque qui a la forme concrète de l’éversif potentiel du peuple. Les caractéristiques du carnavalisme présentes dans l’œuvre sont les suivantes : Premièrement, l’humour accentue le rire du peuple comprenant l’amour de l’humain et révèle le côté inhumain de la culture officielle. Selon les faits et les dits d’Ursus, le «joyeux cynisme» et le «rire à travers les larmes» sont les caractères du peuple qui souhaite s’opposer par la farce aux mœurs officielles insensibles. Deuxièmement, le corps offre l’image du réalisme grotesque pour symboliser la richesse et la reproduction carnavalistiques. Cette image du corps s’unit à l’image du banquet pour déduire une formation et une croissance de la nouvelle relation, pour le dénouement du carnavalisme. Finalement, le rabaissement dégrade et vulgarise la culture officielle pour dénoncer l’absurdité interne. L’écriture parodique d’Ursus essaie de démanteler le discours dominant. Ce discours de résistance produite ainsi montre un nouveau panneau antimonarchique et se révèle comme une solution de remplacement pour submerger le régime social. Et cela forme l’arrière-plan d’opinion qui permet de faire renaître Gwynplaine comme pratiquant du républicanisme. Cette étude résume l’aspect du carnavalisme du roman "L’Homme qui rit" en se centrant sur trois éléments pour essayer d’élargir l’interprétation de l’œuvre. Ainsi pouvons-nous reconnaître que Hugo a sublimé en art romanesque son défi et sa riposte en faveur d’une république saine dans la société française au milieu du XIXe siècle. Ce jour, nous devons améliorer sans arrêt la démocratie et le républicanisme pour les développer, ainsi la pensée et la littérature que Hugo a recherchées avec acharnement fonctionneront comme un classique valide.

      • F.P. Schubert의 두 개의 가곡 (Goeth의 시: Op.14, Op.31)과 F. Liszt의 네 개의 가곡 (Hugo의 시: Op.276, Op.284, Op.282, Op.283)에 대한 연구

        강수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220

        본 논문은 필자의 석사과정 졸업연주 프로그램 중 요한 볼프강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의 시에 프란츠 피터 슈베르트(Franz Peter Schubert, 1797-1828)가 곡을 붙인 가곡 SuleikaⅠ, SuleikaⅡ 와 빅토르 위고(Victor Hugo) 시에 프란츠 리스트(Franz Liszt, 1811-1886)가 곡을 붙인 여섯 개의 가곡 중 네 개의 가곡 “Comment, disaient-ils” (어떻게 하면, 그들이 말하네), “S’il est un charmant gazon” (매혹적인 풀밭이 있다면), “Oh! quand je dors” (오! 내가 잠이 들었을 때), “Enfant, si j'étais roi” (내가 만약 왕이라면)에 대해 각 곡의 이론적 배경과 곡의 분석을 통하여 작품의 특징과 구성을 살펴보았다. 가곡의 왕으로 불리는 F.P. Schubert는 31세의 짧은 생애 동안 많은 곡을 작곡한 작곡가이다. 슈베르트는 괴테와 하이네 같은 낭만주의 서정시에 매료되어 10대 후반부터 많은 곡을 작곡하였는데 특히 그는 괴테를 존경하여 57편이나 되는 괴테의 시에 곡을 붙였다. 슈베르트의 SuleikaⅠ과 Suleika Ⅱ는 괴테가 자신의 연인 마리안네 폰 빌레머(Marianne von Willemer)와 죽을 때까지 주고받은 서신을 바탕으로 엮어진「서동시집」중 제 8편 <줄라이카의 서>의 두 편의 시로 작곡되었다. 이 두 곡은 연인을 만나러 가는 설렘과 연인과 헤어지고 돌아가는 이별의 아픔을 ‘바람’이라는 매개를 등장시켜 화자의 마음을 전하고 있다. 확장된 피아노 반주의 역할과 아름다운 선율, 시의 구조에 따른 곡의 형식, 빠르기의 배열, 반주 음형, 조성, 다양한 화성을 사용하여 시 속에 담긴 극적이고 강렬한 감정을 음악으로 탁월하게 그려내었다. 헝가리 출신의 작곡가인 F. Liszt는 근대 피아노 기법의 창시자이자 가장 뛰어난 피아니스트이다. 그는 400여곡의 피아노곡을 작곡하였고 관현악이나 오페라 같은 대규모의 음악을 피아노로 편곡하였으며 여러 나라의 언어를 사용하여 80여 곡에 달하는 가곡을 작곡하였다. 빅토르 위고의 시에 곡을 붙인 여섯 개의 가곡 중 네 개의 가곡 “Comment, disaient-ils” (어떻게 하면, 그들이 말하네), “S’il est un charmant gazon” (매혹적인 풀밭이 있다면), “Oh! quand je dors” (오! 내가 잠이 들었을 때), “Enfant, si j’étais roi” (내가 만약 왕이라면)는 네 곡 모두 프랑스 시어를 사용함으로 각 곡에 통일성을 부여하였고 ‘사랑’이라는 공통의 주제를 가지고 있다. 가사의 뜻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형식을 사용하였으며, 피아노 반주부의 유려한 선율과 빠르기와 리듬, 조성, 화성의 변화를 통해 리스트의 가곡의 특성들을 보여주고 있다. This thesis is based on Johann Wolfgang von Göethe's poem "Comment, disaient-ils" (how, They say), “S'il est un charmant gazon” (if there is a enchanting meadow), “Oh! quand je dors” (Oh! When I fell asleep) and “Enfant, si j’étais roi” (If I were a king), the composition of the works through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analysis of each song were looked into. Franz Schubert (1797-1828), who is called “king of the song”, composed more than 600 songs and made artistic songs, which take root as an independent music genre. In addition, he brought the emotions which diffused in poetry into music. In the 8th volume of the West-östlicher Divan, 'Suleika Nameh', which is based on Goethe's correspondence with his lover Marianne von Willemer until his death, includes lots of poems. This thesis is analysis of Schubert’s two works,「Suleika I」(Op. 14, D. 720) & 「Suleika II」(Op. 31, D. 717), from ‘Suleika Nameh’. These two songs express the emotion of the speaker, like the excitement of going to meet a lover and the pain of detachment, through “wind”. Inside the music, the role of extended piano accompaniment, beautiful melody, form of the song according with the structure of the poem, arrangement of tempo, accompaniment sound type, tonality, and various harmony were used to express the dramatic and intense emotions contained in the poem. Franz Liszt (1811-1886), a Hungarian composer, is the founder of modern piano technique and one of the greatest pianists. He composed about 400 piano pieces, arranged large-scale music such as orchestral music or opera, and composed about 80 songs in various languages. This thesis looked into four of the six songs which adapted Victor Hugo's poems. Those are “Comment, disaient-ils” (how they say it), “S'il est un charmant gazon” (if there is a charming meadow), “ Oh! quand je dors” (Oh! When I fell asleep) and “Enfant, si j'étais roi” (If I were a king). Those four songs with a unique structure give the unity to music by using French poetic words and have a common theme of love. Various forms are used to express the meaning of the lyrics clearly. Moreover, the fluid melody of the piano accompaniment, the tempo, the rhythm, the composition, and the changes in harmony are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Liszt's songs.

      • V.Hugo의 시에 붙인 F.Liszt가곡 中 네 개의 가곡(Op.284 No.25, Op.276 No.12, Op.283 No.24, Op.282 No.12)과 S.Rachmaninoff의 네 개의 가곡(Op.4 No.3, Op.4 No.4, Op.21 No.7, Op.14 No.11)에 대한 분석연구.

        김우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220

        This thesis is based on the poems of Victor Hugo by Franz Liszt (1811-1886) in my master's graduation performance program: S'il est un charmant gazon (If there is a charming meadow), "Comment, disaient-ils“ (“how to” they say), Enfant, si j'éais Roi (if I were a king), Oh! quand je dors (oh, When I fall asleep) and Sergei Vasil'evich Rakhmaninov (1873-1943) О, долго буду я, в молчаньи (Oh, for a long time, in the silence of that mysterious night), Не пой, красавица, при мне (don't sing for me, beautiful beauty), Здесь хорошо (I love it here), Ещнё в полях (Spring flood) the characteristics and composition of each song were examined. Franz Liszt (1899-8289) was a pianist and composer who composed about 80 songs. Most of the songs were composed in German poems, but he also composed poetry written in various languages such as Italian, French, Hungarian, and English. Four of the French songs on the list are <S'il est un charmant gazon (if there is a charming meadow)>, <Comment, disaient-ils (“how to” they say)>, <Enfant, si j'éais Roi (if I were a king)>, <Oh! quad je dors (oh, when I fell asleep)>. All four songs have the theme of 'love' and are songs that show the characteristics of Liszt as a pianist and Hugo's beautiful poems and Liszt's lyrical melody are in harmony. Rachmaninov was a Russian composer and pianist. He did not follow the prevailing nationalist music trend in Russia at the time, but, like Pyort Ilyich Tchaikovsky (1840-1893), adhered to music as a late Romantic composer. In <6 романсов Op.4> (Six Romances), No.3 songs <О, долго буду я, в молчаньи ночи тайной (Oh, for a long time, in the silence of that mysterious night)> and No.4 songs < Не пой, красавица, при мне (Don't Sing For Me, Beautiful Beauty)> and <12 романсов Op.21> (12 Romance), No.7 <Здесь хорошо (I love this one)> Op.14 (12 Romance), 11th <Ещё в полях белеет снег (Spring Flood)>. This thesis deals with the above mentioned 4 songs composed by Russian poets. It is a work that stands out for its harmonic progress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a pianist Rachmaninoff, which is a good representation of post-Romanticism. 본 논문은 필자의 석사과정 졸업연주 프로그램 중, 프란츠 리스트(Franz Liszt, 1811-1886)가 Victor Hugo의 시로 작곡한 4개의 가곡 “S’il est un charmant gazon”(매혹적인 풀밭이 있다면), “Comment, disaient-ils”(어떻게하면, 그들이말하네), “Enfant, si j’éais Roi”(내가 만약 왕이라면), “Oh! quand je dors”(오! 내가 잠이 들었을 때)과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Sergei Vasil’evich Rakhmaninov, 1873-1943)의 <6 романсов Op.4;No.3>“О, долго буду я, в молчаньи ночи тайной”(오, 오래도록 나는, 그 신비한 밤의 침묵 속에서), <6 романсов Op.4;No.4> “Не пой, красавица, при мне”(나를 위해 노래하지마, 아름다운 미녀여), <12 романсов Op.21;No.7>“Здесь хорошо”(여긴 너무 좋아요), <12 романсов Op.14;No.11>“Ещё в полях белеет снег”(봄의 홍수)을 중심으로 각 곡의 특징 및 구성을 살펴보았다. 프란츠 리스트 (Franz Liszt, 1899-8289)는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로 80여개에 달하는 가곡을 작곡하였다. 가곡들은 대부분이 독일어로 된 시로 작곡되었지만 그 외에도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헝가리어, 영어등 다양한 언어로 쓰여진 시에도 작곡을 하였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중에서 빅토르 위고 (Victor Hugo, 1802-1885)의 시로 만든 6개의 가곡 중 4개의 가곡을 연구하였다. 이 곡들은 프랑스어로 작곡되었으며 4곡 모두 ‘사랑’을 주제로 하고 있다. 피아노 반주부의 확장과 유려한 선율, 극적인 곡의 형식등은 당대 최고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이었던 리스트의 음악적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는 곡들로서 빅토르 위고의 아름다운 시와 리스트의 서정적인 선율이 조화를 이룬 작품이다. 라흐마니노프는 러시아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로 그는 당시 러시아에서 지배적이던 민족주의 음악의 흐름을 따르지 선율이 매우 서정적이고 아름다운 불협음을 최소화한 음악을 고수하였다. <6 романсов Op.4>(6개의 로망스들)에서 아파나시 페트(Afanasy Afanasyevich Fet, 1820-1892)의 시로 작곡한 No.3곡 “О, долго буду я, в молчаньи ночи тайной”(오, 오래도록 나는, 그 신비한 밤의 침묵 속에서)와 알렉산드르 푸시킨(Aleksandr Sergeevich Pushkin, 1799-1837)의 시로 작곡한 No.4곡 “Не пой, красавица, при мне”(나를 위해 노래하지마, 아름다운 미녀여), <12 романсов Op.21>(12개의 로망스들)에서 글라피라 아돌포브나 갈리나(Glafira Adol'fovna Galina, 1870-1942)의 시로 작곡된 No.7곡 “Здесь хорошо”(여긴 너무 좋아요)와 <12 романсов Op.14>(12개의 로망스들)에서 표도르 이바노비치 튜체프(Fyodor Ivanovich Tyutchev, 1803-1873)의 시로 작곡한 No.11곡 “Ещё в полях белеет снег” (봄의 홍수) 이렇게 총 4곡을 다루었다. 낭만주의적 화성진행과 확장된 전, 후주 그리고 낮은 음역과 높은 음역을 아우르는 넓게 펼쳐진 선율의 사용 등은 후기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작곡가이자 지휘자이자 피아니스트였던 라흐마니노프의 음악적 특징이 두드러지는 작품이다. 이렇게 총 8곡의 작품을 각 곡의 형식과 구성을 살펴본 후 시와 시의 해석을 분석하고 악보를 심층적으로 실제적 연주에 도움이 되도록 연구하였다.

      • 소설 『웃는 남자』의 뮤지컬 전환 연구 : 서사 방식과 시·청각의 변용을 중심으로

        소유정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218

        원작 소설의 무대화는 곧 장르의 변화를 의미하기 때문에 각색 단계에서 내러티브변용 뿐만 아니라 표현 방식에도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다. 소설에서 뮤지컬로의 매체 전환은 1차원에서 3차원으로의 변형이기 때문에 결국 언어적 표현의 시·청각화가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소설과 뮤지컬이 상이한 특징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문학 소설이 지속적으로 뮤지컬로 변용되는 까닭을 밝히고, 이것이 어떤 방식으로 각색이 이뤄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 가장 핵심으로 여기고 있는 시·청각적 요소의 변용에 특히 주목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연구 대상으로 소설 『웃는 남자』와 뮤지컬 <웃는 남자>로 선정했으며, 소설 『웃는 남자』에서 뮤지컬 <웃는 남자>로 변용되는 과정에서 시·청각적 요소의 변화를 통해 작품의 메시지와 의미를 어떻게 녹이고 구현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매체 전환과 각색에 관련된 선행연구 및 문헌 조사를 통해 매체 전환의 개념과 유형, 각색의 의미와 방식을 알아보았다. 이후 뮤지컬의 시·청각적 요소가 수용되는 방법을 분석하기 위해 소설과 뮤지컬의 차이점과 뮤지컬만이 가지는 시·청각적 구성요소에 대해 정리하여, 이를 토대로 ‘뮤지컬의 시·청각적 변용 연구’를 위한 관점을 확립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정립을 바탕으로 소설 『웃는 남자』를 뮤지컬 <웃는 남자>로 매체 전환 시 소설이 뮤지컬로 어떻게 변용되어 나타났는지 서사 방식과 시·청각적 변용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뮤지컬 <웃는 남자>는 원작 소설의 서사를 최대한 활용하여 뮤지컬로 전환한 점과 소설의 주제와 메시지를 뮤지컬의 다양한 시·청각적 요소를 통해 충실하게 구현한 점, 더불어 현대적 관점에서 대중들이 모두 공감할 만한 보편적 욕망인 ‘행복’의 주제를 더하여 상징적이고 함축적으로 무대에 구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When the original novel gets transformed into a stage production, the genre chang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ok at not only the change in narrative, but also the way to express the media in the adaptation stage. In other words, visualization and audioization of the linguistic expression are the key of the media transition from novel to musical because it is a transformation from one dimension to three dimensions. This raises questions about why literary novels are continuously transformed into musicals even with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novels and musicals, how novels are being arranged for the stages, and how visual and auditory elements are being used during the arrangement. Accordingly, this paper selected the novel "The Man Who Laughs" and its musical counterpart for research. This research analyzed and examined how the meaning of the message was conveyed and how perfectly it was implemented mainly based on the visual and auditory elements in the transformation process. The research stages are as follows. The concepts and the types of media transformation and the meanings and the methods of the adaptation through preceding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related to media transformation and adaptation. In order to analyze how the visual and auditory elements of musicals are adapted, the differences between novels and musicals and the visual and auditory components of musicals were summarized in this paper. Based on this, a perspective for the study of visual and auditory transformation of musicals was established. This paper compared and analyzed how the novel "The Man Who Laughs" was converted into a musical, focusing on the narrative techniques and the visual and auditory transforma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concept and perspective established in the earlier stage of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novel "The Laughing Man" was arranged into a musical symbolically and implicitly by getting the best of the original novel's narrative, implementing the novel's theme and message through various visual and auditory elements, and adding ‘happiness’ as its theme, which is a general desire of people in the modern perspective.

      • 『레 미제라블』의 근대 한국어 번역 연구 : 일본어 기점 텍스트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윤경애 계명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32218

        In Korea, Les Miserables was first translated by Choi Nam-sun in the title of Historic Novel ABC Group published through 'Sonyun' (Youth) No. 19, and in 1918, Min Tae-won translated & published in series of the Les Miserables through 'Maeil Shinbo'(Jul. 28, 1918 – Feb. 8, 1919) in the title of Aesa(Miserable History). In addition, in 1922, the book titled Aesa(Miserable History) that Hong Nan-pa translated Les Miserables in Korean-Chinese mixed-up style was published. In the modern times of Korea when the translation of Western literature first began, and was also a period of radical transition, the translation was enabled not by the original text, but through the Japanese translated version to result in various transformations in the contents. Especially, Les Miserables is a representative work that shows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translation shown for each period, including the time of enlightenment (1895 – 1910), the forced reign (1910s) and the time of cultural reign (1920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abl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Korean version of Les Miserables that shows the chronological characteristic aspects of modern translation in Korea to the English translation version and French original version from the Japanese translated texts that the Korean version was translated. Through this, the purpose is to define the purpose & method of translation, and to verify the transformation in the narrative structure. Also, considerations will be made on whether the political & social background of modern times in Japan and Korea had influence on the selection of the Japanese translated text and on the transformation in the translation process, so that this study can reveal in detail on why and how the texts of Les Miserables was translated from the translation to English, Japanese and into Korean. Through the bibliography survey for this study, it was discovered that the original Japanese translated text for Hong Nan-pa’s Aesa(Miserable History) was the Aishi(Miserable History) by Tokuda Shusei, and that Min Tae-won referred and added considerable amount not only from Kuroiwa Ruiko, but also the Aishi(Miserable History) by Tokawa Shukose. Also, the English translated text used by Hara Hoisan’s ABC Kumiai(ABC Group) and Kuroiwa Luiko’s Ahamujo(Woe is me) was discovered. Studying the original text for characterization is mandatory to verify the translation method, and to check the contents that were transformed. Especially for the Aesa(Miserable History) by Hong Nan-pa, existing studies evaluated that the Ahamujo(Woe is me) by Kuroiwa Luiko was summarized and translated to have lower quality in translation compared to Min Tae-won, but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Hong Nan-pa translated through faithful translation method from the Aishi(Miserable History) by Tokuda Shusei to show the aspect of modern translation. Th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n the text showed that in the translation method, Choi Nam-sun translated the main characters into Chinese characters, and other characters and names of places were all transliterated in translation. The translation rate of character names by Min Tae-won is higher than Choi Nam-sun, and in terms of translation on the names of places, they were translated partially to show very hybrid translation method. This hybrid translation method by Choi Nam-sun and Min Tae-won is not creative, but only following the translation method in the Japanese translated version, but instead of the Japanese names translated by the Japanese translator on the unfamiliar foreign culture, the names were translated to familiar Korean names, which shows the intention of the translator to erase the traces of second-hand translation through Japan, and to accommodate within the Korean language. Unlike the previous two translators, Hong Nan-pa strictly kept the transliteration except for the Chinese names of the countries such as '美國', '佛蘭西' and '英國' that we still use today. The translation method of proper nouns by Hong Nan-pa could use a modern translation method that is similar to the original text-oriented translation method that we use today. In terms of the purpose of translation, Choi Nam-sun clearly reveals in the preface of ABC Group that his purpose of translation is not as a work of art, but to be read as a book of lesson. He insisted on learning the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spirit of the French youth. Min Tae-won didn’t reveal his purpose of translation, but introduced the purpose through the preview of the series in 'Maeil Shinbo' that his purpose of translation was to introduce the masterpiece from a writer of great literature. Hong Nan-pa also revealed that his purpose of translation was to introduce a literary work from a writer of great literature of Victor-Marie Hugo. When we look at the transformation of the narrative structure from the purposes of translation revealed by Choi Nam-sun, Min Tae-won and Hong Nan-pa, Choi Nam-sun and Hong Nan-pa translated not only the paragraphs and sentences of the overall narrative structure on the Japanese translated text faithfully, but also didn’t have any additions or deletions from the Japanese translated text. Instead of transforming the Japanese translated text for the purpose of translation, the target text preferred was created in the method of 'selecting' the Japanese translated text according to the purpose. As for Min Tae-won, the narrative structure of Kuroiwa Luiko was adopted, but there were considerable amount of additions and deletions. The 'fun' and 'social criticism' in the preface of Kuroiwa Luiko were all emphasized and these were all realized in the text, whereas Min Tae-won emphasized more on delivering the story for fun rather than social criticism. The translators in the modern times such as Choi Nam-sun, Min Tae-won and Hong Nan-pa personally selected the original text and even the method of translation. In the time of enlightenment, the original text and translation trend were selected for the purpose of patriotism and enlightenment, and in the time of forced reign with great Japanese repression since the Japan-Korea Treaty of 1910, translation of novels and pure literature was for fun in the commercial purposes. In the period of cultural reign after the 3.1 Movement, translation trend and original text were selected in accordance to the mainstream of pure literature translation. The translations introduced during the times of enlightenment and forced reign showed issues of one-way translation method of the translator translating at his or her own will, damaging the original text, and the absence in serious introspection. However, based on the purposes of translation by Choi Nam-sun, Min Tae-won and Hong Nan-pa, they selected the original texts that comply with their own purposes and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and translated in the method faithful to the purpose. 한국에서 『레 미제라블』은 1910년 잡지 『소년』에 「歷史小說 ABC契」라는 제목으로 최남선에 의해 최초로 번역되었고 1918년 『매일신보』(1918.7.28-1919.2.8)에 「哀史」라는 제목으로 민태원이 『레 미제라블』을 번역, 연재하였다. 그리고 1922년 홍난파가 『레 미제라블』을 국한문 혼용체로 번역한 단행본 『哀史』를 발표하였다. 서구문헌 번역의 태동기이자 급격한 전환기이기도 했던 근대 한국에서는 원본이 아니라 일본어 번역본을 기점 텍스트로 번역하면서 다양한 변용이 이루어졌는데, 특히 『레 미제라블』은 1895년부터 1910년까지의 개화기와 1910년대의 무단통치기, 1920년대의 문화통치기라는 시기별로 나타나는 번역의 특징적 양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와 같은 한국 근대 번역의 태동기에 시기별 특징적 양상을 보여주는 『레 미제라블』의 한국어 번역본과 그 기점 텍스트인 일본어 번역본을 중심으로 영어 번역본과 프랑스어 원문과의 텍스트 비교 분석을 통해 번역 목적, 번역 방법, 서사구조의 변용 양상을 규명하는 데 있다. 또한 근대 일본과 한국의 정치적 사회적 배경이 기점 텍스트의 선택과 번역 과정에서의 변용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도 고찰함으로써 『레 미제라블』이라는 하나의 텍스트가 영어 번역과 일본어 번역을 거쳐 한국어로 번역되면서 어떤 목적에서 어떻게 변용되었는지 구체적으로 밝히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서지 조사를 통해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았던 홍난파 『哀史』의 기점 텍스트인 일본어 번역본이 도쿠다 슈세이(徳田秋聲)의 『哀史』라는 점, 민태원이 구로이와 루이코(黒岩涙香)뿐만이 아니라 도가와 슈코쓰(戸川秋骨)의 『哀史』를 상당부분 참고하여 첨가했다는 점을 발견하였고 하라 호이쓰안 『ABC組合』과 구로이와 루이코(黒岩涙香) 『噫無情』의 기점 텍스트인 영어 번역본을 발견하였다. 기점 텍스트를 조사하여 특정하는 것은 목표 텍스트의 번역 방식과 변용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홍난파 『哀史』의 경우 기존의 연구에서는 구로이와 루이코(黒岩涙香)의 『噫無情』을 축약하여 번역함으로써 민태원에 비해 번역 수준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어 왔으나 본 연구를 통해 홍난파는 도쿠다 슈세이(徳田秋聲)의 『哀史』를 기점 텍스트에 충실한 번역 방법으로 번역함으로써 현대적 번역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텍스트 비교 분석 결과 먼저 번역 방법에서 최남선은 주요 등장인물은 한자어로 번안하였고 그 외의 인물과 지명은 모두 음차 번역하였다. 민태원은 인명의 번안 비율이 최남선 보다 더 높고 지명 번역에서도 일부 지명의 경우 번안함으로써 매우 혼종적인 번역 방법을 보여주었다. 최남선과 민태원의 이와 같은 혼종적 번역 방법이 독창적인 것이 아니라 일본어 텍스트의 번역 방법을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지만 낯선 외국 문화에 일본인 번역자가 번역한 일본인 이름이 아니라 익숙한 한국어 이름으로 번역함으로써 일본을 통한 중역이라는 흔적을 지우고 한국어 속에 수용하고자 하는 번역자의 의도를 엿볼 수 있다. 홍난파의 경우 앞의 두 번역자와 달리 ‘美國’, ‘佛蘭西’, ‘英國’과 같은 오늘날에도 쓰이는 한자 국명을 제외하고 철저히 음차 번역하였다. 홍난파의 고유명사 번역 방법은 현대의 원문중심 번역방법과 흡사한 현대적 번역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번역 목적에서 최남선은 『ABC契』의 서문에서 자신의 번역 목적을 예술 작품보다는 교훈서로 읽기를, 프랑스 혁신 시대의 역사와 청년의 정신을 교훈삼기를 바란다고 분명히 밝히고 있다. 민태원은 역자 자신이 번역 목적을 밝힌 것이 아니라 『매일신보』에서 연재 예고를 통해 대문호의 걸작을 소개하는 것에, 홍난파도 빅토르 위고라는 대문호의 문학작품을 소개하는 것에 번역 목적을 둔다고 밝히고 있다. 최남선과 민태원, 홍난파가 밝힌 번역 목적에 비추어 서사 구조의 변용을 살펴보면 먼저, 최남선과 홍난파는 기점 텍스트인 일본어 번역본을 전체 서사구조는 물론 문단과 문장 수준까지 번역자의 첨가나 삭제 없이 충실히 번역하였다. 기점 텍스트를 변용하여 번역 목적에 맞는 목표 텍스트로 변용하기보다는 목적에 맞는 기점 텍스트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원하는 목표 텍스트를 만들어냈다고 할 수 있다. 민태원의 경우 구로이와 루이코의 서사구조를 가져오기는 했지만 첨가와 삭제가 적지 않게 이루어졌다. 구로이와 루이코가 서문에서 ‘재미’와 ‘사회비판’ 양쪽을 모두 강조하였고 텍스트 안에서 이를 모두 구현한데 비해 민태원은 사회비판 보다는 재미를 위한 스토리의 전달을 강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최남선, 민태원, 홍난파와 같은 근대의 번역자는 원본을 직접 선택하고, 번역의 방식까지도 결정했다. 개화기에는 애국 계몽적 목적에서, 한일병합 이후 일제의 억압이 극심했던 무단통치기에는 상업적 목적에서 재미를 추구한 소설번역이나 순문학 번역이, 3.1운동 이후의 문화통치기에는 순문학 번역이 주류를 이루던 당시의 번역 경향에 맞는 기점 텍스트를 선택했다고 할 수 있다. 근대에 번역된 한국어 번역물은 번역자의 의도대로 번역이 이루어지는 일방통행식의 번역 방법이라든가 기점 텍스트의 훼손, 번역에 대한 진지한 성찰의 부재와 같은 문제점을 던져주었다. 하지만 최남선과 민태원, 홍난파의 번역 목적을 기준으로 한다면 이들은 자신들의 목적과 시대적 상황에 부합하는 기점 텍스트를 선택하였고 목적에 충실한 번역 방법으로 변용하여 번역했다고 할 수 있다.

      • L'imaginaire de Victor Hugo dans l'oeuvre de l'exil : la vision dynamique de l'etre

        김희경 Universite Stendhal-Grenoble III 1993 해외박사

        RANK : 232203

        살해 T 임파구가 전구세포로부터 분화 성숙되는 경로는 복잡한 현상 및 신호전달 등에 의한 것으로 그 기전은 잘 밝혀져 있지 않지만 궁극적으로는 표적세포를 특이적으로 인지하여 죽이는 능력을 가진 주세포들의 현상이다. 휴지기 상태의 CD8+살해 전구세포들은 외부 세포 표면에 표현된 Class I MHC 물질 또는 자가 Class I MHC분자와 분획된 외부 단백질 복합체에 의해 활성 유도된다. CD4+ T 임파구의 전구세포는 서로 다른 Class II MHC 분자 또는 항원 표출 자가세포에 있는 Class I MHC 분자와 분획된 항원단백 분획복합체에 의해 활성화된다. CD4+ 살해 T 림프구는 MHC제한을 받는 형태로 로테리아 또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표적세포를 특이적으로 죽인다고 확인되어 왔다. 그러나 그 기전은 아직 확실하게 규명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CD4 항체를 이용 인간 및 소의 T 림프구를 CD4 분자들을 결속시켜 SRC계의 Tyrosine Kinase중 하나인 P56lck활성도를 증가시킴으로써 CD4+ T 림프구의 항바이러스효과를 유도하였다. 이렇게 유도된 CD4+ T 림프구는 Bovine Herpesvirus-1(BHV-1) 또는 Herpes Simplex Virus-1(HSV-1)에 감염된 Canine Osteosarcoma D17 세표는 물론 바이러스에 감염된 Autologous와 Allogeneic한 말초 신경세포를 죽였지만, 암세포들 즉K562, Daudi 그리고 BL3와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표적세포를 죽이는 데는 실패하였다. Allospecific한 CD4+ T 세포 Clone들도 CD4가 결속을 받게되면 새롭게 분리된 CD4+ T 세포의 경우에 있어서와 같은 양상을 보여주었다. 항체에 의해 활성화된 CD4+ CTL의 살상능력은 Protein Tyrosine Kinase(PTK) 억제제의 일종인 Herbimycin A에 의해 완전히 차단 당했지만 Protein Kinase C(PKC) 억제제인 Bisindoy1-Amaleide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Herbimycin A로 처리된 CD4+ 세포들은 CD4가 결속되었음에도 불구하고 PTK 활성도를 높이거나 BHV-1에 감염된 표적세포를 살해하는 데 실패하였다. CD4의 결속은 TNF-β와 RNA 전사를 증가시키지 못한 반면 항체에 의해 활성화된 주세포들이 바이러스와 함께 배양시켰을 때 TNF-β의 생성이 증가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TNF-β에 대한 항체는 주세포들의 살해 활성도를 부분적으로 중화시켰으며 이는 곧 TNF-β 이외의 다른 살해 분자들도 관여한다는 것을 암시시켜주고 있다. 세포표면의 분자를 결속시킨 후 CD4+ T 세포들에 의해 보여지는 살해 능력을 보다 더 깊게 이해한다는 것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들에 의한 살해활성도의 기전을 밝히는데 크게 공헌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