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중독, 일가정갈등, 조직몰입 및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 : -일가정갈등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현주 경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중독, 일가정갈등, 조직몰입 및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분석과 이들 관계에서 일가정갈등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여 뷰티서비스산업 경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전문적인 인적자원의 효과적인 관리에 기여 하고자 하는 것이다. 서울 및 5대 광역시와 경상북도에서 뷰티서비스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20-50대 뷰티산업종사자 4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통계프로그램은 SPSS 28.0, AMOS 26, SPSS Macro 28.0을 이용 하였다. 실증분석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중독과 일가정갈등의 관계에서 일향유는 WFC(직장가정갈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일몰입과 일강박은 FWC(가정직장갈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중독과 조직몰입 간 관계에서 일강박과 일향유는 가치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냈고, 일몰입과 일강박은 소속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중독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일몰입과 일향유가 삶의 질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가정갈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FWC(가정직장갈등)는 소속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가정갈등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WFC(직장가정갈등)는 삶의 질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가정갈등은 일중독과 조직몰입 및 삶의 질의 관계를 매개한다고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가정갈등은 일몰입, 일강박, 일향유와 조직몰입 및 삶의 질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가정갈등의 완화를 위해 근무환경 처우 개선 및 유연한 조직문화의 구축, 전문적인 교육의 확장 및 기회를 제공, 서비스 품질의 표준화의 마련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뷰티산업종사자들이 최적의 근무환경에서 즐겁고 여유롭게 일하며, 일가 가정 사이의 갈등을 최소화시켜 조직몰입과 삶의 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aise the efficiency of beauty service industry management and contribute to the effective management of professional manpower by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beauty industry workers’ workaholism, work-family conflic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quality of life and verifying the mediator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The research investigated 400 beauty industry workers in their 20s to 50s living in Seoul, five major metropolitan cities, and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used SPSS 28.0, AMOS 26, and SPSS Macro 28.0 for the statistical program. The summary of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 empirical testing is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industry workers’ workaholism and work-family conflict, work enjoyment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WFC, and work involvement and inner drive to work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WC.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industry workers’ workaholism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ner drive to work, and work enjoy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value commitment, and work involvement and inner drive to work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embership commitmen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industry workers’ workaholism and quality of life, work involvement and work enjoy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industry workers’ home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WC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embership commitment. Fif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quality of life, WFC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Sixth, it was analyzed that the work-family conflict of beauty industry worker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aholism,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quality of life. Combining the results above, the work-family conflict of beauty industry workers was shown to mediate the relationships among work involvement, inner drive to work, work enjoy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quality of life. It is to present the need for the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treatment, the establishment of flexible organizational culture, expansion, and provision of professional education and opportunity, and establishment of service quality standardization to alleviate the work-family conflict of the beauty industry workers. Through the improvement, the beauty industry workers will be able to engage in their optimum working environment pleasantly and comfortably and aim for an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quality of life by minimizing the conflict between work-family.

      • 뷰티산업종사자의 한미FTA인식 분석 연구

        이동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한미FTA(Free Trade Agreement, 자유무역협정)이 2011년 11월 국내 비준을 마치고 2012년 12월 발효된 시점에서, 뷰티산업에서의 영향력을 가늠해보고자 하고자 시작됐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뷰티산업종사자의 한미FTA 인식 연구’를 진행했다. 2006년 한미FTA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이후 각 산업 분야에서는 지각변동을 예측하고 다양한 논의를 진행해 왔다. 특히 농업 분야, 자동차 분야와 금융, 법률, 교육 등 미국이 우월적 지위에 있는 산업분야에서는 끊임없이 대응방안을 모색해 왔다. 그러나 뷰티산업 분야에서는 한미FTA에 대한 연구가 미진해 본 연구에서는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인식부터 조사하고자 했다. 미국은 우리의 주요 수출대상국이자 세계 최대의 내수시장 보유국으로써 미국과의 FTA는 우리나라의 경제 수준 향상의 새로운 기회가 되리라는 측면이 한미FTA에 대한 가장 큰 기대로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모든 산업에 이러한 핑크빛 전망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뷰티산업분야에서도 한미FTA 협정 발효 이후를 모색하고 대비하는 일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 뷰티산업종사자들이 한미FTA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 지 알아보는 것은 한미FTA가 발표된 시점에서 필수적인 기초 작업일 것이다.

      • 4차 산업 혁명에 따른 고용환경변화가 뷰티 서비스산업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은정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3343

        Changes in the employment environment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influencing various factors, such as the emergence of new jobs and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employment security due to the globaliz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dustries. Korea's beauty service industry, where human value creation is the key, is highly dependent on human resources. It is an absolute role that satisfies customers' aesthetic desires and various needs, and it can be said to be a spokesperson representing the company It is inferred that job anxiety percept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mployees in the beauty industry, where changes in the employment environment cause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ve a high human dependence, will affect turnover intention.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evidence on how effective it affects job anxiety perception, organizational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job satisfaction, job anxiety aware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ve mediating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due to changes in the employment environment and industrial structure of the fourth industry recognized by beauty industry worker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sustainabl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beauty workers due to changes in the employment environment of the beauty industry and the methods necessary for conflict management in the industrial field were verified from an empirical point of view. An empirical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beauty industry worker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ustainable job satisfaction, job anxiety percep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beauty industry workers. A total of 6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August 15 to September 10, 2022, and the final 604 copies were selected as samples for analysis. To prove each research hypothesis, frequency analysis, validity and 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path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WIN23.0 and an R-based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environment change factors on each variabl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job anxiety recogni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environment change and turnover intention were analyzed empirically. To this end,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were presented with job satisfaction, job anxiety recogni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as turnover intentions by examining related theoretical studies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reference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the path of the effect of changes in the employment environment cause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es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has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which means that changes in the employment environmen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it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beauty industry employees. The path of the effect of changes in the employment environment on the perception of job insecurity was identified as a positive (+) effect, whic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ption of job insecurity due to the change in the employment environment. The path of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and the path of the effect of job anxiety awaren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path of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have a negative (-) effect. The path of the effect of job anxiety perception on turnover inten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a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job anxiety awareness of the beauty industry workers, the more it affects turnover intention. Until now, it is true that beauty companies have focused on sales performance, investment, and customer management rather than the working environment of workers. There is a concern about the expansion of employees' job awareness due to the changes in the employment environm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resulting conflict among beauty industry workers, so it is necessary to cope with this and establish countermeasures.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beauty industry and raise a sense of communit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at can further increase the continuous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beauty workers. By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beauty service industry in the 4th industrial era, we expect to help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beauty industry. The problems and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the average number of married women aged 40 to 50 with a high school diploma is, and those with a monthly income of less than 2 to 3 million won account for the largest propor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working patterns of the survey subjects in this study, it is the position of less than 5 directors (including the director) who are personally operated (including the director) of 20 to 30 pyeong located in an apartment complex or residential area, and the working period is more than 15 years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m had more than 8 holidays on average and worked less than 8 to 10 hours per day on average in their career. Third, because of examining each dimension of employment environment change, job satisfaction, job insecurit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ree factors were identified as the increase in non-regular workers, organizational structure change, and generalization of layoffs, Job satisfaction consisted of 4 factors: conscientious behavior, altruism, civic consciousness, and self-realization. Job instability consisted of 3 factors: possibility of job loss, helplessness, and wage instability. Turnover intention was classified into 10 Iitems.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change in the employment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beauty industry workers. Fifth, the path of the effect of changes in the employment environment on job insecuri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Sixth, the path of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Seventh, the path of the effect of job instabilit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path of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Eighth, the path of the effect of job instability on turnover inten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Ninth, the path of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urnover inten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increased. Tenth, job instability, a parameter, was found to play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the employment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possibility of job loss, a sub-factor of job insecurity,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elplessn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Eleventh, the influence of changes in the employment environment on turnover intention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example was found to be rejected.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and the parameter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Twelf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 mediating variable, was found to pla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role, i.e., a partial mediating role.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f the parameters of the independent variable,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an independent variable,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 parameter.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dependent variable,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an independent variable, ha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change jobs, a 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dependent variable, the independent variable ha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and the parameter ha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Both independent variables and parameter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and it was found that they were partially mediated due to their high significant degree. Thirteenth, it was foun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instability and turnover intention was rejecte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parameters of the independent variable, it was found that job instability, an independent variable, ha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 parameter.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dependent variable, it was found that job instability, an independent variable,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change jobs, a 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dependent variable, the independent variable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and the parameter ha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Both independent variables and parameter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degree of significance was low, so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고용환경 변화는 정보기술과 산업의 세계화에 따른 새로운 일자리의 등장과 고용안정에 대한 인식의 변화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인적 가치 창출이 핵심인 한국의 뷰티서비스산업은 인적 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이에 본 연구는 4차 산업의 고용환경 변화와 산업구조의 변화로 인해 뷰티 서비스산업 종사자들이 인식하는 직무만족, 직무불안인식,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어떠한 매개적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 4차 산업혁명시대 고용환경변화로 인한 뷰티 서비스산업 종사자들의 지속가능한 조직몰입의 구조적 관계와 산업현장에서의 갈등관리에 필요한 방법을 실증적 관점에서 검증하여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속가능한 직무만족과 직무불안인식, 조직몰입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뷰티 서비스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증조사를 실시하였다. 코로나 확산 기간인 2022년 8월 15일부터 2022년 9월 10일까지 설문조사를 위해 네이버폼과 SNS 및 매장 방문을 함께 대면조사와 비대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6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620부를 수거하였다. 그 중 자료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16부를 제외한 604부를 최종 데이터로 사용하여 분석자료로 표본을 선정하였다. 고용환경변화 요인이 각 변수에 미치는 영향 관계 파악과 고용환경변화와 이직의도 관계에서 직무만족과 직무불안인식 및 조직몰입이 어떠한 매개효과가 있는지 실증적 분석을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관련된 이론적 연구를 고찰하여, 독립변수로 고용환경변화를 배개변수로 직무만족, 직무불안인식, 조직몰입을, 종속변수를 이직의도의 연구모형을 바탕으로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가설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용환경변화는 직무만족과 직무불안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에서는 고용환경변황에서 직무안정과 직무불안정은 상호 비례와 반비례 영향 관계를 보여주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고용환경의 변화에 따른 정리해고의 보편화와 비정규직의 증가함을 의미한다. 둘째, 고용환경변화, 직무만족, 직무불안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에 조직몰입은 고용환경변화, 직무만족, 직무불안정과의 관계에서 상호 영향 관계를 보여주었으며, 직무불안정은 음(-)의 영향을 보여주었다. 이는 조직몰입을 위한 기술교육과 고객서비스교육에서 직무안정성을 고려한 개인별 맞춤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셋째,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불안정인식은 직무만족, 직무불안 인식, 조직몰입의 직접효과는 어떠한가에 대한 변인간의 직접효과 모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뷰티서비스 종사자는 조직에 대한 비전제시를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고용환경변화와 조직몰입에서 직무만족과 직무불안정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에 대한 영향관계에서의 간접효과는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는 고용환경변화에 따른 뷰티서비스 종사자의 조직에 대한 충성심, 지속적인 보상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다섯째, 고용환경변화와 이직의도에 조직몰입이 매개적인 영향을 미칠것인가에 대해 고용환경변화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예서 조직몰입의 매개적 영향은 기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뷰티종사자가 이직의도가 있었을시 조직몰입이 되지않아 뷰티산업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직의도에 대한 번복을 하지 않는 것으로 시사하였다. 여섯째 직무만족, 직무불안인식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적인 영 향은 어떠한가에 대한 독립변수인 직무만족은 매개변수인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독립변수와 매개변수가 모두 이직의도에 부분매개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불안정성은 매개변수인 조직몰입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직무불안인식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고용환경변화와 매개변수가 모두 종속변수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뷰티산업종사자의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이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으며, 직무만족에 따른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는 이직의도를 낮추는데 일조 하고 있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에 의한 고용환경 변화가 인적의존도가 높은 뷰티 서비스산업 종사자들의 직무불안인식과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론되고 있으나 선행연구와 관련 연구의 조사결과 직무불안인식과 조직만족, 조직몰입에 어떠한 유효성을 미치는가에 대한 실증이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뷰티 서비스산업 종사자의 지속적인 조직몰입을 보다 높일 수 있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뷰티 산업의 정체성 확립과 공동체의식을 높이고 4차 산업시대 뷰티 서비스 산업에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서 뷰티산업의 발전과 성장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뷰티 산업 종사자의 분배 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이 직무교육,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무교육 매개 효과 중심으로

        박혜영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3343

        인구의 노령화와 출산율 감소, 세대 간 교체로 인한 변화, 교육 시스템의 제약, 직장인들의 잦은 직업 변경, 그리고 불안정 등 여러 복합적인 요인들로 인해 다양 한 산업 분야에서 인력 부족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국내 미용 산업의 직무환경 속에 개선 요인을 분석하고 뷰티산업 종사자들 직무 만족의 향상으로 인해서 인력난 및 경영난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뷰티산업에 종사하는 종사자를 상대로 공정성 요인의 하위 요인인 분 배 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인지로 인해 직무만족의 효과를 향상할 수 있는지 분석 하고자 한다. 미용 종사자들이 고용인으로 부 터 직무교육의 복지 혜택을 받을 시 직무만족에 직무교육이 매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 이를 통해 종사자들의 직무만족을 극대화해 인적자원관리 기여를 비롯해 고객들의 질 좋은 서비스 제공, 이윤 극대화를 창출하는데 이바지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 조사와 실증 조사를 결합한 양적 방법론을 사용하였으며, 문 헌 조사를 통해 공정성의 두 하위 요소인 분배 공정성과 상호작용 공정성이 직무 교육과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가설과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직무교육이 직무만족의 상관관계를 어떠한 영향 관계에 있 는지 확인하였고, 직무교육이 분배 공정성, 상호작용 공정과 직무만족 사이에서 매 개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증적 연구를 하였다. 실증적 연구를 위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미용 산업에 종사하는 종사자 대상으로 2024년 4월 17 일부터 2024년 5월 5일까지 자료를 회수하였다. 자료 IBM SPSS Statistics 26을 사 용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 배치 분산분석, 상관관 계 분석, 다중회계 분석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미용 산업 종사자의 ‘직무만족은’ 공정성 하위 요인 중 분배 공정성보다 상호작용 공정의 인지로 인해 직무교육 및 직무만족의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직무교육과 직무 만족도의 상관관계도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셋째, 직무교육이 공정성 하위 요인 분배 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 사이에서도 상호작용 공정과의 직무만족의 매개 역할을 하는 것이 분석되었 다. 본 연구는, ‘뷰티산업 종사자들의 공정성 하위 요인인 분배 공정성, 절차공정성이 직무교육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기존 선행연구들과 맥을 같이 하지만, 미용 산업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연구한 점에서 학문적으로 차별화된 의미가 있다.

      • 뷰티산업종사자의 인성수준이 감정조절능력과 직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지선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3327

        인력서비스를 기본으로 하는 뷰티산업종사자들은 고객과의 상호작용시 기술, 태도, 외모, 말투 등이 중요시 되고 있다. 특히 고객과의 의사소통과 감정조절은 내적통제 요소로 작용되기 때문에 올바른 분노표현과 직무수행능력을 위해 다양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정기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인성교육의 실태와 인성수준을 알아보고 감정조절능력과 직무수행능력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의 주요 변수는 일반적인 특성 8문항, 인성교육실태 6문항, 인성수준 29문항,감정조절능력 15문항, 직무수행능력 20문항으로 총 78문항으로 조사 연구하였다. 연구자료는 뷰티산업종사자를 대상으로 2024년 3월 15일∼3월 30일까지 조사된 총 206부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5.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요인분석, 독립표본 t-test, 신뢰도분석, 일원변량분석,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일반적인 특성은 성별은 여성, 연령은 30대가 대부분 차지하였고, 결혼상태는 미혼, 최종학력은 대학교이상, 직장은 헤어샵이 높게 나타났으며, 직급은 디자이너/관리사, 경력은 5∼10년 미만, 월 평균소득은 200∼300만원 미만이 높게 나타났다.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인성교육 실태에서 인성교육이 가장 중요한 곳으로는 가정이 높게 나타났고, 인성교육을 충분히 받은 시기는 초등학생, 현 근무지에서 인성교육을 받는 횟수는 없음 가장 높았다. 인성교육이 영향을 미친 부분으로는 고객과의 관계형성, 가장 중요한 인성교육 내용으로는 남을 배려하는 마음, 가장 중요한 인성교육 성격으로는 도덕적 인간이 높게 나타났다.   각 항목별 평균은 인성수준 전체 평균은 4.04고, 하위요인은 정의, 자기존중, 시민의식, 성실, 배려·소통 순으로 나타났다. 감정조절능력 전체 평균은 3.71이었고, 하위요인은 일상 감정조절, 직무 감정조절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수행능력 전체 평균은 4.04이었고, 하위요인은 직업윤리 능력, 의사소통 능력, 기술 및 조직이해 능력, 문제해결 능력, 자원관리 능력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측정변수들의 차이검증결과, 인성수준의 차이에서는 성별과 연령, 직급, 경력, 월소득에 유의미하였고, 감정조절능력에서는 연령만 유의미하였다. 직무수행능력에서는 성별과 연령, 결혼상태, 직급, 경력, 월소득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인성수준, 감정조절능력, 직무수행능력과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감정조절능력은 인성수준에 유의미한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수행능력은 인성수준과 감정조절능력에 유의미한 정(+)의 상관을 보였다.   넷째, 인성수준이 감정조절능력과 직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성실 수준이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감정조절능력이 직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일상 감정조절능력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인성수준에 따라 감정조절능력과 직무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과, 개인의 감정조절능력에 따라 일상 감정조절과 직업윤리 능력, 의사소통 능력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뷰티산업종사자들의 뷰티서비스품질을 위해 일상감정조절과 성실 능력을 향상시킬수 있는 정기적인 인성교육과 다양한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뷰티헬스산업 종사자가 지각하는 반영구화장 교육 인식과 직무 만족의 관계

        송한나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3295

        본 연구는 뷰티헬스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반영구화장 교육에 관한 인식이 직무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 참가자는 뷰티헬스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332명을 표집으로 조사하여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반영구화장 교육 인식에 사용된 측정 도구의 하위요인은 실무연관성, 강사직무 태도, 위생관리, 교육환경 등 4개 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직무 만족의 하위요인은 직무 자체, 급여 만족, 동료 관계, 명예와 인정, 기술향상 등 5개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에 사용된 척도는 타당도 검증 및 신뢰도 검증을 수행한 후 최종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연구 참가자의 배경특성에 따라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으며, 반영구교육 인식과 직무 만족의 하위요인 간 구조적 관계와 영향력 검증을 위해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 번째 연구 참가자의 배경특성인 성별, 나이, 최종학력, 교육 기간, 교육 1회 소요시간, 교육비용, 비용의 적절성, 실무경력에 따른 다변량 분산분석(MANOVA) 결과에서는 참가자의 교육 인식과 직무 만족에 따라 다양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교육 인식의 하위요인을 예언 변인인 독립변수로 하고 직무 만족을 결과 변인인 종속변수로 하여 각각의 영향 관계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에서 교육 인식이 직무 만족에 다차원적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반영구화장 교육 인식 변인과 직무 만족의 전체 영향 관계의 통계적 유의성에서는 실무연관성 요인, 강사직무 태도, 교육환경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위생관리 요인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뷰티헬스산업 종사자의 배경특성에 따른 교육 인식과 직무 만족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직무 만족에 영향을 끼치는 교육 인식의 하위요인의 다차원적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가 반영구화장 교육 현장에서 객관적인 자료로 사용될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examining how the perception of semi-permanent makeup education affects job satisfaction among beauty and health industry workers. The study participants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by sampling 332 people who are engaged in the beauty health industry. The sub-factors of the measurement tool used in the recognition of semi-permanent makeup training consisted of four factors, including practical relevance, instructor job attitude, hygiene management,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were job itself, salary satisfaction, peer relationships, honor It was composed of five factors, such as accreditation and technological improvement. The scale used in the questionnaire was subjected to a final analysis after validation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were performed. For data processing,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MANOVA)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influence between sub-factors of semi-permanent education perception and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as a result of the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study participant, such as gender, ag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training period, training time required, training cost, appropriateness of cost, and working experience, participants' perception of edu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various differences according to job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Second, using the sub-factor of education perception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s a predictive variable and job satisfaction as the dependent variable as the outcome variable,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each influence relationship showed that education perception had a multidimensional effect on job satisfaction. Confirmed. And in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variable of semi-permanent makeup education and the overall effect of job satisfaction, the factors related to practice, the attitude of the instructor,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hygiene management factor was not.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fference between education perception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workers in the beauty health industry was empirically confirmed, and the multidimensional influence of sub-factors of education perception affecting job satisfaction was verifie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ill be used as objective data in the field of semi-permanent makeup education.

      • 미용인의 직업가치관이 전문성과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박정하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3230

        ABSTRACT Influence of Beauticians' View of Job Value on Speciality and Performing Duty Park, Jeong Ha Dept. of Beauty Arts The Graduate School of SeoKyeong University This research made a survey for 60 days starting from the 1st of August 2013 to the 1st of October 2013, on the subject of 400 men and women beauticians in Seoul and Kyeonggi province, in order to investigate regarding the influence of beauticians' view of job value on speciality and performing duty. This survey covered 4 different subjects such as skin artist, hair designer, makeup artist and nail artist, and 400 survey sheets were delivered, 100 sheets to each kind. Totally 390 sheets were collected (10 sheets were missing out) and used as data for final analysis. Result was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regarding relation between beauticians' view of job value and their speciality, we could recognize that confidence and attractiveness which are sub-factors of the view of job value, are very important factors for the enhancement of self-satisfaction of beauticians. And also we recognized that confidence and morality which are sub-factors of the view of job value, are important factors for the elevation of judging power of circumstances. Also we could see that confidence, morality and attractiveness which are sub-factors of the view of job value, are important factors for the improvement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However, we investigated that the view of the job value could not influence to the claim manage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regarding relation between beauticians' view of job value and their performing duty, we could recognize that confidence, morality and attractiveness which are sub-factors of the view of job value are important factors for improvement of motive endowment. And for the enhancement of compensation mind, attractiveness which is a sub-factor of the view of job value, was found as an important factor. Also, for the improvement of prospect of the job, confidence which is a sub-factor of the view of job value.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regarding relation between speciality and performing duty, we recognized that self-satisfaction, judging power of circumstances and professional consciousness which are sub-factors of the view of job value, are important factors for the enhancement of motive endowment of beauticians. Also we could see that judging power of circumstances and claim management which are sub-factors of the speciality, are important factors for the enhancement of compensation mind. For the improvement of prospect of the job, we could see that self-satisfaction, judging power of circumstances, professional consciousness and claim management which are sub-factor of the speciality, are important factors. Through this research, we could recognize that beauticians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ir attractiveness which shows their own characteristics in the comprehensive meaning including speciality and self-improvement as well as exterior appearance management for their own attractiveness which are supposed te be higher than customer's attractiveness, as specialists who take care of beauty of customer's exterior appearance. In this regard, we think beauticians can improve their speciality and capability in performing duty, if they recognize their view of job value (morality, confidence, attractiveness) as the interior attractiveness of their own, and then if they become to recognize that their interior attractiveness is as important as their exterior attractiveness. Therefore, we can expect that beauticians can be more bright and promising as specialists in the actual beauty making field, if "the view of job value" is included as a curriculum of actual education. This curriculum would help beauticians to enhance their interior and exterior attractiveness. This education would give students not only the emphasis on importance and necessity of exterior appearance, but also the importance of the view of job value which are supposed to be an interior attractiveness including speciality. 국 문 요 약 미용인의 직업가치관이 전문성과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미용인의 직업가치관이 전문성과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 서울, 경기의 남녀 미용인 400명을 대상으로 2013년 8월 1일부터 2013년 10월 1일까지 60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피부관리사, 헤어디자이너, 메이크업아티스트, 네일아티스트를 대상으로 각 100부씩 총 400부를 배부하여 누락된 10부를 제외한 390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용인의 직업가치관과 전문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미용인의 자기만족 향상을 위해서는 직업가치관의 하위요인별 신뢰성, 매력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고, 상황판단력 향상을 위해서는 직업가치관의 하위요인별 신뢰성, 도덕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미용인의 프로의식 향상을 위해서는 직업가치관의 하위요인별 신뢰성, 도덕성, 매력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으나, 미용인의 직업가치관은 클레임관리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미용인의 직업가치관과 직무수행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미용인의 동기부여 향상을 위해서는 직업가치관의 하위요인별 신뢰성, 도덕성, 매력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고, 보상심리 향상을 위해서는 직업가치관의 하위요인별 매력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으며, 장래성 향상을 위해서는 직업가치관의 하위요인별 신뢰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전문성과 직무수행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미용인의 동기부여 향상을 위해서는 전문성의 하위요인별 자기만족, 상황판단력, 프로의식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고, 보상심리 향상을 위해서는 전문성의 하위요인별 상황판단력, 클레임관리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으며, 장래성 향상을 위해서는 전문성의 하위요인별 자기만족, 상황판단력, 프로의식, 클레임관리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미용인은 일반인의 외모를 아름답게 가꾸어주는 전문가들로써 일반인보다 매력성을 높이기 위해 외모관리 뿐만 아니라 전문성과 자기 개발 등이 포함된 포괄적 의미에서의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하는 매력성에 더욱 신경써야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따라 미용인들이 직업가치관(도덕성, 신뢰성, 매력성)을 내적인 매력으로 인지하고 외적인 매력만큼 중요하게 생각하게 된다면 미용인의 전문성, 직무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거라 사료된다. 그러므로 미용 교육생들에게 외모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강조뿐만 아니라 전문성이 포함된 내적인 매력으로 생각되어지는 미용인의 직업가치관 역시 실무교육의 한 측면으로 교육과정에 포함된다면, 이 같은 내적·외적 매력의 향상이 미용인의 업무향상에 도움이 되고 미용현장에서 더욱 전문 인력으로서 빛을 낼 수 있을 거라 기대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