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역 연관규칙을 위한 데이타 탐사 기법

        조일래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박사

        RANK : 248687

        데이타베이스 활용 분야가 급증하고 업무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데이타베이스에 축적되는 자료의 양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자료들을 본연의 업무 운영에 적용하는데 그치지 않고, 업무 현장의 특성 분석에 필요한 실질적인 근거로서 활용할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대용량의 데이타베이스로부터, 미리 예측할 수 없지만 의사 결정에 유용한 지식을 효율적으로 발견하기 위한 데이타마이닝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타마이닝의 여러 분야 중 특히 사건들의 상호 연관 관계 탐사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사건들의 상호 관련성은 연관규칙(association rules)의 형태로 표현되는데, 연관규칙이란 특정 사건 집합의 발생이 다른 사건의 발생을 암시하는 경향을 표현하는 규칙이다. 기존의 연관규칙은 주로 사건이 발생한 전체 영역에서 성립하는 사건들 간의 연관성만을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어떤 연관규칙은 비록 전체 영역에 대해서는 신뢰도가 그리 높지 않더라도, 특정 기간 혹은 특정 영역에서 강한 신뢰도로 성립할 수 있고, 그러한 정보를 알 수 있다면 다양한 의사 결정에 매우 유용하리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임의의 부분 영역에서 강한 신뢰도를 갖는 연관성을 영역 연관규칙(ranged association rule)이라 정의하고, 대용량의 데이타베이스로터 영역 연관규칙이 성립하는 부분영역을 탐사하는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먼저, 주어진 이진 연관규칙에 대하여 미리 정의된 고정된 크기가 아닌 임의의 크기이고, 강한 신뢰도를 갖는 부분영역을 탐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탐사 기법은 데이타 자체의 분포에 근거하여 가설적인 부분영역을 설정해 가는 데이타 기반(data-driven) 검색 기법을 이용한다. 따라서, 탐사 과정에서 불필요한 부분영역의 검색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중복되는 데이타베이스 스캐닝(scanning)을 줄이기 위해, 주기억장치상에 관리할 수 있는 효과적인 자료구조를 설계한다. 제안된 자료구조는 부분영역의 크기를 확장해 가는 다음 단계의 검색에 필요한 정보를 제시하며, 단 한번의 데이타베이스 스캐닝에 의해 획득된다. 영역 연관규칙의 탐사는 먼저 단일 이진 연관규칙을 대상으로 1차원 사건 발생 영역에 대한 부분 영역의 탐사과정을 제시하고, 복수개의 이진 연관규칙을 수용할 수 있는 탐사 알고리즘으로 확장한다. 알고리즘의 확장 과정에서 연관규칙들이 포함하는 사건 집합에 근거하여 관련된 규칙들을 그룹핑하고, 각 그룹에 대해 단지 하나의 규칙에 대한 탐사만을 수행함으로 알고리즘 수행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또한, 사건 발생 영역을 다차원으로 확장하여 영역 연관규칙의 적용 범위를 넓힌다. 아울러 실험을 통해, 제안된 탐사 알고리즘에 실제 업무 현장에 적용할 만한 시간 비용으로 수행됨을 보인다. As database systems are widely spread and many business applications are heavily relying on database facilities, the volume of databases are rapidly increasing. It is realized that databases can be used as actual evidence of domain characteristics, rather than only used for their own operational purposes, In this regard, data mining techniques are taking growing attention in many applications, where they discover hidden but potentially useful knowledge for decision making from large databases. Among various data mining areas, this study focuses on the discovery of associations among several events. An association rule expresses the tendency that the occurrence of some events implies the co-occurrence of other events at the same time. Previously announced researches on association rules, mainly deal with associations in the whole domain. Some association rules, however, can have very high confidence in a sub-interval or a subrange of the domain, though not quite high confidence in the whole domain. Such kind of association rules are expected to be very useful in various decision making problems. In this paper, we define a rgnged association rule, an association with hight confidence worthy of special attention in a sub-domain, and further propose an efficient algorithm which finds out ranged association rules. Firstly, we suggest a data mining method that discovers sub-ranges where given binary association rules have high confidence. Note that such subranges are not delimited by predefined boundaries. In addition, the proposed method is data-driven in a sense that hypothetical subranges are built based on data distribution itself. It implies that any unnecessary subranges are not probed in the mining process. To avoid redundant database scanning, we devise an effective in-memory data structure, where essential information for the subsequent mining process is collected through single database scanning. In the mining algorithm of the ranged association rules, we suggest the exploring process of subranges in one dimensional domain for a single binary association rule, and later extend it to accept multiple binary rules. In this phase, we identify several groups of relevant association rules based on their event sets. Since only one association rule per each group is evaluated in the mining process, the performance of the process is significantly improved. The domains of events are extended to multi-dimensional ones, and it enriches the applicability of the algorithm. In addition, our simulation shows that the suggested algorithm has reliable performance at the acceptable time cost in actual application areas.

      • 건축 공간을 생성하는 부분의 통합적 방법에 관한 연구

        백선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319

        Throughout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a concept of integrating space and form has been a crucial topic in architectural field. Such pursuit of the integration is based on efforts to reduce absences of amiable relationships in nowadays society where the effects of standardization and mass-production engendered a less communicative environment. Constructing integrated architecture is empowered by a social will to engage people to unite and create a sociable community. Thus, relationships between the structural parts that constitute a building need to be considered. Differences in integrated architectures that are merely perceived as formational flexibility or images can be determined through mutual actions between these structural parts in a single organizational system. This study focuses on a physical aspect rather than relying on senses or metaphysical perspectives. First, a perspective from plan is examined because it is place where architect first realize spacial parts. In contemporary period, the way integrity is realized is complex and it shows flexible shape and flow. It is not a pure invention of contemporary period, but is a regeneration of an old form in today. This study tries to recognizes parts and differences in relationship beginning from the Modern Movement in Architecture also to realize a future direction after examining relationships and limitations occurred when contemporary architecture attempt to imitate ways practiced in Modern period. Before further examine specific aspects, one must answer a question: what defines parts? The part dealt in this study is not meant a mere formational room but a practical area in which people independently act. This area should not be understood as an enclosed area by walls or barriers but an area surrounded by its neighboring environments with a harmonious relation. The important thing is that when discussing people as principal agent, a metaphysical perspective such as feeling or effects should be avoided but in a dimension where action is practically realized. There is a gap between a space and a person who actually experiences in an architect's mind. Consequently, users can experience a more practice integration through realiz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parts as territory and other parts. In this study, relationship of integration from this analogy is called “generative relationship” and its specific properties and realization of these properties are examined. The word "generation" used in particular phrase seemed very much coincide with words "generation" and "becoming" that Gilles Deleuze mentioned. However, generation of parts discussed in this study, with a temporary and fluid characteristic, means a relationship in which each identity is kept undamaged. Along with Le Corbusier, CIAM is a core factor in Modern Movement in Architecture. While CIAM was performing tasks to accept many complicated social aspects and when creating space to resolve this issue, one can readily discover that CIAM is recognizing importance of parts. Moreover, this part, in system or flow, is not perceived as liberated but rather subordinated. Consequently, it is not generation of part itself, but rather fixed as function or shape. In contrast, Mies van der Rohe asserted that the modern architectural aspect is not universal but a mere generalization of specifics into totalitarianism and the real universality is in objectivity formed by the least amount of regulation. This opinion is well revealed through Mies' expression of space in plan. He begins with a complete denial of all regulations exhibited in modern architecture and he included all situations to be infinitely expanding and flowing space. Through continuous contemplation of “room”, Louis I. Kahn made it possible. Kahn emphasized that a space formation consist of his room is different the ones with Corbusier and Mies' use of space. That is, a new, innovative totalitarian aspect in modern period eventually resulted in shaping rooms and denied a series of system and flow. Even area as a minimum unit had disappeared in Mies' space where fragmented parts seemed to form temporarily. Khan's “room” does not simply have functions but has a center when communication take place. It is a sense of dwelling. Also, everything is broken up and not unfolded, but surrounded in this place.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an effective point in consideration of Kahn's work Especially, the study focused on generative property it can attain through physical realization of area by room and their relationship based on user is formed as a reserve space. The present day architecture is a place where a materialistic background moves us and also gives or take away a space to stay, make relationships and communicate. Thus, through parts that consist of space and an integrated methodological study based on contemplation of their relationship, we can infer an experience constructed from generative relationship which led us to an expectation of true communication. 근대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건축의 공간 및 형태 생성에 있어 두드러지는 핵심 화두가 바로 통합적 개념이다. 이러한 ‘통합’에의 추구의 근간은 획일화, 대량 생산이 유발하는 관계의 부재와 단절을 극복하려는 데에 있다. 이는 닫혀지고 머무른 상태보다는 열리고 관계함을 지향하는 태도이고, 다양하고 복잡한 일상을 보다 풍부하게 담아내는 장소로서 건축과 도시의 그릇을 키우고자 하는 일이다. 통합적 건축을 구축하는 일은, 즉 연합하고 관계하도록 하는 의지에 근거한다. 따라서 이의 근간에는 구성하는 ‘부분’들 간의 ‘관계성’에 대한 고민이 있다. 곧, 부분이 상호 작용하며 관계해 나가는 하나의 조직적 체계를 통해, 단지 형태상의 유연성이나 이미지로서 파악되는 통합적 건축의 차이를 밝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형이상학적 관점이나 감각의 차원보다는, 물리적으로 구현되는 양상으로부터 파악하도록 한다. 그러면서 건축가가 공간의 ‘부분’을 구현하며 이의 관계 방식이 가장 일차적으로 드러나는 평면 구성상에서 살펴보았다. 현대에 이르러 통합성이 구현되는 양상은, 복합적이며 유연한 형상과 흐름으로서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이는 특히 근대로부터 단절된 새로운 것이라기보다, 연속선상에서 발생하는 종(種)의 생성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근대 건축 운동을 시작으로 이러한 ‘부분’에 대한 인식과 관계성의 차이를 살펴보며, 근대의 방식이 현대에 답습되며 드러나는 한계에 있어 당시 고찰된 관계 방식을 통해 이에 나아갈 지점을 파악하도록 하였다. 구체적인 양상을 살피기에 앞서, ‘부분’을 무엇으로 볼 것인가 하는 관점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 논하는 ‘부분’이란, 단지 건축가가 형태상으로 구획한 방의 의미를 넘어서, 사람이 주체적으로 행위하는 ‘영역(area)’을 의미한다. 이러한 영역은 벽이나 담으로 막힌 에워싸임(enclosed)과는 다른 것으로, 주변과의 관련성 가운데 형성되는 둘러싸임(surrounded)으로 볼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주체로서의 사람에 대한 논의가 단지 감정이나 효과와 같은 형이상학적 관점에 머물지 않고, 행위가 실제 구현되는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점이다. 건축가가 그리는 관계의 모양 속에서는, 실제 경험하는 사람과 공간 사이에 괴리가 남게 된다. 결국, 영역으로서의 부분이 실제 다른 부분과 관계하는 자체의 구현을 통해 사용자 입장에서는 더욱 실질적인 통합성을 경험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구현되는 통합에의 관계성을 “생성적 관계성”이라 규정하고, 이것이 갖는 구체적 속성과 구현 과정을 파악하였다. 특히 이때의 ‘생성’이라 함은, 질 들뢰즈가 언급한 확장(generation)과 상당히 유사한 선상에 있는 듯 보인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논의되는 부분의 생성은 이러한 일시적이고 유동적인 속성 가운데, 각자가 갖는 정체성(identity)이 상실되지 않는 관계성을 의미한다. 르 꼬르뷔제를 비롯하여 근대 건축 운동의 핵심인 CIAM은 당시 복잡한 사회 양상을 수용하기 위한 여러 작업을 수행하는데, 이에 그들이 공간을 구성하는데 있어 부분을 인식하는 일련의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무엇보다 이러한 부분은 시스템이나 흐름 속에서 자유롭기보다는 종속된 것으로 해석되며, 결과적으로 부분 자체로서의 생성이기보다 기능이나 형태로 규정되어 머물게 된다. 반면 미스 반 데어 로에는 이러한 근대 건축의 양상이, 보편적이기보다 사실상 특정적인 것을 일반화시킨 전체주의에 불과하다며, 진정한 보편성은 최소한의 규정으로 형성되는 객관성에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주장은 미스 반 데어 로에가 평면 구성상에서 공간을 구현한 양상을 통해 잘 드러나는데, 그는 근대 건축이 보인 모든 규정성을 부정하는 것에서 출발하며, 이에 모든 상황을 포함하여 무한히 확장하고 흐르는 공간이 되도록 하였다. 한편 루이스 칸은 계속해서 룸(room)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이를 실현하기에 이른다. 그는 자신의 룸(room)으로 형성된 공간 구성이 르 꼬르뷔제의 방과, 또 미스 반 데어 로에의 공간과는 다른 것임을 언급한다. 즉, 근대에 새롭고도 혁신적인 전체주의적 양상이 결국 방들을 형태화하는 결과를 낳았으며, 또한 일련의 시스템이나 흐름을 부정하고 마치 해체된 부분을 일시적으로 구성하는 듯한 미스 반 데어 로에의 공간에서는 오히려 최소한의 단위로서의 영역(area)이 사라져버렸다는 것이다. 루이스 칸의 룸(room)이란, 단지 기능(use)이 아닌, 중심성을 가지고 관계가 일어나는 거주(dwell)에 대한 감각이다. 또한 모든 것이 해체되어 펼쳐진 상태가 아닌, 둘러싸임으로써 구현되는 장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루이스 칸의 이러한 작업 선상에서 특히 현대에 유효할 지점을 파악하고자 한 바, 이에 특히 룸(room)을 통한 영역의 물리적 구현과 이들의 관계가 사용자에 기반한 유보 공간으로 형성됨으로 생성적 속성을 갖게 되는 것에 집중하였다. 우리가 살아가는 건축 곧 장(場)으로서 이는 단순히 물질적 배경으로 우리의 발걸음을 움직이는 일 뿐만 아니라, 머물며 관계하고 대화하는 경험을 일으키기도 소멸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공간을 구성하는 부분과 이들의 관계성의 고찰에 의거한 통합적 방법론의 연구를 통하여, 곧 우리가 진정으로 소통할 관계에의 경험을 기대해 볼 수 있는 것이다.

      • 2011 음악과 부분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통합 음악교과서 비교?분석 : 창작영역을 중심으로

        오윤석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99517

        현대 사회가 창의성을 중시하면서, 우리나라 음악 교육도 점차 창의성의 개발을 강조하고 있다. 음악 수업을 일관성 있고 연계성 있는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2011 음악과 부분개정 교육과정의 학습과정 내용에 근거하여 2013년부터 시행하게 된 중학교 통합교과서는 기악, 가창, 감상, 창작을 통하여 음악적 창의성을 기르도록 하였다. 음악적 창의성을 기르는데 가장 적합한 창작 활동은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음악 활동을 통하여 스스로 음악을 분석하여 자신의 방식으로 표현하고 연주하며 새롭게 악곡을 만드는 과정 속에서 길러진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는 감상, 기악, 가창의 비중에 비해 창작 활동의 비중이 적으며, 이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2011년 부분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2013년부터는 중학교 1학년의 수업이 통합 음악교과서를 통해 이루어진다. 세 권으로 나누어져서 학년별로 이루어지던 내용체계와 교수-학습 방법이 한권으로 통합되어 중학교 3학년까지 사용되어 진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17종의 통합 음악교과서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17종의 중학교 통합 음악교과서에 제시된 창작 영역 부분에 대해 연구하였다. 첫째, 창작 수업의 필요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둘째, 2009 음악과 개정 교육과정과 2011 음악과 부분개정 교육과정 중 창작 영역을 비교하였다. 셋째, 17종의 중학교 통합 음악교과서 중 창작 영역 하위 내용체계에 속한 5가지 학습 활동에 대해 교과서별 비교 ? 분석하였다. 끝으로 이 연구가 차기 교과서의 학습 내용 구성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며, 나아가 창의성이 요구되는 활동의 교육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 As modern society attaches importance to creativity, development of creativity is gradually emphasized in Korean music education. Integration textbook of middle school lets students enhance musical creativity through instrumental music, singing, music appreciation and composition based on 2011 curriculum revision of musical education which makes music class coherent and cohesive. The most suitable creative activity to cultivate musical creativity is formed by process of spontaneously analyzing music, expressing and performing in one's way and newly composing music in an atmosphere of freedom. However, musical creation is subordinated to music appreciation, instrumental music and singing and is not actively conducted in current school education. According to 2011 curriculum revision, the first year course of middle school is based on the integration music textbook since 2013. In other words, system of content and teaching learning method which separated each grade until 2009 curriculum revision are integrated into one course that can be used until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However, inquiries on seventeen integration textbooks are said to be insufficient yet. Therefore, this research studies composition field in the seventeen different middle school textbooks. First, this study discusses the necessity of musical creation. Second, this study compares composition field of 2009 curriculum revision and 2011 curriculum revision of musical education. Third,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five learning activities which belong to subordinate content system of each composition part in the seventeen middle school textbooks. Finally, I hope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the next curriculum design, and furthermore, can be helpful in improving creative educational activities.

      • 이동객체를 위한 연속적인 부분차원 스카이라인 질의 처리

        김진호 명지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183164

        대부분의 스카이라인 질의에 대한 이전 연구들은 대상 객체의 정적 속성만을 고려하였다. 최근에는 모바일 응용 환경의 발전에 따라 이동 객체에 대한 연속적인 스카이라인 질의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연속적인 스카이라인 질의를 처리하기 위해 최근에 몇 가지 기법들이 제안되었지만, 이 기법들은 부분차원 질의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았다. 이로 인하여 이동 객체와 부분차원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모바일 응용에 있어서는 이전 연구들을 적용할 수 없다. 여기서 부분차원이란 객체의 여러 속성들 중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는 일부 속성들을 말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 논문에서는 이동 객체를 위한 연속적인 부분차원 스카이라인 질의 처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실시간에 이동 객체의 부분차원 스카이라인 질의 결과와 그 결과의 유효 영역을 함께 계산하여 사용자에 전달한다. 사용자가 유효 영역 내부에서 이동하는 동안에는 질의를 추가적으로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연속 질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논문에서 질의 처리는 크게 세 가지 단계로 이루어지며 각 단계에 대해 다음과 같은 기법들을 제안한다. 첫째, 사용자가 요청한 부분차원 스카이라인 질의를 처리하기 위한 지배 객체(다른 객체보다 속성 값이 우선하는 객체) 기반의 가지치기 기법을 제안하여 전체 데이터를 접근하지 않고도 효율적으로 부분차원 스카이라인을 계산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유효 영역의 결정에 필요한 대상 객체의 스카이라인 영역을 계산하기 위한 거리 기반 가지치기 및 범위 축소 기법을 제안하여 별도의 전처리 과정 없이 실행 시간에 스카이라인 영역을 효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질의의 최종 유효 영역의 결정을 위해 초평면의 특성을 이용한 대상 객체 가지치기 및 영역 다듬기 기법을 제안하여 이동 객체와 가장 가까운 대상 객체의 Voronoi Cell만을 가지고 유효 영역을 최종적으로 계산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기법들을 이론적인 분석과 모의실험을 통하여 이동 객체를 위한 연속적인 부분차원 스카이라인 질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음을 증명한다. Most of previous works for skyline queries have focused only on static attributes of target objects. With the advance in mobile applications, however, the need of continuous skyline queries for moving objects has been increasing. Even though several techniques for processing continuous skyline queries have been proposed recently, they cannot process subspace skyline queries, which use only the subset of attribute dimensions. Therefore they are not feasible for the complex mobile applications which require both of the continuous skyline processing for moving objects and the subspace query processing. To solve this problem, this dissertation proposes a new technique of processing continuous subspace skyline queries for moving objects. The proposed technique computes the result of a user's query and the validity region of the result on the fly, and sends them together to the user. Since the user does not need to query again while the location of the user remains in the validity region, the proposed method can process continuous queries efficiently. In this dissertation, a continuous subspace skyline query is computed through three steps. We propose efficient processing methods for each step as follows. First, we propose the dominant-object-based pruning strategy for efficient processing subspace skyline queries without accessing entire data. Second, the distance-based pruning strategy and the extent-shrinking method are proposed to compute a skyline region efficiently in the runtime. The skyline region is required for decision of the validity region of the query result. Finally, the target-object-pruning strategy based on characteristics of hyper-planes and the region-polishing method are proposed for deciding the final result of validity region only with Voronoi cells of the closest objects to the target object.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we provide the theoretical analysis of the proposed technique and show various experimental results of performance evaluations.

      • 部分畵의 空間情報를 利用한 人工衛星 分光畵像데이타의 領域分類

        서용수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2 국내박사

        RANK : 183119

        In making a land use map from satellite multispectral image data of high spatial resolution, two category classification methods using the spectral and spatial informations of the subimage area are proposed. One method is based on the gray level second order moment(SOM) about the origin of pixels in 3×3 image regions. In this method, the gray level mean and variance of pixels in a 3×3 image region were defined as the spectral and spatial informations of the center pixel, respectively, and these were combined with the second order moment about the origin. The other method is based on the matrix representation(MATX) of the gray level values of the pixels in a 3×3 image region. In this method, the calculation of mean matrix was simplified by calculating the average of each element value from matrix representions of the training pixels. Moreover, assuming normal distribution of the data, they were classified with a parametric technique, and the improved percentage of correct classification(POC) could be obtained. To compare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of proposed methods with conventional methods, category classifications were performed with real image data of Landsat-5 TM. In both minimum Euclidean distance(MED) and maximum likelihood(MLH) algorithms, the proposed SOM method and MATX method were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methods in the average PCC of training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