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행환경개선사업이 상업환경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서울시 걷고싶은 거리만들기 시범가로를 대상으로

        윤정숙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상업지역의 가로환경을 개선한다는 것은 좁게는 보행자를 위한 물리적 환경의 개선이라는 효과와 넓게는 지역 상업환경의 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효과까지 나타낼 수 있는 복합적인 시너지 효과가 작용한다. 본 연구는 가로의 어떠한 물리적 변화 상업활동의 어느정도의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고, 이를 통해 보행환경개선사업이 가로특성에 맞게 상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여 정책적 제언을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보행환경개선사업이 상업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압구정로와 홍릉길을 사례가로로 선정하여 보행환경개선사업 후의 가로의 물리적 변화를 분석하고, 사업이 실시된 지역의 상가점포주와 상가방문자들의 설문을 통해 매출액의 변화 및 심리적 효과를 파악하였다. 또한 가로의 어떠한 물리적 변화가 상업활동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였다. 압구정로의 가로이미지는 번화하고 현대적인 상업가로 이미지로, 보행환경개선사업을 통한 전체적인 만족도는 부정적으로 나타났지만, 보행환경개선사업이 상업환경에는 일부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되어졌다. 압구정로의 가로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면서 상업환경을 긍정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 편의시설 및 문화시설을 확보하고, 노점상 및 불법주차 감소를 위해 힘쓰며, 안내표지판을 설치하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가로환경이 청결하고, 안전한 거리를 만들며, 홍보 및 이벤트 행사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홍릉길은 정겹고 고풍스러운 이미지의 상업가로로, 가로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긍정적으로 평가되었고, 보행환경개선사업이 상업환경개선, 매출액, 방문객 증가에 모두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되어진다. 홍릉길의 가로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면서 상업환경을 긍정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 차량감소를 유도하고 불법주차를 관리하며 도로횡단를 용이하게 하며 안내표지판을 설치해야 할 것이다. 또한 홍보 및 이벤트 행사와 함께 청결한 가로환경을 조성하고 편의시설, 휴게시설, 문화시설 등을 확충해야 한다. 각 대상가로에 대한 개별적인 계획과 동시에 건축물 외관 정비에 대한 행정기관의 지원 및 지역 특성에 맞는 가로공간 계획, 점포주들의 자발적인 참여 등이 더불어 이루어진다면 보행환경개선사업의 긍정적 효과가 더 증가할 것이다. 본 연구는 지역상권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는 보행가로환경의 물리적 요소를 도출하여 향후 보행환경을 조성하는데 있어서 적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보행환경개선사업의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 대구시 봉산문화 거리를 중심으로

        김옥경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1980년대 이전 도시계획은 도시의 기능적인 측면을 위주로 계획되어 보행보다는 차량통행을 위한 계획이 주로 이루어 졌다. 1980년대 중반부터 도시의 기능적인 측면과 더불어 도시를 구성하는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관심이 높아지고, 1990년대 뉴어바니즘 개념이 도입되면서 보행자와 보행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이에 따른 보행환경의 개선을 위한 수단으로 현재의 보행환경개선사업이 등장하였다. 보행환경개선사업을 통해 물리적인 측면에서의 보행환경개선은 이루어졌으나 공급자 중심의 관점에서 사업추진은 보행자를 위한 시설정비 수준에 그치게 되어 직접 가로를 이용하는 상인이나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시설확충이나 환경개선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보행환경개선사업에 있어서 시설정비를 통한 물리적인 환경개선도 중요하지만 가로를 이용하는 상인과 이용자의 의견수렴 및 피드백을 통해 가로활성화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 성공적인 보행환경개선사업 위해 반드시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대구시 봉산문화거리 보행환경개선사업의 만족도를 조사, 연구함으로써 보행환경개선사업이 가로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과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와 그 영향력을 파악하여 향후 보행환경개선사업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 보행공간과 가로환경개선사업, 문화거리에 대한 개념정리를 통해 보행환경개선사업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실시하였으며,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다른 사업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봉산문화거리의 상인과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서로 다른 집단 간에 인식하는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가로환경개선, 방문객 증가, 매출액 증가에 미치는 영향요인인 쾌적성, 접근성, 편리성, 상징성 등을 높이기 위한 활성화 방안으로 대상지에 대한 정확하고 충실한 조사와 분석작업의 중요성과 가로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차량감소, 불법주차 감소를 위한 체계적인 관리의 필요성, 보행자 중심의 도로계획, 대상지 가로의 특화된 계획의 필요성, 조성과정에서의 주민참여를 활성화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구 도심의 봉산문화거리를 대상으로 보행환경개선사업의 실태를 조사하여,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Before the 1980s, Urban Plan was planned, which was focused on functional aspects. That's why the main plan was consist of vehicle traffic rather than walking. Since the mid-1980s, interested in the functional aspect of the city, and quality of life for residents, which are made up the city, are increasing. Through the concept of New Urbanism, which was introduced in 1990s, the pedestrians and walking environment's interests were increasing. For this reason, nowadays 'walking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was introduced as the implement of improve walking environment. Through the 'Walking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physical aspects of walking environmental improvement was accomplished. But from the supplier-oriented view point, this project is below the level, because it is just maintenance of the pedestrians facilities. So facility expansion or environmental improvement was not accomplished for the merchants and users, who uses sidewalk directly. Though physical environmental improvement is important to 'walking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The process of sidewalk invigoration is more important and necessary to accomplish 'walking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which should be consider gathering opinion and feedback of the merchants and users, who is using the side walk directly. Hereupon, this research would survey and research about 'Daegu Bongsan Walking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and find out which one is influence and satisfaction to 'Walking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and find out its influence to seek the way of the 'Walking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As the way of research, conducted a theoretical review about 'walking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concept about walking space and sidewalk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and analyzed the effects of other projects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lso Compared with both parties satisfaction through the conduct a survey of visitors and merchants at 'Bongsan Cultural stree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 the way to vitalize that to increase comfort, accessibility, convenience, symbolism and etc, which influence street environment improvement, increasing visitors and sales, as importance of the accurate and faithful research, and analysis at designation, also to increasing satisfaction of the street environment, it needs necessity of the systematic management to reduce car and illegal parking, pedestrian-oriented street planning, and necessity of the planning sidewalk at designation, and citizen participation during the process. This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Walking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targeted at Downtown Daegu of the Bongsan Cultural Street.

      • 관성측정장치를 이용한 보행단계 및 보행환경 추정에 관한 연구

        임영광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보행분석은 보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조사하고 평가하는 것으로 재활분야 뿐만 아니라 로봇 분야 에서도 중요한 요소 기술이다. 보행분석에는 광학식 모션 측정 시스템이나 지면반력기가 주로 사용되며 높은 정확성과 정밀성을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보행분석 시스템은 설치공간의 제약과 고가의 가격으로 인해 대학병원이나 특수병원에서 밖에 보유를 하지 못해 일상생활에서의 접근이 어려우며 또한 설치 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제한된 구간에서만 보행분석이 가능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존 보행분석 장비보다 공간제약이 적고 비용이 저렴한 관성측정장치를 이용한 보행단계 및 보행환경 추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관성측정장치를 통해 추정된 무릎 관절각을 이용하여 보행단계 및 보행환경이 추정 가능한 알고리즘이다. 보행단계와 보행환경에 따른 무릎관절각의 특징점을 분석하여 설계되었으며 극점 검출기와 유한상태기계로 구성된다. 보행 단계 및 보행환경 추정 실험은 관성 측정 장치의 가속도 센서와 각속도 센서를 이용하였으며 센서 융합을 통해 각각의 센서가 가지는 단점을 보완했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효용성 평가를 위해 실험 환경을 구성하여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효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보행 단계 검출 정확도는 평지에서 98%, 오르막에서 97%, 내리막에서 92%로 평균 95%의 정확도를 보였으며 보행환경 검출정확도는 평지에서 98%, 오르막에서 97%, 내리막에서 92%로 평균 95%의 정확도를 보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관성측정장치를 이용한 보행단계 및 보행환경 추정 기법은 보행단계에 따라 요구되어지는 기능과 동작을 통해 충실히 이행했는지 평가하는데 도움이 되며 일반인의 보행능력 평가 및 보행보조 로봇, 지능형 의족 등과 같은 로봇 제어 분야에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 근린생활권 내 보행환경에 관한 연구 : 유모차 이용자의 보행활동을 중심으로

        구민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사회와 경제가 세분화됨에 따라 도시공간을 이루는 인구 집단의 성격과 문화도 점점 다차원적으로 바뀌고 있으며 이에 따른 도시공간을 둘러싼 이해당사자들의 관계도 복잡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도시의 공간은 그 자체로 ‘공공’의 의미를 가지며 모두가 이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여겨지지만 도시 공간의 이용에 있어 불평등이 발생하고 있고 이와 관련된 논의는 여전히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그 동안 도시공간의 논의에서 배제되어 왔던 집단의 입장에서 도시환경을 이용함에 있어 경험하는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문제점들의 유형을 정리해보고자 함에 있다. 연구의 대상은 영유아 양육자로 선정하였으며 이 시기의 자녀를 둔 가정의 경우, 유모차를 동반한 외출이 필수적이라는 점에서 유모차 보행환경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도시계획분야에서 보행약자를 위한 보행친화환경에 대한 논의는 지금까지 장애인과 노인들의 연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으며 유모차를 동반한 보행자에 대한 논의는 오성훈 외(2015)의 연구에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실외에서도 육아활동과 여가생활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면서 유모차를 동반한 외출이 증가하고 있다. 외출 활동에 있어 ‘보행’은 가장 기본적인 이동수단이라고 할 수 있는데 아직 한국에서는 유모차 보행환경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와 물리적 환경은 적절히 뒷받침해주지 못하고 있어 많은 양육자들이 이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연구를 통해 실제로 많은 영유아 양육자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외출 활동을 하고 있음을 알아냈으며 평균 주 3회 이상, 그리고 근린생활권 내에서의 활동이 가장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에게 외출은 ‘외출’의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으며 외출을 통해 신체활동과 가사 스트레스를 해소 하였고 실내에서 지내는 고립감에서 벗어나 정서적으로 위안감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유모차를 이용했을 시 열악한 보행환경으로 인해 실외활동에 대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외출을 하고자 하는 의지와 이를 뒷받침해주지 못하는 도시의 물리적 환경 사이에서 또 다른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유모차 동반 외출 시 겪게 되는 어려움으로는 평탄치 않은 보도의 질, 둔 턱, 불편한 대중교통 이용, 일반인들의 이해와 배려심 부족 등이며 유모차 보행의 불편함으로 인해 외출에 거부감을 느끼게 되고 가까운 거리임에도 불구하고 자동차를 이용하게 되는 경우가 증가하게 되며 나아가 유모차 동반 외출 시의 열악한 상황이 육아 스트레스를 더욱 가중시키기도 하였다. 2009년 소비원에서 조사한 내용에 따르면 과거에는 유모차 자체의 품질 불량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많았으나 유모차를 동반한 외출활동이 증가하면서 실외에서의 낙상사고, 충돌사고와 같은 안전사고가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양육자 스스로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의지이자 실외 활동이 영유아와 양육자 모두에게 가져다주는 긍정적인 영향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는 열악한 유모차 보행환경으로 인해 실외활동을 적극적으로 즐기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유모차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光州廣域市 步行特性에 따른 步行環境改善方案에 關한 硏究

        白承勳 동신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도시에서 주요 통행수단이 자동차로 바뀌면서 일게 된 급격한 교통수요의 증가에 따른 보행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하는 많은 시도들이 현재 도시 전반에 걸쳐서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도시에서의 보행은 교통수단의 한 요소이면서 동시에 도시설계의 요소이기 때문에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종합적인 견지에서의 일반적인 특성을 고려한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도시에서 보행특성을 먼저 규명하고 또 이러한 특성이 반영된 보행환경개선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사례지역의 보행의 특성을 조사·분석하여 보행환경개선시 이러한 특성들이 고려될 수 있도록 정책적인 시사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행의 특성을 규명하는데 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먼저 전화인터뷰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전산처리한 후, 컴퓨터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를 도구로 빈도 분석을 통해 보행특성의 일반적인 경향과 흐름을 전체적으로 파악하였으며, 이를 연령별, 성별, 직업별, 계층별로 구분하여 상호 비교ㆍ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광주광역시민의 보행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고, 보행환경만족도에 따른 보행환경개선방안을 조사·분석하였고 그 결과 도출되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광주광역시의 통행목적별 통행수단분담률 조사 결과 운동 및 산책, 식사·오락·친교 등에서 보행의 수송분담률이 높게 나타나 주로 근린생활권을 중심으로 한 여가활동이 보행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목적통행 유형별 특성에서 광주광역시 단일통행수단의 비율이 97.9%로 대부분의 통행이 한 가지 통행수단을 이용하여 통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자가용을 이용하는 통행이 19.2%,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통행이 37%로 승용차보다는 버스·택시등 대중교통의 이용률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하루평균 보행량을 연령별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10대가 가장 많이 걷고, 30대가 가장 적게 걷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행목적별 하루평균 보행량은 운동 및 산책이 가장 높고 출·퇴근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직업에 따른 하루 평균 보행량은 학생 및 주부가 평균이상으로 걷고, 전문직이나 판매 서비스직과 같이 직업이 있는 경우는 평균이하로 걷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행환경만족도에 대한 조사결과 응답자의 45.3%가 만족스럽다고 응답하여 광주광역시의 보행환경에 대해 시민들은 긍정적인 견해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주로 10대와 20대, 60대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30대 40대 50대에서는 높은 불만족을 나타내 보행을 주로 많이 하는 층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만족도가 나타났다. 또한 통행목적별 보행만족도에서 쇼핑에 대한 불만족도가 다른 목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다섯째, 보행환경에 대해 불만족스럽게 여기는 가장 큰 요인은 보도상의 불법주차이고 그 다음으로는 보도포장상태불량과 보도의 무단적치, 이면도로의 주차로 조사되었다. 또한 광주광역시민이 생각하는 가장 먼저 시행해야할 보행환경개선사업에 대해서는 보도확장 및 설치, 보도위 차량주차 단속, 보도 포장상태 개선 및 보도턱 낮춤, 횡단보도 확충으로 응답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론들을 요약하면, 보행환경개선사업을 통한 보행활성화와 보행권회복의 효과를 가장 효율적으로 거둘 수 있는 공간은 대중교통수단과 연계되는 공간 즉 가로변과 통학로, 공원 및 산책로, 쇼핑공간이고 이러한 공간의 조성 시에는 연령별 통행목적별 보행특성이 반영되어야 한다. 또한 우선되어야할 보행환경개선사업은 보행공간 확충이며 보행을 침해하는 요인들을 구조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세심한 설계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re are quite lots of tries to make it better problems of the condition of pedestrian deteriorated by increase of traffic demand after the change of means of transportations with cars over cities. But, the condition of pedestrian being an element of not only transportations but also urban planning, we have to make a balanced plan in speculating all circumstances in the city. Thus, defining the special quality of pedestrian, we should make a plan for the improvement of pedestrian environment under the result of it. The intention of this study is to check and analyze traits of the pedestrian in case cities and make plans reflecting its result. We used the questionnaire to define the special quality of pedestrian in this study. We looked into the general tendency and current of the special quality of pedestrian through analyzing the result of questionnaires with phone and SPSS, tried to define the special quality of pedestrian of the citizen in Gwang-Ju through upward results divided into the age, sex, job, and class, and checking the way to improve Pedestrian environment way by pedestrian satisfaction. The following is the conclusion: First, checking the rate of modal split that follow in trip purpose of Gwang-Ju, most of the pedestrian was defined as an act of leisure since it had a high rate on the jogging, stroll, movement to dine, amusement, and way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cond, linked trip that follow in type special quality, the rate of single modal split being 97.9% in Gwang-Ju, most of the people were usually using just one way to transfer. There were more people (37%) using the public transportation than people (19.2%) using their own cars. Third, nobody had the time for walking as much as the teenage and vice versa to thirties. Day average pedestrian amounts that follow in trip purpose was very high at the spare time for exercise or stroll and very low at rush hour. Students and homemakers had more day average pedestrian amount than the average and vice versa to salesmen and workers in tertiary industry. Fourth, checking pedestrian satisfaction - 45.3% of the citizen was satisfied with improve Pedestrian in Gwang-Ju - showed that citizens of Gwang-Ju answered in the affirmative for condition of pedestrian. In detail, people in thirties, forties, and fifties showed high dissatisfaction compare with people in the teenage, twenties, and sixties who have much time for walking showing high satisfaction, and showed that people had high dissatisfaction for shopping. The last, main factors making dissatisfaction for pedestrian environment were an illegal parking, a bad paving, a stacked matter on the side walk, and a parking on local streets in the result of the research. And, in this research, citizens of Gwang-Ju think about that urgent pedestrian environment improvement business are the sidewalks extension and establishment, the vehicles parking control of sidewalks, the improve of sidewalks pavement, the lower sidewalks side and the pedestrian crossing extension and establishment. Condensing what we mentioned above, the best place to get efficient effects on the activation of pedestrian and recovery effect of pedestrian environment by pedestrian environment improvement business is the connected place with public transportation like the road sides, attending school load, park, lane for stroll, and shopping place. When these are built, age, trip purpose pedestrian special quality should be reflected. We could confirm that the urgent is pedestrian spaces extension and we need precision designs to get rid of factors disturbing pedestrian.

      • 보행자 중심의 보행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연세로를 중심으로

        박상수 서울市立大學校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Street is like a blood vessel that is main infra-structure of the city. Also, street is typically outer space of the city where citizen can communicate. But, people got accustomed to mechanical vehicle rather than walking because of 21C's high-tech and rapidly increasing cars. As a result of that, urban planning more focused vehicles than pedestrian. As a way of regression to walking-street for pedestrian, this study analyzed current status of Yonseiro at Shincheon, surveyed matter of walking street and pedestrian's complaints. This will help us to improve pedestrian focused environments. Here is this study's main purpose. Basic definition of street is followed by suggesting the better way for alternatives to existing study. This study try to avoid from administrative opportunism based and un-balanced street construction. Instead, on the base of pedestrian's satisfaction to spacial structure of street, street bordered buildings and service for pedestrian, physical environment analysis is applied. Then pedestrian oriented optimal environment for walking is studied. This study's result is summarized below. Yonseiro is completely overloaded in its capacity - narrow footway, overflow of pedestrians, so walking congestion is frequent events in this area. The interview which is based on the physical analysis, reveal that - 85% of pedestrians are dissatisfied. - Walking level is extremely low. As an answer to this matter, 52% of interviewers is agreed to improve present worse walking environment.(relatively 30%'s "Yes") As a result, best way to improve walking environment is prohibiting the car penetration and making pedestrian exclusive footway that is more comfortable and visually attractive. Also the study proposed better way for financial problem of building a commercial facilities, detouring the car and activating the public transporting system. 가로는 도시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요소로써 도시의 혈관과 같다. 가로는 대표적인 도시의 외부공간이며, 도시민들의 커뮤니티 생활의 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21세기 첨단산업의 도래와 자동차 보급의 급속화 등으로 사람들은 익숙한 보행의 방법보다 기계적 수단을 이용한 이동을 더욱 중요시 하게 되었고, 그 결과 도시계획적인 차원에서도 그러한 부분이 고스란히 반영되어 가로의 주체를 보행자가 아닌 자동차에 그 초점을 맞추어 조성하고 있다는 것이 오늘날 가로의 현 주소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가로가 본래 보행자 중심으로 돌아가고자, 신촌 연세로를 그 대상으로 하여 현황을 분석하고 실제 보행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실제 현황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보행자들이 느끼는 불편이나 개선에 대한 아이디어를 통해 보행자 중심의 보행환경을 조성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연구의 흐름은 가로에 대한 기본적인 정의를 알아본 후 기존의 연구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해결방안에서 제시하지 못한 부분에 대하여 대안을 제시하는데 차별성을 두고, 행정적 편의상의 보행자중심의 가로환경 조성이나, 특정 부분에 치우치는 가로의 조성에서 탈피하여 보행자가 실제로 느끼는 가로공간체계와 가로에 접한 건축물, 보행서비스 등에 관한 만족도를 토대로 연세로의 건축물, 도로, 이동동선과 대중교통의 이동경로, 보행자 도로의 폭, 보행등급의 산출 및 주, 야간 및 주중과 주말의 보행속도 등 물리적 환경분석에 적용하여 보행자가 느낄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보행환경의 조성에 관해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연세로는 총체적으로 보행자도로의 폭원이 좁고 밀려드는 보행자를 수용할수 있는 한계를 초과하여 보행정체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이라는 물리적 분석을 토대로 실시한 설문조사결과 실제 보행자들이 느끼는 불만족도가 전체 응답자의 85%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행중 느끼는 보행level이 현저하게 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대안의 방법 제시에 대하여 전체응답자의 52%가 찬성, 30%가 긍정적이라는 응답을 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장 중요한 대안의 제시는 연세로의 차량진입을 완전히 배재시키는 것으로써 가로 전체를 보행자에게 환원하는 것이며, 환원되는 연세로 전체에 대해 쾌적한 보행환경조성 및 경관디자인을 감안한 보행환경의 조성이다. 이를 통해 야기될 수 있는 상업시설의 재화공급문제와 대중교통의 우회방안, 보행자의 대중교통 이용 방안 등에 대해 대안을 제시하였다.

      • 서울시 보행 기본계획에 나타난 보행 개념 및 사업 계획의 속성에 관한 연구

        이소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1997년 서울시가 보행 관련의 단독 조례를 제정한 이래, 도시의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다양한 계획과 사업이 실현되어 왔다. 도시 정책의 패러다임이 보행을 중시하는 모드로 전환되고, 이전 시대에 비해 1990년대 후반부터 보행 관련 계획과 사업에 많은 예산이 투입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노력이 보행환경을 개선하는데 있어 긍정적인 면도 있었고, 아쉬운 점도 있다. 일회성의 보행관련 이벤트가 여전히 많이 일어나고 있지만, 그럼에도 보행에 대한 관심은 계속 커가고, 보행환경을 개선하려는 노력과 비용 또한 계속 들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그 동안 서울시에서 실행한 보행관련 제반 정책과 제도의 내용분석을 통해 우리가 추구해온 보행의 본질적인 개념이 과연 무엇이었는지, 그리고 공식화한 보행계획의 본질적 속성이 무엇이었는지 파악해보고자 한다. 보행환경 조성에 근간이 되는 보행 정책 관련 공공 문서의 내용분석을 바탕으로 보행의 개념 및 보행계획의 속성을 밝히면서 공공에서 행해진 그간 보행 정책 및 사업의 성격을 규명하고 앞으로의 정책방향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한다. 이는 보행 관련 시정이 보다 분화 및 심화 되어가고 있는 현시점에서 지난 20년 간의 보행정책과 제도에 대한 일종의 점검이라 할 수 있다. 연구 대상은 물리적으로 보행환경 조성에 직접 기여하는 제반 정책과 제도 중 이론상 가장 상위계획에 속하며 관련 정책과 사업에 큰 방향을 결정하는 보행 기본계획으로 한다. 현재 국가 단위의 보행 기본계획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지자체 단위의 보행 기본계획을 대상으로 한다. 구체적인 연구 범위는 지자체 중 세계 최초의 보행 조례를 갖는 서울로 범위를 갖는다. 분석 자료로는 1997년 조례 제정 이후 현재까지 1998년, 2004년, 2014년 총 3개의 보행 기본계획을 가진 서울의 보행 기본계획을 자료로 삼는다. 본 연구는 크게 선행연구 고찰을 비롯한 문헌조사와 보행관련 공식 문서인 보행 기본계획에 대한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의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보행 관련 사건들과 법제 및 법정 계획 현황을 통해 서울시 보행 기본계획이 갖는 의의를 살펴본다. 둘째로, 지금까지 수립된 서울시의 총 3개의 보행계획인 제1차 서울시 보행환경 기본계획(1998), 제2차 서울시 보행환경 기본계획(2005), 서울시 보행안전 및 편의 증진 기본계획(2014)을 검토하여 각 보행 기본계획의 개괄적 성격 및 역할과 수립절차, 구성체계, 수립내용 등을 파악한다. 셋째로, 서울시 보행 기본계획의 개념과 사업계획 분석을 통해 서울시가 바라보는 보행, 보행자, 보행환경, 보행환경개선의 의미와 속성을 살펴보고 비교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수립된 서울시 보행 기본계획의 내용 변화가 갖는 의미와 문제점을 도출하고 새로운 정책방향에 대한 제언을 통해 우리나라 보행가로조성에 시사점을 제시한다. 총 3개의 서울시 보행기본계획의 공식 문서 내용의 검토는 punter(1999)의 분류 체계를 이용하여 가치(Goals) - 목표(Objectives) - 원칙(Principles) - 지침(Guidelines)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종합적인 측면에서 가치, 목표, 원칙, 지침이 각 보행기본계획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달라졌다. 보행 기본계획의 구성은 개괄적 지침과 구체적 사업계획을 동시에 갖고 있는데, 그 비중이 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1차 서울시 보행환경 기본계획’에서 ‘제2차 서울시 보행환경 기본계획’을 거쳐, ‘서울시 보행안전 및 편의증진 기본계획’까지 가치, 목표, 원칙의 비중은 비슷하지만 지침부분은 최근 계획 일수록 비중이 커졌다. 이는 초반에는 가치 및 개념 설정이 우선이었다면, 뒤로 갈수록 개념 설정을 넘어서 실천적 구현의 부분을 중요시되고 있는 것의 반증이다. 또한 현장조사의 비중도 커진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선행 사업이 실현 될 수록 앞선 사업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추 후 계획에 반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황조사의 비중이 커지면서 평가지표 및 사업 후 관리 방법의 중요도 또한 커진다. 다음으로 각 서울시 보행기본계획의 내용을 개념 부분과 사업계획 부분으로 나누어 보행, 보행자, 보행환경, 보행환경개선의 틀을 갖고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변화 양상을 파악 할 수 있었다. 보행기본계획의 개념적 측면에서 보행의 의미는 대중교통과의 연계, 구체화된 공간적 범위, 이동수단으로 의미가 확대되었다. 보행의 주체는 자동차와 보행자의 관계에서 있어서 사람의 위상이 강화되었다. 보행환경의 속성은 보행환경에서의 문제인식이 안정성, 편의성 측면에서 만족도 측면까지 확대되었다. 보행환경의 개선 방향은 비전 방향 제시 시, 실천적인 실행방법을 제시함으로써 구체화되었고, 중요시 되는 개선의 방향이 양적 증대에서 효율성 증대로, 효율성 증대에서 형평성 증대로 변화하였다. 보행기본계획의 사업계획적 측면에서 보행의 의미 측면에서 사업이 다루는 보행이 자동차와 분리하여 안전하게 걷는 행위에서 일상 및 여가 휴식기능의 행위까지 보행의 의미가 확대 되었고, 어린아이들의 통학으로써의 보행관련 사업까지 나타나며 범위가 구체화 되고 있다. 보행자 측면에서는 사업에서 다루는 보행의 주체가 장애인, 노약자를 포함한 교통약자에서 어린이, 대중교통 이용자, 시민 및 관광객 등으로 다양해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행환경 측면에서는 사업의 대상이 되는 보행환경이 보행량이 많은 도심 부에서 지역 생활권으로까지 확대되었고, 관광 및 어린이 보호 구역 등 특수 목적 공간을 보행환경으로 보는 사업이 나타나며 보행환경의 범위가 구체화 되고 있다. 사업의 내용을 의미하는 보행환경 개선의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개선의 내용이 초기에는 물리적, 양적 환경 개선에 치우쳤다면, 관리 시스템과 보행 인식 교육을 제안하거나, 보행동선을 다양화시키고 일회성의 걷기대회를 개최하는 등 보행환경 개선의 내용이 다양하고 세밀해지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서울시 보행 기본계획의 한계점은 기본계획 자체가 대표성을 띄다 보니, 개념적 선언의 의미를 갖거나 시범사업 중심으로 소수만 진행되기 때문에 당장 물리적 구현까지는 보장하지 못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보행 기본계획이 갖는 의미를 정의하고, 총 3개의 서울시 보행기본계획의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보행개념과 사업계획에 대한 서울시의 입장을 정리한 것에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는 추후 서울시 보행기본계획을 수립하는데 역할, 특성, 의의 등에 심층적 이해를 제공함으로써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 연구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분석이 서울시 보행기본계획에만 해당한다는 점과 기본계획의 구성 중 현장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한계를 갖는다. 이는 후속 연구를 통해 향후 우리나라 보행가로 환경조성에 대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길 기대한다. Since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enacted the ordinance for walking in 1997, various kinds of plans and projects to improve the municipal walking environment have been implemented. The paradigm of city policies has changed toward focusing on walking. Since then, a larger budget has been invested into the plan and projects for walking. There have been positive results to this series of efforts to improve the walking environment, but there is still something more to be desired. One time walking events being one example, public interest, efforts, and funds to improve the walking environment are growing. This study expects to grasp the general point of view and concepts of the formal walking plan. Through analysis of the public document related to the walking policies which is based on the established walking environment , we expect to reveal the plan for walking and the project of walking and define the properties of the walking plan and walking project and also show what direction the walking plan could take. This is an inspection of the walking policies and system for last 20 years. The basic walking plan theoretically ranks high among other policies and projects related to established walking environment physically. The basic walking plan is local government plan. There is no walking plan in the central government. The data used is from the basic walking plan in Seoul in 1998, 2004, 2014 from 1997 to now. The study is conducted in reviews of documents including previous studies and content analysis of the basic walking plan which is a formal document for walking. First, the study looks at important events and legislation related to walking in Seoul. Second, the property, role, procedure, system and content are studied examining the basic walking environment plan(1998), basic walking environment plan(2005), basic walking environment and convenience improving plan(2014). Third, In Seoul’s point of view, the meaning of the walking, the walker, the walking environment and walking environment improvement are studied and analyzed with the concept of basic walking plan and projects in mind. Last, this study presents the implication of establishing walking space through deriving meaning and problems from the basic walking plan in Seoul and suggesting directions for new policies. The review of the public document about the basic walking plan in Seoul was performed with Punter’s classification system – Goals, Objectives, Principles, Guidelines. As a result, a portion of Goals, Objectives, Principles, Guidelines in the basic walking plan was changed. The basic walking plan consists of a generalized guide and specific plan and a portion of these were changed. From the first and second basic plan of walking environment in Seoul to the basic plan of walking safety and convenience promotion in Seoul, there is no change in a portion of Goals, Objectives, Principles but the portion of Guidelines is increasing from the old plan to the new plan. This is because priority was give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goal and concept at first, but then priority was given to the application and practical realization. The previous project can be improved through a field investigation and reflection to create an improved project. As the portion of a field investigation is growing, the importance of an evaluation index and management system is also grow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basic walking plan in Seoul with a framework of walking, walker, walking environment, walking environment improvement, the following changing pattern was grasped: In the conceptual aspect of the basic walking plan, the meaning of walking has been expanded to connecting to the public transport system and the allocation of public space. The importance of the human being as a subject of walking is increasing in comparison to the importance of the transport system. The issue of the property of the walking environment has been extended from the aspect of safety and convenience to the aspect of satisfaction.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he walking environment was specified with the suggestion of a practical method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changed from an increase in quantity to an increase in efficiency and equity. In the project of the basic walking plan, the meaning of walking is extended from safe walking to the function of everyday life and leisure. The subject of the walker in the walking project has been diversified to include the mobility handicapped, the disabled, the old, weak, children, citizen and tourists. The walking environment has been extended and specified from the city center, where there is a lot of pedestrian volume, to residential areas, tourist space and school zones. At first the improvement of the walking environment was focused on the physical and quantitative aspects, now it is focused on walking education and walking events. The basic walking plan in Seoul is limited because it does not guarantee the realization of project. The plan itself is a declaration and pilot pro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importance of the basic walking plan in Seoul and to express the viewpoint of the walking concept and project plan of Seoul, comparing these three basic walking plans in Seoul and how they chang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for following studies, by providing a deep understanding of role, character, meaning in establishing basic walking pla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analysis is based on the basic walking plan and there is no specified analysis of a field evaluation. The meaningful insights about establishment of walking spaces are expected to be suggested with following studies.

      • 지구단위계획제도를 기반으로 한 보행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성유경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보행환경은 도시의 여러 요소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보행도로는 물론, 지역의 전반적인 관리를 통하여서만 개선되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특정 부문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던 보행환경 연구들을 종합하여 보행환경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지역 환경을 통합적, 구체적으로 다를 수 있는 지구단위계획을 적용하기로 하였다. 지구단위계획은 지구의 특성에 맞는 구체적인 계획이 가능하므로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총체적인 계획을 세우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의 광범위하고 일률적인 도시계획 방식으로는 이러한 보행환경에 관한 상세한 고려가 불가능하였으나 지구단위계획은 지역특성에 맞는 구체적인 보행환경 계획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지구단위계획의 관리 수법을 통하여 지역 전체의 전반적인 보행환경 개선이 가능하도록 하는 계획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1) 부문별로 이루어져왔던 보행환경 계획요소들을 종합, 체계화하였다. (2) 지구단위계획에서의 보행환경 계획목표를 수립하였다. (3) 사례조사를 통하여 현재 수립된 지구단위계획들의 보행환경 계획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4) 지구단위계획 작성 시 기준이 될 수 있는 보행환경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다. 본 논문에서 지구단위계획과 보행환경 계획요소의 고찰은 관련 선행 연구의 조사를 통해서 이루어졌으며, 지구단위계획의 평가를 위한 사례조사는 도시계획법 개정 이후 작성된 7개 지구의 지구단위계획 도서의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지구단위계획이 보행환경을 계획하기에 적합한 계획요소들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작성된 지구단위계획은 지구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획일적이라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또한 사용되는 계획요소도 다루는 방식에 있어서 구체적이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보행환경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지구단위계획의 작성 시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1) 지구특성에 맞는 적절한 계획목표를 수립한다. 지구단위계획이 다루는 모든 계획요소를 보행과 관련하여 무분별하게 사용하기 보다는 지구특성에 맞는 계획목표로 구체적인 계획의 방향을 제시하고 목표를 실현해 가는 것이 필요하다. (2) 다루고자 하는 계획요소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계획요소의 언급만으로는 보행환경 계획이 마련되어졌다고 할 수 없으며, 계획요소를 실제 반영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준을 기술하도록 한다. (3) 각 계획요소를 중요도로 구분하고 실행순서를 작성한다. 각 계획요소의 중요도와 실현되기까지의 비용, 시간소요를 고려하여 지구단위계획의 운용지침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보행환경 개선의 방안으로서 지구단위계획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지구단위계획은 시행 된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수립된 계획의 실현을 검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고,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작성된 계획의 내용 자체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므로 향후, 실현된 계획방안의 검증과 재정비에 관한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e up with comprehensive ways to improve pedestrian environment by reviewing and analyzing previous researches. Since various factors come into play and affect pedestrian environment, it can be improved only through comprehensive management of districts. To conduct the research, the District Unit Planning of DUP was applied since it specifically deals with various issues affecting the district environment. The DUP is effective to establish comprehensive plans for overall enhancement of pedestrian environment and to set up concrete plans that fit into unique conditions and special characteristics of each district. To establish comprehensive plans for the enhancement of pedestrian environment by applying the DUP, the study follows several methods as below. First, systemize and integrate factors that affect the Pedestrian Environment Planning to make up for previous researches that have overlooked comprehensive pictures and focused only on certain aspects of pedestrian environment. Second, establish objectives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Planning in accordance with the District Unit Planning. Third, conduct a case study to analyze the Pedestrian Environment Planning and identify problems. Forth, establish guidelines to improve pedestrian environment to provide a basis for the District Unit Planning. The study researched previous studies to find factors that affect the District Unit Planning and the Pedestrian Environment Planning. A case study to assess the DUP was conducted by studying books and literatures about the District Unit Planning for 7 Districts. They were written after the revision of the Urban Planning Code. After studying previous DUPs, several problems were revealed. First, many of them have taken one-size-fits-all and uniformed standards, failing to meet different conditions of each district. Second, planning factors were broad and not specific. To compensate problems mentioned above, the study suggests several points to establish effective District Unit Planning. First, establish appropriate plans while taking into considerations unique conditions of each district. Instead of recklessly applying all factors of DUP, establish concrete goals and set priorities accordingly. Make specific district unit plans to accomplish the goals. Second, make detailed descriptions on various factors which will be considered in planning. Avoid lining up factors. Concrete methods and specific criteria must be set up to implement the plan. Third, set priorities among various planning factors and decide which plan will be implemented first. While doing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UP guidelines by taking into considerations the importance of each planning factors, cost and time to materialize each of them. In addition, related local laws should be considered to add diversity to the DUP In conclusion, the study has focused on reviewing various applications of District Unit Planning and analyzing planning factors as a way to improve pedestrian environment. In fact, it usually takes 10 years for urban planning to be implemented after being established. The District Unit Planning has been implemented for only a few years. Therefore, it was difficult to verify every planning factor of the DUP. It may be desirable if future analysis on the verification of planning guidelines is made.

      • 용인경전철의 보행환경에 관한 연구 : 역사 진출입구의 보행환경과 이용객의 인식을 중심으로

        복진하 서울시립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re has been many researches on environmental friendly transportation methods due to the low-carbon green development issue concerning the climate change. Among the among these eco-friendly transportation policies and management systems in many countries including promo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the 'Light Rail Transit' is one of the effective eco-friendly transportation system due to its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al advantages. In Korea, Light Rail Transit system has introduced as a public transportation promotion method in several local governments as a public transportation that overcome the systematic limitation of urban rails and bus transit, as well as economically feasible regarding the local administration budget. However, many of these light rail transit system in Korea including Yongin Light Rail and Uijeongbu Light Rail, is hardly suffering from the deficit and low demand, and now it became a social issues. In order to solve these deficit problem, these light rail operational organization and the local governments introduced transfer discount system, shuttle bus etc.; however, the demand is still not reaching the enough number. Therefore, among one of the problematic system in Korea, Yongin Light Rail will be focused on and in consideration of its an elevated viaduct formation,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pedestrian environment of Yongin Right Rail Transit. Through demand survey and detailed site investigation, Yongin Right Rail Transit's pedestrian environment to the station entrances and user's perception, and some barriers and problems are found in this research. In this research, among many different factors in pedestrian environment, amenity, various land use, scale, road connectivity, walking continuity, road safety and crime safety actually affect the users' perception. Therefore, in order to change this negative perception on the Yongin Light Rail transit to positive perception those seven (7) factors shall be considered in improving the pedestrian environment. In conclusion, the research shows that in order to solve the deficit of demand in Yoingin Light Rail transit system, the more efficient and connivence pedestrian environment is essential.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의 문제로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이슈도 부각되면서 친환경 교통수단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중 대중교통이용을 활성화 시키고 저탄소 교통수단으로서 각광받고 있는 경전철은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다방면에서 강점을 갖고 있는 대중교통 수단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도시철도나 버스 등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지자체 재정여건에 부합하는 교통수단으로 인정되어 많은 지방자치제에서 도입하여 도시민의 대중교통 이용 촉진 장려를 위해 노력 중 하나의 방법으로 인정받아 왔다. 하지만, 최근 용인 경전철에서는 이용객 부족으로 인한 극심한 적자 문제로 지역적인 문제를 벗어나 사회적인 문제로까지 확장되어 왔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환승할인, 인근대학교 서틀버스 운영 등 많은 노력을 하고 있지만, 이용객 향상은 아직 미비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용인경전철의 경우 고가를 이용하여 대로와 탄천을 따라 설치되었다는 점을 감안하여 보행환경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및 현장답사를 통한 현황분석을 통해 실제 용인경전철의 진출입구의 보행환경과 이용객의 인식을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며, 실제 보행환경의 문제점을 찾아볼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어메니티, 토지이용의 다양성, 스케일, 보행연결성, 보행연속성, 교통안전, 범죄 안전의 다양한 요인분석을 통해 본 보행환경이 실제 경전철 이용과 이용자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용인 경전철의 이러한 부정적인 전망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되돌리기 위해서 이용객 증대는 필수적인 상황이며 위 7가지 보행행태 용인을 개선하여 용인경전철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현재 경전철의 이용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행환경개선을 통해 주민들이 용인경전철 역사로의 보행 이동이 보다 합리적이고 편리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