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금지 표현 교육 연구 : 청자 체면 위협 사례를 중심으로

        팜밍리 세종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고는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모어 화자와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금지 표현 사용 양상을 대조 분석하여 차이점과 공통점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금지 표현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한국의 언어문화는 직접적으로 이야기하는 문화가 아니라 우회적으로 표현하는 문화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국의 문화와 정서에 맞추어 교육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화자가 금지의 의미를 나타낼 때는 상대방인 청자의 체면을 위협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한국인 모어 화자들은 금지를 표현할 때 직접적인 표현보다는 간접적인 표현을 전략적으로 사용한다. 한편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금지의 의미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화용적 실패를 경험하는 일이 흔하다. 본고는 이와 같은 사실을 인지하고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해 한국어 금지 표현을 명시적으로 교육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고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고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졌다. 먼저 1장에서는 본고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여 본고의 연구 대상과 방법을 확정하였다. 이어 2장에서는 본 논의의 배경이 되는 주요 이론을 살펴보고, 정리하여 기술하였다. 그리고 3장에서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금지 표현 사용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서 DCT 조사를 실시하고,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대조 분석한 후 두 집단 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4장에서는 앞선 연구를 토대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금지 표현 교육 내용을 ‘선후배 관계에서의 금지 표현’, ‘좀’이나 ‘-는/-(으)ㄴ 것 같다’와 같은 완곡 표현, ‘자제하다’와 ‘삼가다’ 어휘 교육, 세 가지로 정하고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 5장은 결론 부분으로, 본고의 논의를 정리·제시하고 본고의 의의와 한계점을 밝혔다.

      •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 장기기억력 향상 방안 연구 : - 외국어 어휘 암기도구를 중심으로 -

        레티튀짱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2447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s of Vietnamese learners ' use of Korean vocabulary learning methods and analyzed their problems to seek learn-education that can improve their long-term memory of Korean learners. To that end, we conducted an interview and a survey of 106 Vietnamese learners on how to learn Korean words. Through this interview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most Vietnamese learners have found many difficulties in memorizing Korean vocabulary and long-term memory. To solve this problem and find a more efficient way to learn Korean vocabulary for Vietnamese learners, we learned about factors related to human language learning and memory and studied working memory models. According to the analysis, working memory is composed of four elements, the phonology circuit, the painting board of tim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the temporal buffer. Analysis of phonology short-term memory shows that one of the two subcomponents of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helps us to remember linguistic information in the long run. The internal resynchronization process maintains speech information entered through recitation and oral repetition. Thus, it has been proven that if internal resynchronization does not work, information about the vocabulary learned will disappear within two seconds. Therefore, the importance of oral learning strategies as a foreign language learning strategy is recognized in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long-term memory of the Korean words of Vietnamese learners. However, while the role of verbal repetition learning strategies in learning foreign languages is very important, the introduction of oral recursion strategies in real class makes it easier for learners to understand new words and to learn new words more interestingly. In this study, we used foreign vocabulary memorizing tools such as Mind Map and Flash Card for Vietnamese learners during Korean vocabulary lessons. Currently, mind maps and flash cards are considered by the world to be highly efficient memory tools. Mind maps are right-brained stimuli such as image, color, and code to study linguistic information, a factor stimulating the left hemisphere, such as foreign words, by Tony Buzan's Brain Learning Theory. This process has proven to help learners remember the information they want to learn because the left-brained side is all activated at the same time. Because flash cards are convenient and portable, they are a memory tool that helps learners practice words repeatedly. It has been revealed that if a learner uses a flash card to learn a foreign language, he or she will be able to reduce the rate of forgetting about words and increase long-term memory. Therefore, we are looking for a model of Korean vocabulary class that utilizes mind maps and flash cards. The usefulness of mind maps and flash cards in Korean vocabulary classes is as follows. First, it helps learners memorize Korean words easily. Second, it reduces the rate of forgetting about Korean words more than other traditional learning methods and helps improve long-term memory. Third, by making the most of your creativity and thinking freely, you can make Korean language classes not boring and interesting. It seems more desirable to be able to simultaneously stimulate learners ' learning interests and motivations. Therefore, by understanding the usefulness of mind map and flash card use in Korean vocabulary class, this study utilizes the word map and flash card, which are the most effective words for Vietnamese learners. This model of Korean vocabulary - education goes through three stages : " Preparation phase " – " Learning phase " – " Post-Reary phase " and the learning phase should be set up separately for the curriculum. The preparatory step is to prepare Korean vocabulary training materials before the teacher begins, and the post-learning step is to have the teacher practice the vocabulary learned repeatedly to the learner after the class ends. This model of Korean vocabulary - the education model used in the field of actual education - is expected to be the most effective way for Vietnamese learners, addressing the difficulties of Vietnamese learners in their Korean vocabulary and long-term memory. Key words: Korean vocabulary , Vietnamese learners, long-term memory of Korean 본 연구는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어휘 학습 방법 사용의 양상을 조사하고 이들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어휘 장기기억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먼저, 본 연구에서 베트남인 학습자 106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어휘 학습 방법에 대한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진행해봤다. 이 인터뷰와 설문조사의 결과를 통해서 대부분의 베트남인 학습자가 한국어 어휘 암기와 장기기억력에 관련된 여러 가지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한국어 어휘 학습을 위하여 베트남인 학습자가 자주 사용하는 학습 방법도 많은 단점을 존재하고 있다고 발견해냈다. 이 문제를 해결하며 베트남인 학습자에게 보다 효율적인 한국어 어휘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인간의 언어 학습과 기억력에 관련된 요소를 알아보고 작업기억 모형을 연구하기로 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작업기억은 음운회로, 시공간 그림판, 중앙처리장치, 일화적 완충기라는 4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에 인간의 언어학습과 제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중요한 요소는 음운단기기억으로 불리기도 하는 음운회로이라는 것으로 밝혀졌다(정용석, 2012). 음운단기기억 모형을 분석해보면 음운단기기억의 2 가지 하위요소 중에 언어적인 정보를 장기적으로 기억하도록 돕는 요소가 바로 내적 되뇌기 과정 (subvocal rehearsal)인 것으로 알 수 있다. 내적 되뇌기 과정은 암송, 구두반복을 통해 입력된 말소리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에 새로운 어휘를 학습할 때 내적 되뇌기 과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2초 이내에 학습한 어휘에 대한 정보가 사라지게 될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에 따라서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어휘 장기기억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본 연구에서 외국어 어휘 학습 전략으로서 구두반복 학습전략의 중요성을 알아봄으로서 한국어 어휘 학습-교육에 이 학습전략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외국어 어휘 학습에 있어서 구두반복 학습전략의 역할이 상당히 중요하지만 실제 수업에 구두반복 학습전략을 어떻게 도입하면 학습자가 쉽게 받아 들어서 재미있게 새로운 어휘를 학습하면서 어휘 장기 기억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방법도 간과할 수 없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어휘 수업을 진행할 때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구두반복 학습전략과 같이 마인드맵 (Mind Map)과 플래시카드 (Flash Card)인 외국어 어휘 암기도구를 활용하기로 했다. 현재 세계적으로 마인드 맵과 플래시 카드는 높은 효율이 있는 암기도구로 여겨지고 있다. 마인드 맵은 Tony Buzan의 두뇌 학습법 이론에 의하여 외국어 단어와 같은 좌뇌에 자극시키는 요소인 언어적인 정보를 학습하기 위해 이미지, 색깔, 부호 등과 같은 우뇌에 자극시키는 요소를 활용하는 두뇌 학습법이다. 이 과정은 모두 좌-우뇌가 동시에 활성화되게 만들기 때문에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정보를 강력하게 기억하는 데에 도와준다고 입증되었다. 플래시 카드는 편리성과 휴대성이 좋으므로 학습자가 배운 단어들을 반복적으로 연습하는 데에 도와주는 암기도구이다. 학습자가 외국어 학습에 플래시 카드를 활용하면 학습한 단어에 대해 망각 비율을 감소하며 장기기억력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마인드 맵과 플래시 카드를 활용하는 한국어 어휘 수업 모형을 모색하고자 한다. 한국어 어휘 수업에 마인드 맵과 플래시 카드 활용의 유용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가 한국어 단어를 쉽게 암기하는 데에 도와준다. 둘째, 다른 전통적인 학습 방법보다 한국어 단어에 대해 망각 비율을 감소하며 장기기억력을 향상하는 데에 도와준다. 셋째, 자기의 창의력을 최대한 발휘하며 자유롭게 연상함으로써 한국어 수업이 지루하지 않으며 재미있어지게 만들 수 있다. 학습자의 학습 흥미와 동기를 동시에 유발시킬 수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한국어 어휘 수업에 마인드 맵과 플래시 카드 활용의 유용성을 파악함으로써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구두반복 학습전략과 같이 마인드맵 (Mind Map)과 플래시카드 (Flash Card)인 외국어 어휘 암기도구를 활용한 가장 효율적인 한국어 어휘 학습-교육 모형을 설계해봤다. 이 한국어 어휘 학습-교육 모형은 “준비 단계”–“학습 단계”–“학습 후 단계”이라는 3 단계를 거치며 학습 단계는 교육과정에서 한국어 어휘 수업을 따로 설정해야 한다. 준비 단계는 교사가 수업을 시작하기 전에 한국어 어휘 교육 자료를 준비하는 작업을 하고 학습 후 단계는 수업이 끝난 후에 교사가 학습자에게 학습한 어휘를 반복적으로 연습하도록 지도해주는 작업을 진행할 것이다. 이 한국어 어휘 학습-교육 모형은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한국어 어휘 암기과 장기기억력에 있어서 베트남인 학습자의 어려움을 해결하면서 베트남인 학습자에게 가장 효율적인 한국어 어휘 학습-교육 방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베트남인 학습자, 한국어 어휘 장기기억력 향상, 어휘 암기도구

      •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읽기 전략 교육 연구

        Nguyen, Thi Binh Son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447

        세계적으로 한국어와 한국문화의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한국어 학습자의 수가 급증하고 있다. 그 중 한국으로 유학하여 대학(대학원) 진학을 목적으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는 큰 비중을 차지한다. 또한 한국어 학습자 중 베트남인 유학생 수는 중국 유학생 수 다음으로 2위를 차지한다. 따라서 베트남인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교육은 보다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그리고 학위과정에서 읽기는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기능이다. 맥나마라(McNamara, 2009)에 의하면 독자는 이해 과정에서 수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읽기 전략 지도는 그런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수단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고는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읽기 전략 교육에 목적을 둔다.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의 상대적 부족 가운데서 한국어 읽기 교육에 읽기 전략을 활용하는 연구는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받아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는 읽기 전략 사용 양상과 읽기 전략의 효과에만 집중되어 읽기 전략을 활용한 효율적인 읽기 지도 측면을 간과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읽기 과정에서 읽기 전략 사용 현황과 효과를 살펴보고, 그 현황과 효과를 개선할 수 있는 읽기 전략 교육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출발하였다. 분석한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읽기 전략 사용 현황을 토대로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베트남인 학습자들은 언어 방해로 인해 모국어 읽기에 비해 한국어 읽기서의 읽기 전략 사용에 있어 상대적으로 자동화가 어렵다. 베트남인 학습자가 한국어 읽기에서 미흡한 읽기 전략은 4급 학습자에게 ‘정보 종합’, ‘배경지식 이용하기’, ‘예측하기’, ‘훑어 읽기와 뛰어 넘기’, ‘요지 파악’, ‘구조파악’, 6급 학습자에게 ‘배경지식 이용하기’, ‘예측하기’, ‘요지 파악’, ‘구조파악’, 그리고 초인지 전략은 ‘계획하기’, ‘중요도 판단’, ‘평가하기’가 있었다. 또한, ‘정보 종합’, ‘훑어 읽기와 뛰어넘기’와 ‘담화표지 파악’, ‘점검하기’ 전략이 바르게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연구자는 이 연구를 통해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읽기에서의 읽기 전략 사용의 효과를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지식 습득은 ‘정보 종합’, ‘배경지식 이용하기’, ‘훑어 읽기와 뛰어 넘기’, ‘요지 파악’, ‘담화 표지 파악’ 전략들과 같이 간단하거나 익숙한 읽기 전략에만 적합하다. 그러므로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읽기 전략 지식 제공을 시작점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베트남인 학습자들은 텍스트의 ‘구조파악’이나 초인지 전략들과 같은 고차원적 전략에는 소극적이었다. 셋째, 모든 실험의 두 단계에서 의도적으로 읽기 전략을 사용시키는 실험에서 학습자들은 더 많은 읽기 전략을 사용하였고 이를 통해 읽기 속도는 더 증가하였다. 성취도의 경우 숫자적으로는 큰 차이가 없는 듯이 보였으나 질적 검토를 통해서는 향상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읽기 전략의 적극적인 사용이 속도와 성취도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은 검증 실험에서 더욱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곧 텍스트 읽기의 요구에 따른 필수적인 읽기 전략을 사용하면 더 높은 성취도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텍스트의 종류에 따라 전략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학습자가 언어와 내용을 처리하는 데에 몰두하여 내용 이해에 초점을 맞추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한국어 읽기 전략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교육 내용은 미숙하게 활용하는 읽기 전략에 초점을 두고 읽기 전략 교육 목표와 상응하는 지식, 수행, 태도로 구성한다. 교육 방법은 두 단계로 나누었다. 첫 단계에서는 읽기 전략 준비로서 하향식 전략 지식을 제공하고, 읽기 전략 훈련 및 연습으로서 하향식 읽기 전략을 수행하고 심화 교육 내용을 지도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도 위 순서대로 초인지 전략 지식을 제공하고, 텍스트 종류에 따른 읽기 전략 사용을 포함한 읽기 과정 통제 내용과 심화 교육 내용을 지도한다. 검증 실험을 통해 제안된 읽기 전략 수업은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읽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인과관계 연결어미 오류 연구 : -‘-아/어서’와 ‘-(으)니까’를 중심으로-

        응웬칸융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447

        Currently, teaching and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are gaining great popularity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Vietnam. In other countries, Korean is being taught at universities or private academies, including King Sejong Institute. In addition, more and more foreign learners choose to study in Korea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n depth and use it academically or professionally. According to the 2021 statistics on foreign students from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Vietnamese students accounted for 23.5% of the total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following Chinese students (as of April 1, 2021). This proves that the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Vietnamese learners needs to think about and fulfill the direction to reach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ocus on endings, one of the most difficult Korean grammar education for foreign learners. Unlike Korean, which is an agglutinative language, Vietnamese is an isolating language that has a completely different word order from Korean, thereby leading Vietnamese Korean learners to easily make mistakes. In Korean, there are various connective-endings to express a causal relationship, whereas in Vietnamese, two conjunctions 'vì...nên' are added to form a causal sentence, or two conjunctions of the correct type are added to express what the speaker wants to say. Because of this, Vietnamese learners face a lot of difficulty in acquiring or using causal connective-endings in Korean, and make many errors.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an analysis on the errors of Vietnamese learners were derived by using Korean language learners’ corpus to examine the actual use of the endings by Vietnamese learners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rrors. Based on the derived results, this study focused on the errors of the two connective-endings '-ah/eoseo' and ‘-(eu)nikka,’ presented the patterns of use and errors of learners, and identified the cause of error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aims to find an efficient educational method for the causal connective-endings '-ah/eoseo' and ‘-(eu)nikka’ in Korean grammar education. Chapter I present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the subject and method of research through the previous studies. Chapter II presents theoretical contents such as error analysis hypothesis, and concepts and causes of errors by summarizing the concepts of Korean causal connective-endings and Vietnamese causal conjunctions, and examines and organizes the semantic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causal connective-endings '-ah/eoseo' and ‘-(eu)nikka.’ Chapter III investigates the use patterns of Vietnamese learners’ causal connective-endings '-ah/eoseo' and ‘-(eu)nikka.’ Chapter IV analyzed the error patterns of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 using causal connective-endings '-ah/eoseo' and ‘-(eu)nikka’ by harnessing the error annotated corpus of Korean learners that covers seven years from 2015 to 2021. Through the analysi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corpu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ause of errors by identifying the most common errors in the process of Vietnamese learners acquiring the Korean causal connective-endings. Finally, the results of Chapter III and IV were summarized, an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Keywords: Vietnamese learners, causal connective-endings, use patterns of causal connective-endings, error patterns of causal connective-endings, error analysis. 현재 한국어에 대해 가르치고 배우는 것은 베트남을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도 상당히 인기를 끌고 있다. 해외에서는 세종학당을 포함하여 대학교 또는 사설 학원을 통해 한국어를 배우고 있다. 이외에도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 유학을 택하여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심층적으로 배워 학문적 또는 직업적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2021년도 국내 고등교육기관 외국인 유학생 통계 자료에 따르면 베트남인 유학생은 총유학생 수의 23.5%로 중국 유학생의 뒤를 잇고 있다(2021년 4월 1일 기준). 이는 현재 베트남인 학습자 대상 한국어교육이 양과 질적으로 모두 도달해야 할 지향점에 대해 고민하고 실천해야 함을 방증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한국어 문법 교육 중 하나인 어미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전개하고자 한다. 교착어인 한국어와 달리 고립어인 베트남어는 한국어와 어순이 완전히 다른 언어이기 때문에 한국어를 배우는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쉽게 오류를 범하게 된다. 한국어에서는 인과관계를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연결어미가 있는 반면에 베트남어에서는 ‘vì...nên’ 두 접속사를 추가하여 인과관계 문장을 형성하거나 올바른 유형의 두 접속사를 추가하여 화자가 하고 싶은 말을 표현할 수 있다. 때문에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인과관계 연결어미를 습득할 때나 사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되고 많은 오류를 범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베트남인 학습자들의 실제 어미 사용 현황을 살피고 오류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를 이용하여 베트남인 학습자의 오류를 분석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베트남인 학습자의 두 연결어미 ‘-아/어서’와 ‘-(으)니까’의 오류를 집중적으로 다루며 구체적으로는 학습자의 사용 양상과 오류 양상을 제시하였으며 오류를 범하는 원인이 무엇인지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인과관계 연결어미 ‘-아/어서’와 -(으)니까’의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제시하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연구의 대상과 연구 방법을 제시하고 제2장에서는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어미와 베트남어 인과관계 접속사의 개념을 정리하여 오류분석 가설과 오류의 개념, 원인 등 이론적 내용을 제시하며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어미 ‘-아/어서’와 ‘-(으)니까’의 의미적 특징과 통사적 특징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제3장에서는 베트남인 학습자의 인과관계 연결어미 ‘-아/어서’와 ‘-(으)니까’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 제4장에서는 2015년부터 2021년까지의 한국어 학습자 오류주석 말뭉치를 활용하여 베트남어권 학습자 인과관계 연결어미 ‘-아/어서’와 ‘-(으)니까’의 오류 양상을 분석하였다.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를 분석한 결과를 통해 베트남인 학습자가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어미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오류를 밝히며 오류 원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3장과 4장의 결과를 정리하고 본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 베트남인 학습자, 인과관계 연결어미, 인과관계 연결어미의 사용 양상, 인과관계 연결어미의 오류 양상, 오류분석.

      •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음운규칙 적용 양상 분석 연구

        최정선 동국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32447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gree of application of phonological rules to the Korean language and errors of Vietnamese Korean learners and to examine the reasons for such errors in order to propose the direction for teaching pronunciation to these learners. To this aim, this study measured via a survey the Vietnamese Korean learners’ awareness of Korean pronunciation, and the applicability of each phonological rule was confirmed through an experiment on the participants’ production of phonological rules. In addition, to search for the reason for producing errors in phonological rules, a phonological rule applicability experiment was carried out using the accuracy in producing the consonant of the first syllable, applicability of liaison, and applicability of phonological rule using meaningless words. The experiment results were examined. This study is composed as follows. Chapter 1 laid out the objective and necessity of the study with a review of previous literature on pronunciation education for Vietnamese Korean learners. Chapter 2 deal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 of consonants, vowels, and syllables of Korean and Vietnamese languages based on the 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 This was because pronunciation errors are closely related with one’s mother tongue. As a result of contrastive analysis, it could be predicted that Vietnamese Korean learners would have difficulty in recognizing and producing Korean affricate consonants and the liquid pronunciation of the final consonant Also, in the case of Korean, various phonological phenomena take places when the final consonant of the first syllable meets the initial consonant of the second syllable; in contrast, in Vietnamese. phonological rules are nearly non-existent and the pronunciation of words correspond to the letters. Orthographic depth hypothesis states that the regularity and arbitrariness of letter-to-sound correspondence affects linguistic information processing. The Vietnamese language is a ‘shallow orthographic system’ in which letters and sounds are largely in agreement. Korean is a comparatively ‘shallow orthographic system’ as well, considering that the letters of the initial consonant and medial vowel are nearly equal to the sound, with pronunciations only changing at the final consonant according to the phonological rules. However, Vietnamese is a much more of a ‘shallow orthographic system’ than Korean. Therefore, it was expected that Vietnamese Korean learners will have difficulty in applying the various phonological rules of the Korean language. In Chapter 3, previous studies on the selection of phonological rule conte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reviewed. In contrast to the phonological rules in Korean grammar, pronunciations are different from the letters for the phonological rule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which therefore requires learning pronunciation methods. For this reason, liaison which is not considered a phonological rule in Korean grammar is one that needs to be learn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f liaison does not take place properly, there will be errors in glottalization, nasalization, and liquidization. This is because the reason for glottalization, nasalization, and liquidization is attributed to pronouncing syllables segmentally. In Chapter 4, a pronunciation produc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rrors and characteristics of pronunciation when Vietnamese Korean learners pronounce words with phonological phenomena. The participants read a sentence in which words that need to apply phonological rules are dispersed, and an audio analysis was made. The words analyzed were the words that the participants had practiced at a single institution and through a single course book. As a resul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for certain words. However, the error of not applying phonological rules and pronouncing according to the letters was much more frequently observed than the error of producing incorrect sounds by incorrectly applying phonological rules. Such outcomes indicate that the application of phonological rules is a different matter from the accurate pronunciation of the individual consonant sound, and that it is important to practice the application of phonological rules if Vietnamese Korean learners were to pronounce Korean in a natural manner. In Chapter 5, the accuracy of the initial consonant was calculated to analyze the reason for the production error in regards to phonological rules. Since errors could occur in words where phonological rules take place due to not being able to pronounce segmental sounds correctly, the accuracy of the initial consonant’s production was measured. The findings showed that all consonants other than /ㅃ, ㅉ/ showed high accuracy, which means that the reason for the phonological rule production error was not because participants did not know how to pronounce consonants. Next, it was found that about half of the participants applied liaison. It was most commonly found that participants pronounced letters as segments without applying liaisons properly. The next most frequently found error was overlapping the final consonant or replacing it with another pronunciation. This experiment did not control factors such as word frequency, syllable length, etc., as it used actual words. Thus, a speaking experiment utilizing meaningless words was carried out and the applicability of liaison and other phonological rules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indicated that there is a tendency to pronounce according to the letters without applying phonological rules as confirmed in the word condition. This confirmed the significance of phonological rule education in teaching pronunciation to Vietnamese Korean learners. The research outcomes were outlined and the study’s significance and challenges were presented in Chapter 6. When teaching pronunciation to Vietnamese Korean learners, it is necessary to guide them to learn in the order of knowledge of phonemes, knowledge of syllables, and knowledge of phonological phenomena. Moreover, since phonological phenomena occur not only within a word but also between syllables, learners should practice reading in one breath, refraining from reading with pauses in between, so that phonological phenomenon can take place within one meaningful unit. The basic element of pronunciation practice is segmental sounds, but practice needs to be carried out largely based on phonological rules. It is because pronunciation errors are not segmental sound errors but rather mostly the non-application of rules. Considering the rising number of Vietnamese Korean learners, various studies with these learners as participants are needed.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will continue to be supplemented with follow-up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음운규칙 적용도와 오류를 분석하고, 오류의 원인을 탐색하여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발음 교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발음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식을 설문 조사를 통해 측정하였고, 베트남인 학습자들의 음운규칙 산출 실험을 통해 각 음운규칙의 적용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음운규칙 산출 오류의 원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초성 자음 발화 정확도, 연음화 적용도, 무의미 단어를 사용한 음운규칙 적용도 실험을 진행하였고, 이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제2장에서는 대조분석가설에 입각하여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자음, 모음, 음절구조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발음 오류는 모국어와 밀접합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대조분석 결과 베트남인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파찰음과 종성 유음의 인지와 산출에 어려움을 겪을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어는 제1음절의 종성 자음이 제2음절의 초성 음운과 만나서 다양한 음운현상이 발생하지만, 베트남어에는 음운규칙이 거의 존재하지 않고 철자 그대로 발음한다. 표기심도 가설에서는 철자와 음운 사이의 대응의 규칙성과 임의성 여부가 언어 정보 처리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한다. 베트남어는 철자와 소리가 거의 일치하는 얕은 표기체계 언어이다. 한국어도 초성과 중성은 철자와 소리가 거의 일치하고 종성에서만 음운규칙에 따라 발음이 달라져서 비교적 얕은 표기체계의 언어이지만, 베트남어는 한국어보다 훨씬 더 얕은 표기체계이다. 따라서 베트남인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다양한 음운 규칙을 적용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제3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음운규칙 내용 선정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국어 문법에서의 음운규칙과 달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에서의 음운규칙은 철자와 발음이 달라져서 발음하는 방법을 배워야 하는 것들이다. 따라서 국어 문법에서는 음운규칙으로 간주하지 않는 연음화가 한국어교육에서는 반드시 배워야 하는 음운규칙이 된다. 또한 경음화, 비음화, 유음화의 오류 원인이 음절을 분절하여 발음하는 것에 있기 때문에 연음화를 제대로 하지 못하면 경음화, 비음화, 유음화에서도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제4장서는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음운 현상이 발생하는 단어들을 발음할 때의 오류와 특징을 검증하기 위하여 발음 산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음운규칙을 적용해서 발음해야 하는 단어들이 분산배치되어 있는 문장을 발음하게 한 후 청취 분석을 실시하였다. 단일 기관에서 단일 교재로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재에서 연습한 단어들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그 결과 몇몇 단어에서는 초급, 중급, 고급의 세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음운 규칙을 잘못 적용하여 잘못된 발음을 산출하는 오류보다, 음운 규칙을 적용하지 않고 글자대로 발음하는 오류가 훨씬 빈번하게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개별 자음의 음가를 정확하게 발음하는 것과 음운 규칙을 적용하는 것은 다른 문제이고,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자연스럽게 한국어를 발음하기 위해서는 음운 규칙을 적용하는 연습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제5장에서는 음운규칙 산출 오류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초성 자음의 정확도를 산출하였다. 분절음을 제대로 발음하지 못하기 때문에 음운규칙이 발생하는 단어에서 오류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초성 자음 산출의 정확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초성 자음에서는 /ㅃ, ㅉ/를 제외한 나머지 자음에서는 모두 정확성이 높았다. 따라서 음운규칙 산출 오류의 원인이 분절음의 정확성으로 보기 어렵다. 다음으로 연음 적용도를 확인한 결과 연음 적용도는 절반 수준이었다. 학습자들은 연음을 제대로 적용하지 못하고 철자 그대로 절음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종성 자음을 중첩하거나 다른 발음으로 대치하는 오류가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에서는 실제 단어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단어 빈도, 음절 길이 등이 면밀히 통제되지 않았다. 그래서 외생 변인의 영향력을 제거하기 위하여 무의미 단어를 활용한 발화 실험을 진행하여, 음운규칙의 적용도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단어 조건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음운규칙을 적용하지 않고 철자대로 발음하는 경향성이 발견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발음 교육에서 음운규칙 교육의 중요성을 확인시켜 주었다. 제6장에서는 연구결과를 정리하고 의의와 과제를 제시하였다.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발음 교육에서 음소에 대한 지식, 음절에 대한 지식, 음운현상에 대한 지식을 순차적으로 익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한 단어 내에서만 음운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음절 경계에서도 발생하기 때문에, 과도한 띄어 읽기를 하지 말고 하나의 의미 단위에서 음운 현상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 숨에 읽는 연습이 요구된다. 학습자들의 음운규칙 산출 오류의 원인은 분절음의 정확성보다는 절음에 있었다. 따라서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발음 교육에서는 음운규칙을 내재화 하기 위한 연습이 더욱 강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연음 훈련이 강조되어야 한다. 베트남인 학습자가 증가로 인하여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연구의 한계점들은 후속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보완할 것이다.

      •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격조사 오류 연구 : '이/가', '을/를', '에', '에서'를 중심으로

        NGUYEN THI QUYNH ANH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2447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patterns, types, and causes of errors appearing in the use of case particles by Vietnamese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focusing on ‘이/가’, ‘을/를’, ‘에’, ‘에서’ . The Korean language is differenent from the Vietnamese language; the latter is an isolating language with canonical SVO word order, while the former is an agglutinative language with canonical SOV word order. Additionally, the Vietnamese language does not have case particles like Korean; its grammatical functions or case expressions are realized by prepositions and word order. Therefore, Vietnamese learners have many difficulties and are prone to error due to interference when using Korean particles, especially subjective, objective, and adverbial case particles. Case particles in Korean, such as ‘이/가’, ‘을/를’, ‘에’, and ‘에서’, are essentially grammatical morphemes that have to be learned as distinct grammatical elements. It was found that Vietnamese learners usually replaced ‘이/가’ with ‘을/를’, ‘을/를’ with ‘이/가’, ‘을/를’ with ‘에’, and ‘에’ with ‘에서’ when paired with each other, and commonly omitted the case particles. Previous studies of particle use errors committed by Vietnamese learners are limited, and show different results without presentation errors by level and error types. In particular, most error analyses in this regard only introduced the cause of errors based on error patterns, and did not analyze the cause of errors due to interference.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subjective case particle ‘이/가’, objective case particle ‘을/를’, and adverbial case particles ‘에’ and ‘에서’, while investigating the patterns and causes of particle use errors using a Vietnamese learner corpus. The study is structured as follows: The first chapter discuss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Earlier studies are reviewed in three parts: studies of Korean case particles, studies on teaching Korean case particles, and studies on particle use errors committed by Vietnamese learners. Following these earlier studies, Contrastive Analysis and Error Analysis were applied to a learner’s corpus built and edi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between 2015 and 2020. The second chapter outlines the theoretical basis of Contrastive Analysis and Error Analysis. Contrastive Analysis is discussed in order to contrast and compare Korean case particles with the Vietnamese case expressions in the following chapter. Therefore, Error Analysis and Interference are also discussed in detail. In the third chapter, we analyze the contrast between the case particles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case expressions of the Vietnamese language. General Vietnamese characteristics and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Korean case particles, were discussed to clarify the approach of this study. Korean case particles indicate syntactic functions, such as subject, object, and adverb; Vietnamese case expressions do not carry case particles, and their syntactic function is indicated by word order and prepositions. In general, syntactic functions such as subject and object are marked by word order, and semantic functions such as adverbs are marked by prepositions. Therefore, Korean grammatical case particles such as ‘이/가’, ‘을/를’ contrast with Vietnamese word order marking subjects and objects, and Korean semantic case particles such as ‘에’, ‘에서’ contrast with Vietnamese prepositions. It is impossible to contrast them individually because ‘이/가’ and ‘을/를’ not only play a central role in signaling grammatical functions, but also display further complicated patterns concerning phenomena such as non-case marked expressions or case alternations, while ‘에’ and ‘에서’ express semantic functions realizing multiple meaning.; Moreover, the choice of ‘이/가’, ‘을/를’, ‘에’, and ‘에서’ also depends on preceding nouns and following predicates. Furthermore, Vietnamese learners, who prefer topic to subject, produce major errors in replacing the subject case particle ‘이/가’ with the topic marker ‘은/는’. Thus, topic markers in Korean and Vietnamese are also contrasted. The fourth chapter analyzes the patterns and causes of Korean case particle use errors, focusing on ‘이/가’, ‘을/를’, ‘에’, and ‘에서’, using a large-scale learner’s corpu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161,257 words (written data: 56,660 words, spoken data: 104,597 words) produced by Vietnamese learners were extracted from the learner’s corpus. The error characteristics of Vietnamese learners were collected and summarized by comparing them with those of learners of other languages. Errors by Vietnamese learners were analyzed by level, and investigated under two types: replacement and omission errors. The results show an intriguing trend in particle use error by level such that the error rate at the intermediate level was higher than at the elementary level, and the advanced level error rat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intermediate level. All levels showed the highest error rate in the use of the subject case markers ‘이/가’ and adverbial case markers ‘에서’. This indicates that Vietnamese learners always face difficulties relating to Korean case particles, regardless of proficiency level. Regarding the frequency of errors, replacement errors for all the case particles, ‘이/가’, ‘을/를’, ‘에’, and ‘에서’, were more frequent than omission errors. The causes of errors by Vietnamese learners per level and for each case particle were described and judged bin terms of Vietnamese interference. Errors due to Vietnamese interference are caused by differences in the requirements for a predicate and in syntactic structure. For example, the counterparts of many auxiliary verbs in Korean are used as transitive verbs in Vietnamese and many adjectives in Korean are used as verbs in Vietnamese, and vice versa. This causes confusion among Vietnamese learners, resulting in errors in the use of ‘이/가’ and ‘을/를’. The fifth chapter summarizes the results of the stud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trends in particle use errors and error patterns produced by Vietnamese learners based on a large learner corpus. It describes the causes of errors and specifies the error characteristics of Vietnamese learner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on the formal education and particle error correction of Vietnamese learners. 본 연구는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격조사 사용에서 범하는 ‘이/가’, ‘을/를’, ‘에’, ‘에서’ 관련 오류 양상과 원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베트남어는 고립어, SVO 어순 체계를 가지고 있지만, 한국어는 교착어, SOV 어순 체계를 가지고 있어서 두 언어는 유형적으로 상이하다. 베트남어는 명시적인 격 표지가 존재하지 않고 전치사와 어순으로 문법 기능을 표시하는 무격 언어이다. 한국어는 조사와 어미를 통해 문법 기능을 표시하는 격 언어이다. 이로 인해 베트남인 학습자가 한국어의 조사를 사용할 때 어려움을 많이 느끼고 있으며 모국어인 베트남어의 간섭에 의한 오류를 많이 생산한다. 그리고 격조사 중에 주어, 목적어, 부사어 등을 표시하는 ‘이/가’, ‘을/를’, ‘에’, ‘에서’는 한국어 학습의 초급 단계에서부터 교육되는 가장 기본적인 문법 항목들이다. 베트남인 학습자가 범하는 격조사 오류 중에서 ‘을/를’은 ‘이/가’로, ‘이/가’는 ‘을/를’로, ‘을/를’은 ‘에’로, ‘에’는 ‘에서’로, ‘에서’는 ‘에’로 서로 짝을 이루어 대치 오류와 누락 오류가 가장 빈번하게 나타난다. 본 연구는 베트남인 학습자가 사용하는 격조사 ‘이/가’, ‘을/를’, ‘에’, ‘에서’를 대상으로 어떠한 오류유형을 자주 범하는지 어떤 원인으로 오류를 범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구성과 내용을 목차 순으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연구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국어학에서의 격조사 연구와 한국어 교육에서 이루어진 조사 교육 연구, 그리고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세 가지 내용을 검토함으로써 본 연구의 연구 문제를 기술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해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맞는 대조분석과 말뭉치 오류분석을 연구의 기반으로 설정하였다. 2장에서는 연구를 진행하는 데에 필요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았다. 우선 한국어 격조사와 베트남어의 격 표시를 대조하는 데에 필요한 대조분석에 대해 먼저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핵심 쟁점인 베트남인 학습자의 격조사 오류를 분석하기 위해 오류 분석 이론과 모국어의 간섭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격 표시 방식에 대하여 대조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이해하기 위해 베트남어의 일반적인 특징을 논의하였고 격에 대한 정의와 분류를 살펴보았다. 한국어에서는 격 표지 또는 격조사에 의해 문장 안에서 주어, 목적어, 부사어 등과 같은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는데 베트남어에는 한국어의 격조사에 해당하는 문법 요소는 일체 없지만 어순과 전치사에 의해 문법적 기능을 나타낸다. 베트남어에서는 일반적으로 주어와 목적어를 표시하는 기능은 어순에 의한 것이고 장소나 시간 등과 같은 의미적 기능은 전치사나 일부 어휘에 의한 것이다. 본 연구는 베트남어의 어순과 전치사에 의한 격 표시 방식을 살펴본 후 두 언어의 격 표시 방식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기술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인 ‘이/가’, ‘을/를’, ‘에’, ‘에서’에 초점을 두고 이들에서 지니는 의미 기능을 베트남어의 표현과 대조하였다. 또한, 베트남어는 주어보다 주제어를 더 선호하기 때문에 베트남인 학습자가 한국어 격조사 ‘이/가’를 사용할 때 ‘은/는’과의 대치 오류를 많이 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어 주제 표지와 베트남어 주제 표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밝히기 위하여 두 언어의 주제 표지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4장에서는 베트남 학습자가 한국어 조사를 사용할 때 범하는 ‘이/가’, ‘을/를’, ‘에’, ‘에서’의 오류 양상과 오류 원인을 분석한 내용이다. 베트남인 학습자가 월등하게 많이 생산하는 오류가 ‘이/가’, ‘을/를’, ‘에’, ‘에서’의 오류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국립국어원에서 구축된 학습자 오류 말뭉치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부터 2020년까지 구축된 학습자 오류 말뭉치에서 베트남 학습자가 생산한 총 161,257어절(문어: 56,660어절, 구어: 104,597어절)의 자료를 대상으로 ‘이/가’, ‘을/를’, ‘에’, ‘에서’의 오류 양상 및 오류 특성을 확인하였다. 5장에서는 주된 논의들을 정리하고 연구가 지니는 의미와 한계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두 가지이다. 첫째, 유형론적인 차이가 있는 한국어와 베트남어는 언어적 표현 방식이 다른 데에 있어 본 연구에서 통사적인 기능 측면에 초점을 두고 주어, 목적어, 부사어 등을 표시하는 방식에 대한 차이점을 자세히 기술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 학습자의 격조사 사용과 오류 양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모국어 간섭으로 격조사 오류를 많이 범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베트남 학습자가 어려워하는 격조사 ‘이/가’, ‘을/를’, ‘에’, ‘에서’의 오류를 유형별로 제시하고 각 유형에는 어떠한 오류 양상이 있는지 격조사별로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대규모로 구성된 학습자 말뭉치를 활용하여 베트남 학습자가 생산한 한국어의 격조사 ‘이/가’, ‘을/를’, ‘에’, ‘에서’ 오류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원인을 설명하기 위해 베트남어의 어떤 부분에서 어떠한 영향을 받아 오류를 생산하였는가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는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격조사 오류를 줄일 수 있는 격조사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된다.

      •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마찰음과 파찰음 발음 연구

        김소현 경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32447

        Studies considering L1 are needed for effective pronunciation education. With more and more Vietnamese in Korea, studies about them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insufficient compared with those about English or Chinese.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Vietnamese have the most difficulties in pronunciation of Korean fricatives and affricates. Not many intensive studies about the reason, however, were carried ou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nunciation of Korean fricatives and affricates by Vietnamese, based on PAM and SLM, and then to provide the result as basic data of Korean language pronunciation education for Vietnam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about the perception and the production of fricatives and affricates with fifty Vietnamese in the basic level of Korean language. And by measuring various physical values based on acoustic phonetics, scientific and objective reasons of the errors were tried to find out. In the perception analysis of fricatives, /ㅅ/ is pronounced more accurately than /ㅆ/ in the word-initial position, and similarly accurately in the word-medial position. But both are pronounced more accurately in the word-initial . In the production analysis, both /ㅅ/ and /ㅆ/ are pronounced more accurately than average, but /ㅆ/ is pronounced more accurately contrary to the perception analysis. In the acoustic phonetics analysis, the friction duration of /ㅅ/ in the word-initial is longer than that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that of /ㅆ/ is similar. The breathing duration of /ㅅ/ is shorter, but /ㅆ/ longer. It means that Vietnamese have less understanding of the breathing duration of /ㅅ/ in the word-initial. Longer friction duration in /ㅅ/ In the word-medial position, shorter in /ㅆ/. Having similar friction duration of /ㅆ/ compared with that of Korean speakers means that Vietnamese pronounce /ㅆ/ more accurately than /ㅅ/. In the perception analysis of affricates, /ㅊ/ is pronounced accurately in the word-initial, /ㅈ/ in the word-medial relatively. In the production analysis, /ㅈ/ and /ㅉ/ are pronounced more accurately than /ㅊ/. In the acoustic phonetics analys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s in /ㅈ/ and /ㅉ/ in the VOT value contrary to that of Korean speakers. Also no meaningful distinction in /ㅈ/, /ㅉ/, and /ㅊ/ in the pitch value by both men and women. In the word-medial, there is similar closure duration. However, in the VOT value, no significant difference is between /ㅈ/ and /ㅉ/, /ㅉ/ and /ㅊ/, contrary to Korean speakers'. And, in the pitch value, no meaningful distinction between /ㅈ/ and /ㅉ/, /ㅈ/ and /ㅊ/. In the VOT value and the pitch value, /ㅉ/ is closest to that of Korean spearkers', but /ㅈ/ and /ㅊ/ are much different. It mean that Vietnamese have a little more difficulties in /ㅈ/ and /ㅊ/ than /ㅉ/.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rial to objectively and scientifically clarify the production of Korean fricatives and affricates by Vietnamese, using perception, measurement, and acoustic phonetics analyses altogether. In addition, with few data to show acoustic phonetics features about the pronunciation of fricatives and affricates of Korean language by Vietnamese, this study is meaningful as basic materials of pronunciation education for them. 효과적인 발음 교육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모국어를 고려한 발음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 한국 내 베트남인 학습자들의 비중은 점점 커지고 있으나,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베트남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영어나 중국어권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비해 그 수가 부족하다.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들에서 베트남인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마찰음과 파찰음 발음을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 원인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말소리의 지각적 동화모형인 PAM과 말소리 학습 모형인 SLM에 근거하여 베트남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마찰음과 파찰음 발음 양상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베트남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발음 교육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초급 수준의 베트남인 학습자 50명을 대상으로 마찰음과 파찰음 발음에 대한 지각과 산출 실험을 실시하였고, 음향음성학적인 분석을 통해 마찰음과 파찰음 발음에 대한 다양한 물리적 수치를 측정하여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오류의 원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마찰음 발음에 대한 지각 실험 결과 어두 위치에서는 평음 /ㅅ/의 지각률이 경음 /ㅆ/의 지각률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어중 위치에서는 평음 /ㅅ/와 경음 /ㅆ/의 지각률이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평음 /ㅅ/와 경음 /ㅆ/ 모두 어두 위치에서보다 더 높은 지각률을 보였다. 산출 실험에서는 평음 /ㅅ/와 경음 /ㅆ/ 발음에 대해 모두 보통 이상의 평가를 받았으나 지각 실험과 달리 경음 /ㅆ/의 발음이 좀 더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향음성학적 분석에서는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한국인 화자들에 비해 어두 위치에서 평음의 마찰 구간을 길게 발음하였고, 경음의 마찰 구간은 한국인 화자와 비슷하게 발음하였다. 기식 구간의 경우 한국인 화자에 비해 평음의 기식 구간은 짧게, 경음의 기식 구간은 길게 발음하여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어두 위치에서 평음 /ㅅ/의 기식 구간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중 위치에서는 한국인 화자들에 비해 평음의 마찰 구간은 길게 발음하고, 경음의 마찰 구간을 짧게 발음하였다. 분석 결과 경음 /ㅆ/의 경우 마찰 구간 등이 한국인 화자의 발화 결과에 근사한 값을 보여 평음 /ㅅ/보다 경음 /ㅆ/를 더 정확하게 발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찰음 발음에 대한 지각 실험 결과 어두 위치에서는 격음 /ㅊ/의 지각률이, 어중 위치에서는 평음 /ㅈ/의 지각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산출 실험에서는 평음 /ㅈ/와 경음 /ㅉ/를 격음 /ㅊ/보다 더 정확하게 발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향음성학적 분석에서 베트남인 학습자들은 한국인 화자들과 달리 평음과 경음의 VOT 값 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피치 값에서는 남녀 화자 모두 평음, 격음, 경음의 피치 값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어중 위치에서 폐쇄 기간의 경우 한국인 화자들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VOT 값의 경우 한국인 화자들과 달리 평음과 격음, 격음과 경음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피치 값에서는 평음과 격음, 평음과 경음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분석 결과 경음 /ㅉ/의 경우 VOT 값, 피치 값 등에서 한국인 화자의 발화 결과에 가장 근사했으며, 평음 /ㅈ/와 격음 /ㅊ/의 경우 한국인 화자의 발화 결과와 많은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경음 /ㅉ/에 비해 평음 /ㅈ/와 격음 /ㅊ/의 발음을 좀 더 어려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베트남인 학습자 대상 발음 연구들에서 각각 사용하였던 지각, 산출, 음향음성학적 연구 방법을 모두 사용하여 베트남인 학습자들의 마찰음과 파찰음 발음 양상을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밝히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고의 음향음성학적 분석 결과는 베트남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마찰음과 파찰음 발음에 대한 음향음성적인 특징을 보여주는 자료가 거의 없는 실정에서 이들의 발음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운율 교육 방안 연구

        이상협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447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duction patterns of Korean prosody in Vietnamese learners of the language, and on this basis propose a curriculum for teaching Korean prosody to Vietnamese Korean learners. It is a known fact that when learning a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is an area that is impacted the most by the learner's mother tongue, and once solidified at the beginning stage, it is difficult to correct later. Prosody is the part of pronunciation that leads to slow learning progress and errors which are difficult to correct, therefore it must be taught systematically and explicitly from the beginner stages of the learning. Among various aspects of speech, not only does prosody comprise phonological information but also intonation, length. accent, etc., and as such it is controlled by pitch (frequency), length (duration), size (energy), and many other factors. When it comes to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Korean does not depend on pitch to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meanings of a word while Vietnamese does rely on pitch represented by tones to discriminate between different word meanings. Due to the fact that such a contrastive difference between the two languages can lead to difficulties in learning of the foreign language, we selected Korean intonation as one of the targets of this study. In addition, pause which manifests itself through different length or a 'temporary cut-off' of the sound is different in each language, hence we also included sound length and pause in the targets of the study. Moreover, while Vietnamese is pronounced in syllable units, Korean uses liason which breaks syllable boundaries by pronouncing the final consonant of the preceding syllable in place of the first consonant of the following syllable. Furthermore, this liason exceeds words and word-phrases manifesting itself in prosody as well. Therefore, we included the liason present in prosodic units and formed by the influence of length and pause in our study targets as well. In the case of beginner Vietnamese Korean learners, they are not used to speaking in Korean, thus their length and pause patterns differ from those of native Korean speakers, and for this reason the learners are unable to form proper prosodic units. Their pattern of speech without properly formed prosodic units can be considered awkward or unnatural by native Korean speakers. Additionally, all syllables in prosodic units in Korean are pronounced without pause which leads to such phonological phenomena as liason and nasalisation. Therefore, if the learners fail to establish proper prosodic units, they will be unable to apply the compulsory phonological phenomena, and they will rather pronounce the syllables as is. In order to deal with this problem,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production experiment and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five prosodic elements in Korean which can be found in the speech of Vietnamese learners of the language, i.e. syllable length, pause, liason inside prosodic units, word-phrase intonation, and sentence type-dependent boundary nuclear accent.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showed that the beginner Vietnamese Korean learners in many aspects displayed different prosodic characteristics than native Korean speakers. On this basis, we proposed a curriculum for teaching Korean prosody to beginner Vietnamese Korean learners. Due to not focusing on each element of Korean prosody separately but rather approaching them as a whole, this study identified the prosodic characteristics of Vietnamese Korean learners and proposed a curriculum based on them, and as such it can be considered valuable. However, it needs to be pointed out that we were yet unable to implement the proposed curriculum, teach Vietnamese Korean learners according to it, and identify its effectiveness.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prove useful as the foundation for teaching Korean prosody to Vietnamese Korean learner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초급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운율 산출 양상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운율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발음은 외국어 학습 시 학습자 모어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영역이며 학습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굳어져 이후에 수정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중에서도 운율은 학습이 더디고 학습에서 나타나는 오류의 수정 또한 쉽지 않기 때문에 학습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체계적이고 명시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운율(prosody)은 음성 중 음운 정보 이외의 억양이나 장단, 강세 등을 가리키는 말로 음의 높이(주파수), 음의 길이(지속 시간), 음의 크기(에너지) 등의 자질에 의해 제어된다. 한국어는 운율 자질 중 음의 높이가 단어의 의미를 구별하는 기능을 못 하는 데 반해 베트남어는 음높이가 성조(tone)로 나타나 단어의 의미를 구별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양 언어 간의 대조적 차이점은 외국어 학습 시 어려움으로 작용할 수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억양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음의 길이나 음의 ‘잠깐 끊김’으로 나타나는 휴지(pause)는 언어마다 달리 나타나기 때문에 음의 길이와 휴지도 연구 대상에 포함하였다. 또한 베트남어에서는 음절 단위로 끊어 발음하는 반면에 한국어에서는 음절의 경계를 넘어 앞 음절의 종성을 뒤 음절의 초성에서 발음하는 연음(liason)이 일어난다. 더욱이 이러한 연음은 단어나 어절 단위를 넘어 운율 단위 내에서도 일어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음의 길이와 휴지의 영향으로 형성된 운율 단위 내에서 일어나는 연음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초급 베트남인 학습자의 경우 한국어의 발화에 익숙하지 않기에 음의 길이나 휴지의 양상이 한국인 모어 화자의 것과 달라 운율 단위를 제대로 형성하지 못할 수 있다. 운율 단위를 제대로 형성하지 못하면 한국어 모어 화자에게 어색하거나 자연스럽지 못한 발화로 들릴 수 있다. 또한 한국어의 경우 운율 단위 내에서는 모든 음절이 휴지가 없이 발화되기 때문에 연음이나 비음화와 같은 음운 현상이 일어난다. 그러므로 운율 단위를 잘못 형성하게 되면 필수적인 음운 현상을 적용하지 못하고 음절 그대로 발음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출 실험을 통해 베트남인 학습자의 발화에서 나타나는 음절의 길이, 휴지, 운율 단위 내 연음, 말토막 억양, 문장 종류에 따른 문미 핵억양 등 다섯 가지의 한국어의 운율 요소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실험 결과, 베트남인 초급 학습자들은 여러 가지 면에서 한국인 모어 화자와 다른 운율적 특성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초급의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운율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의 운율을 이루는 요소를 분리하여 다루지 않고 총체적으로 접근하여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운율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 방안을 마련한 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교육 방안을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실제로 적용해보고 그 효용성을 파악해 보지 못하였다는 아쉬운 점이 있다. 본 연구가 향후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운율 교육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길 기대한다.

      •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음운 현상과 수준별 교육 내용 연구

        부하프엉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431

        본 연구는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수준별 음운 현상 교육 내용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외국어 교육에 있어 발음 교육이 매우 중요하나 베트남에서는 발음 교육이 그 중요성만큼 관심을 받지 못하는 실정이다. 현재 베트남인 학습자는 주로 한국어 교재를 통해서 발음을 공부한다. 이 논문은 한국어와 베트남어 간의 여러 차이로 인해 베트남인 학습자가 한국어의 음운 현상을 실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는 의식으로부터 시작되었다. 한국어와 베트남어를 비교하여 음운 현상에 대한 베트남인 학습자의 오류 양상을 살펴보고 한국어 교재에서 다루는 음운 현상 내용을 분석한 후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재의 수준별 음운 현상 교육 내용을 제안했다. 본고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음운론적 특징을 살펴보고 대조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한국어 음운 현상에 대한 베트남인 학습자의 오류 유형과 특징을 파악한 후 5개의 교재에서 제시한 음운 현상과 관련된 내용을 분석했다. 오류 유형과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베트남인 학습자에게 음운 현상의 상대적 난이도에 따라 순서를 설정하여 이를 음운 현상 배열 기준으로 잡았다. 또한 음운 현상 간의 연관성, 음운 현상의 복잡성, 음운 현상의 보편성 등 3개의 기준도 같이 적용해서 수준별 음운 현상 교육 내용을 정했다. 초급 수준은 1급과 2급으로 나눈다. 1급에서 제시하는 음운 현상은 ‘평폐쇄음화1, 자음군 단순화, ‘ㅎ’ 탈락, 경음화1, 비음화’로 총 5개이다. 2급에서 새롭게 제시하는 음운 현상은 ‘유음화 2, 경음화 3, 경음화 2, 평폐쇄음화 2, 격음화1, 격음화2’로 총6 개이며, 다시 제시하는 음운 현상은 1급의 평폐쇄음화1, 자음군 단순화, 경음화1, 비음화이다. 중급 수준은 3급과 4급으로 나눈다. ‘치조비음화1, 구개음화, 유음화1’ 등3개의 음운 현상은 3급에서 제시되는 것이다. 또한 자음군 단순화, 경음화 1, 비음화, 경음화 2, 유음화2, 격음화 1, 격음화2를 다시 제시할 필요가 있다. 4급에서 제시하는 음운 현상은 ‘치조비음화 2, 경음화 4, ‘ㄴ’ 첨가’이다. 다시 제시하는 음운 현상은 ‘치조비음화 1, 경음화3, 격음화 1, 격음화 2, 유음화’이다. 고급 수준에서는 경음화 5를 제시한다. 그리고 이 수준에서 학습자가 배운 음운 현상을 다시 확인하고 종합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지각 활동과 발화 활동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contents of phonological phenomena education by level of Korean textbooks for Vietnamese learners. Pronunciation education is greatly important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but in Vietnam pronunciation education is not receiving as much attention as it deserves. Currently, Vietnamese learners mainly study pronunciation through Korean textbooks. This paper began with the consciousness that Vietnamese learners have difficulty realizing the phonological phenomena of Korean due to various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Therfore,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phonological phenomena error patterns of Vietnameses learners, analyzed the phononogical phenomea of Korean texbooks then proposed the contents of phonological phenomena education by level in Korean textbooks for Vietnamese learners. In this paper, I looked over and contrasted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Vietnamese to find out ab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wo languages. Based on that, I tried to figure out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Vietnamese learners' errors in the Korean phonological phenomena by anzlyzing prior researches. By identifying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rrors, I tried to set the order of phonological phenomena that are difficult for Vietnamese learners relatively and set it as the criterion to the arrange the phonological phenomena. In addition, I also applied 3 others criteria such a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henomena, the complexity of phonological phenomena and the universality of phonological phenomena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phonological phenomenon education by level. Beginner level is divided into level 1 and level 2. The phonological phenomena presented in the first level are neutralization 1, consonant group simplificaction, ‘ㅎ’ omission, glottalization 1, nasalization. There are a total of six new phonemes presented in level 2 including liquidization 2, glottalization 3, glottization 2, neutralization 2, aspiration 1, aspiration 2. The phonological phenomena that are presented again in level 2 are neutralization 1, consonant group simplificaction, glottalization 1, nasalization. Intermediate level is divided into level 3 and level 4. Three phonological phenomena, including alveolar nasalization 1, palatalization, and liquidization 1, are presented in level 3.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consonant group simplification, glottalization 1, nasalization, glottization 2, liquidization 2, aspiration 1, aspiration 2. The phonological phenomena presented in level 4 are alveolar nasalization 2, glottalization 4, ‘ㄴ’ addition. The phonological phenomena presented again are alveolar nasalization 1, glottalization 3, aspiration 1, aspiration 2, liquidization 1, liquidization 2. The advanced level is to present glottalization 5. And at this level, it is necessary to organize perceptual and speaking activities so that learners can re-check the phonological phenomena they learned and practice them comprehensively.

      •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이중모음 발음 오류 양상 연구

        트란 누 톤 난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431

        본고는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통해 한국어 이중모음의 발음 양상을 다각도로 살펴 보고,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이중모음 발음 교육에 대한 토대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이중모음을 발화할 때 모국어의 간섭으로 인해 정확하지 않게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본고는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이중모음 발음 양상 및 발음 오류의 원인을 살펴보기 위해 이중모음을 단독으로 발음할 때, '초성+이중모음'을 발음할 때, '이중모음+종성'을 발음할 때, '초성+이중모음+종성'을 발음할 때 어떤 오류가 나타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발화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자료는 '국립국어원의 학습용 어휘 목록'을 기반으로 하여 초급, 중급, 고급 수준의 이중모음을 포함하는 어휘를 고루 선정하였다. 피실험자는 현재 베트남 하노이에서 살고 있는 초·중·고급의 각 단계의 베트남인 학습자 10명, 총 30명의 베트남인 학습자로 구성되었다. 발음 오류에 대한 판단은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본 연구자와 한국인 교사 두 명이 녹음된 자료를 듣고 전사하는 과정을 거쳤다. 본고의 분석 결과, 활음 /j/로 시작되는 한국어의 이중모음이 입력되면 베트남어에 해당하는 구조가 없으므로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j-계 상향 이중모음 발화를 가장 어려워하고 숙달도에 관계없이 오류율이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난다. 특히 [jo], [ja], [ju]는 베트남인 학습자에게 가장 어려운 이중모음들이기 때문에 교수·학습 방안을 설계할 때 주의를 깊게 기울여야 한다. 이중모음 [jo]는 CGV형 대치 오류(주로 베트남어 복모음 [iəw]로 대치)가 많고 CGVC형 대치와 탈락 오류도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중모음 [ja]는 CGV형 재구조화, 탈락 오류가 많고 CGVC형 대치와 탈락 오류가 많다. 마지막으로 이중모음 [ju]는 CGVC형 탈락 오류가 대부분인 것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pronunciation patterns of Korean diphthongs through experiments targeting Vietnamese learners and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education of diphthong pronunciation in Korean classrooms. When Vietnamese learners speak Korean, they often pronounce Korean diphthongs incorrectly due to the interference from their native language. Accordingly, in order to examine Vietnamese learners' pronunciation patterns of Korean diphthongs and the causes of pronunciation errors, a speech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participants uttering diphthongs alone, 'initial consonant + diphthong', 'diphthong + final consonant', and 'initial consonant + diphthong + final consonant'. The experiment involved 30 Vietnamese learners at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beginner, intermediate, advanced) currently residing in Hanoi. Experiment data were selected based on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s Vocabulary List', containing diphthongs at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The error judgment of the experimental pronunciation was transcribed by three people, the researcher and other two Korean teachers, to ensure the accuracy of the analysis. The analysis revealed that Vietnamese learners face significant challenges in producing Korean j-diphthongs, particularly [jo], [ja], and [ju]. These diphthongs exhibited high error rates regardless of proficiency level, with [jo] showing frequent CGV-type substitution errors (mainly replaced by the Vietnamese pronunciation [iəw]), [ja] displaying CGV-type restructuring and omission errors, and [ju] primarily featuring CGVC-type omission errors. This suggests the need for careful attention in designing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especially for these challenging diphtho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