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 뮤직비디오 공간에서의 미장센 (Mise-en-Scene) 표현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권진모 경성대학교 멀티미디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뮤직비디오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미장센(Mise-en-scene)의 표현유형 분류에 따른 연구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토대로 학문적, 실무적 관점에서 효과적인 활용의 가능성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내 뮤직비디오에 표현된 미장센의 시각적, 특징적 요소들을 공간, 장식과 프롭, 톤 앤 매너, 캐릭터, 분장, 의상, 조명으로 세분화 하여 각각의 요소들이 실제 뮤직비디오 제작 현장에서 어떻게 제작되어지고 활용되는지에 대해서 이론적 배경과 실무적 관점에서 현장감 있는 내용으로 분석하고 서술하였다. 이러한 미장센의 다양한 요소들의 분석의 대상을 본 연구자가 2008년부터 2012년 까지 미술감독으로 제작에 참여한 국내 뮤직비디오 296편을 대상으로 목적 분류학에 따라 인위분류(artificial-classification)법을 활용하여 분류하였다. 이는 뮤직비디오의 시각적 표현인 미장센에 다양하게 내재되어 있는 특징적 요소들의 동일성, 유사성에 근거하였으며, 상호연관성이 있는 동일 혹은 유사한 요소들을 범주화 하였다. 이를 근거로 하여 영화이론가 '앤 카플란'(E. Ann Kaplan)의 저서 "Rocking Around The Clock"에서 제시한 뮤직비디오의 내용과 형식면에서 보다 세부적으로 접근한 분류방법에 따라 미장센의 표현유형을 '낭만주의적 스타일(Romantic Style)', '사회 의식적 스타일(Socially Conscious Style)', '허무주의적 스타일(Nihilist Style)', '고전적인 스타일(Classical Style)', '포스트모더니즘 스타일(Post modernism Style)'로 다섯 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분류과정을 거쳐 각 스타일별 5편의 뮤직비디오 총 25편의 뮤직비디오에 표현된 미장센 요소들을 세분화하여 심도 있게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연구에서 미장센은 구성요소에 따른 시각이미지의 표현유형에 따라 수용자의 주의를 끌고 흥미를 유발시키는 다양한 요소를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미장센은 크리에이티브 요소로서 다양한 해석의 시도가 필요하며 향후, 영상디자인 분야에서 미장센의 표현유형의 분류에 따른 다양한 실증적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국내 여성 아이돌 가수의 이미지 분석

        한지은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이미지의 종류를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2010-2012년의 뮤직비디오에서 표현된 국내 여성 아이돌 가수의 이미지를 파악하며 각각의 이미지에 따라 나타난 의복스타일과 메이크업, 헤어스타일, 액세서리 등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K-POP열풍이 시작된 2010년을 시작으로 2012년 8월까지 활동한 여성가수들 중에서 상위권에 위치하는 여성 가수와 곡을 선택하였는데, 2NE1의 ‘Can't Nobody’(2010), ‘내가 제일 잘 나가’(2011), ‘I Love You’(2012), 티아라의 ‘너 때문에 미쳐’(2010), ‘Roly-Poly’(2011), ‘Lovey-Dovey’(2012), 아이유의 ‘좋은 날’ (2010), ‘나만 몰랐던 이야기’(2011), ‘하루 끝’(2012)으로 3곡씩 총 9곡의 뮤직비디오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과 선행연구 고찰에 의하여 분석틀을 제시하고, 뮤직비디오에 나타나는 패션스타일의 사진을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준거집단의 평가를 통해 나온 가장 높은 순위의 이미지 두 개를 분석틀에 적용하여 직접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NE1의 2010년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이미지는 아방가르드와 매니쉬, 2011년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이미지는 아방가르드와 스포티, 2012년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이미지는 페미닌과 매니쉬이다. 둘째, 티아라의 2010년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이미지는 페미닌과 스포티, 2011년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이미지는 로맨틱과 스포티, 2012년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이미지는 스포티와 아방가르드이다. 셋째, 아이유의 2010년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이미지는 모던과 페미닌, 2011년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이미지는 클래식과 모던, 2012년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이미지는 내추럴과 에스닉이다. 넷째,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이미지는 기본적으로 그 가수가 추구하는 이미지 컨셉과 혼합되어 나타나며, 트렌드 보다는 곡의 분위기나 컨셉에 맞는 패션스타일이 주로 보이고, 액세서리나 디테일적인 부분에서 트렌드와 일치하는 것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뮤직비디오에 나오는 이미지는 음악의 전반적인 분위기와 여성가수의 기본적으로 추구하는 이미지가 중심이 되며,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서 의복스타일과 헤어스타일, 메이크업 스타일, 액세서리에도 이미지에 따른 특징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트렌드는 각 소품에 따라 적용되기도 하지만 전체적인 이미지의 흐름을 바꾸진 않는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뮤직비디오에 나온 이미지는 트렌드 적용에 치중하여 유행을 반영하기보다 여성가수와 곡의 이미지에 더욱 중점을 두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여성 아이돌 가수의 패션 이미지에 관한 관련분야 뿐 아니라 개인의 이미지의 변화나 동경하는 여성가수의 이미지 연출을 하고자 할 때, 토탈 이미지 메이킹(의복스타일, 헤어스타일, 메이크업, 액세서리)의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types of images through advanced researches and based on this, to grasp the images of Korea’s idol singers which were represented in the music videos in 2010-2012 and to analyze clothing styles, make-up, hairstyles, accessories, etc. according to each image. As the research objects, those singers in the upper ranks of the female singers who were active from 2010, when K-pop fever began, until August 2012 and their songs were selected, of which the music videos of a total of 9 songs: 2NE1’s ‘Can’t Nobody’ (2010), ‘I’m Riding High’ (2011), ‘I Love You’ (2012); T-ARA’s ‘You Make Me Crazy’(2010), ‘Roly-Poly’(2011), ‘Lovey-Dovey’(2012); IU’s ‘A Fine Day’ (2010), ‘A Story Only I Didn’t Know’(2011), ‘The Day’s End’ (2012) were considered. As the methodology of this research, analytical framework was presented by inquiring into literature and preceding researches, and the photographs of fashion styles appeared in the music videos were used as data and the method of direct analysis was used by applying the two images, which were in the highest rank resulting from the evaluation by the reference group, to the analytical framework.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2NE1, the images appeared in the music video in 2010 are avant-garde and mannish, the images appeared in the music video in 2011 were avant-garde and sporty, and the images appeared in the music video in 2012 were feminine and mannish. Second, for T-ARA, the images appeared in the music video in 2010 were feminine and sporty, the images appeared in the music video in 2011 were romantic and sporty, and the images appeared in the music video in 2012 were sporty and avant-garde. Third, For IU, the images appeared in the music video in 2010 were modern and feminine, the images appeared in the music video in 2011 were classic and modern, and the images appeared in the music video in 2012 were natural and ethnic. Fourth, the images appeared in the music video were represented by being mixed with the images pursued basically by the singers, and the fashion styles were mainly shown suitable to the atmosphere or concept of the songs rather than to the trends, and there were some that coincided with the trends in accessories or in detailed parts. From the above-mentioned results, the overall atmosphere of the music and the images that the female singers basically pursue became central to the images appeared in the music videos, and it could be seen that in order to express the images,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images appeared also in clothing styles, hairstyles, make-up, and accessories. The trends are sometimes applied according to props but do not change the overall flow of the images. The reason that such phenomena occur is that the images appeared in the music video place more emphasis on the images of the female singers and the songs rather than reflecting trends by placing emphasis on the application of trends. These results will be able to be utilized as reference data for total image making (clothing styles, hairstyles, makeup, accessories) not only in the areas related to the fashion images of female idol singers but also in attempting to change personal images or to produce the images of admired female singers.

      • 국내 뮤직비디오에 등장하는 여성 캐릭터의 주체성 변화 연구 : K-pop 걸 그룹 뮤직비디오를 중심으로

        최재인 청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표된 걸 그룹의 뮤직비디오(K-pop Girl Groups' Music Video)에 등장하는 여성 캐릭터가 가진 주체성의 재현과 시기에 따른 그 의미의 변화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뮤직비디오는 음악이라는 청각예술 장르를 시각적으로도 감상할 수 있게끔 감각의 범위를 확장시켜, 가수가 음반을 발표할 때 음악과 함께 제작하는 영상 콘텐츠의 장르 중 하나이다. 뮤직비디오는 이제 한국의 영상문화콘텐츠에서는 빼놓고 설명할 수 없는 위치에 자리매김했다. 국내에서 제작되는 뮤직비디오의 숫자는 그 규모와 추이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으며, 제1기 뮤직비디오(1992 서태지 이후)와 제2기(2000년대 중반) 까지는 단순히 해당 가수의 노래하는 모습만을 연출하여 촬영했다. 하지만 제3기를 지나면서 드라마나 영화에 못지않은 구성을 가지게 되면서 상대적으로 재생 시간이 짧은 콘텐츠임에도 불구하고 미장센Mise-en-scène과 내러티브Narrative까지 함축하고 있는 수준 높은 모습으로 발전하고 있다. 한편, 뮤직비디오에서 드러나고 있는 여성 캐릭터에 관련한 기존의 선행연구는 여성 캐릭터가 가진 선정성이나 여성 캐릭터에 대한 폭력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이 대다수였다. 또한, 뮤직비디오에 관한 연구라고 하더라도 이는 뮤직비디오 그 자체의 포맷이나 콘텐츠의 장르, 그리고 여성 캐릭터에게 부여된 콘셉트나 비주얼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연구가 많았다. 뮤직비디오에서 그려진 캐릭터로서의 여성 이미지와 여기에서 찾아볼 수 있는 여성캐릭터 주체 그 자체에 대한 논의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이 논의를 확대하고자 하며, 본 연구에서는 여성 캐릭터가 가진 주체성의 함의 자체를 분석의 중요한 대상으로 한다. 분석의 대상이 되는 뮤직비디오는 걸그룹 1세대부터 4세대까지, 서울가요대상과 가온차트를 기준으로 수상하였으며 상위권에 랭크된 걸 그룹의 타이틀 곡 뮤직비디오를 중심으로 하였고 그 목록은 다음과 같다. 1. S.E.S. <Dreams come true> M/V 2. 핑클(Fin.K.L) <영원한 사랑> M/V 3. 원더걸스(Wonder Girls) <Tell me> M/V 4. 소녀시대(Girls' Generation) <Gee> M/V 5. 2NE1(투애니원) <I don't care> M/V 6. Kara(카라) <Mr.> M/V 7. 여자친구(GFREIND) <시간을 달려서> M/V 8. TWICE(트와이스) <Cheer Up> M/V 본 연구는 위의 작품을 기존의 선행연구를 통해 이미지의 종류를 분류하며, 문헌과 선행연구 고찰을 기반으로 분석의 틀을 제시하고 선정된 뮤직비디오에서 여성캐릭터가 가진 이미지를 드러내기 위해 강조되어 연출된 부분을 스틸화하여 사진자료로 사용하였다. 시기별로 스틸화하여 추출한 이미지를 영상연출 그리고 기존의 여성 캐릭터의 주체성에 관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분석하고 국내 대중가요 시상식에서 수상한 작품에서 그려진 여성 캐릭터가 가지고 있는 주체성에 관한 함의를 도출하여 시기별로 흐름을 찾아보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주제와 관련하여 향후 이루어질 다양한 연구 및 뮤직비디오 제 작자가 시대의 흐름을 기반으로 여성캐릭터를 설정하는 작업에 도움이 될 것이다. 这次的研究项目是国内K-pop girl groups' music video的M/V中登场的女性角色具有的主体性的再现以及随着时代的变迁意义也发生改变为题作为研究的对象。 MV是作为歌曲的听觉艺术的载体,以引人发生感想和感受行为的扩张。歌手在发表唱片的时候和影像作品一起制作的形式是文化产品中的一种。MV有着现在韩国影像文化产品中不可忽视的地位。在国内制作成的MV的数量和其规模就在眨眼的功夫中迅速扩增。从第一时期(1992年徐太志之后)到第二时期(2000年中半)可以看到当时只以单纯的和歌手的歌曲有关的形式作为表演而出演。但是第三时期后的mv形式可以媲美电视剧或电影的场景和剧情,虽然是相对电视剧电影来说很短的时间限制中但有着Mise-en-Scène和叙事结构包含的高水准的形态出现。另一方面,MV中显现的女性角色中有关的先行研究中赋予女性角色的色情倾向或是暴力性为中心形成的角色成为大多数的选择研究对象。并且即使是关于MV的研究,这也是MV本身的形式和内容的体裁。还有女性角色中赋予的概念或视觉外形为中心形成的研究也非常多。MV中呈现的女性角色样子可以找到女性角色的主体性。因为对这本身没有形成太多的议论,使议论面扩张,呼吁作为本研究中的女性角色拥有的主体性的含义的重要研究对象。 分析对象M/V Girl groups 第一时期到第四时期以首尔音乐奖和GAONCHART音乐典礼的基准来颁奖的话次序靠前的Girl groups的成名曲M/V作为中心展开,以下目录。 1. S.E.S. <Dreams come true> M/V 2. Fin.K.L <Forever Love> M/V 3. Wonder Girls <Tell me> M/V 4. Girls' Generation <Gee> M/V 5. 2NE1 <I don't care> M/V 6. Kara <Mr.> M/V 7. GFREIND <Rough> M/V 8. TWICE <Cheer Up> M/V 本研究的是通过现在的先行研究图片的种类来分类,并且以文献和先行研究的考察作 为基础分析的框架来展示和选定的M/V中女性角色原有的照片来展示和分析的,演出部 分的剧照以不同的时期中提取的照片影像表演和现存的女性角色的主体性相关的先行研 究为基准,分析国内流行音乐的各大颁奖礼中获奖的作品中随着时代的变化呈现出的潮 流风向的展示中可以看出突显女性角色自主性的各大音乐奖项的含义。 本研究是以这样的主题和关联今后形成的更多元化的研究和MV的制作时代的潮流动 向作为基础以女性角色的设定为相关事业的研究项目。

      • DSLR카메라의 동영상기능을 활용한 뮤직비디오영상제작연구

        김대형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 국 문 요 약 > DSLR 카메라의 동영상기능을 활용한 뮤직비디오 영상제작연구 물체의 움직임을 포착하여 재현하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은 2~3만 년 전 에스파냐 알타미라동굴의 황소 벽화를 시작으로 기록된다. 그 후 오랜 시간이 흐른 뒤, 1839년 프랑스의 니에프스(Joseph Nicéphore Niépce)와 다게르 (Louis Jacques Mand Daguerre)등에 의해 사진술이 발명되고, 1878년 미국인 머이브리지 (Edward James Muggeridge)가 24장의 달리는 말의 모습을 촬영했다. 이스트먼(George Eastman Kodak)이 셀룰로이드에 의한 ‘롤필름(Roll Film)’을 개발했고, ‘롤필름(Roll Film)’의 개발로 에디슨(Thomas Alva Edison)은 혼자서 움직임을 볼 수 있는 키네마토스코프(Kinematoscop)를 1889년에 발명한다. 그 뒤 프랑스의 뤼미에르(Auguste et Louis Lumiere)형제가 시네마토그라프(Cinématographe) 라는 촬영기와 영사기를 발명하여, 1895년 여러 사람이 볼 수 있는 영화를 공개하기에 이른다. 이렇듯 기록과 재현이라는 인간의 욕망은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식과 매체를 통해 지속적으로 개발되었다. 산업, 과학문명의 발달은 기록과 재현에 있어서의 기술발전 및 매체의 발달을 야기 시켰고, 그로인해 많은 사람들이 기록물들을 쉽게 접하고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현재를 기억하고 보존하려는 인간의 욕망이 단순한 기록과 재현의 범위를 넘어, 사진과 영화와 같은 새로운 예술 분야로 발전되는데 일조했다. 인간의 기록 보존 본능이 기술의 발달과 함께 사진과 영화 같이 새로운 예술적 분야로 발전되었듯이, 광고에서 시작된 뮤직비디오 또한 예술의 한 분야로 크게 자리 잡게 되었다. 뮤직비디오는 음악 앨범의 판촉을 위한 홍보물의 일종이었다. 그러나 1981년 미국에서 처음으로 뮤직비디오만을 방영하는 MTV가 개국한 이후부터는 하나의 예술 분야로 크게 자리 잡게 되었다. 뮤직비디오와 광고의 시작은 비슷했다. 하지만 뮤직비디오가 광고와 달리 예술의 한 분야로 거듭날 수 있었던 것은 뮤직비디오가 하나의 독립적인 상품으로서 소비자들에게 유통될 수 있는 독특한 자생능력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우리가 손쉽게 사용하는 DSLR 카메라의 동영상기능을 활용하여 뮤직비디오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DSLR 카메라를 이용해서 촬영하는 영상제작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이다. 디지털 환경의 발달과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하여 전체 사진 시장은 급속도로 빠른 발전이 이루어진 반면, 손쉽게 사진을 접하게 된 일반대중들이 프로사진가로 전향 하면서 현실적으로 사진가들의 입지는 더욱더 좁아졌다. 따라서 본 연구가 사진가들의 새로운 활동영역을 개척하고, 그 영역으로의 진출을 가능토록 선행 되었으면 한다.

      • 뮤직비디오의 초현실적 영상연출 연구 : 르네 마그리트의 표현기법을 중심으로

        김대환 아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뮤직비디오는 대중문화영역에 있어 파급력이 거대한 장르이며, 매체의 발달과 함께 언제 어디서든 쉽게 접할 수 있는 문화 형식이 되었다. MTV 출범과 함께 증가한 뮤직비디오에 대한 수요는 단순히 음반의 홍보 수단에서 하나의 독립적인 문화 장르로 뮤직비디오의 가치를 격상시켰지만, 이에 따른 과도한 제작 경쟁은 획일화된 스타일이나 무분별한 모방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뮤직비디오의 독창적 연출방안에 대한 방법으로 초현실주의의 데페이즈망을 선택하게 되었다. 초현실주의를 대표하는 여러 표현양식 중 데페이즈망으로 대변되는 마그리트의 회화는, 평범한 사물을 고유영역 밖에 배치하거나 예상치 못한 요소와 결합시킴으로써 발상의 전환을 불러일으켰고, 이는 많은 예술가들의 창작 활동에 큰 영감을 주었다. 오늘날 마그리트의 표현양식을 표방하는 장르와 활용매체는 점점 방대해져 가고 있지만 영상매체, 특히 뮤직비디오 분야에서는 그 영향력에 비해 마그리트의 표현 양식을 응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기존 연구의 대다수는 시간개념이 배제된 정지이미지와 마그리트 회화와의 관계성을 다루거나, 영상매체라 하더라도 단순히 활용 현상에 대한 이론정립을 하고 있을 뿐 실질적인 연출 방안에 대한 제시가 결여되어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뮤직비디오를 제작함에 있어, 르네 마그리트의 표현 양식을 응용한 구체적인 연출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마그리트의 조형원리를 8가지 유형으로 정리한 수지 개블릭의 분류법을 바탕으로 그의 작품에 관한 분석이 진행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마그리트의 데페이즈망이 뮤직비디오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는지 정리하였다. 그리고 위에 정립된 이론적 토대를 응용·확장하여 8가지 유형별 실제 사례를 제작해 보며, 그의 표현양식을 활용한 또 다른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마그리트의 회화로부터 뮤직비디오가 받은 영향과 상관성을 살펴봄은 물론, 데페이즈망을 활용한 연출방안의 이론적 정립과 함께 영상제작자들의 독창적 발상을 돕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시각문화 미술교육(VCAE) 프로그램 연구 : 고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전민경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Our daily life is filled with a lot of visual images. We live in it, communicating with it. Modern people’s communication has shifted from text-centered thought and communication to imaginary thought and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put meanings in a single implicit visual image. The visual image is, therefore, can be interpreted as polysemous and subjective one from each perspective. VCAE(Visual culture Art Education) appears, as the education is required to foster the capability to rightly understand and accept it. This study attempted to invoke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through music videos, mass media, by extending the scope of the traditional art education including paintings, sculptures, woodcut prints, etc. Then, it expressed the messages to be communicated by using visual images and symbolic sings, and therefore, considered how to develop the visual culture art class for self-reflection through right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It specifically plans the visual culture art class using music videos and applied it to the first-year students in a high school. The class plan was developed by administering questionnaires to four classrooms (n=114) in a high school located at Jeju, before the original class. The theme of the class was ‘Producing Music Video Scenes by Reorganizing a Part of Song Words’The class consisted of two sessions: the class about theories of visual images was initially developed and then, a verse of song words was visualized as a scene of a music video. It analyzed the effects and improvements of the class based on questionnaires administered to students after the class.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using music videos are as follows: First, it fostered the creative thought with which it is possible to view objects of the visual culture from a new perspective by using the visual culture which can be easily contacted in daily life. Second, it enhanced the understanding of the visual culture. Third, it increased high school students’ interest in the visual culture, by allowing them to produce a new level of products, who are accustomed to the art class with the traditional concept. Fourth, it was possible to produce created outcomes, by allowing students to freely express their ideas, regardless of their individual performance skills, in expressing works. Fifth, it imbued perspectives for self-reflection into students in the process in which all of them appreciated works directly produced by them, after collecting their works. Finally, it could be found that the music video class can be the post-modernist educational method based on the humanistic philosophy including the recognition of relativeness and diversity, by focusing on the diversity rather than completion. Although the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has been extended, as the society has paid more attention to the visual culture, it has not been variously attempted. The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should be more systematically studied and performed to clearly teach the visual culture and extend the adequate understanding of it. To this end, teachers should pay continuous attention to it and various and specific class methods should be studied. 우리의 일상생활은 수많은 시각 이미지들로 가득 차 있다. 우리는 그 속에서 세상과 소통하며 살아가고 있다. 이렇게 현대인의 의사소통은 문자를 중심으로 한 사고와 소통으로부터, 이미지적 사고와 소통으로 변화되었다. 그리고 시각 이미지는 다양한 문장들의 의미를 단 하나의 함축적인 이미지로 담아낼 수 있다. 그래서 시각 이미지는 보는 이에 따라 다의적이고 주관적으로 해석될 수 있고, 개념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는 불확실성을 갖는다. 이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의 함양이 교육에 요구되어 시각문화 미술교육(VCAE)이 등장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처럼 변화하는 시대 흐름에 따라 회화, 조각, 판화 등의 전통적인 미술교육에서 범위를 확장하여, 대중매체인 뮤직비디오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 동기와 흥미를 유발하고자 했다. 그리고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시각 이미지와 상징 기호들을 사용하여 표현하고, 이에 올바른 이해와 감상을 통해 스스로 성찰할 수 있는 시각문화 미술 수업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시각문화 미술 수업의 구체적인 수업 방안을 계획하여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제주에 소재한 고등학교 4학급(114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본시 수업은 수업 전 사전 설문조사를 통해 수업 계획을 진행하였다. 수업의 주제는‘노래 가사의 한 부분을 재구성하여 뮤직비디오 장면 제작하기’이다. 수업 구성은 총 2차시로, 시각 이미지에 관한 이론 수업을 먼저 진행한 후, 노래 가사의 한 소절을 뮤직비디오의 한 장면처럼 시각화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연구에 관한 결과는 수업 진행 후 학생들의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수업의 효과 및 개선점에 대해 분석하였다.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시각문화 미술교육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생활 속 쉽게 접할 수 있는 시각문화를 이용하여 시각문화의 대상들을 일상의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창의적인 사고를 함양시켰다. 둘째, 시각문화에 대한 개념 이해를 높였다. 셋째, 전통적인 개념에서의 미술 수업에 익숙한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새로운 차원의 작품 제작 활동을 진행하여 시각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흥미를 증가시켰다. 넷째, 작품 표현 활동 시 개인의 실기 능력과 상관없이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게 진행하여 창의적 결과물들을 제작할 수 있었다. 다섯째, 학생들의 작품을 취합하여, 다 함께 직접 제작한 작품들을 감상하는 과정을 통해 스스로 성찰할 수 있는 관점을 심어주었다. 마지막으로 완성도보다 다양성에 초점을 두어 뮤직비디오 수업이 상대주의와 다양성의 인정 등의 인본주의 철학에 바탕을 둔 포스트모더니즘 교육방식의 가능성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시각문화에 대한 사회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시각문화 미술교육은 늘고 있지만 다양하게 시도되지는 못하고 있다. 시각문화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알리고 올바른 이해를 확산시키고자 시각문화 미술교육이 좀 더 체계적으로 연구되고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시각문화 미술교육에 관한 교수자의 지속적인 관심과 다양한 구체적인 수업 방안들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미술·음악 통합수업 지도방안 연구 : 초등학교 5·6학년을 중심으로

        송하나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researcher started to be interested in art education with music video after focusing on several educational values of music video due to the participation in UCC contest exhibition with class students. Also, this researcher planned this research so as to suggest cases of combined class between art subject and music subject and reveal possibilities of educational utilization of new visual culture, music video, as validity and necessity of combined education are raised greatly, but there were much insufficient studies on art combined class with media in Korea. Music video is a visual culture medium inducing students' interests and motivation for studying as well as manufacturing process of music video expressing music visually can be utilized to synesthetic combined class of art and music. By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video, 'visualization of auditory' in the production of music video was selected as a theory of art․music combined class and sharing combination form of Fogarty was selected and reorganized based on 2009 revised curriculum of art and music so as to organize more in-depth combined class. To select exclusive combination factors, 'color', 'rhythm', ‘melody', 'repetition', 'form' and 'tone' were selected as concepts shared between two subjects based on the cases of concepts suggested by Erickson. And, combined class was organized by 4 activities such as ‘color and music’, ‘music and form, movement’, ‘visualization of lyrics’, ‘visualization of melody and rhythm’. In relation to the utilization of music video and production of video, combined class was fulfilled and then,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ape recording, teacher's journal and contents of post-interview with students.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most of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became interesting for art and music classes through the combined class with music video. And, they participated in classes more actively and positively.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sis on class outcomes and interview, students actively explored ideas through the synesthetic combined class expressing music visually through the production of music video and detailed studying was done for music and understanding factors of students. Also, as a result of analysis on post-survey of students and interview, mutual confidence was improved during the cooperative making of works. In addition, they felt that video production they had thought it was difficult was easier and more pleasant than their thoughts and they utilized functions related to computer application and video production, they learned by class, for actiaul life activley.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to reveal educational values of music video and suggest guidance measures of combined class focusing on art·music of new form with media. Following form of class should be more combined in accordance with the combined characteristics of modern art and context of students' actual life. To achieve them, continuous interests and efforts of educational experts should be necessary to discover and reorganize combined factors of each subject. Also, combined education of more authentic meaning can be realized in actual field when cooperation with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of school and regional society is established and flexibility of system is added. 본 연구자가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미술교육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학급 학생들과 UCC 공모전에 참가하게 된 것을 계기로 뮤직비디오가 갖는 여러 가지 교육적 가치에 주목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통합교육의 당위성과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는 것에 반해 국내에서 미디어를 활용한 미술 중심 통합 수업 사례 연구는 많이 부족한 상황이었기에 미술·음악 교과간 통합 수업 사례를 제시하고 뮤직비디오라는 새로운 시각문화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밝히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뮤직비디오는 학생들의 흥미와 학습동기를 유발하는 시각문화 매체일 뿐 아니라 음악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뮤직비디오의 제작 과정은 미술과 음악의 공감각적 통합 수업에 활용 가능하다. 이러한 뮤직비디오의 특성에 착안하여 미술․음악 통합수업의 원리로 뮤직비디오 제작의 ‘청각의 시각화’를 선정하였으며 보다 심도 있는 통합수업을 조직하기 위해 2009 개정 미술과, 음악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포가티(Fogarty)의 공유형 통합유형을 택하여 재구성하였다. 포괄적인 통합 요소를 선정하기 위하여 에릭슨(Erickson)이 제시한 개념 사례를 바탕으로 ‘색’,‘리듬’,‘가락’,‘반복’,‘형태’,‘음색’을 두 교과간 공유될 수 있는 개념으로 선정했고 ‘색과 음악’, ‘음악과 형태,움직임’, ‘노랫말의 시각화’, ‘가락과 리듬의 시각화’라는 4가지 활동명으로 통합수업을 조직하였다. 뮤직비디오의 활용 및 영상제작과 관련하여 통합 수업을 실행한 뒤 녹취, 교사일지, 학생들과의 사후 면담 내용 분석을 바탕으로 질적 분석하였다. 면담 결과 대다수의 학생들이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통합 수업을 통해 미술,음악 수업이 재미있어졌다고 응답하였으며, 수업 과정에서도 보다 적극적이고 긍정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수업 결과물 분석 및 면담 결과 뮤직비디오 제작을 통해 음악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공감각적 통합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적극적인 아이디어 탐색을 하고 있었으며 학생들의 음악과 이해요소에 대해 세부적인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학생 사후 설문 조사 분석 및 면담 결과 함께 협동하여 작품을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서로간의 신뢰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어려울 줄만 알았던 영상제작이 생각보다 쉽고 재미있게 느껴졌다는 응답과 수업을 통해 배우고 컴퓨터 활용 및 영상 제작 관련 기능을 실생활에서도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렇듯 뮤직비디오의 교육적 가치를 밝히고, 미디어를 활용한 새로운 형태의 미술·음악 중심의 통합 수업 지도 방안을 제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현대 예술의 융합적 특성 및 학생들의 실생활 맥락에 부합하여 앞으로의 수업의 형태는 보다 통합적인 형태로 나아가야 할 것이라고 본다. 이를 위해서는 각 교과의 통합요소를 발견하고 재구성하기 위한 현장 교육 전문가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로 할 것이다. 또한 학교와 지역 사회의 문화 예술 기관과의 협력이 구축되고, 제도 상의 유연성이 더해질 때 보다 진정한 의미의 통합교육이 현장에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 뮤직비디오 의상에 나타난 남성 이미지 연구 : 2000년부터 2002년 현재까지

        도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21세기 우리는 이미지 시대에 살고 있으며 미디어의 범람 속에 살고 있다. 뮤직비디오는 이러한 일련의 이미지들을 제공하여 관객들로 하여금 또 다른 감성의 세계를 구성짓게 하며 그 속에 나타난 성적 이미지들은 새로운 여성성과 남성성을 제시한다. 오늘날 남성의 이미지에 대한 다각적인 해석이 진행되면서 남성의 패션에 대한 관심이 뮤직비디오 의상을 통해 시각화되므로 이를 동일시하려는 청소년은 물론 일반인들에게까지 모방되어 일상생활에 착용됨으로써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지워버리면서 새로운 남성 이미지들을 보여 주고 있다.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02년까지의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남성의 이미지를 사회 문화적 현상과 관련하여 전형적 남성 이미지, 성적 대상화 된 남성 이미지, 범창조적 남성 이미지로 범주화하여 뮤직비디오 의상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가부장제도, 자본주의, 산업혁명 이후 발생된 부르주아 계급 등의 사회 문화적 현상과 함께 지배적이고 우월적인 전형적 남성 이미지가 뮤직비디오에서 보수적, 과시적 이미지로 나타나고 있다. 보수적 이미지는 색상, 소재, 스타일 면에서만 약간의 변화를 주면서 남성의 성실성, 전문성, 합리성, 권위성 등을 슈트라는 제한된 의상을 통해 뮤직비디오에 나타나고 있다. 과시적 이미지는 강하고 단련된 신체의 과시, 스포츠를 통해 보여지는 용기와 대담성의 과시, 신체의 왜곡과 변형을 통한 남성다움, 용맹성을 과시, 군복과 같은 유니폼을 통한 영웅성 과시, 갱스터 복장을 통한 부와 권력 등이 과시를 통해 뮤직비디오에 나타나고 있다. 포스트모던 문화로 권력이 탈중심화되기 시작하면서 페미니즘, 남성해방운동 등으로 인해 여성이나 동성연애자들이 남성을 성적인 대상으로 인식하기 시작하면서 남성에게 있어서 섹슈얼리티의 표현은 인간 사회현상의 일부분으로 뮤직비디오에 관능적, 양성적, 퇴폐적 이미지로 반영되어 나타났다. 관능적 이미지는 신체의 노출과 은폐, 비치거나 타이트한 소재, 그 동안 터부시되었던 신체의 장식을 통해 남성의 나르시시즘이 여성의 시선 응시와 결합하여 나타나고 있다. 양성적 이미지는 이성 복식의 아이템, 헤어스타일, 메이크업을 서로 공유하거나 차용하여 뮤직비디오에서 성적 특성이 상실된 모호한 이미지로 나타나고 있다. 퇴폐적 이미지는 신체의 어느 일부분, 체형이나 인종, 의복 페티시와 관련하여 나타나거나 가학피학적 변태성욕이 의복과 관련하여 나타날 때 더욱 두드러지거나 종종 이성애 또는 동성애와 같은 성교의 형태로 뮤직비디오에 나타나고 있다. 21세기 남성의 삶, 사회적 갈등, 꿈과 희망, 죽음과 같은 이미지에 실존적 감각을 복합적으로 부여하여 파괴되어 가는 남성의 모습을 범창조적으로 그려내면서 뮤직비디오에서는 유희적, 사이보그, 악마적 이미지로 나타나고 있다. 유희적 이미지는 일상 규칙에서 벗어난 불일치라는 모순, 유치한 착장 방식을 통한 유아적 향수를 통해 뮤직비디오에 나타나고 있다. 사이보그 이미지는 사이버 공간에서 유행하고 있는 밝고 원색적인 칼라와 3M과 같은 하이테크 소재, 광섬유, 비닐, 반도체 칩과 복잡한 컴퓨터 회로, 미니멀하고 직선적인 디자인으로 뮤직비디오에 표현되고 있다. 악마적 이미지는 각종 악마의 모습 해골, 피, 십자가, 죽음을 상징하는 메이크업 등 극도의 공포감을 주는 파격적이고 괴기스러운 것을 통해 뮤직비디오에 표현되고 있다. 이와 같이 뮤직비디오 의상에 나타난 남성 이미지는 과거에 존재하던 이미지에서부터 새로운 시대적 조류에 따라 그에 순응하는 이미지 등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뮤직비디오의 특성과 결합하여 여러 이미지들이 자유로이 융합되어 새롭게 창조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현대의 젊은 남성들은 이러한 이미지들을 모방하거나 응용함으로써 자신들만의 새로운 이미지를 도출하거나 개성 있는 스타일을 창조해낸다. 따라서 시대에 부합하는 남성 이미지는 고정된 것이 아니며 현대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여 다양하게 파편화되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In this 21st century, we live in an age of image, being bombarded with the flood of media. Music videos provide for such images, alluring the audience to fall in another emotional world, while the sexual images shown in them suggest new images of man and woman. Today, mens images are being interpreted from various viewpoints. As interests in mens fashion are visualized through music video clothing, not only juveniles who want to be identified with the music video images but also adults try to imitate them, and proceed to wear the clothing, obliterating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illusion and creating new images of men.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is aimed at reviewing the male images shown in the music videos, particular their clothing, produced between 2000 and 2002 in relation with the socio-cultural phenomena, by categorizing them into typical male image, sexual male image and pan-creative male image. Since beginning of the human history, mens image has been characterized by patriarchal system, capitalism, bourgeois class which emerged after industrial revolution and other man-dominant socio-cultural phenomena, such male image are shown in the music video as conservative and dominant image. The conservative image varies a little in terms of color, material and styles only, and mens sincerity, professionalism, reasonableness and authority are featured in the music videos by the limited means of suite. The dominant image is featured in the music videos as strong and well-trained body, courage and boldness through sports, manliness of distorted and transformed body, bravery, heroism of the military uniform, wealth and power of the gangster costume. However, due to the post-modern culture, the power began to be decentralized, while feminism and mens liberation movement gain strength. As a result, women or heterosexuals began to regard men as sexual objects, and such a phenomenon is featured as sexual, bisexual or decadent images in the music videos. Erotic image is featured as exposed or concealed body parts, through-seen or tight materials, or the bodily decorations which have been tabooed so far. The result is mens narcissism and womens glance combined. The bisexual image is featured as heterosexual costume items, hair style or make-up in the music video, obliterating the sexual characteristics. The decadent image is featured in relation with some body parts, constitution or race or costume fetish, or more conspicuously in relation with sadistic/masochistic costume, or sometimes, as heterosexual or homosexual affairs. On the threshold of the 21st century, music videos have begun to creatively describe mens life, their social conflicts, dreams and hopes and death and thereby, feature mens such images as being destroyed in view of existentialism. The numerous creative mens images interpreted in this way are featured in many music video works only to create playful, cyborg or demonic images using the senses. The playful image appears in the music video as conflict against the regular rules or childish nostalgia by means of primitive wear. The cyborg image is expressed as bright and primary colors prevailing in the cyber space, hi-tech materials like 3M, optical fiber, vinyle, semi-conductor chip and complicated circuit, minimal and downright design, etc. The demonic image is featured in the music video as various evil skeletons, blood, cross, make-up symbolizing death, extremely terrific, unconventional and grotesque expressions. After all, mens images are featured in the music video costumes in diverse ways ranging from the conventional images to acquiescent images. In addition, various male images are combin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videos to be re-created anew. The young men in the our modern age tend to imitate or apply such images to create their own images or individualistic styles. All in all, mens image can be fixed no longer but diversified and fragmented in the new age.

      •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한국어 구어 교육 연구

        한선화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한국어 구어 교육 연구 한선화 지도교수 지 현 숙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전공 본고는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능력 향상을 위하여 뮤직비디오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인가를 모색한 연구이다. 한국어 구어 교육에서 뮤직비디오를 활용하여 교육적 효용성을 도출하고 교육적 적용 방안을 마련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한국어교육에서는 구어 교육을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있어 왔다. 말하기교육에서는 유창성 향상을 위해 여러 가지 교수기법들을 사용해 왔고, 듣기교육 역시 교육 목표에 부합하는 다양한 유형의 활동을 시도해 왔다. 본 연구는 효율적인 한국어 구어 교육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뮤직비디오’라는 매체를 중심으로 한 한국어 수업을 제안하고, 구체적인 적용 사례를 중급 말하기 수업을 통해 보이고자 한다. 한국어교육에서 핵심적이고 중요한 목표는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임은 자명한 사실이다. 의사소통 능력을 이루는 요인 가운데 상대방의 말을 잘 알아듣고 맥락에 맞게 말을 할 줄 아는 상호작용 능력은 현대 언어교육이 추구하는 가장 중요한 구인으로 보인다. 일상적인 의사소통이 음성 언어를 통해서 이루어지기에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상호작용 능력을 키우는 것은 기초적이고도 본질적일 것이다. 이에 한국어교육 연구에서 보다 다양하고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일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수업은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한국어 학습의 능동성을 높여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교재의 대화문을 단순하게 암기하는 방식이 아닌 학습자 스스로가 뮤직비디오의 주인공이 되어 구어 사용을 시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실생활과 관련된 대화 능력을 키울 수 있다. 더불어 노래를 통한 가사 듣기 활동을 통해 청해력 향상은 물론 스토리텔링 능력의 배양과 한국 문화 학습도 가능하게 하므로 한국어에 흥미를 가지고 학습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장점을 가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의 효용성을 기술하고 뮤직비디오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제시하며 대학 내 한국어 교육기관의 중급 수업에서 뮤직비디오를 실제로 활용한 수업 사례를 보이고 반응을 기술함으로써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과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밝히고 연구 방법 및 내용을 기술한 후, 구어 교육 연구와 외국어교육에서의 시청각 매체 활용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Ⅱ장에서는 한국어교육에서 시청각 매체 활용을 위한 이론적 전제를 마련하고자 시청각 매체 활용을 위한 이론과 교육자로로써 뮤직비디오의 가치와 효용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어서 Ⅲ장에서는 한국어 구어 교육과 뮤직비디오를 접목하기 위해 뮤직비디오의 선정 기준을 밝히고 유형별로 분류하였으며, 한국어 수업에서 활용할 때 염두 해야 할 교육 원리와 활용 방법들을 도출하였다. Ⅳ장에서는 이를 중급 수업에서 실제로 적용한 사례를 보고하였다.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수업은 ‘도입 단계 - 제시 단계 - 연습 단계 - 활용 단계 - 마무리 단계’의 다섯 단계로 나누어 어떻게 교수-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가를 기술하였고 그에 관한 반응을 얻기 위하여 학습자를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여 보고하였다. 마지막 Ⅴ장에서는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고 한국어교육에서 뮤직비디오 활용이 주는 교육적 가치와 효과를 정리한 후,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 에 대해 약술하는 것으로 마무리 하였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이루어져 온 한국어교육 연구에서 매체를 활용하여 구어 교육적 수월성을 확보하기 위한 이론적 체계를 마련하고 실제 교수-학습에 적용한 내용이 주를 이룬다. 본고는 효과적인 구어 교육을 위하여 뮤직비디오를 접목하여 한국어 말하기, 듣기, 문화 수업에서의 교육적 효용성을 도출하고 교육 효과를 확인한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핵심어 : 뮤직비디오, 한국어 구어 교육, 구어 상호작용, 의사소통 능력

      • 뮤직비디오를 위한 연기테크닉 연구

        송호경 세종대학교 융합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음악의 표현방식에 있어 뮤직비디오(music video)는, 과거와는 달리 상업화 되 고, 광고의 개념으로 등장하면서, 단순한 영상만이 아닌 새로운 방식의 복합적 예술 로 다가오게 되었다. 음악과 영상이 결합되면서 시너지(synergy)효과를 일으키는 복합적인 매체로 자 리를 잡았고, 그 안에 드라마(drama)형식, 립싱크(Lip Synch) 및 제스처(Gesture)형 식, 퍼포먼스(performance)형식, 등의 세부적인 장르(genre)로 나눠지게 되었고, 이 제는 대중화가 되었다. 수많은 콘텐츠(contents)가 쏟아져 나오는 시대에서 더 이상 음악과 영상을 구분 짓는 형태는 점점 사라지고, 영상과 음악을 복합시킨 콘텐츠로 자리매김 하면서, 더 욱 발전된 형태의 작품들이 나오게 되었다. 뮤직비디오는 상업적 성격과 마케팅의 일환으로서, 상업적인 성향은 배우의 연 기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배우는 소비 욕구를 유도하고, 효과적인 설득을 하기 위해 표현 하는 ‘상업적 연 기(commercial acting)’ 를 수행하기 도 한다고 서술하였다. 여기에서 뮤직비디오라는 매체에서의 제작특성과, 촬영기법에 따른 다양한 연기 테크닉(Acting Techniques)이 배우에게, 혹은 가수에게,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는 뮤직비디오에 필요한 연기테크닉을 분석하는 연구로서, 뮤직비디오의 개념과 역사를 이론적 배경을 통하여 알아본 후, 뮤직비디오 속에서 나타난 연기 특성을 아래와 같이 4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첫째) 가사와 멜로디 전달을 위한 립싱크 및 제스처. 가사와 멜로디(melody) 전달을 보다 적나라하게 표현할 수 있는 연기테크닉 으 로써, 가사에 맞는 립싱크(Lip Synch) 및 제스처(gesture)가 연기되어야 한다. 배우는 연기를 할 때에 자신의 움직임을 최대한 극대화시켜 움직이며, 특히 배 우의 표정과 입모양의 움직임을 과장하되, 추후편집 과정에 있어서 음성과 일치 시켜야 하므로, 사실적인 움직임을 기반으로 한 연기테크닉 을 활용한다. 둘째) 상징적 이미지. 뮤직비디오는 짧은 시간 내에 표현해야 하는 제작특성에 맞게 함축적 의미를 담 은 상징적 이미지(image)를 많이 활용하고 있다. 작품의 스토리와 음악의 분위기를 상징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특정한 상황설정 과 배경설정을 하고, 작품 속 출연 배우는 대사를 활용하지 않고, 표정과 움직임 을 통해 연기하여, 작품의 스토리(story)와, 음악의 분위기 그리고 가사 전달을 돕는다. 셋째) 댄스(dance) 및 퍼포먼스(performance). 뮤직비디오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댄스와 퍼포먼스는, 이제 단순히 군무 와 안무에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연기테크닉을 활용한 댄스 및 퍼포먼스가 요구 되면서 그로 인해 배우가 등장하고 있다. 배우가 등장하고 연기테크닉을 활용함으로써 점차 배우의 역할 또한 커졌으며, 이로 인해 해당 가수는 등장하지 않은 채 음성만 들리고, 배우만 등장하는, BGM(back ground music) 뮤직비디오가 출시되고 있다. 배우만 등장하는 뮤직비디오에서는 더 나아가 배우에게 댄스의 군무와 안무, 플 래시 몹(flash mob), 과 같은 움직임이 요구되며, 콩트(conte)형식으로 이루어진 퍼포먼스에는 더욱 더 연기테크닉이 요구되고 있다. 넷째) 드라마형식의 대사활용. 드라마형식의 대사활용 여부를 통해 음악의 가사와는 달리 다른 대사를 활용하 기도 하며 보다 음악을 스토리 있게 전달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뮤직비디오연기특성을 네 가지로 나누어 분석한 후, 연기 특성에 맞 는 대표작을 아래와 같이 선정하였고, 선정기준으로는 다음과 같다. 1) 조성모-아시나요. 이 작품은 드라마형식의 대사활용을 한, 우리나라 뮤직비디오 역사상 가장 성공 한 드라마형식 뮤직비디오의 시초이자 대표작품이라고 볼 수 있으며, 당대 최고 의 스타(star)배우들이, 가수 조성모와 함께 연기 호흡을 맞추어 큰 성공과 열풍 을 가져온 작품이다. 2) 싸이-강남스타일. 이 작품은 댄스와 퍼포먼스 중심형 뮤직비디오로서, 뮤직비디오 하나만으로도 세계적인 한류열풍을 불러일으킨 작품이며, 뮤직비디오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고, 그 가치를 입증시킨 작품이다. 3) 엑소-으르렁. 이 작품은 가사와 멜로디 전달을 위한, 립싱크 및 제스처 중심형 뮤직비디오로 서, 립싱크와 제스처 연기만으로 뮤직비디오를 제작하였으며, 원 테이크 (one-take)촬영기법을 통해 립싱크 및 제스처 연기를 극대화 시켰고, 향후 국내 뮤직비디오의 원 테이크 촬영기법의 트렌드(trend)를 만들어낸 대표 작품이다. 위와 같이 뮤직비디오에서 나타난 연기테크닉과 대표작품을 아래와 같이 특정한 후 분석하고, 대표작품의 성공사례를 통하여 앞으로의 방향과 과거의 성공사례를 분석하였다. 첫째) 가사와 멜로디 전달을 위한 립싱크(Lip Synch) 및 제스처(gesture). 둘째) 상징적 이미지(image) 를 통한 배우의 표정과 신체적 움직임. 셋째) 해당 음악에 대한 댄스(dance) 와 퍼포먼스(performance). 넷째) 드라마형식의 대사활용. 위와 같은 분석의 출발지점이라 할 수 있는 점은 ‘무대예술’ 과 영상예술인 ‘화 면의 영상 속 매체연기는 기록되어 지는 것(recorded)과, 살아 있는 것(live),으로 두 가지 장르 모두 연기자의 행위를 담아내는 예술 양식이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양식 상에 있어서 그 원천은 같지만, 이는 서로가 다른 표현 양식을 요구하게 되는 상이 한 예술이다. 예전부터 연기와 연극의 근간 이였던 무대연기에서 배우가 인물을 창조하고 예 술적으로 그 인물에 대해 표현하는 것은 뮤직비디오를 위한 연기, 즉 카메라를 이 용한 매체연기와는 그 뿌리가 같다고 할 수 있고, 표현의 양식의 차이라고 볼 수 있다. 더욱이 상업화가 되어가며, 소비욕구를 불러일으키기 위함에 있어, 표현양식은 더더욱 차이를 두고 있으며, 그 차이 떄문에 배우는 매체에 대한, 또는 카메라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학습과,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더더욱 중요한 사실은 뮤직비디오라는 매체는, 상업적 목표가 뚜렷하고, 음 악의 길이, 즉 4분정도 가량의 짧은 길이로서, 다양한 제작 특성이 존재하며, 그 제 작 특성 따라 또다시 뮤직비디오는 나름의 유형을 갖게 되는데, 배우는 그 유형에 따라 연기 패턴이 달라지 게 되며, 뮤직비디오의 유형으로는 크게 3가지로 나뉘게 된다. 첫째, 드라마 중심형 뮤직비디오. 대사를 활용하고 기본적으로 영화나 드라마처럼 시나리오나 대본이 존재하며 작 품 속 배역이 주어지게 되고 따로 캐스팅 단계 또한 존재하며, 배역에 해당하는 인물창조나, 캐릭터 창조를 해내어 사실적이고 자연스러운 연기를 바탕으로 하 고 있다. 둘째, 립싱크 및 제스처 중심형 뮤직비디오. 배우가 마치 가수처럼 노래하는 표정연기를 담아내는 립싱크 연기가 있고, 표정 연기와 립싱크에 이어 제스처를 활용한 연기가 있다, 셋째, 댄스 및 퍼포먼스 중심형 뮤직비디오. 배우에게 단순하지만 반복적인, 또는 플래시 몹을 위한 댄스를 요구하고 있고, 꽁트 형식의 퍼포먼스 연기를 현장에서 갑자기 요구 하는 경우도 있으며, 마치 CF의 한 장면처럼 소비욕구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과장된 연기도 요구 된다. 대부분 드라마 중심형 뮤직비디오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뮤직비디오내의 모든 연기는 연기교육이론을 바탕으로 하며, 사실주의의 대표적인 방법으로 리스트라 스버그의 메소드 연기교육법이나, 스타니슬라브스키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으며, 활용되어 지고 있다. 연기의 시작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아는 사람은 없지만, 오늘날의 가장 많이 알려지고, 또 받아들여지는 이론은, 종교의식을 위한 연극에서 부터 비롯되었다고 본다. 연극에 대해서 오스카(1989)는 이렇게 말했다. ‘태초에 인간들은 미지의 세력을 다스리고자, 세상 모든 자연적인 요소와, 수많은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서 행하는 의식에서부터 비롯되었다.’ 라고 하였다. 따라서 생생한 감동과 직접성을 본질로 하는 연기는 그 기원에서도 볼 수 있듯 이 인간의 삶 그 자체를 위한 인간 중심의 공연예술이다. 연기는 영어로 「Act + ing」 의 결합으로 이루어진‘Acting’이다. 이는 즉 ‘행동하 는 것’ 샌포드 마이스너(Sanford Meisner)의 유명한 미국의 연기교사의 말을 빌리자면, “연기란 가상으로 주어진 상황 하에서 주어진 역할의 행동을 진실하게 행하는 것” 이라고 말하며, 배우에게 주어진 상황에서 진실한 행동을 의미하고 있다. 배우란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배우는 다른 사람의 일생을 배우 자신의 몸을 수 단으로 삼고, 표현 하며 전달하는 직업이다. 그러므로 본질적으로 배우의 연기 행위 는 예술 행위’ 라고 말하였다. 이로 인해 본 연구는 뮤직비디오라는 특정과 매체 안에서 보여 지고 보여 질 수 밖에 없는 뮤직비디오를 위한 연기테크닉을 분석하고, 또한 연구하여, 향후 발전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지난날의 성공사례로 연기 특성별 대표작 선정하였다. 하나의 작품으로 성장한 뮤직비디오는 무대연기의 근본을 두고 무대연기를 하 는 방법에서 부터 비롯되었기 때문에, 뮤직비디오에서도 비슷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상업적인 측면을 더욱 부각시켜 주기 위해 필요한 연기테크 닉에 대한 연구라고 할 수 있겠다. 뮤직비디오연기는 일반적인 드라마나 영화에서 상황이나 장면의 설명을 돕기 위 해, 활용되는 BGM (Background music)이나, 테마곡 형식의 음악이 많은 비중이 차지하지 않게 사용 하여 설명을 돕는다면, 뮤직비디오에서는 드라마나 영화와는 반대로, BGM (Background music)이나, 테마곡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상황이나 장면의 설명을 도우며, 장면의 상황 설정에 어울리는 연기테크닉이 사용되기 도 하며, 이로 인해 연기의 패턴이 달라지기도 한다. 일부 과장된 연기를 하기 도 하고, 매체의 특성상 배우의 연기가 편집 과정을 통해, 배우의 연기 목표와는 다른 지점에 도달하기도 하지만, 그것과 어울리는 뮤 직비디오라는 특정 매체를 통해, 사람들에게 전달되므로 인해 감동을 주고 있고, 앞 으로 매체연기의 일부 인 뮤직비디오 안에서 보여 지고 있는 연기 형태 또한 뿌리 는 무대연기라 볼 수 있기에 앞으로 계속 연구되고 또 연구되어야 한다고 하겠다. 뮤직비디오의 가치는 뮤직비디오 하나만으로도 세계적인 한류열풍을 일으킨 가 수 싸이(psy)의 강남스타일이 입증한바 있고, 현재 한류시장의 규모와 보다 성장하 는 한류시장을 근거 삼았다. 2017년 오늘, 아이돌 음악은 전 세계적으로 사랑을 받고 있으며, 수많은 부가가 치를 창출하고 있으며, 미래에도 더욱 발전할 가능성 또한 긍정적으로 비춰지며, 이 제는 "얼굴 없는 가수" 라는 말이 무색해질 정도로 가수의 인기도가 곧 음악의 인 기를 좌지우지 하는 척도가 되었고, 이로 인하여 뮤직비디오의 중요성 또한 높아지 게 되었다. 음악이라는 산업이 이제는 음악뿐만이 아닌 복합적인 예술 산업으로 나타나게 되고 발전하게 되면서 이제는 다양한 방식의 뮤직비디오 기법 또한 연구되어야 하 며, 그 뮤직비디오 기법에 따른 여러 가지의 연기 방식 또한 배우나 가수가 연구하 여야 한다. 이로 인해 뮤직비디오는 더욱 연구되어야 하며 뮤직비디오에서 많은 비중을 차 지하는 드라마형식의 뮤직비디오에서는 더욱더 많은 연기테크닉 연구가 필요하다. 과거의 성공을 이룬 뮤직비디오의 연기테크닉을 활용하여 이를 발판삼아 커져가 는 한류시장과 맞추어 앞으로의 방향과 더욱더 큰 성공으로 이끌어야할 가치가 있 다고 분석되었다. 이를 통하여 앞으로 국내 뮤직비디오의 연기테크닉 활용에 있어 더욱 좋은 방향 을 제시하고 도움이 되고자 한다. In comparison to the past generations, music shaped into a more publicly engaging and monetary concept. Its exquisite and aesthetic form increasingly blended in within the Korean culture over the years. The combination of music and visuals created a synergetic entity, which is divided into four subcategory formats: drama, lip synchronization and gesture, and performance format. Previously, majority of the musical contents were aligned with music and image. Presently, musical contents are comprised of the natural musicality of the language and videography. Music videos developed into a more commercialized and marketing tool to attract more audience. Therefore, it has a grand influence on the production and the portrayal of the music video. Furthermore, the performer induces a 'commercial act' to the viewers which formulates an alluring and captivating feeling of yearning for more of the action. Depending on the production, the actor or singer"s acting qualifications are essential. Knowing how to effectively present one's "acting techniques" required for the production of the music vide has besome a more necessary and paramount skill. The evolutionary trend of music videos, and its history is listed through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key characteristics of music video a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four subcategories: 1) Lip synchronization and gesture for lyrics and melody transmission 2) Performer's expression and graceful movements through expressing a symbolic presentation 3) The art of dancingand musical performance 4) Implementation of dialogue by conveying dramatization After analyzing the artistic,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music video, few legendary music videos are listed below. 1) Jo Sung Mo - Do you know This phenomenal piece of music is listed as the most successful music video in the Korean-drama industry. This work has paved out the road for other artists by being an infamous and record-breaking piece. Also, it created a bridge for success for fellow actors and opened up more opportunities to other performers. 2) PSY - Gangnam Style This legendary music video is dance and performance-based. It evoked a revolutionary and global popularity of international fans. This remarkable and sensational piece led to an increasing anknowledgement of Korean pop music. More importantly, it illustrates the singificance of music video, and it shows the influence of music videos. 3) EXO - Growl This music video is comprised of lip synchronization and gesture. This catchy tune captivates many audience because of its ability to generate alluring melodies. It's also acombination of dramatic acting and gesture. This representation promoted a trend of a one-take technique, which had a grand influence on future music video. The following is a specific analysis of the acting technique and representation of the music video as described above. More importantly, the commercialized goal of a music video is to generate profit and attract audience. It's music, which is around four minutes, and the different ways of production creates a distinct type of music video. The type of music video is comprised of three different sects. 1) The drama-based music video 2) Lip synchronization and gestured-based music video 3) Dance and performance-based music video Moreover, the goal of commercializing and stimulating the consumer's desire depends on the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mechanism a camera and the basis of media. As a result, this study analyzes the necessary acting techniques in order to generate a more appealing music video. These techniques also present the future establishment of music video. Music videos, which has grown into a single work, has been derived from the method of stage play with the root of stage performance.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state that music videos require a persuasive acting trchnique to highlight the commercial and entertaining aspect of the music video. As the music video industry is becoming a more complex and aesthetic entity, it is urgent to study the varioustypes technuques in order to develop music videos. These methods include acting and how the music video is produced. Using past music videos as a reference and as a foundation, it is now possible to create a more artistic and phenomenal piece of music. Undoubtedly, the influence of Korean music is becoming more evolutionary and a global culture. Through this development, it helps people understand the complexity and the advantage of designing a marvelous music video. Conclusively, this presents as a basis for which other performers can utilize to create suc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