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탐구실험' 실행에 대한 사례연구 : 문화역사적 활동이론(CHAT) 측면에서의 이해

        신소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303

        As 'Science Inquiry Experiment' has been newly introduced in the high school curriculum, where inquiry and experiment oriented education was insufficien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eacher’s practice of ‘Science Inquiry Experiment’ in depth and identify contradictions during its process in the perspective of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CHAT). The research participant is teacher SHIN who is exclusively responsible for Science Inquiry Experiment at a high school in Gyeonggi province. Starting with reflection on the practice of Science Inquiry Experiment class conducted in the first semester,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local materials were used during 2nd semester's Science Inquiry Experiment class. A descriptive analysis of the teacher SHIN's practice of Science Inquiry Experiment was carried out and the contradictions in the activity system of the teacher SHIN were identified. The result reveals that in the overall practice of teaching Integrated Science and Science Inquiry Experiment, there were contradictions between teacher SHIN’s recognition about cooperation(subject) and shared responsibility with other teachers(division of labor), and between teacher SHIN’s recognition about the subjects(subject) and contrasting contents in teacher training courses(community). In the practice of teaching Science Inquiry Experiment, there were specific contradictions between teacher SHIN’s recognition about the subject(subject) and time of job assignment(rule), between experimental activities(object) and experimental tools(tool), and between purpose of the subject(object) and directions about assessment(rule). These contradictions influenced the practice of teaching Science Inquiry Experiment directly or indirectly. There needs to be support for constructing an activity system capable of supporting and promoting teachers’ practice of Science Inquiry Experiment, and we made several suggestions to resolve the problems.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focused on the contradictions arising from the interaction of the elements of the activity system of cultural and structural factors surrounding the teacher in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new subject of Science Inquiry Experiment. 본 연구는 그간 탐구 및 실험중심의 교육이 미비했던 고등학교 현장에 ‘과학탐구실험’이 신설·도입됨에 따라 교사의 과학탐구실험 실행과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순을 문화역사적 활동이론(CHAT)의 관점으로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경기도에서 과학탐구실험을 전담하고 있는 신교사로, 1학기의 과학탐구실험 수업 운영에 대한 반성을 시작으로 2학기 과학탐구실험 수업 운영과 함께 과학탐구실험 운영과 관련된 활동체계 요소를 중심으로 참여자에 대한 면담, 수업에 대한 참여관찰, 과학탐구실험 운영과 관련된 현지 자료 등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CHAT의 6가지 활동체계 요소를 중심으로 신교사의 과학탐구실험 실행에 대한 기술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교사의 활동체계 내에서 발생하는 모순을 규명하였다. 신교사의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 실행 전반에 걸쳐 드러나는 모순은 신교사(주체)와 동료교사와의 공유된 책무성의 부재(분업) 사이에서, 그리고 신교사(주체)와 상반된 내용의 직무 연수(공동체) 사이에서 발생하였다. 신교사의 과학탐구실험 실행 과정에서의 특이적 모순은 교과 특성에 대한 인식(주체)과 업무분장 시기(규칙), 탐구실험의 특징(객체)과 미비한 실험실 환경과 도구준비 과정(도구), 그리고 과학탐구실험의 목표(객체)와 평가 지침(규칙) 사이에서 발생하였다. 이러한 모순은 직·간접적으로 신교사의 과학탐구실험 교수 실천에 영향을 끼쳤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과학탐구실험 수업 실행을 지원하고 촉진할 수 있는 활동체계가 조성되기 위한 지원과 구조적 체제가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과학탐구실험이라는 신설교과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교사를 둘러싼 문화적, 구조적 요인들과 활동체계 요소들의 연관 속에서 발생하는 모순에 주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集團探究學習을 通한 多文化 美術 感想 指導方案 硏究

        김정남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2303

        교통, 통신, 미디어의 발달로 국제관계의 물리적 거리가 가까워지고 전 세계가 하나의 지구촌으로 통합되고 있다. 또한 최근의 한국사회는 국제결혼의 증가,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 증가로 인하여 다인종 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변모하고 있다. 세계화 시대, 다문화 사회를 맞이하는 현 시점에서 새로운 사회․문화적 경험과 인식 변화를 위한 문화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미술은 문화의 한 유형으로 문화 전달의 수단이다. 다문화 미술 감상은 미술이라는 매체를 통해 문화를 학습함으로써 세계 각국의 미술을 포함한 다양한 문화를 폭넓게 이해하고 수용하며, 적절히 소통할 수 있는 능력과 다양한 사람들과 어울려 살아가는 삶의 태도를 갖게 하는 문화교육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다문화 미술 감상에 있어 집단탐구학습은 ‘조사․탐구’와 ‘공동 사고’를 통해 미술 감상교육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고, 다문화 시대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사고력과 자세 및 태도의 함양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집단탐구학습을 통한 다문화 미술 감상을 통해 초등학생들이 다양한 문화를 학습함으로써 문화의 차이와 다양성을 깊이 있게 이해하도록 하고, 미술작품을 사회․문화의 맥락에서 이해하는 감상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지도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문헌연구를 실시하여 다문화 미술교육과 집단탐구학습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하였고,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의 다문화 관련 감상 내용을 분석하여 본 연구에 반영할 점과 개선할 점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연구의 기반이 되는 다문화 미술 감상 지도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 이에 적합한 <집단탐구학습을 통한 다문화 미술 감상>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프로그램은 세계의 문화권에서 각 문화권을 대표하는 국가의 풍경화, 풍속화, 공예품, 건축물, 디자인, 종교조각을 감상하는 것을 학습 내용으로 삼았다. 그리고 ‘탐구활동’과 ‘재미있는 감상활동’을 연계하여 감상활동을 구성함으로써 학습자에게 흥미있고 깊이있는 감상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집단탐구학습 모형을 수업에 적용하여 교수․학습 지도안을 마련하였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해 보았다. Ⅳ장에서는 학생의 수업 소감문, 연구 전과 후의 설문지와 감상학습지를 비교․분석하여 수업의 효과와 프로그램 적용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상의 집단탐구학습을 통한 다문화 미술 감상 지도에 대한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분석한 후, 다문화 교육과 미술 감상 교육의 두 측면에서 정리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다문화 교육의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세계의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다. 둘째, 타문화에 대해 긍정적이고 상대적인 인식을 하게 되었다. 셋째, 다른 나라 문화에 대한 많은 흥미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넷째, 협동을 위한 바람직한 자세 및 태도가 형성되었다. 미술 감상 교육의 측면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미술 작품을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이해하는 감상 능력이 신장되었다. 둘째, 함께 감상함으로써 작품 감상의 관점과 이해의 폭이 확장되었다. 셋째, 학생 중심의 적극적인 미술 감상 활동이 이루어졌다. 넷째, 작품 감상에 대한 자신감이 향상되었고, 미술교과 및 미술 감상활동에 대한 애호가 상승하였다. 다섯째, 학생들의 삶과 연관되고 삶을 통한, 삶을 위한 재미있고 유익한 미술 감상 기회가 되었다. 본 연구가 초등학교 교육현장에서의 다문화 미술 감상 지도에 활용될 수 있는 실제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다문화 미술 감상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과 다각적인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해본다. ※ 본 논문은 2010년 8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초등학교 다문화교육 참여 교사의 정체성과 교육과정 실천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다문화교육 정책학교의 세 교사 이야기

        홍성주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2287

        대한민국이 다문화 국가로 변화함에 따라 사회적으로 대응해야 할 과제들이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교육과 관련해서 국가 차원의 다문화교육 체제를 정립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때,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주체의 교육 행위를 자세히 살펴보며 학교 현장 속 다문화교육의 질적인 성장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한다. 특히, 다문화교육 정책학교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궁극적인 주체이자 다문화학생을 가장 오랫동안 가까이 마주하고 있는 ‘담임교사’의 경험에 관해 탐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교육 정책학교의 담임교사가 가지고 있는 교사로서의 자기 정체성에 대해 알아보고, 이들의 교육과정 설계와 실천 경험을 분석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표현하면, 첫째, 초등학교 다문화교육 참여 교사의 정체성과 자기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다문화교육 참여 교사는 교육과정 실천을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게 되는가? 와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21년에 연구자와 함께 다문화교육 정책학교인 G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로 함께 근무한 동료들을 연구 참여자로 설정하였다. 이렇게 연구자를 포함한 세 교사의 교육과정 실천 경험을 분석하기 위해 연구 방법의 기본 틀로 면접, 자료분석, 집단 숙의를 활용하였다. 면접의 경우 ‘교사’, ‘교육과정 설계’, ‘교육과정 실행’, ‘미래의 교육과정과 학교’와 같은 네 가지 영역의 질문을 투입하여 응답을 얻었고, 이와 관련된 자료를 확인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면접 전사(轉寫) 자료에 관한 재확인과 성찰을 바탕으로 그 의미를 알아가기 위해 집단 숙의(deliberation)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교사의 정체성은 교직 입문에서부터 다문화교육 담당 교원의 역할을 맡기까지 우연성에 기반하여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일반적인 학교의 학생 구성과는 상당히 이질적인 상황에 직면하여 세 교사는 혼란과 역할 갈등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이와 같이, 다문화교육 담당 교원들은 교육 현장에서 낯선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그들이 전문가로서의 자기효능감을 갖고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교원 양성 단계와 현직 교원 연수 과정에서 다문화교육 전문성을 강화하는 보다 적극적인 노력과 방안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다문화교육에 대한 사전교육이나 연수 등이 충분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다문화교육 정책학교의 교사는 다문화학생의 수준과 특성을 고려하여 교과 진도를 재조정하거나 교과 내용을 재구성하는 등 교사 수준의 교육과정 설계 활동을 일상적으로 실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담임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설계와 운영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해서, 단위 학교의 동학년 전문적 학습공동체나 다문화 교육과정 연구회 등을 활성화하고 적극 지원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셋째, 다문화학생의 학업성취도는 뚜렷한 개인차를 보였으며, 이에 따라 낮은 학업성취를 보이는 학생을 선별하여 개별화 지도를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학생간 격차를 감안하여, 세 교사는 수업 중 또래학습을 시행하거나 혹은 교사의 개별 관찰에 따른 피드백을 제공해 주었으며, 쉬는 시간이나 방과 후 시간을 이용하여 개별화 지도 활동을 실천하고 있었다. 앞으로 교육청에서는 늘어나고 있는 방과 후 맞춤형 개별화 수업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교원들의 방법론적 연수는 물론이고, 보조교사의 지원이나 다문화학급 담임교사의 행정 업무 및 학교 내 업무 분장에서의 각종 부담을 경감해 줄 수 있는 적극적인 지원 방안들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학급에서 다문화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습평가 활동이 실행되고 있지만, 학생 개개인의 수준이나 학습 향상도를 확인하기에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평가 조정 계획에 따라 다문화학생의 평가 참여에 대해 배려하고 있지만 학급 담임교사가 평가 계획과 실행 모두를 혼자서 책임져야 할 부분이라 온전히 제대로 실천하기는 쉽지 않다고 고백했다. 이에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교육청에서는 일반 학교와는 차별화된 학급당 학생 배치 기준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다문화교육 정책학교에서, 아직까지는 교사, 학생, 학부모와 지역사회를 아우르는 연대적·통합적·공감적 교육 생태계를 구성하는 데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문화가정과 다문화학생에 대한 교육 지원 모형을 구성하고 고도화하여 현장에 체계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담임교사에게 과도하게 집중된 다문화 지원 업무를 적정 수준까지 감축하거나 재배분하는 적극적인 개선 노력이 요구된다. 무엇보다, 학교장은 다문화가정은 물론이고 일반 가정의 학부모들과 친숙한 파트너십을 구축하여, 다문화교육의 의의와 필요성, 다문화 교육과정 공동체 구축, 다문화가정을 위한 한국어교육, 학부모교육 등 다문화교육의 다양한 영역을 균형 있게 살펴야 한다. As Korea transforms into a multicultural country, there will be many social challenges to respond to, but it is most important to establish a multicultural education system at the national level in relation to education. 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subject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and pay attention to the qualitative growth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school field. In particular,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a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school,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the 'homeroom teacher', who is the ultimate subject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and who has been facing multicultural students most closely for the longest time. In this study, self-identity as a teacher of homeroom teachers in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schools was investigated, and their curriculum design and practice experiences were analyzed. To express this concretely, first, what is the identity and self-awareness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elementary school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what experiences do teachers participating in elementary school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through the practice of the curriculum? The sam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In order to solve such a research problem, in this study, colleagues who worked together as homeroom teachers in the first grade of G Elementary School, a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school,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in 2021. In this way, interviews, data analysis, and group deliberation were used as the basic framework of the research method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three teachers including the researcher in practicing the curriculum. In the case of the interview, questions in four areas such as 'teacher', 'curriculum design',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future curriculum and school' were inputted to obtain responses, and related data were checked and analyzed. In addition, group deliberation was used to find out the meaning based on reconfirmation and reflection on the interview transcription data. Based on the result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seen that the identity of teachers in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schools began based on contingency from the introduction to the teaching profession to the role of teachers in charge of multicultural education. Faced with a situation quite different from the student composition of a typical school, the three teachers had no choice but to experience confusion and role conflict. As such, since teachers in charg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re experiencing unfamiliar difficulties in the educational field, more active efforts and plans to strengthen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tise in the teacher training stage and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cess so that they can develop their capabilities with a sense of self-efficacy as experts should be provided. Second, despite insufficient pre-education or training on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s at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schools readjust the course progress or reorganize the curriculum in consideration of the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students to provide teacher-level education. It can be seen that process design activities are practiced on a daily basis.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the expertise of homeroom teachers in designing and operating teacher-level curriculum, efforts are required to activate and actively support the same grad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or multicultural curriculum research group in the unit school. Third, there were clear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ulticultural students, and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were selected and individualized guidance was implemented. Considering this gap between students, the three teachers conducted peer learning during class or provided feedback according to the teacher's individual observation, and practiced individualized guidance activities using break time or after-school time. In the future, in order to effectively manage the increasing number of customized after-school classes, the Office of Education will provide not only methodological training for teachers, but also alleviate various burdens in the support of assistant teachers, administrative work of multicultural classroom teachers, and division of work within the school. Active support measures should be devised. Fourth, although learning evaluation activities targeting multicultural students are being carried out in the classroom, it was found that it was insufficient to confirm the individual student's level or learning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student evaluation adjustment plan, consideration is being given to multicultural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evaluation, but he confessed that it is not easy to fully implement it properly because the class teacher is responsible for both the evaluation plan and execution alone.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schools, the Office of Education should establish standards for placement of students per class that are differentiated from general schools. Fifth, in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schools,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still considerable difficulties in constructing a solidarity, integrated, and empathetic education ecosystem that encompasses teachers, students, parents, and the local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nd advance an education support model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multicultural students and apply it systematically to the field. In addition, active improvement efforts are required to reduce or redistribute multicultural support tasks that are excessively concentrated on homeroom teachers to an appropriate level. Above all, the school principal builds a friendly partnership with parents of ordinary families as well as multicultural families to learn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build a multicultural curriculum community,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parent education in various areas of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looked at in a balanced way.

      • 외국인 유학생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문화적응스트레스를 중심으로

        이혜민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284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at kind of experiences foreign students who are experiencing acculturative stress have through art therapy and what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is. For this purpose, the narrative inquiry suggested by Clandinin and Connely(2000)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method. Narrative inquiry, on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s the way to understand human experience, and it is effective in understanding the lives of individuals or minorities because it understands and reconstructs the experiences of research participants in a social context. Referring to a total five-step narrative inquiry procedure presented by Clandinin and Connely (2000), the process of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steps; “being in the field,” “from field to field text and composing field text,” and "from field text to research text and composing research text.” Two Vietnamese students in their 20s were selected as the study participants. The researcher conducted a pre- and post- interview and a total of 6 art therapy sessions for one month in February 2022. Recorded filed of art therapy sessions, session logs, and photos of the participants' art works were used as field texts for this study. The stori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 were composed of five in total. <Pinky Spring: Family that comes to mind with the excitement of warm spring> The excitement of studying in Korea and the regret of not being able to be with family, <The Change of Seasons: Adapting to Korea>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Fall with Typhoon: Difficulties in Studying in Korea> The discrimination received by Koreans and various feelings toward family members, <The Rainy Season of Fickle Fall: Unexpected Worries> Re-acculturation and concerns about the future, <Autumn with High Sky and Plump Horses: What I gained from studying in Korea> Growth and discovery of a new side of oneself. The meaning of the art therapy experiences of foreign student formed through this is as follows. First, <look back and face myself> Participants in the study, who were undergoing acculturative stress but did not recognize that their self-esteem had decreased, had time to look back and face themselves through art therapy. Second, <Positively looking at studying abroad in Korea and one's future> Participants in the study recognized the good aspect’s of studying in Korea through art therapy and looked at the future positively. Third, <Getting closer to each other through art work> Participants in the study who made acquaintance with each other were able to get closer through art therapy and communicate with Korean therapists to form intimacy. Fourth, <Wanting to share experience in art work> Participants in the study, who had positive experiences through art therapy, expressed their desire to share art therapy experiences with other foreign student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Through this study, it was an opportunity for researchers and research participants to grow, and be able to understand in depth acculturative stress experiences international students experienced in studying in Korea. In addition, when conducting art therapy for foreigners including foreign student, it is necessary that art therapists need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ountry and culture of participants and an open attitude to multiculturalism, and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diversity of art therapy qualitative research for foreigners.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acculturative stress and art therapy experience of foreign student in various ways, and confirmed that art therapy can help foreign students with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and life abroad. Through thi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ference to art therapy research for foreign student in the future. In addition, as a suggestion for follow-up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the reliability of research needs to be increased by securing the number and diversity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 meaning of new experiences needs to be discovered by the operation of long-term art therapy programs. 본 연구는 문화적응스트레스를 겪는 외국인 유학생이 미술치료를 통해 어떤 경험을 하는지, 그리고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탐구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Clandinin과 Connely(2000)가 제시한 내러티브 탐구를 연구 방법으로 선택하였다. 질적 연구 중 하나인 내러티브 탐구는 인간 경험을 이해하는 연구 방법이며,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사회적 맥락 속에서 이해를 하고 재구성하기 때문에 개인 또는 소수의 삶을 이해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연구의 수행 과정은 Clandinin과 Connely(2000)가 제시한 총 다섯 단계의 내러티브 탐구 절차를 참고하여 ‘현장으로 들어가기’, ‘현장에서 현장텍스트로와 현장텍스트 구성하기’, ‘현장에서 연구텍스트로와 연구텍스트 구성하기’의 3단계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로는 베트남 국적의 20대 외국인 유학생 여성 2명이 선정되었다. 연구자는 2022년 2월 한 달 동안 사전‧사후 면담과 총 6회기의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미술치료 녹취록, 세션로그(session log), 참여자들의 미술작품 사진 등이 본 연구의 현장텍스트로 활용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의 이야기는 총 5개로 구성되었다. <핑크빛 봄 : 따뜻한 봄의 설렘과 함께 생각나는 가족>으로 한국 유학의 설렘과 함께 하지 못하는 가족에 대한 아쉬움, <환절기 : 한국에 적응하기>로 한국 문화에 대한 적응, <태풍이 오는 가을 : 한국 유학 생활의 어려움>으로 한국인들에게 받은 차별과 가족에 대한 다양한 감정, <변덕스러운 가을의 우기 : 예기치 못한 고민들>으로 문화재적응 및 미래에 대한 고민, <가을은 천고마비의 계절 : 한국 유학 생활에서 얻은 것>으로 자신들의 성장 및 새로운 모습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형성된 외국인 유학생의 미술치료 경험의 의미 총 4가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나를 돌아보고 마주하다>로 문화적응스트레스를 겪고 있었고, 자존감도 낮아졌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했던 연구 참여자들이 미술치료를 통해 스스로를 돌아보고 마주하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다. 둘째, <한국 유학 생활과 자신의 미래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다>로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치료를 통해 한국 유학 생활의 좋은 점을 인식하고 미래도 긍정적으로 바라보게 되었다. 셋째, <미술 작업을 통해 서로 더 가까워지다>로 친분이 있었던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치료를 통해 더 가까워질 수 있었고, 한국인 치료사와도 소통을 나누며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었다. 넷째, <미술 작업의 경험을 나누고 싶어지다>로 미술치료를 통해 긍정적인 경험을 한 연구 참여자들은 다른 외국인 유학생들과 미술 치료 경험을 나누고 싶은 마음을 표현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는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들이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 유학 생활에서 겪은 문화적응스트레스 경험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할 수 있었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을 비롯한 외국인 대상 미술치료를 진행할 때에는 미술치료사에게 참여자의 나라와 문화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다문화에 대한 열린 자세 등의 태도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아직 활발하지 않은 외국인 대상 미술치료 질적 연구의 다양성에 기여하였다.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미술치료 경험을 다각도로 이해하고자 시도하였으며, 미술치료가 문화적응스트레스를 겪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심리‧정서적 문제와 유학 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가 향후 외국인 유학생 대상 미술치료 연구의 참고 자료로 활용이 될 수 있기를 바라며,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연구 참여자의 수와 다양성 확보를 통한 연구의 신뢰성 증가, 장기 미술치료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새로운 경험의 의미 발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한 전통과학문화와 과학탐구기반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온도와 열 단원 중심 : based STEAM Education Program in rural elementary school children

        송영숙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2284

        The creative fusing talented person required by the 21st century information and technology centric society must have a capacity to understanding about complicated problem in various ways and solving creatively. Besides, students' educational change and access that can be accepted actively having independence of new knowledge are required by being intensified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n this, educational circles have a aim to train a fusing talented person who has creativity, humanistic imagination and right personality . (2015 revised curriculum introduc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 education of a fusing talented person is that experiencing the contents of various areas with creative design and emotional experience, improving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fused knowledge, nature, and process of various areas related to science, and training a talented person who can solve the problem synthetically (Bae Yunsu etc, 2012). In this, the need of program thr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raining a fusing talented person who has independence and humanistic imagination and traditional scientific culture and training fusing talented person is posed (Jeong Jong chan, 2010).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s that fusing talented person education program based on traditional scientific culture influences on ability to search and interest, and find out their correlation and to find out the effect that affects on building up pride about traditional science culture, which is scientific production, as excellent heritage. This program was completed through eight times of preliminary application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verified the effects through applying to 50 students of fifth and sixth graders in three schools of Dae-gu city and 30 students of fifth and sixth graders in D school of Gyeongbuk with a lesson ‘temperature and heat’. In order to develop the program, the literature research and preceding research were conducted, and the theme of the program and the developmental model were selected in terms of science research. They are modified with two times of preliminary applications and consulting with experts for the appropriacy of developed program draft. A single group pre-post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students’ interest and ability to search shown after application of the applying program.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was preceeded from April first week to May first week, 2013 and the pre-post test was conducted by sparing each 30 minutes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Also, in-depth interview was preceeded after choosing 10 students to find their specific respon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using talented person education on the theme of centrally ‘ fever and temperature’ lesson, ‘stone ice storage’, and ‘Chinese wish lanterns’ was devised by the means of ADBA model, which is composed of 4 steps: Analysis-Design-Build-Assesment. The developed program is relevant in that it provides experiences to build up the scientific knowledge through trigger of students’ interest and active learning experience as a systematic and professional program based on traditional scientific culture. It was effective not only in improving the interest of elementary fifth and sixth graders who learn about the lesson ‘fever and temperature’ and ‘gas’ but also in interest and understanding about the traditional scientific culture. The fusing talented person education, which is based on the traditional culture, developed by this study coincides with goal and policy of the department of science, now it is new humanistic base to combine the scientific culture and the fusing talented education, and it is considered to be able to become a foundation in training the creative fusing talented person the future requires.

      • 북한이탈주민의 결핵 투병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유수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2283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의 수는 1990년 후반부터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2020년에 31,000명을 넘어섰다. 북한이탈주민의 결핵환자의 비율은 2003년 1.5%, 2010년 2.5%, 2013년 5.4%로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들이 남한 입국 전 결핵 선별 검사를 통해 활동성 결핵으로 진단될 경우 항결핵제 복용과 임시 수용소 격리 등 방역 규정의 준수 대상이다. 질병(illness)은 병태생리학적 속성을 가질 뿐 아니라, 사회문화적 맥락 내에서 형성된 사회적 실재(實在)로서 존재한다. 결핵 또한, 호흡기 비말로 전파되는 질병으로 취약계층에서 흔히 발생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낙인 등 제도적, 문화적 요소들이 영향을 받는다. 특히 결핵을 진단받은 북한이탈주민은 남한 이동 경로에서 공간적 변화뿐 아니라 개인을 둘러싼 사회구조적 변동과 심적 역동을 경험한다. 이러한 다층적이고 복합적인 경험의 다양한 측면을 파악하고 이를 고려한 간호가 수행되기 위해서는, 결핵 투병을 하는 북한이탈주민의 삶 속에서 경험했던 개인적, 구조적 맥락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론을 사용하여, 결핵 투병 경험이 있는 북한이탈주민의 삶을 탐색하고 경험의 의미를 참여자와 함께 재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Dewey의 자연주의적 경험 이론에 기반하여, 3가지 주요 차원인 ‘시간성’, ‘공간성’, ‘사회성’이라는 틀을 주요 개념으로 삼아, 북한이탈주민의 결핵 투병의 경험이 담긴 삶을 총체적으로 탐색하였다. 또한 Jordan과 Miller의 ‘관계-문화적 이론’을 적용한 통합적 접근으로 참여자의 이야기된 경험을 그들만의 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관계 내에서 해석하였다. 북한이탈과정에서 결핵 치료를 경험했던 북한이탈주민 4명과 연구자는 각각 5~7회의 면담을 수행하였고, 총 23회의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이 이루어지는 동안 연구자의 성찰이 담긴 필드 노트 작성, 인생곡선 그리기, 기억 상자 기법 등 일련의 활동을 통해 ‘북한이탈주민이 살아낸 결핵 투병 이야기’를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북한이탈주민 개개인의 삶 속에서 결핵 투병 경험이 독특한 양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었다. 그리고 참여자 네 명의 내러티브에서 공통적으로 네 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첫번째는 제3국 해외공관 등 북한이탈 경로에서 결핵 검진과 진단, 확진, 격리 등의 경험을 하면서 남한행을 결심할 당시의 계획과 달리, 번영에서 생존으로 삶의 행보가 전환되었다. 북한 이탈 경로에서 결핵 진단은 상실감을 극대화하였고, 이들은 번영을 꿈꾸고 왔지만 처절한 생존 현장에 내몰렸다. 두번째로, 북한이탈주민은 남북간 결핵 치료의 상이함을 경험하면서, 내재된 사회문화적 인식과의 간극이 있음을 이야기하였다. 이들은 남한에서 결핵 치료를 받으면서 결핵질환이 완쾌가 가능한 질환임을 체득하였고, 미처 결핵을 치료받지 못하는 북한에 남겨진 가족을 향한 그리움과 죄책감이 섞여 ‘향수가 깃든 허망함’을 이야기하였다. 세번째는, 북한이탈주민으로 구성된 소수 공동체내에서 결핵이라는 질병의 낙인이 특수한 경계를 만들어 그 안에서의 소외와 고립에 노출되는 기제로서 작용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북한이탈주민들이 살아가는 이야기 속에서 결핵은 개인과 사회 수준에서 관계 단절과 재연결의 역동으로서 생활세계내에서 존재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은 남한사회에서 다양한 도전에 맞서는 삶 속에서 결핵을 투병하게 되면서 낙오, 절망, 외로움 등 심리적 고통이 증폭되었다. 이러한 고충이 개인의 경험으로서 묻히기보다는 공적 영역에서 담론화되어, 사회적·제도적 차원에서 지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간호학적 내러티브로서 드러난 ‘맞춤 교육’, ‘상담’, ‘함께 자리함'이 북한이탈주민을 간호하는 임상 현장에서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는 통합적 간호로 구현되길 기대한다. 주요어: 북한이탈주민; 결핵; 질병 경험; 내러티브 탐구; 문화다양성 The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residing in South Korea is increasing, and the number of tuberculosis patients in the proportion to the defectors have risen as well. During the entry process of North Korean defectors to South Korea, a tuberculosis screening test is conducted by quarantine regulation. North Korean defectors diagnosed with tuberculosis experience not only spatial changes during the migration process but also social and structural variation and psychological fluctuations vary individually. Beyond the disease’s pathophysiological basis, “illness” exists as a social reality within the sociocultural context. Tuberculosis, as an airborne disease, which also can be influenced by personal factors such as stigma, poverty, and social structural contexts. To understand distinct aspects of multi-layered and complex experiences and to consider this context into nursing practice, qualitative research is essential to deeply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North Korean defectors who are suffering from tuberculosi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North Korean Defectors with tuberculosis and what it means to individual life. A narrative inquiry method was applied to reconstruct the story of each individual deriv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s. The meaning of life was also revealed through their narrative. Based on Dewey's naturalistic experience theory, the three main dimensions of 'time', 'spatiality', and 'sociality' were used as main concepts to explore the life and experience of each North Korean defector with an integrative approach. Also, the interview participants' stories were interpreted within their own cultural context by using Jordan and Miller's Relational-Cultural theory as a theoretical perspective. The researcher interviewed four North Korean defectors who had been diagnosed and treated for tuberculosis during the North Korean defection process.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ive or seven times for each participant and conducted a total of 23 interviews. The researcher carried out face to face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and worked collaboratively on life-graph drawing, memory boxes activities, and field notes writing regarding the researcher’s reflections. Through these series of field texts, we composed our own re-living stories. The North Korean defectors who were experiencing tuberculosis screening, diagnosis, and quarantine in the defection route, had to rearrange their life plans. And they struggled at a crossroads between thriving and survival. As North Korean defectors were treated tuberculosis in South Korea, they experienced the difference of treatment between the two Koreas and conflicted with the sociocultural features that are inherent in their perception. This gap was attributed to missing the family and relatives remaining in North Korea who did not meet the chance to be cared for. Thus this regret was narrated as a tragic nostalgia. The stigma of tuberculosis was transited to a special boundary in a minority community of North Korean defectors, which served as a mechanism for alienation and isolation. Tuberculosis embodied in their story of North Korean defectors living by creating a dynamic between relationship disconnection and reconnection. North Korean defectors were confronted with the transition, challenges, and psychological sufferings such as despair, isolation, and loneliness as diagnosed and struggled with tuberculosis. Rather than being concealed as a personal experience, these difficulties should discourse on the public domain, and formulate a support system at the social and institutional level. Nursing narratives including “tailored education”, “counseling”, and “presence” revealed in this research can be recognized as integrated nursing which respects cultural diversity in clinical practice.

      • Cultural adapt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at a graduate school of theology in Korea

        Park, Juhyung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9 국내석사

        RANK : 23228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ved experiences of cultural adapt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in a graduate school of theology in Korea. Literature review revealed that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encounter problems including culture shock, language issues, discrimination, isolation, and financial hardships. This research aims to specifically investigate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theology in Korea and their cultural adaptations.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was chosen to thoroughly delve into individual stories which are usually untold. Three participants came from India, Burundi, and Myanmar. Oberg’s phases of cultural adaptation, Berry’s acculturation strategies, Kim’s intercultural transformation, and Lartey’s concept of interculturality were used as theoretical frameworks to analyze participant narratives within new cultural contexts. Oberg’s four phases of cultural adaptation demonstrated the process of reaching the stage of acculturation. In the acculturation phase, the strategy of integration described by Berry was shown as most adaptive and therefore each participant’s integration was examined. Kim’s intercultural transformation and Lartey’s three aspects of interculturality - contextuality, multiple perspectives, and authentic participation - guided further analysis of student cultural adaptation. Common protective factors for successful acculturation included high motivation to study, family support, positive stress coping, integration with local groups, faith communities, respect for host culture, strong personal goals to help people back home, and religious calling with a sense of purpose. Common risk factors for successful acculturation included lack of close-knit communities, strict individualism, discrimination from Korean society, language problems, and isolation. With the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s a threefold recommendation of culture-sensitive Christian peer counseling, Christian group counseling and community, and intercultural education programs to support student cultural adaptation. The study had limitations with communication between researcher and participants, duration of study, and the representativeness of purposeful sampling. Further research on the role of Korean churches to support international theology students’ cultural adaptation will be beneficial in addition to this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한 한국 신학 대학원 외국인 유학생들의 문화 적응 경험을 이해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들은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들이 문화 충격, 언어 문제, 차별, 고립, 그리고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다고 밝혔다. 본 연구는 신학을 공부하는 외국인 유학생들과 그들의 문화 적응을 구체적으로 탐구한다. 자주 드러나지 않는 개인들의 내러티브를 깊이 탐구하기 위해 내러티브 탐구 방법론이 선택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인도, 부룬디, 미얀마에서 온 세 명의 유학생들이다. 오베르크(Oberg)의 문화 적응 단계(cultural adaptation phases)들, 베리(Berry)의 문화 변용 전략(acculturation strategies)들, 김영운의 상호문화적 변화(intercultural transformation), 그리고 라티(Lartey)의 상호문화성 (interculturality)을 이론적 틀로 참여자들과 새 문화와의 상호 작용을 분석하였다. 오베르크의 문화 적응 단계들로 문화 변용으로 가는 과정을 탐색하였다. 문화 변용 단계에서는 베리의 통합(integration)이 가장 기능적인 문화 변용 전략이므로, 각 참여자들의 통합 상황을 탐구하였다. 김영윤의 상호문화적 변화와 라티의 상호문화성의 세 가지 원리인 상황성(contextuality), 다중적 관점들(multiple perspectives), 그리고 진정한 참여(authentic participation)로 신학 유학생들의 문화 적응을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성공적인 문화 변용을 돕는 공통적인 보호요인들로는 높은 유학 동기, 가족의 사회적 지원, 긍정적 스트레스 대처, 지원 사회와의 융합, 신앙 공동체, 다수 문화에 대한 존중, 본국의 사람들을 돕기 위한 확고한 목표, 그리고 종교적 사명이 있었다. 성공적인 문화 변용을 방해하는 공통적인 위험요인들로는 긴밀한 공동체의 부재, 강한 개인주의, 한국 사회의 차별, 언어 문제, 그리고 고립이 있었다. 본 연구는 결과들에 근거하여 외국 신학 유학생 문화 적응을 돕기 위한 기독 동료 상담, 집단상담과 공동체 만들기, 그리고 상호문화성 교육의 세 가지 제언을 제시한다. 연구자와 참여자의 소통, 연구 기간, 표집법에서 연구의 한계가 있었다. 외국인 신학 유학생들의 문화 적응을 돕기 위해 한국 교회의 역할에 대한 추가적 후속 연구를 필요로 한다.

      • 향토문화 탐구학습을 통한 사회과의 가치태도 함양 방안 : 충남 논산시를 중심으로

        김선일 건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32271

        The curriculums can be divided to the standards of the nation, the local community and school. In our country, we have the centralized curriculums that gives the authority of the composition of curriculums and the compilation of textbooks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the 7th curriculums, the social studies have been made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ndards,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s, students'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development of humanㆍphysical geographical sense, politics, social consciousness, etc. It means that teachers should consider the differences of region, interest, concern, requirement, ability, sense of values, etc and compose the curriculums for themselves to apply to the educational fields. At the present time that it comes to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nd the society of ubiquitous,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are overflowing. Although there are an abundance of materials, it is suitable for social studies to utilize the materials of local folk cultures to search for the necessary materials and to make use of them for teaching-learning. Also,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classes of five days a week, many chances of experiences to the local communities are opened in school. If we give the educational value to various cultural properties in near local community and utilize them for study, it will bring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y as well as the improvement of the ability in the value and attitude of social studies. Accordingly, we've utilized the following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we made clear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research of folk culture for localization of the curriculums of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s. Second, we analyzed the curriculums of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s and extracted the contents regarding folk cultures. Third, we extracted the items of value and attitude that can be obtained by putting the contents regarding folk cultures in the actual study. Fourth, we made out the instruction plans for teaching-learning of social studies to cultivate the ability of value and attitude, formed th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that could be studied by students of their own accord, and suggested them to teachers. If these methods will be utilized for instruction, they will contribute to cultivate the ability of value & attitude which is the weak part of social studies. Lastly, according to our accomplishment of this study, we'd like to propose the followings regarding the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s. First, to localize the administration of curriculums of social studies, it is required to operate training for school inspectors of the Office of Education or social studies teachers on service, and workshops for each society of research for curriculums. Second, the materials regarding folk cultures should be developed, collected and introduced to local residents by the municipal/county offices, the local Offices of Education, the educational organizations and etc so that many local residents can have the local patriotism and price for their communities. Third, we should make effort to foster the space for development of local cultures to cultivate the local residents' concerns and spontaneous civic consciousness for their communiti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festivals and programs in which the local residents can join together. Fourth, we should provide the sufficient opportunities of experience study by making a budget in the government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and work up to utilize the local communities as the fields of education by expanding the spheres of experience study such as family unit and other educational organization unit as well as school unit.

      •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경험에 나타난 다문화상담의 의미 탐색

        채경란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2271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내러티브를 통하여 그들의 문화적응 과정에 나타난 다문화상담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한국남성과의 국제결혼이라는 생의 전환점을 경험한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사회의 구성원으로 통합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문화적응에 관심을 갖는다. 특히 다문화상담이 이들의 적응과정에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내러티브를 통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부간의 문화차이와 시댁과의 갈등, 자녀양육의 어려움 등으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다누리콜센터, OO시 아동복지관 심리상담센터를 통해 다문화상담과 다문화학부모상담을 경험했던 결혼이주여성 7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고, 그들의 문화적응과정에 대한 경험과 다문화상담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하여 질적연구방법인 내러티브 탐구를 진행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이주생애에서 문화적응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정에서 다문화상담은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 이다. 이 두 가지 연구문제와 관련된 연구내용은 첫째, 결혼이주여성들이 문화적응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에 대해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둘째,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양상에 주목하여, 그들이 우리 사회구성원으로 통합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지배 담론에 슬기롭게 대처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문화상담은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1년 6월부터 11월까지 6개월에 걸쳐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국적은 베트남 4명, 일본 1명, 우즈베키스탄 1명, 중국 1명이며, 연구참여자별 면담 횟수는 3회~5회에 이르기까지 그들의 삶의 경험과 다문화상담의 의미를 포괄적이고 다양하게 접근하였다. 1회기 당 면담시간은 1시간 30분 정도 소요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연구의 질을 높이고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메리암(Merriam, 1998)의 일정비교분석과 삼각검증법을 부분적으로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결혼이주여성들의 내러티브를 분석한 결과 문화적응의 양상과 이에 따른 다문화상담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먼저 Ⅳ장 결혼이주여성들의 문화적응경험은 주체적, 타협적, 수동적 유형으로 나타났다. 첫째, ‘주체적인 문화적응유형’의 연구참여자들은 종교와 사랑으로 자신의 삶을 만들어가고 있었다. 가난한 나라에서 돈 한 푼 없이 시집왔다고 구박하는 시어머니와 그런 시어머니 앞에서 말 한마디 못하는 마마보이 남편과 이혼하고 딸 셋을 데리고 이집트 총각과 재혼하여 종교와 사랑으로 주체적인 삶을 만들어가고 있었다. 또 다른 참여자는 가난한 맞벌이 부모와 떨어져 할아버지 집에 살면서 말 못할 고통을 겪었지만 불법체류자신분의 중국인 남자와 결혼하여 중국인이 아닌 온전한 한국인으로 살아가기 위해 차별과 편견에 맞서 힘든 고통의 시간을 이겨내고 있었다. 자신이 겪었던 어린 시절 경험을 바탕으로 무슨 일이 있어도 내 자식들은 내가 키우겠다는 각오로 용기를 불태우며 불행을 딛고 희망의 불씨를 키워가는 주체적인 삶을 실천하고 있었다. 둘째,‘타협적인 문화적응유형’의 연구참여자들은 종교적 실천을 통해 현실과 타협하며 살아가고 있었다. 국가 간의 역사적 거리감을 지혜로 극복하고 시댁과의 관계를 좁혀가며 불같은 성격의 남편을 침묵으로 인내하는 속에 현실의 격한 감정을 종교 활동으로 승화시켜가고 있었다. 바쁜 어머니의 삶을 닮고 싶어 하지 않았던 참여자는 친정어머니의 삶에서 지혜를 얻고 고단한 삶은 힘들지만 다둥이 가정을 꿈꾸며 한국에서의 결혼생활에 타협하는 삶을 살아가고 있었다. 셋째,‘수동적인 문화적응유형’의 연구참여자들은 환경에 매몰되어 존재감을 잃고 무기력한 삶을 살아가고 있었다. 21살이라는 어린나이에 26살이나 더 많은 한국인남성과 결혼하고 원하지 않은 아이를 출산하게 되면서 자신이 한국에 온 목적과 전혀 다른 삶에 우울증과 무기력감으로 위태로운 삶을 살아가고 있었다. 또 다른 참여자는 무능력한 아버지로부터 버림을 받고 고아원에서 자란 자신의 어린 시절을 자학하며 시댁이라는 다수자와 강자 앞에서 한없이 추락한 수동적인 삶을 살아가고 있었다. 남편이 독점하는 경제권은 외국인 아내를 무시하는 남편의 차별의식이며, 가족들의 의사결정권에서 배제된 자신의 처지를 부당하다고 느끼면서도 외국인 며느리에 대한 한국가족들의 특권에 수동적 자세로 순응하고 있었다. Ⅴ장 다문화상담의 의미에서는 결혼이주여성들에 있어서 다문화상담은 그들이 자녀를 양육하는데 매우 큰 여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다문화가정 부모로서의 문화적응문제와 한국어습득문제, 경제적인 어려움과 육아 및 자녀교육문제, 사회적 연계와 지지망의 결핍 등의 문제들을 세밀하게 이해해주는 상담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상담은 편견과 차별 없이 자연스럽게 수용해야 하고, 이중문화 정체성을 긍정적으로 발달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며, 상호문화존중의 관용적인 태도를 심어주어야 한다는 의미가 도출되었다. 무엇보다 다문화상담이 종결 된 이후에도 문제해결을 위한 구체적 실천방안을 실현할 수 있도록 여러 번의 추수 상담이 이어져야 하고, 다문화상담을 진행하는 기관이 더 많아졌으면 좋겠다는 연구결과로 이어졌다. 국제결혼은 자신의 성장과정의 배경이 되는 문화와 상대 배우자의 문화가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문화적 차이로 인해 부부갈등이 심화 되고, 짧은 기간 동안 서로 다른 가치관이 충돌하면서 문화적응의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이렇듯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상호문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바라보며, 진심의 대화가 가능한 부부는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는 태도를 보인 반면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부족을 이유로 가족의사결정권에서 제외시키고 평등한 권리를 보장하지 않는 부부는 한쪽의 일방적인 희생만을 강요하며 가족구성원의 권한을 부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의 문화적응경험을 그들의 입장에서 바라보고 해석함으로써 상호문화소통의 의미를 갖는다. 또한 연구참여자들이 우리사회 구성원으로 통합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심리, 정서적 갈등과 어려움들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문화상담의 의미를 탐구하는 것은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를 위한 상담의 필요성과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상담현장에서 소신껏 다문화상담을 진행하고 있는 상담사와 한국의 사회구성원 모두를 대상으로 질적연구의 확대를 통해 소외계층에 대한 삶의 의미를 포괄적인 맥락에서 이해하고, 인간의 본질에 대한 숙고와 상담자들의 실질적 개입을 돕는다는 차원에서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