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전통문양 귀면 이미지를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

        박슬기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Cultural commodities of Korea have been expanding not only domestically but also globally, along with Korean tradition, movies, dramas, idols, and fashions. Numerous tourists from different countries are visiting Korea and due to the Korean Wave, the interest in Korean culture is increasing worldwide. Current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mmodities that promote Korean culture. Therefore, it is crucial to develop modernized commodities of traditional culture by utilizing the distinct images from traditional Korean designs. With a goal to develop cultural commodities,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research on demon face images, which is a traditional Korean design, and transformed the image into a cultural commodity. The traditional design of a demon face has the following symbolic meaning. The design of a demon face depicts an image of a devil or goblin with large, ferocious canine teeth, bulging eyes, a huge nose, and two horns on the head. People needed to resort to the power of more ferocious and powerful demons or goblin to ward off evil spirits that bring death, calamity, and disease. The demon face originated from its symbolic meaning and people’s desire to gain happiness by scaring off diseases and disasters with the power of a supernatural being. The demon face represented the presence of divinity, implying that it could be a guardian and defeat the evil spirit and bring fortun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not only transform the traditional design of a demon face with a scary facial expression and strong impression into a symbolic character that wards off evil spirits and disasters and provides protection and happiness but also develop cultural commodities that can be used in daily lives. This study is structured as follows. Chapter 1 describes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the study method. Chapter 2 examines cultural commodities based on their definition and conception. This chapter also categorizes cultural commodities by comparing them with general commodities. Chapter 3 discusses the concept and origin of the traditional design of the demon face and analyzes demon faces according to time periods. Chapter 4 analyzes the process of creating the images and cultural commodities using demon faces. Chapter 5 examines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traditional design of demon faces into an adorable character image and creating 11 types of 27 cultural commodity ite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ultural commodities convey the traditional, histor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a country; they can be considered the product of commodification. In other words, cultural commodities have culturally added value, and the commodities of traditional culture are more preferred than the general commodities. Thus, an admirable traditional culture should be promoted and preserved. Second, demon faces, which are a traditional Korean design, have the image of a demon or goblin. Despite the seemingly vicious and scary image, the demon’s ferocious and intimidating face functioned as a guardian that prevented bad luck and warded off disasters and diseases. Therefore, people engraved demon faces on roof tiles, door handles, and constructions to scare off bad luck, bad omen, and disasters. If the demon face, which symbolizes the protection from bad luck and the provision of good luck, is made significant by developing it into a cultural commodity, it can be recognized for its value. Third, the method of transfer printing, which heat-shrinks images and transfers them onto different materials, can print complicated designs in many colors on various materials, such as bags, clothes, hats, cell-phone cases, and mugs. It also has a low marginal cost of production because it allows production in small quantity. Therefore, it is an ideal method for producing cultural commodities. Fourth, this study developed a commodity of traditional culture by combining the Taegeuk (Taiji or Yin-yang) design and Dancheong colors, which distinctively represent the image of Korea. 한국의 문화상품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한국의 전통문화, 영화, 드라마, 아이돌, 한국패션 등과 함께 해외로 전파되고 있다. 다양한 국가에서 많은 관광객들이 한국을 방문하고 한류열풍으로 인하여 전 세계적으로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이 시점에서 한국 문화상품을 알릴 수 있는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우리나라 전통문양의 고유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현대적인 감각의 전통문화상품이 개발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상품 개발을 목적으로 우리나라의 전통문양인 귀면 이미지를 연구하여 문화상품으로 제작 하였다. 전통 귀면문양의 상징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귀면문양은 큰 이빨에 송곳니가 보이고, 눈과 코는 크며, 양쪽 뿔이 새겨진 귀신 혹은 도깨비의 형상이다. 죽음이나 재앙, 질병 등의 사악한 귀신을 쫓기 위해서 더 사납고 강한 귀신이나 도깨비의 힘이 필요했다. 귀면은 초자연적인 존재의 힘을 빌려 질병, 재앙을 물리침으로 행복을 얻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나온 상징적인 의미와 기원으로 만들어졌다. 귀면은 인간에게 신(神)적인 존재이기도 하였으며, 수호신으로 악귀를 물리치고 복을 준다는 의미를 가졌다. 그런 의미에서 무서운 얼굴표현과 강한인상의 전통문양인 귀면을 잡귀와 재앙을 물리치고, 안전과 행복을 가져다주는 상징적인 캐릭터로 개발하여 일상생활에 필요한 문화상품으로 개발 하고자 하였으며,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 연구 목적의 내용과 연구 방법을 알아보았다. 제2장. 문화상품의 정의 및 개념을 통해 문화상품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일반상품과 문화상품을 비교 분석하여 문화상품을 분류 하였다. 제3장. 전통문양인 귀면의 개념과 기원을 정의 하였으며 귀면을 시대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제4장. 귀면의 이미지작품제작과 문화상품 과정을 분석하였다. 제5장. 전통문양인 귀면을 귀여운 이미지로 직접 수정하여 캐릭터작업을 하고 전사프린팅기법으로 11종류 27점 문화상품을 제작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상품은 한 나라의 전통, 역사, 문화적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상품으로 개발하여 생산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문화상품이란 문화적 부가가치가 높은 상품으로 일반상품보다는 전통문화상품을 선호한다. 우수한 전통문화는 이를 발전시키고 보존되어야 한다. 둘째, 우리나라의 전통문양인 귀면은 귀신 혹은 도깨비의 형상을 하고 있다. 보기에는 사악하고 무서운 이미지를 갖는 귀면은 죽음과 질병, 재앙 등 귀신을 쫒기 위하여 보다 더 사납고 강한 이미지를 갖고 있어 귀신의 힘을 빌려 액운을 막고 재앙과 질병을 물리치는 수호신 이였다. 때문에 모든 액운과 악기, 재앙을 막기 위해서 기와나 문고리, 건축물에 귀신 혹은 도깨비 형상인 귀면을 새겼다. 이러한 액운을 막고 행운을 준다는 의미를 가진 귀면을 문화상품으로 개발하여 의미를 부여하면 문화상품으로써의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 셋째, 전사프린팅기법으로 전사지에 인쇄물을 출력하여 제품에 고온 압축하여 인쇄하는 방법으로 복잡한 디자인, 다양한 색상의 수 상관없이 모두 출력이 가능하며 또한 가방, 의류, 모자, 핸드폰케이스, 머그컵 등 다양한 소재에도 인쇄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소량생산도 가능하여 한계생산비가 낮아 저렴한 가격이라 문화상품으로 생산하기에 적합하였다. 넷째, 전통문양인 귀면을 한국적이미지가 강한 태극문양과 우리나라만이 가지고 있는 단청 색을 접목하여 전통문화상품을 개발하였다.

      • 감정과학에 근거한 문화소비 개념 연구 : 論語의 감정과학을 중심으로

        왕우가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After graduating from college, I entered the e-commerce industry. As the e-commerce industry has developed dramatically in recent years, with more and more of its peers and more competitive, my business has reached a slow-down bottleneck, unlike its initial smooth start. The outline of my job is to sell products to customers around the world through online platforms. It seems like a simple task, but this task of selling products by responding to customers was not easy for me. Realizing that my ability may still be lacking a lot, I thought I wanted to stop for a while and learn. After much consideration, I decided to explore the concept of consumption by entering the Department of Culture and Teaching at Kookmin University. In China, there has been a lot of discussion about consumption as the consumer society has arrived in earnest. Among them, I liked the concept of cultural consumption. This is because I thought I could understand what the right consumption is by approaching and understanding consumption as a culture. At the same time, this understanding gave me hope that I could relieve the stress of my work. Accordingly, I started my master's degree in the Department of Cultural Intersection at Kookmin University and decided to study the concept of 'cultural consumption'.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Chinese economy and the continuous improvement in the standard of living of the people, the word "cultural consumption" has increasingly entered the realm of people's lives. The concept of 'cultural consumption' has gradually become an important topic in people's daily consumption.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fostering and expanding cultural consumption along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global cultural industry has become the focus and direction of common interest of the government, businesses, and the public. If so, it can be seen that the method of defining 'cultural consumption' is very important, and the method of defining 'cultural consumption' is the key. The first chapter of the paper focuses on scholars' understanding of "cultural consumption," and through these various understandings, we can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determining the concept of "cultural consumption" in more depth. There is a need for a way to eliminate all controversies and fundamentally understand the nature of 'cultural consumption'. The way to do this is 'emotional science'. Therefore, this paper fundamentally uses emotional science as a research method derived from Confucius' Confucian culture. Through this research method, consumption can be understood as an essence, not a phenomenon. Therefore, emotional science is the research base of the concept of 'cultural consumption'. Based on this study, this paper explored the concept of culture (Chapter 2), the concept of cultural products (Chapter 3), and the concept of consumption of cultural products (Chapter 4). Culture is an inherent essence of our body. It is eternal life and love. Moon is the body, and anger is the change of the body. Since the truth of the body understood by the text is life and love, anger as a change in the body is also life and love. Everything that is created by the body and played by the body exists in life and love. From this fact, cultural products are everything that comes from life and love, so cultural consumption is the consumption of all products that come from life and love. Therefore, the core of cultural consumption can be established as follows. Cultural consumption is the consumption of life and love of all products that our bodies create for life and love. As long as we understand consumption in this way, consumption is never about accumulating wealth of either party or exploiting either party for the purpose of it. We, who exist in life and love, exchange life and love with each other only for life and love. This is cultural consumption. 대학을 졸업한 후, 나는 전자상거래 업계에 들어갔다. 최근 몇 년 동안 전자 상거래 산업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동종 기업이 점점 더 많아지고 경쟁력이 점점 더 높아짐에 따라 나의 사업은 처음의 순조로운 출발과 달리 서서히 침체되는 병목 단계에 이르렀다. 내가 맡은 업무의 대략적인 내용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전 세계 고객에게 상품을 판매하는 것이다. 간단한 업무 같지만, 고객을 응대함으로써 상품을 판매하는 이 업무는 나에게 쉽지 않았다. 내 능력이 아직 많이 부족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고, 잠시 걸음을 멈추고 배우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고심 끝에 나는 국민대학교 문화교학과에 입학함으로써 소비의 개념을 탐구하고 싶다는 결정을 내렸다. 중국에서는 소비 사회가 본격적으로 도래함에 따라서 소비에 대한 많은 논의가 있었다. 그 가운데 나는 문화소비라는 개념이 좋았다. 소비를 문화로 접근하고 이해함으로써 올바른 소비가 무엇인지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았기 때문이다. 동시에 이 이해는 그동안 내가 받은 업무의 스트레스를 해소해 줄 수 있을 것 같은 희망을 나에게 주었다. 이에 나는 국민대학교 문화교차학과에서 석사과정을 시작했고, '문화소비'의 개념을 연구하기로 결정했다. 중국 경제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인민의 생활수준이 지속적으로 향상됨에 따라 '문화소비'라는 단어는 점점 더 사람들의 생활 영역에 진입했다. '문화소비'의 개념은 사람들의 생활 소비에서 점차 중요한 주제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최근 몇 년 동안 세계 문화 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문화소비를 육성하고 확대하는 것이 정부, 기업 및 대중의 공동 관심의 초점과 추진 방향이 되었다. 그렇다면 '문화소비'를 정의하는 방법이 매우 중요하며 '문화소비'를 정의하는 방법이 관건임을 알 수 있다. 논문의 첫 번째 장에서는 '문화소비'에 대한 학자들의 이해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이해를 통해 '문화소비'의 개념을 결정하는 것의 중요성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 모든 논란을 없애고 '문화소비'의 본질을 근본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방법이 '감정과학'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근본적으로 공자의 유교 문화에서 비롯된 연구방법으로서 감정과학을 사용한다. 이 연구방법을 통해서 소비를 현상이 아닌 본질로 이해할 수 있다. 그래서 감정과학은 '문화소비' 개념의 연구 기반이다. 이 연구에 기초하여 본 논문은 문화의 개념(2장), 문화상품의 개념(3장), 그리고 문화상품의 소비에 대한 개념(4장)을 탐구하였다. 문화는 우리 몸에 고유한 본질이다. 그것은 영원무한의 생명과 사랑이다. 문(文)은 몸이며, 화(化)는 몸의 변화이다. 문(文)으로 이해하는 몸의 진실은 생명과 사랑이기 때문에 몸의 변화로서 화(化)도 생명과 사랑이다. 몸으로 생겨나 몸으로 놀이하는 모든 것은 생명과 사랑 안에 존재한다. 이 사실로부터 문화상품은 생명과 사랑에서 나오는 모든 것이며, 따라서 문화소비는 생명과 사랑에서 나오는 모든 상품을 소비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문화소비의 핵심을 다음과 같이 정립할 수 있다. 문화소비는 생명과 사랑으로 존재하는 우리 몸이 생명과 사랑을 위하여 만들어 내는 모든 상품을 생명과 사랑으로 소비하는 것이다. 우리가 이렇게 소비를 이해하는 한에서 소비는 어느 일방만의 부(富)를 축적하거나 그것을 목적으로 어느 일방을 착취하는 것이 절대 아니다. 생명과 사랑 안에서 존재하는 우리가 오직 생명과 사랑을 위해서 서로의 생명과 사랑을 주고받는 것이다. 이것이 문화소비이다.

      • 중국 고궁 문화상품 연구에 관한 내용분석

        조기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research is of great significance for investigating the current research status of cultural relics in the Palace Museum. Through the analysis and exploration of the research status of the cultural products of the Forbidden City, the development trend of the cultural products of the museum can be explored. With the vigorous development of China's cultural industry, the cultural products exhibited in the Palace Museum have received more and more recognition and attention from the industry. Therefore,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more and more researches on cultural products of the Palace Museum. In response to this, this study searched a total of 132 studies on cultural products of the Forbidden City during the five years from 2016 to 2020 based on the year of publication of research papers,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issued in each year, research topics, research methods, and the researcher's professional field. The thesis, and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research questions in detail, analyzes the research related to the cultural products of the Forbidden City.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with the release of cultural products of the Forbidden City, the number of studies in this field has increased since 2018. The research topics on the cultural products of the Forbidden City mainly revolve around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of the Forbidden City, new media marketing research, and the design of cultural products of the Forbidden City. Researchers are mainly people engaged in news, advertising, design and museum-related work.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marketing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market share and competitiveness of cultural products. It can provide new marketing directions and ideas suitable for the new media era. Research in the field of cultural products of the Forbidden City can inspire the development of museums and other cultural products. 본 연구는 고궁 박물관의 문화상품 연구현황을 살펴보는 데에 의의가 있다. 고궁 문화상품 연구 현황 분석과 탐색을 통해 박물관 문화상품의 미래상을 모색할 수 있다. 중국의 문화산업이 왕성하게 발전함에 따라 고궁 박물관이 출품한 문화상품도 갈수록 업계의 인정을 받고 주목받으며, 최근 몇 년간 고궁 문화상품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2016~2020년 5년간 저널에 발표된 고궁 문화상품에 관한 연구를 분석하었으며, 논문의 발행 연도, 연도별 연구논문의 학술지 편수,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연구자 전문분야에 따라 총 132편을 검색하였다. 이어 상세하게 확정된 연구문제를 통해 고궁문화상품 관련 연구들을 분석했다. 연구결과를 보면 2018년부터 이 주제의 연구 건수가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고궁이 문화상품을 출시하면서 2018년 이후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더 많아졌다. 고궁 문화상품에 대한 연구 주제는 고궁 문화상품 개발과 발전, 뉴미디어 마케팅에 관한 연구, 고궁 문화상품 디자인 등에 집중되었다. 연구자는 주로 신문학과 광고학과 디자인학과 및 박물관 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따라 마케팅은 문화상품의 시장 점유율과 경쟁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뉴미디어 시대에 맞는 새로운 마케팅 방향과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다. 고궁 문화상품 분야에 대한 연구는 박물관과 같은 다른 문화상품 개발에도 발전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옹기의 문화상품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방안 연구

        안준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문화가 삶의 질을 결정하는 시대적 배경을 바탕으로 자국의 정체성(正體性, identity)을 살린 문화상품의 개발은 시대적 상황에 대한 부응(副應, satisfy)이고 상응(相應, coherence)이며 문화가치(culture value) 창출이다. 이는 곧 국가경쟁력 확보라는 전제하에 우리의 전통문화 중에서도 최근 새롭게 그 가치를 인정받고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옹기의 문화상품으로서의 개발은 필연적이라 할 수 있다. 문화는 그 자체로서 사람들의 의식수준과 생활환경 개선을 통해 일상적 삶을 수준 높게 보장해 주는 구실을 할뿐 아니라 산업과 연결되어 별도의 부가가치를 발휘함으로서 경제적 이윤까지 보장해주는 구실을 한다. 특히 현 시대는 문화의 시대로서 문화가 곧 삶의 필수불가결한 요소이자 산업 자본적 가치를 지닌다. 한마디로 문화가 경쟁력이자 재산인 시대로 나아가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세계화와 더불어 자본력을 앞세운 초국가기업(transnational corporation) 등을 통한 무분별한 외래문화의 유입과 맹목적인 모방을 통한 국적불명의 상품 범람으로 우리만의 문화적 개성이 상실되고 퇴화될 위기에 처해 있다. 전통에 대한 관념적 당위성이나 애국적 도덕성에 기댄 호소만으로는 전통문화가 명맥을 유지하기 어렵다. 과학적으로 분석되고 검증된 기능성이 설득력을 가지고 자체의 상품으로서 모든 면에서 경쟁력을 가져야만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다. 중국으로부터 전래되어 주로 실내 장식용으로 활용되어진 귀족적 특성의 도자기와 달리 우리나라의 고유한 옹기는 강원도 양양군이나 서울 암사동 유적에서 가마터가 발견되었듯이 신석기 시대부터 사용되어 역사적 흐름에 따라 우리민족의 삶의 변천사와 그 괘를 같이하며 현재까지 계승, 발전되어 내려오고 있는 우리의 귀중한 유산이다. 옹기는 소성과정을 거치면서 태토(胎土)와 유약(釉藥, glaze)으로 사용되는 잿물과 일종의 자연유(自然釉, natural glaze) 를 통해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무수한 기공들이 있어 발효식품(醱酵食品, fermented food)이 만들어지는 동안 발생되는 발효가스를 배출하고 외부의 먼지나 빗물 등이 스며들지 못하게 한다. 이러한 기능 때문에 옹기를 ‘숨 쉬는 그릇’이라고 부른다. 이 원리는 첨단의류 소재로 알려진 고어텍스의 기능과 동일한 것이다. 또한 옹기의 이러한 특징이 김치냉장고의 기본원리임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기도 하다. 과학적인 그릇인 옹기는 철판 못지않은 열 보존성을 지니고 있어 한식뿐만이 아니라 서양식 식단에서도 활용이 용이하고, 시대적 트랜드로써 LOHAS(Lifestyle Of Health And Sustainability)적 삶이 각광받고 있는 현 상황에 부합되며 실생활에서의 쓰임은 물론 푸드코디네이팅에서도 활용될 여지가 무한한 용기(容器)이다. 또한 옹기의 역사적 가치는 한국만의 고유한 색감과 제조 방법, 형태를 그대로 보전하고 있다는 데 있으며, 이에 따라 과거의 모습 그대로 재현되고 있고 전국적으로 장인들이 실제로 활동하고 있어 고무적이다. 어느 한 순간 맥이 끊어진 단절의 역사가 아니라 과거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온 역사의 연속성을 옹기를 통해서 재확인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한국문화의 정체성과 고유성을 재확립 할 수 있을 것이다. 옹기의 질박한 멋은 한국 사람에게는 전통에 대한 미적(美的) 향수를 불러일으키고, 외국인들에게는 이국적인 문화상품으로 인식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배경을 근거로 한국옹기의 성공적인 문화상품화를 위해 마케팅 전략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현대의 생활환경에 적합한 디자인 개발과 미학적, 기능적 가치의 부각을 통해 본래 옹기가 가진 실용적이고 과학적인 특성을 살려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상품을 개발할 수 있는 이론적 기틀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시장에서 환영받을 수 있는 옹기문화상품이 나오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The development of culture goods which reflected his own country’s identity based on periodical background deciding the quality of Life by Culture which means satisfy and coherence to periodical circumstance and the Create of culture value as required just only had recently newly recognized it’s value among our traditional cultures and the development as culture products of Onggi which had been increased Interests by persons has showed inevitable phenomena. As well as The culture performed to his key function to highly guarantee Routinely Life’s level through level of and of environment in itself and also performed to guarantee even economic profits as arousing extra additional value linked with other industry. In particular, current period is culture’s era and The culture has given to essential requirement to life and have industrial capital’s value. In one word, The culture has own competitiveness and has been moved forward to Assets period. But Inflow of indiscriminate foreign cultures by transnational corporations etc supported by big bargaining power together with the globalization in recently and overflow of commodities of Unknown nationality through reckless imitation had put loss of our own culture’s individuality and maybe fell into in degenerated critical situation. It is very difficult that existence of traditional culture would be kept only conceptional appropriateness to tradition or appealled by patriotic morality. When we have only it’s goods having been scientifically analysed, reviewed functionality and persuaded power, we can be able to survive and preserve it possessed the bargaining power in all aspects. Our original and traditional Onggi had discovered kiln places at Yangyang-gun in Kangwon-do and Amsa-dong’s remains in Seoul and it is different ceramics of aristocratic nature used Interior design moved from China and Our Onggi has been used since New Stone Age that it is very our valuable heritages conveying succession and development till now together with change of history for our people’s life under stream of history and with followed same traces. The Onggi had discharged fermentation gases for producing of fermented food through any uncountable Air hole that we can not find them to our eyes and that it was made by sodium hydroxide using Taeto(particle of soil making for ceramics) and glaze and by a kind of natural glaze taken its course of Firing process and could not permeate dust and rainwater etc from outside. The reason why of these functions that we can say Onggi to be named Breathe of Bowl. These principal is almost similar to Goretex’s functions widely known high technology garment materials. These characteristic of Onggi also already acknowledged basic principal of Kimchi Refrigerator. Because the Onggi which was mentioned scientific bowl has as much as conservativeness of heats of Steel, The Onggi has been easily used to take menu of Korean and Western food and is undoubtedly infinite container for using of real life and of course, for food coordinating comply with current environment spotlighting LOHAS(Life style Of Health And Sustainability) and Slow Food as trend of the times. Also The historical value of Onggi has been preserved traditional color sense, method of production and shape without any change and it is also very encouraged due to has been reproduced as previous images and has been actual worked by master craftsmen on a national scale. Without any severance on actual moment, we can reconfirm continuity of history by Onggi from past till now and As a result, we can be able to re-establish identity and characteristic of Korean culture. The simple and honest’s style of Onggi arouse traditional aesthetic nostalgia in Korean people and can be able to cognize culture products of exotic in Foreigners. This study had exercised marketing strategy for successful commercialization of culture to Korean Onggi basis on these historical backdrop and On the these basis of facts, I would like to guide theoretical foundation and directions which can be developed goods satisfying consumer’s desires making the most of practical and scientific nature which having been contained originally Onggi through the development of design suitable in current life’s environment and through relief of aesthetic and functional values. Finally I hope a little bit help that Onggi Culture Products can be issued to be given a welcome in the market.

      • 문화예술상품 소비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의 개념구조 및 속성과의 관계

        신은주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박사

        RANK : 248703

        물적 만족을 이룩한 현대의 소비자는 소비행위 자체에 대한 재미, 즐거움, 환상과 같은 정서적 · 감각적 · 지적 만족과 유익을 추구하며, 사회적 관계에서 소비자 자신의 내적 · 외적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 문화예술상품 소비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문화예술상품은 예술가의 정신과 관념이 표현된 창작물로서 소비자의 정서적 · 미학적 · 사회학적 측면에 소구하는 상품이다. 대중의 소비의 대상이 된 문화예술상품은 소비자의 정서적 · 감각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며 지적 향상을 위한 교육적 효과로서 소비되고 있다. 지식기반사회의 창의적 경쟁력 강화를 위한 문화예술의 활용 가치에 관심이 고조되면서, 개인과 기업 및 국가는 문화예술을 활성화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정책 실시하고 있으며, 문화예술의 공급과 수요를 확대하기 위한 많은 조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문화예술상품은 일반적인 여가나 오락 상품과 달리 소비에 필요한 특별한 조건을 요구한다. 문화예술상품 소비는 경제적 · 시간적 여유와 개인의 취향뿐 아니라 문화예술을 체험할 수 있는 지적 수준과 경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소비재나 서비스상품과 같은 마케팅자극에 의해 수요가 창출되기 어려운 상품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에 주목하여 현대소비문화의 다양성을 바탕으로 문화예술이라는 독특한 상품을 소비하는 문화예술상품 소비자를 총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연구모델을 개발하고, 문화예술상품 생산 및 정책기관과 문화예술을 활용하는 기업의 문화마케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상품 소비자를 마케팅의 관점에서 총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미학적 · 사회학적 맥락에서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의 개념구조와 하위차원을 알아보고,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이 상품속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질적 연구로서 표적집단면접(FGI: focus grop interview)을 실시하여 문화예술상품 소비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의 개념구조와 그 관계를 알아보았으며, 양적 연구로서 문화예술상품 소비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 및 상품속성의 하위차원을 도출하고 가치인식과 추구혜택 및 상품속성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질적 연구에서는 수도권과 광역시 및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10대부터 50대까지의 남녀 58명을 1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총 12회에 걸친 표적집단면접(FGI)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진술문에서 추출한 핵심어휘를 관련 전문가 4인에게 의뢰하여 의미의 유사성과 차이성에 따라 어휘를 계열화 · 범주화하여 문화예술상품 소비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의 개념구조와 관계를 파악하였다. 양적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의 개념구조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문화예술상품 속성에 대한 문항을 구성하여 예비조사를 거쳐 문항의 타당성을 검증한 후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통하여 서울, 경기도, 광역시,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10대 이상 50대의 남녀 662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8.0과 AMOS 16.0을 사용하여 요인분석, 회귀분석, 정준상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였다.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상품 소비자의 가치인식의 개념구조는 ‘실제적 · 개인적 가치재’, ‘미학적 · 감각적 경험재’, ‘사회적 공공재’라는 3가지 가치인식의 개념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구혜택의 개념구조는 ‘예술적 특성지향’, 사회적 관계지향’, ‘개인적 유익지향’이라는 3가지 개념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예술상품 소비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과의 관계를 파악한 결과, 문화예술상품 소비자의 가치인식이 추구혜택에 개념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개념구조와 그 관계는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판단의 특성과 그에 따른 혜택을 설명하는 것이다. 둘째, 문화예술상품 소비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 및 상품속성의 하위차원을 실증적으로 규명한 결과 가치인식의 하위차원은 ‘개인적 가치재’, ‘예술적 경험재’, ‘사회적 공공재’라는 3가지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추구혜택의 하위차원은 ‘예술적 특성추구’, ‘실제적 유익추구’, ‘정서적 유익추구’, ‘과시적 특성추구’라는 4가지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상품속성의 하위차원은 환경, 가격, 소통, 사람, 작품, 구성, 인적 관계라는 7가지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예술상품 소비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 및 상품속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과 정준상관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 요인들이 추구혜택 요인에, 추구혜택 요인들이 상품속성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의 가치인식이 추구혜택을 경유하여 상품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문화예술상품이 관념적 · 추상적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소비자 개인과 사회의 실제적 유익에 작용하는 가치를 지닌 상품이라는 것을 확인해 주는 것이며, 가치인식에 의해 추구혜택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상품속성을 선택하게 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문화예술상품 소비자의 가치인식의 개념구조와 하위차원을 바탕으로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가치인식을 긍정적으로 형성 · 강화하는 교육과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론을 강구할 수 있을 것이며, 문화예술이라는 관념적 상품이 실제의 삶에서 유익한 소비의 대상되기 위한 추구혜택의 하위차원에 따른 문화예술 상품속성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문화예술상품 소비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 및 상품속성의 하위차원과 그 관계구조는 학문적으로는 다양한 소비가치를 추구하는 문화예술상품 소비자를 연구하고 이해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실무적으로는 문화예술상품 생산자와 문화예술을 활용하는 기업과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국가기관에서 활용될 수 있는 소비자 정보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Contemporary consumers who have achieved material satisfaction pursue emotional, sensuous, and intelligent contents and benefits such as fun, pleasure, and fancy from consumption activities, and develop interest in the consumption of culture-art products to express their own internal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Culture-art products are creations that express an artist’s spirit and ideas, and are consumed by consumers through their emotional, aesthetic, and social faculties. A culture-art product that has been the object of the public’s consumption satisfies consumers’ emotional and sensuous desires and is consumed as an education effect for intellectual improvement. As people become increasingly interested in the application value of culture-art aimed at stepping up creative competitiveness in today’s knowledge-based society, individuals, companies, and nations are implementing various assistance policies for revitalizing culture-art, and a great number of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to expand the supply of and demand for culture and art. Culture-art products need special conditions for their consumption, however, unlike general leisure or entertainment products. These conditions include not only economic affluence, free time, and personal taste, but also an adequate intellectual level and the experience to appreciate culture-art. The demand for culture-art products can hardly be created by marketing stimuli, unlike commodities and service products . This research, which paid attention to these problems, was conducted to develop a research model aimed at comprehensively understanding the consumers of culture-art products who consume a distinctive product of culture-art based on the diversity of the contemporary consumption culture, and to present practical implications aimed at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culture-art marketing conducted by culture and art product manufacturing and policy agencies and companies that use culture-art. Therefore, this research sought to examine culture-art product consumers’ conception structure and sub-dimensions of value cognition and benefits in the aesthetic and social context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m from the marketing viewpoint, an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ir value-cognition and benefits on attributes. To achieve these goals, a focus group interview(FGI) was conducted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examining the conception structure and relationship of the value cognition and benefits of consumers on culture-art products, and as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of determining the sub-dimensions of value cognition, benefits, and attributes of culture-art products and of empirically identifying their relationships. In the qualitative research, a total of 58 males and females in their 10s to 50s who were living in capital areas, metropolitan cities, and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were divided into 12 groups, and an FGI was conducted with each group for a total of 12 FGIs. This research studied the conception structure and relationship of the value cognition and benefits of the consumers of culture and art products by extracting key words from them via the questionnaires, by requesting 4 related-experts to do so, and classifying and categorizing those words according to the similarities of and differences in their meanings. In the quantitative research,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after questions were drawn up about the consumers’ preferred product attributes based on a preliminary survey, and then verifying the feasibility of each question based on the conception structure of the value cognition and benefits derived from the qualitative research and previous researches. This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nd offline among a total of 662 persons in their 10s to 50s who were living in Seoul, Gyeonggi-do, metropolitan cities, and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via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WIN 18.0 and AMOS 16.0.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e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onsumers of culture-art products had the following 3 conception structures of value cognitions: actual and individual merit goods, aesthetic and sensuous merit goods, and social public property and that their benefits had the following 3 conception structures: aesthetic character-oriented, social relationships-oriented, and individual benefits-oriented. The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umers’ value cognitions and benefits showed that their value cognitions had a conceptual influence on their benefits. Such conception structures and the relationship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lue judgment of the consumers and the benefits that ensue. Second, the sub-dimensions of value cognitions and benefits of the consumers of culture-art products and attributes were empirically found to be as follows: their value cognitions turned out to be 3 factors - individual merit goods, aesthetic merit goods, and social public property. The sub-dimensions of benefits turned out to be 4 factors - pursuit of aesthetic character, pursuit of actual benefits, pursuit of emotional benefits and pursuit of conspicuous character, and The sub-dimensions of attributes to be 4 factors - environmental impact, price, communication, people, artwork, composition, and personal relations. Third, the regression analysis,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at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of the value cognitions, benefits, and attributes of the consumers showed that the value cognitions factors of the consumers toward culture-art products had an influence on the benefit factors, and that the benefit factors had an influence on the attribute factor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value cognitions of the consumers had an influence on their preferred product attributes by way of their benefits. These results confirm that while culture-art products have ideal and abstract characteristics, they are goods that yield actual benefits for individual consumers and society and that the benefits are attained according to the consumer’s value cognition, through which he or she chooses product attributes. Based on the conception structures and the sub-dimensions of value cognitions of the consumers on culture-art products that were shown in this research, a concrete methodology can be devised to provide education and experience opportunities aimed at positively forming and strengthening consumers’ value cognitions of culture and-products and the attribute development of culture-art products according to consumers’ sub-dimension of benefits can be benefit to consumer practically as an ideal culture-art product. The sub-dimensions of value cognitions and benefits of the consumers on culture-art products and attributes of culture-art products and their relationships that were shown in this research can be used to study and understand consumers of culture-art products who pursue various consumption values academically, and can be provided as consumer information for use by culture-art product producers, companies that use culture and art, and government agencies that are try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public practically.

      •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 십이지신상을 중심으로

        박숙례 서울산업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세계는 각기 고유의 민족문화에서 세계성을 찾고 타문화와 차별되는 정체성을 부각시킨 국적 있는 고유 디자인의 개발로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우리나라처럼 자원이 부족한 상태에서 문화를 바탕으로 한 독창적인 요소를 발굴, 고부가가치의 문화상품 개발은 필연적인 것이며 문화상품의 다원적인 개발은 선진국의 척도라 할 수 있다. 현재 일본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자국의 고유문화를 세계에 전파하기 위해 막대한 예산 투자를 하고 있다. 이것은 자국의 문화를 상품화하여 보급시킴으로서 자국에 대한 이미지 형성과 상품 선호도를 높여 세계화라는 틀 속에서 자기 문화 발전과 수요 창출을 꾀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최근에 와서 문화적 상품 개발을 위한 전략적 접근이 시도되고 있으나 전반적인 인식이 낮아 다른 나라와 비교하여 보면 지역적인 특성과 차별성이 없는 유사 상품을 생산하고 있는 실정으로 지역의 문화가 깃든 고유 브랜드 개발이 미비하며, 문화적으로 부가된 이미지를 크게 부각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적 있는 문화상품의 개발에 부응하기 위하여 전통문양 중 하나인 십이지신상을 소재로 현대적으로 디자인, 한국의 이미지를 나타내어 심플하고 생활에 실용성과 장식성을 높일 수 있는 문화상품을 개발하고자 하며, 우리 문화를 알리고 국가 이미지를 고취시킬 수 있으며 부가가치가 높은 실용적, 예술적 문화상품을 만드는데 있다. 문화 상품의 개념과 현황 등을 바탕으로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접하고 사용되며 특히, 선물용이나 기념품으로도 가능한 사무용품 (Desk Service) 중 문진 겸 명함꽂이, 펜꽂이, 페이퍼 나이프와 향낭으로 품목을 제한하여 전통에 바탕을 두고 현대 생활에서 감각적인 디자인으로 유도, 최종안 시제품을 제시하였다. 소재로 정한 십이지신상을 현대적이면서도 세계적인 보편성을 가질 수 있도록 곡선을 이용한 면 분할로 조형성을 살린 부조와 사실적인 환조 등으로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또한 외형은 직선적이고 단순한 사각형 형태와 우리나라 전통 부채의 형태를 응용하였다. 표현 방법 재료는 은(99.9%, 92.5%)를 주재료로 하며, 금속이라는 단일 재료에서 오는 지루함을 없애보고자 황동, 적동, 알루미늄, 매듭, 보석 등을 사용하였다. 기법에 있어서는 대량생산을 위해서 정밀주조기법을 위주로 하였으며, 십이지신상을 표현하는데 있어 조이기법과 부식기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상품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과 현황 등에 대하여 문헌과 연구자료 등 을 통해 검증, 고찰해 보았으며, 둘째, 문화상품은 단순한 것이 좋고 기능적이어야 하며, 경제성과 독창적이어야 한다. 셋째, 십이지신상의 기원과 의미를 살펴보고 문화상품개발을 위한 십이지신상의 현대적 디자인 개발을 시도하였다. 이와 같이 십이지신상의 문양을 이용하여 금속제 문화상품을 나타낸 본인의 시제품이 생활 공간에서 조금이나마 미적인 즐거움을 줄 수 있는 동시에 국제 경쟁력에서도 뒤지지 않는 문화상품을 찾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Every country in the world tries to find a cosmopolitanism in its own national culture, and develops unique design emphasizing its distinguished identity to maximize the efficiency.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find original elements based on our culture and develop goods with high added value as Korea has no rich resources. Multi-level development of cultural goods is a barometer of the advanced country.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Japan have invested huge amount of money to spread their respective unique culture in the world. By spreading their own culture in the form of goods, they attempt to develop their respective culture under the slogan of cosmopolitanism, which leads to the elevation of their respective national image as well as a rise on the priority of their goods. Strategic approaches have been tried out to develop cultural goods in these days in Korea. Since, however, the cultural goods are not recognized substantially, imitation goods with no local or distinguished features have prevailed as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Few brands have been developed to reflect local culture. Therefore, no cultural image is not fully highlighted. This study is use the statue of twelve gods which is a traditional pattern of Korea in order to develop cultural goods with practicality and decorativeness expressing the image of Korea in a modern design. The artistic cultural goods with practicality will create a high added value and contribute to introduction of Korean culture and to elevation of national image in the would. Out of office supplies and desk services that are readily available in our everyday life as a present and souvenir, only the card insert, pen-stand, paper knife and perfume purse are selected as a suitable item in this study. Pilot product is designed in a modern style and finally proposed as based on a tradition. The appearance of the statue of twelve gods adopted as a subject matter is divided by curves, and designed and carved in relief and realistic sculpture to vivify formative feature so that it is expressed in a modern styles and has a global universality. Simple and linear tetragon and Korea's traditional folding fan are used to express the appearance of the statue of twelve gods. The pilot product is mainly composed of si1ver(99.9% and 92.5%). Brass, bronze, aluminum, knot and jewel are also used as a material to avoid plainness of a single material, metal. Precision casting process is mainly used for mass production. Carving method and technique are used to express the statue of twelve gods.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General concept and present state of the cultural goods have been verified and reviewed in reference with literature and research data. 2. The cultural goods should be simple, functional, economic and original. 3. The origin and implication of the statue of twelve gods have been reviewed. Attempts have been made to design the statue of twelve gods in a modem style in order to develop the cultural goods through production of pilot product. The pilot product produced through this study using the pattern of the statue of twelve gods should hopefully contribute to production of the cultural goods with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at offers aesthetic pleasure

      • 문화상품디자인의 방향제시를 위한 조형요소로서의 톤(tone)에 관한 연구

        심세령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난 수세기 동안, 선조 들이 기울인 테크놀로지의 진보와 효율적인 생산체계에 대한 지속적인 탐구로 인하여, 오늘날 우리는 이전의 어느 때보다도 많은 물질적 풍요와 잉여시간을 향유하게 되었다. 생계의 문제에서 자유로워진 사람들의 관심사는 그 동안 충분히 누리지 못했던 문화적인 삶에 집중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자본주의라는 적극적인 상품화 구조 속에서 문화는 대단히 수익성 높은 산업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문화의 체계적인 산업화와 부가가치 높은 문화상품의 개발은 이제, 한 나라의 미래를 책임질 만큼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문화상품이라는 어휘는 문화라는 단어와 상품이라는 단어의 단순한 합성어가 아닌 시간과 공간이 합쳐진 재화가치의 범주에 소속되고 또한 문화도 음미할 수 있고 즐기며 감상할 수 있는 시장을 형성하는 시장품목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문화상품의 개발은 끊임없는 자기 개발이고 발전을 위한 구체적 수단이며 방법인 것이다. 문화상품은 내적 충만감이나 충족감으로 참여를 유도하고 았으며 그러한 내적 감각은 상품 가치의 기준이나 척도가 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상품의 출현이 유형이든 무형이든 그 나라가 가지고 있는 문화를 뒷받침 하게되는데 한국의 문화상품의 정체성을 자각하여 국제적인 문화상품으로서의 위상을 수행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문화상품 디자인을 조형요소로서 가지고 있는 톤(tone)으로 우리의 지정학적인 위치와 문화를 더불어 분석하여 문화상품 디자인에 대한 접근을 재조명하면서 나아가 문화상품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현재까지의 문화상품 의 표현 물들은 그림의 요소나 형태 색채 등으로 상징되어 국한되기도 했지만 한국적인 조형요소들의 관계에서 얻어지는 톤(tone)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문화상품 디자인에 접목시킴으로 한국이 갖고있는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여 도움을 주는데 그 의의가 있다. 사실 우리의 문화는 세계 문화사에서 아시아권에서의 중국과 일본 등과의 문화 구별인식이 미흡했지만, 과장이 심하고 궤변적인 중국문화와 의식적이고 대비가 강한면을 가지고 있는 일본문화와는 명백히 다른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우리의 지형적인 특징이나 환경, 기후, 음식, 언어 등은 타 국가와 차별적이긴 하지만 우리의 것이 독창성과 우월성을 강조하는 민족주의적인 관점으로만은 해석되지 않을 것이며 문화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문화가 가지고 있는 이중적이고 다원적인 특성을 고려해 볼 때 본 연구는 한국의 역동적이고 강렬한 대비보다는 부드럽고 온화한 중간색조의 그리고 정적인 톤을 중심으로 전개했다.우리의 문화를 지정학적인 접근으로 해석한다면 완만한 산봉우리와 급하지 않은 물살의 계곡, 뚜렷한 사계, 둥근 초가지붕, 거칠고 둥근 돌담, 수평의 논과 밭 등을 설명할 수 있고 이에 시각적으로 느껴지는 부드러움과 평온함, 자연의 색을 취하며 자연과 동화하려는 문화적인 특성을 엿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문화에 대한 추론을 바탕으로 한국적인 톤을 우리의 문화적인 색깔로 만들어가고 그것을 바탕으로 문화의식 고취는 물론 세계화 시장에서 독특성을 창출할 수 있는 계기를 삼기 위함이며, 다른 시각에서의 문화가 가지고 있는 조형요소로서의 톤의 연구와 개발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anks to the continuous exploration of technology development and efficient production system our ancestors have made for the past few centuries, we come to enjoy a lot of material affluence and leisure time. Freed from the issue of livelihood, people focus on cultural life, and culture becomes reborn as highly profitable industry in the structure of active commercialization of capitalism. 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high value added cultural products has become a very important issue taking responsibility of the future of the country. The term, cultural product, is not simply a combination of the word culture and product, and it is also a market item that forms the market that enables us to enjoy culture. Therefore, developing cultural products is a specific way of continuous self-development. Cultural products introduce participation with inner satisfaction, and this inner senses become standards of the value of a product. Hereby,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cultural products that can perform as international culture products, and presents the direction of cultural products by re-examining approaches to cultural product design through an analysis of tone with our culture. The expressions in cultural products made so far have been composed of the form, element and color of painting,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the application of tone to cultural product design helps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In fact, our culture has been recognized not separately from that of Chinese or Japanese, but is quite different from Chinese culture having a lot of exaggeration and Japanese, having strong contrast. Though different from other countries in terms of environment, climate, food and language, our culture should not be translated by nationalism that emphasizes superiority to others, and this study is developed considering the double character of culture. Translating our culture comparing to a geographical approach, it has softness and peacefulness of slack mountain peak, unstiff stream, fair four seasons, round thatch roof, rough and rough stone wall and horizontal rice fields. Based on this theory of our culture, we should make our own color of Korean tone, take it as the opportunity of creating uniqueness in the world market, and there should be more continuous studies on cultural tone, research and development in different points of view.

      •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이 구매의도와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송준학 성균관대학교 문화융합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향후 점차 무형의 서비스와 가치가 중요해지는 사회 속에서 그 중심에 있는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가치 인식을 파악하여 향후 국가적 차원의 문화예술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특히, 본 연구는 소비자의 문화예술상품 소비에 있어 가치인식이 소비자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소비자의 가치인식을 여섯 가지 하위 차원인 사회성, 자기충실성, 건강민감성, 과시성, 실용성, 심미성으로 나누었다. 세분화된 가치인식의 요인들이 문화예술상품의 구매 의도와 구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문화예술상품의 구매 의도와 구매 만족도 또한 살펴보았다. 총 312명의 연구대상자의 응답 결과를 바탕으로 한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가치인식 유형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구매 빈도가 많을수록,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여성일수록 문화예술상품의 구매 의도가 높았으며 자기충실성 유형의 소비자일수록, 과시성이 높은 유형의 소비자일수록 문화예술상품의 구매 의도가 높았다. 둘째,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가치인식 유형이 구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월 평균 문화예술상품 지출액이 많을수록, 구매 빈도가 높을수록,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여성일수록 문화예술상품의 구매 만족도가 높았으며 과시성의 가치인식 유형을 지닌 소비자일수록 구매 후 오는 만족도가 높았으며, 건강민감성이 높은 유형의 소비자일수록 문화예술상품의 구매 후 만족도가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정부 차원에서는 문화예술상품의 대중화를 현실화하기 위해 정부 차원의 문화예술사업에 대한 소비 지원금 지원, 문화예술산업 관련자들에 대한 지원 확대, 문화예술과 관련한 지속적인 소비자 실태 파악 등의 실천적 정책을 펼쳐야 할 것으로 보이며, 문화예술을 생산하는 생산자들에게는 각종 유명인을 초청한 강연 중심의 문화예술 프로그램 등의 자기계발형 문화예술상품을 생산하고, 영화관계자는 ‘무비 테라피’등을 적극 활용하여 영화를 통한 소비자의 자기계발을 일깨워 주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 가치 인식 유형을 반영하여, 국내 문화예술상품의 소비심리를 이끌어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e and arts industry at a national level in the future by grasping consumer's percep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products at the center of a society where intangible services and values are increasingly important in the future.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lue perception on consumer decision-making in consumer's consumption of culture and art products. Consumer value perception was divided into six sub-dimensions: sociality, self-faithfulness, health sensitivity, showiness, practicality, and aesthetics. The purchase intention and purchase satisfaction of art products were also examined. The main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 response results of a total of 312 research subjec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consum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ype of value perception on culture and art products on purchase intention, the more frequent the purchase,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the higher the income, the more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culture and art product was. The higher the level of self-faithfulness, the higher the displayable type, the higher the purchase intention of culture and art product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consum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value perception type of culture and arts products on purchase satisfaction, the higher the monthly average spending on culture and arts products, the higher the purchase frequency, and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the more culture and arts. Satisfaction with the purchase of products was high, and the satisfaction that comes after purchase was lower for consumers with social value recognition type, and also with health sensitivity.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suggested. At the government level, in order to realize the popularization of culture and arts product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practical policies such as support for consumption subsidies for the culture and arts projects at the government level, expansion of support for those involved in the culture and arts industry, and continuous understanding of consumers in relation to culture and arts. Producers who produce culture and arts produce self-development culture and arts products such as lecture-centered culture and arts programs inviting various celebrities, and filmmakers actively utilize 'movie therapy', etc. It seems that various programs that awaken self-development should be organized. Through this,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able to elevate the consumer sentiment of domestic cultural and artistic products by reflecting the type of consumer value perception of domestic cultural and artistic products.

      • 문화상품으로서 탈춤의 엔터테인먼트적 기능과 특성에 관한 연구

        채하연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문화상품으로서의 탈춤에 내재되어 있는 엔터테인먼트적 기능과 특성을 밝혀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탈춤의 형태와 역할은 시대적 요구에 따라 변화되어 왔고, 물론 사회에서의 의미도 달라져 왔다. 탈춤은 초기에 제의로서 시작되었으나, 세시 풍속의 놀이로서 행해지기도 하였고, 현시점에서는 하나의 문화상품으로서 더욱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많은 선행연구들이 탈춤의 다양한 기능들과 특성들을 구체화하였다. 본 연구는 엔터테인먼트의 기능과 선행 연구에서 논의된 기능들이 서로 부합되는 점을 확인하고, 또한 문화상품으로서의 탈춤에 함유된 엔터테인먼트적 기능과 특성을 체계화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그리하여 탈춤이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하나의 문화상품으로 진가를 발휘할 수 있게 하는 방안들을 모색하고자 한다. 탈춤을 문화상품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엔터테인먼트적 기능과 특성을 찾아내고 보강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대는 단지 문화상품 만이 아니라 모든 상품은 엔터테인먼트가 가미될 때 가치가 증대될 수 있으며, 인류 또한 엔터테인먼트를 위해 점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본론의 첫째 장에서는 한국 탈춤에 대하여 역사적으로 관찰하였고 탈과 탈춤을 개괄하였다. 다음 장에서는 문화상품으로서의 탈춤의 현재 모습을 고찰하였다. 따라서 문화의 상품화 개념들을 마르크스, 루카치, 그리고 짐멜의 사상에 비추어 살펴본 후, 이들에 근거하여 탈춤의 전통문화 상품으로서의 가치와 문화 상품화 과정에 대해 서술하였다. 셋째 장에서는 탈춤에 내재되어 있는 엔터테인먼트적 기능과 특성을 탐색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엔터테인먼트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그 다음 엔터테인먼트의 개념과 그 기능, 특성 등에 대해 기술하였다. 그밖에 엔터테인먼트의 학술적 연구의 역사와 사례에 대해 조사하였다. 마지막 장에서는 탈춤이 다양한 특성 중에 엔터테인먼트적 특성을 함유하고 있음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논의된 탈춤의 사회적 기능과 유희적 기능들은 결국 엔터테인먼트의 기능이라고 볼 수 있었다. 또한 그러한 기능들은 엔터테인먼트 자체의 산업적 기능, 자기정화 기능, 레크리에이션(re-creation) 기능, 대리 체험 기능, 사회통합 기능, 인류문화의 통합 기능들과도 부합하였다. 동시에 엔터테인먼트적 특성들이 탈춤에도 존재하였으며, 이를 상업성 측면, 오락성 측면, 창조성 측면, 대중성 측면에서 논증하였다. 결론에서는 문화상품으로서 탈춤의 취약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사항들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또한 이는 엔터테인먼트의 기능과 특성 면에 비추어 보았을 때 어떠한 면이 부족한 탓인지 찾고자 노력하였고 이에 관한 몇 가지 제언을 첨가하였다. 즉, 첫째 취약점은 '관객의 참여성 저하 현상'이다. 이는 오락성과, 창조성, 대중성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재고될 필요가 있다. 또 하나는 '국내 활성화 기반이 미약함'이다. 이는 상업성을 저하시켜 세계화의 장애 요인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취약점들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현대적 개념의 기획과 전략 개발'과 '정책적 지원'을 강화할 것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entertainment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immanent in the masked dance as a cultural production. The masked dance's form and role have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times, and not to speak of it's meaning in the society. In the first stage it was started to do as religious ceremonies though it was performed as a customary event, but today it has more important significance as a cultural production. Many preceding studies embodied various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inside the masked dance. This study aims at verifying meeting points between the entertainment functions and other functions discussed in the preceding studies, and systematization of entertainment functions and characters contained in the masked dance as a cultural production. Then this study tries to find some methods that the masked dance would be able to show its true value as one of cultural production needed in modem society. To activate the masked dance into a cultural production, first of all, the entertainment functions and characters should be found and strengthened. Because these days, whether it be a cultural production or not, unless it was not added some entertainment, it's value couldn't be enlarged, and human beings want to share more and more times for entertainment. The first chapter in the main subject, Korean masked dance are considered historically and Korean mask and masked dance are generally summarized. In the second chapter, it is inquired present situation of the masked dance as a cultural production. Therefore, after this study researched the concepts about commercialization of culture in view of the idea of Marx, Lukacs, and Simmel, it's value is described as a traditional cultural production and the process of it's commercialization into cultural production based on these concepts. In the third chapter, it is firstly examined the concept of entertainment in order to search the entertainment functions and characters in the masked dance. Secondly, I mentioned the entertainment's concepts, functions, and characters so on. To add to these it is inquired the history and cases of academic studies about entertainment. It is said that the social and play functions of the masked dance, discussed in the preceding studies, correspond to the entertainment function at all. And those functions agree with the industrial, catharsis, re-creation, substitute experience, social unification, and human culture unification functions of entertainment itself. At the same time, the entertainment characters also have existence in the masked dance, and they were proved in the sides of commerciality, amusement, creativity, and popularity. In the conclusion, it is examined which problems are discussed as weak points of the masked dance as a cultural production. And on this study it is tried to find it's shortages according to the entertainment functions and characters and added some suggestions about this. That is, the first weak point is 'the situation of spectator's low-participation'. It should be reconsidered because it becomes a factor that reduces it's amusement, creativity and popularity. 'The weakness of basis for domestic activation' is the other. It is possible to be an obstacle on the globalization because it depreciates it's commerciality. Lastly, it is suggested to strengthen 'planning and developing strategy based on modern idea' and 'the political support' in order to fill up these weak points.

      • 한·중 문화상품 특징에 따른 크리에이티브 디자인 연구

        여류영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thesis is a research article on the comparison of cultural product design between Korea and China and the development method of the cultural creation industry. This analyzed and studied the cultural background of individual regions in both Korea and China. The concepts of cultural product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of cultural products were analyzed and studie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search, the creative design of cultural products was inducted and settl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Chinese cultural products, common features such as design characteristics, color contrast, and pattern design elements were analyzed. It was intended to increase the value and meaning of cultural products by understanding the design theory of cultural products. In addition, the development status of the Korean cultural industry was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development status of the Chinese cultural industry.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ies of the two countries can be found. Market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current problems, improve the development model of the cultural industry, and seek ways to develop the creative product culture industry. The State Council of China proposed strengthening the discovery and protection of minority cultural heritage, respecting, inheriting and promoting the excellent traditional culture of minorities, and actively encouraging cultural innovation of minorities in its "several opinions on the prosperity and development of minority cultural projects." In this context, how to attract consumption well so that consumers from various countries, skin colors, and cultural backgrounds can purchase cultural products and how to reflect local culture are important factors for designers to consider. The usability, color selection, and pattern design of cultural products considered with emphasis in product design were all conveniently combined according to product positioning. A comparative study was conducted on the design of Korean cultural products and Chinese cultural products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current status and case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Chinese cultural products were analyzed and compared mainly in terms of systematic design, composition, graphic style, and color atmosphere. Chapter 5 conducted research and analysis on cultural leading product development methods. First, the development status of cultural leading products was analyzed. Focusing on H Island, the development status of cultural products and market surveys were analyzed. The development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cultural creations was compared. All countries and regions have their own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the success of the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is inseparable from the integration and development of superior industries. It revealed the urgent need to propose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reations, use reasonable personalities symbols, update cultural product brands, and strengthen cooperation in the Korean-Chinese cultural industry. It will promote resources, creativity, and market sharing in the cultural innovation industry, and the situation of cultural innovation product development will clearly change. This thesis was completed mainl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methods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he literature references were mainly composed of Korean doctoral dissertations and Chinese doctoral dissertations.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an electronic survey of 300 people in Korea and China with the main problem of designing cultural creations for various age groups through a survey. Trends such as demand for Korean and Chinese cultural products and purchase intentions were identified, and comparative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design of Korean and Chinese cultural products through survey dat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practice of designing cultural creations was carried out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culture of H city in China. I hope that it will be a reference for researchers who study the design of cultural creation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한·중 문화상품의 비교 및 창의적 디자인에 관한 연구다. 문화산업의 경제발전을 도모하고 전통문화를 좀 더 발전적으로 계승하기 위해, 한·중 양국의 개별 지역에 대한 문화적 배경을 분석 연구하였다. 문화상품의 특징 및 분류와 같은 문화상품의 개념을 분석하고 연구하였다. 한·중 문화상품의 디자인 특징을 비교 분석해 디자인 특징, 색채 대비, 패턴 디자인 요소 등의 공통점을 분석하였다. 문화상품의 디자인 이론을 이해함으로써 문화상품의 가치와 의미를 높이고자 했다. 또 한국 문화산업의 발전 현황을 분석해 중국 문화산업의 발전 현황과 비교했다. 두 나라의 문화산업 발전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시장 조사를 수행하여 현황 문제를 분석하고 문화산업의 발전 모델을 개선하며 창의적인 상품 문화산업의 발전 방법을 모색하였다. 중국국무원(國務院)은 「소수민족 문화 사업의 번영과 발전에 관한 몇 가지 의견(關於進一步繁榮發展少數民族文化事業的若干意見)」에서 소수민족 문화유산의 발굴과 보호를 강화하고 소수민족의 우수한 전통문화를 존중, 계승, 홍보하며 소수민족의 문화혁신을 적극적으로 장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다양한 국가, 피부색 및 문화적 배경을 가진 소비자들이 문화상품을 구매하도록 소비를 잘 유치하는 방법과 지역 문화를 반영하는 방법은 디자이너가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이다. 상품 디자인에서 중점을 두고 고려되는 문화상품의 사용성, 색채 선택 및 패턴 디자인은 모두 제품 포지셔닝에 따라 편리하게 결합된 디자인이었다. 현황 및 사례분석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문화상품 및 중국 문화상품 디자인에 관한 비교연구를 진행하였다. 주로 체계적인 디자인, 구성 및 그래픽 스타일, 색감의 분위기 몇 가지 측면에서 한·중 문화상품의 특징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제5장에서는 문화 선도 상품개발 방법에 관한 연구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문화 선도 상품의 발전 현황을 분석하였다. H섬을 중심으로 문화상품의 발전 현황 및 시장 조사를 분석하였다. 국내외 문화창작물의 발전 현황을 비교했다. 모든 국가와 지역은 고유한 역사 및 문화 자원이 있으며 외국문화 및 창작산업의 발전 경험에 따르면 문화 및 창작산업의 성공은 우위 산업과의 통합 및 발전과 불가분의 관계이며 문화 및 창작산업은 다양한 전문 인력의 지적 및 창의적 지원이 필요하며 문화, 예술, 디자인, 금융, 마케팅, 관리 등의 인재를 융합해야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문화창작물의 개발 제안, 합리적인 개성 기호 사용, 문화상품 브랜드 업데이트 전략, 한·중 문화산업 협력 강화가 절실함을 밝혀냈다. 문화혁신 산업의 자원, 창의성 및 시장 공유를 촉진하고 문화혁신 상품개발의 상황도 분명히 바뀔 것이다. 이 논문은 주로 문헌연구 방법과 정량적 연구 방법을 통해 완성되었다. 문헌 참고는 주로 한국의 박사 논문과 중국의 박사 논문 문헌이 주를 이뤘다. 정량적 연구법은 설문 조사를 통해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문화창작물 디자인을 주요 문제로 한국과 중국에서 300명씩 전자 설문 조사를 실행했다. 설문 조사 데이터를 통해 한·중 문화상품의 수요 및 구매 의향 등 경향을 파악하여, 한·중 문화상품 디자인을 비교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중국 H시의 문화를 배경으로 문화창작물 디자인 실천을 진행했다. 앞으로 문화창작물 디자인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도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