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의 스마트 웨어러블 헬스케어 제품의 디자인 개발 요소에 관한 연구

        노효몽 동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research aims to study the design elements of smart wearable health products(SWHP: Smart Wearable Healthcare Product). In order to get the design elements of SWHP, this study analyzed previous research on SWHP, consumer satisfaction survey, design evaluation element analysis, and post analysis through social media big data. And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with professional workers. By comparing the analysis results and synthesizing them, the design development elements of SWHP were deri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ocusing on previous research, factors related to consumer design evaluation were extracted and a questionnaire was prepared and the results of the consumer survey were analyzed to derive design development factors of a total of five SWHP including “usability, functionality, innovation, experience, and legality”. Focusing on design development factors, sub-elements were expanded by comparing and synthesizing the analysis through previous research analysis, post analysis through social media big data, and interviews with professional experts. First, the sub-elements of usability factor. Usability, mobility, hidden, durability, compatibility, inclusiveness, ease of use, flexibility, continuity, real-time, prediction of perceived usefulness, need to protect health information, privacy protection, perceived convenience, practicality, biocompatibility, functional development, specific functional design, personalized service, emotional healthcare, technology, hardware, software, core technology, real-time operation system, differentiation technology, data exchange, privacy exposure prevention, concealment and human rights protection, simplicity, reliability, convenience, aesthetics, comfort, entertainment, stability, etc. 36 sub-elements were derived. Second, the sub-elements of functional factors. Functionality, technology, stability, safety, professionalism, interactivity, technical attributes of perception, flexibility, persistence, real-time, perceived usefulness prediction, perceived irreplaceability (uniqueness), monitoring, monitoring persistence, healthcare interesting participation, health maintenance safety, health properties, health information accuracy, disease diagnosis and treatment, rehabilitation, consumer awareness, ease of use, technology acceptability, health technology suitability, need of health information protection, health and safety, risks, lack of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functional development, specific functional design, personalized service, emotional health management, technology, hardware, software, core technology, manipulation system, differentiation technology, data exchange, privacy exposure prevention, concealment and human rights protection, data exchange, health data monitoring, specific disease treatment, data cloud, remoteization, etc. 46 sub-elements were derived. Third, sub-elements of innovation factors. Fifteen sub-elements were derived, including innovation, personalization, playability, fashionable, individuality, interactivity, interesting participation in health management, perceived irreplaceability (uniquenes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dustrial connectivity, personalized services, software, brand characteristics, emotional health care and entertainment. Fourth, the sub-elements of experience factors. Experience, reliability, effectiveness, serviceability, aesthetics, comfort, ease of distinction, emotional health management, functional development, brand characteristics, specific functional design, differentiated service, management, cleaning, receiving, trust, like, effect, visual aesthetics, comfort etc. 20 sub-elements were derived. Fifth, sub-elements of legal factors. Fifteen sub-elements were derived: legal, accurate, economic, necessity of health information protection, lack of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health information accuracy, commercial value of data collection, marketability, data exchange, privacy exposure prevention, concealment and human rights protection, manufacturer cooperation, brand characteristics, accuracy and price. Through the above analysi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confirmed. First, differences between the 'previous research, consumers, and professional experts' groups were secured for SWHP design development elements. Second, we discovered the homogenization phenomenon of SWHP's product development and found a problem with it. Third, the necessity of convergence thinking was confirmed according to the cross-area of factors and sub-elements related to SWHP design development. Fourth,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emotional demand in SWHP design development.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 theoretical reference for researchers in SWHP's production companies, related government sectors, and the same areas to identify the factors and elements of product design development, and identify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between groups.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lead more people to be interested in SWHP and promote the exchange and spread of SWHP's design development by creating a good market environment. 본 논문은 스마트 웨어러블 헬스케어 제품(SWHP: Smart Wearable Healthcare Product)의 디자인 개발요소에 관한 연구이다. SWHP은 주 로 '자율적이고 비침습1)적인 모니터링 기능을 갖추며 장기간에 걸쳐 특 정한 의료적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장 치나 디바이스는 신체에 부착되거나 의복에 포함되며 활동량, 심박수, 혈 압을 포함하여 생리학적 데이터를 모니터링을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수집된 데이터는 스마트폰이나 의료용 모니터로 전송해 정밀적이고 전문 적인 분석을 하게 되어 유용한 건강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SWHP의 디자인 개발을 위한 요소를 연구하기 위해 SWHP에 대한 선 행연구 분석, 소비자의 만족도 조사, 디자인 평가요소 분석 및 소셜미디 어 빅데이터를 통한 게시글 분석, 그리고 전문종사자 인터뷰 등을 통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비교하고 이를 종합하여 SWHP의 디자 인 개발 요소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소비자 디자인 평가에 관한 요소들을 추출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이에 대한 소비자 설문 결과를 분석하여 사용성, 기능성, 혁신성, 체험성, 법규성이 포함된 총 5개 SWHP의 디자인 개발 요인을 도출하였다. 디자인 개발 요인을 중심으로 선행연구 분석, 소셜미 디어 빅데이터를 통한 게시글 분석, 그리고 전문종사자 인터뷰 등을 통 한 분석을 비교하고 종합하여 하부 요소들을 확장하였다. 첫째, 사용성 요인의 하부 요소 사용성,이동성,은폐성,내구성,호환성,포용성,사용 편의성,신축성, 지속성,실시간성,지각된 유용성의 예측, 건강정보 보호의 필요성, 개인 정보 보호, 지각된 편리성,실용성,생체 친화성,기능적 개발,특정 기 능 디자인, 개인 맞춤형 서비스, 감정적 건강관리,기술,하드웨어,소프 트웨어,핵심 기술, 조작 시스템의 실시간성, 차별화 기술, 데이터 교환, 프라이버시 노출방지, 은폐성 및 인권보호,단순성,신뢰성,편의성,심 미성,쾌적성,오락성,안정성 등 36개 하부 요소들이 도출되었다. 둘째, 기능성 요인의 하부 요소 기능성, 기술성, 안정성, 안전성, 전문성, 상호작용성, 지각의 기술적 속성, 신축성, 지속성, 실시간성, 지각된 유용성의 예측, 지각된 대체 불가능(유 일성), 모니터링, 모니터링의 지속성, 건강관리의 흥미로운 참여성, 건강 유지 안전성, 건강 속성, 건강 정보 정확성, 질병 진단 및 치료, 재활, 소 비자 인식, 사용 편의성, 기술 수용성, 작업 기술 적합성, 건강 정보 보호 의 필요성, 건강 및 안전, 위험성, 정보 보안 인식의 부족성, 기능적 개 발, 특정 기능 디자인, 개인 맞춤형 서비스, 감정적 건강괸리,기술,하 드웨어,소프트웨어,핵심 기술, 조작시스템, 차별화 기술, 데이터 교 환, 프라이버시 노출방지, 은폐성 및 인권보호, 데이터 교환, 건강 데이터 모니터링, 구체적 질환치료, 데이터 클라우드, 원격화 등 46개 하부 요소 들이 도출되었다. 셋째, 혁신성 요인의 하부 요소 혁신성,개인맞춤성,유희성,유행성,개성성,상호작용성,건강관리 의 흥미로운 참여성, 지각된 대체 불가능(유일성),개인 정보 보호, 산업 적 연계성, 개인 맞춤형 서비스, 소프트웨어, 브랜드 특성, 감정적 건강관 리, 오락 등 15 개 하부 요소들이 도출되었다. 넷째, 체험성 요인의 하부 요소 체험성, 신뢰성, 서비스성, 심미성, 쾌적성, 구별용이성, 효과성, 감정적 건강관리, 기능적 개발, 브랜드 특성, 특정 기능 디자인, 차별화 서비스, 관리, 청소, 수납, 신뢰, 호감, 효과, 시각 심미, 쾌적 등 20개 하부 요소 들이 도출되었다. 다섯째, 법규성 요인의 하부 요소 법규성, 정확성, 경제성, 건강 정보 보호의 필요성, 정보 보안 인식의 부족성, 건강 정보 정확성, 데이터 수집의 상업적 가치, 시장성, 데이터 교환, 프라이버시 노출 방지, 은폐성 및 인권보호, 제조자의 협력성, 브랜 드 특성, 정확, 가격 등 15개 하부 요소들이 도출되었다. 이상과 같은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확인하였다. 첫째, SWHP 디자인 개발 요소에 대한 ‘선행연구, 소비자, 전문종사자' 집단간 차이점을 확보하였다. 둘째, SWHP의 제품 개발의 동질화 현상 발견 및 이에 대한 문제를 발견하였다. 셋째, SWHP 디자인 개발에 관한 요인 및 하부 요소들의 교차영역 확 인에 따른 융합적 사고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넷째, SWHP 디자인 개발에 있어 감성적 수요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가 SWHP의 생산기업, 관련 정부 부문, 같은 영역의 연구자들이 제품 디자인 개발의 요소 및 요인들을 파악하고 집단 간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파악하는 데 있어 필요한 이론적 참고가 될 수 있기 를 희망한다. 아울러 본 연구가 더욱 많은 사람들이 SWHP에 관심을 가 질 수 있도록 이끌며, 양호한 시장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SWHP의 디자 인 개발의 교류와 전파를 촉진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제품디자인 프로세스의 디지털화에 따른 CNC와 RP기기의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김상윤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의 디지털화된 제품 개발 및 생산 체계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신속성과 다양성의 추구라 할 수 있다. 특히 제품디자인 프로세스가 디지털화됨에 따라 아이디어 스케치에서부터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mock-up 제작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에 컴퓨터가 보편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물론 아직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가는 과도기라 볼 수 있지만, 스케치를 위한 툴 또한 디지털 드로잉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모형 제작에 있어서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품을 제작할 수 있는 CNC나 RP기기의 사용이 두드러지고 있다. 또한, 디지털시대에서는 동시공학이라는 새로운 프로세스가 도입될 수 있어 디자이너와 모델러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해지며, 객관화된 신속한 프로토타입의 제작이 가능해진다. CNC, RP 기기를 활용한 제품 개발 프로세스는 제품 개발의 시작에서부터 제작과 생산 공정에 이르는 단계를 단일 데이터로 전달, 관리할 수 있으므로 정확하고 신속한 제품 개발 프로세스를 만들어낼 수 있게 된다. 디자인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제품디자인의 시각화를 좀 더 이른 시점에서 그 타당성을 3D 모델을 통하여 검토함으로써 이 후 제작과 생산의 가능성을 얻게 될 뿐만 아니라 개발 주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연구의 진행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디지털시대 제품의 디자인 환경 변화와 구조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프로세스의 변화과정을 알아보고, 3장에서는 제품디자인 모델의 고찰과 그 필요성을 알아보았다. 4장에서는 모형 제작을 위한 CNC와 RP기기의 이해를 위한 일반적 고찰과 현재의 활용 사례를 분석하고, 본 연구자가 재학 중인 대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CNC와 RP기기를 이용한 모형 제작 Case study를 통해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각 기기의 장·단점과 활용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결론에 이르러 앞 장에서 이루어진 연구를 바탕으로 디지털 프로세스에 따른 CNC, RP기기의 활용방안과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 방향성, 앞으로의 전망에 대하여 논하였다. 특히 5장에서는 위에서 연구한 자료들을 종합하여 다음과 같이 3가지 기준에 따른 활용 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① 디자인 프로세스 변화에 따른 활용 방안 ② 기기의 장·단점에 따른 활용 방안 ③ 기기의 실제적 사용에 따르는 제약과 활용 방안 본 연구는 앞으로 각 기기를 도입해서 사용하고 있거나 예정하고 있는 대학에 하나의 사례로서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며, 연구자가 재학하고 있는 대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기를 중심으로 학생들의 디자인 결과물을 제작한 모형제작 case study를 통하여 앞으로 학교와 기업에서의 적극적인 활용방안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The most needed factor in digitalized product development and production system is investigation of swiftness and variation. Especially, as product design process became digitalized, it is general to use computer from idea sketch to mock-up for presentation. Of course, it is a transition period from digital to analog, tools for sketch is changing to digital drawing and in producing model use of CNC and RP machine is distinguishing. Also in digital ere, as a new process called concurrent engineering can be introduced the communication between designer and engineer could be smoothened and producing of objected swift Proto-type is able. Product development system appreciating CNC, RP machine can create accurate and swift product development process by transporting and managing a single data from beginning of development to manufacture. Not only can reduce development period, but also gain possibility of production and manufacture by checking the adequacy by 3D model of product design's visualization in design process on step earlier. The process of study is like this. In chapter 2, analyzing the structure and environmental change in product design of digital ere. In chapter 3, will search for need and consideration of product design model. In chapter 4, General consideration of CNC and RP machine in Model producing and analysing of study cases in present usage, as well as proposing each machine's usage and good and bad points by studying model producing case using CNC and RP machine in examiner's University with synthesized study result. In chapter 5, discussed future prospect and usage scheme of CNC and RP machine following digital process based on the study made above before reaching the result. Especially in chapter 5, could draw out usage scheme following 3 principle below by synthesizing studied data. ① Appreciating method in changing design process. ② usage scheme related to good and bad points of each machine. ③ The limitation of practical usage of machine and the usage scheme This study can be a case study of Universities whom is using or willing to applicate above machine and modeling case study of students focused on machine that is used in Examiner's university, positive usage scheme of schools and company in future.

      • 대용량 휴대전화에서의 파일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사용자의 윈도우탐색기 사용 경험적용을 중심으로

        이창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휴대전화는 다양한 컨버전스가 이루어 졌으며 메모리속성도 강화되고 있다. 또한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유무선의 통합이 이루어질 전망이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 수의 다양한 파일들을 자유롭게 전송하거나 다운로드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휴대전화는 작은 화면과 입력방식의 제약, 위계적 구조의 UI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다 수의 파일과 복잡한 파일관리 태스크 수행에 있어 문제점이 예상된다. 많은 HCI 전문가 들은 UI 디자인에서 사용자의 경험과 습관을 이용하여 디자인 하는 것이 사용성, 향상에 중요한 요소임을 강조하고 있다. 사용자는 대용량 환경의 안정적 네트워크 환경에서 파일관리 에 대한 경험이 컴퓨터에 있다. 따라서 휴대전화의 UI환경과 데스크탑 컴퓨터 에서의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파일관리 UI 디자인은 향 후 휴대전화에서의 파일관리 사용성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문헌조사와 사용자 조사를 통해 휴대전화 UI 의 특징과 휴대전화 에서의 일반적인 파일관리 현황을 알아보고, 사용자 경험의 인터페이스 적용에 관한 이론을 살펴보았다. 또한 윈도우 탐색기의 태스크와 인터페이스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수행방법 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사용자의 경험이 형성되어있는 메타포어와 관용적 이디엄을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휴대전화와 비교 분석을 통해 휴대전화 파일관리 UI 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고려사항을 도출하여 이를 적용한 프로토타입을 제작, 사용자의 평가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된 휴대전화 파일관리 UI의 효용성에 대해 검증 하였다. In the mobile phone, diverse convergences are made. And the memory property is also getting strengthened. In addi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network technology, the integration of the wired and the wireless is expected to be made. Accordingly, it is anticipated that a user can freely transmit or download many various files. However, the mobile phone has the characteristics such as a small screen, a limitation in input type, and a hierarchical structure. Due to such characteristics, the problem is expected in case of performing tasks of managing a number of files and complex files. Many HCI experts emphasize that to design by using the experience and habit of a user in UI design is an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usability. In a computer, a user has the experience on the file management in a stable network environment of mass storage environment. As a consequence, the file management UI design which considers a user experience in the UI environment of a mobile phone and the desktop computer will assist in enhancing the usability in terms of the file management in a mobile phone. In this regard, this thesis,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and the user surve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phone UI and the general file management status in the mobile phone and reviewed the theory on the application of the interface in a user experience. Moreover, by analyzing the task and interface in a windows explorer and through the survey and interview in respect of a user's performing method, the metaphor and the common idiom in which a user's experience was formed were found out.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with regard to the mobile phone on the basis of this, the problem on the file management UI in the mobile phone was examined. The prototype was produced by deriving and applying the concerned matter. And through the evaluation of a user, the usefulness on the file management UI in the mobile phone proposed in this study was verified.

      • 중국 미래의 디자인 정책 방향에 대한 연구

        오이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 사회와 경제는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디자인의 영향력도 많아지고 있다. 선진국이나 개발도상국이나 할 것 없이 모두 광범하게 여러 형태의 디자인 활동을 벌이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정부가 여러 방식으로 디자인의 광범하게 응용하고 있고 이런 방식으로 공상업의 발전을 촉진하고 있다. 디자인의 발전을 도달하기 위하여 많은 정부에서는 전문적인 재정기금을 설립했다. 주로 전시를 하거나 출판 선전, 설명회 등을 개최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기업이 디자인을 응용하는 흥미를 일으켰다. 이러한 노력은 어느 정도의 효과를 거두어 제일 쉽고 뚜렷하게 발견할 수 있는 사실은 많은 국가들이 디자인 산업의 발전을 통하여 국가 경쟁력과 국제사회의 지위를 드높이고 있다. 최근 들어, 중국의 디자인 산업도 급속히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현재 중국 디자인 관련 회사 수는 5년 전보다 많이 증가하였고 발전 속도는 여전히 느리다. 지금의 발전 상황을 보면 국가적 측면에서 디자인 정책의 부족함이 국가의 모든 디자인 산업, 디자인 교육, 그리고 기업 기업이 디자인에 대한 관심을 갖는 것에 대해 선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리하여 중국 국정과 발전 현황에 맞는 정책을 추진하는 것은 이러한 모순을 해결하는 중요한 전제이다. 이를 기초로 본 연구자는 중국 미래의 디자인 정책 방향에 대해 일정한 탐색과 연구를 하였다. 본문은 일본,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와 핀란드 다섯 나라의 디자인 정책을 정리 분석하였다. 주요 선진국들이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디자인 정책으로 수립하여 시행하고, 디자인 분야에 있어 세계적 리더십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가의 디자인 정체성을 찾아 국가 브랜드 전략을 표방하는 선진국의 정책을 볼 때, 국내 디자인 정책 역시 중국적인 정체성을 구축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디자인의 진정한 가치를 찾기 위하여 선진국에서는 이미 디자인을 다시 인식하고 정의하며, 디자인의 방향을 명확히 나타내고 있다. 중국은 다른 사람이 걷던 길을 그대로 따라 쫓을 수 없고, 단 한 걸음으로 미래사회로 뛰어넘을 수도 없다. 이제 국제 디자인의 새로운 동향을 이해하고, 국내 현실 상황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이에 이론과 실제 두 방면을 반복적으로 탐구를 통해 우리 자신의 디자인 정책을 수립하고자 한다. With the increasing influence of design and the extending of the field of design, society place more emphasis on design inrapid pace. From developed countries to developing countries, from governments to the folks, from schools to enterprises, different kinds of design events are carried out in different fields. In most countries, the government employs many ways to support wide application of design to stimulate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and commercial industries, which has become a trend of development.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many governments also set up special public finance funds to support this work. The interests of applied design in many enterprises are inspired by the main supportive ways, exhibitions, publications and propagandas and promotion conferences, which reflects the importance of design. Undoubtedly, these efforts make some effects to some extent. The most apparent phenomenon is that people in increasing numbers become designers. In addition, more and more countries strengthen their economic power and social status. In recent years, Chinese design industry starts its rapid development. According to an investigation, the number of Chinese design companies increased relatively great compared to that of 5 years ago, while still developing slowly. According to the currently developing condition, it reflects the lack of national policies for design, which has led to huge divergences and disjunctions between design industry, design education and the focus point of enterprise of the entire country. Therefore, carrying out the policies adaptive to China national condition and developing condition is the important premise to deal with contradictions, based on which, the author did some exploration and research on the future design policies in China. In this paper, the relevant design policies of five countries including Japan, U.K., France, Netherland and Finland, are collated and analyzed. These main developed countries know the importance of design and establish a seriesof policies in national level to keep their leading position in the world, from which, we could know the influence and importance of design. In order to find the real value of design, developed countries has reconsidered, redefined and re-clarified the design direction. We should neither develop slowly according to the pattern of other countries, nor step into future developed society suddenly. We could only acquire knowledge of the new international design trend, research on domestic real condition and then find out our own design policy through discussion repeatedly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in the basis of striving work.

      • 소비자와 생산자의 그린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본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최현미 경기대학교 미술·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근대 이후 다양하게 등장하는 생태적 디자인 운동의 동향들을 통해 환경문제에 직면한 새로운 디자인 패러다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상황에 걸맞게 점차 발전, 진화되고 있으나, 사회적 운동들은 한정된 기술적 과학적인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 오늘날의 생태적 위기에 처한 현상은 기존의 사고방식인 개발 중심적, 과학 중심적, 기술 중심적인 사고의 한계가 드러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한계점은 게리 뮤셋(Gerry Musset)이 호주의 제품디자인 그룹 포럼에서 다른 부문의 전문가가 에코디자인의 영역을 넘보고 있다. 최악의 경우 디자이너는 이들이 계획한대로 따라야 하는 위치로 전략할 수도 있다고 언급하면서 그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대해 정의하고, 새로운 디자인 패러다임에서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사고전환이 요구되어 지는 문제점을 발견했다. 그리하여 이익창출만을 목적으로 한 기업의 생산 활동, 소비자가 무의식속에 자행되는 소비활동을 위한 디자인 접근 방법이 아닌, 공생이 가지는 본질적인 의미와 가치에서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정보를 주고받는 객체로 그린 소비자와 그린 생산자를 좀 더 심도 있게 분석하고, 이 두 객체가 소통을 통해 공진화하는 현상을 그린 커뮤니케이션이라 정의하고 각 단계별 요소들을 새롭게 정리하였다. 그린커뮤니케이션은 각 개체가 정보를 보내고 수신하는 입장을 변환하면서 그 관계가 계속 순환하도록 하는 순환형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 각 개체별로 정도의 차이를 구분하고 그 세분화에 따른 다양한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매개체로서의 채널을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안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보았다. 정리된 그린커뮤니케이션의 모델을 객관적 지표로 이미 지속가능한 사회 실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긍정적인 사례를 분석하고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 가능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기업의 친환경 이미지의 차별화 의지와 친환경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기업의 마케팅 전략에는 차이는 있지만, 코카콜라, 스타벅스, 파타고니아, 바디샵, 그리고 레드의 전략을 중심으로 기업의 전략적 활동을 좀 더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세부내용으로는 첫째, 자원의 사용 이슈로 본 그린커뮤니케이션: 원산 생산지의 지역공동체에 대한 사회적 책임감으로 그들을 살리는 커뮤니티드레이드를 통해 소비자에게 일정한 가격에 훌륭한 제품을 꾸준히 제공하였다. 이에 만족하는 소비자는 해당 기업에 신뢰감을 갖고 그런 기업의 제품을 지속적으로 함으로써 기업이 더 많은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사용성 측면 이슈로 본 그린커뮤니케이션: 기업이 다양한 직간접적인 활동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혜택이나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받은 소비자는 인식을 통해 참여의지를 갖고 적극적 활동으로 그 의지를 실천함으로써 역시 기업에게 더 많은 기회를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는 것이다. 셋째, 폐기물의 환경 영향 이슈로 본 그린커뮤니케이션: 제품이 그 주기를 다 하고 쓰레기로 배출되는 문제점을 쓰레기 자체를 재평가하는 관점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기업의 의지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시작이 이루어짐. 쓰레기를 재활용이 가능한 제품으로 개발하거나 재활용 한 재료로 재생산한 제품을 론칭하는 등 다양한 계획을 독자적인 프로그램으로 해결하거나 파트너십을 통해 협업을 하는 등의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소비자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였다. 넷째, 책임적 측면의 이슈로 본 그린커뮤니케이션: 기업에게 확대되는 사회적, 환경적 책임의 노력이 이제는 소비자에게도 전이되면서 두 개체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의식이 확장되었다. 정보를 얻거나 주기 위해 활용되는 다양한 매체나 프로그램 등이 소비자에게 기회는 제공하고 이를 인식한 소비자의 신뢰감, 책임감을 수반한 자발적 참여가 기업에게 또 다른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나은 삶으로 진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그린커뮤니케이션의 소통구조를 이해하고 소비자와 생산자가 균형을 이룸으로써 정신적물질적 가치를 이해한 진보된 형식의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제안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디자인의 패러다임이 새로운 가치 창조를 위한 기준에서 그 가치를 평가 받게 되면서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디자이너에게 보다 높은 수준의 창조력과 혁신적인 새로운 아이디어를 요구하고 있는 이 시대에 적합한 연구인 것이다.

      • 주민자치센터의 공간구성 및 실내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강릉시 11동 주민자치센터를 중심으로

        이미애 관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제화 도시는 기존 문화를 탈피하고 공존과 교류, 새로운 가치와 문화를 요구하는 ‘개인이 아닌 우리’라는 사회와 문화의 공유이다. 정부는 21세기 새로운 환경변화에 따라, 주민편의시설의 가장 기초적인 공공시설인 동사무소의 합리적 건축계획을 위해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에 새로운 개념으로 지어진 동사무소 건축물들을 시민을 위한 커뮤니티 센터로써의 주민자치센터로 전환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문화시설로써 주민자치센터의 접근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동사무소 기능전환에 따른 주민자치센터의 역할에 따른 공간구성 및 실내디자인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은 강릉시 주민자치센터 행정동 13개동 중 11개동을 선정하여 현장답사를 통한 진행으로 도면분석을 통하여 공간구성 및 동선 체계를 살펴보고,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공간 활용과 실내디자인 특성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동사무소의 변천과정과 주민자치센터의 개념, 주민자치센터의 특성을 바탕으로 주민자치센터의 공간 및 디자인 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3장에서는 강릉시 주민자치센터의 일반현황을 조사하고, 기능별 프로그램에 따른 운영프로그램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주민자치센터는 1971년 옥천동이 가장 오래된 건물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2000년 이후에 지어진 교1동과 강남동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릉시의 주민자치센터는 2005년도에 처음도입이 되어, 2006~2008년의 4차례에 걸쳐 운영되기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교2동과 중앙동은 아직 실시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4장에서는 현장답사를 통한 사진과 도면을 통하여 공간면적과 단위공간, 실내디자인과 기타 사인계획의 조사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조사 결과 공간면적은, 주민센터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주민자치센터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점차적으로 규모가 커짐을 알 수 있었다. 공간구성요소로 첫 번째로 주민센터는 민원업무공간과 민원대기공간, 복지상담공간, 정보자료공간으로 나뉜다. 공간구성요소로 두 번째로 주민자치센터의 공간구성은 주민자치위원회사무공간, 다목적공간, 회의공간, 교육공간, 운동건강공간, 생활과학공간, 독서공간, 휴게공간과 기타공간으로 분류하였다. 하지만 공간규모의 영세성으로 대부분 건물의 2층의 회의실을 개조하여 주민자치센터로 활용하므로 그 활용공간이 협소하여 공간규모에 맞는 프로그램만 개발 운영하고 있었다. 주민자치센터는 주민을 위한 공간으로, 주민센터와 같은 건물을 사용함에 있어서 출입하는 문제가 생겨난다. 출입구가 하나일 경우 공무원과 이용자들의 동선교차로 공무원의 업무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이용자 또한 공무원의 시선으로 출입되어 심리적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낳을 수 있다. 또한 주민자치위원회사무실은 주민과 가장 밀접한 곳에서 주민의 접근이 쉬어야 한다. 다목적공간은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 시간표 편성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다양한 기능을 가진 프로그램일 경우, 시간을 조정하거나 파티션 등의 공간 구분을 통해 서로의 문화적 활동에 불편을 주지 않도록 해야 한다. 주민자치센터는 커뮤니티적 장소로 많은 활용이 되는 다목적 공간을 기준으로 하여 다목적 공간의 실내디자인은 전체적으로 편안한 이미지가 들 수 있도록 유도하였으며 넓은 면적의 색상과 형태의 천장계획은 주민자치센터의 분위기를 좌우하였다. 기타요소로 사인계획에서 내곡동은 주민센터와 주민자치센터의 사인을 모두 적용하여 기존의 틀을 준수하면서도 개성있는 사인계획을 하고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틀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사인 디자인의 활용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주민자치센터가 공공디자인 공간으로 주민의 문화·여가·교육 등의 프로그램 활성으로 지역주민의 욕구에 부응하는 커뮤니티의 장소가 되길 바라며, 강릉시 11개동 주민자치센터의 공간구성 및 실내디자인 특성을 분석으로 범위를 한정하고, 더욱 심도 있는 연구는 앞으로의 과제로 남겨두기로 한다. International city is a public property of society and culture;'not an individual but a community', which breaks from a long-established culture and requires coexistence, interchange, new value and cultur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environment, the government converts the office of a dong which was built by using the new concept after execution of local self-government system into Local Community Center for townsmen to plan rational building plan of the office of a dong which is the most common facility of convenience for residen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comprehension of approach of the Local Community Center and analyze constitution of space and features of interior design about role of Local Community Center caused by changing function of the office of a dong. Research is to look for constitution of space and system of path of flow through analysis of map and focus on application of space and property of interior design by choosing 11unit-dong of Gangneung-si Local Community Center Hengjung-dong 13unit-dong and making a field investigation. In abstract consideration, changing process of the office of a dong, conception and property of Local Community Center and derive space of Local Community Center and design planning factors are stood on. In chapter 3, we examine general present condition of Local Community Center and management program which is followed by functional program. As a result, 1971 okchun-dong is using the oldest building and Gyo1-dong and Gangnam-dong which is built after 2000 is going after it. Also, Gangneung-si Local Community Center i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2005, starts to be operated covering 4time, 2006~2008, and Gyo2-dong and Jungang-dong is not put in operation yet. In chapter 4, we progress space area and unit space, interior design and inquiry and analysis of sign plan and so forth. In the event, citizen center is not changed largely with era. However, Local Community Center is larger more and more with era. As constitution factor, first, citizen center is divided into service space for a civil appeal , space for welfare consultation, and space for information and material. As constitution factor, second, space constitution of Local Community Center is divided into office work space for community's self-government association committee, multipurpose space, meeting space, education space, space for health and recreation, domestic science space, reading space, rest space, and the others. However, because the conference room of the 2th floor of most building is remodeled and utilized as Local Community Center. VV Because the eternity of space operated scale practical application is too small and narrow and only programs which is suitable to space scale are developed. Local Community Center is space for residents, but there is problem in aspect of using same building with citizen center. In case that the building has one gateway, intersection of the path of flow of a public servant and residents does not only disturb their service, but also bad result may be brought about because residents enter and leave with same sight as a public servant. Also, an office room of Local Community Center should be in residents' neighborhood and easy to approach. Since multipurpose space operate program, organization of timetable is very important work. In case of program to have various functions, the programs should not obstruct each culture activity. Local Community Center establishes multi-purpose space which is often utilized as community space as standard, interior design of multipurpose space induces over all comfortable image, and color of wide area of form controls atmosphere of Local Community Center. As the other factors, in sign plan, Negok-dong applies all signs of Local Community Center and have sign plan with marked individuality as well as keeps framework. Therefore, we can consider way to apply various sign design within the four corners of original framework. Above-mentioned, we desire that Local Community Center as public design space become community space which satisfies residents' desire through revitalization of residents' culture, leisure, education program and so on, and limit property of space constitution of Local Community Center of Gangneung-si 11 dong and interior design to analysis, and leave more in-depth study as future subject.

      • 유니버셜 디자인 개념 도입에 관한 연구 : 노인주거시설을 중심으로

        이정숙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늘날 사회의 급속한 노령화에 따라 사회적인 보호를 요하는 노인 층이 증가하고 있다. 선천적 원인뿐만 아니라 교통사고, 환경오염 등 각종 사고와 재해로 인한 장애인 수도 증가함에 따라 사회적 환경 개선을 통해 노년층과 장애인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건축물을 비롯한 기존의 시설물은 연령이나 신체, 장애, 그리고 건강 조건 등을 고려한 것이 아니므로 이러한 특수층을 고려한 시설 환경으로서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더욱이, 노인주거시설은 노화현상에 따른 제반의 신체적 조건과 활동능력 등을 고려해야만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측면에 대한 배려는 미비한 실정이며 따라서 여기에 대한 현실적인 해결책을 외국의 모델에서 찾아보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본인은 이런 점을 해결한 외국의 사례를 국내의 노인주거 시설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어 다음과 같이 연구하였다. 첫째, 노인특성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노인특성 중 노화의 생리 및 병태를 파악하므로 인해 그로 인한 장애의 취약점을 고려한 디자인 고려사항을 유출하였다. 둘째, 국내 노인주거 시설에 대한 현황 분석을 위해 국내 노인복지사업지침에 대해 알아보고, 국내 노인주거시설에 대한 현황 실태조사를 하였다. 또한 국내의 무료·유료 193개의 노인주거시설 중 대표적인 지역을 선별하여 유니버셜 디자인 개념인 안전한 주거시설에 대한 점검사항을 적용해 무료·유료 노인주거현황 실태조사를 하였다. 내용은 (부록)에 수록되어 있으며 선별기준은 다음과 같다. 노인주거시설의 위치, 지방, 수도권지역에 따라 선별하였고 다음은 전원형과 도시근교형, 도시형으로 나누어 선별하였다. 셋째, 유니버셜 디자인에 대한 적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유니버셜 디자인에 대한 국내·외 문헌 조사를 하였으며, 유니버셜 디자인 역사와 개념 및 원리에 대해 알아보았다. 넷째, 미국 노인주거 시설에 적용된 유니버셜 디자인 개념 고찰을 하였다. 아울러 국내노인주거 현황과 유니버셜 디자인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그 차이점을 알아보고, 노인주거시설에 보다 현실적인 새로운 개념의 틀을 제시하고자 했다. 조사 내용은 다음과 같다. 노인주거시설 현황을 살펴본 결과 〈표 4-1〉과 〈표 4-2〉에서 보여준 것과 같이 노인복지시설의 국내기준과 유니버셜 디자인의 기준은 많은 차이를 보였다. 첫째로 국내 기준은 유니버셜 디자인 기준에 비교해 노인을 위한 편의시설 기준은 과반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었으며, 기준이 마련되어 있다 하더라도 그것이 명확하지 않아 현실적인 문제 해결에 임의성이 크게 개입될 소지가 너무도 많았다. 노인주거시설을 위한 노인복지법은 노년층에 대한 충분한 배려와 편의시설이 우선되어야 한다. 노인주거시설에 명확한 기준 규정이 없는 한, 노인주거시설 건립은 앞으로도 기존의 시설과 비슷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본인이 현지조사를 한 바에 따르면 계단손잡이(grab bars)는 한쪽에만 설치되어 있었는데, 이것은 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를 동시에 고려한 시설이 아니다. 또한 화장실 손잡이는 〈표 4-1〉과 〈표 4-2〉에서 나타난 것처럼 거의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더욱이 욕조 손잡이, 현관문과 화장실의 문턱제거 문제, 문손잡이 및 큰센트와 스위치 위치, 계단과 계단참에 대한 기준, 그리고 옷장손잡이 등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음으로 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유니버셜 디자인 도입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시설물의 위치선정도 심각한 문제점이었다. 노인 주거시설 현황 분석을 위해 여러 곳의 노인주거 시설을 방문해 본 결과 전원형이라 하여 어떤 곳은 산 중턱에 노인 주거 시설이 건립되어 있었다. 공해 문제 때문에 그 곳에 설치해 놓았다고 하나, 이것은 사회와 단절되어, 또 다른 사회병리현상을 야기시키는 요인이 될 것이다. 다음은 노인주거시설을 설계함에 있어 세대별 라이프 스타일 분석을 통해 그 세대의 노인의 기호성을 규명하여, 노인 거주자들이 편안하고 안정된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 시설기준 근거를 마련하도록 해야 한다. 지금 지구 곳곳에서는 인간적인 삶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일고 있다. 이제는 우리도 장애인, 노인, 어린이, 등 모든 사람이 평등하게 살아갈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여 여기에 각기 마땅한 시설물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유니버셜 디자인 개념 도입은 노인주거 시설에 마땅히 필요한 현실이다. 더욱이 이 개념은 노인주거시설 뿐만 아니라 모든 공공장소에 필요한 개념이며 이 개념을 우리의 현실에 맞게 적용해 나간다면, 노인이나 장애자, 어린이는 물론 모든 이들이 편리하고 안전하며, 질적으로 향상된 새로운 생활환경의 터전을 열어줄 것이다. Recently, there is an increase of old people in need of community care as the society faces the problem of old people's aging. The number of handicapped people also increased due to traffic accidents, environmental pollutions, and various natural disasters. And people are more interested than ever in facilities that can accommodate and support the old and the handicapped. Age, physical handicap, and health conditions were not taken into account when existing buildings were built which means there is a need for a new paradigm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people. Moreover, when building a silver town, we must take into account various physical conditions and activity abilities. But these aspects of care are missing within the country and it can be meaningful to look for a solution in the examples of abroad. With that in mind, I concluded that applying the examples of abroad to domestic housing facilities is desirable, and the following were examined. First, old people's special characters were studied. Among the characters, physiology and aging diseases were understood to extract considerations for designing for the handicapped. Secondly, to analyze the current condition of domestic housing facilities, the Guide of Welfare of The Old People was examined and an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condition of such housing was carried out. Also, a representative region was selected among 193 housings, both paid and non-paid, to apply to the checklist of safe housing facilities requisites which is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and an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housings were performed. The result is included in the appendix, and the sorting standard is as follows; The housings were sorted according to locations, regions and the Metropolitan area, and rural, urban and city styles. Thirdly, to find out the applicability of the universal design, domestic and foreign documents on universal design were examined. The history, concept and principal were examined as well. Fourth, the study of universal design concept was performed. In addition, I tried to introduce a new practical concept to the housing of the old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urrent housing situation and the universal design. The result is as follows; Having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housings, there were many differences between domestic housing facilities and the universal design as shown in 〈table 4-1〉 and 〈table 4-2〉. Most of all, domestic standard has less accommodation facilities than half of the universal design and even though a criterion is prepared, it is not so clear that alternative options would be barged in solving actual problems. Enough care and facilities have the priority over anything else in the welfare law for the old people in housing. As long as there is no specific clear standard, establishment of such housing facilities would result in similar phenomenon to the ones that are already existing. As I inspected myself, grab bars were set up on only one side which did not consider the left-handed and the right-handed simultaneously. And bathroom door knobs, as shown in 〈Table 4-1〉 and 〈Table 4-2〉, almost did not exist. Moreover, specific standards are not ready for matters such as bathroom knobs, removing thresholds of porches and bathrooms, door knobs, outlets, location of switches, standard on stairs, and closet knobs. And as one of the solutions, I conclude that an import of the universal design is adequate. Another problem is the location selection of the facilities. Having visited several housings, some of them were located in the middle of mountains in rural styles. They say the reason is to get away from pollution, but it can be another factor of a social pathology phenomenon by an isolation. Next issue is on the arrangement of facility standards. The old people can lead a comfortable and stable lives by a analysis of individual's tastes in planning the facilities. Now there are new paradigms coming into existence for human lives here and there. We must adopt a new concept in which all the handicapped, the old and the young can live equally. And we should build appropriate facilities for them. Now there are new paradigms coming into existence for human lives here and there. We must adopt a new concept in which all the handicapped, the old and the young can live equally. And we should build appropriate facilities for them. Therefore, the import of universal design concept is a required reality for housing facilities for the old. Moreover, this concept is needed in public places as well as in the housings for the old. If we apply the concept to our reality appropriately, it will provide us with a new life, and the old, the handicapped, the young and all other people can live in a comfortable, safe, improved environment.

      • 인쇄홍보물의 효과적인 디자인과 제작 방법 연구

        김정현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끊임없이 변화 발전하는 정보화시대 21세기, 광고시장이 수요와 방법적 측면에서 상당부분 디지털화 되는 가운데 인쇄홍보물은 고유한 특성을 살리면서도 소비자와의 직접적 커뮤니케이션 관계를 유지하며 그 영역을 확고히 하고 있다. 인쇄홍보물은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크리에이티브 콘셉트를 광고주의 판매 메시지로 변형하여 구체화시키는 작업이다. 여기에는 홍보계획 및 인쇄물의 기술적 특성, 정해진 예산범위, 제작물에 대한 광고주와 대행사의 요구사항 그리고 마지막으로 인쇄물의 제작, 집행에 주어질 수 있는 시간 등의 여러 요소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본 연구에서는 인쇄홍보물의 의뢰단계에서 배포까지의 제작과정에서 발생하는 복잡하고 제한적인 상관관계의 요소들이, 광고주와 디자이너 또는 소비자 상호간에 어떻게 요구되고 소구되는지 실제 결과물을 통해 살펴보고 이를 통해 상품 홍보에 적합한 디자인과 제작과정을 연구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광고목적에 따라 전시홍보, 상품판매, 행사홍보 등으로 크게 분류하여 현실적인 토대 위에서 개선책을 제안하고 인쇄홍보물의 활성화를 추구해 나갈 수 있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함을 인식시키고자 한다. In 21st century, endlessly changing and developing information time, the advertising market has been digitalized in the aspect of the demand and the aspect of the method and the printed public relations materials have their firm position in the field with their own traits and the relationship of the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ir customers. The operation of the printed public relations materials is to get creative concepts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s with the customers and change and embody it as marketing owners' selling message. To do that, numerous elements such as marketing plans, the technical traits of the printed materials, the fixed budget plan, the marketing owner and the agent's requirements of the materials and the time given for manufacturing and executing the material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research analyzes how the elements of the complex and limited correlations generat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from the proposal stage of the materials to the distribution of them were required and solved between a marketing owner and a designer or among the customers with the actual result sources. With that, I could study appropriate designs and manufacturing processes for marketing products. Moreover, I intend to suggest more effective and practical methods. The thesis mainly divides the materials into exhibition marketing, product sales and event marketing, points out how to improve the methods based on the realistic foundation and indicates the necessity of reforming ideas to pursue the revitalization of the printed public relations materials.

      • 유니버설 디자인을 위한 색채 인지도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버스 정류장 쉘터를 중심으로

        김은애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과거 산업 활동이 활발했던 시기의 국가나 도시들은 건축물을 설계하거나 물건을 만들 때 도시 미관을 도외시 한 채 기능과 효율 중심의 생산적인 측면에만 매달려온 것이 사실이다. 그로 인해 통합과 조정없이 무질서하게 설치되어 효율성이 떨어지고 도시 경관이 복잡하게 보여지는 등 공공성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 도시환경이 되었다. 시대를 거듭함에 따라 인간 중심의 정책, 생활환경, 공공디자인이 강조되기 시작하였고 세계적인 디자인 도시를 향한 서울시의 발걸음 또한 점차 가속화되었다. 서울시는 디자인 서울을 만들기 위해 많은 정책들을 진행 중이고, 그 중 하나인 공공디자인 개선사업을 통하여 새롭게 리모델링된 공공시설물을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무분별한 제작, 설치가 아닌 도시 환경과의 조화를 고려하고 새로운 방향의 접근인 유니버설 디자인에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 개선사업으로 인해 변경된 공공시설물 중 버스정류장 쉘터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현재 색채는 서울시에서 지정한 대표색 중 기와진회색과 고궁갈색이라는 이름으로 지어진 색채가 주조색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색채는 저채도, 저명도로 도시환경과의 조화에 있어서는 자연스럽게 어울리지만, 이에 상반되는 의견으로 다소 눈에 띄지 않아 인지하기가 쉽지 않다는 의견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남녀노소 모두를 위한 개념인 유니버설 디자인의 이론에 입각하여 볼 때, 기본 원칙인 누구나 이용하기 쉽고 어떤 사람이라도 공평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용성과 이용자의 능력이나 환경에 관계없이 정보를 확실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정보력에는 다소 부족하다는 의견이다. 일반인으로 통하는 표준집단 즉 청소년, 청년, 장년층에는 크게 무리가 없지만 버스중앙차선으로 인해 도로 중앙에 설치된 버스정류장 쉘터를 사회적, 신체적 약자에 속하는 아동집단과 노인집단이 이용하고 인지하는 데는 다소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행 방법으로 아동집단과 노인집단의 특성 및 환경에 대해 분석하고, 서울시에 거주하는 아동집단과 노인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조사 방식은 크게 4 Parts로 구분하여 그룹 대인면접방법을 통해 질문하였는데 설문지 구성은 일반 범주에 해당하는 항목에 따라 선호도를 알아보는 의식질문과 두 집단의 선호색상과 배색 선호 색상에 대한 질문, 그리고 개선된 버스정류장 쉘터의 가치 유형별 만족도를 알아보는 전문성과 관여도, 감성적, 인지적 반응에 대한 질문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유니버설 디자인과 관련하여 두 집단의 선호 사항에 대한 의식을 알아보는 질문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두 집단은 설문 항목에 따라 다양한 의견을 나타냈으며 선호 색상과 버스정류장 쉘터의 형태적 가치, 감성적 반응, 유니버설 디자인의 이용성 의식에 있어서는 집단별로 서로 비슷한 결과를 보이는 반면 일반 범주에 해당하는 항목 선호 의식과 버스정류장 쉘터의 색채, 이용적 가치와 전문성, 관여도, 인지적 반응 그리고 유니버설 디자인의 형태 및 색채의 의식 질문은 조금씩 다른 의견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아동집단과 노인집단의 의식과 선호도를 알아보았고 유니버설 디자인을 위한 색채 인지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공공공간의 영역을 하나의 시설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시설물을 포함한 환경과의 조화 속에 시설물을 쉽게 인지하는 것이 앞으로 공공시설물이 나아가야 할 방향임을 인식하고 유니버설 디자인을 위한 색채 인지 방향에 관한 연구를 위해 참고자료로 활용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향후 공공시설물 디자인 시 사회적 약자에 속하는 아동집단과 노인집단의 색채 인지 영역에 따라 추후 계획되어질 공공시설물에 적절한 유니버설 디자인의 색채 영역에 적용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Human centered policy, living environment and public design were gradually emphasized through several time periods and Seoul accelerated to be an internationally renown design city. Seoul has been planning of policies for better design and one of policies actually applying is the improvement of public design regarding public facilities of which people recently can enjoy. Complying with the on-going improvement, harmonization of urban environment and universal design as a new approach attract people's great attention. The study is to research and to analyze shelters for bus stations among the public facilitate which are newly de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improvement of public design b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Dark gray and brown having low chroma and low value are the main color to be assigned, which seems to harmonize with urban environment but tends to be less recognizable due to its dullness. In consideration of universal design as a toleration for all mankinds pursuing fair access and easiness on utilization, new color scheme of the shelter seems to a bit deviate from true meaning of human centered design. A standard group known to be normal people as teenagers and adults can easily recognize and utilize shelters located on the centerline of streets but minor people as children and seniors have difficult on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the shelter. The process of the study with the theoretical research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s by which children and seniors are encountered, and to survey on children and seniors who living in Seoul. The questionnaire is divided into 4 parts. The first part consists of a typical preference as a general category and a preference of color and color schemes by groups is the second part. The third part is qualification and need patterns of shelters, and emotional and perceptional response against shelters. The last one is a compare and contrast of their understanding about universal design by group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2 groups have some similarities in the range of color preference, need patterns and favorable facts in universal design. While they have some differences in favorable perception, variation in utilization and dependency. The ultimate goal of color study is to understand that public facilities are not only places to be primarily utilized but also places to be easily recognized among other urban environments with harmony in same time, and to apply to the development of color scheme for universal design.

      • 디자인 무심사등록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연구

        양종윤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늘날 제품의 경쟁력은 단순한 기술의 발전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발전된 기술력을 내용으로 한 제품의 디자인을 어떻게 창작하는가의 문제 역시 중요한 경쟁력의 요소로 부각되기에 이르렀으므로 디자인의 산업적 가치는 점차 그 비중을 높여가고 있는 실정이다.이러한 산업적 중요성을 가진 디자인의 보호를 위하여 현행 디자인보호법은 유행성이 강하고, 라이프사이클이 짧아 조속한 권리보호가 필요한 일부 물품에 대하여서는 무심사등록을 통하여 별도의 실체심사 없이 디자인 등록을 하여 주고 있는데, 현행 디자인보호법이 특허법적 접근방법인 심사주의를 근간으로 하고 있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저작권법적 접근방법에 따른 무심사제도를 이원적으로 혼용하는 것은 체계적, 논리적으로 많은 모순이 발생된다는 비판이 제기 되고 있다.아울러 무심사등록제도로 인하여 모방 디자인, 창작가치가 현저히 낮은 디자인 등 부실권리가 양산되고 있으며, 이에 더하여 디자인보호법 자체의 체계적, 논리적 모순으로 인하여 위와 같이 무심사 등록된 부실권리에 심사등록된 디자인권과 동일한 독점 배타권을 인정함으로써 디자인보호법 스스로가 부실권리자를 보호하여 주고, 창작자의 창작 의욕을 저하 시키고 있으며, 종국적으로는 경제사회질서의 유지와 산업발전 도모라는 디자인보호법의 대명제에 역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비판이 제기 되기도 한다.따라서 본고에서는 무심사등록제도와 관련한 세계 각국의 입법례 및 주요동향을 살펴 보고, 현행 디자인보호법상의 무심사등록제도의 내용 및 이에 대한 문제점들을 살펴 보고, 그에 대한 비판 및 대안 등을 검토하여 보기로 한다. Industrial value of design is gradually obtaining more influence since competitiveness of product exists not only in simple technical development but also in the matter how to create new design for a product has been brought into relief as an important factor of competitiveness.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is design with industrial importance, the Act of Protection of Design in force allows some products, which are remarkably popular and need prompt protection because of its short life-cycle, to be registered without separate substantial examination under non-examination registration system of design. However, in light of the fact that the Act of Protection of Design in force is based on examination system as the approach method under Patent law, criticism arises which argues that using non-examination system conforming to the approach method under Copyright law together with the examination system causes a lot of systematic, logical contradictions.Besides, incomplete design rights such as imitative design and design with no creative value are mass-produced due to non-examination registration system, and the Act of Protection of Design not only protects incomplete right holders but deteriorates creator's desire to create by granting the same exclusive right to incomplete design right registered without examination, as design right registered by passing examination, because of the systemic, logical contradiction of the Act of Protection of Design itself. So another criticism also arises which raises doubts about non-examination registration system's running counter to great proposition of maintaining economic society's order and promoting development of industry under the Act of Protection of Design in the long run.Accordingly, this thesis plans to examine the contents of non-examination registration system under the Act of Protection of Design in force, and problems thereof. In addition, it will be also examined that criticism against and alternative to non-examination registration system as well as worldwide countries' legislations and main tendency regarding such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