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3차원 CT 영상을 이용한 정상교합자의 두개악안면 분석

        문제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52

        3차원 전산화 단층촬영(CT: computed tomography)영상에서는 상의 확대나 왜곡을 감소시킨 실측치를 얻을 수 있으며 두개안면부의 입체적인 영상을 구성할 수 있고 원하는 조직이나 구조물의 관찰이 용이하다. 그러나 3차원 영상을 이용한 연구가 아직 미미하여 표준화된 기준이 없고 진단 프로그램도 없어서 임상에 적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디지털 영상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치료의 범위가 넓어지면서 두개악안면 구조의 3차원적인 분석법의 개발은 시급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차원 CT 영상을 이용한 정상교합자의 두개악안면 분석을 위하여 1) 두개악안면 부위의 3차원적인 계측점과 계측 기준선을 설정하고 2) 정상교합자의 정상치를 제시하고 남녀간의 차이 및 2차원 두부방사선 계측사진과 3차원 CT 영상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정상교합을 가진 성인 남자 12명, 성인 여자 11명의 CT 촬영을 하여 개인용 컴퓨터 상에서 V works 4.0 프로그램 (Cybermed Inc., Seoul, Korea)으로 3차원 CT 영상을 재구성하였고, V morph proto 프로그램 (Cybermed Inc., Seoul, Korea)으로 3차원 재구성 영상의 계측점을 지정하고 그에 따른 좌표를 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계측은, 3차원 좌표평면 (x축-좌우, y축-전후, z축-상하)을 잡고 nasion을 기준원점으로 하는 좌표계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계측점의 좌표를 구하는 방법과 주요 계측점간의 거리를 구하는 방법 두 가지를 사용하였고 이 두 방법은 상호보완적이다. 2. 설정된 계측점과 계측방법에 따라서 성인 정상교합자의 3차원 CT 영상을 계측하여 성인 정상교합자의 정상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3. 계측점의 좌표평가에서 남녀간에는 수직적 위치(z축)에서 주로 차이를 보였다. 4. 계측점간의 거리 계측에서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3차원 CT 영상과 2차원 측모 두부방사선 규격사진간의 비교에서는, 정중선상에서 2차원 영상이 3차원 영상에 비해서 110%정도의 확대율을 나타낸다. 이상의 분석과 정상치는 악안면 기형 환자의 3차원적인 진단 및 치료 계획에 참고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ree 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3D CT) imaging is efficient in examing the specific structures in the craniofacial area by reconstructing three dimensional images and reproducing actual measurement through minimization of error from image magnification and distortion. However, because of the lack of study on three dimensional image analysis, standardized references and diagnosis programs, it was difficult to apply to clinical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image technology and the expansion of treatment range, a need for developing three-dimensional analysis has become urg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raniofacial area of patients with normal occlusion using the three dimensional CT imaging. In detail, 1) three dimensional measure points and reference planes in the craniofacial area were established, 2) CT’s of patients with normal occlusion was acquired and the norms were established. 3) Sex differenc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dimensional lateral cephalogram and three dimensional CT imaging were statistically analyzed. Computed tomography images of 12 male and 11 female adults with normal occlusion were reconstructed into three 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images using V works 4.0 program (Cybermed Inc., Seoul, Korea). The measurement points of three dimensional reconstructed images and its accompany coordinates were obtained using the V morph proto program (Cybermed Inc., Seoul, Korea).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Nasion was designated as the origin of the coordinated axis, and the coordinate value (x, y, z value) of measure points were obtained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three dimensional coordinate system(x axis-left/right, y axis-anterior/posterior, z axis-top/bottom). Another method was used for analysis by measuring the length between the important measure points. These two ways are complementary cooperative. 2.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measure point and analysis method, the 3D CT images of adult normal occlusion patients were measured and the norm of Korean adults was obtained. 3. In positional measuremen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mainly in the vertical relation(z axis). 4. In the linear measurement between measure poin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the comparision between three dimensional CT images and two dimensional lateral cephalograms, compared to the three dimensional CT images the two dimensional lateral cephalograms showed a 110% magnification rate upon the midsagittal line. These analysis methods and norm may be used as reference for diagnosis, treatment, and the prediction of images taken before and after surgery of the craniofacial deformity patients.

      • 3차원 CT영상을 이용한 두개악안면 분석을 위한 계측점의 제안

        장혜숙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7

        3 차원 CT 에서는 환자의 움직임에 의한 오차와 상의 확대나 왜곡을 감소시킨 실측치를 얻을 수 있으며 두개안면부의 입체적인 영상을 구성할 수 있고 원하는 조직이나 구조물의 관찰이 용이하다. 디지털 영상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치료의 범위가 더욱 넓어지면서 두개악안면 구조의 3 차원적인 분석법의 개발은 시급한 과제가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Vworks 프로그램(Cybermed Inc., Seoul, Korea)과 건조두개골을 이용하여 3 차원 CT 영상의 오차와 확대율을 평가하고 Vmorph-proto 프로그램(Cybermed Inc., Seoul, Korea)을 이용하여 정상인과 비대칭 환자의 3 차원 CT 영상에서 지정이 용이하고 반복재현성이 높은 계측점을 설정하고자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건조두개골의 실측치와 Vwork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성한 3 차원 CT영상에서의 계측치를 비교한 결과 평균오차가 0.99mm, 확대율이 1.04%로 나타났다. 2. 3 차원 CT 영상에서 경조직 계측점으로 Supraorbitale, Lateral orbital margin, Infraorbitale, Nasion, ANS, A point, Zygomaticomaxilla, Upper incisor, Lower incisor, B point, Pogonion, Menton, PNS, Condylar inner margin, Condylar outer margin, Porion, Condylion, Gonion1, Gonion2, Gonion3, Sigmoid notch, Basion 등이 임상적으로 유용하다고 판단되었다. 3. 3 차원 CT 영상에서 연조직 계측점으로 Endocanthion, Exocanthion, Soft tissue Nasion, Pronasale, Alare lateralis, Upper nostril point, Lower nostril point, Subnasale, Upper lip point, Cheilion, Stomion, Lower lip center, Soft tissue B, Pogonion, Menton, Preaurale 등이 임상적으로 유용하다고 판단되었다. Vworks 프로그램으로 3 차원 CT 영상을 구성하고 계측하는 것이 임상적으로 유용하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위에서 제안된 연조직 및 경조직 계측점들은 3 차원 CT 영상에서 반복 재현성이 높고 지정이 용이하며 해부학적 특징을 나타내주는 점들로 두개악안면 구조의 3 차원적인 진단과 술전, 술후의 예측과 비교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사료되는 바이다. Three-dimensional CT imaging is efficient in examining specific structures in the craniofacial area by reproducing actual measurements through minimization of error from patient movement and image magnification.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image technology and the expansion of treatment range a need for developing three-dimensional analysis has become urg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ercentage of error and magnification of three-dimensional CT’s using a dried skull and Vworks program (Cybermed Inc., Seoul, Korea) and also to obtain landmarks that are easy to designate and reproduce in three-dimensional images of normal and asymmetry patients the Vmorph-proto program(Cybermed Inc., Seoul, Korea) was us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In the comparison of actual measurements from the dried skull and the three-dimensional image obtained from the Vworks program the mean error was 0.99mm and the magnification was 1.04%. 2. Clinically useful hard tissue landmarks from three-dimensional images were Supraorbitale, Lateral orbital margin, Infraorbitale, Nasion, ANS, A point, Zygomaticomaxilla, Upper incisor, Lower incisor, B point, pogonion, Menton, PNS, Condylar inner margin, Condylar outer margin, Porion, Condylion, Gonion1, Gonion2, Gonion3, Sigmoid notch, Basion. 3. Clinically useful soft tissue landmarks from three-dimensional images were Endocanthion, Exocanthion, Soft tissue Nasion, Pronasale, Alare lateralis, Upper nostril point, Lower nostril point, Subnasale, Upper lip point, Cheilion, Stomion, Lower lip center, Soft tissue B, Pogonion, Menton, Preaurale. The Vworks program can be considered a clinically efficient tool to produce and measure three-dimensional images. The soft and hard tissue landmarks proposed above are mostly anatomically important points which are also easily reproducible and designated. These landmarks can be beneficial in three-dimensional diagnosis and the prediction of images taken before and after surgery.

      • 3차원 CT 영상을 이용한 두개악안면 분석에서의 기준평면 설정

        김학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7

        The 3D CT images has been gaining more popularity because of many advantages including the three dimensional reconstruction, the measurement of distance and angulation of the anatomic structures, the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deformed faces, the prediction of skeletal structure after virtual operation and the comparison of pre- and post-operative skeletal changes. Therefore, despite the disadvantages including high cost and high radiation dose, the 3D CT imaging is beginning to play on important for the analysis and the treatment planning for the craniofacial deformities. Authors have already been doing the 3D CT analysis with a few reference planes. However these reference planes and points used in the 3D CT analysis are different from one author to another and yet have not been verified. Moreover, there is no standardized 3D CT analysi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reference planes. Therefore,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clinical application of the 3D CT. Here I have confirmed several possible mid-sagittal reference planes for the selection of standard mid-sagittal plane, after verification of the magnification of the 3D CT images and the reproducibility of pointing the reference points with the 3D CT of dry skulls and normal individuals. The obtained results are;1. Some of the reliable reference points in the mid-sagittal plane, with the least distance and angulation from other median points and planes, were N'', FC, Ba, S, cOC, Opi in the 3D CT of dry skulls and normal adults. 2. The FC-S-Ba plane showed the most accurate, reliable, and applicable reference plane for normal individuals as well as for dry skulls, considering the pointing error and the distance and angulation from other median points and planes.3. The magnification rate of the 3D CT images, as compared with actual measurement from the dry skulls, was 100.68 % with 1.43mm of mean error.4. The reproducibility of pointing the candidate points was excellent at N'', FC, Opi, Ba and FS. 3차원 CT 영상은 고가와 높은 방사선 피폭량 등의 단점에도 불구하고, 입체적인 형태 재현, 해부학적 구조물 간의 거리 및 각도 측정, 3차원적인 가상 수술과 얼굴 형태 예측, 수술 전, 후 영상의 중첩, 비교가 가능해지는 등 여러 장점들 때문에 점점 보편화 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3차원 CT 영상은 두개악안면 기형의 분석 및 치료 계획 수립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하기 시작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3차원 CT 영상을 이용한 분석 및 진단은 각 연구자마다 기준의 설정이 다르고, 2차원 분석에서 사용되던 기준점들이 아무 검증 없이 사용되고 있으며 표준화된 진단법이나 기준 평면 설정 방법이 마련되지 못하고 있어 임상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조두개골과 정상인에서 3차원 의료영상 프로그램 CorePLAN을 이용한 3차원 CT 영상을 얻고, 해부학적 기준점간의 측정 오차와 기준점 반복 지정의 오차를 확인하였고, 3차원 두개악안면 분석을 위한 가상 정중평면을 설정,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건조 두개골과 정상인의 3차원 CT에서 만들어진 여러 가상 정중평면 중 다른 기준점과의 거리, 각도 차이가 가장 작았던 평면은 N'', FC, Ba, S, cOC, Opi 등이 포함된 가상 평면이었다. 2. 이 기준 평면들 중 점 지정 오차, 다른 기준점과의 거리나 각도의 크기와 편차를 고려하면, FC-S-Ba으로 이루어진 가상 정중평면이 건조두개골에서나 정상인 모두에서 가장 뛰어난 정중평면으로 평가되었다. 3. 건조 두개골의 실제거리와 3차원 CT 영상에서의 측정거리를 비교하면 평균 오차는 1.43mm, 평균 확대율은 100.68%로 나타났다. 4. 3차원 CT 영상의 여러 두개저 기준점 중 N'', FC, Opi, Ba, FS 등이 점 반복 지정 시 오차가 작아 재현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신속 조형 기술로 제작된 인체모형을 이용한 술 전 모의 두개악안면성형수술

        임주환 仁濟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6

        성형외과 영역에서 시행하는 다양한 두개악안면성형수술에서 정확한 수술 전 계획을 세우는 것은 성공적인 수출 결과를 위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술 부위의 입체적인 해부학적 구조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 기존의 X-선 촬영과 전산화 단층촬영 또는 자기공명영상 등으로 획득한 단면 영상은 그 입체적 구조를 파악하는 데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컴퓨터과학에 기반을 둔 디지털기술의 발전은 3차원 재구성 영상 및 신속 조형 기술을 바탕으로 한 입체모형 제작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에 저자는 2001년 3월부터 2002년 9월까지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성형외과에서 시행한 다양한 두개악안면성형수술 중, 좌측 턱관절강직증 및 하악전돌증의 증례를 본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형 제작은 Cybermed사의 3-D Medical Model Service인 Replica^(�)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3차원 모형으로, 술자는 직관적이고 정량적인 치료계획을 수립할 수 있었고, 다양한 두개악안면성형수술에서 모의수술용으로 사용하여 실제 수술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거둘 수 있었으며, 술 후 결과를 예측해 볼 수도 있었다. 이 외에도 의무기록으로서의 보관에도 도움이 되는 장점이 있다. In plastic and reconstructive craniomaxillofacial surgery, careful preoperative planning is essential to get a successful outcome. Many craniomaxillofacial surgeons have used imaging modalities like conventional radiographs, computed tomography(CT)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for supporting the planning process. But, there is much limitation in comprehension of surgical anatomy with these modalities. Recently, using medical models made with rapid prototyping(RP) technique represents a new approach for preoperative planning and simulation surgery With rapid prototyping models, the surgical procedures can be simulated and performed interactively and the surgeon can get a realistic impression of complex structures before surgical intervention. The great advantage of rapid prototyping technique is the precise reproduction of objects from a 3-dimensional reconstruction image as a physical model. The craniomaxillofacial surgeon can establish intuitive and quantitative treatment strategy through preoperative simulation surgery and predict the postoperative result. It is coincident with prediction with rapid prototyping model.

      • Craniofacial and alveolar bone changes in young adults : a 4-year longitudinal study

        정시내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5 국내박사

        RANK : 24862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정치료를 받지 않은 일반 성인의 두개악안면부 골격과 치조골의 4년간 변화를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시작 시점에 첫 촬영 (T0), 첫 촬영 2년 후 두 번째 촬영 (T1), 두 번째 촬영 2년 후 세 번째 촬영 (T2)의 총3회의 방사선 검사가 이루어졌다. 성인 82명의 측모 두부 방사선 규격 사진과 상하악 전치부 치근단 방사선 사진과 좌우 구치부 교익 방사선 사진의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두개악안면부에서 변화가 가장 컸던 부분은 전안면 고경과 후안면 고경의 길이였다 (p<0.001). 상악의 경우 남녀 모두 전방으로 이동하였으나 (p<0.05), 하악의 경우 남성은 하악체의 길이가 증가하면서 전상방 회전되고, 여성은 하악체의 길이가 증가하면서 후하방 회전되었다 (p<0.05). 2. 치성 변화에서는 남녀 모두 상악 전치의 각도는 감소하였다 (p<0.05). 하악 전치의 각도는 남성에서는 증가하고 여성에서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상하악 전치와 제1대구치의 수직 거리는 증가하였다 (p<0.001). 3. 연조직에서는 남녀 모두 상하순 두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p<0.05), 비첨부는 전방 이동하였다 (p<0.01). 4. 치조골 변화에 있어서는 전체 치아의 백악법랑경계와 치조정 사이의 거리는 4년간 0.27 mm, 연 0.07 mm 변화하였다. 관찰 시작 시점의 백악법랑경계에서 치조정까지의 거리도 이후 발생하는 치조골 변화량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골격 형태 변화와 치조골 변화 사이에는 특별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고, 치아의 전후방적 수직적 위치 변화는 치조골 변화와 약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p<0.05). 이상의 연구결과, 남녀 모두 변화의 양은 적었으나 성인 초기에서 골격과 치아 및 연조직의 지속적인 변화와 치조골 생리적인 변화는 지속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adiographically evaluate changes of the young adult craniofacial and alveolar bone over a 4 year period. Three radiographic examinations were performed longitudinally, the first (T0) was conducted at the start of the study, the second (T1) was performed 2 years thereafter, and the third (T2) was examined at the end of the study period. The radiographic examinations included lateral cephalograms, maxillary and mandiblular anterior periapical radiographs, and bilateral posterior bitewing radiographs. The radiographs of 82 adults were obtained and measur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served: 1. The most significant skeletal change in the craniofacial region was associated with the lengths of anterior and posterior facial height (p<0.001). In maxilla, both males and females showed forward movement (p<0.05), whereas mandible showed antero-superior rotation as the length of mandibular body grew in males and postero-inferior rotation with the growth of mandibular body in females (p<0.05). 2. Upper incisor angles decreased in both males and females (p<0.05). The upper and lower incisors and molars all showed an increase of vertical distance from the reference planes in both males and females (p<0.001). 3. In regards to soft tissue changes, it turned out that the thickness of the upper and lower lips decreased (p<0.05) and the apex of nose move anteriorly in both male and female (p<0.01). 4. The average overall change of the alveolar bone was 0.27 mm and the yearly change was 0.07 mm over the 4 years period. Also, the degree of alveolar bone resorption at the starting point of the observation did not have any correlation with the alveolar bone change. 5. Between the skeletal change and the alveolar bony change, no specific correlation was examined in the first 2 years, however a weak correlation was found in some measurements during the subsequent 2 years (p<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the skeletal, dental, soft tissue and physiologic changes in alveolar bone in young adults.

      • 쌍둥이 연구를 통한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 계측치와 키, 몸무게, 체질량 지수의 유전적 연관성 고찰

        안은수 아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21

        쌍둥이의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을 통한 두개 악안면 경조직의 유전율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쌍둥이 연구를 통한 키, 몸무게, 체질량지수(이하 BMI)의 유전적 영향도 알려져 있다. 하지만 연령, 사회환경, 인종학적 표본에 따라 유전율은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고, 한국인의 두개 악안면 경조직 유전율을 연구한 논문은 드물다. 본 연구의 목적은 쌍둥이 연구를 통한 한국인의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 경조직 계측치와 키, 앉은키, 몸무게, BMI 등 신체계측치의 유전적 환경적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2011년 7월부터 2012년 2월 사이 삼성서울병원에서 진행한 쌍둥이 연구에 참여한 환자 중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상 모든 경조직 계측점이 측정 가능하며, 키, 앉은키, 몸무게의 신체계측치를 측정한 일란성 쌍둥이(이하 MZ) 36쌍, 이란성 쌍둥이(이하 DZ) 13쌍, 그리고 형제자매(이하 sibling) 26쌍을 본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각 그룹 내의 표현형 일치도는 ICC(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로 구하였으며, 구해진 상관계수(rmz, rdz, rsib)를 통하여 ACE model(A-additive genes, C-common environment, E-unique environment)을 이용한 유전율을 계산하였다. ICC 상관계수는 MZ, DZ간의 키를 제외하면 MZ 집단의 일치도가 DZ, sibling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ICC 상관계수로 구한 유전율에서는 하악의 수직적 위치를 나타내는 변수와 관련된 수직적 계측치는 높은 유전율을 보였다. 또, 두개안면의 전방부가 후방부에 비해 높은 유전율을 보였으며, 안면고경 길이 자체보다는 전안면고경의 비율인 N-ANS/ANS-Me과 ANS-Me/N-Me이 높은 유전율을 보였다. 치아관련 계측치에서는 치아 자체와 관련된 변수들은 대체로 낮은 유전율을 보인 반면 Occlusal plane의 Mandibular plane, FH plane에 대한 수직적 위치의 경우 높은 유전율을 보였다. 하악 관련 계측치 중 Gonial angle은 비교적 낮거나 중간정도의 유전율을 보였고, 후안면고경과 마찬가지로 하악지길이(ArGo) 또한 낮은 유전율을 보였다. 신체관련 계측치의 경우 BMI가 가장 높은 유전율을 보였고, 몸무게, 앉은키, 키 순으로 낮아졌다. 신체계측치와 두개악안면 계측치의 유전율을 비교하면, BMI는 하악의 수직적 위치를 나타내는 변수와 같이 매우 높은 유전율을 보이는 계측치들과 비슷한 유전율을 보였으며, 몸무게는 약간 낮거나 중간 정도의 유전율을 보이는 두개악안면 계측치와 비슷한 유전율을 보였다.

      • 정상교합자와 아데노이드가 과증식된 부정교합자의 두개악안면형태의 비교

        박선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21

        과증식된 아데노이드가 두개안면구조물의 성장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는 아직도 논란이 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구호흡의 병력을 가진 환자에서 아데노이드 안모(adenoid face)라는 특징적인 안모형태를 가진다고 보고하였으며, 그 특징적인 소견으로 좁은 안면 폭경, 돌출된 치아, 안정시 입술의 이개, 전안면고경의 증가, 큰 수평피개와 감소된 수직피개를 들었다. 반면에 일부에서는 과증식한 아데노이드를 지닌 환자 중 적은 수에서만이 이러한 소견을 나타내면서 아데노이드와 안면성장과의 관련성을 부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비호흡을 하며 측모두부규격방사선사진 상에서 과증식된 아데노이드가 보이지 않는 정상교합자와 구호흡을 하며 아데노이드가 과증식된 환자들을 골 연령(bone age)별로 비교함으로써 각 시기마다 구호흡과 두개안면형태간의 연관성 여부를 관찰하고자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두개안면형태에 있어서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유의차는 남자에서는 CVMI 3과CVMI 4 (사춘기 전후)에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여자에서는 CVMI 1부터 유의차를 보였다. 2. 설골과 혀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하방 위치되었다. 3. 실험군 하악골이 남자는 CVMI 4부터, 여자는 CVMI 5부터 더 하방에 위치하고 있었다. 4. 남자는 CVMI 3부터, 여자는 CVMI 1부터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큰 전안면고경을 보였으며, 이는 주로 전하안면고경의 차이에 의해 발생되었다. 5. 하순은 남녀 모두 CVMI 2부터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하방 위치되었다. 6. 아데노이드는 대조군 남자에서는 CVMI 2(10.58±1.07세, 사춘기 성장 직전)에 최대크기를 보인 후 감소하였고, 대조군 여자에서는 CVMI 1(6.92±0.53세)부터 아데노이드의 크기가 감소하였다.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hypertrophy of adenoid and craniofacial morphology during growth, this paper was bas ed on children patients with experimental adenoids (male-15 subjects at each bone age group, female-15 subjects at each bone group) and comparing them to data taken from a control group (male-15 subjects at each bone age group, female-15 subjects at each bone group) with normal respiratory function. The comparisons between the groups were done at each growth stage using cervical vertebrae maturation index(CVMI) of Hassel.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ifferences in craniofacial morphology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appeared from CVMI 3 and CVMI 4 (aroud adolescent period) in males, and from CVMI 1 in females. 2. Hyoid bone and tongue were inferiorly positioned in experimental group. 3. The mandibular position of experimental group was more inferior than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appeared from adolescent period(male : from CVMI 4, female : from CVMI 5). 4. Experimental group seemed greater anterior facial height than control group. This difference seemed a relation with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The difference appears from CVMI 3 (11.94±1.38 years old, at adolescent period) in male an d from CVMI 1 in female. 5. In lower lip position, the difference was seen after CVMI 2(just before adolescent) in both gender. 6. Adenoid size of control male group increased until CVMI 2(10.58±1.07 years old, just before adolescent growth peak) and then decreased, but in female adenoid size decreased from CVMI 1(6.92±0.53 years o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