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09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분석 : 동학농민운동을 중심으로

        박은혜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4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한국사』교과서 분석 - 동학농민운동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High School『Korean History』 Texts of 2009 Revised Curriculum - Focusing on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역사교육전공 박 은 혜 지 도 교 수 홍 순 권 본 연구에서는 먼저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한국사 교과의 서술 지침에 대해 살펴보고, 이어서 2009 개정 고등학교 『한국사』6종 교과서가 지닌 체제와 구성상의 특징을 대단원, 중단원, 소단원 별로 나누어 비교해보았다. 또 2009 개정 고등학교 『한국사』6종 교과서 동학농민운동 본문의 서술방식, 탐구활동, 사진/그림, 지도, 도표, 읽기 자료 등 각종 학습 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새 교과서의 특징과 한계를 검토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한국사 교과는 교과서의 체제와 내용에 있어서도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채택했던 분류사 체제가 통사 체제로 전환되고, 근현대사가 강조가 되며 전근대사 서술이 대폭 축소되고, 한국사와 세계사와의 관련성이 더욱 중요시되는 등 교과서의 큰 틀이 결정되었다. 2009 개정 고등학교 『한국사』6종 교과서가 지닌 체제와 구성은 역사교과서 집필 기준에 의해서 집필되었지만 중단원과 소단원의 구성을 통하여 다소간 차별성을 두었다. 중단원명을 살펴보면 동학농민운동을 비상교육은 갑오개혁과 함께, 지학사는 청·일전쟁과 함께, 천재교육은 조선의 근대 개혁운동과 함께 설명하고 있다. 동학농민운동시기를 세계사와의 관련성을 중시한 점, 봉건적 사상이나 제도에 반대하는 입장을 강조한 점, 외국 세력의 침략과 간섭에 대해 반대한 점, 침략행위에 대해 반대하는 점 등 서술에 조금씩 차이가 있다. 6종 교과서는 동학농민운동에 대한 많은 학습 자료를 싣고 있으나, 출처를 밝히지 않은 사료와 사진에 대한 설명이 미흡한 자료 있다. 또한 동학농민운동 중심의 역사 내용을 시기별로 일어난 여러 사건들의 나열에 그치고 있어 정작 농민 운동에 참여했던 주체인 농민들의 다양한 사고방식과 삶의 모습을 이해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았다. 교과서 서술지침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학생들이 역사에 대해 다양하게 생각 할 여지가 많지 않았다. 6종 교과서의 동학농민운동의 서술내용과 학습자료를 살펴본 결과 차이점보다는 비슷한 내용의 서술과 같은 자료를 사용함으로써 공통점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 한국사가 지닌 체제와 구성에 맞추다 보니 6종 교과서는 대단원, 중단원이 똑같으며 소단원도 비슷한 내용의 서술로 이루어져 있었다. 교육과정의 큰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서술체제와 구성 등 6종 교과서 모두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으나 내용의 서술체계나 학습자료의 선택과 배열방식에서는 다소간 차이가 드러난다. 같은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교사가 어떻게 수업에 임하느냐에 따라 수업이 달라지고 학습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지가 결정된다. 그리하여 탐구활동과 자료가 가장 많은 미래엔 교과서가 법문사‧천재교육 교과서보다 탐구활동을 바탕으로 알찬 수업을 할 수 있게 제시되어있다. 그러나 한걸음 더 나아가 역사신문만들기, 역할놀이, 사료중심 탐구활동 등을 통하여 학생이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역사적 사실을 직접적으로 파악하고 심층적으로 탐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교과서 내용의 사실 여부나 역사적 해석을 검토해 나가야한다. 그리고 다양한 검정 교과서들이 서로 경쟁해서 교과서의 변화와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견해 중 어느 한 방면 만을 직접 인용하기 보다는 학생들에게 혼란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의견도 함께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과서를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수업방식을 연구해야 한다.

      • 초등 사회과 교과서의 청일전쟁 관련 서술 내용분석 : 동학농민운동과 관련하여

        유가람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4

        청일전쟁은 1894년-1895년 동안 한반도와 만주에서 청과 일본이 싸운 전쟁이다. 이 전쟁은 일본의 조선 병합의 시발점이 되었고,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화이(華夷)질서가 붕괴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일본의 청일전쟁 승리는 제국주의 확장의 발판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 전쟁은 당시 영국, 러시아, 독일, 프랑스 등 서구 제국주의 열강까지도 개입된 동아시아의 국제정세를 가늠 지을 세계사적 의미를 지닌 전쟁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에서 사용되는 교과서에는 청일전쟁의 역사적 위상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청일전쟁 관련 연구 성과를 살펴보고, 교육과정의 변천에 따라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청일전쟁, 동학농민운동 관련 서술내용을 외형분석과 내용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초등 사회과 교과서에서 청일전쟁 및 동학농민운동을 어떻게 서술하고 다룰 것인지에 대해서도 제언하였다. 이를 위해 수직적 비교연구방법을 택하여 외형분석, 내용분석으로 나누어 제 1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교육과정까지 청일전쟁, 동학농민운동 관련 서술의 구성체제, 내용, 학습자료 등이 어떻게 변하여 왔는지 검토해 보았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일전쟁의 서술 내용은 전개 과정보다는 한국사 전개와 관련된 원인 및 결과와 영향에 치우쳐 구성되어 있다. 둘째, 청일전쟁의 서술내용은 독립된 하나의 단원 및 주제로 선정되기보다 동학농민운동이나 갑오개혁의 하위주제로 선정되고 있는 경향이 있다. 셋째, 청일전쟁의 한 부분으로서의 동학농민운동에 대한 서술이 시기별 교육과정 변천과정에 따라 일관되게 서술되지 않고 그 동학농민운동이 청일전쟁 과정에서 수행한 역할에 따른 평가가 잘 정리되어 있지 않다. 넷째, 청일전쟁의 결과 및 영향에 관한 서술이 청일전쟁의 국제적 위상에 맞지 않게 국내에 한정되었다. 다행히 6차 교육과정 이후부터는 점점 수정되고 있는 경향이 보인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청일전쟁의 서술방향을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일전쟁을 독립된 주제로 다루어야 한다. 둘째, 청일전쟁의 전개 과정에 관하여 다룰 필요가 있다. 셋째. 청일전쟁 서술시 동학농민운동과의 연관성을 이해하기 쉽게 구성하여야 한다. 넷째, 청일전쟁의 발발 원인과 결과 및 의의를 한국사, 동아시아사와 세계사를 연계하여 서술해야 한다. 이는 우리 역사를 동아시아사와 세계사의 흐름 위에서 이해할 있는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 북한의 갑오농민전쟁사 연구 -동학의 영향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주영민 북한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94

        본 연구는 갑오농민전쟁에 대한 북한 역사학계의 연구에서 보이는 동학의 영향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갑오농민전쟁은 남북한 모두에게 큰 역사적 의의가 있는 사건으로 ‘농민대중이 동학 조직을 이용하여 일으킨 반침략, 반봉건적 성격의 농민전쟁’이라는 공통된 역사적 평가가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북한의 갑오농민전쟁 관련 문헌을 시기별로 분석하는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시기는 해방 이후부터 한국전쟁 이전까지, 휴전 이후부터 주체사관 형성 이전까지, 주체사관 시기부터 ‘조선민족제일주의’ 정신의 등장 이전까지, 조선민족제일주의 시기부터 현재까지 총 네 시기로 구분하여 북한 역사학의 간략한 전개 과정과 갑오농민전쟁사 연구 경향, 동학의 영향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북한의 역사학은 해방 이후부터 한국전쟁의 발발 전까지는 소련의 영향을 받으며 식민사관 극복을 위한 민족주의적 연구와 함께 맑스-레닌주의에 입각한 유물사관적 연구가 시도되었다. 휴전 이후부터 주체사관 성립 이전 시기까지는 김일성 중심의 유일 지도체제 구축과 함께 기존의 사관이 ‘주체’적으로 변용되며 시대구분과 같은 문제가 활발하게 논의되었다. 수령제 확립 이후에는 주체사관이 형성되면서 주체사관이 유일한 역사관으로 작동되기 시작했고 1980년대에 대내외적 위기 고조로 ‘조선민족제일주의’ 정신이 강조되면서는 ‘우리식 사회주의’의 강조와 함께 민족적 요소의 우수성 강조 등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이러한 북한 역사학의 전개 과정에서도 갑오농민전쟁은 그 뚜렷한 역사적 성격 때문에 학계의 연구 경향이 크게 변하지는 않았다. 갑오농민전쟁사 자체에 대한 북한 학계의 인식변화는 없었지만, 동학의 영향에 대한 인식은 시기별로 미묘한 차이를 보였다. 해방 이후 초기 연구에서는 동학의 조직적 영향만을 인정하는 ‘종교 외피론’적 인식으로 농민대중의 투쟁이라는 사건의 본질적 성격을 강조하였다. 이후로도 동학의 조직적 영향에 대해서는 분산된 농민운동을 하나로 묶어 대규모 농민전쟁을 가능하게 했다는 인식이 현재까지 변함없이 이어지고 있다. 동학의 종교적 영향에 대해서는 그 미신적 성격으로 농민대중에 깊숙이 침투했지만, 종교적 한계성 때문에 농민전쟁을 더욱 혁명적 차원으로 이끌지 못했다는 지적이 이어지다가 조선민족제일주의 시기에 들어서 ‘민족종교’로서의 평가와 함께 부정적 인식이 축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동학의 영향 중 사상적 측면의 영향은 그 인식의 변화 폭이 비교적 크다. 초기의 연구에서는 진부한 사상으로 새로운 것 없는 유학의 아류로 치부하며 그 영향을 축소했지만, 휴전 이후 연구부터 점차 동학사상의 반침략, 반봉건적 성격을 평가하며 주체사관 시기에 정립되는 경향을 보였고 조선민족제일주의 시기에는 ‘애국애족’적 성격이 강조되기도 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the influence of Donghak in the study of North Korean historians on the Gabo Peasant War. The Gabo Peasant War is a significant historical event for both the two Koreas, and has been evaluated as a ‘anti-invasion, anti-feudal peasant war caused by the peasant public using the Donghak organiz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nalyzing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Gabo Peasant War in North Korea and examined by time. From the liberation to the Korean War, from the armistice to the formation of the Juche view of history, from the formation of the Juche view of history to the emergence of the ‘Korean National Firstism’ spirit, from the period of ‘Korean National Firstism’ to the present, The four periods were divided into four periods to examine the brief development of North Korean history, the trend of research on the history of the Gabo Peasant War, and the perception of the influence of Donghak. North Korea's history was influenced by the Soviet Union from liberation to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along with nationalist studies to overcome colonial historical views, historical studies based on Marxism and Leninism were attempted. From the armistice to the period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Juche Historical View,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a unique leadership system centered on Kim Il-sung, existing history was transformed into a ‘Juche’ and issues such as the division of the times were actively discuss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dictatorship, the Juche view of history began to work as the only view of history, in the 1980s, the spirit of ‘Korean National Firstism’ was emphasized due to the heightened internal and external crises, and the emphasis on the excellence of ethnic elements was made along with the emphasis on ‘our style socialism.’ Even in the course of this development of North Korean history, the Gabo Peasant War did not change much in academic research due to its distinct historical nature. There has been no change in North Korean academic perception of the history of the Gabo Peasant War itself, the perception of the influence of Donghak differed from time to time. Early research after liberation emphasized the essential nature of the struggle of the peasant public with the ‘religious cladding’ perception that only recognized the organizational influence of Donghak. Since the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influence that the distributed peasant movement has been united to enable a large-scale peasant war has remained unchanged, and that religious influence of Donghak has not led the peasant war to a more revolutionary level due to religious limitations, during the period of ‘Korean National Firstism’ negative perceptions tended to be reduced along with evaluation as a ‘national religion.’ The ideological impact of the influence of the Donghak is relatively large in its perception. Early studies reduced the impact by dismissing it as a cliche of study abroad, but after the armistice, the study gradually assessed the anti-invasion and anti-feudal nature of Donghak ideology and tended to be established during the period of Juche Historical View, during the period of ‘Korean National Firstism,’ the ‘patriotic’ character was emphasized.

      • 1890년대 충북옥천 향약의 특징

        김영규 中央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9690

        Okcheon-Samaso(沃川司馬所) was constructed in the early Joseon-dynasty, and it also exists in today. Okcheon-Samaso is the place where it recorded honorable scholar-officials who passed Civil-service exam and Sengwon(生員), Jinsa(進士) examination. This Samaso made Hyangyak(鄕約) in 1891, 1892 and 1894. This Hyangyak showed characteristics of Juhyeon Hyangyak(州縣鄕約), a hyangyak which local magistrate rule the Hyangyak system. In the 1890s, Joseon dynasty had great social changes. Donghak peasant rebellion(東學農民運動) occurred in this era. There were huge amounts of social reforms like Gap-oh reform(甲午改革). Through this reform, slave system was abolished which existed in korea for more than 2 millenium. In this great turmoil, Joseon dynasty’s traditional system like Neo-Confucianism system also showed great reform. Unlike these social changes, Okcheon region strengthened traditional Neo-Confucianism rule through Hyangyak. Especially, it adopted Juhyeon Hangyak which strengthened the rule of local magistrates. In the 1890s, Donghak religion(東鶴) spread widely in Okcheon region. Local magistrate tries to impose additional tax to Donghak believers. Cheongsan county, a nearby region of Okcheon region, was a headquarters of Northern branch of Donghak believers(북접동학군), which led by Choi–Si-Hyung(최시형). During Donghak Peasant rebellion, lots of Okcheon peasants joined this rebellion. However, after the battle of U-Geum-Chi(우금치), Okcheon scholar officials formed Righteous army(민보군) against Dong-Hak forces. In July 1894, Okcheon Scholar official also made Hyangyak for opposing Donghak-believers. From these facts, Donghak flourished in Okcheon and the movements against Donghak also flourished in this area. This documents will introduce Hyangyak documents. In 1889, Song Byungsun(宋秉璿) made Jwamok in Ijidang(二止堂) which was a local school in Okcheon. This document showed the principles of school administration and the financial system. Songeunsoo(宋近洙), a former prime minister(좌의정) of Joseon dynasty made Okcheon Hyangyak in 1891 and 1892. In 1891 document, it showed the member who passed civil service exam like Sengwon, Jinsa and civil service examination. It also showed the administration system. In 1892, there also showed traditional Hyangyak idea like Deok Up Sang Gwon(덕업상권), Gwa sil sang gyu(과실상규), Ye sok snaggyo(예속상교), Hwan Nan Sang Hyul(환난상휼) and it also showed administration system. However, this document didn’t show any social problems and its solutions. Donghak peasant rebellion occurred in 1894. To oppose it, Song Byungsoon(宋秉珣), literati of Okchon made Yangnam Hyangyak Jeolmok(陽南鄕約節目) and Songgeunsoo(宋近洙) participated it. This Hyangyak addressed to local magistrate like Kim Bong Gyu and Kim Myung Soo. Local magstrates strengthened Hyangyak and used it for strengthening his rule in Okcheon county. This kind of Hyangyak often referred as Juhyeon Hyankyak. In 1895, Okcheon Hyangyak had some characteristics. It strengthened Myeon-ri system. Before 1895, there was no Myeon-ri system(面里體制). However, after 1895, we can discover Myeon-ri system. There was a document called .Hyangyak-An, a Hyangyak document. This document reveals Hyangyak administration system in Gundong county(郡東面). It indicated Hyangyak rulers post in Okcheon provinces and its subordinates. After adopting this document, Okcheon provisional ruler can strengthen their power. Before this document, we cannot find any information of Hyangyak system and its rule in Okcheon. For another characteristics, Okcheon-Hyangyak controlled county through Gangsin-Hoe(講信會), a meeting in which peasants and literati gathered together for strengthening Confucianism rule. Through this meeting, member of Hyangyak discussed whether they followed Neo-Confucianism idea. Commonly, in the 1890s, local magistrate controlled his village through a 5-family system(五家作統制). However, Okcheon province didn’t show such system. During this time, prefecture ruler(觀察使) was more stronger than local magistrates, however Okcheon county’s Hyangyak showed the opposite. Okcheon region adopted Juhyeon Hyangyak to cope with Donghak peasant rebellion. At this time, Joseon dynasty tries to eradicate Donghak by adopting Hyangyak which emphasizes Neo-Confucianism rule. 옥천사마소는 조선초부터 시작하여 현재 까지 유지된 사마소이다. 이 사마소는 생원, 진사 그리고 문과 등의 과거 합격자와 옥천의 주요 사족들을 기록한 장소였다. 이 사마소에서는 1890년대에 향약을 작성하였는데, 이 향약은 1891, 1892, 1894년에 작성이 되었다. 또한, 이 향약은 주현향약적 성격을 보인다. 1890년대 조선사회는 극심한 사회변화를 겪었다. 이 시기는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났고, 신분제도가 철폐 되었으며, 갑오개혁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시대의 격동으로 인해 유교 이념을 중심으로 한 조선사회가 변화하였고, 노비제도가 폐지되었다. 하지만, 옥천사마소의 향약은 1890년대의 사회변화와는 별개로 행동하였다. 옥천 사족들이 조선 초기부터 강조되었던 성리학 이념에 맞춘 통제를 강화하였기 때문이었다. 옥천지역에서 향촌통제가 강화된 것은 동학농민운동 직후에 수령을 중심으로 한 주현향약이 도입되었기 때문이다. 1890년대 옥천 지역에서는 동학의 전파가 왕성하였다. 동학의 전파를 빌미로, 세금을 강제 징수한 수령이 있을 정도 였다. 옥천군 근처에 있는 청산현이 북접 동학농민군의 본거지라는 점이 특히 주목할 만 하다. 실제로도, 옥천지방에서 동학농민군의 활동이 왕성하였지만, 동학군이 우금치 전투에 패배하고 난 이후에, 옥천에서는 민보군을 일으켜서 동학군의 진압을 맡았다. 1894년 7월부터 동학 농민군의 진압을 위한 향약을 따로 작성할 정도로 옥천 사족들은 동학을 배척하였다. 향약자료를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1889년에는 송병선은 ‘이지당’에서 학당을 운영하는 좌목을 만들었다. 이 좌목은 학당의 운영원리를 다루었다. 한편, 옥천사마소에서 향약을 작성하기 시작한 것은 1891년부터였다. 전직 좌의정이었던 송근수가 향약을 작성하였는데, 1891년 자료에는 과거합격자, 생원, 진사시 명부에 관심을 기울였고, 학당의 운영 방침에 관심을 기울였다. 한편, 1892년 자료에서는 향약의 4대 덕목을 중심으로 한 조목이 등장하고 사마소 운영에 관심을 기울였지만, 적극적인 사회참여를 하지 않았다. 하지만, 1894년을 기점으로 옥천향약은 급변하게 되었다. 1894년에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났다. 동학농민운동에 저항하기 위해 송병선은 양남향약절목을 작성하였고, 송근수도 이 향약의 서문을 작성을 하는데 참가를 하였다. 이 향약은 옥천군 수령에게 전달이 되었고, 옥천군 수령은 주현향약의 근거로 이용이 된다. 1895년에 쓰인 옥천향약은 면리 체계를 강화한다는 특징을 보인다. 면리체계가 강화된 증거는 군동면에서 발견된 ‘향약안’이라는 문서에서 드러난다. 이 문서에 의하면 옥천군의 향약 직임과 각 면의 직임에 대한 서술이 드러나고 있다. 이 문서가 도입된 이후로, 옥천군 수령이 주현향약을 실시한 이후로, 지방에 대한 통제가 강화되는 모습을 보인다. 각 면마다 직임이 새겨진 모습은 이전에는 확인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편, 옥천향약은 강신회를 통한 향촌통제를 이루었다. 강신회는 향촌의 향임과 일반백성들이 모여 향촌 운영의 상벌을 논하고 교육을 하는 자리였다. 고종시기의 향약에서는 대개 오가작통제를 같이 하여 향촌통제를 실시하였다. 하지만, 옥천향약에서는 강신회를 실시하였지만, 오가작통제와 같은 통제책을 내세우지는 않았다. 향촌의 구성원을 5명 단위로 묶어 군역을 실시한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기 때문이다. 고종시기의 향약은 관찰사의 영향력이 강한 향약이었다. 하지만 옥천지역에서는 수령에 대한 향약이 주를 이루었다고 볼 수 있다. 옥천 지방에서 주현향약을 실시하게 된 것은 동학농민운동으로 인한 혼란 수습에 기인한다고 여겨진다. 당시, 충청도에서는 관찰사 주도로 향약을 시행하라는 지시가 있었으며, 다른 지역의 사족들도 향약을 시행하려는 움직임을 보였기 때문이다.

      • 흥선 대원군과 전봉준의 정치적 관계와 한국사 교과서의 동학농민운동 서술 개선 방안

        권승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고에서는 흥선대원군(이하 대원군)과 전봉준(동학농민군)과의 관계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 내 2011 부분 개정교육과정에 준하여 발행된 고등학교 『한국사』 8종의 동학농민운동 부분 서술을 분석하였다. 현재의 교과서 서술에서는 동 시대의 활동했던 두 인물인 대원군과 전봉준을 하나의 단원에서 다루지 않고 각각 소단원에서 별개의 내용으로 편성되어 있다. 이러한 편성에서부터 오는 학습내용의 분리로 인해 학습자들이 해당 시기를 이해하는데 있어 혼란을 초래하는 단점이 존재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두 인물을 함께 다룰 수 있는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대원군과 전봉준과의 관계는 동학농민운동 시기 이후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중요한 이슈였다. 하지만 1945년 이후 연구주제로 거의 다루어지지 않다가 김상기, 이상백의 연구 이후 2000년대 들어 조금씩 진전을 보이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경향으로 인해 현재의 교과서에서는 두 인물의 관계성은 물론 유기적인 서술이 어렵게 되었다. 지금까지 두 인물을 다루었던 연구 중에 유영익, 배항섭, 황태연 등의 세 명의 연구자가 대원군과 전봉준의 관계에 대해 정리한 이론들을 2011년 이영재에 의해 다시금 정리된 내용을 바탕으로 학습자에게 소개되기에 가장 적당한 견해를 찾고자 하였다. 현재 대원군과 전봉준 두 인물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와 교과서 서술에는 온도차가 있어, 교과서 내용 체계와 학습자 수준에 맞추어 위에서 찾은 이론을 바탕으로 두 인물의 관계가 반영될 수 있는 교과서 단원 구성 개선안과 교과서 탐구활동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두 인물의 시대적 관계성을 반영한 이후의 서술은 현재의 구조적 한계에서 벗어나 단원 구성의 개선과 탐구활동의 활용을 통하여 동 시대를 살아간 두 인물의 연계성을 학습자들의 입체적인 학습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근대 전환기 조선의 정치사회 변혁운동에 관한 연구 : 대내외 압력과 엘리트의 대응을 중심으로

        김호직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677

        본 연구는 국가와 엘리트의 관계를 중심으로 근대 전환기 조선에서 출현한 정치사회 변혁운동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 시기를 다루고 있는 연구들은 개별적 사건들을 좀 더 종합적인 식견에서 바라볼 수 있는 중요한 단서들과 여지들을 남기고 있다. 여기서는 근대 전환기 조선에 대한 각 연구들의 핵심적인 성과들을 수용하되, 이들의 한계를 보완하는 측면에서 근대적 개혁 및 변혁운동의 추이와 영향을 좀 더 세계적·시대적 맥락에서 그리고 역사적 연속성이라는 하나의 흐름에서 입체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에서 본 논문은 근대 전환기 조선에 가해졌던 대내외적 압력과 이에 대한 엘리트의 대응이라는 변수에 초점을 두었으며, ‘東’과 ‘西’의 충돌, ‘舊’와 ‘新’의 갈등, ‘君’과 ‘臣’의 대립이라는 갈등축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변혁운동이 일어나게 된 배경과 경과를 분석하고 운동이 국가의 근대적 전환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유교적 가치 규범체계를 내재화하고 있었던 조선의 전통적 엘리트들은 그동안 대내외적으로 국제질서와 사회체계, 그리고 정치체제를 일원화함으로써 안정성을 추구해왔다. 그러나 근대 전환기에 이르러 중화질서가 해체되고 문명과 야만의 기준이 전복되는 아노미적 상황 속에서 정치사회에 대한 이들의 지배력도 일종의 전환점을 맞이하게 되었다. 대내외의 압력에 의한 국가의 구조적 위기는 엘리트의 분열과 대립을 초래하였으며, 그동안 축적되었던 체제에 대한 불만으로 인하여 사회적 동요 역시 고조되었다. 특히 농민들의 집단적 불만은 사회 내부의 커다란 압력으로 발전하고 있었다. 이로써 이른바 ‘혁명적’이라고 일컬어질 수 있는 세 가지 유형의 변혁운동들이 발생하였다. 첫째는 1884년의 갑신정변이었으며, 둘째는 1894년의 동학농민운동이었다. 셋째는 1898년의 독립협회·만민공동회였다. 변혁운동이 출현하게 된 배경으로는 공통적으로 대내외 압력의 가중으로 인하여 국가의 위기 대처능력이 약화되고 있었다는 점, 도전 집단의 관념적 전환이 이뤄졌던 점, 그리고 정부 정책이나 체제에 대한 불만이 고조되고 있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변혁운동을 주도했던 도전 집단들은 각각 ‘신흥 청년관료와 외세의 군사적 지원’, ‘종교 지도자와 지방 농민들의 결합’, ‘근대적 지식인과 도시 대중들의 결합’이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이들은 단지 음모나 시도 차원에 머문 것이 아니라 반체제적 또는 반정부적 집단행위를 통해 정권을 위협함으로써 정치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실질적인 파급효과를 가져왔으며, 나아가 국제 정세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변혁운동들은 모두 실패하였다. 일차적인 근원은 조선에 가해지는 외부로부터의 다중·다층적 압력이 시간이 흐를수록 일정한 수준 이상으로 심화되고 있었던 데서 기인한 것이었다. 취약해진 국가에 닥친 위기적 상황은 도전 집단에게 있어 하나의 동기이자 기회였으나, 청이나 일본의 개입으로 인해 변혁운동은 성공을 거두지 못하였다. 서구 열강과 주변국으로부터의 외부 영향력이 증대됨에 따라 외세에 편승하는 엘리트들의 의존적 경향도 나타나게 되었다. 갑신정변의 경우, 신흥 급진 엘리트들이 청 제국의 내정간섭을 극복하기 위해 일으킨 사건이었으나 문명개화를 지향했던 이들은 민족주의와 같은 응집력 있는 이념을 창출해내지 못하였으며, 대중의 지지가 아닌 일본으로부터의 군사적 지원을 선택하였다. 근대적 엘리트들의 농민이나 대중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역시 또 다른 근원이었다고 할 수 있다. 동학농민운동의 경우, 평등주의적 이념을 지향하였으나 반란에 대한 엘리트들의 호응이 미진함에 따라 운동은 전면적인 체제 변혁의 단계로 발전하지 못하였다. 자유주의적 성향을 지녔던 독립협회의 엘리트들은 대중의 정치의식을 고양시키고 정치 참여를 유도하였으나, 한편으로는 대중을 동원의 대상으로 바라보았으며 집단으로서의 결속과 국가에 대한 기여에 강조점을 두고 있었다. 여기에는 엘리트들의 정치 질서에 대한 인식적 한계도 하나의 근원으로 작용하였다. 엘리트들은 대중동원의 방식으로 군주의 권력에 도전하였으나, 군주의 전통적인 권위를 극복할 수 있는 대립 이념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이들 대부분은 근대적 권위로의 교체까지는 의도하지 않았으며, 권력 분산을 요구하면서도 군주라는 상징성이 지니고 있는 정치사회적 통합의 기능은 포기하려 하지 않았다. 근대 전환기 조선에서의 변혁운동은 비록 실패했지만 몇 가지 결과적 함의를 남기고 있다. 우선 첫째로 변혁운동은 엘리트와 대중이 분리되어 전개되었던 위 또는 아래로부터의 변혁운동으로부터 엘리트와 대중이 정치적으로 결합되는 방식의 옆으로부터의 변혁운동 형태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둘째로 조선의 정치 공간 내 존재하고 있었던 갈등과 대립의 양상이 동아시아 차원의 청·일 간 대결 구도 및 세계적인 차원에서 벌어지고 있었던 영국과 러시아 간의 각축 구도와 긴밀히 맞물려 돌아가고 있었다는 점이다. 셋째로 대내외의 압력이 상존하는 가운데 조선은 점차 중앙집권화와 군주 권력의 절대화 방식을 통해 근대 국가로 이행해가고 있었다는 점이다. 대내외적 도전과 위협이 고조되는 가운데 엘리트들의 개혁과 변혁운동은 좌절되었던 반면, 조선은 절대 군주제 국가의 형태로 진화해 감으로써 시대적 환경 변화에 적응하고자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절대 권력을 기반으로 한 개혁은 관료적 전문화 및 제도적 합리화의 미비로 인하여 큰 성과를 거두기는 어려웠다. 군주 1인에 집중된 절대화된 권력이라 할지라도 그보다 더 큰 폭력이 존재할 경우 오히려 더 취약해지기 마련이었다. 두 차례의 전쟁을 통해 일본은 폭력을 행사할 수 있는 외재적 “이중권력”의 상황을 만들어갔다. 세계적인, 그리고 시대적인 차원의 거대한 전환 속에서 초래된 국가적 위기는 조선을 ‘문명국’이 아닌 식민지 현실로 인도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consider the political and social transformation movements that emerged during the modern transitional period of Joseo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the elite. Existing studies dealing with this period leave important clues and room for a more comprehensive view of individual events. While accepting the key achievements of these existing studies on Joseon during its period of transition to modernity, the intention of this study is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tudies and to take a three-dimensional view of the trends and influences of modern reform and transformation movements in a more global and historical context and in a single trend of historical continuity. For this purpose, the paper focuses on the domestic and foreign pressures that were exerted during the modern transitional period and responses thereto from elites as variables, and examines the clash between 'East' and 'West', the conflict between 'Old' and 'New', and the confrontation between 'King' and 'Subject.' Based on these axes, I have reexamined the background and progress of transformation movements during this period and have comprehensively examined how these movements affected Joseon's modern transitional process. The Joseon Dynasty's traditional elites, who internalized the Confucian value-based norms, had pursued stability by unifying international, social, and political order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However, their political and social dominance reached a turning point amid the anomaly of the dissolution of the Sino-centric tradition and the overthrow of the standards of civilization and barbarism in the modern era. The nation's structural crisis under domestic and foreign pressures led to the division of and confrontation among the elite, and social agitation was also heightened by system-accumulated grievance. In particular, the collective discontent of the peasantry was developing into a substantial pressure point within society. This led to three types of transformation movements that could be called "revolutionary." The first was the Gapsin Coup in 1884, the second was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in 1894, and the third was the Independent Club and the People's Assembly in 1898. Common reasons behind the emergence of each of these transformation movements were the weakening of nation's ability to cope with crises due to mounting internal and external pressures, the ideological shift in the challenging groups, and the growing dissatisfaction with government policies and systems. The challenging groups that led these three transformation movements were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n emerging class of youth officials backed by foreign military support, the coalescence of religious leaders with local peasantry, and the connection of modern intellectuals with the urban masses. These groups did not just stay at the conspiracy or preparation level, but by intimidating the regime through collective action, they had a real ripple effect politically and socially, and by extension, influenced the international situation.  However, all of these transformation movements ultimately failed. The primary cause was the worsening over time of multi-layered external pressure on the Joseon Dynasty. While the crises faced by the vulnerable country provided motive and opportunity for the challenging groups, the transformation movements were unsuccessful due to the intervention of the Qing Empire and Japan. The increasing influence of the Western powers and external influences from neighboring countries also led to the dependent tendency of the elites to ride on foreign powers. In the case of the Gapsin Coup, the incident was caused by the emerging radical elite with the goal of overcoming the Qing Empire's interference in Joseon domestic affairs. While those that led the coup sought to reform civilization, they failed to create a cohesive ideology such as nationalism and resorted to military support from Japan, instead of popular support.  Another reason for the failure of these movements was the modern elite's social perception of the peasantry and the masses. In the case of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the movement was oriented toward an egalitarian ideology, but the movement failed to develop into a stage of sweeping systemic transformation due to the lack of the elite's support for the rebellion. The liberal-minded elites of the Independent Club sought to raise the public's political consciousness and encourage political participation, but on the other hand they viewed the public merely as objects of mobilization and their emphasis was on group solidarity and contribution to the nation. The cognitive limitations of the elite's political order also served as a root cause of the failures of these transformation movements. The elites challenged the power of the monarch by way of mass mobilization, but they did not clearly propose any ideologies of opposition that could overcome or substitute for the traditional authority of the monarch. While demanding the dispersion of political power, most of them did not intend to establish modern authority, nor were they prepared to abandon the monarch’s symbolic function of political and social integration. Although the transformation movement in Joseon during the modern transitional period ultimately failed, it left some consequential implications. First, the transformation movement evolved from top-down and bottom-up approaches in which the elite and the public were separated, to a more developed transformation movement in which the elite and the public were politically united. Second, the conflict and confrontation that existed in the political space of Joseon were closely linked to the competition between the Qing Empire and Japan at the East Asian level and the rivalry between Britain and Russia at the global level. Third, amid the myriad internal and external pressures, Joseon gradually transformed into an early modern state through centralization and the absolutization of the monarchy.  While the reform and transformation campaigns of the elite were thwarted amid mounting internal and external challenges and threats, Joseon Dynasty sought to adapt itself to the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the times by evolving into an absolute monarchy. Nevertheless, reforms based on absolute power were not able to produce great achievements due to the lack of bureaucratic specialization and institutional rationalization. Even the absolute power concentrated on one monarch was bound to become more vulnerable if there was greater violence. Through the First Sino-Japanese War and Russo-Japanese War, Japan created a situation of external “dual power” in which it could inflict greater violence on the monarch. The national crisis, brought on by seismic shifts on a global and historical level, led Joseon to a reality of colonization, not a "state of civilization."

      • 東學農民運動의 民族主義的 性格에 관한硏究

        오우진 公州大學 1990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nsider what were the nationalistic characteristics contained in Dong-hak thought and how Dong-hak Peasants' Movement could expand. We can find to meaning in Dong-hak, One is independence from Sino-centrism, Western thought and Japanese invasion, Another is evolution of the consciousness of people's right and can be classified as the claims human integrity, demolition of the classes, equality of men and women, modernization of Korea. Dong-hak peasants' movement is developed by the domestic situation and foreign invaders. Firstly, Dong-hak peasants' movement was held at Sam-Rye(November, 1882), where they claimed the innocence of their Founder Choi Je woo. The second was held at Bo-Eun(March, 1883) as to a failure at kwang-Hwa Gate before the palace, where they began to show an anti-foreign thought. The Go-Boo uprising is depressed by a corrupted official named Cho Byung-Gap, namely be collected much rigged money by means of the coercion taxes and the oppression. Especially, having arrived in Go-Boo deal with the aftermath of the rebellion, Lee Yong-Tai noticed Dong-hakkians were involued in the first uprising. He pressured them. So, the leader of Chun Bong-jun who could not bear the suppression by lee, revolted against him. Continually, they defeated governmental armies on Hawng-To pass and marched into Chun-jo. Then, an agreement was established, which was a temporary pact-mutual agreement on the administrative innovation-following entry into a Jun-joo castle. Dong-hak peasant armies operate Jub-Kwang-So, that is, the framework of peasant self-governing administration. The secnd uprising mobilized an army for independence and autonomy because of Japanese intervention in the drmestic affairs. But Dong-hak peasant armies were reduced to ashes by the Japanese troops and governmental armies. Secondly, the nationalistic meaning of Dong-hak peasants' movement executed social reform agitation. It contributed to the innovation of domestic political system, the social consciousness reform and the reorganization of the class structure Especially, in the social arena, it made a contribution to the elimination of the unequality between the upper and the lower classes. Thirdly, Dong-hak peasants' movement was for independent national soverigent and struggled against the invasion of imperialism, Japanese militarism, Chinese suzerainty to Korea. Their nationalism can be summed up as protests against the Japanese aggressive act, deviation from Sino-centrism and the introduce of social morals and customs from the Western. In conclusion; One of the reasons why Dong-hak peasants' movement has been appreciated as a magnificiant affair in the history of Korea is that it contributed Korea to the inception of the nationalism, that is, turned the feudal system into the modern society. It was a nationalistic movement which is long for democracy, independence from Japanese, China. Then, It was and anti-feudal and auti-aggresisive struggle.

      • TV 드라마 <녹두꽃>에 나타난 동학농민운동에 관한 연구 : -서사구조와 역사적 함의를 중심으로-

        손동욱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0

        본 논문은 역사 드라마 <녹두꽃>이 내포하고 있는 함축적 메시지와 역사 인식을 밝혀낸 결과이다. TV 역사 드라마는 역사적 소재와 개연성 있는 서사가 연계되어 장기간 방영된다. 이에 따라 역사 드라마가 만들어내는 함축된 의미와 역사 인식은 자연스러운 것으로 시청자에게 전달되어 특정 시각을 견지하게 만들 수 있다. 본 논의에서는 역사 드라마 <녹두꽃>의 의미와 역사 인식을 살피고자 기호학적인 방법인 통합체적 분석방법과 계열체적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또한, 사료와 역사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역사 드라마 <녹두꽃>이 만들어내는 역사 인식과 맥락에 대해 논의하였다. 분석 결과 <녹두꽃>의 서사는 전반부와 후반부로 서사가 나누어지고 있었다. 전반부에서는 ‘폭정을 물리치고 백성을 구원한다’라는 서사가 펼쳐지고 있으며 후반부에서는 ‘나라를 지키고 백성을 편안케 한다’라는 서사가 펼쳐지고 있었다. 이러한 <녹두꽃>의 함축 의미는 동학군과 일본군, 혁명과 전쟁, 항일과 친일, 사랑과 증오, 평등과 차별과 같은 이항대립을 통해 형성되고 있으며 이는 문명과 야만으로 귀결되었다. 역사 드라마 <녹두꽃>은 문명과 야만의 대립을 통해 동학농민운동을 신성한 역사로 탈바꿈시키고 있었다. 결국 <녹두꽃>은 이분법적인 역사 인식에 따라 망국 맥락의 단순화, 혁명의 절대화, 영웅에 대한 숭배를 불러일으키고 있었다. 또한, <녹두꽃>은 영웅에 의한 민중 지배를 용인시키고 영웅에 의한 폭력을 정당화시키고 있었다. 따라서 역사 드라마는 이분법적 역사 인식을 지양해야 하며 균형 잡힌 시각으로 역사적 맥락을 재현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