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사증후군이 돌발성 난청의 발생과 예후에 미치는 영향 : 환자대조군연구

        이종빈 동국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6

        연구목적 돌발성 난청의 발생과 예후는 고혈압, 당뇨 및 고지혈증 등의 만성 대사성 질환들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여러 연구를 통해 보고된 바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사성 질환들의 집합체인 대사 증후군이 한국인의 돌발성 난청의 유병과 치료 예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해 보기 위함이다. 연구 설계 종합병원 환자 대조군 연구 연구 대상 및 방법 2013년 1월에서 2016년 12월까지 건양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로 내원한 돌발성 난청 환자 239명과 건강 대조군 239명의 대사증후군 관련 임상 변수들을 우선 비교하여 대사증후군의 유병이 돌발성 난청의 발생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돌발성 난청 환자들을 청력의 호전이 있었던 반응군과 청력의 호전이 유의하지 않았던 무반응군으로 분류하여, 두 군 사이의 임상 변수들의 차이를 비교해 봄으로써 대사 증후군이 돌발성 난청의 예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대사증후군은 미보건국 산하의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에서 발표한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Adult Treatment Panel III 기준에 따라 진단하였다. 결과 단변량 분석에서 차이가 있었던 변수들릐 보정 후에도 대사증후군 유병 환자가 대사증후군이 유병되지 않은 환자에 비해 약 4.3배 더 돌발성 난청에 이환될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95% 신뢰구간 = 1.98∼9.33, P <.01). 또한 대사 증후군이 유병될수록 돌발성 난청의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결과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았으며(P <.01; 95% 신뢰구간 = 1.211∼3.932, adjusted odds ratio = 2.182), 초기 순음청력도가 고음 위주형이거나 전농형인 경우에도 치료에 반응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 <.03). 결론 대사증후군의 이환은 돌발성 난청의 독립적인 발생 위험 요인인 동시에 좋지 않은 예후를 나타낼 수 있는 요인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S-SNHL) has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hyperlipidemia, and metabolic syndrome in previous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whether metabolic syndrome (MetS) influence the risk and the outcome of S-SNHL in Korea. Study Design. A case-control study in university hospital. Subjects and Methods. We prospectively investigated 239 cases of S-SNHL patients and 239 controls from the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Konyang University Hospital, in Daejeon from 2013 January to 2016 December, comparing their clinical variables. We analyzed the relevance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S-SNHL. MetS was defined according to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Adult Treatment Panel III with Asian modifications. The bas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pure tone audiometry, and outcome were evaluated. Results.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had a 4.30-fold increased risk (95% confidence interval (CI) = 1.98∼9.33, P <.01) of being affected S-SNHL compared with subjects without MetS, after adjusting for waist, glucose, triglycerides, diabetes mellitus, and hypertension. MetS was associated with poor outcome (P <.01; 95% CI = 1.211∼3.932, adjusted odds ratio = 2.182). The hearing loss pattern, high tone loss and total hearing loss, may also influence the outcome of S-SNHL. (P <.03).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tabolic syndrome is an independent risk factor and a poor outcome for S-SNHL.

      • 돌발성 난청환자에서의 Tumour necrosis factor-alpha 유전자의 단일염기 다형성

        김태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727

        (Abstract) Sudden deafness (SD) is defined as an abrupt onset of sensorineural hearing loss which develops over a period of a few days with unknown etiology. Infections or vascular disorders are the two most widely accepted probable causes of sudden hearing loss.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α) is major pro-inflammatory cytokines that are thought to be important in the pathogenesis of sudden deafness. However, the functions of genetic polymorphism in this cytokines have not been throughly examined in the context of sudden deafness pathology. In an effort to discover polymorphism in genes whose variants have been implicated in sudden deafness phenotypes, we examined the genetic effects of TNF-α polymorphisms on sudden deafness. Two commo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in TNF-α gene were genotyped in a Korean sudden deafness. Ninety nine patients with SD (45 males and 54 females) were selected from Keimyung University Dongsan Medical Center. Control subjects consisted of healthy 285 males and 319 females. Human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peripheral blood sample. The SNP at position -863 C/A and -857 C/T of TNF-α promoter analyzed by PCR and pyrosequencing. Genotype distribution and allele frquencies in subjects were in Hardy-Weinberg equilibrium (p>0.05). No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TNF-α -863 C/A and -857 C/T polymorphism and sudden deafness. We examined whether the relation between TNF-α polymorphism and sudden deafness varied according to time of onset, tinnitus. Statistical analysis of TNF-α polymorphism at -857 C/T shows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D without tinnitus and control in both genotype distribution (p<0.05) and allele frequency [OR (95% CI)=2.63 (1.29-5.34)], but not between SD with tinnitus. These findings suggest TNF-α polymorphism at -857 C/T are likely to play role in SD. (초 록) 돌발성난청은 과거에 난청 병력이 없으면서 갑자기 일어나는 감각신경성 청력장애이며, 이명 및 현기증이 동반되고, 그 원인, 예후, 치료법 등에 있어서 많은 논란이 있었던 질환이다. 발생원인은 내이혈관장애와 바이러스감염설이 유력하며 치료는 혈관확장제, 항응고제, 부신피질호르몬제, 저분자 dextran 등이 있으나 이것 역시 많은 논란이 있다. 돌발성난청은 일반적으로 수 시간 또는 수일에 걸쳐 갑자기 발생하는 원인불명의 감각신경성 난청으로 정의되며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 영구적인 청력장애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과적 응급질환으로 간주하여 치료해야 한다. 근래에 들어 메니에르병, 진행성의 감음신경성 난청과 같은 내이질환에서 자가 면역의 병인론적 역할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들과 함께 돌발성 난청의 병인과 면역학적 이상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TNF-α 유전자는 삼출성중이염의 초기에 발생하여 그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염증매개체 Cytokine으로 여러 질환에서 염증반응과 관련되어 있다는 보고들이 있으므로, 돌발성난청환자에서의 TNF-α 유전자의 단일염기다형성을 알아보았다. 연구의 대상자는 돌발성 난청환자 99명과 604명의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대상자의 전혈에서 genomic DNA 추출하였다. 추출된 DNA에서 중합효소연쇄반응 후 Pyrosequencing 실시하여 TNF-α 유전자 -863, -857 위치의 유전자형을 분석하였다. TNF-α -863위치의 유전자형의 빈도는 대조군은 C/C 66.9%, C/A 27.6%, A/A 2.5% 이며, 환자군은 C/C 64.6%, C/A 35.4%, A/A 0% 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대조군과 돌발성 난청 환자에서의 나이, 시작시점, 이명의 유무, 현훈의 유무에 따라 TNF-α -863위치의 유전자형의 발현빈도를 비교 분석해 보았을 때, 이명이 있는 환자군의 TNF-α -863위치의 유전자형의 빈도가 C/C 58%, C/A 42%, A/A 0%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4). TNF-α -857위치의 유전자형의 빈도는 대조군은 C/C 70.5%, C/T 27%, T/T 2.5%이며, 환자군은 C/C 69.7, C/T 27.3%, T/T 3.0%로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대조군과 돌발성 난청 환자에서의 나이, 시작시점, 이명의 유무, 현훈의 유무에 따라 TNF-α -857위치의 유전자형의 발현빈도를 비교 분석해 보았을 때 이명이 없는 환자군의 TNF-α -857위치의 유전자형의 빈도가 C/C 44.4%, C/T 44.4%, T/T 11.1%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5). 이상의 결과로 TNF-α -857위치의 단일염기 다형성은 돌발성난청과는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TNF-α 유전자의 단일염기다형성은 이명과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 입원 치료 기간 중 청력 회복이 되지 않은 돌발성 난청 환자의 예후

        서경선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727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study on the hearing recovery patterns of patients not responding to initial treatment of sudden seonsorineural hearing loss (SSNHL) is rare. So it is very difficult to decide the initiation of other treatment such as cochlear implantation if bilaterally severe to profound hearing loss developed due to SSNH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answers to the following questions ; how long should we wait and when do we recommend other treatment if there is no hearing recovery on initial treatment of SSNHL. The author also tried to analyse the hearing recovery patterns and related prognostic factors Materials and Methods Clinical analysis was performed in 204 patients with sudden hearing loss who were admitted to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3 to June 2005. We used corticosteroid and combined therapy for treatment of SSNHL. During follow up period after completion of initial treatment, We evaluated the degree of the hearing recovery of SSNHL and parameters related to the hearing recovery of SSNHL. Also we evaluated the duration from initiation of treatment to hearing recovery if showed significant hearing improvement during follow up period. Results There were 114 cases(55.9%) who did not respond during admission period. Among of them, there were 39 cases(34.2%) who recovered during follow up period after completion of initial treatment. The average follow up period after treatment was about 134.6 days(14-713 days). Treatment was initiated after onset of SSNHL in an average of 3.5 days(0-11 days) and the average duration from initiation of treatment to hearing recovery was 37.2 days(20-83 days). So hearing recovery was seen in 90 cases(44.1%) during admission period and hearing recovery was seen in 39 cases(19.1%) during follow up period after completion of initial treatment hence overall hearing recovery rate was about 63.2%. The related prognostic factors were the time to first treatment, severity of initial hearing loss, presence of vertigo, and age. Conclusion After admission treatment of SSNHL, about 56% of patients discharged without hearing improvement. Among of them, about 34% of patients showed hearing improvement later and overall hearing recovery rate was about 63% With the patient who did not respond during the admission period, the duration that we could expect further hearing recovery was about 3 months after starting treatment. And after that time, we could consider other treatment such as cochlear implantation. 배경 및 목적 : 돌발성 난청 환자에서 치료 종료 후에 유의한 청력 회복을 보이지 않았던 경우 그 이후의 청력 변화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는 돌발성 난청으로 인한 양측성 고도 난청 환자에서 인공 와우 이식 등 치료 방법을 시행할 시기를 정하기 어렵게 만든다. 본 연구는 치료 종료 후 유의한 청력 회복을 보이지 않은 환자들의 이후 청력 회복 양상을 조사하고, 전체적인 회복율과 연관된 예후 인자에 대해 분석을 시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 2003년 1월부터 2005년 6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에서 돌발성 난청으로 진단되어 입원 치료를 받은 20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인 분석을 시행하였다. 환자에서 치료 후 추적관찰기간 동안 청력 회복 정도 및 청력 회복과 연관된 인자들을 조사하였다. 또한 치료 종료 후 추적 관찰 동안 입원시 청력보다 유의한 청력 회복을 보인 경우에는 치료 시작부터 청력 회복까지 걸린 기간을 조사하였다. 결과 : 총 204명 중에서 입원 당시 청력과 비교하여 퇴원시 유의한 회복을 보이지 않은 경우는 모두 114명 (남자 54명, 여자 60명)이었다. 이들 중 치료 종료 후 추적 관찰 동안 입원시보다 유의한 청력 회복을 보인 경우는 모두 39명으로 치료 후 회복율은 34.2% 였다. 이들의 치료 종료 후 추적 관찰 기간은 평균 134.6일(14-713일)이었고, 치료 시작 시기는 돌발성 난청 발생 후 평균 3.5일(0-11일)이었다. 치료 종료 후 유의한 청력 회복에 소요된 시간은 치료 시작으로부터 평균 37.2일(20-83일)이었다. 이로써 입원 치료 기간 중 회복된 경우가 전체의 44.1%, 퇴원 후 추적 관찰 도중 회복된 경우가 전체의 19.1%로 전체적인 청력 회복율은 63.2%를 보였다. 전체적인 회복율과 연관된 예후 인자로는 치료 시작 시기, 초기 청력 소실의 정도, 현훈의 존재와 나이가 있었다. 결론 : 돌발성 난청의 입원 치료 후 약 56%에서 청력 회복 없이 퇴원하였다. 청력 회복 없이 퇴원한 환자들의 약 34%에서 추적 관찰 도중 청력 회복을 보여 돌발성 난청의 전체적인 회복율은 약 63%였다. 연관된 예후 인자로는 치료 시작 시기, 초기 청력 소실의 정도, 현훈의 존재, 나이가 있었다. 입원 치료 기간 중 청력 회복이 되지 않은 돌발성 난청 환자에서 이후에 청력 회복을 기대할 수 있는 기간은 치료 시작으로부터 약 3개월 이었고 평균 1개월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이들에게 있어 3개월 이후에는 인공 와우 이식술과 같은 다른 치료법을 고려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알루미늄 이독성과 돌발성 난청 발생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임상호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711

        Background and Objective: Serum aluminum level was known to lowering hearing ability to be affected for homeostasis of inner ear through antioxidant effect and control of labyrinthine blood circulation with other minerals. Especially,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 treated with hemodialysis, accumulation of aluminum in the body was influenced toxic effect to inner ear and attributed to lowering hearing ability. Thus, we would investigated that change of serum aluminum in the body was affected to lowering hearing ability to not only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s treated with hemodialysis to but also sudden hearing loss patients whose etiology was unknown via retrospective study. Method: A total of 35 patients with sudden heraing loss diagnosed by specialist and admitted at th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at August, 2010 to at April, 2012 was investigated for this study. All patients were examined serum aluminum, zinc, magnesium and general blood analysis (mean age = 49.7±3.1 years). All patients underwent hearing tests composed with pure tone audiometry and speech discrimination test, distortional otoacoustic emission test, auditory brainstem response test on admission time. And then follow-up test composed only pure tone audiometry and speech discrimination test was done on discharge time and on 3 weeks after from discharge. An additional examinations were underwent for viral marker and inner ear MRI. Male were 22 cases and female were 13 cases whose ages were from 7 year old to 80 years old. We designed for study that two groups were selected. One group was high serum aluminum group (17 cases, mean ages - 47.3±4.4 years) and the another was normal ranged group (18 cases, mean ages - 52.1±4.3 years). We used Siegel's criteria for hearing recovery index and adapted over 3rd stage, slight improvement to limit of recovery. We excepted definite etiologic sudden hearing loss patients and this study was designed retrospectively. Result: High serum aluminum group(>19㎍/L) was 17 cases that composed of 12 males and 5 females and average of serum aluminum was 27.0±1.6㎍/L. Otherwise normal ranged group was 18 cases that composed of 10 males and 8 females and average of serum aluminum was 13.8±0.8㎍/L but no meaningful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wo groups except for serum aluminum level(p=0.00). Other blood analysis composed of viral marker and zinc, magnesium showed slightly different result from previous reports but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e observ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igh aluminum group and normal group on recovery rate(p=0.89), sex ratio(p=0.36), and age distribution(p=0.44). But we identified 2㎑ dip pattern on distortion otoacoustic emission test which was known by ototoxic effect of aluminum. Conclusion: Sudden idiopathic hearing loss was abrupt onset disease without specific causes. Recently, many studies about relationship between sudden hearing loss and serum minerals were designed and conducted. So there were many hypotheses and opinions for relationship. Therefore, we designed study for sudden hearing loss patients that checked serum minerals. Only serum aluminum was checked at high level but zinc, magnesium and others were no meaningful results So we think that investig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outbreak of sudden hearing loss and increase of serum aluminum level for large amount of diseased group and control group was needed. 배 경 및 목 적: 혈청내 알루미늄은 체내의 다른 미세 전해질과 함께 미로내의 혈액 순환 조절 및 항산화 효과로 인해 내이의 항상성 유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혈액투석을 받는 만성신부전환자의 경우, 체내 알루미늄의 축적은 내이에 이독성을 나타내어 청력의 저하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저자들은 이러한 알루미늄의 체내 변화가 정확한 원인을 밝히기 힘든 돌발성난청의 발병에 원인인자로 작용할 수 있는지 후향적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10년 8월부터 2012년 4월까지 전북대학교병원에서 돌발성난청으로 진단받고 입원 치료를 받은 환자들 중 검사에 응한 3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혈액 내 알루미늄, 아연, 마그네슘 수치를 측정하였다. 대상 중 남자는 22명, 여자가 13명 이었고, 연령분포는 7세에서 80세까지로 다양하였으며 평균연령은 49.7세였다. 환자들은 입원 시와 퇴원 시에 청력 검사를 시행 하였고, 이후 외래에서 경과 관찰을 위해 추가 검사를 시행 하였으며, 청력 검사는 순음/어음 청력 검사 및 이음향 방사, 청성뇌간유발 검사를 시행 하였다. 추가로 바이러스 표지자 검사 및 뇌 자기공명 영상 촬영을 시행하였으며, 청력 회복에 대한 척도로는 Siegel's criteria를 사용하였으며, 3단계 이상을 회복의 기준으로 삼았다. 한편, 돌발성 난청의 다른 명확한 원인이 밝혀진 환자들은 제외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후향적으로 시행 되었다. 결 과: 35명의 환자 중 혈중 알루미늄 수치가 정상 범위 (0~19㎍/L) 보다 높은 군은 총 17명(48.6%) 이었으며 남자가 12명, 여자는 5명 이었고, 평균치는 27.0㎍/L 였다. 정상치를 보인 환자들의 평균치는 13.8㎍/L이었으며 남녀 비율은 10:8 로 양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기타 혈액학적 검사들의 경우 기존의 논문들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특별한 의미를 부여할 수는 없었으며, 알루미늄치가 높은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한 결과 치료 결과(p=0.89)나 성비(p=0.36), 연령 분포(p=0.44) 등에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변조 이음향 방사 검사상 알루미늄 독성으로 나타날 수 있는 2㎑ dip 현상은 관찰 할 수 있었다. 결 론: 돌발성난청은 특별한 원인 없이 비교적 단시간 내에 갑자기 발생하는 난청으로 최근 체내의 여러 가지 미량 원소들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여러 가설이 주장되고 있다. 따라서 본 저자들은 돌발성 난청 환자들을 대상으로 체내 미량 원소들에 대한 검사를 시행 하였고, 이 중 알루미늄의 증가가 다른 미량 원소들에 비해 의미 있게 상승하는 소견을 관찰하였다. 이에 혈청알루미늄의 증가가 돌발성난청의 발병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염두 하여 추후 다수의 대조군과 비교 연구를 통한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어지러움을 동반하는 돌발성 난청환자의 전정진단 분석과 청력예후와의 관계

        정승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711

        돌발성난청은 대부분이 내이의 장애로 발생하며, 난청과 더불어 현훈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제까지 대부분의 연구는 청력에 관련된 것이며 전정기능의 변화에 관한 것은 미미하다. 이에 저자는 현훈을 동반한 돌발성난청에서 전정진단의 분포를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청력회복의 예후인자로서의 이용가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돌발성난청환자 125명의 의무기록 및 전정기능 검사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전정기능검사는 현훈을 동반한 환자 중 36예에서 시행하였고, 전정진단은 정상군, 일측성 전정장애군, 방향우위군, 양성돌발성체위성어지러움군, 비특이군, 자극성군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청력측정은 초기 순음청력검사와 최종 순음청력검사를 저음역(250㎐, 500㎐), 중음역(1000㎐, 2000㎐), 고음역(4000㎐, 8000㎐), 순음청력평균(500㎐, 1000㎐, 2000㎐, 4000㎐)별로 분석하였다. 남녀 비는 1.1 : 1이었고 평균 나이는 47.5±15.9세였으며, 치료시작 시기는 9.9±10.6(0∼40, median:5)일이었다. 현훈을 동반한 예는 56예(44.1%)이고 이중 회전감을 호소한 예는 33예(58.9%)였다. 전정기능검사를 시행한 38명 중 정상군(8예;21.1%), 일측성전정장애군(11예;23.7%), 방향우위군(3예;7.9%), 양성돌발성체위성어지러움군(9예;23.7%), 비특이군(4예;10.5%), 자극성군(3예;7.9%)였으며, 이 중 정상군 및 일측성전정장애군, 양성돌발성체위성어지러움군간에 청력의 비교에서는 정상군의 초기 청력의 순음청력평균 및 중음역, 고음역, 그리고 최종 청력의 순음청력평균과 고음역만이 일측성전정장애군과 양성돌발성체위성어지러움군에 비해 유의하게 작은 역치를 보였다. 초기 및 최종 순음청력검사역치는 정상군, 일측성전정장애군, 양성돌발성체위성어지러움군의 순서로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초기 및 최종 청력 역치는 현훈을 동반하지 않은 군에서 동반한 군에 비해 유의하게 작았다. 현훈을 동반한 예 중에서 회전감을 동반하지 않은 군은 동반한 군에 비해 초기 및 최종청력 역치가 작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어지러움을 동반하는 돌발성난청환자의 전정진단은 일측성전정장애와 양성돌발성체위성어지러움이 가장 많았고 양성돌발성체위성어지러움군은 청력회복에서 가장 나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이석기관에 병변이 있는 돌발성난청이 좀더 심한 돌발성난청의 형태이며 일측 반고리관의 병변이 있는 경우에 예후가 나쁘다고 예측할 수 있다. Majority of sudden hearing losses are inner ear disorders, which often accompany vertigo. The patterns of hearing loss usually influence the prognosis of the hearing lo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estibular diagnoses in sudden hearing loss with vertigo, and to correlate them with the recovery of hearing loss. Clinical records of 125 patients with sudden hearing loss were reviewed. Various vestibular evaluations were performed in 36 patients with vertigo. They were classified as normal, unilateral hypofunction, directional preponderance, BPPV, nonspecific, and irritative. Their initial and final pure tone audiograms were compared. Distribution of vestibular diagnosis was unilateral hypofunction in 30.6%, BPPV in 25.7%, normal in 19.4%, nonspecific in 11.1%, directional preponderance in 8.3%, and irritative in 8.3%. The recovery of hearing in patients with vertigo was significantly poor than those of the patients without vertigo. The recovery of hearing in patients with spinning vertigo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atients with non-spinning vertigo. The recovery of hearing BPPV group was the poorest especially at high frequency ranges, followed by unilateral hypofunction group. showing hearing thresholds between BPPV group and nomal VFT group.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the diagnostic classification of the vestibulopathy is a useful prognostic indicator of hearing recovery in sudden hearing loss with vertigo. We conclude that otolithic and semicircular canal involvement may cause poor hearing results especially at high frequency ranges.

      • 돌발성 난청 환자에 대한 항바이러스제 병용요법과 성상신경절 차단술의 치료효과및 각 치료효과 분석을 위한 환자군의 선택

        박상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95

        배경과 목적: 돌발성난청의 병인은 확실치 않으나 바이러스감염과 내이혈관순환장애가 병인으로 생각되어지고 그 치료에는 성상신경절차단술과 항바이러스제가 이용되고 있다. 이 연구는 성상신경절차단술과 항바이러스제의 치료효과와 치료효과 분석을 위해 선택할 수 있는 적당한 환자군을 밝히는 데 있었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월부터 2000년 8월까지 전주예수병원 이비인후과에서 돌발성난청으로 진단받고 입원치료받은 193명(202귀)을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58귀는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하였고, 69귀는 성상신경절차단술을, 75귀는 항바이러스제와 성상신경절차단술 모두 사용하지 않고 일반치료를 하였다. 결과: 성상신경절차단술을 시행한 군에서 일반치료군보다 치료효과가 높았고, 내원시 난청이 71dB 이상인 환자군에서는 각 치료에 대한 효과가 각각 일정하게 나타났으며, 발병 후 8일 이후에 치료를 시작한 환자군에서는 각 치료에 비슷한 회복율을 보였다. 결론: 돌발성 난청의 치료법들에 대한 치료효과 판정을 위한 대상 환자군은 발병 후 7일 이내 치료를 시작한 71dB 이상인 군이 적당하며, 성상신경절차단술이 돌발성난청 환자의 치료에 효과적이며, 항바이러스제는 41dB-70dB 사이의 돌발성난청 환자군에서 시도해 볼 수 있는 치료법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 The etiology of Idiopathic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ISSHL) was uncertain, but viral infection and disturbance of blood circulation in the inner ear were suspected as the cause of disease. A stellate ganglion block(SGB) and antiviral agent(Acyclovir) have been used as treatment of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SGB and antiviral agent in the treatment of ISSHL and to find out appropriate patients to evaluate the therapeutic effect. Materials and Methods : We reviewed the records of 193 patients(202 ears) who were admitted to Presbyterian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994 to August 2000. Fifty eight ears were treated with acyclovir and sixty nine ears were treated with SGB and seventy five ears were treated as a control group. Results : The therapeutic result of SGB was bett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nd acyclovir had more effect on subgroups when the initial hearing loss was 41dB-70dB. In the patients with initial hearing level worse than 71dB, the recovery rates of all groups were same range. And the patients who treated after 8days from the onset had analogic recovery rate to each remedy. Conclusion : The patients with the initial hearing level worse than 71dB and who visited the clinic within 7days from the onset were appropriate for candidates in evaluating the therapeutic effect of ISSHL and SGB was recommended to improve the recovery rate.

      • (The) usefulness of stress-related hormones as predictors and prognostic factors for idiopathic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채희성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0 국내석사

        RANK : 247694

        Previous studies have identified psychological factors as prognostic factors of idiopathic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ISSNHL). Those studies suggested that serum levels of stress-related hormones [such as cortisol, growth hormone, prolactin, antidiuretic hormone (ADH), adrenocorticotropic hormone (ACTH)] are elevated in patients with ISSNHL patients. However, little is known regarding their psychosocial measures and association with treatment response or therapeutic prognosis in ISSNHL. Therefore, we aimed to determine whether psychological factors of patients are associated with the severity of hearing loss treatment outcomes.. Psychological measures such as serum levels of stress-related hormonal (cortisol, ACTH, aldosterone, 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DHEAS]) and questionnaires (Beck Depression Inventory, Perceived Stress Scale) were used in this study involving 15 patients diagnosed with ISSNHL. Serum DHEAS level measured on day 1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hearing threshold in the hearing test performed at the time of diagnosis (p=0.037, R²=0.293). Serum ACTH level was measured on day 1, and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normal and elevated groups based on a threshold of 1.5pg/mL; the normal group had better hearing thresholds in the first and second hearing test than the elevated group (p=0.040, 0.015, respectively). In the stress-related questionnaires, the BDI scor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last hearing test (p=0.015, R²=0.376). We demonstrated the possible role of stress-related hormones in the pathogenesis of ISSNHL and suggest that depressive stress response can be a strong predictor of treatment response in patients with ISSNHL. However, the impact of response to stress on the inner ear and endolymph homeostasis remains unknown. Further investigation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mechanism of interaction between stress and hearing ability in the inner ear. 이전의 연구에 따르면 스트레스는 특발성 돌발성 감각신경성 난청의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특히 시상 하부 뇌하수체-부신 축을 이루는 호르몬인 코티솔, 성장 호르몬, 프로락틴, 항이뇨 호르몬,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등의 혈장 농도가 돌발성 난청 환자에서 증가해 있다는 결과가 있으나 호르몬 및 스트레스의 정량적 정도가 발병 당시 병의 정도와 치료에 대한 반응 또는 예후와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이에 우리는 환자의 심리적 스트레스 요인이 난청의 정도 예측 및 예후인 자로써의 가치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특발성 돌발성 감각신경성 난청으로 원주 세브란스 기독병원 이비인후과에서 입원 치료를 한 15명을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환자는 모두 경구 스테로이드및 항바이러스제, 성상신경 차단술을 시행 받았고, 난청의 정도가 50dB 이상인 환자 에게는 고실 내 스테로이드 주사를 시행하였고 70dB 이상인 환자에게는 고압산소치 료를 추가적으로 시행하였다. 청력검사는 진단 당시, 5일 째 퇴원하는 날, 첫 번째 외래 추적관찰인 2주 후 시행하였으며, 혈장 호르몬 수치는 Cortisol, ACTH, Aldosterone, DHEAS를 입원 1일 째, 5일 째 혈액검사를 통해 측정하였다. 주관적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벡 우울척도와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두 가지의 설문지를 진단 당시 시행하였다. 입원 후 1 일째 시행된 혈청 DHEAS 수치는 진단 당시 난청의 정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p = 0.037, R² =0.293). 또한 1 일째 측정된 혈청 ACTH를 1.5pg/mL를 기준으로 두 그룹으로 나누었을 때, 정상 그룹은 비정상 그룹보다 진단 당시와 퇴원 시 시행한 청력검사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더 나은 청력역치 값을 보였다 (p=0.040, 0.015). 스트레스 관련 설문지에서는 BDI 점수와 최종 청력 검사에서의 청력역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p = 0.015, R² =0.376). 본 연구는 돌발성 난청에서 스트레스 관련 호르몬과 설문지가 병의 정도와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혈청 DHEAS 수치는 돌발성 난청의 진단 당시 난청의 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BDI 점수가 높을수록 최종 청력검사에서 난청의 정도가 심한 것을 보아 치료에 반응이 적을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그러나 내이 및 내 림프 항상성에 대한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에 대한 병리 생리학적인 메카니즘에 대해서는 가설은 있으나 여전히 밝혀진 것이 없다. 또한 스트레스와 난청간의 명확한 선후관계를 파악하기 어려워 추후 대규모 전향적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The effect of antiviral agent therapy for moderately severe to profound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Kim, Beomsoo Soonchunh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23 국내석사

        RANK : 247690

        Objectives : Moderately severe to profound idiopathic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SSNHL) is noted for its poor prognosi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combination of antiviral agents on hearing recovery for moderately severe to profound SSNHL patients. Study design :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medical records. A total of 147 patients treated at Soonchunhyang University Cheonan Hospital between January 2017 and June 2022, were included in the study and classified into group A and group B according to antiviral agent combination. All groups were administered either intravenous glucocorticoid dexamethasone or oral prednisolone and intratympanic steroid injection. Group A received either intravenous acyclovir or oral famciclovir for antiviral agent. Pure-tone audiometry and speech audiometry performed at first week follow-up and 4-weeks follow-up were compar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reatment. The treatment outcome was classified according to modified criteria from American Academy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AAO-HNS) and recovery rate (%) was calculated to compare the treatment effect. Results : On hearing test performed at the first-week follow-up, Pure-tone average (PTA) improved in both groups from 87.45±21.60dB HL to 57.52±36.18dB HL in group A and 88.83±20.80dB HL to 76.96±29.57dB HL in group B. The word discrimination score (WDS) also improved from 10.34±15.95% to 50.07±43.67% in group A and 9.78%±15.98% to 26.24%±34.30% in group B. Group A displayed higher recovery on both PTA and WDS than group B,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On hearing test performed at 4-weeks follow-up, the PTA was 40.07±32.14dB HL in group A and 54.57±30.62dB HL in group B, respectively. WDS was 62.90±41.87% in group A and 49.22±40.55% in group B, respectively. At 4-weeks follow-up, Group A displayed higher recovery on both PTA and WD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treatment outcome classified by modified AAO-HNS guideline revealed a higher rate of complete recovery (CR) for moderately severe-to-severe hearing loss patients in group A than group B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4-weeks follow-up (p=0.023). The rate of hearing improvement and initial degree of hearing loss was quantified into recovery rate (%), and the recovery rate for PTA at first-week follow-up was higher in group A than group B (50.28±23.20% and 18.30±31.33% respectively),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group A on every frequency. Conclusion : The antiviral agent combination therapy resulted in an accelerated treatment response and a higher complete recovery rate in moderately severe-to-severe SSNHL patients treated with an antiviral agent combination on modified AAO-HNS criteria. Furthermore, when comparing the effectiveness of combination therapy with antiviral agents based on the recovery rate (%), patients treated with combination therapy showed a higher full recovery rate and accelerated treatment response with antiviral agents. Combination therapy with antiviral agents should be considered in patients with moderately severe to profound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particularly in patients with moderately severe-to-severe hearing loss. 목적 : 중등고도에서 심도 특발성 돌발성난청은 예후가 좋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이 연구는 중등고도에서 심도 돌발성 난청 환자들의 청력 회복에 항바이러스제 병용 요법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 및 방법 : 2017년 1월부터 2022년 6월까지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에서 돌발성 난청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치료받은 총 147명의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항바이러스제 병용 요법 시행 여부에 따라 group A와 group B 두 군으로 분류하였다. 두 군 모두 전신적인 고용량 스테로이드 투여가 시행되었고 고실내 스테로이드 주입술이 시행되었으며, A군에서는 경정맥으로 아시클로비르 또는 경구강으로 팜시클로비르를 투여받았다. 치료 효과를 판정하기 위하여 치료 1주 후 청력검사와 치료 4주 후 청력검사를 비교하였다. 치료 결과는 평균청력도와 어음명료도의 호전 정도, 미국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회(AAO-HNS) 기준을 수정하여 치료 효과를 비교하였고 또한 회복률 (%)를 측정하여 치료 효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 치료 1주 후 시행된 청력검사에서 A군에서는 평균 순음역치가 87.45±21.60dB HL에서 57.552±36.18dB HL로 호전되었으며, B 군에서는 88.83±20.80dB HL에서 76.96±29.57dB HL로 호전되어 두 군 모두 호전되었다. 어음명료도에서도 A군에서는 10.34±15.95%에서 50.07±43.67%으로 호전되었으며, B군에서는 9.78±15.98%에서 26.24±34.30%로 호전되었다. A군이 평균 순음역치와 어음명료도에서 B군에 비해 더 높은 호전 정도를 보여 주었다 (p-value <0.001). 치료 4주 후 청력검사에서 A군의 평균 순음역치는 40.07±32.14dB HL로 호전되었으며, B군에서는 57.57±30.62dB HL로 호전되어 두 군 모두 호전되었다. 어음명료도에서도 A군에서는 62.90±41.87%로 호전되었으며, B군에서는 54.57±30.62%로 호전되었다. A군이 평균 순음역치와 어음명료도에서 B군에 비해 더 호전 정도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수정된 AAO-HNS 기준으로 분류된 치료 4주 후 치료 결과에서, 중등고도에서 고도 난청 환자들을 선별적으로 비교하였으며 A군이 B군보다 완전회복(Complete recovery) 비율이 높았으며,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회복률(%)로 측정된 치료 1주 후 결과에서 A군에서 B군보다 평균 순음역치와 어음명료도에서 모두 회복률이 높았으며, 각 주파수별 순음역치 회복률도 A군에서 높았다. 결론 : 항바이러스제 병합 요법을 사용한 경우 치료반응을 앞당기었고 수정된 AAO-HNS 기준에 따라 증둥고도에서 심도의 돌발성난청 환자들에서 항바이러스제 병합 요법의 효과를 비교할 경우 항바이러스제 병용 요법으로 치료한 경우 더 높은 완전 회복률을 보였다. 또한, 회복율(%)을 기준으로 항바이러스제 병용 요법의 효과를 비교할 때, 병용 요법으로 치료받은 환자들은 더 높은 완전 회복률과 빠른 치료 반응을 보였다. 중등고도에서 심도 돌발성 난청 환자들에게는 항바이러스제 병용 요법을 고려해야하며, 특히 중등고도에서 고도 난청의 환자들에게 고려해보아햐 한다.

      • 突發性 難聽의 臨床的 考察

        임권수 全南大學校 1988 국내석사

        RANK : 247663

        特異한 耳증상을 앓은 旣往歷이 없이 急進的으로 수시간 또는 수일내에 발병하는 원인불명의 感覺神經性 聽力損失을 야기하는 경우를 突發性難聽이라고 한다. 그 원인, 병인, 치료법에 대해 현재까지 확립된 定說이 없는 실정이다. 저자는 1984년 7월부터 1987년 7월까지 突發性難聽으로 전남대학교 의과 대학 부속병원에 입원한 18명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별 및 환측분포, 발병초에서 초진까지의 시간적 경과에 따른 회복정도와의 관계, 편의상 純音聽力檢査상 聽力形과 難聽 회복과의 상관관계, 聽力損失정도에 따른 예후파악, 및 耳鳴과 眩暈을 동반했을때와 동반하지않았을 경우의 예후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發生頻度는 20대에서 50%(9명) 였고 남자에서 55.56%(10명)였으며 좌측에서 38.9% (7명)였다. 2) 24예의 回復程度에서는 8예(33.33%)에서 完全回復 4예(16.67%)에서 部分回復, 1예 (4.17%)에서 輕度回復, 11예(45.83%) 에서 無好轉을 보였다. 3) 豫後에 관한 조사에서 다음 사항을 관찰할 수 있었다. a) 발병 후 2주이내에 치료를 시행한 환자의 好轉率(60%)이 2주 이후에 치료를 시행한 환자의 好轉率 (25%)에 비하여 좋았다. b) 聽力形이 水平形과 上昇形의 경우에 好轉率(81.8%)이 下降形과 全聲인 경우의 好轉率(30.8%)에 비하여 좋았다. c) 聽力損失이 輕度인 경우에 好轉率(100%) 이 高度나 全聲인 경우의 好轉率(44.44%)에 비하여 좋았다. d) 심한 眩暈을 동반한 경우의 好轉率(16 67%)이 심한 眩暈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의 好轉率(66.67%)에 비하여 낮았다. Author observed eighteen patients of sudden deafness admitted i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uly 1984 to July 1987. To evaluate the incidence and recovery, age, sex, affected side and recovery related to initial hearing loss. severe vertigo and tinnitus, initial audiogram pattern as well as the time of initial visit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 50% (9 patients) in 3rd decade. 55.56% (10 patients) in male, and 38.9% (7 patients) in left side. 2) Recovery evaluated in 24 cases : 8cases(33.33%) of complete recovery. 4cases(16.67%) partial recovery. 1 case(4.17%) slight recovery. and 11 cases(45.83%) no response. 3) In evaluation of prognosis. a) Patients treated within 2 weeks after onset showed better recovery(60%) than those treated 2 weeks or later(25%). b) Flat and ascending type hearing loss had a higher recovery (81.8%) than descending and profound loss (30.8% ). c) Patients with mild hearing loss showed better recovery(100% ) than those with severe and profound loss(44.44% ) d) Patients with severe vertigo showed poorer recovery(16.67% ) than those without severe vertigo(66.67%).

      • 돌발성 난청환자에서 고압산소 병합치료의 효과 판정

        이영섭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Objective : For evaluation of the efficacy for hyperbaric oxygen therapy(HBO) in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SSNHL). Methods : We recruited 218 patients treated for SSNHL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2010 to July 2017.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according to insurance policy applied standard of pure tone audiometry 80dB for Hyperbaric oxygen therapy. Of the patients with higher than 80dB hearing impairment, 47 patients were treated with oral steroid alone, 62 patients were treated with oral steroid and Intratympanic(IT) dexamethasone, and 25 patients were treated with oral steroid and IT dexamethasone and hyperbaric oxygen therapy. Of the patients with lower than 80dB hearing impairment, 53 patients were treated with oral steroid alone, 23 patients were treated with oral steroid and IT dexamethasone, and 8 patients were treated with oral steroid and IT dexamethasone and hyperbaric oxygen therapy. Pure tone audiometry was done on the day of admission, 5th hospital date (day of discharge), 1st clinic follow up date (after 2 weeks from discharge), and finally on the 2nd clinic follow up date (after 1 month from discharge). Recovery was evaluated by pure tone audiometry and was considered recovery when showed 15dB elevation. Recovery duration was evaluated by the date from the first pure tone audiometry to the date of recovery recorded. General characteristic between the groups were evaluated by ANOVA and Chi-square test. Pure tones between the groups were evaluated by ANOVA and Kruskal-Wallis test. Box-Whisker plot was used to evaluate the pure tone distribution and the recovery duration was analyzed by Kaplan-Meir method. SAS v9.4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was considered significant when p<0.05. Results : 3 groups with higher than 80dB hearing impairment were compared for pure tone audiometry recovery gap and duration. P-value for both criteria was 0.0765 and 0.2938, whic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for the 3 groups with lower than 80dB hearing impairment, the pure tone audiometry recovery for oral steroid therapy alone was 22.19dB, the pure tone audiometry recovery for oral steroid and IT dexamethasone therapy was 22.16dB, and the pure tone audiometry recovery for oral steroid, IT dexamethasone, and hyperbaric therapy was 37.71dB, showing that the group with hyperbaric oxygen therapy had better recovery. The p-value for recovery duration was also <0.01, proving that hyperbaric oxygen therapy could also reduce the duration of recovery. The frequency with the biggest recovery was on 250Hz, and 500Hz. Conclusion: Currently, the insurance policy only covers the fee for hyperbaric oxygen therapy on patients with higher than 80dB hearing loss, which is already a severe level of hearing loss less likely to recover even with hyperbaric oxygen therapy. Therefore, we argue for lowering the insurance standard so patients with lower than 80dB hearing loss who are more likely to benefit from the hyperbaric oxygen therapy. 목적 : 돌발성 난청환자에 대한 고압산소 병합치료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0년 1월부터 2017년 7월까지 돌발성 난청으로 이비인후과에서 입원치료를 한 21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난청의 정도에 따라 국가에서 제시한 고압산소치료에 대한 보험급여의 인정기준인 순음청력 80dB이상과 미만의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각 그룹을 치료방법에 따라 세그룹으로 분류하였다. 80dB 이상 환자 중 경구 스테로이드 치료만 받은 환자 군이 47명, 경구 스테로이드와 고실내 주사 치료를 받은 환자 군이 62명, 경구스테로이드 및 고실내주사와 더불어 고압산소 병합치료를 시행한 환자 군이 25명이었으며 구분하였다. 80dB 미만 그룹은 경구 스테로이드 치료만 받은 환자 군이 53명, 경구 스테로이드와 고실내 주사 치료를 받은 환자 군이 23명, 경구스테로이드 및 고실내주사와 더불어 고압산소 병합치료를 시행한 환자 군이 8명 이었다. 청력검사는 입원하는 날, 5일째 퇴원하는 날, 첫번째 외래 추적관찰인 2주후, 두번째 외래 추적관찰인 1개월 후로 추적관찰을 시행하였다. 치료효과는 4 분법에 의한 순음청력검사 역치 상 15dB 이상의 호전을 보일 경우, 그때의 청력과 처음 청력의 차이 값을 호전 정도로, 그 때의 청력검사 날짜와 첫 번째 청력검사 날짜의 차이를 청력회복에 걸린 기간으로 구하였다. 그룹 간 일반적 특성은 ANOVA와 Chi-square 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룹간 순음청력에 대하여는 ANOVA 및 Kruskal-Wallis test를 사용하였다. 청력의 분포를 확인하기 위해 Box-Whisker plot을 사용하였고, 호전기간을 Kaplan-Meier method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SAS v9.4를 이용하였으며, P-value < 0.05인 경우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결과 : 80dB 이상에서 치료방법에 따른 세 군을 비교 하였을 때 치료 효과로 판정할 수 있는 순음청력의 차이 및 호전기간은 각각 P-value : 0.0764, 0.2938 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80dB 미만 그룹에서는 순음청력 차이의 평균이 경구 스테로이드 군은 22.19dB, 경구 스테로이드와 고실내 주사 치료 군은 22.61dB, 경구스테로이드 및 고실내주사와 더불어 고압산소 병합치료를 시행한 환자 군에서는 37.71dB로 다른 군보다 고압산소 병합치료 군에서 효과가 좋았고, 호전 기간에서도 P-value < 0.01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고압산소 병합 치료군에서 빨랐다. 또 주파수별로 분석한 결과 250Hz, 500Hz에서 치료 효과가 가장 컸다. 결론 : 난청의 정도가 고압산소 치료 보험급여 인정기준인 80dB 이상인 환자는 일반적인 치료에도 청력 회복 가능성이 낮은 그룹으로, 고압산소 병합 치료가 큰 도움이 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조금 더 청력 회복 가능성이 높은, 즉 80dB 미만의 환자들에게 고압산소 치료를 적용할 수 있도록 더 많은 연구를 통해 고압산소치료 보험급여 인정기준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