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원왕조와 돌궐1제국(545~630) 관계 연구

        임정운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6

        This paper focused on the study of how a defense was mounted against the Göktürks, who presented the most significant threat to China during the period of upheaval from 545 to 630. The Göktürks were a nomadic empire with a fairly complex system constituting several large forces in the east and west of central Asia. This paper specifically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nese Dynasties and the First Eastern Türk Khaganate, centering on the Great Qaghans which had active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Chinese dynasties. The Göktürks first appear in Chinese historical records in 545 and for the following 80 years they held power as an adversary of the Chinese dynasties. At the time of the Göktürks’ rise, Northern China was in a state of division and was thus unable to mount a proper military defense against the militarily powerful Göktürks. As a result, the Western Wei-Northern Zhou and Eastern Wei-Northern Qi dynasties of northern China combatted Göktürk military threats by providing mass commodities to the Göktürks. The Göktürks took full advantage of the conflict between the Northern Zhou and the Northern Qi, by maintaining a constant balance between the two and not empowering either side. However, the situation began to change as the Sui Dynasty unified Chinese territory. Additionally internal strife began to develop within the Göktürk leadership, and Emperor Wen of Sui used this variable to sew division between the Göktürks. At this time Zhangsunsheng, who had extensive knowledge of the Göktürks, played a heavy role in Göktürk countermeasures. He accurately saw the internal circumstances of the Göktürks and developed measures as needed. Reaping the gains from this success he brought one of the Göktürk Qaghans, Qimin Khan, within the Sui sphere of influence. As a result, the Chinese and Göktürk relationship entered a, however brief, period of calm. However, after the accession of Emperor Yang of Sui, the Sui Dynasty entered a chaotic period of history due to the introduction of over-eager foreign policies, and the Göktürks, capitalizing on this opportunity, once again emerged as a threat to China. From this point until the early days of the foundation of the Tang Dynasty, the Göktürks were a threat to China, engaging in constant invasions of Chinese territory. However, in 627 the Göktürks suffered a severe natural disaster that led to great instability within Göktürk territory as their economic situation worsened. Emperor Taizong of Tang did not miss this opportunity, and in launched an attack on the Göktürks, which in 630, with the successful capture of Illig Qaghan brought the 80-year diplomatic relationship to a close. During the period of the First Eastern Türk Khaganate, China underwent three major changes of its ruling dynasty, and during this period of upheaval the Göktürks presented the most significant threat to China. Therefore, China has no choice but to continuously develop countermeasures and strategies to deal with the Göktürks. Likewise, the Göktürks had their own tactics for dealing with the Chinese, and as a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nese and the Göktürks became one of attack and defense between adversaries. Additionally, each time the Chinese dynasty changed the diplomatic routes of each nation underwent various changes to match the situation. However, in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öktürks and the Chinese, existing scholarship mainly focuses on how the Göktürks were incorporated into the Sino-centric order.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focus on elucid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öktürks and China during the First Eastern Türk Khaganate by covering the majority of articles related to the Göktürks found in historical record. For more than 80 years from 545 to 630, the placidity in the relationship of China and the Göktürks consisted of only the period when Qimin Khan was within the Sui borders, and outside of that period the pattern of the Göktürks threatening China and China paying them off with supplies was repeated. The Göktürks did eventually surrender in 630, but their situation had been worsening since 627, and until that time the Tang had been facing significant difficulty due to the Göktürks. In light of this aspect, the phrase ‘incorporation into the Sino-centric order,’ which is often used when discussing the China and Göktürk relationship, is not entirely appropriate. First of all, looking the Göktürk attitude towards the Tang Dynasty, the Göktürks did not consider ‘incorporation into the Sino-centric order,’ having interest only in obtaining Chinese goods. In addition, China during the First Eastern Türk Khaganate was busy trying to reestablish a hold on its domestic order after several shifts in the ruling dynasty. It must also be noted that Emperor Yang of Sui attempted to establish a ‘Sino-centric order’ and in doing so brought about the collapse of the Sui Dynasty and plunged China into great chao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the First Eastern Türk Khaganate developed along the paradigm of the Göktürks attacking and China defending. In other words, the subject of this paper is proving that these two had an adversarial-aggressor & defender- relationship. 본 논문은 545년부터 630년까지, 격변의 시기의 중국에 가장 위협적이었던 돌궐을 어떻게 방어하였는가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돌궐은 상당히 복잡한 시스템을 갖춘 유목 제국이어서 동쪽과 서쪽에 여러 개의 거대한 세력을 이루었는데 본 논문에서는 직접적으로 중원왕조와 적극적 외교 관계를 맺은 대가한을 중심으로 중원왕조와 돌궐1제국과의 관계를 서술하였다. 돌궐이 중국 사료에 최초로 등장하는 것이 545년이며 이후 80년 동안 중원왕조의 적국으로 군림하였다. 돌궐이 흥기할 당시 북중국은 분열 상태였기에 군사력이 막강한 돌궐을 군사적으로 방어할 수 없었다. 이에 북중국의 서위․북주 그리고 동위․북제는 막대한 물자를 돌궐에 제공함으로써 돌궐로부터 군사적 위협을 막았다. 돌궐 역시 북주와 북제의 갈등 상황을 십분 활용하여 어느 한 쪽에 힘을 실어주지 않았고 둘 사이를 끊임없이 저울질 하였다. 그런데 수가 중국을 하나로 통일하면서 상황은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또 돌궐 지도층에 내분이 발생하였는데 수문제는 이러한 돌궐의 변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가한들 사이의 분열을 꾀하였다. 이 때 돌궐 대책에 대단한 활약을 한 사람은 돌궐에 대한 지식이 해박했던 장손성이었다. 그는 돌궐 내부 사정을 완전히 간파하여 때에 따라 적절한 대책을 내어 놓았으며 또 이것이 성공을 거두어 돌궐 가한들 중 한명인 계민가한을 수의 세력권 내에 두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중원왕조의 돌궐의 관계는 잠시나마 진정 국면을 맞이하였다. 그러나 수양제가 즉위한 후 무리한 대외정책을 펼침으로 수는 혼란한 국면에 빠지게 되었고 돌궐은 이 기회를 틈타 다시금 중국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상하였다. 이후 당 건국 초기까지 돌궐은 끊임없이 중국 영토를 침략하여 중국을 위협하였다. 그런데 627년 돌궐에게 극심한 자연재해가 일어나 돌궐의 경제 상황이 매우 심각한 상태가 되어 돌궐 내부에 큰 혼란이 일게 되었다. 당태종은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돌궐을 공격하였으며 630년 돌궐의 힐리가한을 생포하는데 성공함으로써 80년 동안 지속되었던 외교 관계가 종결을 맺게 되었다. 돌궐1제국 시기 동안 중국은 무려 왕조가 3번 바뀌었고 이 격변의 시기에 중국에 가장 위협이 되는 존재는 돌궐이었다. 따라서 중국은 돌궐에 대한 대책과 전략을 지속적으로 수립할 수밖에 없었다. 마찬가지로 돌궐 역시 그들 나름의 전술이 있었는데 중국과 돌궐의 관계는 이러한 상대를 공격하고 방어하며 전개되었다. 또한 중국의 왕조가 바뀔 때마다 양국의 외교 노선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주를 형성하였다. 그런데 기존의 학계에서는 중원왕조와 돌궐의 관계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돌궐이 어떻게 ‘중국 중심적 질서 체계’에 편입하였는가에 주로 중점을 맞추었다. 이에 본 논문은 사료에 나와 있는 돌궐 관련 기사의 대부분을 망라하여 중국과 돌궐1제국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구현해 보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545년부터 630년까지 80여 년 동안 중국과 돌궐의 관계가 소강상태에 빠져있던 때에는 계민가한이 수의 국경 안에 들어와 있을 때뿐으로 그 이외의 기간은 돌궐이 중국을 위협하고 중국은 재물로써 이를 무마하는 양상이 반복되었다. 630년에 결국 돌궐이 항복을 하긴 하였으나 돌궐의 상황이 안 좋아진 것은 627년경부터이며 이전까지는 당은 항상 돌궐로 인하여 곤란에 빠졌다. 이러한 양상으로 볼 때 중국과 돌궐의 관계를 논할 때 많이 나오는 ‘중국 중심 질서 체계로의 편입’이란 개념은 적절하지 않다. 일단 당에 대한 돌궐의 태도를 보면 돌궐은 오로지 중국의 재물에만 관심이 있었을 뿐, ‘중국 중심의 질서’에 대하여 고려조차 하지 않았다. 게다가 돌궐1제국 시기의 중국은 여러 번 교체되는 왕조로 인하여 국내 질서를 바로잡기에 급급한 실정이었다. 수양제가 ‘중국 중심의 질서 체계’를 구축하고자 시도는 하였으나 이로 인하여 수는 패망하고 중국은 대혼란에 빠지게 되었음을 주지해야 한다. 중국과 돌궐1제국의 관계는 돌궐은 공격하고 중국은 방어하는 형태로 전개되었다. 즉 이 둘은 ‘공수관계’였음을 증명하는 것이 본 논문의 주제이다.

      • 唐 前期 突厥·吐蕃 政策 硏究

        추교순 충북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805

        唐代史 연구 중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다루어지는 부분은 제국의 개방성과 국제적인 면모일 것이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는 隋·唐 제국의 성립과정에서부터 형성된 제국의 개방성 내지는 국제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점이 있었다. 그 원인 가운데 하나는 중국 역사의 발전에 대해 秦·漢 이래 줄곧 漢族 중심의 역사로 설명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唐 전기 시행된 돌궐과 토번에 대한 이민족 정책을 통해 大唐제국의 국제성과 개방성의 배경을 고찰·분석했다. 그 범위는 內治와 번영을 기준으로 하여 唐 前期 太宗·高宗·武則天의 武主시대까지 설정했다. 이 시기 唐 왕조는 자영농을 기반으로 한 均田制·租庸調·府兵制를 근간으로 하여 중앙집권적인 율령체제가 운영되고 있었다. 또 府兵制를 기초로 하는 都護府?都督府?鎭守防人制에 의한 羈?支配가 효율적으로 작용되고 있었으며, 7세기 말 돌궐이 부흥하여 돌궐 제2제국을 성립시킨 무주시대까지도 돌궐?토번과 화친정책을 견지하며 동투르키스탄을 지배하는 등 번영의 시대를 누리고 있었다. 중국의 역사는 4세기 초 이민족 五胡 정권이 中原에 수립되면서부터 중국은 북방 민족과 대거 융합을 이루게 되었고, 6세기 말 鮮卑族 출신에 의해 隋·唐의 남북통일 왕조가 수립되었다. 이 시기 중국의 서북 변경에는 강력한 돌궐제국이 출현했는데. 630년 唐 太宗에 의해 동돌궐이 멸망하고 한족의 통치 질서 속에 융합되어 중국 역사에서 새로운 한족이 생겨났다. 그리고 이 시기 형성된 민족 구성원이 지금의 중국인의 원형을 이루고 있다. 이처럼 한족이 북방 민족의 새로운 피를 계속 수혈하면서 새로운 한족의 틀을 갖추고, 이민족의 문화를 융합해 당 문화를 이루게 되는데, 그 정점에 돌궐과 돌궐정책이 있었다. 즉, 唐이 돌궐에 실시한 정책은 대당제국이 표방한 개방성과 국제성을 설명하는 키워드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資治通鑑』·『舊唐書』·『新唐書』·『貞觀政要』등의 자료를 통해 唐代 전기(太宗부터 武則天 까지)를 크게 두 단계로 구분하여 唐과 突厥관계 및 唐과 변경정책 및 이민족에 대한 정책을 분석했다. 특히 현재까지 唐과 돌궐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소홀히 취급된 武則天과 武周 시기의 돌궐 정책을 太宗 연간과 연계하여, 太宗의 이민족 정책이 武則天의 武周 시기에 어떻게 실현되었으며 그 차이점은 무엇인지 분석했다. 이 분석을 통해 대당제국의 번영을 상징하는 개방성?국제성의 배경을 모색했다. 唐帝國의 개방성?국제성을 문명사적 측면에서 고찰해 보면, 西晉 末期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西晉末, 중국 북방에 출현한 五胡(匈奴???鮮卑???羌)가 長城을 넘어 중국 내지로 들어와 중원 지역에 각각 자신의 왕조를 건립하면서 北朝의 시대를 열었다. 이들은 오랜 역사를 가진 서역 문명, 즉, 고도로 발달한 페르시아·인도 문명과 교류하였고 이를 받아들였다. 五胡의 이민족 정권 북조와 함께 江南에 세워진 南朝의 귀족 문화도 서역 문화를 수용하여 중국의 찬란한 六朝文化를 탄생시켰다. 남북조 시대 분열을 마감하고 통일왕조를 성립시킨 隋·唐 왕조는 秦·漢 시대에 이룩한 중국 고유의 漢族 문화와 南北朝 시대 五胡를 통해 받아들인 페르시아?인도 문명을 융합하여 새롭고 찬란한 唐帝國의 문명을 태동시켰다. 민족적 측면에서 고찰하면, 隋 王朝를 건립한 楊氏와 唐을 세운 李氏는 실제로 북방 이민족의 혈통을 계승한 인물들이다. 때문에 隋·唐의 통일은 魏?晉南北朝의 五胡와 唐의 건국에 관여한 흉노?돌궐족 등 북방 민족의 피를 수혈하여 새로운 한족을 형성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民族 대융합을 완성한 太宗의 민족 정서는 맹자가 말한 ‘내 민족이 아니면 그 마음이 다르다(非我族類, 其心必異)’는 周나라부터 통용되던 漢族을 우월시하는 정서가 아니었다. ‘夷狄 역시 사람이다. 그 마음(情)은 中華와 다르지 않다(夷狄亦人耳, 其情與中夏不殊)’는 입장이었다. 거기다가 ‘무릇 덕택이 베풀어지면 四夷도 一家처럼 될 수 있다. 猜忌가 많으면 골육도 원수나 적이 되는 것을 피하지 못한다(皆德澤洽則四夷可使如一家, 猜忌多則骨肉不免爲仇敵)는 담대한 포용력으로 거부감 없이 북방 이민족을 중국인으로 받아들여서 출신 민족에 상관없이 능력 중심으로 인재를 선발하여 임용했다. 민족융합에서의이러한 담대한 개방과 포용력으로 찬란한 大唐帝國의 국제문화를 이룰 수 있었다. 唐 太宗 貞觀 4년(630) 동돌궐을 멸망시킨 후, 太宗은 이민족 포용정책을 적극적으로 실시하여 서북 변경을 안정시키면서 이 지역을 관할하는 羈?政策을 실시했다. 기미 정책은 唐 이전의 왕조에서 이미 실시된 적이 있었다. 그러나 태종 연간 기미부주의 설립은 唐이 동돌궐을 멸망시키고 귀부한 詰利의 부족 및 돌궐에 복속되어 있던 여러 이민족을 받아들이면서 그들을 통치하기 위해 설립한 새로운 제도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貞觀 4년(630), 돌궐의 四結部가 唐 왕조에 항복하자 이들을 朔州에 안치했다. 당시 朔州刺史 張儉은 귀부해온 四結部의 ‘招慰安集’ 책임을 맡았는데, 張儉의 이들에 대한 措處는 기강을 지키게 하고 羈?(但存紀綱, 羈?而已) 만 하는 방식이었다. 張儉의 방식을 모범으로 한 唐代 羈?部州 정책은 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첫째, 羈?部州 내에 唐의 政令을 관철시키는 것. 둘째, 법률을 실시하는 것. 셋째, 군대 동원을 목적으로 하며 조세 징수를 담당하는 것이다. 이것은 唐帝國이 형식적으로 都督府와 州의 행정조직을 통해 제국의 주변을 관할한 것이다. 太宗 貞觀 4년부터 8년까지 突厥 部族을 안치하기 위해 唐은 동쪽 幽州부터 서쪽 靈州 일대에 걸쳐 化?順?祐?長의 4都督部를 설치하였다. 이 해 5월, 唐 조정은 귀부한 突利를 順州都督에 임명하고 그 管轄下에 여러 추장들을 두어 통솔하도록 했다. 또한 귀부한 阿史那蘇尼失을 懷德郡王에, 阿史那思摩를 右武侯大將軍 懷化郡王으로 임명해 河南 땅에 있는 詰利의 옛 部族을 통솔하도록 했다. 이렇게 돌궐에 적용한 羈? 정책은 이후 다른 이민족에게도 적용되어 여러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이처럼 部族의 추장을 구분하여 羈?府州의 都督과 刺史로 임명하는 한편, 돌궐 및 서북쪽 君長의 이민족들 중에 귀부해 長安에 온 자들에 대해서는 모두 將軍?中郞將 등의 관직을 내렸는데, 5품 이상이 1백여 명에 이르렀는데,『資治通鑑』의 기록에 근거하면, 이들이 거의 조정 벼슬아치의 반이었다(殆與朝士相半)고 한다. 長安에 거주한 돌궐인은 1萬 家에 달했다. 이와 같이 돌궐 귀족들은 대부분 장안에 들어와 정착했고, 돌궐 부락은 중국 내지로 들어와 중국인으로 융합되어 살게 되었다. 太宗의 이민족 정책과 변경 정책은 전통적인 華夷觀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즉, 이민족을 교화하여 中華 질서 안에서 그들을 안정시키고 위무하려는 통치책이다. 그러나 그 어떤 시대 보다 인도적이고 대담한 포용성을 갖고 있다. 太宗의 이러한 이민족 포용 정책은 이후 來附한 여러 민족에게 같은 기준으로 적용되었다. 이로 인해 唐에 귀부한 이민족은 돌궐뿐만 아니었다. 사방의 이민족이 귀부했고, 이들은 태종에게 天可汗의 칭호를 바쳤다. 太宗은 명실공히 서북방 이민족의 首長으로 추대되어 내 몽고, 西域 동투르키스탄 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高宗은 太宗이 물려준 안정된 政局을 기반으로 해, 唐帝 國의 통치영역을 서북쪽으로 계속 확대시켜 나갈 수 있었다. 高宗 永徽 元年(650)부터 弘道 元年(683)까지 30여년 통치 기간에 서돌궐과의 몇 차례 군사적 충돌이 있었지만, 龍朔 3년(663)부터는 서북 변경을 안정적으로 통치하고 실크로드를 관할하기 위해 이곳의 행정 구역을 조정했다. 燕然都護府를 回紇 지역으로 옮기고 瀚海都護府로 명칭을 고쳤다가 후에 다시 安北大都護府로 변경했다. 원래 瀚海都護府는 雲中古城으로 옮긴 후 雲中都護府로 명칭을 고쳤는데 후에 다시 單于大都護府로 바뀐 것이다. 이러한 제도를 통해 볼 때, 서역의 통치가 제도적으로 더욱 완비되어 태종 통치 때 보다 唐은 더 넓은 영토를 관할하게 되었고, 서쪽으로 진출을 꾀하여 세계제국의 영역을 확보하고 정치적 영향력을 전파했다. 그러나 調露 元年(679)부터 돌궐 부락이 이반하고 토번이 흥기하면서 唐의 변경 정책과 이민족 정책에 문제가 발생했다. 때마침 顯慶 5년(660)부터 武則天이 唐의 정치에 관여하면서 內治에도 문제가 발생했다. 武則天 연간의 변경 정책은 태종의 정책 그대로 ‘반란하면 征伐하고, 항복하면 安撫한다’는 방침은 武周 정권에도 계승되었다. 그러나 高宗 調露 元年부터 後돌궐이 흥기하고, 吐藩과 거란 역시 강성해져서 변경을 압박했는데, 가장 큰 위협은 吐蕃이었으므로, 唐의 서북변경 정책은 이 지역에 역점을 두어야 했다. 唐과 토번 관계는 吐蕃王 棄宗弄讚이 638년부터 계속 唐 황실에 혼인을 요청하면서 정식으로 교류하기 시작했다. 貞觀 14년(640), 태종은 宗室의 딸 文成公主를 棄宗弄讚에게 시집보내고 토번과 화친관계를 수립했으나, 吐蕃은 高宗 후반부터 강성하여 武周 연간에 서북쪽과 서남변경을 중심으로 영토를 확장하며 중국과 대치했다. 고종 후반부터 당왕조는 중점적으로 서북지역 방어에 치중했는데 이러한 상황은 武周의 시대로 계속 이어졌고, 武周 정권의 서북 지역에 대한 정책에서 큰 변수로 작용했다. 唐과 吐蕃 관계는 군사적 충돌은 咸亨 元年(670)부터 빈번해졌고, 설상가상으로 調露 원년(679), 돌궐의 阿史德溫傅와 阿史奉職의 반란이 발생해, 토번과 돌궐이 연동하여 唐의 서북 변경정책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唐이 서역에 설치한 羈?部州가 축소되었다. 670년 여름 4월에 토번이 서역에 위치한 唐의 18개 주를 함락시키고 于?과 더불어 龜玆의 撥換城을 습격해 함락시키자 唐 조정은 安西四鎭(龜玆?于??焉耆?疏勒)을 폐지했다. 토번의 침략을 방어하기 위해 우위대장군 薛仁貴를 나사도行軍大總管으로 삼고, 좌위원외대장군 阿史那道珍과 좌위장군 곽대봉을 부장으로 임명해 토번을 공격했다. 당시 토번은 祿東贊의 아들 論欽陵이 군대 40만을 거느리고 薛仁貴 군대를 공격하여 대비천에서 대승을 거두었다. “당의 군사는 대패하여 병사들은 죽거나 다쳐서 거의 없어졌다”고 『資治通鑑』은 기록하고 있다. 弘道 원년(683), 고종이 세상을 떠나고 무측천이 권력을 장악하고 통치한 시기 토번은 여전히 서북 실크로드의 강력한 세력으로 확장하고 있었다. 長壽 원년, 西州都督 唐休璟이 무측천에게 상소하여 회복할 것을 요청했다. 무측천은 이 상소를 받아들여 명장 王孝傑을 선발하여 총 책임자로 임명하고 토번을 공격하도록 하여 安西四鎭을 회복했다. 長安 2년(702) 9월, 武則天은 長安 大明宮 麟德殿에서 토번 사신 論彌薩을 접견했는데, 唐休璟이 토번과의 전쟁에서 무적의 인물로 알려졌다는 것을 알고 左武衛金吾二衛大將軍으로 임명했다. 武則天 長壽 元年의 기록을 보면, 토번의 ?項 부락과 또 토번 추장 曷蘇의 귀부를 적극 받아들이고 있고, 성력 원년(699), 토번의 贊婆릉 특진 貴德王에 봉하여 화친을 받아들이고 있다. 萬世通天 원년(696) 論欽陵이 사신을 파견하여 무주 조정에 安西四鎭을 다시 돌려달라고 한 사례를 통해 볼 때, 고종 연간과 다르게 군대를 파견하여 정벌하기 보다는 화친 정책을 취하고 있는데 이것은 서북 변경 상황이 돌궐?거란의 흥기와 맞물려 있었기 때문이다. 본문에서 살펴봤듯이 武則天의 변경정책과 이민족 정책은 실질적으로 太宗과 高宗의 시대를 계승한 것이었다. 무측천이 적극적인 정벌 혹은 포용과 화친을 번갈아 채택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변경 지역의 세력관계가 복잡하게 형성되어 상황이 태종?고종 때보다 불리하게 작용했다. 그러나 무주시기는 국내적으로 자영농을 기반으로 한 均田制·租庸調·府兵制 및 율령체제가 잘 운영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都護府?都督府?鎭守防人制에 의한 羈?支配가 효율적으로 작용되고 있었다. 또 폐지된 安西四鎭(龜玆?于??焉耆?疏勒)를 회복하여 唐 왕조의 영토를 유지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민족 관계에서도 돌궐?토번과 가능한 한 태종의 화친정책을 유지하여 都護部?羈?支配에 의해 동투르키스탄을 지배하고, 흥기한 새로운 이민족에 대해서는 화친을 통해 대당제국의 질서 안으로 포용하고자 했다. 또 문화적으로 번영의 시대를 유지해, 당전기의 대당제국의 번영에 가교역할을 해서 玄宗으로 하여금 가장 발전한 대당제국의 시대를 펼치도록 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해야 된다. 本?文意欲通?唐代前期?突厥采取的政策,解析唐代的?疆政策以及??民族的?治。唐太宗?期形成的?周??家的?系?以后唐朝的??性?生巨大的影?。因此本文在唐太宗?期?民族政策中尤其重???突厥的?系,把重点放在在唐代前期采取?疆政策的?程中起到重用的突厥。 本?文的?目?然是“?唐朝前期?突厥的政策”,但是,?了具?分析唐朝?突厥的?系,首先??分析突厥的?起?唐朝以前北周和隋朝?期中??突厥的?系。534年,?卑族政?北魏被分??魏和西魏,拓跋皇帝的?治?束后?魏被北?取代,西魏被北周取代,出?了新的王朝。???期的突厥?中?北方的王朝保持?密?系,在?事方面取得?展。?,突厥在???候?中?北方政局混?的机?,?中??行政治、??、文化交流。 第二章重点分析唐王朝成立以前中?王朝?突厥的?系。突厥?6世?中?到8世?中?向西向??大?土,?中?的?王朝以展?武力?突或者和?政策的方式?行交流。也就是?突厥???不是??在唐朝成??疆政策的重点事?。相反,魏晋南北朝?期中?的混?局?,以及隋唐建立?一王朝之前的局?更多?中?王朝??不?定的政治影?。因此第二章就介????期的突厥?系,分析其?唐朝?突厥和?民族采取的政策??的影?。 第三章介?的是本?文的核心?容。首先,本章分析的是唐高祖武德年?(618~626)的突厥?系。其中武德9年(626)7月?生的“玄武?之?”?唐朝的?力??和?疆政策??巨大影?。通?玄武?之?成?皇帝的李世民在采取?突厥的政策的?候?生了??。618年,唐朝成立已?8年,但是仍然?有在?突厥的?系上占??。唐太宗?位之前也就是626年以前,唐朝以施?突厥?多????持和??系。 此外,?章?分析了本?文的主要?容。?太宗??4年(630)唐?在?掉?利可汗的?突厥后???待突厥人的。太宗通??柔政策和大?模的征?打?了突厥的大可汗?利。?位?4年,太宗就解?了突厥??,?定了西北?境,?可以?是一?卓越的?民族政策。太宗??民族的政策和?西北?疆的?治方??以后的皇帝提出了榜?。太宗???代在突厥乃至?多?民族?系上??了大唐帝?的政治?范。?其背景,本?文通?太宗的?疆政策???民族的包容政策以及如何把?附的?民族安?在帝???加以介?。?,通?太宗的??政策唐朝?西域各?交流?展,展?其?放性???性。 第四章和第五章主要以高宗和武?天?治?期?中心分析突厥?系。唐高宗?承太宗的政策,?行?疆?民族,?治?民族。?永徽元年(650)到弘道元年(638),高宗共?治了33年,他以太宗留下的?定政局?基??大了西北?疆的?治?域。因??630年太宗??突厥到高宗?露元年(679)???于都?府的??府州?生突厥叛?之前,?疆地??有?生?模大的?事?突。 ???期的唐朝?了加强?北方的?治,??行政上加以控制,??于都?府和瀚海都?府以?治各民族。?朔3年(663),?了加强?回?地?的?治,唐朝?整行政?域,把燕然都?府?到回?地?,改名?瀚海都?府,后又改?安北大都?府。原?的瀚海都?府?到云中古城后改名?云中都?府,后?又改??于大都?府。通???的制度可以看到高宗年?的西北?治?域比太宗?期更??大。但是?着?露元年(679)突厥部落的?叛和吐蕃的?起,唐朝只好又把?疆政策和?民族政策放在重要位置上。尤其是?高宗??5年(660)?始武?天??了朝廷的政治,所以??期的突厥?系和?疆?????日后的武?天的武周?期有?系。?高宗?露元年(679)?始分析?突厥?系的?化??疆政策,就可以看到?以后武?天?期有什???。本?文的第五章分析了?承太宗和高宗的政治?????武周?代的武?天的?疆政策?民族政策具有什?特征。 ?于武?天?武周?代的?疆政策,?者?提出以成功?失??准的相反意?。一些?者?????期的西北政策是成功的,因?恢?了高宗年?被吐蕃?取的安西四???置北庭都?府,制住西突厥,?保??之路。但是?此持以?面?度的?者?主?比太宗?治年?西北?疆更?萎?,特?是在?民族政策方面也失?。他?以???解?中心?明武?天?武周?期西北?疆??和?民族?系。 ?者?指出?武周?期的突厥政策???面影?的是武周政?的不?定性。武?天在掌?之后建立武周政?,?政治上打?唐朝的李氏血族。武?天政?的?臣?竟是唐王朝的臣下,因此他?不希望唐朝被武氏的武周替代。最后,朝廷的大臣?等待武?天死后?力回到唐王朝的手中。 王朝的?疆政策的成功?否基本上??治有?。如果武?天的?疆政策?有被有效?行,就可以?在??方面?太宗和高宗?期有差?。因此,本文分析了武周政?的政治?境?突厥政策?生什??的影?。通???具??明太宗?期的?民族政策和突厥?系在武?天和武周?期如何得以??,其差?是什?。?武?天和武周?期的?疆政策?看,重点?是突厥。但是在突厥?起以前令武周政?困惑的是吐蕃和契丹。太宗?期?着文成公主的?婚?行和?政策,唐朝?吐蕃?系?持和平?系,到了??元年(676),吐蕃攻??海和甘?,?唐朝?生了武力?突。唐朝派???和黑?常之?退吐蕃。黑?常之在?吐蕃的??中?然取得了一些?利,但是吐蕃主?了?斗。工部?????兵?被?。唐朝越?越?吐蕃??所困?。因此唐朝的?疆政策都集中在吐蕃上。 高宗年?的?疆政策可以?是?承了太宗?期的政策,通?和??求融合。?疆政策采取“叛?伐,降??”方?,但是?于吐蕃的征?却?有取得大的成效。其原因在于唐朝的政治??。到了高宗的?治后期,武?天?朝廷的行使强大的影?力。此外,?于吐蕃强盛起?的原因,可以?吐蕃自身的政?中?到。吐蕃膨?后???年??始?次侵略西北?境,?可能是吐蕃?力?起后想把?力??到西部??之路天山南路。??的吐蕃政治?定?事??,其?力延伸到唐朝西南?界四川省中南部和云南省地?,成?最威?唐朝的?力。 ??的局面延?到武?天完全掌握?力的武周?期。武周?期的?疆政策里增加了?突厥?力和吐蕃以及契丹的征伐。在征伐吐蕃的?候,裴行?、黑?常之、程?挺等人立了功?。??的?疆政策?承唐太宗的政策,?用征伐和和?。在?疆政策上安?和和?被重?。可以?武?天在?疆政策和民族??上?承太宗的政策,?大了唐朝的?土,在?各民族?系方面向周?炫耀了威?。?然也有些人???后突厥默?可汗的政策?有取得成功,但是?整???,???期?承了太宗?期的民族?系和?疆政策,采取了?放、包容的?度。 通?分析唐朝前期突厥政策,??有助于理解唐朝的西北政策和?周??家的?系。唐帝?之所以?七世?中?到八世?中?建立大唐帝?,是因?以?放的???系作?基?,而其??第一步的?象?是???唐朝交流最密切的突厥。因此,本?文就以太宗年?到武?天的武周?期的突厥?系?主,分析了唐帝??疆政策的特征??化。

      • 高句麗와 北方民族의 관계 연구 : 鮮卑.契丹.柔然.突厥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강선 淑明女子大學校 2003 국내박사

        RANK : 247803

        Koguryo(高句麗) was related to the various nations because of its location. Especially the relation of Koguryo and the northern nations appeared variously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Koguryo and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f the northeast Asia. The first northern nation related with Koguryo was Hsien-pei(鮮卑). Hsien-pei Mu-jung tribe(慕容部) and Koguryo crashed several times because their borderlines adjoined each other. King Michon(美川王) of Koguryo pressed Mu-jung tribe by driving the foreign expansion policy. But Mu-jung tribe was getting powerful and established the Earlier Yen(前燕). The Earlier Yen invaded Koguryo and was subsided its capital, and then took King kogugwon(故國原王)s mother. Koguryo had to bring a tribute to the Earlier Yen to be come back kings mother. After that time Koguryo had been powerful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the national system. Koguryo drove the foreign expansion policy again. Meanwhile in China, the Earlier Chin(前秦) unified the northern china. But a little later the Earlier Chin had been weak that the Earlier Chin fought against the East Chin(東晋) and was defeated. The northern china was divided again and Mu-jung tribe established the Later Yen(後燕). Koguryo and the Later Yen were hostile each other. These time the Kitan(契丹) located in the northwest of koguryo invaded Koguryo. But Kitan did not organize the unified political system and could not intimidate Koguryo strongly. Koguryo strengthened an attack against Kitan. Kitan was getting weak and a part of its tribes became the army of Koguryo. Koguryo made use Kitan army when the war was broken out. Meanwhile in China, the Northern Wei(北魏) unified the northern china again and was keeping up rivalry against Jou-jan(柔然) of the north. Koguryo united with Jou-jan to restrain the Northern Wei. Koguryo succeeded in the restraint policy against the Northern Wei and drove the southward expansion policy. Koguryo transfered its capital to Pyongyang(平壤) and invaded Hansong(漢城), the capital of Paekche(百濟) later. In 6th century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f the northeast Asia had changed extensively. The northern Wei divided the east and the west. Jon-jan was getting weak by the intimidation of Tu-ch eh(突厥). Especially Tu-ch eh invaded Koguryo to prevent an alliance of Koguryo and Jou-jan. Koguryo also lost the area of the Han river by the allied forces of Paekche and Shilla(新羅). Koguryo could not deal with an invasion of Paekche and Shilla because of its internal trobles. In 555 Tu-ch eh was collapsed Jou-jan and appeared as a supreme ruler of the northern area. A little later Sui(隋) and Tang(唐) established the unified empire in turn in china. Sui and Tang, both of them endeavored to weaken Tu-ch eh. That was why Tu-ch eh intimidatided the security of the empire. As well Sui and Tang invaded Koguryo several times. But they could not defeated Koguryo because of the strong resistance of Koguryo. But Tang succeeded to weaken Tu-ch eh and then invaded Koguryo with Shilla later. At that time Koguryo could not unite with Tu-ch eh because Tu-ch eh was under Tang. Finally Koguryo was in an isolated situation and was collapsed. Koguryo was an advantageous post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the northeast Asis when Koguryo took the leadership in the relation with the northern nations. The other side Koguryo was in a difficult situation when Koguryo lost the leadership. In this view point the relation of Koguryo and the northern nations has an important meaning in Koguryo history. 고구려는 지정학적인 특징 때문에 건국 초기부터 주변의 여러 민족과 접촉하며 발전하였다. 그 중에서도 고구려와 북방민족의 관계는 고구려의 국내 정세와 동북아시아의 국제 정세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고구려는 북방민족의 침입으로 피해를 입기도 했으나 때로는 이들과 연계하여 중국 세력을 견제하기도 하였다. 본고에서는 鮮卑·契丹·柔然·突厥을 중심으로 고구려와 북방민족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고구려가 가장 먼저 접촉한 북방민족은 선비였다. 『三國史記』의 기록에 의하면 고구려와 선비가 처음으로 접촉한 시기는 기원전 9년이나 본격적인 접촉은 3세기경 선비 慕容部가 요서 지역에 진출하면서부터였다. 고구려와 국경을 접하고 있던 모용부는 날로 세력이 강대해지면서 고구려를 위협하였다. 고구려는 선비족 내에서 부족의 주도권 다툼이 일어나자 이를 이용하여 宇文部·段部와 연합세력을 형성하고 모용부를 견제하였다. 그러나 고구려의 견제 노력은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오히려 모용부의 침입을 받았다. 그 후 고구려는 美川王의 대외팽창 정책으로 모용부와 충돌하게 되나 모용부가 前燕을 건국하고 고구려를 압박하자 고구려의 팽창정책은 위축되었다. 전연은 중원 평정이라는 목표를 세우고 일련의 체제정비를 통해 착실히 국력을 축적하였다. 전연은 중국 대륙으로 진출하기에 앞서 고구려를 제압함으로써 후방의 불안 요인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드디어 전연은 고구려의 방어가 치중되어 있는 평탄한 北道 대신 험난한 南道를 택해 침입을 감행하였다. 고구려는 전연의 전략을 간파하지 못하고 북도의 방어에 치중하다 수도가 함락 당하고 故國原王이 피난 가는 참패를 당하였다. 더군다나 고구려는 왕의 어머니가 전연에 볼모로 잡혀가자 전연과의 관계에서 저자세를 보일 수밖에 없었다. 고구려는 왕의 어머니를 송환받기 위해 전연에 朝貢을 바치고 稱臣하였다. 그 후 고구려는 전연과의 전쟁에서 참패당한 것을 교훈 삼아 일련의 체제 정비를 통해 국력을 강화하는 데 노력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고구려는 중흥의 발판을 마련하고 廣開土王대를 거치면서 최고의 전성기를 구가하였다. 한편 중국에서는 前秦이 일시적으로 북중국을 통일하나 水戰에서 東晋에게 참패당하여 급격히 세력이 약화되자 북중국은 다시 분열되었다. 이 틈을 타 모용부는 後燕·西燕·南燕을 차례로 건국하였다. 그 중 고구려와 국경을 접하고 있던 後燕은 여러 차례 고구려와 공방전을 펼쳤지만 고구려에 밀려 점차 쇠퇴하였다. 이 시기 선비 우문부에서 갈라져 나온 거란이 처음으로 고구려의 변경을 침입하였다. 고구려가 契丹과 처음 접촉한 것은 소수림왕 8년(378년) 때이다. 중국 史書 중 거란에 대해 처음으로 기록한 책이 『魏書』이므로, 고구려가 중국보다 일찍 거란과 접촉했다고 할 수 있다. 거란에 대한 고구려의 반격은 광개토왕 때부터 이루어졌다. 광개토왕은 거란족의 일부인 稗黎를 치고 큰 전과를 올렸다. 그런데 선비와 달리 거란은 통일된 정치세력을 형성하고 있지 못해 주변 국가들의 침략의 대상이 되었다. 479년 고구려가 柔然과 공모해 地豆于 분할을 모의하였는데 그 와중에 고구려의 침입을 받은 거란의 8부 연맹체가 붕괴되었다. 고구려에게 쫓긴 거란은 大凌河 동쪽으로 옮겨가 정착하여 북위에 의탁하였다. 이후로도 고구려는 거란에 대한 공략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이들을 附庸兵으로 활용하였다. 고구려의 입장에서 유목민인 거란은 잘 훈련된 騎兵의 확보라는 측면에서 군사력 강화에 많은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또한 고구려는 거란을 세력권 내에 두고 적절히 통제하여 지속적으로 말을 확보하는 데에도 노력을 기울였을 것이다. 그런데 고구려의 거란에 대한 정책이 주로 거란을 군사적으로 이용하는 것이었던데 반해 柔然에 대한 정책은 이와 다른 것이었다. 북위의 북쪽에 자리잡은 유연은 거대한 유목제국을 형성하고 북위를 위협하는 세력이었다. 북위와 국경을 접하고 있던 고구려는 북위와 유연의 적대적 관계를 이용하여 유연과 連和함으로써 북위를 견제하는 정책을 취하였다. 이처럼 북위를 견제하려는 고구려의 정책은 유연의 이해와도 일치하는 것이어서 당시 동북아시아는 북위를 둘러싸고 고구려와 유연 그리고 南朝가 서로를 견제하며 세력균형 상태를 이루고 있었다. 4강 구도 속에서 전개된 국제정세는 고구려의 대외관계에 유리한 여건을 조성하였다. 서부 국경에서 안전을 확보한 고구려는 남진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平壤遷都를 단행하고 신라와 백제를 압박하였다. 또한 고구려는 물길이 북위와 연결하여 고구려를 압박하려고 하자 유연과 연계하여 이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였다. 즉 고구려는 물길과 북위의 연결 통로를 차단하기 위해 유연과 모의하여 지두우에 대한 분할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6세기에 들어와 동북아시아 국제정세의 변화는 고구려의 대외관계에도 영향을 주었다. 북위가 동서로 분열되고 북방에서는 突厥이 부상하여 유연을 위협하였다. 이것은 4강 구도 속에 유지되어 오던 동북아시아의 국제 질서에 변화를 가져왔다. 고구려는 북위의 분열에 대해서는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았지만 돌궐의 부상에 대해서는 주목하였다. 돌궐이 鐵勒을 격파하자 고구려는 신성과 백암성을 수리하고 서북방의 국경수비를 강화하였다. 『三國史記』기록에 의하면 고구려와 돌궐이 처음으로 접촉한 것은 551년이다. 그런데 돌궐이 유연을 격파한 해가 555년이므로 551년에 고구려를 침입하였다는 것은 연대에 문제가 있다고 보기도 한다. 하지만 고구려와 유연의 우호적인 관계를 잘 알고 있던 돌궐은 유연을 치기에 앞서 고구려와 유연의 연계를 경계했을 것이다. 때문에 돌궐은 유연을 본격적으로 치기에 앞서 고구려를 침입했을 가능성이 있다. 돌궐이 유연을 본격적으로 공격하기 시작한 것은 552년부터이므로 그 전 해인 551년에 고구려를 침입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즉 돌궐은 고구려와 유연의 연계를 차단한 후에 유연에 대한 공략을 본격화하였다고 생각된다. 한편 중국 대륙에서 오랜 분열기를 마감하고 隋와 唐이 차례로 건국되자 동북아시아의 국제정세는 급변하였다. 수·당은 건국과 동시에 북방문제에 대해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역대로 북방민족은 중국의 안전에 심대한 영향을 끼쳤기 때문에 북방민족에 대한 대책은 중요하였다. 수는 돌궐과 혼인관계를 통해 우호관계 유지에 힘쓰나 돌궐이 중국의 영향하에 놓이게 된 때는 당나라에 들어와서 이다. 당은 대규모의 토벌에 이어 羈 정책을 실시하여 돌궐세력을 약화시키고 지배하는데 성공하였다. 이 여세를 몰아 당은 고구려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였다. 이 전에도 고구려는 여러 차례 수와 당의 침략을 받았으나 막강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침략자들을 물리치는 데 성공하였다. 오히려 수는 고구려에 대한 무리한 원정이 내부 반란을 야기시켜 멸망하였다. 그러나 연개소문 死後에 고구려의 지배층이 분열된 틈을 타서 신라와 연합군을 결성한 당이 침입하자 고구려는 힘없이 무너졌다. 과거 남북조 시기 고구려는 유연과 연계하여 북위를 적절히 견제함으로써 대외적으로 유리한 여건을 조성하고 동북아시아 4강 구도의 한 축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7세기의 국제 상황은 고구려에 불리하게 전개되었다. 북방의 돌궐은 이미 당의 지배하에 놓인 상태이고 고구려는 홀로 당에 맞서야 하는 상황이었다. 고구려는 돌궐과의 연계가 곤란해진 상황에서 백제마저 멸망하자 국제적으로 고립되었고 이것은 결국 고구려가 멸망한 한 요인이 되었다. 고구려의 대외관계에서 북방민족이 지니는 의미는 여러 가지로 볼 수 있다. 고구려와 선비의 관계를 보면 빈번한 전쟁으로 인해 고구려가 타격을 받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것은 고구려가 일련의 체제정비를 통해 중흥의 발판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또한 고구려는 선비가 북중국에 진출하여 帝國을 건설하는 것을 보며 북방민족의 저력을 경험하였다. 이것은 이후 고구려가 북방민족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는데 많은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여겨진다. 고구려는 거란에 대해서는 그들의 군사력에 주목하여 附庸兵으로 활용하였고, 유연과는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여 북위를 견제하였다. 이처럼 고구려는 북방민족과의 관계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통해 국익을 확대하였고 동북아시아의 강국으로 부상할 수 있었다. 그러나 돌궐이 중국의 영향 아래 놓이게 되자 고구려를 둘러싼 국제정세는 고구려에 불리하게 전개되었다. 고구려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돌궐과의 연계가 필요했지만 그것이 곤란해지자 對중국 관계에서 불리한 위치에 놓이게 되었다. 결국 고구려는 나당 연합군의 침입을 맞아 국제적으로 고립된 상황 속에서 내분까지 겹쳐 멸망하였다. 요컨대 고구려와 북방민족의 관계는 고구려의 발전 뿐 아니라 멸망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 東亞細亞 唐式 帶裝飾具 硏究

        최정범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90

        춘추전국시대 굴원의 『楚辭』에서는 허리띠를 선비라 지칭했듯이 청동기시대 이래로 북방 유목민족들에 의해 창안되고 널리 사용된 대장식구는 漢代를 전후하여 허리띠 착용 문화로써 중국에 전파된다. 이는 제국의 통치질서와 결부되어 소유자의 위계를 상징하는 도구로 변모한다. 이러한 대장식구의 변화 속에서 북조대 이래로 당식 대장식구의 외형적인 기조가 형성되고, 당 건국을 즈음하여 전형적인 당식 대장식구로 정착된다. 중국에서 형성되고 정착된 당식 대장식구는 율령제와 결부되어 이를 소유하는 율령관인의 위계를 가시적으로 표현하는 착장기물로 자리매김한다. 이러한 양상은 조공-책봉외교를 매개로 주변제국으로 광범위하게 확산되기에 이른다. 이러한 점에 미루어 보건대 당식 대장식구는 7-10세기 동아시아 각국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함께 살펴볼 수 있는 최적의 고고자료에 해당된다. 이를 염두에 두고 동아시아 전역에서 출토되는 당식 대장식구를 중심으로 각국의 활용양상과 이에서 드러나는 동아시아 문화권의 상호작용을 추출해 보았다. 먼저 당식 대장식구는 출토 량이 풍부함에도 연구자들의 큰 주목을 이끌지는 못했다. 단순히 이를 소유하는 인물들이 율령체제에 속한 관인이라는 점에서 그쳤음은 이를 웅변한다. 상대적으로 일본 학계에서 주도적인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일본 내에서 출토되는 당식 대장식구의 이해를 위한 부차적인 검토에 그칠 뿐이었다. 한편 이를 지칭하는 용어도 첩섭대, 대금구, 돌궐식요대 등으로 다양하다. 동아시아 각국에서 동일한 형태의 대장식구가 출토되고 있음에도 근현대 제국주의와 탈식민지화를 거치며 민족의 자타를 구분짓는 타자화된 연구 경향이 전제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동아시아 문화권 내에서 각국이 동일한 대장식구의 형태를 공유하고,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각국의 특수성이 공존함을 염두에 둔다면 당식 대장식구라는 용어가 현재로서는 적확함을 피력하였다. 이것이 먼저 등장한 중국에서는 현재까지의 자료로 보건대 북조대에 등장하기 시작된 것으로 이해된다. 방형과 반원형(혹은 오각형)의 과판을 기조로 하며, 수대에 이르러는 외형이 더욱 당식 대장식구에 근사하게 변화한다. 당의 건국 이후 대장식구는 율령관인의 계서에 따라 소유할 수 있는 재질에 차이가 있었으며, 실제 묘지명과 공반되어 출토되는 대장식구의 재질은 묘지명에 기재된 피장자의 생전 관직 위계와 상응한다. 한편 요령성 조양과 영하회족자치구 오충의 단위지역에서는 누 세대에 걸쳐 당식 대장식구가 집중적으로 출토되고 있어서 주목된다. 朝陽은 羈縻府州의 營州都督府, 吳忠은 羈縻府州의 靈州都督府와 節度使體制의 삭방절도사가 위치한 지역으로서 당의 변방을 방어하고 주변 민족의 발흥을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지역이기도 하다. 이에서는 청동・철제 대장식구의 출토 사례가 압도적이며, 지정학적 위치 등을 염두에 둔다면 그 소유자는 도독부-절도사 예하의 군정관인으로 볼 수 있다. 신라는 북조와의 교섭 이래로 중국의 대장식구 문화가 일찍 이입된다. 소위 황룡사형 대장식구에서는 당식 대장식구로의 변화 양상과 동일한 요소가 확인되고 있어서 조공-책봉을 매개로 중국 대장식구를 일찍이 채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역심엽형 대장식구가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를 대체하지는 않고 일정 기간 공존한다. 그러다가 김춘추의 당 복제 도입을 기점으로 전형적인 당식 대장식구로 대체되며 삼국통일 이후에는 지방 전역으로 확산된다. 중국과 마찬가지로 소유자의 위계에 따라 대장식구의 재질에 차이가 있으나, 신라 특유의 골품제가 결부되어 철과 동을 혼용하여 제작하거나 같은 청동 재질의 대장식구라도 부가되는 재질에 변주를 주어 골품제에 적용되는 중위제를 가시적으로 표출한다. 나말여초기에 이르러 대장식구는 신라의 율령관인에서 지방 유력호족의 세력을 과시하는 방향으로 그 의미가 퇴조한다. 발해는 공식적으로 대조영의 홀한주도독 책봉을 기점으로 대장식구가 이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발해의 건국과정과 무순 시가, 전둔고분군 등 요령지역 일대에서 당식 대장식구가 출토됨을 염두에 둔다면 고구려 멸망 이후 민족과 문화가 혼재되며 조양의 영주도독부에서 널리 사용되던 당식 대장식구가 인지되어 사용되었을 가능성도 주목하였다. 한편 5경 주변의 고분군, 예컨대 중경의 북대고분군이나 상경의 홍준어장 고분군 등에서 다수의 대장식구가 출토되는 점으로 미루어 발해에서도 이를 소유하던 계층은 발해의 관인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2송화강 일대의 사리파, 대해맹고분군 등에서는 말갈패식과 공존하는 사례가 상존한다. 지방통치에서 재지의 말갈인이 수령으로서 지방통치의 일익을 담당하였음을 염두에 둔다면 당식 대장식구와 말갈패식의 공존은 대장식구를 매개로 한 발해 지방통치의 이원성을 엿볼 수 있다. 아울러 용두산고분군 용해구역과 하남둔고분에서 금으로 제작된 대장식구의 존재는 그동안 시도되지 않았던 발해 왕릉의 비정을 시도해 볼 수 있는 단서가 되기도 한다. 돌궐은 유목민족이라는 특성으로 대장식구가 널리 사용되었으며, 그러한 탓에 당식 대장식구가 돌궐(투르크)식 요대로 지칭되기까지 할 만큼 많은 출토 사례를 보인다. 그러나 외형적으로 당식 대장식구에 해당되는 자료가 다수 존재함에도 이입배경과 확산에 대한 논의에는 구체적인 접근이 전무하였다. 이에 중국사서의 검토를 통해 적어도 大業3年 이후에는 당식 대장식구가 돌궐로 확산되는 사건이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아울러 태종-고종대 돌궐방면의 진출과 복속 이후 재지의 돌궐 수령을 도독이나 자사 등으로 임명하는 사례는 돌궐고지의 정복과 통치에 당의 제도가 이입되며, 그에 수반되어 당식 대장식구가 확산되는 조건이 충분하다. 더욱이 빌게 카간 제사유적에서 출토된 대장식구는 당 현종의 조문사절과 공인의 파견이라는 역사적 흐름과도 부합한다. 한편 돌궐의 멸망과 위구르의 집권을 즈음한 시점 이후로는 당식 대장식구의 외형적 기조가 유지되나, 다양한 장식이 부가된다. 이는 당식 대장식구를 기조로 하여 유목민에 의해 변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각국에서 출토되는 당식 대장식구는 중국과의 조공-책봉외교를 통해 도입되어 각국의 율령관인을 표상한다는 데서 공통적이다. 그러나 각국에서의 확산 방식은 고유의 제도(골품제)나 통치전략(말갈패식의 공존)등의 사정으로 특수성이 상존함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당식 대장식구 자체의 형식 변천이 공유됨은 당과 주변제국이 조공-책봉외교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문화적 상호작용을 통해 대장식구의 정보를 공유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예컨대 당의 변방과 주변지역의 관계망, 주변제국과 정치체 사이의 관계망을 통한 문화적 상호작용은 정형화된 당식 대장식구를 기조로 하면서도 다양한 형태의 변용이 일어났음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당식 대장식구는 그 자체로 본다면 소유자의 신분을 상징하는 도구에 해당되는 간단한 착용기물이다. 이에 협의의 시각에서는 신라, 발해, 중국 개별 국가의 정치제도를 이해하는 유물에 해당된다. 그러나 동일한 형태의 대장식구가 동아시아 전역에서 출토되는 양상은 동아시아 문화권 속에서 당식 대장식구가 확산되는 보편성과 변용되는 특수성을 띤다. 이를 염두에 둔다면 문헌사료를 통한 각국의 관계사적 연구와 국가 간 문화적 상호작용 등 동아시아 고고학 연구에 당식 대장식구가 최적의 자료라는 시각을 견지할 필요가 있다. Regarding belt ornaments, which were founded and widely used by the nomadic peoples of the north since the Bronze Age, the culture of wearing a belt spread to China around the Han Dynasty. This transforms into a tool that symbolizes the hierarchy of the owner in connection with the ruling order of the empire. Within the change in belt ornaments, the external trend of Tang-style belt ornaments forms since the Northern Dynasties, and around the founding of Tang, they are established as typical Tang-style belt ornaments. Such belt ornaments, formed and established in China, were established as clothing items that visually express the hierarchy of officials who owned them in connection with the law system. This aspect spread widely to neighboring empires through tributary diplomacy. In view of this, Tang-style belt ornaments are the optimal archaeological data to examine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East Asian countries in the 7th and 10th centuries. Taking this into account, this study extracted the usage patterns of each country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East Asian cultures, focusing on Tang-style belt ornaments excavated from all over East Asia. First, such ornaments did not attract much attention from researchers despite the abundance of excavations. The fact that the people who owned them were simply the officials belonging to the law system speak of it eloquently. Relatively leading research was conducted in Japanese academic circles, but it was only a secondary review to understand the ornaments excavated in Japan. On the other hand, various terms are used, such as cheopseopdae, daegeumgu, and dolkwolsikyodae. This is because the tendency of otherized studies, which distinguish the nation from others through modern and contemporary imperialism and decolonization, was premised despite the fact that belt ornaments of the same type have been excavated in East Asian countries.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each country shares the same shape of belt ornaments, influences each other, and each country’s uniqueness coexists within the East Asian culture, the term Tang-style belt ornaments expressed the accuracy as of today. In China, where this first appeared, it has begun to appear in Northern Dynasties based on the data so far. It is based on rectangular and semicircular (or pentagonal) ornament, and in the Sui Dynasty, the appearance changes more closely to Tang-style belt ornaments. After Tang’s founding, belt ornaments differed in the materials they could possess according to the hierarchy of the officials. The material of the belt ornaments excavated in conjunction with the actual tomb name corresponds to the hierarchy of the deceased person’s office in their lifetime written on the tomb name. On the other hand, it is noteworthy that Tang-style belt ornaments have been intensively excavated over several generations in the unit areas of Chaoyang in Liaoning Province, and Wúzhong, Ningxia Hui Autonomous Region. Chaoyang is the district where the Yeongju Command is located, and Wúzhong is the area where the Yeongju Command and the Shabbang Jeoldosa of the Jeoldosa system are located. They are an area responsible for defending the borders of Tang and controlling the rise of the surrounding peoples. In this case, the excavation cases of bronze and iron belt ornaments are overwhelming, and if the geopolitical location is taken into account, the owner can be regarded as a military magistrate under the command of Dodokbu-Jeoldosa. Silla was introduced to China’s belt ornaments culture early after negotiations with North Dynasties. In the so-called Hwangryongsa type of belt ornaments, the elements that are the same as the change pattern to Tang-style belt ornaments are confirmed, and thus, early adoption of Chinese belt ornaments appears to have taken place through the tributary system. However, inverted-lobed belt ornaments co-exis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ithout replacement. Then, with the introduction of Tang reproduction by Kim Chun-chu, it is replaced with typical Tang-style belt ornaments, and spreads throughout the province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As in China,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material of belt ornaments according to the owner's hierarchy, but they visually express Joongwi order applied to the Golpum system since they are produced by mixing iron and copper in connection with the Golpum system unique to Silla, or even belt ornaments made of the same bronze material have added material for variation. In the end of the Silla period, the meaning of belt ornaments declines as the direction of showing off the power changed from the officials of Silla to the local powerful familie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belt ornaments were officially introduced to Balhae after Dae Jo-yeong’s Holhanjudodok. However, considering the founding process of Balhae and Tang-style belt ornaments in Liaoning province such as Musun Shiga and Jeondun tomb, Tang-style belt ornaments, which were widely used in the Yeongju Dodokbu of Chaoyang, may have been recognized and used as ethnicity and culture mixed after the fall of Goguryeo. On the other hand, given the fact that a number of belt ornaments are excavated from the tombs around the 5th Scenery, such as the Bukdae Tomb in Chongqing and the Hongjuneojang Tomb in Sanggyeong, the class that owned belt ornaments could be considered as government officials even in Balhae. On the other hand, there are cases of coexistence with the Malgal belt ornaments in the Saripa and the Daemaneng ancient tombs in the 2nd Songhwa River area. Considering that the Malgalin of Jaeji played a part in local government as a leader in regional governance, the coexistence of Tang-style and Malgal belt ornaments reveals the duality of Balhae’s regional governance through belt ornaments. In addition, the existence of belt ornaments made of gold in Yongdusan Tomb of Yongdusan and Hanamdun Tomb becomes a clue to try out the designation of the royal tomb of Balhae, which has not been attempted before. Regarding Gokturk, belt ornaments were widely us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 nomadic people. For this reason, there are many excavations to the extent that Tang-style belt ornaments are even referred to as Gokturk (Turk)-style waistband. However, there is no specific approach to discuss the background and spread of the introduction, although there are many materials related to external Tang-style belt ornaments. Through the review of the Chinese libraria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n incident where Tang-style belt ornaments spread to Gokturk after at least three years of great work. In addition, the case of appointing the Gokturk leader of Jae-ji as a provincial governor or dodok after advancing into the Gokturk area of Taejong-Gojongdae and subjugating it is a sufficient condition in which Tang’s system is introduced to Gokturk goji’s conquest and rule, and concomitantly, Tang-style belt ornaments proliferate. Moreover, the belt ornaments excavated from the Bilge Qaghan ancestral site align with the historical flow of the dispatch of condolence messengers and the public figures by Tang Hyeonjong. Meanwhile, after the fall of Gokturk and the rise of Uyghurs, the externally Tang-style belt ornaments are maintained, but various decorations are added. This can be seen as being transformed by nomads based on Tang-style belt ornaments. Tang-style belt ornaments unearthed from various countries are common in that they are introduced through tributary diplomacy with China and represent the official of each country. However,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diffusion method in each country has its own unique system (Golpum system) and governance strategy (coexistence with Malgal belt ornaments). However, the sharing of form transformation of Tang-style belt ornaments themselves was possible because Tang and neighboring empires recognized the information of belt ornaments through various forms of cultural interaction as well as tributary diplomacy. For example, various forms of transformation have occurred while the cultural interaction through the network of relations between Tang’s borders and surrounding areas, network of relations between neighboring empires and political bodies was based on the standardized Tang-style belt ornaments. This needs to be kept in mind. Tang-style belt ornaments are a simple piece of clothing, which is a tool to symbolize the status of the owner. In this regard, from a narrow perspective, it is a relic that understands the political systems of individual countries such as Silla, Balhae, and China. However, the pattern in which the same type of belt ornaments are excavated from all over East Asia has the universality of spreading Tang-style belt ornaments in the East Asian culture and the specificity of being transformed. Taking this into account, there is a need to maintain the view that Tang-style belt ornaments are the best material for archaeological research in East Asia through the convergence of research on the relational history of each country through historical documents and the archaeological theories of the interaction of equal political bodies.

      • 唐 前期 對外戰爭의 성격에 관한 연구

        이용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28

        In Chinese history, the Tang Dynasty has achieved unprecedented territorial expansion, which is rare for the ZhongYuan Dynasty, and thus is called the “Great Tang Empire” or the “World Empire”. For such territorial expansion and the maintenance of the empire, military power, of course, is necessary. So then how many wars has the Tang Dynasty went through? And among them how many wars has the Tang Dynasty won for sure? While expanding, the Tang Dynasty, though with its overwhelming military power, has not been always superior. Moreover, even though the Tang Dynasty took the offensive and kept expanding its influence, the period in which the peace is maintained and the security threat is fundamentally removed did not last long. If the requirements for an empire are to seize regional hegemony and secure an unchallenged position, the Tang Dynasty surely is not the case. Despite being overshadowed by the reputation of the “Great Tang Empire”, there still remains a doubt about the Tang Dynasty’s military power and the evaluation of its achievement. Furthermore, a claim that new world order centers on the Tang Dynasty’s oppressive peace system should be regarded with more skepticism. With this in mind, the paper reviews the national defense system of the Tang Dynasty before the An Lushan Rebellion, which is thought to be the early days of the Tang Dynasty by the academic world, and analyzes the strategic points and limitations of the Tang Dynasty’s military expansion. First, in Part 1 the paper summarizes the chan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ng Dynasty’s national defense system and explains how foreign wars have been carried out. Referring to the contents of “Tangliudian(唐六典)” and the “Code of Tang(唐律疏議)”, it also lists the regulations such as deployment, homecoming, and honors while clarifying the progress of war using the real-life examples. In Chapter 2, the organization and the operating process of “Xingjun(行軍)”, which is a military expeditionary force during the Tang Dynasty, are summarized in order to analyze the command system and calculate the size of the military mobilization. In Part 2, the overall progress of foreign wars in early Tang Dynasty is reviewed, and aspects such as timing and opposing sides are analyzed. Part 2 focuses on three periods, which are “Emperor Gaozu to Emperor Taizong”, “Emperor Gaozong to Empress Wu Zetian”, and “Emperor Xuanzong”, and the Section 1 of each chapter analyzes each period’s progress of wars at macro level as well as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the state of affairs. The complete review of all the military actions by each period then follows, along with a brief overview and a table summarizing the deployment of “Xingjun”, the mobilization of “Fanjiang(蕃將)” and foreign people, and the final result. Based on the data, the patterns of warfare and the military status of the Tang Dynasty are also drawn out. Chapter 1 examines starting with the conquest of Turks how the Tang Dynasty has come to seize regional hegemony in “Emperor Gaozu to Emperor Taizong” period, focusing particularly on explaining how gaining control over Turks, “Xueyantuo”, and “Tuyuhun” differ from launching the preemptive strike against “Goguryeo” and small Western states. Chapter 2 covers how the Tang Dynasty’s military attacks end up reaching the limit during the reign of Emperor Gaozong and Empress Wu Zetian, trying to statistically examines the “Xingjun” deployment and the Tang Dynasty's military response in a situation where the environmental security is worsening. Chapter 3 highlights the key roles of military governorship in foreign wars during the reign of Emperor Xuanzong and explains how the Tang Dynasty’s expansion has come to an end after reaching the peak. Part 3 tries to show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foreign wars carried out by the Tang Dynasty. Chapter 1 focuses on how the Tang Dynasty perceives wa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Tang Dynasty's military strategy. Since the war between the Han Dynasty and the Huns, the Zhongyuan Dynasty has been burdened with wars with the nomadic nations of the north. With this in mind, the Tang Dynasty’s perception towards the method of military expansion is reviewed, and by case-studying Emperor Taizong’s invasion of “Goguryeo” Chapter 1 demonstrates that “Catching the enemy using enemies” has to be the key in military expansion. Chapter 2 tries to identify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above strategy that appears in the Tang Dynasty’s foreign wars. “Fanjiang” and “Fanbing(蕃兵)”, which account for a large proportion of the Tang Dynasty’s military power, and then the handling of another ethnic groups so as to get them involved in the wars are discussed. In addition, unlike other studies that paid little attention, Chapter 2 underlines the fact that the military achievements of the Tang Dynasty has been largely driven by external factors rather than its military power by highlighting the Tang Dynasty’s tactics such as dispatching spies for the purpose of alienation and separation. Finally Chapter 3 explains the structural weaknesses inherent in operating the army of the Tang Dynasty and concludes that there is a limitation in military expansion. In summary, the Tang Dynasty at the beginning did not have a clear strategy for expansion. The reasons why it had no choice but to continue the wars are the fact that a war cannot completely remove the security threat and that a war leads to more wars. During the period from the reign of Emperor Gaozu to Emperor Xuanzong, there were numerous discussions about foreign wars at the royal court, but economic benefits were never mentioned. That the areas outside of Zhongyuan are not beneficial to China was the prevailing perception. So-called the prosperity of the Silk Road was mainly due to a wartime economy. A huge number of resources were mobilized, and those resources were distributed to nomadic tribes. By the time Emperor Xuanzong reigned, military governorship became usual and even permanent at each front, forming an economic bloc in itself. Therefore, it is persuasive to say that to nomadic nations the control over the Western trade route has an economic significance, but not to the Tang Dynasty. Until the mid-eighth century, the Tang Dynasty pursued territorial expansion, but it could not gain economic benefits from the territories it had taken while expanding, rather possessing the character of a very “special” empire in which capital or resources are excessively outflowed.

      • 발해 대장식구 연구

        정윤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336

        This article is devoted to the study of belt ornaments excavated all over Balhae in the late 7th to 10th centuries. Usually the main attention in the study of the Balhae sites, located on the territories of Russia, China and the Korean Peninsula, was focused on the problems of Balhae origin from Tang (China), Goguryeo or Mohe. If we keep in mind the characteristics of prestige goods that imply political and social symbolism,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relevanc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of the Balhae region. Therefore, it was attempted to supplement the research results related to the type classification of belt ornaments and organize them into a consistent classification, and grasp the context of excavation by region and its meaning. A classifi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considering the all elements. The types of Balhae belt ornaments were broadly divided into belt plaques with hole (垂孔式), round-shape plaques (環式), and Amur (Mohe) type belt plaques (牌飾). Belt plaques with hole are a typical, widespread type, in external shape, which clearly reflects the visible features, we have identified the following types: Type I (with geometric patterns), Type II (with polygonal patterns) and Type III (combined with geometric and polygonal patterns). Round-shape plaques were divided into Type I (with geometric patterns) and Type II (with polygonal patterns). Mohe type belt plaques, depending on the external shape and ornaments, can be distinguished into Type I (sub-square) and Type II (sub-round). Based on this classification and specific examples, we also research the structure’s features of the belt ornaments in belt. The territorial features of the distribution of belt ornaments’s types was researched. In the area of ​​the Central Capital of Balhae, there are a different types of belt plaques with hole. Technologies for the manufacture of richly decorated products, as lacquering, creating highly artistic arts are observed. It can be assumed that in the area of ​​the Upper Capital, where Hongzunyuchang burial ground is located, famous as a site where the largest number of belt ornaments was found, a decorated belt was actively used. In the Jilin city region, a large ratio of examples and typological diversity among the belt plaques with hole and Mohe type belt plaques were excavated. On sites in the east of Primorye, belt plaques with hole are predominate, however, Mohe type II belt plaques, which were found only in the central regions of Bohai, were also found only in the south of Primorsky Territory. It may show the active spread of the central Balhae culture in this region. In the north of Primorye there is a certain similarity in the high ratio of both belt plaques with hole and Mohe type belt plaques, also a variety of belt’s structure (spacing belt ornaments in belt) and the high quality of the material of the Mohe-type plaques are recorded. There are opinions that this territory was administered by local authorities, separate from the Bohai administration, but in this territory a homogeneous typological character of belt ornaments as both belt plaques with hole and Mohe type belt plaques similar with ornaments on the main territory of Balha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reconsider the nature of the province's governance during Balhae time.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lhae belt ornam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Round-shaped belt plaques apparently have served as a political symbol for the top aristocracy class. These items were found in burials near the Middle Capital. The tombs with brick crypts are considered to be a single type of burial, adopted from the Tang in the early 8th century in the royal cemetery. A very limited number of belt plates were made from special materials - jade, gilded bronze, turquoise. They were discovered along with other prestigious items (gold, silver items, bronze mirrors) obtained through exchanges with Tang. However, a crown ornament, lotus design roofend tile, believed to be of Goguryeo origin, was also found. According to previous chronology, this belt ornaments type could be dated to middle period of the reign of Wang Munwang. It is thought that the belt plaques with hole played a role as a companion item through round-shaped imitation. It could depended from economic imitation and the adoption of external elements. Technological skill of craftsmans, taste preferences, and local production by local authorities were also important. We can guess about the existence of various external elements from the Tang, Turks, Khitan, etc., the presence of various local authorities on territory of Balhae. This all circumstances influenced on the variety of this belt ornament type and introducing new elements in each territory of Balhae are founded. The Mohe-type plaques were used on the belts of political representatives of the same level. They are considered to be a local authority, correlated with the Mohe, who lived in the territory since the end of the 7th century to the Jurchens (before the Jin) in the 10th century, after the Balhae collapsed. Although it has been known that type Ⅰ and Ⅱ are combined together, the differences in usage norms and regional distribution was revealed. In addition, using the examples of finds at the same site, the material of the item and the context of the finds, it seems that there was an influence on the belt ornaments structure as a result of contacts between the local authorities living in each territory of Balhae and the central authorities. At the moment, we have not enough material to establish more detailed stages of the chronology of the belt ornament. Therefore, in comparison with the creation of a common chronological system, scientists mainly discussed about belt ornament with different traditions between the center and the province in Balhae. The meaning and role of belt ornaments, depending on the type of belt plaques are important. In this work, we have identified the design and typology of belt ornaments in Balhae. After careful research of the territorial features of belt ornaments, we made an attempt to reveal a some side of Balhae society through prestigious items. Afterwards, we need to clearly identified the technological contacts with nearby territories, influenced on belt ornaments types, supplementing the information with the involvement of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hat help to understand the technology of making belt ornaments. Thus, it will be possible to explain more specifically the belt plaques and their features work. 이 글은 7세기 후반~10세기 발해 전역에서 출토된 대장식구를 대상으로 작성되었다. 중국, 러시아, 한반도에 걸쳐 분포하는 발해 유적의 주된 관심사 중 하나가 발해의 족속문제에 있는 만큼 고구려 계승 혹은 말갈 계승, 당 제도 표방과 관련지어 각국의 연고권 문제에서 벗어나기 어려웠음을 부정할 수 없다. 더욱이 정치사회적 상징성을 함축하는 위세품이라는 특성을 염두에 두면, 발해 경역별 특성에 입각하여 관련성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선학들의 형식분류 관련 연구성과를 검토 보완하여 일관된 분류로 정리하고, 지역별 특징 및 출토맥랃을 통해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시도했다. 형식분류에 앞서 대장식구를 구성하는 부품을 검토한 결과 발해 대장식구의 유형은 수공식(垂孔式)·환식(環式)·패식(牌飾) 대장식구로 대별되었다. 수공식은 보편적이고 가시적인 특성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외곽 평면형태의 구성을 통해 수공식 Ⅰ형식(기하학형)·Ⅱ형식(다곡선형), Ⅲ형식(기하학형+다곡선 절충형)으로 새로이 분류했다. 환식 또한 Ⅰ형식(기하학형)·Ⅱ형식(다곡선형)으로 분류되며, 패식은 외곽 평면형태에 따른 문양을 통해 Ⅰ형식(방형)과 Ⅱ형식(원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일괄사례를 통해 과판 조합의 특성도 분류해볼 수 있었다. 지역별 형식들의 분포 특징을 검토해보면 다음과 같다. 중경 지역에서는 수공식에 행해진 복합적인 공정을 꼽을 수 있다. 고도의 금속공예 공정, 옻칠 공정과 같은 상위의 제작 공방에서 행할 수 있는 기법들이 확인되고 있다. 상경 지역에서는 홍준어장 고분군 출토품이 단위 유적 중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어서, 대장식구를 적극적으로 패용하였음을 추측할 수 있다. 길림 지역에서는 패식과 수공식 모두 형식적 다양성 및 일괄 사례의 빈도가 높다. 연해주 동부 지역도 수공식의 점유율이 우세하나, 패식 Ⅱ형식의 경우, 연해주 남부 지역은 발해 중앙에서 출토되는 패식만 확인되어, 중앙의 정보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해주 북부 지역은 수공식과 패식이 모두 높은 빈도로 사용된다는 점에서 동질성이 있지만, 패식은 재질의 고급화, 과판 조합의 측면에서 다양한 형태가 확인된다. 해당 지역은 발해의 경역과는 분리된 토착 세력의 영역으로 논의되고 있지만, 발해 경역 내 수공식 및 패식 형식과의 동질성이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발해시기의 지방 운용과의 연장선상에서도 재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종합하면, 발해 대장식구의 성격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환식 대장식구는 최상위 계층의 정치적 상징으로 역할했을 것이다. 중경 지역의 왕실 묘역 혹은 인근에서 확인된다. 사용된 묘제는 전축묘로 왕실 묘역에서 8세기 초 당으로부터 채용했던 단발적 묘제로 여겨진다. 둘째, 극히 제한적으로 채택되어 온 재질인 옥·금동·터키석으로 제작되었으며, 금은제 장신구 및 동경 등의 교류를 통한 고급기물이 공반되었다. 한편으로는 고구려 계통으로 추정되는 삼엽 금관식, 횡판연화문 와당도 같이 확인된다.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연대를 따른다면, 문왕 중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수공식 대장식구는 상호 모방을 통해 동승하는 물품으로 역할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외부 요인뿐만 아니라 경쟁적 모방 과정 등 내부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매커니즘을 상정할 필요가 있다. 첫째. 제작공인의 기술력, 성향, 그리고 지방세력의 자체 제작 등의 이유로 제한적으로 확인되는 속성도 있다. 지역 사정에 맞게 변용되었고, 과판 조합으로 미뤄보아 당·돌궐·거란 등 다양한 요소가 간취되며, 지역 내에서 다양한 지방세력이 위치하고 있어서 권역별로 새로운 문화의 유입과 수용과정에서 다양한 변이가 생겨났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패식 대장식구는 대등정치체 간 물품으로 이용되었다. 각국 학계 선학들의 연구성과를 살피면, 7세기 무렵부터 발해 멸망 이후 10세기(금 제국 이전)여진시기 말갈로 지칭할 수 있는 재지 세력의 계보로 파악된다. 이러한 패식은 Ⅰ형식과 Ⅱ형식이 함께 조합되는 것으로 알려져 왔지만, 사용규범 및 지역별 편중성의 차이가 간취된다. 이에 더해 동일 단위 유적 내에서 확인되는 사례 등 재질과 출토 맥락을 통해 발해 각 지역에 거주하고 있던 지방 세력과 중앙 세력과의 관계의 변화가 대장식구의 활용 방식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아직까지 일부를 제외하고 분기를 설정할 만한 역연대자료가 정립되지 않았기에 전체 편년안을 설정하기보다는 발해의 중앙과 지방에서의 다양한 계보를 지닌 대장식구 활용 양상을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유형별 대장식구의 역할과 의미에 대해 추론해볼 수 있었다. 본고는 발해 대장식구의 유형과 구조를 설정하고, 지역별 특징을 면밀히 검토한 후, 위세품을 통해 발해 사회의 일면을 조명한 것에 대해 의의를 두고자 한다. 추후 형태변이에 반영된 근린지역과의 기술교류 관계를 세밀히 파악하고, 제작기술을 파악할 수 있는 자연과학적 연구들이 보완된다면, 본고에서 예찰한 사례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