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大學캠퍼스 마스터플랜을 爲한 現況分析과 單位計劃의 連繫性에 관한 硏究 : 사례계획안 분석을 통해서

        김범준 檀國大學校 産業技術大學院 1996 국내석사

        RANK : 2943

        1970년대 3, 4차 경제개발을 추진하면서, 교육부분에 양적인 성장이 이루어져 구체적인 대학캠퍼스기본계획수립이 필요하게 되었고, 그후 1980년대에 들어서는 대학인구의 급격한 증가에 의해 대학캠퍼스종합기본계획이 거론되기 시작하였다. 21세기를 앞둔 현재의 기존대학들은 대학연구수용 한계와 다양한 교육기능에 대비한 대학캠퍼스종합기본계획을 재정비할 시기에 처해있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대학캠퍼스종합기본계획은 대학캠퍼스 종합기본계획을 위한 현황분석과 학사계획, 공간규모계획, 건축기본계획등과 같은 단위계획은 그 자체에만 중점을 두어 독립된 단위과정으로 처리하는 경우가 많았고, 이와 같은 연계성의 결여로 짜임새 있는 계획이 되지 못했다. 그리고 캠퍼스의 확충계획 또는 재개발계획시에 현황분석은 형식적인 절차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본 논문은 대학캠퍼스마스터플랜의 기본개념과 단위작업의 정확한 내용과 그 단위계획들의 연계성을 파악하고, 실제작업에 적용하기 위한 설계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두 대학교(안동대학교, 전남대학교)의 대학캠퍼스종합기본계획보고서를 분석하여 현황분석과 단위계획들이 어떻게 연계되어있는지 밝혔다. 이 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현황분석작업은 각각 독립적인 작업이라 보여지나, 동일한 목표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된다는 점과 단일사항의 분석결과이지만 총체적, 종합적으로 연계되어서 새로운 자료로 활용된다. 둘째. 단위계획의 작업은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며 다른 단위계획의 기초자료가 되어준다. 즉 하나의 선행되어진 단위계획은 다음 단위계획의 기초자료가 되기도 하고, 그 자체로서 완결되기도 한다. 셋째. 분석된 자료와 단위계획들의 종합적, 순환적 연계를 위해서는 PERT (Programe Evaluation Review Technique) 또는 CPM (Critical Path Method)기법에 적용하는 것이 작업의 경제성과 정밀성을 기대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황분석과 단위계획의 구체적인 연계성을 전제로 대학캠퍼스 종합기본계획을 수립한다면 합리적이고 짜임새 있는 캠퍼스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Almost of the past university master plans were carried without concrete planning concepts and methods. Master plans means long range development plan and composed by many complicated unit elements. Recently, 1980s, many universities carried on master plan but its process and method were not realized. Especially, analyzed work step and following unit planning steps were carried separately and individually. This study dealt with existing site situation analyzing process and analyzed facts, especially focused on the linkage works between He analyzed facts and oft pla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university master plan should not be abstract and visual graphic drawing works. It is a concrete scaling work based on the scientific analysis. At the same time, it should be considered by the spatial point of view. 2. The existing site situation analysis work is an independent as well as a holistic, cyclical one. 3. Each unit plan is carried one by one and each one is connected linearly and cyclically by the feed back, feed forward work. 4. The holistic, cyclical works adapted by the PERT (program evaluation review technique) and CPM (critical path method) style process will make the university master plan efficiently. The study on this field should be carried forward for the better and practical result based on this study.

      • 녹색캠퍼스 구축을 위한 대학생의 환경의식과 행동에 관한 연구

        김수영 서울시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943

        대학은 여러 부분에 걸쳐 환경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대학이 속한 사회가 환경과 제반된 문제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환경문제가 나타나는 소규모사회이다. 국내 대학들의 에너지 소비가 해마다 급증하지만 대학이 기후변화에 대응하려는 노력은 미흡하다. 특히 전국 대학수를 고려해 볼 때 이들 대학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최근 ‘저탄소 녹색성장’에 발맞추어 대학 곳곳에 다양한 모습으로 녹색캠퍼스 운동이 전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녹색캠퍼스를 이끌어 갈 대학생들의 환경문제 의식 수준을 알아보고, 환경에 대한 참여의지가 어떠한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녹색캠퍼스 구축을 위한 의식제고 방안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2.0을 사용하였고, 서울 동부지역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유의 표출방법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대학생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정도는 높았다. 둘째, 학생들의 녹색캠퍼스 인지는 낮았지만 녹색캠퍼스 운동의 참여의지는 높았다. 셋째, 환경교육을 받은 학생들은 환경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았다. 이 분석의 결과를 통해 학교는 녹색캠퍼스 운동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나가야 하며, 전반적인 의식 개혁과 환경문제에 관심을 갖도록 하기 위해 학생들을 상대로 환경교육을 더 강화시키고, 녹색캠퍼스 구축을 위해 ‘대학의제 21’과 ‘환경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각 대학 실정에 맞는 녹색캠퍼스 운동을 펼쳐 나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rogram(ver. 12.0). Students of University in Seoul, the area East of the University, were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gainst students in terms of the environmental awareness and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problem and behaviors and the awareness of the Eco-Campu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iew a campaign for the recognition of Eco-Campus and plans for effective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member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rs of four group(Kyung Hee University, The University of Seoul,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Hanyang Univer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Students' degree of environmental awareness was high. Second, Students' recognition of Eco-Campus was low but,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Eco-Campus movement was high . Third, Those who were received environmental education were satisfied with the result of environmental education. Also they had interest in environmental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more reinforced and improved environmental education which should be offered by University and are necessary to know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As well as the campaign of Eco-Campus movement need to be continued by University and Students. The results show that need to form 'Campus Agenda 21' and 'Environmental Network' for construct Eco-Campus.

      • ‘캠퍼스의 부흥’을 위해 기도하는 기독 대학생들의 부흥과 선교의식 연구 : 수도권 지역 캠퍼스를 중심으로

        홍수정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943

        한국은 현재 1907년 평양 대부흥의 100주년이 되는 2007년을 앞두고 부흥에 대한 관심과 열정, 그리고 기도모임들이 급속도록 일어나고 있다. 미국의 캠퍼스 부흥을 통해서 볼 때에 부흥이 일어나기 전에는 늘 부흥을 위한 기도가 있었고, 부흥이 일어난 후에는 선교로의 거대한 헌신이 일어났었다. 본 연구는 현재 한국 수도권 내의 대학 캠퍼스 안에서 부흥을 위해 기도하는 기독대학생들의 부흥과 선교의식에 관한 연구를 다루고 있다. 본 연구의 전개는 선행연구를 위해 미국 캠퍼스 부흥의 역사와 캠퍼스 부흥의 특징, 캠퍼스 부흥과 기도운동, 캠퍼스 부흥과 선교헌신 및 1907년 한국의 미션스쿨에 임한 부흥, 한국 기독 청년들의 부흥을 위한 기도운동에 대해 다루었다. 연구질문의 전개를 위해서 캠퍼스 기독 지도자, 혹은 기독학생 대표들과의 인터뷰를 통하여 현 캠퍼스 기도모임의 현황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한국의 수도권 내의 대학 가운데에서 캠퍼스 부흥을 위해 기도하는 기독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것을 바탕으로 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대부분의 한국 대학 안에 캠퍼스 부흥을 위한 연합기도회가 실시 되고 있었는데, 소수의 헌신과 열정으로 인해 기도회가 이어지고 있었다. 둘째, 캠퍼스 부흥을 위해 기도하는 대학생들은 일반적으로 부흥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삶의 현장인 캠퍼스 안에서 적극적인 그리스도인의 모습을 나타내었으며, 교회 안에서도 적극적으로 활동을 하고 있었다. 셋째, 캠퍼스 부흥을 위해 기도하는 대학생들은 직접 나가는 선교사로서의 헌신도가 매우 높았다. 선교에 전혀 관심이 없는 학생들은 아무도 없었다. 넷째, 캠퍼스 부흥을 위한 기도운동의 확산을 위해 '과기도모임의 활성화', '연합기도회의 활성화', '기도제목의 네트워크화'가 필요하며, 부흥과 관련된 책을 읽거나 세미나를 개최함으로서 캠퍼스 부흥에 대한 동기유발을 시켜야 한다. 부흥은 하나님의 주권 하에서 일어난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부흥을 예비하는 기도의 용사들을 곳곳에 모으시고 계신다. 캠퍼스를 위한 기도운동의 확산을 통해 미국 캠퍼스에서 거듭 일어났던 것과 같은 부흥이 한국의 캠퍼스 안에서도 일어나서 한국의 캠퍼스가 새롭게 되고 선교헌신이 일어나길 기대하며 이와 같은 연구를 하였다.

      • 대학 캠퍼스 시설 공간의 환경평가에 관한 연구 : - 광주.전남 국립대학 중심

        김양석 조선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943

        본 연구는 광주 전남에 위치하고 있는 국립대학을 기준으로 캠퍼스 구성요소와 배치에 따른 사용자 만족도를 평가하고, 이러한 만족도에 따라 각 캠퍼스별 개선이 필요하다는 곳에 대하여 필요항목을 찾고 이러한 필요 항목에 따른 개선 필요도에따른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검증하였으며, 이를 각 학 캠퍼스의별 개선이 필요한 항목들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캠퍼스별 계획요소 만족도 - A대학 캠퍼스 시설 먼저 캠퍼스 9개항목의 계획요소들에 대한 만족도 평가중 도심에 위치한 A대학의 캠퍼스의 계획요소에 대한 만족도는 모두 평균값이상으로 나타났다. 그중 보차 관련동성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이 평가되었다. 이는 캠퍼스내 내부도로가 순환체계로형성되어 동선이 짧고 시설별 동선체계가 계획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 B대학 캠퍼스 시설 B university campus facilities B대학캠퍼스의 계획요소 만족도 평가는 9개항목중에서 보차관련동선에 대한 만족도와,지원시설물(복지)의 실내 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현저하게 높게 평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캠퍼스의 전체적인 공간에 대한 만족도은 평균값이상으 평가는 되나 상대적으로 다른 항목들에 비하여 낮은 만족도로 분석되었다. 이는 B대학의 배치형태가 주 진입로를 기준으로 분산배치 되어있어 공간의 인지도가 다른 캠퍼스에 비하여 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C대학 캠퍼스 시설 도심에 위치한 캠퍼스인 C대학의 계획요소 만족도는 9개의 항목중 교유시설물의 구성에 대한 평가와 교육시설물의 실내환경에 대한 만족도 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정문에서 바로 체육관이 진입이 가능하게 되있으며, 중앙부에 대학본부, 강당, 학생회관, 도서관이 배치되었는데 각 시설들이 이용도에 따라 군집을 이루고 배치 되있기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외부공간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값을 약간 상회하는 값으로 외부공간에 대한 배려가 대체적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 D대학 캠퍼스 시설 주변입지 현황 및 다른 대학캠퍼스와 다른 D대학캠퍼스는 3개의 대학이 평지에 형성되었고, D대학은 구릉지에 형성되었다. 이러한점에서 접근해 볼 때, 주변입지에 대한 평가 만족도가 높을것으로 추측하였으나, 교육시설의 실내환경에 대한 만족도 평가와,보차동선 교육시설물의 구성에 대한 만족도 평가가 높으며, 캠퍼스 전체공간에 대한 평가 만족도는 다른 항목들에 비하여 낮게 평가되었다. 2. 캠퍼스별 요소별 중요도 및 개선필요도 분석 2. Campus by element by importance and improvement necessity analysis - A대학 캠퍼스 시설 주변에 성된 대학촌, 주변녹지(조경)면적, 주요광장면적, 소규모 광장의 위치 및 배치, 도로폭(보행자)/ 통행원활, 학과 학부시설의 통합적 확보, 연구실, 강의실, 실험실군의 위치/배치, 실내운동시설(체육관)의 면적, 강당의 면적, 기숙사의 위치/배치, 전체적 지원시설들의 접근성, 각실에 대한 소음, 각실의 냉난방시설, 대학캠퍼스의 전체적인 배치구성, 생활면에서의 시설환경, 지원시설물(복지)의 실내환경등의 19개 항목에서 만족에 미치는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Z-score를 적용하여, A1(주변녹지조경면적), A6(주변에 형성된 대학촌),G1(학과학부시설의 통합적 확보), H4(실내운동 및 체육관의 위치 배치) 4개의 항목에서 중요도는 높지만 상대적으로 불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즉, 이는 이들 항목들에 대해서 만족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한 항목에서 제외 시킬수 있다고 판단된다. - B대학 캠퍼스 시설 주변녹지(조경)면적을 비롯하여 22개의 평가항목에서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채택되었다. B대학캠퍼스 또한 Z-score를 적용하여,개선 필요도를 검증해본 결과, A1(주변녹지조경면적), A4(주변시설 상점, 은행등의 이용편리성),A5(통학/통근의 편리성), A6(주변에 형성된 대학촌),H2(도서관의 위치배치), I2(대학본부의 위치,배치), M4(대학캠퍼스의 분위기 및 이미지) M5(학습면에서의 시설 환경), M6(생활면에서의 시설/환경) 이상의 9개의 항목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항목중 A1(주변녹지조경면적),H2(도서관의 위치배치),M6(생활면에서의 시설/환경) 항목들은 만족도 평가에 중요도는 평이한 값을 나타냈지만 불만족도가 현저하게 높게 나타나 개선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C대학 캠퍼스 시설 A4(주변시설 상점, 은행 등의 이용편리성)외에 23개의 평가 항목에서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채택되었다. 이 항목에 Z-score를 적용하여 개선 필요도를 검증해본결과, 전체적 휴식공간에 대한 평가 외에 11개의 항목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C대학 캠퍼스는 전체적 휴식공간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가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고, 이는 개선 필요도가 매우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즉 다른 항목들에 비하여 개선이 우선 되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 D대학 캠퍼스 시설 A1(주변녹지조경면적)항목외에 24개의 항목에서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채택되었다. 24개의 항목에 Z-score를 적용하여 개선 필요도를 검증해본결과 11개의 항목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D대학의 캠퍼스는 개선 필요도가 A4(주변시설 은행, 상점의 편리성 ),와 A6( 주변에 형성된 대학촌), J3(각실의 냉난방 시설), 항목이 우선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캠퍼스의 시설 및 환경에 대한 개선시 우선시 되어야할 항목에 대한 개선이 선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종합해보면, 4개 대학 캠퍼스 시설 및 환경평가에 공통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항목으로써 개선이 필요한 항목으로는 A1, A6, M1,K4, S5 이상의 5개의 항목으로 나타났다. 캠퍼스 유형이 각각 다른 캠퍼스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공통 항목으로 채택된 항목에 대해서는 캠퍼스 계획 및 개선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항목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The research which sees the national university which is located in Kwangju Cholla Nam Do evaluated the user satisfaction which in standard follows with a campus integral part in arrangement, according to like this satisfaction each campus by improvement is and necessity to seek a necessary item about the place a priority follows in the improvement necessary degree which follows in the necessary item which is like this selected verified, about the items where the star improvement of this each crane campus is necessary presented. The result with afterwords is same. 1. Campus by planning factor satisfaction - A university campus facilities About planning factor of the campus of A universities which about planning factors of the campus 9 opening necks while satisfaction evaluating are located first in the city center the satisfaction appeared above of all mean value. About step relation eastern the satisfaction was evaluated height among the rest most. This puts out and the campus the internal road with the circulatory system to be formed with the fact that the copper wire becomes accomplished shortly the facility by copper wire system in compliance with a plan judges. - B university campus facilities Planning factor satisfaction of C university which is a campus where is located in the city center about composition of [kyo] childhood scraps in 9 items the satisfaction evaluation appeared highly about evaluation and training facility scandal interior environment. The gymnasium penetration possibly this rightly from the front gate, there is a [toy], the university headquarters, the auditorium and the student union, each facilities where the library is arranged according to availability accomplish a crowd in the center and department with the fact that is because being arrangement [toy] they judge. About the other side external space the satisfaction at the price which some exceeds a mean value the care without being become accomplished substitutionally about external space and appeared with the fact that is in order to be. - C university campus facilities Planning factor satisfaction of C university which is a campus where is located in the city center about composition of [kyo] childhood scraps in 9 items the satisfaction evaluation appeared highly about evaluation and training facility scandal interior environment. The gymnasium penetration possibly this rightly from the front gate, there is a [toy], the university headquarters, the auditorium and the student union, each facilities where the library is arranged according to availability accomplish a crowd in the center and department with the fact that is because being arrangement [toy] they judge. About the other side external space the satisfaction at the price which some exceeds a mean value the care without being become accomplished substitutionally about external space and appeared with the fact that is in order to be. - D university campus facilities Circumferential mouth present condition and the different university campuses and the different D university campuses 3 universities were formed in the flat, D universities were formed in the hilly ground. When trying to approach from like this point, about circumferential mouth guesses with the fact that the evaluation satisfaction will be high, about the interior environment of the training facility the satisfaction evaluation was high about satisfaction evaluation and step differential line training facility scandal composition, about campus total space the evaluation satisfaction compared in different items and was evaluated lowly. 2. Campus by element by importance and improvement necessity analysis - A university campus facilities If the university village which becomes characteristic in circumference, the circumferential greens (landscape architecture) the area, the important open space area, location and arrangement of the small-scale open space and back width (the pedestrian)/transit smoothness, integrated security of subject department facility, location of the laboratory, the lecture room and the laboratory army/arrangement, the interior athletic facility (the gymnasium) the areas of the area and the auditorium, locations of the dormitory/arrangements and whole support facilities about accessibility and each thread sound arresting and each disappointment air conditioning facility, arrangement composition and the life which the university campus are whole from facility environment and the support facility (the material) 19 items of the interior environmental etc. From while reaching satisfactorily, the urethra appeared highly. But applied Z-score, A1 (circumferential greens landscape architecture areas), a-6E (the university village which is formed in circumference), integrated security of G1 (subject department facilities), H4 (interior motion and location arrangement of the gymnasium) the middle urethra is high but the fire satisfaction appeared relatively lowly from 4 items. Namely, this is being satisfactory about these items and that will be able to except from the item where the improvement is necessary judges. - B university campus facilities The circumferential greens (landscape architecture) including the area and with the element which reaches the major impact from 22 evaluation items in satisfaction was adopted. B university campuses also to apply Z-score, as a result of the sample results to verify an improvement necessary degree and A1 (circumferential greens landscape architecture areas), A4 (circumferential facility shop and use convenient characteristic of bank etc.), A5 (attending school/if convenient characteristic of muscle), a-6E (the university village which is formed in circumference), location arrangement of H2 (libraries), location and arrangement of I2 (university headquarters), atmosphere and the image of M4 (university campuses) M5 (studying if from facility environment), M6 (lives from facility/environment) the improvement had to be necessary from 9 items of above,With appeared. If A1 (circumferential greens landscape architecture areas) in these items, location arrangement of H2 (libraries), M6 (lives from facility/environment) items the middle urethra shows the price which is simple the fire satisfaction remarkably in satisfaction evaluation, appeared highly and with the fact that the improvement is necessary with a precedence appeared. - C university campus facilities A4 (circumferential facility shop and use convenient characteristic of bank etc.) was adopted with the element which reaches the major impact on the outside from 23 evaluation items in satisfaction. Applied Z-score in this item and the sample result to verify an improvement necessary degree with the fact that on the evaluation outside the improvement is necessary from 11 items, about whole rest space appeared. C university campus the middle urethra and satisfaction remarkably about whole rest space, appears lowly, this improvement necessary degree is high means the thing very, namely compares with the fact that the improvement will do first of all thick judges in different items. - D university campus facilities Was adopted with the element which reaches the major impact on A1 (circumferential greens landscape architecture area) item outsides from 24 items in satisfaction. Applied Z-score in 24 items and with the fact that the improvement is necessary from sample resultant 11 items to verify an improvement necessary degree appeared. The campus of D universities the improvement necessary degree comes A4 (circumferential facility bank and convenient characteristic of shop), a-6E (university village which is formed in circumference), J3 (each disappointment air conditioning facility), item with the fact that the improvement is necessary with precedence appeared. About facility and environment of the university campus the improvement at the time of first of all about the item which will do to become at the time of judges with the fact that the improvement must come to precede. This synthesis tried, in 5 items of above M1, K4 and S5 with the item which reaches the major impact commonly in 4 university campus facility and environmental assessment in the item where the improvement is necessary A1, a-6E, appeared. When considering the point which is a campus where the campus type is different respectively about the item which is adopted in like this common item are to the campus plan and the improvement and very must be considered in the item which is important.

      • 대학캠퍼스 상징성 시설물의 외관학적 요인에 관한 연구

        장옥수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대학캠퍼스 상징성 시설물의 외관학적 요인에 대한 연구로서 4가지 이론(첫째, 설립연도에 대한 대학캠퍼스의 인지도, 둘째, 대학캠퍼스의 규모차이로 인한 인지도, 셋째, 상징성 시설물로 인한 인지도, 넷째, 대학의 레벨에 따른 인지도)을 가정으로 설정하여, 그 중 1가지 이론(셋째, 상징성 시설물로 인한 인지도)을 가설로써 접근한 연구였다. 가설에 대한 검증적 이론으로는 외관학적 요인 4가지 유형적 요인의 색채와 형태의 관계성과 무형적 요인의 건축 언어적 표현과 사회적 영향을 설정하여 이를 지각과 인지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내용에 따라 비교·분석하여 검증하였다. 설문조사에 대한 분석 방법의 내용으로는 통계적 분석에 의한 평가 3가지와 SD법에 의한 이미지 분석으로 그룹지어 분석하였으며, 그 내용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캠퍼스 시설물의 외관학적 상징성 평가 둘째, 대학캠퍼스의 브랜드 가치요인 셋째, 유무형적 요인의 통합 평가 넷째, SD법에 의한 이미지 평가 위의 4가지 방법으로 분석한 내용은 각 대학캠퍼스는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는 시설물이 브랜드적인 가치요인으로 작용하며, 그 시설물에 대한 외관학적 요인으로는 형태와 건축 언어적 표현이 가장 큰 요인으로 해석되었다. 또한 대학캠퍼스의 이미지 요인에서 부정적 인식 요인으로 추출된 [기억하기 어려운, 품위 없는]은 외관학적 요인 [형태와 건축 언어적 표현]으로써 해결할 수 있음을 본 논문에서 밝힐 수 있었다. This study establishes four theories(first, awareness of campus about its foundation year, awareness of size difference between campuses, third awareness of symbolic facilities, and fourth awareness the level of colleges) as hypotheses to examine external factors of symbolic facilities in campus, and it approaches one theory(third, awareness of symbolic facilities) out of them as a hypothesis. As the verifiable theory about the hypothesis, the relations between colors and forms of four tangible factors among external factors as well as linguistic expression of architecture and social effects of intangible factors are established. By dividing them into perception and cognition, the survey was carried out and the results were verifi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ntents. The contents of the analysis method of the survey were divided into the groups of three analyses and image analysis using the SD method, and they are as follows. First, analysis on external symbolism of campus facilities Second, brand value factors of campus Third, integrated evaluation of tangible and intangible factors Fourth, image evaluation by means of the SD method The contents analyzed by the above four methods show that symbolic facilities of each university campus serve as the brand value, and the form and linguistic expression of architecture among external factors of the facilities are found to be biggest factors. In addition, this study has found [difficult to remember, graceless] selected as the negative awareness factor from image factors of university campus can be solved by using external factors [forms and linguistic expression of architecture].

      • 대학 캠퍼스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관한 풍수지리적 분석 : 영남대학교 캠퍼스를 중심으로

        김흥곤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943

        Feng-shui is based on the orderly natural law that happens in earth and sky. It is also a science related to the earth, the ground of all the creatures living on the globe. Its purpose is right choice and management of residential space, the indispensable element for preservation of life and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It is admittable that there is a critical viewpoint that Feng-shui is unscientifical. Nevertheless, it is undeniable that the Feng-shui is a wise philosophy of life of our ancestors and a traditional science systematized with an empirical theory. In dictionary, the university is defined as 'an academic community that develops human intelligence based on the freedom of science and that takes the role of succeeding and developing the cultural heritage accumulated by humankind through creative activity of inquiring the truth, and at the same time a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 that cultivates intellectuals equipped with the quality of leadership'. In short, 'the university is a place where sciences a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of sciences are educated'. However, the environment the universities are in is becoming worse in and out of school. Universities will get in the crisis even the survival is not guaranteed if they insist on their proper function. This study analyzed the location and space of the campus of Yeungnam University using the empirical system of logics in Feng-shui. A precise analysis was also been carried out on the personnel elements like professors, staff and students and the campus, the space in which they have to spend most of their time for the education and research. Consideration was given to the device that makes the campus not insufficient for a space to cultivate the future men of ability as well as helps forming a pleasant and efficient environment. Analysis of Yeungnam University in terms of Feng-shui showed that the Juryongmaek, that is one of Biseul Branches Jusan stretches from the BaekduDaegan and comes through Mt. Samseong and Mt. Baekja, is connected to the right backside of the main building of Yeungnam University at the end of the Juryongmaek. Centering around the Chenmaro, colleges of science and engineering are located to the left side fit for the spirit of challenging, strong and mannish Cheongyong and colleges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o the left side fit for the spirit of quiet, relaxed and feminine Baekho. Then the Cheonma Arts Center is located in front, being agreed well with the concept of Sasinsa. Looking around the topography of nearby mountains and streams, the location of Gyeongsan campus is known to choose the rear-mountain-front-water and front-low-rear-high land, the land ideal and basic in Feng-shui, at Sanjincheo where the Naeryong ends. In case of Daemyeong-dong campus, the medical center and college of medicine are located at where Mt. Apsan and Mt. Bipa of Biseul Branches come out and form a peak after gradually rising up, and also at the place where 4 branches of E-W-S-N including Ipsu NaeryongMaek are stable. The result of analysis suggests that Yeungnam University is in no way inferior to the site of academic research, making the 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ege that is growing as the best private school. It is a site very proper to the condition of house site that puts the vital power away in good order as it has a stable soil layer on low and wide ground, if some lacking part is supplemented in terms of Feng-shui. The perfect propitious site, in Feng-shui, is not many and if any, it is hard to find. Therefore if a place equips somewhat adequacy and rationality as a location, it is enough to live while supplementing something lacking. For Yeungnam University to grow and develop to become a global brand name college in world stage in the 21st century,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of course important, but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foster a high quality mental culture. It seems only natural that Feng-shui may play an important role here. In addition, only domestic Feng-shui should be expanded to Feng-shui for cosmopolitan and become the best practical science in the future, taking the role of supporter of human life and mind. 풍수지리는 하늘과 땅에서 일어나는 질서정연한 자연법칙을 근본으로 삼고 있다. 또한 지구에서 생존하는 모든 생명의 터전인 대지와 관련된 학문이며, 그 목적은 생명의 보존과 삶의 질의 개선을 위하여 필수불가결한 요소인 주거공간의 올바른 선택과 관리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풍수가 비과학적이라는 비판적 시각이 엄연히 존재함을 인정하지만, 현대 풍수가 우리 조상들의 지혜로운 삶의 철학이자, 실증적인 이론으로 체계화된 전통과학임은 절대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다. 오늘날에 있어 대학이란 사전적 의미로는 ‘학문의 자유를 바탕으로 인간의 지성을 개발하고, 진리 탐구의 창조적 활동을 통하여 인류가 쌓은 높은 문화유산을 계승, 발전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학문 공동체이자, 지도자로서 자질을 갖춘 지성인을 양성하는 고등교육기관’이고, 한마디로 말하면 ‘대학은 학문을 하고, 학문의 결과를 교육하는 곳’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대학이 처한 환경은 대내외적으로 갈수록 열악해지면서 대학이 본연의 기능만을 고집하다가는 발전은 고사하고 생존까지 위협받을 위기에 처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풍수지리의 경험과학적 논리체계를 이용하여 영남대학교 캠퍼스의 입지와 공간분석을 해 봄으로써 대학의 주요 구성요소인 교수, 직원, 학생 등 인적요소와 더불어 그들이 교육과 연구를 위하여 대부분의 시간을 지내야 할 공간인 캠퍼스를 정밀 분석해 봄으로써 캠퍼스가 미래의 동량을 양성하는 공간으로 부족함이 없도록 할 뿐 아니라 쾌적하고 효율적인 환경 조성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영남대학교를 풍수지리적으로 분석하여 보면, 주산이 백두대간에서 뻗어 나온 비슬지맥의 한 지맥으로 삼성산과 백자산을 거쳐 온 주룡맥은 영남대학교 본관 바로 뒤로 이어져 주룡맥의 끝자락에 본부본관이 배치되고, 천마로를 중심으로 좌측에는 도전적이며 강건하고 남성적인 청룡의 기운에 맞게 이공계열 대학을, 우측에는 차분하며 느긋하고 여성적인 백호의 기운에 맞게 인문·사회계열 대학을 배치하였고, 그리고 앞쪽에 천마아트센터가 놓임으로써 사신사의 개념과 일치하도록 잘 배치되었다. 또한 경산 캠퍼스의 입지는 주변 산천의 지세를 살펴보아 내룡이 끝나는 산진처(山盡處)에, 풍수에서 이상적이고 기본적인 배산임수와 전저후고의 땅을 선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대명동 캠퍼스 역시 비슬지맥의 앞산과 비파산에서 내룡하여 오다가 서서히 기룡하여 봉우리를 형성한 곳에 의료원과 의과대학이 위치하고 있으며, 입수 내룡맥을 포함한 동서남북 4지맥이 모두 안정된 곳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영남대학교는 사학의 최고봉으로 성장하고 있는 대학의 특성을 잘 살려서 학문연구의 터전으로 손색이 없으며 낮고 넓은 대지에 안정된 토층을 갖고 있기 때문에 풍수적으로 일부 부족한 부분을 비보하여 보완한다면 양기를 갈무리하는 양택 조건에 아주 합당한 곳이라 할 수 있다. 풍수에서 완벽한 명당은 많지 않고, 또 있다 해도 찾기가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어느 정도 입지적인 타당성과 합리성을 갖춘 장소라면 부족한 점을 보완하면서 살아가면 충분할 것이다. 영남대학교가 21세기 세계무대에서 글로벌 명문대학으로 성장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의 발전도 중요하지만 수준 높은 정신문화의 육성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여기에 풍수지리학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이와 더불어 우리만의 풍수지리에서 나아가 세계인의 풍수지리로 자리매김함으로써, 미래에 최고의 실학(實學)이 되어 인류의 생활과 정신의 지주역할이 가능하기를 기대해본다.

      • 대학캠퍼스 지하공간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소재 10개 대학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고영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943

        1980년대 중반이후 대학정원이 급격히 늘어남에 따라 한정된 대지에 늘어나는 학생을 수용하기 위한 고층건물이 캠퍼스 마스터플랜에 벗어나게 되었다. 따라서 캠퍼스마다 상징물과 역사적인 건물에 경관적인 측면에서 상당부분 침해를 받고 동선계획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또 늘어나는 학생수에 비해 오픈스페이스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 지하공간 개발이 절대적으로 필요함에 따라 더 이상 확장이 불가능한 서울소재 대학을 대상으로 지하공간의 개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지하공간을 활용하고 있는 고려대학교의 경우 학생들을 대상으로 거주후 평가를 통하여 지하공간에 대한 만족도와 불만족 요인을 밝혀내려고 하였다. 또 서울소재 10개 대학을 대상으로 지하공간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설문을 통하여 지하공간의 개발 위치, 필요로 하는 공간, 고려해야할 사항 등을 조사하였다. 또 앞으로 개발 가능성이 있는 10개 대학을 선정하여 각각 조사한 결과 공간이 부족하다고 응답한 경우가 77.6% 보통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16.4% 충분하다고 응답한 경우가 6%로 대부분의 학생이 공간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지의 선정은 대체로 공동이용시설을 중심으로 선택한 것을 볼 수 있고 희망 용도는 편의시설이 46.2%이상, 강의실19%, 도서관14.2%, 주차장 13.4% 행정시설이 7.1%로 조사되었다. 환경적인 면으로는 전체의 39%가 환기에 주의해야 한다고 응답했고 26.6%는 조명, 폐쇄감 13.7%, 피난 8.4%, 소음 6.8%, 방향감 5.4%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환기와 조명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각 대학마다의 대지환경에 맞추어 학생들이 요구하는 공간과 지하로 다른 건물과 연결하는 지하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Since 1980', the growth of universities in korea have brought of a rapid increase of campus user but the improvements in the aspect of qualities have been relatively insufficient and the space for students is not enough. For this space insufficiency, many buildings were built in campus. It brings many problem - damage a memorial, unbalanced path, insuficient open space. This study focused on there are need to improve the underground space in campus and consider the environment in the underground space. For the case study, ten samples - Kwangwoon univ, Dankook univ, Dongguk univ, Sungkyunkwan univ, Sejong univ, Soongsil univ, Chung-ang univ,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Hansung univ, Hongik univ - were selected among thirty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Do you think it is enough to use the space in your university? Yes ; 77.6 % / No ; 6 % / None of these ; 16.4 % 2. Select a space for the underground space library 14.2%, lecture room 19%, facilities(a rest room, a lounge etc) 46.2%, administration 7.1%, parking 13.4% 3. Select a consideration in environment ventilation 39%, lighting 26.6%, noise 6.8%, evacuation 8.4%, closing 13.7%, direction 5.4% Therefore each of universities need to expand facilities, lecture room, library and to consider ventilation, lighting, closing in the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 집중력회복이론을 통한 지역거주민들의 대학캠퍼스 이용실태 및 만족도

        박군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943

        대학의 기능은 교육, 연구 활동에만 국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이러한 본질적인 기능에 더하여 오늘날의 대학캠퍼스는 그 규모나 그것이 포함하고 있는 자연성으로 인해 실질적 주인인 학생들의 이용뿐만 아니라 지역주민들의 이용을 위한 하나의 생활권 공원 녹지로서 그 역할이 높게 평가되고 있다. 즉, 대학 캠퍼스는 더 이상 학문의 전당만이 아닌 지역주민들에게 휴식과 문화적 생활을 즐기며 자연을 체험할 수 있는 캠퍼스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외부이용자인 지역 거주민들을 대상으로 대학캠퍼스를 통해 조성된 오픈스페이스 공간의 이용실태와 만족도를 조사하고, 캠퍼스 오픈스페이스 공간이 치유적 환경으로서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는데 본 연구의 취지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과정을 수행하였다. 첫째, 대학캠퍼스를 통해 조성된 오픈스페이스 공간이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둘째, 조성된 시설과 환경에 대해서 지역주민들이 만족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셋째, 캠퍼스 오픈스페이스 공간이 치유적 환경으로서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측정하고, 이러한 특질이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경관의 치유적 특질은 대학캠퍼스 오픈스페이스 공간의 평가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치유적 특질을 이용하면 새로운 측면에서 인공 경관을 평가 할뿐만 아니라 경관개선 방안도 다양한 각도에서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캠퍼스 오픈스페이스 공간과 비롯한 여러 인공 경관을 대상으로 평가도구로서의 치유적 특질의 타당성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이와 함께 치유적 특징을 결정짓는 물리적 경관요소와 경관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도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는 경관계획이나 설계에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실질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할 것으로 판단된다. 후속 연구에서는 추출되는 요인의 특성을 파악하여 상호 요인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다양한 목적과 동기를 가진 활동을 중심으로 활동목적지 경관평가에 미치는 치유적 특질의 영향을 파악하는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향후 대학 캠퍼스 오픈스페이스 공간뿐만 아니라 계획·설계 등 설계시안의 회복 환경적 특성을 미리 평가하는 등의 방법으로 구체적인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주는 연구도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