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진로준비행동과 대학진로교육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동조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취업 전 진로준비행동과 대학진로교육이 직업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서울 및 경기도 지역에서 근무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남녀 모두 39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15년 9월 15일부터 10월 5일까지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보인 49부를 제외한 총 345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변수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Cronbach α를 산출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진로준비행동과 대학진로교육, 그리고 직업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t-test(검증)와 One-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진로준비행동과 대학진로교육과 직업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을 실시하였고,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진로준비행동, 대학진로교육 및 직업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진로준비행동은 연령이 적을수록, 4년제 대학교를 졸업한 직장인이 2년제 대학교를 졸업한 직장인보다, 구직활동을 21회 이상 한 대상자들이, 대학 재학 시 진로교육 관련 프로그램을 이수한 적이 있는 대상자가 높았다. 진로준비행동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기업채용 설명회 및 박람회 중요성에 대해서는 남자 직장인이 높은 인식을 보였고, 연령에 따라 자격증 관련 특강 중요성에 대해서는 31∼35세인 직장인이, 취업동아리 활동 중요성에 대해서는 31∼35세인 직장인 가장 높은 인식을 보였다. 진로관련 교과목 수강 중요성에 대해서는 대학 재학 시 진로교육 관련 프로그램을 이수한 직장인이 그렇지 않은 직장인보다 높은 인식을 보였다. 대학진로교육 정도에서는 4년제 대학교를 졸업한 직장인이 2년제 대학교를 졸업한 직장인보다 높았으며, 대학 재학 시 진로교육 관련 프로그램 이수 여부에 따른 인프라 만족도는 진로교육 관련 프로그램을 이수하지 않은 학생이, 교육과정 만족도는 진로교육 관련 프로그램을 이수한 학생이 높았다. 직업만족도는 고용의 안정성, 직무내용, 근무내용, 일하는 시간, 그리고 개인의 발전 가능성, 사회적 평판 만족도 등은 4년제 대학교를 졸업한 직장인이 높았다. 대학 재학 시 진로교육 관련 프로그램 이수 여부에 따른 직업만족도는 전체적으로 진로교육 관련 프로그램을 이수한 직장인이 그렇지 않은 직장인보다 높았다. 둘째, 진로준비행동, 대학진로교육, 직업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진로준비행동은 인프라 만족도 및 교육과정 만족도, 대학진로교육, 그리고 직업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교육과정 만족도는 대학진로교육 및 직업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직장인들은 진로준비행동이 높을수록 인프라 만족도와 교육과정 만족도, 대학진로교육, 그리고 직업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프라 만족도가 높을수록 교육과정 만족도와 대학진로교육, 그리고 직업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진로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업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진로준비행동과 대학진로교육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직업만족도에는 진로준비행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직장인들은 진로준비행동이 높을수록 직업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대학 재학 시 진로교육 정도가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인프라 만족도와 교육과정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직장인들은 대학 재학 시 인프라 만족도와 교육과정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업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직장인들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로준비행동과 대학 재학 시 진로교육 만족도 중 인프라 만족도, 그리고 교육과정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 학생선수의 대학생활 및 진로의사결정 과정 탐구

        이지형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학생선수들이 겪고 있는 다양한 문제점의 원인과 더불어 해결 방안을 찾고자 하는 노력에서 기인하였다. 현재 학생선수들이 겪는 문제점은 대표적으로 학업 결손으로 인한 학습능력 저하, 선수와 학생 사이에서 정체성 혼란, 수업불참으로 인한 교우관계 단절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들은 특히 그들의 진로의사결정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한다. 문제점 해결을 위해 투입되었던 지난날 방법들의 효과성에 대해서는 주로 회의적인 반응들이 주를 이루었다. 특히 학생선수의 진로와 관련해서 각 시기별 수행해야 할 진로발달과업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연령을 고려하지 않는 획일화된 진로교육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그들의 진로의사결정에 긍정적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했다. 이에 학생선수들이 겪고 있는 문제점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을 찾는 것이 선결과제라는 여론이 조성되었으며, 학생선수들의 삶에 초점을 맞춰 그들의 경험을 이해하려고 하는 것이 현재 학생선수의 진로 문제 해결을 위한 주된 기조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생선수의 삶과 그들의 학교생활 경험의 탐색을 통해 향후 학생선수들이 당면한 문제점의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하에 진행되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의 경험과 내면을 깊이 있게 들여다볼 수 있는 내러티브 연구 방법을 선택하여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했다. 이에 연구 참여자 총 5인을 섭외하였으며, 약 37개월에 걸친 장기간의 자료 수집을 통해 구체적인 자료 획득에 성공했다. 더불어 연구 참여자들의 인터뷰와 문서 수집 및 문헌 분석을 통해 얻어진 자료는 범주화 작업 후 진실성 확보를 위한 다각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Connelly & Clandinin(2007)가 제시한 내러티브 해석 방법을 이용하여 해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과 내러티브적 해석을 통해 총 7가지의 범주를 도출할 수 있었으며, 각 범주에 따른 하위범주와 개념 또한 밝혀낼 수 있었다. 자세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교 시기 학생선수로서의 경험. 해당 범주에서는 운동선수의 삶, 선수로서의 평가, 학생으로서 평가, 교우관계의 4가지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해당시기 연구 참여자들은 스스로를 학생으로서 인식하지 않았으며, 특히 학업능력 부진과 교우관계에서 어려움을 겪었는데 이는 수업불참에서 시발되는 문제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최저학력제의 도입에 따라 연구 참여자들의 학업능력, 교우관계 등에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첫 번째 진로의사결정. 고등학교 졸업 이후 대학을 선택한 연구 참여자들의 이야기를 담았으며, 해당 범주에서는 탐색기 진로발달과업, 진로의사결정 유형, 대학 선택에 영향을 준 인물 및 사건이라는 3가지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탐색기에 해당되는 중·고등학교 시기 진로교육 부재로 인해 진로발달과업을 수행할 수 없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 진학의 선택에 있어 특정 인물의 영향력이 절대적임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통해 진로의사결정 유형 또한 대부분 의존적 진로의사결정 유형에 해당됨을 밝혀냈다. 셋째, 선수로서의 대학생활. 선수로서 맞이하는 대학생활에 대한 연구 참여자들의 이야기가 담겨있으며, 해당 범주에서는 선수로서의 나, 훈련 경험, 시합 경험, 해당 경험과 현재 나와의 연관성이라는 총 4가지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대학시절 선수로서 스스로를 돌아보며 연구 참여자들은 대부분 노력의 부재를 꼽으며 아쉬움을 표현했으며, 자율성이 강조된 대학훈련에서 스스로를 통제하지 못한다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음을 밝혔다. 하지만 스스로의 의지가 수반된다면, 바뀐 환경이 선수로서 성장에 큰 도움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공통적으로 주장했다. 넷째, 학생으로서의 대학생활. 학생의 입장에서 경험한 대학생활에 대한 이야기로 구성되었으며, 해당 범주에서는 대학에서의 학업 경험을 비롯한 총 5가지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의 특성에 따라 대학에서 학업성취에 차이가 있었음을 발견했으며, 그 중에서도 개인이 학업을 대하는 태도가 가장 큰 변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생선수들이 일반학생들에 비해 학업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점에 대한 발견과 더불어 학생선수만의 ‘고립된 섬 문화’의 폐해가 특히 교우관계에 있어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 째, 두 번째 진로의사결정. 대학을 졸업한 후 직업선택에 대한 연구 참여자들의 이야기를 담아냈으며, 해당 범주에서는 진로교육의 경험과 직업선택 과정이라는 두 가지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대학을 졸업한 학생선수들은 과거 고등학교 졸업 시기와 비교했을 때 양질의 진로교육을 경험했음을 확인하였다. 이 중에서 대학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하는 진로특강은 학생선수들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했으며, 이는 직업선택의 과정에 있어서 의존적 의사결정유형을 벗어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지도자를 통한 직업선택이 다수를 차지함을 발견했으며, 학생선수가 합리적 진로의사결정에 도달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이자 유일한 방법은 진로교육이 유일함을 연구 참여자들의 인터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섯 째, 사회인으로서의 경험. 직업선택 이후 사회인으로서의 경험이 주된 내용이며, 해당 범주에서는 현재 직업에 대한 만족도를 비롯한 4가지 하위 범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대학에서의 모든 경험이 현재 자신의 분야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했음을 밝혔으며, 대부분 긍정적인 측면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주장했다. 특히 대학에서 경험한 다양한 사람들과의 교우관계는 사회에서 능숙한 대인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일종의 선행학습으로 작용했으며, 학생선수라는 신분에서 오는 특수성은 타인으로부터 호감과 긍정적 시선을 받을 수 있었음을 주장했다. 반면 선수의 역할을 수행해야 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다양한 경험을 누릴 수 없던 점을 연구 참여자들은 가장 아쉬워했다. 일곱 째, 사회 진출 방법. 해당 범주는 자신의 분야로 진출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에 대한 연구 참여자들의 생각이 담겨 있다. 직업분야별로의 차이점이 존재하지만, 공통적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선수와 학생으로서 본연의 역할에 충실해야 함을 주장했다. 특히 사회진출 이전 경험하게 되는 대학생활을 작은 사회로 받아들이고, 다양한 경험을 통해 사회 구성원으로서 발돋움할 수 있어야 함을 주장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요자가 희망하는 진로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연령에 맞는 진로교육을 통해 진로발달과업을 반드시 수행해야 한다. 현재의 진로교육은 대상에 따른 교육의 정체성과 방향성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수요자로 하여금 적극적인 참여를 불러일으키지 못하고 있다. 올바른 진로의사결정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수단은 시기에 맞는 진로교육과 이를 통한 진로발달과업 수행이므로, 수요자의 연령을 고려한 맞춤형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투입되어야 한다. 둘째, 학생선수의 의사결정유형의 변화를 이끌어내야 한다. 이를 위해 장기적 관점과 단기적 관점의 두 가지 방법으로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다. 장기적 관점에서는 진로교육을 통해 합리적 의사결정유형으로의 변화를 이끌어 내야하며, 단기적 관점으로는 의존적 의사결정유형의 배경이 되는 지도자·학부형 등의 인물들의 교육을 통해 학생선수들이 양질의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셋째, 학생선수들이 학업 참여로 얻게 되는 긍정적인 영향력은 훈련시간 단축 등으로 대변되는 부정적 영향력을 상쇄할 만큼 크기 때문에, 학생선수들의 수업 참여를 적극 권장해야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학업활동을 통해 얻게 되는 지적 능력이 경기력 향상으로 이어진다는 연구 참여자들의 주장은 수업 참여가 경기력 저하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기존의 패러다임을 불식시킬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로 불리기 손색없다. 따라서 학생선수들의 학업 참여가 선수로서의 기량 증진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설득하고, 자발적으로 학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이다. This study was conceived by an effort to identify the causes of various problems faced by student players and find solutions for them. Today student players have three major problems including lower learning abilities due to an academic loss, confusion with their identity between a player and student, and the discontinuity of peer relations due to no participation in lessons. These problems have negative impacts, especially on their career decision-making. There were mainly doubtful responses to the old methods introduced to solve these problems for their effectiveness. Student players have certain career development tasks for each period, but uniform career education that did not take age into consideration had no positive impact on their career decisions. Public sentiment was formed that it was first needed to identify the fundamental causes of student players' problems. Today the main keynote in the efforts to help student players address their career issues is to understand their experiences with a focus on their l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a consumption that it would be able to propose solutions to the problems faced by student players by closely examining their lives and experiences and considering the diverse experiences that they had. The study adopted the narrative methodology to take a deep look into the experiences and inner worlds of participants to fulfill its goals. The investigator recruited a total of five participants and succeeded in obtaining their specific data by collecting data for a long time over approximately 37 months. Data collected from the participants' interviews and documents and a literature analysis was categorized, analyzed at multiple angles to secure its veracity, and interpreted in the narrative interpretation method by Connelly & Clandinin(2007). Data collection and narrative interpretations resulted in a total of seven categories and their subcategories and concepts. The specific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ategory of experiences as a student player in middle and high school had four subcategories including life as an athlete, evaluation as a player, evaluation as a student, and peer relations. In middle and high school, the participants did not perceive themselves as a student and had difficulties with lower learning abilities and poor peer relations, which derived from their absence from school lessons. Since its introduction, the minimum academic achievement system had positive impacts on their learning abilities and peer relations. Second, the category of the first career decision covered the stories of the participants that chose to go to college after graduation from high school. The category included three subcategories such as career development tasks at the exploration stage, career decision-making types, and people and events that had impacts on their choice of going to college. The participants were not able to implement their career development tasks due to the absence of career education at the exploration stage in middle and high school, which means that certain people in their lives had absolute effects on their choice of going to college. Most of them thus fell under the dependent career decision-making type. Third, the category of college life as a player covered the stories of the participants about their college life as a player. This category contained four subcategories including me as a player, training experiences, game experiences, and connections between the experiences and current me. Most of the participants felt sorry that they did not make effort, looking back on their college life as a player. They knew that if they do not control themselves in college training emphasizing autonomy, they will get no results they want. A common opinion among the participants was that a changed environment accompanied by their determination would give them huge help to grow as a player. Fourth, the category of college life as a student consisted of their stories about their college life in the position of a student. The category had five subcategories including academic experiences in college. There were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s in colleg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of which personal attitude toward study was the biggest variable. The study also found structural issues that made it inevitable for student players to have academic difficulties compared with common students. The harmful consequences of the "isolated island culture" unique to student players had negative effects on their peer relations. Fifth, the category of the second career decision covered the participants' stories about their choice of occupation after graduation from college. The category included two subcategories, experiences with career education and the process of choosing an occupation. Graduating from college, the student players confirmed that they received a quality career education compared with the time when they graduated from high school. Special lectures on careers for student players in college had positive effects on them and became their driving force to move away from the dependent decision-making type in the process of choosing an occupation. A majority of student players still chose an occupation via their instructors. The participants' interviews show that career education is the most effective and the only way for student players to make a rational career decisions. Sixth, the category of experiences as a member of society mainly covered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as a member of society after choosing an occupation. The category contained four subcategories including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occupation. The participants said that all the experiences they had in college had direct impacts on their current fields and argued that their experiences worked in positive ways in most cases. They, in particular, had peer relations with diverse people in college, and their peer relations served as a kind of prior learning for them to keep goo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society. Their unique status as a student players earned them favorable and positive views from others according to them. The participants felt the sorriest about their relative lack of diverse experiences as they had to perform their roles as a player. And seventh, the category of methods to advance into society contained the participants' thoughts about what they would need to enter the field of their choice. The participants' common argument was that student players should play their given roles sincerely as players and students with some differences among different fields of profession. They maintained that student players should embrace college life as a little society that they would experience before advancing into society and make use of diverse experiences to leap a member of socie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vid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t is critical to provide the career education that users wish to receive. Career education according to age should offer a chance for users to perform their career development tasks. Current career education has no clear identity and directionality according to users and fails to induce active participation from them. The most effective means of making the right career decision is to provide care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periods and chances to perform career development tasks through education, which raises a need to introduce custom career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age of users. Secondly, it is important to bring changes to student players' decision-making types. This requires an approach from a long- and short-term perspective.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t is needed to bring changes toward the rational decision-making type through career education. From a short-term perspectiv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their instructors and parents who make the background of their dependent decision-making type so that student players can have access to quality information. Finally, the positive impacts of student players' participation in study are big enough to offset the negative influences represented by the reduction of training time, which raises a need to recommend actively student players to participate in lessons. The research participants argued that the intellectual competence obtained through academic activities would lead to improved performance. This argument offers a good case to dispel the old paradigm that participation in lessons would inevitably lead to lower performance. The best approach will be to convey persuasively that participation in the study is closely related to the cultivation of student players' abilities and induce them to participate in lessons voluntarily.

      • 대학생 진로역량 증진을 위한 ‘DREAM’ 진로교육 교수전략 개발 연구

        손승우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3334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교육을 위한 교수전략을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 분석, 현직자 심층 면담, 전문가 델파이를 통해 대학생 진로역량 증진을 위한 진로교육 교수전략을 도출하고, 대학생 진로교육 교수전략에 대한 타당성 평가를 통해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대학생 진로교육을 위한 교수전략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진로역량 향상을 위한 진로교육 교수전략(이하 ‘DREAM’ 진로교육 교수전략’)은 최종적으로 5개 영역, 25개 전략으로 구성되었다. 5개 영역은 Data(정보), Relationship(관계), Enrichment(확장), 실제(Actually), 멘토링(Mentoring)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그동안 일반적인 진로교육의 영역으로 제시되었던 ‘자기 탐색, 진로탐색, 진로 설계, 진로 관리’ 관점에서 탈피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DREAM’ 진로교육 교수전략은 사용 순서 고려 시, 목적에 따라 유연하게 활용되어야 한다. Dick과 Carey(2015)가 제시한 교수전략처럼 5개 영역의 전략을 순서대로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Enrichment(확장) 영역의 하위 5개 전략은 사전 교수활동, 본 교수활동, 후속 교수활동에서 활용할 수 있어 사용에 주의가 요구된다. 셋째, 학계 전문가그룹은 ‘DREAM’ 진로교육 교수전략의 5개 영역 중 ‘Mentoring(조력)’ 영역을 가장 중요하게 평가했다. ‘DREAM’ 진로교육 교수전략을 통해 진로교육이 의미 있게 이뤄지도록 교수자와 동료의 피드백을 제공하고, 조력 웹사이트 운영을 통한 현직자 멘토링 제공을 제안하였다. 대학생 대상 ‘DREAM’ 진로교육 교수전략의 영역별 주요 특성과 강조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에 대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정보(Data)가 제시되어야 한다. 진로교육을 위한 정보는 진로검사에 근거한 자신에 대한 정보뿐 아니라 변화하는 산업 동향 정보가 포함되어야 한다. 둘째, 학습자에게 긍정적 관계(Relationship)를 형성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관계 형성 전략은 인턴십을 진행할 때 필요한 직장 예절 실습부터, 팀 내와 팀 간의 협업 기회 부여로 대인관계역량을 높일 실제적인 전략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학습자가 다양한 경험뿐 아니라 관점을 확장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실행해야 한다. ‘Enrichment(확장)’ 영역의 전략은 인턴십과 기업실무프로젝트를 계획 할 때 진로 영역, 과제, 경험, 권한 확장을 통해 전체를 바라보는 통합적인 관점에서 일하는 법을 배움으로써 급변하는 현대 사회에서의 적응을 돕는다. 넷째, 학습자가 기업의 실제(Actually)적인 업무를 경험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턴십이 효과적으로 되기 위해 진로교육을 구성하는 내용, 직무역량을 높일 수 있는 교육 제시, 진로교수와 현직자의 팀 티칭을 제안했다. 또 기업 실무 교육을 진행할 때 업무 절차서와 점검표를 제공함으로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지속적인 조력(Mentoring)을 통해 학습자의 진로역량 향상을 도와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수자와 동료의 피드백 제공 방식, 조력 웹사이트의 운영 방법, 보상 제공 방법과 개별 모니터링 제공 방법을 안내함으로 활용 가능성을 높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대학생 진로교육 교수전략은 문헌 연구, 현직자 심층면담, 학계 전문가와 현장 사용자 집단의 타당화를 확보했지만, 최종 선정 후 실제 진로교육에 적용 과정을 거치지 않아 한계가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교수자는 진로 교과와 비교과 진행 시 기업에서 실제 진행되는 과제를 제시하고 이를 해결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해 효과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문적으로 대학생 ‘DREAM’ 진로교육 교수전략을 좀 더 개발하기 위해 다수의 외부 현직자, 이론가들, 학생들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연구가 필요하다. 진로교육은 대학의 설립 목적과 특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진로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관계자의 의견을 반영함으로 진로교육 교수전략이 더 정교화되어 활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eaching strategies for career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career education teaching strategies to improve college students' career competency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in-depth interviews with incumbents, and expert Delphi, and validity was confirmed through a feasibility assessment of college students' career education teaching strategies. The main contents of the teaching strategy for college student career education deriv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education teaching strategy to improve college students' career competency (hereinafter referred to as 'DREAM' career education teaching strategy) was ultimately composed of 25 strategies in 5 areas. The five areas consist of Data, Realationship, Enrichment, Actually, and Mentoring.​ This shows that there is a need to break away from the perspectives of ‘self-exploration, career exploration, career design, and career management’, which have been presented as areas of general career education. Second, the 'DREAM' career education teaching strategy must be used flexibly depending on the purpose when considering the order of use. Like the teaching strategies suggested by Dick and Carey (2015), it is common to use strategies in the five areas in order, but the bottom five strategies in the 'Enrichment' area are used in pre-teaching activities, main teaching activities, and follow-up teaching activities. It can be used, so caution is required when using it. Third, the academic expert group evaluated the 'Mentoring' area as the most important among the five areas of the 'DREAM' career education teaching strategy. Through the 'DREAM' career education teaching strategy, we proposed providing feedback from instructors and colleagues to make career education meaningful, and providing mentoring to incumbents through the operation of an assistance website. 'DREAM' career education teaching strategy for college stud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pecific and diverse information (data) about career paths must be presented. Information for career education should include information about yourself based on career tests as well as information on changing industry trends. Second, opportunities to form positive relationships must be provided to learners. The relationship building strateg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practical strategy to improve interpersonal skills by practicing workplace etiquette required when conducting an internship an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collaboration within and between teams. Third, it must be planned and implemented so that learners can expand their perspectives as well as diverse experiences. The strategy in the 'Enrichment' area is to adapt to the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by learning how to work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looking at the whole through expansion of career areas, tasks, experiences, and authority when planning internships and corporate work projects. helps. Fourth, learners must be able to experience the actual work of a company. In this study, in order for internships to be effective, we proposed the contents of career education, the presentation of education that can increase job competency, and team teaching between career professors and incumbents. In addition, a strategy to increase learning effectiveness was presented by providing work procedures and checklists when conducting corporate practical training. Fifth, we must help learners improve their career capabilities through continuous mentoring. In this study, usability was increased by guiding instructors and colleagues on how to provide feedback, how to operate the assistance website, how to provide compensation, and how to provide individual monitoring. The university career education teaching strategy derived from this study was valida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in-depth interviews with incumbents, and academic experts and field user groups, it has limitations as it was not applied to actual career education after the final selection. Therefore, in follow-up research, instructors need to present actual tasks in companies when conducting career courses and conduct projects to solve them to confirm effectiveness. In addition, in order to further develop academic 'DREAM' career education teaching strategies for college students, research is needed that comprehensively reflects the opinions of many external practitioners, theorists, and students. Career education can b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Therefore, I believe that career education teaching strategies can be more elaborated and utilized by reflecting the opinions of various stakeholders related to career education.

      • Z세대 문과 대학생 대상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에 대한 액션리서치 : 전환학습 이론에 기초하여

        정준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진로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Z세대 문과 대학생의 부정적 준거틀(a frame of reference)을 긍정적 준거틀로 전환(transformation)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액션리서치(action-research)이다. 따라서 기존의 준거틀을 전환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Mezirow(1978)의 전환학습 이론과 현장의 문제를 직접 해결하기 위한 실행을 하고, 그에 대한 성찰을 기반으로 또다시 실행으로 옮기는 액션리서치(전가일, 2014)에 기반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에 답하고자 한 것이다. 첫째, 진로교육 액션리서치의 Z세대 문과 대학생 참가자들이 교육에 참가하기 전 지닌 준거틀은 무엇인가? 둘째, 전환학습에 기초한 진로교육을 통해 Z세대 문과 대학생 참가자들의 준거틀은 어떻게 전환 되었는가? 셋째, 교육을 받고 난 후 Z세대 문과 대학생 참가자들이 취업 과정을 인식하는 것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넷째, 본 연구는 어떤 한계를 갖고 있으며 후속 연구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어떻게 진행되어야 하는가?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Z세대 문과 대학생 참가자들의 부정적 준거틀 총 9가지가 긍정적 준거틀로 전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Z세대 문과 대학생 참가자들이 교육을 받고 난 후 취업 과정을 불안하고, 막연하다고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확신을 갖고, 선명하게 인식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참가자 수가 3명이고, 3명 모두 독어독문과 학생이므로 후속연구는 좀 더 많은 과의 Z세대 문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해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것이 빠르게 변화하고, 불확실하며, 복잡하고, 모호한 VUCA(volatility, uncertainty, complexity, ambiguity)시대에서 Z세대 문과 대학생이 대2병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준거틀을 스스로의 변화를 믿게 만드는 준거틀로 전환할 수 있게 돕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직업 정보를 알려주는 것보다 본인을 이해하고, 그 이해를 바탕으로 경험을 디자인하며, 스스로를 브랜딩 할 수 있게 돕는 것이 진로문제를 해결하는 데 훨씬 더 중요하다. 셋째, Z세대 문과 대학생들이 원하는 삶을 원하는 방법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준거틀이 무엇인지가 드러난 것으로 보인다. 넷째, Z세대 문과 대학생이 원하는 삶을 원하는 방법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준거틀을 갖게 만드는 구체적인 관점전환 진로교육의 실행과정과 참가자들의 반응이 현장감 있게 드러난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Z세대 대학생의 불안·우울 등의 정신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근본적으로 진로문제를 야기하는 준거틀을 전환하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 여섯째, 자기이해 과정과 경험 디자인 과정 및 브랜딩 과정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 드러난 것으로 보인다. 일곱째, 관점전환 진로교육을 더 많은 Z세대 문과 대학생에게 실행하여 본 교육의 교육적 의미와 Z세대 문과 대학생의 특징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an action-search aimed at transforming the frame of reference of college students in Generation Z liberal arts who have not solved career problems into a positive framework. Therefore, Mezirow(1978)'s transformation learning theory to solve the problem by switching the existing reference frame and implementation to directly solve the problem in the field, and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action- research(Jeon Ga-il, 2014). This is to answer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frame of reference for the participants of Generation Z liberal arts college students in career education action-research before participating in education? Second, how was the frame of reference of college students in Generation Z liberal arts changed through career education based on transformation learning? Third, how did it change for Generation Z liberal arts college students to recognize the employment process after receiving to education? Fourth, what limitations does this study have and how should follow-up studies be conducted to supplement it? Through the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could be derived. First,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a total of nine negative frame of references for college students in Generation Z liberal arts were converted into positive frame of references. Second, it seems that after receiving education, the participants of Generation Z liberal arts college students did not perceive the employment process as unstable and vague, but rather with confidence and clarity. Third, since the number of participants is 3, and all three are German-language students, follow-up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of Generation Z liberal arts in more departments.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s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an era of volatile, uncertainty, complex, and ambiguous VUCA, it is important to help Generation Z liberal arts college students transition to a frame of reference that makes them believe in their own change. Second, it is much more important to understand yourself, design experiences based on that understanding, and help you brand yourself than to inform job information. Third, it seems that it has been revealed what the reference of frame is necessary for Generation Z liberal arts college students to live in the way they want the life they want. Fourth, it seems that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career education and participants' reactions to change perspectives that make Generation Z liberal arts college students have the necessary frame of reference to live in the way they want. Fifth, it seems important to change the frame of reference that fundamentally causes career problems in order to solve mental difficulties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of Generation Z college students, which are becoming social problems. Sixth, it seems that it is important to provide an integrated self-understanding process, experience design process, and branding process. Seventh,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is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Z liberal arts college students by implementing career education to more Generation Z liberal arts college students.

      • 대학생의 진로개발역량 향상을 위한 상호작용 기반 교수설계 모형 연구

        권현지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3334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을 향상시키는 교수설계 모형을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구성주의 철학에 토대를 두고, 다각적인 상호작용에 기반한 학습을 강조하는 접근 방식을 채택하였다. 구성주의는 실증주의의 이분법적 접근을 넘어 직업 세계 변화의 복잡성을 인정하고 교육 현상을 총체적이고 종합적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구성주의 기반의 교수설계 모형으로 급변하는 직업 세계와 디지털 전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진로교육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설계 모형에 관하여 포괄적으로 탐색하였다. 이 과정에서 모형의 정체성은 각 활동의 절차를 안내하는 미시적 절차 모형으로 구체화하였다. 각 활동에서는 상호작용의 특성이 공통적이었다.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세분화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상호작용 기반 교수설계 모형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이 모형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이 모형의 설계원리는 무엇인가? 이 모형의 프로토타입은 무엇인가? 둘째, 진로개발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상호작용 기반 교수설계 모형의 타당성은 어떠한가? 이 모형의 내적 타당성 및 외적 타당성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설계·개발 연구방법의 모형 연구 유형을 선택하여 모형 개발과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초기 단계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구성요소와 설계원리를 도출하고 초기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후, 반복적인 델파이 조사와 추가적인 문헌 검토를 통해 모형의 내적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외적 타당성은 현장 평가의 일환으로 양적 연구, 조사 연구, 그리고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여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심사 과정에서 얻은 심사위원진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상호작용 기반의 교수설계 모형의 최종 구성요소, 설계원리, 프로토타입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모형의 구성요소는 ‘내부 및 외부 상호작용, 진로과제 선택 및 수행, 진로과제 산출물 평가 및 개선, 진로학습 및 공유’로 이뤄졌다. 둘째, 설계 원리로는 ‘진로탐색 지원 상호작용 촉진의 원리, 진로과제 선택권 보장의 원리, 협력적 진로과제 해결 지원의 원리, 반복적 개선 지원의 원리, 우연적 진로학습을 위한 성찰 대화 지원의 원리, 진로 상호작용 경험 기반 공유의 원리’로 구성된다. 각 설계원리에는 세부적인 지침이 포함된다. 셋째, 최종적인 모형은 이러한 구성요소와 설계원리를 함께 나타내며 그 순환성을 드러내는 형태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학술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다차원적 상호작용 중심의 학습 네트워크를 강조하며 노동시장의 변화와 디지털 전환에 대응할 수 있는 현대적인 진로교육 방법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둘째, 이 연구는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총체적인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절차를 제시하여 진로교육의 효과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발현적인 학습을 포용할 수 있는 유연한 교수설계 모형을 탐색함으로써, 디지털 시대의 복잡성을 수용하는 교수설계 모형의 가능성을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넷째, 본 연구는 인간과 학습자를 동적으로 배우고 나누는 연결체이자 활동적인 존재로 조명하면서 기존의 교육학 이론이 가정하는 인간관과 학습자관에 관한 시각을 확장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다섯째, 이 연구는 교수자를 지식 전달자나 촉진자로 보는 기존의 관점을 넓혀서 교수자가 프로젝트 관리자이자 학습 네트워크의 일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대학 진로교육의 내실화를 도모하는데 있어 진로교육 방법에 관한 질 평가 기준을 마련하여 진로교육의 질을 제고할 필요성을 촉구한다. 둘째, 이 연구는 현행되고 있는 대학생 진로탐색학점제의 운영방식을 개선할 때, 고려해야 이해관계자의 범위와 역할, 교육방법에 관한 시야를 확장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셋째, 연구 결과는 대학 진로 및 취업 관련 정보가 통합되는 플랫폼에 진로교육 서비스를 기획하여 제공하기 위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교육 운영 예산 항목은 인건비, 홍보비, 다과비, 장소 임차료로 구성되었다. 동시에 본 연구의 한계를 명확히 인식하는 것은 중요하다. 첫째, 본 연구는 특정 직무 분야(인공지능)를 중심으로 교수설계 모형의 현장 적용 가능성과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 외에도 마케팅, 인사 관리 등 다양한 직무 분야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는 시론적 연구로서 현장 평가를 통해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나, 단일사례의 실험으로 표본의 크기가 적고 외부 변수의 영향을 완전히 통제하였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양적 연구 결과를 해석하는데 주의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여러 기간에 걸쳐 더 많은 학습자를 대상으로 일관성을 확인하고 일반화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 자료(예: 워크시트)의 일반화를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모형의 절차에 초점을 두었으므로, 매체와 교육 자료에 관한 설계·개발 연구방법의 유형 중, 산출물 및 도구 연구를 실행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는 실증주의 기반의 교수설계 모형처럼 상세한 조건을 나열하여 사전의 의도한 조건과 계획을 실현하는 방식 대신, 학습자들이 현장에서 상호작용하며 관계를 맺고 이를 통해 발현적으로 배우는 창발성을 강조하였다. 이는 학습자가 상황에 맞게 충분히 활동할 수 있음을 가정하고 있기 때문에 사전에 학습자의 발달적 특성과 준비도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는 제한이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에서 도출한 각 요소와 설계원리, 모형을 적용한 프로토타입의 개발 과정을 더 객관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향후 연구에서는 외부 전문가나 교수설계자가 개발 과정을 모니터링하여 설계 원리와 구성요소의 적용 과정에 관한 객관적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을 향상시켜 빠르게 변화하는 직업세계에 대응하도록 하는 교수설계 모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특히, 이 연구는 단지 이론에 국한되지 않고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함으로써 학문적 탐구와 실천 사이의 격차를 줄이는데 기여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novative instructional design model that enhances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f university students. Grounded in the constructivist philosophy, the study emphasizes learning through multifaceted interactions. This approach transcends the dichotomous positivist view, acknowledging the complexity of changes in the job market and enabling a holistic and comprehensive view of educational phenomena. The research presents a novel constructivist-bas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that effectively responds to the rapidly changing job market and digital transformation through career education. The research initially comprehensively explored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to enhance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This process led to concretizing the model's identity as a micro-level procedural model guiding each activity's steps.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s were common across activities. To clarify the instructional design model based on these interactions, the research questions are subdivided as follows: First, how is the interaction-bas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structured to enhance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What are the components of this model? What are the design principles of this model? What is the prototype of this model? Second, what is the validity of the interaction-bas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to enhanc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What are the internal and external validity of this model? This study employed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model. In the initial stage,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derive the components and design principles, and the initial model was created. Subsequently, iterative Delphi surveys and additional literature reviews confirmed the model's internal validity. External validity was examined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survey research, and focus group interviews as part of field evaluations. Finally, feedback obtained during the research review process was incorporated to derive the final components, design principles, and interaction-bas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prototype.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odel's components include 'internal and external interactions, career task selection and execu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career task outputs, and career learning and sharing.' Second, the design principles consist of 'promoting interaction for career exploration support, ensuring choice of career tasks, supporting collaborative career task resolution, supporting iterative improvement, supporting reflective dialogue for incidental career learning, and sharing based on career interaction experiences.' Each design principle includes detailed guidelines. Third, the final model was presented in a form highlighting its cyclic nature, incorporating these components and design principles.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mphasizes a multidimensional interaction-centric learning network, providing a contemporary career education method that can respond to changes in the labor market and digital transformation. Second, the study proposes a method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career education by presenting specific procedures that enhance comprehensive competencies based on interactions. Third, by exploring a flexible instructional design model that can embrace emergent learning, the study presents the potential of instructional design models that accommodate the complexities of the digital age. Fourth, this study helps expand the perspective on human and learner roles assumed by traditional educational theories by highlighting learners and educators as dynamic, learning, and sharing entities. Fifth, the study broadens the conventional view of educators as knowledge transmitters or facilitators by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educators playing roles as project managers and members of learning networks. Additionally,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underscores the need to establish quality evaluation criteria for career education methods to enhance the substance of university career education. Second, the study can aid in broadening the scope and roles of stakeholders and educational methods when improving the operation of the existing university career exploration credit system. Third, the research results can serve as reference materials for planning and providing career education services on platforms integrating university career and employment-related information. This study's budget items for educational operations consisted of personnel costs, promotional costs, refreshments, and venue rental fees. These practical implications provide educators, researchers, and policymakers valuable insights in education and career development. Recognizing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s also crucial. First, this study confirmed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instructional design model in a specific job field (AI). Follow-up research is needed to evaluate its applicability in various job fields, such as marketing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Second, as an initial exploratory study, while the feasibility of the model was confirmed through field evaluation, caution is required in interpreting quantitative research results due to the small sample size and the difficulty of completely controlling external variables. Therefore, subsequent studies involving more learners over extended periods are needed to ensure consistency and generalizability. Third, additional research is required to generalize the educational materials (e.g., worksheets) used in this study. Since this study focused on the model's procedures, research on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media and educational materials is necessary. Fourth, unlike positivism-based instructional design models that enumerate detailed conditions to realize pre-intended conditions and plans, this study emphasizes emergence through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in the field. This assumption requires consideration of learner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readiness in advance. Finally, there is a need to objectively verify the development process of each element, design principle, and prototype of the model derived in this study. Future research should involve monitoring by external experts or instructional designers to validate the application process of design principles and components objectively. Despit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proposes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that enhances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enabling them to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job market. Notably,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bridging the gap between academic inquiry and practice by validating its applicability in the field rather than being confined to theory. This reaffirms the study's value and potential to make a meaningful impact on education and career development.

      • 교육대학 학생들의 진로정체감 지위에 따른 군집유형별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의 차이

        이안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3327

        본 연구는 교육대학 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에 따른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교육대학 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맞는 차별적인 진로상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수도권, 충청도 소재 4개 교육대학과 초등교육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375명을 대상으로 진로정체감 지위, 정서․성격적 진로문제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교육대학 학생들의 진로정체감 지위는 성취, 무관심한 혼미, 확산된 혼미, 유예, 탐색유예, 미분화 의 6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이와 같은 군집분석 결과는 Porfeli 등(2011)이 제안한 VISA모형의 성취, 유예, 유실, 혼미, 탐색유예, 미분화 6개의 진로정체감 지위와 다른 양상을 보였다. 둘째, 분류된 각각의 진로정체감 지위에 따라 정서․성격적 진로문제, 성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진로정체감 지위에 따른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의 차이는, 확산된 혼미와 유예 지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성취, 무관심한 혼미, 탐색유예, 미분화 지위보다 높았으며, 무관심한 혼미, 탐색유예, 미분화 지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성취 지위보다 높았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미분화 지위가 다른 군집에 비해 여학생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확산된 혼미와 유예 지위는 다른 군집에 비해 남학생의 비율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고 향후 진로정체감 지위 연구에 관한 제언을 하였다.

      • 고등학교 수학 교과를 통한 진로 교육과의 연계 방안 연구 : 수학문제와 연계한 대학 전공별 정보탐색 교재계발

        권지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3327

        현재 우리나라의 진로지도 경험은 다른 나라에 비해 현저하게 적다. 교사들의 인식부족, 교육과정과 분리된 진로교육, 현장과 밀착되지 못한 진로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올바른 진로선택의 기회를 주지 못하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고 최근 강조하고 있는 통합교과학습을 잘 활용하여 교과를 통한 진로선택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고,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를 능동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 학문적 체계성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흥미까지 동시에 만족시키는 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본 연구는 수학교과를 통한 진로교육의 연계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수학 교과에서의 2007 개정교육과정의 몇 가지 사항을 보면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인 태도를 개선시키고, 수학과 관련된 국가, 사회적인 요구로써 학생들의 진로와의 연계성을 강화한 수학학습을 주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이와 관련된 수학과 7차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대학 전공, 진로교육에 대한 의미를 소개하고 있다. 그리고 효과적인 수학교육을 위한 교과교육과 진로교육의 연계 필요성을 논의하고 수학교과와 연계된 대학 전공탐색을 위한 교재를 제시할 것이다. 교재는 5개의 과를 임의로 선택하여 학과 소개와 함께 수학문제, 과별 진로정보 등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학생들에게 진로탐색의 기회를 주고 수학의 유용성 및 실용성을 소개하여 교과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유발할 것이다. 그리고 개발된 교재가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와 진로 선택에 어떤 도움이 되는지 검증하고 궁극적으로 고등학생들의 수학학습에 도움을 주기를 희망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고등학교 학생, 학부모, 교사의 진로의식의 변화를 유도하고, 국가적으로도 세계 직업 시장의 구조와 흐름을 재조명하여, 그들의 열정과 잠재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사회적인 구조를 만드는데 본 연구자의 연구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대학생의 진로교육 참여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분석

        강우흔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333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areer education,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maturity, and to present directions to improve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maturi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by university students from B located in S city in northeast China. In order to proceed with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or 5 months from April 2022 to August 2022. The survey consisted of a questionnaire about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areer education classes and a questionnaire about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maturity, and a total of 802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excluding 69 unfaithful respondents, and finally 733 copies were analyzed.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areer education,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maturity were measured. As for the analysis method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ll statistical analysis was verified at the significance level .05,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areer education, the higher the career maturity. Looking at the influence of sub-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it was found that technology development and achievement factors, external display factors, and non-motivation factors had a positive (+) effect on career maturity.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areer education, the higher the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making. It was found that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achievement factors, social factors, and pleasure factors, which are sub-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areer educ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Thir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the higher the career maturity. The factors of goal selection, problem solving, job information, and future planning, which are sub-factors of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career maturity, respectively. Fourth,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playe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areer education and career maturity.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areer education, the higher the career maturity, but the more influence the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than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areer education, the higher the career maturity. Therefore, it is required to increase career maturity by enhancing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achievement in the career education proces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future and strengthening external scienc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areer education through analysis in the overall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areer education, the higher the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university students'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areer education through various channels such as the factor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achievement, social and pleasure.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develop customized education on participation motivation through analysis on the overall sub-factors of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 the futur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the higher the career matur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induc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goal selection, future plans, and problem solving in career education.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improve career maturity through analysis for all sub-factors of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Fourth,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playe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areer education and career maturity.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the higher the career maturity, but the more influence the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than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areer education. The higher the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the higher the career maturity, and the higher the adaptability in the job search proc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career maturity through analysis for all sub-factors of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교육 참여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 증진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자는 중국 동북지역에 W시에 소재한 B 대학교 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2022년 4월부터 2022년 8월까지 5개월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진로교육 참여동기 설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설문 그리고 진로성숙도 설문의 설문지를 구성하여 총 802부 설문지를 배부 및 회수하고, 불성실한 응답자 69부를 제외한 후 최종적으로 733부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분석과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05에서 검증하였고,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교육 참여동기가 높아질수록 진로성숙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참여동기의 하위요인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기술발달 및 성취감 요인, 외적과시 요인과 무동기 요인이 각각 진로성숙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교육 참여동기가 높아질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참여동기의 하위요인인 기술발달 및 성취감 요인, 사교 요인, 즐거움 요인이 각각 참여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아질수록 진로성숙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목표선택 요인, 문제해결 요인, 직업정보 요인과 미래계획 요인이 각각 진로성숙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교육 참여동기와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 역할을 하였다. 이는 진로교육 참여동기가 높을수록 진로성숙도는 높아지지만 참여동기보다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더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진로교육 참여동기가 높아질수록 진로성숙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향후 대학생들의 진로교육 과정에서 기술발달 및 성취감을 높이고 외적과시를 강화함으로써 진로성숙도를 높이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진로성숙도의 전체 하위요인 분석을 통해서 진로교육 참여동기를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진로교육 참여동기가 높아질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술발달 및 성취감 요인, 사교 요인, 즐거움 요인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대학생들의 진로교육 참여동기를 강화하여, 그 적극성을 높이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향후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전체 하위요인 분석을 통해서 참여동기에 대한 맞춤형 교육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아질수록 진로성숙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진로교육의 목표선택, 미래계획과 문제해결 등에서 대학생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모든 하위요인 분석을 통한 진로성숙도 향상이 요구된다. 넷째, 진로교육 참여동기와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 역할을 하였다. 이는 진로교육 참여동기가 높을수록 진로성숙도는 높아지지만 진로교육 참여동기보다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더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아져 구직 과정에서 적응력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모든 하위요인 분석을 통한 진로성숙도 향상이 필요하다.

      • 과학교육전공 예비교사들의 진로갈등과 방황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김유경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3327

        이 연구는 진로갈등을 경험하고 있는 사범대학 학생 4명을 선정하여 어떤 형태의 진로갈등을 경험하고 있고, 어떻게 대학생활에 적응해가고 있는가에 관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분석하고자 내러티브 탐구를 통하여 심층면담을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범대학 학생이지만, 교직을 희망하지 않는 학생들의 눈을 통해 현재 시행되고 있는 중․고등학교의 진로, 진학교육의 문제점과 사범대학 교육과정이 갖는 한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주요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사범대학에 대체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희망하던 진로가 아니었기 때문에 차선책이라는 인식을 강하게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진로 좌절 경험이 있는 연구 참여자들은 다양한 형태로 대학생활에 적응해 나가는 양상을 보였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사범대학에 입학은 했지만 공통적으로 교직을 희망하지 않고, 진로갈등을 심하게 겪고 있으며, 사범대학 자체가 가지고 있는 분위기와 커리큘럼에 불만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과열된 입시경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사회적 제도를 마련하여 중․고등학생들에게 자아 정체성을 확립할 기회를 주어야 한다. 둘째, 차선책으로 사범대학에 입학한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심한 진로갈등을 경험하고 있다. 셋째, 교직을 희망하고 있지 않은 학생들을 위해서도 사범대학은 적절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 직업진로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김연수 韓南大學校 地域開發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33327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교육의 일환으로 실시한 직업진로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해 보고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대학생들의 진로교육과 관련한 선행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목표 및 이론들을 참고로 하여, 직업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직업진로교육 프로그램은 크게 4영역 총12회로 구성하였으며, 자기탐색 및 자기이해 영역 2회, 직업세계의 탐색 3회, 직업가치관 및 직업의식형성 3회, 직업능력개발 4회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직업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진로성숙도 검사를 실시하였는데, 검사에 사용된 진로성숙도 검사지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임언 외, 2001)에서 개발된 검사지로서 진로성숙 요인은 태도, 능력, 행동의 세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진로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성숙도 어떠한 영향 미치는가를 분석해 본 결과, 일의 중요성 인식, 계획성, 자기 이해, 정보 탐색, 직업에 대한 선호, 진로준비행동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단, 독립성과 직업에 대한 지식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직업진로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전반적인 진로성숙도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말해 주고는 있으나, 진로선택에 있어 자신의 결정에 대한 책임 수용과 능동적인 진로탐색에 대한 태도의 부족과, 지식정보화 시대에 급부상 되는 직업에 치중한 나머지 다양한 일반적 직업에 대한 정보제공이 부족했음을 말해 준다. 둘째, 직업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의 성별, 학년별 진로성숙도 향상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해 본 결과, 일의 중요성 인식과 계획성 영역에서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더 높은 진로성숙을 보였으며, 학년별로는 3학년에 비해 4학년이 직업에 대한 선호 영역에서 더 높은 진로성숙을 보였다. 셋째, 직업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실시가 진로상담행동에는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살펴 본 결과, 진로상담의 횟수가 실시 전에는 평균 2.3회였으나, 실시 후 3.0회로 증가하였으며, 상담 대상에 있어서도 실시 전에는 부모, 친구 및 선배 등이 대부분이었으나, 프로그램 실시 후에는 부모, 친구 및 선배는 물론 선생님과 상담가 및 기타 주변인물로의 대상이 확대되었다. 좀 더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진로교육을 위해서는 고학년 위주로 편성된 직업진로교육 프로그램을 학년별로 나누어 프로그램을 세분화하여 운영하거나, 대학생들의 진로발달 단계에 맞추어 학기, 학년별로 연계된 진로교육교과목의 개발과 운영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e have investigated about an effect of vocational career education program executed as an example of career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on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of university students in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Based on the objectives and theories commonly presented in previously conducted studies related to the career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we have developed a vocational career education program. It is composed in 4 areas with total of 12 sets and was executed as follows: 2 sets of self-exploration and self-understanding; 3 sets of exploration of world of career; 3 sets of formation of career value and perception; 4 sets of developing career abilities. To investigate about the effect of vocational career education program, on the subjects of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we have conducted career maturity inventory test pre and post to the program. A test for career maturity inventory used in the experiment was developed b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Lim, Un and etc, 2001). Career maturity elements are composed in three parts, attitude, ability and behavior.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Program.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vocational career education program on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of university 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reas of perceiving the importance of a job, planning, self-understanding, information exploration, preference on the job, and preparing for the career. It indicates that the program is effective in overall improvement in career maturity inventory of university students; however, it indicates that students lacked an ability to accept self-decision, an attitude of progressively exploring about the career, and information on many different jobs focusing on the age of knowledge-informatiz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vocational career education program in improving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according to the gender and grade level of the experiment group, it was proven that in an area of perceiving the importance of the job and planning, female students displayed higher level of career maturity compared to male students; according to the grade level, seniors showed higher level of career maturity than the junior students in an area of preference on the job. Thir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about an effect of conducting vocational career education program on the career counsel behavior, prior to conducting the program, the frequency of having counseling for the career was an average of 2.3 where as it increased to 3.0 post to the program. In terms of the objects of counsel, prior to the program, mostly parents, friends or senior classmates counseled the students where as post to the program, a range of counseling objects expanded to parents, friends, senior classmates along with professors, counselor, and other people in the surrounding. For more systematic and effective education on the future career, it is necessary to subdivide the vocational career education program, which was devised mainly for upper classes, according to each grade level for the subdivided operation of the program. Al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operate career education subjects according to each stage of the future career development of the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the semester and grade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