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사회 제노포비아 현상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김기수 중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다문화시대를 살아갈 우리 국민들은 이방인에 대해서 어떤 감정을 갖고 있는지, 이방인을 대하는 인식과 태도는 어떠한 양상을 띠는지, 외국인이 증가하고 외국인과 함께 살아가는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이방인의 이주와 이로 인해 변화하는 우리 사회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연구해야한다. 그리고 그 결과 분석을 통해 앞으로 다문화사회를 살아갈 태도와 자세를 갖추도록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은 향후 다문화사회에서 통합과 공존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아직까지 우리 사회에서 다문화사회 제노포비아 현상은 그다지 심각한 상황은 아니라고 볼 수 있지만 향후 예상되는 문제점 즉, 문화갈등을 비롯하여 다문화인들에 의해 자행되는 각종 범죄문제는 우리 사회에서 다문화인에 대한 제노포비아 현상을 가속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 시민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다문화사회 제노포비아의 영향요인을 통해 바람직한 다문화 방향성을 모색함에 목적이 있다. 즉, 일반 시민들의 다문화 접촉과 인식, 다문화 수용성, 다문화사회의 범죄발생 원인에 대한 인식, 다문화인에 대한 제노포비아 대응방안 등을 분석하여 다문화인에 대한 제노포비아 현상을 완화 내지는 해소시킬 수 있는 정책적인 제언을 통해 바람직한 다문화사회를 정립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시민들의 다문화인에 대한 접촉과 인식은 다문화에 대한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며, 다문화에 대한 수용성과 다문화사회에서 범죄 발생의 원인, 그리고 다문화인에 대한 제노포비아 대응방안은 다문화인에 대한 제노포비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인에 대한 제노포비아를 완화시킬 수 있는 정책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에 대한 수용성과 제노포비아는 시민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다문화지원센터 등의 관련 기관에서는 시민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다문화인에 대한 다양한 교육과 홍보를 통해 다문화인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다문화인에 대한 친근감과 관심이 많을수록 다문화에 대한 수용성이 높고 제노포비아가 낮으므로, 다문화인과의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다문화인에 대한 접촉기회 증대와 다문화인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셋째, 다문화에 대한 수용성이 높을수록 다문화인에 대한 제노포비아가 낮으므로, 이주민의 자립의지 강화와 심리적인 안정감 회복을 위해서는 이들에 대한 사회·경제적 자립을 위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통해 내국인들의 다문화 수용성이 높아질 것이다. 또한 시민들은 다문화들과 문화적 다름이 있음을 수용하고 상호 교류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넷째, 다문화사회에서 외국인으로 인해 범죄가 발생할수록 다문화인에 대한 제노포비아가 높은 실정이므로, 외국인범죄에 대해 개인에 대한 비난과 부정적 시선으로 그들을 탓하는 사고에서 벗어나야 하며, 다문화인에 대한 차별과 인격적 무시는 우리 사회에 심각한 위협을 가하는 행위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외국인 이주민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신뢰가 형성할 수 있도록 다원문화가족지원센터와 같은 기관을 활용한 네트워크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다문화인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응교육이 보다 강화되어 실시되어야 하며, 다문화사회의 범죄예방을 위한 효율성 있는 정책이 수립되어야 하고, 발생된 이주민에 대한 범죄행위에 대해서는 가중처벌 할 수 있도록 관련법의 제정 및 개정 등을 통한 제도적인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다문화인에 대한 제노포비아 현상에 대한 대응방안이 수립될수록 다문화인에 대한 제노포비아가 낮으므로, 다문화인에 대한 제노포비아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우리 사회에서 다문화인들이 성공적인 정착할 수 있도록 법적·제도적 장치 마련되어야 하며, 다문화인들의 인권을 존중할 수 있는 교육이 지속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또한 대중매체를 통해 인종주의, 제노포바이아 대한 사회적 경각심을 고취시킬 필요가 있으며, TV와 신문 등의 대중매체에서 고정 코너 신설을 통해 다문화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윤리적 차원에서 제노포비아의 유행성을 적극 홍보할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대중매체는 다양한 소재로 이주민들의 삶을 다룰 필요가 있으며, 다문화에 대한 편향적 보도를 지양해야 할 것이다.

      • 다문화사회의 범죄현황 및 형사사법기관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김광호 동국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As internationalization, globalization and open door policy are intensified so that man, commodity and capital may be freely exchanged and communicated, resident foreigners are rapidly increase in numbers. Lots of workers are moving for a Korean dream from low income countries in Southeast Asia to Korea, which has experienced economic grown, lacked labor and simplified customs entry formalities according to the world' globalization trend. The job seekers are not only to solve the problem of severe manpower shortage in Korea but to aggravate the confusion of the fragile labor market in Korea and bring about new socially problems of foreigner crimes in the Korean society. In this situation, criminal policies need be focused on the quickly increasing crimes which are committed by the foreigners staying in Korea. A sudden rise in foreigner crimes is a new side effect and a serious social problem, which emerges as Korea is internationalized and globalized and an increasing number of foreigners come to and illegally stay in Korea. In order to know the current condition of such problem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Korea, investigations have been made into various materials including the annual report on the statistics of immigration control issued by the Ministry of Law, the report of comprehensive examinations and analyses released by the Supreme Prosecutors' Office, and the white paper published by the National Police Agency. As a resul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aid problems and foreigner crimes has been identified and foreigner crimes have been classified and analyzed in each item of the statistical materials. The following are the identified four major problems of foreigner crimes. First, the government policies lack concrete measures to prevent crimes of foreigners except for administrative procedures for their customs entry, support resident foreigners, and monitor the short-distance movements and life of resident foreigners. Also, there is practically poor management to prevent crimes, for example, prior contact with resident foreigners for crim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their resident registration and criminal records. Second, as for investigation into resident foreigners, there are language block, difficulties to locate their whereabouts and manage their crime history, and few exclusive investigation organizations and few devoted investigators. Third, there are legal and systematical problems involving the industrial trainee system for foreigners, the system for training and employing foreigner workers, the employment permission system, the foreigners registration system, and international mutual assistance for investigations. Fourth, in the social and human rights field, there are problems with the human rights of illegal aliens and with public security. In particular, illegal foreign workers cannot be practically protected based on labor-related laws and regulations. So, they are totally exposed to the dangers of violence, forced labor, overdue wages, no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nd industrial disasters which cause death, injury and illness. In order to propose countermeasures against the afore-mentioned problems, before everything else, correct diagnosis and prospect of foreigner crimes are necessary.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diagnosis and prospect. First, it is prospected that illegal aliens and their crimes will greatly increase in the future. The increase rate for the crimes of illegal aliens will be greater than that for illegal aliens. Foreigner crimes will not decrease as long as such passive policies and loose legal measures as are in place today are continually adopted in the future as well, since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wages earned in Southeast Asian low income countries and the wages in Korea where manpower is lacking and labor cost is skyrocketing. Second, comparing the nationalities of illegal aliens with those of foreigner crimes found that crimes committed by the illegal aliens from a country where more foreign laborers have come are considerably more. Third, the crimes related to illegal aliens and illegal employment will never dwindle even though they are reduced for the time being with the help of the provision for exempting voluntary reporters from punishment based on the ‘comprehensive measures to prevent illegal stay of foreigners’ established early in 2002 by the Korean government. Fourth, it is prospected that foreigner crimes will gradually become more ferocious, more organized and more diverse in their techniques and nationalities. Lastly, it is prospected that the crimes connected with international criminal organizations will increase. Of such crimes, those related to passport forgery and smuggling are especially feared. Considering the above-said diagnoses and prospects, the following measures are suggested. First, it is found that foreigner crimes and illegal aliens are very closely correlated.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thing to prevent foreigner crimes is taking countermeasures against illegal aliens before anything else. To do that, considerations need be actively taken into such schemes as to intensify entry examinations, introduce the emigration liaison officer system, suspend visa exemption agreements if needed, and/or give an employment quota to a country according to the country's current condition of illegal aliens. Furthermore, legal foundations shall be prepared for short-term resident foreigners to be closely managed through inspecting their residential status during their stay in Korea and consolidating the management of foreigner students and industrial trainees. In particular, in managing illegal aliens, punishments on their employers shall be strengthened and stricter devices introduced to control the illegal laborers. Second, to reinforce investigations into foreigner crimes, exclusive investigation organizations shall be set up more, professional investigators equipped with investigation and foreign language abilities shall be cultivated, and interpretation systems shall be arranged. Finally, on the international level, the promotion of internationally cooperated investigations is required.

      • 반다문화 이슈로 보는 한국 다문화 담론에 대한 시사점 연구 : 반다문화담론의 특정 이슈와 사례를 중심으로

        전산호 동아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재, 우리나라는 2020년 기준 합계출산율이 0.8명으로 1명도 채 되지 않는 급격한 인구 감소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대한민국 정부에서도 이런 상황에 대한 위기의식을 느끼고 여러 가지 출산율 증가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그 효과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노동력 부족, 인구 감소 등의 문제점은 대한민국에 심각한 위협을 가져다 줄 수 밖에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가지 방안으로 현재 대한민국은 결혼 이민정책, 국적법 개정, 외국인 노동자 유입확대 등의 다문화 정책을 통해 해결방법을 찾으려고 하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 사태 이전, 2019년 기준으로 약 252만명의 외국인이 국내에 체류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고, 우리 사회가 급속히 다문화사회로 변화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정치한 계획 없이 수치상의 증가를 위한 무분별한 다문화사회의 확대는 오히려 사회 혼란을 가중시켜 국가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반다문화 정서도 우리 사회 일각에서 대두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2000년대 중반 이후 ‘다문화 열풍’으로까지 불리며 다문화 정책과 다문화 담론이 정부와 학계, 언론과 시민단체 등을 중심으로 사회 전반에 걸쳐 확산되었던 분위기와는 달리, 2000년대 후반에 접어들면서 정부의 다문화 정책을 비롯해 노골적으로 다문화를 반대하는 ‘반(反)다문화 담론’이 대중영역 안에서 조금씩 생성되고 있는 양상이다(황경아, 2017). 그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우리 사회에 반다문화 정서를 발생시키고 있는 특정 이슈와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어떤 요인이 반다문화 정서를 확산시키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특정 사례는 예멘 난민 수용 사례, 대구 이슬람사원 건립 갈등사례, 국적법 개정 논란 등의 최근의 이슈나 사례 등의 연구를 통해 반다문화 정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에 따른 우리 사회의 다문화 담론에 대한 시사점과 수용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의 정책과 관련된 사안이 많다. 그 정책 수립 과정에서 보다 더 정치한 계획과 차후 문제 발생에 가능성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한데, 그렇지 못한 부분이 많았다. 둘째, 그동안 한국사회의 다문화는 정책 추진 과정이나 언론, 미디어 등에서의 짧은 시간에 증가한 다문화 사회 담론이 국민에 대한 양방향 소통이 아닌, 계몽적인 홍보와 미흡한 분석으로 정책의 지향점이 모호하고, 추진 체계가 부족했다. 셋째, 우리 사회에서 정주민들은 이주민들을 위해 양보해야 하는 대상, 이주민들은 배려를 받아야 하는 대상으로 인식되어 짐으로써, 이주민들에 의해 발생한 정주민들의 항의나 불만을 NIMBY 현상으로 치부해버리는 경우가 발생한다. 넷째, 반다문화 이슈가 되는 사안들의 수혜자가 일부 국가에 편중되어 있어, 정주민들이 다문화 정책에 대한 의구심을 가지게 만들었다. 다섯째, 앞서 살펴본 위의 사례에서 보았듯이 반다문화 정서를 가지고 있는 다양한 층위의 사람들과 요인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선진 국민의식’,‘인권담론’을 내세워 이주민이 우리 사회에서 배제되거나 차별받지 않아야 함을 강조하는 차원으로 접근함으로써, 반다문화 담론의 논의 자체를 어렵게 만든다. 하지만 이제 한국 사회는 250만이 넘는 외국인들이 체류하고 하고 있는 다민족⋅다인종 사회로 진입해 가고 있다. 그 과정에서 벌어질 수 있는 우리 사회의 갈등과 잠재적인 충돌 가능성에 대해 특정 사례를 통해 진단해 보고, 지금까지 논의 되어져 온 지배적인 다문화 담론을 비판적이고 자아 성찰적인 차원에서 다시 한번 점검할 수 있는 기회로 삼을 것을 제안한다.

      •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다문화가정 유아를 중심으로

        김시연 광주여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what difficulties young children at multicultural families experience while growing in Korean society closely in all environmental contexts related to the children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ir adapta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For these purpose, we sampled 44 children attending a private kindergarten out of 79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attending a public or private kindergarten in the Gwangju area currently as of 2010 with the help of the Gwangju Education Office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also sampled at random 53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attending a childcare center in the same area in order to induce the representativeness and generality of the sampling. In addition, we surveyed th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and their foreigner parents and class teachers. The research tool used to measure th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adapta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was PAQ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 developed by Jewsuwan, Luster & Kostelnik (1993) and adapted for Korean young children by Kim Ji-eun (2003) and Kim Hyeon-gyeong (2009). In order to enhance the validity of this study, we obtained concurrent validity through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 for the tool and used 4 factors related with adapta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prosocial adaptation, peer adaptation, self‐adaptation, and daily work adaptation). In addition, for identifying items that may influenc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adapta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we divided variables into organic variables, home environment variables, and institution environment variables in consideration of ecological variables used to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in previous research (Kim Hyeon-gyeong, 2009; Shin Hye-jeong, 2007; Jeong Min-yeong, 2009). Among microsystem variables, organic variables related to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were the children’s gender, age, birth order, Korean language level, and difference in appearance. In addition, home environment variables as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microsystem variables were father’s and mother’s age, father’s and mother’s academic qualification, father’s and mother’s education level, total family income, foreigner parent’s occupation and Korean language level (Korean language skills in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marital satisfaction, and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institution environment variables were class teacher’s age, academic qualification, marital status, teaching experience, job satisfaction, and teacher efficacy, the number of classes, the degree of bullying, and cultural adaptation stre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with regard to the general tendency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adaptive behavi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prosocial adaptation showed the highest score, and was followed by daily work adaptation, peer adaptation, and self‐adaptation. Second, in order to see the relative influence of system variables o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adapta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we performed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system variables and then made hierarchical analysis of 5 child‐related variables, 9 home environment microsystem variables, and 9 institution environment microsystem variables. According to the results, among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adaptive behavio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daily work adaptation was affected significantly by the children’s age, father’s and mother’s age, and class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eacher efficacy. Self‐adaptation was affected significantly by father’s age, mother’s age, teacher efficacy, and experience in bullying, and peer adaptation was affected significantly by children’s age, father’s age, foreigner parent’s Korean language skill, teacher efficacy, and the child’s experience in bullying. Furthermore, prosocial adaptation was affected significantly by children’s gender, foreigner parent’s Korean language skill, teacher efficacy, and the child’s experience in bullying. Third, in order to see the relative influence of variables affecting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adapta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we performe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daily work adaptation and self‐adaptation were affected most by teacher efficacy, peer adaptation was affected most by teacher efficacy, the child’s experience in bullying, overall Korean language skill, and father’s age in their order, and prosocial adaptation by teacher efficacy, the child’s experience in bullying, overall Korean language skill, and children’s gender in their or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presented above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 information for supporting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adjust themselves to thei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so that they can find and solve their problems in all environmental contexts related to the children including their parents and teacher and they may grow into all-round society members through adjusting themselves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that they experience first other than their family.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유아들이 한국 사회에서 성장하면서 어떤 어려움을 경험하는지에 대해 유아는 물론 유아와 관계되는 모든 환경맥락 속에서 면밀히 살펴보고 각각 어떤 요인들이 그들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교육청과 교육과학기술부에 의뢰하여 광주지역의 공립·사립 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유아 총 79명(2010학년도) 중 사립 유치원에 재원중인 다문화가정 유아 44명과 표집의 대표성과 일반화를 유도하기 위해 동일지역의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유아 53명을 임의로 선정하여 다문화가정 유아와 그들의 외국인 부모 및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도구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Jewsuwan, Luster, Kostelnik(1993)가 개발한 PAQ(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를 우리나라 유아들에게 수정하여 사용한 김지은(2003), 김현경(2009)을 참고하여 사용하였다. 연구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다문화가정 유아를 대상으로 검사 도구의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고 공인타당도를 구하여 총 4개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요인(친사회적 적응, 또래적응, 자아적응, 일과적응)을 사용하였다. 또한,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항을 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김현경, 2009; 신혜정, 2007; 정민영, 2009)에서 다문화가정 유아를 대상으로 생태학적 변인을 고려하여 유기체변인, 가정환경변인, 기관환경 변인으로 나누었다. 미시체계변인 중 다문화가정 유아가 지니고 있는 유기체 변인은 유아의 성별, 연령, 출생순위, 한국어수준, 외모의 차이이며, 다문화가정 유아의 미시체계 환경인 가정환경 변인은 아버지․어머니의 연령, 아버지․어머니의 학력, 아버지․어머니의 교육수준, 다문화가정의 총수입, 외국인부모의 직업과 한국어 수준(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한국어능력), 결혼만족도, 문화적응스트레스이며, 기관환경 변인은 담임교사의 연령, 학력, 결혼여부, 다문화가정 유아 담임경력,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 교육시간, 따돌림정도, 문화적응스트레스로 구성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행동의 전반적인 경향은 친사회적 적응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다음으로 일과적응, 또래적응, 자아적응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체계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각 체계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후, 적절한 상관관계가 있는 유아변인 5개, 가정환경 미시체계 변인 9개, 기관환경 미시체계변인 9개를 투입하여 위계적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행동 중 일과적응에서는 유아의 연령, 아버지 어머니의 연령, 담임교사의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변인이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적응에서는 아버지 어머니의 연령, 교사효능감, 유아의 따돌림 경험 변인이, 또래적응에서는 유아의 연령, 아버지의 연령, 외국인 부모의 한국어능력, 교사효능감, 유아의 따돌림 경험 변인이, 친사회적적응에서는 유아의 성별, 외국인 부모의 한국어능력, 교사효능감, 유아의 따돌림 경험 변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한 결과 일과적응과 자아적응에서는 교사효능감 변인이, 또래적응에서는 교사효능감, 유아의 따돌림 경험, 한국어 전체능력, 아버지 연령순으로, 친사회적 적응에서는 교사효능감, 유아의 따돌림 경험, 한국어 전체능력, 자녀의 성별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다문화가정의 유아는 물론 부모, 교사 등 유아와 관계되는 모든 환경맥락 속에서 유아들이 당면한 문제가 무엇인지 알아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유아교육기관의 적응을 지원해주기 위한 정보를 제공해주어 다문화가정 유아가 가정을 떠나 처음으로 접하게 되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어려움을 해결하여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전인적인 발달을 모색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다문화사회전문가의 전문직업성과 사회통합지향성에 관한 연구 : 인적·사회적·심리적 자본을 중심으로

        강정향 성결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한국사회는 유입 이민자 수가 급증하면서 내국인과 이민자와의 화합 공동체 형성 및 사회갈등 방지 등을 위해 이민자 사회통합 관련 정책 및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특히 법무부는 “이민자 사회통합프로그램”을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아울러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이민자들을 교육할 전문 인력인 “다문화사회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한국사회가 이민·다문화사회로 진전되면서 이민자 사회통합에 중추적 역할을 할 다문화사회전문가의 역량개발과 관리는 더 중요한 사안이 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 발맞추어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고,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사회전문가들의 전문직업성과 사회통합지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문화사회전문가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역량 요인들을 밝혀 인적자원개발 및 관리적 측면에서 정책 제언을 하는 것이다. 본 연구 수행을 위해 인적자본이론과 선행연구 고찰로 선정한 변수들을 이용하여 총 7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다문화사회전문가의 인적 자본, 사회적 자본, 심리적 자본이 전문직업성과 사회통합지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였고, 또한 다문화사회전문가의 전문직업성과 사회통합지향성 간의 영향 관계를 실증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법무부(주관) 위탁교육기관에서 양성한 다문화사회전문가 중에서 사회통합정보망(www.socinet.go.kr)에 2016년 한국사회이해 강사로 등록되어 직무활동을 하고 있는 자를 대상으로 구글 드라이브를 이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SPSS for Windows Version 21.0과 AMOS 18.0의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인적 자본, 사회적 자본, 심리적 자본, 전문직업성, 사회통합지향성 변수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표본의 특성을 알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과 기술 분석(descriptive analysis)을 실시하였고, 확인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여 설문 문항의 타당성과 Cronbach α 계수를 통하여 신뢰성을 검증하였으며, AVE와 CR값의 분석을 통해 판별타당성과 집중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가설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을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1의 검증 결과, 인적 자본 중 ‘교수역량’과 ‘보수교육횟수’가 전문직업성의 ‘전문조직 준거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전문직업성의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은 ‘교수 역량’이었고, 전문직업성의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은 ‘교수 역량’과 ‘보유 자격증의 총 수’, 그리고 ‘보수교육 횟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 2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사회적 자본(네트워크)은 전문직업성의 ‘전문조직 준거성’,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가설 3의 분석의 결과로는 심리적 자본 중 ‘자기효능감’과 ‘희망’이 전문직업성의 ‘전문조직 준거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전문직업성의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자본의 구성요인은 ‘자기효능감’이었고, 전문직업성의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도 ‘자기효능감’으로 검증되었다. 넷째, 가설 4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의 결과로는 사회통합지향성의 ‘전문적 서비스’에 인적 자본 중 ‘교수 역량’, ‘보유 자격증의 총 수’, ‘보수교육횟수’ 순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인적 자본 중 ‘교수 역량’, ‘보유 자격증의 총 수’는 사회통합지향성의 구성요인 중 ‘이민자욕구에 대한 반응성’, ‘포괄적 서비스’, ‘이민자 만족도’ 이 세 변수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가설 5의 검증결과,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인 ‘네트워크’는 사회통합지향성의 구성요인 ‘전문적 서비스’, ‘이민자욕구에 대한 반응성’, ‘포괄적 서비스’, ‘이민자 만족도’ 4개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여섯째, 가설 6은 심리적 자본 중 ‘자기효능감’은 사회통합지향성의 구성요인인 모든 변수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낙관주의’는 사회통합지향성의 ‘전문적 서비스’, ‘이민자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일곱째, 가설 7의 검증 결과, 전문직업성 중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은 사회통합지향성의 ‘전문적 서비스’, ‘이민자욕구에 대한 반응성’, ‘포괄적 서비스’, ‘이민자 만족도’ 4개의 모든 구성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전문조직 준거성’은 사회통합지향성의 ‘전문적 서비스’와 ‘이민자 욕구에 대한 반응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다문화사회전문가의 전문직업성 고취와 사회통합지향성 향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정책 제언을 하였다. 첫째, 한국의 이민자 사회통합의 성과 향상

      • 한국다문화 사회에서의 주거 관련 삶의 만족도 비교연구 : 대전, 세종, 그리고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조현진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oretically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idenc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residence, economical characteristics of residence, characteristics of convenience facility of residence, social capital of residence. and analyz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questioned, and analyze comparatively the life satisfaction level of residential environment by region, and by country. Firstly, the result of the demographic analysis of the questioned is as follows. Person from Philippines, Vietnam, Japan live more in Chungnam area than other areas, and person from China live more in Chunan-Asan area than other areas. Woman is more than man in the questioned. and Person in thirty-forty is more than other ages in the questioned. The married person is more than non married person in the questioned. The heathen is more than person with religion in the questioned. The 81% of the questioned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ose of high school graduate. In the jobless or student, person from US, Thailand, Mongolia is more in sequence. That result of analysis reveals that the most person of the questioned is in jobless or student. The 72% of the questioned is below 5million won in the average monthly income. The 49% of the questioned have a his/her house. The length of residence is higher in the item of one year-three years than other items. it shows that movement of house is frequent. In the size of family, two more person household is more than single person household. Secondly, the result of analysis of life satisfaction level in relation to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questioned is as follows. ①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questioned about the inside of house is high generally. It is the highest in item of ventilation. It is high at Chungnam>Daejeon>Chunan-Asan in sequence. It is the highest in the Philippines. Korea is ranked on 9th in 11countries. It is higher in the native than the immigrant. It is more high in the person from the Philippines, Vietnam than person from other countries. ②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questioned about economical value of house is low generally. It is high at Daejeon>Chungnam>Chunan-Asan in sequence. It is higher in the Philippines than other countries. It is higher in the native than the immigrant. ③ I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questioned about location of house, it is high in natural landscape and park facility in sequence. It is low in cultural facility. It is high at Daejeon>Chungnam>Chunan-Asan in sequence. It is higher in the Philippines than other countries. It is higher in the native than the immigrant. ④ I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questioned about selection of house, it is high in cleanness and convenience>security in sequence. It is generally low. It is high at Daejeon>Cungnam>Sejong>Chunan-Asan in sequence. It is highest in Iran. It is higher in the immigrant than the native. ⑤ I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questioned about convenience facility of residence area, it is low in cultural facility(theater, cinema). It is high at Daejeon>Sejong>Chungnam>Chunan-Asan in sequence. It is the highest in the Philippines. It is higher in the immigrant than the native. Korea is ranked on 7th in 11countries. ⑥ In the level of social capital of the questioned. it is high in interaction with friends and interaction with relatives in sequence. It is low in the participation in the volunteerism, civic organization and government related activity. It is high at Chungnam>Sejong>Chunan-Asan>Daejeon in sequence. It is high in the Philippines. It is higher in the immigrant than the native. ⑦ I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questioned about social capital related activity. it is high in the level of closeness with friend and the level of closeness with relatives. It is low in the participation in government related activity(party participation, public hearing). It is high at Chungnam>Sejong>Chunan-Asan>Daejeon in sequence. It is the highest in the Philippines. It is higher in the immigrant than the native. 다양한 문화유입의 지속성으로 접촉, 형성, 이행 과정중인 다문화사회는 이질성과 상호교류의 변화에 따라 재탄생 되는 사회이며 그 속에서 개인이나 집단의 변화된 새로운 문화체계는 삶의 방식과 가치체계 차이로 인하여 사회적 갈등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예방하고 모색하는 차원에서 본 논문에서는 국가마다 다른 주거의식으로 접근하여 삶의 만족도를 조사해 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다문화사회 구성원 원주민과 이주민 의 주거 관련 삶의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해 주거의 일반적 특성, 주거의 입지적 특성, 주거의 경제적 특성, 주거의 생활 편의적 특성으로 구분하였고 더불어 주거의 사회적 자본을 파악하고, 거기에 따른 지역별, 국적별로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함께 주거 관련 삶의 만족도 요인을 비교분석 하였다. 요인분석의 결정요소로는 연령, 성별, 결혼 여부, 교육, 소득, 직업, 세대 구성원, 직장동료, 친구 그리고 친척들과의 친밀도, 주거의 점유형태, 거주기간 등과 함께 주거의 특성, 주거의 사회적 자본, 정치적 성숙도, 정치참여 등도 포함되었다. 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결과는 필리핀, 일본, 베트남 국적자는 충남에 많은 것으로 중국 국적자는 천안·아산에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응답자는 여자의 구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령 응답자는 30∼40대가 가장 높게 나왔다. 결혼상태는 기혼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교는 전체적으로 무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최종학력에서는 다문화 구성원 모두가 고졸 이상인 전체의 81% 이상의 빈도로 높은 교육수준 결과를 나타냈다. 직업은 무직·기타「학생·농업·학원생」 기타, 항목만을 각국 나라별로 분석한 결과 미국❯태국❯몽골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주민들이 무직·기타 직업군에 두텁게 자리 잡은 것을 알 수 있다. 월평균 가구 소득은 500만 원 미만이 전체의 72%로 나타났다. 주거 점유형태는 자가 점유율이 전체의 49%로 응답자의 절반가량이 자가소유로 나타났다. 국적별에서는 한국, 베트남, 일본 3개국 응답자만 자가 빈도가 높게 나타났고. 나머지 국적별 응답자는 전세, 월세, 기숙사·사택 등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주택 유형에서는 아파트 234명으로 높은 빈도 결과를 나타냈고 다음은 단독/다가구주택 67명으로 나타났다. 주택 거주기간은 1년에서 3년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나 주거이동이 잦은 것을 알 수 있다. 전체 세대 구성원에서는 1인 구성 세대보다 多人 구성 세대가 높게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 측정결과에서 ①주택의 내부환경에서는 전체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가장 높은 빈도는 환기「바람」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만족도는 충남❯대전❯천안·아산❯세종 순으로 나타났다. 국적별 만족도에서는 이란 응답자 1명을 빼고 필리핀이 가장 높았으며 한국은 기타를 뺀 총 11개국에서 9번째로 만족도를 나타냈다. 만족도 결과 분석은 자국민보다 이주민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필리핀 열대 온순형 기후와 베트남 열대 기후와 같은 더운 나라 이주민들이 내부환경에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②주택의 경제적 가치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지역별 만족도에서는 대전❯충남❯세종❯천안·아산❯순으로 나타났다. 국적별 만족도에서는 필리핀이 가장 높았으며 만족도 결과 분석은 자국민보다 이주민이 높게 나타났다. ③주택의 입지적 요인만족도에서는 자연경관의 쾌적성❯공원시설의 편리성❯등 순으로 만족도가 높지만, 그중 문화시설의 편리성은 만족도가 낮게 나와 있다. 지역별 만족도에서는 대전❯충남❯세종❯천안·아산❯순으로 나타났다. 국적별 만족도에서는 필리핀이 가장 높았으며 만족도 결과 분석은 자국민보다 이주민이 높게 나타났다. ④주거지역을 스스로 선택한 이유 만족도에서는 주거환경이 깨끗하고 편리해서❯거주지 치안상태가 안전해서❯등 순으로 나타났고, 대체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지역별 만족도에서는 대전❯충남❯세종❯천안·아산❯순으로 나타났다. 국적별 만족도에서는 이란이 가장 높게 나왔다. 만족도 결과 분석은 자국민보다 이주민이 높게 나타났다. ⑤생활편의시설의 이용 만족도에서는 문화시설「공연장·상영관 등」에 대한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지역별 만족도에서는 대전❯세종❯충남❯천안·아산❯ 순으로 나타났다. 국적별 만족도에서는 필리핀이 가장 높게 나왔다. 만족도 결과 분석은 자국민보다 이주민이 높게 나타났다. 그중 한국은 기타를 뺀 총 11개국에서 7번째로 나타났다. ⑥ 사회자본(신뢰·참여)활동 정도는 친구들과의 교류 정도❯친지들과의 교류 정도❯등 순으로 나왔다. 자원봉사·사회단체 참여활동과 정부 관련 참여활동 정도「공청회·정당가입 등」은 참여활동이 낮게 나왔다. 지역별에서는 충남❯세종❯천안· 아산❯대전❯순으로 나타났다. 국적별 만족도에서는 필리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만족도 결과 분석에서 자국민보다 이주민이 높게 나타났다. ⑦ 사회자본(신뢰·참여)활동 사항 만족도는 친구들과 친밀도❯친지들과의 친밀도 등 순으로 나타났다. 낮은 만족도는 정부 관련 참여활동「공청회·정당가입 등」등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만족도에서는 충남❯세종❯천안· 아산❯대전❯순으로 나타났다. 국적별 만족도에서는 필리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위 모든 항목의 삶의 만족도 측정결과는 자국민보다 이주민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주민 중에서도 필리핀 응답자가 가장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고등학교 통합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

        조민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Today, due to the inflows of the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the foreign workers, etc., the Korean society has been rapidly chang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nd, at the schools, too, the ratio of the students who possess the multi-cultural backgrounds has been getting high. However, due to the confusion of the identity, the school underachievements, the ostracizations, the maladaptations, etc. that come from the differences of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the children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have been experiencing the discriminations and the inequalities at the school. Such a reality suggests tha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enables all of the students to understand the cultures tha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o live while coexisting, is an urgent educational task.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raw the special features and the problem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appears in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the high schools that had been developed according to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the society as revised in the year 2015 and to make a proposal for the development of a textbook in the future based on this. For this, by referring to the precedent researches that are related with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 the researcher, had organized an analysis framework that has the diversity, the relativity, the identity, and the equality as the content elements, and I had analyzed all of the units of the 5 kinds of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textbooks and the proposal regarding them are the follow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versity domain, firstly, the introductions on the cultures of the Asian countries had been the main things. In the textbooks to be written in the future, there is a need to evenly present the cultures of the diverse countries and regions by continent so that the learners living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can lower the sense of difference regarding the other cultures. Secondly, the contents regarding the minority ethic group cultures have not been presented much. And the contents, too, regarding the cultures of the minority ethnic groups that had been presented had stopped at the simple introductions to the cultures. There is a need to more specifically present the contents related to the abundance that the culture of a minority ethnic group can give to the mainstream culture and not the simple introduction to a culture that is related to the food, clothing, and shelter. Also, the presentation must be made through a method in which the learners solve the problems of the minority groups who are racially, ethnically, and culturally alienated and can have the critical awareness regarding these and not the method of adding the contents that are related with the minority groups while maintaining the basic structure of the preexistent curriculum just the way it is. Thirdly, the contents related to the lower-ranking cultures had nearly not been presented. There is a need for the textbooks to deal with the contents related to the diverse, lower-ranking cultures like the youth culture, the immigrants culture, etc., which exist within one societ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ity domain, it has been emphasizing the cultivation of the culturally relative attitude and the cultural considerations on the level of the universal ethics. As a desirable attitude for understanding the culture, in the future, too, there is a need for the textbooks to continue to maintain such a keynote. Meanwhile, there is a need for the culturally relative attitude to emphasize not only the cultures of the other countries but, also, the contents regarding the cultural diversity within the society, too.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dentity domain, firstly, the contents that enable the learners to recognize the fact that Korea had changed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had been presented in the five kinds of the textbooks. Because such learning contents are the basic learning contents that are needed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ere is a need for the textbooks that will be compiled in the future to present them together with the specific case examples continuously. Secondly, the contents that enable the cultivation of the pride regarding, and th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Korean culture had been presented. There is the possibility of such contents being continued with the descriptions that will implant the ethnocentrism and the exclusive, superiority awareness. In the future, too, regarding the narrations that show the pride in relation to the culture of one's own country, the attention must be paid so that the superiority is not shown through a comparison with a specific culture, the balanced evaluations based on the objective facts must take place, one must carefully take a look so that the presentation can be made based on the respect for the other cultures. La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omain of the equality, each textbook has been differently introducing the social minorities. There is a possibility for the learners to not sensitively accept regarding the social minorities that have not been explained in the textbooks. As a result, by mentioning about the diverse, social minorities like the non-regular workers, the residents who escaped from North Korea, etc., which could not be recognized to be the social minorities by the learners, it must be organized so that the learners can have the interest. Secondly, as for the contents related ot the discrimination of the women, the women who receive the discriminations because of the religious and cultural reasons had been presented. And, as for the cases of the discriminations of the colored races, many of the case examples of the discriminations of the black people had been presented. However, in case the focus is made too much on this problem only, there is the possibility of the learners to accept less sensitively regarding the problem of the discrimination of the women and the discrimination of the other, colored races that take place in the everyday life. Accordingly, the case examples of the representative minorities must be dealt with mainly. Except, by dealing by including the problem of the discrimination of the women, the other case examples of the colored races, etc. that appear in the everyday life, the more diverse case examples must be made to be come in contact. Thirdly, a plan for the solution of the problems of the diverse discriminations and the inequalities had been narrated abstractly. Although the theoretical method for the solution can be important by itself, when seen from the position of the students, they can be thought to be the things in the domain which have the distance from them or which they cannot do. As a result, instead of presenting only an abstract and theoretical plan for the solution, there is a need to present a method which can be put into practice realistically together with it. Also, it is highly expected that, if the activities through which the learners can personally worry, in depth, regarding this problem are organized, the ability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learners will get even higher. Fourthly, there had been the texts which contained the prejudices and the stereotypes regarding the immigrant foreigners. When organizing a textbook, the attention must be paid even more regarding whether there are no expressions that can implant the distortions and the biases regarding the multi-cultural, constituent members or the social minorities. Also, by going further, there is a need to additionally present the research activities that enable to learners to think critically regarding the prejudices and the fixed ideas. 오늘날 한국 사회는 국제결혼 이주 여성과 외국인 근로자 등의 유입으로 인해 다문화사회로 급속히 변화하고 있으며, 학교에도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은 사회‧문화적 환경의 차이에서 오는 정체성 혼란, 학습 부진, 따돌림과 부적응 등으로 인해 학교에서 차별과 불평등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모든 학생들이 서로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공존하며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다문화교육이 시급한 교육적 과제임을 시사해준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고등학교 ‘통합사회’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의 특징과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교과서 개발을 위한 제언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다양성, 상대성, 정체성, 평등성을 내용 요소로 하는 분석 틀을 구성하였고, ‘통합사회’ 교과서 5종의 전 단원을 분석하였다. 교과서 분석 결과와 이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다양성 영역 분석 결과 첫째, 아시아 국가의 문화에 대한 소개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앞으로 집필될 교과서에서는 다문화사회를 살아가는 학습자들이 타문화에 대한 이질감을 낮출 수 있도록 대륙별로 다양한 국가와 지역의 문화를 고르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소수 민족 문화에 대한 내용은 많이 제시되지 않았으며, 그나마 제시된 소수 민족의 문화에 대한 내용도 단순한 문화 소개에 그쳤다. 의식주와 관련된 단순한 문화 소개가 아닌 소수 민족의 문화가 주류 문화에 줄 수 있는 풍요로움과 관련된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존 교육과정의 기본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소수 집단 관련 내용을 추가하는 방식이 아닌, 학습자들이 인종적, 민족적, 문화적으로 소외된 소수 집단들의 문제를 해결하고 이에 대한 비판 의식을 가질 수 있는 방법으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하위문화와 관련된 내용은 거의 제시되지 않았다. 교과서에서는 한 사회 내에 존재하는 청소년 문화, 이민자 문화 등과 같은 다양한 하위문화와 관련된 내용을 다룰 필요가 있다. 상대성 영역 분석 결과, 문화 상대주의적인 태도의 함양과 보편 윤리 차원에서의 문화 성찰을 강조하고 있었다. 이는 문화를 이해하는 바람직한 태도로서 앞으로도 교과서에서는 이러한 기조를 계속해서 유지할 필요가 있다. 한편 문화 상대주의적인 태도는 다른 나라의 문화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한 사회 내의 문화적 다양성에 대해서도 가져야 하는 것이니만큼 이에 대한 내용 역시 강조해야 할 필요가 있다. 정체성 영역 분석 결과 첫째, 5종의 교과서에 한국이 다문화 사회로 변화했다는 사실을 학습자들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학습 내용은 다문화교육에서 필요한 기본적인 학습 내용이기 때문에 앞으로 편찬될 교과서에서도 계속해서 구체적 사례들과 함께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한국 문화에 대한 자부심과 긍정적 태도를 함양하도록 하는 내용이 제시되어 있었다. 이러한 내용은 자칫 자문화중심주의나 배타적 우월 의식을 심어줄 수 있는 서술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앞으로도 자국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나타내는 서술은 특정 문화와의 비교를 통해 우월성을 나타내지 않도록 유의하고, 객관적 사실에 근거한 균형 잡힌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다른 문화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제시될 수 있도록 세심하게 살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평등성 영역 분석 결과 첫째, 교과서마다 사회적 소수자를 다르게 소개하고 있었다. 학습자들은 교과서에서 설명하지 않고 있는 사회적 소수자에 대해서는 민감하게 받아들이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사회적 소수자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비정규직 근로자, 북한이탈주민 등과 같은 다양한 사회적 소수자에 대해 언급하여 학습자들이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할 것이다. 둘째, 여성 차별과 관련된 내용으로는 종교적‧문화적 이유로 차별받는 여성, 유색인종 차별 사례로는 흑인 차별 사례가 다수 제시되었다. 그러나 너무 이 문제에만 초점을 맞추게 될 경우 학습자들은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여성 차별의 문제와 다른 유색인종 차별에 대해서 덜 민감하게 받아들이게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대표적 소수자의 사례를 주로 다루되,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여성 차별문제와 다른 유색인종의 사례 등도 포함하여 다룸으로써 보다 다양한 사례를 접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다양한 차별과 불평등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이 추상적으로 서술되었다. 원론적 해결방법은 그 자체로는 중요할 수 있지만 학생들의 입장에서 볼 때 자신들과는 거리가 있는, 혹은 자신들은 할 수 없는 영역의 일들로 생각될 수 있다. 따라서 추상적이고 원론적인 해결방안만 제시하기보다는 이와 함께 현실적으로 실천 가능한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학습자들이 직접 이 문제에 대해 심도 있게 고민할 수 있도록 하는 활동들을 구성한다면 학습자들의 문제해결력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 이주 외국인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이 내포된 지문들이 있었다. 교과서를 구성할 때, 다문화 구성원이나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왜곡이나 편견을 심어줄 수 있는 표현은 없는지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또한 더 나아가 편견과 고정관념에 대해 학습자들이 비판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돕는 탐구활동을 추가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 이민자 2, 3세에게 일어나는 사회적 배제로 인한 갈등 사례를 통해 본 한국 다문화정책에 대한 고찰 : 미국, 프랑스의 갈등사례를 중심으로

        이현정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한국은 세계화와 교통수단의 발달로 인한 인구이동의 소용돌이 속에서 급속히 다문화사회로 진입하였다. 따라서 정부적 차원에서 여러 가지 다문화와 관련된 프로그램과 시도들을 행하고 있지만 단일민족신화와 순혈주의 이데올로기가 곳곳에 배어있는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진정한 다문화사회를 이루기 위한 노력이 절실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가운데에서 특히 노동이주 및 결혼으로 인해 한국으로 들어온 이민자들이 늘어감에 따라 그들의 자녀들의 수 또한 증가할 것인데, 한국은 이러한 이주민 2. 3세들이 자라며 경험하게 될 문제들에 대해 적절한 대비책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보다 먼저 다문화사회를 경험한 나라들의 사례, 특히 미국과 프랑스에서 이주민 2, 3세 등을 통해 일어난 사회적인 갈등을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한국은 어떠한 방향으로 다문화아동 및 청소년들을 품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보려고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미국과 프랑스에서 이러한 사건이 나타나기까지 이주민 2, 3세에 대한 어떠한 사회적 배제가 있었는지를 고용의 배제, 교육의 배제, 주거의 배제를 통해 분석해보았고, 갈등을 폭력적으로 만드는 촉발기제는 무엇이었는지 살펴보았다. 두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포착되는 것은 두 나라 모두 다문화의 관점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화주의를 지향하고 있었으며 갈등이 폭력적으로 비화된 원인으로 이주민 2, 3세에 대한 주류집단의 감정적인 도발이 있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불만을 효과적으로 표출할 통로가 없을 때 폭력적인 갈등이 발생된 것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폭력적인 갈등으로 비화되지 않기 위해서는 이민자집단의 자체조직이 허락되어야 하고 제도적인 방법으로 그들의 이익을 표출할 수 있는 효과적인 통로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과 상호작용을 위한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며, 이들을 대하는 한국사회의 태도개선을 위하여 범국민적인 인식의 전환이 필요할 것이다.

      • 한국의 다문화가정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 -해외 사례와의 비교를 통하여-

        천수판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Population migration has a long history. The multicultural phenomenon in which multiple cultures coexist in a country and the international population flow under the trend of globalization are spreading on a large scale. With the influx of foreign workers,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s, and international students into Korea, Korea is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In particular, as the number of immigrants entering Korea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s increases, a new form of family-multicultural families is emerging. In South Korea, the study of multiculturalism has not been long. South Korea has long emphasized the purity of blood, and the single-ethnic spirit is the strong spiritual pillar of the country. Therefore, issues related to multi-ethnic and multi-cultural society have been ignored for a long time. But after entering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the traditional identity of the Han people collided with the new cultural phenomenon of multi-ethnic and multi-cultural. Transnational marriage immigration, especially the emergence of female immigrants, has led to low fertility and aging. Although the shortage of male marriage partners in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 is being alleviated, Korean society is also facing real problems such as language communication in multicultural families, cultural differences, insufficient economic activities, differences in child rearing and education methods, and social discrimination, which have triggered a new society problem. caused.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y in Korea, to identify commonalities, differences, and insights compared to overseas immigrant countries, and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y in Korea. The present thesis of this dissertation consists of four parts. The first part i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The concepts of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ism, and multicultural society, the current situ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development in Korea, the current situation of immigrant classification and social adaptation in Korea, and the image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ir increase are collated. In the second part, the practical difficulties experienced by Korean multicultural families in terms of language communication, cultural differences, difficulties in child rearing and education, and social maladjustment due to prejudice are examined, and the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of existing policies related to multicultural families are examined and analyzed. The third part is a comparative study of Canada, the United States, and France, and collates the existing support policies on multicultural families. The fourth part compares the support policies related to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three countries with the Korea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ies and seeks commonalities, differences, insights, and futur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ies.

      • 다문화사회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 분석 : 서울과 지방 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정혜원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Korean society is rapidly advancing into multi-cultural society. As leaders of the future, adolescents need to have positive cognition towards multi-cultural society to establish a decent multi-cultural society. In this study, therefore, a surve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20th to 28th year 2010, with 865 teenagers in Seoul and Choong-buk province to analyze their cognition towards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n, collected 85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extracting the results. In this study, teenagers' cognition towards multi-cultural society was categorized into general opinions about multi-cultural society, opinions of each field(politics, economy and societyㆍculture) about multi-cultural society and acceptance of multi-culture(social distance). Then, it was observed whether or no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cognition depending on regions, grade of school, gender, experience in staying overseas and frequency of meeting foreigners. For the collected survey results,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PASW18. In addition, Chi-square test was used to verify differences of variables and gamma value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strength of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The extracted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 general, adolescents had positive cognition towards multi-cultural society. Many of them felt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thought that it would make a contribution to Korean society. They also responded that the number of foreigners living in Korea need to increase. Second, when analyzing opinions of each field(politics, economy and societyㆍ culture) about multi-cultural society, many teenagers supported accepting tradition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giving voting rights to foreigners who have lived in Korea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In relation to economy, there weren't lots of negative opinions about foreign workers' advance into Korea. However, many of them opposed imposing taxes for supporting multi-cultural families. Third, they were tolerant to accept foreigners. But, they had more negative opinions about having foreigners as their husbands or wives than having foreign co-workers. Also, they showed discriminative cognition depending on countries and especially, many of them preferred foreigners from advanced countries. Fourth, cognition towards multi-cultural society varies with the students' personal backgrounds. students in Seoul had more positive opinions about multi-cultural society. students in the upper grades had more negative cognition towards multi-cultural society. girl students had a lot of positive cognition towards multi-cultural society in emotional aspects, whereas boy students had a lot of positive cognition towards it in phenomenal aspects. Fifth, some results shows that students who frequently made contact with foreigners had more positive cognition towards multi-cultural society, but some shows just the opposite, resulting that students who do not frequently made contact with foreigners had more positive cognition towards it. But the point is, there was the most negative cognition towards it, when making contact with them so frequently. finally, when examining the cognitive relationship about multi-cultural society depending on the experience in staying overseas after supposing a hypothesis of contact,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extra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