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유아 사교육에 관한 인식연구

        정혜정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유아 사교육에 관한 인식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정 유아교육전공 정혜정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배경변인에 따른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유아 사교육에 관한 인식의 차이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인식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배경변인(연령, 학력, 자녀의 연령, 자녀의 재원기관 유형)에 따른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배경변인(연령, 학력, 자녀의 연령, 자녀의 재원기관 유형)에 따른 유아 사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과 유아 사교육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어린이집ㆍ유치원 통합정보’ 및 ‘서울지역 맘카페’ 사이트를 활용하여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 3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서 김미자(2022)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유아 사교육에 대한 인식은 김성욱(2020)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9.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분석과 독립적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으로 Scheffe를 실시하여 집단별 차이를 알아보았으며,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배경변인에 따른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학부모의 연령과 학력에 따라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부모의 연령의 경우 2019 개정 누리과정의 하위인식 중 전반적 이해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40대 학부모집단이 20대 학부모집단과 30대 학부모집단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목표에 대한 인식은 30대 학부모집단과 40대 학부모집단이 20대 학부모집단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학부모의 학력에 경우 전반적 인식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4년제 졸업 학부모집단이 고졸이하 학부모집단과 2,3년제 졸업 학부모집단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목표와 지원에 대한 인식의 경우 4년제 졸업 학부모집단이 고졸이하 학부모집단과 2,3년제 졸업 학부모집단, 대학원 재학이상 학부모집단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놀이에 대한 인식의 경우 2,3년제 졸업 학부모집단과 4년제 졸업 학부모집단이 고졸이하 학부모집단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배경변인에 따른 유아 사교육에 대한 인식 역시 학부모의 연령과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부모의 연령의 경우 30대 학부모집단과 40대 학부모집단이 20대 학부모집단보다 사교육에 대한 기대와 의존이 높았으며, 학부모의 학력의 경우 학력이 높을수록 사교육에 대한 기대와 부담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과 사교육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전체 인식과 전반적 이해, 목표, 지원에 대한 인식이 유아 사교육의 기대와 의존과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부모의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유아 사교육에 대한 다양한 시각이 존재하며, 향후 확장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누리과정」유아평가에 기초한 교육과정 운영 사례 연구

        임미정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누리과정」유아평가에 기초한 교육과정 운영 사례를 제시하고, 유아교사의 반성적 평가를 통해 유아의 변화와 교수․학습을 개선하는데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누리과정」유아평가를 기초로 한 교육과정 운영은 어떠한가? 2. 「누리과정」유아평가를 기초로 한 교육과정 운영 결과는 어떠한가? 2-1. 유아에 있어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가? 2-2. 유아교사의 교수․학습 개선에 있어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가? 본 연구는 경기도 부천시에 소재한 D초등학교병설유치원 내 5세반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 대상은 이 학급 유아 26명이다. 연구기간은 2013년 4월 5일부터 5월 24일까지 약 2개월간이며, 생활주제 ‘봄’과 관련된 총 14개의 활동이 식물의 성장에 대한 호기심, 식물의 구조와 명칭 이해, 날씨, 식물 보호의 교육내용에 따라 계열성을 갖도록 개발되고 적용되었다. 연구 절차는 「누리과정」유아평가에 대한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모색, 교육과정운영계획안 개발, 시범 운영, 교육과정 적용, 평가 순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자는 유아와 교사 간 활동 과정을 녹음, 녹화하고 전사하고, 담임교사와 심층 면담, 교사의 저널, 유아 작품 등 체계적으로 자료를 수집하며 부호화하고 범주화하여 연구 문제별로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누리과정」유아평가에 기초한 교육과정 운영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유아교사 6인에게 누리과정과 유아평가에 대한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기 초에 유치원 교육과정과 유아평가 계획을 수립하지만 교육계획과 평가가 별도로 이루어지며, 평가의 준거나 도구나 없어 제대로 실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누리과정」유아평가에 기초한 교육과정 운영 과정은 생활주제 선정, 교육과정 운영 방향 설정, 활동 선정 및 수정, 교육계획안 작성, 교실 수업 적용, 평가로 이루어졌다. 교육과정 운영의 적용은 유아의 흥미와 관심을 파악하고 자신만의 계획을 수립하는 도입, 자신의 궁금증에 대해 탐구․조사하거나 계획한 놀이를 실행하는 전개, 유아들이 알게 된 것을 발표하고 결과물 전시하여 공유하는 마무리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이는 교육과정 운영이란 미리 결정된 틀이나 계획이 아닌 유아의 경험과 흥미를 파악하는 평가가 반영되면서 지속적으로 재구성이 되는 임시적이고 발생적인 과정이다. 또 교실 환경과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고, 각 과정은 개별적이고 일률적인 것이 아니라 평가를 통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역동적이고 순환적인 관계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누리과정」유아평가에 기초한 교육과정 운영의 결과 유아에게 나타난 변화는 즐거움과 관심을 바탕으로 스스로 계획하는 주도성, 자신만의 강점을 스스로 표현하는 자발성, 활동에 대한 반성 및 활동을 새롭게 제안하며 스스로 평가하는 적극성이다. 유아교사에게 나타난 교수․학습 개선의 변화는 스스로가 즐거운 수업 계획, 함께 대화 나누기의 중요성, 유아의 작품을 내일의 수업 자료로, 체계적 분석 기준 마련, 유아의 발달과정을 누가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이는 유아교사와 유아는 자기 성장을 지속해나가고 스스로 학습하는 존재로서 교육과정의 개발자와 평가의 탐구자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누리과정」유아평가에 기초한 교육과정 운영이란 지속적인 평가를 통해 활동이 수정․개발되는 것으로 유아 평가가 유아의 발달 수준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교사의 교수․학습 개선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는 「누리과정」유아평가에 기초한 교육과정 운영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충분히 고찰하고, 국가수준의 주어진 교육과정을 그대로 따르는 것이 아닌 유아와 유아교사는 평가와 교수․학습 개선을 거치면서 스스로에게 적합하고 유의미한 교육과정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역량이 길러져야함을 시사한다.

      •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치원 바깥놀이에 대한 학부모 인식

        이명희 아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치원 바깥놀이에 대한 학부모 인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이 명 희 본 연구는 누리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바깥놀이에 대한 학부모 인식을 조사하여 누리과정 운영의 내실화를 도모하고 학부모의 교육적 요구와 장애요인을 제시함으로써 교사들에게 바깥놀이를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치원 바깥놀이의 운영에 대한 학부모 인식은 어떠한가? 2.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치원 바깥놀이의 장애요인 및 교육적 요구에 대한 학부모 인식은 어떠한가? 3.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치원 바깥놀이의 활성화 방안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내 공립병설유치원 4곳, 공립단설유치원 2곳, 사립유치원 2곳의 학부모 451명이다. 질문지는 바깥놀이와 관련된 선행연구 중 실외놀이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 인식(박미혜, 2009), 가정에서의 유아 실외놀이 실태 및 부모의 인식(김정연, 2009)의 연구에 사용된 질문지를 부분 수정‧보완 및 내용을 추가하여 본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에 맞게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누리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바깥놀이에 대해 교육의 필요성은 많은 학부모들이 인식하고 있으나 아직 누리과정에서의 바깥놀이 지침(1일 1시간 이상 운영)에 대해서는 43.5%의 학부모가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바깥놀이는 일주일에 3〜4회, 1회당 30〜40분이 적당하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치원 바깥놀이 수행 시 장애요인으로 추위와 무더위, 황사와 미세먼지, 전염병 등과 같은 환경 문제가 가장 높은 응답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놀이시설 안전 문제가 장애요인으로 나타났다. 바깥놀이를 할 때 가장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안전하게 놀이 할 수 있는 인적․물적 자원 확보라 응답하였으며, 교사 역할 역시 안전한 놀이 환경 구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누리과정에 기초한 바깥놀이의 교육적 요구에 대한 학부모 조사 결과를 보면 영역별 바깥놀이에서는 미술활동이, 자연생태 바깥놀이에서는 식물 재배 및 관찰이, 도구를 이용한 바깥놀이에서는 신체 또는 기구를 활용한 대근육 활동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영역별 바깥놀이에 대한 학부모 요구가 가장 높아 바깥놀이가 흥미영역으로 구성되어 교육활동이 이루어지길 희망하였다. 넷째, 누리과정에 기초한 바깥놀이에 대한 활성화 방안에 대한 결과는 유아 안전교육 강화, 보조교사 필요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바깥놀이 프로그램 및 시설 안전강화, 놀이시설 및 놀잇감 확보,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 확보, 바깥놀이에 대한 교사연수, 부모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바깥놀이 활성화를 위한 부모교육 방법으로는 가정통신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부모 설명회 및 강연회를 통한 학부모 연수, SMS 문자 활용, 홈페이지 부모교육자료 탑재, 담임교사와의 개별 상담, 기타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타 의견으로는 SNS 활용 방법이 적합하다고 하여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부모교육 방법에 대한 부모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누리과정의 유아교육 학습특성 분석에 의한 유치원 공간디자인

        인주영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유치원은 유아의 발달을 도모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교육공간이다. 유치원 공간 계획은 유아의 발달을 촉진 시키기 위해서 단순히 실을 구획하는 것을 넘어서서 교육적 목표와 유아의 학습특성을 고려하여 만들어져야 한다. 그동안의 한국 유치원 공간은 교사가 학생에게 일방적으로 지식을 전달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획일적인 공간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영유아시기는 외부 환경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시기이다. 따라서 유치원 교육공간은 획일적인 공간 형태에서 벗어나 유아교육의 목적과 학습특성을 고려하여 유아에게 필요한 최적의 학습 지원이 가능하도록 변화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유아의 주체성과 놀이를 강조하고 있는 현재 우리나라의 유치원 교육과정인 ‘2019 개정 누리과정’과 그 바탕이 되는 학습이론인 ‘구성주의 교육과 학습원리’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국내·외 유치원 공간디자인 사례분석 등을 통하여 유아교육과 학습의 특성 분석에 기반한 유치원 공간디자인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공간의 중요성과 현재 유치원 교육과정의 흐름을 토대로 본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서술하고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제안하였다. 2) 유치원 교육과정의 기반이 되어온 구성주의 교육과 학습원리를 바탕으로 구성주의 공간특성을 도출하고 구성주의 관점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이해한다. 앞서 도출한 구성주의 공간특성인 개별지원성, 연결성, 가변성을 기준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와 ‘유치원 계획·설계 지침서’를 보고 보편적인 설계 기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3) 사례분석을 통해 구성주의 공간특성별 공간디자인표현방법을 도출하였다. 4) 앞의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의 결과에 기반하여 유치원 공간디자인 계획안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상과 같은 연구 과정과 방법, 공간디자인 제안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개별지원성에 의한 공간디자인 2)연결성에 의한 공간디자인 3)가변성에 의한 공간디자인 Kindergarten is an educational space that promotes children's growth. The kindergarten space plan must extend beyond simply dividing rooms and be based on children's learning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goals. Korean kindergartens used to be uniform in shape with the goal of teachers unilaterally imparting knowledge to students. Early childhood is the period where the external environment has the most impact. For this reason, kindergarten education spaces must be changed to promote optimal learning for young children. This is to be in line with the purpose and learning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ather than keeping it uniform. The study proposes kindergarten space desig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learning. The paper presented here is based on a theoretical study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e current kindergarten curriculum in Korea. It emphasizes the subjectivity and play of young children, and the 'constructivist education and learning principle' guides kindergartens domestically and abroad. The detailed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1) The paper describe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along with its scope and methods within the context of the kindergarten environment and the current kindergarten curriculum. 2) The constructivist educational principles that comprise the kindergarten curriculum are derived from the spatial features of constructivism, and the 2019 revision to the Nuri course is analyzed from a constructivist viewpoint. The ‘2019 Revision Nuri Course Manual’ and ‘Kindergarten Planning and Design Guide’ were examined to better understand the universal design standards by using the aforementioned spatial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vism, such as individual supportability, connectivity, and variability. 3) The spatial design expression methods of constructivism were discovered through a case study. 4) A space design plan for kindergarten was developed using the results of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case analysis. Based on the methodology and spatial design proposal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A range of sensory experiences to meet individual infant's preferences and needs 2) Creating an environment based on connectivity 3) Design for flexibility

      • 5세 누리과정 실시에 따른 유치원과 어린이집 장애유아 통합학급 운영 실태 및 요구

        윤영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perating state of integrated classes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accordance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Nuri curriculum for age 5 and the needs of teachers for assistanc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s the state of integrated education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accordance with the Nuri curriculum for age 5? 1-1. What is the operating state of the Nuri curriculum for age 5 in integrated classes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1-2. What is the state of teacher efficacy among teachers in charge of integrated classes in conjunction with the Nuri curriculum for age 5? 1-3. What is the state of material support for integrated classes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Nuri curriculum for age 5? 1-4. What is the state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assistance for integrated classes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Nuri curriculum for age 5? 2. What are the needs of teachers for the operation of integrated classes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conjunction with the Nuri curriculum for age 5? 2-1. What are the needs of teachers for the operation of the Nuri curriculum in special classes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conjunction with the Nuri curriculum for age 5? 2-2. What are the needs of teachers for training related to integrated class in conjunction with the Nuri curriculum for age 5? 2-3. What are the needs of teachers for material assistance for integrated classes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conjunction with the Nuri curriculum for age 5? 2-4. What are the needs of teachers for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assistance for integrated classes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conjunction with the Nuri curriculum for age 5?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68 teachers who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teachers in charge of five-year-olds in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South Jeolla Province. The selected teachers took training courses in the Nuri curriculum and integrated education. A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was prepared by selecting appropriate items from earlier studies and literature and by modifying the selected items by having a discussion with expert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on Research Question 1 about the state of integrated education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conjunction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Nuri curriculum for age 5 were as follows: As for Research Question 1-1, the operating state of the Nuri curriculum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operation of integrated classes, and that was found to be on a moderate level. As for Research Question 1-2, the teacher efficacy of the teachers was on a low level when their teacher efficacy was evaluated in terms of the operation of the Nuri curriculum and of integrated classes. As for Research Question 1-3, the material environments for special classes were on a moderate or low level when the material environments were evaluated in terms of the operating state of integrated classe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Nuri curriculum. As for Research Question 1-4,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assistance was not sufficient, either,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Nuri curriculum. The findings of the study on Research Question 2 about the needs of the teachers for the operation of integrated classes in association with the Nuri curriculum were as follows: As for Research Question 2-1, both of the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 teachers called for assistance for the role planning of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most. In relation to teaching materials for integrated education, they were most in want of teaching aids and materials for preschooler activities. As for Research Question 2-2, the teachers were in need of training related to integrated education in conjunction with their teacher efficacy, and they hoped to take an online training course twice a year. As for Research Question 2-3, there were very strong needs for every item of physical environment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Nuri curriculum. As for Research Question 2-4, there were very strong needs for every item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assistance as well.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the study, which were discussed in association with the findings, and there are some suggestions on how to improve integrated educat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geographic scope of this study was confined to some regions, and various regions should be investigated in the future.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used in this study to find out the state of integrated education and needs for that, and more in-depth research should be implemented by making a direct observation of childcare centers and by having an in-depth interview with teachers. Plenty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aid should be provided to ensure the successful application of the Nuri curriculum to help every infant and preschooler involving disabled ones benefit from it. As it's not yet been a long time since the Nuri curriculum for age 5 was introduced, a lot of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when the Nuri curriculums for age 3 to 5 are carried out. 본 연구는 5세 누리과정 실시에 따른 유치원과 어린이집 장애유아 통합학급 운영의 실태를 파악하고 교사들의 지원 요구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5세 누리과정 실시에 따른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태는 어떠한가? 가. 5세 누리과정 실시에 따른 유치원과 어린이집 장애유아 통합학급의 누리 과정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나. 5세 누리과정 실시에 따른 유치원과 어린이집 장애유아 통합학급의 교사 효능감 실태는 어떠한가? 다. 5세 누리과정 실시 이후 유치원과 어린이집 장애유아 통합학급을 위한 물 리적 환경 지원 실태는 어떠한가? 라. 5세 누리과정 실시 이후 유치원과 어린이집 장애유아 통합학급에 대한 행·재정적 지원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5세 누리과정 실시에 따른 유치원과 어린이집 장애유아 통합학급 운영을 위한 교사들의 요구는 어떠한가? 가. 5세 누리과정 실시에 따른 유치원과 어린이집 장애유아 통합학급 누리과 정 운영에 대한 요구는 어떠한가? 나. 5세 누리과정 실시에 따른 유치원과 어린이집 장애유아 통합학급의 교사 연수 관련 요구는 어떠한가? 다. 5세 누리과정 실시에 따른 유치원과 어린이집 장애유아 통합학급을 위한 물리적 환경 지원 요구는 어떠한가? 라. 5세 누리과정 실시에 따른 유치원과 어린이집 장애유아 통합학급에 대 한 행·재정적 지원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전남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반 담당교사 중 누리과정 연수와 통합교육 관련 연수를 이수한 유아교사 2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5세 누리과정실시에 따른 장애유아 통합학급 운영 실태 및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선행연구 및 관련문헌을 근거로 본 연구에 적합한 문항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문항은 전문가와의 논의를 거쳐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5세 누리과정 실시에 따른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태는 어떠한가? 가. 장애유아 통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누리과정 운영 실태를 통합학급 운영 실태 측면에서 알아본 결과 그 수준은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나. 누리과정 운영과 통합학급 운영 측면에서 교사들의 교수 효능감도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 장애유아 통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누리과정 실시 이후 물리적 환경구성을 통합학급 운영 실태 측면에서 알아본 결과 ‘보통’ 또는 ‘미흡’한 실정으로 나타났다. 라. 누리과정 실시 이후 행·재정적인 지원 또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5세 누리과정 실시에 따른 유치원과 어린이집 장애유아 통합학급 운영을 위한 교사들의 요구는 어떠한가? 가. 유치원과 어린이집교사 모두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역할 계획 지원’을 가장 많이 요구하고 있었고, 통합교육을 위한 교수자료로는 ‘활동용 교재교구’를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교사효능감 측면에서 유아교사들은 ‘통합교육 관련 연수’를 필요로 하고 있었고, ‘연2회’ ‘온라인 형식의 연수’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 누리과정 실시 이후 물리적 환경에 대한 요구의 경우 모든 항목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라. 행·재정적인 지원의 경우에도 모든 항목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제한점을 살펴보고 현장에 적용하여 실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일부지역만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므로 다양한 지역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실태 및 요구조사를 질문지를 통해 알아본 연구이므로 어린이집을 직접 관찰하거나 교사들의 면담이나 심층면접을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그리고 장애영유아도 포함하여 모든 영유아를 위한 누리과정 운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행·재정적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만5세 누리과정운영이 이루어진지 얼마 되지 않은 시점에서 이루어진 연구이므로 앞으로 만3~5세 누리과정이 시행되는 시기에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 5세 누리과정 교사들의 누리과정이해와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 비교

        김명숙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2012년 국가수준의 교육공통과정을 처음으로 시행한 어린이집과 유치원 5세 누리과정 교사들의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이해와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수준을 알아보고, 어떤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새로운 교육과정의 시행과 정착에 도움이 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교사들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개선점을 제시하여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기초자료로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Ⅰ. 어린이집과 유치원 5세 누리과정 교사들의 누리과정 이해와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경향은 어떠한가? Ⅱ.어린이집과 유치원 5세 누리과정 교사들의 누리과정 이해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Ⅲ. 어린이집과 유치원 5세 누리과정 교사들의 교사효능감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Ⅳ. 어린이집과 유치원 5세 누리과정 교사들의 직무만족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Ⅴ. 어린이집과 유치원 5세 누리과정 교사들의 누리과정의 이해와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2012년 누리과정을 처음으로 실시한 어린이집과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임교사들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어린이집 교사 303명과 유치원 교사 193명에게 설문지를 회수 받아 연구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의 검사 도구로 '5세 누리과정의 이해 설문지'는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관련한 선행연구(부성숙, 1999; 서진경, 2009; 안정민, 임성원, 2012)와 5세 누리과정 총론과 해설서를 참고로 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에 맞게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교사효능감 측정 질문지'는 권영자(2009)가 유아교사의 DAP 신념과 교사효능감 측정연구에 수정하고 사용한 것을 사용하였다. '직무만족도 측정 질문지'는 권영자(2009)의 연구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SPSS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F 검증,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고 주요변수와 상관관계는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변인의 경향성을 살펴보면, 어린이집과 유치원 5세 누리과정 교사들은 5세 누리과정을 평균 이상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교사효능감도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 모두 높은 정도를 나타내었고, 직무만족도는 어린이집 교사가 평균보다 낮은 점수를 유치원 교사는 평균정도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과 유치원 5세 누리과정 교사들의 5세 누리과정 이해는 유치원 교사가 높게 나타났다. 누리과정령, 누리과정의 구성, 누리과정의 구조, 누리과정의 편성·운영지침, 누리과정의 교수 학습방법, 누리과정의 평가 등 5세 누리과정 전반에 걸쳐 유치원 5세 누리과정 교사들의 이해도가 높았다. 셋째, 어린이집과 유치원 5세 누리과정 교사들의 교사효능감 정도는 유치원 교사들이 높게 나타났다. 교사효능감 전체 점수와 교사효능감 하위 영역인 일반적 교수효능감과 개인적 교수효능감 모두 유치원 교사들의 효능감 정도가 높았다. 넷째, 어린이집과 유치원 5세 누리과정 교사들의 직무만족도 정도는 유치원 교사들이 높게 나타났다. 직무만족도 전체 점수부터 하위 항목요인인 인간관계, 복지후생·보수, 사회적 안정, 근무자체 신념, 근무환경, 업무량, 승진·신분보장 모든 하위 변인에서도 유치원 교사들의 직무만족도 정도가 높았다. 다섯째, 어린이집과 유치원 5세 누리과정 교사들의 5세 누리과정 이해와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각각 살펴본 바 5세 누리과정의 이해와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는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어린이집과 유치원 5세 누리과정 교사들의 5세 누리과정의 이해와 교사효능감은 높은 정도를 나타내고 있으나 직무만족도는 낮은 정도를 보여주어 교사들의 처우개선을 위한 폭넓은 행·제정적 지원이 절실히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 2019 개정 누리과정과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초등학교 1~2학년군 연계성 분석 - 놀이 활동 중심으로 -

        조현진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인간의 발달을 돕는 교육과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선택된 교육내용과 방법인 교육과정은 연속성을 가져야 한다. 특히, 형식적인 교육이 처음 시작된다고 볼 수 있는 유아 교육기관과 초등학교 사이의 연계는 발달 측면이나 학생들의 교육 성취를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두 교육과정의 연계를 말할 때는 수직적 연계를 의미하는 계열성을 강조하는데 특히, 계열성을 강조하는 수학교육은 연계성이 더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자연탐구 영역과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초등학교 1~2학년군의 연계성 분석을 하고자 한다. 이러한 유아 수학교육과 초등 1~2학년군의 수학교육 사이의 연계성 분석을 통해 두 교육기관 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도움이 되고자 하며, 차후 교육과정 개정 시 중점을 인간의 발달을 돕는 교육과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선택된 교육내용과 방법인 교육과정은 연속성을 가져야 한다. 특히, 형식적인 교육이 처음 시작된다고 볼 수 있는 유아 교육기관과 초등학교 사이의 연계는 발달 측면이나 학생들의 교육 성취를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두 교육과정의 연계를 말할 때는 수직적 연계를 의미하는 계열성을 강조하는데 특히, 계열성을 강조하는 수학교육은 연계성이 더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자연탐구 영역과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초등학교 1~2학년군의 연계성 분석을 하고자 한다. 이러한 유아 수학교육과 초등 1~2학년군의 수학교육 사이의 연계성 분석을 통해 두 교육기관 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도움이 되고자 하며, 차후 교육과정 개정 시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에 관한 시사점도 함께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와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초등학교 1~2학년군 교과서와 지도서이다. 연구 내용은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내용’과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초등학교 1~2학년군의 성취기준 연계성과 2019 개정 누리과정 자연탐구 영역의 내용 범주인 ‘생활 속에서 탐구하기’의 수학적 성격을 지닌 ‘내용’과 ‘내용 이해’, ‘유아 경험의 실제’와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초등학교 1~2학년군 교과서와 지도서에 제시된 활동에 대한 연계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때, 누리과정 해설서의 ‘유아 경험의 실제’의 놀이 경험과 초등학교 교과서와 지도서에 제시된 놀이 수학 차시 이외에 연계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각 활동 차시, 탐구수학 차시도 함께 분석하기로 한다. 그리고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분석 틀과 비교 틀을 수정하여 연구에 사용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개정 누리과정 자연탐구 영역과 관련된 ‘내용’, ‘내용 이해’ 그리고 유아 놀이 중심 활동 예시인 ‘유아 경험의 실제’와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1~2학년군의 교과서와 지도서의 활동 측면과 성취기준을 비교했을 때, 총 30개의 성취기준 중 발전적 연계와 부분적 연계를 포함하여 10개가 연계되어 있고, 21개가 연계되지 않고 ‘생성’된 것으로 분석하였다. 단, 누리과정 해설서(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에 제시된 ‘내용’인 ‘일상에서 길이, 무게 등의 속성을 비교한다.’에 포함된 측정 영역의 여러 속성 중 ‘길이’ 속성만 반복으로 분석되어 같은 성취기준에 두 가지 분석 결과가 존재하게 되었다. 그리고 비연계 ‘생성’은 두 가지 측면에서 발생했는데, 누리과정과 1~2학년군 전체와의 연계성을 분석했으므로 발생한 경우와 누리과정에는 없는 새로운 내용이 추가되어 발생한 경우 즉, 두 가지 측면에서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생성’ 형태의 비연계가 과하게 나타나게 되면 초등학교 1~2학년 학생과 학부모의 수학교육에 대한 부담이 늘어날 수 있으므로 좀 더 나은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의 연계를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는 있다고 판단한다. 이 연구를 통해 개정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수학 교과 내용이 더 긴밀한 연계가 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며, 앞으로 개정 시에도 이러한 연구가 반영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다양한 유아 놀이 사례 연구, 놀이 이해 자료와 놀이 실행 자료의 분석,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효율적인 연계를 위한 학생과 학부모의 의견 조사 등의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운영 수준 조사 연구

        강진주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운영 수준을 조사하여 교육 현장에서 유아교사가 2019 개정 누리과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고 운영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도출하여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운영 수준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적으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2020년 10월 12일부터 2020년 10월 19일까지 이메일과 인터넷 폼으로 설문 조사하여 유효하게 답한 315명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조금 그렇다.’에 조금 못 미치는 수준으로 대체로 긍정적이거나 적절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40대 이상, 경력이 많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누리과정에 대한 연수 경험이 있으면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20대, 3년 미만의 경력자, 저학력자, 유치원보다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의 인식이 낮게 나타나 이들의 인식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운영 수준’에 대한 조사 결과는 ‘조금 그렇다’에 약간 못 미치는 수준으로 만족할만한 수준은 아니지만, 적정한 운영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특히 편성·운영에서 2시간 이상 놀이 편성, 놀이를 통한 배움의 이해, 유아 중심의 놀이 편성·운영에서 상대적으로 점수가 높게 나타나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추구하는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이 유아교사들의 높은 관심 속에 어느 정도 안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가 현장에서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잘 운영할 수 있도록 동료, 원장(감), 장학사와 교수 등 외부전문가의 수업에 대한 다양한 컨설팅과 학급당 유아를 감축하는 등 교육 여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실행지원 요구 인식과 운영의 어려움에 따른 지원과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기관 단위로 누리과정에 대한 자료를 더 많이 지원하고, 기관 간 유아교사의 교류를 위한 제도와 유아의 지원과 관찰 기록을 동시 진행에 대한 개선 대책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개인역량 강화 방안과 기관 간 격차 해소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유치원과 어린이집, 국공립과 사립 등 기관 간에 격차를 해소할 대책이 필요하며, 특히 모든 문항에서 대체로 인식이 낮았던 민간 어린이집에 대한 특별한 지원책이 요구된다.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하여 학부모와 지역사회의 관심을 유도하고 홍보할 필요가 있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는 기관 차원에서 학부모에게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홍보하고 지역사회의 참여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이번 연구의 시사점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운영 수준을 높이기 위해 교사에게 맞춤형 연수를 강화하고 자율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2019 개정 누리과정은 구성 체계, 구성 방향, 영역별 목표와 내용 등에서 초등교육과정과 연계하는 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기관 간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어린이집에 행·재정적 지원과 교사의 수업을 지원하기 위한 보조교사와 행정 보조원 지원 등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유아가 속해 있는 가정, 기관, 지역사회 등은 모두 교육과정의 주체로 상호 연계하고 협력하기 위하여 참여를 유도하고 홍보하며 교류할 필요가 있다.

      • 누리과정에 대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실행수준 및 장애요인 차이

        표현아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누리과정에 대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실행수준 및 장애요인의 차이를 규명하여 누리과정 프로그램의 현장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고 두 기관의 간극을 좁혀 방향성을 맞추는데 기여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누리과정에 대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실행수준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누리과정에 대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장애요인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누리과정에 대한 실행수준과 장애요인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조사를 위해 누리과정에 대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실행수준 및 장애요인의 차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부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3-5세 유아교사 432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통해 분석하였다. 위의 과정을 통해 분석된 연구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실행수준은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에게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둘째, 실행수준의 영역별점수를 기관 유형별로 살펴보면, 유치원은 교육내용(3.86), 교육목표(3.83), 교수‧학습방법(3.77), 교육평가(3.68), 교육자료(3.64) 순으로 나타났고 어린이집은 교육내용(3.80), 교육목표(3.69), 교육자료(3.59), 교수‧학습방법(3.58), 교육평가(3.50) 순으로 나타나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모두 교육내용과 교육목표에 대한 실행수준이 가장 높았다. 셋째,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기관유형별 실행수준 항목 중 교수‧학습방법과 교육평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유치원과 어린이집교사가 인식하는 장애요인의 빈도는 높지 않았으며, 기관유형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도 없다. 다섯째, 실행수준과 장애요인의 관계는 실행수준이 증가할수록 장애요인이 감소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실행수준이 장애요인에 유의미한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누리과정 시행 3년이 경과한 지금, 시행 초기와 비교하여 교사의 실행수준은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으나 개선 방향에 있어서는 크게 달라진 바가 없다. 그러므로 누리과정에 대한 연수와 제도의 변화를 통해 교사의 다양한 자격증 소지에 따른 적절한 내용을 선별한 차별화된 방법으로의 교사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지속적인 교육과, 과다한 업무에서 벗어난 실질적 교육활동의 집중을 통해 교사의 전문성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료 부담 완화에만 급급할 것이 아니라 현장의 질 수준을 높이기 위한 누리과정 실행에 필요한 기본적인 장비 마련, 기반여건 조성, 나아가 다양하고 창의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자료 보급을 위해 국가의 재정적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 누리과정에 기초한 숲 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선혜미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누리과정에 기초한 숲 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누리과정에 기초한 숲 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누리과정에 기초한 숲 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누리과정에 기초한 숲 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의 하위요소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1 누리과정에 기초한 숲 활동이 유아의 수와 연산 개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2 누리과정에 기초한 숲 활동이 유아의 공간과 도형 개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3 누리과정에 기초한 숲 활동이 유아의 측정 개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4 누리과정에 기초한 숲 활동이 유아의 규칙성 이해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5 누리과정에 기초한 숲 활동이 유아의 자료수집과 결과 나타내기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남양주시에 위치한 S어린이집의 만 4, 5세 유아 20명을 실험집단으로, 인근의 A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4, 5세 유아 20명을 비교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절차는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유아의 수학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는 김지영(2004)이 NCTM의 수학교육 내용기준에 근거하여 개발한 유아수학능력 평가도구를 사용하였다. 집중적인 실험처치는 2015년 3월 18일부터 2015년 5월 6일까지 8주간 15회의 누리과정에 기초한 숲 활동을 담임교사가 진행하였으며, 비교집단은 사립 출판사의 누리과정 교재를 활용한 교육이 이루어졌다. 실험처치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집된 검사자료는 SAS version 9.3(SAS Institute, Inc., Cary, NC, USA)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및 사후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두 집단 간 차이를 t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누리과정에 기초한 숲 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누리과정에 기초한 숲 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의 하위요인인 수와 연산 능력을 다소 향상시켰으나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셋째, 누리과정에 기초한 숲 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의 하위요인인 공간과 도형 개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누리과정에 기초한 숲 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의 하위요인인 측정 개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누리과정에 기초한 숲 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의 하위요인인 규칙성 개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누리과정에 기초한 숲 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의 하위요인인 자료수집과 결과 나타내기 능력을 다소 향상시켰으나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누리과정에 기초한 숲 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가 숲 활동에 누리과정 적용을 어려워하는 현장의 교사들에게 수학교육의 지침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